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0558B1 - 엘리베이터 로프의 길이 조정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로프의 길이 조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0558B1
KR102440558B1 KR1020220051818A KR20220051818A KR102440558B1 KR 102440558 B1 KR102440558 B1 KR 102440558B1 KR 1020220051818 A KR1020220051818 A KR 1020220051818A KR 20220051818 A KR20220051818 A KR 20220051818A KR 102440558 B1 KR102440558 B1 KR 1024405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rope
movable part
counterweight
l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18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현호
남징락
이진욱
Original Assignee
한솔엘리베이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솔엘리베이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솔엘리베이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518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05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05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05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6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 B66B7/10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for equalising rope or cable ten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in case of rope or cable slack

Landscapes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로프의 길이 조정장치에 관한 발명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의 균형추에 결합되는 고정부 및 로프가 결합된 가동부가 고정부를 두고 수직 방향으로 승하강이 이동 가능한 구성을 통해 로프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어, 종래와 같이 기온 변화로 인한 엘리베이터 로프의 길이 조절을 위한 커팅 작업 등이 불요하여 작업자의 안전성, 사용자의 편의성 및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로프의 길이 조정장치{ELEVATOR ROPE LENGTH ADJUSTMENT DEVICE}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로프의 길이 조정장치에 관한 발명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의 균형추에 결합되는 고정부 및 로프가 결합된 가동부가 고정부를 두고 수직 방향으로 승하강이 이동 가능한 구성을 통해 로프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어, 종래와 같이 기온 변화로 인한 엘리베이터 로프의 길이 조절을 위한 커팅 작업 등이 불요하여 작업자의 안전성, 사용자의 편의성 및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엘리베이터의 안전 운행을 위해서 로프는 생명줄과 같다. 따라서, 상시 최적의 상태를 유지하여야 하며, 이에 대한 유지 및 관리는 매우 중요한 업무 중 하나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엘리베이터의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엘리베이터의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엘리베이터는 시브(1, Sheave), 보조 시브(2), 로프(3, Rope), 카(4, Car), 균형추(5, Count-Weight), 카버퍼(6, Car Buffer), 균형추버퍼(7, Count-Weight Buffer), 모터(8, Motor) 및 로프브레이커(9, Rope-Braker)로 구성된다.
로프(3)는 시브(1) 및 보조 시브(2)의 외주면을 따라 감겨서, 모터(8)의 제어에 따른 시브(1)의 회전에 대응하여 로프(3)가 승강 또는 하강하게 된다. 이때, 로프(3)의 일측에는 카(4)가 결합되며, 로프(3)의 타측에는 균형추(5)가 결합된다.
카(4)와 균형추(5)는 상호 반대 방향으로 승강 또는 하강하게 되며, 균형추(5)의 무게에 따라 카(4)의 승강 또는 하강을 조절할 수 있다. 즉, 균형추(5)는 일종의 '밸런싱' 역할을 수행하게 되며, 정해진 위치에 정확히 도달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카(4)의 하부에는 카버퍼(6)가 형성되어 완충부재의 역할을 하며, 균형추(5)의 하부에 또한 균형추버퍼(7)가 형성되어 완충부재의 역할을 하게 된다. 카버퍼(6)와 균형추(5)는 일 예로 스프링 형태일 수 있다. 로프브레이커(9)는 로프(3)의 일 지점에 형성되며, 이는 차단기 역할을 하게 된다.
도 2는 일반적인 엘리베이터의 카의 정지 매커니즘을 표현한 도면이다.
시브(1)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균형추(5)는 수직 방향으로 하강하게 된다. 이로 인해, 균형추버퍼(7)와 맞닿게 된다(도면부호 'T'로 맞닿는 부분을 표기). 이때, 상호 작용으로 카(4) 또한 수직 방향으로 승강하게 되고, 기 지정된 레퍼런스 포인트(P)까지 카(4)가 이동되도록 설계한다. 즉, 균형추(5)와 균형추버퍼(7)가 맞닿을 때, 이와 동시에 카(4)의 상부가 기 지정된 레퍼런스 포인트(P)에 도달하도록 설계하여 카(4)의 정지를 제어하게 된다.
도 3은 온도 변화로 엘리베이터 로프의 길이 변화가 발생하였을 때의 도 2와 대비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로프(3)는 재질 특성 상 여름철 등 고온의 환경에서 길이가 늘어나게 된다. 이때, 로프(3)가 늘어난다면, 정상적인 경우보다 균형추(5)가 균형추버퍼(7)에 도달하는 시간이 짧아지게 된다. 따라서, 균형추(5)의 수직 방향의 하강 길이가 짧아지게 되므로, 이와 상호작용하는 카(4) 또한 해당 길이만큼 승강하지 못하게 되어(D1-D2), 균형추(5)가 균형추버퍼(7)에 도달했음에도 불구하고, 카(4)의 상부가 레퍼런스 포인트(P)에 도달하지 못하게 되어, 기 지정된 위치에 카(4)가 정지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로프(3)가 늘어난다면, 엘리베이터의 운행을 정지시킨 후, 균형추(5) 부근에 결합된 로프의 길이를 짧게 하는 커팅(Cutting) 작업을 필수적으로 진행하게 된다.
도 9는 실제 엘리베이터의 로프의 길이를 커팅하는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으로, 도 9와 같이 로프(3)와 균형추(5)를 잇는 연결구(10) 부근에서 로프(3)를 컷팅하고, 컷팅된 로프(3)의 단부를 다시 연결구(10) 내에서 고정하는 작업을 진행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커팅 작업은 상당히 긴 작업시간을 요하며, 작업 시 양중 작업으로 인한 안전사고가 자주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엘리베이터의 기종에 따른 로프의 배열 수가 각각 상이함으로 인해 작업시간이 길어질 수 있으며(도 9와 같이 다수 개의 로프), 작업 후 로프(3)의 개별 텐션을 충분히 재조정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해, 엘리베이터의 장시간 운행 정지에 따라 사용자들이 불편함을 느끼는 경우가 많았으며, 보수 비용이 과다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로프 길이의 조정을 위한 커팅 작업을 대체하여 작업자들의 안전성 증대, 사용자들의 편의성 증대 및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1-0001537호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로프의 길이 조정장치에 관한 발명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의 균형추에 결합되는 고정부 및 로프가 결합된 가동부가 고정부를 두고 수직 방향으로 승하강이 이동 가능한 구성을 통해 로프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어, 종래와 같이 기온 변화로 인한 엘리베이터 로프의 길이 조절을 위한 커팅 작업 등이 불요하여 작업자의 안전성, 사용자의 편의성 및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로프의 길이 조정장치는 엘리베이터의 균형추의 상부에 결합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의 내측면을 따라 결합되되, 상부에 상기 엘리베이터의 로프가 결합되는 가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동부는 상기 고정부를 따라 수직 방향으로 승하강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로프의 길이 조정장치의 상기 가동부는 상기 고정부의 내측면을 따라 수직 방향으로 승하강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로프의 길이 조정장치의 상기 고정부의 하면은 상기 균형추와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로프의 길이 조정장치의 상기 고정부의 하면과 상기 균형추는 볼팅 결합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로프의 길이 조정장치의 상기 가동부의 상부에는 가동부홀이 형성되어, 상기 로프가 상기 가동부홀을 관통하여 결합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로프의 길이 조정장치의 상기 고정부는 양측면이 상기 균형추의 상면과 수직되는 육면체 형상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로프의 길이 조정장치의 상기 가동부는 양측면이 상기 고정부의 양측면의 내측면과 맞닿도록 상기 균형추의 상면과 수직되는 육면체 형상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온 변화로 인한 엘리베이터 로프의 길이 조절을 위한 커팅 작업 등이 불요하여 작업자의 안전성, 사용자의 편의성 및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르면, 가동부의 고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르면, 가동부와 고정부의 유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실시 예 및 제3 실시 예의 장점을 모두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엘리베이터의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일반적인 엘리베이터의 카의 정지 매커니즘을 표현한 도면이다.
도 3은 온도 변화로 엘리베이터 로프의 길이 변화가 발생하였을 때의 도 2와 대비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로프의 길이 조정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로프의 길이 조정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로프의 길이 조정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로프의 길이 조정장치의 제1 레일부 및 제2 레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로프의 길이 조정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실제 엘리베이터의 로프의 길이를 커팅하는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통상의 실시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장치의 크기 및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층 및 영역들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로프의 길이 조정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엘리베이터 로프의 길이 조정 장치는 고정부(100) 및 가동부(200)를 포함한다.
고정부(100)는 균형추(5)의 상부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부(100)는 일 예로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브라켓(101)을 통해 균형추(5)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볼트(110)를 통해 볼팅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수명이 다하거나, 교체 작업이 필요할 경우 손쉬운 교체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고정부(100)는 하우징 형태이며, 일 예로, 양측면이 균형추(5)의 상면과 수직되는 육면체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4와 같이, 하면 및 양측면이 형성되고, 정면, 배면 및 상면이 개방된 형상일 수 있다.
가동부(200)는 고정부(100)에 결합된다. 또한, 가동부(200)는 상부에 로프(3)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 가동부(200)의 상부에는 복수 개의 가동부홀(210)이 형성되고, 로프(3)의 단부가 가동부홀(210)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형상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로프(3)의 교체 작업 등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다른 실시 예로, 종래와 같은 연결구(10) 형상으로 제조될 수 있다.
가동부(200)는 양측면이 균형추(5)의 상면과 수직되는 육면체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동부(200)는 고정부(100) 내에 삽입되어, 가동부(200)의 외측면이 고정부(100)의 내측면과 맞닿는 것이 바람직하다.
좀 더 상세하게는, 가동부(200)는 고정된 고정부(100)를 기준으로, 슬라이딩 하면서 수직 방향으로 승하강 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승강 운동은 미도시 되었지만,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진행할 수 있으며, 별도의 장치를 통해 진행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고정부(100) 및 가동부(200)의 구성으로 인해, 가동부(200)는 수직 방향으로 승하강하는 경우, 가동부(200)와 연결된 로프(3) 또한 이에 대응하여 수직 방향으로 승하강하게 되어 수직 방향의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여름철 등과 같이 온도가 높아 로프(3)의 길이가 늘어나는 경우, 가동부(200)를 슬라이딩 시켜 로프(3)의 단부와 균형추(5)와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와 동일한 원리로, 온도가 낮아 로프(3)의 길이가 줄어드는 경우, 가동부(200)를 슬라이딩시켜 로프(3)의 단부와 균형추(5)와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즉, 로프(3)의 단부를 그대로 두고 슬라이딩 운동하는 가동부(200) 만으로 로프(3) 전체 길이를 가감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종래와 같은 커팅 작업이 불요하게 되므로, 작업자의 안전성을 향상시키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며, 작업 시간을 단축시키며,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로프의 길이 조정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로프의 길이 조정장치는 제1 홀(120) 및 제2 홀(220)을 더 포함한다.
제1 홀(120)은 고정부(100)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 홀(220)은 가동부(200)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홀(120) 및 제2 홀(220)은 복수 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1 홀(120) 및 제2 홀(220)이 길이 방향과 폭 방향이 형성하는 면을 기준으로 홀의 중심축을 공유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미도시된 볼트 등의 고정구를 제1 홀(120) 및 제2 홀(220)에 동시에 관통시킬 수 있으며, 고정부(100)와 가동부(200)의 고정을 행할 수 있게 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가동부(200)를 원하는 위치로 슬라이딩 시키고, 이를 고정하는 별도의 장치가 없어 엘리베이터의 운행과정에서 가동부(200)의 흔들림이 발생되는 경우가 있다. 이로 인해, 원하는 로프(3)의 길이로의 조절이 어렵게 된다. 따라서, 제2 실시 예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가동부(200)를 고정부(100)로부터 고정시킬 수 있는 구성이 부가되었으며, 전술한 제1 홀(120) 및 제2 홀(220)의 구성으로 이를 구현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로프의 길이 조정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로프의 길이 조정장치는 제1 레일부(130) 및 제2 레일부(230)를 더 포함한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로프의 길이 조정장치의 제1 레일부(130) 및 제2 레일부(230)를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레일부(130)는 고정부(100)의 양측면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폭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도록 복수 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레일부(130)는 일 예로, 도 7과 같이, 고정부(100)의 외측 방향으로 함몰된 그루브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2 레일부(230)는 가동부(200)의 양측면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폭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도록 복수 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레일부(230)는 일 예로, 도 7과 같이, 가동부(200)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2 레일부(230)가 제1 레일부(130)에 수용되는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제2 레일부(230)를 따라 제1 레일부(130)가 이동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은 구성으로 인해, 가동부(200)와 고정부(100) 간에 발생되는 유격을 최소화하고, 제1 레일부(130)를 따라 가동부(200)의 슬라이딩을 유도하여 작업 시간을 감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로프의 길이 조정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실시 예 및 제3 실시 예가 혼합된 현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고정부(100)에 형성된 복수 개의 제1 레일부(130) 사이에 복수 개의 제1 홀(120)이 위치되고, 가동부(200)에 형성된 복수 개의 제2 레일부(230) 사이에 복수 개의 제2 홀(220)이 위치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제2 실시 예 및 제3 실시 예가 지닌 장점을 모두 공유할 수 있다.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100 : 고정부,
200 : 가동부.

Claims (7)

  1. 엘리베이터의 균형추의 상부에 결합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의 내측면을 따라 결합되되, 상부에 상기 엘리베이터의 로프가 결합되는 가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동부는 상기 고정부를 따라 수직 방향으로 승하강이 가능하고,
    상기 가동부는 상기 고정부의 내측면을 따라 수직 방향으로 승하강이 가능하고,
    상기 고정부의 양측면에 복수 개의 제1 홀이 형성되고,
    상기 가동부의 양측면에 복수 개의 제2 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홀 및 상기 제2 홀은 길이 방향과 폭 방향이 형성하는 면을 기준으로 홀의 중심축을 공유하고,
    상기 고정부에는 상기 고정부의 양측면의 내측면에 형성되되, 외측 방향으로 함몰되어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폭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도록 복수 개가 형성된 제1 레일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동부에는 상기 가동부의 양측면의 외측면에 형성되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폭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도록 복수 개가 형성된 제2 레일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레일부는 상기 제1 레일부에 수용되어, 상기 제1 레일부가 상기 제2 레일부를 따라 이동 가능한 것인
    엘리베이터 로프의 길이 조정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의 하면은 상기 균형추와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인
    엘리베이터 로프의 길이 조정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의 하면과 상기 균형추는 볼팅 결합되는 것인
    엘리베이터 로프의 길이 조정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의 상부에는 가동부홀이 형성되어, 상기 로프가 상기 가동부홀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것인
    엘리베이터 로프의 길이 조정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양측면이 상기 균형추의 상면과 수직되는 육면체 형상인 것인
    엘리베이터 로프의 길이 조정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는,
    양측면이 상기 고정부의 양측면의 내측면과 맞닿도록 상기 균형추의 상면과 수직되는 육면체 형상인 것인
    엘리베이터 로프의 길이 조정장치.
KR1020220051818A 2022-04-27 2022-04-27 엘리베이터 로프의 길이 조정장치 KR1024405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1818A KR102440558B1 (ko) 2022-04-27 2022-04-27 엘리베이터 로프의 길이 조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1818A KR102440558B1 (ko) 2022-04-27 2022-04-27 엘리베이터 로프의 길이 조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0558B1 true KR102440558B1 (ko) 2022-09-06

Family

ID=83281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1818A KR102440558B1 (ko) 2022-04-27 2022-04-27 엘리베이터 로프의 길이 조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055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2245B1 (ko) * 2022-10-11 2022-11-30 (주)피에프에이 수동형 와이어 로프의 길이 조절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31155A (ja) * 1995-02-28 1996-09-10 Hitachi Building Syst Eng &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主ロープの自動張力調整装置
KR20210001537A (ko) 2019-06-28 2021-01-06 이연근 엘리베이터의 로프 텐션 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31155A (ja) * 1995-02-28 1996-09-10 Hitachi Building Syst Eng &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主ロープの自動張力調整装置
KR20210001537A (ko) 2019-06-28 2021-01-06 이연근 엘리베이터의 로프 텐션 조절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2245B1 (ko) * 2022-10-11 2022-11-30 (주)피에프에이 수동형 와이어 로프의 길이 조절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40558B1 (ko) 엘리베이터 로프의 길이 조정장치
CN101486424B (zh) 电梯绳索止振装置
JP5805499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KR102472245B1 (ko) 수동형 와이어 로프의 길이 조절 장치
JP5081119B2 (ja) エレベーターの制動装置
KR101007540B1 (ko) 건설공사용 리프트의 비상안전장치
US1563317A (en) Saw guard
KR101998392B1 (ko) 엘리베이터 플렛벨트 이탈 및 파손 안전 감지 장치
JP2005001800A (ja) エレベータ装置
JP6200745B2 (ja) エレベータ装置
KR20030093946A (ko) 엘리베이터용 비상 정지장치
KR20120015743A (ko) 공작기계의 apc 도어장치
JP7115646B2 (ja) エレベーターの制御ケーブル位置調整装置
JP2004043140A (ja) エレベーターの安全装置
CN113056432B (zh) 施工用电梯装置
JP2002241064A (ja)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JP3994631B2 (ja) エレベータの主ロープ伸び調整方法
KR200183221Y1 (ko) 수리가 용이한 케이블 행거장치
CN112867689B (zh) 电梯以及补偿绳索支承机构
CN218507309U (zh) 一种无机房电梯限速器安装座和电梯
KR100845265B1 (ko) 센터빔 추락 방지기능을 갖는 천정기중기의 통스
KR102484822B1 (ko) 엘리베이터용 버퍼빔
CN217838010U (zh) 一种提升机的轿厢自动门机构
CN212359050U (zh) 一种建筑工程用升降设备
JP2019142660A (ja) エレベーターの秤装置の保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