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2152U - 엘리베이터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2152U
KR20190002152U KR2020180006091U KR20180006091U KR20190002152U KR 20190002152 U KR20190002152 U KR 20190002152U KR 2020180006091 U KR2020180006091 U KR 2020180006091U KR 20180006091 U KR20180006091 U KR 20180006091U KR 20190002152 U KR20190002152 U KR 2019000215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chine
hoist
support
elevator
ro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60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쉐롄 마
룽웨이 왕
잉 장
데츠 오가와
Original Assignee
도시바 엘리베이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시바 엘리베이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시바 엘리베이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0215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215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3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 B66B11/004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in the machine roo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66B11/043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actuated by rotating motor; Details, e.g. venti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5/00Main component parts of mining-hoist winding devices
    • B66B15/02Rope or cable carriers
    • B66B15/04Friction sheaves; "Koepe" pulleys

Abstract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메인 로프(9)를 통해 카(4)를 구동시키는 권상기(2); 승강로(3)의 상부에 설치되고, 그 길이 방향이 상기 권상기(2)의 회전축 방향과 직교되는 기계대(11a, 11b, 11c); 및 상기 권상기(2)와 상기 기계대(11a, 11b, 11c) 사이에 설치되며, 길이 방향이 상기 권상기(2)의 회전축 방향과 평행되는 지지대(12a, 12b)을 구비하고, 상기 권상기(2)는 상기 지지대(12a, 12b)일 일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메인 로프(9)의 제1 로프 히치 플레이트(13b)는 상기 지지대(12a, 12b)의 타단부에 설치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장치{ELEVATOR DEVICE}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계대가 받는 응력을 균일하게 하고 진동을 감소시키는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건축물의 승강로 내에서 카가 각 층 사이에서 왕복 승강 운동하여 사람 또는 화물을 운반하는 엘리베이터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엘리베이터 장치에서, 엘리베이터 카를 구동시키는 권상기는 승강로 최상부의 기계실 내에 지지되거나 기계대를 통해 권상기를 기계실이 없는 승강로 상부에 지지한다.
또한, 이러한 엘리베이터 장치에서, 권상기를 견고하고 확실하게 설치하고 권상기의 작동 진동을 감소시키기 위해 권상기는 일반적으로 기계대를 따라 설치된다. 즉, 권상기를 그 회전축이 기계대의 길이 방향과 평행되도록 설치한다. 또한, 권상기의 중심을 기계대의 지지 중심에 위치시킨다.
그러나, 승강로의 구조, 권상기의 설치 위치 등의 제한으로 인해, 권상기의 회전축이 기계대에 대해 소정 각도(직교되도록 설치되는 경우가 비교적 많음)를 구비하도록 설치하여야 한다. 이 경우, 권상기의 중심은 기계대의 지지 중심으로부터 벗어나므로 권상기의 작동 시 일정 정도의 진동이 발생한다.
본 고안은 상기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기계대가 받는 응력을 균일하게 하고 진동을 감소시키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실시형태는 엘리베이터 장치로서, 메인 로프를 통해 카를 구동시키는 권상기; 승강로의 상부에 설치되고, 그 길이 방향이 상기 권상기의 회전축 방향과 직교되는 기계대; 및 상기 권상기와 상기 기계대 사이에 설치되며, 길이 방향이 상기 권상기의 회전축 방향과 평행되는 지지대를 구비하고, 상기 권상기는 상기 지지대의 일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메인 로프의 제1 로프 히치 플레이트는 상기 지지대의 타단부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엘리베이터 장치는, 상기 기계대의 하부에는 상기 메인 로프를 권취하는 세컨더리 시브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엘리베이터 장치는, 상기 메인 로프의 제2 로프 히치 플레이트는 상기 기계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에서, 승강로의 최상부에 설치되는 기계대에는 지지대가 설치되고, 상기 지지대에는 카를 구동시키는 권상기가 설치되며, 상기 권상기의 길이 방향과 권상기의 회전축 방향이 평행되도록 함으로써 기계대와 권상기 사이에 지지대가 이격되게 설치되어 권상기의 작동 진동이 기계대로 전달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에서, 권상기를 지지대의 일단부에 설치하고, 엘리베이터 로프를 고정하는 제1 로프 히치 플레이트를 지지대의 타단부에 설치하며, 엘리베이터 로프를 고정하는 제2 로프 히치 플레이트를 기계대에 설치하고, 엘리베이터 세컨더리 시브를 기계대의 하부에 설치함으로써 기계대가 받는 응력을 균일하게 할 뿐만 아니라 지지대가 받는 응력도 균일하게 하여 권상기의 작동 진동이 기계대로 전달되는 것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으며, 권상기의 작동 진동이 엘리베이터 카에 전달되는 것을 감소시켜 엘리베이터의 주행 안정성 및 승차감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종래의 권상기의 설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은 종래의 권상기의 설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권상기의 설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1)의 전체 구성 및 권상기의 설치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에 기반하여 본 실시형태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1)의 전체 구성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1)는, 승강로(3) 내에 배치된 카(4) 및 균형추(5)를 구비하고, 상기 카(4)와 균형추(5)는 메인 로프(9)를 통해 연결된다. 승강로(3)의 상부에는 기계실(6)이 설치되고, 상기 기계실(6)에는 메인 로프(9)를 구동시키기 위한 권상기(2), 제어 장치(8) 등이 설치된다.
본 실시형태에서, 권상기(2)는 기계대(11)를 통해 기계실(6)에 설치되나,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에서, 기계대(11)을 승강로(3)의 최상부에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권상기(2)의 회전축의 일단에는 구동 시브(7)가 연결되고, 상기 구동 시브(7)에는 메인 로프(9)가 권취된다. 권상기(2)를 구동시켜 작동시킬 경우, 구동 시브(7)도 동기적으로 회전함으로써 메인 로프(9)를 구동시켜 카(4) 및 균형추(5)가 승강로(3)를 따라 상대적으로 상하 운동을 하도록 한다. 이로써, 제어 장치(8)의 제어에 의해 카(4)는 소정의 플로어로 주행하고 소정 시간 정지된다.
다음, 도 2 및 도 3에 따라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권상기의 설치 방법을 설명한다. 도 2는 종래의 권상기의 설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3은 종래의 권상기의 설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최상부의 설치 테이블에 복수 개의 기계대(12)을 설치한 후, 프레임(14)을 통해 권상기(2)를 기계대(12)에 설치한다. 이 밖에, 권상기(2)의 작동시 발생하는 진동을 감소시키기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권상기(2)를 기계대(12)의 대략 중심부에 설치하고, 권상기(2)의 회전축과 기계대(12)의 길이 방향이 평행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승강로(3)의 구조 및 권상기(2)의 구조 등이 상이함에 따라, 경우에 따라 권상기(2)를 기계대(12)의 대략 중심부에 설치하지 못하고, 권상기(2)의 회전축과 기계대(12)의 길이 방향이 평행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경우에 따라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권상기(2)의 회전축과 기계대(12)의 길이 방향이 교차(본 실시형태에서는 직교의 경우를 예로 한다)되도록 하거나 프레임(14)을 통해 권상기(2)를 기계대(12)의 길이 방향의 일단부에 설치할 수 있다. 이때, 기계대(12)이 받는 응력을 균일하게 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 로프를 귄취하는 세컨더리 시브(10)를 권상기(2)가 설치된 일단부와 반대측의 길이 방향의 타단부에 설치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도, 권상기(2)가 작동시, 경우에 따라 일정한 정도의 진동이 발생할 수 있다.
여기서, 엘리베이터 장치의 기계대가 받는 응력을 균일하게 하게 하고, 권상기의 작동시 진동이 보다 감소되도록 본 고안의 고안자는 권상기 및 기계대의 설치 방법을 개선하였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권상기의 설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 먼저, 권상기(2) 및 제어 장치(8) 등을 설치하기 위해, 복수 개의 기계대(11a, 11b, 11c)을 설치하고, 상기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이러한 기계대(11a, 11b, 11c)은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의 승강로(3)의 최상부에 설치된다. 이 밖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3 개의 기계대(11a, 11b, 11c)이 설치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기계대의 사양, 승강로 내의 설치 조건 등이 상이함에 따라 기타 임의의 수량의 기계대가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이러한 기계대(11a, 11b, 11c)의 하부에는 메인 로프(9)를 권취하기 위한 세컨더리 시브(10)가 설치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에서, 기계대(11a)과 기계대(11b) 사이의 길이 방향 일단부에는 세컨더리 시브(10)가 설치된다. 이 경우, 상기 세컨더리 시브(10)에 메인 로프(9)가 권취되고, 상기 메인 로프(9)의 양단에 각각 카(4) 및 균형추(5)가 연결되므로, 상기 세컨더리 시브(10)는 기계대(11a, 11b)에 하부로 향하는 인장력을 인가한다.
이 밖에, 본 실시형태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에서, 기계대(11b)과 기계대(11c) 사이의 길이 방향 일단부에는 로프 히치 플레이트(13a)가 설치되고, 상기 로프 히치 플레이트(13a)와 세컨더리 시브(10)는 기계대(11a, 11b, 11c)의 길이 방향의 동일한 단부 측에 설치된다. 이 경우, 상기 로프 히치 플레이트(13a)에 메인 로프의 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메인 로프(9)와 균형추(5)가 연결되므로, 상기 로프 히치 플레이트(13a)는 기계대(11b, 11c)에 하부로 향하는 인장력을 인가한다.
이 밖에, 이러한 기계대(11a, 11b, 11c)의 대략 중심 위치에는 지지대(12a, 12b)이 고정 설치된다. 이러한 지지대(12a, 12b)은 길이 방향과 기계대(11a, 11b, 11c)의 길이 방향이 교차(본 실시형태에서는 직교임)되도록 설치된다. 이 밖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두 개의 지지대(12a, 12b)이 설치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지지대의 사양, 권상기의 설치 조건 등이 상이함에 따라 기타 임의의 수량의 지지대가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대(12a, 12b)의 길이 방향의 일단부에는 프레임(14)을 통해 지지대(12a)과 지지대(12b) 사이에 걸쳐지도록 권상기(2)가 설치된다. 상기 권상기(2)의 회전축 방향과 지지대(12a, 12b)의 길이 방향은 평행되고, 즉 상기 권상기(2)의 회전축 방향도 기계대(11a, 11b, 11c)의 길이 방향과 직교된다. 이때, 권상기(2)과 지지대(12a, 12b)의 무게는 기계대(11a, 11b, 11c)에 하부로 향하는 힘을 인가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 권상기(2)의 회전축의 일단은 기계대(11a)의 외측을 향해 연장된다. 도 4에서 관찰할 때, 권상기(2)의 회전축의 일단은 종이의 안쪽으로 연장된다. 상기 연장된 회전축의 일단에는 메인 로프(9)를 권취하고 구동시키는 구동 시브(7)가 설치므로 권상기(2)를 통해 구동 시브(7) 및 메인 로프(9)에 의해 엘리베이터 카(4) 및 균형추(5)를 구동시킨다.
이 밖에, 본 실시형태에서, 지지대(12a, 12b)의 길이 방향의 타단에는 로프 히치 플레이트(13b)가 설치된다. 상기 로프 히치 플레이트(13b)에는 메인 로프(9)의 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메인 로프(9)와 카(4)는 연결되므로, 상기 로프 히치 플레이트(13b)는 지지대(12a, 12b)에 하부로 향하는 인장력을 인가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지지대(12a, 12b)의 길이 방향의 일단부에는 권상기(2)가 설치되고, 지지대(12a, 12b)의 길이 방향의 타단부에는 로프 히치 플레이트(13b)가 설치된다. 이로써, 권상기(2)의 무게 및 메인 로프(9)가 구동 시브(7)를 통해 권상기(2)에 하부로 향하여 인가되는 힘과 엘리베이터 카(b)가 로프를 통해 로프 히치 플레이트(13b)에 인가되는 하부로 향하는 힘은 일정한 정도에서 지지대(12a, 12b)의 두 개의 단부에 평행되게 인가된다. 이로써, 지지대(12a, 12b)에 길이 방향을 따라 인가되는 하부로 향하는 힘은 대략 균일해지므로, 지지대(12a, 12b)은 안정적이 되고, 위치 오프셋이 발생하기 어렵기에 진동이 발생하기 어렵다.
이 밖에, 전술한 바와 같이, 기계대(11a, 11b, 11c)에는, 대략 중심부에 지지대(12a, 12b)을 통해 권상기(2) 및 로프 히치 플레이트(13b)가 설치되고, 길이 방향 일단부에는 로프 히치 플레이트(13a) 및 세컨더리 시브(10)가 설치된다. 따라서, 권상기(2) 및 로프 히치 플레이트(13b)의 무게 및 그들에 인가되는 하부로 향하는 합력과 로프 히치 플레이트(13a) 및 세컨더리 시브(10)에 인가되는 하부로 향하는 인장력은 일정한 정도에서 기계대(11a, 11b, 11c)에 평행되게 인가된다. 이로써, 기계대(11a, 11b, 11c)에 길이 방향을 따라 인가되는 하부로 향하는 힘은 대략 균일해지므로, 기계대(11a, 11b, 11c)은 안정적이 되고, 위치 오프셋이 발생하기 어렵기에 진동이 발생하기 어렵다.
이 밖에, 진동의 전달을 보다 감소시키기 위해, 프레임(14)과 지지대(12a, 12b) 사이에 완충 패드(미도시) 등을 더 설치할 수 있고, 또한, 나아가 지지대(12a, 12b)과 기계대(11a, 11b, 11c) 사이, 및 기계대(11a, 11b, 11c)과 승강로(3)의 최상부의 설치 테이블 사이에 완충 패드(미도시) 등을 설치할 수도 있다. 이로써, 권상기(2) 작동 시의 진동은 이러한 완충 패드에 의해 일부 흡수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기계대(11a, 11b, 11c) 및 지지대(12a, 12b)은 안정적으로 고정되므로, 기계대(11a, 11b, 11c) 및 지지대(12a, 12b) 자체에 위치 오프셋이 발생하기 어렵기에 진동이 발생하기 어렵고, 또한 권상기(2) 작동 시의 진동이 지지대(12a, 12b) 및 기계대(11a, 11b, 11c)에 전달되기 어렵다.
이 밖에, 기계대(11a, 11b, 11c)이 길이 방향을 따라 받는 응력이 균일해지고, 지지대(12a, 12b)이 길이 방향을 따라 받는 응력 역시 균일해지므로, 권상기(2)를 승강로(3)의 최상부에 설치하는 구조 전체가 받는 응력이 균일해져 응력의 불균일로 인한 진동이 발생되기 어렵다. 따라서, 진동이 메인 로프(9)를 통해 카(4)에 전달되는 경우가 감소되고, 엘리베이터 카의 진동을 감소시키는데 유리하며, 엘리베이터 주행 시의 안정성 및 승차감을 향상시키는데 유리하다.
이 밖에,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 권상기를 기계대에 직접 설치시켜 권상기 설치 시 기계대의 길이 방향에 따라 설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이에 반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에서, 권상기는 지지대를 통해 기계대에 설치되므로, 권상기가 설치될 때, 지지대의 길이 방향에 따라 권상기의 위치를 조정할 뿐만 아니라, 기계대의 길이 방향에 따라 지지대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평면 내에서 권상기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고, 권상기를 보다 적합한 위치에 설치할 수 있다.
이 밖에, 상기 실시형태에서, 권상기의 설치 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기술영역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 실시형태의 개략적인 설명에 따라 권상기의 설치 방식을 적당히 변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권상기(2)의 설치 위치에 관해, 지지대의 단부에 위치하지 않고, 지지대의 대략 중심부에 위치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로프 히치 플레이트(13b)는 지지대의 타단에 위치하지 않고, 기계대의 단부, 즉 로프 히치 플레이트(13a)의 단부와 반대측의 단부에 위치한다. 이로써, 권상기(2) 전체가 받는 응력이 더 균일하도록 할 수도 있고, 응력의 불균일로 인한 진동이 발생하기 어렵다.
이 밖에, 상기 설명에서, 구동 시브를 설치하기 위한 권상기의 단부는 기계대의 외부로 연장되지만, 구동 시브를 설치하기 위한 권상기의 단부를 반대측으로 연장할 수도 있고, 즉 구동 시브를 기계대(11a)과 기계대(11b) 사이의 상부에 위치시킬 수도 있으며, 이로써 메인 로프(9)는 기계대(11a)과 기계대(11b) 사이를 통과하여 상기 구동 시브에 권취된다. 이로써, 권상기(2) 전체가 받는 응력이 더 균일하도록 하고, 응력의 불균일로 인한 진동이 발생하기 어렵다. 이상, 본 고안의 여러 실시형태를 설명하였지만, 이러한 실시형태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고, 고안의 범위를 제한하려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새로운 실시형태는 다양한 다른 형태로 실시될 수 있고, 고안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생략, 치환, 변경을 진행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형태 및 변형은 고안의 범위 및 사상 내에 포함되고, 또한 청구범위에 기재된 실용신안 및 그 균등한 범위 내에 포함된다.

Claims (3)

  1. 메인 로프(9)를 통해 카(car)(4)를 구동시키는 권상기(2);
    승강로(3)의 상부에 설치되고, 그 길이 방향이 상기 권상기(2)의 회전축 방향과 직교되는 기계대(11a, 11b, 11c); 및
    상기 권상기(2)와 상기 기계대(11a, 11b, 11c) 사이에 설치되며, 그 길이 방향이 상기 권상기(2)의 회전축 방향과 평행되는 지지대(12a, 12b)를 구비하고,
    상기 권상기(2)는 상기 지지대(12a, 12b)의 일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메인 로프(9)의 제1 로프 히치 플레이트(rope hitch plate)(13b)는 상기 지지대(12a, 12b)의 타단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대(11a、11b)의 하부에는 상기 메인 로프(9)를 권취하기 위한 세컨더리 시브(secondary sheave)(1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로프(9)의 제2 로프 히치 플레이트(13a)는 상기 기계대(11b、11c)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KR2020180006091U 2018-02-12 2018-12-26 엘리베이터 장치 KR20190002152U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20251057.2U CN208054691U (zh) 2018-02-12 2018-02-12 电梯装置
CN201820251057.2 2018-02-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152U true KR20190002152U (ko) 2019-08-21

Family

ID=63990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6091U KR20190002152U (ko) 2018-02-12 2018-12-26 엘리베이터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KR (1) KR20190002152U (ko)
CN (1) CN208054691U (ko)
HK (1) HK1253196A2 (ko)
MY (1) MY197410A (ko)
SG (1) SG10201811599P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2061148A (ja) * 2020-10-06 2022-04-1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ー用巻上機およびエレベーター用巻上機の設置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8054691U (zh) 2018-11-06
SG10201811599PA (en) 2019-09-27
MY197410A (en) 2023-06-16
HK1253196A2 (zh) 2019-06-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7119131A (ja) エレベータロープ揺れ止め装置
JP6215093B2 (ja) エレベーター及びそれに用いるコンペンプーリ
KR100743522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20190002152U (ko) 엘리베이터 장치
JP5026260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07297209A (ja) エレベータ装置
JPWO2004074157A1 (ja) エレベータ
KR20180086214A (ko) 엘리베이터 시스템용 기계 장착 구조체
JP2760676B2 (ja) 高速エレベータ
JPWO2004050528A1 (ja) エレベータ装置
JP6336225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5517491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2010168167A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JP2006206202A (ja) エレベータのシーブ装置
JP5798613B2 (ja) エレベータ用釣合錘装置
KR20190002665U (ko) 엘리베이터
JP5680198B2 (ja) エレベータ及びエレベータの改修方法
JP2001080843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CN110191856B (zh) 电梯装置
EP1500620A1 (en) Elevator
JPWO2004028948A1 (ja) エレベータ装置
JP6776412B1 (ja) エレベータのロープ制振装置及びロープ制振機構
JP2012017165A (ja) エレベータ装置のリニューアル方法及びエレベータ装置
JP2015009967A (ja) エレベータ装置及びその改修方法
WO2020084701A1 (ja) エレベーター及びコンペンロープ支持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