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1192B1 - 로프 파단 검출 장치 - Google Patents

로프 파단 검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1192B1
KR101911192B1 KR1020177012545A KR20177012545A KR101911192B1 KR 101911192 B1 KR101911192 B1 KR 101911192B1 KR 1020177012545 A KR1020177012545 A KR 1020177012545A KR 20177012545 A KR20177012545 A KR 20177012545A KR 101911192 B1 KR101911192 B1 KR 1019111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pe
operating member
movable member
axis
c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25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5656A (ko
Inventor
야스오 와타나베
아츠시 후나다
다케야 오카와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656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56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11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11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12Checking, lubricating, or cleaning means for ropes, cables or guides
    • B66B7/1207Checking means
    • B66B7/1215Check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ropes or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06Monitoring devices or performance analysers
    • B66B5/0018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12Checking, lubricating, or cleaning means for ropes, cables or guides

Landscapes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로프(7)의 쌍방향의 주행시에, 스트랜드 파단의 발생을 검출할 수 있음과 아울러, 복수개의 로프(7)에 대해서 균일한 검출 감도로 스트랜드 파단의 발생을 검출할 수 있는 로프 파단 검출 장치(10)를 얻는다. 본 발명의 로프 파단 검출 장치(10)는, 제1축(14) 둘레로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고, 제1 캠(13)이 후단에 형성된 제1 가동 부재(12), 및 길이 방향을 상기 제1축(14)의 축방향과 평행하게 하여 상기 제1 가동 부재(12)의 선단에 고착된 제1 동작 부재(15)를 가지며, 로프열에 상기 제1 동작 부재(15)를 향하게 하고, 상기 제1축(14)의 축방향을 상기 로프열의 로프 배열 방향과 일치시켜, 상기 제1 동작 부재(15)가 상기 로프열의 일측을 로프 배열 방향으로 횡단하도록 배치되는 주검출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로프 파단 검출 장치{ROPE BREAK DETECTING DEVICE}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감아 올림용 로프의 파단, 즉 로프의 스트랜드(strand)의 파단을 검출하는 로프 파단 검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8은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9는 종래의 엘리베이터에서의 기계실 내에 설치된 권상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종래의 엘리베이터에서의 엘리베이터 감아 올림용 로프의 파단 상태를 설명하는 측면도이다.
종래의 엘리베이터에서는, 도 8 및 도 9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기계실(2)이 승강로(1)의 상부에 설치되며, 엘리베이터 제어반(制御盤)(3) 및 권상기(4)가 기계실(2) 내에 설치되어 있다. 감아 올림용 로프(7)(이하, '로프(7)'라고 함)가 권상기(4)의 쉬브(sheave)(5)에 걸어 걸쳐지고, 그 일단측이 승강로(1) 내에 수하(垂下)되며, 그 타단측이 디플렉팅 쉬브(deflecting sheave)(6)를 매개로 하여 승강로(1) 내에 수하된다. 엘리베이터 칸(8)이 로프(7)의 일단에 연결되고, 균형추(9)가 로프(7)의 타단에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엘리베이터에서는, 쉬브(5)가 권상기(4)에 의해 회전 구동되고, 엘리베이터 칸(8)과 균형추(9)가 가이드 레일(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안내되어 승강로(1) 내를 승강한다. 이 때, 로프(7)는, 쉬브(5)의 쉬브 홈에 걸어져 있으므로, 로프(7)와 쉬브 홈과의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력에 의해, 쉬브(5)의 회전 및 정지 운동이 로프(7)의 이동 및 정지 운동으로 이행되어, 엘리베이터 칸(8) 및 균형추(9)가 승강된다.
로프(7)는, 와이어선의 연선(撚線)인 복수의 스트랜드(strand)(7a)를 꼬아서 형성되어 있다. 그래서, 로프(7)는, 도 10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쉬브 홈과의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력에 의해, 경년적으로 마모하여, 결국에는, 스트랜드(7a)의 파단에 이른다. 스트랜드(7a)가 파단한 그대로, 엘리베이터 칸(8)이 승강 운전되면, 로프(7)의 스트랜드(7a)의 파단이 진행하여, 다른 기기를 파손시키는 것에 의한 고장이나, 엘리베이터 칸(8)의 긴급 정지에 의해 승객이 갇히는 고장을 발생시킬 우려가 있었다.
종래의 엘리베이터에서는, 로프(7)의 관리 및 안전성 유지에 대해서는, 보수 작업원에 의한 정기 점검에만 의존하고 있었다. 그리고, 보수 작업원에 의한 정기 점검으로는, 경년적인 마모에 의한 로프(7)의 스트랜드(7a)의 파단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그렇지만, 다음의 정기 점검까지의 사이에 스트랜드(7a)의 파단이 돌발적으로 발생한 경우에는, 이것을 검지할 수 없어, 로프(7)의 스트랜드(7a)의 파단이 진행하여, 다른 기기를 파손시키는 것에 의한 고장이나, 엘리베이터 칸(8)의 긴급 정지에 의해 승객이 갇히는 고장을 발생시켜 버린다. 이와 같이, 종래의 엘리베이터에서는, 로프(7)의 스트랜드(7a)의 파단을 자동적으로 검출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지 않았다.
이러한 상황을 감안하여, 동작 부재를 권상기에 근접 배치하고, 그 동작 부재를, 로프의 스트랜드 파단 발생시에, 로프의 외주면으로부터 들뜬 스트랜드에 의해서 초기 위치로부터 이동되도록 구성하며, 그 동작 부재의 이동에 의해 스트랜드의 파단의 발생을 검출하는 종래의 로프 파단 검출 장치가 제안되어 있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2 참조).
특허 문헌 1 : 일본특허공개 제2002-003119호 공보 특허 문헌 2 : 일본특허공개 평08-333066호 공보
특허 문헌 1에 의한 종래의 로프 파단 검출 장치는, 동작 부재가 로프의 일방향의 주행시에만, 로프의 외주면으로부터 들뜬 스트랜드에 의해서 초기 위치로부터 이동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로프의 타방향의 주행시에는, 스트랜드의 파단의 발생을 검출할 수 없다. 따라서, 스트랜드의 파단의 발생에 기인하는 다른 기기를 파손시키는 것에 의한 고장이나, 엘리베이터 칸의 긴급 정지에 의해 승객이 갇히는 고장의 발생을 확실히 저지할 수 없었다.
또, 특허 문헌 2에 의한 종래의 로프 파단 검출 장치에서는, 동작 부재가, 복수개의 로프가 1열로 배열된 로프열의 일측을 로프의 배열 방향으로 횡단하도록 배치되고, 동작 부재의 일단부가 로프의 길이 방향과 로프의 배열 방향의 양방향과 직교하는 축 둘레로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로프의 쌍방향의 주행시에, 스트랜드의 파단의 발생을 검출할 수 있다. 그렇지만, 동작 부재의 회동 중심으로부터 로프까지의 거리가 로프마다 다르므로, 로프의 외주면으로부터 들뜬 스트랜드에 의해서 동작 부재를 초기 위치로부터 이동시키는 작동력이 로프마다 달라져 버린다. 이것에 의해, 스트랜드의 파단의 발생의 검출 감도(感度)가 로프마다 다르고, 복수개의 로프에 대해서 균일한 검출 감도로 스트랜드의 파단의 발생을 검출할 수 없다고 하는 과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로프의 쌍방향의 주행시에, 스트랜드의 파단의 발생을 검출할 수 있음과 아울러, 복수개의 로프에 대해서 균일한 검출 감도로 스트랜드의 파단의 발생을 검출할 수 있는 로프 파단 검출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로프 파단 검출 장치는, 일단에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이 연결된 복수개의 로프의 파단을 검출하는 로프 파단 검출 장치로서, 제1축 둘레로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고, 제1 캠이 후단에 형성된 제1 가동 부재, 및 길이 방향을 상기 제1축의 축방향과 평행하게 하여 상기 제1 가동 부재의 선단에 고착된 제1 동작 부재를 가지며, 상기 복수개의 로프가 1열로 배열된 로프열(列)에 상기 제1 동작 부재를 향하게 하고, 상기 제1축의 축방향을 상기 로프열의 로프 배열 방향과 일치시켜, 상기 제1 동작 부재가 상기 로프열의 일측을 로프 배열 방향으로 횡단하도록 배치되는 주(主)검출부와, 스위치 케이스에 근원(根元)측이 회동축 둘레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롤러가 선단에 장착된 액추에이터를 가지며, 상기 롤러를 상기 제1 캠에 걸림 상태로 하여, 상기 회동축의 축심과 상기 제1축의 축심이 서로 평행하고, 또한 상기 로프와 직교하는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리미트 스위치를 구비한다. 상기 주검출부는, 상기 로프의 파단 발생시에 상기 로프의 외주면으로부터 들뜨는 스트랜드(strand)가 상기 제1 동작 부재를 압압(押壓)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제1 가동 부재가 상기 제1축 둘레로 회동하여, 상기 로프의 파단 발생을 검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리미트 스위치는, 상기 제1 가동 부재의 상기 제1축 둘레의 회동시에, 상기 롤러가 상기 제1 캠에 의해 안내되어 이동하는 것에 의해, 상기 액추에이터가 상기 회동축 둘레로 회동하여, 상기 로프의 파단 발생의 검출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동작 부재가, 길이 방향을 제1축의 축방향과 평행하게 하여 제1 가동 부재의 선단에 고착되고, 제1축의 축방향이 로프열의 로프 배열 방향과 일치되며, 제1 동작 부재가 로프열의 일측을 로프 배열 방향으로 횡단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래서, 로프의 주행 방향에 의하지 않고, 로프의 외주면으로부터 들뜬 스트랜드가, 제1 동작 부재를 통과할 때에, 제1 동작 부재를 압압한다. 이것에 의해, 제1 가동 부재가 제1축 둘레로 회동하여, 스트랜드의 파단의 발생을 검출할 수 있다.
또, 제1 동작 부재와 로프와의 사이의 거리가 각 로프에서 동일하고, 제1축의 축심과 제1 동작 부재의 길이 방향이 평행하게 되어 있다. 여기서, 로프의 외주면으로부터 들뜬 스트랜드에 의해서 제1 동작 부재를 제1축 둘레로 회동시키는 작동력은, 각 로프에서 동일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복수개의 로프에 대해서 균일한 검출 감도(感度)로 스트랜드의 파단의 발생을 검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한 로프 파단 검출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한 로프 파단 검출 장치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III-III 화살표로부터 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관한 로프 파단 검출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관한 로프 파단 검출 장치의 설치 방법을 설명하는 요부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관한 로프 파단 검출 장치의 설치 방법을 설명하는 요부 상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관한 로프 파단 검출 장치의 제1 동작 부재 둘레를 연직 상부로부터 본 요부 상면도이다.
도 8은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9는 종래의 엘리베이터에서의 기계실 내에 설치된 권상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종래의 엘리베이터에서의 엘리베이터 감아 올림용 로프의 파단 상태를 설명하는 측면도이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한 로프 파단 검출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한 로프 파단 검출 장치를 나타내는 상면도, 도 3은 도 1의 III-III 화살표로부터 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로프 파단 검출 장치(10)는, 직사각형 평판 모양의 제1 하우징(11)의 일면에 제1축(14) 둘레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일단면에 제1 캠(13)을 형성한 제1 가동 부재(12)와, 원기둥 모양으로 제작되며, 제1축(14)을 사이에 두고 제1 캠(13)과 서로 마주하는 제1 가동 부재(12)의 타단에, 제1축(14)의 축방향과 평행하게 고착된 제1 동작 부재(15)와, 제1축(14) 둘레의 제1 가동 부재(12)의 회동을 받아 로프(7)의 파단, 즉 스트랜드(7a)의 파단의 발생을 검출하는 리미트 스위치(16)를 구비한다. 또, 제1 가동 부재(12) 및 제1 동작 부재(15)가 주(主)검출부를 구성한다.
리미트 스위치(16)는, 내장 스위치(도시하지 않음)가 내부에 수납된 스위치 케이스(17)와, 스위치 케이스(17)로부터 돌출되고, 외부로부터의 힘이나 움직임을 내장 스위치에 전달하는 액추에이터(18)를 구비하고 있다. 액추에이터(18)는, 롤러(18a)를 돌출단에 구비하고, 근원측을 롤러(18a)의 축심과 평행한 회동축(18b) 둘레로 회동 가능하게 스위치 케이스(17)에 장착되어 있다.
리미트 스위치(16)는, 롤러(18a)를 제1 캠(13)에 걸리게 하고, 또한 제1축(14)의 축심, 제1 동작 부재(15)의 축심, 롤러(18a)의 축심, 및 회동축(18b)의 축심이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도록 위치 결정되어, 스위치 케이스(17)를 제1 하우징(11)의 일면에 고착하여 장착된다. 이 때, 제1 동작 부재(15)는, 제1 하우징(11)의 측변의 외부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제1 가동 부재(12) 및 리미트 스위치(16)가 장착된 제1 하우징(11)은, 쉬브(5)의 근방의, 3개의 로프(7)가 1열로 늘어놓여진 로프열의 일측에, 제1 동작 부재(15)를 로프열을 향하게 하고, 제1 동작 부재(15)의 축방향을 로프열의 배열 방향과 평행이 되도록, 그 하단부가 기계대(30)에 고정된다. 또, 제1축(14)의 축심, 제1 동작 부재(15)의 축심, 롤러(18a)의 축심, 및 회동축(18b)의 축심은, 로프(7)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한다. 여기서, 스트랜드(7a)의 파단 단부는, 통상, 로프(7)의 외주면으로부터 10cm 정도 들뜬다. 그래서, 제1 동작 부재(15)는, 스트랜드(7a)가 확실히 걸리고, 또한 오동작하지 않도록, 예를 들면 2cm~3cm 정도의 간극(d1)을 확보하여 로프열과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제1 동작 부재(15)는, 로프열의 배열 방향의 폭을 넘는 길이를 가지며, 로프열의 배열 방향의 양측으로 돌출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제1 커버(19)가 제1 하우징(11)의 상단부에, 제1 가동 부재(12) 및 리미트 스위치(16)를 덮도록 장착되어 있다. 게다가, 제1 이물(異物) 제거 슈(shoe)(20)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수지 등으로 직사각형 평판 모양으로 제작되고, 제1 커버(19) 및 제1 하우징(11)의 하단부에 장착되며, 간극(d2)을 확보하여 로프열과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간극(d2)은 간극(d1)과 동일하거나, 그것보다 작게 되어 있다.
로프 파단 검출 장치(10)는, 게다가, 직사각형 평판 모양의 제2 하우징(21)의 일면에 제2축(23) 둘레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제2 가동 부재(22)와, 원기둥 모양으로 제작되며, 제2 가동 부재(22)의 일단에, 제2축(23)의 축방향과 평행하게 고착된 제2 동작 부재(24)와, 각각, 일단면에 제2 캠(26)을 형성하고, 제2 동작 부재(24)의 양단부에 고착되어, 제2 가동 부재(22)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제2 가동 부재(22)와 반대측으로 돌출하는 한 쌍의 토크 전달 부재(25)를 구비한다. 또, 제2 가동 부재(22), 제2 동작 부재(24) 및 토크 전달 부재(25)가 보조 검출부를 구성한다.
제2 가동 부재(22)가 장착된 제2 하우징(21)은, 쉬브(5)의 근방의, 3개의 로프(7)가 1열로 늘어선 로프열의 타측에, 제2 동작 부재(24)를 로프열을 향하게 하여, 제2 동작 부재(24)의 축방향을 로프열의 배열 방향과 평행이 되도록, 그 하단부가 기계대(30)에 고정된다. 여기서, 제2축(23)의 축심 및 제2 동작 부재(24)의 축심은, 제1축(14)의 축심, 제1 동작 부재(15)의 축심, 및 롤러(18a)의 축심과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제2 동작 부재(24)는, 간극(d1)을 확보하여 로프열과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한 쌍의 토크 전달 부재(25)가, 로프열의 배열 방향의 양측을 통과하여 로프열의 일측으로 돌출되며, 제2 캠(26)이 제1 동작 부재(15)의 양단측에 걸려 있다.
또, 제2 커버(27)가 제2 하우징(21)의 상단부에, 제2 가동 부재(22)를 덮도록 장착되어 있다. 게다가, 제2 이물 제거 슈(28)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수지 등으로 직사각형 평판 모양으로 제작되고, 제2 커버(27) 및 제2 하우징(21)의 하단부에 장착되며, 간극(d2)을 확보하여 로프열과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제1 가동 부재(12)와 제1 동작 부재(15)는, 제1 가동 부재(12)와 제1 동작 부재(15)의 일체물의 중심(重心)이 제1축(14)의 축심 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래서, 통상시, 제1 가동 부재(12)에는, 제1축(14) 둘레의 중량(重量) 불균형에 의한 회전력은 발생하지 않는다. 또, 제2 가동 부재(22)와 제2 동작 부재(24)는, 제2 가동 부재(22)와 제2 동작 부재(24)의 일체물의 중심(重心)이 제2축(23)의 축심 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래서, 통상시, 제2 가동 부재(22)에는, 제2축(23) 둘레의 중량 불균형에 의한 회전력은 발생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구성된 로프 파단 검출 장치(10)의 통상 상태에서는, 제1축(14)의 축심, 제1 동작 부재(15)의 축심, 롤러(18a)의 축심, 회동축(18b)의 축심, 제2축(23)의 축심 및 제2 동작 부재(24)의 축심이, 로프(7)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고, 롤러(18a)가 제1 캠(13)에 걸리고, 제2 캠(26)이 제1 동작 부재(15)에 걸려 있다. 그리고, 액추에이터(18)가 내장 스위치를 압압하지 않아, 내장 스위치가 OFF로 되어 있다. 여기서, 리미트 스위치(16)로부터 로프 파단 동작 검출 케이블(도시하지 않음)을 매개로 하여 엘리베이터 제어반(3)에 출력되는 로프 파단의 검출 신호는 OFF로 되어 있다.
여기서, 로프(7)의 일부에 스트랜드(7a)의 파단이 발생하면, 파단한 스트랜드(7a)는, 도 10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로프(7)의 외주로부터 들뜬다. 로프(7)의 외주로부터 들뜬 스트랜드(7a)는, 로프(7)가 주행(走行)하여, 로프 파단 검출 장치(10)를 통과할 때에, 제1 동작 부재(15)나 제2 동작 부재(24)를 압압한다.
예를 들면, 도 1에서, 로프(7)가 상부 방향으로 주행하여, 스트랜드(7a)가 제1 동작 부재(15)를 압압하면, 제1 가동 부재(12)는 제1축(14) 둘레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한다. 그래서, 액추에이터(18)는, 롤러(18a)가 제1 캠(13)에 의해 안내되어 이동하여, 근원측의 회동축(18b) 둘레로 시계 방향으로 회동한다. 이 액추에이터(18)의 회동에 의해, 리미트 스위치(16)의 내부 스위치가 압압되어 ON이 된다. 그리고, 제1 가동 부재(12)가 설정된 각도를 넘어 회동하면, 롤러(18a)와 제1 캠(13)과의 걸림이 해제된다. 동시에, 제1 동작 부재(15)와 제2 캠(26)과의 걸림이 해제된다.
또, 도 1에서, 로프(7)가 상부 방향으로 주행하여, 스트랜드(7a)가 제2 동작 부재(24)를 압압하면, 제2 가동 부재(22)는 제2축(23) 둘레로 시계 방향으로 회동한다. 이것에 의해, 토크 전달 부재(25)가, 제2축(23) 둘레로 시계 방향으로 회동한다. 그래서, 제1 가동 부재(12)는, 제1 동작 부재(15)가 제2 캠(26)에 의해 안내되어 이동하여, 제1축(14) 둘레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한다. 게다가, 액추에이터(18)는, 롤러(18a)가 제1 캠(13)에 의해 안내되어 이동하여, 근원측의 회동축(18b) 둘레로 시계 방향으로 회동한다. 이 액추에이터(18)의 회동에 의해, 리미트 스위치(16)의 내부 스위치가 압압되어 ON이 된다. 그리고, 토크 전달 부재(25)가 설정된 각도를 넘어 회동하면, 제1 동작 부재(15)와 제2 캠(26)과의 걸림이 해제된다. 또, 제1 가동 부재(12)가 설정된 각도를 넘어 회동하면, 롤러(18a)와 제1 캠(13)과의 걸림이 해제된다.
또, 로프(7)가 아래 방향으로 주행하는 경우는, 제1 가동 부재(12)의 제1축(14) 둘레의 회동 방향이 반대가 되고, 제2 가동 부재(22)의 제2축(23) 둘레의 회동 방향이 반대가 되는 점을 제외하고, 동일하게 동작하므로, 그 검출 동작의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리미트 스위치(16)로부터 검출 신호 출력 케이블(도시하지 않음)을 매개로 하여 엘리베이터 제어반(3)에 출력되는 로프 파단의 검출 신호는 ON이 된다. 그래서, 엘리베이터 제어반(3)은,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칸(8)을 가장 가까운 층에 정지시키고, 재기동(再起動)을 정지시킴과 아울러, 감시 센터에 스트랜드(7a)의 파단의 발생을 알린다. 그리고, 보수 작업원이 현장으로 달려와서, 로프(7)의 교환 작업을 행하여, 제1 가동 부재(12), 제2 가동 부재(22) 등을 초기 위치로 되돌리고, 제1 캠(13)과 롤러(18a)를 걸림 상태로 복귀시켜, 제2 캠(26)과 제1 동작 부재(15)를 걸림 상태로 복귀시킨다.
이 실시 형태 1에 의하면, 주검출부가, 제1축(14) 둘레로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고, 제1 캠(13)이 후단에 형성된 제1 가동 부재(12)와, 길이 방향을 제1축(14)의 축방향과 평행하게 하여 제1 가동 부재(12)의 선단에 고착된 제1 동작 부재(15)를 가지며, 3개의 로프(7)가 1열로 배열된 로프열에 제1 동작 부재(15)를 향하게 하고, 제1축(14)의 축방향을 로프열의 로프 배열 방향과 일치시켜, 제1 동작 부재(15)가 로프열의 일측을 로프 배열 방향으로 횡단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리미트 스위치(16)가, 스위치 케이스(17)에 근원측을 회동축(18b) 둘레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롤러(18a)가 선단에 장착된 액추에이터(18)를 가지며, 롤러(18a)를 제1 캠(13)에 걸림 상태로 하여, 회동축(18b)의 축심과 제1축(14)의 축심이 서로 평행이고, 또한 로프(7)와 직교하는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래서, 로프(7)의 주행 방향에 의하지 않고, 로프(7)의 외주면으로부터 들뜬 스트랜드(7a)가, 제1 동작 부재(15)를 통과할 때에, 제1 동작 부재(15)를 압압 한다. 이것에 의해, 제1 가동 부재(12)가 제1축(14) 둘레로 회동하여, 스트랜드(7a)의 파단의 발생을 검출할 수 있다.
또, 제1 동작 부재(15)와 로프(7)와의 사이의 거리가 각 로프(7)에서 동일하고, 제1축(14)의 축심과 제1 동작 부재(15)의 축심이 평행하게 되어 있다. 그래서, 로프(7)의 외주면으로부터 들뜬 스트랜드(7a)에 의해서 제1 동작 부재(15)를 제1축(14) 둘레로 회동시키는 작동력은, 각 로프(7)에서 동일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3개의 로프(7)에 대해서 균일한 검출 감도로 스트랜드(7a)의 파단의 발생을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로프(7)의 외주로부터 들뜬 스트랜드(7a)가 제1 동작 부재(15)나 제2 동작 부재(24)에 감긴 상태에서, 로프(7)가 주행한 경우에는, 제1 동작 부재(15)나 제2 동작 부재(24)가 스트랜드(7a)에 의해 잡아 당겨져, 로프 파단 검출 장치(10)가 손상될 우려가 있다.
이 실시 형태 1에서는, 로프 파단의 검출 신호가 출력된 후, 제1 가동 부재(12)가 설정된 각도를 넘어 제1축(14) 둘레로 회동하면, 롤러(18a)와 제1 캠(13)과의 걸림이 해제된다. 그래서, 롤러(18a)와 제1 캠(13)과의 걸림이 해제되면, 제1 가동 부재(12)는 관성에 의해 제1축(14) 둘레로 회동하고, 제1 동작 부재(15)가 로프(7)의 주행에 의해 그리는 스트랜드(7a)의 궤적으로부터 벗어난다. 이것에 의해, 스트랜드(7a)가 제1 동작 부재(15)로부터 벗어나, 스트랜드(7a)가 제1 동작 부재(15)에 감긴 상태에서, 로프(7)가 주행하는 것이 회피된다. 따라서, 로프(7)의 주행에 의해, 제1 동작 부재(15)가 감긴 스트랜드(7a)에 의해 잡아 당겨져, 로프 파단 검출 장치(10)가 손상되는 사태의 발생이 억제된다.
또, 로프 파단의 검출 신호가 출력된 후, 제2 가동 부재(22)가 설정된 각도를 넘어 제2축(23) 둘레로 회동하면, 제1 동작 부재(15)와 제2 캠(26)과의 걸림이 해제된다. 그래서, 제1 동작 부재(15)와 제2 캠(26)과의 걸림이 해제되면, 제2 가동 부재(22)는 관성에 의해 제2축(23) 둘레로 회동하여, 제2 동작 부재(24)가 로프(7)의 주행에 의해 그리는 스트랜드(7a)의 궤적으로부터 벗어난다. 이것에 의해, 스트랜드(7a)가 제2 동작 부재(24)로부터 벗어나, 스트랜드(7a)가 제2 동작 부재(24)에 감긴 상태에서, 로프(7)가 주행하는 것이 회피된다. 따라서, 로프(7)의 주행에 의해, 제2 동작 부재(24)가 감긴 스트랜드(7a)에 의해 잡아 당겨져, 로프 파단 검출 장치(10)가 손상되는 사태의 발생이 억제된다.
제1 이물 제거 슈(20) 및 제2 이물 제거 슈(28)가 제1 동작 부재(15) 및 제2 동작 부재(24)의 로프(7)의 길이 방향의 양측에 배치되어 있다. 게다가, 간극(d2)이 간극(d1)과 동일하거나, 그것보다 작게 되어 있다. 그래서, 로프(7)에 부착되는 티끌이나 고화유(固化油)가 제1 이물 제거 슈(20) 및 제2 이물 제거 슈(28)에 의해 떼어내어지므로, 로프(7)에 부착되는 티끌이나 고화유가 제1 동작 부재(15) 및 제2 동작 부재(24)를 압압하여 리미트 스위치(16)를 ON시키는 것이 확실히 회피된다.
제1 커버(19)가 리미트 스위치(16)를 덮도록 하우징(11)에 장착되어 있으므로, 로프(7)에 부착되어 있는 고화유가, 로프(7)의 주행시에, 리미트 스위치(16)에 비산(飛散)하여, 리미트 스위치(16)의 동작 불량을 일으키게 하는 사태의 발생이 억제된다.
또, 제1 가동 부재(12) 및 제1 동작 부재(15)로 이루어지는 주검출부를 로프열의 일측에 배치하고, 제2 가동 부재(22), 제2 동작 부재(24) 및 토크 전달 부재(25)로 이루어지는 보조 검출부를 로프열의 타측에 배치하고 있다. 그래서, 로프(7)의 외주로부터 들뜬 스트랜드(7a)를 로프열의 양측에서 검출할 수 있으므로, 스트랜드(7a)의 파단 발생의 검출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또, 보조 검출부에서 얻어진 회전 토크가 토크 전달 부재(25)를 매개로 하여 주검출부에 전달되므로, 리미트 스위치(16)를 주검출부 측에만 배치하면 되어, 로프 파단 검출 장치(10)의 저비용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 형태 1에서는, 제1 이물 제거 슈(20) 및 제2 이물 제거 슈(28)가 제1 동작 부재(15) 및 제2 동작 부재(24)의 로프(7)의 길이 방향의 양측에 배치되어 있지만, 제1 이물 제거 슈(20) 및 제2 이물 제거 슈(28)는, 제1 동작 부재(15) 및 제2 동작 부재(24)의 로프(7)의 길이 방향 중 적어도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면 좋다.
실시 형태 2.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관한 로프 파단 검출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에서, 제1 동작 부재(15A) 및 제2 동작 부재(24A)의 로프열과 서로 마주하는 측(側)이, 홈(29)을 제1 동작 부재(15A) 및 제2 동작 부재(24A)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하여 요철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실시 형태 2의 다른 구성은 상기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로프 파단 검출 장치(10A)의 스트랜드(7a)의 파단 검출 동작은, 상기 실시 형태 1에 의한 로프 파단 검출 장치(10)와 동일하므로, 여기에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로프(7)의 주행 속도가 고속인 경우에는, 로프(7)의 외주로부터 들뜬 스트랜드(7a)는, 원기둥 모양의 제1 동작 부재(15) 및 제2 동작 부재(24)에 닿거나, 리미트 스위치(16)의 내부 스위치를 ON으로 할 수 있는 회동력을 제1 동작 부재(15) 및 제2 동작 부재(24)에 부여할 수 있다. 그렇지만, 로프(7)의 주행 속도가 저속인 경우에는, 로프(7)의 외주로부터 들뜬 스트랜드(7a)는, 원기둥 모양의 제1 동작 부재(15) 및 제2 동작 부재(24)에 닿으면, 탄성 변형하여, 리미트 스위치(16)의 내부 스위치를 ON으로 할 수 있는 회동력을 제1 동작 부재(15) 및 제2 동작 부재(24)에 부여할 수 없을 우려가 있었다.
이 실시 형태 2에서는, 제1 동작 부재(15A) 및 제2 동작 부재(24A)의 로프열과 서로 마주하는 측이 요철면으로 되어 있으므로, 로프(7)의 주행 속도가 저속인 경우에도, 로프(7)의 외주로부터 들뜬 스트랜드(7a)가 홈(29)에 걸려, 확실히 스트랜드(7a)의 파단을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로프(7)의 외주로부터 들뜬 스트랜드(7a)가 홈(29)에 걸리기 쉬워지는 관점에서, 홈(29)의 홈 폭을 스트랜드(7a)의 직경보다 넓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실시 형태 1, 2에서는, 제1 및 제2 동작 부재가 원기둥체로 제작되어 있지만, 제1 및 제2 동작 부재의 형상은 원기둥체로 한정되지 않고, 로프열을 로프 배열 방향으로 횡단하는 길이를 가지고 있으면 좋다. 또, 제1 동작 부재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의 외주면은, 제2 캠에 걸릴 수 있는 곡면 형상으로 되어 있으면 좋다.
실시 형태 3.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관한 로프 파단 검출 장치의 설치 방법을 설명하는 요부 측면도이며, 도 5의 (a)는 제1 동작부의 위치 조정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도 5의 (b)는 제1 동작부의 위치 조정 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관한 로프 파단 검출 장치의 설치 방법을 설명하는 요부 상면도이며, 도 6의 (a)는 제1 동작부의 위치 조정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도 6의 (b)는 제1 동작부의 위치 조정 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관한 로프 파단 검출 장치의 제1 동작 부재 둘레를 연직 상부로부터 본 요부 상면도이다. 또, 도 5는 로프 파단 검출 장치의 제1 동작 부재 주위를 리미트 스위치측으로부터 본 도면이며, 도 6은 로프 파단 검출 장치의 제1 동작 부재 둘레를 연직 상부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에서, 제1 동작 부재(15B)는, 제1 가동 부재(12)의 타단에 제1축(14)의 축방향과 평행하게 고착된, 단면이 직사각형인 제1 고정부(151)와, 제1 고정부(151)에 그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제1 동작부(152)와, 제1 동작부(152)를 제1 고정부(151)에 고정하는 볼트(153)를 구비한다. 제1 동작부(152)는, L자 모양으로 제작되어 있다. 한 쌍의 슬라이드 구멍(154)이, 제1 동작부(152)의 L자 모양의 일편(一片)의 길이 방향 양측에, 구멍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여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동작부(152)는, 볼트(153)를 슬라이드 구멍(154)에 통과시켜 제1 고정부(151)에 체결하여, 제1 고정부(151)에 고정되고, 볼트(153)의 체결을 느슨하게 하여, 제1 고정부(151)의 길이 방향, 즉 슬라이드 구멍(154)의 구멍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슬라이드 이동량이 로프(7)의 배열 피치(p)의 절반으로 되어 있다.
제1 동작부(152)의 L자 모양의 타편(他片)은, 제1 고정부(151)에 장착되었을 때에, 제1 고정부(151)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원호 모양의 검출면(155)이, 각각, 제1 동작부(152)의 타편의 제1 고정부(151)로부터 돌출되어 로프(7)와 서로 마주하는 면에 오목하게 마련되어, 로프(7)의 배열 피치(p)와 동일한 피치로 길이 방향으로 3개 형성되어 있다. 게다가, 제1 동작부(152)의 타편의 제1 고정부(151)로부터 돌출되어 로프(7)와 서로 마주하는 면은, 3개의 로프(7)가 1열로 늘어놓여진 로프열과 평행한 가이드면(156)으로 되어 있다. 검출면(155)은, 곡률 반경 r2가 (r1+d1)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r1은 로프(7)의 반경이다.
또, 실시 형태 3에 의한 로프 파단 검출 장치는, 제1 동작 부재(15)를 대신하여 제1 동작 부재(15B)를 이용하고, 제2 하우징(21), 제2 가동 부재(22), 제2 동작 부재(24), 및 토크 전달 부재(25)로 이루어지는 보조 검출부를 생략하고 있는 점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 형태 1과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실시 형태 3에서는, 제1 가동 부재(12) 및 리미트 스위치(16)가 장착된 제1 하우징(11)을, 쉬브(5)의 근방의, 3개의 로프(7)가 1열로 늘어놓여진 로프열의 일측에, 제1 동작 부재(15B)를 로프열을 향하게 하고, 제1 동작 부재(15)의 축방향을 로프열의 배열 방향과 평행이 되도록, 그 하단부를 기계대(30)에 가(假)고정한다. 그리고, 볼트(153)를 느슨하게 하여, 볼트(153)가 슬라이드 구멍(154)의 일단에 접할 때까지 제1 동작부(152)를 슬라이드 이동시켜, 볼트(153)를 체결하고, 제1 동작부(152)를 제1 위치에 위치시킨다.
다음으로, 도 5의 (a) 및 도 6의 (a)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제1 동작부(152)의 검출면(155) 사이의 가이드면(156)이 로프(7)에 접하도록, 제1 하우징(11)의 위치를 조정하고, 제1 하우징(11)을 기계대(30)에 고정한다. 다음으로, 볼트(153)를 느슨하게 하여, 도 5의 (b) 및 도 6의 (b)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볼트(153)가 슬라이드 구멍(154)의 타단에 접할 때까지 제1 동작부(152)를 슬라이드 이동시켜, 볼트(153)를 체결하고, 제1 동작부(152)를 제2 위치에 위치시킨다. 이 때의 제1 동작부(152)의 슬라이드 이동량은 p/2가 된다. 이것에 의해, 도 7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검출면(155)은, 그 원호면의 곡률 중심이 로프(7)의 축심(O)과 일치하도록 배치되며, 검출면(155)과 로프(7)와의 거리가 d1이 된다. 또, 원호면의 중심각(θ)이 스트랜드(7a)의 검출 범위가 된다.
이 실시 형태 3에 의하면, 제1 동작 부재(15B)는, 길이 방향을 제1축(14)의 축방향과 평행하게 하여 제1 가동 부재(12)의 선단에 고착된 제1 고정부(151)와, 제1 위치와 제1 위치로부터 제1 고정부(151)의 길이 방향의 일측에 로프(7)의 배열 피치(p)의 절반만큼 어긋난 제2 위치와의 사이를 왕복 이동 가능하게 제1 고정부(151)에 장착된 제1 동작부(152)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제1 동작부(152)의 제1 고정부(151)로부터 로프열측으로 돌출되어 로프열과 서로 마주하는 면이, 제1 위치에 위치할 때에만, 로프(7)에 접하는 가이드면(156)과, 제2 위치에 위치할 때에만, 로프(7)와 거리 d1만큼 떨어지는 검출면(155)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래서, 제1 하우징(11)을 기계대(30)에 가고정한 상태에서, 제1 동작부(152)를 제1 위치에 위치시킨 후, 가이드면(156)이 로프(7)에 접하도록 제1 하우징(11)의 위치를 조정하고, 기계대(30)에 고정한다. 그 후, 제1 동작부(152)를 제2 위치에 위치시킴으로써, 검출면(155)과 로프(7)와의 거리가 d1로 조정된다. 따라서, 검출면(155)과 로프(7)의 사이의 거리를 계측하면서, 제1 하우징(11)을 위치 조정한다고 하는 번잡한 작업이 불필요하게 되어, 로프 파단 검출 장치를 간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검출면(155)이 원호면으로 되어 있으므로, 검출면이 평탄면으로 되어 있는 경우에 비해, 검출 범위가 증대된다. 그래서, 스트랜드(7a)의 검출 정밀도가 높아지므로, 로프 파단의 검출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여기서, 검출면(155)의 중심각(θ)을 변화시킴으로써, 스트랜드(7a)의 검출 범위를 적절히 설정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검출면(155)의 중심각(θ)을 180°로 하면, 스트랜드(7a)의 검출 범위는 180°가 된다.
또, 상기 실시 형태 3에서는, 제1 동작부의 검출면이 원호면으로 되어 있지만, 검출면은, 가이드면을 깊이 d1만큼 움푹 패이게 하여 형성된 오목부의 저면에 의해 구성되는 평탄면으로 해도 괜찮다.
또, 상기 실시 형태 3에서는, 주검출부만을 가지고 있지만, 보조 검출부를 구비하고 있어도 괜찮다. 이 경우, 보조 검출부의 제2 동작부를 주검출부의 제1 동작부와 마찬가지로 구성하면 좋다.
또,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는, 3개의 로프가 1열로 배열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고 있지만, 로프의 갯수는 3개로 한정되지 않고, 2개라도, 4개 이상이라도 괜찮다.

Claims (8)

  1. 일단에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이 연결된 복수개의 로프의 파단을 검출하는 로프 파단 검출 장치로서,
    제1축 둘레로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고, 제1 캠이 후단에 형성된 제1 가동 부재, 및 길이 방향을 상기 제1축의 축방향과 평행하게 하여 상기 제1 가동 부재의 선단에 고착된 제1 동작 부재를 가지며, 상기 복수개의 로프가 1열로 배열된 로프열(列)에 상기 제1 동작 부재를 향하게 하고, 상기 제1축의 축방향을 상기 로프열의 로프 배열 방향과 일치시켜, 상기 제1 동작 부재가 상기 로프열의 일측을 로프 배열 방향으로 횡단하도록 배치되는 주(主)검출부와,
    스위치 케이스에 근원(根元)측이 회동축 둘레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롤러가 선단에 장착된 액추에이터를 가지며, 상기 롤러를 상기 제1 캠에 걸림 상태로 하여, 상기 회동축의 축심과 상기 제1축의 축심이 서로 평행이고, 또한 상기 로프와 직교하는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리미트 스위치를 구비하며,
    상기 주검출부는, 상기 로프의 파단 발생시에 상기 로프의 외주면으로부터 들뜨는 스트랜드(strand)가 상기 제1 동작 부재를 압압(押壓)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제1 가동 부재가 상기 제1축 둘레로 회동하여, 상기 로프의 파단 발생을 검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리미트 스위치는, 상기 제1 가동 부재의 상기 제1축 둘레의 회동시에, 상기 롤러가 상기 제1 캠에 의해 안내되어 이동하는 것에 의해, 상기 액추에이터가 상기 회동축 둘레로 회동하여, 상기 로프의 파단 발생의 검출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로프 파단 검출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롤러와 상기 제1 캠과의 걸림 상태가, 상기 로프의 파단 발생의 검출 신호의 출력후에, 해제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로프 파단 검출 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동작 부재의 상기 로프열과 서로 마주하는 면(面)이 요철면으로 되어 있는 로프 파단 검출 장치.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동작 부재는, 길이 방향을 상기 제1축의 축방향과 평행하게 하여 상기 제1 가동 부재의 선단에 고착된 제1 고정부와, 제1 위치와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1 고정부의 길이 방향의 일측에 상기 로프의 배열 피치의 절반만큼 어긋난 제2 위치와의 사이를 왕복 이동 가능하게 상기 제1 고정부에 장착된 제1 동작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동작부의 상기 제1 고정부로부터 상기 로프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로프열과 서로 마주하는 면이,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할 때에만, 상기 로프에 접하는 가이드면과, 상기 제2 위치에 위치할 때에만, 상기 로프와 일정한 거리 떨어지는 검출면으로 구성되어 있는 로프 파단 검출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검출면은, 상기 제2 위치에 위치할 때에, 상기 로프의 축심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면(圓弧面)에 형성되어 있는 로프 파단 검출 장치.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동작 부재와 상기 로프열과의 사이의 제1 간극과 동일하거나, 혹은 상기 제1 간극보다 작은 제2 간극을 상기 로프열과의 사이에 확보하여, 상기 제1 동작 부재의 상기 로프의 길이 방향 중 적어도 일측에 배치되는 이물 제거 슈(shoe)를 구비하는 로프 파단 검출 장치.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리미트 스위치를 덮는 커버를 구비하는 로프 파단 검출 장치.
  8.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제2축 둘레로 회동 가능하게 구성된 제2 가동 부재, 길이 방향을 상기 제2축의 축방향과 평행하게 하여 상기 제2 가동 부재의 선단에 고착된 제2 동작 부재, 및 선단에 제2 캠이 형성되고, 후단측을 상기 제2 동작 부재의 단부에 고착한 토크 전달 부재를 가지는 보조 검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보조 검출부는, 상기 제2 동작 부재를 상기 로프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동작 부재에 대향시키고, 또한 상기 제2 캠을 상기 제1 동작 부재에 걸림 상태로 하여, 상기 제2축의 축심과 상기 제1축의 축심이 서로 평행이고, 또한 상기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로프 파단 검출 장치.
KR1020177012545A 2014-10-16 2015-06-03 로프 파단 검출 장치 KR1019111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PCT/JP2014/077518 2014-10-16
PCT/JP2014/077518 WO2016059695A1 (ja) 2014-10-16 2014-10-16 ロープ破断検出装置
PCT/JP2015/066003 WO2016059825A1 (ja) 2014-10-16 2015-06-03 ロープ破断検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5656A KR20170065656A (ko) 2017-06-13
KR101911192B1 true KR101911192B1 (ko) 2018-10-23

Family

ID=55746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2545A KR101911192B1 (ko) 2014-10-16 2015-06-03 로프 파단 검출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192852B2 (ko)
KR (1) KR101911192B1 (ko)
CN (1) CN106794963B (ko)
WO (2) WO201605969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56983B (zh) * 2017-05-24 2019-04-23 住友富士电梯有限公司 一种电梯钢丝绳检测装置
CN108726304A (zh) * 2018-06-28 2018-11-02 艾陌极智能装备(深圳)有限公司 一种吊篮钢丝绳破损智能检测装置
CN109534171A (zh) * 2018-12-11 2019-03-29 株洲天桥起重机股份有限公司 一种四绳抓斗起重机钢丝绳断绳检测装置
CN109626178A (zh) * 2019-01-31 2019-04-16 北京福得伟业电梯维护有限公司 一种用于电梯曳引钢丝绳的维护检查装置及维护检查方法
CN110596197B (zh) * 2019-09-18 2022-08-19 日立电梯(中国)有限公司 一种用于钢带内钢绳检测的连接装置
CN114314265B (zh) * 2021-12-25 2022-09-30 湖南亚富智能设备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无下梁结构的无机房轿底返绳轮结构
CN115465751A (zh) * 2022-10-14 2022-12-13 贵州中航电梯有限责任公司 一种防止电梯意外移动的保护系统及其保护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43645A (ja) 2006-12-08 2008-06-26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メインロープ異常検出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エレベータ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7754B2 (ja) * 1976-07-21 1985-05-07 三菱電機株式会社 ワイヤロ−プの異常検出装置
JPH08333066A (ja) * 1995-06-09 1996-12-17 Mitsubishi Denki Bill Techno Service Kk エレベーター用ロープ破断検出装置
JP2002003119A (ja) * 2000-06-27 2002-01-09 Toshiba Corp ロープ異常検出装置及び同装置を備えたエレベーター制御装置
JPWO2011158871A1 (ja) * 2010-06-16 2013-08-19 Natac株式会社 エレベータ用ワイヤロープの損傷監視方法及びエレベータ用ワイヤロープの損傷監視装置
KR20120052810A (ko) * 2010-11-16 2012-05-24 한국미쓰비시엘리베이터 주식회사 승강기용 와이어 로프 파단 감지장치
CN203638915U (zh) * 2014-01-12 2014-06-11 海力建设集团有限公司 升降机缆绳即时检测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43645A (ja) 2006-12-08 2008-06-26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メインロープ異常検出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エレベー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59825A1 (ja) 2016-04-21
CN106794963A (zh) 2017-05-31
JPWO2016059825A1 (ja) 2017-04-27
JP6192852B2 (ja) 2017-09-06
CN106794963B (zh) 2018-11-13
KR20170065656A (ko) 2017-06-13
WO2016059695A1 (ja) 2016-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1192B1 (ko) 로프 파단 검출 장치
US8931350B2 (en) Rope test stand
US4145920A (en) Apparatus for detecting abnormal condition of wire rope
US9604821B2 (en) Traction sheave elevator with drive member slippage control
CN1950286B (zh) 电梯装置
CA2942688A1 (en)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rope disorder during multi-layer rope winding on reel
US10124991B2 (en) Car speed monitoring assembly for an elevator
KR101420111B1 (ko) 에스컬레이터 역회전 방지 장치
KR20150089079A (ko) 엘리베이터 장치
JP5387758B2 (ja) 省スペースエレベーター
JP6939994B2 (ja) 溝摩耗検知装置
KR100797536B1 (ko) 윈치형 리깅장치
FI119766B (fi) Menetelmä hissin taitto- ja/tai vetopyörien köysiurien kulumisen tunnistamiseksi ja hissi
CN111217276B (zh) 用于离合器型制动器调整的故障安全杆
US7419033B2 (en) Emergency brake device for elevator
CN211169381U (zh) 一种电梯钢丝绳跳槽脱槽检测装置
EP2873638A1 (en) Elevator drive
KR102155308B1 (ko) 케이지 평형유지 장치
JP2014037302A (ja) エレベーター
JP7347717B2 (ja) 溝摩耗量の測定方法、測定装置、及びエレベーター用綱車
JP6585852B2 (ja) 調速機、および、エレベータ装置
KR102179010B1 (ko) 케이지의 추락방지 장치
US9884748B2 (en) Elevator system
KR820001614Y1 (ko) 와이어 로우프의 이상검출장치(異常檢出裝置)
JP2004196449A (ja) エレベ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