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1174B1 - 단자 및 커넥터 - Google Patents

단자 및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1174B1
KR101911174B1 KR1020170053623A KR20170053623A KR101911174B1 KR 101911174 B1 KR101911174 B1 KR 101911174B1 KR 1020170053623 A KR1020170053623 A KR 1020170053623A KR 20170053623 A KR20170053623 A KR 20170053623A KR 101911174 B1 KR101911174 B1 KR 1019111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e
folded back
terminal
lance
overlap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36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2672A (ko
Inventor
다카요시 엔도
사카이 야기
히로유키 구리타
슈지 도우노
Original Assignee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1226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26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11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11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8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by resilient locking means on the contact members; by locking means on resilient contact members
    • H01R13/43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by resilient locking means on the contact members; by locking means on resilient contact members by stamped-out resilient tongue snapping behind shoulder in base or ca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01R13/113Resilient sockets co-operating with pins or blades having a rectangular transverse s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4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with a single cantilevered bea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5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by stamped-out resilient contact ar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4Securing in base or case composed of a plurality of insulating parts having at least one resilient insulating pa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H01R4/183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 H01R4/184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comprising a U-shaped wire-receiving portion
    • H01R4/185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comprising a U-shaped wire-receiving portion combined with a U-shaped insulation-receiving portion

Abstract

단자는 도전성 접촉판과, 도전성 본체부와, 연장부와, 랜스를 구비한다. 도전성 접촉판은 탄성을 갖고, 상대방 단자에 접촉한다. 도전성 본체부는 도전성 접촉판을 지지하고, 측판부를 갖는다. 연장부는, 측판부의 +Z측의 단부로부터 연장되고 도전성 본체부의 외측으로 되접혀 있는 되접힘 부분과, 되접힘 부분의 선단으로부터 연장되며 측판부에 중첩되어 있는 중첩 부분을 갖는다. 랜스는 중첩 부분으로부터 돌출되고, 외팔보 비임 형상의 부재이다.

Description

단자 및 커넥터{TERMINAL AND CONNECTOR}
본 발명은 단자 및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일본 특허 공개 제 평10-247543 호 공보)을 참조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커넥터의 하우징에 삽입되는 단자에는, 하우징에 형성된 랜스 걸림부에 고정되는 랜스(lance)가 형성되어 있다. 랜스가 하우징의 랜스 걸림부에 고정되는 것에 의해, 단자는 빠짐 불가능한 상태로, 하우징에 보지된다.
일본 특허 공개 제 평10-247543 호 공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단자에서는, 랜스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단자 본체부의 측벽으로부터 절개하고 들어올려져서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측벽의 강성이 저하되기 쉽고, 결과적으로, 단자의 강도가 저하될 우려가 있다. 특히, 단자를 저배화(低背化)한 경우, 단자의 강도의 저하가 커지기 쉬워, 종래의 구조에서는, 단자의 저배화에 대한 요구에 대응하는 것이 곤란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단자의 강도를 유지하면서, 단자의 저배화를 실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단자는,
탄성을 갖고, 상대방 단자에 접촉하는 도전성 접촉판과,
상기 도전성 접촉판을 지지하고, 제 1 벽부를 갖는 통 형상의 도전성 본체부와,
상기 제 1 벽부의 단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도전성 본체부의 외측으로 되접혀 있는 제 1 되접힘 부분(folded part)과, 상기 제 1 되접힘 부분의 선단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 1 벽부에 중첩되어 있는 제 1 중첩 부분을 갖는 제 1 연장부와,
상기 제 1 중첩 부분으로부터 돌출되는 외팔보 비임 형상의 제 1 랜스를 구비한다.
상기 도전성 본체부는 상기 제 1 벽부에 대향하는 제 2 벽부를 갖고,
상기 도전성 접촉판은 상기 제 1 벽부와 상기 제 2 벽부 사이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제 2 벽부의 단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도전성 본체부의 외측으로 되접혀 있는 제 2 되접힘 부분과, 상기 제 2 되접힘 부분의 선단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 2 벽부에 중첩되어 있는 제 2 중첩 부분을 갖는 제 2 연장부와,
상기 제 2 중첩 부분으로부터 돌출되는 외팔보 비임 형상의 제 2 랜스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상기 도전성 본체부에는, 상기 제 1 벽부의 외벽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동시에, 상기 제 1 중첩 부분에 접촉하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제 1 되접힘 부분은 상기 도전성 본체부의 축 방향에 평행한 축선을 중심으로 되접혀 있어도 좋다.
상기 제 1 되접힘 부분은 상기 도전성 본체부의 축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평행한 축선을 중심으로 되접혀 있어도 좋다.
상기 제 1 벽부는 상기 도전성 접촉판에 대면하고,
상기 제 1 되접힘 부분은 상기 도전성 본체부의 축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평행한 축선을 중심으로 되접혀 있어도 좋다.
상기 제 1 랜스는 돌출되는 방향에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는 접음선(fold line) 형상의 접음선부를 갖고 있어도 좋다.
상기 제 1 연장부는 상기 도전성 본체부의 한쪽의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랜스를 사이에 둔, 상기 도전성 본체부의 다른쪽의 단부측에 형성되어 있는 타단측의 연장부를 구비하며,
상기 타단측의 연장부는, 상기 제 1 벽부의 단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도전성 본체부의 외측으로 되접혀 있는 타단측의 되접힘 부분과, 상기 타단측의 되접힘 부분의 선단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 1 벽부에 중첩되어 있는 타단측의 중첩 부분을 갖고 있어도 좋다.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커넥터는,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단자와,
상기 제 1 랜스에 결합하는 결합부가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 1 랜스는 제 1 벽부에 중첩되어 있는 제 1 중첩 부분으로부터 돌출된다. 이 때문에, 랜스의 형성에 기인하는 벽부의 강성의 저하가 억제된다. 결과적으로, 단자의 강도를 유지하면서, 단자의 저배화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커넥터의 사시도,
도 2의 (A)는 실시형태 1에 따른 단자의 평면도이고, 도 2의 (B)는 도 2의 (A)의 ⅡB-ⅡB 선의 단면도,
도 3은 실시형태 1에 따른 도전성 본체부의 사시도(그 중 1),
도 4의 (A)는 실시형태 1에 따른 도전성 본체부의 사시도(그 중 2)이고, 도 4의 (B)는 실시형태 1에 따른 도전성 본체부의 XY 단면도,
도 5의 (A)는 실시형태 1에 따른 도전성 본체부의 사시도(그 중 3)이고, 도 5의 (B)는 실시형태 1에 따른 도전성 본체부의 평면도,
도 6의 (A)는 실시형태 1에 따른 단자를 하우징에 장착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YZ 단면도(그 중 1)이고, 도 6의 (B)는 실시형태 1에 따른 단자를 하우징에 장착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XY 단면도(그 중 1),
도 7의 (A)는 실시형태 1에 따른 단자를 하우징에 장착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YZ 단면도(그 중 2)이고, 도 7의 (B)는 실시형태 1에 따른 단자를 하우징에 장착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XY 단면도(그 중 2),
도 8은 도 7의 (B)의 화살표 VⅡ로 나타낸 부분의 확대도,
도 9a는 실시형태 1에 따른 단자를 하우징으로부터 분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b는 실시형태 1에 따른 랜스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따른 커넥터의 사시도,
도 10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따른 커넥터의 평면도,
도 11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따른 커넥터의 사시도,
도 11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따른 커넥터의 YZ 단면도.
[실시형태 1]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단자 및 커넥터를,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XYZ 좌표를 설정하고, 적절히 참조한다. 또한, 단자의 도전성 본체부의 축 방향은 Y축 방향에 평행한 방향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커넥터(100)는, 예를 들어 자동차에 장비되는 전자 회로 부품에 이용되는 무방향 커넥터이다. 커넥터(100)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단자를 구비하는 상대방 커넥터(200)에 접속된다. 커넥터(100)는 단자(1)와, 하우징(101)과, 커버(110)를 구비한다. 커버(110)는 하우징(101)에 조립되는 동시에 하우징(101)의 일부를 덮는다.
단자(1)는, 도 2의 (A) 및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Y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의 암단자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단자(1)는 1매의 금속판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렇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단자(1)는 2매 이상의 금속판으로 형성된 복수 피스 타입의 단자라도 좋다. 단자(1)는 도전성 접촉판(10)과, 도전성 본체부(20)와, 연장부(30, 40, 50, 60)와, 랜스(70, 80)와, 코킹부(90)를 구비한다.
도전성 접촉판(10)은 구리, 구리 합금 등으로 이루어지는 탄성과 도전성을 갖는 판재로 형성된 판 스프링 부재이다. 도전성 접촉판(10)은 +Z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아치 형상으로 형성된 아치 부분을 갖는다. 도전성 접촉판(10)은 도전성 본체부(20)에 덮이는 동시에, 도전성 접촉판(10)의 아치 부분이 도전성 본체부(20)로부터 노출된다. 도전성 접촉판(10)의 아치 부분의 +Z측의 면은 상대측 단자인 수단자에 접촉한다.
도전성 본체부(20)는 도전성 접촉판(10)을 지지하는 부재이다. 도전성 본체부(20)는, 도 2의 (B)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저판부(21)와, 천판부(22)와, +X측의 측벽부인 측판부(23)(제 1 벽부)와, -X측의 측벽부이며, 측판부(24)(제 2 벽부)로 이루어지는 각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저판부(21)는 천판부(22)에 대향하는 동시에, 측판부(23)는 측판부(24)에 대향한다. 도전성 본체부(20)의 측판부(23)와 측판부(24) 사이에는, 도전성 접촉판(10)이 배치되어 있다. 도전성 본체부(20)는 구리, 구리 합금 등의 도전성의 소재로 형성되어 있다.
도전성 본체부(20)에는, 측판부(23)의 외벽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23a)가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23a)는 연장부(30)의 -Y측의 단부에 인접한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 1에서는, 돌출부(23a)는 측판부(23)에 형성되고, 측판부(24)에는 형성되어 있지 않다.
연장부(30)(제 1 연장부)는, 도 4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전성 본체부(20)의 +X측 또한 -Y측의 단부(한쪽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연장부(30)는 되접힘 부분(31)과, 중첩 부분(32)을 갖는다.
되접힘 부분(31)은 측판부(23)의 상단(+Z측의 단부)으로부터 연장되며, 도전성 본체부(20)의 외측으로 되접혀 있다. 상세하게는 도 4의 (A) 및 도 4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되접힘 부분(31)은 Y축 방향에 평행한 축선(A1)을 중심으로 되접혀 있다.
중첩 부분(32)은 되접힘 부분(31)의 선단으로부터 연장되고 측판부(23)에 중첩되어 있다. 이 중첩 부분은 측판부(23)에 형성된 돌출부(23a)에 접촉된다.
연장부(40)(제 2 연장부)는, 도 5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전성 본체부(20)의 -X측 또한 -Y측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연장부(40)는, 연장부(30)와 마찬가지로, 되접힘 부분(41)과 중첩 부분(42)을 갖는다.
되접힘 부분(41)은 측판부(24)의 상단(+Z측의 단부)으로부터 연장되고, 도전성 본체부(20)의 외측으로 되접혀 있다. 상세하게는, 도 5의 (A) 및 도 4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되접힘 부분(41)은 Y축 방향에 평행한 축선(A2)을 중심으로 되접혀 있다.
중첩 부분(42)은 되접힘 부분(41)의 선단으로부터 연장되고 측판부(24)에 중첩되어 있다.
연장부(40)와 연장부(30)는, 도 2의 (A)에 도시하는 평면에서 보아, 도전성 본체부(20)의 축 방향에 평행한 축(L)에 대하여 대칭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연장부(50)(타단측의 연장부)는, 도 4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Y축 방향에 있어서, 랜스(70)를 사이에 두고, 연장부(30)의 형성 위치의 반대측에 형성되어 있다. 연장부(50)는 되접힘 부분(51)과, 중첩 부분(52)을 갖는다.
되접힘 부분(51)은 측판부(23)의 상단(+Z측의 단부)으로부터 연장되고, 도전성 본체부(20)의 외측으로 되접혀 있다. 상세하게는, 도 4의 (A) 및 도 4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되접힘 부분(51)은 Y축 방향에 평행한 축선(A1)을 중심으로 되접혀 있다.
중첩 부분(52)은 되접힘 부분(51)의 선단으로부터 연장되고 측판부(23)에 중첩되어 있다.
연장부(60)는, 도 5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Y축 방향에 있어서, 랜스(80)를 사이에 두고, 연장부(40)의 형성 위치의 반대측에 형성되어 있다. 연장부(60)는, 연장부(50)와 마찬가지로, 되접힘 부분(61)과, 중첩 부분(62)을 갖는다.
되접힘 부분(61)은 측판부(24)의 상단(+Z측의 단부)으로부터 연장되고, 도전성 본체부(20)의 외측으로 되접혀 있다. 상세하게는, 도 5의 (A) 및 도 4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되접힘 부분(61)은 Y축 방향에 평행한 축선(A2)을 중심으로 되접혀 있다.
중첩 부분(62)은 되접힘 부분(61)의 선단으로부터 연장되고 측판부(24)에 중첩되어 있다.
연장부(60)와 연장부(50)는, 도 2의 (A)에 도시하는 평면에서 보아, 도전성 본체부(20)의 축 방향에 평행한 축(L)에 대하여 대칭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전성 본체부(20)는, 도 5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장부(30, 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일단측의 연장부 형성 부분(P1)과, 연장부(50, 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타단측의 연장부 형성 부분(P2)을 갖는다. 또한, 도 5의 (B)에 있어서, 일단측의 연장부 형성 부분(P1) 및 타단측의 연장부 형성 부분(P2)에는,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도트를 부기하고 있다. 일단측의 연장부 형성 부분(P1)의 폭(W1)(연장부(30)의 외면으로부터의 연장부(40)의 외면까지의 폭(W1))은 타단측의 연장부 형성 부분(P2)의 폭(W2)(연장부(50)의 외면으로부터의 연장부(60)의 외면까지의 폭(W2))과 동일하다. 단,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폭(W2)은 폭(W1)보다 약간 작아도 좋고, 폭(W1) 보다 약간 커도 좋다.
랜스(70)(제 1 랜스)는, 하우징의 랜스 걸림부에 고정하는 것에 의해, 단자(1)를 빠짐 불가능한 상태로, 하우징에 보지하기 위해 형성되어 있다. 랜스(70)는, 도 4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장부(30)의 중첩 부분(32)으로부터 돌출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랜스(70)는, 중첩 부분(32)측의 단부를 고정단으로 하고, 반대측의 단부를 자유단으로 하는 외팔보 비임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랜스(70)는 돌출되는 방향에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는 접음선 형상의 접음선부(71)를 갖는다. 랜스(70)는 접음선부(71)를 따라서 절곡되어 있다.
랜스(80)(제 2 랜스)는, 하우징의 랜스 걸림부에 고정하는 것에 의해, 단자(1)를 빠짐 불가능한 상태로, 하우징에 보지하기 위해 형성되어 있다. 랜스(80)는, 도 5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장부(40)의 중첩 부분(42)으로부터 돌출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랜스(80)는, 중첩 부분(42)측의 단부를 고정단으로 하고, 반대측의 단부를 자유단으로 하는 외팔보 비임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랜스(80)는 돌출되는 방향에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는 접음선 형상의 접음선부(81)를 갖는다. 랜스(80)는 접음선부(81)를 따라서 절곡되어 있다. 랜스(80)와 랜스(70)는, 도 2의 (A)에 도시하는 평면에서 보아, 축(L)에 대하여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코킹부(90)는, 도 2의 (A) 및 도 2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체 코킹부(91)와 피복 고정부(92)를 구비한다. 도체 코킹부(91)는, 코킹에 의해, 절연 피복선의 심선의 선단부에 압착되고,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피복 고정부(92)는, 코킹에 의해, 절연 피복선의 단부를 가압하여, 인발력으로부터 도체 코킹부(91)와 심선의 접속을 보호한다. 코킹부(90)와 도전성 본체부(2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도체 코킹부(91)에 압착된 심선과 도전성 본체부(20)에 접속된 수단자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단자(1)는, 도 6의 (A) 및 도 6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하우징(101)에 장착된다.
하우징(101)은 절연성의 소재로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101)에는, 단자(1)를 수용하는 단자 수용 공간(102)과, 랜스 걸림부(103, 104)가 형성되어 있다.
도 6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자 수용 공간(102)의 저면(도전성 본체부(20)의 저판부(21)에 대향하는 면)에는, Y축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는 경사면(102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단자 수용 공간(102)에는, 도 6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자 수용 공간(102) 내에서 가장 폭이 좁은 피끼워맞춤 공간(102b)이 형성되어 있다. 피끼워맞춤 공간(102b)은, 그 폭(W3)(X축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이 도전성 본체부(20)의 타단측의 연장부 형성 부분(P2)의 폭(W2)과 동등하다.
랜스 걸림부(103, 104)는, 단자(1)의 랜스(70, 80)가 고정되는 것에 의해, 단자(1)를 빠짐 불가능한 상태로, 하우징(101)에 보지한다.
다음에, 하우징(101)에 단자(1)를 장착할 때의 각 부재의 동작에 대하여,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하우징(101)에 단자(1)를 장착하는 사용자는, 도 6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101)의 단자 수용 공간(102)에 +Y측의 개구로부터 단자(1)를 삽입하면, 단자(1)는, 그 도전성 접촉판(10)의 아치부가 휘면서, 단자 수용 공간(102) 내를 -Y 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단자(1)는, 도 6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랜스(70, 80)가 화살표(R1)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휘면서, 단자 수용 공간(102) 내를 이동한다.
다음에, 단자(1)가 단자 수용 공간(102)을 이동해가면, 단자(1)의 도전성 접촉판(10)이 경사면(102a)에 도달한다. 그리고, 도전성 접촉판(10)은, 경사면(102a)으로 안내되고, 도 7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Z측으로 휘어, 도전성 접촉판(10)의 아치부가 +Z 방향으로 돌출된다. 또한, 단자(1)는, 도 7의 (B)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랜스(70, 80)가 화살표(R2)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탄성 회복되고, 랜스(70, 80)가 랜스 걸림부(103, 104)에 고정된다. 이에 의해, 단자(1)는, 하우징(101)으로부터 +Y 방향으로 빠짐 불가능한 상태로, 하우징(101)에 보지된다. 또한, 도전성 본체부(20)의 타단측의 연장부 형성 부분(P2)이 피끼워맞춤 공간(102b)에 끼워진다. 또한, 도 8에 있어서, 타단측의 연장부 형성 부분(P2)에는,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도트를 부기하고 있다.
다음에, 하우징(101)으로부터 단자(1)를 분리하는 방법에 대하여, 도 9a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하우징(101)으로부터 단자(1)를 분리하는 경우, 도 9a를 참조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사용자는, 전용 지그(J)를 이용하여, 랜스(70, 80)를 화살표(R1)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휘게 한다. 이에 의해, 랜스(70, 80)와 랜스 걸림부(103, 104)의 고정이 해제된다. 다음에, 단자(1)를 +Y 방향으로 인발한다. 이상에 의해, 하우징(101)으로부터의 단자(1)의 분리가 완료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 1에 따른 단자(1)에 의하면, 도 3 및 도 4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랜스(70, 80)는 측판부(23, 24)에 중첩되어 있는 중첩 부분(32, 42)으로부터 돌출된다. 이 때문에, 랜스(70, 80)의 형성에 기인하는 측판부(23, 24)의 강성의 저하가 억제된다. 이에 의해, 단자(1)의 두께(Z축 방향에 있어서의 치수)를 작게 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단자(1)의 강도를 유지하면서, 단자(1)의 저배화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 1에서는, 도전성 본체부(20)에는, 측판부(23)의 외벽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동시에, 중첩 부분(32)에 접촉하는 돌출부(23a)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출부(23a)는, 하우징(101)으로부터 단자(1)를 인발하는 방향의 힘이 가해졌을 때의, 측판부(23)에 대한 중첩 부분(32)의 변형을 규제하는 스토퍼로서 기능한다.
예를 들면, 도전성 본체부(20)에 돌출부(23a)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하우징(101)으로부터 단자(1)를 분리하는 통상의 동작과는 상이한 동작이 작용한 경우, 랜스(70, 80)가 랜스 걸림부(103, 104)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도전성 본체부(20)에 통상의 인발력과는 다른 예기치 못한 힘(F)이 가해지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도 9a의 화살표(A3)로 나타내는 방향(-Y 방향)으로, 측판부(23)에 대하여, 중첩 부분(32)이 변형될 우려가 있다. 이에 반하여, 본 실시형태 1에서는, 도 3 및 도 4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돌출부(23a)가 스토퍼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도전성 본체부(20)에 예기치 못한 힘(F)이 가해졌을 때의, 측판부(23)에 대한 중첩 부분(32)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 1에 따른 단자(1)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장부(50, 60)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연장부(50, 60)를 포함하여 구성된 타단측의 연장부 형성 부분(P2)의 X축 방향에 있어서의 폭(W2)은 하우징(101)의 단자 수용 공간(102)의 피끼워 맞춤 공간(102b)의 X축 방향에 있어서의 폭(W3)과 동등하다(도 6의 (B) 참조). 이 때문에, 단자(1)가 단자 수용 공간(102)에 수용되면, 타단측의 연장부 형성 부분(P2)이 피끼워맞춤 공간(102b)에 끼워맞추는 것에 의해, 단자 수용 공간(102)에 수납된 단자(1)의 흔들거림(wobbling)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단자 수용 공간(102) 내에서 단자(1)가 -X 방향 또는 +X 방향으로 치우치는 것에 의해, 랜스(70, 80)와 랜스 걸림부(103, 104)의 고정이 빠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폭(W2)이 폭(W3)보다 약간 크거나, 약간 작아도 마찬가지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 1에 따른 단자(1)에 있어서는, 도 4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랜스(70, 80)는 그 돌출되는 방향에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는 접음선부(71, 81)를 갖는다. 이 접음선부(71, 81)에 의해, 랜스(70, 80)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전성 본체부(20)에 통상의 인발력과는 상이한 예기치 못한 힘(F)이 가해졌을 때에, 랜스(70, 80)의 자유단의 되돌아감을 억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랜스(70, 80)가 접음선부(71, 81)를 갖지 않은 도 9b에 도시하는 예의 경우, 도전성 본체부(20)에 예기치 못한 힘(F)이 가해지면, 랜스(70)의 자유단이 -Y 방향으로 되돌아가고, 랜스(70)로 되돌아감 부분(72)이 형성될 우려가 있다. 그렇지만, 본 실시형태 1에서는, 랜스(70, 80)가, 접음선부(71, 81)를 갖고 있으므로, 랜스(70, 80)의 자유단의 되돌아감을 억제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하우징(101)에 대한 단자(1)의 보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형태 2]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따른 단자를,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형태 1과의 상위점을 주로 설명한다. 설명한 상위점 이외는, 실시형태 1과 동일한 것으로 한다. 또한,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XYZ 좌표를 설정하고, 적절히 참조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따른 단자(2)는,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전성 접촉판(10)과, 도전성 본체부(20)와, 연장부(30, 40, 50, 60)와, 랜스(70, 80)와, 코킹부(미도시)를 구비한다. 실시형태 2에 따른 단자(2)에서는, 연장부(30, 40)의 되접힘 부분(31, 41)의 되접힘 형상이 상이한 점에서, 실시형태 1에 따른 단자(1)와 상위하다.
연장부(30)(제 1 연장부)는 도전성 본체부(20)의 +X측 또한 -Y측의 단부(한쪽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연장부(30)는 되접힘 부분(31)과, 중첩 부분(32)을 갖는다.
되접힘 부분(31)은 측판부(23)의 선단(-Y측의 단부)으로부터 연장되고, 도전성 본체부(20)의 외측으로 되접혀 있다. 상세하게는, 되접힘 부분(31)은 Y축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평행한 축선(Z축 방향에 평행한 축선)을 중심으로 되접혀 있다.
중첩 부분(32)은 되접힘 부분(31)의 선단으로부터 연장되고 측판부(23)에 중첩되어 있다.
연장부(40)(제 2 연장부)는 도전성 본체부(20)의 -X측 또한 -Y측의 단부(한쪽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연장부(40)는, 연장부(30)와 마찬가지로, 되접힘 부분(41)과, 중첩 부분(42)을 갖는다.
되접힘 부분(41)은 측판부(24)의 선단(-Y측의 단부)으로부터 연장되고, 도전성 본체부(20)의 외측으로 되접혀 있다. 상세하게는, 되접힘 부분(41)은 Y축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평행한 축선(Z축 방향에 평행한 축선)을 중심으로 되접혀 있다.
중첩 부분(42)은 되접힘 부분(41)의 선단으로부터 연장되고 측판부(24)에 중첩되어 있다.
연장부(40)와 연장부(30)는, 도 10b에 도시하는 평면에서 보아, 도전성 본체부(20)의 축 방향에 평행한 축에 대하여 대칭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 2에 따른 단자(2)에 의하면, 랜스(70, 80)는 측판부(23, 24)에 중첩되어 있는 중첩 부분(32, 42)으로부터 돌출된다. 이 때문에, 랜스(70, 80)의 형성에 기인하는 측판부(23, 24)의 강성의 저하가 억제된다. 이에 의해, 단자(2)의 두께(Z축 방향에 있어서의 치수)를 작게 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단자(2)의 강도를 유지하면서, 단자(2)의 저배화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실시형태 1에 따른 단자(1)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실시형태 3]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따른 단자를, 도 11a 및 도 11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형태 2와의 상위점을 주로 설명한다. 설명한 상위점 이외는, 실시형태 2와 동일한 것으로 한다. 또한,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XYZ 좌표를 설정하고, 적절히 참조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따른 단자(3)는,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전성 접촉판(10)과, 도전성 본체부(20)와, 연장부(30)와, 랜스(70)와, 코킹부(미도시)를 구비한다. 실시형태 3에 따른 단자(3)에서는, 연장부(30)의 형성 수, 랜스의 형성수가 상이한 점에서, 실시형태 2에 따른 단자(2)와 상위하다.
연장부(30)(제 1 연장부)는 도전성 본체부(20)의 -Z측 또한 -Y측의 단부(한쪽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연장부(30)는 되접힘 부분(31)과, 중첩 부분(32)을 갖는다.
되접힘 부분(31)은 저판부(21)(제 1 벽부)의 선단(-Y측의 단부)으로부터 연장되고, 도전성 본체부(20)의 외측으로 되접혀 있다. 상세하게는, 되접힘 부분(31)은 Y축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평행한 축선(X축 방향에 평행한 축선)을 중심으로 되접혀 있다.
중첩 부분(32)은 되접힘 부분(31)의 선단으로부터 연장되고 저판부(21)에 중첩되어 있다.
랜스(70)(제 1 랜스)는, 하우징의 랜스 걸림부에 고정하는 것에 의해, 단자(3)를 빠짐 불가능한 상태로, 하우징에 보지하기 위해 형성되어 있다. 랜스(70)는 연장부(30)의 중첩 부분(32)으로부터 돌출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랜스(70)는, 중첩 부분(32)측의 단부를 고정단으로 하고, 반대측의 단부를 자유단으로 하는 외팔보 비임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랜스(70)는 돌출되는 방향에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는 접음선 형상의 접음선부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의 여러 가지의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본 실시형태 1에 있어서는, 돌출부(23a)는 측판부(23)에 형성되고, 측판부(24)에는 형성되어 있지 않다. 그렇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돌출부(23a)는 측판부(23) 및 측판부(24)의 양쪽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광의의 정신과 범위를 일탈하는 일없이, 여러 가지 실시형태 및 변형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범위는, 실시형태가 아닌,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시된다. 그리고, 특허청구범위 내 및 그와 동등한 발명의 의의의 범위 내에서 실시되는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 내라고 간주된다.
1, 2, 3 : 단자, 10 : 도전성 접촉판, 20 : 도전성 본체부, 21 : 저판부, 22 : 천판부, 23 : 측판부(제 1 벽부), 23a : 돌출부, 24 : 측판부(제 2 벽부), 30 : 연장부(제 1 연장부), 31 : 되접힘 부분(제 1 되접힘 부분), 32 : 중첩 부분(제 1 중첩 부분), 40 : 연장부(제 2 연장부), 41 : 되접힘 부분(제 2 되접힘 부분), 42 : 중첩 부분(제 2 중첩 부분), 50 : 연장부(타단측의 연장부), 51 : 되접힘 부분(타단측의 되접힘 부분), 52 : 중첩 부분(타단측의 중첩 부분), 60 : 연장부, 61 : 되접힘 부분, 62 : 중첩 부분, 70 : 랜스(제 1 랜스), 71 : 접음선부, 72 : 되돌아감 부분, 80 : 랜스(제 2 랜스), 81 : 접음선부, 90 : 코킹부, 91 : 도체 코킹부, 92 : 피복 고정부, 100 : 커넥터, 101 : 하우징, 102 : 단자 수용 공간, 102a : 경사면, 102b : 피끼워맞춤 공간, 103, 104 : 랜스 걸림부, 110 : 커버, 200 : 상대방 커넥터, A1, A2 : 축선, J : 지그, L : 축, R1, R2 : 화살표, W1, W2, W3 : 폭, P1 : 일단측의 연장부 형성 부분, P2 : 타단측의 연장부 형성 부분

Claims (11)

  1. 탄성을 갖고, 상대방 단자에 접촉하는 도전성 접촉판과,
    상기 도전성 접촉판을 지지하고, 제 1 벽부를 갖는 통 형상의 도전성 본체부와,
    상기 제 1 벽부의 단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도전성 본체부의 외측으로 되접혀 있는 제 1 되접힘 부분과, 상기 제 1 되접힘 부분의 선단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 1 벽부에 중첩되어 있는 제 1 중첩 부분을 갖는 제 1 연장부와,
    상기 제 1 중첩 부분으로부터 돌출되는 외팔보 비임 형상의 제 1 랜스를 구비하고,
    상기 도전성 본체부에는, 상기 제 1 벽부의 외벽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동시에, 상기 제 1 중첩 부분에 접촉하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단자.
  2. 탄성을 갖고, 상대방 단자에 접촉하는 도전성 접촉판과,
    상기 도전성 접촉판을 지지하고, 제 1 벽부를 갖는 통 형상의 도전성 본체부와,
    상기 제 1 벽부의 단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도전성 본체부의 외측으로 되접혀 있는 제 1 되접힘 부분과, 상기 제 1 되접힘 부분의 선단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 1 벽부에 중첩되어 있는 제 1 중첩 부분을 갖고, 상기 도전성 본체부의 한쪽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제 1 연장부와,
    상기 제 1 중첩 부분으로부터 돌출되는 외팔보 비임 형상의 제 1 랜스와,
    상기 제 1 랜스를 사이에 둔, 상기 도전성 본체부의 다른쪽의 단부측에 형성되어 있는 타단측의 연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타단측의 연장부는, 상기 제 1 벽부의 단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도전성 본체부의 외측으로 되접혀 있는 타단측의 되접힘 부분과, 상기 타단측의 되접힘 부분의 선단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 1 벽부에 중첩되어 있는 타단측의 중첩 부분을 갖는
    단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본체부에는, 상기 제 1 벽부의 외벽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동시에, 상기 제 1 중첩 부분에 접촉하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단자.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본체부는 상기 제 1 벽부에 대향하는 제 2 벽부를 갖고,
    상기 도전성 접촉판은 상기 제 1 벽부와 상기 제 2 벽부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단자.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벽부의 단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도전성 본체부의 외측으로 되접혀 있는 제 2 되접힘 부분과, 상기 제 2 되접힘 부분의 선단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 2 벽부에 중첩되어 있는 제 2 중첩 부분을 갖는 제 2 연장부와,
    상기 제 2 중첩 부분으로부터 돌출되는 외팔보 비임 형상의 제 2 랜스를 구비하는
    단자.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되접힘 부분은 상기 도전성 본체부의 축 방향에 평행한 축선을 중심으로 되접혀 있는
    단자.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되접힘 부분은 상기 도전성 본체부의 축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평행한 축선을 중심으로 되접혀 있는
    단자.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벽부는 상기 도전성 접촉판에 대면하고,
    상기 제 1 되접힘 부분은 상기 도전성 본체부의 축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평행한 축선을 중심으로 되접혀 있는
    단자.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랜스는 돌출되는 방향에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는 접음선 형상의 접음선부를 갖는
    단자.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접촉판은, 상기 도전성 본체부에 덮이는 동시에, 상기 도전성 접촉판의 아치 부분이, 도전성 본체부로부터 노출되는
    단자.
  1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단자와,
    상기 제 1 랜스에 결합하는 결합부가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을 구비하는
    커넥터.
KR1020170053623A 2016-04-27 2017-04-26 단자 및 커넥터 KR1019111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089095 2016-04-27
JP2016089095A JP6341225B2 (ja) 2016-04-27 2016-04-27 端子及び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2672A KR20170122672A (ko) 2017-11-06
KR101911174B1 true KR101911174B1 (ko) 2018-12-19

Family

ID=58632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3623A KR101911174B1 (ko) 2016-04-27 2017-04-26 단자 및 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905955B2 (ko)
EP (1) EP3240115B1 (ko)
JP (1) JP6341225B2 (ko)
KR (1) KR101911174B1 (ko)
CN (1) CN10742532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05953B1 (en) 2016-09-30 2018-02-27 Slobodan Pavlovic High power spring-actuated electrical connector
US11171446B2 (en) * 2017-03-22 2021-11-09 Hirschmann Automotive Gmbh Contact for plug connector
CN107968268A (zh) * 2018-01-04 2018-04-27 镇江市丹徒区飞翔电子有限公司 一种电子接插件
CH716093B1 (de) 2018-02-26 2023-12-29 Royal Prec Products Llc Federbetätigter elektrischer Steckverbinder für Hochleistungsanwendungen.
WO2019237009A1 (en) 2018-06-07 2019-12-12 Royal Precision Products, Llc Electrical connector system with internal spring component
US11721942B2 (en) 2019-09-09 2023-08-08 Eaton Intelligent Power Limited Connector system for a component in a power management system in a motor vehicle
DE112020003846T5 (de) 2019-09-09 2022-05-12 Royal Precision Products Llc Verbinderaufzeichnungssystem mit lesbaren und aufzeichenbarenkennzeichnungen
CN116210128A (zh) 2020-07-29 2023-06-02 伊顿智能动力有限公司 包括联锁系统的连接器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81628A (en) 1987-10-22 1988-11-01 General Motors Corporation Female electrical terminal
JP2002124335A (ja) * 2000-10-18 2002-04-26 Sumitomo Wiring Syst Ltd 端子金具
JP2004039534A (ja) * 2002-07-05 2004-02-05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128156C (ko) * 1959-06-04
US4209220A (en) * 1978-06-05 1980-06-24 General Motors Corporation Wipe-in terminal for printed circuits
US4713026A (en) * 1986-10-08 1987-12-15 Interlock Corporation Tab receptacle terminal having improved electrical and mechanical features
GB9301541D0 (en) * 1993-01-27 1993-03-17 Amp Gmbh An electrical terminal with means to avoid locking lance damage and entanglement
JP2772323B2 (ja) * 1993-04-28 1998-07-02 矢崎総業株式会社 シールドコネクタ用端子およびシールドコネクタ
JP3319292B2 (ja) * 1996-07-26 2002-08-26 住友電装株式会社 雌側端子金具
JP3225863B2 (ja) * 1996-12-03 2001-11-05 住友電装株式会社 端子金具
JPH10247543A (ja) 1997-03-03 1998-09-14 Sumitomo Wiring Syst Ltd ターミナル
JP3494857B2 (ja) * 1997-08-08 2004-02-09 矢崎総業株式会社 接続端子
JP3656547B2 (ja) * 2000-12-21 2005-06-08 住友電装株式会社 端子金具
JP3745634B2 (ja) 2001-03-15 2006-02-15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金具
US6905376B2 (en) * 2003-04-15 2005-06-14 J.S.T. Mfg. Co., Ltd. Terminal
JP4099219B2 (ja) * 2003-04-15 2008-06-11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端子
JP4013151B2 (ja) * 2004-04-13 2007-11-28 住友電装株式会社 雌端子金具
US7175487B2 (en) 2004-06-28 2007-02-13 Delphi Technologies, Inc. Electrical terminal element
US7537497B2 (en) * 2005-09-26 2009-05-26 Fci Americas Technology, Inc. Multi-piece electrical receptacle terminal
US7371133B1 (en) * 2007-01-18 2008-05-13 Delphi Technologies, Inc. Electrical socket terminal having a contact stabilizer
DE102007040937B3 (de) * 2007-08-30 2009-01-15 Tyco Electronics Amp Gmbh Elektrischer Kontakt
JP4651129B2 (ja) * 2008-12-26 2011-03-1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ソケットコンタクト及びコネクタ
DE102012209423A1 (de) 2012-06-04 2013-12-05 Robert Bosch Gmbh Kontakt mit widerstandsfähiger Primärlanze zum Verriegeln in einer Kontaktkammer eines Steckverbinders
EP2690716B1 (de) * 2012-07-24 2018-05-02 Delphi Technologies, Inc. Elektrisches Anschlusselement
JP6141612B2 (ja) * 2012-09-21 2017-06-07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EP2797173B8 (en) * 2013-04-26 2019-01-09 Aptiv Technologies Limited Electrical terminal with a locking lance and manufacturing process thereof
DE102013223570B4 (de) * 2013-11-19 2021-06-24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Stiftkontakt mit einem als Stanzbiegeteil gefertigten Kontaktkörper und einem massiven Kontaktstif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81628A (en) 1987-10-22 1988-11-01 General Motors Corporation Female electrical terminal
JP2002124335A (ja) * 2000-10-18 2002-04-26 Sumitomo Wiring Syst Ltd 端子金具
JP2004039534A (ja) * 2002-07-05 2004-02-05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341225B2 (ja) 2018-06-13
US20170317441A1 (en) 2017-11-02
JP2017199541A (ja) 2017-11-02
US9905955B2 (en) 2018-02-27
CN107425329A (zh) 2017-12-01
EP3240115B1 (en) 2019-01-09
CN107425329B (zh) 2019-05-28
EP3240115A1 (en) 2017-11-01
KR20170122672A (ko) 2017-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1174B1 (ko) 단자 및 커넥터
US9039429B2 (en) Wire-to-board connector
JP5956071B2 (ja) 接続端子
US9583869B2 (en)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JP6757572B2 (ja) ロック機構を有するシェルを備えた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装置
US9306301B2 (en) Wire-to-board connector
US10741974B2 (en) Electrical connector
JP7395112B2 (ja) 雌端子
US11575224B2 (en) Terminal module
WO2015159558A1 (ja) 雌型コンタクト及び電源用コネクタ
US9136660B2 (en) Female terminal
CN116569421A (zh) 端子单元
US11018445B2 (en) Terminal with electrically conductive tubular shaped body portion
JP5201253B2 (ja) コネクタ端子
US20160294100A1 (en)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JP2014209410A (ja) 圧接コネクタ及びこれに用いられるハウジング
JP5711568B2 (ja) 突き当て端子
JP5650487B2 (ja) コネクタ
JP6350072B2 (ja) 電気コネクタ
JP2015185243A (ja) 音叉端子
JP7326928B2 (ja) 端子及びコネクタ
JP4675768B2 (ja) フラットケーブル用端子
JP2014078345A (ja) コネクタハウジング内における雌端子金具の位置決め構造
CN116802944A (zh) 端子单元、阴端子、阳端子
JP2013062044A (ja) 接続端子及びこの接続端子を備える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