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9830B1 - 커넥터 부재 및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부재 및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9830B1
KR101909830B1 KR1020170093800A KR20170093800A KR101909830B1 KR 101909830 B1 KR101909830 B1 KR 101909830B1 KR 1020170093800 A KR1020170093800 A KR 1020170093800A KR 20170093800 A KR20170093800 A KR 20170093800A KR 101909830 B1 KR101909830 B1 KR 1019098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slide member
movable piece
contact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38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6267A (ko
Inventor
히로유키 마츠모토
고지 와다
Original Assignee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162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62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98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98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01R13/6272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comprising a single latching ar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5Latching arms not integral with the hou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8Snap or like fastening comprising a pin snapping into a reces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01R13/641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correct or full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36Securing a plurality of contact members by one locking piece or operation
    • H01R13/4361Insertion of locking piece perpendicular to direction of contact insertion

Abstract

[과제] 커넥터의 반(半)감합 상태를 억제하고, 슬라이드 부재가 외력에 의해 이동하기 어려워, 감합이 해제되기 어려운 커넥터 부재 및 커넥터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걸림 돌기(38)가 마련된 제1 하우징(20)을 가지는 제1 커넥터 부재(12)와, 걸림부(192)를 가지는 슬라이드 부재(162)와, 제2 하우징(102)을 가지는 제2 커넥터 부재(58)가 감합되는 커넥터(10)에 있어서, 제2 하우징(102)과 슬라이드 부재(162)의 사이에는, 탄성 부재(228)가 마련되고, 슬라이드 부재(162)에는, 가동편(180)이 마련되고, 가동편(180)은, 피압압부(182)와, 걸림부(192)를 가지며, 제1 하우징(20)이 이동되는 것에 의해, 피압압부(182)가 걸림 돌기(38)에 압압되고, 슬라이드 부재(162)가 감합 방향으로 이동된 후, 가동편(180)이 회전되어, 피압압부(182)가 걸림 돌기(38)로부터 떨어지고, 탄성력에 의해 슬라이드 부재(162)가 이동되어, 걸림부(192)가 걸림 돌기(38)에 걸린다.

Description

커넥터 부재 및 커넥터{CONNECTOR MEMBER AND CONNECTOR}
본 발명은, 반(半)감합(嵌合, 끼워 맞춤) 상태를 방지할 수 있는 커넥터 부재 및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반감합 상태를 방지할 수 있는 커넥터 감합 구조의 발명이 하기 특허 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커넥터 감합 구조는, 서로 감합 접속되는 한 쌍의 암·수형 커넥터이며, 일방의 커넥터의 하우징 내에 수용한 탄성 부재의 반발력으로 상기 커넥터 서로의 중도(中途) 감합이 방지됨과 아울러, 상기 하우징 내에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됨과 아울러 상대 커넥터와의 감합시에 상기 탄성 부재와 협력하여 상기 하우징 상에 마련된 가요(可撓) 부재를 휘게 하여 상대 하우징에 걸리게 하는 슬라이드 잠금 부재가 마련되어 있는 커넥터 감합 구조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잠금 부재를 수용하는 수용부가 단자 수용실을 구비한 커넥터 하우징과는 다른 전용 하우징에 의해서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 내의 상기 가요 부재의 양측에 측방 공간을 구비하며, 상기 슬라이드 잠금 부재에 마련된 가요(可撓) 암(arm)의 양측 하단에 마련된 맞닿음 돌기가 상기 측방 공간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특허공개 평10-050408호 공보
상기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커넥터 감합 구조에서는, 커넥터끼리의 잠금은, 감합 후, 탄성 부재의 반발력을 가지는 슬라이더의 보조에 의해서, 잠겨져 있기 때문에, 슬라이더는 외력에 의해 이동하기 쉬워지고, 또, 감합이 해제될 우려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커넥터의 반감합 상태를 억제함과 아울러, 슬라이드 부재가 외력에 의해 이동하기 어렵고, 또, 감합이 해제되기 어려운 커넥터 부재 및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제1 형태의 커넥터 부재는, 상대측 커넥터 부재의 외주부에 마련된 걸림 돌기에 걸리는 걸림부를 가지는 슬라이드 부재와,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내측에 마련된 하우징을 가지는 커넥터 부재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부재는, 상기 하우징에 대해서, 감합(嵌合) 방향으로 반복 이동 가능하게 되고,
상기 하우징과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사이에는, 적어도 1개의 탄성 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슬라이드 부재에는, 축부에 의해 이어지고, 상기 축부를 축으로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이동 방향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된 가동편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가동편은, 상기 걸림 돌기의 감합 방향측으로 압압(押壓)되는 피(被)압압부와, 상기 걸림 돌기의 감합 방향측과는 반대측에 걸리는 상기 걸림부를 가지며,
상기 커넥터 부재가 상기 상대측 커넥터 부재와 감합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상대측 커넥터 부재가 감합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에 의해, 상기 가동편의 상기 피압압부가 상기 걸림 돌기에 의해 압압됨으로써, 상기 슬라이드 부재가 상기 탄성 부재를 압축하면서 감합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커넥터 부재와 상기 상대측 커넥터 부재가 감합 상태가 된 후,
상기 가동편이 상기 축부를 축으로 회전됨으로써, 상기 피압압부가 상기 걸림 돌기로부터 떨어져,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 부재가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됨과 아울러, 상기 가동편의 상기 걸림부가 상기 걸림 돌기에 걸리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 형태의 커넥터는, 외주부에 걸림 돌기가 마련된 제1 하우징을 가지는 제1 커넥터 부재와,
상기 걸림 돌기에 걸리는 걸림부를 가지는 슬라이드 부재와,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내측에 마련된 제2 하우징을 가지는 제2 커넥터 부재가 감합되는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부재는, 상기 제2 하우징에 대해서, 감합 방향으로 반복 이동 가능하게 되고,
상기 제2 하우징과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사이에는, 적어도 1개의 탄성 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슬라이드 부재에는, 축부에 의해 이어지고, 상기 축부를 축으로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이동 방향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된 가동편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가동편은, 상기 걸림 돌기의 감합 방향측으로 압압되는 피압압부와, 상기 걸림 돌기의 감합 방향측과는 반대측에 걸리는 상기 걸림부를 가지며,
상기 제1 커넥터 부재와 상기 제2 커넥터 부재가 감합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이 감합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에 의해, 상기 가동편의 상기 피압압부가 상기 제1 하우징의 상기 걸림 돌기에 의해 압압됨으로써, 상기 슬라이드 부재가 상기 탄성 부재를 압축하면서 감합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1 커넥터 부재와 상기 제2 커넥터 부재가 감합 상태가 된 후,
상기 가동편이 상기 축부를 축으로 회전됨으로써, 상기 피압압부가 상기 걸림 돌기로부터 떨어져,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 부재가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됨과 아울러, 상기 가동편의 상기 걸림부가 상기 걸림 돌기에 걸리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제3 형태의 커넥터는, 제2 형태의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의 상기 제1 하우징이 감합되는 상기 가동편의 상기 피압압부의 상기 축부를 사이에 둔 반대측을 압압하고, 상기 축부를 축으로 회전시키는 압압 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동된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상기 가동편이, 상기 압압 돌기에 압압됨으로써 회전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제4 형태의 수형 커넥터는, 제3 형태의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의 상기 제1 하우징과 감합되는 측과는 반대측에는, 상기 압압 돌기에 의해 압압된 상기 가동편이 감입(嵌入, 끼워 넣음)되는 감입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제5 형태의 커넥터는, 제2 형태의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가동편의 상기 축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피압압부와는 반대측에는, 조작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조작부를 압압하여 상기 가동편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제2 하우징의 상기 걸림 돌기와 상기 가동편의 걸림부의 걸림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6 형태의 커넥터는, 제2~ 제5 중 어느 하나 형태의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부재는, 상기 제2 하우징을 둘러싸는 통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동편은,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상기 제2 하우징을 둘러싸는 면(面)에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가동편이 마련된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면에는, 상기 가동편을 덮는 덮개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 형태의 커넥터 부재에 의하면, 상대측 커넥터 부재와 감합되지 않는 경우는, 걸림 돌기와 슬라이드 부재의 걸림부가 걸리지 않기 때문에,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제1 커넥터 부재가 되밀어지게 되어, 반감합 상태를 억제할 수 있다. 또, 걸림 돌기와 슬라이드 부재의 걸림부의 걸림은 기계적으로 되어 있고, 탄성 부재의 탄성력은 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슬라이드 부재가 외력에 의해 이동하기 어렵고, 또, 감합이 해제되기 어렵게 된다.
제2 형태의 커넥터에 의하면, 제1 커넥터 부재와 제2 커넥터 부재가 감합되지 않는 경우는, 제1 하우징의 걸림 돌기와 슬라이드 부재의 걸림부가 걸리지 않기 때문에,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제1 커넥터 부재가 되밀어지게 되어, 반감합 상태를 억제할 수 있다. 또, 제1 하우징의 걸림 돌기와 슬라이드 부재의 걸림부의 걸림은 기계적으로 되어 있고, 탄성 부재의 탄성력은 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슬라이드 부재가 외력에 의해 이동하기 어렵고, 또, 감합이 해제되기 어렵게 된다.
또, 제3 형태의 커넥터에 의하면, 제2 커넥터 부재를 감합 위치까지 이동시키면, 슬라이드 부재에 제2 커넥터 부재가 접촉되어, 가동편이 회전됨으로써 걸림을 간단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또, 제4 형태의 커넥터에 의하면, 슬라이드 부재의 이동에 따라 회전된 가동편을 감입부로 유도함으로써, 가동편의 회전을 원활히 행할 수 있다.
또, 제5 형태의 커넥터에 의하면, 조작부를 압압함으로써 걸림이 해제되므로, 용이하게 제1 커넥터 부재와 제2 커넥터 부재를 떼어낼 수 있다.
또, 제6 형태의 커넥터에 의하면, 가동편이 마련된 슬라이드 부재의 면(面)에 덮개부가 형성됨으로써, 가동편이 보호됨과 아울러, 슬라이드 부재의 가동편이 형성된 면의 강도가 약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a는 실시 형태에 관한 커넥터를 구성하는 제1 커넥터 부재와 제2 커넥터 부재의 감합 전의 상태를 나타낸 일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며, 도 1b는 타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 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a는 제1 커넥터 부재의 일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고, 도 3b는 타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며, 도 3c는 정면도이다.
도 4a는 제2 커넥터 부재의 일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며, 도 4b는 타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5a는 제2 커넥터 부재의 평면도이고, 도 5b는 정면도이고, 도 5c는 저면도이고, 도 5d는 일방으로부터 본 측면도이며, 도 5e는 후면도이다.
도 6a는 와이어를 장착한 상태의 제2 콘택트의 사시도이고, 도 6b는 일방으로부터 본 측면도이고, 도 6c는 타방으로부터 본 측면도이며, 도 6d는 정면도이다.
도 7a는 제2 하우징의 일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며, 도 7b는 타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8a는 제2 하우징의 평면도이고, 도 8b는 정면도이고, 도 8c는 저면도이고, 도 8d는 후면도이며, 도 8e는 일방으로부터 본 측면도이다.
도 9a는 슬라이드 부재의 일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며, 도 9b는 타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0a는 슬라이드 부재의 평면도이고, 도 10b는 정면도이고, 도 10c는 저면도이고, 도 10d는 일방으로부터 본 측면도이며, 도 10e는 후면도이다.
도 11a는 리테이너의 일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며, 도 11b는 타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a의 XII-XII선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13a는 제1 커넥터 부재와 제2 커넥터 부재의 감합을 설명하는 도 12에 이어지는 단면도이며, 도 13b는 도 13a에 대응하는 도 1a의 XIIIB-XIIIB선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14a는 제1 커넥터 부재와 제2 커넥터 부재의 감합을 설명하는 도 13a에 이어지는 단면도이며, 도 14b는 도 13b에 이어지는 단면도이다.
도 15a는 제1 커넥터 부재와 제2 커넥터 부재의 감합을 설명하는 도 14a에 이어지는 단면도이며, 도 15b는 도 14b에 이어지는 단면도이다.
도 16a는 제1 커넥터 부재와 제2 커넥터 부재의 감합을 설명하는 도 15a에 이어지는 단면도이며, 도 16b는 도 15b에 이어지는 단면도이다.
도 17은 제1 커넥터 부재와 제2 커넥터 부재의 떼어냄을 설명하는 도 12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단,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구체화하기 위한 커넥터 부재 및 커넥터를 예시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을 이들에 특정하는 것을 의도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 범위에 포함되는 그 외의 실시 형태의 것에도 동일하게 적응할 수 있는 것이다.
[실시 형태]
도 1~도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커넥터(10)에 대해 설명한다. 실시 형태의 커넥터(10)는, 도 1(도 1a 및 도 1b)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콘택트(14)를 가지는 제1 커넥터 부재(12)와, 제1 콘택트(14)와 접촉되는 제2 콘택트(60)를 가지는 커넥터 부재로서의 제2 커넥터 부재(58)로 구성되며, 제1 커넥터 부재(12)와 제2 커넥터 부재(58)를 감합시킴으로써, 제1 커넥터 부재(12)에 마련된 제1 콘택트(14)와 제2 커넥터 부재(58)에 마련된 제2 콘택트(60)가 접촉되어, 전기적인 접속이 행하여진다.
또, 실시 형태의 제2 커넥터 부재(58)에는, 탄성 부재로서의 코일 모양의 스프링 부재(228)와, 이 스프링 부재(228)의 탄성력에 의해 이동되는 슬라이드 부재(162)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슬라이드 부재(162)에는, 제1 커넥터 부재(12)에 형성된 걸림 돌기(38)에 걸리는 걸림부(192)가 형성되어 있으며(도 12 참조), 제1 커넥터 부재(12)가 제2 커넥터 부재(58)에 삽입된 경우, 제2 커넥터 부재(58)의 슬라이드 부재(162)가 제1 커넥터 부재(12)에 걸림으로써 제1 커넥터 부재(12)와 제2 커넥터 부재의 감합이 행하여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도 16(도 16a 및 도 16b) 참조).
또, 제1 커넥터 부재(12)에 제2 커넥터 부재(58)의 슬라이드 부재(162)가 걸리지 않는 경우에는, 스프링 부재(228)에 의해 슬라이드 부재(162)가 원래의 위치로 되밀어지기 때문에, 제1 커넥터 부재와 제2 커넥터 부재가 감합되어 있지 않은 것이 작업자에게 알려지기 때문에, 반감합 상태를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먼저, 도 3(도 3a 내지 도 3c), 도 12를 참조하여 제1 커넥터 부재(12)에 대해 설명한다. 제1 커넥터 부재(12)는, 적어도 1개, 실시 형태에서는, 2개의 제1 콘택트(14)와, 제1 콘택트(14)가 내부에 수용된 제1 하우징(20)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 콘택트(14)는, 제1 콘택트 본체(16)를 가지며, 이 제1 콘택트 본체(16)의 일방에 제2 커넥터 부재(58)가 가지는 제2 콘택트(60)와 접촉되는 제1 접촉부(18)를 가지며, 예를 들면, 금속제의 막대 모양체가 굴곡 가공 등이 이루어짐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또, 제1 콘택트(14)의 타방은, 도시가 생략되어 있지만, 예를 들면, 기판 등에 접속되는 접속부나, 와이어와 접속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 도 12를 참조하여 제1 하우징(20)에 대해 설명한다. 제1 하우징(20)은, 제2 커넥터 부재(58)가 가지는 제2 하우징(102)의 일부가 삽입되는 제1 개구부(24)가 형성된 제1 전면(前面)(22)과, 제1 전면(22)과 대향하며, 폐색된 제1 후면(26)과, 외주를 둘러싸는 제1 상면(上面)(28), 제1 저면(30), 일방의 제1 측면(32) 및 타방의 제1 측면(34)으로 구성되며,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통 모양체로서, 수지 재료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 제1 하우징(20)의 제1 상면(28), 제1 저면(30), 일방의 제1 측면(32) 및 타방의 제1 측면(34)으로 둘러싸인 내부는, 제1 전면(22)의 제1 개구부(24)와 연통되는 공간부(36)가 마련되어 있으며, 이 공간부(36)에는, 제2 하우징(102)이 삽입됨과 아울러, 제1 콘택트(14)의 제1 접촉부(18)가 배치되게 된다. 또 제1 하우징(20)의 외주에는, 제2 커넥터 부재(58)와의 감합 방향을 따라서, 후술하는 복수의 가이드부(50, 52, 54, 56)가 형성되어 있다. 이 복수의 가이드부(50, 52, 54, 56)는,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상면(28)에 2개, 제1 저면(30)에 2개, 일방의 제1 측면(32) 및 타방의 제1 측면(34)에 각각 1개씩 형성되어 있다. 또, 제1 하우징(20)은, 제1 전면(22)측이, 제2 커넥터 부재(58)에 삽입되게 된다.
제1 하우징(20)의 제1 전면(22)에는, 제2 하우징(102)이 삽입되는 제1 개구부(24)가 형성되어 있다. 또, 제1 전면(22)의 내주측에는, 경사 모양으로 테이퍼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2 하우징(102)이 삽입되기 쉽게 되도록 되어 있다. 또, 제1 전면(22)의 외주측에는, 제1 하우징(20)의 외주측에 형성된 복수의 가이드부(50, 52, 54, 56)를 구성하는 복수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또, 제1 하우징(20)의 제1 후면(26)은, 폐색되어 벽 모양으로 되어 있다. 또, 실시 형태에서는, 도시는 생략되어 있지만, 이 제1 후면(26)측으로부터 제1 콘택트(14)의 접속부나, 제1 콘택트(14)에 장착된 와이어 등이 통과하는 개구를 형성하도록 해도 괜찮다. 또, 제1 후면(26)의 외주측에는, 복수의 가이드부(50, 52, 54, 56)를 구성하는 복수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또, 제1 하우징(20)의 제1 상면(28)에는, 걸림 돌기(38)가 형성되어 있다. 이 걸림 돌기(38)는, 후술하는 제2 커넥터 부재(58)의 슬라이드 부재(162)에 형성된 걸림부(192)와 걸리는 부분이 된다. 걸림 돌기(38)는, 제1 하우징(20)의 제1 상면(28)의 감합 방향의 축선 상으로서, 중앙부에 비해 제1 전면(22)측에 형성되어 있다. 또, 걸림 돌기(38)의 제1 전면(22)측은, 중앙 부분이 움푹 패인 오목부(40)와, 이 오목부(40)의 양측이 제1 전면(22)측으로 돌출된 한 쌍의 돌출부(42)로 구성되며, 평면에서 보아 コ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걸림 돌기(38)의 한 쌍의 돌출부(42)는, 감합 방향측이 예각이 되는 경사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걸림 돌기(38)의 오목부(40)의 안쪽은, 제1 상면(28)에 대해서 대략 수직으로부터 제1 후면(26)측으로 약간 경사진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제2 커넥터 부재(58)의 슬라이드 부재(162)를 압압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된 압압부(44)로 되어 있다.
한편, 걸림 돌기(38)의 제1 후면(26)측은, 슬라이드 부재(162)의 걸림부(192)가 걸리는 걸림면(46)으로 되어 있으며, 걸림면(46)은, 제1 상면(28)에 대해서 대략 수직으로부터 제1 후면(26)측으로 약간 경사진 경사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사 모양으로 형성된 걸림면(46)에 걸림부(192)가 걸리게 된다.
또, 제1 상면(28)에는, 일방의 제1 측면(32)측 및 타방의 제1 측면(34)측에 상면 가이드부(50)가 감합 방향을 따라서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제1 상면(28)에 형성된 상면 가이드부(50)는, 제1 상면(28)에 대해서 대략 수직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 제1 저면(30)에는, 일방의 제1 측면(32)측 및 타방의 제1 측면(34)측에 저면 가이드부(56)가 감합 방향을 따라서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저면 가이드부(56)는, 제1 저면(30)으로부터 일방의 제1 측면(32)측 및 타방의 제1 측면(34) 측으로 경사지게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 일방의 제1 측면(32)에는, 감합 방향을 따라서 일방의 측면 가이드부(52)가 감합 방향을 따라서 형성되어 있다. 이 일방의 측면 가이드부(52)는, 일방의 제1 측면(32)으로부터 대략 수직 방향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게다가, 타방의 제1 측면(34)에는, 감합 방향을 따라서 타방의 측면 가이드부(54)가 감합 방향을 따라서 형성되어 있다. 이 타방의 측면 가이드부(54)는, 타방의 제1 측면(34)으로부터 제1 저면(30)측으로 경사지게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 상면 가이드부(50), 저면 가이드부(56), 일방의 측면 가이드부(52) 및 타방의 측면 가이드부(54)를 모두 각 가이드부(50, 52, 54, 56)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또, 제1 저면(30), 일방의 제1 측면(32) 및 타방의 제1 측면(34)에는, 감합 방향을 따라서 돌출된 압압 돌기(48)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압압 돌기(48)는, 제2 커넥터 부재(58)와 감합시키는 경우에, 슬라이드 부재(162)를 압압하는 부분의 일부가 된다.
또, 제1 하우징(20)의 내부에는, 제1 후면(26)측으로부터 제1 콘택트(14)의 제1 접촉부(18)가 돌출되어 있고, 삽입된 제2 커넥터 부재(58)의 제2 콘택트(60)와 접촉되게 된다. 또, 제1 콘택트(14)의 제1 접촉부(18)가 돌출된 부분은, 일부가 부풀어 오르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제1 콘택트(14)가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또, 제1 하우징(20)의 내부의 공간부(36)는, 제2 하우징(102)이 삽입됨과 아울러, 제2 하우징(102)의 외주부에 장착된 씰 부재(240)가 삽입되며, 공간부(36)의 내주측, 즉, 제1 상면(28), 제1 저면(30), 일방의 제1 측면(32) 및 타방의 제1 측면(34)의 내측에 밀착되게 되어, 방수성을 가지게 된다.
또, 제1 하우징(20)과 제1 콘택트(14)는, 몰드 성형 등에 의해 일체로 형성해도 좋고, 또, 각각 별체로 형성하여, 조립하도록 해도 괜찮다.
다음으로, 도 2, 도 4(도 4a 및 도 4b)~도 12를 참조하여, 제2 커넥터 부재(58)에 대해 설명한다. 제2 커넥터 부재(58)는, 도 2, 도 4, 도 5(도 5a 내지 도 5e),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와이어(98)가 장착된 적어도 1개, 실시 형태에서는, 2개의 제2 콘택트(60)와, 제2 콘택트(60)가 수용되는 제2 하우징(102)과, 제2 하우징(102)에 대해서 반복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슬라이드 부재(162)와, 제2 하우징(102)과 슬라이드 부재(162)와의 사이에 마련된 적어도 1개, 실시 형태에서는, 2개의 탄성 부재로서의 코일 모양의 스프링 부재(228)를 가지고 있다.
또, 제2 커넥터 부재(58)에는, 제2 하우징(102)에 장착되고, 제2 하우징(102)내의 소정의 위치에 제2 콘택트(60)를 위치 결정하여 고정시키는 리테이너(230)가 마련되어 있다. 게다가, 제2 하우징(102)의 제1 하우징(20)의 공간부(36)에 삽입되는 부분에 고리 모양의 씰 부재(240)가 장착되어 있다.
먼저, 도 2, 도 5, 도 6(도 6a 내지 도 6d)을 참조하여, 제2 콘택트(60)에 대해 설명한다. 또, 제2 콘택트(60)는, 실시 형태에서는, 2개의 제2 콘택트(60)가 마련되어 있지만, 각각은 공통되므로, 한 개를 대표하여 설명한다.
제2 콘택트(60)는, 제2 콘택트 본체(62)와, 이 제2 콘택트 본체(62)의 일방에는, 제1 콘택트(14)의 제1 접촉부(18)가 삽입되는 삽입구(64)를 가지며, 타방에는, 와이어(98)가 장착되는 와이어 장착부(94)를 가지며, 금속제의 판체를 타발, 절곡 가공 등을 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또, 제2 콘택트 본체(62)의 내측에는, 제1 콘택트(14)의 제1 접촉부(18)와 접촉되는 제2 접촉부(76)가 마련되어 있다.
제2 콘택트 본체(62)는, 일방에 제1 콘택트(14)의 제1 접촉부(18)가 삽입되는 삽입구(64)가 형성되고, 상면부(66), 저면부(68), 일방의 측면부(70) 및 타방의 측면부(72)에 의해 둘러싸인 통 모양체로 형성되어 있다.
제2 콘택트 본체(62)의 상면부(66)에는, 대략 중앙 부분이 외측을 향해 돌출된 볼록부(78)가 형성되어 있다. 이 볼록부(78)는, 제2 하우징(102)에 삽입될 때에, 제2 하우징(102)의 콘택트 삽입구(112)에 형성된 오목부(142)를 통과시키는 부분이 되고, 제2 콘택트(60)의 삽입이 가이드되게 된다. 또, 제2 콘택트 본체(62)에 볼록부(78)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제2 콘택트(60)가 다른 방향으로 삽입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또, 제2 콘택트 본체(62)의 상면부(66)의 와이어 장착부(94)측에는 후술하는 리테이너(230)의 고정 돌기(236)가 끼워 넣어지는 것에 의해 위치 결정되어 고정되는 고정부(88)가 형성되어 있다.
또, 제2 콘택트(60)의 상면부(66)의 고정부(88)측으로부터는 제2 접촉부(76)가 형성된 접촉편(74)이 제2 콘택트 본체(62)의 내부를 향해 연장 마련되어 있다. 이 접촉편(74)은 상면부(66)의 고정부(88)측을 축으로 탄성 변형되게 되어 있다. 한편, 제2 콘택트(60)의 상면부(66)의 삽입구(64)측의 단부로부터는, 연장 마련된 접촉편(74)의 선단 부분이 보호되는 접촉편 보호부(84)가 제2 콘택트 본체(62)의 내부를 향해 연장 마련되어 있다.
또, 접촉편 보호부(84)의 일방의 측면부(70)측에는, 일방의 측면부(70)에 형성된 구멍부(82)에 끼워넣어지는 돌기부(80)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기부(80)가 구멍부(82)에 끼워넣어짐으로써, 접촉편 보호부(84)가 고정된다.
또, 접촉편(74)의 탄성 변형되는 부분의 저면부(68)측에, 제2 접촉부(76)가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이 제2 접촉부(76)와 제1 콘택트(14)의 제1 접촉부(18)가 접촉되게 된다.
제2 콘택트 본체(62)의 저면부(68)에는, 개구된 감입구(嵌入口)(92)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감입구(92)에는, 후술하는 제2 하우징(102)의 내부에 형성된 콘택트 수용부(140)에 마련된 클로(claw) 모양의 랜스(lance)(144)(도 8b, 도 8d 참조)가 들어감으로써, 제2 콘택트(60)가 콘택트 수용부(140) 내에 위치 결정되어 고정되게 된다.
또, 제2 콘택트 본체(62)의 저면부(68)로부터 내측을 향해 한 쌍의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오목부가 형성된 부분의 제2 콘택트 본체(62)의 내부에는, 융기된 한 쌍의 융기부(90)가 형성되게 된다. 이 융기부(90)는, 제2 접촉부(76)와 대향하는 부분에 형성되어 있으며, 삽입된 제1 콘택트(14)가 융기부(90)에 의해 제2 접촉부(76)측을 향해 밀리게 된다.
또, 제2 콘택트 본체(62)의 일방의 측면부(70)에는, 상술한 접촉편 보호부(84)에 형성된 돌기부(80)가 끼워넣어지는 구멍부(82)가 형성되어 있다.
또, 와이어 장착부(94)에는, 와이어(98)가 장착될 때에 접속되는 복수의 장착편(96)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 장착편(96)이 절곡됨으로써, 제2 콘택트(60)에 와이어(98)가 장착되게 된다. 또, 장착편(96)은, 와이어의 도전성의 전선 부분에 장착되는 것과, 전선이 덮여져 있는 절연성의 수지 부분에 장착되는 것이 있다.
또, 실시 형태에서는, 와이어 장착부(94)측의 와이어(98)에, 예를 들면 수지 재료로 형성된 씰부(100)가 마련되어 있다. 이 씰부(100)는, 후술하는 제2 하우징(102)에 형성된 제2 콘택트(60)가 삽입되며, 수용되는 콘택트 수용부(140)에 수용되었을 때에, 이 콘택트 수용부(140) 내에 밀착됨으로써, 제2 콘택트(60)를 안정되게 수용시킴과 아울러, 방수성을 얻는 것이다. 또, 이 씰부(100)는, 와이어와 일체로 형성해도 좋고, 또, 별도의 부재로서 형성하여, 조립하도록 해도 괜찮다.
다음으로, 도 2, 도 7(도 7a 및 도 7b), 도 8(도 8a 내지 도 8e), 도 12를 참조하여, 제2 하우징(102)에 대해 설명한다. 제2 하우징(102)은, 제1 커넥터 부재(12)의 제1 콘택트(14)가 삽입되는 삽입 개구(126)가 형성된 삽입부(122)가 돌출하여 형성된 제2 전면(104)과, 제2 전면(104)의 반대측으로서, 제2 콘택트(60)가 삽입되는 콘택트 삽입구(112)가 형성된 제2 후면(110)과, 제2 상면(114), 제2 저면(116), 일방의 제2 측면(118) 및 타방의 제2 측면(120)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수지 재료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 제2 하우징(102)의 내부에는, 각 제2 콘택트(60)가 수용되는 콘택트 수용부(140)가 삽입부(122)에 걸쳐서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삽입부(122)의 선단측의 전방부(124)에 형성된 삽입 개구(126)와, 제2 후면(110)에 형성된 콘택트 삽입구(112)가 연통되도록 되어 있다.
제2 하우징(102)의 제2 전면(104)에는, 대략 중앙 부분으로부터, 제1 커넥터 부재(12)와의 감합 방향으로 돌출된 삽입부(122)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삽입부(122)는, 제1 커넥터 부재(12)와 감합된 경우에, 제1 하우징(20)에 형성된 제1 개구부(24)로부터 삽입되고, 내부의 공간부(36)에 배치되는 부분이 된다. 그 때, 제1 커넥터 부재(12)의 제1 콘택트(14)가 제2 전면(104)에 형성된 제1 개구부(24)로부터 삽입되어, 콘택트 수용부(140)에 수용된 제2 콘택트(60)와 접촉되게 된다.
또, 삽입부(122)는, 소정 길이를 가지는 대략 직방체 모양으로 형성되고, 전방부(124)에 제1 콘택트(14)가 삽입되는 삽입 개구(126)가 형성되어 있다. 또, 삽입부(122)의 외주는, 상부(128), 저부(132), 일방의 측부(136) 및 타방의 측부(138)에 의해 둘러싸여져 있으며, 각 모서리부는 곡면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삽입부(122)의 저부(132)에는, 후술하는 리테이너(230)가 삽입되어 장착되는 리테이너 장착부(134)가 형성되어 있으며, 삽입부(122)의 상부(128)에는, 장착된 리테이너(230)의 지지부(238)(도 11(도 11a 및 도 11b), 도 12 참조)의 선단측이 돌출되는 리테이너 돌출구(130)가 형성되어 있다.
또, 삽입부(122)의 제2 전면(104)측의 외주에는, 고리 모양의 씰 부재(240)가 장착되게 된다(도 2, 도 12 참조).
또, 제2 전면(104)에는, 제2 상면(114)측으로서, 일방의 제2 측면(118)측 및 타방의 제2 측면(120)측으로 돌출된 막대 모양의 한 쌍의 일방의 스프링 지지부(106)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일방의 스프링 지지부(106)는, 스프링 부재(228)가 장착되는 부분이 된다. 또, 일방의 스프링 지지부(106)의 주위의 일부에는, 스프링 부재(228)를 가이드하는 스프링 부재 가이드부(108)가 각각 곡면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 하우징(102)의 제2 후면(110)에는, 제2 콘택트(60)가 삽입되는 콘택트 삽입구(112)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 제2 후면(110)의 외주측, 즉, 제2 상면(114)측, 제2 저면(116)측, 일방의 제2 측면(118)측 및 타방의 제2 측면(120)측에는, 돌출된 플랜지부(154)가 형성되어 있다. 이 플랜지부(154)에는, 제1 커넥터 부재(12)와 감합되는 경우에, 후술하는 슬라이드 부재(162)가 맞닿거나 또는 근접되는 부분이 된다.
또, 제2 하우징(102)의 제2 상면(114)에는, 중앙 부분에 제1 전면(22)측으로부터 파인 유도(誘導) 홈부(146)가 형성되어 있다. 이 유도 홈부(146)는, 슬라이드 부재(162)에 형성된 가동편(180)을 슬라이드 부재(162)의 이동에 따라 변동시킴과 아울러, 감입되는 부분이 된다. 이 유도 홈부(146)에는, 가동편(180)의 선단 부분이 접촉하며, 가동편(180)이 압압되는 압압 돌기부(148)와, 압압된 가동편(180)이 슬라이드 부재(162)의 이동과 함께 감입하는 감입부(150)를 가지고 있다.
또, 제2 상면(114)에는, 일방의 제2 측면(118)측 및 타방의 제2 측면(120) 측에 슬라이드 부재(162)가 걸림과 아울러, 이동이 안내되는 상면 걸림 돌기(156)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 제2 하우징(102)의 제2 저면(116)에는, 대략 중앙부에 슬라이드 부재(162)가 걸림과 아울러, 이동이 안내되는 저면 걸림 돌기(160)가 형성되어 있다.
또, 일방의 제2 측면(118) 및 타방의 제2 측면(120)에는, 슬라이드 부재(162)의 이동 방향을 따른 가이드 홈부(152)가 제2 전면(104)으로부터 제2 후면(110)에 걸쳐서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가이드 홈부(152)는, 후술하는 슬라이드 부재(162)에 형성된 가이드 돌기(200)를 안내하는 부분이 된다.
게다가, 일방의 제2 측면(118) 및 타방의 제2 측면(120)에는, 슬라이드 부재(162)가 걸림과 아울러, 이동이 안내되는 측면 걸림 돌기(158)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 상면 걸림 돌기(156), 저면 걸림 돌기(160), 및 각 측면 걸림 돌기(158)를 모두 각 걸림 돌기(156, 158, 160)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또, 제2 하우징(102)의 내부의 콘택트 수용부(140)에는, 일부가 움푹 패여 형성된 오목부(142)가 형성되어 있고, 제2 콘택트(60)의 상면부(66)에 형성된 볼록부(78)가 삽입 통과되어, 제2 콘택트(60)의 삽입을 가이드함과 아울러, 제2 콘택트(60)가 다른 방향으로 삽입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또, 콘택트 수용부(140)에는, 제2 콘택트(60)에 형성된 감입구(92)가 들어가는 클로 모양의 랜스(144)(도 8b, 도 8d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또, 콘택트 수용부(140)의 오목부(142)는, 제2 하우징(102)의 제2 저면(116) 측에 형성되고, 또, 랜스(144)는, 제2 상면(114)측에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제2 콘택트(60)는, 상면부(66)측을 제2 저면(116)측을 향하게 하고, 또, 저면부(68)측을 제2 상면(114)측을 향하게 한 상태, 즉, 도 6에서 나타낸 상태로부터 반전시킨 상태에서, 제2 하우징(102)의 콘택트 수용부(140)에 삽입되게 된다.
다음으로, 도 2, 도 9(도 9a 및 도 9b), 도 10(도 10a 내지 도 10e), 도 12를 참조하여, 슬라이드 부재(162)에 대해 설명한다. 슬라이드 부재(162)는, 일방에, 제2 하우징(102)의 삽입부(122)가 배치됨과 아울러, 제1 커넥터 부재(12)의 제1 하우징(20)이 삽입되는 제2 개구부(166)가 형성된 전면(164)과, 제2 하우징(102)이 삽입되어 장착되는 장착구(170)가 형성된 후면(168)과, 상면(172), 저면(174), 일방의 측면(176) 및 타방의 측면(178)에 의해 둘러싸인 통 모양체로서, 수지 재료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 슬라이드 부재(162)의 내부는, 제2 하우징(102)이 마련되는 공동(空洞)의 수용부(208)로 되어 있다.
슬라이드 부재(162)의 전면(164)은, 제2 개구부(166)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2 하우징(102)의 삽입부(122)가 배치됨과 아울러, 제1 커넥터 부재(12)의 제1 하우징(20)이 삽입되는 부분이 된다.
또, 상면(172)측의 제2 개구부(166)에는, 가동편(180)이 마련되어 있으며, 가동편(180)이 반복 이동되는 가동 홈(202)이 형성되어 있다. 또, 가동편(180)의 전면(164)측은, 제1 커넥터 부재(12)의 제1 하우징(20)에 형성된 걸림 돌기(38)의 오목부(40)의 압압부(44)에 압압되는 피압압부(182)가 마련되어 있다.
또, 제2 개구부(166)의 상면(172)측으로서, 일방의 측면(176)측 및 타방의 측면(178)측에는, 제1 하우징(20)에 형성된 상면 가이드부(50)가 삽입 통과되는 상면 가이드 홈(210)이 마련되어 있다. 이 상면 가이드 홈(210)은, 제2 개구부(166)와 가동편(180)과의 간극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제1 하우징(20)의 상면 가이드부(50)가 제2 개구부(166)와 가동편(180)과의 사이에 삽입 통과되게 된다.
또, 슬라이드 부재(162)의 저면(174)측의 제2 개구부(166)에는, 제1 하우징(20)에 형성된 저면 가이드부(56)가 삽입 통과되는 저면 가이드 홈(216)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저면 가이드 홈(216)은, 저면 가이드부(56)에 대응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또, 슬라이드 부재(162)의 일방의 측면(176)측의 제2 개구부(166)에는, 제1 하우징(20)에 형성된 타방의 측면 가이드부(54)가 삽입 통과되는 일방의 측면 가이드 홈(212)이 형성되어 있다. 이 일방의 측면 가이드 홈(212)은, 타방의 측면 가이드부(54)에 대응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게다가, 슬라이드 부재(162)의 타방의 측면(178)측의 제2 개구부(166)에는, 제1 하우징(20)에 형성된 일방의 측면 가이드부(52)가 삽입 통과되는 타방의 측면 가이드 홈(214)이 형성되어 있다. 이 타방의 측면 가이드 홈(214)은, 일방의 측면 가이드부(52)에 대응하도록, 제1 하우징(20)의 삽입 방향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상면 가이드 홈(210), 저면 가이드 홈(216), 일방의 측면 가이드 홈(212) 및 타방의 측면 가이드 홈(214)을 모두 각 가이드 홈(210, 212, 214, 216)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또, 슬라이드 부재(162)의 전면(164)측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각 가이드 홈(210, 212, 214, 216)도, 소정의 길이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또, 제1 하우징(20)의 각 가이드부(50, 52, 54, 56) 및 슬라이드 부재(162)의 각 가이드 홈(210, 212, 214, 216)의 형상이나 방향을 대응하도록 삽입시킴으로써, 제1 커넥터 부재(12)를 올바른 방향으로 삽입시킬 수 있다.
또, 슬라이드 부재(162)의 전면(164)의 내측에는, 상면(172)측으로서, 일방의 측면(176)측 및 타방의 측면(178)측으로 돌출된 막대 모양의 한 쌍의 타방의 스프링 지지부(196)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타방의 스프링 지지부(196)는, 스프링 부재(228)가 장착되는 부분이 되고, 제2 하우징(102)에 형성된 일방의 스프링 지지부(106)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또, 슬라이드 부재(162)의 전면(164)의 일방의 측면(176)측 및 타방의 측면(178)측에는, 후술하는 제2 하우징(102)에 형성된 각 걸림 돌기(156, 158, 160)중, 측면 걸림 돌기(158), 저면 걸림 돌기(160)가 안내되는 각 걸림 홈부(218, 220)를 구성하는 홈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드 부재(162)의 후면(168)은, 제2 하우징(102)이 삽입되도록 크게 개방된 장착구(裝着口)(170)가 형성되어 있다.
또, 후면(168)의 상면(172)측에는, 후면(168)측이 넓어지는 ハ자 모양으로 개방되고, 가동편(180)이 마련되도록 절입(
Figure 112017071172213-pat00001
)부(204)가 형성되어 있다. 또, 가동편(180)의 후면(168)측에는, 감입 돌기부(186)가 형성되어 있다.
또, 후면(168)의 저면(174)측, 일방의 측면(176)측 및 타방의 측면(178)측에는, 경사진 경사부(206)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제2 하우징(102)의 제2 저면(116)에 형성된 저면 걸림 돌기(160) 및 측면 걸림 돌기(158)가 삽입되는 부분이 된다.
게다가, 후면(168)의 일방의 측면(176)측 및 타방의 측면(178)측에는, 제2 하우징(102)의 일방의 제2 측면(118) 및 타방의 제2 측면(120)에 형성된 가이드 홈부(152)에 가이드되는 가이드 돌기(200)를 구성하는 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드 부재(162)의 상면(172)에는, 감합된 제1 커넥터 부재(12)와의 걸림 및 걸림 해제가 행하여지는 가동편(180)이 마련되어 있다.
가동편(180)은, 제1 하우징(20)의 삽입 방향을 따라서 마련된 판 모양체로서, 이 판 모양체의 양변의 대략 중앙 부분의 일부가 축부(184)로서 상면(172)과 이어져 있다. 그리고, 가동편(180)은, 이 축부(184)를 축으로 회전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가동편(180)의 전면(164)측에는, 제1 하우징(20)에 형성된 걸림 돌기(38)의 압압부(44)에 압압되는 피압압부(182)가 형성되어 있다. 이 피압압부(182)는, 제1 하우징(20)의 걸림 돌기(38)의 오목부(40)에 감입되도록 일부가 좁아지도록 형성되며, 제1 하우징(20)의 걸림 돌기(38)의 오목부(40)의 안쪽의 압압부(44)에 압압되게 된다.
또, 가동편(180)의 전면(164)측의 피압압부(182)의 양단은,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게다가, 가동편(180)의 전면(164)측으로서, 저면(174)측에는, 갈고랑이 모양의 걸림부(192)가 형성되어 있다. 이 걸림부(192)는, 제1 하우징(20)에 형성된 걸림 돌기(38)의 경사진 걸림면(46)과 걸리도록, 경사진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걸림이 해제되기 어려운 구성으로 되어 있다.
가동편(180)의 후면(168)측에는, 제2 하우징(102)의 유도 홈부(146)의 감입부(150)에 끼워 넣는 감입 돌기부(186)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감입 돌기부(186)는, 상면(172)측이 경사진 테이퍼부(188)를 가지고 있고, 유도 홈부(146)에 형성된 압압 돌기부(148)에 압압된 후, 감입부(150)에 유도되게 된다.
또, 가동편(180)의 상면(172)측에는, 제1 하우징(20)의 걸림 돌기(38)와 걸린 가동편(180)의 걸림을 해제하기 위한 조작부(190)가 형성되어 있다. 이 조작부(190)를 하부로 압압함으로써, 가동편(180)이 축부(184)를 축으로 회전 이동되며, 걸림 돌기(38)의 걸림면(46)에 걸린 걸림부(192)가 이동하여, 걸림이 해제되게 된다.
또, 가동편(180)의 상면(172)측은, 덮개부(194)에 의해 덮여져 있다. 이 덮개부(194)는, 가동편(180)을 보호함과 아울러, 상면(172)의 강도를 확보하기 위한의 것이 된다.
또, 상면(172)의 내측에는, 상면 걸림 돌기(156)가 걸려지는 상면 걸림부(222)가 형성되어 있다(도 13b 참조).
슬라이드 부재(162)의 저면(174)에는, 제2 하우징(102)의 제2 저면(116)에 형성된 저면 걸림 돌기(160)가 걸림과 아울러, 제2 하우징(102)의 이동이 가이드 되는 저면 걸림 홈부(220)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저면 걸림 홈부(220)는, 슬라이드 부재(162)의 저면(174)측에 형성된 경사부(206)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또, 저면 걸림 홈부(220)와 경사부(206)와의 사이는, 저면 걸림 돌기(160)가 걸리는 저면 걸림부(226)로 되어 있으며, 제2 하우징(102)의 저면 걸림 돌기(160)가 걸리는 부분이 된다.
또, 저면(174)에는, 리테이너(230)가 삽입 통과되는 리테이너 삽통공(揷通孔)(198)이 형성되어 있다. 이 리테이너 삽통공(198)은, 저면 걸림 홈부(220)와 이어져 형성되어 있으며, 제2 하우징(102)의 저면 걸림 돌기(160)가 이동되는 부분도 된다.
슬라이드 부재(162)의 일방의 측면(176) 및 타방의 측면(178)에는, 제2 하우징(102)의 일방의 제2 측면(118) 및 타방의 제2 측면(120)에 형성된 각 측면 걸림 돌기(158)가 걸림과 아울러, 제2 하우징(102)의 이동이 가이드되는 측면 걸림 홈부(218)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저면 걸림 홈부(220)는, 슬라이드 부재(162)의 일방의 측면(176)측 및 타방의 측면(178)측에 형성된 각 경사부(206)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또, 측면 걸림 홈부(218)와 경사부(206)와의 사이는, 측면 걸림 돌기(158)가 걸리는 측면 걸림부(224)로 되어 있으며, 제2 하우징(102)의 측면 걸림 돌기(158)가 각각 걸리는 부분이 된다. 또, 저면 걸림 홈부(220)및 각 측면 걸림 홈부(218)를 모두 각 걸림 홈부(218, 220)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또, 상면 걸림부(222), 측면 걸림부(224), 저면 걸림부(226)를 모두 각 걸림부(222, 224, 226)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또, 일방의 측면(176) 및 타방의 측면(178)의 각 내측에는, 제2 하우징(102)이 삽입되는 방향을 따라서 돌출된 가이드 돌기(200)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11(도 11a 및 도 11b), 도 12를 참조하여 리테이너(230)에 대해 설명한다. 리테이너(230)는, 제2 하우징(102)에 수용된 제2 콘택트(60)를 위치 결정하여 고정시키는 것이며,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직방체 모양의 리테이너 본체부(232)와, 리테이너 본체부(232)의 제2 하우징(102)으로 삽입되는 측으로 돌출하여 형성된 고정 돌기(236)와, 고정 돌기(236)의 대략 중앙 부분으로부터 더 연장 마련된 지지부(238)로 구성되며, 제2 하우징(102)의 리테이너 장착부(134)에 삽입되어 장착되고, 제2 콘택트(60)를 콘택트 수용부(140) 내에 위치 결정 고정시키는 것이다.
또, 리테이너 본체부(232)에는, 양변측에 제 2 하우징(102)에 장착되는 장착부(234)가 쐐기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고정 돌기(236)는, 제2 하우징(102)의 콘택트 수용부(140)에 수용된 상태의 제2 콘택트(60)의 고정부(88)에 감합됨으로써, 제2 콘택트(60)를 콘택트 수용부(140) 내에 위치 결정하여 고정되게 된다.
지지부(238)는, 고정 돌기(236)로부터 더 연장 마련된 기둥 모양체로서, 제2 하우징(102)에 삽입됨으로써, 2개의 제2 콘택트(60)를 구분하여 접촉을 억제하고, 또, 제2 하우징(102)의 리테이너 돌출구(130)로부터 돌출시킴으로써, 리테이너(230)가 지지되어, 이동해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탄성 부재로서의 스프링 부재(228)는, 소정 길이를 가지는 코일 모양의 스프링체이며, 제2 하우징(102)의 일방의 스프링 지지부(106)와 슬라이드 부재(162)의 타방의 스프링 지지부(196)와의 사이에 각각 마련되게 된다.
씰 부재(240)는, 도 2,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무 등의 탄성력을 가지는 수지 재료에 의해 고리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제2 하우징(102)의 삽입부의 제2 전면측의 외주에 장착되게 된다. 그리고, 씰 부재(240)는, 제1 커넥터 부재(12)와 제2 커넥터 부재(58)가 감합된 경우, 제1 하우징(20)의 공간부(36)의 내측과 밀착됨으로써, 방수 기능을 가지게 된다.
다음으로, 주로 도 2, 도 4, 도 5, 도 12를 참조하여, 제2 커넥터 부재(58)의 조립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2 커넥터 부재(58)의 조립은, 먼저, 제2 하우징(102)에 슬라이드 부재(162)를 장착한다. 이 장착은, 슬라이드 부재(162)의 후면(168)의 장착구(170)로부터 제2 하우징(102)의 제2 전면(104)측을 앞으로 하여 삽입시킨다. 이 때, 제2 하우징(102)의 삽입부(122)의 제2 전면(104)측에 씰 부재(240)를 장착시키고, 또, 제2 하우징(102)의 제2 전면(104)에 형성된 일방의 스프링 지지부(106)와, 슬라이드 부재(162)의 전면(164)의 내측에 형성된 타방의 스프링 지지부(196)와의 사이에 스프링 부재(228)를 장착하여 행하여진다.
먼저, 제2 하우징(102)의 삽입부(122)를 앞으로 하여 슬라이드 부재(162)의 장착구(170)로부터 삽입되면, 제2 하우징(102)의, 측면 걸림 돌기(158), 저면 걸림 돌기(160)가 슬라이드 부재(162)의 후면(168)측에 맞닿게 된다. 이 때, 측면 걸림 돌기(158), 저면 걸림 돌기(160)는, 슬라이드 부재(162)의 후면(168)에 형성된 경사부(206)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그리고, 제2 하우징(102)을 슬라이드 부재(162)에 더 삽입시키면, 제2 하우징(102)의, 측면 걸림 돌기(158), 저면 걸림 돌기(160)가, 경사부(206)을 따라서 이동하여, 타고 넘음으로써, 슬라이드 부재(162)의 각 걸림 홈부(218, 220)에 끼워 넣어지게 된다.
또, 제2 하우징(102)과 슬라이드 부재(162)의 삽입에 따라 스프링 부재(228)가 압축되고, 탄성력을 얻은 상태로 배치되게 되어, 제2 하우징(102)과 슬라이드 부재(162)는 멀어지는 방향으로 압압되게 된다. 이 때, 제2 하우징(102)의 각 걸림 돌기(156, 158, 160)가 슬라이드 부재(162)의 후면(168)측의 각 걸림부(222, 224, 226)에 걸리게 되어, 제2 하우징(102)과 슬라이드 부재(162)가 일시 고정되게 된다.
또, 제2 하우징(102)의 삽입부(122)는, 슬라이드 부재(162)의 제2 개구부(166)에 삽입되고, 전면(164)으로부터 약간 돌출된 위치에 배치되게 된다. 이 때, 슬라이드 부재(162)의 제2 개구부(166)와, 제2 하우징(102)의 삽입부(122)와의 사이에는, 삽입부(122)를 둘러싸도록 간극이 마련되고, 이 간극에, 제1 커넥터 부재(12)의 제1 하우징(20)이 삽입되게 된다.
그 후, 제2 하우징(102)의 제2 후면(110)에 형성된 콘택트 삽입구(112)로부터 와이어(98)를 장착시킨 제2 콘택트(60)의 삽입구(64)를 앞으로 하여 삽입시켜, 콘택트 수용부(140)에 수용시킨다. 이 때, 제2 콘택트(60)는, 상면부(66)를 하측으로 하고, 저면부(68)을 상측으로 하여 삽입시킨다. 또, 제2 콘택트(60)의 상면부(66)에 형성된 볼록부(78)가 콘택트 수용부(140)에 형성된 오목부(142)를 삽입 통과함으로써, 제2 콘택트(60)를 올바른 방향으로 삽입시킬 수 있게 된다.
또, 제2 콘택트(60)가 콘택트 수용부(140)에 수용되었을 때, 제2 콘택트(60)의 저면부(68)에 형성된 감입구(92)에 콘택트 수용부(140)에 형성된 랜스(144)가 갑입되게 된다.
그리고, 슬라이드 부재(162)의 저면(174)의 리테이너 삽통공(198)을 삽입 통과시키고, 제2 하우징(102)의 삽입부(122)의 저부(132)에 형성된 리테이너 장착부(134)에 삽입시켜, 삽입부(122)에 장착시킨다. 이 때, 제2 콘택트(60)의 고정부(88)에 리테이너(230)의 고정 돌기(236)가 감합되어, 제2 콘택트(60)가 위치 결정 고정되고, 또, 리테이너(230)의 장착부(234)가 삽입부(122) 내에 장착됨과 아울러, 지지부(238)가 삽입부(122)의 상부(128)의 리테이너 돌출구(130)로부터 돌출됨으로써, 리테이너(230)의 이동이 억제된 상태로 장착되게 된다.
이상으로, 제2 커넥터 부재(58)의 조립이 완료된다. 또, 제2 콘택트(60)는, 제2 하우징(102)을 슬라이드 부재(162)에 장착하기 전에 장착시키도록 해도 괜찮다.
다음으로, 주로 도 1, 도 12~도 16(도 16a 및 도 16b)을 참조하여, 제1 커넥터 부재(12)와 제2 커넥터 부재(58)의 감합에 대해 설명한다. 제1 커넥터 부재(12)와 제2 커넥터 부재(58)의 감합은, 도 1,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치한 상태로부터, 제2 커넥터 부재(58)의 슬라이드 부재(162)의 전면(164)측에 제 1커넥터 부재(12)의 제1 하우징(20)의 제1 전면(22)측을 삽입시킨다.
이 때, 제1 하우징(20)의 외주에 형성된 각 가이드부(50, 52, 54, 56)가 슬라이드 부재(162)의 제2 개구부(166)에 형성된 각 가이드 홈(210, 212, 214, 216)에 삽입되게 되고, 또, 제2 하우징(102)의 삽입부(122)가 제1 하우징(20)의 제1 개구부(24)에 삽입되게 된다.
그 후, 제1 커넥터 부재(12)를 삽입시키면, 도 13(도 13a 및 도 1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하우징(20)의 제1 상면(28)에 형성된 걸림 돌기(38)의 압압부(44)와 슬라이드 부재(162)의 가동편(180)의 피압압부(182)가 맞닿게 된다. 가동편(180)의 피압압부(182)는, 걸림 돌기(38)의 한 쌍의 돌출부(42)의 사이부터 오목부(40)에 들어가, 오목부(40)의 안쪽의 압압부(44)에 맞닿게 된다. 또, 제1 하우징(20)의 외주에 형성된 압압 돌기(48)의 제1 전면(22)측이, 슬라이드 부재(162)의 전면(164)측에 맞닿게 된다.
그리고, 제1 커넥터 부재(12)를 더 삽입시키면, 제1 하우징(20)의 압압부(44)에 슬라이드 부재(162)의 피압압부(182)가 압압되고, 또, 제1 하우징(20)의 각 압압 돌기(48)에 슬라이드 부재(162)의 전면(164)이 압압됨으로써, 제1 하우징(20)과 함께 슬라이드 부재(162)가 제2 하우징(102)을 향해 이동되게 된다. 이 때, 제2 하우징(102)에 형성된 측면 걸림 돌기(158), 저면 걸림 돌기(160)가 슬라이드 부재(162)에 형성된 각 걸림 홈부(218, 220)를 따라서 이동됨과 아울러, 제2 하우징(102)에 형성된 가이드 홈부(152)에 슬라이드 부재(162)에 형성된 각 가이드 돌기(200)가 가이드되면서 이동되게 된다.
또, 제1 커넥터 부재(12)가 제2 커넥터 부재(58)에 삽입됨으로써, 제1 하우징(20)의 이동에 따라 제2 하우징(102)과 슬라이드 부재(162)의 사이에 마련된 스프링 부재(228)가 압축되게 된다.
게다가, 제1 커넥터 부재(12)의 제1 하우징(20)의 공간부(36)로 돌출된 제1 콘택트(14)의 제1 접촉부(18)가, 제2 하우징(102)의 삽입부(122)의 전방부(124)에 형성된 삽입 개구(126)로부터 삽입되게 된다.
이 상태로부터 제1 커넥터 부재(12)를 더 삽입시키면, 도 14(도 14a 및 도 1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드 부재(162)의 가동편(180)의 후면(168)측의 감입 돌기부(186)가, 제2 하우징(102)의 유도 홈부(146)의 압압 돌기부(148)에 맞닿게 된다.
그리고, 가동편(180)의 감입 돌기부(186)와 유도 홈부(146)의 압압 돌기부(148)가 맞닿은 상태에서, 제1 커넥터 부재(12)를 더 삽입하면, 도 15(도 15a 및 도 1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압 돌기부(148)에 압압된 감입 돌기부(186)가, 감입 돌기부(186)에 형성된 테이퍼부(188)의 경사를 따라서 감입부(150)측을 향하도록 이동된다.
이 때 가동편(180)은, 상면(172)의 축부(184)를 축으로 회전되어 이동된다. 이 상태로부터 제1 커넥터 부재(12)를 더 삽입시킴으로써, 가동편(180)의 감입 돌기부(186)가 유도 홈부(146)의 감입부(150)에 더 들어가, 가동편(180)의 감입 돌기부(186)와는 반대측의 피압압부(182)가, 감입 돌기부(186)와는 반대 방향, 즉, 제1 하우징(2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 이동되게 된다. 그 때문에, 가동편(180)의 피압압부(182)가 제1 하우징(20)의 압압부(44)로부터 멀어지게 된다.  
그리고, 가동편(180)의 피압압부(182)가 걸림 돌기(38)의 압압부(44)로부터 멀어짐으로써,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드 부재(162)는, 스프링 부재(228)의 탄성력에 의해 제2 하우징(102)과는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게 된다. 이 때, 슬라이드 부재(162)의 전면(164)을 압압하고 있던 제1 하우징(20)의 압압 돌기(48)는, 가동편(180)의 피압압부(182)로의 압압이 떨어져, 약간의 간극이 생김으로써, 슬라이드 부재(162)의 전면(164)이 압압 돌기(48)로부터도 떨어지게 되어, 슬라이드 부재(162)가 이동 가능하게 된다. 또, 압압 돌기(48)의 압압하는 측 및 슬라이드 부재(162)의 전면(164)이 경사 모양으로 되어 있음으로써, 슬라이드 부재(162)가 떨어지기 쉽게 할 수 있다. 또, 걸림 돌기(38)의 돌출부(42)가 경사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가동편(180)이 걸림 돌기(38)를 넘어 원활히 이동할 수 있다.
그 후, 스프링 부재(228)의 탄성력에 의해 이동된 슬라이드 부재(162)는, 가동편(180)이 걸림 돌기(38)를 넘은 위치에서 축부(184)를 축으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와, 제1 하우징(20)의 제1 상면(28) 상에 배치되게 된다. 그리고, 가동편(180)의 걸림부(192)와, 걸림 돌기(38)의 걸림면(46)이 맞닿아져 걸리게 된다.
또, 제1 커넥터 부재(12)의 제1 콘택트(14)의 제1 접촉부(18)는, 제2 하우징(102)의 삽입부(122) 내의 콘택트 수용부(140)에 수용된 제2 콘택트(60)의 제2 접촉부(76)와 접촉되어, 도통(道通)되게 된다. 이 접촉은, 제2 하우징(102)의 삽입부(122)의 전방부(124)에 형성된 삽입 개구(126)로부터 삽입된 제1 콘택트(14)의 제1 접촉부(18)가 더 삽입됨으로써, 삽입 개구(126)와 연통된 콘택트 수용부(140)에 수용된 제2 콘택트(60)의 삽입구(64)로부터, 제2 콘택트(60)의 내부에 삽입되어, 제2 콘택트 본체(62)의 내부에 마련된 접촉편(74)에 형성된 제2 접촉부(76)와 접촉되게 된다. 이 때 접촉편(74)이 탄성 변형됨으로써, 제1 접촉부(18)와 제2 접촉부(76)가 높은 접압(接壓)에 의해 접촉되게 된다.
또, 제1 하우징(20)의 공간부(36)에 제2 하우징(102)의 삽입부(122)가 삽입됨으로써, 삽입부(122)에 장착된 씰 부재(240)가, 공간부(36)의 내주에 밀착되게 된다. 이상으로, 제1 커넥터 부재(12)와 제2 커넥터 부재(58)의 감합이 완료한다.
또, 제1 커넥터 부재(12)와 제2 커넥터 부재(58)의 떼어냄은,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편(180)의 조작부(190)를 하부로 압압함으로써, 가동편(180)이 축부(184)를 축으로 회전하고, 제1 하우징(20)의 걸림 돌기(38)의 걸림면(46)에 걸려진 걸림부(192)가 상부로 이동되어, 걸림이 해제된다. 그리고, 걸림이 해제된 제1 커넥터 부재(12)를 제2 커넥터 부재(58)로부터 뽑아냄으로써, 제1 커넥터 부재(12)와 제2 커넥터 부재(58)를 떼어낼 수 있다.
10:커넥터 12:제1 커넥터 부재
14:제1 콘택트 16:제1 콘택트 본체
18:제1 접촉부 20:제1 하우징
22:제1 전면 24:제1 개구부
26:제1 후면 28:제1 상면
30:제1 저면 32:일방의 제1 측면
34:타방의 제1 측면 36:공간부
38:걸림 돌기 40 :오목부
42:돌출부 44:압압부
46:걸림면 48:압압 돌기
50:상면 가이드부 52:일방의 측면 가이드부
54:타방의 측면 가이드부 56:저면 가이드부
58:제2 커넥터 부재 60:제2 콘택트
62:제2 콘택트 본체 64:삽입구
66:상면부 68:저면부
70:일방의 측면부 72:타방의 측면부
74:접촉편 76:제2 접촉부
78:볼록부 80:돌기부
82:구멍부 84:접촉편 보호부
88:고정부 90:융기부
92:감입구 94:와이어 장착부
96:장착편 98:와이어
100:씰부 102:제2 하우징
104:제2 전면 106 : 일방의 지지부
108:스프링 부재 가이드부 110:제2 후면
112:콘택트 삽입구 114:제2 상면
116:제2 저면 118:일방의 제2 측면
120:타방의 제2 측면 122:삽입부
124:전방부 126:삽입 개구
128:상부 130:리테이너 돌출구
132:저부 134:리테이너 장착부
136:일방의 측부 138:타방의 측부
140:콘택트 수용부 142:오목부
144:랜스 146:유도 홈부
148:압압 돌기부 150:감입부
152:가이드 홈부 154:플랜지부
156:상면 걸림 돌기 158:측면 걸림 돌기
160:저면 걸림 돌기 162:슬라이드 부재
164:전면 166:제2 개구부
168:후면 170:장착구
172:상면 174:저면
176:일방의 측면 178:타방의 측면
180:가동편 182:피압압부
184:축부 186:감입 돌기부
188:테이퍼부 190:조작부
192:걸림부 194 : 덮개부
196:타방의 스프링 지지부 198:리테이너 삽통공
200:가이드 돌기 202:가동 홈
204:절입부 206:경사부
208:수용부 210:상면 가이드 홈
212:일방의 측면 가이드 홈 214:타방의 측면 가이드 홈
216:저면 가이드 홈 218:측면 걸림 홈부
220:저면 걸림 홈부 222:상면 걸림부
224:측면 걸림부 226:저면 걸림부
228:스프링 부재 230:리테이너
232:리테이너 본체부 234:장착부
236:고정 돌기 238:지지부
240:씰 부재

Claims (6)

  1. 상대측 커넥터 부재의 외주부에 마련된 걸림 돌기에 걸리는 걸림부를 가지는 슬라이드 부재와,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내측에 마련된 하우징을 가지는 커넥터 부재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부재는, 상기 하우징에 대해서, 감합(嵌合) 방향으로 반복 이동 가능하게 되고,
    상기 하우징과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사이에는, 적어도 1개의 탄성 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슬라이드 부재에는, 축부에 의해 이어지고, 상기 축부를 축으로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이동 방향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된 가동편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가동편은, 상기 걸림 돌기의 감합 방향측으로 압압(押壓)되는 피(被)압압부와, 상기 걸림 돌기의 감합 방향측과는 반대측에 걸리는 상기 걸림부를 가지며,
    상기 커넥터 부재가 상기 상대측 커넥터 부재와 감합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상대측 커넥터 부재가 감합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에 의해, 상기 가동편의 상기 피압압부가 상기 걸림 돌기에 의해 압압됨으로써, 상기 슬라이드 부재가 상기 탄성 부재를 압축하면서 감합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커넥터 부재와 상기 상대측 커넥터 부재가 감합 상태가 된 후,
    상기 가동편이 상기 축부를 축으로 회전됨으로써, 상기 피압압부가 상기 걸림 돌기로부터 떨어져,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 부재가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됨과 아울러, 상기 가동편의 상기 걸림부가 상기 걸림 돌기에 걸리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부재.
  2. 외주부에 걸림 돌기가 마련된 제1 하우징을 가지는 제1 커넥터 부재와,
    상기 걸림 돌기에 걸리는 걸림부를 가지는 슬라이드 부재와,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내측에 마련된 제2 하우징을 가지는 제2 커넥터 부재가 감합되는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부재는, 상기 제2 하우징에 대해서, 감합 방향으로 반복 이동 가능하게 되고,
    상기 제2 하우징과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사이에는, 적어도 1개의 탄성 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슬라이드 부재에는, 축부에 의해 이어지고, 상기 축부를 축으로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이동 방향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된 가동편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가동편은, 상기 걸림 돌기의 감합 방향측으로 압압되는 피압압부와, 상기 걸림 돌기의 감합 방향측과는 반대측에 걸리는 상기 걸림부를 가지며,
    상기 제1 커넥터 부재와 상기 제2 커넥터 부재가 감합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이 감합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에 의해, 상기 가동편의 상기 피압압부가 상기 제1 하우징의 상기 걸림 돌기에 의해 압압됨으로써, 상기 슬라이드 부재가 상기 탄성 부재를 압축하면서 감합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1 커넥터 부재와 상기 제2 커넥터 부재가 감합 상태가 된 후,
    상기 가동편이 상기 축부를 축으로 회전됨으로써, 상기 피압압부가 상기 걸림 돌기로부터 떨어져,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 부재가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됨과 아울러, 상기 가동편의 상기 걸림부가 상기 걸림 돌기에 걸리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에는, 상기 피압압부와는 반대측이며, 상기 가동편의 후면측에 형성된 감입 돌기부를 압압하고, 상기 축부를 축으로 회전시키는 압압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동된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상기 가동편이, 상기 압압 돌기부에 압압됨으로써 회전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의 상기 제1 하우징과 감합되는 측과는 반대측에는, 상기 압압 돌기부에 의해 압압된 상기 가동편이 감입(嵌入)되는 감입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피압압부의 반대측의 상기 가동편의 상면측에는 조작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조작부를 압압하여 상기 가동편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제1 하우징의 상기 걸림 돌기와 상기 가동편의 걸림부의 걸림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6.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부재는, 상기 제2 하우징을 둘러싸는 통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동편은,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상기 제2 하우징을 둘러싸는 면(面)에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가동편이 마련된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면에는, 상기 가동편을 덮는 덮개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1020170093800A 2016-08-05 2017-07-24 커넥터 부재 및 커넥터 KR1019098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154921 2016-08-05
JP2016154921A JP6738085B2 (ja) 2016-08-05 2016-08-05 コネクタ部材及び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6267A KR20180016267A (ko) 2018-02-14
KR101909830B1 true KR101909830B1 (ko) 2018-10-18

Family

ID=61069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3800A KR101909830B1 (ko) 2016-08-05 2017-07-24 커넥터 부재 및 커넥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972936B2 (ko)
JP (1) JP6738085B2 (ko)
KR (1) KR101909830B1 (ko)
CN (1) CN10768952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140046A (ja) * 2018-02-15 2019-08-22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コネクタ装置
DE102018202964A1 (de) * 2018-02-28 2019-08-29 Robert Bosch Gmbh Steckverbinder,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teckverbinders und Steckverbinderanordnung
CN108963626B (zh) * 2018-07-17 2024-02-09 北京突破电气有限公司 一种自锁插头
TWM588904U (zh) * 2019-06-28 2020-01-01 禾昌興業股份有限公司 連接器
CN114080732A (zh) * 2019-07-16 2022-02-22 泰科电子日本合同会社 连接器
JP7386523B2 (ja) * 2020-02-06 2023-11-27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コネクタロック機構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77139A (ja) 1998-08-31 2000-03-14 Yazaki Corp コネクタ嵌合構造
JP2002373735A (ja) 2001-04-12 2002-12-26 Yazaki Corp 半嵌合防止コネクタの組み付け方法及び半嵌合防止コネクタ
US20030049959A1 (en) 2001-08-09 2003-03-13 Sumitomo Wiring Systems, Ltd. Connector
US20070123080A1 (en) 2005-11-25 2007-05-31 Honda Motor Co., Ltd. Connector
US20170025792A1 (en) 2015-07-22 2017-01-26 Sumitomo Wiring Systems, Ltd. Connector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6849B2 (ja) * 1996-08-06 2000-09-11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嵌合構造
JPH10321299A (ja) * 1997-05-15 1998-12-04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JP4174149B2 (ja) * 1999-12-01 2008-10-29 矢崎総業株式会社 半嵌合防止コネクタ
JP3508015B2 (ja) * 1999-12-03 2004-03-22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US6533601B2 (en) * 2001-02-09 2003-03-18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a laterally deflectable latch member and CPA
JP2002313491A (ja) * 2001-04-16 2002-10-25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US6896538B2 (en) * 2002-10-31 2005-05-24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Self-cleaning CPA device for high-debris applications
DE102007031504B4 (de) * 2007-07-06 2010-04-08 Tyco Electronics Amp Gmbh Steckverbinder
JP5527764B2 (ja) * 2010-02-24 2014-06-25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雄型コネクタ及び雌型コネクタ並びにこれらのコネクタからなる電気コネクタ
CN103606783B (zh) * 2013-11-19 2015-09-02 浩亭(珠海)制造有限公司 公连接器、母连接器和连接器组件
JP2016091819A (ja) * 2014-11-05 2016-05-23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77139A (ja) 1998-08-31 2000-03-14 Yazaki Corp コネクタ嵌合構造
JP2002373735A (ja) 2001-04-12 2002-12-26 Yazaki Corp 半嵌合防止コネクタの組み付け方法及び半嵌合防止コネクタ
US20030049959A1 (en) 2001-08-09 2003-03-13 Sumitomo Wiring Systems, Ltd. Connector
US20070123080A1 (en) 2005-11-25 2007-05-31 Honda Motor Co., Ltd. Connector
US20170025792A1 (en) 2015-07-22 2017-01-26 Sumitomo Wiring Systems, Ltd.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972936B2 (en) 2018-05-15
US20180040976A1 (en) 2018-02-08
JP6738085B2 (ja) 2020-08-12
CN107689520A (zh) 2018-02-13
KR20180016267A (ko) 2018-02-14
CN107689520B (zh) 2019-06-14
JP2018022664A (ja) 2018-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9830B1 (ko) 커넥터 부재 및 커넥터
KR200465368Y1 (ko) 커넥터 위치 보장 장치를 갖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
US8303326B1 (en) Cable connector assembly with locking members with spring-actuated plungers
JP4247920B2 (ja) レバーコネクタ
US20070004258A1 (en) Card connector
GB2308755A (en) Half-fitting prevention connector
US6939159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and ridge stabilized seal cover
JP4304474B2 (ja) コネクタ
JP2002025706A (ja) コネクタ
US10886656B2 (en) Automotive electrical plug connector and automotive electrical receptacle connector
JP6150053B2 (ja) コネクタ
JP6322596B2 (ja) スライダ付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嵌合構造
JP4387268B2 (ja) 電気的接続装置
CN112821134B (zh) 连接器
JP4523062B1 (ja) 低背形電気コネクタ
JP4924902B2 (ja) ロック構造およびコネクタ
JP7200911B2 (ja) コネクタ
JP3598990B2 (ja) コネクタ
JP2021157971A (ja) コネクタ
WO2008015927A1 (fr) Connecteur pour cartes mémoire
US20180026390A1 (en) Connector
JP5737213B2 (ja) レバー式コネクタ
JP5596361B2 (ja) 防水コネクタ
JP5572006B2 (ja) ポジティブロック機構を有するコネクタ
JP2018156764A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