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5901B1 - 대륙철도차량용 연결기 어댑터 - Google Patents
대륙철도차량용 연결기 어댑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25901B1 KR102025901B1 KR1020180033452A KR20180033452A KR102025901B1 KR 102025901 B1 KR102025901 B1 KR 102025901B1 KR 1020180033452 A KR1020180033452 A KR 1020180033452A KR 20180033452 A KR20180033452 A KR 20180033452A KR 102025901 B1 KR102025901 B1 KR 10202590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dapter
- coupling
- railway vehicle
- connector
- continental railwa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G—COUPLINGS; DRAUGHT AND BUFFING APPLIANCES
- B61G5/00—Couplings for special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G5/04—Couplings for special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atching couplings of different types, i.e. transitional coupling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F16C11/06—Ball-joints; Other joints having more than one degree of angular freedom, i.e. universal join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26/00—Articles relating to transporting
- F16C2326/10—Railway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륙철도차량용 연결기 어댑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서로 다른 연결기를 갖는 대륙철도차량의 연결을 위해 사용되는 어댑터를 다수 개의 피스(piece)로 분리 구성하여 경량화시킴으로써 어댑터의 설치가 보다 용이해지도록 함과 동시에 어댑터의 유지 및 보수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대륙철도차량용 연결기 어댑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일측에 대륙철도차량 차체의 연결기에 결합되는 제1헤드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제1결합부가 형성된 제1몸체부와, 일측에 상기 제1결합부에 연결 설치되는 제2결합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제1헤드부와 다른 형태의 연결기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2헤드부가 형성된 제2몸체부 및 상기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를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일측에 대륙철도차량 차체의 연결기에 결합되는 제1헤드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제1결합부가 형성된 제1몸체부와, 일측에 상기 제1결합부에 연결 설치되는 제2결합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제1헤드부와 다른 형태의 연결기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2헤드부가 형성된 제2몸체부 및 상기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를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대륙철도차량용 연결기 어댑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서로 다른 연결기를 갖는 대륙철도차량의 연결을 위해 사용되는 어댑터를 다수 개의 피스(piece)로 분리 구성하여 경량화시킴으로써 어댑터의 설치가 보다 용이해지도록 함과 동시에 어댑터의 유지 및 보수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대륙철도차량용 연결기 어댑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도차량은 철도 선로를 주행하는 여객 열차, 화물 열차, 전동차 등을 구성하는 중요한 운송수단의 하나로서, 다수의 철도차량을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안전한 상태로 주행할 수 있으므로 약 수백 내지 수천 명의 승객을 태울 수 있음은 물론, 한꺼번에 대량의 화물을 운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때, 철도차량은 다수가 연결된 상태로 열차를 이루어 운행하게 되는데, 차량과 차량을 결합하기 위한 연결기를 이용하여 차량들을 연결시킨다.
이와 같은 연결기는 선두차량과 후미차량 간에 항상 일정거리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선두차량과 후미차량 사이에 접촉에 의한 사고 발생을 방지하며, 기관실로부터 전달된 동력을 각 차량으로 전달시키기 위한 매개체로서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너클 방식의 자동 연결기나 자물쇠 방식의 밀착 연결기가 주로 사용된다.
한편, 대륙철도는 한반도와 중국, 중앙아시아, 러시아, 유럽의 연결을 목표로 추진하고 있는 철도노선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대륙철도를 주행하는 철도차량은 여러 나라를 통과하여야 하는데, 화물을 수송하는 화차의 경우 특정 국가에서 다른 국가로 수송하여야 할 화물을 추가하기 위해서 추가적인 화차를 연결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현재 전세계적으로 표준화된 철도차량의 연결기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국가마다 연결기 규격이 서로 달라 한 국가에서 다른 국가로 이동하는 철도차량을 연결하는 경우에 연결기를 교체하여야 하고, 이러한 연결기의 교체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어댑터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연결기를 갖는 차체를 연결시키는 방법이 고안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상기 어댑터는 그 양측에 서로 다른 연결기와 결합될 수 있는 결합부가 각각 형성되어 서로 다른 연결기를 갖는 차체들을 서로 연결하는 경우 연결기의 교체 없이도 어댑터의 양측에 서로 다른 연결기를 각각 연결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어댑터는 대륙철도차량의 주행 중 양측 연결기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을 견뎌야 하므로 강도가 높은 재질로 제작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경우 어댑터의 무게가 증가하게 되고, 그에 따라 어댑터를 설치하는데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다.
즉, 종래의 어댑터는 하나의 본체 양측에 서로 다른 연결기가 결합될 수 있는 결합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어 그 무게가 상당하므로 어댑터의 설치를 위해 크레인 등의 기계장치를 사용하거나 여러 명이 동시에 작업에 참여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어댑터는 전체적으로 하나의 피스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사용할 수 있는 연결기의 종류가 한정적이고, 일측 연결부가 파손된 경우 어댑터 전체를 교체하여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07364호에는 철도차량 연결기용 어댑터가 게재되어 있는데, 그 주요 기술적 구성은 밀착형 연결기와 중간형 연결기, 또는 AAR형 연결기와 중간형 연결기 또는 밀착형 연결기와 AAR형 연결기 사이에 위치하여 각 연결기를 연결하는 링크와, 상기 링크와 연결기들을 결합하는 결합핀으로 이루어져 어댑터를 분리할 수 있도록 하여 운반과 취급이 용이하도록 한 것에 그 특징이 있다.
즉, 상기 종래기술은 어댑터를 다수 개로 분리 구성하고 전체적인 중량을 줄여 운반 및 설치가 용이하도록 구성된 것에 기술적 특징이 있으나, 연결기 사이에 위치되는 링크의 구성이 복잡하여 설치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상부 연결부와 하부 연결부 및 지지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링크의 구조적 강성이 취약하여 철도차량의 주행 도중 연결기에 가해지는 하중을 제대로 지지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또한, 철도차량이 곡선구간이나 경사구간 등을 주행하는 경우 연결기 및 어댑터에는 횡방향 하중, 비틀림 하중 등 다양한 방향에서 하중이 작용하게 되는데, 상기 종래기술의 경우 연결기와 어댑터가 일체로 결합되어 다양한 방향에서 작용하는 하중을 그대로 수용하게 되므로 하중에 의한 변형 또는 파손이 발생될 우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그에 따라 제품의 내구성이 떨어지게 되는 단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단순한 구성으로 다수 개의 피스로 분리 구성된 어댑터를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대륙철도차량의 주행 도중 발생되는 하중에 대한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대륙철도차량용 연결기 어댑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어댑터를 구성하는 제1 및 제2몸체부 사이의 연결부가 회동가능하도록 하여 대륙철도차량의 주행 도중 어댑터에 가해지는 하중을 경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대륙철도차량용 연결기 어댑터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측에 대륙철도차량 차체의 연결기에 결합되는 제1헤드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제1결합부가 형성된 제1몸체부와, 일측에 상기 제1결합부에 연결 설치되는 제2결합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제1헤드부와 다른 형태의 연결기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2헤드부가 형성된 제2몸체부 및 상기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를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1결합부는 제1헤드부의 후단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의 후단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는 고정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결합부에는 돌출부 및 고정돌기가 내측으로 삽입 결합되는 수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용홈에는 제1결합부의 회전에 의해 고정돌기가 삽입 고정되는 고정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헤드부에는 종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관통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제1 및 제2결합부에는 각각 제1 및 제2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결합홈의 사이에는 제1 및 제2결합부를 연결하는 제3몸체부가 삽입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3몸체부는 상,하,좌,우 방향으로 자유로운 회동이 가능한 유니버설조인트부와, 상기 유니버설조인트부의 양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제1 및 제2결합홈에 각각 삽입 설치되는 제3 및 제4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결합홈과 제3 및 제4결합부는 더브테일 형상으로 이루어져 제3 및 제4결합부가 제1 및 제2결합홈에 슬라이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서로 다른 연결기 형상이 구비된 어댑터를 제1몸체부와 제2몸체부로 분리 구성하여 어댑터의 설치시 중량으로 인한 애로사항을 해소할 수 있고, 제1몸체부와 제2몸체부를 직접 연결하여 체결 고정시키므로 어댑터 설치에 소요되는 시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대륙철도차량의 주행 도중 어댑터에 가해지는 하중에 대한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뛰어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어댑터를 구성하는 제1 및 제2몸체부 사이의 연결부가 회동가능하도록 하여 대륙철도차량의 주행 도중 어댑터에 가해지는 하중을 경감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추가로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대륙철도차량용 연결기 어댑터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대륙철도차량용 연결기 어댑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나타낸 본 발명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나타낸 본 발명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대륙철도차량용 연결기 어댑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나타낸 본 발명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대륙철도차량용 연결기 어댑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나타낸 본 발명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나타낸 본 발명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대륙철도차량용 연결기 어댑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나타낸 본 발명의 분리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대륙철도차량용 연결기 어댑터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대륙철도차량용 연결기 어댑터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대륙철도차량용 연결기 어댑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나타낸 본 발명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에 나타낸 본 발명의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대륙철도차량용 연결기 어댑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나타낸 본 발명의 분리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연결기를 갖는 대륙철도차량의 연결을 위해 사용되는 어댑터를 다수 개의 피스(piece)로 분리 구성하여 경량화시킴으로써 어댑터의 설치가 보다 용이해지도록 함과 동시에 어댑터의 유지 및 보수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대륙철도차량용 연결기 어댑터(10)(이하, '어댑터(10)'라 한다)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게 제1몸체부(100), 제2몸체부(200) 및 체결수단(4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1몸체부(100)는 제1헤드부(110)와 제1결합부(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상기 제1헤드부(110)는 대륙철도차량의 연결기 형상을 이루도록 하여 제1몸체부(100)의 일측에 형성되어 대륙철도차량 차체의 연결기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고, 상기 제1결합부(120)는 제1몸체부(100)의 타측에 형성되어 제1몸체부(100)가 후술할 제2몸체부(200)와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다음, 상기 제2몸체부(200)는 제1몸체부(100)에 연결 설치되어 제1몸체부(100)가 결합된 연결기와 다른 형태의 연결기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제2헤드부(210)와 제2결합부(2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제2헤드부(210)는 제2몸체부(200)의 타측에 형성되어 제1헤드부(110)가 결합되는 연결기와 다른 형태의 연결기를 갖는 대륙철도차량 차체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제1헤드부(110)와는 다른 형태의 연결기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헤드부(110,210)에 포함되는 연결기 형상은 전 세계적으로 사용되는 다양한 연결기의 형상 중 서로 다른 두 가지가 포함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대륙철도차량에 적용되는 것이므로 제1헤드부(110)는 국내를 포함한 가장 많은 국가에서 사용되는 AAR 타입 연결기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2헤드부(210)는 러시아 및 중국에서 주로 사용되는 CA-3 타입 연결기의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다음, 상기 제2결합부(220)는 제2몸체부(200)의 일측에 형성되어 제1결합부(120)에 연결 설치되는 것으로, 제2몸체부(200)가 제1몸체부(100)와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체결수단(400)은 제1몸체부(100)와 제2몸체부(200)가 서로 체결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제1결합부(120)와 제2결합부(220) 사이에 체결 고정되어 제1몸체부(100)와 제2몸체부(200)가 일체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연결기 형상을 갖는 제1몸체부(100)와 제2몸체부(200)를 분리 구성하고, 이를 볼트, 핀 등의 체결수단(400)을 통해 체결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하나의 피스로 이루어진 종래의 어댑터를 경량화하여 어댑터(10)의 설치가 보다 용이해지도록 함과 동시에 일측 몸체부(100,200)가 파손된 경우 파손된 부분만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에 따른 어댑터(10)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몸체부(100)와 제2몸체부(200)에 각각 형성되는 제1결합부(120)와 제2결합부(220)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요철 구조로 이루어져 서로 맞물리도록 결합된 상태에서 체결수단(400)에 의해 체결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어댑터(10)는 제1몸체부(100)와 제2몸체부(200)의 두 개의 피스(piece)로 분리 구성되고, 제1몸체부(100)와 제2몸체부(200)에 각각 형성되는 제1결합부(120)와 제2결합부(220)는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되는 요철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요철 구조에는 체결수단(400)을 체결시킬 수 있도록 하는 다수 개의 체결홀(128,228)이 형성되어, 제1결합부(120)와 제2결합부(220)가 서로 맞물리도록 결합된 상태에서 체결수단(400)을 체결홀(128,228)을 통해 삽입 결합시킴으로써 양측에 서로 다른 형상의 연결기, 즉 제1헤드부(110)와 제2헤드부(210)가 구비된 어댑터(10)를 일체로 결합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어댑터(10)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몸체부(100)에 구비된 제1결합부(120)가 제2몸체부(200)의 제2결합부(220) 내측으로 삽입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데,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경우 제1몸체부(100)와 제2몸체부(200) 사이의 결합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1몸체부(100)에 구비되는 제1결합부(120)는 돌출부(122)와 고정돌기(1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상기 돌출부(122)는 제1헤드부(110)의 후단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제2몸체부(200)에 구비되는 제2결합부(220) 내측으로 삽입 결합되는 것으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다음, 상기 고정돌기(124)는 돌출부(122)의 외주면 후단에 일정 간격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후술할 제2결합부(220)의 고정홈(224) 내측에 걸림 결합되어 돌출부(122)가 제2결합부(220) 내측에서 고정된 상태를 유치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2몸체부(200)에 구비되는 제2결합부(220)에는 제1결합부(120) 즉, 돌출부(122) 및 고정돌기(124)가 삽입 결합되는 수용홈(222)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222)의 내측에는 고정돌기(124)가 걸림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다수 개의 고정홈(224)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1결합부(120)의 돌출부(122) 및 고정돌기(124)의 종단면 형상에 대응되도록 하여 제2결합부(220)에 형성되는 수용홈(222)의 내측으로 제1결합부(120)를 삽입시킨 후, 제1몸체부(10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1결합부(120)에 구비된 고정돌기(124)가 수용홈(222) 내측에 형성된 고정홈(224)의 내측에 걸림 결합되면서 제1몸체부(100)와 제2몸체부(200)가 서로 연결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제1결합부(120)와 제2결합부(220)의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체결홀(128,228)을 통하여 고정핀, 볼트 등의 체결수단(400)을 관통 결합시키면 제1결합부(120)와 제2결합부(220)가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1 개의 체결수단(400)만으로 제1몸체부(100)와 제2몸체부(200)가 결합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헤드부(110)와 제2헤드부(210)에는 종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관통부(112,212)가 형성될 수도 있는데, 상기 관통부(112,212)는 어댑터(10)의 전체적인 중량을 줄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어댑터(10)의 경량화를 통해 어댑터(10)의 연결 설치가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에 일목적이 있으므로, 다른 연결기와의 결합시 및 다른 연결기와 결합된 상태에서 대륙철도차량이 주행하는 경우 발생되는 하중에 의한 지지력 저하 등이 발생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제1 및 제2헤드부(110,210)에 종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관통부(112,212)를 형성시킴으로써 어댑터(10)의 중량을 줄일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다음, 본 발명에 따른 어댑터(10)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어댑터(10)가 3 개의 피스(piece)로 분리 구성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각 피스별 중량이 감소되어 인력에 의한 어댑터(10)의 설치가 가능하게 될 뿐만 아니라, 제1몸체부(100)와 제2몸체부(200) 사이의 비틀림 구동이 가능하게 되어 대륙철도차량의 주행 중 어댑터(10)에 가해지는 하중을 경감시킬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1몸체부(100)와 제2몸체부(200)의 사이, 즉 제1몸체부(100)의 제1결합부(120)와 제2몸체부(200)의 제2결합부(220) 사이에 제3몸체부(300)가 연결 설치되는데, 상기 제3몸체부(300)는 유니버설조인트부(310)와 제3 및 제4결합부(320,3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유니버설조인트부(310)는 제1몸체부(100)와 제2몸체부(200) 사이의 연결 각도가 자유롭게 변화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두 개의 회전축을 포함하는 카던 조인트(Cardan joint)나 볼 구조를 이용한 제파 조인트(Rzeppa joint) 등의 사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하중에 대한 지지력이 우수한 제파 조인트를 이용하여 유니버설조인트부(310)가 상,하,좌,우 방향으로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상기 제3 및 제4결합부(320,330)는 유니버설조인트부(310)의 양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제3몸체부(300)가 제1몸체부(100)의 제1결합부(120) 및 제2몸체부(200)의 제2결합부(220) 사이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제3 및 제4결합부(320,330)에는 하나 이상의 체결홀(322,332)이 형성되어 마찬가지로 체결홀(128,228)이 형성된 제1결합부(120)와 제2결합부(220)에 각각 연결된 상태에서 체결수단(400)에 의해 체결 고정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결합부(120)와 제2결합부(220)에는 각각 제1결합홈(126)과 제2결합홈(226)이 형성되고, 상기 제3 및 제4결합부(320,330)는 각각 제1 및 제2결합홈(126,226)의 내측으로 삽입 결합되어 체결수단(400)에 의해 체결 고정되는데, 상기 제1 및 제2결합홈(126,226)과 제3 및 제4결합부(320,330)는 더브테일(dove tail) 형상으로 이루어져 제3몸체부(300)를 제1몸체부(100)와 제2몸체부(200)의 사이에 슬라이드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제1 및 제2몸체부(100,200) 사이에 결합된 제3몸체부(30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제1몸체부(100)와 제2몸체부(200)를 일정거리 이격시킨 상태에서 제3몸체부(300)에 구비된 더브테일 형상의 제3 및 제4결합부(320,330)를, 마찬가지로 더브테일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1 및 제2결합홈(126,226)에 슬라이드 결합시킨 후 볼트, 고정핀 등의 체결수단(400)에 의해 제1결합홈(126)에 슬라이드 결합된 제3결합부(320)와 제2결합홈(226)에 슬라이드 결합된 제4결합부(330)를 각각 체결 고정시키는 작업만으로 어댑터(10)를 결합시킬 수 있게 되고, 상기와 같이 결합된 어댑터(10)는 결합부를 형성하는 더브테일 형상에 의해 안정적이고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체결수단(400)에 의해 일체로 체결 고정되는 종래의 어댑터들과는 달리,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3몸체부(300)에 구비된 유니버설조인트부(310)에 의해 제1몸체부(100)와 제2몸체부(200) 사이의 연결부가 자유롭게 회동 가능한 상태가 되므로, 대륙철도차량이 선회구간, 경사구간 및 선회경사구간을 주행하는 경우 어댑터(10)에 가해지는 하중을 경감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대륙철도차량용 연결기 어댑터(10)에 의하면, 서로 다른 연결기 형상이 구비된 어댑터를 제1몸체부(100)와 제2몸체부(200)로 분리 구성하여 어댑터(10)의 설치시 중량으로 인한 애로사항을 해소할 수 있고, 제1몸체부(100)와 제2몸체부(200)를 직접 연결하여 체결 고정시키므로 어댑터(10) 설치에 소요되는 시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대륙철도차량의 주행 도중 어댑터(10)에 가해지는 하중에 대한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어댑터(10)를 구성하는 제1 및 제2몸체부(100,200) 사이의 연결부가 회동가능하도록 하여 대륙철도차량의 주행 도중 어댑터(10)에 가해지는 하중을 경감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등의 다양한 장점을 갖는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본 발명은 대륙철도차량용 연결기 어댑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서로 다른 연결기를 갖는 대륙철도차량의 연결을 위해 사용되는 어댑터를 다수 개의 피스(piece)로 분리 구성하여 경량화시킴으로써 어댑터의 설치가 보다 용이해지도록 함과 동시에 어댑터의 유지 및 보수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대륙철도차량용 연결기 어댑터에 관한 것이다.
10 : 어댑터 100 : 제1몸체부
110 : 제1헤드부 112, 212 : 관통부
120 : 제1결합부 122 : 돌출부
124 : 고정돌기 126 : 제1결합홈
128,228,322,332 : 체결홀 200 : 제2몸체부
210 : 제2헤드부 220 : 제2결합부
222 : 수용홈 224 : 고정홈
226 : 제2결합홈 300 : 제3몸체부
310 : 유니버설조인트부 320 : 제3결합부
330 : 제4결합부 400 : 체결수단
110 : 제1헤드부 112, 212 : 관통부
120 : 제1결합부 122 : 돌출부
124 : 고정돌기 126 : 제1결합홈
128,228,322,332 : 체결홀 200 : 제2몸체부
210 : 제2헤드부 220 : 제2결합부
222 : 수용홈 224 : 고정홈
226 : 제2결합홈 300 : 제3몸체부
310 : 유니버설조인트부 320 : 제3결합부
330 : 제4결합부 400 : 체결수단
Claims (7)
- 일측에 대륙철도차량 차체의 연결기에 결합되는 제1헤드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제1결합부가 형성된 제1몸체부와,
일측에 상기 제1결합부에 연결 설치되는 제2결합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제1헤드부와 다른 형태의 연결기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2헤드부가 형성된 제2몸체부 및
상기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를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1결합부는 제1헤드부의 후단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원통형상의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의 후단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는 고정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결합부에는 돌출부 및 고정돌기가 내측으로 삽입 결합되는 수용홈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홈에는 제1결합부의 회전에 의해 고정돌기가 삽입 고정되는 고정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륙철도차량용 연결기 어댑터.
- 삭제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헤드부에는 종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관통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륙철도차량용 연결기 어댑터.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33452A KR102025901B1 (ko) | 2018-03-22 | 2018-03-22 | 대륙철도차량용 연결기 어댑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33452A KR102025901B1 (ko) | 2018-03-22 | 2018-03-22 | 대륙철도차량용 연결기 어댑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25901B1 true KR102025901B1 (ko) | 2019-09-26 |
Family
ID=68067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33452A KR102025901B1 (ko) | 2018-03-22 | 2018-03-22 | 대륙철도차량용 연결기 어댑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25901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0196950A1 (ko) * | 2019-03-27 | 2020-10-01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대륙철도차량용 연결기 어댑터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004384B2 (ja) * | 1990-05-08 | 2000-01-31 | ウエスチングハウス・エヤー・ブレーキ・コンパニー | 関節型連結装置のための軸受組立体 |
US20030231925A1 (en) * | 2002-06-13 | 2003-12-18 | Ching-Cheng Chen | Visual inspection coupler |
KR20110136112A (ko) * | 2010-06-14 | 2011-12-21 | 여흥레이저텍(주) | 그레이팅 잠금장치 및 방법 |
KR20180007364A (ko) | 2016-07-12 | 2018-01-23 | 현대로템 주식회사 | 철도차량 연결기용 어댑터 |
-
2018
- 2018-03-22 KR KR1020180033452A patent/KR10202590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004384B2 (ja) * | 1990-05-08 | 2000-01-31 | ウエスチングハウス・エヤー・ブレーキ・コンパニー | 関節型連結装置のための軸受組立体 |
US20030231925A1 (en) * | 2002-06-13 | 2003-12-18 | Ching-Cheng Chen | Visual inspection coupler |
KR20110136112A (ko) * | 2010-06-14 | 2011-12-21 | 여흥레이저텍(주) | 그레이팅 잠금장치 및 방법 |
KR20180007364A (ko) | 2016-07-12 | 2018-01-23 | 현대로템 주식회사 | 철도차량 연결기용 어댑터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0196950A1 (ko) * | 2019-03-27 | 2020-10-01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대륙철도차량용 연결기 어댑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963229B2 (en) | Monorail bogie assembly comprising a linking member | |
KR102019981B1 (ko) | 대륙철도차량용 연결기 구조 | |
US5271511A (en) | Removable shaft member engageable in a ball portion of articulated bearing assembly | |
JP2832095B2 (ja) | 関節型連結装置 | |
KR102025901B1 (ko) | 대륙철도차량용 연결기 어댑터 | |
US3476040A (en) | Articulated railway car connector and truck | |
US5219082A (en) | Male connection member for an articulated coupling arrangement | |
JP3004384B2 (ja) | 関節型連結装置のための軸受組立体 | |
KR101888626B1 (ko) | 대륙철도차량용 연결기 구조 | |
US5042393A (en) | Locking assembly to secure a bearing assembly in an articulated coupling apparatus for connecting adjacent ends of a pair of railway cars | |
US5271335A (en) | Articulation assembly for rail cars | |
KR102056125B1 (ko) | 대륙 철도차량용 연결기 | |
KR102276203B1 (ko) | 대륙철도차량용 연결기 고정 구조 | |
KR102452996B1 (ko) | 대륙철도차량용 연결기 구조 | |
WO2020196950A1 (ko) | 대륙철도차량용 연결기 어댑터 | |
KR101545966B1 (ko) | 산악철도차량용 연결기 | |
KR910007833Y1 (ko) | 철도차량용 회전식 쌍두 연결 장치 | |
CA2185775C (en) | End design for a railway type freight car | |
US7261043B2 (en) | Articulated railway bogie connector | |
US20240343276A1 (en) | Coupling arrangement | |
US5080243A (en) | Assembly mechanism for an articulated coupling system | |
RU223835U1 (ru) | Узел сцепа грузовых вагонов | |
RU218999U1 (ru) | Полувагон | |
WO2020196949A1 (ko) | 대륙철도차량용 연결기 구조 | |
RU2748083C1 (ru) | Вагон-цистерна (варианты)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