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3779B1 - 촬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촬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3779B1
KR101893779B1 KR1020160019493A KR20160019493A KR101893779B1 KR 101893779 B1 KR101893779 B1 KR 101893779B1 KR 1020160019493 A KR1020160019493 A KR 1020160019493A KR 20160019493 A KR20160019493 A KR 20160019493A KR 101893779 B1 KR101893779 B1 KR 1018937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uator
user
subject
lens
displa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94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5306A (ko
Inventor
고로 노토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053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53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37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37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5/232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2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 H04N23/685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mechanical compensation
    • H04N23/687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mechanical compensation by shifting the lens or sensor posi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1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by relative axial movement of several lenses, e.g. of varifocal objective lens
    • G02B7/1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by relative axial movement of several lenses, e.g. of varifocal objective lens controlled by a microcomput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28Systems for automatic generation of focusing signals
    • G02B7/282Autofocusing of zoom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28Systems for automatic generation of focusing signals
    • G02B7/287Systems for automatic generation of focusing signals including a sight line detecting devic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2/00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 H02N2/02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producing linear motion, e.g. actuators; Linear positioners ; Linear motors
    • H02N2/026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producing linear motion, e.g. actuators; Linear positioners ; Linear motors by pressing one or more vibrators against the driven bod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2/00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 H02N2/02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producing linear motion, e.g. actuators; Linear positioners ; Linear motors
    • H02N2/06Drive circuits; Control arrangements or methods
    • H02N2/062Small signal circuits; Means for controlling position or derived quantities, e.g. for removing hysteresi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1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image capture or setting capture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7Camera operation mode switching, e.g. between still and video, sport and normal or high- and low-resolution m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1Motion detection
    • H04N23/6812Motion detection based on additional sensors, e.g. acceleration sen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2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Control of means for changing angle of the field of view, e.g. optical zoom objectives or electronic zoo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95Computational photography systems, e.g. light-field imaging systems
    • H04N23/958Computational photography systems, e.g. light-field imaging systems for extended depth of field imaging
    • H04N23/959Computational photography systems, e.g. light-field imaging systems for extended depth of field imaging by adjusting depth of field during image capture, e.g. maximising or setting range based on scene characteristics
    • H04N5/23258
    • H04N5/23287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64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2/00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2Control of parameters via user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Abstract

피사체를 관찰하는 관찰부; 유저가 상기 관찰부를 사용하여 상기 피사체를 관찰하는가 아닌가를 검지하는 검지부; 및 촬영 광학계의 적어도 일부를 구동하는 액추에이터이고, 제1의 동작과, 상기 제1의 동작과는 다른 제2의 동작인 상기 액추에이터의 메인티넌스를 위한 동작을 행할 수 있는 상기 액추에이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유저가 상기 관찰부를 사용하여 상기 피사체를 관찰하지 않은 것을 상기 검지부가 검지할 때에, 상기 액추에이터에 상기 제2의 동작을 행하게 하는, 촬상 장치.

Description

촬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IMAGE PICKUP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IMAGE PICKUP APPARATUS}
본 발명은, 촬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진동자의 소정의 위치에서 타원운동의 발생에 의해, 진동자와, 그 진동자에 대하여 마찰 접촉하는 마찰 부재가 상대적으로 이동되는 액추에이터가 제안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액추에이터를 카메라의 기구부나 렌즈의 구동원으로서 구비한 촬상 장치도 제안되어 있다.
상술한 액추에이터를 형성하는 진동자는, 예를 들면, 금속 등의 탄성체에 전기기계 에너지 변환 소자인 압전 소자가 접속되고, 압전 소자에 위상이 다른 2상의 교류 전압을 인가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압전 소자에의 전압인가에 의해 진동자의 표면에 진동파를 여기하여, 이 진동자를 마찰 부재에 가압함으로써, 상기 진동자와 상기 마찰 부재를 상대적으로 이동시킨다. 이렇게 하여, 원하는 구동력으로 진동자가 마찰 부재의 표면에서 활주된다.
상기 액추에이터에는, 전압인가를 정지한 후에도 원래의 위치에 유지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상기 진동자가 마찰 부재의 표면에 가압 접촉되어 있기 때문에, 마찰력이 생긴다. 이 마찰력은, 유지력이라고도 말한다.
그렇지만, 진동자가 마찰 부재의 표면에 장시간 같은 위치에서 유지되어 있으면, 공기중의 약간의 수분이 진동자와 마찰 부재 사이의 접점부에 응집하고, 그 결과 마찰력, 다시 말해, 유지력이 저하해버린다. 유지력이 저하한 상태에서 외력이 인가되면, 액추에이터가 움직이는 경우도 있다. 렌즈를 구동하는 액추에이터가 움직이면, 아웃 포커스 과제가 생길 수도 있다.
상기를 고려하여, 저하된 유지력을 회복시키기 위한 기술도 제안되어 있다(일본특허 제5110824호 공보).
그렇지만, 단지 유지력 회복 동작을 행하는 경우에는, 촬상 장치가 결함을 갖는다고 유저가 오해할 수도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유저에 오해를 생기게 하지 않고 양호한 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촬상 장치 및 그 촬상 장치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피사체를 관찰하는 관찰부; 유저가 상기 관찰부를 사용하여 상기 피사체를 관찰하는가 아닌가를 검지하는 검지부; 및 촬영 광학계의 적어도 일부를 구동하는 액추에이터이고, 제1의 동작과, 상기 제1의 동작과는 다른 제2의 동작인 상기 액추에이터의 메인티넌스를 위한 동작을 행할 수 있는 상기 액추에이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유저가 상기 관찰부를 사용하여 상기 피사체를 관찰하지 않은 것을 상기 검지부가 검지할 때에, 상기 액추에이터에 상기 제2의 동작을 행하게 하는, 촬상 장치가 제공된다.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피사체의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부; 유저가 상기 표시부를 사용하여 상기 피사체를 관찰하는가 아닌가를 검지하는 검지부; 및 촬영 광학계의 적어도 일부를 구동하는 액추에이터이고, 제1의 동작과, 상기 제1의 동작과는 다른 제2의 동작인 상기 액추에이터의 메인티넌스를 위한 동작을 행할 수 있는 상기 액추에이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에 상기 피사체의 화상이 표시되지 않은 경우와 유저가 상기 표시부를 사용하여 상기 피사체를 관찰하지 않은 것을 상기 검지부가 검지하는 경우 중 하나의 경우에, 상기 액추에이터에 상기 제2의 동작을 행하게 하는, 촬상 장치가 제공된다.
실시예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유저가 관찰부를 사용하여 피사체를 관찰하는가 아닌가를 검지하는 단계; 및 유저가 상기 관찰부를 사용하여 상기 피사체를 관찰하지 않은 것을 검지했을 경우에, 촬영 광학계의 적어도 일부를 구동하는 액추에이터이며, 제1의 동작과, 상기 제1의 동작과는 다른 제2의 동작인 상기 액추에이터의 메인티넌스를 위한 동작을 행할 수 있는 상기 액추에이터에 상기 제2의 동작을 행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의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실시예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유저가 표시부를 사용하여 피사체를 관찰하는가 아닌가를 검지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부에 상기 피사체의 화상이 표시되지 않은 경우와 상기 유저가 상기 표시부를 사용하여 상기 피사체를 관찰하지 않은 것을 검지하는 경우 중 하나의 경우에, 촬영 광학계의 적어도 일부를 구동하는 액추에이터이며, 제1의 동작과, 상기 제1의 동작과는 다른 제2의 동작인 상기 액추에이터의 메인티넌스를 위한 동작을 행할 수 있는 상기 액추에이터에 상기 제2의 동작을 행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의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유저가 상기 관찰부를 사용하여 상기 피사체를 관찰하지 않은 것을 검지할 때에, 액추에이터의 유지력을 회복하기 위한 제2의 동작이 행해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표시부에 피사체의 화상이 표시되지 않은 경우와 유저가 상기 표시부를 사용하여 상기 피사체를 관찰하지 않은 것을 검지하는 경우 중 하나의 경우에, 액추에이터의 유지력을 회복하기 위한 제2의 동작이 행해진다. 이 때문에, 본 발명에 의하면, 촬상 장치가 결함을 갖는다고 유저가 오해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양호한 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촬상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의 실시예들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를 나타내는 배면도다.
도 3a 및 도 3b는, 각각 액추에이터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평면도다.
도 4a 및 도 4b는, 진동자의 동작을 나타내는 개략도다.
도 5는, 상기 액추에이터와 AF렌즈와, 이 액추에이터와 AF렌즈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압전 소자에 배치된 전극에 인가하는 교류 전압의 주파수와, 해당 교류 전압간의 위상차와, 액추에이터의 이동 속도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의 동작의 메인 플로우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8은, 유지력 회복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9는, 액추에이터를 구동할 때에 인가된 교류 전압의 인가 조건과, 유지력 회복 동작을 행할 때에 인가된 교류 전압의 인가 조건을 나타내는 그래프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를 나타내는 배면도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의 동작의 메인 플로우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의 동작의 메인 플로우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15는, 유지력 회복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16은,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실시예]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 대해서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를 나타내는 배면도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촬상 시스템)는, 카메라(보디, 촬상 장치 본체)(100)와, 렌즈(렌즈 장치)(102)를 구비한다. 카메라(100)는, 예를 들면 디지털 카메라다. 렌즈(102)는, 카메라(100)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는, 촬상계와, 화상처리계와, 기록 재생계와, 제어계를 구비한다. 촬상계는, 예를 들면 렌즈(102)내에 배치된 촬영 광학계(101)와, 카메라(100)내에 배치된 촬상 소자(252)를 구비하고 있다. 화상처리계는, 예를 들면 카메라(100)내에 배치된 화상처리부(150)를 구비하고 있다. 기록 재생계는, 예를 들면, 카메라(100)내에 배치된 메모리(198)와, 카메라(100)에 배치된 표시부(258)를 구비하고 있다. 제어계는, 예를 들면, 카메라(100)내에 배치된 보디 CPU109와, 렌즈(102)내에 배치된 렌즈CPU103을 구비하고 있다. 제어계는, 오토포커스(AF) 렌즈(120)를 구동하는 액추에이터(121)와, 액추에이터(121)를 구동하는 액추에이터 구동회로(123)를 더욱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제어계는, 줌 렌즈(110)를 구동하는 줌 렌즈 구동부(111)와, 줌 렌즈 구동부(111)를 구동하는 줌 렌즈 전압 드라이버(113)를 구비하고 있다.
촬상계는, (도시되지 않은) 물체(피사체)로부터의 빛을, 촬영 광학계(101)를 통해 촬상 소자(252)의 촬상면에 결상한다. 촬영 광학계(101)는, 줌 렌즈(110)를 구비하고 있다. 줌 렌즈(110)는, 초음파 모터(도시하지 않음)이나 스테핑 모터(도시하지 않음)등을 구동원으로서 사용하는 줌 렌즈 구동부(111)에 의해 광축I 방향으로 구동될 수 있다. 줌 렌즈 구동부(111)에는, 줌 렌즈 구동부(111)를 제어하기 위한 전압이, 줌 렌즈 전압 드라이버(113)로부터 입력된다.
광축I의 방향에 있어서의 줌 렌즈(110)의 위치는, 줌 위치 검출부(112)에 의해 검출된다. 줌 위치 검출부(112)는, 광축I의 방향에 있어서의 줌 렌즈(110)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인코더다. 줌 위치 검출부(112)는, 줌 렌즈 제어부(105)에 펄스 신호를 출력한다. 줌 렌즈 제어부(105)는, 줌 위치 검출부(112)로부터 출력된 펄스 신호에 근거하여 줌 렌즈(110)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줌 렌즈 제어부(105)는, 예를 들면 (도시되지 않은) 스위치에 의해 유저가 설정한 초점거리에 대응하는 광축I상의 위치에 줌 렌즈(110)가 배치되도록, 줌 렌즈 구동부(111)를 제어한다. 이때, 유저가 초점거리를 설정하기 위한 스위치는, 예를 들면, 카메라(100) 또는 렌즈(102)에 설치된다.
줌 렌즈 제어부(105)는, 유저가 설정한 초점거리에 대응하는 광축I상의 위치(목표위치)의 정보와, 줌 렌즈(110)의 현재의 위치의 정보에 근거하여, 줌 렌즈(110)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신호를 연산한다. 연산에 의해 얻어진 디지털 값을 갖는 구동신호가, 줌 렌즈 제어부(105)로부터 줌 렌즈 전압 드라이버(113)에 입력된다. 줌 렌즈 전압 드라이버(113)는, 줌 렌즈 제어부(105)로부터 출력된 구동신호에 근거해서 줌 렌즈 구동부(111)를 제어한다. 이렇게 해서, 줌 렌즈(110)는, 유저가 설정한 초점거리에 대응하는 광축I상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촬영 광학계(101)는, AF렌즈(120)를 구비한다. AF렌즈(120)는, 액추에이터(121)를 구동원으로서 광축I 방향으로 구동될 수 있다. 액추에이터(121)로서는, 예를 들면 초음파 진동 유닛이 사용된다. 액추에이터(121)에는, 액추에이터(121)를 구동하기 위한 전압이, 액추에이터 구동회로(진동자 구동회로, 구동부)(123)로부터 입력된다.
광축I의 방향에 있어서의 AF렌즈(120)의 위치는, 포커스 위치 검출부(122)를 사용해서 검출된다. 포커스 위치 검출부(122)는, 광축I의 방향에 있어서의 AF렌즈(120)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인코더다. 포커스 위치 검출부(122)는, AF렌즈 제어부(104)에 펄스 신호를 출력한다. AF렌즈 제어부(104)는, 포커스 위치 검출부(122)로부터 출력된 펄스 신호에 근거하여, AF렌즈(120)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AF렌즈 제어부(104)는, 예를 들면, 피사체 거리에 대응하는 광축I상의 위치에 AF렌즈(120)가 배치되도록, AF렌즈(120)의 위치를 제어한다. 이때, 피사체 위치는, 예를 들면, 카메라(100)의 릴리즈SW(릴리즈 스위치)(191)가 유저에 의해 조작되었을 때에 검출된다.
AF렌즈 제어부(104)는, 피사체 거리에 대응하는 광축I상의 위치(목표위치)의 정보와, AF렌즈(120)의 현재의 위치의 정보에 근거하여, AF렌즈(120)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신호를 연산한다. 연산에 의해 얻어진 디지털 값을 갖는 구동신호는, AF렌즈 제어부(104)로부터 액추에이터 구동회로(123)에 입력된다. 액추에이터 구동회로(123)는, AF렌즈 제어부(104)로부터 출력된 구동신호에 근거해서 액추에이터(121)를 제어한다. 다시 말해, 액추에이터 구동회로(123)는, AF렌즈 제어부(104)로부터 출력된 구동신호에 근거하여, 후술하는 압전 소자(2)에 배치된 전극A1, A2에 인가되는 교류 전압V1, V2의 주파수와 위상을 제어함으로써, 액추에이터(121)를 구동한다. 이렇게 해서, 피사체 거리에 대응하는 광축I상의 위치에, AF렌즈(120)를 배치할 수 있다.
촬영 광학계(101)는, 조리개(140)를 구비한다. 조리개(140)의 개구 사이즈는, 스테핑 모터 등을 구동원으로서 사용하는 조리개 구동부(141)에 의해 조정된다. 조리개 구동부(141)에는, 조리개 구동부(141)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가 조리개 제어부(106)로부터 입력된다. 조리개 제어부(106)는, 예를 들면, 피사체의 밝기에 따라, 적정 노광량을 얻기 위한 조리개 값을 연산하고, 조리개(140)의 개구 사이즈를 그 조리개 값에 대응하는 개구 사이즈로 설정하기 위한 구동신호를 연산하고, 연산에 의해 얻어진 구동신호를 조리개 구동부(141)에 출력한다.
줌 렌즈 제어부(105)와, AF렌즈 제어부(104)와, 조리개 제어부(106)는, 렌즈CPU(103)에 설치된다. 렌즈CPU(렌즈측 제어부)(103)는, 렌즈(102)측의 여러 가지의 제어를 행하는 중앙처리부다. 렌즈CPU(103)는, 렌즈(102)와 카메라(100) 사이에 형성된 렌즈 접점(190)을 거쳐 보디CPU(보디측 제어부)(109)에/로부터 통신이 가능하다.
렌즈CPU(103)에는, EEPROM(131)이 접속되어 있다. EEPROM(131)은, 렌즈(102)에 관한 각종 고유 정보인 렌즈 데이터 등을 기억하는 불휘발성 기억부다. 또한, 렌즈CPU(103)에는, 메모리(132)가 접속되어 있다.
카메라(100)에는, 보디CPU(109)가 배치되어 있다. 보디CPU(보디측 제어부)(109)는, 카메라(100)측의 여러 가지의 제어를 행하고 촬상 장치 전체의 여러 가지의 제어도 행하는 중앙처리부다.
보디CPU(109)에는, 릴리즈SW(191)로부터 정보가 입력되고, 보디CPU(109)는 그 릴리즈SW(191)가 반가압 또는 완전 가압된 것을 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디CPU(109)는, 촬상 소자(252)의 구동제어, 화상처리부(150)의 동작 제어, 메모리(198)의 압축 처리 등을 행한다. 보디CPU(109)는, 뷰파인더(200)내에 배치된 표시부(뷰파인더내 정보표시장치)(201)에 표시된 각 세그먼트의 상태도 제어한다.
화상처리부(150)는, A/D변환기, 화이트 밸런스 회로, 감마 보정회로, 보간연산 회로 등을 구비하여, 기록용의 화상을 생성할 수 있다.
촬상 소자(252)는, 예를 들면, 상보형 금속산화물 반도체(CMOS)를 사용한 고체 촬상 소자인 CMOS이미지 센서다. CMOS이미지 센서에는, 에어리어 센서부의 금속산화물 반도체(MOS)트랜지스터와, 촬상 장치 구동회로, A/D변환 회로, 및 화상처리 회로 등의 주변회로를 동일 공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 때문에, CMOS이미지 센서는, 마스크 매수와 프로세스 공정이 전하결합소자(CCD)와 비교해서 대폭 감소될 수 있다는 점에서 특징이 있다. 또한, CMOS이미지 센서는, 임의의 화소에 랜덤하게 액세스할 수 있는 특징도 있다. 이렇게 하여, CMOS이미지 센서는, 디스플레이용으로 선별 판독을 쉽게 행하고, 표시부(258)에 있어서 높은 표시 레이트로 실시간 표시를 행할 수 있다.
촬상 소자(252)는, 상술한 특징을 이용하여, 촬상 소자(252)의 수광영역의 일부를 선별해서 판독하는 디스플레이 화상 출력 동작과, 촬상 소자(252)의 전체 수광영역을 판독하는 고선명화상 출력 동작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촬상 소자(252)에는, 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개 2012-037777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것처럼, 수광영역내에 초점검출용의 화소가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보디CPU(109)는, 촬상 소자(252)에 형성된 피사체상에 근거하여, 촬영 화상의 디포커스량을 구한다. 그리고, 보디CPU(109)는, 구해진 디포커스량에 따라 신호를, 렌즈 접점(190)을 거쳐 렌즈CPU(103)에 송신함으로써, AF렌즈(120)의 구동을 제어한다.
보디CPU(109)에는, 릴리즈SW(191)로부터의 신호가 입력된다. 릴리즈SW(191)는, 릴리즈 버튼(191a)의 반가압 동작에 의해, 일련의 촬영 준비 동작, 다시 말해, 측광동작이나 초점조절 동작(포커스 동작)등을 개시시키는 스위치다. 그리고, 릴리즈SW(191)는, 릴리즈 버튼(191a)의 완전 가압 동작에 의해, 촬영 동작, 다시 말해, 촬상 소자(252)로부터 판독된 화상 데이터의 기록 매체에의 기록을 개시시키기 위한 스위치이기도 하다. 릴리즈 버튼(191a)의 반가압은, 릴리즈SW(191)에 배치된 제1의 스위치(도시하지 않음)가 온(ON)일 때 검출될 수 있다. 릴리즈 버튼(191a)의 완전 가압은, 릴리즈SW(191)에 배치된 제2의 스위치(도시하지 않음)가 온일 때 검출될 수 있다.
또한, 보디CPU(109)에는, 선택SW(192)로부터의 신호가 입력된다. 선택SW(192)는, 후술하는 메뉴SW(197)를 조작하여서 표시되는 설정 항목과 촬영 조건을 선택하기 위한 스위치다.
또한, 보디CPU(109)에는, 결정SW(193)로부터의 신호가 입력된다. 결정SW(193)는, 후술하는 메뉴SW(197)를 조작하여서 표시되는 설정 항목 메뉴나 그 설정 값을 결정하기 위한 스위치다.
또한, 보디CPU(109)에는, 접안검지부(검지부)(194)(도 2 참조)로부터의 신호가 입력된다. 접안검지부(194)는, 후술한 뷰파인더(200)의 접안 렌즈(202)에 유저의 눈이 근접한 것인가 아닌가를 검출한다.
또한, 보디CPU(109)에는, 메인SW(195)로부터의 신호가 입력된다. 메인SW(195)는, 카메라(100)를 기동시키기 위한 스위치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메인SW(195)는, 2개의 포지션 중 어느 하나를 선택가능한 2 포지션 스위치다. 메인SW(195)의 포지션195-1은 "OFF"에 대응하고, 메인SW(195)를 포지션195-1에 설정했을 경우에는, 카메라(100)는 슬립(sleep) 상태가 된다. 메인SW(195)의 포지션195-2는 "ON"에 대응하고, 메인SW(195)를 포지션195-2에 설정했을 경우에는, 카메라(100)는, 구동상태가 되어, 각종 SW의 조작 등을 접수하고, 정지 화상이나 동화상의 촬영을 위한 동작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보디CPU(109)에는, 모드SW(196)로부터의 신호가 입력된다. 모드SW(196)는, 유저가 피사체를 관찰하는 모드, 다시 말해, 관찰 모드를 설정 가능하게 하는 스위치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드SW(196)는, 2개의 포지션 중 어느 하나를 선택 가능한 2 포지션 스위치다. 상기 관찰 모드로서는, 예를 들면 이하의 2개의 관찰 모드를 든다. 제1의 관찰 모드는, 뷰파인더(200)내에 배치된 표시부(201)에 표시되는 피사체상을, 접안 렌즈(202)를 통해 유저가 관찰하는 모드인, 뷰파인더 모드다. 제2의 관찰 모드는, 뷰파인더(200)와는 별개로 배치된 표시부(258)에 표시된 피사체상을 유저가 관찰하는 모드인, 라이브 뷰 모드다.
모드SW(196)의 포지션196-1은, 뷰파인더 모드에 대응하고, 뷰파인더 모드를 나타내는 문자 "FD"로 나타내어져 있다. 모드SW(196)를 포지션196-1에 설정했을 경우에, 유저는 뷰파인더(200)를 사용해서 피사체상을 관찰할 수 있다.
한편, 모드SW(196)의 포지션196-2는, 라이브 뷰 모드에 대응하고, 그 라이브 뷰 모드를 나타내는 문자 "LIVE"로 나타내어져 있다. 모드SW(196)를 포지션196-2에 설정했을 경우에, 유저는 표시부(관찰부)(258)에 표시된 피사체상을 관찰할 수 있다.
또한, 보디CPU(109)에는, 메뉴SW(197)로부터의 신호가 입력된다. 메뉴SW(197)는, 카메라(100)의 촬영 조건이나 각종 동작의 설정 등을 행하기 위한 메뉴 표시를 행하기 위한 스위치다. 표시부(258)에 메뉴가 표시되지 않은 상태하에서 메뉴SW(197)가 조작되면, 표시부(258)에 메뉴가 표시된다. 한편, 표시부(258)에 메뉴가 표시되어 있는 상태하에서 메뉴SW(197)이 조작되면, 표시부(258)에 메뉴가 표시되지 않는 상태가 된다.
카메라(100)내에 배치된 메모리(198)는, 화상처리부(150)와 보디CPU(109)에 접속되어 있다. 메모리(198)는, 화상처리부(150)에 의해 생성된 피사체상 등을 기록한다. 또한, 메모리(198)는, 보디CPU(109)가 카메라(100)의 동작을 제어하는데 필요한 설정 값 등을 기억한다. 또한, 메모리(198)는, 미리 정해진 방법을 사용해서 화상, 동화상, 음성 등을 압축한다.
뷰파인더(관찰부)(200)는, 뷰파인더(200) 내부에 배치된 표시부(201)와 접안 렌즈(202)를 구비한다.
촬상 소자(252)에 형성된 피사체상이, 보디CPU(109)를 통해 표시부(201)에 송신되어, 표시부(201)에 표시된다. 유저는, 접안 렌즈(202)에 의해 확대된 피사체상을 관찰할 수 있다.
이때, 뷰파인더(200)는, 촬영 광학계(101)와 촬상 소자(252)의 사이에 배치된 미러(도시하지 않음)를 사용해서 피사체상이 관찰될 수 있게 하는 광학 뷰파인더, 다시 말해, 일안 레플렉스 광학 뷰파인더이어도 좋다.
카메라(100)의 배면에는, 표시부(258)가 배치된다. 유저는, 표시부(258)의 표시 화면을, 직접 관찰할 수 있다. 보디CPU(109)는, 촬상 소자(252)에 형성된 피사체상을, 표시 제어부(254)를 통해 표시부(258)에 표시한다. 또한, 메뉴SW(197)가 조작될 때, 보디CPU(109)는, 표시 제어부(254)를 통해 표시부(258)에 메뉴를 표시시킨다. 유기EL 공간 변조소자, 액정공간변조소자, 미립자의 전기영동을 이용한 공간 변조소자 등에 의해 표시부(258)를 구성하면, 표시부(258)의 소비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고, 표시부(258)를 박형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카메라(100)의 전력 절약과 소형화를 실현할 수도 있다.
다음에, 본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에서 사용된 액추에이터(121)에 대해서, 도 3a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a 및 도 3b는, 액추에이터(121)의 구성을 각각 나타내는 사시도 및 평면도다. 도 3a는 사시도이며, 도 3b는 평면도다. 또한, 진동자(10)가 이동하는 방향, 다시 말해, 광축I의 방향을, X방향이라고 한다. 진동자(10)가 슬라이더(4)에 가압되는 방향을, Z방향이라고 한다. X방향과 Y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Z방향이라고 한다.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진동자(10)는, 예를 들면, 금속으로 형성된 탄성체(진동판)(1)와, 탄성체(1)의 이면에 접착 등에 의해 접합된 압전 소자(2)를 구비한다. 탄성체(1)의 하나의 주면에는, 복수의 볼록부(3)가 형성된다. 각 볼록부(3)의 정점에는,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더(마찰 부재)(4)에 접촉하는 접점부(돌기)(3a)가 형성된다.
압전 소자(2)에는, 분극 처리가 실행되어 있다. 압전 소자(2)의 하나의 주면에는, 2개의 전극A1, A2가 배치되어 있다. 그 전극A1, A2에 후술한 교류 전압V1, V2을 인가하면, 교류 전압V1, V2의 인가 형태에 따른 모드로 압전 소자(2)가 진동하고, 이에 따라서 진동자(10)가 진동한다.
진동자(10)의 진동 모드에 대해서,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도 4a 및 도 4b 각각은, 진동자(10)의 동작을 나타내는 개략도다.
도 4a는, X방향의 2차 굽힘 진동모드에서의 진동을 나타내고 있다. 진동자(10)의 압전 소자(2)에 배치된 2개의 전극A1, A2에 역상의 교류 전압V1, V2를 인가하면,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진동자(10)에 X방향의 2차 굽힘 진동모드의 진동이 여기된다. 도 4a에는, X방향의 2차 굽힘 진동 모드에 있어서의 절(node) 위치 10a, 10b, 10c를 나타내고 있다. X방향의 2차 굽힘 진동 모드에 있어서의 배(antinode) 위치 10x, 10y를 나타내고 있다. X방향의 2차 굽힘 진동 모드에 있어서는, 절의 위치 10a, 10b, 10c는 Z방향으로 크게 변위되지 않지만, 절의 위치 10a, 10b, 10c에 있어서의 진동자(10)의 면의 법선방향은 크게 변위된다. 이 때문에, 절의 위치 10a, 10c에 배치된 볼록부(3)의 정점들에 위치된 접점부(3a)는, X방향의 2차 굽힘 진동 모드에 있어서, Z방향으로는 큰 진폭으로 진동하지 않지만, X방향으로는 큰 진폭으로 진동한다. 이렇게, 본 실시예에서는, X방향의 2차 굽힘 진동 모드에 있어서의 절의 위치 10a, 10c에 볼록부들(3)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X방향의 큰 진동이 접점부(3a)에 생긴다. 이러한 모드는, 이송 모드라고 칭한다.
도 4b는, Y방향의 1차 굽힘 진동 모드에서의 진동을 나타내고 있다. 진동자(10)의 압전 소자(2)에 배치된 2개의 전극A1, A2에 동상(same phase)의 교류 전압V1, V2을 인가하면,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진동자(10)에 Y방향의 1차 굽힘 진동 모드의 진동이 여기된다. 도 4b에는, Y방향의 1차 굽힘 진동 모드에 있어서의 절의 위치 10d, 10e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Y방향의 1차 굽힘 진동 모드에 있어서의 배의 위치 10z를 나타내고 있다. Y방향의 1차 굽힘 진동 모드에 있어서는, 절의 위치 10d,10e는, Z방향으로는 크게 변위되지 않지만, 배의 위치 10z는 Z방향으로 크게 변위된다. 이 때문에, 배의 위치 10z에 배치된 볼록부(3)의 정점에 위치된 접점부(3a)는, Y방향의 1차 굽힘 진동 모드에 있어서는, Z방향으로 큰 진폭으로 진동한다. 이렇게, 본 실시예에서는, Y방향의 1차 굽힘 진동 모드에 있어서의 배의 위치 10z에 볼록부(3)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Z방향의 큰 진동이 접점부(3a)에 생긴다. 접점부(3a)가 Z방향으로 크게 진동하기 때문에, 접점부(3a)와 슬라이더(4) 사이의 접촉 위치에 응집된 수분은 확실하게 제거된다. 이러한 모드는, 푸시업(push-up)라고 칭한다.
상기 1차 굽힘 진동 모드와 2차 굽힘 진동 모드를 조합하면,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점부(3a)에 타원운동이 여기된다. 접점부(3a)가 슬라이더(4)에 가압 접촉하게 되기 때문에, 진동자(10)를 슬라이더(4)에 대하여 일방향(도 5에 있어서의 X방향)으로 구동할 수 있다.
압전 소자(2)에 배치된 전극A1, A2에 인가하는 교류 전압V1, V2의 주파수를 변경하면, 타원운동의 타원비를 유지하면서, 타원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압전 소자(2)에 배치된 전극A1, A2에 인가하는 교류 전압V1, V2의 주파수를 진동자(10)의 공진주파수fr에 가까이 하면, 접점부(3a)의 타원운동의 타원의 크기가 커지기 때문에, 진동자(10)의 구동속도가 빨라진다. 한편, 압전 소자(2)에 배치된 전극A1, A2에 인가하는 교류 전압V1, V2의 주파수를 진동자(10)의 공진주파수fr로부터 멀리하면, 접점부(3a)의 타원운동의 타원의 크기가 작아지기 때문에, 진동자(10)의 구동속도가 늦어진다.
압전 소자(2)에 배치된 전극A1, A2에 인가하는 교류 전압V1과 V2의 위상차를 변경하면, 접점부(3a)의 타원운동의 타원비를 변경할 수 있다. 교류 전압V1과 V2의 위상차가 0도일 경우에는, 압전 소자(2)에 배치된 2개의 전극A1, A2에 동상의 교류 전압V1, V2가 인가되기 때문에, Y방향의 1차 굽힘 진동 모드의 진동, 다시 말해, 푸시업 모드의 진동이 진동자(10)에 여기된다. 교류 전압V1과 V2의 위상차가 180도일 경우에는, 압전 소자(2)에 배치된 2개의 전극A1, A2에 역상의 교류 전압V1, V2가 인가되기 때문에, X방향의 2차 굽힘 진동모드의 진동, 다시 말해, 이송 모드의 진동이 진동자(10)에 여기된다. 그리고, 교류 전압V1과 V2의 위상차가 0도부터 180도까지의 경우에는, 교류 전압V1과 V2의 위상차의 크기에 따라, 푸시업 모드인 Z방향의 진폭과 이송 모드인 X방향의 진폭간의 비율이 변화된다. 이에 따라, 접점부(3a)에는, 교류 전압V1과 V2의 위상차에 따른 타원비를 갖는 타원운동이 여기된다.
도 5는, 액추에이터와 AF렌즈와, 이 액추에이터와 AF렌즈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액추에이터(121)는, 진동자(10)와, 가압부재(12)와 부세 부재(13)를 통해 진동자(10)를 간접적으로 보유하는 보유부(이동체)(11)와, 부세 부재(13)를 거쳐 진동자(10)를 가압하는 가압부재(12)와, 진동자(10)에 가압하는 부세 부재(13)를 구비한다.
부세 부재(13)로서는, 압축 스프링 등이 사용된다. 가압부재(12)는, 부세 부재(13)를 거쳐 도 5의 화살표C의 방향으로 진동자(10)를 가압한다. 부세 부재(13)에 의해 진동자(10)가 가압되기 때문에, 진동자(10)는 슬라이더(4)에 가압 접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진동자(10)에 형성된 볼록부(3)의 정점에 위치된 접점부(3a)가, 슬라이더(4)에 가압 접촉한다. 진동자(10)가 슬라이더(4)에 가압 접촉하기 때문에, 진동자(10)와 슬라이더(4)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액추에이터(121)의 위치가 유지된다. 액추에이터(121)의 위치를 유지하는 마찰력은, 유지력이라고도 한다.
진동자(10)가 슬라이더(4)에 가압 접촉하고 있다. 이 때문에, 진동자(10)의 압전 소자(2)에 배치된 전극A1, A2에 원하는 주파수와 위상차를 갖는 교류 전압V1, V2를 인가함으로써, 액추에이터(121)를 X방향, 다시 말해, 광축I의 방향으로 구동할 수 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AF렌즈(120)는, 연결 부재(15)를 통해 액추에이터(121)에 접속되어 있다. 이 때문에, 액추에이터(121)가 광축I의 방향으로 구동되면, AF렌즈(120)도, 액추에이터(121)와 마찬가지로, 광축I의 방향으로 구동된다.
액추에이터(121)가 정지하고 있을 때, 액추에이터(121)는 유지력(마찰력)에 의해 슬라이더(4)에 고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외력F가 AF렌즈(120)에 인가될 때도, AF렌즈(120)가 이동하지 않는다.
도 6은, 압전 소자에 배치된 전극에 인가하는 교류 전압의 주파수와, 해당 교류 전압간의 위상차와, 액추에이터의 이동 속도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다. 횡축은, 압전 소자(2)에 배치된 전극A1, A2에 인가하는 교류 전압V1, V2의 주파수를 나타내고 있다. 종축은, 액추에이터(121)의 이동 속도를 나타내고 있다. 일점쇄선은, 진동자(10)의 공진주파수를 나타내고 있다. FV1은, 교류 전압V1과 V2의 위상차를 비교적 작게 설정했을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FV2는, 교류 전압V1과 V2의 위상차를 중간정도로 설정했을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FV3은, 교류 전압V1과 V2의 위상차를 비교적 크게 설정했을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도 6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압전 소자(2)에 배치된 전극A1, A2에 인가하는 교류 전압V1, V2의 주파수를 진동자(10)의 공진주파수에 보다 가깝게 함에 따라, 액추에이터(121)의 이동 속도가 빨라진다.
또한, 압전 소자(2)에 배치된 전극A1, A2에 인가하는 교류 전압V1과 V2의 위상차를 크게 함에 따라, 액추에이터(121)의 이동 속도가 빨라진다.
압전 소자(2)에 배치된 전극A1, A2에 인가하는 교류 전압V1과 V2의 위상차가 예를 들면 20도일 때 FV1으로 나타낸 것과 같은 특성이 얻어지는 경우에, 해당 교류 전압V1과 V2의 위상차를 크게 하면, FV2로 나타낸 것과 같은 특성이 얻어진다. 그리고, 교류 전압V1과 V2의 위상차를 더욱 크게 하면, FV3으로 나타낸 것과 같은 특성이 얻어진다.
액추에이터 구동회로(123)는, AF렌즈 제어부(104)로부터의 구동신호에 근거하여, 압전 소자(2)에 배치된 전극A1, A2에 인가하는 교류 전압V1, V2의 주파수와 위상차를 적절하게 제어함으로써, 액추에이터(121)의 구동을 행한다.
다음에, 본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의 동작에 대해서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의 동작의 메인 플로우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우선, 보디CPU(109)는 메인SW(195)가 온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단계S101). 메인SW(195)가 온이 아닐 경우에는(단계S101에 있어서 NO), 단계S101이 반복된다. 메인SW(195)가 온이 되었을 경우에는(단계S101에 있어서 YES), 단계S102의 흐름으로 이행한다.
단계S102에서는, 유저가 피사체를 관찰하는 모드, 다시 말해, 관찰 모드의 검지가, 보디CPU(109)에 의해 행해진다. 관찰 모드의 설정은, 상술한 것처럼, 모드SW(196)에 의해 행해진다. 관찰 모드가 라이브 뷰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단계S102에 있어서 YES), 단계S103의 흐름으로 이행한다. 한편, 관찰 모드가 뷰파인더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단계S102에 있어서 NO), 단계S120의 흐름으로 이행한다.
단계S103에서는, 릴리즈SW(191)등의 각종 스위치의 입력 조작이 행해진 것인가 아닌가가가, 보디CPU(109)에 의해 판정된다. 각종 스위치의 입력 조작이 행해지지 않은 경우에는(단계S103에 있어서 NO), 단계S103이 반복된다. 유저에 의해 어느 하나의 스위치의 입력 조작이 행해졌을 경우에는(단계S103에 있어서 YES), 단계S104의 흐름으로 이행한다.
단계S104에서는, 단계S103에서 행해진 스위치의 입력 조작이, 메뉴 표시를 온으로 하기 위한 메뉴SW(197)의 조작인가 아닌가가, 보디CPU(109)에 의해 판정된다. 메뉴 표시를 온으로 하기 위한 입력 조작이 메뉴SW(197)를 사용해서 행해졌을 경우에는(단계S104에 있어서 YES), 보디CPU(109)가 표시 제어부(254)를 통해 표시부(258)에 메뉴를 표시한다(단계S105). 구체적으로는, 카메라(100)의 촬영 조건과 각종 동작의 설정 등을 행하기 위한 메뉴가, 표시부(258)에 표시된다.
그리고, 표시부(258)에 메뉴가 표시되는 상태하에서, 액추에이터(121)의 유지력을 회복시키기 위한 동작, 다시 말해, 액추에이터(121)의 메인티넌스를 위한 동작인 유지력 회복 동작(단계S106)이 행해진다. 또한, 유지력 회복 동작의 상세에 대해서는, 도 8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메뉴가 표시되어 있는 상태하에서, 유지력 회복 동작은 이하와 같은 이유로 행해진다. 구체적으로, 라이브 뷰 모드에 있어서는, 통상은, 피사체의 화상이 표시부(258)에 표시되지만, 표시부(258)에 메뉴가 표시되고 있는 상태하에서 피사체의 화상이 표시부(258)에 표시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액추에이터(121)의 유지력 회복 동작을 따라 AF렌즈(120)가 이동할 때에도, 표시부(258)에 메뉴 표시를 행하고 있을 때는, AF렌즈(120)의 이동에의한 영향은 표시부(258)에 표시되는 화상에는 보이지 않는다. 이에 따라, 유지력 회복 동작을 따라 AF렌즈(120)가 이동할 때에도, AF렌즈(120)가 이동한 것을 유저가 표시부(258)를 통해 인지하지 못하고, 촬상 장치가 결함을 갖는다고 유저가 오해하지 않는다. 이러한 이유에 의해, 본 실시예에서는, 라이브 뷰 모드에 있어서, 표시부(258)에 메뉴 표시가 행해지고 있을 때에, 액추에이터(121)의 유지력 회복 동작을 행한다.
상술한 것처럼, 본 실시예에서는, 라이브 뷰 모드에 있어서, 표시부(258)에 피사체의 화상이 표시되지 않을 때에 유지력 회복 동작이 행해진다. 유지력 회복 동작이 완료한 후에, 단계S103의 흐름으로 되돌아간다.
단계S103에서의 스위치의 조작이, 메뉴 표시를 오프로 하기 위한 메뉴SW(197)의 조작이었을 경우나, 메뉴SW(197)이외의 스위치의 조작이었을 경우에는(단계S104에 있어서 NO), 단계S110의 흐름으로 이행한다.
단계S110에서는, 단계S103에서 행해진 스위치의 조작이, 릴리즈 버튼(191a)을 사용한 조작인가 아닌가가, 보디CPU(109)에 의해 판정된다. 릴리즈 버튼(191a)을 사용한 조작은, 릴리즈 버튼(191a)에 배치된 릴리즈SW(191)의 상태에 따라서 검출될 수 있다. 단계S103에서 행해진 스위치의 조작이 릴리즈 버튼(191a)을 사용한 조작이었을 경우에는(단계S110에 있어서 YES), 단계S111의 흐름으로 이행한다.
단계S111에서는, 촬영의 준비를 위한 동작인 촬영 준비 동작(제1의 동작)이 행해진다. 구체적으로는, 측광동작, 측거동작 등이 행해지고, 그 측광동작의 결과에 근거해서 조리개(140)의 개구 사이즈가 제어되고, 측거동작의 결과에 근거해서 액추에이터(121)에 의한 AF렌즈(120)의 구동, 다시 말해, 포커스 동작이 행해진다.
AF렌즈(120)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해서 액추에이터(121)를 구동할 때는, 압전 소자(2)에 배치된 전극A1, A2에 인가하는 교류 전압V1, V2의 주파수와 위상차가 적절하게 설정된다. 도 9는, 액추에이터를 구동할 때에 인가된 교류 전압의 인가 조건과, 유지력 회복 동작을 행할 때에 인가된 교류 전압의 인가 조건을 나타내는 그래프다. 횡축은, 압전 소자(2)에 배치된 전극A1, A2에 인가하는 교류 전압V1, V2의 주파수를 나타내고 있다. 종축은, 액추에이터(121)의 이동 속도를 나타내고 있다. 일점쇄선은, 진동자(10)의 공진주파수를 나타내고 있다. FV1은, 교류 전압V1과 V2의 위상차를 비교적 작게 설정했을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FV2는, 교류 전압V1과 V2의 위상차를 중간정도로 설정했을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FV3은, 교류 전압V1과 V2의 위상차를 비교적 크게 설정했을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영역A는, 촬영 준비 동작(제1의 동작)을 행할 때, 다시 말해, AF렌즈(120)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해서 액추에이터(121)의 구동(포커스 동작)을 행할 때에 인가된 교류 전압V1, V2의 인가 조건의 예를 나타낸다. 영역B는, 유지력 회복 동작(제2의 동작)을 행할 때에 인가된 교류 전압V1, V2의 인가 조건의 예를 나타낸다.
AF렌즈(120)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해서 액추에이터(121)를 구동하는 경우에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압전 소자(2)에 배치된 전극A1, A2에 인가되는 교류 전압V1, V2의 주파수는, 예를 들면, (fr)∼(fr+F1)의 범위내에 설정된다. 또한, 상술한 것처럼, fr은 진동자(10)의 공진주파수다. 전극A1, A2에 인가하는 교류 전압V1, V2의 주파수를 (fr)∼(fr+F1)의 범위내에서 적절하게 설정함과 아울러, 해당 교류 전압V1과 V2의 위상차를 적절하게 설정함으로써, 액추에이터(121)를 원하는 속도로 적절하게 구동할 수 있다. AF렌즈(120)의 위치의 조정이 완료한 후에는, 다시 말해, 촬영 준비 동작(제1의 동작)이 완료한 후에는, 단계S112의 흐름으로 이행한다.
단계S112에서는, 촬영 동작이 행해진다. 이때, 촬영 동작 자체는, 공지의 동작이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촬영 동작이 완료한 후에는, 단계S113의 흐름으로 이행한다.
단계S113에서는, 메인SW(195)가 오프가 된 것인가 아닌가의 판정이 보디CPU(109)에 의해 행해진다. 메인SW(195)가 온인채로 있을 경우에는(단계S113에 있어서 NO), 단계S102의 흐름으로 되돌아가고, 일련의 동작의 흐름이 반복된다. 한편, 메인SW(195)가 오프가 되었을 경우에는(단계S113에 있어서 YES), 카메라(100)의 전원을 오프하고, 일련의 동작 흐름을 종료한다.
단계S103에서 행해진 스위치의 조작이, 메뉴SW(197)이외의 스위치의 조작이며(단계S104에 있어서 NO), 또한, 릴리즈 버튼(191a)을 사용한 조작이 아니었을 경우에는(단계S110에 있어서 NO), 단계115의 흐름으로 이행한다.
단계S115에서는, 단계S103에서 행해진 스위치의 조작에 근거하여, 소정의 동작이 행해지고, 단계S103의 흐름으로 되돌아간다.
유저가 피사체를 관찰할 때의 모드, 다시 말해, 관찰 모드가, 라이브 뷰 모드가 아닐 경우(단계S102에 있어서 NO), 다시 말해, 뷰파인더 모드일 경우에는, 단계S120의 흐름으로 이행한다.
단계S120에서는, 뷰파인더(200)의 접안 렌즈(202)에 대하여 유저가 접안하는지 아닌지가 접안검지부(검지부)(194)에 의해 행해진다. 이후, 단계S121의 흐름으로 이행한다.
뷰파인더(200)의 접안 렌즈(202)에 대하여 유저가 접안하지 않은 경우에는(단계S121에 있어서 NO), 단계S122의 흐름으로 이행한다.
단계S122에서는, 액추에이터(121)의 유지력 회복 동작(제2의 동작)이 행해진다. 또한, 유지력 회복 동작의 상세에 대해서는, 도 8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관찰 모드가 뷰파인더 모드일 경우에는, 뷰파인더(200)의 접안 렌즈(202)에 대하여 유저가 접안하지 않을 때에 유지력 회복 동작은, 이하와 같은 이유로 행해진다. 구체적으로, 뷰파인더 모드에 있어서는, 유저는, 뷰파인더(200)의 접안 렌즈(202)에 접안해서 피사체의 화상을 확인한다. 따라서, 뷰파인더(200)의 접안 렌즈(202)에 대하여 유저가 접안하지 않은 경우에, 유저가 피사체의 화상을 응시하지 않는다고 추정될 수 있다. 유저가 피사체의 화상을 응시하지 않는 경우에는, 액추에이터(121)의 유지력 회복 동작에 따라 AF렌즈(120)가 이동하였을 때에도, AF렌즈(120)가 이동하는 것을 유저가 인지하지 못한다. 이 때문에, 유지력 회복 동작에 따라 AF렌즈(120)가 이동하였을 때에도, 촬상 장치가 결함을 갖는다고 유저가 오해하지 않는다. 이러한 이유에 의해, 본 실시예에서는, 뷰파인더 모드에 있어서, 뷰파인더(200)의 접안 렌즈(202)에 대하여 유저가 접안하지 않을 때에 유지력 회복 동작을 행한다. 유지력 회복 동작이 완료한 후에는, 단계S123의 흐름으로 이행한다.
뷰파인더(200)의 접안 렌즈(202)에 대하여 유저가 접안하는 경우에는(단계S121에 있어서 YES), 단계S123의 흐름으로 이행한다.
단계S123에서는, 릴리즈 버튼(191a)을 사용한 조작이 행해진 것인가 아닌가의 판정이 보디CPU(109)에 의해 행해진다. 릴리즈 버튼(191a)을 사용한 조작은, 릴리즈 버튼(191a)에 배치된 릴리즈SW(191)의 상태에 의거하여 검출될 수 있다. 릴리즈 버튼(191a)을 사용한 조작이 행해지지 않은 경우에는(단계S123에 있어서 NO), 릴리즈 버튼(191a)을 사용한 조작이 행해질 때까지 그 흐름이 대기상태가 된다. 릴리즈 버튼(191a)을 사용한 조작이 행해졌을 경우에는(단계S123에 있어서 YES), 단계124의 흐름으로 이행한다.
단계S124에서는, 촬영의 준비를 위한 동작인 촬영 준비 동작이 행해진다. 촬영 준비 동작은, 상술한 단계S111에 있어서의 촬영 준비 동작과 같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그 후, 단계S125의 흐름으로 이행한다.
단계S125에서는, 촬영 동작이 행해진다. 또한, 촬영 동작 자체는, 상술한 것처럼 공지이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후, 단계S126의 흐름으로 이행한다.
단계S126에서는, 메인SW(195)가 오프로 된 것인가 아닌가의 판정이 보디CPU(109)에 의해 행해진다. 메인SW(195)가 온인채로 있는 경우에는(단계S126에 있어서 NO), 단계S102의 흐름으로 되돌아가고, 일련의 동작 흐름이 반복된다. 한편, 메인SW(195)가 오프가 되었을 경우에는(단계S126에 있어서 YES), 카메라(100)의 전원을 오프하고, 일련의 동작 흐름을 종료한다.
다음에, 유지력 회복 동작(제2의 동작), 다시 말해, 액추에이터(121)의 메인티넌스를 위한 동작에 대해서,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은, 유지력 회복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다.
우선, 액추에이터(121)의 압전 소자(2)에 배치된 전극A1, A2에 인가하는 교류 전압V1, V2의 인가 조건, 다시 말해, 주파수와 위상차가, 보디CPU(109)에 의해 연산된다(단계S151). 유지력 회복 동작을 행할 때에 전극A1, A2에 인가하는 교류 전압V1, V2의 인가 조건은, 예를 들면, 도 9에 나타낸 영역B의 범위내가 되도록 결정된다. 구체적으로, 전극A1, A2에 인가하는 교류 전압V1, V2의 주파수는, 예를 들면, (fr+F2)∼(fr+F3)의 범위내가 되도록 결정된다. 또한, 전극A1, A2에 인가하는 교류 전압V1과 V2의 위상차는, 교류 전압V1, V2의 주파수와 액추에이터(121)의 이동 속도와의 관계가 FV1이하로 되도록 결정된다. F2는, F1보다 충분히 크다. F3은, F2보다도 크다. 다시 말해, 유지력 회복 동작을 행할 때의 교류 전압V1, V2의 인가 조건인 영역B의 주파수는, 촬영 준비 동작을 행할 때의 교류 전압V1, V2의 인가 조건인 영역A의 주파수보다 충분히 높다.
유지력 회복 동작을 행할 때에 전극A1, A2에 인가하는 교류 전압V1, V2의 주파수는 이하의 이유로 비교적 높게 설정된다. 구체적으로, 유지력 회복 동작을 행할 때에 전극A1, A2에 인가하는 교류 전압V1, V2의 주파수를 높게 설정하면, 액추에이터(121)의 접점부(3a)와 슬라이더(4)와의 접촉 횟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액추에이터(121)의 접점부(3a)와 슬라이더(4)와의 접촉 횟수를 증가시키면, 액추에이터(121)의 접점부(3a)와 슬라이더(4) 사이의 접촉 위치에 응집한 수분을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에 의해, 본 실시예에서는, 유지력 회복 동작을 행할 때에 전극A1, A2에 인가하는 교류 전압V1, V2의 주파수를 비교적 높게 설정하고 있다.
이렇게 해서, 액추에이터(121)의 압전 소자(2)에 배치된 전극A1, A2에 인가하는 교류 전압V1, V2의 인가 조건이 연산된다. 이후, 단계S152의 흐름으로 이행한다.
단계S152에서는, 단계S151의 연산 결과에 따라, 압전 소자(2)의 전극A1, A2에 인가하는 교류 전압V1, V2의 주파수, 다시 말해, 구동주파수를 설정하고, 해당 구동주파수의 값을 렌즈CPU(103)내에 배치된 AF렌즈 제어부(104)에 출력한다. AF렌즈 제어부(104)는, 해당 구동주파수의 값을 액추에이터 구동회로(123)에 출력한다. 이후, 단계S153의 흐름으로 이행한다.
단계S153에서는, 단계S151의 연산 결과에 따라, 압전 소자(2)의 전극A1, A2에 인가하는 교류 전압V1과 V2의 위상차, 다시 말해, 구동위상차를 설정하고, 해당 구동위상차의 값을 렌즈CPU(103)내에 배치된 AF렌즈 제어부(104)에 출력한다. AF렌즈 제어부(104)는, 해당 구동위상차의 값을 액추에이터 구동회로(123)에 출력한다. 이후, 단계S154의 흐름으로 이행한다.
단계S154에서는, 단계S152에서 설정된 구동주파수와 단계S153에서 설정된 구동위상차에 근거하여, 액추에이터(121)의 압전 소자(2)의 전극A1, A2에 액추에이터 구동회로(123)가 교류 전압V1, V2를 인가한다. 이에 따라, 액추에이터(121)가, 소정의 속도로 이동한다. 이와 함께, 액추에이터(121)의 접점부(3a)와 슬라이더(4) 사이의 접촉 위치에 응집된 수분이 진동에 의해 제거되어, 유지력(마찰력)이 회복된다. 유지력이 회복하기 때문에, AF렌즈(120)에 외력F가 인가할 때에도, AF렌즈(120)가 이동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AF렌즈(120)의 이동에 의해 생긴 아웃 오브 포커스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단계S155에서는, 유지력 회복 동작이 완료한 것인가 아닌가의 판단이 보디CPU(109)에 의해 행해진다. 유지력 회복 동작이 완료하지 않은 경우에는(단계S155에 있어서 NO), 압전 소자(2)에 배치된 전극A1, A2에의 교류 전압V1, V2의 인가가 계속된다. 한편, 유지력 회복 동작이 완료했을 경우에는(단계S155에 있어서 YES), 도 7에 나타낸 메인 흐름으로 되돌아간다.
상술한 것처럼, 본 실시예에 의하면, 뷰파인더(200)를 사용한 피사체의 관찰이 유저에 의해 행해지지 않은 것을 접안검지부(194)가 검지할 때에, 액추에이터(121)의 유지력 회복 동작이 행해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표시부(258)에 피사체의 화상이 표시되지 않을 때에, 액추에이터(121)의 유지력 회복 동작이 행해진다. 이 때문에, 유지력 회복 동작에 따라 AF렌즈(120)이 이동하였을 때에도, AF렌즈(120)가 이동한 것을 유저가 인지하지 못하여, 촬상 장치가 결함을 갖는다고 유저가 오해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촬상 장치가 결함을 갖는다고 유저가 오해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양호한 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촬상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제2실시예]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 대해서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본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다. 도 1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를 나타내는 배면도다. 도 1 내지 도 9에 나타낸 제1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와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어지고, 그에 대한 설명을 생략 또는 간략화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에서, 유저의 시선을 검지하는 시선검지부(211)가 카메라(100)에 배치된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메라(100)의 배면측에는, 시선검지부(검지부)(211)가 배치된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선검지부(211)로부터의 출력이, 보디CPU(109)에 입력된다. 시선검지부(211)는, 예를 들면, CCD카메라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시선검지부(211)는, 예를 들면 표시부(258)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유저의 시선을 검지하는 시선검지부(211)가 배치되기 때문에, 유저가 카메라(100)의 어느 부분을 주시하고 있는지를 검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에, 본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의 동작에 대해서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의 동작의 메인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다.
우선, 단계S201 및 단계S202는, 제1실시예에 있어서 상술한 단계S101 및 단계S102와 같기 때문에, 그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관찰 모드가 라이브 뷰 모드로 설정되는 경우에는(단계S202에 있어서 YES), 단계S203의 흐름으로 이행한다.
단계S203에서는, 시선검지부(211)가 시선검지를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유저가 카메라(100)의 배면측의 어느 부분을 주시하고 있는 것인지가, 시선검지부(211)에 의해 검지된다.
단계S203에서 시선검지중에 유저가 표시부(258)를 응시하는 경우에는(단계S204에 있어서 YES), 단계S205의 흐름으로 이행한다. 한편, 단계S203에서 시선검지중에 유저가 표시부(258)이외의 부분을 응시하는 경우에는(단계S204에 있어서 NO), 단계230의 흐름으로 이행한다. 예를 들면, 단계S203에서 시선검지중에 유저가 메뉴SW(197)등의 스위치류를 응시하는 경우에는, 단계S230의 흐름으로 이행한다.
단계S230에서는, 액추에이터(121)의 유지력 회복 동작이 행해진다. 액추에이터(121)의 유지력 회복 동작에 대해서는, 제1실시예에 있어서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고, 여기에서는, 그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이 단계에서 유지력 회복 동작을 행하는 이유는, 촬영 준비 동작(단계S211) 앞에 액추에이터(121)의 유지력을 회복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유저가 표시부(258)를 응시하지 않을 때에 액추에이터(121)의 유지력 회복 동작은 이하의 이유로 행해진다. 구체적으로, 라이브 뷰 모드에 있어서는, 표시부(258)에 메뉴 표시를 행하지 않고 있을 때는, 피사체의 화상이 표시부(258)에 표시된다. 그러나, 유저가 표시부(258)이외의 부분을 응시하는 경우에는, 액추에이터(121)의 유지력 회복 동작에 따라 AF렌즈(120)가 이동할 때에도, AF렌즈(120)가 이동한 것을 유저가 알아차리기 어렵다. 이 때문에, 액추에이터(121)의 유지력 회복 동작에 따라 AF렌즈(120)가 이동할 때에도, 촬상 장치가 결함을 갖는다고 유저가 오해해버릴 위험성은 낮다. 이러한 이유에 의해, 본 실시예에서는, 유저가 표시부(258)를 응시하지 않을 때에, 액추에이터(121)의 유지력 회복 동작을 행한다.
상술한 것처럼, 본 실시예에서는, 라이브 뷰 모드에 있어서는, 표시부(258)에 피사체의 화상이 표시되지 않을 때에, 액추에이터(121)의 유지력 회복 동작이 행해진다. 유지력 회복 동작이 완료한 후에는, 단계S205의 흐름으로 이행한다.
단계S205 내지 단계S208은, 제1실시예에 있어서 상술한 단계S103 내지 단계S106과 같기 때문에, 그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단계S210 내지 단계S213 및 단계S215는, 제1실시예에 있어서 상술한 단계S110 내지 단계S113 및 단계S115와 같기 때문에, 그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단계S220 내지 단계S226은, 제1실시예에 있어서 상술한 단계S120 내지 단계S126과 같기 때문에, 그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술한 것처럼, 본 실시예에 의하면, 표시부(258)에 피사체의 화상이 표시되어 있을 경우에도, 유저가 표시부(258)를 응시하지 않는 것을 시선검지부(211)가 검지할 때, 액추에이터(121)의 유지력 회복 동작이 적절하게 행해진다. 이 때문에, 본 실시예에 의하면, 촬영 준비 동작에 도달하기 전의 단계에서 액추에이터(121)의 유지력을 확실하게 회복시킬 수 있고, 보다 양호한 촬상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제3실시예]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 대해서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다. 도 1 내지 도 12에 나타낸 제1 또는 제2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와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그에 대한 설명을 생략 또는 간략화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에서는, 접안검지부(194) 대신에, 카메라(100)의 자세를 검출하는 자세검지부(213)와, 카메라(100)의 흔들림을 검출하는 흔들림 검지부(212)가 배치되어 있다.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메라(100)에는, 카메라(100)의 자세(각도)를 검출하는 자세검지부(검지부)(213)가 배치된다. 자세검지부(213)로서는, 예를 들면, 기울기 센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자세검지부(213)는, X, Y, Z의 3축의 방향에 있어서의 기울기를 검출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세검지부(213)로부터의 출력은, 보디CPU(109)와 메모리(198)에 입력된다.
또한, 카메라(100)에는, 흔들림 검지부(검지부)(212)가 배치된다. 흔들림 검지부(212)는, 카메라(100)의 진동, 다시 말해, 흔들림을 검출할 수 있다. 흔들림 검지부(212)로서는, 각속도 센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흔들림 검지부(212)는, X, Y, Z의 3축의 방향에 있어서의 흔들림을 검출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흔들림 검지부(212)로부터의 출력은, 보디CPU(109)와 메모리(198)에 입력된다.
다음에, 본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의 동작에 대해서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의 동작의 메인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다.
우선, 단계S301 및 단계S302는, 제1실시예에 있어서 상술한 단계S101 및 단계S102와 같기 때문에, 그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관찰 모드가 라이브 뷰 모드일 경우에는(단계S302에 있어서 YES), 단계S303의 흐름으로 이행한다.
단계S303에서는, 흔들림 검지부(212)를 사용하여, 카메라(100)의 진동, 다시 말해, 흔들림이 검출된다.
단계S304에서는, 유저의 카메라(100)의 잡는 법에 변화가 있었던 것인가 아닌가의 판정이, 보디CPU(109)에 의해 행해진다. 유저의 카메라(100)의 잡는 법에 변화가 있었던 것인가 아닌가는, 단계S303에 있어서의 흔들림 검지부(212)에 의한 검출의 결과에 근거해서 판정된다. 구체적으로는, 카메라(100)의 진동 상태의 변화의 유무나, 카메라(100)의 진동 상태의 변화의 방식에 근거하여, 유저의 카메라(100)의 잡는 법에 변화가 있었던 것인가 아닌가가 판정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흔들림 검지부(212)가 검출한 카메라(100)의 흔들림의 주파수와 흔들림의 크기에 근거하여, 카메라(100)의 잡는 법에 변화가 있었던 것인가 아닌가가 판정된다.
예를 들면, 관찰 모드가 라이브 뷰 모드로 설정되어 있고, 표시부(258)에 표시되어 있는 피사체상을 응시하면서 유저가 촬영을 행하고 있는 경우를 생각한다.
촬영시에, 촬영 화상이 흔들리지 않도록 유저가 양손으로 카메라(100)와 렌즈(102)를 보유하는 위치에 있기 때문에, X, Y, Z의 각 방향에 있어서의 흔들림은 작다. 그러나, 촬영을 마친 후, 유저가 카메라(100)를 한쪽 손으로 보유하면서 이동하거나, 카메라(100)나 렌즈(102)에 배치된 각종 스위치를 조작할 때, 촬영시의 흔들림과 비교하여, 카메라(100)의 흔들림이 보다 커지거나, 카메라(100)의 흔들림의 주파수가 변화되기도 한다. 이 때문에, 흔들림 검지부(212)가 검출한 카메라(100)의 흔들림의 주파수와 크기에 근거하여, 카메라(100)의 잡는 법에 변화가 있었던 것인가 아닌가를, 보디CPU(109)는 판정할 수 있다.
카메라(100)의 잡는 법에 변화가 없을 경우에는(단계S304에 있어서 NO), 단계S303의 흐름으로 되돌아간다. 한편, 카메라(100)의 잡는 법에 변화가 있었을 경우에는(단계S304에 있어서 YES), 단계S305의 흐름으로 이행한다.
단계S305에서는, 자세검지부(213)에 의해, 카메라(100)의 자세가 검지된다. 이후, 단계S306의 흐름으로 이행한다.
단계S306에서는, 단계S303에 있어서 검출한 카메라(100)의 진동의 정보와, 단계S305에 있어서 검출한 카메라(100)의 자세의 정보에 근거하여, 유저가 표시부(258)를 응시하는가 아닌가의 판정이 보디CPU(109)에 의해 행해진다. 유저가 표시부(258)를 응시할 때의 카메라(100)의 진동의 정보와 카메라(100)의 자세의 정보는, 메모리(198)에 미리 기억되어 있다. 따라서, 미리 메모리(198)에 기억된 정보와, 단계S303에서 검출한 카메라(100)의 진동의 정보 및 단계S305에서 검출한 카메라(100)의 자세의 정보를 비교함으로써, 유저가 표시부(258)를 응시하는가 아닌가를 보디CPU(109)가 판정할 수 있다. 이후, 단계S307의 흐름으로 이행한다.
유저가 표시부(258)를 응시한다고 판정했을 경우에는(단계S307에 있어서 YES), 단계S315의 흐름으로 이행한다. 한편, 유저가 표시부(258)를 응시하지 않는다고 판정했을 경우에는, 단계S308의 흐름으로 이행한다.
단계S308에서는, 메뉴 표시를 온으로 하기 위한 메뉴SW(197)의 조작이 행해진 것인가 아닌가가, 보디CPU(109)에 의해 판정된다. 메뉴 표시를 온으로 하기 위한 메뉴SW(197)의 조작이 행해질 때까지는(단계S308에 있어서 NO), 메뉴 표시는 행해지지 않는다. 한편, 메뉴 표시를 온으로 하기 위한 메뉴SW(197)의 조작이 행해졌을 경우에는, 단계S309의 흐름으로 이행한다.
단계S309에서는, 보디CPU(109)가, 표시 제어부(254)를 통하여 표시부(258)에 메뉴 표시를 행한다. 이후, 단계S310의 흐름으로 이행한다.
단계S310에서는, 액추에이터(121)의 유지력 회복 동작이 행해진다. 이후, 단계S315의 흐름으로 이행한다.
단계S315에서는, 릴리즈 버튼(191a)을 사용한 조작이 행해진 것인가 아닌가가 보디CPU(109)에 의해 판정된다. 릴리즈 버튼(191a)을 사용한 조작이 행해질 때까지는(단계S315에 있어서 NO), 단계S316의 흐름으로는 이행하지 않는다. 한편, 릴리즈 버튼(191a)을 사용한 조작이 행해졌을 경우에는, 단계S316의 흐름으로 이행한다.
단계S316에서는, 촬영 준비 동작이 행해진다. 촬영 준비 동작은, 제1실시예에 있어서의 단계S111와 같기 때문에, 그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후, 단계S317의 흐름으로 이행한다.
단계S317에서는, 촬영 동작이 행해진다. 상술한 것처럼, 촬영 동작 자체는 공지이기 때문에,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후, 단계S318의 흐름으로 이행한다.
단계S318에서는, 메인SW(195)이 오프로 된 것인가 아닌가의 판정이, 보디CPU(109)에 의해서 행해진다. 메인SW(195)가 온인채로 있는 경우에는(단계S318에 있어서 NO), 단계S303의 흐름으로 되돌아가, 일련의 동작 흐름을 반복한다. 한편, 메인SW(195)가 오프로 되었을 경우에는(단계S318에 있어서 YES), 카메라(100)의 전원을 오프로 하고, 일련의 동작 흐름을 종료한다.
단계S302에 있어서, 관찰 모드가 라이브 뷰 모드로 설정되어 있지 않다(단계S302에 있어서 NO), 다시 말해, 관찰 모드가 뷰파인더 모드로 설정되어 있다고 보디CPU(109)에 의해 판정되었을 경우에는, 단계S320의 흐름으로 이행한다.
단계S320 내지 단계S322는, 상술한 단계S303 내지 단계S305와 같기 때문에, 그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후, 단계S323의 흐름으로 이행한다.
단계S323에서는, 단계S320에 있어서 검출한 카메라(100)의 진동(흔들림)의 정보와, 단계S322에 있어서 검출한 카메라(100)의 자세의 정보에 근거하여, 유저가 뷰파인더(200)의 접안렌즈(202)에 접안하고 있는 것인가 아닌가의 판정이 행해진다.
유저가 뷰파인더(200)의 접안렌즈(202)에 접안하고 있는 경우에는(단계S324에 있어서 YES), 단계S330의 흐름으로 이행한다. 한편, 유저가 뷰파인더(200)의 접안렌즈(202)에 접안하지 않고 있는 경우에는(단계S324에 있어서 NO), 단계S325의 흐름으로 이행한다.
단계S325에서는, 액추에이터(121)의 유지력 회복 동작이 행해진다. 액추에이터(121)의 유지력 회복 동작은, 단계S310과 같기 때문에, 그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유지력 회복 동작이 완료한 후에는, 단계S330의 흐름으로 이행한다.
단계S330 내지 단계S332는, 상술한 단계S315 내지 단계S317과 같기 때문에, 그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후, 단계S333의 흐름으로 이행한다.
단계S333에서는, 메인SW(195)가 오프로 되었는지 아닌지의 판정이 보디CPU(109)에 의해서 행해진다. 메인SW(195)가 온인채로 있는 경우에는(단계S333에 있어서 NO), 단계S320의 흐름으로 되돌아가고, 일련의 동작 흐름을 반복한다. 한편, 메인SW(195)가 오프로 되었을 경우에는(단계S333에 있어서 YES), 카메라(100)의 전원을 오프로 하고, 일련의 동작 흐름을 종료한다.
상술한 것처럼, 본 실시예에서는, 카메라(100)의 진동(흔들림)의 정보나 카메라(100)의 자세(각도)의 정보 등에 근거하여, 유저가 표시부(258)를 응시하는가 아닌가가 판정된다. 그리고, 표시부(258)에 피사체의 화상이 표시된 경우에도, 유저가 표시부(258)를 응시하지 않고 있다고 추정될 때는, 액추에이터(121)의 유지력 회복 동작이 적절하게 행해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카메라(100)의 진동(흔들림)의 정보나 카메라(100)의 자세(각도)의 정보 등에 근거하여, 유저가 뷰파인더(200)에 접안하고 있는 것인가 아닌가가 판정된다. 그리고, 유저가 뷰파인더(200)에 접안하지 않고 있다고 추정될 때는, 액추에이터(121)의 유지력 회복 동작이 적절하게 행해진다. 이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유저에 오해를 일으키지 않고 양호한 동작을 유지시킬 수 있는 촬상 장치도 제공할 수 있다.
[변형 실시예]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가지로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예에서는, 유지력 회복 동작중에 AF렌즈(120)가 광축I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를 일례로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푸시업 모드의 진동을 진동자(10)에 여기함으로써, 유지력 회복 동작을 행해도 된다. 푸시업 모드의 진동을 진동자(10)에 여기할 경우에는, 압전 소자(2)에 배치된 전극A1, A2에 인가하는 교류 전압V1과 V2의 위상차를 0도로 설정하면 좋다. 즉, 압전 소자(2)에 배치된 전극A1, A2에 동상의 교류 전압V1, V2를 인가하면 좋다. 푸시업 모드로 진동자(10)를 진동시켰을 경우에는, 액추에이터(121)가 X축방향, 다시 말해, 광축I의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기 때문에, 유지력 회복 동작시에 AF렌즈(120)가 움직이지 않는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유지력 회복 동작중에 유저가 접안렌즈(202)에 접안했을 경우에도, 유저는 초점의 변동을 알아차리기 어렵다. 이렇게, 푸시업 모드의 진동을 진동자(10)에 여기함으로써 유지력 회복 동작을 행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유지력 회복 동작중에 AF렌즈(120)가 광축I의 방향으로 어느 정도 크게 이동할 경우를 일례로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유지력 회복 동작을 행할 때에 생긴 광축I 방향에 있어서의 AF렌즈(120)의 변위가, 피사계 심도에 대응하는 범위내가 되는 조건하에서, 유지력 회복 동작을 행하여도 좋다. 유지력 회복 동작중에 생긴 광축I 방향에 있어서의 AF렌즈(120)의 변위가, 피사계 심도에 대응하는 범위내가 되는 조건하에서, 유지력 회복 동작을 행할 경우에 행해진 동작에 대해서,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5는, 유지력 회복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다.
우선, 조리개(140)의 현재의 조리개 값의 확인이, 렌즈CPU(103)를 통해 보디CPU(109)에 의해 행해진다(단계S551). 이후, 단계S552의 흐름으로 이행한다.
단계S552에서는, 액추에이터(121)의 압전 소자(2)에 배치된 전극A1, A2에 인가하는 교류 전압V1, V2의 인가 조건, 다시 말해, 주파수와 위상차가, 보디CPU(109)에 의해 연산된다. 피사계 심도는, 조리개 값에 따라 다르다. 따라서, 피사계 심도에 대응하는 AF렌즈(120)의 변위량은, 조리개(140)의 조리개 값에 따라 다르다. 이 때문에, 압전 소자(2)에 배치된 전극A1, A2에 인가하는 교류 전압V1, V2의 인가 조건은, 조리개(140)의 조리개 값에 따라서 연산된다. 이렇게 해서, 유지력 회복 동작을 행할 때에 생긴 광축I 방향에 있어서의 AF렌즈(120)의 변위가, 피사계 심도에 대응하는 범위내가 되는 교류 전압V1, V2의 인가 조건이, 보디CPU(109)에 의해 연산된다.
압전 소자(2)에 배치된 전극A1, A2에 인가하는 교류 전압V1, V2의 인가 조건은, 아래와 같이 설정된다. 구체적으로, 전극A1, A2에 인가하는 교류 전압V1, V2의 인가 조건을, 도 9에 나타낸 영역A의 범위내에 설정했을 경우에는, AF렌즈(120)의 이동 속도가 비교적 빠르다. AF렌즈(120)의 이동 속도가 비교적 빠를 경우에는, 피사계 심도에 대응하는 범위내에서 AF렌즈(120)가 변위될 때에도, 유저가 초점의 변동을 알아차려, AF렌즈(120)가 이동한 것을 유저가 인지해버릴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압전 소자(2)에 배치된 전극A1, A2에 인가하는 교류 전압V1, V2의 인가 조건을, AF렌즈(120)의 이동 속도가 충분히 늦은 범위내에 설정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전극A1, A2에 인가하는 교류 전압V1, V2의 인가 조건은, 도 9에 나타낸 영역B의 범위내에 설정된다. 이렇게 해서, 전극A1, A2에 인가하는 교류 전압V1, V2의 인가 조건이 연산된다. 이후, 단계S553의 흐름으로 이행한다.
단계S553에서는, 단계S552의 연산 결과에 따라, 압전 소자(2)의 전극A1, A2에 인가하는 교류 전압V1, V2의 주파수, 다시 말해, 구동주파수를 설정하고, 해당 구동주파수의 값을 렌즈CPU(103)내에 배치된 AF렌즈 제어부(104)에 출력한다. AF렌즈 제어부(104)는, 해당 구동주파수의 값을 액추에이터 구동회로(123)에 출력한다. 이후, 단계S554의 흐름으로 이행한다.
단계S554에서는, 단계S552의 연산 결과에 따라, 압전 소자(2)의 전극A1, A2에 인가하는 교류 전압V1과 V2의 위상차, 다시 말해, 구동위상차를 설정하고, 해당 구동위상차의 값을 렌즈CPU(103)내에 배치된 AF렌즈 제어부(104)에 출력한다. AF렌즈 제어부(104)는, 해당 구동위상차의 값을 액추에이터 구동회로(123)에 출력한다. 이후, 단계S555의 흐름으로 이행한다.
단계S555에서는, 단계S553에서 설정된 구동주파수와 단계S554에서 설정된 구동위상차에 근거하여, 액추에이터(121)의 압전 소자(2)의 전극A1, A2에 액추에이터 구동회로(123)가 교류 전압V1, V2를 인가한다. 이에 따라, 액추에이터(121)가, 소정의 속도로 피사계 심도에 대응하는 변위량만큼 이동한다. 이것에 따라, 액추에이터(121)의 접점부(3a)와 슬라이더(4) 사이의 접촉 위치에 응집된 수분이 진동에 의해 제거되어, 유지력(마찰력)이 회복한다. 이후, 단계S556의 흐름으로 이행한다.
단계S556에서는, 유지력 회복 동작이 완료한 것인가 아닌가의 판단이 보디CPU(109)에 의해 행해진다. 유지력 회복 동작이 완료하지 않은 경우에는(단계S556에 있어서 NO), 압전 소자(2)에 배치된 전극A1, A2에의 교류 전압V1, V2의 인가가 계속된다. 한편, 유지력 회복 동작이 완료했을 경우에는(단계S556에 있어서 YES), 메인 흐름으로 되돌아간다.
상술한 것처럼, 유지력 회복 동작중에 생긴 광축I 방향에 있어서의 AF렌즈(120)의 변위가, 피사계 심도에 대응하는 범위내가 되는 조건하에서, 유지력 회복 동작을 행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AF렌즈(120)의 액추에이터(121)의 유지력 회복 동작에 본 발명을 적용할 경우를 일례로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줌 렌즈(110)를 구동하는 줌 렌즈 구동부(111)의 액추에이터의 유지력 회복 동작(제2의 동작)에, 본 발명을 적용해도 좋다. 줌 렌즈 구동부(111)의 액추에이터는, 줌 렌즈(110)를 구동함으로써 초점거리를 변경하는 동작, 다시 말해, 초점거리 변경 동작(제1의 동작)을 행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AF렌즈(120)의 액추에이터(121)의 유지력 회복 동작에 본 발명을 적용할 경우를 일례로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손 흔들림 보정용의 흔들림 보정 렌즈(155)의 액추에이터의 유지력 회복 동작에, 본 발명을 적용해도 좋다. 또한, 손 흔들림 보정용의 촬상 소자(252)의 액추에이터의 유지력 회복 동작에, 본 발명을 적용해도 좋다. 도 16은,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다. 도 16은, 흔들림 보정 렌즈(155)의 액추에이터의 유지력 회복 동작(제2의 동작)에, 본 발명을 적용할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촬영 광학계(101)에는, 흔들림 보정 렌즈(155)가 배치되어 있다. 흔들림 보정 렌즈(155)는, 액추에이터(154)에 의해 구동된다. 액추에이터(154)는, 흔들림 보정동작(제1의 동작)을 행한다. 액추에이터(154)는, 렌즈CPU(103)에 배치된 흔들림 보정 렌즈 제어부(151)에 의해, 액추에이터 구동회로(153)를 통해 제어된다. 렌즈CPU(103)에는, 흔들림 센서(152)가 접속되어 있다. 흔들림 센서(152)로서는, 예를 들면 각속도 센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렌즈CPU(103)에 배치된 흔들림 보정 렌즈 제어부(151)는, 흔들림 센서(152)에 의해 검지된 손 흔들림량에 근거하여, 흔들림 보정 렌즈(155)의 구동량을 연산한다. 연산에 의해 산출된 구동량을 나타내는 신호, 다시 말해, 디지털 값을 갖는 구동신호가, 흔들림 보정 렌즈 제어부(151)로부터 액추에이터 구동회로(153)에 출력된다. 액추에이터 구동회로(153)는, 흔들림 보정 렌즈 제어부(151)로부터 출력된 구동신호(구동전압)에 근거하여, 액추에이터(154)에 전력을 공급한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액추에이터(121)에 대해 행해진 유지력 회복 동작과 같은 유지력 회복 동작을, 액추에이터(154)에 대하여 행하면 좋다. 흔들림 보정 렌즈(155)를 구동하는 액추에이터(154)에 대하여 유지력 회복 동작을 행하면, 외력이 가해질 때에도 광축I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흔들려 보정 렌즈(155)가 이동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흔들림 보정 렌즈(155)를 구동하는 액추에이터(154)에 대하여 유지력 회복 동작을 행하면, 흔들림 보정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는 촬상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액추에이터(121)의 메인티넌스를 위한 동작이 유지력 회복 동작일 경우를 일례로서 설명했지만, 액추에이터(121)의 메인티넌스를 위한 동작은 유지력 회복 동작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액추에이터(121)가 초음파 모터가 아닐 경우에는, 유지력 회복 동작이외의 메인티넌스를 액추에이터(121)에 있어서 행하는 것이 필요할 경우도 있다. 본 발명은, 촬상 장치가 결함을 갖는다고 유저가 오해해버리는 메인티넌스가 액추에이터(121)에 있어서 행해질 경우에, 널리 적용될 수 있다.
[그 밖의 실시예]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는, 기억매체(보다 완전하게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매체'라고도 함)에 레코딩된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어들(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판독하고 실행하여 상술한 실시예(들)의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 및/또는 상술한 실시예(들)의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회로(예를 들면, 주문형 반도체(ASIC))를 구비하는 것인, 시스템 또는 장치를 갖는 컴퓨터에 의해 실현되고, 또 예를 들면 상기 기억매체로부터 상기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판독하고 실행하여 상기 실시예(들)의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 및/또는 상술한 실시예(들)의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회로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상기 시스템 또는 상기 장치를 갖는 상기 컴퓨터에 의해 행해지는 방법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예를 들면, 중앙처리장치(CPU), 마이크로처리장치(MPU))를 구비하여도 되고, 컴퓨터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판독하여 실행하기 위해 별개의 컴퓨터나 별개의 프로세서의 네트워크를 구비하여도 된다. 상기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예를 들면 네트워크나 상기 기억매체로부터 상기 컴퓨터에 제공하여도 된다. 상기 기억매체는, 예를 들면, 하드 디스크, 랜덤액세스 메모리(RAM), 판독전용 메모리(ROM), 분산형 컴퓨팅 시스템의 스토리지, 광디스크(콤팩트 디스크(CD),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 또는 블루레이 디스크(BD)TM등), 플래시 메모리 소자, 메모리 카드 등 중 하나 이상을 구비하여도 된다.
본 발명을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기재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개시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것이다. 아래의 청구항의 범위는, 모든 변형예, 동등한 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폭 넓게 해석해야 한다.

Claims (14)

  1. 피사체를 관찰하는 관찰부;
    유저가 상기 관찰부를 사용하여 상기 피사체를 관찰하는가 아닌가를 검지하는 검지부; 및
    촬영 광학계의 적어도 일부를 구동하는 액추에이터이고, 제1의 동작과, 상기 제1의 동작과는 다른 제2의 동작인 상기 액추에이터의 메인티넌스를 위한 동작을 행할 수 있는 상기 액추에이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유저가 상기 관찰부를 사용하여 상기 피사체를 관찰하지 않은 것을 상기 검지부가 검지할 때에, 상기 액추에이터에 상기 제2의 동작을 행하게 하는, 촬상 장치.
  2. 피사체의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부;
    유저가 상기 표시부를 사용하여 상기 피사체를 관찰하는가 아닌가를 검지하는 검지부; 및
    촬영 광학계의 적어도 일부를 구동하는 액추에이터이고, 제1의 동작과, 상기 제1의 동작과는 다른 제2의 동작인 상기 액추에이터의 메인티넌스를 위한 동작을 행할 수 있는 상기 액추에이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에 상기 피사체의 화상이 표시되지 않은 경우와 유저가 상기 표시부를 사용하여 상기 피사체를 관찰하지 않은 것을 상기 검지부가 검지하는 경우 중 하나의 경우에, 상기 액추에이터에 상기 제2의 동작을 행하게 하는, 촬상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동작은, 포커스 동작, 초점거리 변경 동작, 또는 흔들림 보정동작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는, 압전 소자를 구비하는 진동자를 구비하는, 촬상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동작에서는, 상기 제1의 동작에 있어서 상기 압전 소자에 인가되는 교류 전압의 주파수와는 다른 주파수의 교류 전압이 상기 압전 소자에 인가되는, 촬상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찰부는 뷰파인더를 구비하는, 촬상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검지부는, 상기 뷰파인더에의 유저의 접안을 검지하는, 촬상 장치.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검지부는, 유저의 시선을 검지하는, 촬상 장치.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검지부는, 상기 촬상 장치의 자세를 검지하는, 촬상 장치.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검지부는, 상기 촬상 장치의 흔들림을 검지하는, 촬상 장치.
  11. 유저가 관찰부를 사용하여 피사체를 관찰하는가 아닌가를 검지하는 단계; 및
    상기 유저가 상기 관찰부를 사용하여 상기 피사체를 관찰하지 않은 것을 검지했을 경우에, 촬영 광학계의 적어도 일부를 구동하는 액추에이터이며, 제1의 동작과, 상기 제1의 동작과는 다른 제2의 동작인 상기 액추에이터의 메인티넌스를 위한 동작을 행할 수 있는 상기 액추에이터에 상기 제2의 동작을 행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의 제어 방법.
  12. 유저가 표시부를 사용하여 피사체를 관찰하는가 아닌가를 검지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부에 상기 피사체의 화상이 표시되지 않은 경우와 상기 유저가 상기 표시부를 사용하여 상기 피사체를 관찰하지 않은 것을 검지하는 경우 중 하나의 경우에, 촬영 광학계의 적어도 일부를 구동하는 액추에이터이며, 제1의 동작과, 상기 제1의 동작과는 다른 제2의 동작인 상기 액추에이터의 메인티넌스를 위한 동작을 행할 수 있는 상기 액추에이터에 상기 제2의 동작을 행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의 제어 방법.
  13. 컴퓨터를, 관찰부를 사용한 피사체의 관찰이 유저에 의해 행해지지 않은 것을 검지했을 경우에, 촬영 광학계의 적어도 일부를 구동하는 액추에이터이며, 제1의 동작과, 상기 제1의 동작과는 다른 제2의 동작인 상기 액추에이터의 메인티넌스를 위한 동작을 행할 수 있는 상기 액추에이터에 상기 제2의 동작을 행하게 하는 제어부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억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
  14. 컴퓨터를, 표시부에 피사체의 화상이 표시되지 않고 있는 경우와 상기 표시부를 사용한 상기 피사체의 관찰이 유저에 의해 행해지지 않은 것을 검지한 경우 중 하나의 경우에, 촬영 광학계의 적어도 일부를 구동하는 액추에이터이며, 제1의 동작과, 상기 제1의 동작과는 다른 제2의 동작인 상기 액추에이터의 메인티넌스를 위한 동작을 행할 수 있는 상기 액추에이터에 상기 제2의 동작을 행하게 하는 제어부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억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
KR1020160019493A 2015-02-27 2016-02-19 촬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8937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039097 2015-02-27
JP2015039097A JP6548408B2 (ja) 2015-02-27 2015-02-27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5306A KR20160105306A (ko) 2016-09-06
KR101893779B1 true KR101893779B1 (ko) 2018-08-31

Family

ID=55661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9493A KR101893779B1 (ko) 2015-02-27 2016-02-19 촬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883106B2 (ko)
EP (1) EP3062507B1 (ko)
JP (1) JP6548408B2 (ko)
KR (1) KR101893779B1 (ko)
CN (1) CN10593358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53948B2 (ja) * 2015-05-25 2019-07-31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21131562A1 (ja) * 2019-12-27 2021-07-01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電子機器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憶媒体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23941A (ja) * 1999-12-01 2001-08-17 Ricoh Co Ltd 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
JP2012083774A (ja) * 2007-07-31 2012-04-26 Panasonic Corp カメラシステムおよびカメラ本体
US20120120258A1 (en) * 2010-11-15 2012-05-17 Edesix Limited Imaging Recording Apparatus
JP2015004960A (ja) * 2013-05-22 2015-01-0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撮像装置および撮像画像の表示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10494B2 (ja) * 1990-06-14 1998-10-15 キヤノン株式会社 ビデオカメラ装置
JP3530679B2 (ja) * 1996-06-14 2004-05-24 キヤノン株式会社 接眼検知機能付撮像装置
JP2004241922A (ja) * 2003-02-04 2004-08-26 Minolta Co Ltd 撮像装置
US7518649B2 (en) * 2003-09-04 2009-04-14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ickup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and control program
US8026688B2 (en) * 2006-04-11 2011-09-27 Konica Minolta Opto, Inc. Driving device
JP5110824B2 (ja) * 2006-08-21 2012-12-26 キヤノン株式会社 複数の振動波モータを駆動源として用いる駆動装置の制御方法、該制御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プログラム、及び該駆動装置の制御装置
JP4865464B2 (ja) * 2006-09-14 2012-02-01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および撮影レンズ
JP2009111844A (ja) * 2007-10-31 2009-05-21 Fujifilm Corp 撮影装置
JP5309719B2 (ja) * 2008-06-23 2013-10-09 株式会社ニコン 振動アクチュエータ、それを備えるレンズ鏡筒及びカメラ
JP5717510B2 (ja) * 2010-04-08 2015-05-13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記憶媒体
JP5693082B2 (ja) 2010-08-09 2015-04-01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
JP2013255310A (ja) * 2012-06-05 2013-12-19 Canon Inc 振動波駆動装置、撮像装置、及びそれらの駆動方法
US20160004619A1 (en) * 2014-07-03 2016-01-07 Apple Inc. Automated maintenance of an electronic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23941A (ja) * 1999-12-01 2001-08-17 Ricoh Co Ltd 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
JP2012083774A (ja) * 2007-07-31 2012-04-26 Panasonic Corp カメラシステムおよびカメラ本体
US20120120258A1 (en) * 2010-11-15 2012-05-17 Edesix Limited Imaging Recording Apparatus
JP2015004960A (ja) * 2013-05-22 2015-01-0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撮像装置および撮像画像の表示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883106B2 (en) 2018-01-30
JP2016161688A (ja) 2016-09-05
JP6548408B2 (ja) 2019-07-24
EP3062507A1 (en) 2016-08-31
CN105933580A (zh) 2016-09-07
US20160255277A1 (en) 2016-09-01
EP3062507B1 (en) 2018-04-18
KR20160105306A (ko) 2016-09-06
CN105933580B (zh) 2020-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78998B2 (ja) 撮像装置、画像生成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5653636B2 (ja) フォーカス制御装置
KR101799597B1 (ko) 교환 렌즈, 교환 렌즈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JP5888890B2 (ja) フォーカス制御装置
JP4532865B2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装置のフォーカス制御方法
WO2010004764A1 (ja) 撮像装置
KR101893779B1 (ko) 촬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6401494B2 (ja) ブレ補正装置、ブレ補正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並びに撮像装置
JP2012063751A (ja) 撮像装置
JP2013009106A (ja) 撮像装置
JP5783729B2 (ja) 液体レンズの駆動方法及び液体レンズを用いた撮像装置
JP5322629B2 (ja) 自動焦点検出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撮像装置
US10440272B2 (en) Imaging apparatus for controlling actuator which includes vibrator having contact portion and relative movement member with which the contact portion of the vibrator is pressurized and in contact, control method for the imaging apparatus, program of the imag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which stores the program of the imaging apparatus
JP2009053226A (ja) 撮影システムおよびデジタルカメラ
JP4689094B2 (ja) カメラ、レンズ装置およびカメラシステム
JP5927273B2 (ja) フォーカス制御装置及びフォーカス制御装置の制御方法
JP2008256800A (ja) カメラモジュール
JP5540935B2 (ja) 撮像装置
JP2010130434A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方法
US20200186717A1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JP6539114B2 (ja) 撮像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CN116744113A (zh) 控制装置、光学装置和控制方法
CN117714868A (zh) 控制装置、镜头装置、摄像装置、相机系统和控制方法
JP2009246699A (ja) 撮像装置
JP2011188394A (ja) 撮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