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6125B1 - 대륙 철도차량용 연결기 - Google Patents

대륙 철도차량용 연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6125B1
KR102056125B1 KR1020180105682A KR20180105682A KR102056125B1 KR 102056125 B1 KR102056125 B1 KR 102056125B1 KR 1020180105682 A KR1020180105682 A KR 1020180105682A KR 20180105682 A KR20180105682 A KR 20180105682A KR 102056125 B1 KR102056125 B1 KR 1020561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connector
railway vehicle
shank portion
contine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56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형석
박정준
석명은
장민우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801056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61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61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61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GCOUPLINGS; DRAUGHT AND BUFFING APPLIANCES
    • B61G5/00Couplings for special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G5/04Couplings for special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atching couplings of different types, i.e. transitional coupl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1/0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 B60D1/01Traction couplings or hitches characterised by their type
    • B60D1/07Multi-hitch devices, i.e. comprising several hitches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type; Hitch-adaptors, i.e. for converting hitches from one type to an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30Railway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륙 철도차량용 연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연결기의 규격 및 높이가 서로 다른 나라를 이동하더라도 각국에 대응되는 헤드로 헤드만을 회전시켜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별도로 연결기를 교체하지 않더라도 연결기 및 철도차량의 규격과 타입이 다른 나라의 철도차량과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대륙 철도차량용 연결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철도차량의 차체 하부에 구비되는 샹크부와, 상기 샹크부의 전단에 구비되는 헤드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헤드부는 샹크부의 전단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전부에 형성되는 제1헤드와, 상기 제1헤드와 일정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제2헤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대륙 철도차량용 연결기{a coupler for a railway vehicle}
본 발명은 대륙 철도차량용 연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연결기의 규격 및 높이가 서로 다른 나라를 이동하더라도 각국에 대응되는 헤드로 헤드만을 회전시켜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별도로 연결기를 교체하지 않더라도 연결기 및 철도차량의 규격과 타입이 다른 나라의 철도차량과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대륙 철도차량용 연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도 차량은 철도 선로를 주행하는 여객 열차, 화물 열차, 전동차 등을 구성하는 중요한 운송수단의 하나로서, 다수의 철도차량을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안전한 상태로 주행할 수 있으므로 대략 수백 내지 수천명의 승객을 태울 수 있음은 물론, 한꺼번에 대량의 화물을 운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때, 철도차량은 다수가 연결되어 열차를 이루어 운행하게 되는데, 차량과 차량을 결합하기 위한 연결기를 이용하여 차량들을 연결시켜준다.
이와 같은 연결기는 선두차량과 후미차량 간에 항상 일정거리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선두 차량과 후미 차량간에 접촉에 의한 사고 발생을 방지하며, 기관실로부터 전달된 동력을 각 차량으로 전달시키기 위한 매개체로서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너클 방식의 자동 연결기나 자물쇠방식의 밀착 연결기가 주로 사용된다.
그리고, 대륙철도는 한반도와 중국, 중앙아시아, 러시아, 유럽의 연결을 목표로 추진하는 철도노선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대륙철도를 주행하는 철도차량은 여러 나라를 통과하여야 하는데, 화물을 수송하는 화차의 경우 특정 국가에서 다른 국가로 수송하여야 할 화물을 추가하기 위해서 추가적인 화차를 연결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전세계적으로 표준화된 철도차량의 연결기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국가마다 연결기 규격이 서로 달라 한 국가에서 다른 국가로 철도차량이 이동하여 철도차량을 연결하는 경우에 철도차량의 연결기를 교체하거나, 승객의 환승, 화물의 환적을 하여야 하므로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래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한국등록특허 제10-1647824호에 기재된 기술이 제안되었는데, 그 기술적 특징은 철도차량의 단부에 철도차량 연결기(1)가 구비되고, 상기 철도차량 연결기에는 연결기 본체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설치홈(10)이 좌우방향으로 관통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철도차량 연결기(1)에는 상기 연결기 본체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시켜주기 위한 완충부(30)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기 본체(100)는 바 형상으로 형성되는 몸체의 일단에 구비되는 제1 연결기 헤드(110)와 상기 몸체의 타단에 구비되는 제1 연결기 헤드(110)와 다른 타입의 제2 연결기 헤드(12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런데, 한국등록특허 제10-1647824호에 기재된 기술은 서로 다른 타입의 연결기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은 있으나, 타입뿐만 아니라 대차나 바퀴의 규격이 다르기 때문에 연결기의 높이가 다를 경우에는 서로 연결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647824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체의 하부에 구비되는 완충부의 전부에 구비되는 샹크부와 샹크부의 전단에 구비되는 헤드부로 이루어지고, 헤드부는 샹크부의 전단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전부에 형성되는 제1헤드와 몸체의 전부에 상기 제1헤드와 90°각도로 형성되는 제2헤드로 이루어져 각 국가에서 사용되는 헤드부에 대응되도록 제1헤드 또는 제2헤드를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연결기를 교체하지 않고도 연결기의 규격이 다른 나라로 승객과 화물을 용이하게 수송할 수 있게 하는 대륙 철도차량용 연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샹크부의 전단에 구비되는 헤드부는 서로 다른 규격의 제1헤드와 제2헤드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2헤드는 상부, 하부 또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거나, 몸체와 제2헤드 사이에 높이조절부를 더 구비함으로써, 헤드부의 규격뿐만 아니라 나라마다 철도차량의 휠이나 대차의 규격이 달라 높이가 달라지므로 연결기를 교체하지 않고도 이러한 높이의 차이에 대응할 수 있게 하는 대륙 철도차량용 연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철도차량의 차체 하부에 구비되는 샹크부와, 상기 샹크부의 전단에 구비되는 헤드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헤드부는 샹크부의 전단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전부에 형성되는 제1헤드와, 상기 제1헤드와 일정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제2헤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몸체는 상기 샹크부의 전단이 삽입되는 수용홈과, 상기 수용홈의 상하로 형성되어 상기 샹크부의 전단 상하로 돌출되는 회전축이 삽입되는 관통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몸체가 좌우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수용홈은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의 측부에는 샹크부의 측부를 지지하도록 회전방지핀이 삽입되는 고정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제2헤드는 몸체의 상부, 하부 또는 상·하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높이가 다른 타측 연결기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와 제2헤드 사이에는 높이조절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기 몸체에 형성되는 제1가이드부와, 상기 제2헤드에 형성되어 상기 제1가이드부를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제2가이드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2가이드부의 양측에는 상하 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제2조절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가이드부의 양측에는 상기 제1조절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조절공과 제2조절공에 동시에 삽입되는 높이조절핀이 구비되어 제2헤드의 높이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차체의 하부에 구비되는 완충부의 전부에 구비되는 샹크부와 샹크부의 전단에 구비되는 헤드부로 이루어지고, 헤드부는 샹크부의 전단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전부에 형성되는 제1헤드와 몸체의 전부에 상기 제1헤드와 90°각도로 형성되는 제2헤드로 이루어져 각 국가에서 사용되는 헤드부에 대응되도록 제1헤드 또는 제2헤드를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연결기를 교체하지 않고도 연결기의 규격이 다른 나라로 승객과 화물을 용이하게 수송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샹크부의 전단에 구비되는 헤드부는 서로 다른 규격의 제1헤드와 제2헤드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2헤드는 상부, 하부 또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거나, 몸체와 제2헤드 사이에 높이조절부를 더 구비함으로써, 헤드부의 규격뿐만 아니라 나라마다 철도차량의 휠이나 대차의 규격이 달라 높이가 달라지므로 연결기를 교체하지 않고도 이러한 높이의 차이에 대응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대륙 철도차량용 연결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대륙 철도차량용 연결기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대륙 철도차량용 연결기가 설치된 차체의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대륙 철도차량용 연결기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대륙 철도차량용 연결기의 제1헤드를 통하여 연결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대륙 철도차량용 연결기의 제1헤드를 통하여 연결된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대륙 철도차량용 연결기의 제2헤드를 통하여 연결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대륙 철도차량용 연결기의 높이조절부의 부분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대륙 철도차량용 연결기가 설치된 차체의 개념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대륙 철도차량용 연결기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대륙 철도차량용 연결기의 제1헤드를 통하여 연결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대륙 철도차량용 연결기의 제1헤드를 통하여 연결된 상태의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대륙 철도차량용 연결기의 제2헤드를 통하여 연결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대륙 철도차량용 연결기의 높이조절부의 부분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대륙 철도차량용 연결기에 관한 것으로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구성은 철도차량의 차체 하부에 구비되는 샹크부(300)와 상기 샹크부(300)의 전단에 구비되는 헤드부(400)로 이루어지는데, 철도차량을 형성하는 언더프레임(210)의 내측에는 연결시나 주행시에 발생하는 충격을 완충시키기 위한 완충부(220)가 구비되며, 상기 완충부(220)의 전단에 상기 샹크부(300)가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헤드부(400)는 샹크부(300)의 전단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몸체(410)와 상기 몸체(410)의 전부에 형성되는 제1헤드(430)와 상기 제1헤드(430)와 일정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제2헤드(44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1헤드(430)와 제2헤드(440)는 서로 다른 규격 및 타입으로 형성되어 여러 나라를 경유하는 철도차량이 각국의 서로 다른 규격으로 형성되는 연결기를 사용하는 철도차량과 연결할 때, 대응되는 헤드를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연결기를 교체하지 않더라도 규격이 다른 철도차량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게된다.
그리고, 상기 헤드부(400)를 구성하는 몸체(410)는 상기 샹크부(300)의 전단이 삽입되는 수용홈(412)과 상기 수용홈(412)의 상하로 형성되어 몸체(410)를 상하로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관통공(414)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샹크부(300)의 전단에는 상하로 설치되는 회전축(310)이 형성되는데, 상기 회전축(310)은 상기 관통공(414)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회전축(310)을 기준으로 상기 헤드부(400)는 좌우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몸체(410)에 형성된 수용홈(412)은 그 형상이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되고 수용홈(412)의 꼭짓점에 인접하게 관통공(414)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회전축(310)을 기준으로 몸체(410)가 부채꼴을 형성하는 원호의 길이만큼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관통공(414)의 측부에는 몸체(410)를 상하 관통하도록 고정공(416)이 형성되는데, 상기 고정공(416)에는 회전방지핀(420)이 삽입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방지핀(420)이 분리된 상태에서 몸체(410)을 회전시켜 샹크부(300)의 일측면과 수용홈(412)의 일측면이 접하도록 한 후, 상기 고정공(416)에 회전방지핀(420)을 삽입 고정하게 되면, 상기 회전방지핀(420)이 샹크부(300)의 타측면과 접하게 되므로, 샹크부(300)는 회전방지핀(420)과 수용홈(412)의 내측면에 의해 양측이 지지되어 몸체(410)가 임의로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되게 된다.
그래서, 상기 몸체(410)의 전부에 구비되는 제1헤드(430)와 제2헤드(440)를 선택적으로 전방으로 위치시킬 수 있어, 경유하고 있는 국가에서 사용하는 연결기의 타입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몸체(410)의 전부 양측에는 제1헤드(430)와 제2헤드(440)가 형성되는데, 전술한 바와 같에 상기 제1헤드(430)와 제2헤드(440)는 서로 다른 타입으로 형성될 뿐만 아니라 높이 역시 다르게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헤드(43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410)의 상하 두께와 동일하게 형성되는데 반해, 상기 제2헤드(440)는 상기 몸체(410)의 상부로 돌출되도록 길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2헤드(440)는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그 형상은 유지하면서 몸체(410)의 상부로만 돌출되는 것이 아니라 하부 또는 상·하부로 길게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그래서, 상기 제2헤드(440)는 타입이 동일하지만 높이가 다르게 설치된 타국의 연결기와 별도로 높이를 조절하지 않더라도 안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헤드부(400)를 형성하는 몸체(410)와 제2헤드(440) 사이에는 높이조절부(500)가 더 형성되는데, 상기 높이조절부(500)는 상기 몸체(410)에 형성되는 제1가이드부(510)와 상기 제2헤드(440)의 일측에 상기 제1가이드부(510)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제2가이드부(52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2가이드부(520)는 제2헤드(440)의 일측에 돌출형성되고, 양측에는 외측으로 가이드돌부(522)가 형성되며, 상기 제1가이드부(510)는 몸체(410)의 일측에 형성되되, 양측에는 상기 가이드돌부(522)가 삽입되는 가이드홈(512)이 형성되어, 제1가이드부(510)를 따라 제2가이드부(522)가 상하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제2가이드부(520)의 양측, 즉, 가이드돌부(522)의 단부에는 상하 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제2조절공(524)이 형성되고, 상기 제1가이드부(510)를 형성하는 가이드홈(512)에는 좌우 관통되도록 제1조절공(514)이 형성된다.
그래서, 상기 제1가이드부(510)를 따라 상하 이동하는 제2가이드부(520)의 위치를 조절하여 다수의 제1조절공(514) 중에서 어느 하나의 제1조절공(514)과 제2조절공(524)을 연통되도록 한 후, 제1조절공(514)과 제2조절공(524)에 높이조절핀(530)을 동시에 삽입하여 제2헤드(440)의 위치를 고정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2헤드(440)의 타입은 동일하지만 바퀴나 대차의 규격에 의해 높이가 다르게 형성될 경우, 상기 높이조절부(500)를 통하여 제2헤드(440)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타측의 연결기와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가이드부(510)는 몸체(410)의 상부, 하부, 또는 상·하부로 길게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타국의 연결기가 높게 설치되거나 낮게 설치되더라도 적절하게 높이를 조절할 수 있어 안정적으로 연결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은 대륙 철도차량용 연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연결기의 규격 및 높이가 서로 다른 나라를 이동하더라도 각국에 대응되는 헤드로 헤드만을 회전시켜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별도로 연결기를 교체하지 않더라도 연결기 및 철도차량의 규격과 타입이 다른 나라의 철도차량과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대륙 철도차량용 연결기에 관한 것이다.
210 : 언더프레임 220 : 완충부
300 : 샹크부 310 : 회전축
400 : 헤드부 410 : 몸체
412 : 수용홈 414 : 관통공
420 : 회전방지핀 430 : 제1헤드
440 : 제2헤드 500 : 높이조절부
510 : 제1가이드부 512 : 가이드홈
514 : 제1조절공 520 : 제2가이드부
522 : 가이드돌부 524 : 제2조절공
530 : 높이조절핀

Claims (8)

  1. 철도차량의 차체 하부에 구비되는 샹크부와,
    상기 샹크부의 전단에 구비되는 헤드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헤드부는 샹크부의 전단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전부에 형성되는 제1헤드와, 상기 제1헤드와 일정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제2헤드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헤드는 그 형상을 유지하면서 몸체의 상·하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높이가 다른 타측 연결기와 별도의 높이조절없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륙 철도차량용 연결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샹크부의 전단이 삽입되는 수용홈과,
    상기 수용홈의 상하로 형성되어 상기 샹크부의 전단 상하로 돌출되는 회전축이 삽입되는 관통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륙 철도차량용 연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몸체가 좌우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수용홈은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의 측부에는 샹크부의 측부를 지지하도록 회전방지핀이 삽입되는 고정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륙 철도차량용 연결기.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80105682A 2018-09-05 2018-09-05 대륙 철도차량용 연결기 KR1020561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5682A KR102056125B1 (ko) 2018-09-05 2018-09-05 대륙 철도차량용 연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5682A KR102056125B1 (ko) 2018-09-05 2018-09-05 대륙 철도차량용 연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6125B1 true KR102056125B1 (ko) 2019-12-17

Family

ID=69056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5682A KR102056125B1 (ko) 2018-09-05 2018-09-05 대륙 철도차량용 연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612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6865A (ko) 2019-12-31 2021-07-09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대륙철도차량용 연결기 고정 구조
KR20220053076A (ko) 2020-10-21 2022-04-29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높이조절이 가능한 대륙철도차량용 연결기 구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6865A (ko) 2019-12-31 2021-07-09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대륙철도차량용 연결기 고정 구조
KR102276203B1 (ko) * 2019-12-31 2021-07-13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대륙철도차량용 연결기 고정 구조
KR20220053076A (ko) 2020-10-21 2022-04-29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높이조절이 가능한 대륙철도차량용 연결기 구조
KR102442781B1 (ko) 2020-10-21 2022-09-16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높이조절이 가능한 대륙철도차량용 연결기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6125B1 (ko) 대륙 철도차량용 연결기
US7963229B2 (en) Monorail bogie assembly comprising a linking member
KR102019981B1 (ko) 대륙철도차량용 연결기 구조
US2834303A (en) Lightweight vehicle
KR101530010B1 (ko) 회전정렬 철도 시스템 및 열차의 회전정렬 방법
KR101888626B1 (ko) 대륙철도차량용 연결기 구조
CN110316215B (zh) 转向架总成和轨道车辆
US3371622A (en) Articulated car
JP5386679B2 (ja) 鉄道車両輸送システム
KR101624658B1 (ko) 대륙철도차량용 연결기 구조
KR102599225B1 (ko) 대륙철도차량용 연결기 회전시스템
US6457420B2 (en) Rail vehicle including an end car extended by a cab
KR101630708B1 (ko) 대륙철도차량용 연결기 구조
KR102452996B1 (ko) 대륙철도차량용 연결기 구조
KR102025901B1 (ko) 대륙철도차량용 연결기 어댑터
KR102276203B1 (ko) 대륙철도차량용 연결기 고정 구조
KR102442776B1 (ko) 대륙철도차량용 연결기 구조
KR910007833Y1 (ko) 철도차량용 회전식 쌍두 연결 장치
KR102442781B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대륙철도차량용 연결기 구조
KR101647822B1 (ko) 대륙철도차량용 연결기 구조
CN105143010A (zh) 具有不同宽度模块的模块式轨道交通工具
KR101647824B1 (ko) 대륙철도차량용 연결기 구조
US3593670A (en) Mine car suspension
US20220324493A1 (en) Dual Gauge Rail Wheel Assembly
RU2788538C1 (ru) Сцепное устройство железнодорожных вагон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