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3542B1 - 경첩 설치용 도어 승강 장치 - Google Patents

경첩 설치용 도어 승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3542B1
KR101873542B1 KR1020160110152A KR20160110152A KR101873542B1 KR 101873542 B1 KR101873542 B1 KR 101873542B1 KR 1020160110152 A KR1020160110152 A KR 1020160110152A KR 20160110152 A KR20160110152 A KR 20160110152A KR 101873542 B1 KR101873542 B1 KR 1018735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rame
elevating
coupled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01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4271A (ko
Inventor
서종근
Original Assignee
신명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명선 filed Critical 신명선
Priority to KR10201601101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3542B1/ko
Publication of KR201800242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42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35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35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3/00Accessories for sliding or lifting wings, e.g. pulleys, safety cat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경첩 설치를 위해 도어를 승강 및 지지시키는 도어 승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승강 장치는 도어와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프레임, 일단은 상기 프레임과 결합되고 타단은 지면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지지부, 상기 프레임 하부에서 상기 도어 하부를 밀착 지지하는 도어거치부 및 기 프레임을 따라 하부로 연장되는 승강 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어 구동에 따라 상기 승강 기어를 회전시키는 도어승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경첩 설치용 도어 승강 장치{DOOR LIFTING DEVICE FOR INSTALLING HINGE}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경첩 설치를 위해 도어를 승강 및 지지시키는 도어 승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식별항목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식별항목에 기재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도어는 경첩들을 이용해 문틀에 부착되고, 경첩을 도어와 문틀에 동시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도어가 문틀측면에 위치하도록 이동시키고 지지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그러나 다양한 크기 및 하중을 형성하는 도어를 문틀의 측면에 배치시키고 경첩이 도어와 문틀에 설치되는 작업 중에 도어를 지지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인력이 필요하고 실수가 발생되는 경우 경첩, 도어 또는 문틀이 손상되는 단점이 있다.
이와 관련되어 한국 특허등록 제10-1533769호는 기울기가 조절가능한 자동차 도어의 탈부착용 지지대부를 개시하고 있고, 한국실용신안공개 제20-2013-0005361호는 자동차 도어의 교환 또는 수리 시 차량의 도어를 일정높이로 지지하는 도어 지지체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발명들은 차량의 도어를 지지하는 발명은 개시하고 있으나 주택에 사용되는 도어를 지지하고 문틀에 위치시키는 발명은 제시하지 않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휴대성이 높고 안전하게 도어를 승강 및 지지시키는 발명을 필요로 한다.
경첩을 장착하기 위해 도어를 문틀로 위치시키고 지지하는 도어 승강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도어 승강 장치는 도어와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프레임, 일단은 상기 프레임과 결합되고 타단은 지면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지지부, 상기 프레임 하부에서 상기 도어 하부를 밀착 지지하는 도어거치부 및 상기 프레임을 따라 하부로 연장되는 승강 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어 구동에 따라 상기 승강 기어를 회전시키는 도어승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유닛과 결합되고, 상기 프레임의 양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도어의 양측을 압박하도록 상기 도어와 결합되는 도어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승강 장치는 프레임과 도어를 양측에서 압박하도록 형성되는 도어고정부 및 지지부를 통해 도어에 밀착되는 부피는 최소화하여 휴대성이 높고 도어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도어고정부와 결합되는 도어승강부는 도어와 직접적으로 결합되는 도어고정부를 프레임에 안정적으로 결합시키기 위해 도어고정부를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되어 도어 승강 장치의 내구성 및 작업안정성이 증가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흡착패드들을 포함하는 도어승강부는 프레임의 양쪽 측면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최소한의 부재들로 도어와 프레임을 밀착시켜 도어 승강 장치의 휴대성 및 편의성이 증가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도어거치부는 도어고정부가 탈착된 상태에서 도어를 프레임에 거치시키고 도어의 하부는 보조거치대를 통해 안정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보조거치대에 삽입되도록 형성된 승강거치대의 상승을 통해 도어를 이동시킬 수 있어 휴대성 및 작업편의성이 증가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도어 승강 장치는 도어고정부를 통한 장점들과 흡착패드를 통해 휴대성 증가 및 도어거치부의 장점 등의 열거된 효과들 외에 다른 효과도 가질 수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승강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도어 승강 장치를 다른 각도에서 보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 승강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B'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 승강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승강제어유닛의 분해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8 및 9는 도 6의 도어거치부의 승강구동을 나타낸 사시도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어 승강 장치의 구성, 동작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승강 장치(100)는 프레임(200), 지지부(300), 도어고정부(400), 도어승강부(500) 및 도어거치부(600)를 포함한다.
도어 승강 장치(100)는 도어(10)(door)와 문틀을 경첩으로 연결시키기 위해, 도어(10)를 문틀 측면에 위치시키고 문틀과 동일한 높이를 유지시키기 위한 장치이고, 도어(10)의 양측면을 압박하는 상태에서 기어들을 통해 도어(10)를 상승시켜 문틀과 동일한 높이를 유지시킨다.
프레임(200)은 도어(10)에서 넓은 면적을 형성하는 정면 또는 배면에 밀착되도록 배치되고, 육면체 형태로 상부에서 하부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프레임(200)의 측면에는 복수의 가이드홈들이 형성되어 슬라이딩 유닛이 가이드홈에 결합되면 가이드홈을 따라 상하부로 이동될 수 있다.
지지부(300)는 프레임(200)의 측면에 상부 또는 하부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일단이 프레임(200)에 결합된 상태에서 하부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지면에 접촉하면 프레임(200)이 도어(10)에 밀착된 상태에서 측면으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고 도어(10)가 프레임(200)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도어고정부(400)는 프레임(200)의 상단에 배치되고 양쪽 측면의 부재들의 조정을 통해 도어(10)의 양쪽측면을 압박하여 문이 안정적으로 문틀 측면에 위치하도록 가이드하고, 조정을 통해 느슨하게 하여 도어 승강 장치(100)와 도어(10)를 분리시킬 수 있다.
도어승강부(500)는 일부가 도어고정부(400)와 결합되고 나머지 부분은 기어를 회전시키는 구동을 통해 일부를 상승시키거나 하강시켜 도어고정부(400)의 높이를 조정하게 된다.
도어거치부(600)는 프레임(200)의 하단에 배치되고, 도어(10)의 하부면과 밀착되도록 형성되어 도어(10)가 안정적으로 도어 승강 장치(100)에 거치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프레임(200)은 제1 측면가이드홈(210) 및 제2 측면가이드홈(220)을 포함한다.
제1 측면가이드홈(210)은 프레임(200)의 일측면에 상하부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제2 측면가이드홈(220)은 프레임(200)의 전방에 상하부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지지부(300)는 전방지지대(310), 제1 측면지지대(320) 및 제2 측면지지대(330)를 포함한다.
제1 측면지지대(320)는 육면체의 표면에 복수의 가이드홈들이 형성되고, 제1 측면지지대(320)의 일단은 프레임(200)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 측면가이드홈(210)에 상부 또는 하부로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연결된다.
제1 측면지지대(320)의 타단은 일측 하부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지면과 접촉되고, 받침부재를 통해 지면에 고정되어 프레임(200)이 일측을 향해 기울어지지 않도록 방지한다.
전방지지대(310)는 제1 측면지지대(320)와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어 전방지지대(310)의 일단은 제2 측면가이드홈(220)에 결합되고 상부 또는 하부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전방지지대(310)의 타단은 전방 하부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지면과 접촉되고, 받침부재를 통해 지면에 고정되어 프레임(200)이 전방을 향해 기울어지지 않도록 방지한다.
제2 측면지지대(330)는 전방지지대(310)와 동일한 육면체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길게 연장되는 구조로 형성되고, 일단은 프레임(200)의 타측에 배치되는 가이드홈에 상부 또는 하부로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연결된다.
제2 측면지지대(330)의 타단은 타측 하부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지면과 접촉되고, 받침부재를 통해 지면에 고정되어 프레임(200)이 타측을 향해 기울어지지 않도록 방지한다.
도어고정부(400)는 연결부재(410), 고정부재(420) 및 가이드부재(430)를 포함한다.
연결부재(410)는 육면체 형태로 형성되고, 프레임(200) 상단에 프레임(200)과 수직 교차하도록 일단 및 타단 각각이 도어(10)의 양측을 향해 연장되며, 표면에는 일단에서 타단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가이드홈들이 형성된다.
고정부재(420)는 도어(10)를 향해 연장되는 바(bar) 형태로 형성되고, 일단은 연결부재(410)의 일단에 결합되어 도어(10)를 향해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고정부재(420)의 타단에는 도어(10)의 일측면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받침부재가 형성되어 도어(10)의 일측과 접촉한다.
가이드부재(430)는 도어(10)를 향해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일단은 연결부재(410)의 타단에 결합된다. 가이드부재(430)의 타단에는 도어(10)의 타측면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받침부재가 형성되어 도어(10)의 타측과 접촉한다.
또한, 가이드부재(430)는 연결부재(410)에 형성되는 가이드홈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여 고정부재(420)와 함께 다양한 크기의 도어(10)의 양측면과 접촉하여 압박할 수 있다.
사용자는 도어(10)를 프레임(200)의 배면에 부착시킨 상태에서 도어(10)의 양측면이 고정부재(420)와 가이드부재(430)의 받침부재와 접촉하도록 배치하고 가이드부재(430)를 도어(10)의 타측을 향해 이동시켜 도어(10)가 안정적으로 도어고정부(400)에 고정시킨다.
도어승강부(500)는 승강제어유닛(510), 승강기어(520) 및 승강유닛(530)을 포함한다.
승강제어유닛(510)은 프레임(200)의 상부 끝단에 배치되고, 도어(10)의 반대편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승강기어(520)는 승강제어유닛(510)의 하부를 향해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승강기어(520)의 하부에는 육면체 형태의 측면을 향해 중공이 형성되는 승강유닛(530)이 결합된다.
승강유닛(530)의 중공에는 연결부재(410)가 삽입되어 도어(10)의 양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승강유닛(530)의 전방에 위치한 일부는 프레임(200)에 형성되는 가이드홈과 결합되어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이 가능하다.
따라서, 승강제어유닛(510)이 구동하면 승강기어(520)가 회전구동을 하고, 승강기어(520)의 회전구동에 따라 승강유닛(530)은 프레임(200)의 가이드홈을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한다.
또한, 승강유닛(530)이 상승 또는 하강하면서 연결부재(410)가 상승 또는 하강하고, 고정부재(420)와 가이드부재(430)에 의해 고정되는 도어(10)는 승강유닛(530)의 이동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200)은 제3 측면가이드홈(230) 및 제4 측면가이드홈(240)을 포함한다.
제3 측면가이드홈(230)은 가이드부재(430)가 배치되는 방향을 향해 프레임(200)을 따라 상부에서 하부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제2 측면지지대(330)의 일단이 제3 측면가이드홈(230)에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제4 측면가이드홈(240)은 도어(10)가 배치되는 방향을 향해 프레임(200)을 따라 상부에서 하부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도어(10)와 밀착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전방지지대(310), 제1 측면지지대(320) 및 제2 측면지지대(330) 각각은 도어(10)의 크기와 하중에 따라서 프레임(200)과 결합되는 높이를 달리하여 결합이 가능하고, 도어(10)의 양측면의 크기가 넓은 경우 제1 측면지지대(320) 및 제2 측면지지대(330)와 프레임(200)이 결합되는 높이를 조정하여 안정적으로 도어(10)를 지지할 수 있다.
도어(10)는 하부면이 도어거치부(600)와 접촉되며 거치되는 상태에서 도어(10)의 양측면은 고정부재(420)와 가이드부재(430)를 통해 고정되고, 도어(10)의 전면은 프레임(200)과 승강제어유닛(510)의 배면과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해당 사용자는 승강제어유닛(510)을 구동시켜 승강기어(520)를 회전시키고 승강기어(520)의 회전에 따라 승강유닛(530)이 상승 또는 하강하면서 연결부재(410)를 상승 또는 하강시킨다.
연결부재(410)의 상승 또는 하강으로 고정부재(420) 및 가이드부재(430) 또한 상승 또는 하강하고 도어(10)는 고정부재(420) 및 가이드부재(430)의 이동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된다.
따라서, 승강제어유닛(510), 프레임(200) 및 도어거치부(600)는 도어(10)와 밀착 형성되어 도어(10)가 안정적으로 배치되도록 보조하고, 도어승강부(500)는 기어를 통해 도어고정부(400)를 구동시켜 도어(10)를 편리하게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제어유닛(510)은 지지부재(511), 커버(512), 제1 베벨기어(513), 제2 베벨기어(514), 휠(515) 및 핸들(516)을 포함한다.
지지부재(511)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일단은 프레임(200)의 상부 끝단에 결합되며, 지지부재(511)의 타단은 도어(10)가 위치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지지부재(511)의 중앙에는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제1 베벨기어(513)가 형성되고, 제1 베벨기어(513)는 하부로 연장되어 승강기어(520)와 연결되고 승강기어(520)는 승강유닛(530)과 결합된다.
제2 베벨기어(514)는 제1 베벨기어(513)의 일단과 맞물리도록 형성되고, 제2 베벨기어(514)의 타단은 지지부재(511)의 타단이 연장되는 방향을 향해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제2 베벨기어(513)의 타단에는 휠(515)이 결합되어 용이하게 제2 베벨기어(514)를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핸들(516)은 손으로 파지하기 용이한 바(bar)형태로 휠(515)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제2 베벨기어(514)를 편리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핸들(516) 또는 휠(515)을 회전시키면 제2 베벨기어(514)가 회전하고, 제2 베벨기어(514)가 회전하면서 제1 베벨기어(513)가 회전하면서 승강유닛(530)이 상승 또는 하강한다.
승강유닛(530)은 승강부재(531), 슬라이딩부재(532) 및 조임부재(533)를 포함한다.
승강부재(531)는 연결부재(410)의 상부, 하부 및 배면을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되고, 지지부재(511)의 하부에 소정의 공간을 두고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프레임(200)의 전면에 슬라이딩 결합된다.
제1 베벨기어(513)의 하단은 프레임(200)과 연결부재(410) 사이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승강부재(531)를 관통하도록 결합되고, 제1 베벨기어(513)가 회전하면 승강부재(531)는 제1 베벨기어(513)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된다.
슬라이딩부재(532)는 일단이 프레임(200)의 측면에 슬라이딩 결합되고, 타단은 승강부재(531)를 향해 연장되어 승강부재(531)의 측면에 고정 결합된다. 슬라이딩부재(532)는 승강부재(531)와 프레임(200)을 연결시키고 도어(10)의 하중에 대한 지지력을 증가시켜 승강유닛(530)의 내구성을 증가시킨다.
조임부재(533)는 연결부재(410)의 전방을 커버하고 승강부재(531)와 결합되며, 나사결합을 통해 연결부재(410) 및 승강부재(531)를 도어(10)를 향해 압박하여 연결부재(410)가 승강부재(531)에 거치된 상태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방지하고, 안정적으로 도어(10)를 고정시키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도 4의 도어 승강 장치는(120)는 도어고정부(440)를 제외하면 도 1의 도어 승강 장치(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한 참조번호와 명칭을 사용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승강 장치(120)는 도어고정부(440)를 포함하고, 도어고정부(440)는 연결부재(441), 제1 흡착패드(442) 및 제2 흡착패드(443)를 더 포함한다.
도어고정부(440)는 도 1의 도어고정부(400)와 달리 도어(10)의 전면 또는 후면에 진공 흡착되어 도어(10)와 고정 결합되고, 일부는 승강유닛(530)에 결합되어 승강제어유닛(510)의 구동에 따라서 도어(10)와 함께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된다.
연결부재(441)는 승강유닛(530)에 형성된 중공을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일단 및 타단 각각이 프레임(200)의 양쪽측면을 향해 도어(10)의 전면 또는 후면과 평행하도록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된다.
제1 흡착패드(442)는 접시형태로 형성되고 중앙부는 도어(10)의 반대방향을 향해 오목하게 돌출되고 가장자리는 도어(10)를 향해 기울어지도록 형성되며, 제1 흡착패드(442)는 연결부재(441)의 일단에 결합되고, 제1 흡착패드(442)의 가장자리가 도어(10)를 향하도록 도어(10)와 연결부재(441) 사이에 배치된다.
제1 흡착패드(442)의 가장자리를 도어(10)의 전면 또는 후면에 밀착시키고 제1 흡착패드(442)의 중앙부를 도어(10)를 향해 압박을 가하면 제1 흡착패드(442)의 중앙부와 도어(10)간에 형성되는 내부공간이 압축되며 진공이 형성되어 제1 흡착패드(442)와 도어(10)의 결합력이 증가된다.
제2 흡착패드(443)는 제1 흡착패드(442)와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어 중앙부는 도어(10)의 반대방향을 향해 오목하게 돌출되고 가장자리는 도어(10)를 향해 기울어지도록 형성되며, 제2 흡착패드(443)는 연결부재(441)의 타단에 결합되어 제2 흡착패드(443)의 가장자리가 도어(10)를 향하도록 도어(10)와 연결부재(441) 사이에 배치된다.
제2 흡착패드(443)의 가장자리를 도어(10)의 전면 또는 후면에 밀착시키고 제2 흡착패드(443)의 중앙부를 도어(10)를 향해 압박을 가하면 제2 흡착패드(443)의 중앙부와 도어(10)간에 형성되는 내부공간이 압축되며 진공이 형성되어 제2 흡착패드(443)와 도어(10)의 결합력이 증가된다.
따라서, 제1 흡착패드(442)와 제2 흡착패드(443)는 프레임(200)의 양쪽 측면에서 도어(10)와 결합되고, 승강제어유닛(510)이 구동하여 승강유닛(530)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면 제1 흡착패드(442)와 제2 흡착패드(443)와 함께 도어(10) 또한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441)는 승강부재(531)의 측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중공에 삽입되고, 프레임(200)의 양쪽측면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연결부재(441)의 일단은 절곡되어 제1 흡착패드(442)와 결합되고, 연결부재(441)의 타단은 절곡되어 제2 흡착패드(443)와 결합되며, 조임부재(533)를 통해 연결부재(441)와 승강부재(531)간의 결합력을 조정시킬 수 있다.
그리고 승강부재(531)에 삽입된 상태의 조임부재(533)를 프레임(200)을 향해 이동시키는 구동을 통해 연결부재(441)가 도어(10)를 향해 이동하면서 제1 흡착패드(442)와 제2 흡착패드(443)를 도어(10)와 결합시킬 수 있어 편의성이 향상된다.
또한, 연결부재(441)는 양측으로 연장되는 구조로 한정되지 않고 승강유닛(530)의 양쪽 측면을 향해 다양한 각도를 이루면서 연장되어 복수의 흡착패드들과 결합될 수 있고, 하중이 큰 도어(10)의 경우 연결부재(441)의 교체 및 흡착패드의 추가를 통해 승강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흡착패드(442) 및 제2 흡착패드(443)는 최소한의 공간으로 도어(10)를 도어 승강 장치(10)와 결합시키므로 도어(10)와 문틀을 결합시키는 작업 중에 발생할 수 있는 공간제약이 줄어드는 장점이 있고 휴대성이 증가한다.
또한, 도어 승강 장치(120)는 물리적인 힘으로 압박하여 도어(10)를 고정시키는 방식과 달리 진공을 이용해 도어(10)를 고정시켜 도어(10)에 발생할 수 있는 스크래치나 손상이 감소하는 장점이 있다.
한편, 승강부재(531)는 교환이 가능하고 프레임(200)과 조임부재(533)가 결합되는 거리가 다른 크기의 승강부재(531)로 교환하여 제1 및 제2 흡착패드(442, 443)들이 도어(10)와 밀착하도록 조정이 가능하다.
그리고 승강제어유닛(510)의 내부에는 배터리 및 모터를 배치시켜 횔(515)의 동작을 보조시킬 수 있고, 커버(512)에 형성될 수 있는 버튼을 눌러 모터의 구동으로 도어(10)를 승강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 승강 장치는(140)는 프레임(260), 승강기어(540), 승강유닛(550) 보조거치대(610) 및 승강거치대(620)를 제외하면 도 1의 도어 승강 장치(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한 참조번호와 명칭을 사용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승강 장치(140)는 프레임(260) 및 도어거치부(600)를 더 포함한다.
도어 승강 장치(140)는 도 1의 도어 승강 장치(100)와 도 4의 도어 승강 장치(120)와 다르게 도어(10)의 하부와 접촉되는 도어거치부(600)의 일부를 상승 또는 하강시켜 도어(10)의 위치를 조정한다.
프레임(260)은 도어(10)에 밀착되도록 형성되고, 승강제어유닛(510)과 연결되는 기어는 프레임(260)의 내부공간을 통해 하부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도어거치부(600)와 연결된다.
도어거치부(600)는 지면에 밀착되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일부분은 프레임(260)의 하부에서 승강제어유닛(510)과 연결되도록 결합되어 승강제어유닛(510)의 구동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한다.
따라서, 도어 승강 장치(140)는 도어거치부(600)에 도어(10)가 거치되면, 도어(10)의 전면을 프레임(260)에 밀착시킨 후 승강제어유닛(510)을 통해 도어거치부(600)의 일부분을 상승 또는 하강시켜 도어(10)의 위치를 조정한다.
도어 거치부(600)는 보조거치대(610) 및 승강거치대(620)를 포함한다.
보조거치대(610)는 프레임(260)의 하부 지면에 밀착되도록 형성되고, 도어(10)의 하부가 거치되도록 형성되며, 승강거치대(620)는 보조거치대(610)의 측면을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되고 보조거치대(610)와 탈착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보조거치대(610)는 프레임(260)의 하부에 결합되고, 승강거치대(620)는 승강제어유닛(510)에 연결되어 하부로 연장되는 기어와 결합되고, 보조거치대(610)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공간에 승강거치대(620)의 외측면이 보조거치대(610)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삽입된다.
따라서, 승강제어유닛(510)의 구동으로 프레임(260) 내부의 기어가 회전하면 승강거치대(620)가 보조거치대(610)와 탈착되어 상승 또는 하강하며 도어(10)의 위치를 조정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베벨기어(513)는 하부로 연장되어 프레임(260) 내부에 형성되는 기어와 연결된다. 프레임(260)은 제1 베벨기어(513)와 연결되는 기어를 커버하고 하부로 길게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기어를 보호한다.
프레임(260)의 양측면에는 복수의 가이드홈들이 형성되고, 가이드홈들에는 도 1의 도어 승강 장치(100)의 도어고정부(400)나 도 4의 도어 승강 장치(120)의 도어고정부(440)의 구조와 유사한 가이드부재를 설치하여 승강거치대(620)의 상승 또는 하강 도중에 도어(10)가 안정적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260)은 내부의 기어를 커버하기 위해 지지부재(511)와 접촉되는 면적이 증가하여 안정적으로 승강제어유닛(510)을 지지하고, 별도의 가이드부재가 없는 도어(10)가 프레임(260)과 밀착되는 경우 안정적으로 도어(10)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260)은 승강제어유닛(510)과 탈착되도록 형성되고, 승강제어유닛(510)의 내부에는 배터리 및 모터를 배치시켜 횔(515)의 동작을 보조시킬 수 있고, 커버(512)에 형성될 수 있는 버튼을 눌러 모터의 구동으로 도어(10)를 승강시킬 수 있다.
도 8 및 9를 참조하면, 도어 승강 장치(140)는 승강기어(540)를 포함하고, 승강유닛(550)은 승강부재(551) 및 돌출부재(552)를 포함한다.
승강기어(540)는 프레임(260)의 내부공간을 따라 하부로 연장되는 나사형태로 형성되고 일단은 제1 베벨기어(513)와 결합되고, 타단은 하부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승강유닛(550)과 결합된다.
승강부재(551)는 승강기어(540)가 삽입되는 중공이 형성되고, 승강기어(540)는 승강부재(551)의 중공의 중앙을 향해 형성되는 내측면과 맞물리도록 형성되어 승강기어(540)가 회전하는 구동에 따라 승강부재(551)가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된다.
돌출부재(552)의 일단은 승강부재(551)의 일측면과 결합되고 타단은 프레임(260)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승강거치대(620)와 결합된다.
프레임(260)의 일측면에는 내부공간과 외부공간이 연결되는 가이드공간이 형성되어 돌출부재(552)가 가이드공간을 따라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하도록 하여 도어(10)가 안정적이고 정확하게 문틀에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가이드한다.
따라서, 해당 사용자는 휠(515)을 회전시켜 제2 베벨기어(514) 및 이에 대응되는 제1 베벨기어(513)를 회전시키고, 제1 베벨기어(513)에 연결되는 승강기어(540)가 회전하여 승강유닛(550)을 상승 또는 하강시킨다.
또한, 돌출부재(552)는 프레임(260)에 형성되는 상기 가이드공간을 따라 흔들림없이 안정적으로 이동하며 승강거치대(620)를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고, 보조거치대(610)는 승강거치대(620)를 따라 하부로 이동하는 도어(10)가 지면에 접촉되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여 작업 중 안전성 및 설치 안정성을 증가시킨다.
한편, 프레임(260)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가이드공간 외에 프레임(260)의 타측면에 추가로 가이드공간이 형성되어 승강거치대(620)는 프레임(260)의 양측에서 승강유닛(550)을 통해 결합될 수 있고, 이 경우 돌출부재(552)는 프레임(260)의 타측에 추가로 형성되어 내구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120, 140: 도어 승강 장치 200: 프레임
300: 지지부 400: 도어고정부
500: 도어승강부 600: 도어거치부

Claims (10)

  1. 경첩을 문틀에 체결하기 위해 도어를 승강시키는 도어 승강 장치에 있어서,
    상하부로 길게 연장된 육면체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도어와 밀착되는 프레임;
    일단은 상기 프레임과 결합되고 타단은 지면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지지부;
    상기 프레임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도어 하부를 지지하는 도어거치부;
    상기 프레임을 따라 하부로 연장되는 승강 기어,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고 베벨기어를 통해 상기 승강기어와 맞물리는 승강제어유닛 및 상기 승강기어와 연결되어 상기 승강제어유닛의 구동에 따라 상기 승강 기어가 회전하면 상기 프레임을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는 육면체 형태의 승강유닛을 포함하는 도어승강부; 및
    육면체 형태로 상기 도어의 양측면으로 길게 연장되어 상기 승강유닛과 결합되는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도어의 일측면을 압박하는 고정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의 타측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상기 도어의 타측면을 압박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도어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거치부의 일부는 상기 승강기어와 연결되어 상기 승강기어의 회전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승강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유닛과 결합되어 상기 프레임의 양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도어와 밀착하여 진공흡착되도록 결합되는 도어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승강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고정부는,
    상기 도어의 양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의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도어와 진공흡착되는 흡착패드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승강 장치.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도어와 상기 프레임을 사이에 두고 지면을 향해 연장되는 전방 지지대;
    상기 프레임의 양측면 하부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측면지지대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승강 장치.
KR1020160110152A 2016-08-29 2016-08-29 경첩 설치용 도어 승강 장치 KR1018735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0152A KR101873542B1 (ko) 2016-08-29 2016-08-29 경첩 설치용 도어 승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0152A KR101873542B1 (ko) 2016-08-29 2016-08-29 경첩 설치용 도어 승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4271A KR20180024271A (ko) 2018-03-08
KR101873542B1 true KR101873542B1 (ko) 2018-07-02

Family

ID=61726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0152A KR101873542B1 (ko) 2016-08-29 2016-08-29 경첩 설치용 도어 승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35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7276B1 (ko) * 2021-02-03 2024-03-14 김진호 소방호스 고정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8831B1 (ko) * 2006-09-13 2007-12-27 한국철도공사 강화도어를 설치하거나 교체하는 장치
KR200440837Y1 (ko) * 2006-12-20 2008-07-07 권오서 도어 프레임 설치용 치공구
KR200449856Y1 (ko) * 2008-07-03 2010-08-16 임종철 문틀조임쇠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8831B1 (ko) * 2006-09-13 2007-12-27 한국철도공사 강화도어를 설치하거나 교체하는 장치
KR200440837Y1 (ko) * 2006-12-20 2008-07-07 권오서 도어 프레임 설치용 치공구
KR200449856Y1 (ko) * 2008-07-03 2010-08-16 임종철 문틀조임쇠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4271A (ko) 2018-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73818B2 (en) Vehicle jack stand
KR20180020133A (ko) 인입 가능한 디스플레이
KR101719479B1 (ko) 항공기 장비의 착탈을 위한 장치
KR100937241B1 (ko) 도어샤시의 용접부 사상장치
KR101873542B1 (ko) 경첩 설치용 도어 승강 장치
TW201323744A (zh) 連桿升降機構
KR200492471Y1 (ko) 선박 블록용 지지 장치
CN102170088A (zh) 一种管座定位夹紧装置
KR101581833B1 (ko) 고정프레임이 구비된 전동테이블
CN213318757U (zh) 手机自动贴屏设备
KR20120021077A (ko) 부품 공급 장치
KR101514569B1 (ko) 높이조절 및 회전잠금이 가능한 위성체 조립치구
CN214472873U (zh) 玻璃基板外观检验装置
CN220555626U (zh) 一种建筑装饰用物料升降平台
CN211598215U (zh) 玻璃升降器滑块及包含其的车辆
CN220334043U (zh) 一种用于集成灶翻转的机构
CN212891137U (zh) 贴膜辅助固定装置及贴膜套装
CN213986672U (zh) 一种电力工程用继电保护测试仪
CN220618278U (zh) 一种机电设备安装用辅助设备
CN220878954U (zh) 吸头放置装置
CN214776404U (zh) 一种硬顶升降
KR100912650B1 (ko) 모니터 승하강장치
CN213318615U (zh) 一种光器件fpc和pcb板的焊接夹具
CN211654503U (zh) 一种变压器固定装置
CN111590460B (zh) 一种磨边治具及打磨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