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9129B1 - 에스컬레이터용 역회전 방지장치의 메인 브라켓 - Google Patents
에스컬레이터용 역회전 방지장치의 메인 브라켓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99129B1 KR102199129B1 KR1020200037772A KR20200037772A KR102199129B1 KR 102199129 B1 KR102199129 B1 KR 102199129B1 KR 1020200037772 A KR1020200037772 A KR 1020200037772A KR 20200037772 A KR20200037772 A KR 20200037772A KR 102199129 B1 KR102199129 B1 KR 10219912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racket
- escalator
- reverse rotation
- main bracket
- rear en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0—Component part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2—Driving gea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9/00—Safety device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Landscapes
-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스컬레이터용 역회전 방지장치의 메인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에스컬레이터용 역회전 방지장치를 구성하는 래칫기어모듈과 구동모듈의 사이에 설치되어 에스컬레이터의 멈춤 등 비정상 작동시 발생되는 하중을 지지하고 충격을 흡수하는 에스컬레이터용 역회전 방지장치의 메인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에스컬레이터용 역회전 방지장치의 메인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에스컬레이터용 역회전 방지장치를 구성하는 래칫기어모듈과 구동모듈의 사이에 설치되어 에스컬레이터의 멈춤 등 비정상 작동시 발생되는 하중을 지지하고 충격을 흡수하는 에스컬레이터용 역회전 방지장치의 메인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에스컬레이터(Escalator)는 동력으로 회전하는 계단을 움직여 사람을 위아래 층으로 운반하는 장치로, 탑승한 계단이 경사면을 따라 승강 또는 하강하면서 동시에 다수의 사람 또는 화물을 이동시키는 운송수단이다.
이와 같은 에스컬레이터는 지하철 및 백화점과 같은 대중 교통 시설 및 공공시설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속도는 느리지만 연속적으로 운행이 가능하기 때문에 많은 사람이 한꺼번에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일반적인 에스컬레이터는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을 통해 전동체인이 이동하며, 다수의 계단을 경사면을 따라 순차적으로 이동시켜 승강 또는 하강하도록 한다. 에스컬레이터는 한 번에 다수의 사람이 탑승하며 많은 시간을 운용하기 때문에, 상승 또는 하강 중에 기계적 또는 전자적인 결함이나 오작동으로 인해 역회전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1970년부터 건설이 추진되기 시작한 지하철 역사에 설치된 에스컬레이터의 경우, 노후화로 인한 에스컬레이터의 피로도 누적으로 인해 감속기 주축절단 및 모터 축의 파손 등으로 인한 역회전이 종종 발생하고 있다.
오작동으로 인해 에스컬레이터의 역회전이 발생하는 경우, 반동으로 탑승객들이 넘어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다수의 탑승객이 에스컬레이터에서 떨어지며 대형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예방하기 위해서 최근 들어 에스컬레이터의 역회전을 방지할 수 있는 다양한 제동 장치를 구비한 에스컬레이터가 설치되고 있다.
하지만, 지하철 역사에 설치된 에스컬레이터와 같이 오래 전 설치된 에스컬레이터의 경우 에스컬레이터 역회전 방지 장치가 구비되어 있지 않은 경우가 많다. 따라서, 종래의 역회전 방지 장치가 구비되지 않은 에스컬레이터에 역회전 방지 장치를 추가하는 방안이 연구되고 있다.
종래의 에스컬레이터의 경우, 역회전 방지 장치를 에스컬레이터 내부에 추가 설치해야 하지만, 구동 계단의 회전으로 설치공간이 협소할 뿐만 아니라, 기존에 설치된 에스컬레이터에는 적용이 어렵고, 설치공간이 확보되더라도 설치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20111호에는 브레이크 드럼, 와이어, 압력 감지부, 리미트 스위치, 열변형 감시부, 파손 감시부, 처짐방지부로 이루어진 밴드 브레이크를 통한 에스컬레이터 역회전 방지 장치가 게재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종래기술 또한, 에스컬레이터의 협소한 공간상에서 브레이크 드럼을 따로 설치하고, 밴드 브레이크를 설치해야 하므로, 설치공간이 협소하여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고, 밴드 브레이크를 장시간 사용시, 밴드표면상에 균열이 가거나 찢겨지고, 마찰부위가 닳아서 미끄럼 현상이 자주 발생되어, 역회전방지용 보조브레이크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08038호에는 호환성·탈부착결합성이 우수한 에스컬레이터 역회전 방지용 스마트 보조브레이크장치가 게재되어 있는데, 그 주요 기술적 구성은 하프(Half)링형 거치모듈, 티스(Teeth)구동모듈, 역회전감지센서부, PLC제어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역회전되는 에스컬레이터 구동을 센싱한 후, 역회전되는 회전축을 마그네틱의 힘으로 구동되는 스톱퍼티스바와 라쳇기어부를 통해 역회전되는 에스컬레이터를 정지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에 그 특징이 있다.
즉, 상기 종래기술은 에스컬레이터의 설치공간에 구애받지 않고 에스컬레이터 구동수단인 양측 스프로켓 사이의 회전축 표면 상에 하나 또는 둘 이상 탈부착식으로 설치할 수 있어 설치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은 있으나, 스톱퍼티스바를 포함하는 티스구동모듈의 신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88950호에 게재된 에스컬레이터용 역회전 방지 장치를 출원하였으며, 그 주요 기술적 구성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에스컬레이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회전축(1)에 체결 고정되는 래칫기어모듈(100)과, 상기 래칫기어모듈(100)에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래칫기어모듈(100)의 회전을 제한하는 구동모듈(200)과, 상기 구동모듈(200)을 작동시키는 솔레노이드부(300)와, 상기 회전축의 역회전을 감지하는 역회전 감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에스컬레이터용 역회전 방지 장치(10)에 있어서, 상기 래칫기어모듈(100)은 회전축(1)의 외측에 결합되는 래칫휠(110)과, 상기 래칫휠(110)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 래칫 고정플랜지(120)와, 상기 래칫휠(110) 또는 래칫휠(110)과 래칫 고정플랜지(120)의 결합체 내주면에 고정 설치되는 링 형상의 부싱(130)과, 상기 래칫 고정플랜지(120)의 외측면에 각각 접촉되는 브레이크라이닝(140)과, 상기 브레이크라이닝(140)의 외측에 위치되도록 하여 회전축(1)에 결합되는 제1 및 제2사이드플랜지(150,160) 및 상기 제1 및 제2사이드플랜지(150,160)의 외측에 구비되어 구동모듈(200)에 연결 설치되는 메인브라켓(1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종래기술은 기존 에스컬레이터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폴 래칫 휠 방식(Pawl ratchet wheel method)에 의해 기구적으로 작동되어 에스컬레이터 역회전 방지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에 기술적 특징이 있으나, 래칫기어모듈(100)과 구동모듈(200)의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에스컬레이터의 멈춤 등 비정상 작동시 발생되는 이상 과대 하중을 지지하는 메인브라켓(170)의 구조적 강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종래기술의 메인브라켓(170)은 제1 및 제2사이드플랜지(150,160)의 지지부 상에 설치되어 래칫기어모듈(100)이 구동모듈(200)의 서포트부와 연결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제1브라켓(172)과, 제1브라켓(172)의 외측에 결합되어 제1브라켓(172)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제2브라켓(174)으로 분리 구성되는데, 도 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제2브라켓(174)은 제1 및 제2사이드플랜지(150,160)의 지지부 상에 설치되는 제1브라켓(172)의 외측면에 결합되어 단순히 제1브라켓(172)을 고정시키는 역할만 하게 되므로 에스컬레이터의 구동이 멈추는 경우 발생되는 하중은 모두 제1브라켓(172)에서 부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회전축(1)에 결합되는 래칫기어모듈(100)은 에스컬레이터의 구동시 회전축(1)과 함께 회전 구동을 하지만, 구동모듈(200)에 연결 설치된 메인 브라켓(170)은 회전축(1)의 회전시에도 회전하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에스컬레이터의 구동이 멈추게 되는 경우, 즉 회전축(1)의 회전을 정지되는 경우 발생되는 하중을 지지함과 동시에 충격을 어느 정도 흡수하여야 하는데, 전술한 종래의 메인 브라켓(170)은 제1브라켓(172)에서 대부분의 하중을 부담하여야 하므로, 특히 에스컬레이터의 구동이 급정지되는 등의 큰 하중이 발생될 경우를 대비하여 메인 브라켓(170)의 지지력과 충격흡수력 및 강도를 향상시킬 필요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 메인 브라켓(170)의 구조적 강도를 보완하고,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의 개발이 필요한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보완사항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의 에스컬레이터용 역회전 방지 장치를 구성하는 메인 브라켓의 설계 변경을 통해 구동모듈에 연결 설치되는 제1브라켓의 전방 단부가 제2브라켓의 후방 단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에스컬레이터의 구동이 멈추는 경우 발생되는 하중에 대한 지지력 및 충격 흡수력을 향상시키고, 하중에 의한 변형을 줄일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안전율(safety factor)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에스컬레이터용 역회전 방지장치의 메인 브라켓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폴과 래칫휠에 의해 작동되는 에스컬레이터용 역회전 방지장치의 메인 브라켓에 있어서, 상기 메인 브라켓은 에스컬레이터의 비정상 작동시 발생되는 하중을 지지하고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구조로서, 래칫기어모듈을 지지하여 에스컬레이터의 비정상 작동시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제2브라켓과, 상기 제2브라켓의 후방 단부를 지지하는 제1브라켓으로 분리 구성되고, 상기 제2브라켓의 후방 단부는 제1브라켓의 전방 단부에 일체로 결합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1브라켓의 전방 단부와 제2브라켓의 후방 단부에는 제1 및 제2절개부가 각각 형성되어 제2브라켓의 후방 단부가 제1브라켓의 전방 단부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브라켓의 전방 단부에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브라켓의 후방 단부에는 상기 결합홈에 삽입 결합되는 결합돌부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구동모듈에 연결 설치되는 제1브라켓의 전방 단부가 제2브라켓의 후방 단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에스컬레이터의 구동이 멈추는 경우 발생되는 하중에 대한 지지력 및 충격 흡수력을 향상시키고, 하중에 의한 변형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뛰어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의 메인 브라켓에 비해 안전율(safety factor)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어 고장 또는 파손의 위험성을 줄임은 물론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추가로 갖는다.
도 1은 종래의 에스컬레이터용 역회전 방지 장치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역회전 방지장치용 메인 브라켓이 에스컬레이터에 설치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역회전 방지장치용 메인 브라켓을 포함하는 에스컬레이터 역회전 방지장치의 구성을 분리하여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역회전 방지장치용 메인 브라켓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나타낸 본 발명의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역회전 방지장치용 메인 브라켓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역회전 방지장치용 메인 브라켓의 구조해석에 사용된 모델을 나타낸 사시도.
도 8의 (a),(b)는 본 발명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역회전 방지장치용 메인 브라켓의 하중에 대한 변형률 테스트 결과를 종래의 메인 브라켓과 비교하여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역회전 방지장치용 메인 브라켓이 에스컬레이터에 설치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역회전 방지장치용 메인 브라켓을 포함하는 에스컬레이터 역회전 방지장치의 구성을 분리하여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역회전 방지장치용 메인 브라켓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나타낸 본 발명의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역회전 방지장치용 메인 브라켓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역회전 방지장치용 메인 브라켓의 구조해석에 사용된 모델을 나타낸 사시도.
도 8의 (a),(b)는 본 발명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역회전 방지장치용 메인 브라켓의 하중에 대한 변형률 테스트 결과를 종래의 메인 브라켓과 비교하여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역회전 방지장치용 메인 브라켓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역회전 방지장치용 메인 브라켓이 에스컬레이터에 설치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역회전 방지장치용 메인 브라켓을 포함하는 에스컬레이터 역회전 방지장치의 구성을 분리하여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역회전 방지장치용 메인 브라켓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나타낸 본 발명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역회전 방지장치용 메인 브라켓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역회전 방지장치용 메인 브라켓의 구조해석에 사용된 모델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8의 (a),(b)는 본 발명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역회전 방지장치용 메인 브라켓의 하중에 대한 변형률 테스트 결과를 종래의 메인 브라켓과 비교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에스컬레이터용 역회전 방지장치(10)를 구성하는 래칫기어모듈(100)과 구동모듈(200)의 사이에 설치되어 에스컬레이터의 멈춤 등 비정상 작동시 발생되는 하중을 지지하고 충격을 흡수하는 에스컬레이터용 역회전 방지장치(10)의 메인 브라켓(500)(이하, '메인 브라켓(500)'이라 한다.)에 관한 것으로,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메인 브라켓(500)을 포함하는 에스컬레이터용 역회전 방지장치(10)의 기본적인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간략히 설명하기로 한다.
에스컬레이터용 역회전 방지장치(1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에스컬레이터의 구동을 위한 양측 메인 구동스프라켓(2)을 회전시키는 회전축(1)에 연결 설치되어 에스컬레이터가 역회전하거나 정격 허용 속도를 벗어나는 경우, 회전축(1)의 회전을 정지시킴으로써 에스컬레이터의 구동을 정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장치로, 그 구성은 크게 래칫기어모듈(100), 구동모듈(200), 솔레노이드부(300) 및 역회전 감지부(미도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래칫기어모듈(100)은 에스컬레이터의 구동을 위한 양측 메인 구동스프라켓(2) 사이의 회전축(1) 상에 체결 고정되어 구동모듈(200)의 작동에 의해 회전축(1)이 역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회전축(1)과 일체로 회전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래칫기어모듈(100)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래칫휠(110), 래칫 고정플랜지(120), 부싱(130), 브레이크라이닝(140) 및 제1 및 제2사이드플랜지(150,1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상기 래칫휠(110)은 톱니바퀴 형상으로 이루어져 회전축(1)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것으로, 후술할 구동모듈(200)의 스토퍼부(210)에 구비된 폴(212)과의 걸림에 의해 에스컬레이터가 역회전하는 경우 회전축(1)의 회전을 정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다음, 상기 래칫 고정플랜지(120)는 래칫휠(110)의 좌,우 양측으로 각각 결합되어 래칫휠(110)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고, 상기 부싱(130)은 회전축(1)과 래칫휠(110) 또는 래칫휠(110)과 래칫 고정플랜지(120)의 결합체 사이에 삽입 설치되어 래칫휠(110) 또는 래칫휠(110)과 래칫 고정플랜지(120)의 결합체와 제1 및 제2사이드플랜지(150,160) 사이의 마찰에 의한 마모를 방지하고 래칫휠(110) 또는 래칫휠(110)과 래칫 고정플랜지(120)의 결합체와 제1 및 제2사이드플랜지(150,160) 사이가 이격되지 않고 완벽히 밀착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링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다음, 상기 브레이크라이닝(140)은 래칫 고정플랜지(120)의 외측면에 각각 접촉되어 래칫 고정플랜지(120)와 제1 및 제2사이드플랜지(150,160) 사이의 마찰에 의한 마모를 방지함과 동시에 후술할 스토퍼부(210)의 폴(212)에 의해 래칫휠(110)의 회전이 제한되는 경우 마찰력에 의해 회전축(1)의 회전이 서서히 정지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고, 상기 제1 및 제2사이드플랜지(150,160)는 브레이크라이닝(140)의 외측에 위치되도록 하여 회전축(1)에 결합되는 것으로, 회전축(1)의 회전에 의해 래칫기어모듈(100)이 일체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회전축(1)의 역회전시 스토퍼부(210)의 폴(212)에 의해 래칫휠(110)의 회전이 제한되는 경우 브레이크라이닝(140)의 마찰력에 의해 회전축(1)의 회전을 서서히 정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래칫기어모듈(100)을 이루는 구성요소들은 반원 형상을 이루는 두 개의 피스로 분리 구성되고, 분리된 반원 형상 피스의 내측에는 반원 형상의 홈이 각각 형성되어 회전축(1)에 결합된 스프라켓(2) 등을 분리시키지 않고서도 볼트 등의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회전축(1)에 결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 상기 구동모듈(200)은 래칫기어모듈(100)의 래칫휠(110)에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에스컬레이터의 역회전이 감지되는 경우 래칫기어모듈(100)의 회전을 제한함으로써 회전축(1)의 회전을 정지시킴과 동시에 역회전 방지장치(10)가 에스컬레이터에 기 설치되어 있는 에스컬레이터 지지프레임(3)에 의해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스토퍼부(210)와 구동부(220) 및 서포트부(2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스토퍼부(210)는 후술할 구동부(220)의 전방 단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에스컬레이터의 역주행시 구동부(220)의 구동에 의해 래칫휠(110)에 걸림되어 래칫기어모듈(100)의 회전을 제한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에스컬레이터의 역주행시 전단부가 래칫휠(110)에 걸림되도록 하여 래칫휠(110)의 회전을 제한하는 폴(212)과, 폴(212)의 상부에 돌출 형성되어 폴(212)이 구동부(220)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연결구(214) 및 구동부(220)의 구동에 의해 폴(212)이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폴샤프트(21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다음, 상기 구동부(220)는 스토퍼부(210)와 솔레노이드부(300)의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솔레노이드부(300)의 신호에 의해 스토퍼부(210)를 작동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고, 상기 서포트부(23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설치되어 있는 에스컬레이터 지지프레임(3)에 연결 설치되어 에스컬레이터용 역회전 방지장치(10)가 고정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다음, 상기 솔레노이드부(300)는 역회전 감지부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구동모듈(200)을 작동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구동부(220)의 후방에 연결 설치되어 자력을 생성시킴으로써 구동부(220)를 후방으로 잡아당길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 상기 역회전 감지부(미도시)는 에스컬레이터 회전축(1)의 일측 메인 구동스프라켓(2) 주변에 설치되어 회전축(1)의 역회전을 감지하여 솔레노이드부(300)로 신호를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회전축(1)의 속도를 감지하기 위한 속도센서(미도시)와, 회전축(1)의 회전방향을 감지하기 위한 제1 및 제2근접센서(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에스컬레이터용 역회전 방지장치(10)는 본 발명에 따른 메인 브라켓(500)을 제외한 주요 기술적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한 것으로, 이에 대한 세부적인 구성 및 작동관계는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88950호에 게재된 에스컬레이터용 역회전 방지 장치의 구성 및 작동관계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메인 브라켓(500)은 래칫기어모듈(100)과 구동모듈(200)의 사이에 설치되어 에스컬레이터의 멈춤 등 비정상 작동시 발생되는 하중을 지지하고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메인 브라켓(500)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래칫기어모듈(100)의 좌,우 양측으로 한 쌍이 설치되는데, 구동모듈(200)의 서포트부(230)에 연결 설치되는 제1브라켓(510)과, 래칫기어모듈(100)의 제1 및 제2사이드플랜지(150,160)의 외측면에 위치되도록 하여 제1브라켓(510)에 연결 설치되는 제2브라켓(5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1브라켓(510)은 연결플레이트(512)와 지지부(514)로 구성되는데, 먼저 상기 연결플레이트(512)는 세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구동모듈(200)의 서포트부(230) 전단에 연결 설치되는 것으로, 볼트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상기 서포트부(230)에 체결 고정된다.
또한, 상기 지지부(514)는 연결플레이트(512)의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제2브라켓(520)의 후단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지지부(514)의 후방 단부는 연결플레이트(512)에 연결 설치되고, 전방 단부는 전방이 개구된 반원 형상으로 이루어져 제2브라켓(520)의 후방 단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 상기 제2브라켓(520)은 고정부(522)와 연장부(524)로 구성되는데, 상기 고정부(522)는 후방이 개구된 반원 형상으로 이루어져 래칫기어모듈(100)의 좌,우 양 측면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연장부(524)는 고정부(522)의 후단에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제1브라켓(510)의 전방 단부, 즉 지지부(514)에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상기 연장부(524)의 후방 단부는 지지부(514)의 전방 단부에 의해 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제2브라켓(520)은 연장부(524)에 의해 제1브라켓(510)의 전단부에 지지되는 상태로 체결 고정되어 고정부(522)에 의해 래칫기어모듈(100)의 양측 단부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종래의 메인 브라켓(170)의 경우 구동모듈(200)의 서포트부(230)에 고정 설치되는 제1브라켓(172)의 전방 단부가 래칫기어모듈(100)의 양 측면을 지지하도록 구성되고, 제2브라켓(174)은 단순히 제1브라켓(172)의 외측에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에스컬레이터의 회전축(1) 구동이 정지되는 경우 제1브라켓(172)에서 대부분의 하중을 부담하여야 하므로, 역회전 방지장치(10)에 의해 에스컬레이터의 구동이 급정지되는 등의 큰 하중이 발생될 경우 메인 브라켓(170), 특히 제1브라켓(172)에 변형 또는 파손이 발생될 우려가 있는 것임에 비해, 본 발명에서는 메인 브라켓(500)의 역할을 분담, 즉 구동모듈(200)에 연결 설치되는 제1브라켓(510)에서 하중을 지지하도록 하고, 래칫기어모듈(100)에 연결 설치되는 제2브라켓(520)에서 래칫기어모듈(100)을 지지하도록 함과 동시에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브라켓(520)의 후방 단부, 즉 후방 단면이 제1브라켓(510)의 전방 단부, 즉 전방 단면에 의해 지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하중에 대한 지지력 및 충격 흡수력을 향상시킴은 물론, 하중에 의한 변형을 줄일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1브라켓(510)의 전방 단부, 즉 지지부(514)의 전방 단부에는 제1절개부(516)가 형성되고, 제2브라켓(520)의 후방 단부, 즉 연장부(524)에는 제2절개부(526)가 형성되는데, 상기 제1 및 제2절개부(516,526)는 서로 반대 위치에 세로 방향으로 형성된다.
즉,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브라켓(510)의 전방 단부 내측에는 제1절개부(516)가 형성되고, 상기 제2브라켓(520)의 후방 단부 외측에는 제2절개부(526)가 형성되는데, 상기 제1절개부(516)와 제2절개부(526)는 서로 동일한 두께 및 동일한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제2브라켓(520)의 후단부, 즉 연장부(524) 중 절개되지 않은 부분의 후단부는 제1절개부(516)에 의해 형성된 지지면(516a), 즉 제1절개부(516)의 후방 단면에 의해 지지되고, 제2절개부(526)에 의해 형성된 절개면(5226a), 즉 제2브라켓(520)의 고정부(522) 후방 단면은 제1절개부(516)가 형성되지 않은 제1브라켓(510)의 전방 단면에 의해 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브라켓(510)의 전단부와 제2브라켓(520)의 후단부, 즉 지지부(514)와 연장부(524)에 형성된 제1 및 제2절개부(516,526)의 측면은 서로 접합되어 볼트 등의 체결수단(530)에 의해 체결 고정됨으로써 제2브라켓(520)의 후단부는 제1브라켓(510)의 전단부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일체로 결합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2브라켓(520)의 고정부(522) 내측면에는 다수 개의 삽입홈(525)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525)에는 롤러 또는 부싱(525a)이 삽입 설치될 수 있는데, 상기 롤러 또는 부싱(525a)은 에스컬레이터의 구동 정지로 인해 회전축(1)의 회전이 정지되거나 역회전 방지장치(10)에 의해 회전축(1)의 회전이 강제로 정지되는 경우 회전축(1)으로부터 제2브라켓(520)으로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롤러 또는 부싱(525a)은 강도 및 탄성이 우수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이나 나일론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메인 브라켓(500)의 다른 실시예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브라켓(520)의 후단부 중앙에 결합돌부(528)가 돌출 형성되고, 제1브라켓(510)의 전단부에 상기 결합돌부(528)가 삽입 결합되는 결합홈(518)이 형성되어, 전술한 제2브라켓(520)의 연장부(524)가 결합돌부(528)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제1브라켓(510)의 지지부(514) 전단부가 결합홈(518)의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도 상기 결합돌부(528)는 제1브라켓(510)의 전단부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결합홈(518)의 내측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볼트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체결 고정된다.
즉, 본 실시예 또한 제2브라켓(520)의 후방 단부, 즉 고정부(522)의 후방 단부와 결합돌부(528)의 후방 단부는 각각 제1브라켓(510)의 전방 단부, 즉 지지부(514)의 전방 단부와 결합홈(518)의 후방 단부에 의해 지지될 수 있게 되므로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보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8의 (a),(b)는 본 발명에 따른 메인 브라켓(500)의 작용 효과를 입증하기 위하여 하중에 대한 변형률을 테스트한 결과를 종래의 메인 브라켓(170)과 비교하여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메인 브라켓(500)을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브라켓(520)이 제1브라켓(510)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결합되고, 한 쌍의 메인 브라켓(500) 중 제1브라켓(510)의 사이에 구동모듈(200)의 폴(212)이 폴샤프트(216)에 의해 결합된 상태로 모델링한 후, 중량 7.2톤에 대한 수직하중을 계산하여 71,000N의 하중을 가하였을 때의 변형량 분포를 나타낸 것이다.
이때, 상기 폴샤프트(216)의 양측 단부와, 메인 브라켓(500)이 구동모듈(200)의 서포트부(230)에 결합되는 면, 즉 제1브라켓(510)의 연결플레이트(512) 후단면을 고정시켰으며, 폴(212)과 메인 브라켓(500) 자체에 하중을 가하도록 하였다.
도 8의 (a),(b)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파란색에 가까울수록 변형량이 적은 상태인데, 종래의 메인 브라켓(170)에 비해 본 발명에 따른 메인 브라켓(500)의 색상이 전체적으로 푸르게 나타난 것으로부터 하중에 의한 변형량이 종래에 비해 감소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극한하중과 허용하중의 비로 나타나는 안전율(safety factor)을 비교하여 본 결과, 종래의 메인 브라켓(170)은 안전율이 1.08인 것에 비해, 본 발명에 따른 메인 브라켓(500)은 안전율이 3.08인 것으로 나타나 종래에 비해 훨씬 향상된 내구성을 보일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에스컬레이터용 역회전 방지장치의 메인 브라켓(500)에 의하면, 구동모듈(200)에 연결 설치되는 제1브라켓(510)의 전방 단부가 제2브라켓(520)의 후방 단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에스컬레이터의 구동이 멈추는 경우 발생되는 하중에 대한 지지력 및 충격 흡수력을 향상시키고, 하중에 의한 변형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래의 메인 브라켓(170)에 비해 안전율(safety factor)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어 고장 또는 파손의 위험성을 줄임은 물론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등의 다양한 장점을 갖는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본 발명은 에스컬레이터용 역회전 방지장치의 메인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에스컬레이터용 역회전 방지장치를 구성하는 래칫기어모듈과 구동모듈의 사이에 설치되어 에스컬레이터의 멈춤 등 비정상 작동시 발생되는 하중을 지지하고 충격을 흡수하는 에스컬레이터용 역회전 방지장치의 메인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1 : 회전축 2 : (구동)스프라켓
3 : 지지프레임 10 : 역회전 방지장치
100 : 래칫기어모듈 110 : 래칫휠
120 : 래칫 고정플랜지 130 : 부싱
140 : 브레이크라이닝 150 : 제1사이드플랜지
152 : 돌출부 160 : 제2사이드플랜지
170, 500 : 메인 브라켓 172, 510 : 제1브라켓
174, 520 : 제2브라켓 200 : 구동모듈
210 : 스토퍼부 212 : 폴
214 : 연결구 216 : 폴샤프트
220 : 구동부 230 : 서포트부
300 : 솔레노이드부 512 : 연결플레이트
514 : 지지부 516 : 제1절개부
516a : 지지면 518 : 결합홈
522 : 고정부 524 : 연장부
525 : 삽입홈 525a : 롤러 또는 부싱
526 : 제2절개부 526a : 절개면
528 : 결합돌부 530 : 체결수단
3 : 지지프레임 10 : 역회전 방지장치
100 : 래칫기어모듈 110 : 래칫휠
120 : 래칫 고정플랜지 130 : 부싱
140 : 브레이크라이닝 150 : 제1사이드플랜지
152 : 돌출부 160 : 제2사이드플랜지
170, 500 : 메인 브라켓 172, 510 : 제1브라켓
174, 520 : 제2브라켓 200 : 구동모듈
210 : 스토퍼부 212 : 폴
214 : 연결구 216 : 폴샤프트
220 : 구동부 230 : 서포트부
300 : 솔레노이드부 512 : 연결플레이트
514 : 지지부 516 : 제1절개부
516a : 지지면 518 : 결합홈
522 : 고정부 524 : 연장부
525 : 삽입홈 525a : 롤러 또는 부싱
526 : 제2절개부 526a : 절개면
528 : 결합돌부 530 : 체결수단
Claims (3)
- 폴과 래칫휠에 의해 작동되는 에스컬레이터용 역회전 방지장치의 메인 브라켓에 있어서,
상기 메인 브라켓은 에스컬레이터의 비정상 작동시 발생되는 하중을 지지하고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구조로서,
래칫기어모듈을 지지하여 에스컬레이터의 비정상 작동시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제2브라켓과,
후방 단부는 구동모듈의 서포트부에 연결 설치되고, 전방 단부는 상기 제2브라켓의 후방 단부를 지지하는 제1브라켓으로 분리 구성되고,
상기 제2브라켓의 후방 단부는 제1브라켓의 전방 단부에 일체로 결합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용 역회전 방지장치의 메인 브라켓.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브라켓의 전방 단부와 제2브라켓의 후방 단부에는 제1 및 제2절개부가 각각 형성되어 제2브라켓의 후방 단부가 제1브라켓의 전방 단부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용 역회전 방지장치의 메인 브라켓.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브라켓의 전방 단부에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브라켓의 후방 단부에는 상기 결합홈에 삽입 결합되는 결합돌부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용 역회전 방지장치의 메인 브라켓.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37772A KR102199129B1 (ko) | 2020-03-27 | 2020-03-27 | 에스컬레이터용 역회전 방지장치의 메인 브라켓 |
KR1020200186630A KR102336109B1 (ko) | 2020-03-27 | 2020-12-29 | 에스컬레이터용 역회전 방지장치의 메인 브라켓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37772A KR102199129B1 (ko) | 2020-03-27 | 2020-03-27 | 에스컬레이터용 역회전 방지장치의 메인 브라켓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13086A Division KR102097030B1 (ko) | 2018-11-13 | 2020-02-04 | 에스컬레이터용 역회전 방지장치의 메인 브라켓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86630A Division KR102336109B1 (ko) | 2020-03-27 | 2020-12-29 | 에스컬레이터용 역회전 방지장치의 메인 브라켓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55691A KR20200055691A (ko) | 2020-05-21 |
KR102199129B1 true KR102199129B1 (ko) | 2021-01-07 |
Family
ID=70910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37772A KR102199129B1 (ko) | 2020-03-27 | 2020-03-27 | 에스컬레이터용 역회전 방지장치의 메인 브라켓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99129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08038B1 (ko) | 2015-08-27 | 2016-03-31 | (주)신한엘리베이터 | 호환성·탈부착결합성이 우수한 에스컬레이터 역회전 방지용 스마트 보조브레이크장치 |
KR101888950B1 (ko) * | 2018-01-05 | 2018-08-16 | 제일에스컬레이터(주) | 에스컬레이터용 역회전 방지 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20111B1 (ko) | 2014-03-28 | 2014-07-17 | 이현호 | 에스컬레이터 역회전 방지 장치 |
-
2020
- 2020-03-27 KR KR1020200037772A patent/KR10219912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08038B1 (ko) | 2015-08-27 | 2016-03-31 | (주)신한엘리베이터 | 호환성·탈부착결합성이 우수한 에스컬레이터 역회전 방지용 스마트 보조브레이크장치 |
KR101888950B1 (ko) * | 2018-01-05 | 2018-08-16 | 제일에스컬레이터(주) | 에스컬레이터용 역회전 방지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55691A (ko) | 2020-05-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88950B1 (ko) | 에스컬레이터용 역회전 방지 장치 | |
KR102075950B1 (ko) | 에스컬레이터용 역회전 방지장치의 메인 브라켓 | |
KR100962965B1 (ko) | 승객 컨베이어 구동 조립체 | |
JP2007507402A (ja) | リフティング装置、特にエレベータあるいはリフティングプラットフォーム | |
KR200466157Y1 (ko) | 고하중용 에스컬레이터의 디스크 유압캘리퍼식 비상정지 안전 브레이크 제어장치 | |
KR101420111B1 (ko) | 에스컬레이터 역회전 방지 장치 | |
TW200831384A (en) |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a lift cage | |
US20140246275A1 (en) | Traction sheave elevator | |
KR100995059B1 (ko) | 에스컬레이터의 비상정지 안전 브레이크 제어장치 | |
WO2007077937A1 (ja) | 乗客コンベア | |
KR102199129B1 (ko) | 에스컬레이터용 역회전 방지장치의 메인 브라켓 | |
WO2006022292A1 (ja) | 乗客コンベアの踏段移動検出装置 | |
JP7234292B2 (ja) | 乗客コンベア | |
KR20170113868A (ko) | 에스컬레이터 역주행 방지장치 | |
KR102336109B1 (ko) | 에스컬레이터용 역회전 방지장치의 메인 브라켓 | |
KR102097030B1 (ko) | 에스컬레이터용 역회전 방지장치의 메인 브라켓 | |
CN107618674B9 (zh) | 制动装置及登机桥 | |
KR20160000775A (ko) | 에스컬레이터의 역주행 방지 장치 | |
KR102147535B1 (ko) | 에스컬레이터 역주행 방지장치 | |
EP1760028B1 (en) | Room-less lifting equipment for persons and goods | |
JP3765647B2 (ja) | 乗客コンベヤー装置 | |
KR20170070617A (ko) | 에스컬레이터 역주행 방지장치 | |
KR102641944B1 (ko) | 범용 설치 가능한 에스컬레이터 및 무빙워크용 래칫기어모듈 | |
WO2018011960A1 (ja) | 乗客コンベアの安全装置 | |
JP6076201B2 (ja) | 乗客コンベア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