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8954B1 - 충격 완충 장치 - Google Patents

충격 완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8954B1
KR102218954B1 KR1020190086842A KR20190086842A KR102218954B1 KR 102218954 B1 KR102218954 B1 KR 102218954B1 KR 1020190086842 A KR1020190086842 A KR 1020190086842A KR 20190086842 A KR20190086842 A KR 20190086842A KR 102218954 B1 KR102218954 B1 KR 1022189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ffer
housing
impact
shock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68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10723A (ko
Inventor
권태수
김진성
정현승
황준혁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900868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8954B1/ko
Publication of KR202100107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07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89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89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GCOUPLINGS; DRAUGHT AND BUFFING APPLIANCES
    • B61G11/00Buffers
    • B61G11/18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GCOUPLINGS; DRAUGHT AND BUFFING APPLIANCES
    • B61G11/00Buffers
    • B61G11/08Buffers with rubber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GCOUPLINGS; DRAUGHT AND BUFFING APPLIANCES
    • B61G11/00Buffers
    • B61G11/16Buffers absorbing shocks by permanent deformation of buffer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GCOUPLINGS; DRAUGHT AND BUFFING APPLIANCES
    • B61G9/00Draw-gear
    • B61G9/04Draw-gear combined with buffing applian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7/00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 F16F7/10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using inertia effect
    • F16F7/104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using inertia effect the inertia member being resiliently mounted

Abstract

본 발명은 충격 완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철도차량을 연결하는 연결기, 선로의 끝에 설치되는 차막이 또는 차량의 단부 양측에 형성되는 사이드 버퍼 등에 설치하여 충격이 가해질 때, 2차에 걸쳐 충격을 해소하도록 함으로써, 연결시 발생하는 약한 충격뿐만 아니라 충돌시에 발생하는 강한 충격도 해소할 수 있도록 하며, 전체를 단순한 구조로 형성하여 철도차량을 연결하는 연결기, 선로의 끝에 설치되는 차막이 또는 차량의 단부 양측에 형성되는 사이드 버퍼 등에 보다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게 함으로써,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충격 완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충격이 가해질 때 이를 해소하는 충격 완충 장치에 있어서, 바 형상으로 형성되는 완충바와, 상기 완충바의 외측에 구비되는 하우징과, 상기 완충바와 하우징 사이에 구비되는 완충부재로 이루어지는 제1완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충격 완충 장치{a shock absorbing device}
본 발명은 충격 완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철도차량을 연결하는 연결기, 선로의 끝에 설치되는 차막이 또는 차량의 단부 양측에 형성되는 사이드 버퍼 등에 설치하여 충격이 가해질 때, 2차에 걸쳐 충격을 해소하도록 함으로써, 연결시 발생하는 약한 충격뿐만 아니라 충돌시에 발생하는 강한 충격도 해소할 수 있도록 하며, 전체를 단순한 구조로 형성하여 철도차량을 연결하는 연결기, 선로의 끝에 설치되는 차막이 또는 차량의 단부 양측에 형성되는 사이드 버퍼 등에 보다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게 함으로써,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충격 완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도차량은 다수개가 연결되어 열차를 이루어 운행되는데, 이를 위해 철도차량의 전두부와 후미부에는 철도차량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기가 각각 구비된다.
이 연결기는 철도차량, 승객 및 화물의 하중을 지탱하기 위한 언더프레임의 센터실에 설치되는데, 철도차량 간의 연결기가 서로 충돌할 경우 그 충돌로 인해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완충 장치를 통해 센터실에 고정설치된다.
이러한 종래의 철도차량 연결기용 완충 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기(CT)의 끝단에 설치되어 연결기(CT)와 언더프레임(UF)의 센터실(CS)을 연결하는 버퍼부(10) 및 이 버퍼부(10)를 센터실(CS)에 고정하는 다수의 고정리벳(20)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버퍼부(10)는 다판식 고무버퍼 등과 같은 버퍼(11)와 브래킷(12)으로 구성되는데, 이 버퍼(11)가 연결기(CT)를 통해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철도차량 연결기용 완충 장치는, 버퍼부(10)가 다수의 고정리벳(20)을 통해 센터실(CS)에 견고하게 고정되므로, 버퍼부(10)가 흡수할 수 있는 용량을 초과하는 강한 충격이 가해진 경우, 버퍼부(10)에 흡수되지 못한 충격이 다수의 고정리벳(20)을 통해 센터실(CS)에 전달되어 센터실(CS)이나 버퍼부(10)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철도차량이 강하게 충돌한 경우에는 연결기(CT)와 완충 장치뿐만 아니라 센터실(CS)이나 언더프레임(UF)도 파손되는데, 철도차량의 언더프레임(UF)과 센터실(CS)은 수리하기 난해하고, 그 수리 비용 및 기간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이렇게 충격을 안정적으로 흡수하지 못함으로 인해 객실 내부의 승객이나 화물 등에 가해지는 충격량도 커질 뿐만 아니라, 철도차량 간의 강한 충격에 의해 철도차량이 상측으로 들리게 되는 타오름 현상에 의해 해당 철도차량이 탈선될 수 있으며, 그러한 철도차량의 탈선에 따른 승객의 부상이나 화물 파손의 위험이 많은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10-1135045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철도차량의 연결기, 선로의 끝에 설치되는 차막이 또는 차량의 단부 양측에 형성되는 사이드 버퍼 등에 설치하여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하기 위한 것으로서, 바 형상으로 형성되는 완충바와 완충바의 외측에 구비되는 하우징과 완충바와 하우징 사이에 구비되어 충격을 해소하는 완충부재로 이루어지는 제1완충부와 상기 제1완충부의 외측에 구비되는 확관부재와 확관부재에 의해 확관되면서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튜브로 이루어지는 제2완충부로 이루어져 2차에 걸쳐 충격을 완충시키게 되어 철도차량의 연결시 발생하는 충격뿐만 아니라 추돌사고 등의 큰 충격에서도 안정적으로 충격을 해소할 수 있는 충격 완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연결바의 후부에 설치되는 탄성부재에 의해 충격을 완충하는 제1완충부와 상기 제1완충부의 외측에 구비되어 완충튜브를 확관하는 과정에서 충격을 해소하는 제2완충부는 철도차량의 센터실 등의 설치위치에 고정하기 위한 설치판에 모두 연결되도록 하여 제1,2완충부를 별도로 설치하지 않고 설치판만을 고정함으로써, 철도차량에 설치할 수 있어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충격 완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충격이 가해질 때 이를 해소하는 충격 완충 장치에 있어서, 바 형상으로 형성되는 완충바와, 상기 완충바의 외측에 구비되는 하우징과, 상기 완충바와 하우징 사이에 구비되는 완충부재로 이루어지는 제1완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완충바의 외주면에는 제1설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에는 제1설치홈에 대응되도록 제2설치홈이 형성되며, 상기 완충부재의 내측부는 제1설치홈에 삽입되고 외측부는 제2설치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완충부의 외측에는 제2완충부가 더 구비되되, 상기 제2완충부는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 구비되는 완충 튜브와, 상기 하우징의 전단 외측, 상기 완충 튜브의 내측에 구비되는 확관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의 전단 외주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제1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확관부재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1걸림턱에 대응되도록 제2걸림턱이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하우징에 의해 확관부재가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확관부재는 외측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압괴부와, 상기 압괴부의 전부에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제1플랜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확관부재는 압괴부와 제1플랜지의 사이에 외주면을 따라 절단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플랜지가 고정되는 설치판이 구비되되, 상기 설치판의 중심부에는 상기 제1,2완충부가 삽입되는 설치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완충 튜브의 전단 외측에는 제2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제2플랜지는 제1플랜지의 후면에 접하도록 위치하며, 상기 제1,2플랜지는 상기 설치공의 외측에 결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완충부재는 링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완충부재는 스파이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철도차량의 연결기, 선로의 끝에 설치되는 차막이 또는 차량의 단부 양측에 형성되는 사이드 버퍼 등에 설치하여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하기 위한 것으로서, 바 형상으로 형성되는 완충바와 완충바의 외측에 구비되는 하우징과 완충바와 하우징 사이에 구비되어 충격을 해소하는 완충부재로 이루어지는 제1완충부와 상기 제1완충부의 외측에 구비되는 확관부재와 확관부재에 의해 확관되면서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튜브로 이루어지는 제2완충부로 이루어져 2차에 걸쳐 충격을 완충시키게 되어 철도차량의 연결시 발생하는 충격뿐만 아니라 추돌사고 등의 큰 충격에서도 안정적으로 충격을 해소할 수 있는 충격 완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연결바의 후부에 설치되는 탄성부재에 의해 충격을 완충하는 제1완충부와 상기 제1완충부의 외측에 구비되어 완충튜브를 확관하는 과정에서 충격을 해소하는 제2완충부는 철도차량의 센터실 등의 설치위치에 고정하기 위한 설치판에 모두 연결되도록 하여 제1,2완충부를 별도로 설치하지 않고 설치판만을 고정함으로써, 철도차량에 설치할 수 있어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철도차량 연결기용 완충 장치가 구비된 철도차량의 연결부분의 평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철도차량 연결기용 완충 장치가 구비된 철도차량의 연결부분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충격 완충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충격 완충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충격 완충 장치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연결기용 완충 장치의 제1완충부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 실시 예에 따른 완충부재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충격 완충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충격 완충 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충격 완충 장치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연결기용 완충 장치의 제1완충부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 실시 예에 따른 완충부재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철도차량의 센터실에 설치되되 전부에 연결기(600), 선로의 끝에 설치되는 차막이 또는 차량의 단부 양측에 형성되는 사이드 버퍼 등에 설치하여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하기 위한 충격 완충 장치에 관한 것으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연결기(600)에 설치된 상태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본 발명의 충격 완충 장치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구성은 상기 연결기(600)의 후부에 구비되는 제1완충부(A1)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상기 제1완충부(A1)의 전단부는 철도차량의 하부에 형성되는 센터실의 전부에 고정 설치되는 설치판(100)에 고정설치된다.
그래서, 철도차량을 서로 연결하거나 주행 중에 발생하는 충격 등이 상기 연결기(600)를 통하여 제1완충부(A1)으로 전달될 경우, 이를 해소하여 철도차량에 탑승한 승객들에게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게 된다.
물론, 연결기(600)가 아닌 선로의 끝에 설치되는 차막이나 차량의 양측 단부에 형성되는 사이드 버퍼의 경우에는 해당 설치위치에 차단판(100)을 설치고정하는 것은 당연하다.
그리고, 상기 제1완충부(A1)는 상기 연결기(600)의 후부에 힌지결합되는 완충바(200)와 상기 완충바(200)의 후부 외측에 구비되는 하우징(300)과 상기 완충바(200)와 하우징(300) 사이에 구비되는 완충부재(25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완충바(200)의 외주면에는 제1설치홈(230)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300)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1설치홈(230)에 대응되도록 제2설치홈(310)이 형성되어, 상기 완충부재(250)의 내측부는 제1설치홈(230)에 삽입되고 외측부는 제2설치홈(310)에 삽입되게 된다.
이때, 상기 완충부재(250)는 고무나 합성고무 등을 탄성재질로 이루어지고, 그 형상은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제1설치홈(230)과 제2설치홈(310)에 각각 삽입되게 된다.
한편, 상기 완충바(200)는 상기 하우징(300)의 내측에 위치하는 완충부(220)와 상기 완충부(220)의 전단에 형성되는 힌지부(210)로 이루어지며, 상기 힌지부(210)에는 상기 연결기(600)의 후단에 결합되는 연결부재(240)의 단부가 힌지 결합으로 결합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300)은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는데, 상기 하우징(3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부재(부호 미도시)와 하부 부재(부호 미도시)로 형성하여 내부에 완충바(200)의 완충부(220)와 완충부재(250)를 수용하게 되며, 전부에는 상기 완충바(200)의 전부가 돌출되도록 통공(330)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완충부(A1)을 구성하는 하우징(3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설치판(100)을 통하여 센터실의 전부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완충바(200)는 상기 하우징(300)의 전단에 형성되는 통공(330)을 통하여 돌출되는 힌지부(210)와 연결되는 연결부재(240)를 통하여 연결기(600)와 연결되므로, 연결기(600)로 가해지는 충격을 상기 완충부재(250)에 의해 완충바(200)가 후방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해소하도록 하여 철도차량 차체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소시키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300)의 내측에 위치하는 완충바(200)의 완충부(220)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1설치홈(230')과 하우징(30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제2설치홈(310')을 스파이럴 형상으로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제1,2설치홈(230',310')에 삽입 고정되는 완충부재(250') 역시 스파이럴 형상으로 형성하여, 완충부(220), 완충부재(250') 및 하우징(300)의 접하는 부분을 넓게 형성하여 가해지는 충격을 보다 완전하게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하우징(30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두개의 부분으로 분리하여 형성할 수도 있지만, 상황에 따라 다수의 부분으로 형성하여 결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완충부(A1)의 외측에는 제2완충부(A2)가 더 구비되는데, 상기 제2완충부(A2)는 상기 하우징(300)의 전단 외측에 구비되는 확관부재(500)와 상기 하우징(300)의 외측과 확관부재(500)의 외측을 모두 커버하도록 구비되는 완충 튜브(40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완충 튜브(400)는 상기 하우징(300)의 외측에 밀착하도록 하우징(300)의 외경에 대응되는 내경을 가지는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고, 전단에는 상기 확관부재(500)가 삽입되는 확관부(41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하우징(300)의 전단 외주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제1걸림턱(320)이 형성되고, 상기 확관부재(500)의 내주면 후부에는 상기 제1걸림턱(320)에 대응되도록 제2걸림턱(560)이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된다.
그래서, 철도차량을 서로 연결하거나 주행 중에 충격이 발생할 경우, 가해지는 충격이 커서 상기 제1완충부(A1)에서 충격의 해소가 불가능하여 제1완충부(A1)가 후방으로 이동할 때, 상기 제1,2걸림턱(320,560)에 의해 확관부재(500)가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그에 따라 완충 튜브(400)가 확관되는 과정에서 충격을 해소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일정 이하의 충격은 상기 제1완충부(A1)에서 해소하게 되고, 상기 제1완충부(A1)에서 해소할 수 없는 큰 충격은 상기 제2완충부(A2)를통하여 해소하도록 하여 철도차량에 탑승한 승객이 부상당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확관부재(500)는 후부에 형성되어 외측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압괴부(510)와 상기 압괴부(510)의 외측으로 도출되도록 형성되는 제1플랜지(53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설치판(100)의 중심부에는 전후로 관통되도록 설치공(110)이 형성되는데, 상기 설치공(110)에는 상기 제1완충부(A1)가 삽입되는데, 상기 확관부재(500)가 제1완충부(A1)와 함께 상기 설치공(110)에 삽입됨으로써, 확관부재(500)의 제1플랜지(530)는 상기 설치공(110)의 전면 외측에 고정되게 된다.
이때, 상기 완충 튜브(400)의 전단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제2플랜지(420)가 형성되는데, 상기 제2플랜지(420)는 상기 설치판(100)과 제1플랜지(530) 사이에 위치하여 설치판(400)에 고정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300)의 전면에는 외측부와 연통되도록 제2결합홈(340)이 형성되고, 상기 확관부재(500)의 전단에 형성되는 제1플랜지(530)의 전면에는 상기 제2결합홈(340)과 연통되도록 제1결합홈(540)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2결합홈(540,340)에는 체결바(550)가 삽입되어 하우징(300)과 확관부재(500)를 보다 견고하게 고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설치판(100)의 전부에는 커버부재(120)가 더 구비되는데, 상기 커버부재(120)의 후부에는 상기 제1,2플랜지(530,420)가 수용되는 수용홈(122)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부재(120)의 전부에는 완충바(200)의 힌지부(210)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부(124)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확관부재(500)는 상기 압괴부(510)와 제1플랜지(530)의 사이에 외주면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절단공(520)이 형성되는데,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완충부(A1)에서 해소할 수 없는 충격이 가해지게 되면, 상기 절단공(520)에 확관부재(500)의 후부인 압괴부(510)가 절단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확관부재(500)가 상기 절단공(520)을 기준으로 전후로 절단되는 과정에서 충격을 일부 해소하게 되며, 절단된 압괴부(510)는 하우징(300)의 전단 외측에 형성되는 제1걸림턱(320)과 압괴부(51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제2걸림턱(560)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어, 상기 완충 튜브(400)를 확관시키는 과정에서 나머지 충격을 해소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1차적으로 제1완충부(A1)에서 충격을 해소하게 되고, 더 큰 충격이 가해지게 되면 상기 확관부재(500)가 전후로 절단되는 과정에서 2차로 충격을 해소하고, 압괴부(510)가 완충 튜브(400)를 확관하는 과정에서 3차로 충격을 해소하게 됨으로써, 강한 충격이라도 안정적으로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연결기(600)의 후부에 설치되는 완충부재(250)에 의해 충격을 완충하는 제1완충부(A1)와 상기 제1완충부(A1)의 외측에 구비되어 완충튜브(400)를 확관하는 과정에서 충격을 해소하는 제2완충부(A2)는 설치판(100)에 모두 연결되게 된다.
따라서, 센터실에 설치할 때, 상기 제1,2완충부(A1, A2)를 별도로 설치하지 않고 설치판(100)만을 센터실의 전단에 고정하여 모두를 설치할 수 있게 됨으로써, 철도차량에 설치할 수 있어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커버부재(120)의 전부로 돌출 형성되는 보호부(124)의 하부에는 센터링 장치(700)가 더 구비되는데, 상기 센터링 장치(700)는 보호부(124)의 하부에 구비되는 센터링 부재(710)와 센터링 부재(710)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센터링 바(720)와 상기 센터링 바(720)의 전단에 연결되어 연결부재(240)의 양측을 지지하는 측방 지지부재(740)와 상기 측방 지지부재(740)의 하부에 구비되어 연결부재(240)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방 지지부재(73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센터링 부재(710)는 상기 센터링 바(720)가 항상 일정한 방향으로 위치하도록 지지하게 되어, 상황에 따라 연결기(600)가 상기 힌지부(210)를 기준으로 좌우로 회전하더라도 안정적으로 원위치로 이동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은 충격 완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철도차량을 연결하는 연결기, 선로의 끝에 설치되는 차막이 또는 차량의 단부 양측에 형성되는 사이드 버퍼 등에 설치하여 충격이 가해질 때, 2차에 걸쳐 충격을 해소하도록 함으로써, 연결시 발생하는 약한 충격뿐만 아니라 충돌시에 발생하는 강한 충격도 해소할 수 있도록 하며, 전체를 단순한 구조로 형성하여 철도차량을 연결하는 연결기, 선로의 끝에 설치되는 차막이 또는 차량의 단부 양측에 형성되는 사이드 버퍼 등에 보다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게 함으로써,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충격 완충 장치에 관한 것이다.
100 : 설치판 110 : 설치공
120 : 커버부재 200 : 완충바
210 : 힌지부 220 : 완충부
230,230' : 제1설치홈 240 : 연결부재
250,250' : 완충부재
300 : 하우징 310,310' : 제2설치홈
320 : 제1걸림턱 330 : 통공
340 : 제2결합홈 400 : 완충 튜브
410 : 확관부 420 : 제2플랜지
500 : 확관부재 510 : 압괴부
520 : 절단공 530 : 제1플랜지
540 : 제1결합홈 550 : 체결바
600 : 연결기 700 : 센터링 장치
710 : 센터링 부재 720 : 센터링 바
730 : 하방 지지부재 740 : 측방 지지부재

Claims (10)

  1. 충격이 가해질 때 이를 해소하는 충격 완충 장치에 있어서,
    바 형상으로 형성되는 완충바와,
    상기 완충바의 외측에 구비되는 하우징과,
    상기 완충바와 하우징 사이에 구비되는 완충부재로 이루어지는 제1완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완충부의 외측에는 제2완충부가 더 구비되되, 상기 제2완충부는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 구비되는 완충 튜브와, 상기 하우징의 전단 외측, 상기 완충 튜브의 내측에 구비되는 확관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확관부재는 외측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압괴부와, 상기 압괴부의 전부에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제1플랜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플랜지가 고정되는 설치판이 구비되되, 상기 설치판의 중심부에는 상기 제1,2완충부가 삽입되는 설치공이 형성되며,
    상기 완충 튜브의 전단 외측에는 제2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제2플랜지는 제1플랜지의 후면에 접하도록 위치하며,
    상기 제1,2플랜지는 상기 설치공의 외측에 결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완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바의 외주면에는 제1설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에는 제1설치홈에 대응되도록 제2설치홈이 형성되며,
    상기 완충부재의 내측부는 제1설치홈에 삽입되고 외측부는 제2설치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완충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전단 외주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제1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확관부재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1걸림턱에 대응되도록 제2걸림턱이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하우징에 의해 확관부재가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완충 장치.
  5. 삭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확관부재는 압괴부와 제1플랜지의 사이에 외주면을 따라 절단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완충 장치.
  7. 삭제
  8. 삭제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는 링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완충 장치.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는 스파이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완충 장치.
KR1020190086842A 2019-07-18 2019-07-18 충격 완충 장치 KR1022189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6842A KR102218954B1 (ko) 2019-07-18 2019-07-18 충격 완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6842A KR102218954B1 (ko) 2019-07-18 2019-07-18 충격 완충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0723A KR20210010723A (ko) 2021-01-28
KR102218954B1 true KR102218954B1 (ko) 2021-02-24

Family

ID=74239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6842A KR102218954B1 (ko) 2019-07-18 2019-07-18 충격 완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895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59801A4 (en) * 2021-01-18 2023-01-18 Korea Railroad Research Institute SHOCK ABSORBING DEVI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7188B1 (ko) 1998-03-30 2006-01-26 보이트 투르보 샤르펜베르크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철도차량에서 센트럴 버퍼 커플링의 커플링 샤프트를 탄성지지하는 장치
US20120031299A1 (en) 2010-08-06 2012-02-09 Voith Patent Gmbh Energy-Absorbing Device Particularly For A Shock Absorber For A Track-Guided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3942B1 (ko) * 2009-05-21 2011-09-14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충격 흡수 장치
KR101135045B1 (ko) 2010-02-08 2012-04-13 현대로템 주식회사 철도차량 연결기용 완충장치
KR101898097B1 (ko) * 2016-12-27 2018-09-13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철도차량 연결기용 충격흡수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7188B1 (ko) 1998-03-30 2006-01-26 보이트 투르보 샤르펜베르크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철도차량에서 센트럴 버퍼 커플링의 커플링 샤프트를 탄성지지하는 장치
US20120031299A1 (en) 2010-08-06 2012-02-09 Voith Patent Gmbh Energy-Absorbing Device Particularly For A Shock Absorber For A Track-Guided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0723A (ko) 2021-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03331C (zh) 用于轨道车辆的中央缓冲联结器
KR101898097B1 (ko) 철도차량 연결기용 충격흡수장치
CA2628874A1 (en) Rail car collision system
KR20140055232A (ko) 철도차량용 배장기
US20160318528A1 (en) Bearing bracket, assembly containing such a bearing bracket and system containing such an assembly
KR102557313B1 (ko) 차량용 범퍼빔 유닛
EP1925525B1 (en) Vehicle
KR102218954B1 (ko) 충격 완충 장치
KR100797046B1 (ko) 슬라이딩 방식 전두부 충격에너지 흡수장치
KR102034395B1 (ko) 철도차량용 연결기의 설치구조
JP7377859B2 (ja) 衝撃緩衝装置
KR101830689B1 (ko) 철도차량 연결기의 충격 흡수 구조
KR101762733B1 (ko) 철도차량 연결기용 완충장치
KR101135045B1 (ko) 철도차량 연결기용 완충장치
AU759111B2 (en) Coupler with extended emergency release and towing feature
CN110549972B (zh) 用于汽车的碰撞吸能装置及汽车
KR20120001115U (ko) 철도차량용 충돌 충격 흡수체
CA2534007A1 (en) Enhanced vehicle safety bumper (evsb)
KR102141113B1 (ko) 철도차량 연결기용 충격흡수장치
KR102271623B1 (ko) 차량 범퍼 보강용 사이드 익스텐션
KR20140143246A (ko) 열차신호제어용 발리스 고정장치의 설치구조
CN111216755B (zh) 一种拉杆座、车体及轨道车辆
CN204623386U (zh) 一种耐用汽车防撞梁
KR100440855B1 (ko) 자동차의 범퍼
KR20210087600A (ko) 철도차량용 연결기 및 이를 이용한 화차용 모듈식 충격에너지흡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