KR102212047B1 -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2047B1
KR102212047B1 KR1020190073309A KR20190073309A KR102212047B1 KR 102212047 B1 KR102212047 B1 KR 102212047B1 KR 1020190073309 A KR1020190073309 A KR 1020190073309A KR 20190073309 A KR20190073309 A KR 20190073309A KR 102212047 B1 KR102212047 B1 KR 1022120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frame
frame
loading
moving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33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44990A (ko
Inventor
심명순
한승희
Original Assignee
심명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명순 filed Critical 심명순
Priority to KR10201900733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2047B1/ko
Publication of KR202001449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49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20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20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Floor-to-roof stacking devices, e.g. "stacker cranes", "retrie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407Storage devices mechanical using stacker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20Means for actuating or controlling masts, platforms, or f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입출고장치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수직 포스트; 상기 한 쌍의 수직 포스트의 상측에 형성되어 한 쌍의 수직 포스트를 연결하며 횡으로 형성되는 연결부; 상기 수직 포스트의 사이에 형성되어 수직 포스트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 프레임; 상기 이동 프레임과 분리 형성되고 적재된 것을 이송하며 상기 이동 프레임과 중첩되지 않는 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이동 프레임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상대 이동하며 상기 수직 포스트 및 연결부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이송부; 상기 이동 프레임 또는 이송부에 선택적으로 접촉되어 이송되는 적재 프레임; 및 상기 이동 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이송부를 통해 이송되는 적재 프레임의 접근을 감지하여 적재 프레임의 이동을 제한하는 이동 제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IN/OUT HANDING APPARATUS FOR AUTO WARE HOUSE}
본 발명은 자동창고에 사용되는 물품을 탑재 또는 하역하는 입출고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창고는 컴퓨터에 의해 자동적으로 관리되는데, 다수의 적재 공간에 고유의 식별번호를 부여하고, 다수의 적재 공간에 저장되어 있는 물품의 종류 및 개수 등을 컴퓨터에서 인식하여 자동으로 가져오거나 저장하도록 하는 장치를 말한다.
자동창고에 물품을 입출고할 때 자동창고 상에서 물품이 이동하는 경우 물품 또는 물품을 받치고 있는 부재의 이동을 제한할 필요가 있다. 특히, 물품이 중량물인 경우에는 물품이 장치와 부딪치는 경우 장비를 훼손시킬 우려가 높으므로 더욱 그러하다.
종래에는 물품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하여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작업을 하였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효율이 매우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물품 운반시에 자동으로 물품의 이동이 제한되는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일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수직 포스트; 상기 한 쌍의 수직 포스트의 상측에 형성되어 한 쌍의 수직 포스트를 연결하며 횡으로 형성되는 연결부; 상기 수직 포스트의 사이에 형성되어 수직 포스트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 프레임; 상기 이동 프레임과 분리 형성되고 적재된 것을 이송하며 상기 이동 프레임과 중첩되지 않는 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이동 프레임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상대 이동하며 상기 수직 포스트 및 연결부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이송부; 상기 이동 프레임 또는 이송부에 선택적으로 접촉되어 이송되는 적재 프레임; 및 상기 이동 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이송부를 통해 이송되는 적재 프레임의 접근을 감지하여 적재 프레임의 이동을 제한하는 이동 제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이동 제한부는, 상기 이동 프레임에 구비되는 피스톤; 상기 피스톤에 체결되어 상기 적재 프레임의 근접 여부를 감지하는 리미트 센서(limit sensor); 일측은 상기 피스톤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이동 프레임으로부터 이송부를 따라 형성되는 제1 링크; 일 단부는 상기 이동 프레임에 고정되고 타 단부는 상기 제1 링크와 연결축을 통해 연결되는 제2 링크; 및 상기 이송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1 링크가 걸림되어 상기 제1 링크가 상기 연결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받침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링크의 단부에는 상기 연결축이 이동 가능하도록 장공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피스톤은 실린더 내부에 구비되어 상하 이동하고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는 상기 피스톤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피스톤이 아래로 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리미트 센서에 의해 이송부에서의 적재 프레임의 이동을 자동으로 제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이동 프레임이 상하로 이동하는 동작에 의해 리미트 센서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리미트 센서를 구분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같은 특정 실시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의 정지 상태에서의 전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의 작동 상태에서의 전체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제한부 주변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100)의 정지 상태에서의 전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100)의 작동 상태에서의 전체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100)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자동창고에 물품을 입출고시키는 장치(100)가 개시되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100) (이하 입출고장치(100)라 칭하기로 한다.)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수직 포스트(110)와, 상기 한 쌍의 수직 포스트(110)의 상측에 형성되어 한 쌍의 수직 포스트(110)를 연결하며 횡으로 형성되는 연결부(120)와, 상기 수직 포스트(110)의 사이에 형성되어 수직 포스트(110)를 따라 상하 이동하는 이동 프레임(130)과, 상기 이동 프레임(130)과 분리 형성되고 적재된 것을 이송하며 상기 이동 프레임(130)과 중첩되지 않는 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이동 프레임(130)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상대 이동하고 상기 수직 포스트(110) 및 연결부(120)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이송부(150)와, 상기 이동 프레임(130) 또는 이송부(150)에 선택적으로 접촉되어 이송되는 적재 프레임(133)과, 상기 이동 프레임(130)에 구비되어 상기 이송부(150)를 통해 이송되는 적재 프레임(133)의 접근을 감지하여 적재 프레임(133)의 이동을 제한하는 이동 제한부(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이동 제한부(140)는 적재부(105)에 인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이송부(150)는 적재 프레임(133)의 이동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베이스부재(106)에 고정된다. 상기 적재 프레임(133)에 물품이 탑재 또는 하역된다.
상기 물품은 적재 프레임(133)에 적재된 상태로 운반되므로 물품의 이동 제한은 적재 프레임(133)의 이동 제한을 의미한다. 특히, 적재 프레임(133) 없이 바로 물품이 이송부(150)를 통해 이송되는 경우에는 상기 적재 프레임(133)은 상기 물품을 의미한다. 즉, 적재 프레임(133) 자체가 물품인 경우이다. 이때, 상기 이송부(150) 및 이동 프레임(130)은 상하 방향으로 상대 이동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출고장치(100)의 작동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이동 프레임(130)이 상기 수직 포스트(110)의 사이에 구비되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하기 전의 최초 상태에서는 상기 이동 프레임(130)의 중간 정도의 지점이 상기 수직 포스트(110)를 연결하는 선상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배치함으로써 상기 이동 프레임(130)이 최초 상태에서 승하강시에 수직 포스트(110)를 따라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만약, 물품을 적재 프레임(133)에 탑재하거나 하역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적재 프레임(133)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해야 한다. 예를 들면, 적재부(105)에 저장되어 있던 물품을 상기 적재 프레임(133)에 탑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이동 프레임(130)은 최초 상태에서 상승한 다음 적재 프레임(133)이 적재부(105)로 이동하도록 하고 물품이 적재되어 있는 적재 팔레트(pallet)를 상기 적재 프레임(133)에 적재한 다음 이동 프레임(130)이 하강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직 포스트(110)는 하부 레일(101)을 따라 이동하는 베이스부재(106)에 연결되어 베이스부재(106)와 일체로 이동하고, 상기 연결부(120)는 상부 레일(102)을 따라 이동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부 레일(101) 또는 연결부(120)의 형성 방향을 제1 방향(또는 X축), 상기 이송부(150)의 형성 방향을 제2 방향(또는 Y축), 상기 수직 포스트(110)의 형성 방향을 제3 방향(또는 Z축)이라 할 수 있고, 상기 제1 내지 제3 방향은 서로 교차하며, 상기 이송부(150)는 한 쌍으로 제2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부재(106)은 좌우로 이동하고 상기 이동 프레임(130)은 상기 베이스부재(106)와 일체로 좌우로 이동하거나 독자적으로 상하로 이동한다. 또한, 상기 이동 프레임(130)과 상하 방향으로 상대 이동하며 상기 이동 프레임(130)에 물품을 적재하거나 이동 프레임(130)에 적재된 물품을 외부로 이송시키는 이송부(150)가 구비된다. 상기 이송부(150)는 상기 베이스부재(106)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이동 프레임(130)의 상하 이동에 의해 상기 이송부(150)와 상대 이동하게 된다. 예를 들면, 상기 적재 프레임(133)은 상기 이동 프레임(130) 또는 이송부(150)에 선택적으로 접촉되어 이송되는데, 물품을 적재부(105)에 적재하기 위하여 상기 이송부(150)를 이용하여 적재 프레임(133)을 이동 프레임(130)에 이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이송부(150)의 높이가 이동 프레임(130)의 높이보다 높은 상태에서 적재 프레임(133)의 이송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송부(150)에 의한 적재 프레임(133)의 이송이 완료되면, 상기 이동 프레임(130)이 상승하면서 상기 적재 프레임(133)을 적재부(105)로 운반하게 된다. 이때, 상기 이송부(150)와 이동 프레임(130)은 위에서 바라볼 때 각각의 영역이 중첩되지 않기 때문에 동일한 적재 프레임(133)이 이동 프레임(130) 또는 이송부(150)에 선택적으로 접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이송부(150)는 서로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되어 쌍으로 형성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부(150)는 물품을 지탱해야 하기 때문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한 쌍의 체인 또는 벨트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이동 프레임(130)이 승하강하게 되면 상기 이송부(150)와 높이가 중첩된 상태를 지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이동 프레임(130)은 상하로 이동하여 상기 이송부(150)와는 상대적인 높이 차이를 발생시킨다. 상기 이동 프레임(130)에는 상기 물품이 적재되고 상기 이동 프레임(130)과는 분리되어 이동 가능한 적재 프레임(133)이 놓여진다.
상기 적재 프레임(133)은 상기 이동 프레임(130) 상에서 적재부(105)를 향하여 전후로 슬라이딩 이동함으로써 물품을 상기 적재부(105)로 인입시키거나 인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물품을 적재부(105)에 저장하는 과정에서 상기 물품은 상기 이동 프레임(130), 보다 구체적으로는 적재 프레임(133)에 탑재된 상태로 위로 이동하게 되고, 적재하고자 하는 위치까지 상승하게 되면, 적재 프레임(133)이 적재부(105)를 향하여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적재 프레임(133)은 상기 이동 프레임(130)과는 분리된 채로 이동 프레임(130) 상에서 전후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이동 프레임(130)은 상기 적재 프레임(133)과 함께 이동 가능하다. 상기 이동 프레임(130)은 상기 적재 프레임(133)의 하부에 배치되고 위에서 바라볼 때 상기 적재 프레임(133)의 외곽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이동 프레임(130)의 이동 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하여 상기 이동 프레임(131)과 베이스부재(106)가 동시에 이동한다. 예를 들면, 도 1은 입출고장치(100)가 작동하고 있지 않은 상태로 최초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이동 프레임(130), 베이스부재(106)가 가장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후,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품을 적재부(105)에 적재하기 위하여 베이스부재(106)가 좌우측으로 이동하고, 이동 프레임(131)이 상승한다. 이때는 좌우로 이동과 위로 이동하는 것의 조합인데, 베이스부재(106)가 좌로 이동한 후 이동 프레임(131)이 위로 이동할 수 있으며, 이동 프레임(131)이 먼저 위로 상승한 후 베이스부재(106)가 좌측으로 이동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이동 순서를 정하여 순서대로 한 단계가 완료된 이후에 다른 단계를 작동시키게 되면, 보다 더 많은 시간이 소요되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이동 프레임(131)과 베이스부재(106)가 동시에 이동가능하도록 하였다.
상기 이송부(150)는 상면이 넙적한 다수의 세그먼트(미도시)들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적재 프레임(133)이 안착된 채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일반적으로는 물품이 안착된 적재 프레임(133)이 상기 세그먼트들에 직접 접촉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적재 프레임(133)은 이송부(150)에 안착되어 이송되거나 이동 프레임(130)에 놓여진 상태로 이송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제한부(140) 주변의 사시도인데,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적재 프레임(133)의 이동을 제한하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이동 제한부(140)는 상기 이동 프레임(130)에 구비되는 피스톤(144)과, 상기 피스톤(144)에 체결되어 상기 적재 프레임(133)의 근접 여부를 감지하는 리미트 센서(141)(limit sensor)와, 일측은 상기 피스톤(144)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이동 프레임(130)으로부터 이송부(150)를 따라 형성되는 제1 링크(146)와, 일 단부는 상기 이동 프레임(130)에 고정되고 타 단부는 상기 제1 링크(146)와 연결축(147)을 통해 연결되는 제2 링크(148)와, 상기 이송부(150)에 구비되고 상기 제1 링크(146)가 걸림되어 상기 제1 링크(146)가 상기 연결축(147)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받침대(15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받침대(151)는 바(bar) 형상이며, 반드시 이송부(150)에 형성될 필요는 없고, 고정된 부위에 형성되면 충분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이송부(150)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받침대(151)를 이송부(150)에 형성하였다.
이때, 상기 받침대(151)를 중심으로 상기 제1 링크(146)가 연결축(147)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며, 상기 제1 링크(146)의 단부에 구비되는 리미트 센서(141)의 위치가 상하 이동하게 된다. 즉, 상기 연결축(147)이 회전 중심이 된다. 이는 지렛대의 원리와 유사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리미트 센서(141)의 위치가 높은 곳에 있어 적재 프레임(133)의 이동을 제한하는 상태를 제1 상태라 칭하고, 상기 리미트 센서(141)가 낮은 곳에 있는 상태를 제2 상태라 칭하기로 한다.
도 3 및 도 5는 제2 상태에서의 이동 제한부(140) 주변을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제1 상태에서의 이동 제한부(140) 주변을 도시한 것으로 도 4는 적재 프레임(133)이 리미트 센서(141)를 향하여 이동하고 있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리미트 센서(141)는 상기 적재 프레임(133)이 근접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신호를 전달함으로써 이송부(150)의 작동을 멈추게 하여 적재 프레임(133)이 더 이상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리미트 센서(141)의 높이를 가변시키는데 이는 상기 리미트 센서(141)의 위치가 높은 곳에 위치하게 되면 적재부(105)에 있는 물품을 외부로 반출시에 리미트 센서(141)에 걸려 적재 프레임(133)이 이동 프레임(130)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되기 때문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적재 프레임(133)이 이송부(150)에 안착된 상태로 적재부(105)를 향하여 이송부(150)를 구동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적재 프레임(133)의 이동을 제한할 필요가 있으므로 상기 리미트 센서(141)를 보다 높은 위치 즉, 상기 적재 프레임(133)에 대응되는 높이에 위치시켜야 한다. 반면, 이송부(150)에 의한 적재 프레임(133)의 이송을 하지 않는 경우, 일예로 상기 적재 프레임(133)이 이동 프레임(130)에 놓여져 이송되는 경우에는 리미트 센서(141)는 필요하지 않으므로 상기 리미트 센서(141)의 위치는 중요하지 않다. 다만, 이때는 상기 이동 프레임(130)의 이동에 의해 리미트 센서(141)가 보다 낮은 위치로 위치하게 된다. 상기 리미트 센서(141)의 위치 변경은 상기 이동 프레임(130)의 승강에 의해 자동으로 이루어진다. 일예로 상기 이동 프레임(130)이 하강하는 경우에는 일정 높이까지는 상기 리미트 센서(141)의 상기 이동 프레임(130)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 변화는 없고, 더욱 하강하면 상기 적재 프레임(133)이 이송부(150)에 안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 링크(146)가 받침대(150)에 걸림되게 되면 상기 리미트 센서(141)가 상기 이동 프레임(130)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승하게 되고, 만약 다시 상기 이동 프레임(130)이 상승하게 되면 상기 리미트 센서(141)는 하강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1 링크(146)의 단부에는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축(147)이 수평 방향 또는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장공(146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장공(146a) 내에서 연결축(147)이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1 링크(146)가 제약없이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피스톤(144)은 실린더(145) 내부에 구비되어 상하 이동하고 상기 실린더(145)의 내부에는 상기 피스톤(144)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미도시)가 구비되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피스톤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피스톤(144)이 아래로 향하도록 한다. 즉, 제2 상태에서는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피스톤(144)이 아래로 향하도록 탄성력이 작용하고 있으며, 제1 상태에서는 상기 제1 링크(146)가 받침대(151)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피스톤(144)이 상기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위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피스톤(144)에 결합되어 있던 리미트 센서(141)가 상기 피스톤(144)과 함께 위로 이동한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입출고장치, 101: 하부 레일, 102: 상부 레일, 105: 적재부, 106: 베이스부재, 110: 수직 포스트, 120: 연결부, 130: 이동 프레임, 133 적재 프레임, 140: 이동 제한부, 141: 리미트 센서, 144: 피스톤, 145: 실린더, 146: 제1 링크, 146a: 장공, 147: 연결축, 148: 제2 링크, 150: 이송부, 151: 받침대

Claims (4)

  1. 일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수직 포스트;
    상기 한 쌍의 수직 포스트의 상측에 형성되어 한 쌍의 수직 포스트를 연결하며 횡으로 형성되는 연결부;
    상기 수직 포스트의 사이에 형성되어 수직 포스트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 프레임;
    상기 이동 프레임과 분리 형성되고 적재된 것을 이송하며 상기 이동 프레임과 중첩되지 않는 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이동 프레임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상대 이동하며 상기 수직 포스트 및 연결부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이송부;
    상기 이동 프레임 또는 이송부에 선택적으로 접촉되어 이송되는 적재 프레임; 및
    상기 이동 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이송부를 통해 이송되는 적재 프레임의 접근을 감지하여 적재 프레임의 이동을 제한하는 이동 제한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제한부는,
    상기 이동 프레임에 구비되는 피스톤;
    상기 피스톤에 체결되어 상기 적재 프레임의 근접 여부를 감지하는 리미트 센서(limit sensor);
    일측은 상기 피스톤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이동 프레임으로부터 이송부를 따라 형성되는 제1 링크;
    일 단부는 상기 이동 프레임에 고정되고 타 단부는 상기 제1 링크와 연결축을 통해 연결되는 제2 링크; 및
    상기 이송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1 링크가 걸림되어 상기 제1 링크가 상기 연결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받침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링크의 단부에는 상기 연결축이 이동 가능하도록 장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은 실린더 내부에 구비되어 상하 이동하고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는 상기 피스톤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피스톤이 아래로 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
KR1020190073309A 2019-06-20 2019-06-20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 KR1022120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3309A KR102212047B1 (ko) 2019-06-20 2019-06-20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3309A KR102212047B1 (ko) 2019-06-20 2019-06-20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4990A KR20200144990A (ko) 2020-12-30
KR102212047B1 true KR102212047B1 (ko) 2021-02-03

Family

ID=74087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3309A KR102212047B1 (ko) 2019-06-20 2019-06-20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204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20907A (ja) 2000-10-16 2002-04-23 Itoki Crebio Corp 自動倉庫の地レール装置
JP2004293565A (ja) * 2003-03-25 2004-10-21 Toyota Industries Corp ボルト締結構造
JP2012062152A (ja) 2010-09-15 2012-03-29 Murata Machinery Ltd スタッカクレーン
KR101965209B1 (ko) * 2017-10-10 2019-04-03 심명순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
KR101983828B1 (ko) * 2018-12-28 2019-05-29 최형식 물류 자동화 창고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86912B2 (ja) * 1995-02-17 2003-03-17 日本輸送機株式会社 スタッカクレーンのレール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20907A (ja) 2000-10-16 2002-04-23 Itoki Crebio Corp 自動倉庫の地レール装置
JP2004293565A (ja) * 2003-03-25 2004-10-21 Toyota Industries Corp ボルト締結構造
JP2012062152A (ja) 2010-09-15 2012-03-29 Murata Machinery Ltd スタッカクレーン
KR101965209B1 (ko) * 2017-10-10 2019-04-03 심명순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
KR101983828B1 (ko) * 2018-12-28 2019-05-29 최형식 물류 자동화 창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4990A (ko) 2020-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477217B (zh) 物品搬运设备
JP6256702B2 (ja) 物品搬送用容器昇降搬送装置
KR101087251B1 (ko) 팔레트 오토 체인저
US20150321845A1 (en) Transfer device
KR102441880B1 (ko) 컨테이너 승강 반송 장치
KR102631952B1 (ko) 반송 시스템
US20220041412A1 (en) Automatic loading system for vehicles
KR101965209B1 (ko)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
JP2022116803A (ja) パレット検査装置
KR102212047B1 (ko)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
JPH04333418A (ja) トレーへの荷積み卸し設備
JP2017030884A (ja) パレット分離設備
KR20210027253A (ko) 물품 반송용 용기의 승강 반송 장치
KR101992015B1 (ko)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
JP2019014583A (ja) 搬送車システム
KR101324272B1 (ko) 화물 버퍼
JP5376248B2 (ja) 荷受台
JP6597564B2 (ja) 物品搬送設備
CN218201049U (zh) 物料拣选系统
JP7314924B2 (ja) 物品収容設備
JP6135402B2 (ja) 搬送装置及び搬送設備
JP2019135185A (ja) 自動倉庫システム
EP4296200A1 (en) Article storage facility
JP7302586B2 (ja) 物品収容設備
KR102072848B1 (ko)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