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0875B1 - 배기가스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배기가스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0875B1
KR101900875B1 KR1020177005416A KR20177005416A KR101900875B1 KR 101900875 B1 KR101900875 B1 KR 101900875B1 KR 1020177005416 A KR1020177005416 A KR 1020177005416A KR 20177005416 A KR20177005416 A KR 20177005416A KR 101900875 B1 KR101900875 B1 KR 1019008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exhaust gas
flow rate
main pipe
reaction t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54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8447A (ko
Inventor
쿠니유키 타카하시
타다시 코마츠
Original Assignee
후지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284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84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08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08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1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bsorption
    • B01D53/18Absorbing units; Liquid distributo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 B01D47/08Spray cleaning with rotary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12Washers with plural different washing s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1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bsorption
    • B01D53/1412Controlling the absorption pro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1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bsorption
    • B01D53/1456Removing acid components
    • B01D53/1481Removing sulfur dioxide or sulfur triox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8Liquid phase processes with gas-liquid conta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9Injecting react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2/00Absorbents, i.e. solvents and liquid materials for gas absorption
    • B01D2252/10Inorganic absorbents
    • B01D2252/103Water
    • B01D2252/1035Sea wat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 Gas Separation By Absorption (AREA)
  • Exhaust Gas After Trea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응탑의 내부에 도입되는 배기가스량에 따라, 배기가스를 처리하는 액체의 공급량을 조정한다.
배기가스를 처리하는 배기가스 처리장치로서, 배기가스가 도입되는 반응탑과, 반응탑의 내부에 설치되고, 배기가스를 처리할 액체가 공급되는 본관과, 본관으로부터 공급되는 액체를 분출하는 복수의 분출부를 구비하며, 본관에 공급되는 액체의 유량의 변화에 따라, 액체의 분출에 이용하는 복수의 분출부의 개구 면적의 총합이 가변적인, 배기가스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배기가스 처리장치{EXHAUST GAS TREATMENT DEVICE}
[0001] 본 발명은, 배기가스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0002] 종래, 내부에서 해수 등의 흡수액을 분출하고 있는 원통형의 흡수탑의 저부(底部)로부터 상부로 배기가스를 통과시켜, 배기가스 중의 유해 성분을 제거하는 배기가스 처리장치가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참조). 흡수탑의 내부에서는, 배기가스를 나선(螺旋) 형상으로 선회시키면서 상부로 이동시킴으로써, 배기가스가 해수 등의 흡수액과 접촉하는 시간을 길게 하고 있다.
일본 특허공개공보 H06-190240호 일본 특허공개공보 H08-281055호
[0003] 배기가스의 발생원으로서, 선박 추진용의 주(main) 엔진, 발전용의 보기(補機) 엔진, 증기 공급용의 보일러 등이 고려된다. 이들 기기는, 일정한 배기가스를 발생하는 것은 아니고, 엔진 등의 부하에 따라 배기가스량이 변동된다.
[0004] 통상적으로, 배기가스 처리장치는, 최대의 배기가스량에 따른 흡수액의 양을 분출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단, 배기가스량이 감소한 경우에 있어서도, 최대의 배기가스량에 따른 흡수액을 계속해서 분출하면 흡수액의 공급이 과잉이 된다. 즉, 흡수액을 퍼 올리는 펌프의 동력을 과잉으로 필요로 한다. 또, 펌프의 동력을 억제하도록, 흡수액의 유량을 단순히 감소시키면, 흡수액을 분출하는 분출 압력이 저하된다. 분출 압력이 저하되면, 액적(液滴)의 입경(粒徑)이 커지고, 및, 액막(液膜)이 토출(吐出)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0005]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있어서는, 배기가스를 처리하는 배기가스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배기가스 처리장치는, 반응탑과, 본관(幹管)과, 배기가스 도입관과, 복수의 분출부와, 액체 도입관과, 유량 조정 수단을 구비해도 된다. 반응탑에는, 배기가스가 도입되어도 된다. 본관은, 반응탑의 내부에 설치되어도 된다. 본관은, 높이 방향으로 연신(延伸)해도 된다. 본관에는, 배기가스를 처리할 액체가 공급되어도 된다. 배기가스가 반응탑의 내부에서 선회하도록, 배기가스 도입관은 반응탑에 접속되어도 된다. 복수의 분출부는, 본관으로부터 공급되는 액체를 배기가스의 선회 방향으로 분출해도 된다. 액체 도입관은, 본관에 액체를 공급해도 된다. 유량 조정 수단은, 액체 도입관에 공급되는 액체의 유량의 변화에 따라, 액체의 분출에 이용하는 복수의 분출부의 개구 면적의 총합을 가변적으로 하여, 액체를 분출하는 압력을 소정 범위 내로 조정해도 된다.
[0006] 액체 도입관에 공급되는 액체의 유량은, 배기가스의 유량에 따라 변화해도 된다.
[0007] 배기가스 처리장치는, 액체 도입관에 공급되는 액체의 유량의 감소에 따라, 액체의 분출에 이용하는 복수의 분출부의 개구 면적의 총합을 감소시켜도 된다.
[0008] 배기가스 처리장치는, 복수의 상기 본관과, 복수의 액체 도입관과, 복수의 유량 조정 수단을 구비해도 된다. 복수의 액체 도입관은, 복수의 본관의 각각에 액체를 공급해도 된다. 복수의 유량 조정 수단은, 복수의 액체 도입관에 흘리는 액체의 유량을 각각 조절해도 된다. 복수의 분출부는, 복수의 본관의 각각에 설치되어도 된다. 복수의 액체 도입관으로 분기(分岐)하기 전의 위치에 있어서 액체 유량 측정부를 지나는 액체의 유량의 변화에 따라, 액체의 분출에 이용하는 복수의 분출부의 개구 면적의 총합이 가변적이어도 된다.
[0009] 배기가스 처리장치는, 액체 유량 제어부를 구비해도 된다. 액체 유량 제어부는, 액체 도입관에 공급되는 액체의 유량의 변화에 따라, 하나 이상의 본관에 액체를 공급 또는 차단함으로써, 복수의 분출부의 개구 면적의 총합을 제어해도 된다.
[0010] 반응탑의 높이 방향에 수직인 수평면에 있어서, 복수의 분출부의 각각은, 액체를 미리 정해진 분출 각도로 분출해도 된다. 반응탑의 높이 방향은, 배기가스가 도입되는 저부측으로부터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상부측에 있어서의 방향이어도 된다. 분출 각도의 중심점 및 반응탑의 중심점을 잇는 선을 기점(起点)으로 하여, 분출 각도는 90도 이상의 각도를 이루어도 된다.
[0011] 본관은, 본관용의 유량 조정 수단을 가져도 된다. 본관용의 유량 조정 수단은, 반응탑의 높이 방향 또는 높이 방향과 반대의 방향으로 반송하는 액체의 유량을 조정해도 된다. 반응탑의 높이 방향은, 배기가스가 도입되는 저부측으로부터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상부측에 있어서의 방향이어도 된다.
[0012] 본 발명의 제 2 양태에 있어서는, 배기가스를 처리하는 배기가스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배기가스 처리장치는, 반응탑과, 본관과, 복수의 분출부를 구비해도 된다. 반응탑에는, 배기가스가 도입되어도 된다. 본관은, 반응탑의 내부에 설치되어도 된다. 본관에는, 배기가스를 처리할 액체가 공급되어도 된다. 복수의 분출부는, 본관으로부터 공급되는 액체를 분출해도 된다. 본관에 공급되는 액체의 유량의 변화에 따라, 액체의 분출에 이용하는 복수의 분출부의 개구 면적의 총합은 가변적이어도 된다. 본관은, 본관용의 유량 조정 수단을 가져도 된다. 본관용의 유량 조정 수단은, 반응탑의 높이 방향으로 반송하는 액체의 유량을 조정해도 된다. 반응탑의 높이 방향은, 배기가스가 도입되는 저부측으로부터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상부측에 있어서의 방향이어도 된다. 본관용의 유량 조정 수단은, 높이 방향의 다른 위치에 설치되어도 된다. 본관에는, 저부측으로부터 상부측으로 액체가 공급되어도 된다. 복수의 본관용의 유량 조정 수단은, 본관에 공급되는 액체의 유량의 감소에 따라, 상부측으로부터 저부측의 순으로 액체를 차단해도 된다.
[0013] 본관은, 높이 방향의 다른 위치에 복수의 본관용의 유량 조정 수단을 가져도 된다. 본관에는, 상부측으로부터 저부측으로 액체가 공급되어도 된다. 복수의 본관용의 유량 조정 수단은, 본관에 공급되는 액체의 유량의 감소에 따라, 저부측으로부터 상부측의 순으로 액체를 차단해도 된다.
[0014] 높이 방향에 수직인 수평면에서의 본관의 단면적은, 액체의 상류측 쪽이 하류측보다 커도 된다.
[0015] 배기가스 처리장치는, 복수의 지관(枝管)을 더 구비해도 된다. 복수의 지관은, 반응탑의 높이 방향의 다른 위치에 있어서 설치되어도 된다. 반응탑의 높이 방향은, 배기가스가 도입되는 저부측으로부터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상부측에 있어서의 방향이어도 된다. 복수의 지관은, 본관의 외측 측면으로부터 반응탑의 내측 측면을 향해 연신하여 설치되어도 된다. 복수의 지관의 단면적은, 액체의 상류측 쪽이 하류측보다 커도 된다.
[0016] 배기가스 처리장치는, 복수의 지관을 더 구비해도 된다. 복수의 지관은, 반응탑의 높이 방향의 다른 위치에 있어서 설치되어도 된다. 반응탑의 높이 방향은, 배기가스가 도입되는 저부측으로부터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상부측에 있어서의 방향이어도 된다. 복수의 지관은, 본관의 외측 측면으로부터 반응탑의 내측 측면을 향해 연신하여 설치되어도 된다. 복수의 분출부는, 복수의 지관의 각각에 있어서, 복수의 지관이 연신하는 방향의 다른 위치에 설치되어도 된다. 배기가스 처리장치는, 복수의 지관의 각각에 있어서의 적어도 2개의 분출부의 사이에, 제 1 유량 조정 수단을 더 구비해도 된다. 제 1 유량 조정 수단은, 지관이 연신하는 방향으로 반송하는 액체의 유량을 조정해도 된다.
[0017] 배기가스 처리장치는, 적어도 2개의 분출부 중 본관측의 분출부와 본관의 사이에, 제 2 유량 조정 수단을 더 구비해도 된다. 제 2 유량 조정 수단은, 지관이 연신하는 방향으로 반송하는 액체의 유량을 조정해도 된다. 지관용의 제 1 유량 조정 수단 및 지관용의 제 2 유량 조정 수단은, 본관에 공급되는 액체의 감소에 따라 지관용의 제 1 유량 조정 수단으로부터 지관용의 제 2 유량 조정 수단의 순으로 액체를 차단해도 된다.
[0018] 본 발명의 제 3 양태에 있어서는, 배기가스를 처리하는 배기가스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배기가스 처리장치는, 반응탑과, 복수의 본관과, 복수의 분출부와, 배기가스 도입관과, 복수의 액체 도입관과, 복수의 유량 조정 수단을 구비해도 된다. 반응탑에는, 배기가스가 도입되어도 된다. 복수의 본관은, 반응탑의 외부에 설치되어도 된다. 복수의 본관은, 높이 방향으로 연신해도 된다. 복수의 본관에는, 배기가스를 처리할 액체가 공급되어도 된다. 복수의 분출부는, 복수의 본관의 각각에 설치되어도 된다. 복수의 분출부는, 복수의 본관으로부터 공급되는 액체를 배기가스의 선회 방향으로 분출해도 된다. 배기가스 도입관은, 배기가스가 반응탑의 내부에서 선회하도록 반응탑에 접속되어도 된다. 복수의 액체 도입관은, 복수의 본관의 각각에 액체를 공급해도 된다. 복수의 유량 조정 수단은, 복수의 액체 도입관에 공급되는 액체의 유량의 변화에 따라, 액체의 분출에 이용하는 복수의 분출부의 개구 면적의 총합을 가변적으로 해도 된다. 복수의 유량 조정 수단은, 액체를 분출하는 압력을 소정 범위 내로 조정해도 된다.
[0019] 배기가스 처리장치는, 액체 유량 제어부를 더 구비해도 된다. 액체 유량 제어부는, 복수의 본관에 공급되는 액체의 유량을 제어해도 된다. 액체 유량 제어부는, 반응탑의 높이 방향에 수직인 수평면에 있어서 반응탑의 중심점을 사이에 끼는 적어도 한 쌍의 본관에 있어서의 복수의 분출부로부터, 액체를 분출시켜도 된다. 반응탑의 높이 방향은, 배기가스가 도입되는 저부측으로부터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상부측으로의 방향이어도 된다.
[0020] 또한, 상기의 발명의 개요는, 본 발명의 필요한 특징 모두를 열거한 것은 아니다. 또, 이들 특징군(群)의 서브 콤비네이션(sub combination)도 또한, 발명이 될 수 있다.
[0021] 도 1은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배기가스 처리장치(1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배기가스 처리장치(100)의 반응탑(10)의 z 방향에 수직인 x-y 면에 있어서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노즐(24)의 분출 각도(α)가 90도인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노즐(24)의 분출 각도(α)가 90도보다 큰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의 (A)는, 상부측(12)과 저부측(14) 사이의 노즐(24)의 방향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B)는, 상부측(12)에 있어서의 노즐(24)의 방향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C)는, 저부측(14)에 있어서의 노즐(24)의 방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제 2 실시예에 있어서의 배기가스 처리장치(12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제 2 실시예에 있어서의 제 1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제 2 실시예에 있어서의 제 2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제 2 실시예에 있어서의 제 3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제 2 실시예에 있어서의 제 4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제 3 실시예에 있어서의 배기가스 처리장치(13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제 3 실시예에 있어서의 제 1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제 4 실시예에 있어서의 배기가스 처리장치(14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배기가스 처리장치(140)의 반응탑(10)의 z 방향에 수직인 x-y 면에 있어서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0022] 이하, 발명의 실시형태를 통해 본 발명을 설명하겠으나, 이하의 실시형태는 청구범위에 따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 실시형태 중에서 설명되어 있는 특징의 조합의 전부가 발명의 해결수단에 필수라고는 할 수 없다.
[0023] 도 1은,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배기가스 처리장치(1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배기가스 처리장치(100)는 선박의 엔진 등인 배기가스원(源)(40)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42)를 처리한다. 구체적으로는, 배기가스 처리장치(100)는, 배기가스(42)에 포함되는 유황 성분 등의 유해 물질을 제거한다. 본 예의 배기가스 처리장치(100)는, 반응탑(10), 배기가스 도입관(18), 복수의 본관(20), 복수의 액체 도입관(30), 액체 유량 제어부(32), 복수의 밸브(34), 액체 유량 측정부(36), 펌프(38) 및 배기가스 유량 측정부(44)를 구비한다.
[0024] 배기가스 도입관(18)은, 배기가스원(40)이 배출한 배기가스(42)를 반응탑(10)에 도입한다. 반응탑(10)은, 측면에 1개의 개구(16)를 갖는다. 배기가스 도입관(18)은, 반응탑(10)의 저부측(14)에 접속된다. 배기가스 도입관(18)은, 도입되는 배기가스(42)가 반응탑(10)의 내부에서 나선 형상으로 선회하도록, 반응탑(10)에 접속된다. 선박의 엔진이나 보일러에 사이클론 스크러버(cyclone scrubber)를 설치할 경우, 반응탑(10)은, 기관실이나 데크(deck) 내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예컨대, 반응탑(10)의 높이는 7m 이하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반응탑(10)의 높이는 5m 이하로 한다.
[0025] 유황 성분의 제거율에 따라, 반응탑(10)에 있어서의 배기가스(42)의 유량을 설계한다. 예컨대, 요구되는 유황 성분의 제거율이 98%인 경우에는, 0℃, 1 atm의 표준 상태에 있어서 배기가스(42)의 유량이 6m/s 이하, 바람직하게는 3m/s 이하인 것으로 한다. 또, 요구되는 유황 성분의 제거율이 90%인 경우에는, 0℃, 1atm의 표준 상태에 있어서 배기가스(42)의 유량이 10m/s 이하, 바람직하게는 6m/s 이하인 것으로 한다.
[0026] 배기가스 유량 측정부(44)는, 개구(16)와 배기가스원(40)의 사이에 설치된다. 배기가스 유량 측정부(44)는, 배기가스원(40)으로부터 개구(16)를 통해 반응탑(10)에 도입되는 배기가스(42)의 단위시간당 양을 측정한다. 또한, 배기가스(42)의 단위시간당 양은, 배기가스원(40)의 출력이나 연료 소비량에 근거하여 산출할 수도 있다.
[0027] 반응탑(10)은, 배기가스(42)가 도입되는 저부측(14)으로부터 배기가스(42)가 배출되는 상부측(12)에 있어서의 반응탑(10)의 높이 방향으로 연신(延伸)하는 내부 공간을 갖는다. 높이 방향은, 예컨대 지면(地面) 또는 수면(水面)과 수직인 방향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높이 방향은 z 방향으로 한다. 또, z 방향에 수직인 수평면은, 서로 수직인 x 방향 및 y 방향으로 이루어진 x-y 면에 의해 규정한다.
[0028] 반응탑(10)의 내부 공간에는, 복수의 본관(幹管, 20)이 설치된다. 본 예의 반응탑(10)의 내부 공간에는, 4개의 본관(20)이 설치된다. 단, 본관(20)의 수는 5개 이상으로 해도 된다. 예컨대, 본관(20)의 수는 6개여도 된다.
[0029] 반응탑(10) 및 본관(20) 등의 액체와 접하는 구조물은, 해수 또는 알칼리 액에 대해 내구성이 요구된다. 예컨대 저비용의 재질로 할 경우, 액체와 접하는 구조물의 재료는 SS400 등의 철재(鐵材)로 한다. 액체와 접하는 구조물의 재료는, 네이벌 황동(naval brass) 등의 구리합금, 알루미늄 황동(aluminum brass) 등의 알루미늄 합금, 큐프로니켈(cupro-nickel) 등의 니켈 합금, 또는, SUS316L 등의 스테인리스로 해도 된다.
[0030] 복수의 본관(20)의 각각은, 반응탑(10)의 내부에 있어서 z 방향으로 연신하여 설치된다. 복수의 본관(20)의 각각에는, 배기가스(42)를 처리할 액체가 공급된다. 복수의 본관(20)의 각각은, 분사용의 액체를 z 방향으로 반송한다. 액체는, 예컨대 해수이다. 액체는, 가성소다용액 등의 알칼리 액이어도 된다.
[0031] 본관(20)은, 복수의 다른 높이 위치에 있어서 본관(20)으로부터 공급되는 액체를 분출하는 복수의 분출부로서의 노즐(24)을 갖는다. 노즐(24)의 개구로부터는, 원추(圓錐) 형상으로 액체가 분출된다. 본 예의 노즐(24)은 공원추(空圓錐) 형상으로 액체를 분출하는 스프레이 노즐이다. 복수의 노즐(24)은, 복수의 본관(20)의 각각에 설치된다. 각각의 본관(20)에 있어서, 1개의 본관(20)에 있어서의 복수의 노즐(24)의 개구는 같은 방향을 향해 설치된다. 노즐(24)의 개구를 동그라미 속의 ×로 모식적으로 나타내지만, 통상적으로 노즐(24)은 동그라미의 가장자리부로부터 액체를 분출한다.
[0032] 노즐(24)이 분출하는 액체의 양은, 처리하는 배기가스(42)에 포함되는 유황 성분을 중화할 수 있는 화학당량(化學當量)으로 한다. 분출하는 액체의 양은, 배기가스(42)에 포함되는 유황 성분의 1.2배의 화학당량으로 해도 된다.
[0033] 다른 본관(20)끼리에서는, 복수의 노즐(24)의 개구는 다른 방향을 향해 형성된다. 본 예에서는, 본관(20-1)에 있어서의 복수의 노즐(24-1)의 개구는 y방향을 향하고 있고, 본관(20-2)에 있어서의 복수의 노즐(24-2)의 개구는(-x) 방향을 향하고 있다. 또, 본관(20-3)에 있어서의 복수의 노즐(24-3)의 개구는(-y) 방향을 향하고 있으며, 본관(20-4)에 있어서의 복수의 노즐(24)-4의 개구는 x방향을 향하고 있다.
[0034] 펌프(38)는, 반응탑(10)의 내부에 공급하기 위한 액체를 취득한다. 배기가스 처리장치(100)가 선박에 설치될 경우, 펌프(38)는 해수, 호수 또는 강물 등을 퍼 올린다. 본 예의 펌프(38)는, 배기가스 유량 측정부(44)로부터, 반응탑(10)에 도입되어 있는 현재의 배기가스(42)의 유량의 정보를 얻는다. 본 예의 펌프(38)는, 배기가스(42)의 유량에 따라, 취수구(取水口)로부터 액체 도입관(30)에 공급할 액체의 유량을 조정한다. 본 예의 펌프(38)는, 배기가스(42)의 유량이 감소한 경우에, 액체 도입관(30)에 공급할 액체의 유량을 감소시킨다. 또한, 그 후, 배기가스(42)의 유량이 증가한 경우에는, 본 예의 펌프(38)는, 액체 도입관(30)에 공급할 액체의 유량을 증가시킨다. 즉, 본 예의 펌프(38)는, 배기가스(42)의 유량의 변화에 따라, 본관(20)에 공급할 액체의 유량을 변화시킨다. 또한, 액체의 유량은 단위시간당의 값을 가리킨다.
[0035] 복수의 액체 도입관(30)은, 펌프(38)가 퍼 올린 액체를 반송하여, 반응탑(10) 내부의 본관(20)에 공급한다. 각각의 액체 도입관(30)에는, 밸브(34)가 설치된다. 본 예의 밸브(34)는, 전동(電動)의 모터 밸브이지만, 전자 밸브여도 된다. 밸브(34)는 액체 유량 제어부(32)에 의해 제어된다.
[0036] 액체 유량 측정부(36)는, 펌프(38)가 출력하는 액체의 유량을 측정한다. 액체 유량 제어부(32)는, 펌프(38)가 출력하는 액체의 유량의 정보를 액체 유량 측정부(36)로부터 얻을 수 있다. 액체 유량 제어부(32)는, 펌프(38)가 출력하는 액체의 유량(본관(20)에 공급되는 액체의 유량)에 근거하여, 하나 이상의 밸브(34)를 개폐함으로써 액체 도입관(30)에 흘리는 액체의 유량을 조절한다.
[0037] 본 예의 배기가스 처리장치(100)에서는, 본관(20)에 공급되는 액체의 유량의 변화에 따라, 복수의 노즐(24)의 개구 면적의 총합이 가변적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노즐(24)의 개구 면적이란, 실제로 액체를 분출할 수 있는 노즐(24)의 개구의 면적을 의미한다. 예컨대, 액체의 공급이 차단됨에 따라 노즐(24)이 액체를 분출할 수 없는 경우, 노즐(24)의 개구 면적은 0(제로)인 것으로 간주한다. 이에 대하여, 노즐(24)이 액체를 분출할 경우, 노즐(24)의 개구 면적이 제로가 아닌 것으로 간주하고, 개구 면적으로서 카운트한다. 또한, 1개의 노즐(24)의 개구 면적은, 노즐(24)의 개구 형상에 따라 임의로 정할 수가 있다.
[0038] 본 예의 액체 유량 제어부(32)는, 하나 이상의 밸브(34)를 닫음으로써,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본관(20)으로의 액체의 공급을 차단한다. 이로써, 액체의 공급이 차단된 본관(20)에 설치된 노즐(24)은 액체를 분출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밸브(34)를 닫음으로써, 노즐(24)의 개구 면적을 감소시킬 수가 있다. 또, 그 후, 닫은 밸브(34)를 엶으로써,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본관(20)으로의 액체의 공급을 개시한다. 이로써, 액체의 공급이 개시된 본관(20)에 설치된 노즐(24)은 액체를 분출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밸브(34)를 엶으로써, 노즐(24)의 개구 면적을 증가시킬 수가 있다.
[0039] 예컨대, 밸브(34-1에서 34-4)를 모두 개방하고 있는 경우에는, 배기가스 처리장치(100)의 노즐(24)의 개구 면적의 총합은 최대치가 된다. 1개의 밸브(34)를 닫으면, 노즐(24)의 개구 면적의 총합은 최대치의 75%가 된다. 2개의 밸브(34)를 닫으면 노즐(24)의 개구 면적의 총합은 50%가 되며, 3개의 밸브(34)를 닫으면 노즐(24)의 개구 면적의 총합은 최대치의 25%가 된다. 모든 밸브(34)를 닫으면 노즐(24)의 개구 면적의 총합은 최대치의 0%가 된다. 이와 같이 본 예의 배기가스 처리장치(100)는, 노즐(24)의 개구 면적의 총합을 가변적으로 할 수가 있다.
[0040] 본 예의 배기가스 처리장치(100)는, 배기가스(42)의 유량에 따라 본관(20)에 공급되는 액체의 유량이 감소한 경우에 복수의 노즐(24)의 개구 면적의 총합을 감소시키므로, 액체를 분출하는 분출 압력을 유지하면서, 액체의 공급이 과잉이 되지 않는다. 이로써, 액체를 퍼 올리는 펌프(38)의 동력에 필요한 소비 전력을 억제할 수가 있다. 또, 배기가스(42)의 유량에 따라 본관(20)에 공급되는 액체의 유량이 변화(감소 또는 증가)한 경우에, 임의의 밸브(34)를 개폐함으로써, 노즐(24)의 개구 면적의 총합을 배기가스(42)의 유량에 따라 제어(감소 또는 증가)할 수가 있다.
[0041] 일반적으로, 노즐(24)의 분출 압력이 0.1MPa 정도 이상인 경우, 액체의 입자 지름은 충분히 작다. 그러나, 배기가스(42)의 유량에 따라 본관(20)에 공급되는 액체의 유량이 감소한 경우에, 노즐(24)의 개구 면적의 총합이 변하지 않으면, 노즐(24)의 분출 압력이 저하되고 만다. 노즐(24)의 분출 압력의 저하에 따라, 액체의 입자 지름은 커진다. 예컨대, 노즐(24)의 분출 압력이 0.05MPa 정도인 경우, 0.1MPa 정도인 경우에 비해 액체의 입자 지름은 커진다. 이에 따라 액체와 배기가스(42) 간의 기액(氣液) 접촉 면적은 감소한다. 즉, 노즐(24)의 분출 압력이 0.05MPa 정도로 저하되면, 액체의 유량에 비해 배기가스(42)를 처리하는 능력이 저하된다.
[0042] 본 예의 배기가스 처리장치(100)는, 배기가스(42)의 유량에 따라 본관(20)에 공급할 액체의 유량을 바꿀 수 있고, 나아가 노즐(24)의 개구 면적의 총합을 가변적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액체를 분출하는 분출 압력을 일정하게 또는 미리 정해진 소정 범위 내로 할 수가 있다. 예컨대, 본 예의 배기가스 처리장치(100)는, 배기가스(42)의 유량에 따라 본관(20)에 공급할 액체의 유량을 바꾸고, 나아가 노즐(24)의 개구 면적의 총합을 액체의 유량에 따른 면적으로 함으로써, 분출 압력을 0.1MPa로 유지할 수 있다. 이로써, 분출 압력이 0.05MPa인 경우에 비해 분출하는 액체의 입경을 작게 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액체의 분출 압력을 분무에 적합한 일정한 압력으로 유지할 수가 있다. 또, 액체의 분출 압력을 분무에 적합한 소정 범위 내에서 유지할 수가 있다. 이로써, 유량이 저하된 경우라 하더라도 액체의 유량당의 배기가스(42)의 처리 능력을 유지할 수가 있다.
[0043] 또한, 변형예로서, 액체 유량 제어부(32)를 없애도 된다. 이 경우, 작업자는 배기가스(42)의 유량에 따른 액체의 유량을 액체 유량 측정부(36)에 의해 관측한 다음, 수동으로 하나 이상의 밸브(34)를 개폐한다. 액체 유량 제어부(32)가 없는 해당 변형예에 있어서, 밸브(34)는 수동으로 개폐 가능한 볼 밸브(ball valve) 또는 게이트 밸브(gate valve)이다. 이 경우에도, 액체 유량 제어부(32)를 이용하는 경우와 동등한 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0044] 도 2는, 배기가스 처리장치(100)의 반응탑(10)의 z 방향에 수직인 x-y 면에 있어서의 단면(斷面)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x-y 면에 있어서의 반응탑(10)의 중심점(13)을 흑점에 의해 나타낸다. 본 예의 중심점(13)은, 반응탑(10)의 내측 측면(15)으로부터 등거리(等距離)에 있는 점이다. 또, 복수의 노즐(24)의 각각은, 액체를 미리 정해진 분출 각도로 분출하는데, x-y 면에 있어서의 분출 각도의 중심점(본 예에서는 본관(20)의 중심점(23)과 같음)을 흑점에 의해 나타낸다. 본 예의 반응탑(10)의 중심점(13)은, 4개의 본관(20)의 중심점(23-1~23-4)에 대하여 등거리에 위치하는 점이기도 하다. 중심점(13)으로부터 내측 측면(15)까지의 거리를 2r로 할 경우, 중심점(13)으로부터 중심점(23)까지의 거리는, 예컨대 r/2에서 r이다.
[0045] x-y 면에 있어서의 노즐(24)의 단면을 사선으로 나타낸다. 노즐(24)로부터 분출된 액체는, x-y 면에 있어서 부채꼴(扇形)로 확대된다. x-y 면에 있어서, 복수의 노즐(24)의 각각은, 액체를 미리 정해진 분출 각도로 분출한다. 노즐(24)은, x-y 면에 있어서 중심각도(α)의 부채꼴 형상으로 액체를 분출한다. 또한, 본 예의 중심각도(α)는, 본관(20)의 중심점(23) 및 반응탑(10)의 중심점(13)을 잇는 선을 기점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증가하는 각도이다. 일례에 있어서, 분출 각도(α)는 90도의 각도를 이루지만, 분출 각도(α)는 90도보다 큰 각도를 이루어도 된다. 또한, 다른 예에서는, x-y 면에 있어서의 분출 각도의 중심점은, 본관(20)의 임의의 한 점이면 되며, 본관(20)의 중심점(23)이 아니어도 된다.
[0046] 도면의 보기 쉬움을 고려하여, 분출된 액체는 반응탑(10)의 내측 측면(15)에까지 닿지 않게 그려져 있다. 그러나, 실제의 배기가스 처리장치(100)에 있어서는, 분출된 액체는 반응탑(10)의 내측 측면(15)에까지 닿는다. 배기가스(42)는 반응탑(10) 내를 선회하면서 z 방향으로 상승하므로, 내측 측면(15)에 분사된 액체는, 배기가스(42)의 유황 성분 등을 흡수한다. 이는, 이른바 젖음벽(wetted wall)의 효과라 불린다. 또한, 배기가스(42)는 선회류이므로, 반응탑(10)의 내측 측면(15) 부근 쪽이 중심점(13) 부근보다 배기가스(42)의 유속이 크다.
[0047] 본 예에서는, 중심점(13) 부근에 있어서 공극(空隙) 없이 액체가 분출된다. 중심점(13) 부근은, 반응탑(10)의 내측 측면(15) 부근보다 배기가스(42)의 유속이 작다. 이 때문에, 노즐(24)은, 중심점(13) 부근에는 액체를 분출하지 않아도 되는 것으로도 생각할 수 있다.
[0048] 그러나, 중심점(13) 부근에 액체가 미치지 않을 경우, 배기가스(42)는 중심점(13) 부근에 생긴 공극으로 흐르게 된다. 이로써, 액체가 유황 성분 등을 흡수하는 흡수율이 저하된다. 본 예와 같이, 중심점(13) 부근에도 내측 측면(15) 부근에도 노즐(24)이 액체를 분출함으로써, 흡수율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본 예에서는, 노즐(24)로부터 분출 각도(α)로 분출된 액체의 x-y 면에 있어서의 분무 영역이, 반응탑(10)의 적어도 중심점(13)과 서로 겹친다.
[0049] 도 2에 있어서, 배기가스(42)는 개구(16)로부터 반응탑(10)으로 반(反)시계방향으로 도입된다. 이에 따라, 노즐(24-1~24-4)의 개구의 방향도, 각각, y, (-x), (-y) 및 x 방향으로 반시계방향으로 배치한다. 이로써, 분출하는 액체가 배기가스(42)의 선회류를 방해하지 않도록 할 수가 있다. 또한, 다른 예에서는, 배기가스(42)를 시계방향으로 반응탑(10)에 도입하여도 된다. 이 경우, 노즐(24-1~24-4)의 개구의 방향도 시계방향으로 한다.
[0050] 도 3은, 노즐(24)의 분출 각도(α)가 90도인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3에서는 본관(20-2)의 노즐(24-2) 이외의 노즐(24)을 생략한다. 본 예에서는, 중심점(13) 및 중심점(23-2)을 잇는 선분과 중심점(23-2) 및 중심점(23-3)을 잇는 선분은, 45도의 각도를 이룬다. 또한, 다른 노즐(24)도, 분출 각도(α)는 90도이다.
[0051] 도 4는, 노즐(24)의 분출 각도(α)가 90도보다 큰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있어서도, 본관(20-2)의 노즐(24-2) 이외의 노즐(24)을 생략한다. 본 예에서는, 분출 각도(α)는 135도이다.
[0052] 노즐(24-1)이 분출하는 액체의 일부는, 본관(20-1)으로부터 본관(20-2)을 향한다. 본관(20-2)은, 노즐(24-1)에 의해 분출된 액체의 일부를 차단하기 때문에, 내측 측면(15)에 그늘(25)을 형성한다. 본 예의 노즐(24-2)의 분출 각도(α)는, 그늘(25)을 커버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크다. 그러므로 본 예에서는, 본관(20-2) 자체가 만드는 그늘(25)을, 본관(20-2)의 노즐(24-2)에 의해 보상할 수가 있다. 분출 각도(α)로 액체를 분출하는 노즐(24-1~24-4)의 분무 영역은, 반응탑(10)의 수평면(x-y 면)에 있어서의 내측 측면(15)을 모두 커버한다. 또한, 노즐(24-1~24-4)의 분무 영역은, z 방향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폭을 갖는다. 본관(20)의 z 방향에 있어서 서로 인접하는 노즐(24)의 z 방향의 분무 영역은, 서로 겹쳐져도 되고, 서로 연속적으로 인접하여도 된다. 이로써, 반응탑(10)의 내측 측면(15)의 전체에 액체를 분사할 수가 있다. 이 때문에, 이른바 젖음벽의 효과를 크게 발휘할 수가 있다.
[0053] 도 5의 (A)는, 상부측(12)과 저부측(14) 사이의 노즐(24)의 방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의 (B)는, 상부측(12)에 있어서의 노즐(24)의 방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의 (C)는, 저부측(14)에 있어서의 노즐(24)의 방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0054] 도 5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추형상(26)은, 노즐(24)이 공원추 형상으로 분출하는 액체의 모식도이다. 축(28)은 원추형상(26)의 원추의 축이다. 도 5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부측(12)의 노즐(24)에 있어서는, 원추형상(26)의 축(28)은 수평면보다 저부측(14)을 향하도록 설치되어도 된다. 이로써, 노즐(24)의 바람직한 수압(예컨대 0.1MPa)보다 수압이 낮은 경우라 하더라도, 상부측(12)의 노즐(24)에 있어서 축(28)이 수평면보다 상부측(12)을 향하는 경우에 비해, 보다 완전한 원추형상에 가까운 형상으로 액체를 분무할 수가 있다.
[0055] 또, 도 5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저부측(14)의 노즐(24)에 있어서는, 원추형상(26)의 축(28)은 수평면보다 상부측(12)을 향하도록 설치되어도 된다. 액체가 저부측(14)으로부터 공급되는 경우, 저부측(14)의 수압은 높다. 이 때문에, 저부측(14)의 노즐(24)에 있어서 축(28)이 수평면보다 상부측(12)을 향하도록 하여도, 보다 완전한 원추형상에 가까운 형상으로 액체를 분무할 수가 있다.
[0056] 도 6은, 제 2 실시예에 있어서의 배기가스 처리장치(12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예에 있어서는, 반응탑(10) 내에 있어서 본관(20)은 1개만 설치된다. 해당 본관(20)에는, 높이 방향에 있어서 복수의 지관(枝管, 29)이 설치된다. 또, 본관(20)은, 본관(20)용의 유량 조정 수단으로서의 밸브(54)를 갖는다. 밸브(54)는, 반응탑(10)의 높이 방향으로 반송하는 액체의 유량을 조정한다. 복수의 밸브(54)는, 높이 방향의 다른 위치에 설치된다. 이러한 점에 있어서, 제 1 실시예와 다르다. 그 밖의 점은 제 1 실시예와 같다.
[0057] 본 예의 밸브(54)는, 제 1 실시예의 밸브(34)와 같다. 본 예의 본관(20)은, 상부측(12)의 밸브(54-1)와 저부측(14)의 밸브(54-2)를 갖는다. 저부측(14)으로부터 밸브(54-2)까지의 사이의 본관(20)에는, 복수의 지관(29)이 설치된다. 밸브(54-2)로부터 밸브(54-1)까지의 사이의 본관(20)에도, 복수의 지관(29)이 설치된다. 밸브(54-1)로부터 상부측(12)까지의 사이의 본관(20)에도 복수의 지관(29)이 설치된다. 복수의 노즐(24)은, 지관(29)의 다른 위치에 설치된다. 또한, 도면에서는 노즐(24)은, 지관(29)의 측면에 설치되어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노즐(24)은 수평방향을 향한 채로, 지관(29)의 상부측(12)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되어도 된다. 또, 하부측에 매달리도록 설치되어도 된다. 상부측(12) 또는 하부측에 설치되었을 경우, 노즐(24)은, 수평방향의 분출 각도의 자유도가 크다.
[0058] 본관(20)에는, 저부측(14)으로부터 상부측(12)으로 액체가 공급된다. 복수의 밸브(54)는, 본관(20)에 공급되는 액체의 유량의 감소에 따라, 상부측(12)으로부터 저부측(14)의 순으로 액체를 차단한다. 예컨대, 본관(20)에 공급되는 액체의 유량이 감소했을 경우에, 액체 유량 제어부(32)는, 우선 밸브(54-1)를 닫는다. 본관(20)에 공급되는 액체의 유량이 더 감소했을 경우에, 액체 유량 제어부(32)는, 다음으로 밸브(54-2)를 닫는다. 한편, 그 후, 본관(20)에 공급되는 액체의 유량이 증가했을 경우에는, 액체 유량 제어부(32)는, 우선 밸브(54-2)를 연다. 본관(20)에 공급되는 액체의 유량이 더 증가했을 경우에는, 액체 유량 제어부(32)는, 다음으로 밸브(54-1)를 연다. 이로써, 본관(20)에 공급되는 액체의 유량의 변화에 따라, 액체의 분출에 이용하는 복수의 노즐(24)의 개구 면적의 총합을 가변적으로 할 수가 있다.
[0059] 도 7은, 제 2 실시예에 있어서의 제 1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예의 본관(20)에는, 상부측(12)으로부터 저부측(14)으로 액체가 공급된다. 즉, 액체는, 반응탑(10)의 높이 방향과 반대의 방향(-z 방향)으로 반송된다. 이러한 점에 있어서, 도 6의 배기가스 처리장치(120)와 다르다. 그 밖의 점은 배기가스 처리장치(120)와 같다.
[0060] 복수의 밸브(54)는, 본관(20)에 공급되는 액체의 유량의 감소에 따라, 저부측(14)으로부터 상부측(12)의 순으로 액체를 차단한다. 예컨대, 본관(20)에 공급되는 액체의 유량이 감소했을 경우에, 액체 유량 제어부(32)는, 우선 밸브(54-2)를 닫는다. 본관(20)에 공급되는 액체의 유량이 더 감소했을 경우에, 액체 유량 제어부(32)는, 다음으로 밸브(54-1)를 닫아도 된다. 그 후, 본관(20)에 공급되는 액체의 유량이 증가했을 경우에는, 액체 유량 제어부(32)는, 우선 밸브(54-1)를 연다. 본관(20)에 공급되는 액체의 유량이 더 증가했을 경우에는, 액체 유량 제어부(32)는, 다음으로 밸브(54-2)를 연다. 이로써, 본관(20)에 공급되는 액체의 유량의 변화에 따라, 액체의 분출에 이용하는 복수의 노즐(24)의 개구 면적의 총합을 가변적으로 할 수가 있다.
[0061] 도 8은, 제 2 실시예에 있어서의 제 2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예에서는, 저부측(14)으로부터 상부측(12)의 방향으로 액체가 공급된다. 본 예의 본관(50)에 있어서의 수평면에서의 단면적은, 액체의 상류측 쪽이 하류측보다 크다. 액체의 상류측이란, 펌프(38)에 가까운 쪽을 의미한다. 예컨대 저부측(14)의 본관(50-3)은 액체의 상류측에 위치한다. 또, 하류측이란, 펌프(38)로부터 보다 먼 쪽을 의미한다. 예컨대 상부측(12)의 본관(50-1)은 액체의 하류측에 위치한다. 본 예에서는, 하류측일수록 본관(50)의 단면적을 작게 하기 때문에, 하류측에 있어서도 분출 압력을 저하시키지 않는다. 또한, 도 8에서는, 지관(29)의 기재(記載)를 생략하고 있다.
[0062] 도 9는, 제 2 실시예에 있어서의 제 3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예에서는, 상부측(12)으로부터 저부측(14)의 방향으로 액체가 공급된다. 본 예의 본관(50)에 있어서의 수평면에서의 단면적은, 액체의 상류측 쪽이 하류측보다 크다. 분출 압력의 제어에 있어서, 본 예의 구성을 채용해도 된다. 또한, 도 9에서는, 지관(29)의 기재를 생략하고 있다.
[0063] 도 10은, 제 2 실시예에 있어서의 제 4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예에서는, 액체는 저부측(14)으로부터 공급된다. 본 예의 배기가스 처리장치(120-4)는, 복수의 지관(29)을 구비한다. 복수의 지관(29)은, 높이 방향의 다른 위치에 있어서, 본관(20)의 외측 측면(21)으로부터 반응탑(10)의 내측 측면(15)을 향해 연신하여 설치된다. 본 예에 있어서, 복수의 지관(29)의 단면적은, 액체의 상류측 쪽이 하류측보다 크다. 이러한 점에 있어서, 도 6의 배기가스 처리장치(120)와 다르다.
[0064] 본 예의 지관(29)은, 본관(20)의 외측 측면(21)으로부터 반응탑(10)의 내측 측면(15)을 향해, 지관(29-1, 29-2 및 29-3)의 순으로, 단면적이 작아진다. 지관(29)의 단면적이란, 본 예에서는, 높이 방향에 평행하게 절단한 지관(29)의 단면적이다. 복수의 노즐(24)은, 지관(29)이 연신하는 방향의 다른 위치에 설치된다. 복수의 노즐(24)은, 지관(29-1, 29-2 및 29-3)의 각각에 설치된다. 본 예에서는, 하류측의 지관(29-3)일수록 상류측의 지관(29-1)보다 단면적을 작게 한다. 이로써, 하류측에 있어서도 분출 압력을 저하시키지 않는다.
[0065] 도 11은, 제 3 실시예에 있어서의 배기가스 처리장치(13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예의 배기가스 처리장치(130)는, 복수의 지관(29)의 각각에 있어서의 적어도 2개의 노즐(24)의 사이에, 지관용의 제 1 유량 조정 수단으로서의 밸브(52-1)를 갖는다. 추가로, 밸브(52-2) 및 밸브(52-3)를 갖는다. 적어도 2개의 노즐(24) 중 본관(20)측의 노즐(24)과 본관(20)의 사이에 설치되는, 지관(29)용의 제 2 유량 조정 수단은, 밸브(52-2) 또는 밸브(52-3)여도 된다. 이러한 점에 있어서, 도 6의 배기가스 처리장치(120)와 다르다. 그 밖의 점은 배기가스 처리장치(120)와 같다. 또한, 본 예에 있어서 도 9의 예를 적용하여도 된다.
[0066] 지관(29)용의 제 1~제 3 밸브(52-1~52-3)는, 지관(29)이 연신하는 방향으로 반송하는 액체의 유량을 조정한다. 지관(29)용의 제 1~제 3 밸브(52-1~52-3)는, 복수의 지관(29)마다 동작한다. 단, 본 예에 있어서는, 제 1~제 3 밸브(52-1~52-3)는, 본관(20)에 공급되는 액체의 감소에 따라, 제 1 밸브(52-1)로부터 제 3 밸브(52-3)의 순으로 액체를 차단한다. 그 후, 제 1~제 3 밸브(52-1~52-3)는, 본관(20)에 공급되는 액체의 증가에 따라, 제 3 밸브(52-3)로부터, 제 2 밸브(52-2), 이어서 제 1 밸브(52-1)의 순으로 액체를 공급한다. 액체 유량 제어부(32)는, 제 1~제 3 밸브(52-1~52-3)를 제어하여 개폐한다. 이와 같이, 본관(20)에 공급되는 액체의 유량의 변화에 따라, 액체의 분출에 이용하는 복수의 노즐(24)의 개구 면적의 총합을 가변적으로 할 수가 있다.
[0067] 본 예에서는, 제 1 밸브(52-1)가 하류측에 위치하고, 제 3 밸브(52-3)가 상류측에 위치한다. 본 예에서는, 본관(20)에 공급되는 액체의 감소에 따라 하류측의 제 1 밸브(52-1)를 제 2 밸브(52-2)보다 먼저 닫고, 제 2 밸브(52-2)를 제 3 밸브(52-3)보다 먼저 닫기 때문에, 하류측에 있어서도 분출 압력을 저하시키지 않는다. 또, 지관(29)용의 제 1~제 3 밸브(52-1~52-3)를 제어하여, 저부측(14)으로부터 상부측(12)의 순으로 액체를 분출하는 복수의 노즐(24)의 개구 면적을 서서히 줄여도 된다. 예컨대, 저부측(14)에서는, 지관(29)용의 제 1~제 3 밸브(52-1~52-3)를 모두 연다. 중부측에서는, 일부의 지관(29)용의 제 1 밸브(52-1)만을 닫는다. 상부측(12)에서는, 모든 지관(29)용의 제 1 밸브(52-1)를 닫는다. 이로써, 본관(20)에 공급되는 액체의 유량의 변화에 따라, 액체의 분출에 이용하는 복수의 노즐(24)의 개구 면적의 총합을 가변적으로 할 수가 있다.
[0068] 도 12는, 제 3 실시예에 있어서의 제 1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예의 배기가스 처리장치(130-1)는, 지관(69)이 U자 형상이다. U자 형상의 되접어 꺾은 부분이 반응탑(10)의 내측 측면(15) 쪽에 위치한다. U자 형상의 되접어 꺾은 부분과는 반대측의 부분이, 본관(20)에 접속된다. 이러한 점에 있어서, 도 11의 배기가스 처리장치(130)와 다르다. 그 밖의 점은 배기가스 처리장치(130)와 같다. 또한, 본 예에 있어서 도 9의 예를 적용하여도 된다.
[0069] 본 예에 있어서, 복수의 노즐(24)은, U자 형상의 지관(69)의 2개의 평행한 직선 부분 중, 일방(一方)의 직선 부분에 일렬로 나란히 설치된다. U자 형상의 지관(69)에 있어서의 일방의 직선 부분에 있어서, 적어도 2개의 노즐(24)의 사이에, 지관(69)용의 제 1 밸브(52-1)가 설치된다. 추가로, 적어도 2개의 노즐(24) 중 본관(20)측의 노즐(24)과 본관(20)의 사이에, 지관(69)용의 제 2 밸브(52-2) 또는 제 3 밸브(52-3)가 설치된다.
[0070] 제 1~ 제 3 밸브(52-1에서 52-3)는, 본관(20)에 공급되는 액체의 감소에 따라 제 1 밸브(52-1)로부터 제 3 밸브(52-3)의 순으로 액체를 차단한다. 이와 같이, 본관(20)에 공급되는 액체의 유량의 변화에 따라, 액체의 분출에 이용하는 복수의 노즐(24)의 개구 면적의 총합을 가변적으로 할 수가 있다.
[0071] 본 예에 있어서도, 제 1 밸브(52-1)가 하류측에 위치하고, 제 3 밸브(52-3)가 상류측에 위치한다. 본관(20)에 공급되는 액체의 감소에 따라 하류측의 제 1 밸브(52-1)를 제 2 밸브(52-2)보다 먼저 닫고, 제 2 밸브(52-2)를 제 3 밸브(52-3)보다 먼저 닫으므로, 하류측에 있어서도 분출 압력을 저하시키지 않는다.
[0072] 도 13은, 제 4 실시예에 있어서의 배기가스 처리장치(14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예의 배기가스 처리장치(140)는, 복수의 본관(20)이 반응탑(10)의 외부에 설치된다. 이 점에 있어서, 제 1 실시예의 배기가스 처리장치(100)와 다르다. 본 예에서는, 8개의 본관(20)이 반응탑(10)의 외측 측면에 설치된다. 또한, 본관(20)의 수는 8개로 한정되지 않고, 3개 이상의 수이면 되며, 3개, 4개 또는 5개로 하여도 된다.
[0073] 본 예에 있어서도, 복수의 본관(20)의 각각에는 복수의 분출부로서의 노즐(24)이 설치된다. 복수의 노즐(24)은, 도 1과 마찬가지로 본관(20)의 z 방향의 다른 위치에 설치된다. 또한, 도 13은 도 1과 달리, 반응탑(10)의 내부를 그리지 않았다. 이 때문에, 도 13에 있어서 노즐(24)은 명시되어 있지 않다.
[0074] 액체 유량 제어부(32)는, 각각의 액체 도입관(30-1에서 30-8)에 설치된 밸브(34-1에서 34-8)의 개폐를 제어한다. 이로써, 액체 유량 제어부(32)는, 복수의 본관(20)에 공급되는 액체의 유량의 감소에 따라, 액체의 분출에 이용하는 복수의 노즐(24)의 개구 면적의 총합을 감소시킨다. 예컨대, 본관(20)에 공급되는 액체의 유량이 감소한 경우에 액체 유량 제어부(32)는 우선 밸브(34-1)를 닫고, 본관(20)에 공급되는 액체의 유량이 더 감소한 경우에, 액체 유량 제어부(32)는 다음으로 밸브(34-5)를 닫는다.
[0075] 도 14는, 배기가스 처리장치(140)의 반응탑(10)의 z 방향에 수직인 x-y 면에 있어서의 단면(斷面)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예에서는, 본관(20)은 반응탑(10)의 외측에 균등하게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예의 본관(20)은, 인접하는 2개의 본관(20)의 중심점(23)과 반응탑(10)의 중심점(13)이 45도의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되어 있다.
[0076] 본관(20)이 반응탑(10)의 외측에 설치되는 데에 대하여, 노즐(24)의 개구는 반응탑(10)의 내측에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노즐(24)의 개구는 반응탑(10)의 내측 측면(15)보다 중심점(13) 쪽에 형성된다. 본 예에서는, 본관(20)이 8개 설치되는 것에 대응하여, 노즐(24)의 분출 각도(α)는 45도로 하였다. 단, 분출 각도(α)는 45도로 한정되지 않으며, 90도 미만의 임의의 각도로 하여도 되고, 본관(20)의 수에 따라 분출 각도(α)를 바꾸어도 된다.
[0077] 또한 본 예에서는, 반응탑(10)의 x-y 단면을 상면에서 보았을 경우에, 반시계방향으로 배기가스가 도입된다. 이 때문에, 본 예의 분출 각도(α)는, 본관(20)의 중심점(23)과 반응탑(10)의 중심점(13)을 잇는 선분을 기점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증가하는 각도로 하였다. 단, 반응탑(10)의 x-y 단면을 상면에서 보았을 경우에, 시계방향으로 배기가스가 도입될 경우에는, 중심점(23)과 중심점(13)을 잇는 선분을 기점으로 하여 반시계방향으로 증가하는 각도로 하여도 된다.
[0078] 해당 구성에 의해, 반응탑(10)의 중심점(13)을 사이에 끼고 설치되는 한 쌍의 본관(20)의 노즐(24)의 개구 면이 서로 완전히 마주 향하는 경우에 비해, 노즐(24)로부터 분출되는 액체끼리가 부딪치기 어려워진다. 추가로, 액체 유량 제어부(32)는, x-y 면에 있어서 반응탑(10)의 중심점(13)을 사이에 끼우는 적어도 한 쌍의 본관(20)에 있어서의 복수의 노즐(24)로부터, 액체를 분출시킴으로써, 반응탑(10) 내부의 x-y 평면의 거의 전체에 액체를 분출할 수가 있다. 본 예의 액체 유량 제어부(32)는 한 쌍의 본관(20-2 및 20-6)을 선택하지만, 그 대신에 한 쌍의 본관(20-1 및 20-5)을 선택해도 되고, 한 쌍의 본관(20-3 및 20-7)을 선택해도 되며, 한 쌍의 본관(20-4 및 20-8)을 선택해도 된다.
[0079] 나아가, 반시계방향으로 배기가스가 도입되는 경우에, 중심점(23)과 중심점(13)을 잇는 선분을 기점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증가하는 각도를 분출 각도(α)로 하였기 때문에, 반시계방향으로 증가하는 각도를 분출 각도(α)로 하는 경우에 비해, 액체의 분출 방향의 벡터(vector) 성분과 배기가스의 흐름 방향의 벡터 성분이 상쇄되는 것을 막을 수가 있다. 이로써, 액체의 분출이, 반응탑(10) 내부에 있어서의 배기가스의 선회를 방해하지 않고, 오히려 배기가스의 선회를 돕게 된다는 효과도 갖는다.
[0080]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배기가스 처리장치는, 반응탑(10)에 있어서 배기가스를 충분히 선회시킬 수 있어, 배기가스에 포함되는 유해 물질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가 있다. 따라서, 장치 규모를 작게 할 수가 있다. 선박 등에 있어서 유해 물질의 배출 규제가 강화된 경우, 기존의 선박 등의 설비에 배기가스 처리장치를 새롭게 탑재하거나, 또는, 배기가스 처리장치를 교환하는 것이 고려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배기가스 처리장치는 소형화가 용이하므로, 선박 등의 기존 설비에 배기가스 처리장치를 설치하기가 용이하다.
[0081] 이상, 본 발명을 실시형태를 이용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기 실시형태에 기재된 범위로는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실시형태에, 다양한 변경 또는 개량을 추가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분명하다. 이러한 변경 또는 개량을 추가한 형태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될 수 있음이,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명백하다.
[0082] 청구범위, 명세서, 및 도면 중에 있어서 나타낸 장치, 시스템, 프로그램, 및 방법에 있어서의 동작, 순서, 스텝, 및 단계 등의 각 처리의 실행 순서는, 특별히 「보다 전에」, 「앞서」 등으로 명시하고 있지 않으며, 또, 이전의 처리의 출력을 이후의 처리에서 이용하는 것이 아닌 한, 임의의 순서로 실현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청구범위, 명세서, 및 도면 중의 동작 플로우에 관하여, 편의상 「우선,」, 「다음으로,」 등을 이용하여 설명했다 하더라도, 이 순서로 실시하는 것이 필수임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0083] 10; 반응탑
12; 상부측
13; 중심점
14; 저부측
15; 내측 측면
16; 개구
18; 배기가스 도입관
20; 본관
21; 외측 측면
23; 중심점
24; 노즐
25; 그늘
26; 원추형상
28; 축
29; 지관
30; 액체 도입관
32; 액체 유량 제어부
34; 밸브
36; 액체 유량 측정부
38; 펌프
40; 배기가스원
42; 배기가스
44; 배기가스 유량 측정부
50; 본관
52; 밸브
54; 밸브
69; 지관
100; 배기가스 처리장치
120; 배기가스 처리장치
130; 배기가스 처리장치
140; 배기가스 처리장치

Claims (19)

  1. 배기가스를 처리하는 배기가스 처리장치로서,
    상기 배기가스가 도입되는 반응탑과,
    상기 반응탑의 내부에 설치되고, 높이 방향으로 연신(延伸)하며, 상기 배기가스를 처리할 액체가 공급되는 본관(幹管)과,
    상기 배기가스가 상기 반응탑의 내부에서 선회하도록 상기 반응탑에 접속된 배기가스 도입관과,
    상기 본관으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액체를 상기 배기가스의 선회 방향으로 분출하는 복수의 분출부와,
    상기 배기가스의 유량의 변화에 따라 상기 본관에 공급되는 상기 액체의 유량을 변화시키는 펌프와,
    상기 본관에 상기 액체를 상기 펌프로부터 공급하는 액체 도입관과,
    상기 펌프가 출력하는 액체의 유량을 취득하는 액체 유량 취득부와,
    상기 액체 유량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상기 액체 도입관에 공급되는 상기 액체의 유량의 변화에 따라, 상기 액체의 분출에 이용하는 상기 복수의 분출부의 개구 면적의 총합을 가변적으로 하여, 상기 액체를 분출하는 압력을 소정 범위 내로 조정하는 유량 조정 수단
    을 구비하고,
    상기 액체 도입관에 공급되는 상기 액체의 유량의 감소에 따라, 상기 액체의 분출에 이용하는 상기 복수의 분출부의 상기 개구 면적의 총합을 감소시키는 배기가스 처리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를 분출하는 압력을 일정하게 하는 배기가스 처리장치.
  4.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본관과,
    상기 복수의 본관의 각각에 상기 액체를 공급하는 복수의 액체 도입관과,
    상기 복수의 액체 도입관에 흘리는 상기 액체의 유량을 각각 조절하는 복수의 상기 유량 조정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분출부는, 상기 복수의 본관의 각각에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액체 도입관으로 분기(分岐)하기 전의 위치에 있어서 상기 액체 유량 취득부를 지나는 상기 액체의 유량의 변화에 따라, 상기 액체의 분출에 이용하는 상기 복수의 분출부의 상기 개구 면적의 총합이 가변적인
    배기가스 처리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도입관에 공급되는 상기 액체의 유량의 변화에 따라, 하나 이상의 상기 본관에 상기 액체를 공급 또는 차단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분출부의 상기 개구 면적의 총합을 제어하는 액체 유량 제어부를 구비하는
    배기가스 처리장치.
  6.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가스가 도입되는 저부(底部)측으로부터 상기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상부측에 있어서의 상기 반응탑의 높이 방향에 수직인 수평면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분출부의 각각은, 상기 액체를 미리 정해진 분출 각도로 분출하고,
    상기 분출 각도의 중심점 및 상기 반응탑의 중심점을 잇는 선을 기점(起点)으로 하여, 상기 분출 각도는 90도 이상의 각도를 이루는
    배기가스 처리장치.
  7.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가스가 도입되는 저부측으로부터 상기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상부측에 있어서의 상기 반응탑의 높이 방향에 수직인 수평면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분출부의 각각은, 상기 액체를 미리 정해진 분출 각도로 분출하고,
    상기 분출 각도로 분출된 상기 액체의 상기 수평면에 있어서의 분무 영역은, 상기 반응탑의 적어도 중심점에서 서로 겹쳐지는
    배기가스 처리장치.
  8.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가스가 도입되는 저부측으로부터 상기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상부측에 있어서의 상기 반응탑의 높이 방향에 수직인 수평면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분출부의 각각은, 상기 액체를 미리 정해진 분출 각도로 분출하고,
    상기 분출 각도로 분출된 상기 액체의 상기 수평면에 있어서의 분무 영역은, 상기 반응탑의 상기 수평면에 있어서의 내측 측면을 모두 커버하는
    배기가스 처리장치.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분출부는 원추 형상으로 상기 액체를 분출하고,
    상기 복수의 분출부 중 상기 상부측의 분출부에 있어서, 상기 원추 형상의 축은 상기 수평면보다 상기 저부측을 향하도록 설치되는
    배기가스 처리장치.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분출부는 원추 형상으로 상기 액체를 분출하고,
    상기 복수의 분출부 중 상기 저부측의 분출부에 있어서, 상기 원추 형상의 축은 상기 수평면보다 상기 상부측을 향하도록 설치되는
    배기가스 처리장치.
  11.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본관은, 상기 배기가스가 도입되는 저부측으로부터 상기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상부측에 있어서의 상기 반응탑의 높이 방향 또는 상기 높이 방향과 반대의 방향으로 반송하는 상기 액체의 유량을 조정하는 본관용의 유량 조정 수단을 가지는
    배기가스 처리장치.
  12. 배기가스를 처리하는 배기가스 처리장치로서,
    상기 배기가스가 도입되는 반응탑과,
    상기 반응탑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배기가스를 처리할 액체가 공급되는 본관과,
    상기 본관으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액체를 분출하는 복수의 분출부와,
    상기 본관에 상기 액체를 공급하고, 상기 배기가스의 유량의 변화에 따라 상기 액체의 유량을 변화시키는 펌프와,
    상기 펌프가 출력하는 액체의 유량을 취득하는 액체 유량 취득부
    를 구비하며,
    상기 액체 유량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상기 본관에 공급되는 상기 액체의 유량의 변화에 따라, 상기 액체의 분출에 이용하는 상기 복수의 분출부의 개구 면적의 총합이 가변적이고,
    상기 본관은, 상기 배기가스가 도입되는 저부측으로부터 상기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상부측에 있어서의 상기 반응탑의 높이 방향으로 반송하는 상기 액체의 유량을 조정하며, 상기 높이 방향의 다른 위치에 설치되는 복수의 본관용의 유량 조정 수단을 가지고,
    상기 본관에는, 상기 저부측으로부터 상기 상부측으로 상기 액체가 공급되며,
    상기 복수의 본관용의 유량 조정 수단은, 상기 본관에 공급되는 상기 액체의 유량의 감소에 따라, 상기 상부측으로부터 상기 저부측의 순으로 상기 액체를 차단하고,
    상기 액체를 분출하는 압력을 소정 범위 내로 조정하며, 상기 본관에 공급되는 상기 액체의 유량의 감소에 따라, 상기 액체의 분출에 이용하는 상기 복수의 분출부의 상기 개구 면적의 총합을 감소시키는
    배기가스 처리장치.
  13. 배기가스를 처리하는 배기가스 처리장치로서,
    상기 배기가스가 도입되는 반응탑과,
    상기 반응탑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배기가스를 처리할 액체가 공급되는 본관과,
    상기 본관으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액체를 분출하는 복수의 분출부와,
    상기 본관에 상기 액체를 공급하고, 상기 배기가스의 유량의 변화에 따라 상기 액체의 유량을 변화시키는 펌프와,
    상기 펌프가 출력하는 액체의 유량을 취득하는 액체 유량 취득부
    를 구비하며,
    상기 액체 유량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상기 본관에 공급되는 상기 액체의 유량의 변화에 따라, 상기 액체의 분출에 이용하는 상기 복수의 분출부의 개구 면적의 총합이 가변적이고,
    상기 본관은, 상기 배기가스가 도입되는 저부측으로부터 상기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상부측에 있어서의 상기 반응탑의 높이 방향과 반대의 방향으로 반송하는 상기 액체의 유량을 조정하며, 상기 높이 방향의 다른 위치에 설치되는 복수의 본관용의 유량 조정 수단을 가지고,
    상기 본관에는, 상기 상부측으로부터 상기 저부측으로 상기 액체가 공급되며,
    상기 복수의 본관용의 유량 조정 수단은, 상기 본관에 공급되는 상기 액체의 유량의 감소에 따라, 상기 저부측으로부터 상기 상부측의 순으로 상기 액체를 차단하고,
    상기 액체를 분출하는 압력을 소정 범위 내로 조정하며, 상기 본관에 공급되는 상기 액체의 유량의 감소에 따라, 상기 액체의 분출에 이용하는 상기 복수의 분출부의 상기 개구 면적의 총합을 감소시키는 배기가스 처리장치.
  14. 제 12항 또는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방향에 수직인 수평면에서의 상기 본관의 단면적은, 상기 액체의 상류측 쪽이 하류측보다 큰
    배기가스 처리장치.
  15. 배기가스를 처리하는 배기가스 처리장치로서,
    상기 배기가스가 도입되는 반응탑과,
    상기 반응탑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배기가스를 처리할 액체가 공급되는 본관과,
    상기 본관으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액체를 분출하는 복수의 분출부와,
    상기 본관에 상기 액체를 공급하고, 상기 배기가스의 유량의 변화에 따라 상기 액체의 유량을 변화시키는 펌프와,
    상기 펌프가 출력하는 액체의 유량을 취득하는 액체 유량 취득부
    를 구비하며,
    상기 액체 유량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상기 본관에 공급되는 상기 액체의 유량의 변화에 따라, 상기 액체의 분출에 이용하는 상기 복수의 분출부의 개구 면적의 총합이 가변적이고,
    상기 본관은, 상기 배기가스가 도입되는 저부측으로부터 상기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상부측에 있어서의 상기 반응탑의 높이 방향 또는 상기 높이 방향과 반대의 방향으로 반송하는 상기 액체의 유량을 조정하는 본관용의 유량 조정 수단을 가지고,
    상기 배기가스가 도입되는 저부측으로부터 상기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상부측에 있어서의 상기 반응탑의 높이 방향의 다른 위치에 있어서, 상기 본관의 외측 측면으로부터 상기 반응탑의 내측 측면을 향해 연신하여 설치되는 복수의 지관(枝管)을 더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지관의 단면적은, 상기 액체의 상류측 쪽이 하류측보다 크고,
    상기 액체를 분출하는 압력을 소정 범위 내로 조정하며, 상기 본관에 공급되는 상기 액체의 유량의 감소에 따라, 상기 액체의 분출에 이용하는 상기 복수의 분출부의 상기 개구 면적의 총합을 감소시키는
    배기가스 처리장치.
  16. 배기가스를 처리하는 배기가스 처리장치로서,
    상기 배기가스가 도입되는 반응탑과,
    상기 반응탑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배기가스를 처리할 액체가 공급되는 본관과,
    상기 본관으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액체를 분출하는 복수의 분출부와,
    상기 본관에 상기 액체를 공급하고, 상기 배기가스의 유량의 변화에 따라 상기 액체의 유량을 변화시키는 펌프와,
    상기 펌프가 출력하는 액체의 유량을 취득하는 액체 유량 취득부
    를 구비하며,
    상기 액체 유량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상기 본관에 공급되는 상기 액체의 유량의 변화에 따라, 상기 액체의 분출에 이용하는 상기 복수의 분출부의 개구 면적의 총합이 가변적이고,
    상기 본관은, 상기 배기가스가 도입되는 저부측으로부터 상기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상부측에 있어서의 상기 반응탑의 높이 방향 또는 상기 높이 방향과 반대의 방향으로 반송하는 상기 액체의 유량을 조정하는 본관용의 유량 조정 수단을 가지고,
    상기 배기가스가 도입되는 저부측으로부터 상기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상부측에 있어서의 상기 반응탑의 높이 방향의 다른 위치에 있어서, 상기 본관의 외측 측면으로부터 상기 반응탑의 내측 측면을 향해 연신하여 설치되는 복수의 지관을 더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분출부는, 상기 복수의 지관의 각각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지관이 연신하는 방향의 다른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지관의 각각에 있어서의 적어도 2개의 분출부의 사이에, 지관이 연신하는 방향으로 반송하는 상기 액체의 유량을 조정하는 지관용의 제 1 유량 조정 수단을 더 구비하며,
    상기 액체를 분출하는 압력을 소정 범위 내로 조정하며, 상기 본관에 공급되는 상기 액체의 유량의 감소에 따라, 상기 액체의 분출에 이용하는 상기 복수의 분출부의 상기 개구 면적의 총합을 감소시키는 배기가스 처리장치.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분출부 중 상기 본관 측의 상기 분출부와 상기 본관의 사이에, 상기 지관이 연신하는 방향으로 반송하는 상기 액체의 유량을 조정하는 상기 지관용의 제 2 유량 조정 수단을 더 구비하며,
    상기 지관용의 제 1 유량 조정 수단 및 상기 지관용의 제 2 유량 조정 수단은, 상기 본관에 공급되는 상기 액체의 감소에 따라 상기 지관용의 제 1 유량 조정 수단으로부터 상기 지관용의 제 2 유량 조정 수단의 순으로 상기 액체를 차단하는
    배기가스 처리장치.
  18. 배기가스를 처리하는 배기가스 처리장치로서,
    상기 배기가스가 도입되는 반응탑과,
    상기 반응탑의 외부에 설치되고, 높이 방향으로 연신하며, 상기 배기가스를 처리할 액체가 공급되는 복수의 본관과,
    상기 복수의 본관의 각각에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본관으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액체를 상기 배기가스의 선회 방향으로 분출하는 복수의 분출부와,
    상기 배기가스의 유량의 변화에 따라 상기 본관에 공급되는 상기 액체의 유량을 변화시키는 펌프와,
    상기 배기가스가 상기 반응탑의 내부에서 선회하도록 상기 반응탑에 접속된 배기가스 도입관과,
    상기 복수의 본관의 각각에 상기 펌프로부터 액체를 공급하는 복수의 액체 도입관과,
    상기 펌프가 출력하는 액체의 유량을 취득하는 액체 유량 취득부와,
    상기 액체 유량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상기 복수의 액체 도입관에 공급되는 상기 액체의 유량의 변화에 따라, 상기 액체의 분출에 이용하는 상기 복수의 분출부의 개구 면적의 총합을 가변적으로 하여, 상기 액체를 분출하는 압력을 소정 범위 내로 조정하는 복수의 유량 조정 수단
    을 구비하고,
    상기 액체 도입관에 공급되는 상기 액체의 유량의 감소에 따라, 상기 액체의 분출에 이용하는 상기 복수의 분출부의 상기 개구 면적의 총합을 감소시키는 배기가스 처리장치.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본관에 공급되는 상기 액체의 유량을 제어하는 액체 유량 제어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액체 유량 제어부는, 상기 배기가스가 도입되는 저부측으로부터 상기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상부측에 있어서의 상기 반응탑의 높이 방향에 수직인 수평면에 있어서 상기 반응탑의 중심점을 사이에 끼우는 적어도 한 쌍의 본관에 있어서의 상기 복수의 분출부로부터, 상기 액체를 분출시키는
    배기가스 처리장치.
KR1020177005416A 2015-07-01 2016-06-03 배기가스 처리장치 KR1019008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132949 2015-07-01
JP2015132949A JP5999228B1 (ja) 2015-07-01 2015-07-01 排ガス処理装置
PCT/JP2016/066698 WO2017002537A1 (ja) 2015-07-01 2016-06-03 排ガス処理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8447A KR20170028447A (ko) 2017-03-13
KR101900875B1 true KR101900875B1 (ko) 2018-11-05

Family

ID=56997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5416A KR101900875B1 (ko) 2015-07-01 2016-06-03 배기가스 처리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3189884B1 (ko)
JP (1) JP5999228B1 (ko)
KR (1) KR101900875B1 (ko)
CN (1) CN106659973B (ko)
DK (1) DK3189884T3 (ko)
WO (1) WO201700253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315739B1 (en) * 2016-10-28 2019-02-13 Yara Marine Technologies AS System and method to determine a flow rate of a washing liquid of an exhaust gas scrubber cleaning system of a marine vessel
KR101951617B1 (ko) * 2017-07-28 2019-02-26 한국전력공사 연소배가스를 이용한 중탄산소다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중탄산소다 제조방법
CN113905803A (zh) * 2019-12-04 2022-01-07 富士电机株式会社 废气处理装置
JP7375929B2 (ja) 2020-05-27 2023-11-08 富士電機株式会社 船舶用排ガス処理装置
CN111939743B (zh) * 2020-06-29 2022-04-08 中琉科技有限公司 一种实现烟气净化方法中废弃物的回收再生装置
JP6977830B1 (ja) * 2020-08-14 2021-12-08 富士電機株式会社 排ガス処理装置
JP2022059518A (ja) * 2020-10-01 2022-04-13 富士電機株式会社 排ガス処理装置
CN113877382A (zh) * 2021-11-22 2022-01-04 科腾环保科技(嘉兴)股份有限公司 一种电镀废气零排放循环利用处理系统
CN115138201B (zh) * 2022-07-01 2023-04-11 青岛中智达环保熔炼设备有限公司 一种燃煤废气减碳处理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394144B (de) * 1988-02-25 1992-02-10 Berthiller Franz Vorrichtung zur nass-reinigung von mit schwebstoffteilchen und/oder schaedlichen gasen beladenen abgasen
KR100262903B1 (ko) * 1995-02-28 2000-08-01 가노 다다마사 고체탈황제이용습식배연탈황방법과장치
JP2015510446A (ja) * 2012-01-17 2015-04-09 プーレテク アクティーゼルスカブ 例えば燃焼ガスである汚染ガスを浄化するための湿式スクラバ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33882A (en) * 1963-03-04 1966-02-08 Airetron Engineering Corp Cyclonic gas scrubber
DE3100004C2 (de) * 1981-01-02 1986-11-20 Achenbach Buschhütten GmbH, 5910 Kreuztal Waschkolonne
JPS5870198A (ja) * 1981-10-22 1983-04-26 株式会社東芝 放射性廃ガス処理装置
JPS5949823A (ja) * 1982-09-13 1984-03-22 Babcock Hitachi Kk 塔内に支柱を有する脱硫塔
JPH0352097Y2 (ko) * 1986-05-15 1991-11-11
JPH03275124A (ja) * 1990-03-23 1991-12-05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排ガス処理制御方法
JPH06190240A (ja) 1992-12-28 1994-07-12 Mitsubishi Heavy Ind Ltd 円筒型排煙脱硫装置
WO1995025931A1 (de) * 1994-03-21 1995-09-28 Techform Engineering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einbringen eines flüssigen oder gasförmigen behandlungsmediums in einen rauchgasstrom
JPH08281055A (ja) 1995-04-12 1996-10-29 Mitsubishi Heavy Ind Ltd 円筒型排煙脱硫装置
JPH0919623A (ja) * 1995-07-07 1997-01-21 Babcock Hitachi Kk 湿式排ガス脱硫方法および装置
JP3093744B2 (ja) * 1999-01-22 2000-10-03 日本鋼管株式会社 排煙脱硫装置
CN201318679Y (zh) * 2008-12-01 2009-09-30 张正泉 烟气除尘设备
JP2011067743A (ja) * 2009-09-25 2011-04-07 Fujiyoshi Kogyo Kk 排気処理装置
EP2441512A1 (en) * 2010-10-14 2012-04-18 Linde Aktiengesellschaft Injector
CN204170591U (zh) * 2014-10-16 2015-02-25 河北京鹏环保科技有限公司 多孔托盘喷淋塔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394144B (de) * 1988-02-25 1992-02-10 Berthiller Franz Vorrichtung zur nass-reinigung von mit schwebstoffteilchen und/oder schaedlichen gasen beladenen abgasen
KR100262903B1 (ko) * 1995-02-28 2000-08-01 가노 다다마사 고체탈황제이용습식배연탈황방법과장치
JP2015510446A (ja) * 2012-01-17 2015-04-09 プーレテク アクティーゼルスカブ 例えば燃焼ガスである汚染ガスを浄化するための湿式スクラ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659973B (zh) 2018-12-14
EP3189884B1 (en) 2020-07-01
WO2017002537A1 (ja) 2017-01-05
DK3189884T3 (da) 2020-09-07
EP3189884A1 (en) 2017-07-12
EP3189884A4 (en) 2017-08-16
CN106659973A (zh) 2017-05-10
JP5999228B1 (ja) 2016-09-28
JP2017013005A (ja) 2017-01-19
KR20170028447A (ko) 2017-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0875B1 (ko) 배기가스 처리장치
KR101769033B1 (ko) 배기가스 처리장치
KR20150123263A (ko) 해상 배기가스 스크러버
WO2016136280A1 (ja) 排ガス処理装置
KR101811842B1 (ko) 배기가스 처리장치
JP2009273966A (ja) 微細気泡発生ノズル及びそれを備えた装置
JP2019076799A (ja) 排ガス処理装置
JPS5941780B2 (ja) 流体の複合噴流方法と複合ノズルユニツト
WO2019163950A1 (ja) 水処理槽及び脱硫装置
JP2004237258A (ja) 湿式排煙脱硫装置
TWI735030B (zh) 排氣脫硫裝置
KR102047013B1 (ko) 플라즈마를 이용한 선박용 배기 가스 처리 장치
JP6522370B2 (ja) 放水ノズル及び混合槽
WO2018159557A1 (ja) 船舶用脱硫装置及び該船舶用脱硫装置を搭載した船舶
US7658337B2 (en) Fluid vectoring nozzle
KR102275068B1 (ko) 센터유로의 체적이 가변되는 유체 진동 분사 장치
JP2006167613A (ja) ガス吸収装置
KR102275397B1 (ko) 선회유로의 길이가 가변되는 유체 진동 분사 장치
KR102273574B1 (ko) 유체 진동 분사 장치
KR102275442B1 (ko) 아황산가스 및 이산화탄소 동시 저감장치
JP3457586B2 (ja) ウェハ乾燥装置及び方法及びウェハ乾燥装置用ipaミスト噴霧装置
KR101464221B1 (ko) 액체 분무장치
JP2022016847A (ja) 排ガス処理装置
JP2009096271A (ja) 洗車機
KR20240043930A (ko) 무동력 플룸 제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