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7046B1 - 슬라이딩 방식 전두부 충격에너지 흡수장치 - Google Patents

슬라이딩 방식 전두부 충격에너지 흡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7046B1
KR100797046B1 KR1020060085308A KR20060085308A KR100797046B1 KR 100797046 B1 KR100797046 B1 KR 100797046B1 KR 1020060085308 A KR1020060085308 A KR 1020060085308A KR 20060085308 A KR20060085308 A KR 20060085308A KR 100797046 B1 KR100797046 B1 KR 1007970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ck absorber
driver panel
impact energy
driver
pane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53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태수
정현승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600853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7046B1/ko
Priority to PCT/KR2006/005370 priority patent/WO2008029970A1/en
Priority to EP06824076.1A priority patent/EP2066545B1/en
Priority to ES06824076.1T priority patent/ES2610423T3/es
Priority to US12/439,633 priority patent/US8141497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70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704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FRAIL VEHICLE SUSPENSIONS, e.g. UNDERFRAMES, BOGIES OR ARRANGEMENTS OF WHEEL AXLES; RAIL VEHICLES FOR USE ON TRACKS OF DIFFERENT WIDTH; PREVENTING DERAILING OF RAIL VEHICLES; WHEEL GUARDS, OBSTRUCTION REMOVERS OR THE LIKE FOR RAIL VEHICLES
    • B61F19/00Wheel guards; Bumpers; Obstruction removers or the like
    • B61F19/04Bumpers or like collision gu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5/00Other railway vehicles, e.g. scaffold cars; Adaptations of vehicles for use on railways
    • B61D15/06Buffer cars; Arrangements or construction of railway vehicles for protecting them in case of colli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7/00Construction details of vehicle bo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7/00Construction details of vehicle bodies
    • B61D17/02Construction details of vehicle bodies reducing air resistance by modifying contour ; Constructional features for fast vehicles sustaining sudden variations of atmospheric pressure, e.g. when crossing in tun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7/00Construction details of vehicle bodies
    • B61D17/04Construction details of vehicle bodies with bodies of metal; with composite, e.g. metal and wood body structures
    • B61D17/06End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FRAIL VEHICLE SUSPENSIONS, e.g. UNDERFRAMES, BOGIES OR ARRANGEMENTS OF WHEEL AXLES; RAIL VEHICLES FOR USE ON TRACKS OF DIFFERENT WIDTH; PREVENTING DERAILING OF RAIL VEHICLES; WHEEL GUARDS, OBSTRUCTION REMOVERS OR THE LIKE FOR RAIL VEHICLES
    • B61F1/00Underframes
    • B61F1/08Details
    • B61F1/10End constru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Transportation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전실의 전면에 드라이버 패널을 설치하여 철도차량 충돌시 그 충격에너지에 의하여 드라이버 패널이 변형되지 않으면서 뒤로 밀려나도록 하여 운전자의 생존공간이 최대한 확보될 수 있도록 하는 슬라이딩 방식 전두부 충격에너지 흡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철도차량의 전두부 충격 흡수장치에 있어서, 철도차량의 전두부 보호쉘에 의해 형성되는 운전실의 전면에 후퇴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라이버 패널; 상기 드라이버 패널의 저면에 설치되어 충격에너지를 흡수하는 저부 완충기; 상기 드라이버 패널의 전면에 설치되어 충격에너지를 흡수하는 전부 완충기; 및 상기 드라이버 패널의 후퇴방향에 설치되어 이 드라이버 패널의 후퇴에 의한 충격에너지를 흡수하는 드라이버 패널 완충기;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철도차량의 충돌 시 다수의 완충장치가 순차적으로 그 충격에너지를 흡수하면서 압괴되도록 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충격에너지를 감쇠시킬 수 있도록 하여 운전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하며, 운전실의 전면에 드라이버 패널을 설치하여 철도차량 충돌 시 그 충격에너지에 의하여 드라이버 패널이 변형되지 않으면서 뒤로 밀려나
도록 하여 운전자의 생존공간이 최대한 확보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열차충돌, 충격흡수, 완충장치, 하니컴, 커플러

Description

슬라이딩 방식 전두부 충격에너지 흡수장치{apparatus for absorbing shock power of sliding type}
도 1은 통상적으로 철도차량에 적용되는 전두부 충격에너지 흡수장치의 개념도.
도 2는 종래 제안되었던 철도차량의 충격에너지 흡수구조에 대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방식 전두부 충격에너지 흡수장치에 대한 구성도.
도 4a와 도 4b는 도 3에 도시한 드라이버 패널의 구성도.
도 5a와 도 5b는 도 3에 도시한 저부 완충기와 드라이버 패널의 결합 상태도.
도 6은 도 3에 도시한 보호쉘의 구성도.
도 7은 철도차량의 전두부를 형성하는 바디 프레임과 언더 프레임의 구성도.
도 8a와 도 8b는 도 7에 도시한 바디 프레임과 언더 프레임이 설치된 설치상태도.
도 9a 내지 도 9f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방식 전두부 충격에너지 흡수장치의 작동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10.. 보호쉘 110a.. 운전실
110b.. 제2 패널 가이드돌기 112.. 측부 가이드부재
112a.. 제1 패널 가이드돌기 114.. H빔부재
114a.. 완충기 가이드돌기 116.. 바디 프레임
118.. 언더 프레임 130.. 드라이버 패널 130a.. 제1 측부 가이드홈 130b.. H빔 가이드홈 130c.. 제2 측부 가이드홈 132.. 운전대
133.. 운전자 134.. 이탈방지돌기부
136.. 저부 완충기 장착부 138.. 받침대
140.. 가이드부재 설치홈 142a.. 전면보호부
142b.. 드라이버 패널 저부 150.. 저부 완충기
152.. 커플러 헤드 154.. 커플러
156.. 리어 기어 158.. 완충튜브
160.. 가이드부재 170.. 전부 완충기
190.. 드라이버 패널 완충기
본 발명은 슬라이딩 방식 전두부 충격에너지 흡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철도차량의 충돌사고시에 운전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슬라이딩 방식 전두부 충격에너지 흡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지의 예로, 고속 주행하는 동력차의 선단은 충돌시 충격에너지를 흡수하여 운전자 및 승객을 보호할 수 있도록 전두부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전두부는 통상적으로 열차가 장애물과 충돌할 경우 그 충격 흡수율은 충격 에너지의 70-80%를 흡수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도 1은 통상적으로 철도차량에 적용되는 전두부 충격에너지 흡수장치의 개념도이다.
종래 철도차량의 전두부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플러(50)와 헤드스톡(head stock)(60) 및 하니컴(honeycomb)부재(70)로 구성된다. 상기 커플러(50)는 충격에너지에 의해 가장 먼저 압괴되면서 1차적으로 완충작용을 하게 되고, 상기 헤드스톡(60)과 하니컴부재(70)는 커플러(50)에 의하여 흡수되지 못한 충격에너지를 흡수하는 것으로서 충격에너지의 대부분을 흡수하게 된다.
도 2는 전술한 바와 같은 전두부 충격에너지 흡수장치에 대한 개념을 응용하여 제안된 철도차량의 충격에너지 흡수구조(유럽공개특허공보 제0802100호)에 대한 구성도이다. 상기 철도차량의 충격에너지 흡수구조는 일반 철도차량의 전두부 또는 객차 사이에 설치되어 철도차량의 충격에너지를 흡수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커플링(3)과 케이싱(4), 에너지 흡수버퍼(7), 완충기(8) 등을 통해 철도차량의 충돌시에 발생되는 충격에너지를 흡수하여 운전자와 승객들을 보호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그런데,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철도차량의 충격에너지 흡수구조는 상기 커플링(3)과 에너지 흡수버퍼(7), 완충기(8)가 충격에너지에 의하여 압괴가 진행될 때 운전실을 형성하는 차체 프레임(9, 9‘)도 압괴가 진행됨으로써 운전자를 안전하게 보호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철도차량의 충돌사고 시에 운전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슬라이딩 방식 전두부 충격에너지 흡수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철도차량의 충돌 시 여러 개의 완충장치가 그 충격에너지를 순차적으로 흡수하면서 압괴되도록 하여 효율적으로 충격에너지를 감쇠시킬 수 있도록 하는 슬라이딩 방식 전두부 충격에너지 흡수장치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운전실의 전면에 드라이버 패널을 설치하여 철도차량 충돌시 그 충격에너지에 의하여 드라이버 패널이 변형되지 않으면서 뒤로 밀려나도록 하여 운전자의 생존공간이 최대한 확보될 수 있도록 하는 슬라이딩 방식 전두부 충격에너지 흡수장치를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방식 전두부 충격에너지 흡수장치는, 철도차량의 전두부 충격 흡수장치에 있어서, 철도차량의 전두부에 드라이버 패널이 설치되고, 철도차량의 전두부에 충격에너지가 작용하면 보호쉘 내부로 후퇴하여 충격을 흡수하되, 상기 드라이버 패널의 양 측부에는 측부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보호쉘에는 상기 측부 가이드홈에 대응되는 측부 가이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드라이버 패널에 작용하는 충격에너지는 드라이버 패널 완충기에 의해 흡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철도차량의 전두부 충격 흡수장치에 있어서, 철도차량의 전두부 운전실의 전면에 후퇴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라이버 패널과, 상기 드라이버 패널에 연이어 설치되어 상기 드라이버 패널이 후퇴 시 이를 수용하는 보호쉘과, 상기 드라이버 패널의 저면에 설치되어 충격에너지를 흡수하는 저부 완충기와, 상기 드라이버 패널의 전면에 설치되어 충격에너지를 흡수하는 전부 완충기와, 상기 드라이버 패널의 후퇴방향에 설치되어 드라이버 패널의 후퇴에 의한 충격에너지를 흡수하는 드라이버 패널 완충기로 구성되되, 상기 드라이버 패널의 양 측부에는 측부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보호쉘에는 상기 측부 가이드홈에 대응되는 측부 가이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기 드라이버 패널에는 H빔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보호쉘에는 H빔 가이드홈에 설치되는 H빔 가이드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저부 완충기는, 상기 드라이버 패널의 저부에 설치되는 완충튜브와, 상기 완충튜브의 전부에 이 완충튜브와 동일선상에 설치되는 커플러와, 상기 완충튜브와 커플러를 연결하는 리어기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저부 완충기는, 상기 완충튜브 및 커플러의 후퇴시 이를 안내하는 가이드부재가 더 구비되어 있으며, 전부 완충기는 허니컴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드라이버 패널 완충기는 허니컴 구조 또는 튜브를 적층한 구조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철도차량의 전두부 충격 흡수장치에 있어서, 철도차량의 전두부에 충격에너지가 작용하면 저부완충기, 전부완충기, 드라이버 패널 완충기의 순서로 순차적으로 압괴되어 충격 에너지를 흡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저부 완충기는 커플러 헤드에 충격에너지가 작용하면 커플러가 1차적으로 압괴되고, 이어서 완충튜브가 압괴되면서 충격에너지를 흡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방식 전두부 충격에너지 흡수장치에 대한 구성도이고, 도 4a와 도 4b는 도 3에 도시한 드라이버 패널의 구성도이며, 도 5a와 도 5b는 도 3에 도시한 저부 완충기와 드라이버 패널의 결합 상태도이고, 도 6은 도 3에 도시한 보호쉘의 구성도이고, 도 7은 철도차량의 전두부를 형성하는 바디 프레임과 언더 프레임의 구성도이고, 도 8a와 도 8b는 도 7에 도시한 바디 프레임과 언더 프레임이 설치된 설치상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방식 전두부 충격에너지 흡수장치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철도차량의 전두부 보호쉘(110)에 의해 형성되는 운전실(110a)의 전면에 후퇴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라이버 패널(130)과 이 드라이버 패널(130)의 저면에 설치되어 충격에너지를 흡수하는 저부 완충기(150), 상기 드라이버 패널(130)의 전면에 설치되어 충격에너지를 흡수하는 전부 완충기(170) 및 상기 드라이버 패널(130)의 후퇴방향에 설치되어 이 드라이버 패널(130)의 후퇴에 의한 충격에너지를 흡수하는 드라이버 패널 완충기(190)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한 드라이버 패널(130)은 도 4a와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받침대(138)나 운전대(132) 등을 지지하는 저부(142b)와 이 저부(142b)에서 절곡 연장되어 운전실(110a)의 전면을 보호하는 전면 보호부(142a)로 구성되게 된다. 상기 드라이버 패널(130)의 저부(142b)에는 상기 저부 완충기(150)가 삽입 장착되는 저부 완충기 장착부(136)가 형성되고, 저부 완충기(150)가 충격에너지에 의하여 후방으로 후퇴할 때 이를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부재(160)가 삽입 설치되는 가이드부재 설치홈(140)이 형성되게 된다. 상기 저부 완충기(150)와 가이드부재(160)는 도 5a와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드라이버 패널(130)의 저부(142b)에 일측으로부터 슬라이딩되어 각각 저부 완충기 장착부(136) 및 가이드부재 설치홈(140)에 삽입 장착되게 된다.
또한, 상기한 드라이버 패널(130) 저부(142b)의 양 측부에는 이탈방지돌기부(134)가 형성된다. 이 이탈방지돌기부(134)는 보호쉘(110)로부터 드라이버 패널(13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한 드라이버 패널(130) 저부(142b)의 양 측부에는 제1 측부 가이드홈(130a)과 제2 측부 가이드홈(130c)이 구비된다. 상기 제1 측부 가이드홈(130a)과 제2 측부 가이드홈(130c)은 드라이버 패널(130)이 충격에너지에 의하여 정후방으로 후퇴되도록 가이드하게 된다. 상기 제1 측부 가이드홈(130a)은 상기 보호쉘(110)의 측부 가이드부재(112)에 돌출 형성된 제1 패널 가이드돌기(112a)와 맞물려져 작용하고, 상기 제2 측부 가이드홈(130c)은 상기 보호쉘(110)의 제2 패널 가이드돌기(110b)와 맞물려져 작용하게 된다.
또한, 상기한 드라이버 패널(130)의 저부(142b)에는 H빔 가이드홈(130b)이 형성된다. 이 H빔 가이드홈(130b)에는 보호쉘(110)에 구비되는 H빔부재(114)가 슬라이딩 이동되게 된다.
한편, 상기한 보호쉘(110)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돔 형상을 가지면서 철도차량의 외관을 형성하게 된다. 이 보호쉘(110)의 저부 양단은 내측으로 절곡되게 되고, 그 종단부에는 측부 가이드부재(112)가 형성되어 있다. 이 측부 가이드부재(112)에는 가이드 돌기(112a)가 형성되어 드라이버 패널(130)이 충격에너지에 의하여 후퇴할 때 이 드라이버 패널(130)이 정 후방으로 진행하도록 가이드하게 된 다.
또한, 상기한 보호쉘(110)에는 H빔부재(114)가 설치되게 된다. 상기 H빔부재(114)는 상기 드라이버 패널(130)의 후퇴시 이를 가이드함과 더불어 드라이버 패널(130)에 의한 충격에너지를 흡수하기 위한 드라이버 패널 완충기(190)가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게 된다. 상기 드라이버 패널 완충기(190)는 드라이버 패널(130)에 의한 충격에너지가 작용하여 압괴될 때, 즉 드라이버 패널(130)의 저부(142b) d양측부에 형성된 제1측부가이드홈(130a)과 드라이버 패널(130)의 저부(142b)에 형성된 H빔 가이드홈(130b)이 보호쉘(110)의 측부 가이드부재(112)에 마련된 제1패널 가이드 돌기(112a)와 H빔부재(114)에 의하여 가이드되어 정 후방으로 압괴될 때, 상기 드라이버 패널(130)의 충격에너지를 흡수하게 된다. 상기 보호쉘(110)의 제2패널 가이드 돌기(110b)는 드라이버 패널(130)의 제2 측부 가이드홈(130c)과 대응되어 드라이버 패널(130)을 가이드하게 된다.
이 때, 드라이버 패널(130)의 저부(142b) 양측부에 형성된 제1측부 가이드홈(130a)과 결합되는 제1패널 가이드 돌기(112a)와 이탈방지 돌기부(134)에 형성된 제2측부 가이드홈(130c)과 결합되는 제2패널 가이드 돌기(110b)는 드라이버 패널(130)이 충격력이 작용하여 후방으로 밀려날 때 마찰력이 작용하는 구조로 구성함으로써 충격력을 추가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저부 완충기(150)는 상기 드라이버 패널(130)의 저부(142b)에 장착되게 된다. 상기 저부 완충기(150)는 커플러 헤드(152)와 커플러(154), 완충튜브(158) 그리고 이 커플러(154)와 완충튜브(158)를 연결하는 리어기어(156)를 구비 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한 커플러(154)는 철도차량의 전두부가 장애물과 충돌하는 등의 이유로 충격을 받게 되면 가장 먼저 그 충격에너지를 감쇠시키게 되고, 상기 완충튜브(158)는 상기 커플러(154)에 의하여 에너지량이 감쇠된 채로 전달되는 충격에너지를 2차로 감쇠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한 저부 완충기(150)의 커플러(154)와 완충튜브(158)는 동일선상에 리어기어(156)를 매개로 연결되어 충격에너지에 의하여 후방으로 밀리면서 충격에너지를 흡수하게 된다. 이렇게 후퇴하는 커플러(154)와 완충튜브(158)에 의하여 충격에너지가 효율적으로 흡수되기 위해서는 커플러(154)와 완충튜브(158)가 철도차량의 길이방향 즉, 정 후방으로 밀려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충격에너지가 작용하게 되면 커플러(154)와 완충튜브(158)가 정 후방으로 밀려나도록 커플러(154)와 완충튜브(158)의 후퇴방향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부재(160)가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부재(160)는 도 5a와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드라이버 패널(130)에 형성된 가이드부재 설치홈(140)에 슬라이딩하는 구조로 설치되게 된다.
한편, 상기한 전부 완충기(170)는 하니컴 형상을 가지는 완충부재로서, 상기 드라이버 패널(130)의 전면에 고정 설치되게 된다. 상기 전부 완충기(170)는 상기 저부 완충기(150)에 의하여 흡수되지 못한 충격에너지를 흡수하기 위한 완충부재이다.
그리고, 상기한 드라이버 패널 완충기(190)는 하니컴 형상을 가지는 완충부재로서, 상기 보호쉘(110)의 저부에 설치되어 상기 드라이버 패널(130)에 작용하는 충격에너지를 흡수하게 된다. 상기 드라이버 패널 완충기(190)는 보호쉘(110)에 설치된 H빔부재(114)에 지지됨과 동시에 보호쉘(110)에 형성된 제2 패널 가이드돌기(110b)와 H빔부재(114)에 형성된 완충기 가이드돌기(114a)에 지지되어 설치된다. 또한 상기 드라이버 패널 완충기(190)는 드라이버 패널(130)이 충돌에 의한 충격에너지에 의해 뒤로 밀릴 때 보호쉘(110)에 형성된 제2 패널 가이드돌기(110b)와 H빔부재(114)에 형성된 완충기 가이드돌기(114a)에 의해 가이드되어 드라이버 패널(130)에 작용하는 충격에너지를 흡수하면서 정 후방으로 압괴되게 된다.
한편, 상기한 보호쉘(110)의 전방에는 도 7과 도 8a 및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디 프레임(116)과 언더 프레임(118)이 구비된다. 상기 바디 프레임(116)과 언더 프레임(118)은 충돌에 의한 충격에너지에 의하여 저부 완충기(150)와 전부 완충기(170) 및 드라이버 패널 완충기(190) 등이 압축되거나 압괴되는 것과 동시에 쉽게 부서지면서 충격에너지를 흡수하게 된다.
이어서, 도 9a 내지 도 9f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방식 전두부 충격에너지 흡수장치의 작동 상태를 설명한다.
도 9a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방식 전두부 충격에너지 흡수장치에 설치되는 드라이버 패널(130)과 저부 완충기(150), 전부 완충기(170) 및 드라이버 패널 완충기(190)가 조립된 초기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초기상태에서 철도차량의 전두부에 충돌에 의한 충격에너지가 발생하게 되면 그 충격에너지는 저부 완충기(150)의 선단에 위치한 커플러 헤드(152)에 전달되게 되고, 이 커플러 헤드(152)에 전달된 충격에너지는 커플 러(154)에 전달되게 된다. 그리하여 상기 커플러(154)는 도 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충격에너지에 의하여 압축되게 된다.
이어서, 상기한 바와 같이 충격에 의해 커플러(154)가 압축되어 더 이상 압축될 수 없게 되면 나머지 충격에너지는 커플러(154)의 후단에 연결된 완충튜브(158)에 작용하게 된다. 이러한 충격에너지에 의하여 완충튜브(158)는 도 9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플러(154)가 흡수하고도 남은 충격에너지에 의하여 완충튜브(158)까지도 압축된다. 이때 완충튜브(158)는 가이드부재(160)에 의하여 정 후방으로 압축된다.
이어서, 상기한 바와 같이 커플러(154)와 완충튜브(158)가 압축되어 더 이상 압축될 수 없게 되면 나머지 충격에너지에 의하여 저부 완충기(150)는 도 9d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부재(160)를 따라 점점 더 후퇴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한 바와 같이 커플러(154)와 완충튜브(158)가 흡수하고도 남은 충격에너지는 저부 완충기(150)를 점점 후퇴시키다가 어느 순간 드라이버 패널(130)의 전면에 설치되는 전부 완충기(170)에 작용하게 된다. 이 충격에너지에 의하여 전부 완충기(170)는 도 9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괴되면서 충격 에너지를 흡수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한 바와 같이 충격에너지에 의하여 전부 완충기(170)까지도 완전하게 압괴되게 되면 나머지 충격에너지는 드라이버 패널(130)에 작용하게 된다. 이 드라이버 패널(130)은 보호쉘(110)의 측부 가이드부재(112)를 따라 후퇴 가능하게 설치되기 때문에 작용하는 충격에너지에 의하여 드라이버 패널(130)이 뒤로 밀 려나게 되는데, 이때 드라이버 패널(130)의 저부(142b)와 밀착 설치되는 드라이버 패널 완충기(190)가 드라이버 패널(130)에 작용하는 충격에너지를 흡수하면서 도 9f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드라이버 패널 완충기(190)가 마지막으로 압괴되게 된다.
결국, 본 발명에 의한 슬라이딩 방식 전두부 충격 에너지 흡수장치는 철도차량의 전두부에 작용하는 충격에너지가 크게 4단계에 의해 흡수되는 구조를 이루고 있는 것으로, 철도차량의 전두부에 충돌에 의해 충격에너지가 발생하게 되면 그 충격 에너지가 가장 먼저 저부 완충기(150)의 선단에 위치한 커플러(154)에서 1차적으로 흡수하게 되며, 그 다음에는 커플러(154)의 후단에 연결된 완충튜브(158)에 작용하게 되고, 완충튜브(158)가 압괴되고도 남은 충격에너지는 완충튜브(158)의 압괴에 이어서 드라이버 패널(130)의 전면에 설치된 전부 완충기(170)에 작용하게 되며, 전부 완충기(170)가 완전히 압괴되고 나면 마지막으로 드라이버 패널(130)의 저부와 밀착 설치되는 드라이버 패널 완충기(190)에 작용하게 되는데, 이렇게 4단계의 흡수과정에서 철도차량의 충돌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에너지를 거의 흡수할 수 있게 되어 철도차량의 운전자를 절대적으로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철도차량의 충돌에 의한 충격에너지가 흡수되는 과정에서도 드라이버 패널(130)은 강체를 이루어 충돌에 의한 변형이 일어나지 않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드라이버 패널을 후퇴 가능하게 설치하고, 저부 완충기와 전부 완충기 및 드라이버 패널 완충기를 설치하여 철도차량의 전두부에 강한 충격에너지가 작용하게 되더라도 저부 완충기와 전부 완충기에 의해 순차적으로 충격에너지가 흡수되도록 하고, 나머지 충격에너지는 드라이버 패널이 후퇴하면서 드라이버 패널 완충기에 의해 흡수되도록 하여 운전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그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방식 전두부 충격에너지 흡수장치는, 철도차량의 충돌 시 다수의 완충장치가 순차적으로 그 충격에너지를 흡수하면서 압괴되도록 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충격에너지를 감쇠시킬 수 있도록 하여 운전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운전실의 전면에 드라이버 패널을 설치하여 철도차량 충돌 시 그 충격에너지에 의하여 드라이버 패널이 변형되지 않으면서 뒤로 밀려나도록 하여 운전자의 생존공간이 최대한 확보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1)

  1. 철도차량의 전두부 충격 흡수장치에 있어서,
    철도차량의 전두부에 드라이버 패널이 설치되고, 철도차량의 전두부에 충격에너지가 작용하면 보호쉘 내부로 후퇴하여 충격을 흡수하되,
    상기 드라이버 패널의 양 측부에는 측부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보호쉘에는 상기 측부 가이드홈에 대응되는 측부 가이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방식 전두부 충격 흡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버 패널에 작용하는 충격에너지는 드라이버 패널 완충기에 의해 흡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방식 전두부 충격 흡수장치.
  3. 철도차량의 전두부 충격 흡수장치에 있어서,
    철도차량의 전두부 운전실의 전면에 후퇴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라이버 패널과;
    상기 드라이버 패널에 연이어 설치되어 상기 드라이버 패널이 후퇴시 이를 수용하는 보호쉘과;
    상기 드라이버 패널의 저면에 설치되어 충격에너지를 흡수하는 저부 완충기와;
    상기 드라이버 패널의 전면에 설치되어 충격에너지를 흡수하는 전부 완충기와;
    상기 드라이버 패널의 후퇴방향에 설치되어 드라이버 패널의 후퇴에 의한 충격에너지를 흡수하는 드라이버 패널 완충기;로 구성되되,
    상기 드라이버 패널의 양 측부에는 측부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보호쉘에는 상기 측부 가이드홈에 대응되는 측부 가이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방식 전두부 충격 흡수장치.
  4. 삭제
  5.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버 패널에는 H빔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보호쉘에는 H빔 가이드홈에 슬라이딩 설치되는 H빔 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방식 전두부 충격 흡수장치.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저부 완충기는,
    상기 드라이버 패널의 저부에 설치되는 완충튜브와;
    상기 완충튜브의 전부에 이 완충튜브와 동일선상에 설치되는 커플러와;
    상기 완충튜브와 커플러를 연결하는 리어기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방식 전두부 충격 흡수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저부 완충기는,
    상기 완충튜브 및 커플러의 후퇴시 이를 안내하는 가이드부재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방식 전두부 충격 흡수장치.
  8.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전부 완충기는 허니컴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방식 전두부 충격 흡수장치.
  9.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버 패널 완충기는 허니컴 구조 또는 튜브를 적층한 구조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방식 전두부 충격 흡수장치.
  10. 철도차량의 전두부 충격 흡수장치에 있어서,
    철도차량의 전두부에 충격에너지가 작용하면 저부완충기, 전부완충기, 드라이버 패널 완충기의 순서로 순차적으로 압괴되어 충격 에너지를 흡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방식 전두부 충격 흡수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저부 완충기는 커플러 헤드에 충격에너지가 작용하면 커플러가 1차적으로 압괴되고, 이어서 완충튜브가 압괴되면서 충격에너지를 흡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방식 전두부 충격 흡수장치.
KR1020060085308A 2006-09-05 2006-09-05 슬라이딩 방식 전두부 충격에너지 흡수장치 Active KR1007970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5308A KR100797046B1 (ko) 2006-09-05 2006-09-05 슬라이딩 방식 전두부 충격에너지 흡수장치
PCT/KR2006/005370 WO2008029970A1 (en) 2006-09-05 2006-12-11 Sliding-type apparatus for absorbing front shock energy
EP06824076.1A EP2066545B1 (en) 2006-09-05 2006-12-11 Sliding-type apparatus for absorbing front shock energy
ES06824076.1T ES2610423T3 (es) 2006-09-05 2006-12-11 Aparato de tipo deslizante para absorber energía de impacto frontal
US12/439,633 US8141497B2 (en) 2006-09-05 2006-12-11 Sliding-type apparatus for absorbing front shock energ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5308A KR100797046B1 (ko) 2006-09-05 2006-09-05 슬라이딩 방식 전두부 충격에너지 흡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7046B1 true KR100797046B1 (ko) 2008-01-22

Family

ID=39157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5308A Active KR100797046B1 (ko) 2006-09-05 2006-09-05 슬라이딩 방식 전두부 충격에너지 흡수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141497B2 (ko)
EP (1) EP2066545B1 (ko)
KR (1) KR100797046B1 (ko)
ES (1) ES2610423T3 (ko)
WO (1) WO2008029970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4871B1 (ko) 2009-11-17 2012-03-06 현대로템 주식회사 고속열차의 선두차량용 완충구조체
KR101173485B1 (ko) 2010-02-22 2012-08-14 현대로템 주식회사 슬립형 단부 구조체와 충격력 흡수 장치를 구비한 철도차량의 충격력 흡수 구조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817350B (zh) * 2010-05-10 2011-12-21 南车株洲电力机车有限公司 一种司机室
US8839722B2 (en) * 2010-09-20 2014-09-23 Bombardier Transportation Gmbh Lightweight compound cab structure for a rail vehicle
AU2013401449B2 (en) * 2013-09-27 2017-02-16 Siemens Aktiengesellschaft Rail vehicle with a completely retractable coupling
ES2809226T3 (es) 2015-11-11 2021-03-03 Bombardier Transp Gmbh Cabina del conductor de un vehículo ferroviario
ES2901891T3 (es) * 2017-09-13 2022-03-24 Speedinnov Vehículo ferroviario que comprende un conjunto de absorción de energía de colisión
AU2018439289B2 (en) * 2018-08-30 2021-09-16 Crrc Zhuzhou Locomotive Co., Ltd. Rail vehicle and coupling box thereof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55565A1 (fr) 1993-11-25 1995-05-31 Gec Alsthom Transport Sa Dispositifs et procédé d'amortissement de choc, ossature et véhicule comportant de tels dispositifs d'amortissement de choc
JP2002225704A (ja) 2000-12-18 2002-08-14 Alstom 車両のフレーム上方における衝突に対処するようにしたエネルギー吸収構造物が設けられた運転室を有する鉄道車両
KR20050121782A (ko) * 2004-06-23 2005-12-28 한국철도기술연구원 고속전철의 전두부 충격 흡수구조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47633B1 (fr) 1996-04-19 2003-01-31 Alstom Ddf Vehicule ferroviaire a cabine de conduite comportant une structure absorbeuse d'energie a deformation progressive
US6158356A (en) * 1997-02-10 2000-12-12 Gec Alsthom Transport Sa Energy absorber device having a parallelepiped shape for absorbing impacts to a vehicle
DE19817860A1 (de) * 1998-04-22 1999-11-04 Dwa Deutsche Waggonbau Gmbh Sicherheitseinrichtung für Fahrzeugführer von Schienenfahrzeugen
US6245408B1 (en) * 1999-05-19 2001-06-12 Hexcel Corporation Honeycomb core with controlled crush properties
DE10155257B4 (de) * 2001-11-09 2008-02-21 Alstom Lhb Gmbh Kollisionsschutzeinrichtung für Schienenfahrzeuge
SE526663C2 (sv) * 2004-02-04 2005-10-18 Dellner Couplers Ab Draginrättning för tågkoppel samt deformationsrör härför
FR2879549B1 (fr) * 2004-12-22 2007-02-09 Alstom Transport Sa Dispositif absorbeur de chocs pour vehicule ferroviaire
US7536958B2 (en) * 2006-05-09 2009-05-26 Raul V. Bravo & Associates, Inc. Passenger rail car
DK1955918T3 (da) * 2007-02-08 2009-08-17 Voith Patent Gmbh Automatisk central bufferkobling
UA102260C2 (ru) * 2008-09-15 2013-06-25 Фоіт Патент Гмбх Модуль лобовой части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для крепления на переднем конце рельсовог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в частности, железнодорожног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55565A1 (fr) 1993-11-25 1995-05-31 Gec Alsthom Transport Sa Dispositifs et procédé d'amortissement de choc, ossature et véhicule comportant de tels dispositifs d'amortissement de choc
JP2002225704A (ja) 2000-12-18 2002-08-14 Alstom 車両のフレーム上方における衝突に対処するようにしたエネルギー吸収構造物が設けられた運転室を有する鉄道車両
KR20050121782A (ko) * 2004-06-23 2005-12-28 한국철도기술연구원 고속전철의 전두부 충격 흡수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4871B1 (ko) 2009-11-17 2012-03-06 현대로템 주식회사 고속열차의 선두차량용 완충구조체
KR101173485B1 (ko) 2010-02-22 2012-08-14 현대로템 주식회사 슬립형 단부 구조체와 충격력 흡수 장치를 구비한 철도차량의 충격력 흡수 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610423T3 (es) 2017-04-27
US8141497B2 (en) 2012-03-27
EP2066545A1 (en) 2009-06-10
EP2066545A4 (en) 2012-07-25
WO2008029970A1 (en) 2008-03-13
EP2066545B1 (en) 2016-11-09
US20100026020A1 (en) 2010-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7046B1 (ko) 슬라이딩 방식 전두부 충격에너지 흡수장치
KR101448745B1 (ko) 차량용 충격흡수장치
HK1048289A1 (en) A rail vehicle having a driver's cab provided with an energy-absorbing structure adapted to cope with a collision above the frame of the vehicle
EP1930226B1 (en) Front carriage of a train equipped with a front structure that absorbs energy in case of collision
KR20100061287A (ko) 복수의 충돌에너지 흡수단계를 갖는 차량의 충돌에너지 흡수장치
KR100916598B1 (ko) 철도차량용 티어링 튜브완충기
KR101063397B1 (ko) 차량용 에너지 업서버
KR100826471B1 (ko) 차량용 크래쉬 박스
KR100916596B1 (ko) 철도차량 전두부의 충격흡수 구조
KR100916595B1 (ko) 철도차량용 복합식 튜브 완충기
CN210760623U (zh) 一种双大梁高抗碰撞汽车
KR100916597B1 (ko) 철도차량 튜브완충기용 스테빌라이저 및 스테빌라이저부가형성된 철도차량용 튜브완충기
KR20140013635A (ko) 자동차용 범퍼의 에너지 흡수 구조물
KR101830689B1 (ko) 철도차량 연결기의 충격 흡수 구조
KR100583271B1 (ko) 고속전철의 전두부 충격 흡수구조
CN102248925B (zh) 汽车碰撞保护装置
CN210083134U (zh) 一种缓冲减震汽车前保险杠
CN220577200U (zh) 一种吸能盒、吸能结构及汽车
CN110606036A (zh) 一种双大梁高抗碰撞汽车
CN222022654U (zh) 一种用于汽车的新型防撞梁
KR101588801B1 (ko) 전방 충돌대응 차체보강구조
KR100380350B1 (ko) 자동차의 펜더패널 충격 흡수장치
CN113119896A (zh) 一种汽车前保险杠结构
KR100391788B1 (ko) 차량의 충격흡수 장치
KR200143849Y1 (ko) 자동차 범퍼의 완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90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9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10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1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01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P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1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1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3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10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3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10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2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10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10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10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103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1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211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210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209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206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207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206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