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2810A - 승강기용 와이어 로프 파단 감지장치 - Google Patents

승강기용 와이어 로프 파단 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2810A
KR20120052810A KR1020100114125A KR20100114125A KR20120052810A KR 20120052810 A KR20120052810 A KR 20120052810A KR 1020100114125 A KR1020100114125 A KR 1020100114125A KR 20100114125 A KR20100114125 A KR 20100114125A KR 20120052810 A KR20120052810 A KR 201200528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rope
contact
elevator
elevator wire
contact memb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41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필웅
Original Assignee
한국미쓰비시엘리베이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미쓰비시엘리베이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미쓰비시엘리베이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141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52810A/ko
Publication of KR201200528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2810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21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being independent of the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12Checking, lubricating, or cleaning means for ropes, cables or guides
    • B66B7/1207Checking means
    • B66B7/1215Check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ropes or cables
    • B66B7/1223Check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ropes or cables by analysing electric variables

Landscapes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용 와이어 로프의 파단 감지 장치는 소선(素線)의 꼬임으로 형성되는 스트랜드를 구비하는 승강기용 와이어 로프의 파단을 감지하는 장치로서, 승강기용 와이어 로프의 외측으로 파단된 소선 또는 스트랜드와 물리적으로 접촉하여 일정 방향으로 움직이는 접촉부, 접촉부의 움직임에 따라 회로의 온/오프가 결정되는 회로부, 및 회로부의 온/오프에 따라 승강기용 와이어 로프의 파단 가능성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승강기용 와이어 로프 파단 감지장치{DETECTOR OF BREAKING WIREROPE FOR ELEVATOR}
본 발명은 승강기용 와이어 로프의 파단을 감지하는 파단 감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승강기 운행 중 와이어 로프를 구성하는 소선 또는 스트랜드가 파단 될 때 이를 감지하는 승강기용 와이어 로프의 파단 감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승강기 제조사들은 비상 정지 장치, 완충기, 로프 브레이크 등의 안전장치를 적용하고 있으며, 이는 카와 균형추를 매달고 있는 승강기용 와이어 로프가 정상 상태일 때에 안전장치로서 기능을 발휘할 수 있지만 승강기용 와이어 로프가 파단되는 상황에서는 승객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없다. 만약 승강기용 와이어 로프가 파단 되면 승객이 탑승한 승강기의 카가 자유낙하 속도로 추락하는 대형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승강기용 와이어 로프의 마모는 일정하게 발생하는 것이 아니고, 특정부분이 급격히 마모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한다. 또한, 와이어 로프의 일부분의 소선이 절손되거나 마모되면 그 부분에 집중하중이 계속 작용하여 와이어 로프가 파단될 가능성이 크다. 이러한 파단을 방지하기 위해 점검자가 전체 와이어 로프 중의 일부분의 와이어로프 마모 한계치(공칭 지름의 7% 이내) 및 소선의 단선 수(전 소선 수의 10% 이내) 등을 버어니어 캘리퍼스 등과 같은 측정 장비로 측정하거나 목측하여 인위적으로 판단한 결과를 바탕으로 상태를 판정한다. 이러한 판정 결과를 바탕으로 와이어 로프의 각각의 사이즈별 와이어 로프의 교체 주기를 정하여 교체 주기마다 즉시 교체하는 방식이다.
교체 주기에 따라 와이어 로프를 교체하는 이러한 종래의 방식은 교체 주기 전에 와이어 로프의 손상이 발생한 경우에 이를 감지하여 예방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나타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승강기용 와이어 로프의 파단 가능성을 미리 감지하여 와이어 로프의 파단을 예방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즉, 와이어 로프가 파단되기 전에 이를 감지하여 대형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승강기용 와이어 로프의 파단 감지 장치를 제공하는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용 와이어 로프의 파단 감지 장치는 소선(素線)의 꼬임으로 형성되는 스트랜드를 구비하는 승강기용 와이어 로프의 파단을 감지하는 장치로서, 승강기용 와이어 로프의 외측으로 파단된 소선 또는 스트랜드와 물리적으로 접촉하여 일정 방향으로 움직이는 접촉부, 접촉부의 움직임에 따라 회로의 온/오프가 결정되는 회로부, 및 회로부의 온/오프에 따라 승강기용 와이어 로프의 파단 가능성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승강기용 와이어 로프의 파단 감지 장치의 접촉부는, 승강기용 와이어 로프의 외측으로 파단된 소선 또는 스트랜드와 직접 접촉하는 접촉 부재, 및 접촉 부재와 연결되어 접촉 부재와 함께 승강기용 와이어 로프에 대해 수평 방향의 외측으로 움직이고 회로부와의 접촉 여부에 따라 회로부의 온/오프를 결정하는 접점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승강기용 와이어 로프의 파단 감지 장치는 접촉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접촉 부재와 접점 부재가 지지부를 사이에 두고 서로 다른 편에 위치하며, 탄성 부재가 접촉 부재와 지지부 사이, 또는 접점 부재와 지지부 사이에 구비되어 접촉 부재가 승강기용 와이어 로프를 향하여 탄성 복원될 수 있도록 한다.
승강기용 와이어 로프의 파단 감지 장치의 제어부는, 승강기용 와이어 로프의 파단 가능성을 감지하였을 경우 승강기의 제어반에 경고 신호를 전송하여 승강기의 작동을 중단시키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승강기용 와이어 로프의 파단 판단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제어부는, 승강기용 와이어 로프의 파단 가능성을 감지하였을 경우 파단 카운트 값을 1씩 증가시키고, 파단 카운트 값이 소정치 이상이 되는 경우, 승강기의 제어반에 경고 신호를 전송하여 승강기의 작동을 중단시키도록 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승강기용 와이어 로프의 파단 감지 장치의 접촉부는, 승강기용 와이어 로프의 외측으로 파단된 소선 또는 스트랜드와 직접 접촉하는 접촉 부재, 접촉 부재와 연결되어 접촉 부재를 승강기용 와이어 로프의 이동 방향에 대응되도록 회전시키는 회전 부재, 및 회전 부재와 연결되어 회전 부재와 함께 회전하고 회로부와의 접촉 여부에 따라 회로부의 온/오프를 결정하는 접점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 승강기용 와이어 로프의 파단 감지 장치의 회로부는 접점 부재와 접촉하여 회로의 온/오프를 발생시키는 스위칭 부재를 포함하고, 접촉부는 스위칭 부재를 사이에 두고 원주 방향의 외측으로 2개의 접점 부재를 포함하며, 접점 부재는 회전 부재의 회전 방향에 따라 어느 하나가 스위칭 부재와 접촉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 승강기용 와이어 로프의 파단 감지 장치는 회전 부재의 양단에 위치하여 회전 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지지부에는 스위칭 부재를 중심으로 원주 방향의 외측 일정 고정점으로부터 스위칭 부재를 향하여 접점 부재와 연결되는 탄성 부재가 구비되어 접점 부재가 스위칭 부재와의 접촉 후에 원래의 위치로 복원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용 와이어 로프의 파단 감지 장치는 파단된 소선 또는 스트랜드와 물리적으로 접촉하여 일정 방향으로 움직이는 접촉부, 접촉부의 움직임에 따라 회로의 온/오프가 결정되느니 회로부, 및 회로부의 온/오프에 따라 승강기용 와이어 로프의 파단 가능성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통하여 승강기용 와이어 로프의 파단 가능성을 미리 감지하여 승강기용 와이어 로프의 파단을 예방할 수 있다. 즉, 승강기용 와이어 로프가 파단되기 전에 이를 사전에 알려주어 대형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승강기용 와이어 로프의 측면도 및 단면도.
도 2는 승강기용 와이어 로프의 구성 부품인 소선과 스트랜드의 일부가 파손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및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용 와이어 로프의 파단 감지 장치에서 승강기용 와이어 로프가 파손되지 않은 경우의 설명도.
도 4는 도 3의 승강기용 와이어 로프의 파단 감지 장치를 다른 편에서 도시한 설명도.
도 5는 도 3의 승강기용 와이어 로프의 파단 감지 장치에서 승강기용 와이어 로프의 소선 또는 스트랜드의 파단이 발생한 경우의 설명도.
도 6은 도 5의 승강기용 와이어 로프의 파단 감지 장치를 다른 편에서 도시한 설명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용 와이어 로프의 파단 감지 장치의 설명도.
도 8은 도 7의 승강기용 와이어 로프의 파단 감지 장치에서 승강기용 와이어 로프가 파손되지 않은 경우의 설명도.
도 9 및 도 10은 도 7의 승강기용 와이어 로프의 파단 감지 장치에서 승강기용 와이어 로프의 소선 또는 스트랜드의 파단이 발생한 경우의 설명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본 설명에서 동일한 번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하며, 이러한 규칙하에서 다른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인용하여 설명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고 판단되거나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용 와이어 로프의 차단 감지 장치(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기용 와이어 로프(10)는, 승강기용 와이어 로프(10)의 외측으로 파단된 소선 또는 스트랜드와 물리적으로 접촉하여 일정 방향으로 움직이는 접촉부, 접촉부의 움직임에 따라 회로의 온/오프가 결정되는 회로부, 및 회로부의 온/오프에 따라 움직임에 따라 승강기용 와이어 로프의 파단 가능성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승강기용 와이어 로프(10)는 일부의 소선(30)이 절손되거나 마모되면서 그 부분에 집중하중이 계속 작용하여 파단될 가능성이 크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기용 와이어 로프(10)에 마모가 발생하기 시작하면 소선(30) 또는 스트랜드(20)가 파단되어 승강기용 와이어 로프(10)의 외측으로 풀려서 돌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용 와이어 로프의 파단 감지 장치(100)는 파단된 소선(30) 또는 스트랜드(20)의 돌출부와 접촉부와의 물리적 접촉을 통하여 승강기용 와이어 로프(10)의 파단 가능성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물리적 접촉을 통하여 접촉부는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회전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실시예에서, 접촉부는, 승강기용 와이어 로프(10)의 외측으로 파단된 소선(30) 또는 스트랜드(20)와 직접 접촉하는 접촉 부재(40), 및 접촉 부재(40)와 연결되어 접촉 부재(40)와 함께 승강기용 와이어 로프(10)에 대해 수평 방향의 외측으로 움직이고 회로부와의 접촉 여부에 따라 회로부의 온/오프를 결정하는 접점 부재(50)를 포함한다. 접촉 부재(40)의 형상에는 제한이 없으나 파단된 소선(30) 또는 스트랜드(20)와 접촉하는 면적을 크게 하도록 반구형일 수 있다. 승강기용 와이어 로프(10)가 승강기 운행 중에 흔들림으로 인하여 접촉 부재 (40)와 물리적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접촉 부재(40)는 승강기용 와이어 로프(10)에 소정의 간격 이격되어 설치된다. 접촉 부재(40)와 접점 부재(50)는 중간의 연결부에 의해 연결되어 함께 수평방향으로 움직인다. 승강기용 와이어 로프의 파단 감지 장치(100)는 접촉 부재(40) 및 접점 부재(50)를 특정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지지부(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60)는 승강기의 승강로 내에 고정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 부재(40)와 접점 부재(50)는 지지부(6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다른 편에 위치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복수개의 승강기용 와이어 로프(10)의 파단 가능성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복수개의 접촉 부재(40) 및 접점 부재(5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접점 부재(50)와 회로부(명확하게 도시되지 않음)와의 연결관계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제1 실시예에서, 접점 부재(50)는 회로부의 스위치 역할을 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제1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용 와이어 로프의 파단 감지 장치(100)의 감지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승강기가 운행될 때, 승강기용 와이어 로프(10)는 상하 움직이고, 도 5에서는 상방향(A)으로 움직이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소선(20) 또는 스트랜드(30)가 일부 파단되어 있는 경우, 승강기용 와이어 로프(10)의 상방향으로 움직일 때, 고정되어 있는 접촉 부재(40)와 접촉하게 된다. 이러한 접촉은 접촉 부재(40)를 수평 방향의 외측으로 움직이게 한다. 도 5에서는 소선(20) 또는 스트랜드(30)와 접촉 부재(40)의 접촉을 통하여 접촉 부재(40) 및 접점 부재(50)가 우측 방향(B)으로 이동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이 경우, 접점 부재(50)가 회로부와 접지 또는 해지되어 이에 따라 회로부가 온/오프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접점 부재(50)가 회로부와 해지되어 회로부가 오프되는 경우를 나타낸다.
제어부는 회로부의 온/오프 변화를 감지하여, 경고 신호를 제어반(승강기의 운행을 전기적으로 제어하는 장치)에 전송한다. 승강기의 제어반이 제어부로부터 경고 신호를 수신 할 경우, 승강기의 제어반의 전기적 신호를 통하여 운행 중이던 승강기는 근접 층에 도착 후 운행을 정지하게 된다. 승강기 운행의 제어에 관련된 사항은 종래의 보편화된 기술이므로 본 명세서에서 생략한다. 이 경우, 제어부의 승강기용 와이어 로프(10)의 파단 가능성의 판단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제어부는 승강기용 와이어 로프(10)의 파단 가능성을 감지하였을 경우 파단 카운트 값을 1씩 증가시키고, 파단 카운트 값이 소정치 이상이 되는 경우, 경고 신호를 승강기의 제어반에 전송할 수 있다. 파단 카운트 값은 승강기용 와이어 로프(10)의 상하 운행에 따라, 2 이상의 값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 부재(40)와 지지부(60) 사이, 또는 접점 부재(50)와 지지부(60) 사이에는 탄성 부재(70)가 구비될 수 있다. 탄성 부재(70)는 접촉 부재(40)가 소선(30) 또는 스트랜드(20)와 접촉한 후에 승강기용 와이어 로프(10)를 향하여 탄성 복원되도록 한다. 즉, 탄성 부재(70)는 승강기용 와이어 로프(10)와 접촉 부재(40) 사이의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한다. 탄성 부재(70)는 스프링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용 와이어 로프의 차단 감지 장치(2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때, 제1 실시예와 비교하였을 때 동일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다른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접촉부는, 승강기용 와이어 로프(10)의 외측으로 파단된 소선(30) 또는 스트랜드(20)와 직접 접촉하는 접촉 부재(210), 접촉 부재(210)와 연결되어 접촉 부재(210)를 승강기용 와이어 로프(10)의 이동 방향에 대응되도록 회전시키는 회전 부재(220), 및 회전 부재(220)와 연결되어 회전 부재(220)와 함께 회전하고 회로부와의 접촉 여부에 따라 상기 회로부의 온/오프를 결정하는 접점 부재(230)를 포함할 수 있다. 접촉 부재(21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 형상이 될 수 있으나, 그 형상에 제한은 없다. 승강기용 와이어 로프(10)의 상하 방향 움직임에 따라서, 파단된 소선(30) 또는 스트랜드(20)가 접촉 부재(210)와 접촉 시, 접촉 부재(210)는 연결된 회전 부재(220)의 결속으로 인하여 회전하게 된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용 와이어 로프의 차단 감지 장치(200)는 회전 부재(220)의 양단에 위치하여 회전 부재(22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2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280)는 승강기의 승강로 내에 고정된다. 또한, 도 8을 참조하면, 회로부는 접점 부재(230)와 접촉하여 회로의 온/오프를 발생시키는 스위칭 부재(240)를 포함한다. 접점 부재(230)가 스위칭 부재(240)와 접촉하여 스위칭 부재(240)를 누르게 되면 회로가 온 된다. 또한, 도 8을 참조하면, 접촉부는 스위칭 부재(240)를 사이에 두고 원주 방향의 외측으로 2개의 접점 부재(230)를 포함한다. 원주 방향은 원 둘레 방향을 의미한다. 따라서, 스위칭 부재(240)를 사이에 두고 원주 방향의 외측으로는 스위칭 부재(240)를 중심으로 각각 도 9의 반시계 방향(D) 및 도 10의 시계 방향(F)으로 떨어진 것을 의미한다. 접촉 부재(21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도 8의 오른쪽 접점 부재(230)가 스위칭 부재(240)와 접촉하고, 접촉 부재(21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도 8의 왼쪽 접점 부재(230)가 스위칭 부재(240)와 접촉한다. 따라서, 회전 부재(220)의 회전 방향에 따라 2개의 접점 부재(230) 중 어느 하나는 스위칭 부재(240)와 접촉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제2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용 와이어 로프의 파단 감지 장치(200)의 감지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는 승강기가 운행될 때, 승강기용 와이어 로프(10)가 하방향(C)으로 움직이는 경우를 도시한다. 소선(20) 또는 스트랜드(30)가 일부 파단되어 있는 경우, 승강기용 와이어 로프(10)가 하방향(C)으로 움직이면서, 파단된 소선(20) 또는 스트랜드(30)는 접촉 부재(210)와 접촉한다. 이러한 접촉이 발생하면 접촉 부재(210)는 회전 부재(220)와 함께 반시계 방향(D)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회전 부재(220)에 연결된 접점 부재(230)도 함께 회전하게 되어, 왼쪽 접점 부재(230)가 스위칭 부재(240)와 접촉하여 스위칭 부재(240)를 누르게 된다. 그 결과, 회로부의 스위치가 온이 된다. 도 10은 승강기가 운행될 때, 승강기용 와이어 로프(10)가 상방향(E)으로 움직이는 경우를 도시한다. 마찬가지로, 파단된 소선(20) 또는 스트랜드(30)가 접촉 부재(210)와 접촉하게 되면, 접촉 부재(201)는 회전 부재(220)와 함께 시계 방향(F)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회전 부재(220)에 연결된 접점 부재(230)도 함께 회전하게 되어, 오른쪽 접점 부재(230)가 스위칭 부재(240)와 접촉하여 스위칭 부재(240)를 누르게 된다. 그 결과, 회로부의 스위치가 온이 된다. 이 후의 감지 동작은 실시예 1과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지지부(280)에는 스위칭 부재(240)를 중심으로 원주 방향의 외측 일부 고정점(280)으로부터 스위칭 부재(240)를 향하여 접점 부재(230)와 연결되는 탄성 부재(270)가 구비될 수 있다. 탄성 부재(270)에 의하여 접점 부재(230)가 스위칭 부재(240)와의 접촉 후에 원래의 위치로 복원될 수 있다. 또한, 탄성 부재(270)는 미세한 공기의 저항 및 진동 등에 의하여 접촉 부재(210)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승강기용 와이어 로프 20 스트랜드
30 소선 40 접촉 부재
50 접점 부재 60 지지부
70 탄성 부재

Claims (8)

  1. 소선(素線)의 꼬임으로 형성되는 스트랜드를 구비하는 승강기용 와이어 로프의 파단을 감지하는 승강기용 와이어 로프의 파단 감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용 와이어 로프의 외측으로 파단된 소선 또는 스트랜드와 물리적으로 접촉하여 일정 방향으로 움직이는 접촉부;
    상기 접촉부의 움직임에 따라 회로의 온/오프가 결정되는 회로부; 및
    상기 회로부의 온/오프에 따라 상기 승강기용 와이어 로프의 파단 가능성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승강기용 와이어 로프의 파단 감지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승강기용 와이어 로프의 외측으로 파단된 소선 또는 스트랜드와 직접 접촉하는 접촉 부재, 및 상기 접촉 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접촉 부재와 함께 상기 승강기용 와이어 로프에 대해 수평 방향의 외측으로 움직이고 상기 회로부와의 접촉 여부에 따라 상기 회로부의 온/오프를 결정하는 접점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용 와이어 로프의 파단 감지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접촉 부재와 상기 접점 부재가 상기 지지부를 사이에 두고 서로 다른 편에 위치하며, 상기 접촉 부재와 상기 지지부 사이, 또는 상기 접점 부재와 상기 지지부 사이에는 탄성 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접촉 부재가 상기 승강기용 와이어 로프를 향하여 탄성 복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용 와이어 로프의 파단 감지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승강기용 와이어 로프의 파단 가능성을 감지하였을 경우 승강기의 제어반에 경고 신호를 전송하여 승강기의 작동을 중단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용 와이어 로프의 파단 감지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승강기용 와이어 로프의 파단 가능성을 감지하였을 경우 파단 카운트 값을 1씩 증가시키고, 상기 파단 카운트 값이 소정치 이상이 되는 경우, 상기 승강기의 제어반에 경고 신호를 전송하여 승강기의 작동을 중단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용 와이어 로프의 파단 감지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승강기용 와이어 로프의 외측으로 파단된 소선 또는 스트랜드와 직접 접촉하는 접촉 부재, 상기 접촉 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접촉 부재를 상기 승강기용 와이어 로프의 이동 방향에 대응되도록 회전시키는 회전 부재, 및 상기 회전 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회전 부재와 함께 회전하고 상기 회로부와의 접촉 여부에 따라 상기 회로부의 온/오프를 결정하는 접점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용 와이어 로프의 파단 감지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회로부는 상기 접점 부재와 접촉하여 회로의 온/오프를 발생시키는 스위칭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부는 상기 스위칭 부재를 사이에 두고 원주 방향의 외측으로 2개의 접점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접점 부재는 상기 회전 부재의 회전 방향에 따라 어느 하나가 상기 스위칭 부재와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용 와이어 로프의 파단 감지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회전 부재의 양단에 위치하여 상기 회전 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에는 상기 스위칭 부재를 중심으로 원주 방향의 외측 일정 고정점으로부터 상기 스위칭 부재를 향하여 상기 접촉 부재와 연결되는 탄성 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접점 부재가 상기 스위칭 부재와의 접촉 후에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용 와이어 로프의 파단 감지 장치.
KR1020100114125A 2010-11-16 2010-11-16 승강기용 와이어 로프 파단 감지장치 Ceased KR201200528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4125A KR20120052810A (ko) 2010-11-16 2010-11-16 승강기용 와이어 로프 파단 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4125A KR20120052810A (ko) 2010-11-16 2010-11-16 승강기용 와이어 로프 파단 감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2810A true KR20120052810A (ko) 2012-05-24

Family

ID=46269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4125A Ceased KR20120052810A (ko) 2010-11-16 2010-11-16 승강기용 와이어 로프 파단 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52810A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08285A (zh) * 2012-06-20 2014-01-15 昆山通祐电梯有限公司 电梯钢丝绳断丝断股检测装置
CN105347134A (zh) * 2015-12-28 2016-02-24 陈勇 电梯箱体防跌落装置之弓形检测装置
CN106794963A (zh) * 2014-10-16 2017-05-31 三菱电机株式会社 绳索断裂检测装置
CN106966259A (zh) * 2017-05-24 2017-07-21 住友富士电梯有限公司 一种电梯自动润滑装置
CN107200254A (zh) * 2017-05-24 2017-09-26 住友富士电梯有限公司 一种间歇式自动维护电梯
CN108861933A (zh) * 2017-05-12 2018-11-23 蒂森克虏伯电梯(上海)有限公司 用于电梯主机的曳引件的防跳脱装置及设有该装置的电梯
CN111115404A (zh) * 2020-02-13 2020-05-08 菱王电梯股份有限公司 一种电梯钢丝绳断绳断股检测装置及其检测方法
CN114655820A (zh) * 2022-03-21 2022-06-24 童中胜 一种煤矿开采用钢丝绳实时监控装置及其方法
CN118992751A (zh) * 2024-10-23 2024-11-22 粒子智慧(杭州)科技有限公司 一种电梯升降系统及升降运行方法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08285A (zh) * 2012-06-20 2014-01-15 昆山通祐电梯有限公司 电梯钢丝绳断丝断股检测装置
CN103508285B (zh) * 2012-06-20 2017-06-06 昆山通祐电梯有限公司 电梯钢丝绳断丝断股检测装置
CN106794963A (zh) * 2014-10-16 2017-05-31 三菱电机株式会社 绳索断裂检测装置
CN105347134A (zh) * 2015-12-28 2016-02-24 陈勇 电梯箱体防跌落装置之弓形检测装置
CN108861933A (zh) * 2017-05-12 2018-11-23 蒂森克虏伯电梯(上海)有限公司 用于电梯主机的曳引件的防跳脱装置及设有该装置的电梯
CN107200254A (zh) * 2017-05-24 2017-09-26 住友富士电梯有限公司 一种间歇式自动维护电梯
CN106966259A (zh) * 2017-05-24 2017-07-21 住友富士电梯有限公司 一种电梯自动润滑装置
CN107200254B (zh) * 2017-05-24 2019-06-04 住友富士电梯有限公司 一种间歇式自动维护电梯
CN111115404A (zh) * 2020-02-13 2020-05-08 菱王电梯股份有限公司 一种电梯钢丝绳断绳断股检测装置及其检测方法
CN111115404B (zh) * 2020-02-13 2023-11-10 菱王电梯股份有限公司 一种电梯钢丝绳断绳断股检测装置及其检测方法
CN114655820A (zh) * 2022-03-21 2022-06-24 童中胜 一种煤矿开采用钢丝绳实时监控装置及其方法
CN114655820B (zh) * 2022-03-21 2023-12-19 童中胜 一种煤矿开采用钢丝绳实时监控装置及其方法
CN118992751A (zh) * 2024-10-23 2024-11-22 粒子智慧(杭州)科技有限公司 一种电梯升降系统及升降运行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52810A (ko) 승강기용 와이어 로프 파단 감지장치
CN108217357B (zh) 电梯安全系统、电梯系统和操作电梯系统的方法
US4145920A (en) Apparatus for detecting abnormal condition of wire rope
EP3599203B1 (en) Elevator safety system
EP3366626B1 (en) Elevator safety system and method of monitoring an elevator system
CN1953926B (zh) 电梯装置
JP4907097B2 (ja) エレベータ装置
CN110002299B (zh) 电梯安全系统、电梯系统和操作电梯系统的方法
JPWO2010058453A1 (ja) エレベータ装置
CN106629330A (zh) 一种电梯用钢丝绳张紧力在线检测系统
US20120043166A1 (en) Elevator device
US10974935B2 (en) Drum-type conveying installation with cable-monitoring device
CN116081427A (zh) 避免滞留在电梯系统中
US5886308A (en) Rope speed monitoring assembly and method
CN108025892A (zh) 用于电梯设备的监控装置
US11440770B2 (en) Elevator derailment detection device
JPWO2006106574A1 (ja) エレベータ装置
JP6272734B2 (ja) 異物挟み検出装置
KR20120052811A (ko) 승강기용 와이어 로프의 파단 감지 장치
JP2018012567A (ja) 昇降機用ブレーキの異常診断装置および異常診断方法
JP5518643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6697793B2 (ja) エレベータの釣合おもりの脱レール検出装置
EP1464607A1 (en) LOAD DETECTION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AND ELEVATOR DEVICE
JP2006315794A (ja) エレベータの安全制御装置
CN106429693A (zh) 一种电梯非正常开门报警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111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4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2071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2042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