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8950B1 - 에스컬레이터용 역회전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에스컬레이터용 역회전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8950B1
KR101888950B1 KR1020180001868A KR20180001868A KR101888950B1 KR 101888950 B1 KR101888950 B1 KR 101888950B1 KR 1020180001868 A KR1020180001868 A KR 1020180001868A KR 20180001868 A KR20180001868 A KR 20180001868A KR 101888950 B1 KR101888950 B1 KR 1018889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scalator
reverse rotation
ratchet
ratchet wheel
suppor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18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용상
Original Assignee
제일에스컬레이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63443440&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888950(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제일에스컬레이터(주) filed Critical 제일에스컬레이터(주)
Priority to KR10201800018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89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89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8950B1/ko
Priority to PCT/KR2018/012669 priority patent/WO201913547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0Component part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2Driving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9/00Safety device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Landscapes

  •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스컬레이터용 역회전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 에스컬레이터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폴 래칫 휠 방식(Pawl ratchet wheel method)에 의해 기구적으로 작동되어 에스컬레이터 역회전 방지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에스컬레이터용 역회전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에스컬레이터용 역회전 방지 장치{Apparatus for preventing reverse rotation of escalator}
본 발명은 에스컬레이터용 역회전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 에스컬레이터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폴 래칫 휠 방식(Pawl ratchet wheel method)에 의해 기구적으로 작동되어 에스컬레이터 역회전 방지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에스컬레이터용 역회전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에스컬레이터(Escalator)는 동력으로 회전하는 계단을 움직여 사람을 위아래 층으로 운반하는 장치로, 탑승한 계단이 경사면을 따라 승강 또는 하강하면서 동시에 다수의 사람 또는 화물을 이동시키는 운송수단이다.
이와 같은 에스컬레이터는 지하철 및 백화점과 같은 대중 교통 시설 및 공공시설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속도는 느리지만 연속적으로 운행이 가능하기 때문에 많은 사람이 한꺼번에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일반적인 에스컬레이터는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을 통해 전동체인이 이동하며, 다수의 계단을 경사면을 따라 순차적으로 이동시켜 승강 또는 하강하도록 한다. 에스컬레이터는 한 번에 다수의 사람이 탑승하며 많은 시간을 운용하기 때문에, 상승 또는 하강 중에 기계적 또는 전자적인 결함이나 오작동으로 인해 역회전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1970년부터 건설이 추진되기 시작한 지하철 역사에 설치된 에스컬레이터의 경우, 노후화로 인한 에스컬레이터의 피로도 누적으로 인해 감속기 주축절단 및 모터 축의 파손 등으로 인한 역회전이 종종 발생하고 있다.
오작동으로 인해 에스컬레이터의 역회전이 발생하는 경우, 반동으로 탑승객들이 넘어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다수의 탑승객이 에스컬레이터에서 떨어지며 대형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예방하기 위해서 최근 들어 에스컬레이터의 역회전을 방지할 수 있는 다양한 제동 장치를 구비한 에스컬레이터가 설치되고 있다.
하지만, 지하철 역사에 설치된 에스컬레이터와 같이 오래 전 설치된 에스컬레이터의 경우 에스컬레이터 역회전 방지 장치가 구비되어 있지 않은 경우가 많다. 따라서, 종래의 역회전 방지 장치가 구비되지 않은 에스컬레이터에 역회전 방지 장치를 추가하는 방안이 연구되고 있다.
종래의 에스컬레이터의 경우, 역회전 방지 장치를 에스컬레이터 내부에 추가 설치해야 하지만, 구동 계단의 회전으로 설치공간이 협소할 뿐만 아니라, 기존에 설치된 에스컬레이터에는 적용이 어렵고, 설치공간이 확보되더라도 설치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20111호에는 브레이크 드럼, 와이어, 압력 감지부, 리미트 스위치, 열변형 감시부, 파손 감시부, 처짐방지부로 이루어진 밴드 브레이크를 통한 에스컬레이터 역회전 방지 장치가 게재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종래기술 또한, 에스컬레이터의 협소한 공간상에서 브레이크 드럼을 따로 설치하고, 밴드 브레이크를 설치해야 하므로, 설치공간이 협소하여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고, 밴드 브레이크를 장시간 사용시, 밴드표면상에 균열이 가거나 찢겨지고, 마찰부위가 닳아서 미끄럼 현상이 자주 발생되어, 역회전방지용 보조브레이크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08038호에는 호환성·탈부착결합성이 우수한 에스컬레이터 역회전 방지용 스마트 보조브레이크장치가 게재되어 있는데, 그 주요 기술적 구성은 하프(Half)링형 거치모듈, 티스(Teeth)구동모듈, 역회전감지센서부, PLC제어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역회전되는 에스컬레이터 구동을 센싱한 후, 역회전되는 회전축을 마그네틱의 힘으로 구동되는 스톱퍼티스바와 라쳇기어부를 통해 역회전되는 에스컬레이터를 정지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에 그 특징이 있다.
즉, 상기 종래기술은 에스컬레이터의 설치공간에 구애받지 않고 에스컬레이터 구동수단인 양측 스프로켓 사이의 회전축 표면 상에 하나 또는 둘 이상 탈부착식으로 설치할 수 있어 설치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은 있으나, 스톱퍼티스바를 포함하는 티스구동모듈의 신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20111호(2014. 07. 17. 공고) 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08038호(2016. 03. 31. 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 에스컬레이터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폴 래칫 휠 방식(Pawl ratchet wheel method)에 의해 기구적으로 작동되어 에스컬레이터 역회전 방지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에스컬레이터용 역회전 방지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래칫기어모듈을 구성하는 메인브라켓이 구동모듈과 연결되어 지지할 수 있도록 하고, 구동모듈에 스프링을 구비하여 회전축의 회전을 정지시킬 때 발생되는 충격을 이중으로 완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에스컬레이터용 역회전 방지 장치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래칫기어모듈에 다수의 디스크 스프링을 삽입 설치하여 회전축의 회전을 정지시킬 때 발생되는 토크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에스컬레이터용 역회전 방지 장치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메인브라켓에 체결되는 제1지지프레임의 설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설치되어 있는 에스컬레이터 지지프레임의 설치 높이와 관계없이 기존 에스컬레이터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에스컬레이터용 역회전 방지 장치를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에스컬레이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회전축에 체결 고정되는 래칫기어모듈과, 상기 래칫기어모듈에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래칫기어모듈의 회전을 제한하는 구동모듈과, 상기 구동모듈을 작동시키는 솔레노이드부와, 상기 회전축의 역회전을 감지하는 역회전 감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에스컬레이터용 역회전 방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래칫기어모듈은 회전축의 외측에 결합되는 래칫휠과, 상기 래칫휠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 래칫 고정플랜지와, 상기 래칫휠 또는 래칫휠과 래칫 고정플랜지의 결합체 내주면에 고정 설치되는 링 형상의 부싱과, 상기 래칫 고정플랜지의 외측면에 각각 접촉되는 브레이크라이닝과, 상기 브레이크라이닝의 외측에 위치되도록 하여 회전축에 결합되는 제1 및 제2사이드플랜지 및 상기 제1 및 제2사이드플랜지의 외측에 구비되어 구동모듈에 연결 설치되는 메인브라켓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사이드플랜지는 부싱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래칫휠을 지지하도록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의 외측 단부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브레이크라이닝이 결합되는 안착면 및 상기 돌출부와 반대쪽 방향으로 돌출되어 메인브라켓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사이드플랜지의 돌출부에는 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사이드플랜지의 돌출부에는 결합돌기가 삽입되는 결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사이드플랜지의 돌출부에는 다수 개의 체결홀이 서로 연통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체결홀에는 렌치볼트가 삽입 결합되며, 상기 제1사이드플랜지의 체결홀 외측에 위치되는 렌치볼트에는 다수 개의 디스크 스프링이 삽입되어 제1너트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인브라켓은 일측이 개구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 및 제2사이드플랜지의 외측에 설치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타측 단부에 형성되어 구동모듈에 연결 설치되는 연결플레이트로 구성되는 제1브라켓과, 상기 고정부의 개구된 부분과 반대쪽이 개구된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고정부의 개구된 방향을 감싸도록 하여 제1브라켓의 외측에 결합되는 제2브라켓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구동모듈은 에스컬레이터의 역주행시 래칫휠에 걸림되어 래칫기어모듈의 회전을 제한하는 스토퍼부와, 상기 솔레노이드부와 스토퍼부의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솔레노이드부의 신호에 의해 스토퍼부를 작동시키는 구동부와, 에스컬레이터 지지프레임에 연결 설치되어 역회전 방지 장치를 지지하는 서포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스토퍼부는 폭 방향으로 관통홀이 형성되고 전단부가 래칫휠에 선택적으로 걸림되는 폴과, 상기 폴의 전단부에 구비되는 충격흡수부재와, 상기 폴의 상부에 돌출 형성되어 구동부와 연결 설치되는 연결구 및 상기 관통홀에 삽입 설치되어 메인브라켓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폴샤프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는 솔레노이드부와 스토퍼부의 사이에 연결 설치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의 전방과 후방을 각각 지지하는 스프링지지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스프링을 지지하는 후방 스프링지지구는 연결부재의 외주면에 고정 설치되고, 전방 스프링지지구는 연결부재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전방 스프링지지구의 전방에는 연결부재의 외주면에 체결 고정되는 제2너트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서포터부는 에스컬레이터 지지프레임의 전방에 연결 설치되어 메인프레임이 체결되도록 하여 구동모듈 및 래칫기어모듈을 지지하는 제1지지프레임과, 상기 제1지지프레임 및 에스컬레이터 지지프레임의 후방에 결합되어 솔레노이드부를 지지하는 제2지지프레임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지지프레임은 메인프레임의 후단부가 체결 고정되는 전방플레이트와, 상기 전방플레이트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에스컬레이터 지지프레임에 체결 고정되는 후방플레이트 및 상기 전방플레이트와 후방플레이트의 사이에 형성되는 연결편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메인프레임의 후단부와 전방플레이트에는 각각 제1 및 제2체결공이 연통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체결공은 상,하 방향으로 길이가 긴 장공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역회전 감지부는 회전축의 양측 단부에 구비되어 에스컬레이터를 회전시키는 메인 구동스프라켓의 근방에 서로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제1 및 제2근접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래칫기어모듈을 구성하는 메인브라켓이 구동모듈과 연결되어 지지할 수 있도록 하고, 구동모듈에 스프링을 구비하여 회전축의 회전을 정지시킬 때 발생되는 충격을 이중으로 완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뛰어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 에스컬레이터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폴 래칫 휠 방식(Pawl ratchet wheel method)에 의해 기구적으로 작동되어 에스컬레이터 역회전 방지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추가로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래칫기어모듈에 다수의 디스크 스프링을 삽입 설치하여 회전축의 회전을 정지시킬 때 발생되는 토크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역회전 방지 장치의 제동력을 제어할 수 있는 효과를 추가로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에스컬레이터용 역회전 방지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의 측면 모습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나타낸 본 발명 중 제1브라켓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3에 나타낸 본 발명 중 스토퍼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6 내지 도 11는 본 발명에 따른 에스컬레이터용 역회전 방지 장치의 설치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12의 (a),(b)는 본 발명에 따른 에스컬레이터용 역회전 방지 장치 중 역회전 감지부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에스컬레이터용 역회전 방지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에스컬레이터용 역회전 방지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의 측면 모습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나타낸 본 발명 중 제1브라켓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에 나타낸 본 발명 중 스토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에스컬레이터용 역회전 방지 장치의 설치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12의 (a),(b)는 본 발명에 따른 에스컬레이터용 역회전 방지 장치 중 역회전 감지부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기존 에스컬레이터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폴 래칫 휠 방식(Pawl ratchet wheel method)에 의해 기구적으로 작동되어 에스컬레이터 역회전 방지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에스컬레이터용 역회전 방지 장치(10)(이하, '역회전 방지 장치(10)'라 한다)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게 래칫기어모듈(100), 구동모듈(200), 솔레노이드부(300) 및 역회전 감지부(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래칫기어모듈(100)은 에스컬레이터의 구동을 위한 양측 메인 구동스프라켓(2) 사이의 회전축(1) 상에 체결 고정되어 후술할 구동모듈(200)의 작동에 의해 회전축(1)이 역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후술할 메인브라켓(170)을 제외하고는 회전축(1)과 일체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메인브라켓(170)을 제외한 래칫기어모듈(100)을 이루는 구성요소들은 반원 형상을 이루는 두 개의 피스로 분리 구성되고, 분리된 반원 형상 피스의 내측에는 반원 형상의 홈이 각각 형성되어 회전축(1)에 결합된 스프라켓(2) 등을 분리시키지 않고서도 볼트 등의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회전축(1)에 결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래칫기어모듈(100)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래칫휠(110), 래칫 고정플랜지(120), 부싱(130), 브레이크라이닝(140), 제1 및 제2사이드플랜지(150,160) 및 메인브라켓(1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상기 래칫휠(110)은 톱니바퀴 형상으로 이루어져 회전축(1)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것으로, 후술할 구동모듈(200)의 스토퍼부(210)에 구비된 폴(212)과의 걸림에 의해 에스컬레이터가 역회전하는 경우 회전축(1)의 회전을 정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다음, 상기 래칫 고정플랜지(120)는 래칫휠(110)의 좌,우 양측으로 각각 결합되어 래칫휠(110)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렌치볼트(112)와 리머핀(114)을 이용하여 래칫휠(110)의 좌,우 양측에 고정 설치된다.
다음, 상기 부싱(130)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축(1)과 래칫휠(110) 또는 래칫휠(110)과 래칫 고정플랜지(120)의 결합체 사이에 삽입 설치되어 래칫휠(110) 또는 래칫휠(110)과 래칫 고정플랜지(120)의 결합체와 후술할 제1 및 제2사이드플랜지(150,160) 사이의 마찰에 의한 마모를 방지하고 래칫휠(110) 또는 래칫휠(110)과 래칫 고정플랜지(120)의 결합체와 후술할 제1 및 제2사이드플랜지(150,160) 사이가 이격되지 않고 완벽히 밀착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링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상기 부싱(130)으로는 탄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한 나일론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상기 브레이크라이닝(140)은 래칫 고정플랜지(120)의 외측면에 각각 접촉되어 래칫 고정플랜지(120)와 후술할 제1 및 제2사이드플랜지(150,160) 사이의 마찰에 의한 마모를 방지함과 동시에 후술할 스토퍼부(210)의 폴(212)에 의해 래칫휠(110)의 회전이 제한되는 경우 마찰력에 의해 회전축(1)의 회전이 서서히 정지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후술할 제1 및 제2사이드플랜지(150,160)의 안착면(154,164)에 접착되거나 체결 고정된다.
다음, 상기 제1 및 제2사이드플랜지(150,160)는 브레이크라이닝(140)의 외측에 위치되도록 하여 회전축(1)에 결합되는 것으로, 회전축(1)의 회전에 의해 래칫기어모듈(100)이 일체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회전축(1)의 역회전시 스토퍼부(210)의 폴(212)에 의해 래칫휠(110)의 회전이 제한되는 경우 브레이크라이닝(140)의 마찰력에 의해 회전축(1)의 회전을 서서히 정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1 및 제2사이드플랜지(150,160)는 도 6 내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출부(152,162), 안착면(154,164) 및 지지부(156,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돌출부(152,162)는 부싱(13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래칫휠(110)을 지지함과 동시에 회전축(1)의 회전력을 래칫휠(11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돌출부(152,162)에는 다수 개의 체결홀(152b,162b)이 서로 연통되도록 형성되는데, 상기 체결홀(152b,162b)을 통해 렌치볼트(155)가 삽입되어 상기 제1 및 제2사이드플랜지(150,160)가 서로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1사이드플랜지(150)의 돌출부(152)에는 하나 이상의 결합돌기(152a)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사이드플랜지(160)의 돌출부(162)에는 상기 결합돌기(152a)가 삽입되는 결합홈(162a)이 형성되는데 상기 결합돌기(152a)와 결합홈(162a)은 제1 및 제2사이드플랜지(150,160)에 각각 형성된 체결홀(152b,162b)의 위치가 정확히 일치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즉, 렌치볼트(155)를 통해 제1 및 제2사이드플랜지(150,160)를 서로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제1 및 제2사이드플랜지(150,160)에 형성된 체결홀(152b,162b)들의 위치가 정확히 일치되어야 하므로 제1사이드플랜지(150)에 형성된 결합돌기(152a)가 제2사이드플랜지(160)에 형성된 결합홈(162a)의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제1 및 제2사이드플랜지(150,160)의 위치를 용이하게 결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렌치볼트(155)를 통해 제1 및 제2사이드플랜지(150,160)를 서로 결합시키는 경우 제1사이드플랜지(150)의 체결홀(152b) 외측에 위치되는 렌치볼트(155)의 외주면에는 다수 개의 디스크 스프링(157)이 삽입되어 제1너트(159)에 의해 고정되는데, 상기 디스크 스프링(157)은 회전축(1)의 회전을 정지시킬 때 발생되는 토크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즉, 상기 디스크 스프링(157)을 렌치볼트(155)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렌치 등의 공구를 이용하여 제1너트(159)를 조이게 되면 후술할 제1 및 제2사이드플랜지(150,160)의 안착면(154,164)에 고정 설치되는 브레이크라이닝(140)과의 마찰력이 증가되어 회전축(1)의 회전을 정지시킬 때 발생되는 토크를 증가시킬 수 있게 되고, 이러한 토크의 증가는 역회전 방지 장치(10)의 제동력 증가로 이어지게 되므로 제1너트(159)에 의한 디스크 스프링(157)의 가압력 조정에 의해 역회전 방지 장치(10)의 제동력을 제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디스크 스프링(157)의 개수는 짝수 개가 되도록 하며,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6개의 디스크 스프링(157)을 사용하는 경우 3개씩의 디스크 스프링(157)의 설치 방향이 서로 반대가 되도록 설치한다.
다음, 상기 안착면(154,164)은 브레이크라이닝(140)이 접합 또는 체결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돌출부(152,162)의 외측 단부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때,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시머리볼트 등의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브레이크라이닝(140)을 체결 고정시키는 경우 체결수단이 브레이크라이닝(140)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다음, 상기 지지부(156,미도시)는 돌출부(152,162)와 반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후술할 메인 브라켓(17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다음, 상기 메인브라켓(170)은 제1 및 제2사이드플랜지(150,160)의 외측에 구비되어 구동모듈(200)에 연결 설치되는 것으로, 후술할 구동모듈(200)의 스토퍼부(210)를 지지함과 동시에 서포터부(230)에 의해 지지되어 회전축(1)의 회전을 정지시킬 때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즉, 전술한 래칫휠(110), 래칫 고정플랜지(120), 부싱(130), 브레이크라이닝(140) 및 제1 및 제2사이드플랜지(150,160)는 모두 회전축(1)의 회전시 일체로 회전하게 되지만, 상기 메인브라켓(170)은 후술할 서포터부(230)의 제1지지프레임(240)에 의해 지지되어 회전축(1)의 회전시에도 회전하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회전축(1)의 회전을 정지시킬 때 발생되는 충격을 어느 정도 흡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메인브라켓(170)은 제1브라켓(172)과 제2브라켓(174)으로 분리 구성되는데, 상기 제1브라켓(172)은 제1 및 제2사이드플랜지(150,160)의 지지부(156,미도시) 상에 설치되어 래칫기어모듈(100)이 구동모듈(200)의 서포트부(230)와 연결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제1브라켓(172)은 고정부(172a)와 연결플레이트(172b)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고정부(172a)는 일측이 개구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 및 제2사이드플랜지(150,160)의 외측, 즉 지지부(156,미도시) 상에 위치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부(172a)의 개구된 부분 사이의 거리는 회전축(1)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부(172a)에는 후술할 구동모듈(200)의 폴샤프트(216)가 삽입 결합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이 형성된 부분의 내측, 즉 후술할 폴(212)이 위치되는 방향으로는 폴(212)의 양 측면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수단(미도시)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172a)의 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진 부분의 내주면에는 다수 개의 롤러(172d)가 구비되는데, 상기 롤러(172d)는 본 발명에 따른 역회전 방지 장치(10)에 의해 회전축(1)의 회전이 정지되는 경우 회전축(1)으로부터 고정부(172a)로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롤러(172d)는 강도 및 탄성이 우수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이나 나일론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 상기 연결플레이트(172b)는 고정부(172a)의 타측 단부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어 후술할 구동모듈(200)의 제1지지프레임(240)에 고정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연결플레이트(172b)의 가장자리에는 제1지지프레임(240)과의 체결 고정을 위한 체결수단이 결합되는 제1체결공(172c)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 상기 제2브라켓(174)은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브라켓(172)의 외측에 결합되어 제1브라켓(172)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고정부(172a)의 개구된 부분의 반대쪽이 개구된 링 형상으로 이루어져 고정부(172a)의 개구된 방향을 감싸도록 하여 체결수단에 의해 제1브라켓(172)의 외측에 고정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제2브라켓(174)의 개구된 부분 사이의 거리 또한 회전축의 직경 보다 크게 형성됨은 물론이다.
다음, 상기 구동모듈(200)은 래칫기어모듈(100)의 래칫휠(110)에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에스컬레이터의 역회전이 감지되는 경우 래칫기어모듈(100)의 회전을 제한함으로써 회전축(1)의 회전을 정지시킴과 동시에 본 발명에 따른 역회전 방지 장치(10)가 에스컬레이터에 기 설치되어 있는 에스컬레이터 지지프레임(3)에 의해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스토퍼부(210)와 구동부(220) 및 서포터부(2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스토퍼부(210)는 후술할 구동부(220)의 전방 단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에스컬레이터의 역주행시 구동부(220)의 구동에 의해 래칫휠(110)에 걸림되어 래칫기어모듈(100)의 회전을 제한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폴(pawl)(212)과 연결구(214) 및 폴샤프트(21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폴(212)은 에스컬레이터의 역주행시 전단부가 래칫휠(110)에 걸림되도록 하여 래칫휠(110)의 회전을 제한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폴(212)의 측면에는 폭방향으로 관통홀이 형성되어 폴샤프트(216)가 관통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폴(212)의 전단부에는 충격흡수부재(212a)가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충격흡수부재(212a)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또는 나일론 등의 강도 및 탄성이 우수한 재질로 이루어져 래칫휠(110)과 충돌하는 경우 폴(212)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함과 동시에 소음을 저감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즉,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폴(212)과 래칫휠(110)이 직접 접촉되는 경우 충격에 의해 폴(212) 또는 래칫휠(110)이 파손되거나 마찰에 의한 기계 접촉 소음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래칫휠(110)과 접촉되는 폴(212)의 전단부에 충격흡수부재(212a)를 삽입 설치하여 충격흡수부재(212a)가 래칫휠(110)과 일차적으로 접촉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폴(212)의 양 측면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1브라켓(172)의 고정부(172a)에 형성되는 지지수단에 의해 지지되어 폴(212)이 래칫휠(110)과 접촉되는 순간 발생되는 충격에도 정해진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 상기 연결구(214)는 폴(212)의 상부에 돌출 형성되어 폴(212)이 구동부(220)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연결구(214)에는 후술할 구동부(220)의 연결부재(222) 전단부가 힌지 결합된다.
또한, 상기 폴샤프트(216)는 폴(212)에 형성된 관통홀에 삽입 결합되어 연결구(214)에 연결된 구동부(220)의 구동에 의해 폴(212)이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폴샤프트(216)의 양측 단부는 제1브라켓(172)의 고정부(172a)에 형성된 관통홀 외측으로 돌출되어 스냅링 등의 고정수단에 의해 회전 가능한 상태로 고정된다.
다음, 상기 구동부(220)는 스토퍼부(210)와 솔레노이드부(300)의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솔레노이드부(300)의 신호에 의해 스토퍼부(210)를 작동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연결부재(222)와 스프링(224) 및 스프링지지구(226a,226b)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연결부재(222)는 스토퍼부(210)의 연결구(214)와 솔레노이드부(300)의 사이에 연결 설치되는 것으로, 그 일측 단부는 링 형상으로 이루어져 스토퍼부(210)의 연결구(214)에 힌지결합되고, 타측 단부는 솔레노이드부(300)에 연결 설치되어, 솔레노이드부(300)의 구동 및 후술할 스프링(224)의 탄성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여 폴(212)을 회전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때,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연결부재(222)는 스토퍼부(210)의 연결구(214)에 연결 설치되는 제1연결부재와, 솔레노이드부(300)에 연결 설치되는 제2연결부재로 분리 구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제1연결부재와 제2연결부재는 서로 나사 결합되어 연결부재(222)의 전체적인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다음, 상기 스프링(224)은 연결부재(222)의 전방 외측에 설치되어 탄성에 의해 연결부재(222)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상기 폴이 래칫휠(110)에 접촉되는 경우 완충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회전축(1)의 급격한 정지를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스프링지지구(226a,226b)는 연결구(214)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스프링(224)의 전단과 후단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스프링(224)의 전방에 위치되는 스프링지지구(이하, 전방 스프링지지구(226a)'라 한다.)는 연결부재(222)의 외측면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설치되어 전,후방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스프링(224)의 후방에 위치되는 스프링지지구(이하, '후방 스프링지지구(226b)'라 한다.)는 연결부재(222)(220b)의 외측면에 일체로 고정 설치되어 스프링(224)의 후단부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전방 스프링지지구(226a)의 전방에는 제2너트(228) 등의 잠금수단이 연결부재(222)의 외주면에 체결 고정되어 스프링(224)의 복원력에 의해 연결부재(222)를 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에스컬레이터가 정상적으로 운행되고 있는 경우에는 솔레노이드부(300)가 연결부재(222)를 후방으로 잡아당기고 있는 상태가 되는데, 이러한 경우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부재(222)의 후방 이동에 의해 제2너트(228)가 전방 스프링지지구(226a)를 가압하여 전방 스프링지지구(226a) 또한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그에 따라 스프링(224)은 압축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연결부재(222)의 후방 이동에 의해 연결구(214)에 의해 연결부재(222)에 연결 설치된 폴(212)은 폴샤프트(216)를 중심으로 하여 후방으로 최대로 회전한 상태가 되어 회전축(1) 및 래칫휠(110)의 회전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된다.
하지만, 역회전 감지부(400)에서 역회전이 감지되거나 에스컬레이터가 정격허용속도를 벗어난 경우 역회전 감지부(400)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솔레노이드부(300)는 잡아당기고 있던 연결부재(222)를 놓게 되고, 이때 압축된 상태의 스프링(224)의 복원력에 의해 전방 스프링지지구(226a)가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제2너트(228)를 가압하게 되어 연결부재(222) 또한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에 따라 폴(212)은 폴샤프트(216)를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도 2 기준)으로 회전하게 되고, 폴(212)의 전단부가 래칫휠(110)에 걸림되면서 래칫휠(110)의 회전을 제한하여 회전축의 회전을 정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음, 상기 서포터부(230)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설치되어 있는 에스컬레이터 지지프레임(3)에 연결 설치되어 본 발명에 따른 역회전 방지 장치(10)가 고정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제1지지프레임(240)과 제2지지프레임(2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도 2 이하에서는, 도 1에 표시된 에스컬레이터 지지프레임(3)을 생략하여 표시하였음.)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1지지프레임(240)은 에스컬레이터 지지프레임(3)의 전방, 즉 회전축(1) 방향에 고정 설치되어 구동모듈(200) 및 래칫기어모듈(10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메인브라켓(170)의 후단 즉, 제1브라켓(172)의 연결플레이트(172b)가 결합되는 전방플레이트(242)와, 상기 전방플레이트(242)의 후방으로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에스컬레이터 지지프레임(3)에 체결 고정되는 후방플레이트(244) 및 상기 전방플레이트(242)와 후방플레이트(244)의 사이에 연결 설치되는 연결편(246)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전방플레이트(242)에는 연결플레이트(172b)의 제1체결공(172c)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체결공(242a)이 형성되어 볼트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연결플레이트(172b)를 전방플레이트(242)에 체결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상기 제2체결공은 제1체결공(172c)에 비해 상,하 방향으로 길이가 긴 장공 형상으로 형성되어 메인브라켓(170)의 제1브라켓(172)과 체결되는 제1지지프레임(240)의 설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연결편(246)의 길이 즉, 전방플레이트(242)와 후방플레이트(244) 사이의 거리는 구동부(220)의 연결부재(222)의 길이 및 연결부재(222)의 이동거리를 고려하여 정해지고, 상기 전방플레이트(242)와 후방플레이트(244)에는 연결부재(222)가 통과되는 관통공(242b,244b)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관통공(242b,244b)은 연결부재(222)에 연결 설치되는 폴의 회전에 의한 연결부재(222)의 상,하 방향으로의 변위를 고려하여 상,하 방향으로 길이가 긴 장공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에스컬레이터 지지프레임(3)에 결합되는 후방플레이트(244)에는 에스컬레이터 지지프레임(3) 또는 후술할 제2지지프레임(250)의 상판(252) 및 하판(254)과의 체결을 위한 다수의 체결공이 형성되는데, 다수의 체결공 중 후방플레이트(244)의 하부에 형성되는 체결공은 상,하 방향으로 길이가 긴 장공(244a)으로 형성되어 기설치된 에스컬레이터 지지프레임(3)의 다양한 높이에 대응하여 후방플레이트(244)를 체결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 상기 제2지지프레임(250)은 제1지지프레임(240) 및 에스컬레이터 지지프레임(3)의 후방에 결합되어 솔레노이드부(30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볼트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후방플레이트(244) 및 에스컬레이터 지지프레임(3)의 후방에 체결 고정된다.
이때, 상기 제2지지프레임(250)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에스컬레이터 지지프레임(3)을 감싸는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제2지지프레임(250)을 상판(252), 하판(254) 및 후면판(256)으로 분리 구성하여 기설치되어 있는 에스컬레이터 지지프레임(3)의 폭에 따라 상판(252)과 하판(254)의 폭을 달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2지지프레임(250)의 후면판(256)의 하부에도 제1지지프레임(240)의 후방플레이트(244)에 형성된 장공(244a)과 동일한 형태의 장공이 형성되어 기설치된 에스컬레이터 지지프레임(3)의 다양한 높이에 대응하여 후면판(256)과 하판(254)을 체결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2지지프레임(250)은 제1지지프레임(240)의 후방 또는 에스컬레이터 지지프레임(3)의 후방에만 체결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부(300)를 지지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 상기 솔레노이드부(300)는 역회전 감지부(400)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구동모듈(200)을 작동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구동부(220)의 후방에 연결 설치되어 자력을 생성시킴으로써 연결부재(222)를 후방으로 잡아당길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연결부재(222), 즉 솔레노이드부(300)의 내측으로 삽입된 연결부재(222)의 후단에는 전자석이 구비되어 솔레노이드부(300)에서 자력이 발생되는 경우 연결부재(222)가 솔레노이드부(300)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222)는 솔레노이드부(300)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하여 그 후단부가 솔레노이드부(300)의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는데, 이는 상기 연결부재(222)가 후술할 솔레노이드부(300)의 구동 여부를 검지하는 구동검지모듈(500)과 접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음, 상기 역회전 감지부(400)는 에스컬레이터 회전축(1)의 일측 메인 구동스프라켓(2) 주변에 설치되어 회전축(1)의 역회전을 감지하여 솔레노이드부(300)로 신호를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역회전 감지부(400)로는 제1 및 제2근접센서(410,420)가 사용될 수 있는데, 상기 제1 및 제2근접센서(410,420)는 도 12의 (a),(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메인 구동스프라켓(2) 주변에 서로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설치되어 메인 구동스프라켓(2)의 돌출된 부분을 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제1근접센서(410)와 제2근접센서(420)에 의한 검지가 순차적으로 일어난 경우 정주행으로 판단하고, 제2근접센서(420)에 의한 검지가 제1근접센서(410)에 의한 검지 보다 먼저 일어난 경우 역주행으로 판단하여 솔레노이드부(300)에 신호를 보내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역회전 방지 장치(10)는 구동검지모듈(5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는데, 상기 구동검지모듈(500)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부(300)의 후방에 연결 설치되어 솔레노이드부(300)의 작동 여부를 외부에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즉, 에스컬레이터의 역회전 구동이 발생되는 경우, 솔레노이드부(300)의 정상 작동 여부를 외부에서 확인하는 것이 실질적으로 불가능하므로, 솔레노이드부(300)가 정상 작동되는 경우 구동검지모듈(500)을 통해 외부로 시각적 또는 청각적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솔레노이드부(300)의 정상 작동 여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역회전 방지 장치(10)의 작동관계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에스컬레이터가 정상적으로 작동되는 경우에는, 회전축(1)의 회전에 의해 회전축(1)에 고정 설치된 제1 및 제2사이드플랜지(150,160)가 회전하게 되고, 상기 제1 및 제2사이드플랜지(150,160)의 회전이 부싱(130)을 통해 래칫휠(110) 또는 래칫휠(110)과 래칫 고정플랜지(120)의 결합체에 전달되어 래칫휠(110)이 회전축과 일체로 회전하게 된다.
또한, 구동모듈(200)의 연결부재(222)는 솔레노이드부(300)에 의해 후방으로 잡아당겨진 상태가 되어 연결부재(222)에 구비된 스프링(224)은 압축된 상태가 되고, 그에 따라 연결부재(222)의 전단부에 힌지 결합된 폴(212)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로 들어올려진 상태가 되어 래칫휠(110)과 이격된 상태가 되므로 회전축(1)이 정상적으로 회전하게 된다.
한편, 역회전 감지부(400)에서 역회전이 감지되거나 에스컬레이터가 정격허용속도를 벗어나게 되면, 역회전 감지부(400)의 제1 및 제2근접센서(410,420)가 회전축(1)의 역회전 또는 고속회전을 감지하여 솔레노이드부(300)로 신호를 보내고, 솔레노이드부(300)는 잡아당기고 있던 연결부재(222)를 놓게 되어 압축된 상태의 스프링(224)의 복원력에 의해 연결부재(222)가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에 따라 폴(212)은 폴샤프트(216)를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도 2 기준)으로 회전하게 되고, 폴(212)의 전단부가 래칫휠(110)에 걸림되면서 래칫휠(110)의 회전을 제한하게 된다.
이때, 폴(212)의 전단부에 구비된 충격흡수부재(212a)가 래칫휠(110)과 접촉하게 되므로 폴(212)과 래칫휠(110)에 가해지는 충격 및 소음이 저감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212)은 제1브라켓(172)의 고정부(172a)에 형성되는 지지수단에 의해 지지되어 폴(212)이 래칫휠(110)과 접촉되는 순간 발생되는 충격에도 정해진 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되고, 래칫휠(110)을 포함하는 래칫기어모듈(100)은 제1지지프레임(240)의 전방플레이트(242)에 체결 고정되는 제1브라켓(172)에 의해 양 측면이 지지되므로 마찬가지로 정위치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폴(212)에 의해 래칫휠(110)의 회전이 정지되는 경우, 회전축(1)에 고정 설치된 제1 및 제2사이드플랜지(150,160)와 래칫휠(110)의 양측에 일체로 결합된 래칫 고정플랜지(120)의 사이에는 마찰이 발생하게 되고, 상기 제1 및 제2사이드플랜지(150,160)의 안착면(154,164)과 래칫 고정플랜지(120) 사이에 삽입 설치되는 브레이크라이닝(140)에 작용하는 마찰에 의해 회전축(1)의 회전이 서서히 정지하게 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에스컬레이터용 역회전 방지 장치(10)에 의하면, 래칫기어모듈(100)을 구성하는 메인브라켓(170)이 구동모듈(200)과 연결되어 지지할 수 있도록 하고, 구동모듈(200)에 스프링(224)을 구비하여 회전축의 회전을 정지시킬 때 발생되는 충격을 이중으로 완화시킬 수 있도록 하고, 기존 에스컬레이터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폴 래칫 휠 방식(Pawl ratchet wheel method)에 의해 기구적으로 작동되어 에스컬레이터 역회전 방지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래칫기어모듈(100)에 다수의 디스크 스프링(157)을 삽입 설치하여 회전축의 회전을 정지시킬 때 발생되는 토크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역회전 방지 장치(10)의 제동력을 제어할 수 있는 등의 다양한 장점을 갖는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본 발명은 에스컬레이터용 역회전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 에스컬레이터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폴 래칫 휠 방식(Pawl ratchet wheel method)에 의해 기구적으로 작동되어 에스컬레이터 역회전 방지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에스컬레이터용 역회전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10 : 역회전 방지 장치 100 : 래칫기어모듈
110 : 래칫휠 112, 155 : 렌치볼트
114 : 리머핀 120 : 래칫 고정플랜지
130 : 부싱 140 : 브레이크라이닝
150 : 제1사이드플랜지 152, 162 : 돌출부
152a : 결합돌기 152b, 162b : 체결홀
154, 164 : 안착면 156 : 지지부
157 : 디스크 스프링 159 : 제1너트
160 : 제2사이드플랜지 162a : 결합홈
170 : 메인브라켓 172 : 제1브라켓
172a : 고정부 172b : 연결플레이트
172c : 제1체결공 172d : 롤러
174 : 제2브라켓 200 : 구동모듈
210 : 스토퍼부 212 : 폴
212a : 충격흡수부재 214 : 연결구
216 : 폴샤프트 220 : 구동부
222 : 연결부재 224 : 스프링
226a, 226b : 스프링지지구 228 : 제2너트
230 : 서포터부 240 : 제1지지프레임
242 : 전방플레이트 242a : 제2체결공
242b, 244b : 관통공 244 : 후방플레이트
244a : 장공 246 : 연결편
250 : 제2지지프레임 252 : 상판
254 : 하판 256 : 후면판
300 : 솔레노이드부 400 : 역회전감지부
410 : 제1근접센서 420 : 제2근접센서
500 : 구동검지모듈

Claims (13)

  1. 에스컬레이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회전축에 체결 고정되는 래칫기어모듈과, 상기 래칫기어모듈에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래칫기어모듈의 회전을 제한하는 구동모듈과, 상기 구동모듈을 작동시키는 솔레노이드부와, 상기 회전축의 역회전을 감지하는 역회전 감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에스컬레이터용 역회전 방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래칫기어모듈은 회전축의 외측에 결합되는 래칫휠과,
    상기 래칫휠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 래칫 고정플랜지와,
    상기 래칫휠 또는 래칫휠과 래칫 고정플랜지의 결합체 내주면에 고정 설치되는 링 형상의 부싱과,
    상기 래칫 고정플랜지의 외측면에 각각 접촉되는 브레이크라이닝과,
    상기 브레이크라이닝의 외측에 위치되도록 하여 회전축에 결합되는 제1 및 제2사이드플랜지 및
    상기 제1 및 제2사이드플랜지의 외측에 구비되어 구동모듈에 연결 설치되는 메인브라켓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1 및 제2사이드플랜지는 부싱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래칫휠을 지지하도록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의 외측 단부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브레이크라이닝이 결합되는 안착면 및 상기 돌출부와 반대쪽 방향으로 돌출되어 메인브라켓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용 역회전 방지 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사이드플랜지의 돌출부에는 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사이드플랜지의 돌출부에는 결합돌기가 삽입되는 결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용 역회전 방지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사이드플랜지의 돌출부에는 다수 개의 체결홀이 서로 연통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체결홀에는 렌치볼트가 삽입 결합되며, 상기 제1사이드플랜지의 체결홀 외측에 위치되는 렌치볼트에는 다수 개의 디스크 스프링이 삽입되어 제1너트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용 역회전 방지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브라켓은 일측이 개구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 및 제2사이드플랜지의 외측에 설치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타측 단부에 형성되어 구동모듈에 연결 설치되는 연결플레이트로 구성되는 제1브라켓과,
    상기 고정부의 개구된 부분과 반대쪽이 개구된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고정부의 개구된 방향을 감싸도록 하여 제1브라켓의 외측에 결합되는 제2브라켓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용 역회전 방지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듈은 에스컬레이터의 역주행시 래칫휠에 걸림되어 래칫기어모듈의 회전을 제한하는 스토퍼부와,
    상기 솔레노이드부와 스토퍼부의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솔레노이드부의 신호에 의해 스토퍼부를 작동시키는 구동부와,
    에스컬레이터 지지프레임에 연결 설치되어 역회전 방지 장치를 지지하는 서포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용 역회전 방지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부는 폭 방향으로 관통홀이 형성되고 전단부가 래칫휠에 선택적으로 걸림되는 폴과,
    상기 폴의 전단부에 구비되는 충격흡수부재와,
    상기 폴의 상부에 돌출 형성되어 구동부와 연결 설치되는 연결구 및
    상기 관통홀에 삽입 설치되어 메인브라켓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폴샤프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용 역회전 방지 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솔레노이드부와 스토퍼부의 사이에 연결 설치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의 전방과 후방을 각각 지지하는 스프링지지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용 역회전 방지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을 지지하는 후방 스프링지지구는 연결부재의 외주면에 고정 설치되고, 전방 스프링지지구는 연결부재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전방 스프링지지구의 전방에는 연결부재의 외주면에 체결 고정되는 제2너트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용 역회전 방지 장치.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부는 에스컬레이터 지지프레임의 전방에 연결 설치되어 메인프레임이 체결되도록 하여 구동모듈 및 래칫기어모듈을 지지하는 제1지지프레임과, 상기 제1지지프레임 및 에스컬레이터 지지프레임의 후방에 결합되어 솔레노이드부를 지지하는 제2지지프레임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용 역회전 방지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프레임은 메인프레임의 후단부가 체결 고정되는 전방플레이트와, 상기 전방플레이트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에스컬레이터 지지프레임에 체결 고정되는 후방플레이트 및 상기 전방플레이트와 후방플레이트의 사이에 형성되는 연결편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용 역회전 방지 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의 후단부와 전방플레이트에는 각각 제1 및 제2체결공이 연통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체결공은 상,하 방향으로 길이가 긴 장공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용 역회전 방지 장치.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역회전 감지부는 회전축의 양측 단부에 구비되어 에스컬레이터를 회전시키는 메인 구동스프라켓의 근방에 서로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제1 및 제2근접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용 역회전 방지 장치.
KR1020180001868A 2018-01-05 2018-01-05 에스컬레이터용 역회전 방지 장치 KR1018889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1868A KR101888950B1 (ko) 2018-01-05 2018-01-05 에스컬레이터용 역회전 방지 장치
PCT/KR2018/012669 WO2019135476A1 (ko) 2018-01-05 2018-10-24 에스컬레이터용 역회전 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1868A KR101888950B1 (ko) 2018-01-05 2018-01-05 에스컬레이터용 역회전 방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8950B1 true KR101888950B1 (ko) 2018-08-16

Family

ID=63443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1868A KR101888950B1 (ko) 2018-01-05 2018-01-05 에스컬레이터용 역회전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88950B1 (ko)
WO (1) WO2019135476A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0930A (ko) 2018-11-13 2019-05-14 제일에스컬레이터(주) 에스컬레이터용 역회전 방지장치의 메인 브라켓
CN110057485A (zh) * 2019-04-23 2019-07-26 上海三菱电梯有限公司 一种主轴制动器的制动力矩设定装置及方法
KR102097030B1 (ko) 2018-11-13 2020-04-03 제일에스컬레이터(주) 에스컬레이터용 역회전 방지장치의 메인 브라켓
KR20200055691A (ko) 2020-03-27 2020-05-21 제일에스컬레이터(주) 에스컬레이터용 역회전 방지장치의 메인 브라켓
WO2020241986A1 (ko) * 2019-05-28 2020-12-03 주식회사 태성에스컬레이터 에스컬레이터용 과속 및 역주행 방지장치
KR20210004928A (ko) 2020-03-27 2021-01-13 제일에스컬레이터(주) 에스컬레이터용 역회전 방지장치의 메인 브라켓
KR20230152942A (ko) 2022-04-28 2023-11-06 제일에스컬레이터(주) 범용 설치 가능한 에스컬레이터 및 무빙워크용 래칫기어모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42385A (zh) * 2019-08-12 2019-10-18 苏州汉森电梯有限公司 一种自动扶梯及自动人行道的夹持式附加制动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0111B1 (ko) 2014-03-28 2014-07-17 이현호 에스컬레이터 역회전 방지 장치
KR101608038B1 (ko) 2015-08-27 2016-03-31 (주)신한엘리베이터 호환성·탈부착결합성이 우수한 에스컬레이터 역회전 방지용 스마트 보조브레이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85273A (ja) * 2009-06-15 2010-12-24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乗客コンベアの非常時制動装置
CA2875952C (en) * 2012-07-13 2020-01-14 Inventio Ag Safety brake for an escalator or for a travelator
KR20170070617A (ko) * 2015-12-14 2017-06-22 (주)에이치피엔알티 에스컬레이터 역주행 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0111B1 (ko) 2014-03-28 2014-07-17 이현호 에스컬레이터 역회전 방지 장치
KR101608038B1 (ko) 2015-08-27 2016-03-31 (주)신한엘리베이터 호환성·탈부착결합성이 우수한 에스컬레이터 역회전 방지용 스마트 보조브레이크장치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5950B1 (ko) * 2018-11-13 2020-02-12 제일에스컬레이터(주) 에스컬레이터용 역회전 방지장치의 메인 브라켓
KR102097030B1 (ko) 2018-11-13 2020-04-03 제일에스컬레이터(주) 에스컬레이터용 역회전 방지장치의 메인 브라켓
KR20190050930A (ko) 2018-11-13 2019-05-14 제일에스컬레이터(주) 에스컬레이터용 역회전 방지장치의 메인 브라켓
WO2020101111A1 (ko) * 2018-11-13 2020-05-22 제일에스컬레이터(주) 에스컬레이터용 역회전 방지장치의 메인 브라켓
CN110057485B (zh) * 2019-04-23 2021-12-17 上海三菱电梯有限公司 一种主轴制动器的制动力矩设定装置及方法
CN110057485A (zh) * 2019-04-23 2019-07-26 上海三菱电梯有限公司 一种主轴制动器的制动力矩设定装置及方法
WO2020241986A1 (ko) * 2019-05-28 2020-12-03 주식회사 태성에스컬레이터 에스컬레이터용 과속 및 역주행 방지장치
US11891273B2 (en) * 2019-05-28 2024-02-06 Taesung Escalator Co., Ltd. Overspeed and reverse drive preventing device for escalator
US20220089412A1 (en) * 2019-05-28 2022-03-24 Taesung Escalator Co.,Ltd. Overspeed and reverse drive preventing device for escalator
CN113905971A (zh) * 2019-05-28 2022-01-07 太星电梯株式会社 自动扶梯用超速及防倒转装置
KR20200055691A (ko) 2020-03-27 2020-05-21 제일에스컬레이터(주) 에스컬레이터용 역회전 방지장치의 메인 브라켓
KR102336109B1 (ko) 2020-03-27 2021-12-08 제일에스컬레이터(주) 에스컬레이터용 역회전 방지장치의 메인 브라켓
KR20210004928A (ko) 2020-03-27 2021-01-13 제일에스컬레이터(주) 에스컬레이터용 역회전 방지장치의 메인 브라켓
KR102199129B1 (ko) * 2020-03-27 2021-01-07 제일에스컬레이터(주) 에스컬레이터용 역회전 방지장치의 메인 브라켓
KR20230152942A (ko) 2022-04-28 2023-11-06 제일에스컬레이터(주) 범용 설치 가능한 에스컬레이터 및 무빙워크용 래칫기어모듈
KR102641944B1 (ko) * 2022-04-28 2024-02-29 제일에스컬레이터(주) 범용 설치 가능한 에스컬레이터 및 무빙워크용 래칫기어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35476A1 (ko) 2019-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8950B1 (ko) 에스컬레이터용 역회전 방지 장치
EP2571799B1 (en) Integrated elevator safety system
US7267201B2 (en) Emergency brake device of elevator
KR101608038B1 (ko) 호환성·탈부착결합성이 우수한 에스컬레이터 역회전 방지용 스마트 보조브레이크장치
KR101420111B1 (ko) 에스컬레이터 역회전 방지 장치
AU2003210919B2 (en) Escalator drive system failure detection and brake activation
KR20190050930A (ko) 에스컬레이터용 역회전 방지장치의 메인 브라켓
US4977982A (en) Elevator sheave brake safety
US20070227826A1 (en) Elevator Apparatus
KR101933495B1 (ko) 에스컬레이터 역주행 방지장치
US6162005A (en) Vehicle restraint with powered latching member
KR101934494B1 (ko) 에스컬레이터용 역회전 방지 장치
KR20170113868A (ko) 에스컬레이터 역주행 방지장치
KR20160000775A (ko) 에스컬레이터의 역주행 방지 장치
CN111824918A (zh) 方法和乘客输送机
KR20170070617A (ko) 에스컬레이터 역주행 방지장치
KR101529869B1 (ko) 에스컬레이터의 역주행 방지 장치 및 방법
KR102147535B1 (ko) 에스컬레이터 역주행 방지장치
KR102097030B1 (ko) 에스컬레이터용 역회전 방지장치의 메인 브라켓
KR102336109B1 (ko) 에스컬레이터용 역회전 방지장치의 메인 브라켓
JP4680188B2 (ja) エレベーター用の非常ブレーキ装置
KR102199129B1 (ko) 에스컬레이터용 역회전 방지장치의 메인 브라켓
KR102114876B1 (ko) 에스컬레이터용 과속 및 역주행 방지장치
KR102091705B1 (ko) 비상 제동 가능한 에스컬레이터
KR102306665B1 (ko) 에스컬레이터용 과속 및 역주행 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0003659;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91119

Effective date: 20200312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200003416; JUDGMENT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200413

Effective date: 202008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