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8626B1 - 대륙철도차량용 연결기 구조 - Google Patents

대륙철도차량용 연결기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8626B1
KR101888626B1 KR1020160170735A KR20160170735A KR101888626B1 KR 101888626 B1 KR101888626 B1 KR 101888626B1 KR 1020160170735 A KR1020160170735 A KR 1020160170735A KR 20160170735 A KR20160170735 A KR 20160170735A KR 101888626 B1 KR101888626 B1 KR 1018886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connectors
railway vehicle
present
fixing ho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07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69197A (ko
Inventor
문형석
나희승
박정준
서승일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601707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8626B1/ko
Publication of KR201800691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91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86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86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GCOUPLINGS; DRAUGHT AND BUFFING APPLIANCES
    • B61G3/00Couplings comprising mating parts of similar shape or form which can be coupled without the use of any additional element or elements
    • B61G3/04Couplings comprising mating parts of similar shape or form which can be coupled without the use of any additional element or elements with coupling head having a guard arm on one side and a knuckle with angularly-disposed nose and tail portions pivoted to the other side thereof, the nose of the knuckle being the coupling part, and means to lock the knuckle in coupling position, e.g. "A.A.R." or "Janney"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GCOUPLINGS; DRAUGHT AND BUFFING APPLIANCES
    • B61G3/00Couplings comprising mating parts of similar shape or form which can be coupled without the use of any additional element or elements
    • B61G3/16Couplings comprising mating parts of similar shape or form which can be coupled without the use of any additional element or elements with coupling heads rigidly connected by rotatable hook plates or discs and balancing links, the coupling members forming a parallelogram, e.g. "Scharfenberg"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GCOUPLINGS; DRAUGHT AND BUFFING APPLIANCES
    • B61G7/00Details or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GCOUPLINGS; DRAUGHT AND BUFFING APPLIANCES
    • B61G9/00Draw-gear
    • B61G9/04Draw-gear combined with buffing applia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륙철도차량용 연결기 구조에 관한 것으로; 대륙철도차량의 차체 단부에 형성되는 설치홈에 서로 다른 규격의 제1 및 제2 연결기가 구비되는 구조에 있어서, 상기 설치홈에는 수직으로 배치되어 회동 가능하게 회전체가 설치되고, 상기 회전체에는 상기 제1 및 제2 연결기가 높이차를 가지며 직각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추가적인 별도의 도구 없이도 서로 다른 종류의 연결기를 갖는 대륙철도차량 및 연결기의 설치 높이가 다른 철도차량들을 용이하게 연결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대륙철도차량용 연결기 구조 {Coupler structure for railway vehicle}
본 발명은 대륙철도차량용 연결기 구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철도차량을 연결하는 연결기의 종류가 서로 다르거나 또는 연결기의 설치 높이가 다른 철도차량들을 별도의 추가적인 구성이 없이도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는 대륙철도차량용 연결기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도 차량은 선로를 주행하는 여객 열차, 화물 열차, 전동차 등을 구성하는 중요한 운송수단의 하나로서, 다수의 철도차량을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안전한 상태로 주행할 수 있으므로 대략 수백 내지 수천명의 승객을 태울 수 있음은 물론, 한꺼번에 대량의 화물을 운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때, 철도차량은 다수가 연결되어 열차를 이루어 운행되는데, 차량과 차량을 결합하기 위한 연결기를 이용하여 차량들을 연결시켜준다.
이와 같은 연결기는 선두차량과 후미차량 간에 항상 일정거리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선두차량과 후미차량 간에 접촉에 의한 사고 발생을 방지하며, 기관실로 부터 전달된 동력을 각 차량으로 전달시키기 위한 매개체로서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너클 방식의 자동 연결기 또는 자물쇠방식의 밀착 연결기가 주로 사용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철도차량용 연결기는 등록실용신안 제20-0212579호, 공개특허 제10-2005-0065508호 등을 통해 제안된 바 있다.
한편, 대륙철도는 한반도와 중국, 중앙아시아, 러시아, 유럽의 연결을 목표로 추진하는 철도노선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대륙철도를 주행하는 철도차량은 여러 나라를 통과하여야 하는데, 화물을 수송하는 화차의 경우 특정 국가에서 다른 국가로 수송하여야 할 화물을 추가하기 위해서 추가적인 화차를 연결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전세계적으로 표준화된 철도차량의 연결기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국가마다 연결기 규격이 서로 달라 한 국가에서 다른 국가로 철도차량이 이동하여 철도차량을 연결하는 경우에 철도차량의 연결기를 교체하여야 하므로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참고문헌 1: 등록실용신안 제20-0212579호 참고문헌 2: 공개특허 제10-2005-0065508호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철도차량을 연결하는 연결기의 종류가 서로 다르거나 또는 연결기의 설치 높이가 다른 철도차량들을 별도의 추가적인 구성이 없이도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는 대륙철도차량용 연결기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대륙철도차량의 차체 단부에 형성되는 설치홈에 서로 다른 규격의 제1 및 제2 연결기가 구비되는 구조에 있어서, 상기 설치홈에는 수직으로 배치되어 회동 가능하게 회전체가 설치되고, 상기 회전체에는 상기 제1 및 제2 연결기가 높이차를 가지며 직각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륙철도차량용 연결기 구조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설치홈에는 충격흡수를 위한 완충부재의 후단부가 고정 설치되며, 상기 완충부재의 전단부에는 고정프레임이 결합되고, 상기 고정프레임에는 상기 제1 및 제2 연결기 본체가 서로 다른 높이로 결합되는 회전체가 힌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프레임은 전방으로 상측 및 하측에 지지부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에는 상기 회전체가 수직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1 연결기는 바아 형상의 제1 몸체의 전단에 제1 연결기 헤드가 구비되고, 상기 제1 몸체의 후단부는 상기 회전체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연결기는 바아 형상의 제2 몸체의 전단에 제2 연결기 헤드가 구비되고, 상기 제2 몸체의 후단부는 상기 회전체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대륙철도차량의 단부에 형성되는 설치홈에 설치되는 서로 다른 규격의 제1 및 제2 연결기가 구비되는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연결기는 상기 제3 연결기가 삽입 고정되는 제1 연결홈이 형성되는 제1 본체와, 상기 제1 본체에 밀착되며 상기 제4 연결기가 삽입 고정되는 제2 연결홈이 형성되는 제2 본체로 구성되는 어댑터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륙철도차량용 연결기 구조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 본체에는 상기 제1 및 제2 연결홈을 상하로 관통하는 제1 및 제2 고정공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3 및 제4 연결기에는 상기 제1 및 제2 고정공에 대응되도록 상하 관통되는 제3 및 제4 고정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고정공과 제3 및 제4 고정공에는 제1 및 제2 고정바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본체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의 제1 및 제2 경사면이 형성되어 서로 밀착되며, 상기 제1 경사면에는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경사면에는 상기 가이드홈에 대응되도록 가이드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가이드홈 및 가이드돌기는 그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1 및 제2 본체에는 전후 방향으로 복수의 조절바가 삽입될 수 있는 복수의 제1 및 제2 조절공이 서로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추가적인 별도의 도구 없이도 서로 다른 종류의 연결기를 갖는 대륙철도차량 및 연결기의 설치 높이가 다른 철도차량들을 용이하게 연결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다른 국가의 철도차량과 연결하기 위해 연결기를 교체할 필요가 없이 철도차량에 구비된 연결기의 형상 또는 규격이 상이하거나 설치된 높이가 서로 상이하더라도 안정적으로 차량간을 연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대륙철도차량용 연결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대륙철도차량용 연결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연결기가 구비된 대륙철도차량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대륙철도차량용 연결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어댑터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어댑터에 연결기가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어댑터에 동일한 높이의 연결기가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어댑터에 서로 다른 높이의 연결기가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대륙철도차량용 연결기 구조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하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에 의하여 그 특징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대륙철도차량용 연결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들이다.
본 발명에 따른 대륙철도차량용 연결기 구조는 대륙철도차량의 차체(1)의 단부에 다른 차체와 연결하기 위한 연결기 헤드(110,210)를 갖는 제1 및 제2 연결기(100,200)를 구비하여 상황에 따라 제1 또는 제2 연결기(100,200)를 선택적으로 연결할 수 있어 새로운 연결기로의 교체없이 다른 국가의 철도차량을 곧바로 연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대륙철도차량용 연결기 구조는 대륙철도차량의 언더프레임(10)의 단부에 형성되는 설치홈(12)에 설치되는 서로 다른 규격의 제1 및 제2 연결기(100,200)가 구비되는 구조에 있어서, 상기 설치홈(12)에는 수직으로 배치되어 회동 가능하게 회전체(300)가 설치되고, 상기 회전체(300)에는 상기 제1 및 제2 연결기(100,200)가 높이차를 가지며 직각으로 결합된다.
이하, 본 발명의 각부 구조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차체(1)의 단부에는 제1 및 제2 연결기(100,200)가 설치되는 설치홈(12)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설치홈(12)의 내부에는 충격흡수를 위해 완충부재(400)의 후단부가 고정 설치되며, 상기 완충부재(400)의 전단부에는 고정프레임(500)이 결합되고, 상기 고정프레임(500)에는 상기 제1 및 제2 연결기 본체(100,200)가 서로 다른 높이로 결합되는 회전체(300)가 힌지결합된다. 이에 따라 차량과 차량을 연결하는 경우 별도의 추가 구성 없이도 연결기의 종류와 설치 높이에 상관없이 신속하게 차량을 연결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고정프레임(500)은 전방으로 상측 및 하측에 지지부(510)가 돌출 형성되는 구조로서, 전체적으로 'ㄷ'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부(510)에는 회전체(300)가 수직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체(300)에는 서로 다른 규격의 제1 및 제2 연결기 헤드(110,210)가 각각 구비되는 제1 및 제2 연결기(100,200)가 일체로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1 연결기(100)는 바아 형상의 제1 몸체(101)의 전단에 제1 연결기 헤드(110)가 구비되고, 상기 제1 몸체(101)의 후단부는 상기 회전체(300)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2 연결기(200)는 바아 형상의 제2 몸체(201)의 전단에 제2 연결기 헤드(210)가 구비되고, 상기 제2 몸체(201)의 후단부는 상기 회전체(300)에 연결된다.
이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연결기(100,200)는 서로 다른 높이로 회전체(300)에 설치된다. 특히 상기 제1 및 제2 연결기 본체(100,200)의 제1 및 제2 연결기 헤드(110,210)가 서로 90°로 향하도록 제1 및 제2 몸체(101,201)를 직각으로 배치하여 전체적으로 'ㄱ'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제1 및 제2 연결기(100,200)가 서로 높이차를 가지도록 단차를 가지며 배치된다.
이와 같은 고정프레임(500)에 제1 및 제2연결기(100,200)가 고정된 회전체(300)가 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시키는 방법은 다양하게 존재할 수 있으나,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핀(600)을 이용하여 제1 및 제2연결기(100,200)가 고정프레임(500)에 회전이 가능한 형태로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회전체(300)의 양단에 힌지핀(600)을 일체로 구비하여 고정프레임(500)은 전방으로 상측 및 하측에 돌출 형성되는 지지부(510)에 형성되는 힌지공(512)에 지지할 수 있다. 이는 제1 및 제2연결기(100,200)가 고정프레임(500)의 지지부(510)에 형성된 힌지공(512)을 중심으로 좌, 우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하지 않는 제1 또는 제2연결기(100,200)는 대차의 언더프레임(500) 내측으로 인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때, 상기 고정프레임(500)에는 제1 및 제2연결기(100,200)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고정구(미도시됨)가 설치될 수도 있다.
물론,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1 및 제2연결기(100,200)를 고정프레임(500)에 고정시키기 위해 회전체(300)의 내주면에 암나사산을 갖는 나사공을 형성하고, 고정프레임(500)과의 지지부(510)에 형성된 힌지공(512)에 양단이 지지되며 외주면에는 상기 회전체(300)의 내주면에 암나사산을 갖는 나사공에 나사 결합되는 수나사산이 형성되는 힌지핀을 체결함으로서 힌지핀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연결기(100,200)의 미세 높이 조정이 가능하도록 구성함도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하고자하는 제1 또는 제2 연결기 헤드(110,210)가 전방으로 향하도록 회전체(300)를 고정프레임(500)의 힌지공(512)을 중심으로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시켜 다른 차량의 연결기와 간단히 연결할 수 있다.
한편,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대륙철도차량용 연결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대륙철도차량용 연결기 구조는 서로 다른 대륙철도차량의 언더프레임의 단부에 설치되며 서로 다른 규격의 제3 및 제4 연결기 헤드(110a,210a)가 각각 구비되는 제3 및 제4 연결기(100a,200a)를 연결할 수 있도록 어댑터(700)를 사용한다.
이와 같은 어댑터(700)는 상기 제3 연결기(100a)가 삽입 고정되는 제1 연결홈(712)이 형성되는 제1 본체(710)와, 상기 제1 본체(710)에 밀착되며 상기 제4 연결기(200a)가 삽입 고정되는 제2 연결홈(722)이 형성되는 제2 본체(72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 본체(710,720)에는 상기 제1 및 제2 연결홈(712,722)을 상하로 관통하는 제1 및 제2 고정공(714,724)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고정공(714,724)에는 제1 및 제2 고정바(716,726)가 삽입된다.
상기 제1 및 제2 고정바(716,726)는 상기 제1 및 제2 연결홈(712,722)에 상기 제3 및 제4 연결기(100a,200a)를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3 및 제4 연결기(100a,200a)에는 상기 제1 및 제2 고정공(714,724)에 대응되도록 상하 관통되는 제3 및 제4 고정공(101a,201a)이 형성된다. 일 예로 상기 제3 및 제4 고정공(101a,201a)은 제3 및 제4 연결기 헤드(110a,210a)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상기 제1 및 제2 연결홈(712,722)에 상기 제3 및 제4 연결기(100a,200a)를 삽입한 후, 상기 제1 및 제2 고정공(714,724)과 제3 및 제4 고정공(101a,201a)에 상기 제1 및 제2 고정바(716,726)를 고정함으로서 상기 제3 및 제4 연결기(100a,200a)를 제1 및 제2 연결홈(712,722)에 견고하게 고정하게 된다.
따라서, 각 지역마다 서로 다른 규격이나 형상으로 형성되는 다양한 연결기를 용이하게 서로 연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1 및 제2 본체(710,720)는 서로 밀착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 본체(710,720)은 서로 대응되는 형상의 제1 및 제2 경사면(718,728)이 형성되어 서로 밀착된다.
그리고, 상기 제1 본체(710)의 제1 경사면(718)에는 가이드홈(718a)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본체(720)의 제2 경사면(728)에는 상기 가이드홈(718a)에 대응되도록 가이드돌기(728a)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홈(718a) 및 가이드돌기(728a)는 그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가이드홈(718a)에 가이드돌기(728a)가 체결시에 제1 및 제2 본체(710,720)가 수평방향으로 임의로 분리되지 않게 되며, 상기 제1 및 제2 본체(710,720)는 제1 및 제2 경사면(718,728)을 따라 밀착 이동하면서 높이가 조절된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본체(710,720)에는 전후 방향으로 복수의 조절바(730)가 삽입될 수 있는 복수의 제1 및 제2 조절공(719,729)이 서로 대응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상기 제1 및 제2 본체(710,720)가 제1 및 제2 경사면(718,728)을 따라 상대적으로 밀착된 상태로 이동하며 적절하게 높이가 조절된 상태에서 제1 및 제2 조절공(719,729)에 조절바(730)를 삽입하여 상기 제1 및 제2 본체(710,720)가 이동하지 못하도록 고정한다.
이상의 구조에 의하면 차량에 따라 구비되는 제3 및 제4 연결기(100a,200a)의 형상이나 규격이 다를 뿐만 아니라 설치된 높이가 차이가 나더라도 어댑터(700)를 사용하여 안정적으로 차량간을 연결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1: 차체 10: 언더프레임
12: 설치홈 100: 제1 연결기
100a: 제3 연결기 200: 제2 연결기
200a: 제4 연결기 300: 회전체
400: 완충부재 500: 고정프레임
600: 힌지핀 700: 어댑터
710: 제1 본체 720: 제2 본체
730: 조절바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대륙철도차량의 단부에 형성되는 설치홈에 설치되는 서로 다른 규격의 제1 및 제2 연결기가 구비되는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연결기는 제3 연결기가 삽입 고정되는 제1 연결홈이 형성되는 제1 본체와, 상기 제1 본체에 밀착되며 제4 연결기가 삽입 고정되는 제2 연결홈이 형성되는 제2 본체로 구성되는 어댑터로 연결되되,
    상기 제1 및 제2 본체에는 상기 제1 및 제2 연결홈을 상하로 관통하는 제1 및 제2 고정공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3 및 제4 연결기에는 상기 제1 및 제2 고정공에 대응되도록 상하 관통되는 제3 및 제4 고정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고정공과 제3 및 제4 고정공에는 제1 및 제2 고정바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륙철도차량용 연결기 구조.
  6. 삭제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본체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의 제1 및 제2 경사면이 형성되어 서로 밀착되며, 상기 제1 경사면에는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경사면에는 상기 가이드홈에 대응되도록 가이드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륙철도차량용 연결기 구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 및 가이드돌기는 그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륙철도차량용 연결기 구조.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본체에는 전후 방향으로 복수의 조절바가 삽입될 수 있는 복수의 제1 및 제2 조절공이 서로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륙철도차량용 연결기 구조.
KR1020160170735A 2016-12-14 2016-12-14 대륙철도차량용 연결기 구조 KR1018886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0735A KR101888626B1 (ko) 2016-12-14 2016-12-14 대륙철도차량용 연결기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0735A KR101888626B1 (ko) 2016-12-14 2016-12-14 대륙철도차량용 연결기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9197A KR20180069197A (ko) 2018-06-25
KR101888626B1 true KR101888626B1 (ko) 2018-08-16

Family

ID=62806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0735A KR101888626B1 (ko) 2016-12-14 2016-12-14 대륙철도차량용 연결기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862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80656B (zh) * 2018-08-30 2020-01-17 中车株洲电力机车有限公司 轨道车辆及其车钩辅助连挂装置
WO2020196949A1 (ko) * 2019-03-27 2020-10-01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대륙철도차량용 연결기 구조
KR102442781B1 (ko) * 2020-10-21 2022-09-16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높이조절이 가능한 대륙철도차량용 연결기 구조
KR102599225B1 (ko) * 2021-06-29 2023-11-09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대륙철도차량용 연결기 회전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47058Y2 (ja) 1991-06-27 1997-09-03 アント工業 株式会社 車両の連結器
US20030231925A1 (en) * 2002-06-13 2003-12-18 Ching-Cheng Chen Visual inspection coupler
CN201317371Y (zh) * 2008-11-27 2009-09-30 天津机辆轨道交通装备有限责任公司 螺旋车钩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47058Y2 (ja) 1991-06-27 1997-09-03 アント工業 株式会社 車両の連結器
US20030231925A1 (en) * 2002-06-13 2003-12-18 Ching-Cheng Chen Visual inspection coupler
CN201317371Y (zh) * 2008-11-27 2009-09-30 天津机辆轨道交通装备有限责任公司 螺旋车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9197A (ko) 2018-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8626B1 (ko) 대륙철도차량용 연결기 구조
KR102019981B1 (ko) 대륙철도차량용 연결기 구조
US8967404B2 (en) Device for coupling high-speed railroad cars and method for removing device
CN107054397B (zh) 组件、多车厢车辆的车厢及将施加到联接杆或连接杆的推力传递给轴承座的方法
US20120068437A1 (en) Coupler head of a coupling device for mechanically connecting two units, particularly vehicle units
CN103786562A (zh) 一种电动客车电池箱锁紧系统
US5219082A (en) Male connection member for an articulated coupling arrangement
KR101624658B1 (ko) 대륙철도차량용 연결기 구조
KR102056125B1 (ko) 대륙 철도차량용 연결기
KR101918096B1 (ko) 서로 다른 연결기를 갖는 대륙철도차량용 차체 연결 시스템
US9114815B2 (en) Assembly for extendable rail-supported vehicle coupler
CA2809081C (en) Assembly for extendable rail-supported vehicle coupler
KR101630708B1 (ko) 대륙철도차량용 연결기 구조
KR101845345B1 (ko) 산악철도차량용 연결기 구조
US6499613B1 (en) Coupler with extended emergency release and towing feature
US20200317234A1 (en) Adapter component for adapting a coupling head, coupling head having an adapter component and a method for adapting a coupling head
KR102276203B1 (ko) 대륙철도차량용 연결기 고정 구조
KR101647824B1 (ko) 대륙철도차량용 연결기 구조
CN204801813U (zh) 一种铁路车辆及其关节连接器的凹关节
KR101545966B1 (ko) 산악철도차량용 연결기
KR102025901B1 (ko) 대륙철도차량용 연결기 어댑터
KR102452996B1 (ko) 대륙철도차량용 연결기 구조
KR910007833Y1 (ko) 철도차량용 회전식 쌍두 연결 장치
KR102218954B1 (ko) 충격 완충 장치
CN111216755B (zh) 一种拉杆座、车体及轨道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