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0111B1 - 에스컬레이터 역회전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에스컬레이터 역회전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0111B1
KR101420111B1 KR1020140037089A KR20140037089A KR101420111B1 KR 101420111 B1 KR101420111 B1 KR 101420111B1 KR 1020140037089 A KR1020140037089 A KR 1020140037089A KR 20140037089 A KR20140037089 A KR 20140037089A KR 101420111 B1 KR101420111 B1 KR 1014201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verse rotation
escalator
wire
rotary shaft
brake dr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70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호
이재호
민순기
Original Assignee
이현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현호 filed Critical 이현호
Priority to KR10201400370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01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01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01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5/00Control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5/003Methods or algorithm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0Component part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2Driving gear
    • B66B23/026Driving gear with a drive or carrying sprocket wheel located at end por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5/00Control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5/006Monitoring for maintenance or repair

Landscapes

  •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역회전 방지를 위한 제동 장치가 구비되지 않은 에스컬레이터 내부의 협소한 공간에 설치할 수 있는 에스컬레이터 역회전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역회전 방지 장치는 구동 모터로부터 전달된 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의 양측 단부에 설치된 스프로켓에 의해 동작하는 본 발명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역회전 방지 장치는 회전축의 역회전을 감지하는 역회전 감지부, 회전축을 정지시키는 밴드 브레이크 및 역회전 감지부를 통해 회전축의 역회전이 감지되면, 유압을 이용해 상기 밴드 브레이크를 동작시키는 역회전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에스컬레이터 역회전 방지 장치{APPARATUS FOR PREVENTING REVERSE ROTATION OF ESCALATOR}
본 발명은 에스컬레이터에 관한 기술로, 보다 상세하게는 에스컬레이터를 운행하는 도중에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에스컬레이터의 제동 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에스컬레이터(Escalator)는 사람이나 화물이 자동적으로 위아래 층으로 오르내릴 수 있도록 만든 계단 모양의 장치로, 탑승한 계단이 경사면을 따라 승강 또는 하강하면서 동시에 다수의 사람 또는 화물을 이동시키는 운송수단이다. 이와 같은 에스컬레이터는 지하철 및 백화점과 같은 대중 교통 시설 및 공공시설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인 에스컬레이터는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을 통해 전동체인이 이동하며, 다수의 계단을 경사면을 따라 순차적으로 이동시켜 승강 또는 하강하도록 한다. 에스컬레이터는 한번에 다수의 사람이 탑승하며 많은 시간을 운용하기 때문에, 상승 또는 하강 중에 기계적 또는 전자적인 결함이나 오작동으로 인해 역회전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1970년부터 건설이 추진되기 시작한 지하철 역사에 설치된 에스컬레이터의 경우, 노후화로 인한 에스컬레이터의 피로도 누적으로 인해 감속기 주축절단 및 모터 축의 파손 등으로 인한 역회전이 종종 발생하고 있다. 오작동으로 인해 에스컬레이터의 역회전이 발생하는 경우, 반동으로 탑승객들이 넘어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다수의 탑승객이 에스컬레이터에서 떨어지며 대형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예방하기 위해서 최근 들어 에스컬레이터의 역회전을 방지할 수 있는 다양한 제동 장치를 구비한 에스컬레이터가 설치되고 있다. 하지만, 지하철 역사에 설치된 에스컬레이터와 같이 오래 전 설치된 에스컬레이터의 경우 에스컬레이터 역회전 방지 장치가 구비되어 있지 않은 경우가 많다. 따라서, 종래의 역회전 방지 장치가 구비되지 않은 에스컬레이터에 역회전 방지 장치를 추가하는 방안이 연구되고 있다. 종래의 에스컬레이터의 경우, 역회전 방지 장치를 에스컬레이터 내부에 추가 설치해야 하지만, 구동 계단의 회전으로 설치공간이 협소하다. 도 1을 살펴보면, 구동 모터(10)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동 계단(20)을 이동시키는 회전축(30)의 내부 공간은 상하좌우로 100mm 이내의 넓이만을 가지기 때문에, 공간협소로 인해 역회전 방지 장치를 구비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존재한다.
디스크 양면이 밀착하여 제동력이 발생하는 디스크 브레이크(Disc Brake)는 일반적으로 에스컬레이터에서 많이 사용되는 제동 장치이지만, 다소 넓은 공간을 요구하기 때문에 종래의 에스컬레이터의 협소한 공간에는 추가적으로 설치하지 못한다. 반원형 라이닝을 양쪽에서 밀착시켜 제동력을 발생하는 드럼 브레이크(Drum Brake)는 구동 계단 방향에만 드럼 설치가 가능하기 때문에 다른 한쪽에 드럼 설치가 불가능하여 설치하지 못한다. 캘리퍼(Caliper)를 이용한 제동 장치는 설치 공간이 협소하여 충분한 크기의 패드를 설치할 수 없어 에스컬레이터 역회전 시 필요한 제동력을 확보하지 못한다. 에스컬레이터 내부 공간이 협소한 문제로 인한 상기 제동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방안으로 솔레노이드 브레이크(Solenoid Brake)를 이용한 역회전 방지장치가 고안되어 노후화된 에스컬레이터에 적용되었다. 솔레노이드 브레이크는 전자식 솔레노이드 장치를 이용해 스프로켓의 홈에 핀을 삽입하여 에스컬레이터를 제동하는 구조를 가진다. 하지만, 에스컬레이터 역회전으로 인한 비상 제동 시에 제동 충격으로 인해 핀이 파손되어 역회전 방지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였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역회전 방지를 위한 제동 장치가 구비되지 않은 에스컬레이터 내부의 협소한 공간에 설치할 수 있는 제동 장치를 포함하는 에스컬레이터 역회전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구동 모터로부터 전달된 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의 양측 단부에 설치된 스프로켓에 의해 동작하는 본 발명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역회전 방지 장치는 회전축의 역회전을 감지하는 역회전 감지부, 회전축을 정지시키는 밴드 브레이크 및 역회전 감지부를 통해 회전축의 역회전이 감지되면, 유압을 이용해 상기 밴드 브레이크를 동작시키는 역회전 제어부를 포함한다. 밴드 브레이크는 회전축의 외부에서 두 개의 반원형 드럼이 원통형으로 결합되어 회전축과 연결되는 브레이크 드럼, 결합된 브레이크 드럼의 외주면에 위치하며, 일측단부는 고정되고, 타측단부는 역회전 제어부에 결합되어 있으며, 역회전 제어부에 의해 인장되는 와이어 및 와이어의 내측면에 위치하며, 와이어의 인장에 의해 브레이크 드럼의 외주면과 접면되는 연질화(Flexible)된 라이닝을 포함한다.
라이닝은 브레이크 드럼의 외주면의 60%만 감싸도록 설계될 수 있다. 그리고, 밴드 브레이크의 외경은 회전축의 내부공간 내에 설치될 수 있도록 회전축의 최대 외경인 100mm 미만으로 한다. 또한, 역회전 감지부는 회전축의 일측단부에 위치한 스프로켓의 톱니에 근접하여 위치한 제1 근접센서(Proximity Sensor) 및 이 홈에 근접하여 위치한 제2 근접센서의 신호 측정 순서에 따라 회전축의 역회전을 감지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역회전 방지 장치는 에스컬레이터를 제동하기 위해 밴드 브레이크를 기반으로 한 제동장치를 이용하여, 에스컬레이터의 회전축 내부의 협소한 공간에 설치가 가능하다. 따라서, 디스크 브레이크 또는 드럼 브레이크가 추가적으로 설치될 수 없는 종래에 설치되어 있는 에스컬레이터에 추가 시공하는데 용이하다. 또한, 두 개의 드럼을 회전축 외부에서 결합하기 때문에, 디스크 브레이크 또는 드럼 브레이크와 달리 회전축을 분해하여 결합하지 않아 시공 과정이 단순해 질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에스컬레이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역회전 방지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역회전 방지 장치의 역회전 감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역회전 방지 장치의 브레이크 드럼(151)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역회전 방지 장치의 감시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역회전 방지 장치의 도 2의 A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및 단어들은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선택된 용어들로서, 그 용어의 의미는 발명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후술하는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정의된 경우에는 그 정의에 따르며, 구체적인 정의가 없는 경우는 당업자들이 일반적으로 인식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에스컬레이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에 설치된 통상적인 에스컬레이터는 에스컬레이터를 구동하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모터(10), 구동 모터(10)에서 전달되는 동력을 감속하는 감속기(11), 구동 모터(10)부터 전달된 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30), 회전축의 양측 단부에 설치된 스프로켓(31), 사람을 이송하는 구동 계단(20) 및 스프로켓(31)과 구동 계단(20)을 연결하여 동력을 전달하는 전동체인(32)을 포함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에 설치된 에스컬레이터는 일반적으로 감속기(11)에서 제동장치 역할을 함께 수행하는 경우가 많다.
에스컬레이터는 한번에 다수의 사람이 탑승하며 많은 시간을 운용하기 때문에, 노후화로 인한 에스컬레이터의 피로도 누적으로 인해 감속기 주축절단 및 모터 축의 파손 등으로 인한 역회전이 종종 발생하고 있다. 오작동으로 인해 에스컬레이터의 역회전이 발생하는 경우, 반동으로 탑승객들이 넘어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다수의 탑승객이 에스컬레이터에서 떨어지며 대형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특히, 지하철 역사에 설치된 에스컬레이터와 같이 오래 전 설치된 에스컬레이터의 경우 에스컬레이터 역회전 방지 장치가 구비되어 있지 않은 경우가 많아, 이와 같은 사고에 더욱 취약한 실정이다. 따라서, 종래의 역회전 방지 장치가 구비되지 않은 에스컬레이터에 역회전 방지 장치를 추가하는 방안이 연구되고 있다. 종래의 에스컬레이터의 경우, 역회전 방지 장치를 에스컬레이터 내부에 추가 설치해야 하지만, 구동 계단의 회전으로 설치공간이 협소하다. 감속기(11)의 제동 능력은 갑작스럽게 발생한 역회전 시 에스컬레이터를 제동할 수 있을 만큼 충분한 제동력을 확보하기 어렵기 때문에, 회전축(30)을 직접 제동할 수 있는 방안을 필요로 한다. 하지만, 구동 모터(10)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동 계단(20)을 이동시키는 회전축(30)의 내부 공간(35)은 상하좌우로 100mm 이내의 넓이만을 가지기 때문에, 공간협소로 인해 역회전 방지 장치를 구비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존재한다. 결국, 에스컬레이터 역회전 방지 장치에서 회전축(30)을 제동하는 브레이크는 회전축(30)의 내부 공간인 상하좌우 100mm 이내에 설치가 가능해야 하는 제약 조건을 가진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역회전 방지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역회전 방지 장치는 역회전 감지부(110), 역회전 제어부(130) 및 밴드 브레이크(150)를 포함한다.
역회전 감지부(110)는 구동 모터(10)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동 계단(20)을 이동시키는 회전축(30)의 일측단부에 위치한 스프로켓 주변에 위치하며, 한 쌍의 제1 근접센서(Proximity Sensor) 및 제2 근접센서를 포함한다. 역회전 감지부(110)는 구비된 제1 근접센서 및 제2 근접센서의 신호 측정 순서에 따라 상기 회전축의 역회전을 감지한다. 회전축(30)은 양 단부에 구동 계단(20)과 연결된 체인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스프로켓을 구비하고 있다. 역회전 감지부(110)는 제1 근접센서 및 제2 근접센서의 감지 순서를 통해 회전축(30)의 정회전 및 역회전을 판단할 수 있다. 이 홈과 톱니는 제1 근접센서 및 제2 근접센서와의 거리(이격 거리)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제1 근접센서 및 제2 근접센서는 이 홈과 톱니를 구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축(30)의 스프로켓 톱니가 제1 근접센서에서 먼저 감지되고 이후 제2 근접센서에서 감지된다면 회전축(30)이 정회전을 하고 있다고 판단하며, 반대로 제2 근접센서에서 먼저 감지된 후 제1 근접센서에서 감지된다면 회전축(30)이 역회전을 하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역회전 감지부(110)는 후술하는 도 3에서 추가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역회전 제어부(130)는 역회전 감지부(110)를 통해 역회전이 감지되면, 밴드 브레이크(150)를 동작시킨다. 이를 위해, 역회전 제어부(130)는 컨트롤러부(131), 유압 유니트(132), 전동기(133), 유압펌프(134) 및 솔레노이드 벨브(135)로 구성될 수 있다. 역회전 감지부(110)의 제1 근접센서 및 제2 근접센서의 신호 인식 순서가 바뀌면, 컨트롤러부(131)는 회전축(30)이 역회전을 한 것으로 판단한다. 회전축(30)이 역회전을 한 것으로 판단되면, 컨트롤러부(131)는 유압 유니트(132), 전동기(133), 유압펌프(134) 및 솔레노이드 벨브(135)를 통해 밴드브레이크(150)를 동작시킨다. 또한, 역회전 제어부(130)는 압력 감지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압력 감지부는 와이어(152)가 제동 시 역회전 제어부(130)와 연결된 강판에 가하는 적정압력을 감지하여 정상동작 유무를 감지한다. 역회전 제어부(130)에 의해 역회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와이어(152)가 당겨지면, 와이어(152) 강판의 늘어짐을 감지함으로써, 강판의 늘어짐을 방지하여 브레이크의 토크 저하상태를 알 수 있다.
밴드 브레이크(150)는 브레이크 드럼(151), 와이어(152) 및 라이닝(153)을 포함한다. 브레이크 드럼(151)은 두 개의 반원형 드럼이 하나로 결합된 원형 형태를 가진다. 브레이크 드럼(151)을 구성하는 두 개의 반원형 드럼은 중앙에 회전축(30)이 통과할 수 있는 홈을 가지고 있으며, 두 개의 반원형 드럼이 회전축(30)의 외부에서 결합되어 브레이크 드럼(151)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브레이크 드럼(151)은 두 개의 반원형 드럼을 회전축(30) 외부에서 결합하는 형태를 가지기 때문에 기존의 회전축(30)을 분해하여 조립할 필요가 없다.
와이어(152)는 회전축(30) 외부에 결합된 브레이크 드럼(151)의 외주면에 위치한다. 그리고, 와이어(152)의 일측단부는 실린더 고정 하우징에 고정되며, 와이어(152)의 타측단부(일측단부의 반대측)는 역회전 제어부(130)에 연결된다. 그리고, 와이어(152)의 내측면에는 라이닝(153)이 위치한다. 회전축(30)의 역회전을 감지한 역회전 제어부(130)가 유압 장치를 통해 와이어(152)를 당기면, 와이어(152)가 인장력에 의해 브레이크 드럼(151)의 외주면에 접근하게 되고, 와이어(152)의 내측면에 위치한 라이닝(153)이 브레이크 드럼(151)의 외주면과 접촉하여 마찰력에 의해 회전축(30)을 정지시킨다.
와이어(152)의 내측면에 위치한 라이닝(153)은 기존의 브레이크가 경질화된 라이닝을 사용하는데 반하여, 연질화(Flexible)된 라이닝(153)을 사용하여 유연성을 가진다. 일반적인 밴드 브레이크는 경질화된 라이닝을 사용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역회전 방지 장치는 연질화된 라이닝을 이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역회전 방지 장치는 기존에 설치된 에스컬레이터 내부의 협소한 공간에 추가적으로 설치되어 에스컬레이터의 역회전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내부 공간이 협소한 문제와 에스컬레이터의 상황에 따라 밴드 브레이크(150) 및 와이어(152)를 설치하는 위치와 방향이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밴드 브레이크(150) 및 와이어(152)의 위치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연질화된 라이닝(153)을 사용한다. 경질화된 라이닝을 사용할 경우, 밴드 브레이크(150) 및 와이어(152)의 위치와 방향에 따라 고정된 형태를 가지기 때문에, 위치와 방향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없다. 또한, 라이닝(153)은 브레이크 드럼(151)의 외주면을 60%만을 감싸도록 설계될 수 있다. 와이어(152) 및 브레이크 드럼(151)의 폭은 필요로 하는 에스컬레이터 제동력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용어의 편의를 위하여 와이어(152)라는 용어로 통일하였으나, 와이어(152)는 광폭을 요구하는 경우 강판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와이어(152)는 높은 제동력을 가지기 위하여 340mm의 광폭을 가지는 강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역회전 발생시 회전축(30)을 정지시키기 위한 밴드 브레이크(150)는 역회전 방지 설비가 구비되지 않은 에스컬레이터에 추가적으로 설치되기 용이한 형태로 설계될 수 있다. 기존의 에스컬레이터의 회전축(30)에 브레이크 장치를 설치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은 매우 협소하기 때문에, 밴드 브레이크(150)는 회전축(30)을 기준으로 상하 100mm 이내의 여유 공간에 설치가 가능해야 한다. 따라서, 밴드 브레이크(150)를 구성하는 브레이크 드럼(151)의 외경은 100mm 미만으로 설계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역회전 방지 장치의 역회전 감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역회전 방지 장치의 역회전 감지부(110)는 제1 근접센서(111) 및 제2 근접센서(112)를 포함하는 한 쌍의 근접센서로 구성된다. 제1 근접센서(111) 및 제2 근접센서(112)는 회전축의 단부에 위치한 스프로켓(31)과 소정의 거리를 이격한 장소에 순차적으로 위치하여 스프로켓(31)의 회전을 감지한다. 스프로켓(31)은 이 홈과 톱니를 가지며, 이 홈과 톱니는 제1 근접센서(111) 및 제2 근접센서(112)와의 거리(이격 거리)가 서로 다르다. 따라서, 제1 근접센서(111) 및 제2 근접센서(112)는 이 홈과 톱니를 구분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역회전 감지부(110)는 제1 근접센서(111) 및 제2 근접센서(112)가 이 홈 또는 톱니 중에서 어느 하나를 감지하는 순서를 통해 스프로켓(31)의 역회전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근접센서(111)가 먼저 톱니를 감지한 후, 제2 근접센서(112)가 톱니를 감지하면 스프로켓(31)이 정회전을 한 것으로 감지할 수 있으며, 제2 근접센서(112)가 먼저 톱니를 감지한 후, 제1 근접센서(111)가 톱니를 감지하면 스프로켓(31)이 역회전을 하는 것으로 감지할 수 있다.
또는 스프로켓(31)에 제1 근접센서(111) 및 제2 근접센서(112)가 감지할 수 있는 자성체 등을 부착하고, 부착된 자성체를 제1 근접센서(111) 및 제2 근접센서(112)가 감지하는 순서를 통해 역회전 및 정회전을 감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역회전 방지 장치의 브레이크 드럼(151)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역회전 방지 장치의 브레이크 드럼(151)은 제1 드럼(1511) 및 제2 드럼(1512)으로 구성된다. 제1 드럼(1511) 및 제2 드럼(1512)은 원통을 반으로 가른 형태를 가지며, 중앙부에 회전축(30)이 삽입될 수 있는 홈을 구비한다. 제1 드럼(1511) 및 제2 드럼(1512)은 회전축(30)의 외부에서 결합되어 브레이크 드럼(151)을 형성한다. 종래의 디스크 브레이크, 드럼 브레이크 또는 캘리퍼를 이용한 제동 장치의 경우 회전축(30)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회전축(30)을 분해하여 조립해야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제1 드럼(1511) 및 제2 드럼(1512)을 볼트(400)를 이용하여 결합하여 브레이크 드럼(151)을 형성하기 때문에, 회전축(30)을 분해하여 조립할 필요가 없다. 와이어(152)의 인장에 의해 브레이크 드럼(151)의 외주면과 라이닝(153)이 접촉하여 발생하는 마찰력을 통해 회전축(30)에 제동을 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역회전 방지 장치의 감시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스컬레티어 역회전 방지 장치는 감시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감시부(160)는 실린더 고정 하우징(161), 압력 감지부(162), 리미트 스위치(163), 열변형 감시부(164), 파손 감시부(165) 및 처짐 방지부(166)를 포함할 수 있다.
실린더 고정 하우징(161)은 와이어(152)의 일측 단부를 고정하여 와이어(152) 인장 시 브레이크 드럼(151)과 라이닝(153)이 마찰하도록 한다.
압력 감지부(162)는 와이어(152)가 제동 시 역회전 제어부(130)와 연결된 와이어(152)에 가하는 적정압력을 감지하여 정상동작 유무를 감지한다. 역회전 제어부(130)에 의해 와이어(152)가 당겨지면, 압력 감지부(162)는 와이어(152)의 늘어짐을 감지함으로써, 강판의 늘어짐을 방지하여 브레이크의 토크 저하상태를 알 수 있다.
리미트 스위치(163)는 라이닝(153)의 이상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라이닝(153)은 와이어(152)에 의해 브레이크 드럼(151)의 외주면과 접촉 시 발생하는 마찰력을 이용하여 회전축(30)을 정지시킨다. 이 과정에서 라이닝(153)은 브레이크 드럼(151)과의 접촉에 의해 점차 마모가 발생하게 되고, 마모가 발생하면 라이닝(153)의 두께가 얇아진다. 라이닝(153)의 두께가 얇아 질수록 라이닝(153)과 브레이크 드럼(151) 사이의 간격에 변화가 발생한다. 이러한 간격의 변화로 인해 실린더(60)가 와이어(152)를 당길 시, 더 많은 거리를 당겨야 한다. 리미트 스위치(163)는 실린더(60)의 이동 거리(당기는 거리)를 확인하여 사용한계까지 마모된 라이닝의 이상상태를 알려준다. 평상시 점검으로 검사하는데 어려움이 발생하는 라이닝 마모를 리미트 스위치(163)를 통해 상시 감시할 수 있다. 실린더(60)는 유압 장치(134)의 유압 실린더를 나타낸다.
열변형 감시부(164)는 마찰열에 의한 와이어(152)의 열변형을 감시한다. 라이닝(153)과 브레이크 드럼(151)이 접촉하여 에스컬레이터를 정지시킬 때, 급격한 마찰열이 발생한다. 이와 같은 마찰열은 와이어(152)에 충격을 준다. 특히, 와이어(152)가 광폭의 강판으로 구성될 경우 열변형을 동반할 수 있다. 열변형은 브레이크 동작 시 변형된 양만큼 토크를 감소시켜 성능 저하의 원인이 된다.
파손 감시부(165)는 와이어(152)의 파손을 감시한다. 브레이크 작동 시 강한 압력과 누적되는 피로도로 인해 와이어(152)의 파손이 발생할 수 있다. 파손 감시부(165)는 와이어(152)의 파손이 발생하여 발생하는 유압펌프의 실린더(60)에서 발생하는 급작스러운 압력변화를 감지하여 브레이크의 상태를 감시할 수 있다.
처짐 방지부(166)는 와이어(152)의 처짐을 감시한다. 브레이크가 작동하지 않을 경우 와이어(152)의 처짐이 발생할 수 있다. 실린더(60) 내부에 처짐 방지부(166)를 설치하여 와이어(152)가 일정한 장력을 유지하여 처짐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처짐 방지부(166)는 실린더(60) 내부에 스프링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처짐 방지부(166)를 통해 브레이크가 작동하지 않는 경우 실린더에 유압이 가해지지 않으며, 작동 시에만 유압이 가해진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역회전 방지 장치의 도 2의 A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6을 참조하면, 브레이크 드럼(151)은 라이닝(153)과의 간격(에어갭)을 유지하기 위한 간격 유지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간격 유지부(600)는 브레이크 드럼(151) 내부에 위치한 스프링(601)과 스프링(601)의 외측 단부에 연결되어 브레이크 드럼(151) 외부로 일부가 노출된 강구(602)로 구성될 수 있다. 강구(602)는 스프링(602)에 의해 일부 또는 전부가 노출되어 라이닝(153)과 브레이크 드럼(151) 사이의 간격을 유지한다. 간격 유지부(600)는 평상적인 동작 시 스프링(602)의 압력으로 브레이크 드럼(151)의 외부로 강구(602)를 밀어내어 라이닝(153)과 브레이크 드럼(151)이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여, 라이닝(153)과 브레이크 드럼(151) 사이의 간섭으로 인한 불필요한 마모를 방지한다. 그리고, 간격 유지부(600)는 브레이크 작동 시, 라이닝(153)에 의해 브레이크 드럼(151) 내부로 밀려 들어가 라이닝(153)과 브레이크 드럼(151)이 접면된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0: 구동 모터 11: 감속기
20: 구동 계단 30: 회전축
31: 스프로켓 32: 전동체인
110: 역회전 감지부
111: 제1 근접센서 112: 제2 근접센서
130: 역회전 제어부 131: 컨트롤러부
132: 유압 유니트 133: 전동기
134: 유압펌프 135: 솔레노이드 밸브
150: 밴드 브레이크 151: 브레이크 드럼
1511: 제1 드럼 1512: 제2 드럼
152: 와이어 153: 라이닝
160: 감시부 161: 실린더 고정 하우징
162: 압력 감지부 163: 리미트 스위치
164: 열변형 감시부 165: 파손 감시부
166: 처짐 방지부 400: 볼트
600: 간격 유지부 601: 스프링
602: 강구

Claims (4)

  1. 구동 모터로부터 전달된 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의 양측 단부에 설치된 스프로켓에 의해 동작하는 에스컬레이터의 역회전 방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프로켓에 근접하여 위치하며, 상기 회전축의 역회전을 감지하는 역회전 감지부; 및
    상기 역회전 감지부를 통해 상기 회전축의 역회전이 감지되면, 유압 실린더를 이용해 상기 회전축을 정지시키는 밴드 브레이크를 동작시키는 역회전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밴드 브레이크는,
    상기 스프로켓의 최대 외경 이하의 외경을 가지며, 상기 회전축의 외부에서 두 개의 반원형 드럼이 원통형으로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과 연결되는 브레이크 드럼;
    상기 브레이크 드럼의 외주면에 위치하며, 일측단부는 실린더 고정 하우징에 고정되고, 타측단부는 상기 유압 실린더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유압 실린더에 의해 인장되는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의 내측면에 위치하며, 상기 와이어의 인장에 의해 상기 브레이크 드럼의 외주면과 접면되는 연질화(Flexible)된 라이닝을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의 타측단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와이어에 제동 시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여 상기 와이어의 정상동작 유무를 감지하는 압력 감지부;
    상기 유압 실린더에 위치하며, 상기 라이닝의 마모에 따라 상기 유압 실린더가 상기 와이어를 당기는 거리의 변화를 측정하여 상기 라이닝 마모를 감시하는 리미트 스위치;
    상기 와이어에 근접하여 위치하며, 상기 라이닝과 상기 브레이크 드럼의 접촉으로 인해 발생하는 마찰열에 의한 상기 와이어의 열변형을 감시하는 열변형 감시부;
    상기 유압 실린더에 위치하며, 상기 유압 실린더에서 발생하는 압력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와이어의 파손을 감시하는 파손 감시부; 및
    상기 유압 실린더 내부에 스프링 형태로 설치되어 상기 와이어가 일정한 장력을 유지하여 처짐을 방지하는 처짐 방지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 역회전 방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역회전 감지부는 상기 회전축의 일측단부에 위치한 스프로켓의 톱니에 근접하여 위치한 제1 근접센서(Proximity Sensor) 및 이 홈에 근접하여 위치한 제2 근접센서의 신호 측정 순서에 따라 상기 회전축의 역회전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 역회전 방지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드럼 내부에 위치한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의 외측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브레이크 드럼 외부로 노출된 강구로 구성되어 상기 라이닝과 상기 브레이크 드럼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간격 유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 역회전 방지 장치.
  4. 삭제
KR1020140037089A 2014-03-28 2014-03-28 에스컬레이터 역회전 방지 장치 KR1014201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7089A KR101420111B1 (ko) 2014-03-28 2014-03-28 에스컬레이터 역회전 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7089A KR101420111B1 (ko) 2014-03-28 2014-03-28 에스컬레이터 역회전 방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0111B1 true KR101420111B1 (ko) 2014-07-17

Family

ID=51742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7089A KR101420111B1 (ko) 2014-03-28 2014-03-28 에스컬레이터 역회전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0111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8038B1 (ko) * 2015-08-27 2016-03-31 (주)신한엘리베이터 호환성·탈부착결합성이 우수한 에스컬레이터 역회전 방지용 스마트 보조브레이크장치
KR101888950B1 (ko) 2018-01-05 2018-08-16 제일에스컬레이터(주) 에스컬레이터용 역회전 방지 장치
KR20180128862A (ko) * 2017-05-24 2018-12-04 한손 리프트 (쑤저우) 씨오., 엘티디. 에스컬레이터의 스텝 스프로킷 샤프트용의 추가 제동 장치
KR20190050930A (ko) 2018-11-13 2019-05-14 제일에스컬레이터(주) 에스컬레이터용 역회전 방지장치의 메인 브라켓
KR102097030B1 (ko) 2018-11-13 2020-04-03 제일에스컬레이터(주) 에스컬레이터용 역회전 방지장치의 메인 브라켓
KR20200055691A (ko) 2020-03-27 2020-05-21 제일에스컬레이터(주) 에스컬레이터용 역회전 방지장치의 메인 브라켓
WO2020241986A1 (ko) * 2019-05-28 2020-12-03 주식회사 태성에스컬레이터 에스컬레이터용 과속 및 역주행 방지장치
KR20210004928A (ko) 2020-03-27 2021-01-13 제일에스컬레이터(주) 에스컬레이터용 역회전 방지장치의 메인 브라켓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96268A (ja) * 1992-04-16 1993-11-09 Toshiba Corp 電磁ブレーキ
JP2012166905A (ja) 2011-02-15 2012-09-06 Toshiba Elevator Co Ltd 乗客コンベアの制御装置
KR20130000237U (ko) * 2011-07-01 2013-01-09 주식회사 송산특수엘리베이터 고하중용 에스컬레이터의 디스크 유압캘리퍼식 비상정지 안전 브레이크 제어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96268A (ja) * 1992-04-16 1993-11-09 Toshiba Corp 電磁ブレーキ
JP2012166905A (ja) 2011-02-15 2012-09-06 Toshiba Elevator Co Ltd 乗客コンベアの制御装置
KR20130000237U (ko) * 2011-07-01 2013-01-09 주식회사 송산특수엘리베이터 고하중용 에스컬레이터의 디스크 유압캘리퍼식 비상정지 안전 브레이크 제어장치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8038B1 (ko) * 2015-08-27 2016-03-31 (주)신한엘리베이터 호환성·탈부착결합성이 우수한 에스컬레이터 역회전 방지용 스마트 보조브레이크장치
CN106477445A (zh) * 2015-08-27 2017-03-08 新韩电梯有限公司 兼容性高且易于安装拆分的自动扶梯防逆转智能se型辅助制动装置
KR20180128862A (ko) * 2017-05-24 2018-12-04 한손 리프트 (쑤저우) 씨오., 엘티디. 에스컬레이터의 스텝 스프로킷 샤프트용의 추가 제동 장치
KR102128334B1 (ko) * 2017-05-24 2020-06-30 한손 리프트 (쑤저우) 씨오., 엘티디. 에스컬레이터의 스텝 스프로킷 샤프트용의 추가 제동 장치
KR101888950B1 (ko) 2018-01-05 2018-08-16 제일에스컬레이터(주) 에스컬레이터용 역회전 방지 장치
WO2019135476A1 (ko) * 2018-01-05 2019-07-11 제일에스컬레이터(주) 에스컬레이터용 역회전 방지 장치
KR20190050930A (ko) 2018-11-13 2019-05-14 제일에스컬레이터(주) 에스컬레이터용 역회전 방지장치의 메인 브라켓
KR102097030B1 (ko) 2018-11-13 2020-04-03 제일에스컬레이터(주) 에스컬레이터용 역회전 방지장치의 메인 브라켓
WO2020101111A1 (ko) * 2018-11-13 2020-05-22 제일에스컬레이터(주) 에스컬레이터용 역회전 방지장치의 메인 브라켓
WO2020241986A1 (ko) * 2019-05-28 2020-12-03 주식회사 태성에스컬레이터 에스컬레이터용 과속 및 역주행 방지장치
KR20200055691A (ko) 2020-03-27 2020-05-21 제일에스컬레이터(주) 에스컬레이터용 역회전 방지장치의 메인 브라켓
KR20210004928A (ko) 2020-03-27 2021-01-13 제일에스컬레이터(주) 에스컬레이터용 역회전 방지장치의 메인 브라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0111B1 (ko) 에스컬레이터 역회전 방지 장치
KR101888950B1 (ko) 에스컬레이터용 역회전 방지 장치
KR101608038B1 (ko) 호환성·탈부착결합성이 우수한 에스컬레이터 역회전 방지용 스마트 보조브레이크장치
EP1464919B1 (en) Chain wear monitoring method and apparatus
KR100962965B1 (ko) 승객 컨베이어 구동 조립체
CN102892699B (zh) 整体式电梯安全系统
KR200466157Y1 (ko) 고하중용 에스컬레이터의 디스크 유압캘리퍼식 비상정지 안전 브레이크 제어장치
KR101911192B1 (ko) 로프 파단 검출 장치
EP1792865B1 (en) Elevator apparatus
EP2020394B1 (en) Elevator device
CA2606417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a lift cage
EP3130554A1 (en) An elevator
AU2004224888A1 (en) Brake for a lift
KR100995059B1 (ko) 에스컬레이터의 비상정지 안전 브레이크 제어장치
KR20160000775A (ko) 에스컬레이터의 역주행 방지 장치
KR102075950B1 (ko) 에스컬레이터용 역회전 방지장치의 메인 브라켓
US20170349405A1 (en) Elevator brake monitoring
EP3536649A2 (en) Magnetic speed detection device
CN113023537B (zh) 乘客输送机的异常检测系统
US9840398B2 (en) Diverting pulley arrangement, elevator, and method
JP2005189157A (ja) 被覆付きワイヤロープの異常検出装置
WO2019229890A1 (ja) 溝摩耗検知装置
JP2016044802A (ja) ライニングの偏摩耗量測定方法及びエレベーター
KR20160000776A (ko) 에스컬레이터의 역주행 방지 장치
JP2011140376A (ja) マンコンベアの制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