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4272B1 - 화물 버퍼 - Google Patents

화물 버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4272B1
KR101324272B1 KR1020130002283A KR20130002283A KR101324272B1 KR 101324272 B1 KR101324272 B1 KR 101324272B1 KR 1020130002283 A KR1020130002283 A KR 1020130002283A KR 20130002283 A KR20130002283 A KR 20130002283A KR 101324272 B1 KR101324272 B1 KR 1013242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go
conveyor
motor
sprocket
horizontal convey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22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병석
최세경
Original Assignee
(주)덕평물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덕평물류 filed Critical (주)덕평물류
Priority to KR10201300022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42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42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42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B65G47/53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between conveyors which cross one another
    • B65G47/54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between conveyors which cross one another at least one of which is a roller-w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0093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o-operating with conveyor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65G13/02Roller-ways having driven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02Belt- or chain-engaging elements
    • B65G23/04Drums, rollers, or wheels
    • B65G23/08Drums, rollers, or wheels with self-contained driving mechanisms, e.g. motors and associated gea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B65G47/68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adapted to receive articles arriving in one layer from one conveyor lane and to transfer them in individual layers to more than one conveyor lane or to one broader conveyor lane, or vice versa, e.g. combining the flows of articles conveyed by more than one conveyor
    • B65G47/69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adapted to receive articles arriving in one layer from one conveyor lane and to transfer them in individual layers to more than one conveyor lane or to one broader conveyor lane, or vice versa, e.g. combining the flows of articles conveyed by more than one conveyor the articles being accumulated temporari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08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transported articles
    • B65G2203/0233Position of the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009Common features for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089Driv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Control Of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물 이송 라인에서 제외되어야 하는 화물을 자동으로 화물 이송 라인으로부터 빼내어 임시로 보관하도록 한 화물 버퍼에 관한 것으로, 화물 이송 라인을 형성하는 다수 개의 롤러와 상기 롤러 사이에 형성된 다수 개의 공간부를 구비하며, 상기 화물 이송 라인을 따라 화물을 이송하는 수평 컨베이어; 상기 수평 컨베이어의 각 공간부에 이송부를 각각 구비시켜, 상기 수평 컨베이어의 롤러에 의해 이송되는 화물에 대해 방향을 전환시켜 이송하는 디버팅 컨베이어; 및 상기 디버팅 컨베이어에 의해 방향 전환된 화물을 이송받아 임시 보관하도록 하는 게이트 컨베이어를 포함함으로써, 적재 이상 화물 및 화물 적체 우려 시에도 화물 이송 라인의 정지 없이 처리할 수 있다.

Description

화물 버퍼{CARGO BUFFER}
본 발명은 화물 버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물 이송 라인에서 제외되어야 하는 화물을 자동으로 화물 이송 라인으로부터 빼내어 임시로 보관하도록 한 화물 버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물 이송 및 적재 시스템은 화물을 컨베이어와 같은 이송 장치를 통해 외부로 이송시켜 화물 운반을 위해 차량에 적재하거나, 또는 보관을 위해 창고에 적재하도록 한다. 또한, 화물을 적재하기 위해서 팔레트를 이용하여 팔레트에 적정 수량의 화물을 올려 파렛타이저(Palletizer)에 의해 화물을 파렛트화하여 적재하도록 한다.
한편, 한국등록특허 제10-0953012호는 소량 또는 대량의 화물을 개별적으로 분류하여 적재하거나 반출 가능하게 구성되는 화물 분류 적재용 화물 적재장치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는데, 화물 적재 영역의 통로에 배치된 이송레일을 따라 화물 적재 영역과 화물이 이송되는 컨베이어 영역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고, 사각의 프레임 구조로 내측 길이 방향을 따라 이송레일이 구비되는 수평 이송부와; 수평 이송부에 구비되는 이송레일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사각의 프레임 구조로 내측 길이 방향을 따라 이송레일이 구비되는 수직 이송부와; 수직 이송부의 각 이송레일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통로를 따라 좌측과 우측으로 배치되는 화물 적재영역으로 적재 또는 반출을 위해 화물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송하는 한 쌍의 적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화물이 소량 또는 대량인 경우에도 팔레트를 이용하지 않고서도 화물을 적재하거나 반출할 수 있으며, 화물의 종류가 다른 소량의 화물을 분류하여 적재하거나 반출할 수 있으며, 이송통로의 양측으로 배치된 화물을 종류에 구애 받지 않고 분류하여 적재하거나 반출할 수 있으며, 또한 화물의 적재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그리고 한국공개특허 제10-2001-0108045호는 물류의 반송에 있어서의 화물의 자세 및 위치 제어에 적합한 컨베이어 장치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개시된 기술에 의하면, 컨베이어 장치로서, 복수 개의 컨베이어 서브 유닛이 연결되어 형성되는 주 반송부와, 주 반송부 구동 수단을 갖고, 각 컨베이어 서브 유닛은 각각 부 반송부와, 부 반송부를 정역으로 구동하기 위한 부 반송부 구동 수단과, 제어 지시 장치와의 통신 수단을 갖고, 각 부 반송부의 반송 방향이 주 반송부의 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함으로써, 화물의 주 반송 방향과 직교하여 화물을 임의의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고, 또한 임의의 자세로의 보유 지지, 혹은 변경할 수도 있으며, 물류 시스템을 구축할 때에 사용하는 물류 기기의 종류를 줄일 수 있어 고속화에 의한 장치 자신의 크기를 크게 할 필요도 없으며, 시스템의 구성을 변경할 때에도 유연하면서 또한 용이하게 대응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비용 저감을 실현할 수 있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화물 이송 및 적재 시스템은, 적재된 화물을 목적지에 이송 및 적재하기 위해서 단순히 컨베이어를 따라서 화물을 무조건 목적지까지 이송하는 역할을 수행하므로, 화물의 적재 상태에 이상이 있는 경우에도 어쩔 수 없이 목적지까지 이송해야 하는 단점이 있었으며, 아니면 적재 상태가 이상한 화물을 중간에서 빼내기 위해서는 화물 이송 라인을 잠시 멈추어야 하는 단점도 있었다.
또한, 종래의 화물 이송 및 적재 시스템은, 화물 이송 라인에 화물이 많아 화물 적체가 우려되는 경우에도 전체 화물 이송 시스템을 정지시켜 화물 적체를 해결한 후에 다시 가동해야 하는 단점도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953012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01-0108045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화물 이송 라인에서 제외되어야 하는 화물을 자동으로 화물 이송 라인으로부터 빼내어 임시로 보관하도록 한 화물 버퍼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화물 버퍼는, 화물 이송 라인을 형성하는 다수 개의 롤러와 상기 롤러 사이에 형성된 다수 개의 공간부를 구비하며, 상기 화물 이송 라인을 따라 화물을 이송하는 수평 컨베이어; 상기 수평 컨베이어의 각 공간부에 이송부를 각각 구비시켜, 상기 수평 컨베이어의 롤러에 의해 이송되는 화물에 대해 방향을 전환시켜 이송하는 디버팅 컨베이어; 및 상기 디버팅 컨베이어에 의해 방향 전환된 화물을 이송받아 임시 보관하도록 하는 게이트 컨베이어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평 컨베이어는, 상용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 구동하는 모터; 상기 모터의 축에 연결되어 상기 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 구동하는 모터 풀리; 상기 모터 풀리의 회전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 구동하는 메인 롤러와, 상기 메인 롤러의 회전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 구동하는 프리 롤러를 구비하여 화물 이송 라인을 형성시켜 화물을 이송하기 위한 다수 개의 롤러; 상기 롤러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수평 컨베이어의 이송부가 작동하도록 하기 위한 다수 개의 공간부; 및 상기 모터 풀리와 상기 메인 롤러 간의 연결, 그리고 상기 메인 롤러와 상기 프리 롤러 간의 연결을 형성시켜 주는 벨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디버팅 컨베이어는, 상기 화물 이송 라인에서 제외할 화물이 상기 수평 컨베이어의 공간부에 위치할 때에 상승하여, 화물을 들어올린 후에 상기 게이트 컨베이어로 이송시켜 주는 이송부; 및 상기 화물 이송 라인에서 제외할 화물이 상기 수평 컨베이어의 공간부에 위치할 때에 상기 이송부를 상승시켜 주기 위한 상하 운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이송부는, 상용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 구동하는 모터; 상기 모터의 축에 연결되어 상기 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 구동하는 모터 스프로킷; 상기 모터 스프로킷의 회전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 구동하는 드라이브 스프로킷; 및 상기 모터 스프로킷과 상기 드라이브 스프로킷 간의 연결을 형성시켜, 상기 화물 이송 라인에서 제외할 화물을 상기 게이트 컨베이어로 이송하는 드라이브 체인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게이트 컨베이어는, 상용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 구동하는 모터; 상기 모터의 축에 연결되어 상기 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 구동하는 모터 스프로킷; 상기 모터 스프로킷의 회전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 구동하는 드라이브 스프로킷; 및 상기 모터 스프로킷과 상기 드라이브 스프로킷 간의 연결을 형성시켜, 디버팅 컨베이어로부터 이송되는 화물을 이송받아 임시 적치하는 드라이브 체인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게이트 컨베이어는, 상기 화물의 임시 적치가 불필요한 경우에 상기 게이트 컨베이어를 세워 주기 위한 세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화물 버퍼는, 상기 화물의 부피를 측정하는 상태 측정 센서부; 및 상기 상태 측정 센서부에서 측정한 화물의 부피 정보와 상기 화물의 원래 부피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화물의 짐 상태를 파악하며, 상기 화물 이송 라인에서 제외되어야 하는 이상 화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이상 화물이 상기 수평 컨베이어의 공간부에 위치할 때를 감지하고, 상기 디버팅 컨베이어 및 상기 게이트 컨베이어의 구동을 제어하여 상기 이상 화물을 임시 적치시켜 주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태 측정 센서부에서 측정한 화물의 부피 정보와 상기 화물의 원래 부피 정보 간의 차이점을 체크하고, 해당 체크된 차이점이 허용 오차 범위 이상인 경우에 상기 화물 이송 라인에서 제외되어야 하는 이상 화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화물 버퍼는, 상기 화물 이송 라인에 이송되는 화물의 개수를 카운팅하고, 해당 카운팅된 화물 개수와 미리 설정해 둔 화물의 적정 개수를 비교하여 동일한 경우에, 화물 적체가 우려되는 경우로 판단하여 상기 디버팅 컨베이어 및 상기 게이트 컨베이어의 구동을 제어하여 상기 화물을 임시 적치시켜 주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화물 버퍼는, 상기 화물에 부착된 바코드를 판독하는 정보 확인부; 및 상기 정보 확인부에서 판독한 바코드 정보에 대응하는 화물 관련 정보를 파악하고, 해당 파악된 화물 관련 정보에 따라 상기 수평 컨베이어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 버퍼는, 화물 이송 라인에서 제외되어야 하는 화물을 자동으로 화물 이송 라인으로부터 빼내어 임시로 보관하도록 함으로써, 화물 이송 라인의 정지 없이 적재 이상 등의 이유가 발생한 화물에 대해서 화물 이송 라인으로부터 빼내어 처리할 수 있도록 해 주며, 또한 화물 이송 라인에 화물이 많아 화물 적체가 우려되는 경우에도 화물을 임시로 보관하도록 함으로써, 화물 적체로 인하여 전체 화물 이송 및 적재 시스템의 정지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 버퍼를 설명하는 구성 평면도이다.
도 2a는 도 1에 있는 수평 컨베이어를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도 2b는 도 1에 있는 수평 컨베이어를 설명하는 측면도이다.
도 3a는 도 1에 있는 디버팅 컨베이어를 설명하는 정면도이다.
도 3b는 도 1에 있는 디버팅 컨베이어를 설명하는 측면도이다.
도 4a는 도 1에 있는 게이트 컨베이어의 설치를 예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b는 도 1에 있는 게이트 컨베이어를 설명하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 버퍼를 설명하는 구성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 버퍼는, 화물 이송 및 적재 시스템에 있어서 파렛타이저에 의해 파렛트화된 화물의 이송을 위한 주변 장치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데, 가변형 구조를 가지며, 적재 이상 등의 이유로 화물 이송 라인에서 제외되어야 하는 화물을 해당 화물 이송 라인으로부터 빼내어 임시로 보관하도록 하며, 또한 해당 화물 이송 라인에 화물이 많아 화물 적체가 우려되는 경우에도 화물을 임시로 보관하여 화물 적체로 인하여 물류 작업과 전체 화물 이송 및 적재 시스템의 정지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 버퍼를 설명하는 구성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 버퍼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컨베이어(100), 디버팅 컨베이어(Diverting Conveyor)(200), 다수 개의 게이트 컨베이어(Gate Conveyor)(301, 302)를 포함한다.
수평 컨베이어(100)는, 화물을 이송하는 통과용 컨베이어로서, 화물 버퍼의 기본 뼈대가 되는 컨베이어 베이스 프레임(Conveyor Base Frame)에 화물 이송 라인을 형성하는 다수 개의 롤러(110)를 구비하여, 다수 개의 롤러(110)에 의해 형성된 화물 이송 라인을 따라 파렛타이저에 의해 파렛트화된 화물을 이송하도록 한다. 또한, 수평 컨베이어(100)는, 롤러(110) 사이에 다수 개의 공간부(120)를 두어, 해당 공간부(120) 내에 디버팅 컨베이어(200)의 이송부(210)가 작동되도록 해 준다.
디버팅 컨베이어(200)는, 화물의 방향을 전환하는 이재 컨베이어로서, 수평 컨베이어(100)의 롤러(110) 사이에 형성된 다수 개의 공간부(120)에 다수 개의 이송부(210)를 구비시켜, 수평 컨베이어(100)의 롤러(110)에 의해 이송되는 화물에 대해 방향을 전환시켜 게이트 컨베이어(301, 302)로 이송하도록 한다. 여기서, 디버팅 컨베이어(200)는, 상하로 섭동하는 방식을 통해 화물의 방향을 전후에서 좌우로 변경시켜 이송하도록 한다.
게이트 컨베이어(301, 302)는, 화물을 임시 보관하는 적치용 컨베이어로서, 수평 컨베이어(100)(즉, 수평 컨베이어(100)의 공간부(120)가 있는 위치)의 측면에 위치하고 디버팅 컨베이어(200)의 구동과 연결되어 작동되도록 형성되는데, 디버팅 컨베이어(200)에 의해 방향 전환되어 이송되는 화물(즉, 화물 이송 라인에서 제외된 화물)을 이송받아 임시 보관하도록 한다.
도 2a는 도 1에 있는 수평 컨베이어를 설명하는 평면도이고, 도 2b는 도 1에 있는 수평 컨베이어를 설명하는 측면도이다.
수평 컨베이어(100)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렛트화된 화물을 이송하기 위한 다수 개의 롤러(Roller)(110)와, 해당 롤러(110) 사이에 형성되고 수평 컨베이어(200)의 이송부(210)가 작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다수 개의 공간부(120)를 확보해 두고 있다. 여기서, 해당 공간부(120)에는 롤러(110)가 존재하지 않는다.
그리고 해당 공간부(120)는, 화물 이송 라인에서 제외할 화물을 양 옆(게이트 컨베이어(301, 302))으로 빼내기 위해서, 디버팅 컨베이어(200)가 동작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해당 공간부(120)에서 화물의 방향을 90도로 전환시키기 위해서, 디버팅 컨베이어(200)의 이송부(210)가 동작할 수 있도록 해당 공간부(120)에 형성된다.
그리고 수평 컨베이어(100)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Motor)(130), 모터 풀리(Motor Pulley)(140), 다수 개의 벨트(151, 152)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수평 컨베이어(100)의 롤러(110)는 두 개의 메인 롤러(111), 다수 개의 프리 롤러(112)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메인 롤러(111)는, 제1벨트(151)에 의해 모터 풀리(140)에 연결되고 제2벨트(152)에 의해 프리 롤러(112)에 연결되어 있으며, 모터 풀리(140)의 회전 구동력을 제1벨트(151)를 통해 전달받아 회전 구동하며, 해당 회전 구동에 의해 발생되는 회전 구동력을 제2벨트(152)를 통해 프리 롤러(112)로 전달해 준다.
프리 롤러(112)는, 제2벨트(152)에 의해 메인 롤러(111)에 연결되어 있으며, 메인 롤러(111)의 회전 구동력을 제2벨트(152)를 통해 전달받아 회전 구동하여, 화물 이송 라인을 따라 파렛타이저에 의해 파렛트화된 화물을 이송해 준다.
모터(130)는, 축에 모터 풀리(140)를 설치 형성하도록 하며, 상용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 구동하여 발생되는 회전력을 모터 풀리(140)에 전달해 준다.
모터 풀리(140)는, 모터(130)의 축에 연결되어 있고 제1벨트(151)에 의해 메인 롤러(111)에 연결되어 있으며, 모터(130)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 구동하며, 해당 회전 구동에 의해 발생되는 회전 구동력을 제1벨트(151)를 통해 메인 롤러(111)에 전달해 준다.
벨트(151, 152)는, 모터 풀리(14)와 메인 롤러(111) 간의 연결, 그리고 메인 롤러(111)와 프리 롤러(112) 간의 연결을 형성시켜 준다. 즉, 제1벨트(151)는 모터 풀리(140)의 회전 구동력을 메인 롤러(111)에 연결시켜 모터 풀리(140)의 회전 구동에 의해 메인 롤러(111)를 회전하도록 해 주며, 제2벨트(152)는 메인 롤러(111)의 회전 구동력을 프리 롤러(112)에 연결시켜 메인 롤러(111)의 회전 구동에 의해 프리 롤러(112)를 회전하도록 해 준다.
도 3a는 도 1에 있는 디버팅 컨베이어를 설명하는 정면도이고, 도 3b는 도 1에 있는 디버팅 컨베이어를 설명하는 측면도이다.
디버팅 컨베이어(200)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컨베이어(100)의 공간부(120) 내에 형성되는 다수 개의 이송부(210), 해당 이송부(210)를 상하 이동시켜 주기 위한 상하 운동부(2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하 운동부(220)는, 화물 이송 라인에서 제외할 화물이 수평 컨베이어(100)에 존재할 경우에 화물의 방향 전환 이송(즉, 90도 전환 이송)을 위해서, 화물 이송 라인에서 제외할 화물이 수평 컨베이어(100)의 공간부(120)에 위치하는 경우에 이송부(210)를 상승시켜 주며, 이송부(210)는 상하 운동부(220)에 의해 상승되어 수평 컨베이어(100)의 공간부(120)에 위치한 화물을 들어올린 후에 해당 들어올린 화물을 게이트 컨베이어(301, 302)로 이송하여, 화물 이송 라인에서 해당 화물을 빼내도록 한다.
그리고 이송부(210)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211), 모터 스프로킷(Motor Sprocket)(212), 다수 개의 드라이브 스프로킷(Drive Sprocket)(213), 드라이브 체인(Drive Chain)(214)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모터(211)는, 축에 모터 스프로킷(212)을 설치 형성하도록 하며, 상용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 구동하여 발생되는 회전력을 모터 스프로킷(212)에 전달해 준다.
모터 스프로킷(212)은, 모터(211)의 축에 연결되어 있고 드라이브 체인(214)에 의해 드라이브 스프로킷(213)에 연결되어 있으며, 모터(211)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 구동하며, 해당 회전 구동에 의해 발생되는 회전 구동력을 드라이브 체인(214)을 통해 드라이브 스프로킷(213)에 전달해 준다.
드라이브 스프로킷(213)은, 드라이브 체인(214)에 의해 모터 스프로킷(212)에 연결되어 있으며, 모터 스프로킷(212)의 회전 구동력을 드라이브 체인(214)을 통해 전달받아 회전 구동하도록 한다.
드라이브 체인(214)은, 모터 스프로킷(212)과 드라이브 스프로킷(213) 간의 연결을 형성시켜 주는데, 모터 스프로킷(212)의 회전 구동력을 드라이브 스프로킷(213)에 연결시켜 드라이브 스프로킷(213)의 회전 구동에 따라 작동하여, 수평 컨베이어(100)의 롤러(110)에 의해 이송되는 화물에 대해 방향을 전환시켜 게이트 컨베이어(301, 302)로 이송해 준다.
도 4a는 도 1에 있는 게이트 컨베이어의 설치를 예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b는 도 1에 있는 게이트 컨베이어를 설명하는 측면도이다.
게이트 컨베이어(301, 302)는, 화물 이송 라인에서 제외된 화물을 디버팅 컨베이어(200)로부터 이송받아 임시 적치시켜 주도록 하는데,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이트 컨베이어(301, 302)를 세워 주기 위한 세움부재(3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이때 세움부재(310)에 의해서 불필요한 경우에 오른쪽 그림의 게이트 컨베이어(302)와 같이 세울 수 있으며, 필요 시에 왼쪽 그림의 게이트 컨베이어(301)와 같이 설치되어 동작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게이트 컨베이어(301, 302)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320), 모터 스프로킷(330), 다수 개의 드라이브 스프로킷(340), 드라이브 체인(35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모터(320)는, 축에 모터 스프로킷(330)을 설치 형성하도록 하며, 상용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 구동하여 발생되는 회전력을 모터 스프로킷(330)에 전달해 준다.
모터 스프로킷(330)은, 모터(320)의 축에 연결되어 있고 드라이브 체인(350)에 의해 드라이브 스프로킷(340)에 연결되어 있으며, 모터(320)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 구동하며, 해당 회전 구동에 의해 발생되는 회전 구동력을 드라이브 체인(350)을 통해 드라이브 스프로킷(340)에 전달해 준다.
드라이브 스프로킷(340)은, 드라이브 체인(350)에 의해 모터 스프로킷(330)에 연결되어 있으며, 모터 스프로킷(330)의 회전 구동력을 드라이브 체인(350)을 통해 전달받아 회전 구동하도록 한다.
드라이브 체인(350)은, 모터 스프로킷(330)과 드라이브 스프로킷(340) 간의 연결을 형성시켜 주는데, 모터 스프로킷(330)의 회전 구동력을 드라이브 스프로킷(340)에 연결시켜 드라이브 스프로킷(340)의 회전 구동에 따라 작동하여, 디버팅 컨베이어(200)로부터 이송되는 화물을 이송시켜 임시 적치해 준다.
그리고 세움부재(310)는, 제1연결부재와 제2연결부재로 이루어지는데, 컨베이어 베이스 프레임의 일 측에 고정된 두 개의 제1다리에 일 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형성된 제1연결부재의 다른 측이, 컨베이어 베이스 프레임의 다른 측에 회동 가능하게 형성된 두 개의 제2다리에 회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또한 제1다리와 제1연결부재 간의 회동 부위에 일 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형성된 제2연결부재의 다른 측이, 컨베이어 베이스 프레임의 일 측과 다른 측 사이의 측면에 회동 가능하도록 형성됨으로써, 게이트 컨베이어(302)를 세웠을 때에 제2다리가 회동되어 접히면서 오른쪽 그림의 게이트 컨베이어(302)와 같이 세울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 버퍼를 설명하는 구성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 버퍼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컨베이어(100), 디버팅 컨베이어(200), 다수 개의 게이트 컨베이어(301, 302), 상태 측정 센서부(501), 정보 확인부(502), 제어부(503), 메모리부(50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수평 컨베이어(100), 디버팅 컨베이어(200) 및 게이트 컨베이어(301, 302)는, 제어부(503)의 구동 제어에 따라 작동하도록 한다. 특히, 디버팅 컨베이어(200) 및 게이트 컨베이어(301, 302)는, 적재 이상 등의 이유로 화물 이송 라인에서 제외되어야 하는 이상 화물인 경우나, 화물 이송 라인에 화물이 많아 화물 적체가 우려되는 경우에, 제어부(503)의 구동 제어에 따라 작동하여, 화물 이송 라인에서 제외할 이상 화물을 임시 적치해 준다.
상태 측정 센서부(501)는, 수평 컨베이어(100)에서 수평으로 이송되는 파렛트 화물(또는, 박스 화물)의 부피(체적)를 측정하고, 해당 측정된 부피(체적) 정보를 제어부(503)에 입력해 준다. 이때, 상태 측정 센서부(501)는, 파렛트 화물(또는, 박스 화물)의 부피 측정에서 요구하는 요구사항의 정도에 따라 레이저 센서 또는 카메라 센서를 택할 수 있는데, 즉 화물 부피의 정확도, 측정 속도 등을 설정하고 해당 설정에 적합한 센서를 채택하도록 한다. 여기서, 레이저 센서의 경우에, 카메라 센서보다 하드웨어적으로 간단하고 응답시간이 빨라 소프트웨어 처리 시간이 매우 빠르며, 주변 밝기 변화에 둔감하다. 또한, 카메라 센서의 경우에, 3차원 형상을 측정함에 있어 레이저 센서보다 가격이 저렴하며, 랩핑된 화물에 대해서도 레이저 센서보다 반사가 덜하여 측정하기 쉽다.
정보 확인부(502)는, 수평 컨베이어(100)에서 수평으로 이송되는 파렛트 화물(또는, 박스 화물)에 부착된 바코드를 판독하고, 해당 판독한 바코드 정보를 제어부(503)에 입력해 준다.
제어부(503)는, 상태 측정 센서부(501)에서 측정한 파렛트 화물(또는, 박스 화물)의 부피(체적) 정보를 입력받고, 파렛트 화물(또는, 박스 화물)의 원래 부피(체적)에 대한 정보를 메모리부(504)로부터 판독한 후에, 상태 측정 센서부(501)로부터 입력받은 파렛트 화물(또는, 박스 화물)의 부피(체적) 정보를 메모리부(504)로부터 판독한 원래 부피 정보와 서로 비교하여 파렛트 화물(또는, 박스 화물)의 짐 상태를 파악하는데, 이때 상태 측정 센서부(501)로부터 입력받은 파렛트 화물(또는, 박스 화물)의 부피(체적) 정보와 메모리부(504)로부터 판독한 원래 부피 정보 간의 차이점을 체크하여 파렛트 화물(또는, 박스 화물)의 짐 상태(즉, 파렛트 화물(또는, 박스 화물)의 적재 상태 및 랩핑 상태 등에 관한 짐 상태)를 파악하도록 한다.
그리고 제어부(503)는, 파렛트 화물(또는, 박스 화물)의 짐 상태(즉, 파렛트 화물(또는, 박스 화물)의 적재 상태 및 랩핑 상태 등에 관한 짐 상태)를 파악한 결과로 화물 이송 라인에서 제외되어야 하는 이상 화물로 판단되는 경우, 즉 상태 측정 센서부(501)로부터 입력받은 파렛트 화물(또는, 박스 화물)의 부피(체적) 정보와 메모리부(504)로부터 판독한 원래 부피 정보 간의 차이점이 허용 오차 범위 이상인 경우, 화물 이송 라인에서 제외할 이상 화물이 수평 컨베이어(100)의 공간부(120)에 위치할 때에, 이를 감지하여 디버팅 컨베이어(200) 및 게이트 컨베이어(301, 302)의 구동을 제어하여 화물 이송 라인에서 제외할 이상 화물을 임시 적치하도록 한다. 이때, 제어부(503)는, 수평 컨베이어(100)의 공간부(120)에 설치해 준 적외선 센서 등과 같은 센서를 이용하여 화물 이송 라인에서 제외할 이상 화물이 수평 컨베이어(100)의 공간부(120)에 위치하는 경우를 감지할 수 있다.
다르게는, 제어부(503)는, 화물 이송 라인에 이송할 화물의 적정 개수를 미리 설정해 두고, 화물 이송 라인에 이송되는 화물의 개수를 카운팅하고, 해당 카운팅된 화물 개수와 미리 설정해 둔 화물의 적정 개수를 비교하며, 해당 카운팅된 화물 개수가 미리 설정해 둔 화물의 적정 개수와 같아져 화물 이송 라인에 화물이 많아 화물 적체가 우려되는 경우를 확인하여, 화물 적체가 해소될 때까지 화물을 임시 적치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제어부(503)는, 수평 컨베이어(100)에 설치해 준 적외선 센서 등과 같은 센서를 이용하여 화물의 개수를 카운팅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503)는, 경고등 또는 경고음으로 물류현장에서 바로 식별할 수 있는 이상 화물 발견 알림 기능(또는, 화물 적체 알림 기능)을 수행하거나, 또는 관련 오류 내용을 제어실 또는 작업자들에게 자동적으로 전송하거나, LCD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해 준다. 또한, 제어부(503)는, 임시 적치된 이상 화물이 기 설정된 개수 이상이 되는 경우에 임시 적치할 수 있는 화물의 한계 개수에 도달하였음을 경고등 또는 경고음으로 물류현장에서 바로 식별할 수 있도록 해 줄 수도 있다.
그리고 제어부(503)는, 정보 확인부(502)에서 판독한 바코드 정보를 입력받고, 해당 입력받은 바코드 정보에 대응하는 파렛트 화물(또는, 박스 화물)과 관련된 정보(예를 들어, 행선지 등)를 메모리부(504)로부터 판독하여 파렛트 화물(또는, 박스 화물)의 정보를 파악하는데, 이때 해당 파악된 파렛트 화물(또는, 박스 화물)의 정보에 따라 수평 컨베이어(100) 및 이송 컨베이어류의 구동을 제어하여 필요한 층(행선지)으로 이송시켜 준다.
또한 다르게는, 제어부(503)는, 메모리부(504)에 저장된 우선 순위, 예를 들어 적재 상태에 문제가 발생한 화물을 임시로 보관하는 임시 적치 기능, 화물의 이송 방향을 전후에서 좌우로 변경하는 화물 이재 기능, 임시 적치 화물이 없을 경우의 접힌 형태에서 화물을 임시 적치할 경우에 펼쳐진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도록 하는 가변형 구조 기능, 임시 적치 존에 만재 시에 작업 상황을 작업자나 관리자에게 알려주는 알림 기능, 문제 화물 검색 시에 자동으로 제어실 혹은 작업자들에게 상태를 알려주는 이상 알림 기능 순으로 제어 동작을 수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메모리부(504)는, 화물 이송 라인에 화물이 많아 화물 적체가 우려되는 경우를 판단하기 위한 화물 적정 개수, 임시 적치할 수 있는 화물의 한계 개수, 파렛트 화물(또는, 박스 화물)의 원래 부피(체적)에 대한 정보, 그리고 파렛트 화물(또는, 박스 화물)에 부착된 바코드 정보에 대응하는 파렛트 화물(또는, 박스 화물)과 관련된 정보(예를 들어, 행선지 등)를 미리 설정하여 저장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 버퍼는, 다층형 일괄 이송 지원이 가능하고 작업 정체 시에 임시 적치 및 이상 화물의 임시 적치용 컨베이어인 화물 버퍼로서, 특히 지능형 고층형 물류 센터에서 적재 상황에 문제가 있는 화물, 기타 전체 물류 시스템의 이상 발생 시에 이송 중인 화물을 일시 보관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화물의 이동 방향을 전후에서 좌우로 바꾸기 위한 체인 컨베이어에 의한 화물 방향 전환을 통한 이재 기능과 함께, 3개 이상의 파렛트들을 임시 보관하는 기능, 임시 적치 만재 시에 상황 알림 기능, 비상 시에 라인스톱 기능 등의 구조적인 제어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한다.
여기서, 화물 일시 보관 기능은, 물류 작업 및 전체 시스템의 정지 등을 방지하기 위해서 작업 진행을 조절하거나 체크된 이상 화물을 분류하여 임시 보관하도록 하며, 또한 물류 센터 내 작업 상황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화물의 수평 및 수직 이송 지체 요인에 대비하여 자동화된 임시 저장 공간을 운영하도록 한다.
그리고 알림 기능은, 화물 임시 적치의 만재 시에 만재 상황을 작업자 및 작업 관리자에게 알리기 위한 만재 상태 알림을 수행하도록 한다. 또한, 라인스톱 기능은, 임시 보관 화물 만재 시에 연결된 화물 이송 라인을 일시 정지하도록 하는 상태 만재 시 멈춤을 수행하도록 한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 버퍼의 동작을 보다 상세히 살펴본다.
먼저, 수평 컨베이어(100) 또는 이송 컨베이어류에 설치되어 있는 정보 확인부(502)에서는, 수평 컨베이어(100) 또는 이송 컨베이어류에서 수평으로 이송되는 파렛트 화물(또는, 박스 화물)에 부착된 바코드를 판독하고, 해당 판독한 바코드 정보를 제어부(503)에 입력해 주게 된다.
이에, 제어부(503)는, 정보 확인부(502)에서 판독한 바코드 정보를 입력받고, 해당 입력받은 바코드 정보에 대응하는 파렛트 화물(또는, 박스 화물)과 관련된 정보(예를 들어, 행선지 등)를 메모리부(504)로부터 판독하여 파렛트 화물(또는, 박스 화물)의 정보를 파악한 후에, 해당 파악된 파렛트 화물(또는, 박스 화물)의 정보에 따라 수평 컨베이어(100) 또는 이송 컨베이어류의 구동을 제어하여 필요한 층(행선지)으로 이송시켜 주게 된다.
이때, 수평 컨베이어(100)의 모터(130)는, 제어부(503)의 구동 제어에 따라 상용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 구동하여 발생되는 회전력을 모터(130)의 축에 연결되어 있는 수평 컨베이어(100)의 모터 풀리(140)에 전달해 주게 된다.
이에, 모터 풀리(140)는, 모터(130)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 구동하여, 해당 회전 구동에 의해 발생되는 회전 구동력을 제1벨트(151)를 통해 메인 롤러(111)에 전달해 주게 된다.
이에 따라, 메인 롤러(111)는, 모터 풀리(140)의 회전 구동력을 제1벨트(151)를 통해 전달받아 회전 구동하여, 해당 회전 구동에 의해 발생되는 회전 구동력을 제2벨트(152)를 통해 프리 롤러(112)로 전달해 주게 된다.
그러면, 프리 롤러(112)는, 메인 롤러(111)의 회전 구동력을 제2벨트(152)를 통해 전달받아 회전 구동하여, 화물 이송 라인을 따라 파렛타이저에 의해 파렛트화된 화물을 이송해 주게 된다.
이때, 제어부(504)는 안정적인 화물 이송을 위해서 모터(130)의 속도를 제어하게 되는데, 여기서 수평 컨베이어(100)의 모터(130), 모터 풀리(140) 및 롤러(110)에 대한 스펙이 아래의 표 1과 같은 경우에, 모터(130)의 속도(V)는 아래의 수학식 1에 의해 구해질 수 있다.
부품 스펙
모터 1HP*1/30*3PH* BK
모터 풀리 PJ-90-12*φ32, 10*3.5 Key
롤러 φ89.1*PJ-80-12(#6004ZZ)
Figure 112013002102137-pat00001
그리고 수평 컨베이어(100) 또는 이송 컨베이어류에 설치되어 있는 상태 측정 센서부(501)는, 수평 컨베이어(100) 또는 이송 컨베이어류에서 수평으로 이송되는 파렛트 화물(또는, 박스 화물)의 부피(체적)를 측정하고, 해당 측정된 부피(체적) 정보를 제어부(503)에 입력하게 된다. 이때, 상태 측정 센서부(501)는, 파렛트 화물(또는, 박스 화물)의 부피 측정에서 요구하는 요구사항의 정도에 따라 레이저 센서 또는 카메라 센서를 택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화물 부피의 정확도, 측정 속도 등을 설정하고 해당 설정에 적합한 센서를 채택하도록 한다. 레이저 센서의 경우에는, 카메라 센서보다 하드웨어적으로 간단하고 응답시간이 빨라 소프트웨어 처리 시간이 매우 빠르며, 주변 밝기 변화에 둔감하다. 또한, 카메라 센서의 경우에는, 3차원 형상을 측정함에 있어 레이저 센서보다 가격이 저렴하며, 랩핑된 화물에 대해서도 레이저 센서보다 반사가 덜하여 측정하기 쉽다.
이에, 제어부(503)에서는, 상태 측정 센서부(501)로부터 측정된 파렛트 화물(또는, 박스 화물)의 부피(체적) 정보를 입력받게 되면, 메모리부(504)로부터 파렛트 화물(또는, 박스 화물)의 원래 부피(체적)에 대한 정보를 판독한 후에, 상태 측정 센서부(501)로부터 입력받은 파렛트 화물(또는, 박스 화물)의 부피(체적) 정보와 메모리부(504)로부터 판독한 원래 부피 정보를 서로 비교하여 파렛트 화물(또는, 박스 화물)의 짐 상태를 파악하도록 한다.
이때, 제어부(503)는, 상태 측정 센서부(501)로부터 입력받은 파렛트 화물(또는, 박스 화물)의 부피(체적) 정보와 메모리부(504)로부터 판독한 원래 부피 정보 간의 차이점을 체크하여 파렛트 화물(또는, 박스 화물)의 짐 상태(즉, 파렛트 화물(또는, 박스 화물)의 적재 상태 및 랩핑 상태 등에 관한 짐 상태)를 파악하도록 한다.
그리고 제어부(503)는, 파렛트 화물(또는, 박스 화물)의 짐 상태(즉, 파렛트 화물(또는, 박스 화물)의 적재 상태 및 랩핑 상태 등에 관한 짐 상태)를 파악한 결과로, 상태 측정 센서부(501)로부터 입력받은 파렛트 화물(또는, 박스 화물)의 부피(체적) 정보와 메모리부(504)로부터 판독한 원래 부피 정보 간의 차이점이 허용 오차 범위 이상인 경우, 즉 화물 이송 라인에서 제외되어야 하는 이상 화물로 판단되는 경우, 화물 이송 라인에서 제외할 이상 화물이 수평 컨베이어(100)의 공간부(120)에 위치할 때에 이를 감지하게 된다.
이때, 수평 컨베이어(100)의 공간부(120)에 설치해 준 적외선 센서 등과 같은 센서가 화물 이송 라인에서 제외할 이상 화물이 수평 컨베이어(100)의 공간부(120)에 위치하는 경우를 감지하여 이를 제어부(503)에게 알려 주게 된다.
이에, 제어부(503)는, 여 디버팅 컨베이어(200) 및 게이트 컨베이어(301, 302)의 구동을 제어하여 화물 이송 라인에서 제외할 이상 화물을 임시 적치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디버팅 컨베이어(200) 및 게이트 컨베이어(301, 302)는, 적재 이상 등의 이유로 화물 이송 라인에서 제외되어야 하는 이상 화물인 경우에, 제어부(503)의 구동 제어에 따라 작동하여, 화물 이송 라인에서 제외할 이상 화물을 임시 적치해 주게 된다.
우선, 디버팅 컨베이어(200)의 상하 운동부(220)는, 화물 이송 라인에서 제외할 화물이 수평 컨베이어(100)에 존재할 경우에 화물의 방향 전환 이송(즉, 90도 전환 이송)을 위해서, 화물 이송 라인에서 제외할 화물이 수평 컨베이어(100)의 공간부(120)에 위치하는 경우에 제어부(503)의 구동 제어에 따라 이송부(210)를 상승시켜 주게 된다.
그리고 수평 컨베이어(100)의 공간부(120) 내에 형성되는 디버팅 컨베이어(200)의 이송부(210)는, 상하 운동부(220)에 의해 상승되어, 수평 컨베이어(100)의 공간부(120)에 위치한 화물을 들어올린 후에, 제어부(503)의 구동 제어에 따라 해당 들어올린 화물을 게이트 컨베이어(301, 302)로 이송하여, 화물 이송 라인에서 해당 화물을 빼내도록 한다.
다시 말해서, 이송부(210)의 모터(211)는, 제어부(503)의 구동 제어에 따라 상용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 구동하여 발생되는 회전력을 모터(211)의 축에 연결되어 있는 이송부(210)의 모터 스프로킷(212)에 전달해 주게 된다.
이에, 모터 스프로킷(212)은, 모터(211)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 구동하여, 해당 회전 구동에 의해 발생되는 회전 구동력을 이송부(210)의 드라이브 체인(214)을 통해 이송부(210)의 드라이브 스프로킷(213)에 전달해 주게 된다.
이에 따라, 드라이브 스프로킷(213)은, 모터 스프로킷(212)의 회전 구동력을 드라이브 체인(214)을 통해 전달받아 회전 구동하도록 한다.
그러면, 드라이브 체인(214)은, 모터 스프로킷(212)의 회전 구동력을 드라이브 스프로킷(213)에 연결시켜 드라이브 스프로킷(213)의 회전 구동에 따라 작동하여, 수평 컨베이어(100)의 롤러(110)에 의해 이송되는 화물에 대해 방향을 전환시켜 게이트 컨베이어(301, 302)로 이송해 주게 된다.
이때, 제어부(504)는 안정적인 이재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해서 모터(211)의 속도를 제어하게 되는데, 여기서 이송부(210)의 모터(211), 모터 스프로킷(212), 드라이브 스프로킷(213) 및 드라이브 체인(214)에 대한 스펙이 아래의 표 2와 같은 경우에, 모터(211)의 속도(V)는 아래의 수학식 2에 의해 구해질 수 있다.
부품 스펙
모터 1HP*1/60*3HP* B/K
모터 스프로킷 2-#60 15T*φ32,10*3.5 Key
드라이브 스프로킷 2-#60 19T*φ40,10*5 Key
드라이브 체인 #80
Figure 112013002102137-pat00002
그리고 게이트 컨베이어(301, 302)의 모터(320)는, 제어부(503)의 구동 제어에 따라 상용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 구동하여 발생되는 회전력을 모터(320)의 축에 연결되어 있는 게이트 컨베이어(301, 302)의 모터 스프로킷(330)에 전달해 주게 된다.
이에, 모터 스프로킷(330)은, 모터(320)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 구동하여, 해당 회전 구동에 의해 발생되는 회전 구동력을 드라이브 체인(350)을 통해 드라이브 스프로킷(340)에 전달해 주게 된다.
이에 따라, 게이트 컨베이어(301, 302)의 드라이브 스프로킷(340)은, 모터 스프로킷(330)의 회전 구동력을 드라이브 체인(350)을 통해 전달받아 회전 구동하도록 한다.
그러면, 게이트 컨베이어(301, 302)의 드라이브 체인(350)은, 모터 스프로킷(330)의 회전 구동력을 드라이브 스프로킷(340)에 연결시켜 드라이브 스프로킷(340)의 회전 구동에 따라 작동하여, 디버팅 컨베이어(200)로부터 이송되는 화물을 이송시켜 임시 적치해 주게 된다.
이때, 제어부(504)는 안정적인 임시 적재를 수행하도록 하기 위해서 모터(320)의 속도를 제어하게 되는데, 여기서 게이트 컨베이어(301, 302)의 모터(320), 모터 스프로킷(330), 드라이브 스프로킷(340), 드라이브 체인(350)에 대한 스펙은, 디버팅 컨베이어 이송부(210)의 모터(211), 모터 스프로킷(212), 드라이브 스프로킷(213) 및 드라이브 체인(214)에 대한 스펙과 동일하게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모터(320)의 속도(V)는 상술한 수학식 2에 의해 구해질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503)는, 게이트 컨베이어(301, 302)에 설치해 준 적외선 센서 등과 같은 센서를 이용하여 임시 적치된 화물의 개수를 카운팅하거나 임시 적치 제어의 회수를 카운팅하는데, 이때 임시 적치된 화물의 개수가 기 설정된 개수 이상이 되는 경우에, 경고등 또는 경고음을 발생시켜 물류현장에서 바로 임시 적치할 수 있는 화물의 한계 개수에 도달하였음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해 준다.
한편, 제어부(503)는, 수평 컨베이어(100) 또는 이송 컨베이어류에 설치해 준 적외선 센서 등과 같은 센서를 이용하여 화물 이송 라인에 이송되는 화물의 개수를 카운팅하는데, 이때 미리 설정해 둔 화물의 적정 개수를 메모리부(504)로부터 판독한 후에, 해당 카운팅된 화물 개수와 해당 판독한 화물의 적정 개수를 비교하며, 해당 비교 결과로 해당 카운팅된 화물 개수가 해당 판독한 화물의 적정 개수와 동일해져 화물 이송 라인에 화물이 많아 화물 적체가 우려되는 경우로 판단하며, 이에 화물 적체가 해소될 때까지 상술한 바와 같은 동작과 동일하게 화물을 임시 적치하도록 한다.
그리고 제어부(503)는, 이상 화물 발견 알림 기능(또는, 화물 적체 알림 기능)으로 경고등 또는 경고음을 발생시켜 물류현장에서 바로 식별할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관련 오류 내용을 제어실 또는 작업자들에게 자동적으로 전송하거나, LCD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해 준다.
다른 한편, 예를 들어 적재 상태에 문제가 발생한 화물을 임시로 보관하는 임시 적치 기능, 화물의 이송 방향을 전후에서 좌우로 변경하는 화물 이재 기능, 임시 적치 화물이 없을 경우의 접힌 형태에서 화물을 임시 적치할 경우에 펼쳐진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도록 하는 가변형 구조 기능, 임시 적치 존에 만재 시에 작업 상황을 작업자나 관리자에게 알려주는 알림 기능, 문제 화물 검색 시에 자동으로 제어실 혹은 작업자들에게 상태를 알려주는 이상 알림 기능 등에 대한 우선 순위를 미리 설정하여 메모리부(504)에 저장해 둠으로써, 제어부(503)는 메모리부(504)에 저장된 우선 순위에 따라 각 기능들에 대한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수평 컨베이어
110: 롤러
111: 메인 롤러
112: 프리 롤러
120: 공간부
130: 모터
140: 모터 풀리
150: 벨트
200: 디버팅 컨베이어
210: 이송부
211: 모터
212: 모터 스프로킷
213: 드라이브 스프로킷
214: 드라이브 체인
220: 상하 운동부
301, 302: 게이트 컨베이어
310: 세움부재
320: 모터
330: 모터 스프로킷
340: 드라이브 스프로킷
350: 드라이브 체인

Claims (10)

  1. 화물 이송 라인을 형성하는 다수 개의 롤러와 상기 롤러 사이에 형성된 다수 개의 공간부를 구비하며, 상기 화물 이송 라인을 따라 화물을 이송하는 수평 컨베이어;
    상기 수평 컨베이어의 각 공간부에 이송부를 각각 구비시켜, 상기 수평 컨베이어의 롤러에 의해 이송되는 화물에 대해 방향을 전환시켜 이송하는 디버팅 컨베이어; 및
    상기 디버팅 컨베이어에 의해 방향 전환된 화물을 이송받아 임시 보관하도록 하는 게이트 컨베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 컨베이어는,
    상용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 구동하는 모터;
    상기 모터의 축에 연결되어 상기 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 구동하는 모터 풀리;
    상기 모터 풀리의 회전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 구동하는 메인 롤러와, 상기 메인 롤러의 회전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 구동하는 프리 롤러를 구비하여 화물 이송 라인을 형성시켜 화물을 이송하기 위한 다수 개의 롤러;
    상기 롤러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수평 컨베이어의 이송부가 작동하도록 하기 위한 다수 개의 공간부; 및
    상기 모터 풀리와 상기 메인 롤러 간의 연결, 그리고 상기 메인 롤러와 상기 프리 롤러 간의 연결을 형성시켜 주는 벨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버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버팅 컨베이어는,
    상기 화물 이송 라인에서 제외할 화물이 상기 수평 컨베이어의 공간부에 위치할 때에 상승하여, 화물을 들어올린 후에 상기 게이트 컨베이어로 이송시켜 주는 이송부; 및
    상기 화물 이송 라인에서 제외할 화물이 상기 수평 컨베이어의 공간부에 위치할 때에 상기 이송부를 상승시켜 주기 위한 상하 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버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상용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 구동하는 모터;
    상기 모터의 축에 연결되어 상기 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 구동하는 모터 스프로킷;
    상기 모터 스프로킷의 회전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 구동하는 드라이브 스프로킷; 및
    상기 모터 스프로킷과 상기 드라이브 스프로킷 간의 연결을 형성시켜, 상기 화물 이송 라인에서 제외할 화물을 상기 게이트 컨베이어로 이송하는 드라이브 체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버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컨베이어는,
    상용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 구동하는 모터;
    상기 모터의 축에 연결되어 상기 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 구동하는 모터 스프로킷;
    상기 모터 스프로킷의 회전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 구동하는 드라이브 스프로킷; 및
    상기 모터 스프로킷과 상기 드라이브 스프로킷 간의 연결을 형성시켜, 디버팅 컨베이어로부터 이송되는 화물을 이송받아 임시 적치하는 드라이브 체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버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컨베이어는,
    상기 화물의 임시 적치가 불필요한 경우에 상기 게이트 컨베이어를 세워 주기 위한 세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버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물의 부피를 측정하는 상태 측정 센서부; 및
    상기 상태 측정 센서부에서 측정한 화물의 부피 정보와 상기 화물의 원래 부피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화물의 짐 상태를 파악하며, 상기 화물 이송 라인에서 제외되어야 하는 이상 화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이상 화물이 상기 수평 컨베이어의 공간부에 위치할 때를 감지하고, 상기 디버팅 컨베이어 및 상기 게이트 컨베이어의 구동을 제어하여 상기 이상 화물을 임시 적치시켜 주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버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태 측정 센서부에서 측정한 화물의 부피 정보와 상기 화물의 원래 부피 정보 간의 차이점을 체크하고, 해당 체크된 차이점이 허용 오차 범위 이상인 경우에 상기 화물 이송 라인에서 제외되어야 하는 이상 화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버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물 이송 라인에 이송되는 화물의 개수를 카운팅하고, 해당 카운팅된 화물 개수와 미리 설정해 둔 화물의 적정 개수를 비교하여 동일한 경우에, 화물 적체가 우려되는 경우로 판단하여 상기 디버팅 컨베이어 및 상기 게이트 컨베이어의 구동을 제어하여 상기 화물을 임시 적치시켜 주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버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물에 부착된 바코드를 판독하는 정보 확인부; 및
    상기 정보 확인부에서 판독한 바코드 정보에 대응하는 화물 관련 정보를 파악하고, 해당 파악된 화물 관련 정보에 따라 상기 수평 컨베이어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버퍼.
KR1020130002283A 2013-01-08 2013-01-08 화물 버퍼 KR1013242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2283A KR101324272B1 (ko) 2013-01-08 2013-01-08 화물 버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2283A KR101324272B1 (ko) 2013-01-08 2013-01-08 화물 버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4272B1 true KR101324272B1 (ko) 2013-11-01

Family

ID=49856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2283A KR101324272B1 (ko) 2013-01-08 2013-01-08 화물 버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427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47057A (zh) * 2018-11-07 2020-10-09 杭州银湖机械弹簧有限公司 一种进出口使用的传输带装置
KR102671940B1 (ko) * 2023-01-16 2024-06-05 주식회사 지어소프트 배송 박스의 적재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88921U (ko) * 1984-11-15 1986-06-10
JPH08175621A (ja) * 1994-12-27 1996-07-09 Itoki Crebio Corp 自動保管検索装置における搬出入機構
JP2005263359A (ja) * 2004-03-16 2005-09-29 Daifuku Co Ltd 搬送装置
JP2009120283A (ja) * 2007-11-13 2009-06-04 Chiyoda Kako Kensetsu Kk 搬送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88921U (ko) * 1984-11-15 1986-06-10
JPH08175621A (ja) * 1994-12-27 1996-07-09 Itoki Crebio Corp 自動保管検索装置における搬出入機構
JP2005263359A (ja) * 2004-03-16 2005-09-29 Daifuku Co Ltd 搬送装置
JP2009120283A (ja) * 2007-11-13 2009-06-04 Chiyoda Kako Kensetsu Kk 搬送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47057A (zh) * 2018-11-07 2020-10-09 杭州银湖机械弹簧有限公司 一种进出口使用的传输带装置
CN111747057B (zh) * 2018-11-07 2021-08-27 杭州银湖机械弹簧有限公司 一种进出口使用的传输带装置
KR102671940B1 (ko) * 2023-01-16 2024-06-05 주식회사 지어소프트 배송 박스의 적재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WO2024155175A1 (ko) * 2023-01-16 2024-07-25 주식회사 지어소프트 배송 박스의 적재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4275B1 (ko) 화물 볼륨 체커
TWI400187B (zh) 物品收納設備及其控制方法
WO2011161979A1 (ja) 自動倉庫及び自動倉庫への入庫方法
JP2007246226A (ja) 物品卸し装置及びその物品卸し装置を備えた物品収納設備
TW201140735A (en) Conveying vehicle system
CN113135408A (zh) 一种货箱转移系统、方法、货箱转移装置和机器人
CN215709064U (zh) 中转装置及仓储系统
JP2009120317A (ja) 自動倉庫
TWI740999B (zh) 物品搬送設備
JP2022116803A (ja) パレット検査装置
KR101324272B1 (ko) 화물 버퍼
KR20180036087A (ko) 자동 화물 반출입시스템
JP3053348B2 (ja) パレット段積み装置
JP2017030884A (ja) パレット分離設備
KR102208006B1 (ko) 화물 차량용 모듈형 팔레트 자동 이송 장치
JP2005206259A (ja) パレットレス自動倉庫
JP4949869B2 (ja) コラムの段積み順検出装置
JP3815544B2 (ja) 重量検品入出庫システム
JP2009051623A (ja) 搬送システム
JP6459295B2 (ja) 搬送システム
JP2019014583A (ja) 搬送車システム
JP2013203532A (ja) 搬送装置、並びに、物品保管装置
JP5105180B2 (ja) 物品収納設備
JP7171992B2 (ja) ケース移載システム及びケース移載方法
US20230219756A1 (en) Multi-Level Conveying Systems for Storage Facilit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