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5308B1 - 케이지 평형유지 장치 - Google Patents

케이지 평형유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5308B1
KR102155308B1 KR1020190015544A KR20190015544A KR102155308B1 KR 102155308 B1 KR102155308 B1 KR 102155308B1 KR 1020190015544 A KR1020190015544 A KR 1020190015544A KR 20190015544 A KR20190015544 A KR 20190015544A KR 102155308 B1 KR102155308 B1 KR 1021553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cage
coupled
unit
elastic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55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98006A (ko
Inventor
남수근
Original Assignee
(주)천보기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천보기계 filed Critical (주)천보기계
Priority to KR10201900155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5308B1/ko
Publication of KR202000980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80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53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53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6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 B66B7/08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for connection to the cars or cages, e.g. couplings
    • B66B7/085Belt termination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6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 B66B7/10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for equalising rope or cable ten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지 평형유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케이지의 상단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수평바; 수평바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어 상측으로 연장되는 와이어 텐션유지부; 및 일단이 와이어 텐션유지부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측으로 연장되어 제1 와이어와 연결되어 와이어 텐션유지부의 압축상태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와이어 연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케이지 평형유지 장치{Balancing apparatus for cage}
본 발명은 케이지 평형유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권취장치에 연결된 케이지의 평형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케이지 평형유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케이지 또는 엘리베이터와 연결되는 와이어가 케이지 또는 엘리베이터의 각 모서리에 단선(single wire)으로 연결되었다. 이와 같이, 와이어가 단선으로 형성되면, 사용중에 와이어가 끊어지게 되면 하중에 불균형이 발생하여 케이지 또는 엘리베이터가 하방향으로 추락하는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하여 케이지 또는 엘리베이터의 각 모서리에 듀얼 와이어를 사용하여 결합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하지만, 듀얼 와이어를 사용한다고 하더라도, 하나의 와이어가 끊어지게 되면, 끊어지는 쪽의 와이어에 하중이 집중되면서 하중을 분산시키지 못하고 와이어가 끊어진 쪽으로 소정각도가 기울어 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차량 등을 운반하는 케이지의 경우 차량의 기어상태가 중립의 위치로 정차되어 있는 경우 차량이 기울어진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어 안전사고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6-0058634호, 2006년 5월 30일)
본 발명의 목적은 권취장치에 연결된 케이지의 평형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케이지 평형유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지 평형유지 장치는 골조구조의 상단에 결합되는 구동부와, 구동부와 기어 결합되어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 권취부와, 제1 권취부와 케이지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와이어를 구비하여 케이지의 평형상태를 유지시키는 케이지 평형유지 장치는 케이지의 상단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수평바; 수평바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어 상측으로 연장되는 와이어 텐션유지부; 및 일단이 와이어 텐션유지부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측으로 연장되어 제1 와이어와 연결되어 와이어 텐션유지부의 압축상태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와이어 연결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와이어 텐션유지부는 일단이 수평바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측으로 연장되어 소정거리 이격되는 한 쌍의 수직구; 홀이 형성되어 서로 이웃하는 수직구의 상단을 결합하는 수평구; 수평구에 형성된 홀을 관통하여 한 쌍의 수직구 사이에 배치된 와이어 연결부에 삽입되는 탄성체; 및 일단이 수평구에 형성된 홀에서 상측에서 하측으로 삽입되어 탄성체가 압축거동할 수 있도록 탄성체를 고정하는 탄성체고정부;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케이지는 엘리베이터 또는 작업용 카케이지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밸런스 권취장치는 수평바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한 쌍의 와이어 텐션유지부가 구비되기 때문에 한쪽의 와이어 텐션유지부가 끊어지더라도 다른 쪽의 탄성체가 압축되기 때문에 케이지의 평형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으므로, 중량의 물체 또는 사람이 이동하는 경우에도 흔들림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밸런스 권취장치의 케이지의 평형유지 장치를 나타내는 케이지의 상세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밸런스 권취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골조구조를 제거하여 케이지와 연결된 제1 와이어와 밸런스 웨이트와 연결된 제2 와이어의 연결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밸런스 권취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골조구조를 제거하여 케이지와 연결된 제1 와이어와 밸런스 웨이트와 연결된 제2 와이어의 연결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권취장치에 제1 와이어 및 제2 와이어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밸런스 권취장치의 케이지의 추락방지를 위한 추락방지 장치의 상세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밸런스 권취장치의 케이지의 추락방지 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A' 부분 상세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상에”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밸런스 권취장치의 케이지의 평형유지 장치를 나타내는 케이지의 상세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밸런스 권취장치의 케이지의 평형유지 장치는 케이지(200)의 상부 프레임(210)에 결합되어 케이지(200)의 수평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수평바(220), 와이어 텐션유지부(230) 및 와이어 연결부(240)를 포함한다.
수평바(220)는 케이지(200)의 상부 프레임(210)에 결합된다. 수평바(220)는 회동점을 중심으로 양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와이어 텐션유지부(230)는 수평바(220)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어 상측으로 연장되는 것으로서, 수직구(231), 수평구(232), 탄성체(233) 및 탄성체고정부(234)를 구비한다.
수직구(231)는 한 쌍으로 구비되며, 서로 마주보도록 소정거리 이격배치되어 일단이 수평바(220)의 상단에 고정되어 상측으로 연장된다. 서로 이웃하는 거리는 탄성체(233)를 수용할 수 있는 거리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평구(232)는 홀이 형성되어 서로 이웃하여 상측으로 연장된 한 쌍의 수직구(231)와 결합된다.
탄성체(233)는 서로 마주보도록 이격배치된 수직구(231)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고, 탄성체고정부(234)는 일단이 수평구(232)에 형성된 홀에서 상측에서 하측으로 삽입되어 탄성체(233)가 압축거동할 수 있도록 탄성체(233)를 고정하고 타단은 상측으로 연장 돌출 형성된다.
이때, 탄성체고정부(234)는 제1 와이어(140)의 긴장력에 따라 수평구(232)에 형성된 홀을 따라 상하 이동하면서 탄성체(233)를 압축한다. 탄성체(233)는 탄성체고정부(234)의 하단에 막음판(2341)이 결합되어 하부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탄성체(233)는 길이에 따라 유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볼트(2342)를 통해서 막음판(2341)의 고정거리를 조정할 수 있다.
와이어 연결부(240)는 일단이 탄성체고정부(234)의 타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이 상측으로 연장되어 제1 와이어(140)와 연결되는 것으로서, 제1 홀(241)과 제2 홀(242)이 형성된다. 와이어 연결부(240)는 와이어 텐션유지부(230)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제1 와이어(140)와 와이어 텐션유지부(230)의 연결부에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홀(241)은 상측에서 하측을 향하여 홀이 형성되면서 하단에 인접한 영역에서 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제2 홀(242)은 제1 홀(241)에서 소정거리 이격되어 사선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이를 위하여 와이어 연결부(240)는 상측에서 하측 소정영역까지 테이퍼 형상으로 넓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다시 상측과 동일한 폭으로 하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단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1 홀(241) 및 제2 홀(242)이 형성된 와이어 연결부(240)와 제1 와이어(160) 또는 밸러스웨이트가 연결되는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1 와이어(140)는 제1 홀(241)을 따라 상측에서 하측으로 삽입되다가 측면을 관통한다. 그리고, 관통한 제1 와이어(140)의 종단은 바닥면에 위치하는 제2 홀(242)에 삽입되어 상측을 관통하여 와이어 연결부(240)의 상측으로 연장되게 된다. 따라서 제1 와이어(160)는 제1 홀(241) 및 제2 홀(242)을 관통하여 배치된 상태가 되면서 2 가닥의 제1 와이어(140)가 이웃하여 배치된다. 이웃하여 배치된 제1 와이어(140)는 대략적으로 와이어 연결부(240)에 'U' 자 형태로 고정되기 때문에 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여 제1 와이어(140)를 와이어 연결부(240)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밸런스 권취장치의 케이지의 평형유지 장치는 케이지(200)의 평형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으며, 수평바(220)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한 쌍의 와이어 텐션유지부(230)가 구비되기 때문에 한쪽의 와이어 텐션유지부(230)가 끊어지더라도 다른 쪽의 탄성체(233)가 압축되기 때문에 케이지(200)의 평형상태를 보다 원활하게 유지시킬 수 있으므로, 중량의 물체 또는 사람이 이동하는 경우에도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밸런스 권취장치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골조구조를 제거하여 케이지와 연결된 제1 와이어와 밸런스 웨이트와 연결된 제2 와이어의 연결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밸런스 권취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골조구조를 제거하여 케이지와 연결된 제1 와이어와 밸런스 웨이트와 연결된 제2 와이어의 연결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권취장치에 제1 와이어 및 제2 와이어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밸런스 권취장치는 복수의 프레임을 통해 결합되는 골조구조에서 케이지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구동부(110), 제1 권취부(120), 제2 권취부(130), 제1 와이어(140), 제2 와이어(150), 밸런스웨이트(160) 및 케이지(200)를 포함한다.
구동부(110)는 골조구조에 결합된다. 이때, 구동부(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조구조의 상단에 결합됨으로써 제1 권취부(120) 및 제2 권취부(130)를 보다 원활하게 권취되도록 할 수 있다. 구동부(110)는 제1 권취부(120)와 제2 권취부(130)와 기어결합되어 제1 권취부(120)와 제2 권취부(13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1 권취부(120)와 제2 권취부(130)는 동일한 회전속도를 유지하면서 회전할 수 있어 밸런스웨이트(160) 및 케이지(200)의 위치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위치시킬 수 있다.
제1 권취부(120)는 구동부(110)와 기어 결합된다. 제1 권취부(120)는 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1 드럼(121), 격벽(122), 제1 나사홈(123) 및 제2 나사홈(124) 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일방향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을 의미하며, 제1 권취부(120) 및 제2 권취부(130)는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한다. 제1 권취부(120) 및 제2 권취부(130)는 그 구성이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제1 권취부(120)에 상세한 설명만으로 제2 권취부(130)의 상세한 설명을 대신한다.
제1 드럼(121)은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구동부(110)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면서 제1 와이어(140) 및 제2 와이어(150)를 권취하는 역할을 한다.
격벽(122)은 제1 드럼(121)의 일방향을 따라 제1 드럼(121)을 복수의 공간으로 분할하는 역할을 한다. 격벽(122)은 후술하는 제1 와이어(140) 및 제2 와이어(150)의 권취되는 영역을 분할시키는 역할을 한다. 격벽(122)은 권취되는 와이어의 높이를 고려하여 제1 드럼(121)의 외주면에서 돌출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격벽(122)은 5개가 구비되어 제1 드럼(121)의 영역을 6개로 분할하고, 4개의 영역은 케이지(200)와 연결되는 케이지(200)와 연결되는 제1 와이어(140) 권취영역으로, 2개의 영역은 밸런스웨이트(160)와 연결되는 제2 와이어(150) 권취영역으로 설정 하였으나, 밸런스웨이트(160)의 무게 또는 케이지(200)의 무게 또는 형상에 따라 분할영역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 설명한 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1 나사홈(123)은 제1 와이어(140)의 직경에 대응되도록 제1 드럼(121)의 외주면을 따라 반복하여 형성된다. 제1 나사홈(123)은 구동부(110)와 연결되는 회전축의 내측에서 바깥측을 향하여 제1 드럼(121)의 내측에서 제1 와이어(140)를 권취하는 소정영역(a)까지 반복하여 형성된다. 제1 나사홈(123)은 제1 와이어(140)가 제1 나사홈(123)을 따라 순차적으로 정렬되면서 권취되도록 함으로써 제1 와이어(140)가 꼬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와이어(140)가 제1 나사홈(123)에 완전히 밀착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제1 와이어(140)의 미끄러짐 발생을 방지하여 제2 와이어(150)와 길이차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케이지(200)의 평형상태를 보다 정확하게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제2 나사홈(124)은 제2 와이어(150)의 직경에 대응되는 크기의 홈으로 형성되며, 소정영역(a)과 겹쳐지지 않는 영역(b)을 따라 제1 나사홈(123)의 바깥측에서 제1 드럼(121)의 최외측까지 형성된다. 제2 나사홈(124)은 제2 와이어(150)가 제2 나사홈(124)을 따라 순차적으로 정렬되면서 권취되도록 함으로써 제2 와이어(150)가 꼬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드럼(121)에 고정된 제2 와이어(150)에 미끄러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제1 와이어(140)와 길이차이가 발생하는 것과 방지하여 케이지(200)의 평형상태를 보다 정확하게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제1 와이어(140)는 복수로 구비된다. 제1 와이어(140)는 일단이 격벽(122)을 통해 분할된 제1 나사홈(123)의 각 영역(a)을 따라 결합 고정되고, 타단이 케이지(200)에 결합되어 권취되면서 케이지(20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복수의 제2 와이어(150)는 일단이 제1 와이어(140)가 결합된 소정영역(a)과 겹치지 않도록 제2 나사홈(124)이 형성된 다른영역(b)에 결합 고정되고, 타단이 밸런스웨이트(160)에 결합되어 케이지(200)의 이동방향과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케이지(200)를 안정적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때, 제1 와이어(140)는 제1 드럼(121)의 하측 외주면에서 연장되면서 케이지(200)와 연결되고, 제2 와이어(150)는 제1 드럼(121)의 상측 외주면에서 연장되어 타단이 밸런스웨이트(160)에 연결된다. 이를 통해, 구동부(110)의 구동에 따라 제1 나사홈(123)에 제1 와이어(140)가 권취하는 구동을 하게 되면, 제2 나사홈(124)에 권취된 제2 와이어(150)는 풀리게 된다. 그러면, 제1 와이어(140)를 통해 케이지(140)가 승강구동하게 되고, 제2 와이어(150)는 권취된 것이 풀리면서 밸런스웨이트(160)를 하강시키는 구동을 하게 된다. 이때, 제1 나사홈(123) 및 제2 나사홈(1240은 홈의 형성 방향이 각각 우나사 및 좌나사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됨으로써 그 구동을 더욱 원활하게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권취되는 제1 와이어(140) 및 제2 와이어(140)가 서로 맞닿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제1 와이어(140)는 변경레일(141)을 구비할 수 있다. 변경레일(141)은 제1 권취부(120)와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되어 제1 와이어(140)의 권취방향을 수직에서 수평으로 또는 수평에서 수직으로 변경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골조구조가 높게 형성되어 상하방향으로 제1 와이어(140)의 권취방향이 변경되도록 함으로써 복수의 제1 와이어를 보다 원활하게 권취되도록 할 수 있다.
제2 와이어(150)는 밸런스웨이트 변경레일(151)을 구비할 수 있다. 밸런스웨이트 변경레일(151)은 제2 권취부(130)와 밸런스웨이트(160) 사이에 배치되어 제2 와이어(150)의 권취방향이 변경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골조구조가 높게 형성되어 상하방향으로 제2 와이어(140)의 권취방향이 변경되도록 함으로써 골조구조가 높거나 또는 복수의 와이어를 보다 원활하게 권취되도록 할 수 있다.
밸런스웨이트(160)는 복수로 구비되어 제2 와이어(150)와 연결된다. 밸런스웨이트(160)는 케이지(200)가 승강구동함에 따라 케이지(200)의 구동위치와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케이지(200)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밸런스웨이트(160)는 케이지(200)의 바깥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밸런스웨이트(160)와 케이지(200) 내부에 있는 작업자 또는 작업차량과 부딪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케이지(200)는 복수의 제1 와이어(140)와 결합되어 작업공간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작업자 또는 중량의 물체를 하측에서 상측으로 또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서 케이지(200)는 작업공간을 형성하는 카케이지로 형성되었으나, 엘리베이터로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그 용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밸런스웨이트와 케이지를 독립적인 위치에 각각 서로 다른방향으로 권취하여 하중보상을 통한 동력절약이 가능하며, 와이어가 드럼에서 미끄러짐에 의한 마찰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와이어의 내구수명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밸런스 권취장치의 케이지의 추락방지를 위한 추락방지 장치의 상세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밸런스 권취장치의 케이지의 추락방지 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상세도이다.
도 7 내지 도 8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밸런스 권취장치의 케이지의 추락방지를 위한 추락방지 장치는 케이지의 상단 프레임에 대칭으로 결합되는 복수의 와이어(400)가 결합된 상태에서 케이지(200)의 하강속도에 따라 케이지(200)의 구동을 정지시켜 케이지(200)의 추락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조속기(310), 추락방지부(320) 및 축압기(330)를 포함한다.
조속기(310)는 케이지(200)에 장착되어 케이지(200)의 이동속도를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조속기(310)는 상측에서 하측을 따라 연장되며, 하단에 균형추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와이어(400)는 케이지(200)에 결합되는 제1 와이어(140)로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서, 케이지(200)를 균형있게 지지할 수 있도록 대칭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락방지부(320)는 와이어(400)와 결합되어 케이지(200)가 기설정된 속도 이상으로 하강할 때에 케이지(200)의 구동을 멈추게 하는 것으로서, 회동부(311), 와이어정착부(321) 및 실린더(322)를 구비한다.
회동부(311)는 케이지(200)의 상단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회동부(311)의 회동축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회동부(311)의 연장된 양단에는 와이어정착부(321)와 실린더(322)가 각각 결합된다.
와이어정착부(321)는 일단이 회동부(311)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측으로 연장되며, 와이어(300)를 와이어정착부(321)에 고정시켜 와이어(300)에 연결된 케이지(200)의 추락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고정몸체(3211), 정착구(3212) 및 수평안내구(3213)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몸체(3211)는 다각형 형상 또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상측에서 하측으로 상협하광의 테이퍼홀(3214) 형상으로 형성되며, 테이퍼홀(3214)의 내부로 와이어(400)가 삽입배치되어 하방향으로 연장된다. 테이퍼홀(3214)은 정착구(3212)의 외주면을 따라 원활한 미끄러짐을 제공할 수 있도록 테이퍼원기둥 형상의 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착구(3212)는 테이퍼홀(3214)의 내부에 배치된 와이어(400)를 중심으로 한 쌍으로 구비되어 소정거리 이격배치되며, 하측에서 상측으로 삽입된다. 정착구(3212)는 테이퍼원기둥 형상이 상측에서 하측으로 반으로 쪼개진 형상으로 이해될 수 있다. 정착구(3212)는 초기상태에서 테이퍼홀(3214)의 하측에서 소정거리 이격배치되며 실린더322)의 작동에 따라 하측에서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서로 이웃하는 거리가 가까워지면서 와이어(400)를 완전히 밀착시킬 수 있다.
이때, 정착구(3212)는 서로 이웃하는 내주면을 따라 등간격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반구홈(3215)이 형성될 수 있다. 반구홈(3215)은 테이퍼홀(3214)의 내부에 배치된 와이어(400)에 형성된 돌출구(410)와 결합된다. 정착구(3212)와 돌출구(410)는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반구홈(3212)의 크기는 돌출구(410)와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어 정착구(3212)가 테이퍼홀(3214)을 따라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와이어(400)에 형성된 돌출구(410)와 끼워지면서 와이어(400)가 이동하지 않도록 고정된다.
정착구(3212)가 테이퍼홀(3214)을 따라 상측으로 이동할 때에, 정착구(3212)를 수평방향으로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정착구(3212)의 하면에는 수평안내구(3213)가 결합된다.
수평안내구(3213)는 와이어(400)가 관통하는 홀이 형성되고, 정착구의 하단에 결합되어 정착구가 상측으로 이동할 때에 정착구(3212)의 수평방향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한다. 정착구(3212)는 이격거리가 고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하측에서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서로 이웃하는 거리가 가까워지면서 와이어(400)와 완전히 밀착되면서 테이퍼홀(3214)의 상측을 향하여 끼워지게 된다. 이때, 정착구(3212)가 수평방향으로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정착구(3212)의 하면에는 수평안내구(3213)가 결합된다.
수평안내구(3213)는 와이어(400)가 관통하는 홀이 형성되고, 정착구의 하단에 결합되어 정착구가 상측으로 이동할 때에 정착구(3212)의 수평방향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한다.
실린더(322)는 회동부(311)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측으로 연장되며, 축압기(330)와 연결된 호스를 통해 오일이 공급되면 회동부(311)를 통해 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축압기(330)는 실린더(322)와 연결되며, 케이지(200)의 하강속도가 기설정된 제1 속도 이상으로 추락하는 경우에 축압기(330)에 수용된 오일탱크의 오일을 실린더(322)로 제공하게 된다. 실린더(322)에 오일탱크로부터 오일이 공급되면 실린더(322)가 결합된 회동부(311)측이 무거워지면서 하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와이어정착부는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정착구(3212)가 테이퍼홀(3214)의 상측에 끼워지면서 와이어(400)를 고정시키게 된다. 따라서 케이지가 갑작스럽게 기설정된 속도 이상으로 추락하는 경우에 케이지의 추락을 방지함으로서 케이지의 내부에 있는 작업자나 작업용 차량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 와이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와이어 또는 제2 와이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케이지는 엘리베이터 또는 작업용 카케이지로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서, 케이지의 형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10 : 구동부 120 : 제1 권취부
140 : 제1 와이어 150 : 제2 와이어
160 : 밸런스웨이트 200 : 케이지
210 : 상부 프레임 220 : 수평바
230 : 와이어 텐션유지부 240 : 와이어 연결부
300 : 조속기 320 : 추락방지부
330 : 축압기

Claims (3)

  1. 골조구조의 상단에 결합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와 기어 결합되어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 권취부와, 상기 제1 권취부와 케이지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와이어를 구비하여 상기 케이지의 평형상태를 유지시키는 케이지 평형유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지의 상단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수평바;
    상기 수평바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어 상측으로 연장되는 와이어 텐션유지부; 및
    일단이 상기 와이어 텐션유지부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와이어와 연결되어 상기 와이어 텐션유지부의 압축상태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와이어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와이어 텐션유지부는,
    일단이 상기 수평바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측으로 연장되어 소정거리 이격되는 한 쌍의 수직구;
    홀이 형성되어 서로 이웃하는 상기 수직구의 상단을 결합하는 수평구;
    상기 수평구에 형성된 상기 홀을 관통하여 상기 한 쌍의 수직구 사이에 배치된 상기 와이어 연결부에 삽입되는 탄성체; 및
    일단이 상기 수평구에 형성된 홀에서 상측에서 하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탄성체가 압축거동할 수 있도록 상기 탄성체를 고정하는 탄성체고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지 평형유지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지는,
    엘리베이터 또는 작업용 카케이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지 평형유지 장치.
KR1020190015544A 2019-02-11 2019-02-11 케이지 평형유지 장치 KR1021553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5544A KR102155308B1 (ko) 2019-02-11 2019-02-11 케이지 평형유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5544A KR102155308B1 (ko) 2019-02-11 2019-02-11 케이지 평형유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8006A KR20200098006A (ko) 2020-08-20
KR102155308B1 true KR102155308B1 (ko) 2020-09-11

Family

ID=72242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5544A KR102155308B1 (ko) 2019-02-11 2019-02-11 케이지 평형유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5308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30250A (ja) * 1994-06-10 1995-12-19 Mitsubishi Denki Bill Techno Service Kk エレベータのかご吊り機構
EP1817254A1 (en) 2004-11-25 2007-08-15 Soon Gil Jang Elev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8006A (ko) 2020-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8467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101911192B1 (ko) 로프 파단 검출 장치
JPH0616369A (ja) トラクションシーブエレベータ
JP2005511451A (ja) 機械室のない駆動滑車式エレベータ
KR100430113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101036020B1 (ko) 산업용 리프트의 추락방지장치
JPWO2007069311A1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2155308B1 (ko) 케이지 평형유지 장치
US5105109A (en) Support structure for a linear motor drive type of elevator
JP5566958B2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JP2008024455A (ja) エレベータ
KR102210690B1 (ko) 밸런스 권취장치
JP6232205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EP1431231A1 (en) MACHINE ROOM−LESS ELEVATOR
EP0372576A1 (en) A support structure for a linear motor drive type of elevator
EP1535875B1 (en) Elevator device
US6591945B1 (en) Self propelled elevator
KR102179010B1 (ko) 케이지의 추락방지 장치
KR100797536B1 (ko) 윈치형 리깅장치
KR100536934B1 (ko) 엘리베이터 장치
EP1702877B1 (en) Elevator system
KR200279728Y1 (ko) 천정설치용 등기구 승강 제어장치
KR102229866B1 (ko) 엘리베이터의 로프 텐션 조절장치
JP4802844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4901146B2 (ja) エレベ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