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6665B1 - 에스컬레이터용 과속 및 역주행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에스컬레이터용 과속 및 역주행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6665B1
KR102306665B1 KR1020200059279A KR20200059279A KR102306665B1 KR 102306665 B1 KR102306665 B1 KR 102306665B1 KR 1020200059279 A KR1020200059279 A KR 1020200059279A KR 20200059279 A KR20200059279 A KR 20200059279A KR 102306665 B1 KR102306665 B1 KR 1023066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scalator
ratchet
ratchet wheel
support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92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49658A (ko
Inventor
윤삼덕
Original Assignee
윤삼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90133460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114876B1/ko
Application filed by 윤삼덕 filed Critical 윤삼덕
Priority to KR10202000592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6665B1/ko
Publication of KR202100496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96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66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66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9/00Safety device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0Component part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2Driving gear

Abstract

본 발명은 폴과 연결부가 인장스프링에 의해 연결되도록 설치함으로써 폴이 라쳇의 기어들 내측으로 삽입되었을 때 폴이 라쳇에 의해 가압되면 인장스프링이 인장되어 라쳇의 내부로 완전히 삽입되어 다양한 규격의 에스컬레이터들에 적용할 수 있게 되며, 라쳇부 또는 회전축의 외측에 설치되는 브레이크암의 내주면 내지 브레이크암과 마주하는 장치의 외주면에 제동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에스컬레이터 회전축에 추가적인 제동력을 가하여 라쳇부에 설치되는 브레이크 라이닝의 소손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브레이크 라이닝이 소손되어 제동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게 되어도 에스컬레이터의 과속 및 역회전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에스컬레이터 회전축 및 에스컬레이터 지지프레임에 별도의 타공작업을 하지 않아도 설치가 가능하기 때문에 설치 비용 및 설치 기간을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타공작업에 의해 발생하는 내구성 약화를 방지할 수 있는 에스컬레이터용 과속 및 역주행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에스컬레이터용 과속 및 역주행 방지장치{Over speed and converse driving prevention aparatus of escalator}
본 발명은 에스컬레이터용 과속 및 역주행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로는 폴과 라쳇을 이용하여 에스컬레이터의 계단을 이동시키는 에스컬레이터 회전축이 과속 또는 역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며, 라쳇의 내외주면 또는 에스컬레이터 회전축의 외주면과 접촉되는 제동부재를 추가로 설치해줌으로써 제동력을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한 에스컬레이터용 과속 및 역주행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에스컬레이터는 동력으로 계단을 움직임으로써 사람이나 화물을 자동적으로 위아래층으로 이동시키는 운송수단이다.
이와 같은 에스컬레이터는 지하철 및 백화점과 같은 공공시설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속도는 느리지만 연속적으로 운행이 가능하기 때문에 많은 사람이 한꺼번에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에스컬레이터는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을 통해 전동체인이 이동하며, 다수의 계단을 경사면을 따라 순차적으로 이동시켜 승강 또는 하강하도록 한다. 이러한 에스컬레이터는 한 번에 다수의 사람이 탑승하며, 장시간 운용하게 되면 기계적 또는 전자적인 결함이나 오작동으로 인해 역회전 또는 과속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내등록특허 제10-1888950호(발명의 명칭 : 에스컬레이터용 역회전 방지 장치)(이하 ’종래기술‘이라 함)가 개발되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다.
종래기술(100)은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스컬레이터 구성요소 중 에스컬레이터의 구동수단인 구동스프로켓(6)들이 설치되는 에스컬레이터 회전축(5)과 에스컬레이터에 기 설치되어 있는 내부 구조물인 에스컬레이터 지지프레임(7)에 설치된다.
종래기술(100)은 에스컬레이터 회전축(5) 상에 체결 고정되는 래칫기어모듈(110)과, 래칫기어모듈(110)에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에스컬레이터의 역회전 또는 평상시 운행 속도를 초과하는 속도의 회전(이하 ’과속‘이라 함)이 감지되는 경우 래칫기어모듈(110)의 회전을 제한함으로써 에스컬레이터 회전축(5)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구동모듈(120)과, 에스컬레이터 회전축(5)의 역회전 및 과속을 감지하는 감지부(미도시)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구동모듈(120)을 작동시키는 솔레노이드부(130)로 이루어진다.
래칫기어모듈(110)은 톱니바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에스컬레이터 회전축(5)의 외측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래칫휠(111)과,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래칫휠(111)의 좌, 우 양측으로 각각 결합되는 래칫 고정플랜지(112), (112’)들과, 래칫 고정플랜지(112)의 외측면에 각각 접촉되는 브레이크라이닝(113), (113’)들과, 브레이크라이닝(113), (113‘)들의 외측에 위치하며 래칫휠(111)과 래칫 고정플랜지(112)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돌출부(1141)가 형성된 사이드플랜지(114), (114’)들과,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래칫휠(111)과 사이드플랜지(114) 사이에 삽입 설치되는 부싱(115)과, 사이드플랜지(114), (114‘)들의 외측에 위치하는 메인브라켓(116), (116’)들로 이루어진다.
래칫휠(111)은 톱니바퀴 형상으로 이루어져 에스컬레이터 회전축(5)의 외측에 결합되어 회전하며, 톱니가 후술되는 구동모듈(120)의 스토퍼부(121)와의 걸림에 의해 에스컬레이터가 역회전 또는 과속이 발생하는 경우 회전이 정지되며, 이를 통해 에스컬레이터 회전축(5)의 회전을 정지시킨다.
브레이크라이닝(113)은 래칫 고정플랜지(112)의 외측면에 각각 접촉되며, 후술되는 스토퍼부(121)에 의해 래칫휠(111)의 회전이 제한되는 경우 래칫휠(111)과 결합된 래칫 고정플랜지(112)의 외측면과의 마찰력에 의해 래칫휠(111)의 회전을 정지시킴으로써 에스컬레이터 회전축(5)의 회전을 정지시킨다.
사이드플랜지(114)는 중공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브레이크라이닝(113)의 외측에 위치하며 에스컬레이터 회전축(5)과 결합되어 에스컬레이터 회전축(5)의 회전에 의해 래칫기어모듈(110)이 일체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사이드플랜지(114)는 중공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사이드플랜지 몸체(1141)와, 사이드플랜지 몸체(1141)의 외주면에 외측으로 확장되며 내측면에 브레이크라이닝(113)이 결합되는 플랜지(1142)로 이루어진다.
또한 사이드플랜지 몸체(1141)에는 복수개의 체결홈(1143)들이 형성되며, 렌치볼트(1144)들에 의해 사이드플랜지(114), (114‘)들이 사이드플랜지 몸체(1141)의 전면이 서로 접촉되도록 결합된다.
부싱(115)은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래칫휠(111)과 래칫 고정플랜지(112)의 결합체 및 사이드플랜지(114) 사이에 삽입 설치되어 마찰에 의한 마모를 방지하며, 래칫휠(111)과 래칫 고정플랜지(112)의 결합체 및 사이드플랜지(114) 사이가 이격되지 않도록 완벽히 밀착시킨다.
메인브라켓(116)은 구동모듈(120)과 연결 설치되어 회전되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며 일측이 개구된 원호 형상의 고정부(1162)가 형성된 제1 브라켓(1161)과, 개구된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 브라켓(1161)의 고정부(1162)에 결합되는 제2 브라켓(1163)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메인브라켓(116)은 제1 브라켓(1162)의 고정부(1162)와 제2 브라켓(1163)의 내주면이 사이드플랜지(114)의 사이드플랜지 몸체(1141)의 외주면과 롤러(미도시)에 의해 접촉되며, 구동모듈(120)과 연결 설치되어 회전하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에스컬레이터 회전축(5)의 회전을 정지시킬 때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한다.
구동모듈(120)은 래칫휠(111)에 걸림되어 래칫기어모듈(110)의 회전을 제한하는 스토퍼부(121)와, 스토퍼부(121)와 솔레노이드부(130)의 사이에 연결되는 구동부(122)와, 에스컬레이터에 기 설치되어 있는 에스컬레이터 지지프레임(7)에 설치되어 종래기술(100)이 고정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서포터부(123)로 이루어진다.
스토퍼부(121)는 구동부(122)의 전방 단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에스컬레이터의 과속 및 역주행시 전단부가 구동부(122)에 의해 래칫휠(111)에 걸림되어 래칫기어모듈(110)의 회전을 제한하는 폴(1211)과, 폴(1211)의 상부에 돌출 형성되어 폴(1211)이 구동부(122)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연결구(1212)와, 폴(1211)의 중앙에 관통 설치되어 폴(1211)을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폴샤프트(12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구동부(122)는 원형 막대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일단부가 스토퍼부(121)의 연결구(1212)와 연결되며 타단부가 솔레노이드부(130)와 연결된다.
이때 구동부(122)는 솔레노이드부(130)에 의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스토퍼부(121)를 회전시킴으로써 스토퍼부(121)의 폴(1211)이 래칫휠(111)에 걸림되어 래칫기어모듈(110)의 회전을 제한한다.
서포터부(123)는 기 설치되어 있는 에스컬레이터 지지프레임(7)에 연결 설치되어 종래기술(100)이 고정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제1 지지프레임(1231)과 제2 지지프레임(1235)로 이루어진다.
제1 지지프레임(1231)은 메인브라켓(116)과 결합되는 전방플레이트(1232)와, 에스컬레이터 지지프레임(7)의 전방에 고정 설치되는 후방플레이트(1233)와, 전방플레이트(1232)와 후방플레이트(1233)를 연결하는 연결편(1234)으로 이루어지며, 래칫기어모듈(110)과 구동모듈(120)을 지지한다.
제2 지지프레임(1235)은 제1 지지프레임(1231)과 에스컬레이터 지지프레임(7)의 후방에 설치되며, 솔레노이드부(130)를 지지한다.
이때 전방플레이트(1232)와 후방플레이트(1233), 에스컬레이터 지지프레임(7)의 중앙에는 구동모듈(120)의 구동부(122)가 삽입되는 장공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기술(100)은 역회전 감지부에 의해 에스컬레이터 회전축(5)의 역회전이 감지되면, 솔레노이드부(130)에 의해 구동모듈(120)의 구동부(122)가 전방으로 이동하며, 이에 따라 스토퍼부(121)의 폴(1211)이 폴샤프트(1213)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폴(1211)의 단부가 래칫휠(111)에 걸림됨으로써 래칫휠(111)의 회전을 제한하여 에스컬레이터의 역주행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100)은 구동부(122)의 길이가 가변 되지 않으며, 구동부(122)가 솔레노이드부(130)로부터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는 거리가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구동부(122)가 설치오차 및 솔레노이드부(130)의 오작동 등의 원인으로 인하여 구동부(122)가 전방으로 이동하는 거리가 감소하게 되면, 구동부(122)와 연결되어 원운동 하는 폴(1211)의 회전 각도가 감소하게 되고, 이로 인해 폴(1211)은 래칫휠(111)의 기어들 사이로 일부만 삽입됨으로써 접촉면적이 작아져 제동력이 감소하게 된다.
또한 종래기술(100)은 에스컬레이터 지지프레임(7)에 관통공(미도시)을 뚫어 서포터부(123)를 설치하게 되며, 이로 인해 설치 시간이 증가하고 에스컬레이터 지지프레임(7)의 강도가 감소하게 됨으로써 에스컬레이터의 역주행을 방지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충격에 의해 에스컬레이터 지지프레임(7)이 파손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종래기술(100)은 에스컬레이터 회전축(5)에 설치되는 사이드플랜지(114)등을 고정하기 위해서 에스컬레이터 회전축(5)에 고정홀(미도시)을 뚫어 고정하게 되며, 이로 인해 설치 시간 및 비용이 증가하고 에스컬레이터 회전축(5)의 강도가 감소하게 됨으로써 에스컬레이터의 회전축(5)이 파손될 수 있는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종래기술(100)은 폴(1211)이 래칫휠(111)에 삽입되었을 때, 브레이크라이닝(113), (113’)들이 래칫휠(111)과 결합된 래칫 고정플랜지(112)의 외측면에 마찰력을 가하여 래칫휠(111)의 회전을 정지시킴으로써 에스컬레이터 회전축(5)의 회전을 정지시키지만, 에스컬레이터의 층고가 높아져 에스컬레이터에 걸리는 부하가 증가하게 될 경우에는 브레이크라이닝(113), (113‘)들의 마찰력만으로는 충분한 제동력을 확보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제동 토크가 증가하여 브레이크라이닝(113), (113‘)들이 파손되는 현상이 발생됨으로써 에스컬레이터의 과속 및 역주행을 방지하는 기능을 상실할 수 있는 문제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구동부의 작동에 의해 폴을 회전시키는 연결부와 폴 사이에 인장스프링을 설치함으로써 설치오차 등의 원인으로 인하여 폴의 회전각도가 제한되어도 인장스프링이 인장되어 폴이 라쳇의 내측으로 완전히 삽입될 수 있는 에스컬레이터용 과속 및 역주행 방지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라쳇부 또는 회전축의 외측에 설치되는 브레이크암의 내주면 내지 브레이크암과 마주하는 장치의 외주면에 제동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에스컬레이터 회전축에 추가적인 제동력을 가하여 라쳇부에 설치되는 브레이크 라이닝의 소손을 방지하며, 브레이크 라이닝이 소손되어 제동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게 되어도 에스컬레이터의 과속 및 역회전을 방지할 수 있는 에스컬레이터용 과속 및 역주행 방지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고, 나아가 본 발명은 회전축과 마주하는 장치의 내주면 또는 회전축의 외주면에 제동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에스컬레이터 회전축에 가해지는 제동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에스컬레이터의 회전축 및 지지프레임에 타공작업을 하지 않아도 설치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작업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타공작업에 의한 에스컬레이터의 회전축 및 지지프레임의 내구성약화를 방지할 수 있는 에스컬레이터용 과속 및 역주행 방지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구동부의 작동에 의해 폴을 회전시키는 연결부가 스프링 부재를 사용하여 연결됨으로써 설치오차 등의 원인으로 인하여 폴의 회전각도 또는 길이가 제한되어도 스프링에 의해 연결부의 길이가 가변되어 폴이 라쳇의 내측으로 완전히 삽입될 수 있는 에스컬레이터용 과속 및 역주행 방지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는 다수의 기재되지 않은 해결과제가 존재하지만 실시예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해결수단은 에스컬레이터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라쳇휠과, 상기 라쳇휠의 양측부에 설치되어 상기 라쳇휠에 마찰 접촉되며 상기 회전축과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는 마찰부로 이루어지는 라쳇부; 상기 회전축의 회전을 감지하는 감지센서;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내부에 설치되는 구조물로서 타 물체가 지지되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에 설치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설치되며, 상기 라쳇휠에 걸림수단을 삽입시켜 상기 라쳇휠의 회전을 제한하는 회전제한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지지프레임과 결합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와 일측이 결합되며 상기 라쳇부와 이격되게 설치되는 마찰가동체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와 해결수단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폴과 연결부가 인장스프링에 의해 연결되도록 설치함으로써 폴이 라쳇의 기어들 내측으로 삽입되었을 때 폴이 라쳇에 의해 가압되면 인장스프링이 인장되어 라쳇의 내부로 완전히 삽입되어 다양한 규격의 에스컬레이터들에 적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라쳇부 또는 회전축의 외측에 설치되는 브레이크암들의 내주면 내지 브레이크암들과 마주하는 장치의 외주면에 제동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에스컬레이터 회전축에 추가적인 제동력을 가하여 라쳇부에 설치되는 브레이크 라이닝의 소손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브레이크 라이닝이 소손되어 제동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게 되어도 에스컬레이터의 과속 및 역회전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회전축과 마주하는 장치의 내주면 또는 회전축의 외주면에 제동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에스컬레이터 회전축에 추가적인 제동력을 가하여 라쳇부에 설치되는 브레이크 라이닝의 소손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브레이크 라이닝이 소손되어 제동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게 되어도 에스컬레이터의 과속 및 역회전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에스컬레이터 회전축 및 에스컬레이터 지지프레임에 별도의 타공작업을 하지 않아도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설치 비용 및 설치 기간을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타공작업에 의해 발생하는 내구성 약화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에스컬레이터용 과속 및 역주행 방지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라쳇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의 지지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도 3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회전제한부가 작동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에스컬레이터용 과속 및 역주행 방지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폴서포트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인 에스컬레이터용 과속 및 역주행 방지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라쳇휠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에스컬레이터용 과속 및 역주행 방지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분해사시도이다.
에스컬레이터용 과속 및 역주행 방지장치(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스컬레이터의 구동수단인 구동스프로켓(6)들이 설치되는 에스컬레이터 회전축(5)과, 에스컬레이터의 내부 구조물로서 타 물체가 지지되는 에스컬레이터 지지프레임(7)에 설치된다.
이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에스컬레이터 지지프레임(7)에서 회전축(5)을 향하는 방향을 전방, 회전축(5)에서 에스컬레이터 지지프레임(7)을 향하는 방향을 후방이라고 정의하기로 한다.
에스컬레이터용 과속 및 역주행 방지장치(1)는 도 3과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5)에 설치되는 라쳇부(10)와, 에스컬레이터 지지프레임(7)에 설치되는 지지부(20)와, 지지부(20)에 설치되며 라쳇부(10)에 필요할 때 삽입되어 라쳇부(10)의 회전을 제한하는 회전제한부(30)로 이루어진다.
또한 에스컬레이터의 구동스프로켓(6)의 일측에는 에스컬레이터 회전축(5)의 역회전 또는 과속을 감지하는 감지센서(미도시)가 설치되고, 감지센서는 에스컬레이터 회전축(5)의 역회전 또는 과속이 감지되었을 때 회전제한부(30)로 감지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라쳇부(10)를 이루는 구성요소들은 반원 형상을 이루는 두 개의 피스로 분리 구성되고, 분리된 반원 형상 피스의 내측에는 반원 형상의 홈이 각각 형성되어 에스컬레이터 회전축(5)을 분리시키지 않고서도 볼트 등의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5는 도 3의 라쳇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라쳇부(10)는 에스컬레이터 회전축(5)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라쳇휠(11)과, 중공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라쳇휠(11)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 디스크(12), (12’)들과, 디스크(12), (12’)들의 외측면에 각각 접촉되는 제동부(13), (13‘)들과, 제동부(13), (13‘)들의 외측에 이격되게 설치되는 스토퍼(14), (14’)들과, 에스컬레이터 회전축(5)의 외주면 및 라쳇휠(11)과 디스크(12), 제동부(13), 스토퍼(14)의 내주면 사이에 설치되는 베이스(15)로 이루어진다.
라쳇휠(11)은 외측에 톱니바퀴 형상의 기어들이 형성되며, 내부에 축삽입공이 형성되어 내주면이 베이스(15)의 외주면과 접촉되도록 설치된다.
이때 라쳇휠(11)은 베이스(15)와 결합된 상태가 아니기 때문에 베이스(15)와 별도로 회전하게 된다.
디스크(12)는 중공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라쳇휠(11)의 양측면에 볼트체결되어 결합됨으로써 라쳇휠(11)과 일체로 회전된다.
제동부(13)는 디스크(12), (12‘)들의 양측면에 설치되며, 브레이크 라이닝(131)과 라이닝 커버(132)로 이루어진다.
브레이크 라이닝(131)은 중공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마찰계수가 높은 재질로 이루어진다.
라이닝 커버(132)는 중공 원판 형상의 커버몸체(1321)와, 브레이크 라이닝(131)이 삽입되는 삽입홀(1322)과, 커버몸체(1321)의 외측면에 가압볼트(144)들이 체결되는 가압볼트 체결홈(1323)들이 형성된다.
이때 브레이크 라이닝(131)은 라이닝 커버(132)의 삽입홈(1322)에 삽입되어 볼트체결에 의해 결합되며, 두께가 삽입홈(1322)의 깊이보다 두껍기 때문에 라이닝 커버(132)로부터 돌출된다.
또한 브레이크 라이닝(131)은 라이닝 커버(132)로부터 돌출된 부분이 디스크(12), (12’)들의 외측면과 접촉되어 마찰이 발생한다.
스토퍼(14)는 중공 원통 형상의 스토퍼 몸체(141)와, 스토퍼 몸체(141)의 양측면에 원형상의 경로를 그리며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가압볼트 체결공(142)들과, 스토퍼 몸체(141)의 외주면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며 내주면까지 연통되는 고정볼트 체결홈(143)들로 이루어진다.
이때 가압볼트 체결공(142)들은 라이닝 커버(132)에 형성된 가압볼트 체결홈(1323)들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라이닝 커버(132)와 스토퍼(14)는 가압볼트 체결공(142)들과 가압볼트 체결홈(1323)들에 체결되는 가압볼트(144)들에 의해 결합된다.
이때 가압볼트(144)들은 제동부(13)에 내측으로 가압력을 가해줌으로써 브레이크 라이닝(131)이 디스크(12)에 밀착되며, 가압력의 크기에 따라서 브레이크 라이닝(131)과 디스크(12) 사이의 마찰력이 변화하게 된다.
또한 스토퍼(14)는 고정볼트 체결홈(143)들에 고정볼트(145)들이 체결되며, 체결된 고정볼트(145)들의 단부가 베이스(15)와 회전축(5)의 외주면을 가압해줌으로써 베이스(15)와 스토퍼(14)가 가압력에 의해 에스컬레이터 회전축(5)과 함께 회전하게 된다.
이때 제동부(13)는 가압볼트(144)들에 의해 스토퍼(14)들과 결합되기 때문에 제동부(13)와 스토퍼(14), 회전축(5)은 함꼐 회전하게 된다.
또한 스토퍼(14)는 고정볼트(145)들이 에스컬레이터 회전축(5)의 외주면을 가압해줌으로써 회전축(5)과 결합되기 때문에 에스컬레이터 회전축(5)에 별도의 타공작업을 진행하지 않아도 설치할 수 있다.
베이스(15)는 중공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주면이 에스컬레이터 회전축(5)의 외주면과 접촉되며, 외주면이 라쳇휠(11)과 디스크(12), 제동부(13), 스토퍼(14)의 내주면과 접촉되게 설치된다.
이러한 베이스(15)는 라쳇휠(11), 디스크(12), 제동부(13) 및 스토퍼(14)의 내주면이 에스컬레이터 회전축(5)의 외주면과 직접 접촉되어 마찰에 의해 마모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베이스(15)는 탄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라쳇부(10)는 평시에는 라쳇휠(11)과 디스크(12)가 브레이크 라이닝(131)과의 마찰력에 의해 회전축(5)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지만, 회전축(5)의 과속 또는 역회전이 발생하게 되면 회전제한부(30)에 의해 라쳇휠(11)의 기어들 사이로 회전제한부(30)의 폴(31)이 삽입되어 라쳇휠(11)와 디스크(12)의 회전이 제한된다.
이때 디스크(12)와 제동부(13)는 브레이크 라이닝(131)에 의해 마찰접촉된 상태이기 때문에 제동부(13)에는 회전축(5)의 회전방향과 역방향으로 마찰력이 작용하게 된다.
또한 제동부(13)와 스토퍼(14), 회전축(5)은 서로 결합된 상태이기 때문에 제동부(13)에 작용하는 마찰력에 의해 회전축(5)의 회전속도가 점차 감소하여 결국에는 에스컬레이터 회전축(5)의 회전이 정지된다.
또한 라쳇부(10)는 스토퍼(14)가 고정볼트(145)의 가압력에 의해 에스컬레이터 회전축(5)과 고정되어 에스컬레이터 회전축(5)에 별도의 고정홀을 뚫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설치 시간이 감소하게 되며, 고정홀에 의해 회전축(5)의 강도가 감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도 3의 지지부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7은 도 3의 단면도이다.
지지부(20)는 마찰가동체(21)와, 마찰가동체(21)의 후방에 설치되며 에스컬레이터 지지프레임(7)과 결합되는 지지대(22)로 이루어진다.
또한 마찰가동체(21)는 “⊂”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브레이크암(211)들과, 브레이크암(211)들의 단부들과 결합되며 회전제한부(30)가 설치되는 폴서포트(212)로 이루어진다.
브레이크암(211)은 반원링 형상의 만곡부(2111)와, 만곡부(2111)의 양단부로부터 평행하게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2112)들과, 만곡부(2111)와 연장부(2112)의 내주면에 설치되는 제동부재(2113)로 이루어진다.
이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동부재(2113)가 만곡부(2111)와 연장부(2112)의 내주면에 설치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제동부재(2113)의 설치위치 및 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스토퍼(14)의 외주면 등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만곡부(2111)는 내주면의 직경이 스토퍼(14)의 외주면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또한 만곡부(2111)와 연장부(2112)의 내주면에 설치되는 제동부재(2113)도 내주면의 직경이 스토퍼(14)의 외주면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또한 연장부(2112)들은 후단부가 폴서포트(22)와 볼트체결에 의해 결합된다. 이때 브레이크암(211)은 내부에 스토퍼(14)가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폴서포트(212)는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평판(2121), (2121‘)들과, 평판(2121), (2121‘)들을 연결하는 연결판(2122)으로 이루어진다.
평판(2121), (2121‘)들은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플랜지(2123)들이 형성되며, 플랜지(2123)들의 전방에는 상하면을 관통하는 볼트공들이 형성되어 브레이크암(211)들과 볼트체결에 의해 결합된다.
또한 평판(2121), (2121‘)들에는 회전제한부(30)가 삽입되는 삽입홀(2124)이 형성된다.
또한 평판(2121), (2121‘)들에는 삽입홀(2124)의 후방에 볼트(미도시)들이 삽입되는 제1 볼트 삽입공(2125)들이 형성된다.
제1 볼트 삽입공(2125)들은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는 장공으로 이루어지며, 수직 방향으로 복수개가 형성된다.
폴서포트(212)는 제1 볼트 삽입공(2125)들에 삽입되는 볼트들에 의해 지지대(22)와 결합되며, 제1 볼트 삽입공(2125)들이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장공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지지대(22)의 설치위치를 전후방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지지부(20)는 에스컬레이터의 회전축(5)과 지지프레임(7) 사이의 거리가 서로 다른 에스컬레이터들에 설치할 때, 폴서포트(212)에 설치되는 지지대(22)의 설치위치를 변경해줌으로써 별도의 용접 작업 등을 수행하지 않아도 설치가 가능하다.
또한 평판(2121), (2121’)들에는 제1 볼트 삽입공(2125)들의 상부에 제2 볼트 삽입공(2126)들이 형성된다.
제2 볼트 삽입공(2126)들은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장공으로 이루어지며, 수평 방향으로 복수개가 형성된다.
폴서포트(212)는 제2 볼트 삽입공(2126)들에 삽입되는 볼트들에 의해 구동부(33)와 결합되며, 제2 볼트 삽입공(2126)들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장공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구동부(33)의 설치위치를 상하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다.
지지대(22)는 지지프레임(7)과 결합되는 접촉몸체(221)와, 접촉몸체(221)의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몸체(222)로 이루어진다.
접촉몸체(221)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부에 구동부(33)의 후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개구부가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접촉몸체(221)는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제3 볼트 삽입공(2211)들이 형성된다.
접촉몸체(221)의 제3 볼트 삽입공(2211)들에는 볼트체결에 의해 평판 형상의 지지판(2212)들이 결합된다.
이때 지지판(2212)들은 제3 볼트 삽입공(2211)들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장공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지지판(2212)들의 설치위치를 상하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지지판(2212)들은 에스컬레이터마다 서로 다른 높이를 갖는 지지프레임들의 상하면과 접촉되도록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돌출몸체(222)는 접촉몸체(221)의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며, 양측면을 관통하는 복수개의 볼트공들이 형성된다.
이러한 돌출몸체(222)는 폴서포트(212)의 평판(2121), (2121‘)들 내측으로 삽입되며, 제1 볼트 삽입공(2125)들에 삽입되는 볼트들에 의해 폴서포트(212)와 결합된다.
이때 폴서포트(212)에 형성되는 제1 볼트 삽입공(2125)들은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장공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지지대(22)의 설치위치를 전후방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지지부(20)는 장공 형상의 제1 볼트 삽입공(2125)들 및 제3 볼트 삽입공(2211)을 통해 에스컬레이터 지지프레임(7)과 접촉되는 지지대(22)의 접촉부들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서로 다른 규격의 에스컬레이터들에 설치할 때, 별도의 비용 또는 시간이 소비되지 않게 된다.
또한 지지부(20)는 지지대(22)의 접촉몸체(221)에 의해 에스컬레이터 지지프레임(7)과 접촉되어 설치됨으로써 에스컬레이터 지지프레임(7)에 별도의 타공작업을 진행하지 않아도 설치가 가능하여 작업 비용 및 시간이 절약됨과 동시에 타공작업에 의해 지지프레임(7)의 강도가 감소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20)는 마찰가동체(21)와 지지대(22)가 장공 형상의 제1 볼트 삽입공(2125)에 삽입되는 볼트들에 의해 결합되기 때문에 볼트들의 체결력 이상의 힘이 작용하게 될 경우에는 마찰가동체(21)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지지부(20)는 라쳇휠(11)의 회전이 회전제한부(30)에 의해 제한될 때, 회전제한부(30)에 가해지는 라쳇휠(11)의 회전력에 의해 마찰가동체(21)가 가압되어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마찰가동체(21)의 전방에 설치되는 브레이크암(211)들은 내주면에 설치되는 제동부재(2113)가 스토퍼(14)들의 외주면과 접촉됨으로써 스토퍼(14)에 마찰력을 가하게 되며, 이로 인해 에스컬레이터 회전축(5)에 가해지는 제동력이 증가하게 된다.
회전제한부(3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쳇휠(11)의 기어들 사이로 삽입되어 라쳇휠(11)의 회전을 제한하는 폴(31)과, 폴(31)과 구동부(33)를 연결해주는 연결부(32)와, 연결부(32)를 이동시켜 폴(31)을 회전시키는 구동부(33)로 이루어진다.
폴(31)은 중공 원통 형상의 폴 몸체(311)와, 폴 몸체(311)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걸림부(312)와, 폴 몸체(311) 또는 걸림부(312)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연결부(32)와 힌지에 의해 결합되는 연결구(313)로 이루어진다.
또한 폴(31)은 폴 몸체(311)의 내부로 폴샤프트(314)가 관통 설치되며, 폴샤프트(314)가 폴서포트(212)의 삽입홀(2124)에 삽입 결합됨으로써 폴서포트(212)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때 걸림부(312)의 단부에는 돌출부(3121)가 형성됨으로써 단부의 중량이 증가하게 되며, 중량이 증가함에 따라서 걸림부(312)가 라쳇휠(11)의 기어들 사이로 삽입되는 속도가 증가하게 된다.
또한 폴(31)은 기 설정된 각도 내에서만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됨으로써 라쳇휠(11)의 기어들 사이로 삽입될 때, 과회전되어 기어들 밖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연결부(32)는 폴(31)의 연결구(313)와 일단부가 힌지 결합되는 인장스프링(321)과, 인장스프링(321)의 타단부와 일단부가 연결되는 연결봉(322)과, 긴 판재형상으로 형성되며 연결봉(322)의 타단부가 수직하게 결합되는 연결판(323)과, 양단부가 각각 연결판(323)과 구동부(33)에 결합되는 구동봉(324)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연결판(323)은 연결봉(322) 및 구동봉(324)과 너트(미도시)들에 의해 결합되며, 너트들의 체결위치를 조절하여 줌으로써 에스컬레티어 회전축(5)과 지지프레임(7) 사이의 거리에 맞춰 연결부(32)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구동부(33)는 폴서포트(212)에 설치되며, 감지센서에 의해 과속 또는 역회전이 감지되면 연결부(32)의 구동봉(324)을 전방으로 이동시킨다.
도 8은 도 7의 회전제한부가 작동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8의 (a)는 역회전 감지센서로부터 과속 또는 역주행 감시신호가 출력될 때 구동부(33)에 의해 걸림부(312)가 라쳇휠(11)에 삽입되는 과정이며, (b)는 라쳇휠(11)로 삽입된 폴(31)이 라쳇휠(11)의 기어들에 의해 가압될 때 연결부(32)의 인장스프링(321)이 인장되어 폴(31)의 걸림부(312)가 라쳇휠(11)의 내측으로 완전히 삽입되는 과정이다.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스컬레이터용 과속 및 역주행 방지장치(1)는 역회전 감지센서로부터 과속 및 역회전 감지신호가 출력되면, 구동봉(324)을 전방으로 이동시키며, 이로 인해 연결판(323) 및 연결봉(322)이 함께 전방으로 직선 이동하게 된다.
이때 인장스프링(321)은 일단부가 연결봉(322)과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직선운동 및 회전운동이 동시에 이루어지게 되며, 타단부가 폴(31)의 연결구(313)와 힌지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인장스프링(321)이 직선 및 회전 운동함에 따라 폴(31)이 회전하게 되고, 폴(31)의 걸림부(312)가 라쳇휠(11)의 기어들 내측으로 삽입된다.
또한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스컬레이터용 과속 및 역주행 방지장치(1)는 폴(31)의 걸림부(312)가 라쳇휠(11)의 기어들 내측으로 삽입되어 역회전하는 라쳇휠(11)의 기어들과 접촉되어 가압되면, 폴(31)이 회전하여 폴(31)의 걸림부(312)가 라쳇휠(11)의 내측으로 완전히 삽입된다.
이때 구동부(33)와 결합된 구동봉(324)은 구동부(33)로부터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는 거리가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구동봉(324)과 연결판(323), 연결봉(322)은 전방으로의 이동범위가 제한되지만, 이러한 제한된 이동범위는 연결부(32)의 인장스프링(321)이 라쳇휠(11)의 회전력에 의해 인장됨으로써 확장된다.
이를 통해 폴(31)의 걸림부(312)는 라쳇휠(11)의 기어들 내측으로 완전히 삽입되며, 이로 인해 폴(31)의 걸림부(312)와 라쳇휠(11)의 기어들의 접촉면적이 증가하여 제동력이 증가하게 됨으로써 에스컬레이터용 과속 및 역주행 방지장치(1)는 에스컬레이터의 역주행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폴(31)은 라쳇휠(11)의 기어들 사이로 삽입될 때, 라쳇휠(11)의 회전력에 의해 후방으로 가압되며, 폴(31)과 결합된 마찰가동체(21)도 후방으로 가압된다.
또한 마찰가동체(21)는 라쳇휠(11)의 회전력이 마찰가동체(21)와 지지대(22)를 결합하는 제1 볼트 삽입공(2125)들에 삽입되는 볼트들의 체결력보다 강할 경우에는 후방으로 이동되며, 마찰가동체(21)의 전방에 설치되는 브레이크암(211)의 제동부재(2113)가 스토퍼(14)와 접촉된다.
이때 브레이크암(211)의 제동부재(2113)는 스토퍼(14)와 접촉되어 스토퍼(14)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마찰력을 가하게 됨으로써 에스컬레이터 회전축(5)에 가해지는 제동력이 증가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에스컬레이터용 과속 및 역주행 방지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10은 도 9의 폴서포트의 사시도이다.
도 9의 에스컬레이터용 과속 및 역주행 방지장치(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이며, 전술하였던 도 3과 4의 라쳇부(10)와 지지부(20), 회전제한부(30)로 이루어진다.
이때 지지부(20)는 전술하였던 바와 같이 마찰가동체(21)와 지지대(22)로 이루어진다.
또한 마찰가동체(21)는 전술하였던 브레이크암(211)으로 이루어지며, 폴서포트(411)를 더 포함한다.
폴서포트(411)는 전술하였던 바와 같이, 한 쌍의 평판(4111), (4111‘)들과 평판(4111), (4111‘)들을 연결하는 연결판(미도시)으로 이루어지되, 평판(4111), (4111’)들의 후단부에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후방 플랜지(4112)들이 형성되며, 후방 플랜지(4112)의 전면에 “⊂”자 형상의 보조 브레이크암(4113)들이 각각 설치된다.
후방 플랜지(4112)는 평판(4111), (4111‘)들의 후단부에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전면에 보조 브레이크암(4113)의 후단부가 결합된다.
보조 브레이크암(4113)은 반원링 형상의 만곡부(4114)와, 만곡부(4114)의 양단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4115)와, 만곡부(4114)와 연장부(4115)의 내주면에 설치되는 제동부재(4116)로 이루어진다.
이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동부재(4116)가 보조 브레이크암(4113)의 내주면에 설치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제동부재(4116)의 설치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보조 브레이크암(4113)의 내주면과 접촉되는 에스컬레이터 회전축(5)의 외주면 등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만곡부(4114)는 내경이 에스컬레이터 회전축(5)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또한 만곡부(4114)와 연장부(4115)의 내주면에 설치되는 제동부재(4116)도 내주면의 직경이 에스컬레이터 회전축(5)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또한 연장부(4115)는 후단부가 후방 플랜지(4112)와 결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에스컬레이터용 과속 및 역주행 방지장치(2)는 폴(31)이 라쳇휠(11)의 기어들 내부로 삽입되어 라쳇휠(11)에 의해 회전력이 가해져 마찰가동체(21)가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브레이크암(211)들에 설치된 제동부재(2113)가 스토퍼(14)들과 접촉되어 스토퍼(14)에 마찰력을 가하게 됨과 동시에 보조 브레이크암(4113)들에 설치된 제동부재(4116)들이 회전축(5)과 접촉되어 회전축(5)에 마찰력을 가하게 됨으로써 에스컬레이터 회전축(5)에 가해지는 제동력이 증가하게 된다.
이를 통해 에스컬레이터용 과속 및 역주행 방지장치(2)는 브레이크 라이닝(131) 및 브레이크암(211)에 설치된 제동부재(223)의 마찰력만으로 에스컬레이터 회전축(5)의 회전을 정지시킬 때보다 제동력이 증가하게 됨으로써 에스컬레이터의 역주행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에스컬레이터용 과속 및 역주행 방지장치(2)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브레이크암(211)들과 보조 브레이크암(4113)들 함께 설치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설치 환경에 따라서 보조 브레이크암(4113)만을 설치할 수도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인 에스컬레이터용 과속 및 역주행 방지장치의 단면도이며, 도 12는 도 11의 라쳇휠의 사시도이다.
도 11의 에스컬레이터용 과속 및 역주행 방지장치(3)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이며, 전술하였던 도 3과 4의 라쳇부(10)와 지지부(20), 회전제한부(30)로 이루어진다.
라쳇부(10)는 전술하였던 바와 같이 디스크(12), (12’)들과 제동부(13), (13’)들, 스토퍼(14), (14‘)들, 베이스(15)로 이루어지고, 라쳇휠(51)을 더 포함한다.
라쳇휠(51)은 외측에 톱니바퀴 형상의 기어들이 형성되며, 내부에 축삽입공이 형성된다.
이때 라쳇휠(51)에 형성된 축삽입공의 내경은 베이스(15)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또한 라쳇휠(51)의 축삽입공 내주면에는 제동부재(511), (511’)들이 설치된다.
제동부재(511), (511‘)들은 호 형상으로 형성되며, 라쳇휠(51)의 축삽입공 내주면에 설치된다.
또한 제동부재(511), (511’)들은 마찰계수가 높은 재질로 이루어진다.
또한 제동부재(511), (511‘)들은 라쳇휠(51)이 베이스(15)에 삽입되었을 때, 내주면이 베이스(15)의 외주면과 접촉되어 마찰이 발생한다.
이때 설명의 편의를 위해 라쳇휠(51)의 내주면에 호 형상의 제동부재가 2개 설치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제동부재의 설치위치, 형상 및 수량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베이스(15)의 외주면 등에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에스컬레이터용 과속 및 역주행 방지장치(3)는 에스컬레이터 회전축이 역주행하게 되었을 때, 브레이크 라이닝(131)과 제동부재(2113)에 의해 마찰력이 작용함과 동시에 라쳇휠(51)의 내주면에 설치된 제동부재(511), (511’)들과 베이스(15) 사이에 마찰력이 작용하게 된다.
이를 통해 에스컬레이터용 과속 및 역주행 방지장치(3)는 브레이크 라이닝(131) 및 브레이크암(211)에 설치된 제동부재(2113)의 마찰력만으로 에스컬레이터 회전축(5)의 회전을 정지시킬 때보다 제동력이 증가하게 됨으로써 에스컬레이터의 역주행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1 : 제1 실시예의 에스컬레이터용 과속 및 역주행 방지장치
2 : 제2 실시예의 에스컬레이터용 과속 및 역주행 방지장치
3 : 제3 실시예의 에스컬레이터용 과속 및 역주행 방지장치
5 : 에스컬레이터 회전축
6 : 구동스프로켓
7 : 에스컬레이터 지지프레임
10 : 라쳇부
11 : 라쳇휠 12 : 디스크
13 : 제동부 14 : 스토퍼
15 : 베이스
20 : 지지부
21 : 마찰가동체 22 : 지지대
30 : 회전제한부
31 : 폴 32 : 연결부
33 : 구동부

Claims (7)

  1. 에스컬레이터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라쳇휠과, 상기 라쳇휠의 양측부에 설치되어 상기 라쳇휠에 마찰 접촉되며 상기 회전축과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는 마찰부로 이루어지는 라쳇부;
    상기 회전축의 회전을 감지하는 감지센서;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내부의 지지프레임에 설치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에 설치되며, 상기 라쳇휠에 걸림수단을 삽입시켜 상기 라쳇휠의 회전을 제한하는 회전제한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지지프레임과 결합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와 일측이 결합되며 상기 라쳇부와 이격되게 설치되는 마찰가동체를 구비하고,
    상기 걸림수단이 상기 라쳇휠에 삽입되어 상기 라쳇휠의 회전력에 의해 가압되면, 상기 마찰가동체는 후방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마찰부의 외주면과 대접되어 마찰력에 의해 상기 회전축을 제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용 과속 및 역주행 방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가동체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내부로 상기 회전축이 삽입되되 상기 회전축과 이격되게 설치되는 브레이크암들; 및
    상기 브레이크암들과 결합되며 상기 회전제한부가 설치되도록 한 쌍의 평판들과, 한 쌍의 평판들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판으로 이루어진 폴서포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용 과속 및 역주행 방지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암들은 각각
    전면이 볼록한 만곡부와 상기 만곡부의 단부에서 평행하게 연장되는 연장부들로 이루어져 “⊂“자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용 과속 및 역주행 방지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폴서포트의 측면에는 장공 형상의 볼트 삽입공들이 형성되어, 상기 폴서포트는 상기 볼트 삽입공들에 삽입되는 볼트들에 의해 상기 지지대와 결합되고,
    상기 마찰가동체는 상기 걸림수단에 작용하는 상기 라쳇휠의 회전력이 상기 볼트 삽입공들에 삽입되는 볼트들의 체결력보다 강할 경우에는 후방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용 과속 및 역주행 방지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암들의 내주면 또는 상기 마찰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회전축을 제동시킬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제동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용 과속 및 역주행 방지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쳇부는,
    중공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라쳇휠의 좌, 우 양측으로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디스크를 더 구비하고,
    상기 마찰부는,
    중공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측면에 설치되는 제동부재들에 의해 상기 디스크들의 외측면과 각각 접촉되는 제동부들; 및
    중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동부들의 외측에 설치되어 가압볼트에 의해 상기 제동부들과 결합되는 스토퍼들을 구비하고,
    상기 스토퍼들은 각각 외주면에서 내주면까지 연통되어 형성되는 고정볼트 체결홈에 고정볼트가 체결되며, 상기 고정볼트의 단부가 상기 회전축을 가압해줌으로써 상기 에스컬레이터 회전축과 결합되어 함께 회전되고,
    상기 제동부들은 각각 상기 스토퍼들과 결합되는 상기 가압볼트들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디스크들과 밀착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용 과속 및 역주행 방지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라쳇부와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회전축 사이에는 베이스가 삽입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용 과속 및 역주행 방지장치.
KR1020200059279A 2019-10-25 2020-05-18 에스컬레이터용 과속 및 역주행 방지장치 KR1023066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9279A KR102306665B1 (ko) 2019-10-25 2020-05-18 에스컬레이터용 과속 및 역주행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3460A KR102114876B1 (ko) 2019-10-25 2019-10-25 에스컬레이터용 과속 및 역주행 방지장치
KR1020200059279A KR102306665B1 (ko) 2019-10-25 2020-05-18 에스컬레이터용 과속 및 역주행 방지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3460A Division KR102114876B1 (ko) 2019-05-28 2019-10-25 에스컬레이터용 과속 및 역주행 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9658A KR20210049658A (ko) 2021-05-06
KR102306665B1 true KR102306665B1 (ko) 2021-09-28

Family

ID=75916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9279A KR102306665B1 (ko) 2019-10-25 2020-05-18 에스컬레이터용 과속 및 역주행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6665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0775A (ko) * 2014-06-25 2016-01-05 이현호 에스컬레이터의 역주행 방지 장치
KR102075950B1 (ko) * 2018-11-13 2020-02-12 제일에스컬레이터(주) 에스컬레이터용 역회전 방지장치의 메인 브라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9658A (ko) 2021-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8950B1 (ko) 에스컬레이터용 역회전 방지 장치
CA2023929A1 (en) Disc brake parking brake assembly
NZ562730A (en) Brake mechanism for lift with auxilliary movable friction plate providing multiple friction braking surfaces
US6655088B1 (en) Safety break for an overhead door
US4372441A (en) Accumulating conveyor
US4301914A (en) Accumulating conveyor
KR102075950B1 (ko) 에스컬레이터용 역회전 방지장치의 메인 브라켓
KR102306665B1 (ko) 에스컬레이터용 과속 및 역주행 방지장치
KR102114876B1 (ko) 에스컬레이터용 과속 및 역주행 방지장치
US11891273B2 (en) Overspeed and reverse drive preventing device for escalator
US6553716B2 (en) Safety catch assembly for doors; door assembly; and, use
KR20200136590A (ko) 에스컬레이터용 역주행 방지장치
JPS581392Y2 (ja) タンデムドライブ方式の車軸組立体
JP2006193295A (ja) 乗客コンベアの手摺駆動装置
WO2018011960A1 (ja) 乗客コンベアの安全装置
JP6751986B2 (ja) 回転体制動装置
US20070252491A1 (en) Braking system for mobile storage unit
JP2008105185A (ja) 電動式竪型射出成形機
US2987144A (en) Brake for door track roller
KR102336109B1 (ko) 에스컬레이터용 역회전 방지장치의 메인 브라켓
KR102097030B1 (ko) 에스컬레이터용 역회전 방지장치의 메인 브라켓
JPH0134615Y2 (ko)
KR102199129B1 (ko) 에스컬레이터용 역회전 방지장치의 메인 브라켓
CN108584662A (zh) 一种扶梯防塌陷感应装置
JPWO2019012641A1 (ja) 乗客コンベアの非常制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