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0647B1 - 전원 회로 차단 장치 - Google Patents

전원 회로 차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0647B1
KR101910647B1 KR1020170076674A KR20170076674A KR101910647B1 KR 101910647 B1 KR101910647 B1 KR 101910647B1 KR 1020170076674 A KR1020170076674 A KR 1020170076674A KR 20170076674 A KR20170076674 A KR 20170076674A KR 101910647 B1 KR101910647 B1 KR 1019106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lever
plug
connector
sli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66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42919A (ko
Inventor
유야 타바타
유이치로 나카무라
Original Assignee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1429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429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06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06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1/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in the form of a pivotable member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g. by a hand
    • H01H21/02Details
    • H01H21/18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21/22Operating parts, e.g. hand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1/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in the form of a pivotable member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g. by a hand
    • H01H21/02Details
    • H01H21/12Bases; Stationary contacts mounted there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 H01R13/62938Pivoting lever comprising own camm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 H01R13/62955Pivoting lever comprising supplementary/additional lock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 H01R13/62966Comprising two pivoting le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01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the switch being actuated by an accessory, e.g. cover, locking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07/00Connections
    • H01H2207/022Plug

Abstract

전원 회로 차단 장치는 리셉터클(100)과 플러그(200)를 포함한다. 리셉터클(100)은 전원 단자(120)와 신호 단자(170)를 포함한다. 플러그(200)는 주단자(70)와 부단자(80)를 포함한다. 플러그(200)는 플러그 하우징(30)과, 플러그 하우징(30)에 부착되어 있는 레버(40)와, 플러그 하우징(30)에 부착되어 있는 로킹 슬라이더(50)와, 로킹 슬라이더(50)에 지지되어 있는 서브 커넥터(60)를 포함한다. 플러그 하우징(30)은 주단자(70)를 유지한다. 서브 커넥터(60)는 부단자(80)를 유지한다. 로킹 슬라이더(50)가 슬라이드하면, 서브 커넥터(60)가 움직인다. 레버(40)가 닫힘 위치에 위치해 있을 때, 주단자(70)는 전원 단자(120)와 접속해 있다. 로킹 슬라이더(50)가 접속 위치에 위치해 있을 때, 부단자(80)는 신호 단자(170)와 접속해 있다.

Description

전원 회로 차단 장치{POWER­CIRCUIT BREAKING DEVICE}
본 발명은 전원 회로를 차단하는 전원 회로 차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원 회로 차단 장치는, 예를 들면, 전기계통의 메인터넌스 작업에 이용된다. 도 1은 이 종류의 전원 회로 차단 장치의 종래예로서, 특허문헌(일본 특개 2015-50116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커넥터 장치를 나타내고 있다. 이 커넥터 장치는 전원 시스템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중계한다.
커넥터 장치는 제1 커넥터(10)와 제2 커넥터(20)를 포함한다. 커넥터 장치는 제1 커넥터(10)를 제2 커넥터(20)에 끼워 넣을 수도 있고, 제2 커넥터(20)로부터 제1 커넥터(10)를 뺄 수도 있는 구성을 가진다. 도 2는 제1 커넥터(10)를 구성하는 각 부를 나타내고 있다. 제1 커넥터(10)는 하우징(11)과, 주단자(전원 단자)(12)와, 제1 조작 부재(레버)(13)와, 제2 조작 부재(슬라이더)(14)와, 서브 커넥터(15)와, 부단자(검지 단자)(16)를 포함한다.
도 3은 제1 커넥터(10)가 제2 커넥터(20)에 꽂아넣어지고 또한 제2 조작 부재(14)가 제2 초기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4는 제1 커넥터(10)가 제2 커넥터(20)에 꽂아 넣어지고 또한 제2 조작 부재(14)가 제2 작동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5는 도 4에 나타내는 상태의 커넥터 장치의 단면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이하, 이 커넥터 장치의 개요를 설명한다.
제2 커넥터(20)는 하우징(21)과, 2개의 주단자(22)와, 서브 커넥터(23)와, 2개의 부단자(24)를 포함한다(도 5 참조). 2개의 부단자(24)는 각각 서브 커넥터(23)에 의해 유지되어 있다. 서브 커넥터(23)는 하우징(21)에 의해 유지되어 있다. 2개의 주단자(22)는 각각 하우징(21)의 유지부(21a)에 삽입되어 있고, 유지부(21a)에 의해 유지되어 있다.
제1 커넥터(10)의 주단자(12)는 하우징(11)에 삽입되어 있고, 하우징(11)에 의해 유지되어 있다. 제1 조작 부재(13)는 하우징(11)에 부착되어 있다. 하우징(11)의 지지축(11a)은 제1 조작 부재(13)의 지지점부(13a)에 삽입되어 있다. 그러므로, 제1 조작 부재(13)는 지지점부(13a)를 피벗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다. 제1 조작 부재(13)는, 이 회전에 의해, 제1 초기 위치(도 1에 있어서의 위치)와 제1 작동 위치(도 3에 있어서의 위치) 사이를 이동한다.
제2 조작 부재(14)의 슬라이드 돌기(14a)는 제1 조작 부재(13)의 슬라이드 홈(13b)에 삽입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2 조작 부재(14)는 제1 조작 부재(13)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그러므로, 제2 조작 부재(14)는 제1 조작 부재(13)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2 조작 부재(14)가 제1 조작 부재(13)에 대해 상대적으로 슬라이드함으로써, 제2 조작 부재(14)는 제2 초기 위치와 제2 작동 위치 사이를 이동한다.
부단자(16)는 서브 커넥터(15)의 유지부(15a)에 유지되어 있다. 서브 커넥터(15)는 하우징(11)의 하방으로부터 하우징(11)에 삽입되어 있고, 하우징(11)의 수용부(11b)에 수용되어 있다. 하우징(11) 내에서 제1 위치(상방 위치)와 제2 위치(하방 위치)의 각각에 서브 커넥터(15)가 위치할 수 있는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서브 커넥터(15)는 하우징(11)에 지지되어 있다.
제1 커넥터(10)는 이하와 같이 제2 커넥터(20)에 부착된다.
하우징(11)의 하단부가 하우징(21)에 삽입된다. 제1 조작 부재(13)가 제1 초기 위치에 위치해 있을 때, 하우징(21)의 원기둥 형상의 캠 돌기부(도 1에서는 숨겨져서 보이지 않음)는 제1 조작 부재(13)의 캠 홈부(13c) 내에 위치한다.
회전 조작에 의해, 제1 조작 부재(13)가 제1 초기 위치로부터 제1 작동 위치(도 3에 있어서의 위치)로 이동한다. 이때, 캠 홈부(13c) 내를 캠 돌기부가 이동하고, 이것에 의해 하우징(11)은 하방으로(즉, 제2 커넥터(20)를 향하여) 이동하고, 주단자(12)가 주단자(22)와 접속한다. 주단자(12)가 주단자(22)와 접속하면, 전원 회로(도시 생략)가 형성된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조작 부재(14)가 제2 초기 위치에 위치해 있을 때, 서브 커넥터(15)의 캠 돌기부(15b)는 제2 조작 부재(14)의 캠 홈부(14b) 내의 전측(도 2의 지면 상측)의 단부에 위치해 있다.
슬라이드 조작에 의해, 제2 조작 부재(14)는 제2 초기 위치(도 3에 있어서의 위치)로부터 제2 작동 위치(도 4에 있어서의 위치)로 이동한다. 캠 돌기부(15b)는 캠 홈부(14b) 내를 이동하고, 이것에 의해 서브 커넥터(15)는 하방을 향하여(즉, 제2 커넥터(20)를 향하여) 이동한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서브 커넥터(15)의 이동에 의해, 부단자(16)는 상대측 부단자(24)와 접속한다. 이 접속에 의해, 전원 회로(도시 생략)의 스위치가 닫히고, 통전이 개시된다.
제2 커넥터(20)에 끼워 넣어진 제1 커넥터(10)는, 이하와 같이, 제2 커넥터(20)로부터 빼내진다.
제2 조작 부재(14)의 로킹 레버(14c)를 하방을 향하여(즉, 제2 커넥터(20)를 향하여) 누르면 로킹이 해제된다. 이 해제에 의해, 제2 조작 부재(14)는 제2 작동 위치로부터 제2 초기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서브 커넥터(15)가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 이동하고, 부단자(16)와 상대측 부단자(24)와의 접속이 해제되어, 통전이 정지한다.
회전 조작에 의해 제1 조작 부재(13)가 제1 초기 위치로 이동한다. 하우징(11)은 상방을 향하여(즉, 제2 커넥터(20)로부터 벗어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이것에 의해 주단자(12)가 상방을 향하여(즉, 제2 커넥터(20)로부터 벗어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주단자(12)와 상대측 주단자(22)와의 접속이 해제되어, 전원 회로가 차단된다.
이와 같이, 이 예에서는, 제1 조작 부재(13)의 조작에 의해 주단자(12)와 주단자(22)의 접속 및 이 접속의 해제가 행해지고, 제2 조작 부재(14)의 조작에 의해 부단자(16)와 부단자(24)의 접속 및 이 접속의 해제가 행해진다. 즉 주단자(12)를 유지하는 하우징(11)을 조작하기 위한 제1 조작 부재(13)와, 부단자(16)를 유지하는 서브 커넥터(15)를 조작하기 위한 제2 조작 부재(14)가 상이하다. 이 때문에, 통전의 정지와 전원 회로의 차단을 동시에 행할 수 없다. 따라서, 부단자(16)와 부단자(24)의 접속 해제로부터 주단자(12)와 주단자(22)의 접속 해제까지의 사이에 충분한 시간이 확보된다.
상기와 같은 전원 회로 차단 장치(커넥터 장치)에 의하면, 통전 상태에 있어서의 전원 회로의 차단을 피할 수 있어, 통전 정지로부터 전원 회로의 차단까지 방전 시간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대용량의 전원을 사용하는 전기 계통에 전원회로 차단 장치(커넥터 장치)를 설치하면, 메인터넌스 작업 등을 행하는 경우의 전원 회로 차단시에 단자 간의 아크 방전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어, 메인터넌스 작업을 행하는 작업자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그런데, 도 1∼5에 나타내는 구성을 갖는 전원회로 차단 장치에서는, 슬라이드 조작되는 제2 조작 부재(슬라이더)(14)는 유저에 의해 조작되는 제1 조작 부재(레버)(13)에 부착되어 있다. 지지점부(13a)에 지지축(11a)이 삽입되어 있는 구성에 의해 제1 조작 부재(13)의 틸트가 가능하다. 따라서, 제1 조작 부재(13)가 느슨해지는 것을 피할 수 없다. 제1 조작 부재(13)의 느슨해짐에 의해, 제2 조작 부재(14)의 위치 정밀도의 악화가 생길 가능성이 있다.
제2 조작 부재(14)의 위치 정밀도의 악화는 제2 조작 부재(14)에 접속하는 서브 커넥터(15)의 위치 정밀도의 악화를 초래한다. 그러므로, 서브 커넥터(15)에 유지되어 있는 부단자(16)의 부단자(24)에 대한 위치맞춤 정밀도가 악화되어, 서브 커넥터(15)에 유지되어 있는 부단자(16)가 부단자(24)와 양호하게 접속되지 않는 사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를 감안하여, 일방의 커넥터가 유지하는 부단자와 타방의 커넥터가 유지하는 부단자(신호 단자)의 접속시의 위치맞춤 정밀도가 대폭 향상되는 전원 회로 차단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원 회로 차단 장치는 리셉터클과 플러그를 포함한다. 리셉터클은 리셉터클 하우징 내에 한 쌍의 전원 단자와, 한 쌍의 신호 단자를 포함한다. 플러그는 플러그 하우징과, 주단자와, 부단자와, 레버와, 로킹 슬라이더와, 서브 커넥터를 포함한다. 레버는 플러그 하우징에 부착되어 있다. 레버는 열림 위치와 닫힘 위치 사이에서, 플러그 하우징을 향하는 방향으로, 그리고 플러그 하우징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틸트할 수 있다. 로킹 슬라이더는 플러그 하우징에 부착되어 있다. 로킹 슬라이더는, 레버가 닫힘 위치에 위치해 있을 때, 비접속 위치와 접속 위치 사이에서, 플러그 하우징을 따라 슬라이드할 수 있다. 서브 커넥터는, 로킹 슬라이더에 지지된 상태에서, 플러그 하우징 내에 수용되어 있다. 서브 커넥터는 플러그 하우징 내에서 이동할 수 있다. 주단자는 플러그 하우징에 유지되어 있다. 부단자는 서브 커넥터에 유지되어 있다. 레버가 열림 위치에 위치해 있을 때, 플러그를 리셉터클에 삽입할 수 있고, 그리고 플러그를 리셉터클로부터 빼낼 수 있다. 플러그를 리셉터클에 삽입한 상태에서, 레버가 플러그 하우징을 향하는 방향으로 틸트하면, 플러그는 플러그 하우징에 들어간다. 로킹 슬라이더는, 레버가 닫힘 위치에 위치하지 않을 때, 비접속 위치에 위치한다. 로킹 슬라이더가 슬라이드하면, 서브 커넥터가 이동한다. 플러그가 리셉터클에 삽입되어 있고 또한 레버가 닫힘 위치에 위치해 있을 때, 주단자는 한 쌍의 전원 단자와 접속하고 있다. 레버가 닫힘 위치에 위치해 있고 또한 로킹 슬라이더가 접속 위치에 위치해 있을 때, 부단자는 한 쌍의 신호 단자와 접속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서브 커넥터를 이동시키는 로킹 슬라이더가 틸트 조작되는 레버가 아니라, 플러그 하우징에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로킹 슬라이더는 레버의 느슨해짐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이 때문에, 서브 커넥터에 유지되어 있는 부단자와 리셉터클에 부착되어 있는 한 쌍의 신호 단자와의 위치맞춤 정밀도가 향상된다.
도 1은 전원 회로 차단 장치의 종래예(커넥터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커넥터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하는 전원 회로 차단 장치에 있어서, 일방의 커넥터가 타방의 커넥터에 끼워 넣어져 있고, 제1 조작 부재가 제1 작동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제1 조작 부재가 제1 작동 위치에 있고 또한 제2 조작 부재가 제2 작동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하는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전원 회로 차단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하는 플러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하는 리셉터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a는 도 7에 도시하는 플러그 하우징의 정면도이다.
도 9b는 플러그 하우징의 저면도이다.
도 9c는 플러그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9d는 도 9b의 E-E선 단면도이다.
도 10a는 도 7에 도시하는 레버의 정면도이다.
도 10b는 레버의 저면도이다.
도 10c는 레버의 사시도이다.
도 10d는 도 10b의 E-E선 단면도이다.
도 11a는 도 7에 도시하는 로킹 슬라이더의 정면도이다.
도 11b는 로킹 슬라이더의 좌측면도이다.
도 11c는 로킹 슬라이더의 평면도이다.
도 11d는 로킹 슬라이더의 사시도이다.
도 11e는 도 11c의 F-F선 단면도이다.
도 12a는 도 7에 도시하는 서브 커넥터의 정면도이다.
도 12b는 서브 커넥터의 저면도이다.
도 12c는 서브 커넥터의 좌측면도이다.
도 12d는 서브 커넥터의 우측면도이다.
도 12e는 서브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12f는 도 12b의 G-G선 단면도이다.
도 13a는 도 8에 도시하는 리셉터클 하우징의 정면도이다.
도 13b는 리셉터클 하우징의 저면도이다.
도 13c는 도 13b의 E-E선 단면도이다.
도 13d는 도 13B의 F-F선 단면도이다.
도 14a는 플러그가 리셉터클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b는 플러그가 리셉터클에 삽입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5a는 도 14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레버가 틸트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b는 레버가 틸트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5c는 도 15b의 D-D선 단면도이다.
도 16a는 레버가 닫힘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b는 도 16a의 단면도이다.
도 16c는 도 16a의 단면도이다.
도 17a는 레버가 닫힘 위치에 위치해 있고 또한 로킹 슬라이더가 접속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b는 도 17a의 단면도이다.
도 17c는 도 17a의 단면도이다.
도 18a는 레버를 누르는 힘이 해제되어 레버가 부상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8b는 도 18a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따른 전원 회로 차단 장치를 나타내고 있다. 전원 회로 차단 장치는 리셉터클(100)과, 플러그(200)를 포함한다. 전원 회로 차단 장치는 플러그(200)를 리셉터클(100)에 삽입할 수도 있고, 리셉터클(100)로부터 플러그(200)를 빼낼 수도 있는 구성을 갖는다. 도 7은 플러그(200)를 구성하는 각 부를 나타내고 있다. 도 8은 리셉터클(100)을 구성하는 각 부를 나타내고 있다.
플러그(200)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러그 하우징(30)과, 레버(40)와, 로킹 슬라이더(50)와, 서브 커넥터(60)와, 주단자(70)와, 부단자(80)를 포함한다. 리셉터클(100)은,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하우징(110)과, 한 쌍의 전원 단자(120)와, 한 쌍의 신호 단자를 유지하는 커넥터(130)와, 2개의 너트(140)와, 2개의 칼라(collar)(150)를 포함한다. 도 9∼13은, 각각, 플러그 하우징(30), 레버(40), 로킹 슬라이더(locking slider)(50), 서브 커넥터(60) 및 리셉터클 하우징(110)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9∼13에 도시되는 각 부품은,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예를 들면, 수지로 형성된다. 또한, 도 8 중, 부호 160은 커넥터(130)로부터 끌어 내져 있는 리드선을 나타낸다. 리드선(160)은 한 쌍의 신호 단자(170)와 접속된다.
우선, 플러그(200)의 각 부의 구성을 설명한다.
플러그 하우징(30)은,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각통부(角筒部)(31)와 제2 각통부(32)를 포함한다. 제1 각통부(31)와 제2 각통부(32)는 각각 중공(中空) 구조를 갖는다. 제1 각통부(31)와 제2 각통부(32)의 각 저면은 개방되어 있다. 제1 각통부(31)의 상면부(31a)의 형상은 가늘고 긴 대략 장방형이다. 제2 각통부(32)가 제1 각통부(31)의 단변에 인접해 있다. 제2 각통부(32)의 상면부(32a)는 제1 각통부(31)의 상면부(31a)보다 낮다. 제2 각통부(32)의 저면부(32b)는 제1 각통부(31)의 저면부(31b)보다 하방에 위치한다.
제1 각통부(31)의 폭 방향(상면부(31a)의 단변 방향)에 위치하는 양쪽 측벽(31c, 31d)의 각각에 폭 방향을 따라 외측을 향해 돌출하는 축(31e)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양쪽 측벽(31c, 31d)의 각각에 제1 각통부(31)의 높이 방향으로 뻗는 슬릿(31f)이 형성되어 있다. 제1 각통부(31)의 상면부(31a)의 내면(31g)에, 상면부(31a)의 장변 방향으로 뻗는 홈(31h)이 형성되어 있다. 홈(31h)의 연신 방향의 중앙에 홈(31h)을 분단하는 돌기부(31i)가 형성되어 있다. 홈(31h)의 연신 방향의 중앙 부분의 근방에 홈(31h)을 사이에 끼우는 3세트의 리브(rib)(31k)가 홈(31h)의 폭 방향의 양측에 형성되어 있다. 각 리브(31k)는 제1 각통부(31)의 저면부(31b)를 향하여 돌출해 있다. 3세트의 리브(31k) 중 중앙에 위치하는 리브(31k)의 높이는 다른 리브(31k)의 높이보다도 높다. 홈(31h)의 연신 방향의 양단의 각각에 스테이플러침 형상의 유지부(31m)가 형성되어 있다. 유지부(31m)의 양단은 내면(31g) 위에 위치한다. 유지부(31m)는 저면부(31b)를 향해 서 있다.
제1 각통부(31)의 측벽(31c, 31d)과 평행한 제2 각통부(32)의 측벽(32c, 32d)에 제2 각통부(32)의 높이 방향으로 뻗는 슬릿(32e)이 형성되어 있다. 슬릿(32e)의 하단은 제2 각통부(32)의 저면부(32b)에 이르고 있다. 슬릿(32e)의 하단은 개방되어 있다. 제2 각통부(32)의 나머지 2개의 측벽(32f, 32g)의 내면의 각각에 돌기(32h, 32i)가 형성되어 있다. 돌기(32h)는 제2 각통부(32)의 하단에 위치해 있다. 돌기(32i)는 제2 각통부(32)의 상단측에 위치해 있다. 또한 제2 각통부(32)의 측벽(32c, 32d)의 상단에 폭 방향을 따라 외측을 향해 돌출하는 레일(32k)이 형성되어 있다. 레일(32k)은 측벽(32f)으로부터 측벽(32g)에 이르는 길이를 갖는다.
제2 각통부(32)의 외측에 외측 프레임부(33)가 형성되어 있다. 외측 프레임부(33)는 측벽(32c, 32d)과 평행한 한 쌍의 판부(33a, 33b)를 갖는다. 한 쌍의 판부(33a, 33b)는, 제2 각통부(32)의 측벽(32c, 32d)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두고, 측벽(32c, 32d)의 외측에 위치해 있다. 판부(33a, 33b)의 각각의 하단은 지지부(33c, 33d)에 의해 제2 각통부(32)의 측벽(32c, 32d)에 연결되어 있다.
판부(33a, 33b)의 상단은 제1 각통부(31)의 상면부(31a)보다 상방에 위치한다. 판부(33a, 33b)의 상단측에 판부(33a, 33b)를 연결하는 연결부(33e)가 형성되어 있다. 연결부(33e)의 연결 방향의 중앙에 로킹부(33f)가 형성되어 있다. 로킹부(33f)와 제1 각통부(31)의 상면부(31a) 사이에 창(33g)이 구성되어 있다.
레버(40)는 도 10에 도시하는 형상을 갖는다. 조작부(41)의 형상은 프레임 형상이다. 조작부(41)의 프레임의 길이 방향의 일단측에 한 쌍의 지지부(42)가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지지부(42)의 각각의 형상은 판 형상이다. 한 쌍의 지지부(42)는 서로 대향하고 있다. 한 쌍의 지지부(42)는 조작부(41)의 길이 방향으로 뻗어 있다. 한 쌍의 지지부(42)의 양쪽 외측면(42a)의 간격은 조작부(41)의 폭보다 작다. 양쪽 외측면(42a)의 각각의 일부에 연장부(43)가 위치해 있다. 2개의 연장부(43)는 각각 조작부(41)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측벽(41a, 41b)의 연장 부분이다.
지지부(42)의 각각에 관통구멍(42b)이 형성되어 있다. 외측면(42a)의 각각에 대략 원호 형상의 캠 홈(42c)이 형성되어 있다. 캠 홈(42c)의 각각의 일단은 지지부(42)의 선단(단, 조작부(41) 전방 벽(41k)으로부터 먼 쪽의 선단)에 이르고 있다. 또한, 지지부(42)의 각각에 캔틸레버 형상의 위치 결정편(片)(42d)이 형성되어 있다. 각 위치 결정편(42d)은 지지부(42)에 홈을 만듦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각 위치 결정편(42d)의 자유단에 내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돌기(42e)가 형성되어 있다.
조작부(41)의 측벽(41a, 41b)의 위에 위치하고 또한 프레임 모양의 형상을 갖는 상판부(41c)의 상면에 한 쌍의 돌기부(41d)가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돌기부(41d)는 각각 돌출해 있다. 상판부(41c)의 내면에 기둥 형상의 한 쌍의 로킹부(41e)가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로킹부(41e)는 각각 돌출해 있다. 한 쌍의 돌기부(41d) 및 한 쌍의 로킹부(41e)는 조작부(41)의 선단측(지지부(42)가 위치하는 측과 반대측)에, 또한, 조작부(41)의 폭 방향의 양측에 형성되어 있다.
조작부(41)에 돌기(41f)와 한 쌍의 규제편(41g)이 형성되어 있다. 돌기(41f)는 조작부(41)의 기단측(지지부(42)가 위치하는 측)에, 또한, L자판부(41h)의 선단에 형성되어 있다. L자판부(41h)는 단면 L자 모양의 형상을 갖는다. L자판부(41h)는 상판부(41c)의 내면으로부터 돌출해 있다. 돌기(41f)는, 조작부(41)의 프레임 내에 있어서, 조작부(41)의 폭 방향의 중앙에 위치해 있다. 돌기(41f)는 조작부(41)의 저면(41i)을 향하여 돌출해 있다. 규제편(41g)의 일방은 조작부(41)의 선단측의 저면(41i)에 위치해 있다. 규제편(41g)의 일방은 조작부(41) 전방 벽(41k)과 측벽(41a)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규제편(41g)의 타방은 조작부(41)의 선단측의 저면(41i)에 위치해 있다. 규제편(41g)의 타방은 전방 벽(41k)과 측벽(41b)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각 규제편(41g)은 조작부(41)의 저면(41i)을 따른 판 형상을 갖는다.
로킹 슬라이더(50)는,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측판부(51)와, 지지판부(52)와, 가드부(53)와, 연결판부(54)와, 연결판부(54)로부터 뻗어 있는 제1 로킹편(55)과, 버튼(57)을 포함한다. 한 쌍의 측판부(51)는 서로 대향하고 있다. 지지판부(52)는 측판부(51)의 각각의 상단에 위치해 있다. 지지판부(52)는 내측을 향하여 돌출해 있다. 가드부(53)는, 각 지지판부(52)의 일단측(후단측)에서, 각 지지판부(52) 위에 형성되어 있다. 가드부(53)는 2개의 지지판부(52)에 걸쳐 있다. 연결판부(54)는 각 지지판부(52)의 타단측(전단측)을 연결하고 있다. 버튼(57)은 한 쌍의 제2 로킹편(56)을 통하여 한 쌍의 측판부(51)에 지지되어 있다.
측판부(51)의 각각에 캠 홈(58)이 형성되어 있다. 캠 홈(58)은 전방 수평부(58a)와, 경사부(58b)와, 후방 수평부(58c)를 포함한다. 경사부(58b)는 전방 수평부(58a)의 후단으로부터 상방(지지판부(52)측)을 향하여 비스듬히 뻗어 있다. 후방 수평부(58c)는 경사부(58b)의 상단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뻗어 있다. 캠 홈(58)은 측판부(51)를 관통하고 있다. 전방 수평부(58a)의 연장 상에 위치하는 각 측판부(51)의 내측면에 측판부(51)의 전단면에 이르는 오목부(51a)가 형성되어 있다.
측판부(51)의 각각의 상단측의 외측면에 단차부(51b)가 형성되어 있다. 단차부(51b)의 두께는 대응하는 측판부(51)의 두께보다도 크다. 단차부(51b)에 전후 방향으로 뻗는 홈(51c)이 형성되어 있다. 홈(51c)의 후단은 측판부(51)의 후단면에 이르고 있다. 홈(51c)의 후단은 개방되어 있다. 또한 측판부(51)의 상단측의 내측면에 측판부(51)의 전단면으로부터 후단면까지 전후 방향으로 뻗는 가이드홈(51d)이 형성되어 있다.
각 제2 로킹편(56)은 단차부(51b)의 전단측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고, 상방을 향하여 구부러지고, 또한 후방을 향하여 되돌려 구부려져 있다. 한 쌍의 제2 로킹편(56)의 선단측(자유단측)에 한 쌍의 제2 로킹편(56)을 연결하는 버튼(57)이 형성되어 있다. 버튼(57)의 양측에 위치하는 각 제2 로킹편(56)의 자유단에 한 쌍의 걸림턱(56a)이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걸림턱(56a)은 상방을 향하여 돌출해 있다. 버튼(57)에 후방을 향하여 뻗어 있는 연장부(57a)가 형성되어 있다. 연장부(57a)는 스테이플러침 형상의 가드부(53)의 내측에 삽입되어 있다.
제1 로킹편(55)은 연결판부(54)의 후단면으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뻗고, 되돌려 구부려지고, 또한 전방으로 뻗어 있다. 제1 로킹편(55)은 버튼(57)의 하방에 위치해 있다. 제1 로킹편(55)의 자유단은 연결판부(54) 위에 위치하고, 또한, 버튼(57)의 앞에 위치해 있다. 제1 로킹편(55)의 자유단에 걸림턱(55a)이 상방을 향하여 형성되어 있다. 제1 로킹편(55)이 밀어 내려지는 방향으로의 과대한 움직임은 연결판부(54)에 의해 저지된다. 또한 버튼(57)이 밀어 내려지는 방향으로의 과대한 움직임, 즉 제2 로킹편(56)이 끌어 올려지는 방향으로의 과대한 움직임은 가드부(53)에 의해 저지된다.
서브 커넥터(60)는,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양 단면(상하면)이 개방되어 있는 각통 모양의 형상을 갖는다. 상호 대향하는 측벽(60a, 60b)의 상단측에, 외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보스(boss)(61)가 형성되어 있다. 남은 측벽(60c, 60d)의 각각에 스프링편(62, 63)이 형성되어 있다. 스프링편(62)은 측벽(60c)의 하단측에 형성되어 있는 절결부(64)에 위치해 있다. 스프링편(62)은 상하 방향으로 뻗어 있다. 스프링편(62)의 하단(측벽(60c)의 하단측)은 자유단이다. 이 자유단에 돌기부(62a)가 형성되어 있다. 돌기부(62a)는 측벽(60c)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해 있다. 측벽(60d)은 측벽(60a, 60b)의 하단측에만 위치하는 형상을 갖는다. 스프링편(63)은 측벽(60d)의 상단면으로부터 상방을 향해 뻗어 있다. 스프링편(63)의 자유단에 돌기부(63a)가 형성되어 있다. 돌기부(63a)는 측벽(60d)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해 있다.
서브 커넥터(60)의 내부에 부단자(80)가 부착되는 부착부(65)가 형성되어 있다. 부착부(65)에 부단자(80)가 밀어 넣어지는 구멍(65a)이 형성되어 있다. 구멍(65a)은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구멍이다. 부착부(65)는 지지부(66)를 통하여 측벽(60a, 60b 및 60c)의 내면에 고정되어 있다.
주단자(70)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접촉편(71)의 일단측(상단측)이 연결부(72)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판 모양의 형상을 갖는다. 연결부(72)의 폭 방향의 양단면에 외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걸림턱(72a)이 형성되어 있다. 연결부(72)의 상단면(접촉편(71)이 위치하는 측과 반대측의 끝면)의 폭 방향의 중앙에 오목부(72b)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72b)를 사이에 끼는 폭 방향의 양측의 각각에 볼록부(72c)가 형성되어 있다.
부단자(80)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단자(70)와 마찬가지로, 한 쌍의 접촉편(81)의 상단측이 연결부(82)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판 모양의 형상을 갖는다. 연결부(82)의 폭 방향의 양단면에 외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걸림턱(82a)이 형성되어 있다.
플러그(200)의 조립을 설명한다.
·플러그 하우징(30)의 제1 각통부(31) 내에 주단자(70)를 삽입함으로써, 주단자(70)는 플러그 하우징(30)에 부착된다. 한 쌍의 걸림턱(72a)이 제1 각통부(31) 내의 한 쌍의 유지부(31m)에 걸림으로써, 주단자(70)는 유지된다. 주단자(70)의 한 쌍의 볼록부(72c)는 제1 각통부(31)의 홈(31h) 내에 위치한다. 홈(31h)에 형성되어 있는 돌기부(31i)가 오목부(72b)에 끼워 넣어진다. 이것에 의해, 주단자(70)는 제1 각통부(31) 내에 위치 결정된다. 주단자(70)의 기울어짐은 주단자(70)가 제1 각통부(31)의 계 6개의 리브(31k)로 사이에 끼워짐으로써 방지된다.
·걸림턱(82a)을 갖는 연결부(82)가 서브 커넥터(60)의 부착부(65)의 구멍(65a)에 압입됨으로써, 부단자(80)는 서브 커넥터(60)에 부착된다.
·플러그 하우징(30)의 제2 각통부(32) 내에 서브 커넥터(60)가 삽입됨으로써, 부단자(80)를 유지하는 서브 커넥터(60)는 플러그 하우징(30)에 수용된다. 서브 커넥터(60)는 플러그 하우징(30) 내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서브 커넥터(60)가 플러그 하우징(30)에 밀어 넣어지면, 스프링편(62)의 돌기부(62a)가 제2 각통부(32)의 돌기(32h)를 타고 넘어 돌기(32h)의 상방에 위치한다. 서브 커넥터(60)의 한 쌍의 보스(61)는 제2 각통부(32)의 슬릿(32e)에 위치한다. 한 쌍의 보스(61)의 선단은 측벽(32c, 32d)의 외측으로 돌출한다.
·플러그 하우징(30)의 후방측(제2 각통부(32)가 위치하는 측)으로부터 외측 프레임부(33) 내에 로킹 슬라이더(50)를 삽입함으로써, 로킹 슬라이더(50)는 플러그 하우징(30)에 부착된다. 로킹 슬라이더(50)의 한 쌍의 가이드홈(51d)에 플러그 하우징(30)의 한 쌍의 레일(32k)이 위치한다. 따라서, 로킹 슬라이더(50)는 레일(32k)에 안내됨으로써, 플러그 하우징(30)의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할 수 있다.
로킹 슬라이더(50)를 밀어 넣음으로써, 서브 커넥터(60)의 한 쌍의 보스(61)는 로킹 슬라이더(50)의 한 쌍의 측판부(51)에 형성되어 있는 오목부(51a)를 통과하고, 또한 캠 홈(58)에 끼워 넣어진다. 이것에 의해, 서브 커넥터(60)는 로킹 슬라이더(50)에 의해 지지된다. 로킹 슬라이더(50)를 더 밀어 넣으면, 제1 로킹편(55)의 걸림턱(55a)이 플러그 하우징(30)의 창(33g)에 위치하고, 걸림턱(55a)이 로킹부(33f)에 걸린다. 이것에 의해, 로킹 슬라이더(50)는 플러그 하우징(30)에 로킹된다. 이 밀어넣기에 의해, 서브 커넥터(60)의 한 쌍의 보스(61)는 로킹 슬라이더(50)의 캠 홈(58)을 따라 이동한다. 이것에 의해, 서브 커넥터(60)는 상방으로 이동하고, 스프링편(63)의 돌기부(63a)는 제2 각통부(32)의 측벽(32g)에 형성되어 있는 돌기(32i)를 타고 넘어 돌기(32i)의 상방에 위치한다. 이때, 서브 커넥터(60)의 한 쌍의 보스(61)는 캠 홈(58)의 후방 수평부(58c)에 위치한다.
·플러그 하우징(30)의 축(31e)이 레버(40)의 한 쌍의 관통구멍(42b)에 삽입 됨으로써, 레버(40)는 플러그 하우징(30)에 부착된다. 레버(40)는 축(31e)을 피벗으로 하여 틸트할 수 있다.
이상의 공정에 의해, 도 6에 도시하는 플러그(200)의 조립이 완료된다. 또한, 레버(40)에 형성되어 있는 위치 결정편(42d)이 플러그 하우징(30)에 형성되어 있는 슬릿(31f)에 위치함으로써, 레버(40)는 플러그 하우징(30)에 대하여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직립한 상태(열림 위치의 상태)에서 유지된다.
다음에 리셉터클 하우징(110) 및 전원 단자(120)의 구성을 설명한다.
리셉터클 하우징(110)은, 도 8 및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늘고 긴 형상의 각통부(111)를 포함한다. 각통부(111)의 폭 방향의 양측에 평판 형상의 플랜지(112)가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112)에 2개의 칼라 부착용의 구멍(112a)이 형성되어 있다. 2개의 구멍(112a)은 플랜지(112)의 대각선 상의 코너부에 마련되어 있다. 각통부(111)의 일단(상단)은 개방되어 있다. 각통부(111)의 타단(하단)에 바닥판(113)이 형성되어 있다.
바닥판(113)에 커넥터(130)의 부착부(114)와 한 쌍의 전원 단자(120)의 부착부(115)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부착부(114)와 부착부(115)는 각각 바닥판(113)의 상하로 돌출해 있다. 부착부(114)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구멍(114a)이 형성되어 있다. 부착부(115)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한 쌍의 구멍(115a)이 형성되어 있다. 구멍(115a)의 상단은 좁다. 구멍(115a)의 하단에 전원 단자 유지용의 랜스(lance)(115b)가 형성되어 있다.
각통부(111)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측벽(111a, 111b)(단, 부착부(115)가 형성되어 있는 측의 부분임)의 내면의 상단측에 내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보스(116)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측벽(111a, 111b)(단, 부착부(114)가 형성되어 있는 측의 부분임)에 있어서, 각통부(111)의 폭 방향을 따르는 측벽(111c)과, 측벽(111a, 111b)의 코너부의 각각에 규제편(117)이 형성되어 있다. 규제편(117)은 평판 모양의 형상을 갖는다. 규제편(117)은 각통부(111)의 상면에 위치한다.
플랜지(112)의 하측에 위치하는 각통부(111)(단, 부착부(115)가 형성되어 있는 측의 부분임)의 외형 형상은 플랜지(112)의 상측에 위치하는 각통부(111)(단, 부착부(115)가 형성되어 있는 측의 부분임)의 외형 형상과 상이하다. 플랜지(112)의 하측에 위치하는 각통부(111)(단, 부착부(115)가 형성되어 있는 측의 부분임)는 2개의 구멍(115a)의 위치에 대응하는 연장 부분(118)을 갖는다. 연장 부분(118)은 각통부(111)의 폭 방향으로 뻗어 있다. 연장 부분(118)에 홈(118a)이 형성되어 있다. 홈(118a)은 연장 부분(118)의 연장 끝으로부터 구멍(115a)에 이른다. 2개의 홈(118a)의 각각에 너트 격납부(118b)가 형성되어 있다. 너트 격납부(118b)의 내부 저면에 구멍(118c)이 형성되어 있다.
전원 단자(120)는 각각,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평판 형상의 단자부(121)와, 단자부(121)에 이어지는 접속부(122)를 포함한다. 접속부(122)는 각통 모양의 형상을 갖는다. 접속부(122)의 내부에 접촉편(122a)이 유지되어 있다. 단자부(121)에 구멍(121a)이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전원 단자(120), 커넥터(130), 2개의 너트(140) 및 2개의 칼라(150)를 리셉터클 하우징(110)에 부착함으로써, 리셉터클(100)은 조립된다.
칼라(150)는 플랜지(112)의 구멍(112a)에 부착된다. 칼라(150)는, 예를 들면, 하우징에 볼트로 플랜지(112)를 부착할 때의 보강으로서 기능한다. 칼라(150)는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다. 칼라(150)는 칼라(150)의 상하면이 플랜지(112)의 판면보다도 조금 돌출하는 두께를 갖는다. 칼라(150)를 부착함으로써, 볼트를 조일 때의 힘에 의해 수지제의 플랜지(112)가 손상되는 문제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커넥터(130)는 리셉터클 하우징(110)의 부착부(114)에 부착부(114)의 하방에서 압입된다.
너트(140)는 리셉터클 하우징(110)의 너트 격납부(118b)에 수용된다. 이 상태에서, 한 쌍의 전원 단자(120)가 부착부(115)에 부착된다. 전원 단자(120)의 접속부(122)는 구멍(115a)의 하방에서 부착부(115)의 구멍(115a)에 삽입된다. 랜스(115b)에 의해 전원 단자(120)의 탈락이 방지된다. 전원 단자(120)의 단자부(121)는 리셉터클 하우징(110)의 연장 부분(118)에 형성되어 있는 홈(118a)에 위치한다. 너트(140)는 전원 단자(120)의 단자부(121)와 리셉터클 하우징(110)에 의해 끼워넣어진다. 단자부(121)의 구멍(121a)의 위치는 너트(140)의 구멍의 위치와 일치한다.
이와 같이 하여 조립된 리셉터클(1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플랜지(112)의 부분에서 볼트에 의해 케이스에 부착된다. 플랜지(112)의 하측에 위치하는 리셉터클(100)의 부분은 하우징 내부에 수용된다. 한 쌍의 전원 단자(120)의 단자부(121)에, 전원 회로의 전원 라인이 접속된다. 전원 라인은, 예를 들면, 스트립 형상의 구리판이다. 도시하지 않은 볼트를 너트(140)에 돌려 넣음으로써, 단자부(121)는 전원 라인의 구리판에 접속된다.
커넥터(130)로부터 끌어 내어진 한 쌍의 리드선(160)은 전원 회로의 통전을 ON/OFF 하는 스위치에 접속된다.
다음에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플러그(200)와 리셉터클(100)의 접속과 동작을 도 14∼17을 참조하여 차례로 설명한다.
(1)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레버(40)가 열림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플러그(200)가 리셉터클(100)에 삽입된다. 플러그(200)는 리셉터클 하우징(110)의 각통부(111) 내에 삽입된다. 이것에 의해, 플러그(200)는 각통부(111)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에 위치 결정된다. 리셉터클 하우징(110)에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보스(116)는 레버(40)에 형성되어 있는 캠 홈(42c)에 들어간다. 또한, 레버(40)가 열림 위치에 위치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레버(40)의 캠 홈(42c)의 개방 부분과 리셉터클 하우징(110)의 보스(116)의 위치가 일치하지 않아, 보스(116)가 레버(40)의 지지부(42)의 끝면에 닿는다. 이 때문에, 플러그(200)를 리셉터클(100)에 삽입할 수 없다.
(2)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레버(40)가 틸트된다. 레버(40)가 틸트하면, 리셉터클 하우징(110)의 보스(116)는 캠 홈(42c) 내를 이동하고, 또한, 캠 홈(42c)과 보스(116)를 포함하는 캠 기구에 의해, 플러그(200)는 리셉터클 하우징(110) 내에 들어간다. 리셉터클 하우징(110)에 대한 플러그 하우징(30)의 이동에 의해, 플러그 하우징(30)에 유지되어 있는 주단자(70)는, 도 15b,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하우징(110)의 부착부(115)에 부착되어 있는 한 쌍의 전원 단자(120)와 접속된다. 이와 같이 하여, 전원 회로가 형성된다.
(3)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또한 레버(40)가 틸트된다. 도 16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보스(116)는 캠 홈(42c)의 내측 끝에 이르고, 레버(40)는 닫힘 위치에 위치한다. 레버(40)가 닫힘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는, 레버(40)에 형성되어 있는 돌기(41f)는, 도 1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킹 슬라이더(50)의 제1 로킹편(55)에 닿고 제1 로킹편(55)을 누른다. 이것에 의해, 플러그 하우징(30)의 로킹부(33f)에 의한 제1 로킹편(55)의 로킹이 해제되어, 로킹 슬라이더(50)는 슬라이드할 수 있다.
(4) 슬라이드 조작에 의해, 로킹 슬라이더(50)가 도 16에 나타내는 비접속 위치로부터 도 17에 나타내는 접속 위치로 이동한다. 로킹 슬라이더(50)가 슬라이드하면, 서브 커넥터(60)의 보스(61)는 로킹 슬라이더(50)에 형성되어 있는 캠 홈(58) 내를 이동하고, 또한, 캠 홈(58)과 보스(61)를 포함하는 캠 기구에 의해, 서브 커넥터(60)는 하방으로 이동한다. 이 서브 커넥터(60)의 이동에 의해, 서브 커넥터(60)에 부착되어 있는 부단자(80)는, 도 17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100)의 커넥터(130)에 유지되어 있는 한 쌍의 신호 단자(170)와 접속한다. 한 쌍의 신호 단자(170)가 부단자(80)와 접속함으로써 전원 회로의 스위치는 ON이 되고, 통전이 개시된다.
또한, 로킹 슬라이더(50)가 접속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는, 도 17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킹 슬라이더(50)의 제2 로킹편(56)의 걸림턱(56a)은 레버(40)의 로킹부(41e)에 걸리고, 제2 로킹편(56)은 로킹부(41e)에 로킹된다. 이 때문에, 로킹 슬라이더(50)의 접속 위치로부터의 이동이 방지된다.
또한 로킹 슬라이더(50)가 비접속 위치로부터 접속 위치로 슬라이드하면, 도 17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킹 슬라이더(50)의 홈(51c)에, 리셉터클 하우징(110)의 규제편(117)과 레버(40)의 규제편(41g)이 들어가기 때문에, 레버(40)의 틸트도 방지된다.
리셉터클(100)로부터의 플러그(200)의 제거를 설명한다.
·레버(40)의 로킹부(41e)에 의한 로킹 슬라이더(50)의 제2 로킹편(56)의 로킹은 로킹 슬라이더(50)의 버튼(57)을 누름으로써 해제할 수 있다. 따라서, 버튼(57)을 누른 상태에서 로킹 슬라이더(50)를 슬라이드 조작하면, 로킹 슬라이더(50)는 도 17에 나타내는 접속 위치로부터 도 16에 나타내는 비접속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부단자(80)는 한 쌍의 신호 단자(170)로부터 떨어지고, 전원 회로의 스위치가 OFF로 되어 통전이 정지한다. 부단자(80)는 한 쌍의 신호 단자(170)와의 접속에 의해 통전 개시를 담당하고, 한 쌍의 신호 단자(170)로부터의 격리에 의해 통전 정지를 담당한다.
또한 레버(40)의 규제편(41g)이 로킹 슬라이더(50)의 홈(51c)으로부터 빠지기 때문에, 레버(40)는 틸트할 수 있다. 이때, 레버(40)가 로킹 슬라이더(50)의 제1 로킹편(55)으로부터의 반력을 받는다. 그러므로, 작업자가 레버(40)에 접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레버(40)에 부하가 결려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레버(40)는 닫힘 위치에 위치하지 않고, 레버(40) 선단이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부상한다. 이것에 의해, 부단자(80)가 한 쌍의 신호 단자(170)로부터 떨어져 있어 통전이 정지되어 있는 것을 유저는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레버(40)가 도 14에 도시하는 열림 위치까지 틸트된다. 이것에 의해, 주단자(70)는 한 쌍의 전원 단자(120)로부터 떨어져, 전원 회로가 차단된다. 또한 플러그(200)는 리셉터클(100)로부터 떼어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 예에서는 로킹 슬라이더(50)가 접속 위치에 위치하여 통전 상태로 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레버(40)를 틸트할 수 없다. 즉, 로킹 슬라이더(50)를 비접속 위치로 슬라이드함으로써 통전이 정지되지 않는 한, 레버(40)의 틸트에 의한 전원 회로의 차단을 할 수 없는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통전 정지로부터 전원 회로의 차단까지 방전 시간을 확보할 수 있다.
부단자(80)를 유지하는 서브 커넥터(60)를 이동시키는 로킹 슬라이더(50)는 틸트되는 레버(40)가 아니라, 플러그 하우징(30)에 부착되어 있다. 이 때문에, 로킹 슬라이더(50)는 레버(40)의 느슨해짐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따라서, 부단자(80)와 한 쌍의 신호 단자(170)의 위치맞춤 정밀도가 향상된다. 즉, 부단자(80)가 한 쌍의 신호 단자(170)에 양호하게 접속되지 않는 문제의 발생이 방지된다.
부단자(80)와 한 쌍의 신호 단자와의 접속과 부단자(80)와 한 쌍의 신호 단자와의 격리가 모두 양호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로킹 슬라이더(50)를 조작할 때의 조작 감촉이 향상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레버(40)에 설치된 캠 홈(42c)과 리셉터클 하우징(110)에 설치된 보스(116)를 포함하는 제1 캠 기구에 의해, 플러그 하우징(30)이 이동한다. 그러나, 캠 홈이 리셉터클 하우징(110)에 설치되어 있고 또한 이 캠 홈의 내측을 이동하는 보스가 레버(40)에 설치되어 있는 구성을 채용해도 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로킹 슬라이더(50)에 설치된 캠 홈(58)과 서브 커넥터(60)에 설치된 보스(61)를 포함하는 제2 캠 기구에 의해, 서브 커넥터(60)가 이동한다. 그러나, 캠 홈이 서브 커넥터(60)에 설치되어 있고 또한 이 캠 홈의 내측을 이동하는 보스가 로킹 슬라이더(50)에 설치되어 있는 구성을 채용해도 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로킹 슬라이더(50)에 제1 로킹편(55)이 설치되어 있고, 제1 로킹편(55)이 로킹되는 로킹부(33f)가 플러그 하우징(30)에 설치되어 있고, 레버(40)가 닫힘 위치에 위치해 있지 않은 경우에, 제1 로킹편(55)이 로킹부(33f)에 로킹됨으로써, 로킹 슬라이더(50)는 슬라이드할 수 없고 비접속 위치로 고정된다. 그러나, 제1 로킹편이 플러그 하우징(30)에 설치되어 있고 또한 제1 로킹편이 로킹되는 로킹부(제1 로킹부)가 로킹 슬라이더(50)에 설치되어 있는 구성을 채용해도 된다. 이 경우, 레버(40)의 돌기(41f)가 플러그 하우징(30)의 제1 로킹편을 이동시킨다.
로킹 슬라이더(50)가 접속 위치에 위치해 있는 경우의 레버(40)의 틸트 규제구조는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틸트 규제용의 로킹편이 레버(40)에 설치되어 있고, 로킹 슬라이더(50)가 접속 위치에 위치해 있는 경우에, 레버(40)의 로킹편이 리셉터클 하우징(110)에 로킹됨으로써 틸트할 수 없고, 로킹 슬라이더(50)가 비접속 위치에 위치해 있는 경우에, 레버(40)의 로킹편의 로킹이 해제되어 레버(40)를 틸트할 수 있는 구조를 채용해도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상기 설명은 예시 및 설명의 목적으로 제시된 것이다. 본 발명을 개시된 정확한 형태에 대해 배타적이고 그에 한정할 의도를 가지지 않는다. 변형 또는 변경이 상기 교안에 따라 가능하다.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론과 그의 실질적인 적용의 최상의 예시를 제공하고 당업자가 본 발명을 다양한 실시예를 가지고 그리고 통용되는 특정한 사용에 적합한 다양한 변형을 가지고 활용할 수 있도록 선택되고 기술된다. 이러한 변형 및 변경 모두는 그것들이 공정하고, 적법하고 명칭에 적합한 범위에 따라 해석될 때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판정되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Claims (9)

  1. 전원 회로 차단 장치로서,
    상기 전원 회로 차단 장치는 리셉터클과 플러그를 포함하고,
    상기 리셉터클은 리셉터클 하우징 내에 한 쌍의 전원 단자와, 한 쌍의 신호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는 플러그 하우징과, 주단자와, 부단자와, 레버와, 로킹 슬라이더와, 서브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레버는 상기 플러그 하우징에 부착되어 있고,
    상기 레버는, 열림 위치와 닫힘 위치의 사이에서, 상기 플러그 하우징을 향하는 방향으로, 그리고 상기 플러그 하우징으로부터 벗어나는 방향으로 틸트할 수 있고,
    상기 로킹 슬라이더는 상기 플러그 하우징에 부착되어 있고,
    상기 로킹 슬라이더는, 상기 레버가 상기 닫힘 위치에 위치해 있을 때, 비접속 위치와 접속 위치의 사이에서, 상기 플러그 하우징을 따라 슬라이드할 수 있고,
    상기 서브 커넥터는, 상기 로킹 슬라이더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플러그 하우징 내에 수용되어 있고,
    상기 서브 커넥터는 상기 플러그 하우징 내에서 이동할 수 있고,
    상기 주단자는 상기 플러그 하우징에 유지되어 있고,
    상기 부단자는 상기 서브 커넥터에 유지되어 있고,
    상기 레버가 상기 열림 위치에 위치해 있을 때, 상기 플러그를 상기 리셉터클에 삽입할 수 있고, 그리고 상기 플러그를 상기 리셉터클로부터 빼낼 수 있으며,
    상기 플러그를 상기 리셉터클에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레버가 상기 플러그 하우징을 향하는 방향으로 틸트하면, 상기 플러그는 상기 플러그 하우징에 들어가고,
    상기 로킹 슬라이더는, 상기 레버가 상기 닫힘 위치에 위치해 있지 않을 때, 상기 비접속 위치에 위치하고,
    상기 로킹 슬라이더가 슬라이드하면, 상기 서브 커넥터가 이동하고,
    상기 플러그가 상기 리셉터클에 삽입되어 있고 또한 상기 레버가 상기 닫힘 위치에 위치해 있을 때, 상기 주단자는 상기 한 쌍의 전원 단자와 접속해 있고,
    상기 레버가 상기 닫힘 위치에 위치해 있고 또한 상기 로킹 슬라이더가 상기 접속 위치에 위치해 있을 때, 상기 부단자는 상기 한 쌍의 신호 단자와 접속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회로 차단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와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 중 일방에 제1 캠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레버와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 중 타방에 제1 보스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캠 홈과, 상기 레버가 틸트하면 상기 제1 캠 홈 내를 이동하는 상기 제1 보스를 포함하는 제1 캠 기구에 의해 상기 플러그 하우징이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회로 차단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슬라이더와 상기 서브 커넥터 중 일방에 제2 캠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로킹 슬라이더와 상기 서브 커넥터 중 타방에 제2 보스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캠 홈과, 상기 로킹 슬라이더가 슬라이드하면 상기 제2 캠 홈 내를 이동하는 상기 제2 보스를 포함하는 제2 캠 기구에 의해 상기 서브 커넥터가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회로 차단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슬라이더와 상기 플러그 하우징 중 일방에 제1 로킹편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로킹 슬라이더와 상기 플러그 하우징 중 타방에 상기 제1 로킹편이 로킹되는 제1 로킹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레버가 상기 닫힘 위치에 위치해 있지 않을 때, 상기 제1 로킹편이 상기 제1 로킹부에 로킹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상기 로킹 슬라이더는 상기 비접속 위치로부터 슬라이드할 수 없고,
    상기 레버가 상기 닫힘 위치에 위치해 있을 때, 상기 레버에 형성되어 있는 돌기로 상기 제1 로킹편이 눌려짐으로써, 상기 제1 로킹부에 의한 상기 제1 로킹편의 로킹이 해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회로 차단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에 힘이 가해져 있지 않고 또한 상기 돌기와 상기 제1 로킹편이 접해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레버는 상기 닫힘 위치에 위치해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회로 차단 장치.
  6. 제 1 항, 제 4 항 및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슬라이더에 제2 로킹편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레버에 상기 제2 로킹편을 로킹하는 제2 로킹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로킹편과 버튼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로킹 슬라이더가 상기 접속 위치에 위치해 있을 때, 상기 제2 로킹편이 상기 제2 로킹부에 로킹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상기 로킹 슬라이더는 상기 접속 위치로부터 슬라이드할 수 없고,
    상기 버튼이 눌려져 있을 때, 상기 제2 로킹부에 의한 상기 제2 로킹편의 로킹이 해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회로 차단 장치.
  7. 제 1 항, 제 4 항 및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와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의 각각에 규제편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로킹 슬라이더에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로킹 슬라이더가 상기 접속 위치에 위치해 있을 때, 각 상기 규제편이 상기 홈에 들어가 있고, 이것에 의해 상기 레버는 틸트 할 수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회로 차단 장치.
  8. 제 1 항, 제 2 항 및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와 상기 플러그 하우징 중 일방에 위치 결정편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레버와 상기 플러그 하우징 중 타방에 상기 위치 결정편을 위치 결정하는 슬릿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레버가 상기 열림 위치에 위치해 있을 때, 상기 위치 결정편이 상기 슬릿에 위치해 있고, 이것에 의해 상기 레버가 상기 열림 위치에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회로 차단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슬라이더에 제2 로킹편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레버에 상기 제2 로킹편을 로킹하는 제2 로킹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로킹편과 버튼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로킹 슬라이더가 상기 접속 위치에 위치해 있을 때, 상기 제2 로킹편이 상기 제2 로킹부에 로킹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상기 로킹 슬라이더는 상기 접속 위치로부터 슬라이드할 수 없고,
    상기 버튼이 눌려져 있을 때, 상기 제2 로킹부에 의한 상기 제2 로킹편의 로킹이 해제되어 있고,
    상기 레버와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의 각각에 규제편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로킹 슬라이더에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로킹 슬라이더가 상기 접속 위치에 위치해 있을 때, 각 상기 규제편이 상기 홈에 들어가 있고, 이것에 의해 상기 레버는 틸트 할 수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회로 차단 장치.
KR1020170076674A 2016-06-20 2017-06-16 전원 회로 차단 장치 KR1019106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121684 2016-06-20
JP2016121684A JP6634347B2 (ja) 2016-06-20 2016-06-20 電源回路遮断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2919A KR20170142919A (ko) 2017-12-28
KR101910647B1 true KR101910647B1 (ko) 2018-10-23

Family

ID=60659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6674A KR101910647B1 (ko) 2016-06-20 2017-06-16 전원 회로 차단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163590B2 (ko)
JP (1) JP6634347B2 (ko)
KR (1) KR101910647B1 (ko)
CN (1) CN10752815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6121347B4 (de) * 2016-11-08 2020-12-31 Bürkert Werke GmbH Elektronikmodul für I/O-Modulsystem
JP1595979S (ko) * 2017-08-01 2018-01-29
JP1595978S (ko) * 2017-08-01 2018-01-29
CN107919581A (zh) * 2018-01-11 2018-04-17 朱小平 一种防脱落的电源线插头
JP6919600B2 (ja) * 2018-03-06 2021-08-18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6879231B2 (ja) * 2018-03-06 2021-06-02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6929821B2 (ja) * 2018-06-26 2021-09-01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電気コネクタ
JP6793687B2 (ja) * 2018-07-02 2020-12-02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CN109904679A (zh) * 2019-02-20 2019-06-18 苏州华旃航天电器有限公司 一种电连接器的锁紧机构
JP7414635B2 (ja) * 2020-05-07 2024-01-1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組立体
JP2021190380A (ja) * 2020-06-03 2021-12-13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組立体
DE102020210760A1 (de) * 2020-08-25 2022-03-03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Stecker mit einem Lagesicherungselement mit einer Kontaktaufnahme
JP2022102010A (ja) * 2020-12-25 2022-07-07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JP1703914S (ko) * 2021-06-08 2022-01-04
JP1703912S (ko) * 2021-06-08 2022-01-04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72206B2 (en) 2007-01-17 2011-01-18 Nissan Motor Co., Ltd. Power supply circuit connector and method of connecting power supply circuit
US8303320B2 (en) 2009-11-19 2012-11-06 Yazaki Europe Ltd. Connector with a secondary connector
US8915749B2 (en) 2011-09-12 2014-12-23 Yazaki Corporation Power source circuit shutoff device
JP2015050116A (ja) * 2013-09-03 2015-03-1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25648B1 (en) 2001-02-07 2001-12-04 Yazaki North America, Inc.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complementary lever assist and terminal delay
US7303415B2 (en) 2006-03-31 2007-12-04 Fci Americas Technology, Inc. Electrical connector with mate-assist and a dual-position wire dress cover
WO2013092174A1 (en) 2011-12-20 2013-06-27 Delphi Connection Systems Holding France Electrical connector with a lever and a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cpa) element
CN203205621U (zh) 2012-12-30 2013-09-18 陕西海泰电子有限责任公司 机柜之间的电气连接装置
JP6182515B2 (ja) * 2014-08-19 2017-08-1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JP6663790B2 (ja) * 2016-05-12 2020-03-13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72206B2 (en) 2007-01-17 2011-01-18 Nissan Motor Co., Ltd. Power supply circuit connector and method of connecting power supply circuit
US8303320B2 (en) 2009-11-19 2012-11-06 Yazaki Europe Ltd. Connector with a secondary connector
US8915749B2 (en) 2011-09-12 2014-12-23 Yazaki Corporation Power source circuit shutoff device
JP2015050116A (ja) * 2013-09-03 2015-03-1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528157A (zh) 2017-12-29
JP6634347B2 (ja) 2020-01-22
US20170365424A1 (en) 2017-12-21
KR20170142919A (ko) 2017-12-28
CN107528157B (zh) 2019-11-01
US10163590B2 (en) 2018-12-25
JP2017228357A (ja) 2017-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0647B1 (ko) 전원 회로 차단 장치
JP3991911B2 (ja) コネクタ
US7682726B2 (en) Device for locking electrical devices, in particular power tools, with battery packs for power supply
KR101168883B1 (ko) 단자위치 보장기구를 구비한 전기 커넥터
TWI749187B (zh) 電連接器
CN101549492B (zh) 电动工具
US6824421B2 (en) Connector housing assembly with a fit-on detection member
EP1271704B1 (en) A connector and an unlocking jig therefor
JPH1050381A (ja) コネクタ
JP2014110182A (ja) 電気コネクタ、およびスクイブの接続装置
EP1801925A1 (en) A connector
KR20100063663A (ko) 분할형 커넥터
JP2011113679A (ja) 刃受部材及びこれを備えるコンセント
US6045384A (en) Connector having tapered surfaces for facilitating connection
EP1801926B1 (en) A connetor and connector assembly
CN110858692B (zh) 连接器以及连接器结构
JP4939869B2 (ja) 回路遮断器
US20040171294A1 (en) Connector
JP2004095439A (ja) 検知部材付きコネクタ
US7074069B2 (en) Connector and a connector assembly
JP5319473B2 (ja) 差込接続器
JP2008066038A (ja) 回路遮断器
JP2005116413A (ja) コネクタ
JP2008140731A (ja) コネクタ
JP4826465B2 (ja) コンセン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