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6180B1 - 검사 장비용 블록스테이지 - Google Patents

검사 장비용 블록스테이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6180B1
KR101906180B1 KR1020180045444A KR20180045444A KR101906180B1 KR 101906180 B1 KR101906180 B1 KR 101906180B1 KR 1020180045444 A KR1020180045444 A KR 1020180045444A KR 20180045444 A KR20180045444 A KR 20180045444A KR 101906180 B1 KR101906180 B1 KR 1019061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bar
rotation
sliding groove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54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문배
구자흥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승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승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승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800454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61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61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61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01R1/0408Test fixtures or contact fields; Connectors or connecting adaptors; Test clips; Test sockets
    • G01R1/0416Connectors, termin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14Braking arrangements; Damping arrang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2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32Specific tests of electronic circuit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36Fault-finding or characteris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검사 장치용 블록스테이지장치는 내부에서 회전되는 회전축이 형성된 베이스블록, 상기 베이스블록 상부에서 상기 회전축과 연결되고, 중심부에 전진영역 및 후진영역으로 구분되는 슬라이딩홈이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딩홈과 인접하여 일부가 상부로 돌출되는 로테이션블록, 상기 슬라이딩홈상에서 이동되는 크로스유닛 및 상기 크로스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부가 상기 승강파트와 접촉되면서 회전되는 각도가 조절되는 무빙블록을 개시한다.

Description

검사 장비용 블록스테이지{BLOCK STAGE APPARATUS IN INSPECTION EQIUPMENT}
본 발명은 검사 장비용 블록스테이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테이지블록의 모서리를 개별적으로 승강시킬 수 있고, 다양한 방향으로 이동 또는 회전시킬 수 있으며, 스테이지의 크기를 촉소시킬 수 있는 검사 장비용 블록스테이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휴대단말기용 검사 장치는, 통신 연결을 위하여 직렬 포트와 USB 포트 및 GPIB 포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통신 포트가 단말기 성능 검사 장치에 연결된 인터페이스와, 통신 포트를 통하여 상기단말기 성능 검사장치의 기본 설정 상태를 읽어 표시하며, 시험 진행자의 설정 변경 요청에 따라 상기 단말기 성능 검사 장치의 설정 상태를 변경하는 시험조건 설정수단과, 통신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 성능 검사 장치와 연결한 후 이동 통신 단말기의 성능 측정 조건을 표시하며, 시험 진행자의 시험 진행 요청에 따라 단말기 성능 검사 장치를 원격 제어하여 시험을 진행하는 시험 개별 제어 수단을 포함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6-0133657호는, 이동통신 단말기 성능 검사유닛이 직접 이동통신 단말기에 접속되어 이동통신 단말기의 포트에 손상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 성능 검사유닛이 직접 이동통신 단말기에 접속될 때 안정적인 결합을 위하여 접속단자 사이에 걸림 결합을 두고 있으므로 이동통신 단말기 성능 검사유닛과 직접 이동통신 단말기를 일일이 자동화의구현이 쉽지 않아서 수작업으로 접속시켜야 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검사 지그가 개발되었으며, 종래기술에 따른 검사 지그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와, 본체 전단에 형성되어 이동통신 단말기의 포트와 그 일단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속단자와, 접속단자의 타단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PCB기판과, 본체 후단에서 PCB기판과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이동통신 단말기 성능검사유닛에 접속되는 USB단자를 포함한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검사 지그의 본체는, 그 상단 중앙에서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 스토퍼부, 스토퍼부의 전단에 돌출 형성되되 그 상단면이 개방된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제1노출부, 및 제1노출부에 다각 형상으로 마련된 제1평탄면이 구비된 제1본체와, 제1본체의 상단에 위치하도록 제1노출부의 상단면에 끼워져 제1노출부의 수용공간을 폐쇄하는 제2노출부, 제1본체의 후단에 위치하도록 제2노출부에서 연장 형성되되 길이방향으로 접속단자가 안착되는 다수의 수용홈이 형성된 덮개부, 및 제2노출부에 마련되어 제1평탄면에 결합되는 제2평탄면이 구비된 제2본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86008호(2015년 01월 26일 공고, 발명의 명칭: 이동통신단말기 성능 검사 장치 및 이에 이용되는 검사 지그)에 개시되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종래기술에 따른 검사 지그는, 단말기가 안착되는 본체의 상면 각도를 다양하게 변경하기 어렵고, 본체의 상면을 다양한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회전시키기 어렵기 때문에 다양한 단말기의 검사에 활용할 수 없고 검사장비의 구조적 특징에 호환되는 본체 상면의 각도를 제공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검사 지그는, 다양한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기술구성을 추가하는 경우에는 다수 개의 기술구성이 추가되어 스테이지의 크기가 현저하게 증가되기 때문에 검사장비를 설치하는데 소요되는 공간을 줄이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스테이지블록의 모서리를 개별적으로 승강시킬 수 있고, 다양한 방향으로 이동 또는 회전시킬 수 있으며, 스테이지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는 검사장비용 스테이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검사 장치용 블록스테이지장치는 내부에서 회전되는 회전축이 형성된 베이스블록, 상기 베이스블록 상부에서 상기 회전축과 연결되고, 중심부에 전진영역 및 후진영역으로 구분되는 슬라이딩홈이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딩홈과 인접하여 일부가 상부로 돌출되는 로테이션블록, 상기 슬라이딩홈상에서 이동되는 크로스유닛 및 상기 크로스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부가 상기 승강파트와 접촉되면서 회전되는 각도가 조절되는 무빙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크로스유닛은, 상기 슬라이딩홈에 배치되어 상기 슬라이딩홈의 길이방향 또는 폭방향으로 이동되는 센터스퀘어, 상기 센터스퀘어를 중심으로 측면에 길게 형성되고, 내부에 나사결합되는 스크류샤프트에 의해 길이가 조절되는 컨트롤바 및 상기 컨트롤바와 대향하여 상기 센터스퀘어의 측면에 길게 형성되고, 내부에 스프링이 연결되는 스프링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바는, 상기 스크류샤프트가 회전되는 방향에 따라 상기 센터스퀘어를 전진영역 또는 후진영역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바는, 상기 스크류샤프트가 후진영역으로 이동될 경우, 반발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테이션블록은, 상기 슬라이딩홈을 중심으로 양측에 형성되고 개별적으로 승강되어 일부가 상기 무빙블록과 접촉되는 승강파트 및 상기 로테이션블록 내부에 구비되고 일부가 상기 무빙블록을 향해 돌출되어, 회전하는 상기 무빙블록이 하강되는 위치를 제한하는 스토퍼파트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파트는, 길게 형성되어 상기 로테이션블록의 측면에 삽입되어 이동되고, 길이 방향을 따라 일부에 슬로프홈이 형성되는 슬로프바, 상기 로테이션블록상에서 상하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슬로프바가 이동되면서 상기 슬로프홈을 따라 승강되는 팝업볼 및 길게 형성되어 상기 슬로프바와 접촉되고 상기 로테이션블록에 나사 결합되는 스핀바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토퍼파트는, 길게 형성되어 단부가 테이퍼진 형태의 스토퍼바가 이동되면서 일부가 상부로 돌출되어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검사 장비용 블록스테이지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컨트롤샤프트와 스크류샤프트가 서로 다른 소재로 형성되며, 특히 스크류샤프트가 회전되게 로테이션블록에 결합되어 있어서 마모 또는 손상에 대응하여 스크류샤프트만 교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둘째, 슬로프바와 스핀바가 서로 다른 소재로 형성되어 스핀바의 교체만으로 장비의 내구성 손실에 대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셋째, 무빙블록의 전진 또는 후진이 스프링에 의존하지 않고 컨트롤바가 무빙블록의 전진 또는 후진시킴으로 스프링 내구성 한계를 극복하여 정밀하게 무빙블록을 이동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스테이지의 전체적인 모양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스테이지에서 각 구성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스테이지에서 컨트롤바 및 스프링바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스테이지에서 무빙블록이 전, 후, 좌, 우로 이동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스테이지에서 승강파트 및 어시스트파트의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스테이지에서 무빙블록이 Tx, Ty 방향으로 틸트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스테이지에서 스토퍼파트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스테이지에서 로테이션블록과 무빙블록이 회전되는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크게 베이스블록(100), 로테이션블록(200), 크로스유닛(300), 무빙블록(400)을 포함한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스테이지의 전체적인 모양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스테이지에서 각 구성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스테이지에서 컨트롤바 및 스프링바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스테이지에서 무빙블록이 전, 후, 좌, 우로 이동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스테이지에서 승강파트 및 어시스트파트의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스테이지에서 무빙블록이 Tx, Ty 방향으로 틸트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스테이지에서 스토퍼파트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스테이지에서 로테이션블록과 무빙블록이 회전되는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면을 살펴보면 베이스블록(100)은 내부에 회전축(120)이 형성되어 회전되며, 상부에 로테이션블록(200)이 결합된다. 로테이션블록(200)은 회전축(120)에 연결되어 회전축(120)과 함께 회전되며, 이 때 회전축(120)은 별도의 모터 또는 사용자에 의해 구동력을 제공받게 된다.
그리고 로테이션블록(200)은 내부에 일방향으로 관통되는 슬라이딩홈이 형성된다. 슬라이딩홈은 길게 형성되어 로테이션블록(200)의 중심부를 관통하며, 로테이션블록(200)의 상부는 개방되어 있다.
슬라이딩홈에는 크로스유닛(300)이 배치되며, 적어도 일부가 로테이션블록(200)과 결합되어 슬라이딩홈상에서 이동을 하게 된다.
여기서 크로스유닛(300)은 중심부에 사각형 모양의 센터스퀘어(320)를 중심으로 사면에 한 쌍의 컨트롤바(340) 및 한 쌍의 스프링바(360)가 결합된다.
중요한 것은 컨트롤바(340)는 또 다른 컨트롤바(340)와 수직의 각도로 배치된다는 점이다.
예를들어, 한 쌍의 컨트롤바(340) 및 스프링바(360)는 네개의 면이 형성된 센터스퀘어(320)를 중심으로 측면에 서로 인접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컨트롤바(340)를 통해 사용자는 센터스퀘어(320)를 전후진 시킨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컨트롤바(340)를 조작하여 센터스퀘어(320)를 전후진 및 측면 이동을 시킬 수 있다.
계속해서 센터스퀘어(320)의 상부에는 무빙블록(400) 배치되며, 무빙블록(400)의 일부를 컨트롤바(340) 및 스프링바(360)가 관통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무빙블록(400)은 플레이트 형상으로 하부를 향해 양단의 일부가 돌출되는 돌출부(420)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하부에 배치된 컨트롤바(340) 및 스프링바(360)가 돌출부(420)을 각각 관통한다.
이와 같이 무빙블록(400)은 각각 컨트롤바(340) 및 스프링바(360)에 결합되어 있고, 컨트롤바(340) 및 스프링바(360)가 이동되면서 무빙블록(400)도 함께 이동된다.
구체적으로 컨트롤바(340)는 내부에 홈이 형성되어 스크류샤프트(330)가 삽입되며, 스크류샤프트(330)는 길게 형성되고 둘레의 적어도 일부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일단이 컨트롤바(340) 내부로 삽입된다.
그리고 스크류샤프트(330)는 무빙블록(400)의 돌출부(420)를 관통하여 측방으로 돌출되며, 이를 마감블록이 스크류샤프트(330)를 감싸는 형태로 무빙블록(400)과 연결된다.
여기서 마감블록은 컨트롤바(340) 및 스프링바(360)의 돌출된 단부를 감싸는 형태로 내부에 홈이 형성된 볼록형상을 가진다.
좀 더 상세하게 내부를 살펴보면, 마감블록과 스크류샤프트(330) 사이에는 탄성재질의 충격흡수부재(미도시)가 구비되고 내부에 윤활유가 제공된다. 이는 사용자가 스크류샤프트(330)를 회전시키면서 마감블록과 마찰이 발생되면서 열적변형이 발생되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를 통해 사용자 도구(tool)를 삽입할 수 있는 샤프트홈(332)을 통해 스크류샤프트(330)를 회전시키게 되면, 컨트롤바(340)가 회전되어서 스크류샤프트(3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을 하게 되고, 컨트롤바(340)의 단부가 결합되는 센터스퀘어(320) 및 컨트롤바(340)와 연결되어 있는 무빙블록(400)도 함께 이동하게 된다.
이 때 센터스퀘어(320)를 중심으로 컨트롤바(340)에 대향되어 센터스퀘어(320)에 결합된 스프링바(360)는 내부에 스프링이 형성되어 컨트롤바(340)를 향해 반발력을 제공한다.
이는 컨트롤바(340)가 전진 또는 후퇴하면서 암나사 및 숫나사 사이의 공차로 인한 백래쉬(backlash)를 방지하고, 또한 로테이션블록(200)의 반복된 이동에 따른 스프링(323)의 탄성력이 약해져서 센터스퀘어(320) 복귀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함이다.
그리고 컨트롤바(340) 및 스크류샤프트(330)가 구분되는 것은 스크류샤프트(330)가 로테이션블록(200)과 나사결합되고 샤프트홈(332)에 도구를 장착하여 회전됨으로 스프링바(360)에서 제공되는 부하에 의해 마모가 생되거나 손상이 발생될 시 스크류샤프트(330)만 교체가 가능하여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스크류샤프트(330)를 회전시킴으로 무빙블록(400)을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것이며, 컨트롤바(340)가 센터스퀘어(320)의 측면에 직각으로 배치됨에 따라 도 4와 같이 센터스퀘어(320)의 측면 사방(a, b, c, d)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를 나타낸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크로스유닛(300)은
한편 로테이션블록(200)은 베이스블록(100)과 연결되어 회전된다.
먼저 베이스블록(100)은 내부에 회전축(120)이 형성되며 로테이션블록(200)과 연결되어 있다.
회전축(120)은 랙앤피니언(RACK AND PINION)방식으로 내부에 수평 방향으로 삽입된 별도의 샤프트를 사용자가 회전시킴으로 회전축(120)이 회전되는 방식으로 베이스블록(100)을 회전시킨다.
이는 일 실시 예일 뿐, 수평으로 삽입된 상기 샤프트를 회전시킴으로 이와 직교하여 상하방향으로 수직한 회전축(120)이 기어가 회전되는 방식이면 상기 랙앤피니언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로 인해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계속해서 로테이션블록(20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로테이션블록(200)은 무빙블록(400)을 틸트(TILT)시키는 구성으로 블록형태로 무빙블록(400)과베이스블록(100) 사이에 배치된다.
로테이션블록(200)의 구성은 크게 승강파트(220) 및 스토퍼파트(260)로 구분된다.
승강파트(220)는 슬라이딩홈을 중심으로 양측에 형성되고 개별적으로 양측 중적어도 어느 하나가 승강되어 무빙블록(400)의 하부에 접촉하여 무빙블록(400)을 상부로 회전시킨다.
여기서 양측의 기준이 되는 것은 슬라이딩홈에 배치된 크로스유닛(300)의 일부를 말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무빙블록(400)의 돌출홈에 컨트롤바(340) 및 스프링바(360)가 각각 관통하여 무빙블록(400)이 틸트되는 기준축이 된다.
이를 기준으로 승강파트(220)가 승강되면서 무빙블록(400)이 승강되는데, 승강파트(220)는 길게 형성되어 로테이션블록(200)의 측면에 삽입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일부의 직경이 작아지는 형상을 가진다.
도 5를 통해 살펴보면 승강파트(220)는 슬로프바(222), 팝업볼(220) 및 스핀바(226)로 구분된다.
도시된 단면도를 참고하면 슬로프바(222)는 길게 형성되며, 중심부의 직경이 작게 형성되고 스핀바(226)와 접촉되는 단부를 향할수록 직경이 점차 커지게 된다.
구체적으로 슬로프바(222)는 일단에 스핀바(226)가 접촉되는 제1홈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스프링(223)이 삽입되는 제2홈이 형성된다.
스핀바(226)는 슬로프바(222)가 접촉되는 일단이 볼록한 반구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홈에의 일부가 삽입된 형태로 배치되는데, 이와 같은 이유는 스핀바(226)가 로테이션블록(200)에 회전가능하게 나사결합되어 이동하고 이를 통해 슬로프바(222)를 밀어주면서 마찰되는 면적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스핀바(226)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사용자의 조작으로 이동되고, 슬로프바(222)의 상기 제1홈의 둘레에 점접촉하여 로테이션블록(200)의 내부에서 이동된다.
여기서 사용자가 도구(tool)을 삽입할 수 있는 스핀홈(227)을 통해 스핀바(226)가 회전된다.
그리고 로테이션블록(200) 내부에 구비되어 슬로프바(222)의 둘레와 접촉되는 팝업볼(220)은 슬로프바(222)의 슬로프홈을 따라 이동되면서 로테이션블록(200)상에서 상부로 돌출된다.
앞서 설명한 슬로프바(222) 및 스핀바(226)는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슬로프바(222)는 열처리 및 내부에 탭가공을 수행하기 때문에 부품의 단가가 높게 형성되는 문제점에 있어서, 스핀바(226)를 열처리 없이 별도로 제작하여 스핀바(226)만 교체가 가능하여 비용절감과 함께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팝업볼(220)은 강구가 나란히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측 강구의 상부에 플레이트가 접촉된 형태를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팝업볼(220)은 로테이션블록(200) 내부에서 상하로 이동되는 경로를 가지고 하부에서 슬로프바(222)가 이동되면서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된다.
이와 같이 승강파트(220)는 슬라이딩홈을 중심으로 로테이션블록(200)의 일측 모서리 하부를 지지하도록 구비되고, 일측의 또 다른 모서리에는 어시스트파트(240)가 구비되어 승강파트(220)의 상하 이동을 보조하게 된다.
어시스트파트(240)는 로테이션블록(200) 내부에 구비되며, 슬라이딩홈을 중심으로 일측에 형성된 승강파트(220)와 동일선상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어시스트파트(240)는 내부에 홈이 형성된 보울(242)과 상기 홈에 일부가 삽입되는 스프링(246) 및 상기 스프링(246) 상부에서 지지되는 보조팝업볼(244)로 구성된다.
보조팝업볼(244)은 강구의 상부에 플레이트가 접촉된 형상을 가지는데, 팝업볼(220)과 달리 강구가 하나가 구비된다.
그리고 보울(242)과 보조팝업볼(244) 사이에 구비된 상기 스피링을 통해 보조팝업볼(244)은 로테이션블록(200)의 모서리 하부를 지지하게 된다.
이처럼 승강파트(220)가 상부로 이동되면서 어시스트파트(240)는 함께 상부로 이동되어 무빙블록(400)이 틸트되도록 하부에서 지지한다.
이와 동일하게 슬라이딩홈을 중심으로 양측에 승강파트(220)와 어시스트파트(240)가 구비되어 슬라이딩홈을 중심으로 양쪽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으로 틸트가 가능하게 된다.
위와 같이 승강파트(220) 및 어시스트파트(240)가 틸트 되도록 구성되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작된다. 무빙블록(400)이 크로스유닛(300)과 결합되어 슬라이딩홈을 중심으로 틸트된다.
본 발명의 블록스테이지는 정밀하게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a, b, c, d의 방향 및 Tx, Ty방향으로 소정씩 움직이게 된다.
앞서 설명한 승강파트(220) 및 어시스트파트(240)의 동작에 따라 무빙블록(400)의 Tx, Ty의 움직임은 스토퍼파트(260)에 의해 틸트되는 기울기가 제한된다.
스토퍼파트(260)는 무빙블록(400)의 하부에 배치되고 로테이션블록(200) 내부에 구비되며. 일부가 상부로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스토퍼파트(260)는 로테이션블록(200)의 양측면 중 적어도 일측에 구비되고, 일단이 테이퍼지게 형성되는 제1스토퍼(262) 및 제1스토퍼(262)와 동일하게 형성되며 제1스토퍼(262)와 직각을 이루도록 제1스토퍼(262)의 상기 테이퍼진 면과 접촉되는 제2스토퍼(264)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1스토퍼(262)는 슬라이딩홈과 평행을 이루도록 이동되게 구비되어 제1스토퍼(262)가 이동되면서 이와 직각으로 배치된 제2스토퍼(264)가 상기 테이퍼진 면을 따라 상부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때 제1스토퍼(262)의 타단은 소정의 곡률을 돌출형성되는 반구형의 형상을 가지며, 이에 접촉되는 스토퍼컨트롤파트(266)의 일단이 제1스토퍼(262)의 타단과 접촉되면서 제1스토퍼(262)를 이동시킨다.
스토퍼컨트롤파트(266)는 길게 형성되고, 일단이 제1스토퍼(262)의 타단과 접촉되고, 타단에는 사용자가 도구(tool)를 삽입할 수 있는 스토퍼홈이 형성되어 외부로 노출된다.
그리고 스토퍼컨트롤파트(266)는 둘레를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어 로테이션블록(200)과 결합되어 사용자가 스토퍼컨트롤파트(266)가 전후진되도록 회전시킴으로 제2스토퍼(264)가 상부로 돌출되게 하는 것이다.
이상 전체적인 구성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이를 통해 본 발명의 블록스테이지의 동작에 따른 구성의 변화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스테이지는 회전축(120)이 구비된 베이스블록(100)과 회전축(120)과 결합되어 회전되는 로테이션블록(200), 로테이션블록(200) 내부에서 사방(a, b, c, d)으로 이동되는 크로스유닛(300) 및 크로스유닛(300)에 결합되는 무빙블록(400)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로테이션블록(200)은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어 둘레를 따라 회전되는 회전축(12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로테이션블록(200)은 내부에 일방향으로 관통된 슬라이딩홈이 형성되고 내부에 크로스유닛(300)이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 때 크로스유닛(300)은 직육면체 형상의 센터스퀘어(320)를 중심으로 사면에 한 쌍의 컨트롤바(340) 및 한 쌍의 스프링바(360)가 결합되되 한 쌍의 컨트롤바(340)는 서로 인접하고 한 쌍의 스프링바(360)도 서로 인접하게 센터스퀘어(320)에 결합된다.
이를 통해 센터스퀘어(320)를 중심으로 슬라이딩홈을 따라 컨트롤바(340) 및 스프링바(360)가 각각 결합되고 이에 수직된 방향으로도 컨트롤바(340) 및 스프링바(360)가 각각 결합된다.
여기서 컨트롤바(340)는 사용자가 도구를 사용할 수 있도록 샤프트홈(332)이 외부로 노출되어 컨트롤바(340)와 연결되는 스크류샤프트(330)에 의해 이동된다.
스크류샤프트(330)는 길게 형성되어 로테이션블록(200)에 고정결합되고, 단부가 컨트롤바(340) 내부에 형성된 홈에 나사로 결합되어 있어서 스크류샤프트(330)가 회전되면서 컨트롤바(340)를 이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크로스유닛(300)은 슬라이딩홈에서 바닥을 형성하는 바닥면(미도시)과 소정 이격되어 로테이션블록(200)과 결합되는데, 이는 크로스유닛(300)이 사방(a, b, c, d)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바닥면과 마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계속해서 승강파트(220)는 무빙블록(400)의 하부에 접촉하여 무빙블록(400)이 틸트 가능하게 한다.
승강파트(220)는 슬로프바(222)가 수평이동함에 따라 둘레의 경사를 따라 이동되는 팝업볼(220)이 상부로 돌출되면서 무빙블록(400)의 일측을 상하로 이동시킨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무빙블록(400)은 크로스유닛(300)의 일부가 관통되어 틸트가 가능하기 때문에 팝업볼(220)의 상하 이동에 따라 틸트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승강파트(220)는 무빙블록(400)의 모서리를 자극하기 때문에 이와 보조하여 어시스트파트(240)가 추가로 구비된다.
어시스트파트(240)는 보조팝업볼(244)이 상부로 돌출되도록 하부에 스프링(246)이 구비되어 있어서 팝업볼(220)이 상승되면서 무빙블록(400)를 하부에 상승시킬 때 또 다른 모서리가 함께 상승되도록 보조한다.
이와 동일하게 로테이션블록(200)은 슬라이딩홈을 중심으로 양측에 승강파트(220) 및 어시스트파트(240)가 형성되어 무빙블록(400)이 슬라이딩홈을 중심으로 양방향으로 틸트가 가능하게 한다.
한편 승강파트(220) 및 어시스트파트(240)에 따른 무빙블록(400)이 틸트되는 회전 반경을 제한하는 스토퍼파트(260)가 로테이션블록(200)에 형성된다.
스토퍼파트(260)는 일부가 상부로 소정돌출되어 무빙블록(400)이 틸트되면서 하강하는 정도를 제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스토퍼파트(260)는 제1스토퍼(262), 제2스토퍼(264) 및 스토퍼컨트롤파트(266)로 구성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스토퍼컨트롤파트(266)에서 외부로 노출된 단부에 스토퍼홈에 도구를 장착하여 스토퍼컨트롤파트(266)를 회전시킴으로 제1스토퍼(262)파트(260)를 수평방향으로 전진 또는 후진시키고, 이에 따라 제2스토퍼(264)가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되는 것이다.
위와 같은 블록스테이지의 구성에 따라 무빙블록(400) 상부에 하중이 무거운 대상물을 안착시켜서 수평을 조절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베이스블록
200: 로테이션블록
220: 승강파트
222: 슬로프바
223: 스프링
224: 팝업볼
226: 스핀바
227: 스핀홈
240: 어시스트파트
242: 보울
244: 보조팝업볼
246: 스프링
260: 스토퍼파트
262: 제1스토퍼
264: 제2스토퍼
266: 스토퍼컨트롤파트
267: 스토퍼홈
300: 크로스유닛
320: 센터스퀘어
330: 스크류샤프트
332: 샤프트홈
340: 컨트롤바
360: 스프링바
380: 스프링
400: 무빙블록

Claims (7)

  1. 내부에서 회전되는 회전축이 형성된 베이스블록;
    상기 베이스블록 상부에서 상기 회전축과 연결되고, 중심부에 전진영역 및 후진영역으로 구분되는 슬라이딩홈이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딩홈과 인접하여 일부가 상부로 돌출되는 로테이션블록;
    상기 슬라이딩홈상에서 이동되는 크로스유닛; 및
    상기 크로스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부가 상기 로테이션블록의 일부와 접촉되면서 회전되는 각도가 조절되는 무빙블록;
    을 포함하며,
    상기 로테이션블록은,
    상기 슬라이딩홈을 중심으로 양측에 형성되고 개별적으로 승강되어 일부가 상기 무빙블록과 접촉되는 승강파트; 및
    상기 로테이션블록 내부에 구비되고 일부가 상기 무빙블록을 향해 돌출되어, 회전하는 상기 무빙블록이 하강되는 위치를 제한하는 스토퍼파트;
    를 포함하는 블록스테이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유닛은,
    상기 슬라이딩홈에 배치되어 상기 슬라이딩홈의 길이방향 또는 폭방향으로 이동되는 센터스퀘어;
    상기 센터스퀘어를 중심으로 측면에 길게 형성되고, 내부에 나사결합되는 스크류샤프트에 의해 길이가 조절되는 컨트롤바; 및
    상기 컨트롤바와 대향하여 상기 센터스퀘어의 측면에 길게 형성되고, 내부에 스프링이 연결되는 스프링바;
    를 포함하는 블록스테이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바는,
    상기 스크류샤프트가 회전되는 방향에 따라 상기 센터스퀘어를 전진영역 또는 후진영역으로 이동시키는 블록스테이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바는,
    상기 스크류샤프트가 후진영역으로 이동될 경우, 반발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스테이지.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파트는,
    길게 형성되어 상기 로테이션블록의 측면에 삽입되어 이동되고, 길이 방향을 따라 일부에 슬로프홈이 형성되는 슬로프바;
    상기 로테이션블록상에서 상하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슬로프바가 이동되면서 상기 슬로프홈을 따라 승강되는 팝업볼; 및
    길게 형성되어 상기 슬로프바와 접촉되고 상기 로테이션블록에 나사 결합되는 스핀바;
    을 포함하는 블록스테이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파트는,
    길게 형성되어 단부가 테이퍼진 형태의 스토퍼바가 이동되면서 일부가 상부로 돌출되어 높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스테이지.
KR1020180045444A 2018-04-19 2018-04-19 검사 장비용 블록스테이지 KR1019061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5444A KR101906180B1 (ko) 2018-04-19 2018-04-19 검사 장비용 블록스테이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5444A KR101906180B1 (ko) 2018-04-19 2018-04-19 검사 장비용 블록스테이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6180B1 true KR101906180B1 (ko) 2018-10-17

Family

ID=64099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5444A KR101906180B1 (ko) 2018-04-19 2018-04-19 검사 장비용 블록스테이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618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1605B1 (ko) * 2018-11-06 2019-08-14 (주)이즈미디어 검사장치용 무빙 스테이지
KR20200113865A (ko) 2019-03-26 2020-10-07 (주)멘토티앤씨 검사장비용 정밀구동 스테이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1960B1 (ko) 2006-11-20 2008-08-12 한성욱 디스플레이장치 제조장비의 틸트앤로테이션 스테이지
KR100952896B1 (ko) 2010-01-21 2010-04-16 주식회사 이노비즈 엘이디 검사장비의 웨이퍼 스테이지의 그립퍼
JP2013255959A (ja) 2012-06-12 2013-12-26 Seiko Epson Corp 移動機構、電子部品搬送装置、電子部品検査装置
KR101706106B1 (ko) * 2016-03-11 2017-02-13 주식회사 삼승엔지니어링 검사장비용 스테이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1960B1 (ko) 2006-11-20 2008-08-12 한성욱 디스플레이장치 제조장비의 틸트앤로테이션 스테이지
KR100952896B1 (ko) 2010-01-21 2010-04-16 주식회사 이노비즈 엘이디 검사장비의 웨이퍼 스테이지의 그립퍼
JP2013255959A (ja) 2012-06-12 2013-12-26 Seiko Epson Corp 移動機構、電子部品搬送装置、電子部品検査装置
KR101706106B1 (ko) * 2016-03-11 2017-02-13 주식회사 삼승엔지니어링 검사장비용 스테이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1605B1 (ko) * 2018-11-06 2019-08-14 (주)이즈미디어 검사장치용 무빙 스테이지
KR20200113865A (ko) 2019-03-26 2020-10-07 (주)멘토티앤씨 검사장비용 정밀구동 스테이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6180B1 (ko) 검사 장비용 블록스테이지
TWI389229B (zh) Probe card adjustment mechanism and probe device
CN210126054U (zh) 一种检查装置用移动台
JP5289898B2 (ja) ステージ装置及びプローバ装置
KR101706106B1 (ko) 검사장비용 스테이지
CN109838953B (zh) 家用电器及其铰链单元
KR20230083508A (ko) 적재 화물용 이동식 대차
JP5531399B2 (ja) 昇降体のロック装置
KR100687938B1 (ko) 골프연습용 발판의 경사각도 조절장치
CN2842695Y (zh) 开关装置
CN114473899A (zh) 物料精定位装置
JP5353779B2 (ja) バッテリ充電用倉庫
KR101873542B1 (ko) 경첩 설치용 도어 승강 장치
JP2009003010A (ja) 雲台式カメラ装置
EP0720964A1 (en) Auxiliary device of a hydraulic jack
JP7450531B2 (ja) コネクタの挿抜試験装置
JP3126424U (ja) 楔型ジャッキ
CN220626431U (zh) 开合爪快夹式芯片测试座
KR102375918B1 (ko) 차량용 리프트 장치
CN2501204Y (zh) 插座连接器
JP7439743B2 (ja) フォークリフトのフォーク
US11891248B2 (en) Article support device and article loading and unloading system
KR200372504Y1 (ko) 하드디스크드라이버용 클럭정보입력장치
KR20140125824A (ko) 로드 컵 내의 기판을 감지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N212428111U (zh) 平整装置及应用所述平整装置的智能铺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