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2461B1 - 핵내유전자적 웅성불임성 유전인자인 ms3 판별용 분자마커 및 이를 이용한 검정방법 - Google Patents

핵내유전자적 웅성불임성 유전인자인 ms3 판별용 분자마커 및 이를 이용한 검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2461B1
KR101892461B1 KR1020100139957A KR20100139957A KR101892461B1 KR 101892461 B1 KR101892461 B1 KR 101892461B1 KR 1020100139957 A KR1020100139957 A KR 1020100139957A KR 20100139957 A KR20100139957 A KR 20100139957A KR 101892461 B1 KR101892461 B1 KR 1018924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q
male sterility
primer
sequence
pc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99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79565A (ko
Inventor
김신제
윤길영
이순봉
연초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프앤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프앤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프앤피
Priority to PCT/KR2010/009633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1081501A2/ko
Publication of KR201100795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95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24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24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76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 C12Q1/6888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etection or identification of organisms
    • C12Q1/6895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etection or identification of organisms for plants, fungi or alga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13Hybridisation assays
    • C12Q1/6827Hybridisation assays for detection of mutation or polymorphism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535/00Reactions characterised by the assay type for determining the identity of a nucleotide base or a sequence of oligonucleotides
    • C12Q2535/139Random amplification polymorphism detection [RAPD]

Abstract

본 발명은 핵내유전자적 웅성불임성 유전인자 ms 3 판별용 분자마커 및 이를 이용한 검정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서열번호 6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핵산을 포함하는 핵내유전자적 웅성불임성 유전인자인 ms 3 판별용 분자마커 및 이를 이용한 검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핵내유전자적 웅성불임성 유전인자 판별용 분자마커는 고추의 핵내유전자적 웅성불임성 유전인자의 유무를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으며, 분자마커를 이용해 다양한 유전자들의 유전형을 실험실내에서 DNA 분석을 통하여 유전인자를 손쉽게 판별할 수 있으며, 판별의 객관성 및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육종 과정에서의 선발 효율을 극대화시키고 선발시간을 단축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당대에 가임 및 불임 개체의 유전자형 판별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효과적인 품종육성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핵내유전자적 웅성불임성 유전인자인 ms3 판별용 분자마커 및 이를 이용한 검정방법{Molecular marker for discrimination genetic male sterility gene and detection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핵내유전자적 웅성불임성 안정화 유전인자를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는 핵내유전자적 웅성불임성 유전인자 판별용 분자마커 및 이를 이용한 검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품종육성에서 일대잡종(F1 hybrid)은 근교계(Inbred line)간의 교배로, 두 종의 순계간의 교배 자손이 양친 중 어느 한 쪽보다도 높은 생산 잠재력을 갖는 것을 잡종강세(Hybrid vigor)라고 한다. 이러한 잡종강세 일대잡종 종자를 얻기 중한 방법으로 자연적인 자가수분이 아닌 인공수분을 실시해야 한다. 꽃이 크고 한 개의 과실에 종자가 많이 들어있는 박과채소 등은 인공수분이 쉽고, 한 개의 과실 내에 종자가 많이 들어 있어 한 번의 교배로 많은 잡종종자를 얻을 수 있는 반면, 양파, 당근 등은 꽃이 작아 인공교배가 어렵고 한 번의 교배로 얻어지는 종자 수도 매우 적어 인공교배로 잡종을 생산하는 것은 현실성이 없다. 또한 자가수분과 타가수분이 동시에 가능한 식물인 양전화식물(Hermaphrodite)은 인공교배 전에 모계의 수술을 제거해 주어야한다. 이런 경우에 까다로운 제웅작업을 생략하면서 인공수분의 노력없이 자연수분을 통해 일대잡종을 얻는 방법이 웅성불임계를 모계로 사용하고, 정상의 가임계를 부계로 사용하는 것이다. 고추에서는 가임화와 불임화가 1:1로 나타나기 때문에 모계의 수술을 제거해 주는 제웅작업의 노력이 줄어든다.
웅성불임성(male sterility)은 자연계에서 일어나는 일종의 돌연변이로 웅성기관, 즉 수술의 형태적 또는 기능적 결함으로 인하여 수정능력이 있는 화분을 생산하지 못해 수분, 수정, 종자현상이 이루어지지 않는 현상을 말한다. 웅성불임성을 이용한 일대잡종 생산은 양파, 고추, 무, 파 등을 들 수 있는데, 웅성불임성을 이용할 경우 순도가 매우 높은 일대잡종 종자를 채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웅성불임성은 유전양식에 따라 크게 유전자적 웅성불임성(genic male sterility, GMS)과 세포질적 웅성불임성(cytoplasmic male sterility, CMS)으로 나눌 수 있다.
유전자적 웅성불임성(GMS)은 웅성불임성이 모본과 부본의 핵내 유전자의 상호작용에 의해서 일어나는 경우로 웅성불임성이 생존에 불리하게 작용하기 때문에 열성유전이 주로 발견되며 열성동형(homozygously recessive)인 경우에 불임성을 나타나게 된다. 웅성불임인자는 Ms로 표시하며 msms는 불임, Msms와 MsMs는 가임의 유전형이다.
세포질적 웅성불임성(CMS)은 웅성불임성이 세포질에 의해 일어나는 경우로 세포질에 있는 미토콘드리아에 들어 있는 유전물질에 의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따라서 모계유전(maternal inheritance)을 한다. 세포질 웅성불임은 세포질 유전을 하므로 모계를 따라가 어느 가임계를 교배하더라도 불임주가 나온다. 세포질 웅성불임계의 유지가 쉬워 이용하기 편리하나, 농가에 보급하게 될 일대잡종도 불임계가 나오게 되므로 과실이나 종자를 얻기 위해서 화분을 공급할 수 있는 수분주를 따로 심어야 하므로 현실성이 없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세포질 웅성불임성을 회복시키는 핵내의 회복유전자(restore gene)를 이용하는데, 이러한 방법이 세포질-유전자적 웅성불임성(cytoplasmic genic male sterility, CGMS)이며 고추, 양파 등에 이용되고 있다. 이 경우 웅성불임 세포질을 S, 정상의 세포질을 N, 핵 내 회복인자를 Rf라고 표기하면 웅성불임세포질에 회복유전자를 가지지 않은 상태를 Srfrf로 표현할 수 있고 이런 상태에서는 불임이 된다. 웅성불임의 세포질을 가지고 있더라도 불임세포질을 회복시킬 수 있는 핵내 회복유전자를 가지는 SRfRf, SRfrf 상태는 가임이 되며, 정상의 세포질을 가지는 경우는 핵 내 유전자와 관계없이 항상 가임이 된다.
최근에 고추는 국내에서 채소작물로는 생산량이 가장 높고 경세성이 우수한 작물로 현재 대부분의 일대잡종 종자생산에는 웅성불임과 회복친을 사용하고 있다. 이에 비해 분자수준에서 세포질웅성불임과 이를 회복하는 핵 내 회복인자에 대한 연구는 매우 저조하다.
고추에 있어 일대잡종이 잡종강세를 나타낸다는 것은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고추는 낙화가 심하고 1과당 종자수가 적어 인공교배로 1일대잡종을 채종할 경우 교배화당 채종량이 노력에 비해 적다. 따라서 인공교배에 의한 F1 종자의 대량생산이 어렵고 그에 따른 종자 값이 매우 비싸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추에서 발견된 세포질-유전자적 웅성불임성과 유전자적 웅성불임성의 이용이 필요하게 되어 이러한 고추의 웅성불임성을 이용한 일대잡종 육성이 상업화되어 가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현재 품질에 관한 과학적인 육종 기준 및 분자표지 개발과 같은 기초 연구가 미흡하며, 경제 형질들의 대부분은 양적 형질로서 육종에 어려움이 있으며, 이러한 문제의 대안으로 분자유전학적 기술을 사용하는 것이 제시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RAPD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고추 핵내유전자적 웅성불임성 유전인자 판별용 분자표지 마커를 개발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핵내유전자적 웅성불임성 유전인자 판별용 분자마커, 핵내유전자적 웅성불임성 유전인자 검출용 프라이머, 핵내유전자적 웅성불임성 유전인자의 검정방법 및 핵내유전자적 웅성불임성 유전인자 검출용 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서열번호 6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핵산을 포함하는 핵내유전자적 웅성불임성 유전인자(ms 3 ) 판별용 분자마커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서열번호 6의 염기서열 중에서 선택되는 일련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지고, 상기 서열번호 6으로 기재되는 유전자를 증폭시킬 수 있는 핵내유전자적 웅성불임인자(ms 3 ) 검출용 프라이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머는 서열번호 2 내지 5 및 서열번호 7 내지 15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염기서열 또는 이에 상보적인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본 발명에 따른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식물체의 게놈 DNA를 분석하는 것을 포함하는 핵내유전자적 웅성불임성 유전인자의 검정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분석은 RFLP(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erphism), RAPD(randomly amplified polymorphic DNA), DAF(DNA amplification fingerprinting), AP-PCR(arbitrarily primed PCR), STS(sequence tagged site), EST(expressed sequence tag), SCAR(sequence characterized amplified regions), ISSR(inter-simple sequence repeat amplication), AFLP(amplified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CAPS(cleaved amplified polymorphic sequence), PCR-SSCP(single-strand conformation polymorphism), PCR(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Reverse transcriptase PCR), DNA 시퀀싱(DNA sequencing), 마이크로어레이(microarray)에 의한 혼성화, 노던 블럿(Northern blot) 및 서던 블럿(Southern blot)으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방법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핵산, 또는 본 발명의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식물체의 게놈 DNA를 연속적으로 획득 및 분석하는 것을 포함하는 핵내유전자적 웅성불임성 식물체의 유전자형(genotype)을 결정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핵내유전자적 웅성불임성 유전인자 ms3 판별용 분자마커는 고추의 핵내유전자적 웅성불임성 유전인자의 유무를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으며, 분자마커를 이용해 다양한 유전자들의 유전형을 실험실내에서 DNA 분석을 통하여 유전인자를 손쉽게 판별할 수 있으며, 판별의 객관성 및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육종 과정에서의 선발 효율을 극대화시키고 선발시간을 단축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당대에 가임 및 불임 개체의 유전자형 판별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효과적인 품종육성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UBC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RAPD 분석을 수행한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 Ms3(F, 빨간색)와 ms3(S, 파란색)에서 다형성을 나타내는 프라이머를 선발하였다.
도 2는 서열번호 2와 3의 프라이머 쌍을 이용하여 PCR을 수행한 후, Ms3와 ms3의 염기서열을 비교 분석하고, 새롭게 제조된 프라이머의 위치를 나타낸 것이다. 그림에서 F는 692bp, S는 701bp, 빨간 지표는 1차 PCR 프라이머 위치, 파란지표는 2차 PCR 프라이머 위치를 나타낸다.
도 3은 Nested PCR 산물을 이용한 제한효소 Alu1 처리 후 각 유전인자에 따른 밴드 차이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확장된 염기서열인 서열번호 6의 염기서열 내에서 제작된 서열번호 12와 15의 프라이머쌍을 이용하여 분석한 PCR 산물을 제한효소 Alu1 처리 후 각 유전인자에 따른 밴드 차이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확장된 염기서열인 서열번호 6과 기존 염기서열(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내에서 제작된 서열번호 11과 5의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분석한 PCR 산물을 제한효소 Alu1 처리 후 각 유전인자에 따른 밴드 차이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고추의 핵내유전자적 웅성불임성 유전인자 판별용 분자마커 개발에 관한 것으로 RAPD(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찾은 유전자 분자마커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가임주와 불임주 분자마커의 다형성 분석 확인하여, 분자마커의 다형성 차이를 보이는 부분을 증폭할 수 있는 프라이머를 제작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공시재료분자특이적인 염색체 단편을 중합효소연쇄반응(PCR)을 이용하여 증폭시킨 다음, PCR 산물을 Alu1 제한효소를 이용하여 자르고 아가로스겔에 전기영동 결과 고추의 핵내유전자적 웅성불임 유전인자를 판별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핵내유전자적 웅성불임성 유전인자 판별용 분자마커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핵내유전자적 웅성불임성 유전인자 ms 3 판별용 분자마커”란 식물체의 게놈 내에서 핵내유전자적 웅성불임성 유전인자의 유전자와 상당히 근접하여 위치하고, 식물체의 핵내유전자적 웅성불임성 유전인자의 형질과 연관 정도가 높은 핵산을 말한다. 따라서, 핵산의 염기서열이 나타내는 어떠한 다형성을 사용하더라도 식물체의 핵내유전자적 웅성불임성 유전인자의 유무를 확인할 수 있으며, 당대에 가임 및 불임 개체를 선발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핵내유전자적 웅성불임성 유전인자 판별용 분자마커는 서열번호 6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핵산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핵산은 RNA, DNA 및 cDNA를 모두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DNA를 말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분자마커는 서열번호 6의 염기서열 중에서 선택되는 일련의 염기서열명의 상기 분자마커는 서열번호 6의 유전인자 검출용 프라이머를 포함하며, 구체적으로 서열번호 2 내지 서열번호 5의 염기서열 및 서열번호 7 내지 15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프라이머에 의해 증폭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서열번호 2 및 3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조합, 서열번호 4 및 5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조합, 서열번호 12 및 13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조합, 서열번호 12 및 15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조합, 서열번호 11 및 14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조합, 및 서열번호 11 및 5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조합에 의해 증폭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서열번호 6의 염기서열 중에서 선택되는 일련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지고, 상기 서열번호 6으로 기재되는 유전자를 증폭시킬 수 있는 핵내유전자적 웅성불임성 유전인자 검출용 프라이머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프라이머는 서열번호 2 내지 서열번호 5의 염기서열 및 서열번호 7 내지 서열번호 15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염기서열 또는 이에 상보적인 염기서열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핵내유전자적 웅성불임성 유전인자 검출용 프라이머는 핵내유전자적 웅성불임인자의 유전자에 상보적으로 혼성화될 수 있는 프라이머를 말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핵내유전자적 웅성불임성 유전인자의 특이 유전자를 증폭할 수 있는 프라이머 또는 프라이머 쌍일 수 있다. 상기 “증폭할 수 있는 프라이머”란 적절한 버퍼 중의 적절한 조건(예를 들면, 4개의 다른 뉴클레오시드 트리포스페이트 및 DNA, RNA 폴리머라제 또는 역전사 효소와 같은 중합제) 및 적당한 온도 하에서 주형-지시 DNA 합성의 시작점으로서 작용할 수 있는 단일가닥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말한다.
본 발명의 프라이머는 핵내유전자적 웅성불임성 유전인자 형질에 연관된 다형성 검출에 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형(예를 들면: 부가, 결실, 치환)될 수 있으며, 주형과 완전하게 상보적일 필요는 없으나, 주형과 혼성화할 정도로 충분히 상보적이어야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핵내유전자적 웅성불임성 유전인자를 검출할 수 있는 상기 프라이머로는 서열번호 2 내지 서열번호 5의 염기서열 및 서열번호 7 내지 서열번호 15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프라이머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서열번호 2 및 3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조합, 서열번호 4 및 5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조합, 서열번호 12 및 13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조합, 서열번호 12 및 15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조합, 서열번호 11 및 14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조합, 및 서열번호 11 및 5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프라이머쌍 및 이들 프라이머 쌍을 구성하는 개별 염기서열의 상보적인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프라이머 쌍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프라이머 쌍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핵내유전자적 웅성불임성 유전인자 검출용 프라이머 쌍에 있어서, 하기에 기재된 서열번호 2 및 3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쌍의 경우 핵내유전자적 웅성불임성 유전인자의 특이 유전자를 약 675bp로 증폭시켰다.
서열번호 2(FPG2MSA-F) : 5'-CACAAAGAGCGTAGGGAAAGGTGT-3'
서열번호 3(FPG2MSA02-R) : 5'-CAGGCGCACATCAAAGTGAAAACC-3'
또한, 하기에 기재된 서열번호 4 및 5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프라이머 쌍의 경우 핵내유전자적 웅성불임성 유전인자의 특이 유전자를 약 476bp로 증폭시켰다.
서열번호 4(FPMS2-3-F) : 5'-GTAGATAGCATTTCTAGGCATGTA-3'
서열번호 5(FPMS2-3-R) : 5'-GTTTCCATAGAGTAGTTGTGCATG-3'
본 발명의 프라이머는 RFLP(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erphism), RAPD(randomly amplified polymorphic DNA), DAF(DNA amplification fingerprinting), AP-PCR(arbitrarily primed PCR), STS(sequence tagged site), EST(expressed sequence tag), SCAR(sequence characterized amplified regions), ISSR(inter-simple sequence repeat amplication), AFLP(amplified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CAPS(cleaved amplified polymorphic sequence), PCR-SSCP(single-strand conformation polymorphism), PCR(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Reverse transcriptase PCR), DNA 시퀀싱(DNA sequencing), 마이크로어레이(microarray)에 의한 혼성화, 노던 블럿(Northern blot), 서던 블럿(Southern blot) 등과 같이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DNA 다형성 분석에 적합하도록 디자인될 수 있다. DAF 분석을 위해서는 5~8개의 염기로 이루어진 프라이머를 디자인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STS 분석을 위한 프라이머는 RFLP 표지의 말단 염기서열과 일치하게 디자인할 수 있으며, SCAR 분석을 위한 프라이머는 RAPD 표지의 말단 염기서열에 입각하여 디자인할 수 있다. 또한, CAPS 분석을 위한 프라이머는 적절한 제한효소 자리가 포함되도록 디자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핵내유전자적 웅성불임성 유전인자 판별용 분자마커는 고추의 종자 생산을 위한 육종에 있어 유전자형의 판별을 용이하게 하여 당대에 가임 및 불임 개체의 유전자형 판별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효과적인 품종육성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핵산 또는 프라이머에 의해 증폭시켜 특정 뉴클레오티드 밴드를 발현시킴으로써 고추의 게놈 DNA를 분석하는 것을 포함하는 핵내유전자적 웅성불임성 유전인자의 검정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으로는,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예를 들어, RFLP(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erphism), RAPD(randomly amplified polymorphic DNA), DAF(DNA amplification fingerprinting), AP-PCR(arbitrarily primed PCR), STS(sequence tagged site), EST(expressed sequence tag), SCAR(sequence characterized amplified regions), ISSR(inter-simple sequence repeat amplication), AFLP(amplified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CAPS(cleaved amplified polymorphic sequence), PCR-SSCP(single-strand conformation polymorphism), PCR(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Reverse transcriptase PCR), DNA 시퀀싱(DNA sequencing), 마이크로어레이(microarray)에 의한 혼성화, 노던 블럿(Northern blot) 및 서던 블럿(Southern blot)으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방법에 의하여 수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RFLP, RAPD 또는 CAPS 분석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검정방법은 하기의 단계를 포함하는 CAPS 분석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a) 임성주와 불임주로부터 얻은 각 게놈 DNA를 주형으로 하고, 서열번호 6의 염기서열 중에서 선택되는 일련의 염기를 포함하는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PCR을 수행하는 단계;
(b) PCR 산물을 제한효소로 절단하는 단계;
(c) 절단된 DNA 단편들을 아가로스 겔에 로딩하여 전기영동하는 단계; 및
(d) 전기영동이 완료된 겔의 DNA 밴드 양상을 비교하는 단계.
상기 (a) 단계의 프라이머는 서열번호 2 내지 서열번호 5 및 서열번호 7 내지 서열번호 15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일련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프라이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b) 단계의 제한효소는 서열번호 6의 염기서열 내에 존재하는 제한효소라면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Alu1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정방법은 하기의 단계를 포함하는 RAPD 분석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a) 임성주와 불임주로부터 얻은 각 게놈 DNA를 주형으로 하고, 서열번호 6으로 기재되는 염기서열을 증폭할 수 있는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PCR을 수행하는 단계;
(b) PCR 산물을 아가로스 겔에 로딩하여 전기영동하는 단계; 및
(c) 전기영동이 완료된 겔의 DNA 밴드 양상을 비교하는 단계.
상기 (a) 단계의 프라이머는 서열번호 6으로 기재되는 핵산을 증폭하기 위해 당업자가 디자인할 수 있는 모든 염기서열을 가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서열번호 2 내지 서열번호 5 및 서열번호 7 내지 서열번호 15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일련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프라이머일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서열번호 6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핵산 또는 서열번호 6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핵산의 염기서열 중에서 선택되는 일련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식물체의 게놈 DNA를 연속적으로 획득 및 분석하는 것을 포함하는 핵내유전자적 웅성불임 식물체의 유전자형(genotype)을 결정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의 분자마커는 고추의 육종에 있어서 ms 3 인자를 보유한 집단 내에서 핵내유전자적 웅성불임성 안정화 유전인자의 유무를 판별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핵산 또는 프라이머의 존재 하에서 식물체의 게놈 DNA를 분석하는 것을 포함하는 핵내유전자적 웅성불임성 유전인자의 유전자형을 결정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DNA 다형성 분석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방법은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방법을 통해 핵내유전자적 웅성불임성 유전인자를 확인하기 위한 대상으로는 고추가 속한 가지과 작물인 가지, 토마토, 페튜니아 등과 애기장대가 속한 무, 양배추, 꽃양배추와 같은 십자화과 작물들, 백합과, 국화과에 속하는 화훼 작물들, 그 외 포플라와 같은 목본 식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고추이다.
나아가 본 발명은 서열번호 6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핵산의 염기서열 중에서 선택되는 일련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핵내유전자적 웅성불임성 유전인자 검출용 키트를 제공한다. 상기 프라이머는 바람직하게 서열번호 2 내지 서열번호 5 및 서열번호 7 내지 서열번호 15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프라이머일 수 있다. 상기 키트에는 상기 핵산 또는 프라이머 및 PCR을 이용한 미생물 또는 바이러스 검출키트의 통상적인 구성성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통상적인 구성성분으로는 반응완충액, DNA 중합효소, dNT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핵산 또는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핵내유전자적 웅성불임성 유전인자를 검출하는데 필요한 실험과정(예: PCR, 서던 블럿 등) 및 결과 확인에 필요한 여러 가지 시약들, 예컨대, PCR 반응 혼합물, 제한효소, 아가로스, 혼성화 또는 전기영동에 필요한 완충용액 등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와 같은 분자유전학적 기술은 고추의 육종에 이용되면서 목적 형질에 밀접히 연관된 RELP, AFLP, RAPD, SSR 등 분자표지를 찾아내어 사용함으로써 선발에 객관성, 목적성을 부여하며, 선발효과를 증대하고 선발시간을 단축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개발된 분자마커는 자연계에 존재하거나 교배를 통해 얻어진 다양한 유전자들의 유전형을 식물체를 포장에서 직접 재배하면서 개화기에 화기의 구조 및 화분의 생성 유무를 관찰하지 않고 실험실내에서 DNA 분석을 통한 유전인자를 손쉽게 판별할 수 있다. 이는 일반적인 교배를 이용한 판별 방법보다 분석시간을 단축시킬 뿐만 아니라, 환경의 영향을 전혀 받지 않기 때문에 판별의 객관성 및 신뢰도를 높일 수 있고 실제 육종을 하면서 인공 교배 단계와 육안으로 확인하는 임성의 안정성 확인 단계를 생략할 수 있어 육종 과정에서의 선발 효율을 극대화 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ms 3 유전인자 보유 계통을 이용한 집단육성 및 임성조사
본 발명자들은 Ms3Ms3×ms3ms3의 교배를 통해 육성된 F1(Ms3ms3) 개체를 자가수분시켜 Ms3Ms3:Ms3ms3:ms3ms3=1:2:1로 분리되는 집단을 육성하였다. 이렇게 육성된 각 개체의 임성조사 및 후대 임성조사를 통하여 웅성불임성 관련 유전인자를 조사하였다. 일반적으로 고추와 관련된 GMS현상은 자연발생적인 것 또는 x-ray, gamma rays 및 ethylmethanesulfonate(EMS)에 의한 돌연변이에서 나타나는데, 이러한 다양한 GMS resources중에 ms 1 , ms 3 ms k 는 일반적으로 잡종종자 생산에 이용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웅성불임성 관련 유전인자인 ms 3 는 P. Kapia No.794에 X-ray를 처리하여 유기한 것이다.
< 실시예 2>
고추 잎으로부터 gDNA 추출
육종된 ms 3 (1:1)집단의 gDNA 추출을 위해서 고추 잎 100㎎에 2×CTAB 버퍼(1% PVP + 0.2% mercaptoethanol) 750㎕를 첨가하여 그라인더(grinder)를 이용하여 잎을 파쇄하고 60℃에서 1시간 반응시켰다. 다음으로, 클로로폼 750㎕를 넣고 섞어준 뒤, 상온에서 5분 보관 후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12,000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였다. 원심분리 후, 상층액만을 수거(450∼500㎕)하여 새로운 1.7㎖ 튜브에 넣고 3M NaOAC 50㎕와 100% 에탄올 1㎖를 넣은 후 섞고 -4℃에서 1시간 배양하였다.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12,000rpm, 4℃에서 15분간 원심분리한 후, 상층액을 버리고 70% 에탄올 500㎕를 첨가하여 12,000rpm에서 3분간 원심분리 후 상층액을 버리고 건조시켰다. 다음으로 TE 버퍼를 넣은 후 37℃에서 1시간∼3시간 반응시켜 게놈DNA를 분리하였다.
< 실시예 3>
BSA - RAPD 수행
상기 <실시예 2>에서 분리된 gDNA를 이용하여 BSA(Bulked Segregant Analysis)의 방법으로 RAPD(Randomly Amplified Polymorphic DNA)를 수행하였다. 분리된 gDNA를 이용하여 Ms와 ms를 각각 5개씩 섞어 2개 씩 총 4개의 벌크(bulk)를 만든 후, PCR하여 선택증폭을 하였다. PCR 반응 조성물은 주형 DNA 50 ng, 10×PCR 완충액(1.5mM MgCl2 포함), dNTPs 200μM, taq DNA 중합효소 2 Unit, 프라이머 10μM를 혼합하고 증류수(D.W.)로 총 부피를 25㎕로 조정하여 반응액을 조성하였다. BSA-RAPD 수행시 Operon 프라이머 520개와 UBC 프라이머 800개를 이용하여 스크리닝을 수행하였다. 그런 다음, PCR 반응액을 94℃에서 4분간 변성시킨 후, 94℃에서 1분, 37℃에서 1분, 72℃에서 1분 30초를 한 사이클로 하여 총 45회 반복실시한 후, 72℃에서 10분간 반응시켜 합성하였다. 반응이 끝난 PCR 반응 산물을 1.5% 아가로스 겔 상에서 전기영동으로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Ms3와 ms3에서 차이를 나타내는 UBC 284 프라이머를 선발하였다(도 1 참조).
< 실시예 4>
RAPD 후 선발된 프라이머를 이용한 PCR 및 염기서열 분석
상기 <실시예 3>에서 선발된 UBC 284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PCR을 수행한 후, Ms3와 ms3 각각의 밴드를 클로닝하여 염기서열을 분석하여 총 696bp의 뉴클레오타이드의 정보를 확인하였다(서열번호 1). 분석된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을 이용하여 프라이머를 제작하였으며, 제작된 프라이머의 염기서열을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프라이머 서열
순서 프라이머명 염기서열 (5‘→3’) 서열번호
1 FPG2MSA-F CACAAAGAGCGTAGGGAAAGGTGT 2
2 FPG2MSA02-R CAGGCGCACATCAAAGTGAAAACC 3
제작된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PCR을 수행하였으며, PCR 조건은 초기 변성(predenaturation); 94℃에서 3분, 변성(denaturation); 94℃에서 30초, 프라이머 접합(annealing); 60℃에서 30초, 중합반응(extension); 72℃에서 1분을 한 사이클로 하여 총 25회 반복 실시한 후, 추가 중합반응(post-extension); 72℃에서 10분간 반응시켰다. 이런 과정을 통해 얻어진 PCR 산물을 주형으로 이용하여 다음의 실시예 5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시예 5>
Nested PCR 을 통한 유전인자 표지마커 개발
상기 <실시예 4>에서 제작된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PCR을 수행한 후, Ms3와 ms3 각각의 밴드를 클로닝하여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 2의 서열번호와 같이 Ms3와 ms3의 염기서열에서 다형성을 확인하였고,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 내에서 새로운 프라이머를 제작하였다. 제작된 프라이머의 염기서열을 하기 표 2에 기재하였다.
프라이머 서열
순서 프라이머명 염기서열 (5‘→3’) 서열번호
1 FPMS2-3-F GTAGATAGCATTTCTAGGCATGTA 4
2 FPMS2-3-R GTTTCCATAGAGTAGTTGTGCATG 5
FPG2MSA-F/FPG2MSA02-R 프라이머 조합을 이용하여 1차 PCR 수행 후, 1차 PCR 산물을 주형(template)으로 이용하여 FPMS2-3 F/R 프라이머 조합을 이용하여 2차 PCR을 수행하였다. 2차 PCR은 변성(predenaturation); 94℃에서 3분, 변성(denaturation); 94℃에서 30초, 프라이머 접합(annealing); 58℃에서 30초, 중합반응(extension); 72℃에서 1분을 한 사이클로 하여 총 25회 반복 실시한 후, 추가중합반응(post-extension); 72℃에서 10분간 반응시키는 조건으로 수행하였다. 반응이 끝난 PCR 반응 산물에 Alu1 제한효소를 1시간 30분간 37℃에서 처리하여 절단한 후 2% 아가로스 겔 상에서 확인하였다.
그 결과, 염기서열 4 및 5의 프라이머 조합으로 증폭된 DNA 단편의 크기는 476bp이다. 이 반응 산물에 제한효소를 처리함으로써 가임개체들은 303bp, 162bp로 나타나고, 불임개체는 476bp 밴드가 확인되었다. 또한 MsMs 형태인 가임헤테로 경우에는 476bp, 303bp, 162bp로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임과 불임뿐만 아니라 가임 유전집단내에서 호모와 헤테로 구분이 가능한 CAPS 마커로 전환하였다. 이를 통해 MS3 유전인자 집단에 이용되는 유전자적 웅성불임성(GMS) 분자표지 마커로 활용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6>
Inverse PCR 을 통한 염기서열 확장
나아가 본 발명자들은 도 2, 즉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보다 더 확장된 염기서열을 수득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이러한 실험은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을 갖는 분자마커보다 더 확장된 염기서열을 갖는 분자마커를 발굴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수행한 것으로서, Inverse PCR을 통해 확장된 염기서열을 수득하였는데, 즉, Inverse PCR은 SpeⅠ, HincⅡ와 같은 제한효소를 이용하여 두 차례에 걸쳐 수행하였다. Inverse PCR 조건은 초기 변성(predenaturation); 94℃에서 5분, 변성(denaturation); 94℃에서 1분, 프라이머 접합(annealing); 62℃에서 1분, 중합반응(extension); 72℃에서 2분을 한 사이클로 하여 총 40회 반복 실시한 후, 추가 중합반응(post-extension); 72℃에서 10분간 반응시켰다. 이런 과정을 통해 얻어진 PCR 산물은 클로닝 과정을 통해 염기서열을 확장하시켰으며, 상기 PCR에서 사용한 프라이머 서열은 하기 표 3에 기재된 바와 같다.
염기서열 확장을 위해 수행된 inverse PCR시 사용된 프라이머
프라이머명 염기서열 (5‘→3’) 서열번호
FPG2AI602-F CACAATATTCCAAGTTTGTAAGAG 7
FPG2AI521-R ATGGGTCTTCCTTTTGTGATACTC 8
FPG2AI144-F GTAGTCCCTAAATAGACATAAACC 9
FPG2AI72-R CCTTCATGTGTTTTCTATGTTAAG 10
그 결과, 서열번호 1보다 염기서열이 더 확장된 서열번호 6의 염기서열을 갖는 약 1.4kb의 DNA를 확보할 수 있었다.
<실시예 7>
확장된 염기서열을 통한 유전인자 표지마커 개발
상기 실시예 6의 결과 수득한 서열번호 6의 염기서열 내에서 새로운 프라이머를 제작하였는데, 제작된 프라이머의 염기서열은 하기 표 4에 기재하였고, 제작된 프라이머들 중 서열번호 12 및 13, 서열번호 12 및 15, 서열번호 11 및 14의 프라이머 쌍을 이용하여 PCR 반응을 수행하였고, 제한효소를 이용한 분석을 통해 본 발명에서 규명한 서열번호 6의 염기서열을 유전자적 웅성불임성(ms 3 ) 분자표지 마커로 사용할 수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먼저 PCR 반응은 변성(predenaturation); 94℃에서 3분, 변성(denaturation); 94℃에서 30초, 프라이머 접합(annealing); 62℃에서 30초, 중합반응(extension); 72℃에서 1분을 한 사이클로 하여 총 25회 반복 실시한 후, 추가중합반응(post-extension); 72℃에서 10분간 반응시키는 조건으로 수행하였다. 반응이 끝난 PCR 반응 산물은 다시 Alu1 제한효소를 1시간 30분간 37℃에서 처리하여 절단한 후 1.5% 아가로스 겔 상에서 절단 여부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임과 불임뿐만 아니라 가임 유전집단내에서 호모와 헤테로 구분이 가능한 CAPS 마커로 전환이 가능하였고, 이를 통해 확장된 염기서열내에서 개발된 유전자적 웅성불임성(ms 3 ) 분자표지 마커로 활용이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확장된 1.4kb 염기서열내에서 제작된 프라이머 서열
프라이머명 염기서열 (5‘→3’) 서열번호
FPG2NE01-F CCACCCTAAGATGGTTCTAGGATA 11
FPG2NE02-F GTAGCCATGGCTGTGGTTTTCAAC 12
FPG2E04-R TTGGGTCCGTCTATTCGTGTCTAC 13
FPG2E05-R CGTTGTATTTGTTGGTTCAAGTCC 14
FPG2E04p-R GTTTTGGGTCCGTCTATTCGTGTCTAC 15
< 실시예 8>
기존 염기서열과 확장된 염기서열에서 유전인자 표지마커 개발
나아가 본 발명자들은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에서 앞쪽으로 더 확장된 염기서열(즉, 서열번호 6의 염기서열 중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에는 없었던 앞쪽의 염기서열 부분)과 기존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을 토대로 새로운 프라이머 조합을 제작하였는데, 즉 서열번호 11 및 5의 프라이머 쌍을 이용하여 PCR 반응을 수행하였다. PCR은 변성(predenaturation); 94℃에서 4분, 변성(denaturation); 94℃에서 1분, 프라이머 접합(annealing); 60℃에서 1분, 중합반응(extension); 72℃에서 1분 30초를 한 사이클로 하여 총 35회 반복 실시한 후, 추가중합반응(post-extension); 72℃에서 10분간 반응시키는 조건으로 수행하였다. 반응이 끝난 PCR 반응 산물에 Alu1 제한효소를 1시간 30분간 37℃에서 처리하여 절단한 후 1.5% 아가로스 겔 상에서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작한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PCR을 수행한 후, 제한효소 처리를 통한 분석으로 가임과 불임뿐만 아니라 가임 유전집단내에서 호모와 헤테를 구분할 수 있는 CAPS 마커로 사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확장된 염기서열(즉, 서열번호 6의 염기서열)은 유전자적 웅성불임성(ms 3 ) 분자표지 마커로 활용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FNP, Inc. <120> Molecular marker for discrimination genetic male sterility gene and detection method using the same <160> 15 <170> KopatentIn 1.71 <210> 1 <211> 696 <212> DNA <213> Capsicum annuum <220> <221> gene <222> (1)..(696) <223> ms3 gene <400> 1 caggcgcaca aagagcgtag ggaaaggtgt catcatacaa gtacttacta attttaagct 60 cattgtcatt agcaatctta acatagaaaa cacatgaagg aggagtagat agcatttcta 120 ggcatgtaac actttctctt tcaagagagt agtccctaaa tagacataaa ccatcatgga 180 cagaaaaggg atcacaatca aaaccaactt tacaagaaca aatactaacc gggttttcta 240 gacatttaag aacgtcaagg tcatcgtcac ccgattgatc atttttcaaa tcctcactag 300 ttgttggcaa cttatataca ctcaccttgg ttttcacaag ggtcaactag tgtgtaatac 360 ccttattaaa tggcaatgaa atcttactca agtcacaagt gctagtagct ctagatggac 420 ataaatcatt cttaatagaa gaattaattt tgtcatctaa aggatcaact agtgcttgct 480 tacttttaac aagaaattgg ttgtcatgca tcctaacaat acctagagta tcacaaaagg 540 aagacccatg cacaactact ctatggaaac ccgaaatgac tccaatatgg atactactag 600 ccacatcaca atattccaag tttgtaagag tatgcggatt agaattttta ccttgtaact 660 cacatgaatt acggttttca ctttgatgtg cgcctg 696 <210> 2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PG2MSA-F <400> 2 cacaaagagc gtagggaaag gtgt 24 <210> 3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PG2MSA01-R <400> 3 caggcgcaca tcaaagtgaa aacc 24 <210> 4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PMS2-3-F <400> 4 gtagatagca tttctaggca tgta 24 <210> 5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PMS2-3-R <400> 5 gtttccatag agtagttgtg catg 24 <210> 6 <211> 1396 <212> DNA <213> Capsicum annuum <220> <221> gene <222> (1)..(1396) <223> extended ms3 gene <400> 6 ctttcccacc ctaagatggt tctaggataa aaagggcaaa gtagccatgg ccgtggtttt 60 caaccatact tactttctcc taaggtgccg ccctaaaaac taggcatacc ctctatatca 120 ctatagaaaa tatcatgcgc acaaagagcg tagggaaagg tgtcatcatc caagtactta 180 ctaattttaa gctcattgtc attagcaatc ttaacataga aaacacatga aggaagagta 240 gatagcattt ctaggcatgt aacactttct ctttcaagag agtagtccct aaatagacat 300 aaaccatcat ggacagaaaa gggatcacaa tcaaagccaa ctttacaaga acaaatacta 360 accgggtttt ctagacattc aagaacgtca aggtcatcgt cacccgattg atcatttttc 420 aaatcctcac tagttgttgg caacttatat accaacttag actcaccttg gttttcacaa 480 gggtcaacta gtgtgtgaat acccttatta aatggcaatg aaaccttact caagtcacaa 540 gtgctagtag cactagatgg acataaatca ttcttaatag aagaattaat tttgtcatct 600 aaaggatcaa ctagtgcttg cttactttta acaagaaatt ggttatcatg catcctaaca 660 atacctagag tatcacaaaa ggaagaccca tgcacaacta ctctatggaa acccgaaatg 720 actcccatat ggatactact agccacatca caatattcca agtttgtaag agtatgcgga 780 ttagaatttt accttgtaac tcacatgaat tacggttttc actttgatgt gcgcctgaca 840 acccacttgt acctttgaca agttctcatc acaagggaga ctttgatata gtggtttgta 900 tgtcatccat tccctttctc atctttcaca atcacagagg atagtttcaa gatgggccat 960 taatccttgg tcaagtggaa gttggattaa tggttttgga tttggggagt caagcatgtg 1020 acgtagtctt tcaaggtttt ggtggacata ttcaagggct gccttggaag tactgtcatc 1080 catcatgtga cataagaaag acaacaaaag aaacaaacaa acaacttgtt agctcaaatt 1140 agcctcacca tgctctcact ctcgatttta cctcacactt agtttcacaa gtgttgaaag 1200 ccgacttgta ctttgtgagt gattgaggga tgagtccgtc ttggcccgga atagattttc 1260 atttgagttg actcaaataa aatttgtttc ggacttgaac caacaaatac aacgaattta 1320 caaaagagaa aaacacacaa agaaagtaga cacgaataga cggacccaaa actatcttac 1380 aatctagtag ataatt 1396 <210> 7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PG2AI602-F primer <400> 7 cacaatattc caagtttgta agag 24 <210> 8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PG2AI521-R primer <400> 8 atgggtcttc cttttgtgat actc 24 <210> 9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PG2AI144-F primer <400> 9 gtagtcccta aatagacata aacc 24 <210> 10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PG2AI72-R primer <400> 10 ccttcatgtg ttttctatgt taag 24 <210> 11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PG2NE01-F primer <400> 11 ccaccctaag atggttctag gata 24 <210> 12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PG2NE02-F primer <400> 12 gtagccatgg ctgtggtttt caac 24 <210> 13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PG2E04-R primer <400> 13 ttgggtccgt ctattcgtgt ctac 24 <210> 14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PG2E05-R primer <400> 14 cgttgtattt gttggttcaa gtcc 24 <210> 15 <211> 27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PG2E04p-R primer <400> 15 gttttgggtc cgtctattcg tgtctac 27

Claims (6)

  1. 서열번호 6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핵산을 포함하는 고추의 핵내유전자적 웅성불임성 유전인자(ms3 ) 판별용 분자마커.
  2. 서열번호 6의 염기서열 중에서 선택되는 일련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지고, 상기 서열번호 6으로 기재되는 유전자를 증폭시킬 수 있는 고추의 핵내유전자적 웅성불임인자(ms3 ) 검출용 프라이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머는 서열번호 2 내지 5 및 서열번호 7 내지 15의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염기서열 또는 이에 상보적인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추의 핵내유전자적 웅성불임성 유전인자 검출용 프라이머.
  4. 제2항 또는 제3항의 프라이머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고추의 게놈 DNA를 분석하는 것을 포함하는 고추의 핵내유전자적 웅성불임성 유전인자의 검정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은 RFLP(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erphism), RAPD(randomly amplified polymorphic DNA), DAF(DNA amplification fingerprinting), AP-PCR(arbitrarily primed PCR), STS(sequence tagged site), EST(expressed sequence tag), SCAR(sequence characterized amplified regions), ISSR(inter-simple sequence repeat amplication), AFLP(amplified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CAPS(cleaved amplified polymorphic sequence), PCR-SSCP(single-strand conformation polymorphism), PCR(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Reverse transcriptase PCR), DNA 시퀀싱(DNA sequencing), 마이크로어레이(microarray)에 의한 혼성화, 노던 블럿(Northern blot) 및 서던 블럿(Southern blot)으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방법에 의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추의 핵내유전자적 웅성불임성 유전인자의 검정방법.
  6. 제1항의 분자마커, 또는 제2항 또는 제3항의 프라이머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고추의 게놈 DNA를 연속적으로 획득 및 분석하는 것을 포함하는 고추의 핵내유전자적 웅성불임성 관련 유전자형(genotype)을 결정하는 방법.
KR1020100139957A 2009-12-31 2010-12-31 핵내유전자적 웅성불임성 유전인자인 ms3 판별용 분자마커 및 이를 이용한 검정방법 KR1018924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0/009633 WO2011081501A2 (ko) 2009-12-31 2010-12-31 핵내유전자적 웅성불임성 유전인자인 엠에스3 판별용 분자마커 및 이를 이용한 검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135917 2009-12-31
KR1020090135917 2009-12-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9565A KR20110079565A (ko) 2011-07-07
KR101892461B1 true KR101892461B1 (ko) 2018-09-03

Family

ID=44918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9957A KR101892461B1 (ko) 2009-12-31 2010-12-31 핵내유전자적 웅성불임성 유전인자인 ms3 판별용 분자마커 및 이를 이용한 검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246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03309B (zh) * 2021-05-08 2023-08-08 深圳市农业科技促进中心 一种与芥蓝隐性核雄性不育相关的snp分子标记及其应用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Euphytica, Vol. 106, pp. 57-62 (1999.)
Euphytica, Vol. 132, pp. 227-234 (2003.)
Planta, Vol. 228, pp. 813-822 (2008.)
Theor. Appl. Genet., Vol. 117, pp. 11-18(2008.03.28.)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9565A (ko) 2011-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745987C2 (ru) Способы и композиции для получения укороченных растений кукурузы
KR101411890B1 (ko) 초위성체 마커를 이용한 무 품종 식별 방법
KR101883117B1 (ko) 토마토 청고병 저항성 토마토 판별용 snp 마커
CN105256031B (zh) 利用高通量分子标记转育甜瓜雌性系的方法及其专用引物
KR101642702B1 (ko) 초위성체 마커를 이용한 배 품종식별 방법
CN109609687B (zh) 用于检测西瓜枯萎病抗性的kasp标记引物组合及其应用
KR101151239B1 (ko) 배추의 유전자적 다중대립인자 웅성불임 유전자 Ms의 마커 및 이의 용도
US9161501B2 (en) Genetic markers for Orobanche resistance in sunflower
KR101699149B1 (ko) 수박의 과형 구별용 dna 마커
KR101892461B1 (ko) 핵내유전자적 웅성불임성 유전인자인 ms3 판별용 분자마커 및 이를 이용한 검정방법
KR20110079010A (ko) 고추 웅성불임성의 회복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유전자형을 판별하기 위한 caps 및 이를 이용한 회복유전자의 유전자형 판별방법
CN111394502B (zh) 鉴定大豆RN型CMS恢复基因的InDel标记及方法
KR101014238B1 (ko) 수박 f1 종자 순도 검정 방법
CN113278723A (zh) 合成芥菜中导入的白菜基因组片段或遗传多样性分析的组合物及应用
JP2022025729A (ja) カンキツ品種の識別方法
KR101301867B1 (ko) 양파 품종식별용 초위성체 프라이머 세트
WO2023176983A1 (ja) コムギ植物における子実タンパク質含有率の程度及び穂数の程度の少なくとも一方に関する分子マーカー、及びその利用
Sujipuli et al. PCR-based SNP markers for sex identification in date palm (Phoenix dactylifera L.) cv. KL1
CN116904638B (zh) 与藜麦早雌性状连锁的kasp标记及应用
KR101892462B1 (ko) 핵내유전자적 웅성불임인자(msk)와 연관된 분자마커 및 이를 이용한 검정방법
JP5656210B2 (ja) マイクロサテライトマーカーを用いるラッカセイ品種識別法
Shrestha Understanding the Genetic Basis of Shattering in Pearl Millet
US20220235425A1 (en) Methods of determining sensitivity to photoperiod in cannabis
CN116254363A (zh) 一种可预示和鉴定西瓜果形以及畸形果的分子标记及应用
JP2023103057A (ja) タマネギ種植物におけるケルセチン含有量の程度を判定する方法、ケルセチン高含有のタマネギ種植物を製造する製造方法、ケルセチン高含有のタマネギ種植物、及びタマネギ種植物における、ケルセチン含有量に関する分子マーカ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