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8883B1 - 단자위치 보장기구를 구비한 전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단자위치 보장기구를 구비한 전기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8883B1
KR101168883B1 KR1020077027457A KR20077027457A KR101168883B1 KR 101168883 B1 KR101168883 B1 KR 101168883B1 KR 1020077027457 A KR1020077027457 A KR 1020077027457A KR 20077027457 A KR20077027457 A KR 20077027457A KR 101168883 B1 KR101168883 B1 KR 1011688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housing
disposed
terminal position
rec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7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22576A (ko
Inventor
츠요시 오사다
브랫 메이스
핑 천
Original Assignee
제이.에스.티.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11/114,391 external-priority patent/US7048583B1/en
Application filed by 제이.에스.티.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제이.에스.티.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701225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225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88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88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36Securing a plurality of contact members by one locking piece or oper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36Securing a plurality of contact members by one locking piece or operation
    • H01R13/4364Insertion of locking piece from the front
    • H01R13/4365Insertion of locking piece from the front comprising a temporary and a final locking position

Abstract

전기 커넥터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 내로 삽입되는 단자위치 보장부재(terminal position assurance; TPA)를 포함한다. 하우징은 전방 수용부 및 와이어링 하니스의 단자를 수용하는 후방 수용부를 구비한다. 하우징은 또한 상기 하우징의 상부 전방부에 배치된 기저부 및 상기 기저부에 의해서 한정되는 리세스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상기 기저부에 인접하여 만입부(incision)가 배치되는데, 이에 의해서 상기 기저부의 단부가 미약하게 이동할 수 있다. TPA 부재는 그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전방 수용부 내로 끼워 맞추어지도록 구성된 돌출부를 구비한다. TPA 부재는 상기 와이어링 하니스의 단자의 위치를 보장한다. TPA 부재의 돌출부들은 상기 리세스와 결합하고, 이에 의해서 TPA가 상기 하우징 내에 잠궈진다.
전기 커넥터, 하우징, 리세스, 와이어링 하니스, 돌출부, 단자위치 보장부재(TPA),

Description

단자위치 보장기구를 구비한 전기 커넥터{ELECTRICAL CONNECTOR WITH A TERMINAL POSITION ASSURANCE MECHANISM}
본 발명은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며, 특히 단자위치 보장기구를 구비한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전기 커넥터는 와이어링 하니스(wiring harnesses)에 연결하기 위하여 많은 전자장치들에서 사용되는 핵심 부품이다. 용어 "커넥터"는 예를 들어 대응하는 수 커넥터(male connector)에 연결되는 암 커넥터(female connector)를 언급할 것이다. 최근에, 전자장치들은 더욱 복잡하게 발전해왔다. 그 결과, 몇몇 전자장치들에 사용된 전기 커넥터들의 수는 와이어링 하니스의 수와 함께 증가해 왔다. 그러므로, 커넥터들은 연결의 신뢰성과 같은 성능관련 요소들의 질을 저하함이 없이 소형화되어야만 한다. 커넥터 및 그와 짝을 이루는 커넥터 사이의 연결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커넥터는 통상적으로 그 외부면에 배치된 커넥터 잠금기구를 구비한다.
커넥터는 통상적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와이어 단부에 고정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자를 수납한다. 단자 위치 보장(terminal position assurance; TPA) 부재는 커넥터의 하우징과 단자들의 신뢰성 있는 결합을 보장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TPA 부재는 단자들과 커넥터 하우징 사이에서 적당한 위치선정을 보장하기 위해서 와이어링 하니스의 단자들이 커넥터의 하우징으로 부적절하게 삽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TPA 부재의 삽입방향에서 볼 때 커넥터들은 적어도 2가지 형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첫 번째 형식의 커넥터는, 두 커넥터들 사이에서 부합하는 방향과는 다른 한 방향으로 통상적으로 삽입된다. 두 번째 형식의 커넥터에 있어서, TPA 부재는 하우징의 전방면으로부터 삽입된다. 두 번째 형식의 커넥터에 있어서, TPA 부재는 두개의 부합하는 커넥터들 사이에서 부합하는 방향으로 통상적으로 삽입된다.
두 번째 형식의 커넥터는 하우징 내에 하우징 랜스(housing lances)로서 언급되는 멈춤쇠(detents)를 통상적으로 구비한다. 와이어링 하니스의 단자들이 하우징 내로 삽입되는 경우에, 하우징 랜스의 일부는 단자들과의 간섭으로 인하여 상방향으로 이동하고, 그런 후에 랜스들은 단자들의 노치들(notches)과 "짤깍 소리내어(snap)" 결합한다. 다음에는 TPA 부재가 하우징 내에 삽입되고, 하우징 랜스의 원하지 않는 운동을 제한하도록 하우징 내에서 간격이 조성된다. 만일, 하우징 랜스들이 노치들과 완벽하게 결합하지 않으면, TPA 부재는 하우징 랜스들과의 간섭으로 인하여 삽입될 수 없다. 그러므로, TPA 부재는 TPA 부재가 삽입되는 정도로 하우징에 대하여 단자들의 적당한 위치선정을 보장하게 된다.
종래의 커넥터에 있어서, TPA 부재는 하우징의 전방으로부터 삽입되고, 하우 징은 일반적으로 TPA 부재를 잠그기 위한 TPA 잠금기구를 구비한다. 종래의 커넥터들의 TPA 잠금기구들이 하우징의 측면들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공간적인 제약으로 인하여, 그러한 잠금기구들은 과도한 공간을 허비하게 되고, 이는 커넥터들의 축소 목적과 역행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또한, 방지기구는 TPA 부재의 부적절한 삽입을 방지하는데 필수적이다. 일반적으로, 방지기구는 TPA 부재와 하우징 사이의 끼워 맞춤이 수직축과 같은 하나의 축에 대하여 대칭적이고 측방향 축과 같은 다른 축에 대하여 비대칭인 구조에 의해서 달성된다. 방지기구는 하우징의 양 측면에 배치된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은 커넥터들의 축소를 또한 방해한다.
또한, 커넥터들의 조립 공정에 있어서, 사용자나 조립업자는 TPA 부재가 하우징 내로 삽입되는지의 여부를 가시적으로 점검한다. 통상적인 커넥터들은 사용자로 하여금 불완전한 삽입을 인식할 수 있게 하지만, 이때 하우징 랜스들이 와이어링 하니스의 단자들의 노치들과 불완전하게 결합하기 때문에 TPA 부재는 하우징 내로 완벽하게 삽입될 수 없다. 만일 하우징 랜스들이 노치들과 결합하지 않는 경우에 사용자가 TPA 부재를 억지로 삽입시키고자 시도하면, 하우징 랜스들이 부러지게 될 것이다. 또한, TPA 부재가 최종 위치에 완벽하게 삽입되었는지의 여부를 알 수 있는 방법이 없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양태에 따르면, 전기 커넥터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 내로 삽입된 단자 위치 보장(TPA) 부재를 포함한다. 하우징은 전방 수용부, 및 와이어링 하니스(wiring harness)의 단자를 수용하는 후방 수용부를 구비한다. 하우징은 또한 상부 전방부에 배치된 리세스를 구비한다. 단자위치 보장부재는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전방 수용부 내로 끼워 맞추어지도록 구성된 돌출부를 구비한다. 단자위치 보장부재는 와이어링 하니스의 단자의 위치를 보장한다. 단자위치 보장부재의 돌출부는 리세스와 결합하고, 이에 의해서 단자위치 보장부재가 하우징 내에 안전하게 잠궈진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전기 커넥터는 하우징, 단자위치 보장부재, 및 힘 흡수기구를 갖춘 TPA 잠금기구를 포함한다. 힘 흡수기구는 단자위치 보장부재가 하우징 내로 삽입되는 경우에 발생하는 과도한 간섭력을 흡수하게 된다. 특히, 커넥터의 하우징은 기저부, 및 상기 기저부에 의해서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의 상부 전방부에 배치된 리세스를 구비한다. 또한, 커넥터의 하우징은 상기 기저부에 인접하게 배치된 절개부를 구비하고, 이에 의해서 상기 기저부의 단부가 수평방향으로 미약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단자위치 보장부재는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전방 수용부 내로 끼워 맞추어지도록 구성된 돌출부를 구비한다. 단자위치 보장부재의 돌출부는 리세스와 결합하고, 이에 의해서 단자위치 보장부재가 하우징 내에 잠궈진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들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를 통해서 명백하게 밝혀질 것이다.
도 1A 및 1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의 하우징의 평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하우징의 정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하우징의 배면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선 5-5를 따라 도시한 하우징의 단면도.
도 6은 도 2에 도시된 하우징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의 단자위치 보장부재의 평면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단자위치 보장부재의 저면도.
도 9는 도 7에 도시된 단자위치 보장부재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의 단자위치 보장부재의 사시도.
도 11A 및 1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의 하우징의 부분 평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의 분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의 평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의 평면도.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대응하는 방법에 따라서 제조되고 첨부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1A 및 1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 커넥터(1)는 와이어링 하니스의 다수의 단자들의 적정 위치를 보장하기 위한 TPA(단자위치 보장) 부재(3)를 갖는 암 하우징(female housing)(2)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전기 커넥터(1)는 커넥터 제조업자에 의해서 통상적으로 제조되고, 그런 후에는 와이어링 하니스를 전기 커넥터에 부착하기 위해서 하니스 조립업자에게 공급된다. 전기 커넥터(1)는 와이어링 하니스들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짝을 이루는 커넥터와 결합할 수 있다.
하우징(2)의 폭은 단자들 또는 자극들의 크기와 수에 의해서 큰 범위로 결정된다. 이러한 실시 예에 있어서, 전기 커넥터(1)는 10개 자극 커넥터 타입이다. 하우징(2)은 성형 방법을 사용하여 플라스틱과 같은 단열재료로 제조된 단일 부품이다. 하우징(2)은 다른 공지된 재료와 방법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하우징(2)은 전방면에서 전방 수용부(21)를 포함하고, 후방면에서 후방 수용부(22)를 구비한다. 전방 수용부(21)는 그 안에 TPA 부재(3)를 포함하고, 다수의 자극들에 대응하는 다수의 단자 슬롯들(23)이 그에 부합하도록 구성된다. 전기 커넥터(1)는 일반적으로 TPA 부재(3)가 하우징(2)의 전방으로부터 하우징(2) 내로 삽입되는 방식의 TPA-전방-삽입 타입으로 이루어진다. 다수의 슬롯들(23)은 하우징(2)(도 3 및 도 4에 도시됨) 내에서 통로를 통하여 후방 수용부(22) 상의 다수의 단자 슬롯들(24)에 연결된다. 와이어링 하니스의 단부에 배치된 단자들은 단자 슬롯들(24) 내로 각각 삽입되고, 이에 의해서 최종 제품으로서 암 커넥터가 구성된다. 암 커넥 터의 전방 수용부(21)의 단자 슬롯들(23)은 짝을 이루는 커넥터의 단자 핀들을 수용하게 된다.
TPA 부재(3)는 하우징(1)에 대한 단자들의 위치를 보장하기 위해서 하우징(1)에서 소정 위치에서 와이어링 하니스의 단자들을 안정적으로 결합시키기 위한도시된 바와 같은 판형상의 부품이다. TPA 부재(3)는 에폭시 수지와 같은 절연재료로 제조되고, 성형방법을 사용하여 형성될 것이다. TPA 부재(3)는 와이어링 하니스들의 단자들을 삽입하기 위한 소정 위치(도 1B 참조), 및 이들과 안정적으로 결합하기 위한 최종 위치(도 1A 참조)에 위치된다. TPA 부재(3)는 중앙에서 상부면 상에 배치된 돌출부(31)를 구비한다. 돌출부(31)는 하우징(2)의 상부면 외부로 돌출하도록 구성된다. TPA 부재(3)의 폭은 하우징(2) 뿐만아니라 단자들 또는 자극들의 크기와 수에 의해서 큰 범위로 결정된다. 와이어링 하니스를 그 안에 부착하는 전기 커넥터(1)를 조립하는 사용자나 조립업자는, TPA 부재가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결합되는 위치를 쉽게 알 수 있다.
도 2 내지 도 6은 도 1A 및 1B에 도시된 하우징(2)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하우징(2)은 전방 수용부(21)와 후방 수용부(22)를 구비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다수의 연장 리브들(25)이 하우징의 내부 바닥면 상에 배치된다. 연장 리브들(25)은 단자 슬롯들(23)의 분할 벽의 일부로서 기능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을 통해서 연장하는 연장 리브들(25)은 슬롯들(24)에 연결되어 하우징(2)의 내부 상부면으로 연장되는 통로들을 형성한다. 전방 수용부(21)는 TPA 부재(3)를 수용하도록 연장 리브들(25)(도 1A 및 1B) 위로 측 방향으로 연장하는 TPA 슬롯(26)을 구비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다수의 하우징 랜스들(27)이 하우징(2)(도 5에 또한 도시됨) 내에 배치된다. 하우징 랜스들(27)은 단자들이 하우징(2) 내로 삽입되는 경우에 와이어링 하니스의 단자들에 형성된 노치들과 결합한다. 특히, 와이어링 하니스의 단자들이 하우징(2) 내로 삽입되는 경우에, 하우징 랜스들(27)은 단자들과의 간섭으로 인하여 상방향으로 이동하고, 그런 후에 하우징 랜스들(27)은 단자들의 노치들(도시되지 않음)과 결합하도록 그들의 최초 위치로 부분적으로 혹은 전체적으로 복귀하게 된다. 일단 TPA 부재(3)가 하우징(2) 내로 삽입되면, TPA 부재(3)는 하우징 랜스들의 원하지 않는 운동을 제한하도록 하우징 내에 간격을 제공한다. 만일 하우징 랜스(27)가 노치들과 불완전하게 결합하면, TPA 부재(3)와의 간섭으로 인하여 하우징 랜스들(27)은 TPA 부재(3)가 하우징(2) 내로 완전히 삽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6을 참조하면, 하우징(2)은 하우징의 중앙축을 따라서 상부 외면에 위치된 커넥터 잠금부(28)를 더 포함한다. 커넥터 잠금부(28)는 짝을 이루는 커넥터(도시되지 않음)의 대향하는 부분과 결합하기 위한 잠금 기구로서 기능한다. 도 5에 도시된 단면도는 하우징(2)의 내부 구조를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것이다. 커넥터 잠금부(28)는 하우징(2)의 상부, 중앙, 전방부에 배치된 기저부(281), 외팔보(cantilever)의 형태로 하우징(2)의 후방으로 연장된 아암부(282), 상기 아암부(282)의 중간 근처에 배치된 결합부(283) 및 상기 아암부(282)의 자유 단부에 배치된 릴리스부(284)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전기 커넥터(1)가 짝을 이 루는 커넥터와 결합하는 경우에, 아암부(282)는 짝을 이루는 커넥터와의 간섭에 의해서 탄성적으로 변형되고, 따라서 결합부(283)가 짝을 이루는 커넥터의 대향하는 부분과 결합하게 된다. 결합된 전기 커넥터가 분리되는 경우에, 아암부(282)는 릴리스부(284)에 하방향으로 외부의 힘이 가해짐에 따라서 탄성적으로 변형되고, 이에 의해서 결합을 해제하도록 결합부(283)가 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 5 및 6을 참조하면, 하우징(2)은 하우징의 상부, 중앙 및 전방부에 위치한 대체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의 리세스(29)를 갖는다. 다시 말해서, 하우징의 상부 보드의 일부는 덮히지 않고, 이에 의해서 리세스(29)가 형성된다. 리세스(29)는 돌출부(31)의 상부면이 리세스(29)를 통해서 가시적으로 노출되도록 TPA 부재(3)(도 1B에 도시됨)의 돌출부(31)를 수용하고, 이에 의해서 TPA 부재(3)가 단단히 잠궈진다. 이러한 실시 예에 있어서, 커넥터 잠금부(28)의 기저부(281)는 리세스(29)의 측벽의 일부로서 기능한다. 작은 돌출부들(291)은 리세스(29)의 유입구 근처에서 TPA 부재(3)의 삽입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측벽(292) 상에 배치된다. 돌출부들(291)은 하기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TPA 부재(3)(도 7 참조)가 원하지 않게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TPA 부재(3)의 돌출부(31) 상에 배치된 함몰부들(312) 내로 끼워 맞추어진다.
도 7 내지 도 9는 도 1A 및 1B에 도시된 TPA 부재(3)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것이다. TPA 부재(3)의 상부면은 중앙부를 제외하고는 하우징(2)의 내부 상부면과 밀착 접촉하도록 대체적으로 평평하다. 돌출부(31)는 삽입방향을 향하는 TPA 부재(3)의 상부, 중앙 및 후방부에 배치된다. 돌출부(31)는 모서리를 깍아내도 록 가공된다. 돌출부(31)의 크기와 형상은 리세스(28)(도 1A 참조) 내로 끼워 맞추어지도록 결정된다.
돌출부(31)는 상부면 상에 슬릿(311)을 구비한다. 슬릿(311)은 외부 힘이 가해지는 경우에 돌출부(31)로 하여금 안쪽으로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게 한다. 슬릿(311)은 사용자로 하여금 작업 공구의 단부 팁을 슬릿(311)에 걸어서 TPA 부재(3)를 하우징(2)으로부터 쉽게 분리시킬 수 있게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두 쌍의 함몰부(312a,312b)가 삽입방향과 평행하게 돌출부(31)의 각각의 측면에 배치된다. 삽입방향을 향하여 전방에 배치된 한쌍의 함몰부(312a)는 소정 위치(도 1B)에서 TPA 부재(3)와 결합하도록 위치한다. 한쌍의 함몰부(312b)는 최종 위치(도 1A)에서 TPA 부재(3)와 결합하도록 삽입방향의 반대쪽으로 위치한다.
도 1A 및 1B를 참조하면, TPA 부재(3)가 하우징(2)의 TPA 슬롯(26) 내로 삽입되는 경우에, 리세스(29)의 작은 돌출부(291)는 TPA 부재(3)의 테두리부와 간섭한다. 그러면, 소정의 힘이 TPA 부재(3)에 가해지는 경우에, 리세스(28)의 측벽들(29)은 외부로 약간 확장되고 및/또는 돌출부(31)가 안쪽으로 약간 변형되며, 돌출부들(291)은 함몰부(312a)와 결합하도록 테두리부 위로 올라간다. 또한, 다른 소정의 삽입력이 TPA 부재(3)에 가해지는 경우에, 돌출부들(291)은 TPA 부재(3)의 돌출부(31)의 측면들과 간섭하고, 함몰부(312b)와 결합한다. 그러므로, TPA 부재(3)는 최종 위치에서 안정적으로 잠궈진다.
도 9를 참조하면, TPA 부재(3)는 그 바닥면 상에서 다수의 연장 리브들(313) 을 더 포함한다. 연장 리브들(313)은 하우징(2)의 연장 리브들(25)과 협동하여 단자 슬롯들(23)의 분할 벽들의 부분으로서 기능한다.
도 10은 다른 구성의 돌출부(31)를 구비한 TPA 부재(3)의 다른 구조적인 실시 예를 나타낸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31)는 중앙축을 따라서 전방(F)으로부터 후방(R)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고, TPA 부재의 상부에 배치된다. 돌출부(31)의 단부는 모서리를 깍아낸 형상이나 아치형상으로 구성되고, 따라서 사용자는 적당한 방향을 쉽게 구분할 수 있다. 비록 TPA 부재(3)에 대응하는 하우징(2)의 구조가 도 10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우징(2)이 TPA 부재(3)를 하우징(2)의 리세스(29) 내로 수용하여 와이어링 하니스의 단자들을 잠그도록 구성된 것임을 알 수 있다.
도 11A 및 1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의 하우징의 부분 평면도이다. 리세스(29)와 돌출부(31) 사이의 구조적인 관계가 변경되었다. 예를 들면, 도 11A 및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세스(29)와 돌출부(31)의 결합은 여러 가지 구성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다. 특히, 리세스(29)는 대체적인 유(U)자형상의 리세스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리세스(29)는 리세스의 먼 벽에 배치된 만입부(indention)(293)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으로, 둘 또는 그 이상의 쌍으로 이루어진 작은 돌출부들(291)이 리세스(29)의 측벽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1B에 도시된 리세스(29)는 만입부(293)에 배치된 추가적인 돌출부들(291')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전기 커넥터(1)는 하기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 이 변형될 것이다.
도 12 내지 도 14에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실시 예에 있어서, 전기 커넥터(1)는 TPA 부재(3)가 하우징(2) 내로 삽입되는 경우에 야기되는 과도한 간섭력을 흡수하기 위한 힘 흡수부재를 갖는 TPA 잠금부재를 포함한다. 특히,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은 커넥터 잠금부(28)의 기저부(281)에 인접하게 배치된 한쌍의 슬릿형 절개부 혹은 만입부(41)을 포함한다. 다시 말해서, 기저부(281)의 단부(281a)는 리세스(29)와 만입부(41)으로 인하여 하우징(2)의 상부 보드로부터 벗어난다. 만입부(41)은 부분적으로 힘 흡수기구의 후방 여유로서 기능한다. 그러므로, 단부들(281a)은 수평으로 탄성적으로 확장될 수 있다. 만입부(41)의 크기와 형상은 TPA 부재(3)를 하우징(2) 내로 삽입하는 원하는 삽입력에 의존하여 선택될 것이다. 바람직하게도, 만입부(41)은 TPA 부재(3)가 하우징(2) 내로 삽입하는 경우에 단부(281a)로 하여금 외부로 이동할 수 있게 하고, 이에 의해서 과도한 간섭력을 감소시킨다. 또한, 이러한 구성은 삽입력을 조정할 수 있게 한다.
TPA 부재(3)가 하우징(2) 내로 삽입하는 경우에, TPA 부재(3)의 돌출부(31)의 전방 단부는 작은 돌출부(291)와 간섭하게 되고, 그러므로 기저부(28)의 단부(281a)가 외부로 약간 움직이게 된다. 그러므로, 단부들(281a)은 돌출부(291)가 TPA 부재(3)의 함몰부(312a)와 결합하도록 다시 짤깍 소리내어 결합한다. 이때, 돌출부(31)의 슬릿(311)은 안쪽으로 탄성적으로 변형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돌출부(291)가 함몰부(312a)와 결합하는 상태는 예비 설정 위치(도 13 참조)로서 언급 된다. 예비 설정 위치에서 커넥터(1)는 TPA 부재(3)의 탈락없이 운반될 수 있다. 부수적으로, 더 한층의 삽입력이 TPA 부재(3)에 가해지면, 단부(281a)는 돌출부(291)와의 간섭으로 인하여 다시 외부로 이동하고, 그런 후에 단부(291a)는 돌출부(291)를 함몰부(312b)와 결합시키도록 다시 짤깍 소리내어 결합한다. 예비 설정 위치와 비교하여, 이러한 상태는 최종 위치(도 14 참조)로서 언급한다. TPA 부재(3)는 삽입방향에 대하여 반대방향으로 외부 힘에 의해서 분리된다. 이러한 분리 공정에 있어서, 슬릿(311)은 작업공구의 단부 팁을 걸도록 사용될 것이다.
TPA 부재의 삽입/분리 공정에 있어서, 하우징(2)의 작은 돌출부들(291)은 TPA 부재(3)의 돌출부(31)와 간섭력을 받는다. 그러므로, 돌출부들(219)은 닳게 되고, 다른 한편으로 리세스(29)의 일부는 영구적으로 변형된다. 이것은 TPA 부재(3)의 보유를 감소시키고, 이에 의해서 연결의 신뢰성에 있어서 질 저하를 유발한다. 그러나, 하우징(2) 상에서 만입부(41)과 같은 틈새를 형성함으로써, 기저부(281)의 단부(281a)는 과도한 간섭력을 감소시키도록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고, 이에 의해서 돌출부(291)가 닳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비록 TPA 부재(3)가 하우징(3) 내외로 반복적으로 삽입 및 분리될지라도, TPA 부재(3)의 보유는 단지 최소한의 변화만을 겪게 된다. 또한, 삽입력은 만입부(41)의 크기를 조정함으로써 선택될 수 있다. 따라서, 이것은 사용자가 하우징(2)과 TPA 부재(3)를 전기 커넥터(1) 내로 조립하는 경우에 실행 가능성이나 작동 가능성을 향상시킨다.
위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여러 가지 구성의 결과로서, 본 발명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음의 장점들을 포함하게 된다(이들 중 몇몇은 위에서 설명한 바 있다 ).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TPA 잠금기구는 TPA 부재의 돌출부 및 TPA 부재를 하우징과 결합하기 위한 하우징의 리세스를 포함하고, 짝을 이루는 커넥터와 결합하기 위해서 커넥터 잠금부의 전방 및 그 근처에 위치한다. 예를 들면, 돌출부는 TPA 부재의 일 면상에 배치된다. 그러므로, TPA 부재의 돌출부는 하우징에 제공된 잠금기구 뿐만아니라 TPA 부재가 뒤집히거나 부적절하게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지 기구로서 기능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하우징의 양 측면에서 방지 기구들을 가질 필요가 없다. 따라서, 하우징의 폭이 줄어들 수 있고, 이에 의해서 커넥터의 크기를 축소할 수 있다. 또한, 돌출부는 TPA 부재의 상부의 중앙에 배치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구성은 하우징의 양 측면 상에 TPA 잠금기구가 더이상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TPA 부재가 하우징과 균형잡히지 않은 상태로 결합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TPA 부재의 돌출부가 하우징 밖으로 돌출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므로, 이것은 커넥터를 조립하는 사용자나 조립업자로 하여금 전기 커넥터에 와이어링 하니스를 부착시킬 수 있게 하고, TPA 부재가 적당한 위치에서 삽입되는지를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TPA 잠금부재는 TPA 부재가 하우징 내로 삽입되는 경우에 야기된 과도한 간섭력을 흡수하기 위한 힘 흡수 부재를 포함한다. 힘 흡수부재는 리세스를 형성하는 베이스부의 단부에 인접하게 배치된 절개부나 만입부과 같은 후방 틈새를 포함한다. 그러므로, 베이스부의 단부는 TPA 부재가 하우징 내로 삽입되는 경우에 외부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TPA 부재가 하우징의 내외로 반복적으로 삽입 및 분리될지라도, TPA 부재의 보유는 단지 최소의 변화를 겪는다. 또한, 삽입력은 틈새의 크기를 조정함으로써 선택될 수 있다. 따라서, 이것은 전기 접속기의 조립의 실행 가능성이나 작동 가능성을 향상시킨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단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제한된다.

Claims (36)

  1. 커넥터로서,
    와이어링 하니스(wiring harness)의 단자를 수용하는 전방 수용부, 및 후방 수용부를 구비한 하우징;
    적어도 일부는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서 덮여 있지 않으며, 상부에서 상기 하우징의 상부 전방부에 배치된 리세스(recess); 그리고
    중앙축을 따라서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전방 수용부 내로 끼워 맞추어지도록 구성된 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와이어링 하니스의 단자의 위치를 보장하기 위한 단자 위치 보장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단자 위치 보장부재는 상기 리세스의 덮여있지 않은 부분과 결합하는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중앙에서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배치되고 짝을 이루는 커넥터와 결합하기 위한 커넥터 잠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잠금부는 상기 리세스의 근처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된 외팔보(cantilever) 형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4. 제 2 항에 있어서, 커넥터 잠금부는,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배치된 기저부; 상기 기저부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아암부; 그리고 상기 아암부 상에 배치된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잠금부는 상기 아암부의 단부에 배치된 릴리스부(release portion)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잠금부의 상기 기저부는 상기 리세스의 벽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위치 보장부재의 상기 돌출부는 상기 단자위치 보장부재의 중앙부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8. 제 1 항에 있어서, 한쌍의 돌출부가 상기 리세스의 측벽들 상에 있는 전방부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9. 제 8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한쌍의 함몰부가 상기 리세스의 상기 한쌍의 돌출부들과 결합하도록 상기 단자위치 보장부재의 상기 돌출부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위치 보장부재를 제 1 위치에 잠그도록 제 1 쌍의 함몰부가 상기 돌출부의 전방 단부의 근처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위치 보장부재를 제 2 위치에 잠그도록 제 2 쌍의 함몰부가 상기 돌출부의 후방 단부의 근처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위치 보장부재의 돌출부의 상부는 상기 리세스를 통해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위치 보장부재의 상기 돌출부의 상부에 슬릿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위치 보장부재를 수용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전방 수용부에 측방향으로 연장된 슬릿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 바닥면 상에 배치된 하부 연장 리브를 더 포함하며, 상기 단자위치 보장부재는 상기 하부 연장 리브에 대응하는 상부 연장 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짝을 이루는 커넥터의 단자를 수용하기 위한 단자 슬롯은, 측방향으로 연장된 슬롯 내로 상기 단자위치 보장부재를 삽입하는 것을 기초로 하여, 상기 하부 연장 리브와 상기 상부 연장 리브의 조합에 의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7. 커넥터로서,
    와이어링 하니스의 단자를 수용하는 전방 수용부, 및 후방 수용부를 구비하는 하우징;
    중앙축을 따라서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전방 수용부 내로 끼워 맞추어지도록 구성된 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와이어링 하니스의 단자의 위치를 보장하기 위한 단자 위치 보장부재; 그리고
    적어도 일부는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서 덮여 있지 않으며, 상기 단자위치 보장부재의 상기 돌출부와 결합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상부 전방부에 배치되고, 기저부 및 상기 기저부에 의해서 형성된 리세스를 갖는 TPA 잠금부재를 포함하는 커넥터.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부의 적어도 하나의 단부는 여기에 가해진 간섭력에 의해서 이동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TPA 잠금부재는 상기 기저부의 적어도 하나의 단부에 근접하여 배치된 만입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0. 제 19 항에 있어서, 중앙에서 하우징의 상부에 배치되고 짝을 이루는 커넥터 와 결합하기 위한 커넥터 잠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잠금부는 상기 리세스의 근처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된 외팔보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잠금부는,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배치된 기저부; 상기 기저부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아암부; 그리고 상기 아암부 상에 배치된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잠금부는 상기 아암부의 단부에 배치된 릴리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4.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잠금부의 상기 기저부는 상기 리세스의 벽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5.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위치 보장부재의 돌출부는 상기 단자위치 보장부재의 중앙부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6.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부의 적어도 하나의 단부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위치 보장부재의 돌출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와 결합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함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위치 보장부재를 제 1 위치에 잠그도록 제 1 쌍의 함몰부가 상기 돌출부의 전방 단부의 근처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위치 보장부재를 제 2 위치에 잠그도록 제 2 쌍의 함몰부가 상기 돌출부의 전방 단부의 근처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의 적어도 일부는 덮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위치 보장부재의 돌출부는 상기 리세스의 적어도 덮히지 않은 부분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2.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위치 보장부재의 상기 돌출부의 상부는 상기 리세스를 통해서 가시적으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3.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위치 보장부재의 상기 돌출부의 상부에 슬릿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4. 커넥터로서,
    와어링 하니스의 단자를 수용하는 전방 수용부, 및 후방 수용부를 구비하는 하우징;
    기저부를 가지며,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배치되고, 짝을 이루는 커넥터와 결합하기 위한 커넥터 잠금부;
    적어도 일부는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서 덮여 있지 않으며,상기 하우징의 상부 전방부에 배치되고, 상기 기저부에 의해서 형성된 리세스;
    상기 기저부에 근접하여 배치된 만입부; 그리고
    와이어링 하니스의 단자의 위치를 보장하기 위한 단자 위치 보장부재로서, 중앙축을 따라서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전방부 내로 끼워 맞추어지도록 구성된 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단자위치 보장부재의 상기 돌출부는 상기 리세스의 덮여있지 않은 부분과 결합하는, 단자 위치 보장부재를 포함하는 커넥터.
  35.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부의 적어도 하나의 단부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6.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위치 보장부재의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와 결합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함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1020077027457A 2005-04-25 2006-03-31 단자위치 보장기구를 구비한 전기 커넥터 KR1011688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114,391 US7048583B1 (en) 2005-04-25 2005-04-25 Electrical connector with a terminal position assurance mechanism
US11/114,391 2005-04-25
US11/348,006 2006-02-06
US11/348,006 US7179135B2 (en) 2005-04-25 2006-02-06 Electrical connector with a terminal position assurance mechanism
PCT/US2006/012375 WO2006115710A1 (en) 2005-04-25 2006-03-31 Electrical connector with a terminal position assurance mechanis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22576A KR20070122576A (ko) 2007-12-31
KR101168883B1 true KR101168883B1 (ko) 2012-07-30

Family

ID=36655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7457A KR101168883B1 (ko) 2005-04-25 2006-03-31 단자위치 보장기구를 구비한 전기 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179135B2 (ko)
EP (1) EP1875557A1 (ko)
JP (1) JP4980342B2 (ko)
KR (1) KR101168883B1 (ko)
WO (1) WO20061157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67042B2 (en) * 2008-03-26 2011-01-11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Connector assembly with a low profile terminal position assurance member
US8651901B2 (en) * 2011-05-04 2014-02-18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terminal position assurance
KR101337937B1 (ko) * 2012-05-04 2013-12-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 스택의 셀 전압 측정용 커넥터
JP5886727B2 (ja) * 2012-11-19 2016-03-16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電気コネクタ
DE102015201089A1 (de) 2015-01-22 2016-07-28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Zwischengehäuse mit einer CPA-Aufnahme und Steckverbindersysteme umfassend ein solches
JP5900684B1 (ja) * 2015-04-28 2016-04-06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EP3369144B1 (en) * 2015-10-29 2021-08-25 Molex, LLC Power connector
US10622746B2 (en) * 2016-01-15 2020-04-14 J.S.T. Corporation Terminal position assurance member and method of operating a terminal position assurance member
US9912092B2 (en) * 2016-01-29 2018-03-06 Te Connectivity Corporation Ergonomic terminal position assurance member
CN111262077B (zh) 2017-06-23 2022-01-14 上海莫仕连接器有限公司 电源连接器
USD930590S1 (en) 2018-02-28 2021-09-14 Molex, Llc Connector housing
USD845242S1 (en) * 2018-02-28 2019-04-09 Molex, Llc Connector housing
USD916661S1 (en) 2018-02-28 2021-04-20 Molex, Llc Connector housing
JP6754389B2 (ja) * 2018-04-04 2020-09-09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839145B2 (ja) * 2018-09-03 2021-03-03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11641080B2 (en) * 2020-09-11 2023-05-02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Connector formed with connector body having predetermined surface facing downward and a cable-holding portion integrated under proper arrangem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38589A1 (en) * 2002-07-29 2004-02-26 Yazaki Corporation Connector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18684U (ja) * 1982-02-08 1983-08-12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2622161B2 (ja) * 1988-08-08 1997-06-18 矢崎総業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2695487B2 (ja) 1989-09-29 1997-12-24 日本エー・エム・ピー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H07114131B2 (ja) 1990-05-16 1995-12-06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5181862A (en) * 1991-07-29 1993-01-26 Amp Incorporated Diagnostic header assembly
FR2706687B1 (fr) * 1993-06-15 1995-08-11 Cinch Connecteurs Sa Elément de boîtier de connecteur électrique.
JP2604378Y2 (ja) * 1993-12-06 2000-05-08 矢崎総業株式会社 フロントホルダ付き二重係止コネクタ
US5522740A (en) * 1994-09-29 1996-06-04 Molex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with terminal position assurance device that facilitates fully inserting a terminal
FR2726403B1 (fr) 1994-10-28 1996-11-29 Cinch Connecteurs Sa Connecteur electrique
JP3264314B2 (ja) 1995-02-06 2002-03-11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金具用挿入検知部材を有するコネクタ
US6139374A (en) 1995-07-25 2000-10-31 Framatome Connectors Interlock Inc. Connector assembly
DE19704356C2 (de) 1996-02-05 1999-11-25 Yazaki Corp Steckverbinder mit einem Teil zum Erfassen des Eingriffs von Anschlußstücken
JP3211735B2 (ja) * 1997-07-29 2001-09-25 住友電装株式会社 雌型コネクタ
US5989066A (en) * 1997-12-18 1999-11-23 The Whitaker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with dual position latched terminal position assurance
US5928038A (en) * 1998-04-24 1999-07-27 Molex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system
JP3534225B2 (ja) 1998-05-08 2004-06-07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US5964621A (en) * 1998-06-25 1999-10-12 The Whitaker Corporation Connector assembly for multi-pocket header
JP2003017174A (ja) 2001-07-04 2003-01-17 Yazaki Corp ホルダ付コネクタ
US6913494B2 (en) * 2002-07-17 2005-07-05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apparatus, methods and articles of manufacture
JP2004063115A (ja) * 2002-07-25 2004-02-26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JP2004063281A (ja) * 2002-07-29 2004-02-26 Yazaki Corp コネクタ
JP2004063283A (ja) * 2002-07-29 2004-02-26 Yazaki Corp コネクタ
JP4028316B2 (ja) * 2002-07-30 2007-12-26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38589A1 (en) * 2002-07-29 2004-02-26 Yazaki Corporation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6115710A1 (en) 2006-11-02
KR20070122576A (ko) 2007-12-31
EP1875557A1 (en) 2008-01-09
JP4980342B2 (ja) 2012-07-18
JP2008538851A (ja) 2008-11-06
US20060240718A1 (en) 2006-10-26
US7179135B2 (en) 2007-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8883B1 (ko) 단자위치 보장기구를 구비한 전기 커넥터
US7114997B2 (en) Electrical connector
EP0758806B1 (en) Electrical connector
JP2975357B2 (ja) 雌ヒューズハウジング
US7114992B2 (en) Electrical connector
KR100748573B1 (ko) 커넥터
JP4162214B2 (ja) 電気コネクタ組立体
JP3311228B2 (ja) 端子係止具付きコネクタ
US6851987B2 (en) Connector
US7048583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a terminal position assurance mechanism
JP3878902B2 (ja) 電気コネクタ
US20060035536A1 (en) Electrical connector
US7063577B2 (en) Split-type connector assembly and method of assembling it
JP2007134237A (ja) コネクタ
EP1220360B1 (en) Card edge connector
JP2000188151A (ja) コネクタのロック構造
JPH07326420A (ja) リセプタクルコンタクト及びそれを使用した電気コネクタ
CN112952410B (zh) 连接器
US6488547B2 (en) Connector with longitudinally spaced locks for retaining terminal fittings
US5653602A (en) Erroneous connection preventing stopping plug
WO2023100730A1 (ja) 電気コネクタ及びこれを備えた電気コネクタ対
US6468115B2 (en) Terminal retainer-attached connector
KR20230028413A (ko) 강화된 전기 단자
JP4061831B2 (ja) コネクタ
JP2003249313A (ja) 分割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