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7854B1 - 열차 안내 방송 시스템 - Google Patents

열차 안내 방송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7854B1
KR101897854B1 KR1020147011198A KR20147011198A KR101897854B1 KR 101897854 B1 KR101897854 B1 KR 101897854B1 KR 1020147011198 A KR1020147011198 A KR 1020147011198A KR 20147011198 A KR20147011198 A KR 20147011198A KR 101897854 B1 KR101897854 B1 KR 1018978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in
radio
radios
onboard
a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11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72134A (ko
Inventor
다께시 야마다
Original Assignee
닛뽄신고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뽄신고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닛뽄신고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721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21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78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78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5/00Recording or indicating positions or identities of vehicles or trains or setting of track apparatus
    • B61L25/02Indicating or recording positions or identities of vehicles or tr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5/00Recording or indicating positions or identities of vehicles or trains or setting of track apparatus
    • B61L25/02Indicating or recording positions or identities of vehicles or trains
    • B61L25/025Absolute localisation, e.g. providing geodetic coordin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15/00Indicators provided on the vehicle or train for signalling purposes
    • B61L15/0018Communication with or on the vehicle or train
    • B61L15/0027Radio-based, e.g. using GSM-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5/00Recording or indicating positions or identities of vehicles or trains or setting of track apparatus
    • B61L25/02Indicating or recording positions or identities of vehicles or trains
    • B61L25/04Indicating or recording train identi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7/00Central railway traffic control systems; Trackside control;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1L27/70Details of trackside commun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15/00Indicators provided on the vehicle or train for signalling purposes
    • B61L15/0072On-board train data hand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7/00Central railway traffic control systems; Trackside control;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1L27/20Trackside control of safe travel of vehicle or train, e.g. braking curve calculation
    • B61L2027/204Trackside control of safe travel of vehicle or train, e.g. braking curve calculation using Communication-based Train Control [CBT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7/00Central railway traffic control systems; Trackside control;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1L27/40Handling position reports or trackside vehicle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도 선로 R 상을 이동하는 열차(1)에 설치되어 무선 통신하는 차상 무선기 VRS1, VRS2와, 철도 선로 R을 따라 배치되는 연선 무선기 WRS1 내지 WRS5와, 차상 무선기 VRS1, VRS2와 연선 무선기 WRS1 내지 WRS5 사이의 무선 통신에 의해 얻어진 상기 열차의 위치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미리 정한 타이밍에서, 열차의 안내 방송을 행하는 안내 수단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열차 안내 방송 시스템{TRAIN GUIDE BROADCAST SYSTEM}
본 발명은 역에의 도착 안내 등을 행하는 열차 안내 방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열차 제어 장치의 방식으로서는, 고정 폐색 방식이 잘 알려져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이 고정 폐색 방식은, 열차의 주행로(궤도)를, 예를 들어 수백미터 간격으로 구획한 폐색 구간을 설정하고, 각 폐색 구간 단위로 열차의 제어를 행하는 방식이다.
그런데, 열차 제어 장치의 방식으로서, 상기 고정 폐색 방식을 채용한 경우, 열차의 역에의 도착 안내 등을 행하는 열차 안내 방송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이러한 종류의 고정 폐색 방식의 열차 제어 장치와 연동해서 안내 방송을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류의 열차 안내 방송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역의 바로 이전에 설정된 소정의 폐색 구간에 열차가 진입(재선)한 것에 의해, 열차의 역에의 접근을 검지하고, 그 열차 접근의 검지 결과에 기초하여, 열차의 역에의 도착 안내 등의 역 안내 방송을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2-67957호 공보
그러나, 종래의 열차 안내 방송 시스템은, 폐색 구간 단위로 열차의 접근을 검지하는 구성이며, 통상, 1 폐색 구간은 수백미터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역의 수백미터 바로 전에 열차가 도달했을 때에 역 안내 방송을 개시하게 되어, 그 역 안내 방송과 실제의 역에의 열차 도착과의 사이의 타임 래그(지연)가 커져 버리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열차 안내 방송 시스템에 있어서, 적절한 타이밍에서 역 안내 방송을 행하는 열차 안내 방송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열차 안내 방송 시스템은, 철도 선로 상을 이동하는 열차에 설치되어 무선 통신하는 차상 무선기와, 상기 철도 선로를 따라 배치되는 연선 무선기와, 상기 차상 무선기와 상기 연선 무선기 사이의 무선 통신에 의해 얻어진 상기 열차의 위치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미리 정한 타이밍에서, 상기 열차의 역 안내 방송을 행하는 안내 수단을 구비하여 구성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열차 안내 방송 시스템에 의하면, 연선 무선기와 차상 무선기 사이의 무선 통신에 의해 얻어진 열차의 위치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미리 정한 타이밍에서 역 안내 방송을 행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실시간으로 또한 정확한 열차 위치 정보에 기초하는 타이밍에서, 역 안내 방송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적절한 타이밍에서 역 안내 방송을 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열차 안내 방송 시스템의 일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첨부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열차 안내 방송 시스템의 일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에 있어서, 본 실시 형태의 열차 안내 방송 시스템(10)은, 철도 선로 R 상을 이동하는 열차(1)에 설치되어 무선 통신하는 차상 무선기 VRS(VRS1, VRS2)와, 철도 선로 R을 따라 배치되는 연선 무선기 WRS(WRS1 내지 WRS5)와, 차상 무선기와 연선 무선기 사이의 무선 통신에 의해 얻어진 열차(1)의 위치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미리 정한 타이밍에서, 열차(1)의 역 안내 방송을 행하는 안내 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된 것이다.
상기 안내 수단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차상 무선기 VRS(VRS1, VRS2)와 연선 무선기 WRS(WRS1 내지 WRS5) 사이의 송수신에 의해 얻어진 상기 열차 위치에 관한 정보로서의 측거 결과에 기초하여, 열차(1)의 위치를 산출하는 지상 장치(2)와, ATS 역 장치(3a)와, ATS 중앙 장치(3b)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차상 무선기 VRS는, 철도 선로 R 상을 이동하는 열차(1)에 설치되어, 연선 무선기 WRS와 무선 통신하는 것이며,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열차(1)의 전방부에 탑재된 전방부 차상 무선기 VRS1과, 열차(1)의 후방부에 탑재된 후방부 차상 무선기 VRS2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각 차상 무선기 VRS1, VRS2는, 열차(1)의 식별 정보로서, 열차 편성 번호를 연선 무선기 WRS로 무선 통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연선 무선기 WRS로 송신된 열차 편성 번호는, 예를 들어 지상 장치(2) 및 ATS 역 장치(3a)를 통해서 ATS 중앙 장치(3b)로 전송된다. 이 열차 편성 번호는, 각 열차(1)에 사전에 할당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ATS 중앙 장치에 있어서, 도착 플랫폼의 번호 등과 결부시켜 관리되고 있다. 또한, 열차 편성 번호에는, 특급, 보통 등의 열차 종별을 식별 가능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며, 이 편성 번호를 알면 열차 종별을 알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와 같이, 열차(1)에 2개의 차상 무선기(VRS1, VRS2)를 설치하는 경우, 각 차상 무선기는, 열차의 전방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인지, 후방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인지를 식별하는 설치 위치 정보도 상기 식별 정보와 함께 연선 무선기 WRS로 무선 통신하도록 구성한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지상 장치(2) 등에 있어서 열차의 길이를 고려하여, 보다 고정밀도로 열차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상기 연선 무선기 WRS는, 철도 선로 R을 따라 배치되며, 차상 무선기 VRS1, VRS2 및 지상 장치(2)와 무선 통신하는 것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연선 무선기 WRS는, 차상 무선기 VRS(VRS1, VRS2)와의 사이의 송수신에 의해 열차(1)까지의 거리(연선 무선기 WRS-차상 무선기 VRS간의 거리)를 측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연선 무선기 WRS로서는, 예를 들어 CBTC(Communication Based Train Control)라 불리는 무선식 열차 제어 시스템, 즉 이동 폐색 방식으로 열차 제어를 행하는 경우에 사용되며, 전파의 전파 지연 시간을 사용해서, 2개의 무선 기간(연선 무선기 WRS-차상 무선기 VRS 사이)의 거리를 계측할 수 있는 무선기를 채용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있어서, 연선 무선기 WRS는, 도면의 간략화를 위해, 선로 R을 따라 소정의 설치 간격으로 WRS1 내지 WRS5의 5개를 설치한 경우를 일례로서 나타냈지만, 실제로는, 역간 거리와 상기 설치 간격 등에 의해 정해지는 수의 연선 무선기 WRS가, 각 역 사이에 적절히 설치되어 있다.
연선 무선기 WRS1 내지 WRS5는, 각 차상 무선기 VRS1, VRS2로부터의 열차(1)의 식별 정보(열차 편성 번호)와 함께 그 열차(1)까지의 측거 결과를 안내 수단의 지상 장치(2)로 무선 통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와 같이, 차상 무선기 VRS를 1개의 편성의 열차(1)의 전후에 각각 1개씩 설치하는 경우, 각 차상 무선기 VRS1, VRS2로부터는, 각각 동일한 식별 정보(열차 편성 번호)가 송신된다.
연선 무선기 WRS1 내지 WRS5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커맨드 S11(점선) 및 리포트 S12(실선)의 송수신을 행함과 함께, 지상 장치(2)와의 사이에서도, 서로, 커맨드 S11 및 리포트 S12의 송수신을 행한다. 커맨드 S11은, 지상 장치(2)로부터 연선 무선기 WRS1 내지 WRS5로의 지령 신호이며, 연선 무선기 WRS1 내지 WRS5로의 측거 지령인 측거 커맨드가 포함된다. 또한, 리포트 S12는, 커맨드 S11에 응답하는 연선 무선기 WRS로부터의 리포트 신호이며, 연선 무선기 WRS에 의한 측거 결과인 측거 리포트가 포함된다.
여기서, 전방부 차상 무선기 VRS1과의 송수신에 제공되는 연선 무선기 WRS, 및 후방부 차상 무선기 VRS2와의 송수신에 제공되는 연선 무선기 WRS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지상 장치(2)에 의해, 열차(1)의 주행에 추종해서 순차 대신하여 행하도록 선택된다. 측거에 있어서, 전방부 차상 무선기 VRS1, 후방부 차상 무선기 VRS2와의 송수신에 제공되는 연선 무선기 WRS는, 각각 지상 장치(2)에 의해 2개 선택되어, 2개 1조로 되어 측거 무선조를 구성한다. 예를 들어, 도 1의 경우, 전방부 차상 무선기 VRS1과, 연선 무선기 WRS3 및 WRS4에 의해 구성된 측거 무선기조에 의해 얻어진 측거의 리포트 S12, 및 후방부 차상 무선기 VRS2와, 연선 무선기 WRS1 및 WRS2로 구성된 측거 무선기조에 의해 얻어진 측거의 리포트 S12를, 각 연선 무선기 WRS를 통해서 지상 장치(2)로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지상 장치(2)는, 차상 무선기 VRS1, VRS2와 연선 무선기 WRS1 내지 WRS5 사이의 송수신에 의해 얻어진 측거 결과에 기초하여 열차(1)의 위치를 산출하는 것이다. 지상 장치(2)는, 예를 들어 종래의 CBTC(무선식 열차 제어 시스템)의 지상 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지상 장치(2)는, 종래의 CBTC 지상 장치와 마찬가지로, 열차(1)의 초기 위치를 인식하고 있고, 열차의 이동에 추종하여, 열차 위치를 실시간으로 인식하고, 그 근방의 전후 2개의 연선 무선기에 대하여, 열차(1)(차상 무선기 VRS1, VRS2)까지의 측거 개시를 지령하는 측거 커맨드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도 1의 상태에 있어서, 지상 장치(2)는 전방부 차상 무선기 VRS1 근방의 전후 2개의 연선 무선기로서, WRS3 및 WRS4를 선택하고, 이 연선 무선기 WRS3 및 WRS4에 대한 커맨드 S11(측거 커맨드)을 송신함과 함께, 후방부 차상 무선기 VRS2 근방의 전후 2개의 연선 무선기로서, WRS1 및 WRS2를 선택하고, 연선 무선기 WRS1 및 WRS2에 대한 커맨드 S11(측거 커맨드)을 송신한다. 커맨드 S11에는, 예를 들어 어느 연선 무선기에 대한 지령인지를 식별하는 지령처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각 연선 무선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연선 무선기 사이를 순차 전파해 오는 커맨드 S11에 자국을 지령처로 하는 지령처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 그 커맨드를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커맨드의 지령처가 아닌 연선 무선기가 커맨드 S11을 수신한 경우, 그 연선 무선기는, 단순히, 커맨드 S11을 다른 연선 무선기로 전송할 뿐이다.
지상 장치(2)는, 예를 들어 측거 무선기조에서 얻어진 측거 리포트를 수신하면, 그 측거 리포트에 기초하여 열차 위치를 산출하고, 그 산출한 열차 위치의 정보를, 연선 무선기 WRS1 내지 WRS5로부터의 식별 정보(열차 편성 번호)와 함께 ATS 역 장치(3a)를 통해서 ATS 중앙 장치(3b)로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안내 수단(지상 장치(2), ATS 역 장치(3a), ATS 중앙 장치(3b))은, 구체적으로는, 지상 장치(2)에 의해 산출한 열차 위치의 정보에 기초하여, 미리 정한 타이밍에서, 열차의 역 안내 방송을 행하는 것이다. 이 안내 수단은, 예를 들어 식별 정보(열차 편성 번호)에 기초하여 정해지는 열차 종별(예를 들어, 특급, 보통 등의 종별)의 안내를 포함하는 역 안내 방송을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열차 종별 및 도착 플랫폼 번호의 안내와 함께, 역에의 도착 안내의 방송을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지금 곧, 3번선에, 특급 열차가, 도착합니다」라고 방송한다.
여기서, 상기 미리 정한 타이밍이란, 예를 들어 지상 장치(2)에 의해 산출된 열차 위치와 역 안내 방송의 개시용으로 미리 설정하는 위치가 일치한 타이밍이다. 즉, 안내 수단은, 예를 들어 지상 장치(2)에 의해 산출한 열차 위치와 역 안내 방송의 개시용으로 미리 설정하는 위치가 일치한 타이밍에서, 역 안내 방송을 개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지상 장치(2)는, 예를 들어 도 1에 있어서, 열차(1)의 진행 방향 선두측이 전방부 차상 무선기 VRS1측인 경우, VRS1과 그 근방의 측거 무선기조와의 사이에서 얻어진 측거 결과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열차 위치와 역 안내 방송의 개시용으로 미리 설정하는 위치의 일치 판정을 행한다.
상기 ATS 역 장치(3a)는, 역에 설치되어, 예를 들어 지상 장치(2)로부터의 열차 편성 번호와 열차 위치 정보를 ATS 중앙 장치로 송신하고, 그들 정보에 기초하는 ATS 중앙 장치로부터의 역 안내 방송 지령을 수신하면 그 지령에 기초하여 역 안내 방송을, 실제로 행하는 것이다.
상기 ATS 중앙 장치(3b)는, 예를 들어 역에 설치된 ATS 역 장치(3a)와 접속하여 열차의 운행 관리를 행하는 것이며, ATS 역 장치(3a)를 통해서 열차 편성 번호 및 열차 위치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ATS 중앙 장치(3b)는, ATS 역 장치(3a)를 통해서 전송된 열차 위치와 역 안내 방송의 개시용으로 미리 설정하는 위치가 일치한 타이밍에서, ATS 역 장치(3a)에 역 안내 방송을 개시하도록 지령한다. 이 역 안내 방송의 개시용 위치는, 역 안내 방송과 실제의 역에의 열차 도착 사이의 타임 래그가 적절해지도록, 예를 들어 열차(1)의 역의 바로 이전에서의 속도 등에 기초하여, 역의 바로 이전에 적절하게 설정된 위치다.
또한, ATS 중앙 장치(3b)는, 예를 들어 열차 편성 번호와 도착 플랫폼 번호 등을 결부시켜 관리하여 열차의 운행 관리를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ATS 역 장치(3a)를 통해서 전송된 열차 편성 번호에 기초하여 열차 종별 및 도착 플랫폼의 번호를 판정하고, 판정 결과에 기초하는 열차 종별과 도착 플랫폼의 안내를 도착 안내와 함께 행하도록 ATS 역 장치(3a)에 지령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어서, 본 실시 형태의 열차 안내 방송 시스템(10)의 동작을, 도 1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열차(1)가 연선 무선기 WRS2 근방을 주행하고 있을 때의 동작에 대해서, 이하 설명한다.
우선, 지상 장치(2)는, 전방부 차상 무선기 VRS1이 연선 무선기 WRS3과 연선 무선기 WRS4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인식하고, 전방부 차상 무선기 VRS1 근방의 전후 2개의 연선 무선기로서, WRS3 및 WRS4를 선택하고, 이 연선 무선기 WRS3 및 WRS4에 대한 커맨드 S11(측거 커맨드)을 송신함과 함께, 후방부 차상 무선기 VRS2 근방의 전후 2개의 연선 무선기로서, WRS1 및 WRS2를 선택하고, 연선 무선기 WRS1 및 WRS2에 대한 커맨드 S11(측거 커맨드)을 송신한다. 이 커맨드 S11은, 각 연선 무선기를 전파해 간다.
여기서, 각 연선 무선기 WRS1 내지 WRS5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순차 전파해 오는 커맨드 S11에 자국을 지령처로 하는 지령처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 그 측거 커맨드를 실행한다. 측거 무선기조 WRS3-WRS4는, 커맨드 S11에 자국을 지령처로 하는 지령처 정보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전방부 차상 무선기 VRS1과의 무선 통신을 실행하고, 그 전파의 전파 지연 시간에 기초하여, 무선기간 (WRS3-VRS1, WRS4-VRS1)의 거리를 각각 측정함과 함께, 전방부 차상 무선기 VRS1로부터 열차 편성 번호 등을 수신한다. 그리고, 측거 무선기조 WRS3-WRS4는, 측거 결과의 리포트 S12 및 열차 편성 번호 등을, 각 연선 무선기 WRS를 통해서 지상 장치(2)로 전송한다.
마찬가지로, 측거 무선기조 WRS1-WRS2는, 커맨드 S11에 자국을 지령처로 하는 지령처 정보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후방부 차상 무선기 VRS2와의 무선 통신을 실행하고, 그 전파의 전파 지연 시간에 기초하여, 무선기간(WRS1-VRS2, WRS2-VRS2)의 거리를 각각 측정함과 함께, 후방부 차상 무선기 VRS2로부터 열차 편성 번호 등을 수신한다. 그리고, 측거 무선기조 WRS1-WRS2는, 측거 결과의 리포트 S12 및 열차 편성 번호 등을, 각 연선 무선기 WRS를 통해서 지상 장치(2)로 전송한다.
이어서, 지상 장치(2)는, 측거 무선기조에서 얻어진 리포트 S12 등을 수신하면, 그 리포트에 기초하여 열차 위치를 산출하고, 그 산출한 열차 위치 정보와 함께 열차 편성 번호를, ATS 역 장치(3a)를 통해서 ATS 중앙 장치(3b)로 전송한다.
ATS 중앙 장치(3b)는, ATS 역 장치(3a)로부터 전송된 열차 위치(예를 들어, VRS1과 연선 무선기 사이에서 얻어진 측거 결과에 기초하여 산출된 열차 위치)와 역 안내 방송의 개시용으로 미리 설정하는 위치가 일치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여기서, ATS 중앙 장치(3b)는, 열차(1)가 더 주행하여, 열차 위치와 역 안내 방송의 개시용 위치가 일치했을 때, ATS 역 장치(3a)에 역 안내 방송을 개시하도록 지령한다.
그리고, ATS 역 장치(3a)는, ATS 중앙 장치(3b)로부터 역 안내 방송의 개시 지령을 받으면, ATS 중앙 장치(3b)의 열차 종별 및 도착 플랫폼의 번호의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예를 들어 「지금 곧, 3번선에 특급 열차가 도착합니다」라고 역 안내 방송을 행한다.
상기 실시 형태에 따른 열차 안내 방송 시스템(10)에 의하면, 연선 무선기 WRS1 내지 WRS5와 차상 무선기 VRS1, VRS2 사이의 송수신에 의해 얻어진 측거 결과에 기초하여 산출된 열차 위치의 정보에 기초하여, 미리 정한 타이밍에서 역 안내 방송을 행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실시간으로 또한 정확한 열차 위치 정보에 기초하는 타이밍에서, 역 안내 방송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적절한 타이밍에서 역 안내 방송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와 같이, 1개의 열차(1)에 차상 무선기 VRS를 2개 설치하고, 각 차상 무선기 VRS1, VRS2와 연선 무선기 WRS 사이에서 얻어진 측거 결과를 이용해서 열차 위치를 산출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지상 장치(2)는, 열차의 길이를 고려하여, 고정밀도로 열차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차상 무선기 VRS는, 열차(1)의 전방부 및 후방부에 2개 설치한 경우로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열차(1)의 진행 방향 선두부에 1개 설치하는 구성이어도 좋다.
또한, 본 실시 형태와 같이, 차상 무선기 VRS는, 열차의 식별 정보(열차 편성 번호)를 송신하고, 연선 무선기 WRS 및 지상 장치(2)를 통해서, 열차 편성 번호를 예를 들어 ATS 역 장치(3a)로 전송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이 전송된 열차 편성 번호에 기초하여 열차 종별의 판정을 용이하게 행하여, 열차 종별의 안내 방송을 행할 수 있다. 특히, 다른 선로 구간으로부터 진입한 열차 등의 열차 종별의 안내 방송을 행하는 데 있어서, ATS 중앙 장치(3b)에 운행 관리의 오퍼레이터 등이 열차 종별의 정보를 수동 입력할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에, 오퍼레이터 등의 작업 부하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열차의 식별 정보는, 열차 편성 번호에 한하지 않고, 특급, 보통 등의 열차 종별을 식별 가능한 정보를 포함한 정보이면 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안내 수단(ATS 역 장치(3a), ATS 중앙 장치(3b))은, 열차의 도착 안내에 더하여, 열차 종별 및 도착 플랫폼의 번호의 안내를 방송하는 경우로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어 열차의 도착 안내와 열차 종별의 안내 방송만을 행하도록 해도 되고, 열차의 도착 안내와 도착 플랫폼의 번호의 안내 방송만을 행하도록 해도 되고, 열차의 도착 안내만 행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한, 안내 수단(ATS 역 장치(3a), ATS 중앙 장치(3b))은, 역에 도착하는 열차에 관한 안내뿐만 아니라, 역을 통과하는 열차의 통과 안내나, 다른 선로 구간으 등에서의 열차의 지연 안내 등도 행할 수 있다. 통과 안내도 행하는 경우에는, 역 안내 방송의 개시용 위치를 도착 안내용과 통과 안내용으로 설치하고, 통과 안내용 위치에 대해서는, 예를 들어 통과 시의 열차의 속도에 따라서 설정한다. 또한, 지연 안내도 행하는 경우는, 예를 들어 도착 안내와 함께 행하도록 해도 되고, ATS 중앙 장치의 오퍼레이터 등에 의해 적절히 행하도록 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안내 수단은, 지상 장치(2)와, ATS 역 장치(3a)와, ATS 중앙 장치(3b)를 구비하여 구성, 즉 ATS 중앙 장치(3b)와 링크시킨 경우로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어 지상 장치(2)와, ATS 역 장치(3a)만으로 구성해도 된다. 이 경우, 예를 들어 ATS 역 장치(3a)는, 지상 장치(2)에 의해 산출된 열차 위치와 역 안내 방송의 개시용 위치의 일치, 불일치의 판정을 행함과 함께, 열차의 운행 관리의 기능과, 열차 편성 번호에 기초하여 열차 종별 및 도착 플랫폼의 번호를 판정하는 기능을 구비하도록 구성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미리 정한 타이밍은, 지상 장치(2)에 의해 산출된 열차 위치와 역 안내 방송의 개시용으로 미리 설정하는 위치가 일치한 타이밍, 즉 일치와 동시인 것으로서 구성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일치한 후 미리 정한 소정의 시간 경과 후여도 상관없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열차와 연선 무선기 WRS간의 거리의 측정은, 연선 무선기 WRS측에서 행하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차상 무선기 VRS측에서 행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 경우, 차상 무선기 VRS는, 예를 들어 열차 편성 번호와 함께 측거 결과를 연선 무선기 WRS로 전송하도록 구성한다.
또한, 열차의 식별 정보는, 열차 편성 번호에 한하지 않고, 특급, 보통 등의 열차 종별을 식별 가능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며, 무선 통신 가능한 정보이면, 어떤 정보든 무방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안내 수단은, 차상 무선기와 연선 무선기 사이의 무선의 송수신, 즉 무선 측거에 의해 얻어진 열차 위치에 관한 정보로서의 측거 결과에 기초하여, 산출된 열차 위치에 기초하여, 미리 정한 타이밍에서, 열차(1)의 역 안내 방송을 행하는 경우로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어 열차(1)에 GPS 수신기를 설치하고, 이 GPS 수신기에 의해 얻어지고, 차상 무선기와 연선 무선기 사이의 무선 통신에 의해 전송되어 얻어진 열차 위치에 관한 정보로서의 GPS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미리 정한 타이밍에서, 열차(1)의 역 안내 방송을 행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열차 안내 방송 시스템(10)은, 연선 무선기와 차상 무선기 사이의 무선 통신에 의해 얻어진 열차의 위치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미리 정한 타이밍에서 역 안내 방송을 행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실시간으로 또한 정확한 열차 위치 정보에 기초하는 타이밍에서, 역 안내 방송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적절한 타이밍에서 역 안내 방송을 행할 수 있다.
1 : 열차
2 : 지상 장치
3a : ATS 역 장치
3b : ATS 중앙 장치
10 : 열차 안내 방송 시스템
WRS, WRS1 내지 WRS5 : 연선 무선기
VRS, VRS1, VRS2 : 차상 무선기
R : 선로

Claims (5)

  1. 철도 선로 상을 이동하는 열차에 설치되어 무선 통신하는 차상 무선기(車上無線機; vehicle radio set)와,
    상기 철도 선로를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연선 무선기(沿線無線機; wayside radio set)와,
    상기 복수의 연선 무선기 중에서 상기 열차의 이동에 추종하여 상기 차상 무선기의 전방에서 가장 근접한 연선 무선기 및 상기 차상 무선기의 후방에서 가장 근접한 연선 무선기를 선택하고, 이 선택한 상기 2개의 연선 무선기에 대하여 상기 열차까지의 측거개시를 지령하는 측거 커맨드를 송신하는 안내 수단으로서, 상기 차상 무선기와 선택한 상기 2개의 연선 무선기 사이의 송수신에 의해 얻어진 측거 결과의 측거 리포트를 수신하고, 이 측거 리포트에 기초하여 산출한 상기 열차의 위치와, 역에 도착하는 열차에 대한 도착 안내용 및 역을 통과하는 열차의 통과 안내용으로 각각 정해진 위치가 일치한 타이밍에서, 상기 열차의 상기 역에의 도착 또는 상기 역의 통과에 대한 역 안내 방송을 행하는 안내 수단
    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안내 방송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상 무선기는, 열차의 식별 정보를 상기 연선 무선기로 무선 통신하고,
    상기 연선 무선기는, 상기 차상 무선기로부터의 상기 열차의 식별 정보와 함께 그 열차까지의 상기 측거 결과를 상기 안내 수단으로 무선 통신하고,
    상기 안내 수단은, 상기 열차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정해지는 열차 종별의 안내를 포함하는 상기 역 안내 방송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안내 방송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열차의 식별 정보는, 열차 편성 번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안내 방송 시스템.
  4. 삭제
  5. 삭제
KR1020147011198A 2011-09-30 2012-09-25 열차 안내 방송 시스템 KR1018978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216710 2011-09-30
JP2011216710A JP6075942B2 (ja) 2011-09-30 2011-09-30 列車案内放送システム
PCT/JP2012/074521 WO2013047499A1 (ja) 2011-09-30 2012-09-25 列車案内放送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2134A KR20140072134A (ko) 2014-06-12
KR101897854B1 true KR101897854B1 (ko) 2018-09-12

Family

ID=47995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1198A KR101897854B1 (ko) 2011-09-30 2012-09-25 열차 안내 방송 시스템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9821826B2 (ko)
EP (1) EP2752352A4 (ko)
JP (1) JP6075942B2 (ko)
KR (1) KR101897854B1 (ko)
CN (1) CN103826959B (ko)
BR (1) BR112014007208A2 (ko)
CA (1) CA2850474C (ko)
MY (1) MY168808A (ko)
WO (1) WO201304749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47528B (zh) * 2015-12-29 2018-11-27 同方威视技术股份有限公司 列车车号和车型识别方法和系统及安全检查方法和系统
CN107221183B (zh) * 2016-03-22 2019-12-13 中国移动通信集团江苏有限公司 一种公共交通工具实时报站方法及装置
JP2018129664A (ja) 2017-02-08 2018-08-16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9547918B (zh) * 2017-09-22 2020-11-06 星贝瑞有限公司 报站系统及其方法
CN111923963B (zh) * 2020-07-30 2022-07-08 中车青岛四方车辆研究所有限公司 一种列车定位方法及装置
RU2757164C1 (ru) * 2020-10-26 2021-10-11 Владимир Евгеньевич Ефремов Устройства и способы определения местоположения рельсового транспорта и обеспечения безопасности движения с помощью беспроводной цепочечной сети
US20240062123A1 (en) * 2022-08-18 2024-02-22 Progress Rail Services Corporation Train departure strategy in automatic driving syste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18612A (ja) 1999-05-10 2000-11-21 Kokusai Electric Co Ltd 自動案内放送装置及び自動案内表示装置の起動方式
JP2002205647A (ja) * 2001-01-11 2002-07-23 Nippon Signal Co Ltd:The 旅客案内システム
JP2003146212A (ja) * 2001-11-12 2003-05-21 East Japan Railway Co 列車制御システム及び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38163A (ja) * 1986-04-07 1987-10-1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鉄道の案内表示装置
JP3046134B2 (ja) 1992-04-13 2000-05-29 三菱電機株式会社 旅客案内制御システム
JPH06247306A (ja) * 1993-02-24 1994-09-06 Toshiba Toransupooto Eng Kk 駅案内自動放送装置
US5420883A (en) * 1993-05-17 1995-05-30 Hughes Aircraft Company Train location and control using spread spectrum radio communications
JPH10194128A (ja) 1997-01-14 1998-07-28 Toshiba Corp 列車接近情報提供装置
JP4707212B2 (ja) * 2000-06-29 2011-06-22 日本信号株式会社 無線通信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JP4678920B2 (ja) 2000-08-25 2011-04-27 日本信号株式会社 ループ式atc/td地上装置、及び列車検知方法
JP4859298B2 (ja) * 2001-07-27 2012-01-25 日本信号株式会社 踏切制御システム
JP4244162B2 (ja) * 2003-06-06 2009-03-25 日本信号株式会社 列車初期位置設定装置
JP4974223B2 (ja) 2007-01-04 2012-07-11 日本信号株式会社 無線式列車制御システム
CN201051140Y (zh) * 2007-06-28 2008-04-23 福州汇和现代科技有限公司 列车专用gps卫星定位全自动报站装置
CN201100956Y (zh) * 2007-10-16 2008-08-13 鹰达科技有限公司 列车多媒体控制系统
JP4970319B2 (ja) 2008-03-17 2012-07-04 株式会社京三製作所 列車位置算出装置、地上装置及び列車位置算出方法
CN201718050U (zh) * 2010-07-08 2011-01-19 上海新干通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tetra无线车载终端
CN101917668A (zh) * 2010-08-13 2010-12-15 刘铨 交通工具到站提醒个人终端及其配套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18612A (ja) 1999-05-10 2000-11-21 Kokusai Electric Co Ltd 自動案内放送装置及び自動案内表示装置の起動方式
JP2002205647A (ja) * 2001-01-11 2002-07-23 Nippon Signal Co Ltd:The 旅客案内システム
JP2003146212A (ja) * 2001-11-12 2003-05-21 East Japan Railway Co 列車制御システム及び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4007208A2 (pt) 2017-06-13
JP6075942B2 (ja) 2017-02-08
US9821826B2 (en) 2017-11-21
CN103826959A (zh) 2014-05-28
US20140209754A1 (en) 2014-07-31
CN103826959B (zh) 2017-09-15
CA2850474C (en) 2018-07-17
EP2752352A1 (en) 2014-07-09
EP2752352A4 (en) 2016-01-27
WO2013047499A1 (ja) 2013-04-04
JP2013075611A (ja) 2013-04-25
KR20140072134A (ko) 2014-06-12
MY168808A (en) 2018-12-04
CA2850474A1 (en) 2013-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7854B1 (ko) 열차 안내 방송 시스템
KR102101575B1 (ko) 열차 제어 시스템
CN103826962A (zh) 列车控制系统
US11113957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real-time and predictive speed, traffic signal timing, station dwell time, and departure window information to transit vehicle
JP5492752B2 (ja) 列車停止位置表示誘導システム
KR20140069231A (ko) 열차 제어 시스템
RU2664023C1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децентрализованного интервального регулирования движения поездов
RU2651333C1 (ru) Способ регулирования движения поездов на перегоне без напольных светофоров и рельсовых цепей
WO2019226114A1 (en) System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the position of railbound vehicles on a railway system
JP5028364B2 (ja) 列車走行制御装置及び方法
JP2004359156A (ja) 列車初期位置設定装置
JP3967898B2 (ja) 自動列車制御装置
JP6799432B2 (ja) 鉄道車両の走行距離実績把握システム
RU2591551C1 (ru) Система управления движением поездов на перегоне
US9131349B2 (en) Apparatus for transmitting location based messages from vehicles to stationary infrastructure
JP4726166B2 (ja) 列車検知管理システム及び列車進入進出検知方法
US12005943B2 (en) System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the position of railbound vehicles on a railway system
RU2820356C1 (ru) Система для определения свободности от подвижного состава участков пути на железнодорожном перегоне
JP4766759B2 (ja) 列車検知管理システム
JP5142744B2 (ja) 電子閉塞システム
KR20090015519A (ko) 전파를 이용한 보행자 및 차량의 위치 측정 방법 및 장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