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9650B1 - 수직 전회전 북집 - Google Patents

수직 전회전 북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9650B1
KR101909650B1 KR1020177010665A KR20177010665A KR101909650B1 KR 101909650 B1 KR101909650 B1 KR 101909650B1 KR 1020177010665 A KR1020177010665 A KR 1020177010665A KR 20177010665 A KR20177010665 A KR 20177010665A KR 101909650 B1 KR101909650 B1 KR 1019096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bbin case
bobbin
hook
rotation
thr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06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3752A (ko
Inventor
준 하타나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히로세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히로세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히로세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700637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37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96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96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7/00Loop takers, e.g. loopers
    • D05B57/08Loop takers, e.g. loopers for lock-stitch sewing machines
    • D05B57/10Shuttles
    • D05B57/14Shuttles with rotary hook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7/00Loop takers, e.g. loopers
    • D05B57/28Applications of bobbins for storing the lower thr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실 끊김 및 실 뭉침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서, 안쪽 북집(3)의 내주부(17)에 내주부(17)에 내접하는 가상 원통면보다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우묵하게 들어간 실 도피 오목부(18)를 바늘 낙하 구멍(11)의 회전방향(A) 하류측에 근접하여 형성한다.

Description

수직 전회전 북집{VERTICAL FULL-ROTATION SHUTTLE}
본 발명은 재봉틀에 구비되는 수직 전회전(全回轉)의 북집(shuttle)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의 수직 전회전 북집은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에 기재되어 있다. 이 종래 기술의 수직 전회전 북집은 재봉틀의 하부축에 고정되며 갈고리 선단부를 갖는 바깥 북집과, 바깥 북집에 수용된 상태로 지지되는 안쪽 북집과, 안쪽 북집에 착탈이 자유롭게 장착되는 보빈 케이스와, 밑실이 권회되며 보빈 케이스에 수용되는 보빈을 구비한다.
재봉틀의 봉제 동작이 개시되면 하부축이 수평한 회전축선 주위에 미리 정하는 회전방향으로 회전 구동됨과 함께, 하부축의 회전축선에 수직인 축선을 따라 재봉바늘이 상기 회전축선에 근접 및 이반(離反)하는 동작을 반복한다. 재봉바늘에 삽통된 바늘실은 갈고리 선단에 의해 포착되어 바늘실 루프를 형성하고, 이 바늘실 루프가 안쪽 북집의 표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실을 통과시킴으로써, 바늘실이 안쪽 북집으로부터 재봉틀 헤드 상의 바늘판의 바늘구멍에 인출되어 있는 밑실에 걸어 맞춰져서 피봉제물에 솔기가 형성된다.
안쪽 북집은 거의 원통형의 주벽부와, 주벽부의 축선방향 일단부로 이어져서 일 직경선 방향으로 연장되어 바닥부를 형성하는 브리지부와, 브리지부에 주벽부의 축선방향 타단부측을 향하여 입설되는 스터드와, 주벽부의 축선방향 타단부측으로 이어져서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외향 플랜지와, 주벽부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하여 둘레방향으로 연장되는 대략 C자 모양의 궤조(軌條)를 갖는다.
주벽부에는 재봉바늘이 삽통하는 바늘 낙하 구멍이 형성되고, 이 바늘 낙하 구멍이 항상 재봉바늘의 축선 상에 배치되도록 안쪽 북집은 재봉틀의 기체에 기단부가 연결된 회전 멈춤 부재에 의해 회전이 멈춰져서 바깥 북집에 추종하여 회전하는 것이 저지되어 있다.
주벽부는 보빈 케이스로부터 인출된 밑실의 통과를 허용하기 위해서, 바늘 낙하 구멍으로부터 바깥 북집의 회전방향 하류측으로 약 90°의 범위에 걸쳐 두께가 얇은 박벽(薄壁)부분을 갖는다. 이러한 박벽부분을 주벽부에 형성함으로써, 보빈 케이스의 외주부와 안쪽 북집의 내주부의 사이에 밑실이 원활하게 통과할 수 있는 공극을 확보하여 밑실의 원하지 않는 장력 변화를 방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일본 실용 신안 공고 소61-14375호 공보
전술한 종래 기술에서는 재봉틀의 봉제 동작이 정지되면, 재봉바늘의 왕복 변위 동작 및 바깥 북집의 회전 동작이 정지되지만, 밑실은 봉제 중에 솔기의 진행에 수반하여 보빈 케이스로부터 인출되기 때문에, 보빈은 밑실의 공급에 의한 인장력에 의해 보빈 케이스 내에서 회전하고 있다. 봉제 동작이 정지되어 재봉바늘의 왕복 변위 동작 및 바깥 북집의 회전 동작이 정지되어도 보빈은 관성에 의해 회전하여 밑실이 보빈 케이스로부터 배출된다. 보빈 케이스로부터 배출된 밑실은 안쪽 북집의 내주부와 보빈 케이스의 외주부의 사이의 전술한 좁은 공극 내에 느슨해진 상태로 체류하고 있다. 그 때문에, 다음 봉제 동작이 개시되면 공극 내의 밑실이 원활하게 인출되지 않아 엉킴이 발생하여 실 끊김(thread breakage) 및 실 뭉침(incidental looping)을 발생시킨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실 끊김 및 실 뭉침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수직 전회전 북집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재봉바늘이 설치되는 바늘대(needle bar)의 축선에 수직인 회전축선 주위로 회전 구동되는 하부축에 고정되고, 상기 하부축의 회전방향 하류측에 선단부를 향하여 테이퍼 형상이 되는 갈고리 선단부를 갖는 바깥 북집과,
상기 바깥 북집에 상기 회전축선 주위로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는 안쪽 북집이며, 상기 재봉바늘이 삽통하는 바늘 낙하 구멍이 형성되는 주벽부를 갖고, 그 주벽부의 내주면에 있어서의 상기 바늘 낙하 구멍의 상기 회전방향 하류측에 실 도피 오목부가 형성되는 안쪽 북집과,
상기 안쪽 북집에 착탈이 자유롭게 장착되는 보빈 케이스와,
상기 보빈 케이스에 수용되며 밑실이 권회되는 보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전회전 북집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실 도피 오목부는 상기 바늘 낙하 구멍으로부터 상기 회전방향 하류측이 됨에 따라 얕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실 도피 오목부는 상기 바늘 낙하 구멍으로부터 상기 회전방향 하류측이 됨에 따라 깊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보빈 케이스는 상기 보빈 케이스가 상기 안쪽 북집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실 도피 오목부로부터 상기 회전방향 하류측으로 연장되고, 또한 상기 보빈 케이스와 상기 안쪽 북집의 사이를 상기 안쪽 북집의 개구단측부터 덮는 외향 벽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안쪽 북집은 상기 보빈 케이스가 상기 안쪽 북집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실 도피 오목부로부터 상기 회전방향 하류측으로 연장되고, 또한 상기 보빈 케이스와 상기 안쪽 북집의 사이를 상기 안쪽 북집의 개구단측부터 덮는 내향 벽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안쪽 북집에 실 도피 오목부가 형성되기 때문에, 안쪽 북집의 내주부와 보빈 케이스의 외주부의 사이에 실 도피 오목부가 형성되지 않은 영역에 비하여 넓은 공극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봉제 동작이 정지되었을 때, 보빈의 관성에 의한 회전에 의해 안쪽 북집의 내주부와 보빈 케이스의 외주부의 사이로 인출된 밑실은 실 도피 오목부와 보빈 케이스의 외주부의 사이의 넓은 공극 내에 이완된 상태로 체류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다시 봉제 동작이 개시되었을 때, 공극에 체류하고 있는 밑실이 얽히지 않고 원활하게 인출되어 실 끊김 및 실 뭉침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실 도피 오목부는 회전방향 하류측이 됨에 따라 얕아지기 때문에, 실 도피 오목부와 보빈 케이스의 외주부의 사이의 공극으로 들어가는 밑실을 하류측 저면부에 의해 바늘 낙하 구멍측으로 안내하여 밑실이 공극 내에 모여 고밀도가 되는 것을 방지하고, 한층 더 원활하게 공극으로부터 밑실을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실 도피 오목부는 회전방향 하류측이 됨에 따라 깊어지기 때문에, 실 도피 오목부와 보빈 케이스의 외주부의 사이의 공극으로 들어가는 밑실을 상류측 저면부에 의해 바늘 낙하 구멍으로부터 멀어지는 회전방향 하류측으로 안내하여 밑실이 공극 내에 모여 고밀도가 되는 것을 방지하고, 한층 더 원활하게 공극으로부터 밑실을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보빈 케이스에 외향 벽부가 형성되기 때문에, 밑실이 느슨해졌을 때에 실 도피 오목부에 완전히 수용할 수 없어 안쪽 북집과 보빈 케이스의 사이로부터 밑실이 돌출하는 것을 저지하고, 밑실이 실을 통과시키는 윗실에 간섭하여 윗실의 장력이 원하지 않게 변화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안쪽 북집에 내향 벽부가 형성되기 때문에, 밑실이 느슨해졌을 때에 실 도피 오목부에 완전히 수용할 수 없어 안쪽 북집과 보빈 케이스의 사이로부터 밑실이 돌출하는 것을 저지하고, 밑실이 실을 통과시키는 윗실에 간섭하여 윗실의 장력이 원하지 않게 변화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 특색 및 이점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과 도면을 통해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의 수직 전회전 북집(1)에 구비되는 안쪽 북집(3)을 정면측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2는 수직 전회전 북집(1)의 정면도이다.
도 3은 수직 전회전 북집(1)을 도 2의 절단면선 Ⅱ-Ⅱ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4는 안쪽 북집(3)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안쪽 북집(3)의 좌측면도이다.
도 6은 안쪽 북집(3)의 정면도이다.
도 7은 안쪽 북집(3)을 도 6의 절단면선 Ⅶ-Ⅶ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8은 안쪽 북집(3)의 실 도피 오목부(18) 부근의 확대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의 수직 전회전 북집(1a)에 구비되는 안쪽 북집(3a), 보빈(4) 및 보빈 케이스(5)의 일부를 도시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 10은 수직 전회전 북집(1a)에 구비되는 안쪽 북집(3a)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안쪽 북집(3a)을 도 10의 절단면선 ⅩⅠ-ⅩⅠ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의 수직 전회전 북집(1b)에 구비되는 안쪽 북집(3b)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안쪽 북집(3b)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안쪽 북집(3b)을 도 12의 절단면선 ⅩⅣ-ⅩⅣ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의 수직 전회전 북집(1c)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6은 수직 전회전 북집(1c)에 구비되는 안쪽 북집(3c)의 단면도이다.
도 17은 안쪽 북집(3c)을 도 16의 절단면선 ⅩⅦ-ⅩⅦ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의 수직 전회전 북집(1d)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9는 수직 전회전 북집(1d)에 구비되는 안쪽 북집(3d)의 단면도이다.
도 20은 안쪽 북집(3d)을 도 19의 절단면선 ⅩⅩ-ⅩⅩ에서 본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 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의 수직 전회전 북집(1)에 구비되는 안쪽 북집(3)을 정면측에서 본 단면도이고, 도 2는 수직 전회전 북집(1)의 정면도이고, 도 3은 수직 전회전 북집(1)을 도 2의 절단면선 Ⅱ-Ⅱ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4는 안쪽 북집(3)의 사시도이고, 도 5는 안쪽 북집(3)의 좌측면도이다. 도 1은 안쪽 북집(3)을 도 5의 절단면선 Ⅰ-Ⅰ에서 본 단면을 나타낸다.
본 실시 형태의 수직 전회전 북집(1)은 바깥 북집(2)과 안쪽 북집(3)과 보빈(4)과 보빈 케이스(5)를 포함한다. 바깥 북집(2)은 재봉바늘(6)이 착탈 가능하게 동축에 설치되며 바늘대(7)의 축선(L1)에 수직인 회전축선(L2) 주위에 화살표 A방향으로 회전 구동되는 하부축(8)에 고정된다. 바깥 북집(2)은 하부축(8)의 회전방향(A) 하류측에 선단부를 향하여 테이퍼 형상이 되는 갈고리 선단부(9)를 가진다.
바깥 북집(2)에는 안쪽 북집(3)이 끼워 넣어지고, 오목부(10)에 도시하지 않은 회전 멈춤 부재의 볼록부가 끼워 맞춰져서 안쪽 북집(3)의 회전이 저지된다. 안쪽 북집(3)은 재봉바늘(6)이 삽통하는 바늘 낙하 구멍(11)이 형성되는 주벽부(12)와, 주벽부(12)의 축선방향 일단부로 이어지고, 일 직경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브리지라고도 불리는 바닥부(13)와, 바닥부(13)의 중심에 주벽부(12)의 축선방향 타단부측을 향하여 수직으로 입설되는 스터드(14)와, 주벽부(12)의 축선방향 타단부로 이어지고,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확장 개방하여 형성되는 플랜지부(15)와, 주벽부(12)에 그 외주면으로부터 돌출하여 형성되는 궤조(16)를 갖는다.
바깥 북집(2) 및 안쪽 북집(3)은 예를 들어 침탄 담금질 탄소강으로 이루어지고, 열처리에 의해 경도 650HV 이상이 된다. 또한, 보빈(4) 및 보빈 케이스(5)는 강철제 또는 스테인리스강제이다.
플랜지부(15)에는 전술한 오목부(10)가 형성되고, 오목부(10)의 배후측, 즉 주벽부(12)의 축선방향 일단부측에 전술한 바늘 낙하 구멍(11)이 형성됨과 함께, 오목부(10)에 의해 규정되는 전술한 도시하지 않은 회전 멈춤 부재의 볼록부가 끼워 맞춰지는 끼워맞춤 공간에 회전방향(A) 하류측부터 면하여 개방되는 밑실 안내홈(35)이 형성된다. 밑실 안내홈(35)에는 보빈 케이스(5)의 주벽부와 이 주벽부에 설치되는 실 장력 스프링(33)의 사이로부터 인출된 밑실(21)이 삽통되어 재봉틀 헤드에 형성되는 바늘판의 바늘구멍(36)에 팽팽하게 걸리는 밑실(21)이 실을 통과시킬 때에 오목부(10)로부터 빠져 이탈할 때까지의 동안에 도시하지 않은 실 끊기 메스에 의한 절단 동작 등에 의해 느슨해져도 밑실 안내홈(35) 내에 끼인 상태로 유지되어 오목부(10)로부터 외부로 튀어나오는 것이 방지된다.
이러한 안쪽 북집(3)에 있어서 주벽부(12)의 바늘 낙하 구멍(11)의 회전방향(A) 하류측의 내주부(17)에는 내주부(17)에 내접하는 가상 원통면보다 반경방향 바깥쪽측, 즉 외주측으로 우묵하게 들어간 실 도피 오목부(18)가 형성된다. 이 실 도피 오목부(18)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안쪽 북집(3)에는 보빈 케이스(5)가 착탈이 자유롭게 장착되고, 보빈 케이스(5)에는 보빈실이라고도 불리는 밑실(21)이 권회된 보빈(4)이 수용된다. 보빈 케이스(5)에는 재봉바늘(6)의 강하를 허용하기 위한 제1 절결(notch)(22)이 형성된다. 이 절결(22)은 보빈 케이스(5)의 주벽부에 축선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제2 절결(23)로 이어진다.
안쪽 북집(3)의 내주부(17)에는 1쌍의 돌기부(24)가 형성된다. 이들 돌기부(24)는 절결(23)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보빈 케이스(5)의 주벽부의 내면에 접촉한다. 이에 의해 보빈 케이스(5)를 안쪽 북집(3)에 장착할 때에 보빈 케이스(5)의 안쪽 북집(3)으로의 삽입을 안내함과 아울러 래치기구(25)와 함께 보빈 케이스(5)와 안쪽 북집(3)의 상호간의 각(角)변위를 저지한다.
래치기구(25)는 조작레버(26)와 걸어맞춤편(27)을 포함하고, 걸어맞춤편(27)이 안쪽 북집(3)에 형성된 걸어맞춤 오목부(28)에 걸어 맞춰짐으로써 안쪽 북집(3)과 보빈 케이스(5)의 각변위가 저지됨과 함께 안쪽 북집(3)에 대하여 보빈 케이스(5)를 걸어 빠짐을 방지하고, 또한 보빈(4)의 교환시에는 보빈 케이스(5)의 안쪽 북집(3)에 대한 걸림 상태를 해제하여 보빈 케이스(5)를 안쪽 북집(3)으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다.
도 6은 안쪽 북집(3)의 정면도이고, 도 7은 안쪽 북집(3)을 도 6의 절단면선 Ⅶ-Ⅶ에서 본 단면도이고, 도 8은 안쪽 북집(3)의 실 도피 오목부(18) 부근의 확대 정면도이다. 실 도피 오목부(18)는 바늘 낙하 구멍(11)으로부터 회전방향(A) 하류측이 됨에 따라 가상 원통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볼록하게 만곡하여 깊어지는 상류측 저면부(31)와, 상류측 저면부(31)의 회전방향(A) 하류측의 단부로 이어지며, 바늘 낙하 구멍(11)으로부터 회전방향(A) 하류측이 됨에 따라 가상 원통면에 근접하는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볼록하게 만곡하여 얕아지는 하류측 저면부(32)를 갖는다.
이러한 상류측 저면부(31)와 하류측 저면부(32)를 포함하며, 반경(R1)의 수직원통면의 일부로 이루어지는 저면부(30)를 구성한다. 가상 원통면의 내경(D1)이 22.8mm 이상 27.6mm 이하인 경우, 반경(R1)은 2mm 이상 8mm 이하로 선택된다. 이 경우, 시작점(P1)은 바늘대(7)의 축선(L1) 및 하부축(8)의 회전축선(L2)을 포함한 가상 일평면으로부터 회전방향(A) 하류측에 각도(θ1)의 위치에 설정된다. 또한, 상류측 저면부(31)와 하류측 저면부(32)의 변곡점인 중간점(P2)은 가상 일평면으로부터 회전방향(A) 하류측에 각도(θ2)의 위치에 설정된다. 또한, 종점(P3)은 가상 일평면으로부터 회전방향(A) 하류측에 각도(θ3)의 위치에 설정된다. 각도(θ1)는 20° 이상 40° 이하이고, 각도(θ2)는 30° 이상 60° 이하이고, 각도(θ3)는 40° 이상 70° 이하이다.
이러한 실 도피 오목부(18)가 안쪽 북집(3)의 내주부(17)에 형성되기 때문에, 안쪽 북집(3)의 내주부(17)와 보빈 케이스(5)의 외주부의 사이에 전술한 실 도피 오목부(18)가 형성되지 않은 영역, 즉 각도(θ3)보다 회전방향(A) 하류측의 영역에 비하여 넓은 공극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봉제 동작이 정지되어 바늘대(7)의 상하동 및 하부축(8)의 회전이 정지되었을 때, 보빈(4)의 관성에 의한 회전에 의해 안쪽 북집(3)의 내주부(17)와 보빈 케이스(5)의 외주부의 사이에 실 장력 스프링(33)과 보빈 케이스(5)의 외주부의 사이로부터 인출된 밑실(21)은 실 도피 오목부(18)와 보빈 케이스(5)의 외주부의 사이의 넓은 공극 내에 이완된 상태로 들어가 체류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다시 봉제 동작이 개시되었을 때, 넓은 공극에 체류하고 있는 밑실(21)이 얽히지 않고 원활하게 인출되어 실 끊김 및 실 뭉침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실 도피 오목부(18)는 하류측 저면부(32)를 갖기 때문에, 실 도피 오목부(18)와 보빈 케이스(5)의 외주부의 사이의 넓은 공극으로 들어가는 밑실(21)을 하류측 저면부(32)에 의해 바늘 낙하 구멍(11)측, 즉 회전방향(A) 상류측으로 안내하여 밑실(21)이 넓은 공극 내에 모여 고밀도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넓은 공극으로부터 밑실(21)을 한층 더 원활하게 배출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의 수직 전회전 북집(1a)에 구비되는 안쪽 북집(3a), 보빈(4) 및 보빈 케이스(5)의 일부를 도시한 확대 사시도이고, 도 10은 수직 전회전 북집(1a)에 구비되는 안쪽 북집(3a)의 단면도이고, 도 11은 안쪽 북집(3a)을 도 10의 절단면선 ⅩⅠ-ⅩⅠ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0은 안쪽 북집(3a)을 도 11의 절단면선 Ⅹ-Ⅹ에서 본 단면을 나타낸다. 또한, 전술한 실시 형태와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의 수직 전회전 북집(1a)은 바깥 북집(2)과 안쪽 북집(3a)과 보빈(4)과 보빈 케이스(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안쪽 북집(3a)의 플랜지부(15)에는 오목부(10)에 의해 규정되는 끼워맞춤 공간에 회전방향(A) 하류측부터 면하여 개방되는 밑실 안내홈(35)과, 밑실 안내홈(35)에 회전방향(A) 하류측부터 면하여 개방되는 실 도피 오목부(18a)가 형성된다.
실 도피 오목부(18a)는 밑실 안내홈(35)으로부터 회전방향(A) 하류측으로 이어져서 정면에서 보아 바늘 낙하 구멍(11)보다 회전방향(A) 하류측에 형성된다. 안쪽 북집(3a)에는 이러한 실 도피 오목부(18a)가 형성되기 때문에, 전술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밑실(21)이 실을 통과시킬 때에 오목부(10)로부터 빠져 이탈할 때까지의 동안에 실 끊기 메스에 의한 절단 동작 등에 의해 느슨해져도 밑실 안내홈(35)으로부터 실 도피 오목부(18a) 내의 공간으로 퇴피할 수 있어 밑실(21)이 오목부(10)로부터 돌출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의 수직 전회전 북집(1b)에 구비되는 안쪽 북집(3b)의 사시도이고, 도 13은 안쪽 북집(3b)의 단면도이고, 도 14는 안쪽 북집(3b)을 도 12의 절단면선 ⅩⅣ-ⅩⅣ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3은 안쪽 북집(3b)을 도 14의 절단면선 ⅩⅢ-ⅩⅢ에서 본 단면을 나타낸다. 또한, 전술한 실시 형태와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의 수직 전회전 북집(1b)은 바깥 북집(2)과 안쪽 북집(3b)과 보빈(4)과 보빈 케이스(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안쪽 북집(3b)의 플랜지부(15)에는 오목부(10)에 의해 규정되는 끼워맞춤 공간에 회전방향(A) 하류측부터 면하여 개방되는 밑실 안내홈(35)과, 밑실 안내홈(35)에 회전방향(A) 하류측부터 면하여 개방되는 제1 실 도피 오목부(18b1)와, 주벽부(12)의 바늘 낙하 구멍(11)의 회전방향(A) 하류측의 내주부(17)에 그 내주부 내에 내접하는 가상 원통면보다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우묵하게 들어간 제2 실 도피 오목부(18b2)가 형성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실 도피 오목부(18b1)와 제2 실 도피 오목부(18b2)를 포함하여 실 도피 오목부를 구성한다.
제1 실 도피 오목부(18b1)의 회전방향(A) 하류측의 단부는 회전축선(L2) 방향의 바닥부(13)에서 제2 실 도피 오목부(18b2)에 연통하고, 밑실(21)이 전술한 바와 같이 느슨해졌을 때, 밑실 안내홈(35) 내의 밑실(21)은 제1 실 도피 오목부(18b1)로 들어가고, 더 큰 느슨함이 발생하면 제2 실 도피 오목부(18b2)로 들어가 퇴피시킴으로써 오목부(10)로부터 밑실(21)이 돌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의 수직 전회전 북집(1c)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16은 수직 전회전 북집(1c)에 구비되는 안쪽 북집(3c)의 단면도이고, 도 17은 안쪽 북집(3c)을 도 16의 절단면선 ⅩⅦ-ⅩⅦ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6은 안쪽 북집(3c)을 도 17의 절단면선 ⅩⅥ-ⅩⅥ에서 본 단면을 나타낸다. 또한, 전술한 실시 형태와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의 수직 전회전 북집(1c)은 바깥 북집(2)과 안쪽 북집(3c)과 보빈(4)과 보빈 케이스(5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안쪽 북집(3c)에는 전술한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되는 실시 형태의 안쪽 북집(3)에 형성되는 실 도피 오목부(18)와 같은 모양의 실 도피 오목부(18c)가 형성된다. 보빈 케이스(5c)의 주벽부에는 그 보빈 케이스(5c)가 안쪽 북집(3c)에 장착된 상태에서 실 도피 오목부(18c)의 회전방향(A) 하류측의 단부 부근으로부터 미리 정하는 각도(θ11)에 걸쳐 회전방향(A) 하류측으로 연장되고, 안쪽 북집(3c)의 개구단 주연부를 부분적으로 덮도록 보빈 케이스(5c)의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외향 벽부(37)가 형성된다. 외향 벽부(37)는 도 15에 있어서 도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사선으로 표시하여 나타낸다.
외향 벽부(37)는 회전축선(L2)에 평행한 방향의 두께(T1)가 약 1mm이고, 각도(θ11)는 15° 이상 35° 이하로 선택된다. 또한, 외향 벽부(37)의 일 반경선 상에 있어서의 보빈 케이스(5c)의 주벽부의 외주면으로부터의 돌출 높이(H1)는 1mm 이상 1.5mm 이하로 선택되어 안쪽 북집(3c)에 접촉하여 간섭하지 않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러한 외향 벽부(37)를 갖는 보빈 케이스(5c)를 이용함으로써, 밑실(21)이 전술한 바와 같이 느슨해졌을 때에 실 도피 오목부(18)에 의해 형성되는 오목부 내에 완전히 수용할 수 없어 안쪽 북집(3c)과 보빈 케이스(5c)의 사이로부터 안쪽 북집 개방단측(도 15의 지면에 수직 전방측)으로 밑실(21)이 돌출하는 것을 저지하고, 실을 통과시키는 윗실(윗실 루프)과의 간섭을 방지하여 밑실(21) 및 윗실의 원하지 않는 장력 변화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의 수직 전회전 북집(1d)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9는 수직 전회전 북집(1d)에 구비되는 안쪽 북집(3d)의 단면도이고, 도 20은 안쪽 북집(3d)을 도 19의 절단면선 ⅩⅩ-ⅩⅩ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바깥 북집(2)을 생략하여 도시하고, 도 19는 안쪽 북집(3d)을 도 20의 절단면선 ⅩⅨ-ⅩⅨ에서 본 단면을 나타낸다. 또한, 전술한 실시 형태와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고, 중복하는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의 수직 전회전 북집(1d)은 바깥 북집(2)과 안쪽 북집(3d)과 보빈(4)과 보빈 케이스(5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안쪽 북집(3d)은 전술한 실 도피 오목부(18)과 같은 모양의 실 도피 오목부(18d)와, 실 도피 오목부(18d)의 회전방향(A) 하류측의 단부 부근으로부터 미리 정하는 각도(θ12)에 걸쳐 회전방향(A) 하류측으로 연장되고, 안쪽 북집(3d)의 개구단 주연부의 내주로부터 장착된 보빈 케이스(5)의 주벽부의 외주면 근방까지의 틈새를 막도록 그 안쪽 북집(3d)의 개구단 주연부의 내주에 형성되는 내향 벽부(38)를 갖는다. 내향 벽부(38)는 도 18에 있어서 도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사선으로 표시하여 나타낸다.
내향 벽부(38)는 회전축선(L2)에 평행한 방향의 두께(T2)가 약 1mm이고, 각도(θ12)는 10° 이상 30° 이하로 선택된다. 또한, 내향 벽부(38)의 일 반경선 상에 있어서의 안쪽 북집(3d)의 개구단 주연부의 내주면으로부터의 돌출 높이(H2)는 1mm 이상 1.5mm 이하로 선택되고, 보빈 케이스(5)에 접촉하여 간섭하지 않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러한 내향 벽부(38)를 갖는 안쪽 북집(3d)을 이용함으로써, 밑실(21)이 전술한 바와 같이 느슨해졌을 때에 실 도피 오목부(18d)에 의해 형성되는 오목부 내에 완전히 수용할 수 없어 안쪽 북집(3d)과 보빈 케이스(5)의 사이로부터 안쪽 북집 개방단측(도 19의 좌측)으로 밑실(21)이 돌출하는 것을 저지하고, 실을 통과시키는 윗실(윗실 루프)과의 간섭을 방지하여 밑실(21) 및 윗실의 원하지 않는 장력 변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실 도피 오목부(18)는 상류측 저면부(31)를 갖기 때문에, 실 도피 오목부(18)와 보빈 케이스(5)의 외주부의 사이의 넓은 공극으로 들어가는 밑실(21)을 상류측 저면부(31)에 의해 바늘 낙하 구멍(1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즉 회전방향(A) 하류측으로 안내하여 밑실(21)이 넓은 공극 내에 모여 고밀도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넓은 공극으로부터 밑실(21)을 한층 더 원활하게 배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그 정신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일탈하지 않고, 다른 여러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실시 형태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고, 본 발명의 범위는 청구 범위에 나타내는 것이며, 명세서 본문에는 전혀 구속되지 않는다. 또한, 청구 범위에 속하는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 내의 것이다.
1, 1a, 1b, 1c, 1d : 수직 전회전 북집 2 : 바깥 북집
3, 3a, 3b, 3c, 3d : 안쪽 북집 4 : 보빈
5, 5c : 보빈 케이스 6 : 재봉바늘
7 : 바늘대 8 : 하부축
9 : 갈고리 선단부 10 : 오목부
11 : 바늘 낙하 구멍 12 : 주벽부
13 : 바닥부 14 : 스터드
15 : 플랜지부 16 : 궤조
17 : 내주부
18; 18a; 18b1, 18b2; 18c : 실 도피 오목부
21 : 밑실 22 : 절결
23 : 절결 24 : 돌기부
25 : 래치기구 26 : 조작레버
27 : 걸어맞춤편 28 : 걸어맞춤 오목부
30 : 저면부 31 : 상류측 저면부
32 : 하류측 저면부 33 : 실 장력 스프링
35 : 밑실 안내홈 36 : 바늘구멍
37 : 외향 벽부 38 : 내향 벽부

Claims (5)

  1. 재봉바늘이 설치되는 바늘대(needle bar)의 축선에 수직인 회전축선 주위로 회전 구동되는 하부축에 고정되고, 상기 하부축의 회전방향 하류측에 선단부를 향하여 테이퍼 형상이 되는 갈고리 선단부를 갖는 바깥 북집과,
    상기 바깥 북집에 상기 회전축선 주위로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는 안쪽 북집으로서, 상기 재봉바늘이 삽통하는 바늘 낙하 구멍이 형성되는 주벽부를 가지고, 상기 주벽부의 내주면에 있어서의 상기 바늘 낙하 구멍의 상기 회전방향 하류측에 실 도피 오목부가 형성되는 안쪽 북집과,
    상기 안쪽 북집에 착탈이 자유롭게 장착되는 보빈 케이스와,
    상기 보빈 케이스에 수용되며 밑실이 권회되는 보빈을 포함하고,
    상기 안쪽 북집은 상기 보빈 케이스로부터 인출된 상기 밑실이 삽통되는 밑실 안내홈을 포함하고,
    상기 실 도피 오목부는,
    상기 밑실 안내홈에 회전방향 하류측부터 면하여 개방되는 제1 실 도피 오목부, 및
    상기 주벽부의 바늘 낙하 구멍의 회전방향 하류측의 내주부에, 상기 내주부 내에 내접하는 가상 원통면보다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우묵하게 들어간 제2 실 도피 오목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전회전 북집.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 도피 오목부는 상기 바늘 낙하 구멍으로부터 상기 회전방향 하류측이 됨에 따라 얕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전회전 북집.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 도피 오목부는 상기 바늘 낙하 구멍으로부터 상기 회전방향 하류측이 됨에 따라 깊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전회전 북집.
  4. 재봉바늘이 설치되는 바늘대(needle bar)의 축선에 수직인 회전축선 주위로 회전 구동되는 하부축에 고정되고, 상기 하부축의 회전방향 하류측에 선단부를 향하여 테이퍼 형상이 되는 갈고리 선단부를 갖는 바깥 북집과,
    상기 바깥 북집에 상기 회전축선 주위로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는 안쪽 북집으로서, 상기 재봉바늘이 삽통하는 바늘 낙하 구멍이 형성되는 주벽부를 가지고, 상기 주벽부의 내주면에 있어서의 상기 바늘 낙하 구멍의 상기 회전방향 하류측에 실 도피 오목부가 형성되는 안쪽 북집과,
    상기 안쪽 북집에 착탈이 자유롭게 장착되는 보빈 케이스와,
    상기 보빈 케이스에 수용되며 밑실이 권회되는 보빈을 포함하고,
    상기 보빈 케이스는, 상기 보빈 케이스가 상기 안쪽 북집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실 도피 오목부로부터 상기 회전방향 하류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보빈 케이스와 상기 안쪽 북집의 사이를 상기 안쪽 북집의 개구단측부터 덮는 외향 벽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전회전 북집.
  5. 재봉바늘이 설치되는 바늘대(needle bar)의 축선에 수직인 회전축선 주위로 회전 구동되는 하부축에 고정되고, 상기 하부축의 회전방향 하류측에 선단부를 향하여 테이퍼 형상이 되는 갈고리 선단부를 갖는 바깥 북집과,
    상기 바깥 북집에 상기 회전축선 주위로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는 안쪽 북집으로서, 상기 재봉바늘이 삽통하는 바늘 낙하 구멍이 형성되는 주벽부를 가지고, 상기 주벽부의 내주면에 있어서의 상기 바늘 낙하 구멍의 상기 회전방향 하류측에 실 도피 오목부가 형성되는 안쪽 북집과,
    상기 안쪽 북집에 착탈이 자유롭게 장착되는 보빈 케이스와,
    상기 보빈 케이스에 수용되며 밑실이 권회되는 보빈을 포함하고,
    상기 안쪽 북집은, 상기 보빈 케이스가 상기 안쪽 북집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실 도피 오목부로부터 상기 회전방향 하류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보빈 케이스와 상기 안쪽 북집의 사이를 상기 안쪽 북집의 개구단측부터 덮는 내향 벽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전회전 북집.
KR1020177010665A 2015-01-13 2015-01-13 수직 전회전 북집 KR1019096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5/050702 WO2016113852A1 (ja) 2015-01-13 2015-01-13 垂直全回転かま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3752A KR20170063752A (ko) 2017-06-08
KR101909650B1 true KR101909650B1 (ko) 2018-10-18

Family

ID=56405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0665A KR101909650B1 (ko) 2015-01-13 2015-01-13 수직 전회전 북집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3246448B1 (ko)
JP (1) JP6395864B2 (ko)
KR (1) KR101909650B1 (ko)
CN (1) CN107075766B (ko)
WO (1) WO2016113852A1 (ko)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5808A (en) * 1913-12-11 1915-01-19 John Hood Brown Harrow.
US3347193A (en) * 1965-07-30 1967-10-17 Union Special Machine Co Semi-dull finish bobbin case basket
US4284017A (en) * 1978-07-13 1981-08-18 Starr Wayne E Rotary hook for sewing machine
GB2063939B (en) * 1979-07-02 1983-07-27 Starr W E Rotary hook for sewing machine
JPS6114375U (ja) 1984-06-29 1986-01-28 追浜工業株式会社 エンジン回転計
JPH03212287A (ja) * 1990-01-16 1991-09-17 Hirose Mfg Co Ltd ミシンのかま
JP2972965B2 (ja) * 1991-03-31 1999-11-08 ブラザー工業 株式会社 ミシンの全回転かま
JPH05168782A (ja) * 1991-10-22 1993-07-02 Hirose Mfg Co Ltd 垂直全回転かま
JP2590041Y2 (ja) * 1992-07-24 1999-02-10 株式会社佐文工業所 垂直全回転釜の内釜
US6745712B1 (en) * 1999-05-28 2004-06-08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Fully rotatable shuttle
JP3929458B2 (ja) * 2004-01-26 2007-06-13 株式会社鈴木製作所 ミシンのパッカリング防止釜装置
JP2011147759A (ja) * 2009-12-21 2011-08-04 Tokai Ind Sewing Mach Co Ltd ミシンの垂直全回転釜の構造
JP2013034493A (ja) * 2011-08-03 2013-02-21 Brother Ind Ltd ミシン用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46448A4 (en) 2018-07-04
EP3246448B1 (en) 2019-07-24
JPWO2016113852A1 (ja) 2017-10-26
CN107075766B (zh) 2019-08-06
WO2016113852A1 (ja) 2016-07-21
JP6395864B2 (ja) 2018-09-26
KR20170063752A (ko) 2017-06-08
EP3246448A1 (en) 2017-11-22
CN107075766A (zh) 2017-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2604B1 (ko) 윗실교차 구조가 구비된 밑실공급장치
KR101626018B1 (ko) 보빈케이스베이스가 구비된 윗실교차형 밑실공급장치
KR101909650B1 (ko) 수직 전회전 북집
EP1828464B1 (en) Horizontal rotary hook for sewing machine
US2435358A (en) Rotary hook for sewing machines
US1504241A (en) Bobbin housing for rotary-hook sewing machines
JP6440746B2 (ja) 垂直全回転かま
KR20120018216A (ko) 고속 박음질이 가능한 셔틀케이스
KR102189146B1 (ko) 재봉틀의 밑실 공급장치
KR100961154B1 (ko) 단사 방지 재봉틀의 회전북장치
US10156034B1 (en) High velocity bobbin sewing system
KR101733702B1 (ko) 보빈케이스베이스가 구비된 체인형 락스티치 밑실공급장치
KR101931761B1 (ko) 보빈케이스베이스가 구비된 매듭형 밑실공급장치
JP2013034493A (ja) ミシン用釜
JP2010125092A (ja) ミシンの垂直回転釜
KR950011286B1 (ko) 재봉기의 밑실(下絲) 공급장치
KR20100097598A (ko) 회전 스위블 핀을 구비한 편직바늘
JP6427662B2 (ja) 垂直全回転かま
JP2005261848A (ja) 垂直全回転かま
US1191015A (en) Guard for sewing-machine take-ups.
KR100453606B1 (ko) 재봉기의보빈케이스및밑실보빈
US675438A (en) Rotary take-up for sewing-machines.
KR20080086012A (ko) 윗실 끼임이 방지되는 재봉틀의 회전북장치
US875623A (en) Looper mechanism for sewing-machines.
JP2016007431A (ja) 送り出し腕型ミシ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