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9866B1 - 엘리베이터의 로프 텐션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로프 텐션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9866B1
KR102229866B1 KR1020190077794A KR20190077794A KR102229866B1 KR 102229866 B1 KR102229866 B1 KR 102229866B1 KR 1020190077794 A KR1020190077794 A KR 1020190077794A KR 20190077794 A KR20190077794 A KR 20190077794A KR 102229866 B1 KR102229866 B1 KR 1022298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pe
elevator
tension adjusting
tension
suppor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77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1537A (ko
Inventor
이연근
최종만
Original Assignee
이연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연근 filed Critical 이연근
Priority to KR10201900777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9866B1/ko
Publication of KR202100015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15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98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98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6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 B66B7/10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for equalising rope or cable tension

Landscapes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로프 텐션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로프텐션 조절장치를 특정 구조로 형성하여 다수 가닥으로 이루어진 엘리베이터 로프 각각의 장력을 보다 효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엘리베이터의 로프 텐션 조절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로프 텐션 조절장치는, 엘리베이터 승강로 상부에 구비된 H빔을 관통하여 설치된 상태로 다수 가닥의 로프 단부가 각각 고정 설치되도록 제공되되; 원판형상의 지지판과,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일정 길이의 봉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지지판의 하면 중앙에 돌출 형성된 회전부와, 상기 지지판의 상면에 돌출 형성된 공구결합부로 이루어진 텐션조절부재와; 상기 텐션조절부재의 회전부 외주면에 장착된 상태로 상기 H빔의 상면 및 지지판의 하면 사이에 지지되는 완충스프링 및;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관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텐션조절부재의 회전부 하단이 삽입 장착되며, 그 몸체의 하단 부분은 원추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로프 가닥의 단부가 고정 설치되는 로프고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로프 텐션 조절장치{FIXING APPARATUS OF ELEVATOR}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로프 텐션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특정 구조를 갖는 조절장치를 이용하여 엘리베이터 로프 각각의 장력을 보다 효율적으로 조절하여 힘의 불균형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한 엘리베이터의 로프 텐션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거용이나 업무용 등으로 건축된 다양한 종류의 고층 건물에는 엘리베이터 장치가 설치되어 승객의 수직방향으로의 이동을 돕게 되는데, 즉 해당 건물의 각 층에는 엘리베이터 승강장이 구비됨과 아울러 건물 내부에는 수직방향으로 승강로가 형성되어, 엘리베이터 카가 승강로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각 승강장으로부터 탑승하는 승객을 승객의 버튼입력에 따른 목적층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엘리베이터 장치는 대략 그 내부에 승객이 탑승한 상태에서 건물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승강로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탑승객을 이동시키는 엘리베이터 카와, 소정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부와 권상기 등이 구비되어 상기 권상기에 권취된 로프를 매개로 상기 엘리베이터 카를 승객의 버튼 조작에 따른 해당 층으로 이동시키는 기계부 및, 승객의 버튼 조작에 따라 상기 기계부를 제어하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카가 안정적으로 운행될 수 있도록 제어를 행하는 엘리베이터 제어부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엘리베이터 장치의 권상기에 권취된 로프의 일단은 다수 개의 풀리를 매개로 엘리베이터 카를 경유하여 승강로 일정 지점에 고정됨과 아울러, 상기 로프의 타단은 다수 개의 풀리를 매개로 균형추를 경유하여 승강로의 일정 지점에 고정 설치되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엘리베이터 카의 운행 시에는 속도제어 및 주행속도 등에 따른 진동, 엘리베이터 카 및 균형추의 하중, 다수 가닥으로 이루어진 로프의 자중 등을 비롯한 다양한 원인에 로프의 길이가 임의적으로 늘어나게 되며, 이에 따라 다수 가닥으로 이루어진 각각의 로프는 일정 주기마다 텐션을 조정해 주어야만 한다.
도 1은 종래의 승강로 천정부에 고정된 엘리베이터 로프의 텐션 조정을 위한 조절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종래 엘리베이터 로프의 텐션 조절 시에는 다수 가닥으로 이루어진 각 로프와 대응되게 구비된 조절장치 상단의 한 쌍의 너트(고정너트(1), 조정너트(2))를 회전시켜 각 로프의 텐션을 조절하도록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로프텐션 조절장치에 있어서는 스패너 등의 공구를 너트에 끼워 각 너트를 풀거나 조이면서 로프의 텐션을 조절하게 되는데, 상기 로프텐션 조절장치는 다수 가닥으로 이루어진 엘리베이터 로프와 대응되도록 다수 개의 로프 텐션 조절장치가 좁은 공간에 인접한 상태로 배치된 구조이므로, 스패너의 회전을 위한 공간이 충분히 확보되지 못하여 그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국내 등록특허 제10-0847176호 국내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7-0058335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로프텐션 조절장치를 특정 구조로 형성하여 다수 가닥으로 이루어진 엘리베이터 로프 각각의 장력을 보다 효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엘리베이터의 로프 텐션 조절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로프 텐션 조절장치는, 엘리베이터 승강로 상부에 구비된 H빔을 관통하여 설치된 상태로 다수 가닥의 로프 단부가 각각 고정 설치되도록 제공되되; 원판형상의 지지판과,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일정 길이의 봉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지지판의 하면 중앙에 돌출 형성된 회전부와, 상기 지지판의 상면에 돌출 형성된 공구결합부로 이루어진 텐션조절부재와; 상기 텐션조절부재의 회전부 외주면에 장착된 상태로 상기 H빔의 상면 및 지지판의 하면 사이에 지지되는 완충스프링 및;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관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텐션조절부재의 회전부 하단이 삽입 장착되며, 그 몸체의 하단 부분은 원추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로프 가닥의 단부가 고정 설치되는 로프고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텐션조절부재의 공구결합부는 정육각형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어, 육각비트소켓을 매개로 회전력을 인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로프고정부재의 외주면 일정 지점에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볼트나 핀을 삽입하여 그 내부에 장착된 상기 텐션조절부재의 회전부를 고정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르면, 엘리베이터 로프의 각 가닥이 장착되는 로프 텐션 조절장치를 그 상면에 육각형상의 공구결합부를 갖도록 특정 구조로 형성함에 따라, 엘리베이터 로프의 텐션 조절 시 육각비트소켓을 매개로 보다 간편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되며, 이를 통한 작업시간 및 노동력의 절감을 통해 보다 효율적으로 엘리베이터의 유지보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승강로 천정부에 설치된 엘리베이터의 로프 텐션 조절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로프 텐션 조절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로프 텐션 조절장치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로프 텐션 조절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로프 텐션 조절장치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로프 텐션 조절장치는, 엘리베이터의 로프 텐션 조절장치를 특정 구조로 형성하여 육각비트소켓을 매개로 로프(200)의 텐션을 보다 효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여기에서, 본 발명에서의 엘리베이터의 로프 텐션 조절장치는 엘리베이터 승강로 상부에 구비되는 H빔(100)을 관통한 상태로 다수 개가 설치되되, 엘리베이터 로프를 구성하는 다수 가닥의 로프 각각의 단부가 고정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텐션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로프 텐션 조절장치는 대략 볼트와 유사한 형태를 갖는 텐션조절부재(10)와, 상기 텐션조절부재(10)의 하단 측에 체결되는 로프고정부재(20) 및, 상기 텐션조절부재(10)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완충스프링(3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텐션조절부재(10)는 일정 강도를 갖는 금속재질을 매개로 전체적으로 대략 볼트형태와 유사한 형상을 갖도록 이루어진 것으로서, 대략 원판형상을 갖는 지지판(12)이 구비되고, 상기 지지판(12)의 하면 중앙에는 그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일정 길이의 봉형상으로 이루어진 회전부(14)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로프고정부재(20)에 선택적으로 체결되도록 구성된다.
또, 상기 지지판(10)의 상면 중앙에는 소정 공구가 장착되어 해당 텐션조절부재(1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공구결합부(16)가 일정 높이로 돌출 형성되어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공구결합부(16)는 정육각형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어 구성되며, 이에 상기 정육각형 형상으로 돌출된 공구결합부(16)에는 공지의 육각비트소켓(도시안됨)을 결합하여 해당 텐션조절부재(10)에 회전력을 인가할 수가 있게 된다.
상기 완충스프링(30)은 상기 텐션조절부재(10)의 회전부(14) 외주면에 설치되는 스프링으로, 상기 완충스프링(30)은 상기 H빔(100)의 상면 및 지지판(12)의 하면 사이에 각각 하단 및 상단이 단속된 상태로 설치되어 소정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로프고정부재(20)는 전체적으로 대략 깔대기 형태를 갖도록 이루어지되, 대략 관형상을 갖는 몸체 상측부분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구비되어 상기 텐션조절부재(10)의 회전부(14) 하단이 삽입 장착되며, 그 몸체의 하측 부분은 대략 원추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로프(200) 가닥의 일단부가 삽입되어 고정 설치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로프(200)의 일단부는 상기 로프고정부재(20) 하단에 구비되는 권취부재(210)를 경유한 후 복수 개의 고정장치(220)를 매개로 상기 로프고정부재(10)에 견고하게 고정 설치되게 되는데, 이는 해당 분야의 공지된 기술이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로프고정부재(20)의 나사산 형성지점과 대응되는 외주면의 일정 지점에는 관통홀(22)이 천공되어 제공되며, 상기 관통홀(22)을 통해서는 볼트나 핀(24) 등을 삽입하여 상기 텐션조절부재(10)의 회전부(14)를 일정 위치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텐션조절부재(10)의 회전부(14) 일정 지점에 핀의 삽입을 위한 홀을 추가로 형성하거나, 상기 회전부(14) 외주면에 볼트체결을 위한 체결홀 또는 너트를 일체로 형성하여 추가적으로 고정용 볼트를 체결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게 된다.
이어,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해 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라, 텐션조절부재(10)와 완충스프링(30) 및 로프고정부재(2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 엘리베이터의 로프 텐션 조절장치가 승강로 상부의 H빔(100)에 설치된 상태에서, 통상적으로 엘리베이터 로프(200)의 설치 후 1년 이내에 1회, 3년 이내 2회 정도의 로프 텐션 조정이 이루어진다.
이때, 1회의 로프 텐션 조정 시에는 대략 30밀리미터[mm] 정도의 조정이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엘리베이터의 로프 텐션 조절장치의 초기 설치 시에는, 해당 승강로의 상부에 설치되는 H빔(100)의 높이(h)가 대략 200밀리미터[mm] 정도의 치수를 갖는 경우, 상기 텐션조절부재(10)의 회전부(14)에 형성된 나사산은 상기 H빔(100)의 상면 위쪽으로 대략 100 내지 150밀리미터[mm] 정도의 길이(d1)를 갖도록 제공됨이 바람직하며, 이에 맞춰 상기 텐션조절부재(10)의 회전부(14)가 체결되지 않은 상기 로프고정부재(20) 내주면의 나사산 높이(d2)도 대략 100 내지 150밀리미터[mm] 정도의 여유공간을 갖도록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텐션조절부재(10)의 회전부(14) 하단부분은 상기 로프고정부재(20) 내주면의 나사산에 최소 50밀리미터[mm] 이상의 길이(d3)가 체결되어 상호 간에 견고한 체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이때 상기 텐션조절부재(10)의 회전부(14) 하단 및 상기 로프고정부재(20) 내주면의 상호 간의 체결 부분은 상기 H빔(100)의 하면을 기준으로 상측에 30밀리미터[mm](d3-1), 하측에 20밀리미터[mm](d3-2)가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엘리베이터의 로프 텐션 조절장치를 매개로 엘리베이터 로프를 구성하는 각 로프(200) 가닥의 텐션 조정작업을 실시하는데 있어서는, 먼저 상기 텐션조절부재(10) 회전부(14)의 임의적인 회전이 방지되도록 로프고정부재(20)의 관통홀(22)에 결합시킨 볼트나 핀(24) 등을 제거하여 상기 회전부(14)가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로프고정부재(10)는 외력의 인가 시 임의적인 회전이 방지될 수 있도록 소정 공구를 이용하여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 후, 상기 텐션조절부재(10)의 공구결합부(16)에 육각비트소켓을 결합한 후, 일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육각비트소켓에 외력을 인가하게 되면, 상기 텐션조절부재(10)의 회전부(16)가 상기 공구결합부(14)로부터의 외력에 의해 일체로 회전되면서 상기 로프고정부재(20)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을 따라 일정 깊이만큼 이동이 이루어지게 된다(도 3a 및 도 3b 참조).
이에, 상기 로프고정부재(20)는 상기 텐션조절부재(10)의 회전부(14)를 따라 일정 높이만큼 상승이 이루어지게 되면서, 상기 로프고정부재(20)의 하단에 설치된 해당 로프(200)의 텐션이 조절되어 로프의 임의적인 쳐짐상태가 개선될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육각비트소켓을 통한 텐션조절부재(10)의 회전조작이 완료된 후에는 상기 로프고정부재(20)의 관통홀(22)에 볼트나 핀(24) 등을 체결함에 따라, 상기 텐션조절부재(10)에 구비된 회전부(16)의 임의적인 유동을 방지할 수가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을 통해서는 특정 구조로 이루어진 로프 텐션 조절장치를 매개로 육각형상의 공구결합부(16)에 육각비트소켓을 장착하여 회전시키는 것만으로, 매우 간편하게 엘리베이터 로프(200)의 텐션 조절작업을 수행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및 수정 발명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는 것이다.
10: 텐션조절부재, 12: 지지판,
14: 회전부, 16: 공구결합부,
20: 로프고정부재, 22: 관통홀,
24: 볼트 또는 핀, 100: H빔,
200: 로프, 210: 권취부재,
220: 고정장치.

Claims (3)

  1. 엘리베이터 승강로 상부에 구비된 H빔을 관통하여 설치된 상태로 다수 가닥의 로프 단부가 각각 고정 설치되도록 제공되는 것으로서, 엘리베이터 로프 각각의 텐션 조절을 위한 다수 개의 텐션조절부재와, 다수 가닥의 로프 각각의 단부가 고정 설치된 상태로 상기 텐션조절부재의 하단에 체결되는 다수 개의 로프고정부재 및, 각 텐션조절부재의 외주면에 장착되는 다수 개의 완충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된 엘리베이터의 로프 텐션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텐션조절부재는,
    원판형상의 지지판과,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일정 길이의 봉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지지판의 하면 중앙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로프고정부재에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회전부와, 상기 지지판의 상면에 정육각형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어 육각비트소켓을 매개로 해당 텐션조절부재가 회전력을 인가받도록 하는 공구결합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완충스프링은,
    상기 H빔의 상면 및 지지판의 하면 사이에 각각 하단 및 상단이 단속된 상태로 설치되어 소정 탄성력을 제공하며;
    상기 로프고정부재는,
    전체적으로 깔대기 형상을 이루는 것으로,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관형상을 갖는 몸체 상측부분에 상기 텐션조절부재의 회전부 하단이 삽입 장착되고, 원추형상을 갖는 몸체 하측부분에 상기 로프 가닥의 단부가 고정 설치되며, 상기 로프고정부재의 외주면 일정 지점에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볼트나 핀을 삽입하여 그 내부에 장착된 상기 텐션조절부재의 회전부를 고정시키도록 구성됨과 아울러;
    상기 엘리베이터의 로프 텐션 조절장치의 초기 설치 시, 그 높이가 200밀리미터[mm] 치수를 갖는 H빔에서, 상기 텐션조절부재의 회전부에 형성된 나사산은 H빔의 상면 위쪽으로 100 내지 150밀리미터[mm]의 길이를 갖도록 제공되고, 상기 텐션조절부재의 회전부가 체결되지 않은 상기 로프고정부재 내주면의 나사산 높이도 100 내지 150밀리미터[mm]의 여유공간을 갖도록 제공되며, 상기 텐션조절부재의 회전부 하단부분은 상기 로프고정부재 내주면의 나사산에 최소 50밀리미터[mm]의 길이가 체결되어 상호 간에 견고한 체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되, 이때 상기 텐션조절부재의 회전부 하단 및 상기 로프고정부재 내주면의 상호 간의 체결 부분은 상기 H빔의 하면을 기준으로 상측에 30밀리미터[mm], 하측에 20밀리미터[mm]가 위치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로프 텐션 조절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190077794A 2019-06-28 2019-06-28 엘리베이터의 로프 텐션 조절장치 KR1022298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7794A KR102229866B1 (ko) 2019-06-28 2019-06-28 엘리베이터의 로프 텐션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7794A KR102229866B1 (ko) 2019-06-28 2019-06-28 엘리베이터의 로프 텐션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1537A KR20210001537A (ko) 2021-01-06
KR102229866B1 true KR102229866B1 (ko) 2021-03-18

Family

ID=74128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7794A KR102229866B1 (ko) 2019-06-28 2019-06-28 엘리베이터의 로프 텐션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986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0558B1 (ko) 2022-04-27 2022-09-06 한솔엘리베이터 주식회사 엘리베이터 로프의 길이 조정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05459A (ja) * 2009-11-18 2011-06-02 Hitachi Ltd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ー装置
JP2013136438A (ja) * 2011-12-28 2013-07-11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ロープテンション調整装置及びロープテンション調整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58335U (ko) 1996-04-03 1997-11-10 엘리베이터의 로프 장력 조절장치
US6123176A (en) * 1996-05-28 2000-09-26 Otis Elevator Company Rope tension monitoring assembly and method
KR100847176B1 (ko) 2006-09-27 2008-07-17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의 로프 장력 조정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05459A (ja) * 2009-11-18 2011-06-02 Hitachi Ltd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ー装置
JP2013136438A (ja) * 2011-12-28 2013-07-11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ロープテンション調整装置及びロープテンション調整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1537A (ko) 2021-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95687B2 (ja) エレベータ設備用駆動装置
PT710618E (pt) Elevador com roldana de traccao
KR102229866B1 (ko) 엘리베이터의 로프 텐션 조절장치
KR20150091126A (ko) 건축 중인 건물용 엘리베이터 시스템
US9388018B2 (en) Supply of rope to an elevator speed limiter
CN113006500A (zh) 全装配式混凝土节点减隔震装置的安全施工安装装置
KR100641307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101673982B1 (ko) 탄성 자키 베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서포트
JP2016102015A (ja) エレベータの調速機システム
JP6040446B2 (ja) 運搬用吊り滑車機構および吊り滑車機構使用の運搬方法
CN1833981B (zh) 电梯装置
JP6232205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5521636B2 (ja) エレベーターの主索端末装置
KR102210690B1 (ko) 밸런스 권취장치
EP2724970B1 (en) Elevator and method for repairing elevator
KR102179010B1 (ko) 케이지의 추락방지 장치
KR102155308B1 (ko) 케이지 평형유지 장치
JP6541699B2 (ja) エレベーターの釣合おもり用耐震装置、及びエレベーターの釣合おもり用耐震装置の取付方法
CN105234662A (zh) 用于破碎机衬板安装的重力击打装置
KR101796556B1 (ko) 무대장치용 내진설계 활차
JPWO2020065770A1 (ja) 重量物据付装置
JP6899351B2 (ja) ロープ交差防止治具
KR20190002152U (ko) 엘리베이터 장치
EP4074642A1 (en) Elevator system with guide ropes
JP2003146558A (ja) エレベータのロープ端末調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