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3329B1 - 한방 성분을 포함하는 초콜릿 및 그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한방 성분을 포함하는 초콜릿 및 그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3329B1
KR101883329B1 KR1020170010017A KR20170010017A KR101883329B1 KR 101883329 B1 KR101883329 B1 KR 101883329B1 KR 1020170010017 A KR1020170010017 A KR 1020170010017A KR 20170010017 A KR20170010017 A KR 20170010017A KR 101883329 B1 KR101883329 B1 KR 1018833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ocolate
mixture
weight
prepared
prep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00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사문
김윤근
구영민
신승미
고건희
오경열
이경환
김성수
이동열
이형환
길영숙
Original Assignee
산청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청군 filed Critical 산청군
Priority to KR10201700100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33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33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33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1/00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therefor
    • A23G1/30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therefor
    • A23G1/32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23G1/48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containing plants or parts thereof, e.g. fruits, seeds,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34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 A23G3/50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form, e.g. products with supported structure
    • A23G3/54Composite products, e.g. layered, coated, fill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otan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방 성분을 포함하는 초콜릿 및 그의 제조 방법을 개시한다. 즉, 본 발명은 카카오를 중탕 방식으로 녹인 후, 상기 녹인 카카오에 사물차정, 한약재 분말, 유화제, 버터 등을 혼합한 후 교반하여 혼합물을 준비하고, 상기 준비된 혼합물을 성형틀에 투입한 후 성형하여 성형물을 준비하고, 상기 준비된 성형물을 냉각하여 초콜릿을 제조함으로써, 당류, 지방 등의 함량을 줄이며, 여성 질환, 치매 예방, 혈행 개선 등에 효과가 있는 한약재를 초콜릿에 접목하여 한약재에 대한 거부감을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한방 성분을 포함하는 초콜릿 및 그의 제조 방법{Chocolate comprising herbal ingredients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한방 성분을 포함하는 초콜릿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카카오를 중탕 방식으로 녹인 후, 상기 녹인 카카오에 사물차정, 한약재 분말, 유화제, 버터 등을 혼합한 후 교반하여 혼합물을 준비하고, 상기 준비된 혼합물을 성형틀에 투입한 후 성형하여 성형물을 준비하고, 상기 준비된 성형물을 냉각하여 초콜릿을 제조하는 한방 성분을 포함하는 초콜릿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초콜릿(chocolate)은 카카오 콩으로 만든 식품으로, 숙성한 카카오 콩을 볶은 다음 갈아서 만든 카카오 매스와 그 지방 부분만으로 만들어진 코코아 버터, 기타 설탕, 우유, 향료 등을 섞어 굳힌 과자를 말한다. 주로 상기 혼합물을 혼합기에 넣고 교반하여 고온으로 일주일 이상 정련한 다음 적당한 온도로 조종하여 원료 초콜릿을 만든 후 이것을 여러 가지 틀에 붓고 진동을 가하여 기포를 제거하고 냉각시켜 틀에서 꺼내 제조한다.
이러한 초콜릿의 경우, 소비자의 기대를 만족시킬 수 있는 다양한 기능성이 부가된 새로운 형태의 기능성 초콜릿에 대한 소비자의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등록특허 제10-1325191호 [명칭: 초콜릿과 넛트가 도포된 구형 크런치 초코볼 및 그 제조방법]
본 발명의 목적은 카카오를 중탕 방식으로 녹인 후, 상기 녹인 카카오에 사물차정, 한약재 분말, 유화제, 버터 등을 혼합한 후 교반하여 혼합물을 준비하고, 상기 준비된 혼합물을 성형틀에 투입한 후 성형하여 성형물을 준비하고, 상기 준비된 성형물을 냉각하여 초콜릿을 제조하는 한방 성분을 포함하는 초콜릿 및 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방 성분을 포함하는 초콜릿의 제조 방법은 한방 성분을 포함하는 초콜릿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당귀, 작약, 숙지황 및 천궁의 4개의 재료가 혼합되어 제조되는 사물탕(四物湯)을 이용하여 사물차정을 준비하는 단계; 카카오를 40℃ ~ 45℃의 물에서 중탕 방식으로 녹이는 단계; 상기 준비된 사물차정을 40℃ ~ 45℃의 온도에서 전자레인지로 1분 ~ 2분 동안 데우는 단계; 상기 녹인 카카오에 상기 데운 사물차정 및 유화제를 넣고 혼합한 후, 교반하여 혼합물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준비된 혼합물을 속이 비어 있는 쉘 초콜릿에 주입하여 성형물을 준비하는 단계; 및 냉장고에 의해, 상기 준비된 성형물을 3℃ ~ 5℃의 온도에서 미리 설정된 6시간 ~ 8시간 동안 굳혀 초콜릿을 준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사물차정을 준비하는 단계는, 상기 당귀, 작약, 숙지황 및 천궁을 동일한 중량 비율로 혼합한 후, 상기 혼합된 4개의 재료를 20배량의 정제수에 넣고 3시간 동안 80℃ ~ 90℃에서 가열하여 열수 추출하여 상기 사물탕을 준비하는 과정; 상기 준비된 사물탕을 No.2 여과지를 이용하여 여과하는 과정; 농축기에 의해, 35℃ ~ 40℃ 온도에서 상기 여과된 사물탕에서 정제수를 증발시켜, 상기 정제수가 증발된 분말 형태의 사물차 추출물을 준비하는 과정; 및 상기 준비된 사물차 추출물, 꿀, 프락토올리고당, 락토올리고당 및 정제수를 혼합하여 상기 사물차정을 준비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사물차정은, 상기 사물차정의 전체 중량 비율에서 상기 사물차 추출물 65 중량% ~ 70 중량%, 상기 꿀 4 중량% ~ 5 중량%, 상기 프락토올리고당 6 중량% ~ 8 중량%, 상기 락토올리고당 12 중량% ~ 14 중량% 및 상기 정제수 6 중량% ~ 9 중량%로 조성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초콜릿을 준비하는 단계는, 상기 초콜릿의 전체 중량 비율에서 상기 카카오 60 중량% ~ 65 중량%, 상기 사물차정 24 중량% ~ 28 중량%, 상기 유화제 1 중량% ~ 3 중량% 및 상기 쉘 초콜릿 8 중량% ~ 12 중량%로 조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방 성분을 포함하는 초콜릿의 제조 방법은 한방 성분을 포함하는 초콜릿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당귀, 작약, 숙지황, 천궁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한약재 분말을 준비하는 단계; 카카오를 40℃ ~ 45℃의 물에서 중탕 방식으로 녹이는 단계; 상기 녹인 카카오에 상기 준비된 한약재 분말 및 유화제를 넣고 혼합한 후, 교반하여 혼합물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준비된 혼합물을 성형틀에 투입한 후, 성형하여 성형물을 준비하는 단계; 및 냉장고에 의해, 상기 준비된 성형물을 3℃ ~ 5℃의 온도에서 미리 설정된 6시간 ~ 8시간 동안 굳혀 초콜릿을 준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한약재 분말을 준비하는 단계는, 당귀, 작약, 숙지황, 천궁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한약재를 12시간 ~ 24시간 동안 정제수에 침지시켜 한약재액을 준비하는 과정; 상기 준비된 한약재액을 80℃ ~ 100℃의 온도에서 12시간 ~ 36시간 동안 열수 추출하여 한약재 추출액을 준비하는 과정; 및 동결 건조기에 의해, 상기 준비된 한약재 추출액에 대해 동결 건조하여 상기 분말 형태의 한약재 분말에 대응하는 분말 형태의 한약재 추출물을 준비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초콜릿을 준비하는 단계는, 상기 초콜릿의 전체 중량 비율에서 상기 카카오 88 중량% ~ 94 중량%, 상기 한약재 분말 4 중량% ~ 10 중량% 및 상기 유화제 1 중량% ~ 3 중량%로 조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방 성분을 포함하는 초콜릿의 제조 방법은 한방 성분을 포함하는 초콜릿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당귀, 작약, 숙지황, 천궁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한약재 분말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준비된 한약재 분말과 설탕을 포함하는 제 1 혼합물을 90℃ ~ 120℃의 온도에서 10분 ~ 15분 동안 가열하여, 상기 제 1 혼합물을 캐러멜화하는 단계; 상기 캐러멜화된 제 1 혼합물에 견과류를 넣어 혼합한 제 2 혼합물을 교반하는 단계; 상기 교반된 제 2 혼합물에 버터를 넣어 혼합한 제 3 혼합물의 온도가 18℃ ~ 20℃의 온도가 될 때까지 상기 제 3 혼합물을 식히는 단계; 카카오를 40℃ ~ 45℃의 물에서 중탕 방식으로 녹이는 단계; 상기 녹인 카카오에 상기 식힌 제 3 혼합물을 넣고 혼합한 후, 교반하여 제 4 혼합물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준비된 제 4 혼합물을 성형틀에 투입한 후, 성형하여 성형물을 준비하는 단계; 및 냉장고에 의해, 상기 준비된 성형물을 3℃ ~ 5℃의 온도에서 미리 설정된 6시간 ~ 8시간 동안 굳혀 초콜릿을 준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초콜릿을 준비하는 단계는, 상기 초콜릿의 전체 중량 비율에서 상기 카카오 35 중량% ~ 45 중량%, 상기 견과류 35 중량% ~ 40 중량%, 상기 설탕 12 중량% ~ 20 중량%, 상기 한약재 분말 1 중량% ~ 4 중량% 및 상기 버터 3 중량% ~ 5 중량%로 조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방 성분을 포함하는 초콜릿은 앞선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된 초콜릿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카카오를 중탕 방식으로 녹인 후, 상기 녹인 카카오에 사물차정, 한약재 분말, 유화제, 버터 등을 혼합한 후 교반하여 혼합물을 준비하고, 상기 준비된 혼합물을 성형틀에 투입한 후 성형하여 성형물을 준비하고, 상기 준비된 성형물을 냉각하여 초콜릿을 제조함으로써, 당류, 지방 등의 함량을 줄이며, 여성 질환, 치매 예방, 혈행 개선 등에 효과가 있는 한약재를 초콜릿에 접목하여 한약재에 대한 거부감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한방 성분을 포함하는 초콜릿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한방 성분을 포함하는 초콜릿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한방 성분을 포함하는 초콜릿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포 독성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산화질소 분석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방 성분을 포함하는 초콜릿에 대한 영양 분석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9는 일반 초콜릿에 대한 영양 분석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방 성분을 포함하는 초콜릿에 대한 세균수 및 타르 색소 검사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13은 일반 초콜릿에 대한 세균수 및 타르 색소 검사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발명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 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 요소는 제 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 요소도 제 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한방 성분을 포함하는 초콜릿의 제조 방법을 도 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한방 성분을 포함하는 초콜릿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먼저, 당귀, 작약(또는 백작약), 숙지황 및 천궁의 4개의 재료가 혼합되어 제조되는 사물탕(四物湯)을 이용하여 사물차정을 준비한다.
즉, 상기 당귀, 작약, 숙지황 및 천궁을 동일한 중량 비율(예를 들어 5g/8g)로 혼합한 후, 상기 혼합된 4개의 재료를 20배량의 정제수에 넣고 3시간 동안 80℃ ~ 90℃에서 가열하여 열수 추출하여 상기 사물탕(또는 사물차)을 준비한다.
또한, 상기 열수 추출된 혼합물 추출물(또는 상기 준비된 사물탕/사물차)을 No.2 여과지를 이용하여 여과한다.
또한, 농축기(미도시)로 35℃ ~ 40℃ 온도에서 상기 여과된 혼합물 추출물(또는 상기 여과된 사물탕)에서 정제수를 증발시켜, 상기 정제수가 증발된 분말 형태의 혼합물 추출물(또는 사물탕 추출물/사물차 추출물)을 준비한다.
또한, 상기 준비된 혼합물 추출물(또는 상기 사물탕 추출물/사물차 추출물), 꿀, 프락토올리고당, 락토올리고당, 정제수(또는 물)를 혼합하여 상기 사물차정을 준비한다. 이때, 상기 사물차정은 해당 사물차정의 전체 중량 비율에서 상기 사물차 추출물 65 중량% ~ 70 중량%, 상기 꿀 4 중량% ~ 5 중량%, 상기 프락토올리고당 6 중량% ~ 8 중량%, 상기 락토올리고당 12 중량% ~ 14 중량% 및 상기 정제수 6 중량% ~ 9 중량%로 조성(또는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물차정을 준비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당귀, 작약, 숙지황, 천궁에 대해서는 성상 검사, 변질 검사, 부패 검사, 이물질 검사 등을 통해 이상이 있는 당귀, 작약, 숙지황, 천궁은 제거된 상태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당귀, 작약, 숙지황, 천궁 등에 포함된 유효 성분들이 잘 우러나도록 상기 사물차 추출물로 사용되는 당귀, 작약, 숙지황, 천궁 등은 분쇄기(미도시)를 통해 분쇄하여, 50 메쉬(mesh) ~ 200 메쉬의 분말 형태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당귀(Angelica gigas Nakai)는 미나리과(Umbelliferae)에 속하는 다년생초목으로 종류는 산지에 따라 한국에서 생산되는 참당귀 분말(Angelica gigas nakai, 토당귀)과 일본에서 생산되는 일본당귀(Angelica acutiloba kitagaw, 일당귀)와 중국에서 생산되는 중국당귀(Angelica sinensis diels)로 구분하며, 그 성분과 약리적 효과는 상이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상기 당귀는 당귀 잎으로 쌈을 해먹거나 어린순을 나물로 식용하기도 하고, 건조하여 분쇄한 가루를 떡에 첨가하거나 뿌리를 달여 차로 마시거나, 생 뿌리로 술을 담가 먹기도 한다.
또한, 상기 당귀는 생식 기능 조절 작용, 진정 작용, 진통 작용, 항균 작용, 조혈 작용 등에 효능이 있으며, 비타민 E 결핍증, 빈혈증, 진통, 강장, 부인병 치료제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 작약(Paeonia lactiflora Pall)은 작약과로 적작약과 백작약으로 분류된다. 작약은 중국의 강소성 이북의 동북지방, 몽고, 아시아의 극동남부 및 한국 등 광범위한 지역에서 널리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작약은 여러 종류의 당, 점액질, 유기산 및 미량 미네랄 등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영양부족을 치료하고, 수렴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작약은 혈관 기능을 개선하고, 소화 기관을 강화하며, 신경계의 통증을 억제하는 작용을 한다. 또한, 작약은 위산 분비를 억제하고, 방광의 운동을 강화하며, 복통을 가라앉히고, 항균, 소염, 해열 작용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숙지황은 지황의 근경 즉 생지황을 건조 및 증숙 가공하여 제조되는 것으로서, 맛은 달면서도 쓴맛이 돌고 따뜻한 성질이 있어 혈을 보(補)하고 정(精: 생명이 발생하고 활동하는 데 기본이 되는 물질)을 보충해서 허리와 무릎이 시리고 아픈 증상이나 월경이상, 어지럼증 등을 치료하고 머리를 검게 하는 효능이 있고, 이밖에 강장(强壯), 안태(安胎) 등의 효능이 있어서, 신체가 허약하거나, 태동이 불안할 때 복용되고 있다.
상기 천궁(川芎)은 산형과(umbelliferae)에 속한 다년생 초본으로, 한방에서는 그 뿌리줄기를 건조하여 두통이나 불임, 월경불순, 빈혈, 강장, 냉증과 같은 부인과 질환에 주로 사용되고 있다. 천궁의 화학 성분으로는 프탈라이드계(phthalide) 성분인 크니딜라이드(cnidilide), 네오크니딜라이드(neocnidilide), 리구스틸라이드(ligustilide), 부틸프탈라이드(butylphthalide), 센큐놀라이드(senkyunolide) 등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S110).
이후, 카카오를 40℃ ~ 45℃의 물에서 중탕 방식으로 녹인다. 이때, 상기 카카오의 농도는 50% ~ 70%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녹인 카카오는 호모게나이저(미도시)에 의해 10분 ~ 20분 동안 교반할 수도 있다(S120).
이후, 상기 준비된 사물차정을 40℃ ~ 45℃의 온도에서 전자레인지로 1분 ~ 2분 동안 데운다(S130).
이후, 상기 녹인 카카오에, 상기 데운 사물차정 및 유화제를 넣고 혼합한 후, 교반하여 혼합물을 준비한다(S140).
이후, 상기 준비된 혼합물을 속이 비어 있는 쉘 초콜릿에 주입하여 성형물을 준비한다. 이때, 상기 성형물은 5g ~ 15g 단위로 성형된 상태일 수 있다(S150).
이후, 냉각기(또는 냉장고)(미도시)에 의해, 상기 준비된 성형물(또는 상기 혼합물이 주입된 쉘 초콜릿)을 3℃ ~ 5℃의 온도(일반적으로 4℃)에서 미리 설정된 6시간 ~ 8시간 동안 굳혀(또는 냉각하여) 초콜릿을 제조(또는 준비)한다. 이때, 상기 초콜릿은 전체 중량 비율에서 상기 카카오 60 중량% ~ 65 중량%, 상기 사물차정 24 중량% ~ 28 중량%, 상기 유화제 1 중량% ~ 3 중량% 및 상기 쉘 초콜릿 8 중량% ~ 12 중량%로 조성(또는 구성)할 수 있다(S160).
이후, 자동 정렬기(미도시)에 의해, 상기 굳힌(또는 냉각된) 초콜릿을 개별 포장한다(S170).
이후, 금속 검출기(미도시)에 의해, 상기 개별 포장된 초콜릿에 금속 등의 이물질이 포함된 상태인지 여부를 탐지(또는 검사)한다(S180).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한방 성분을 포함하는 초콜릿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먼저, 당귀, 작약, 숙지황, 천궁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한약재 분말을 준비한다. 이때, 상기 한약재 분말을 준비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당귀, 작약, 숙지황, 천궁에 대해서는 성상 검사, 변질 검사, 부패 검사, 이물질 검사 등을 통해 이상이 있는 당귀, 작약, 숙지황, 천궁은 제거된 상태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당귀, 작약, 숙지황, 천궁 등에 포함된 유효 성분들이 잘 우러나도록 상기 한약재 분말로 사용되는 당귀, 작약, 숙지황, 천궁 등은 분쇄기를 통해 분쇄하여, 50 메쉬 ~ 200 메쉬의 분말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당귀, 작약, 숙지황 및 천궁 중 복수의 재료를 혼합하여 상기 한약재 분말을 준비하는 경우에 있어서, 2개의 재료를 혼합하여 상기 한약재 분말을 준비하는 경우, 상기 2개의 재료는 상기 한약재 분말의 전체 중량 비율에서 각각 30 중량% ~ 70 중량%로 조성(또는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당귀, 작약, 숙지황 및 천궁 중 3개의 재료를 혼합하여 상기 한약재 분말을 준비하는 경우, 상기 3개의 재료는 상기 한약재 분말의 전체 중량 비율에서 각각 20 중량% ~ 40 중량%로 조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당귀, 작약, 숙지황 및 천궁 중 4개의 재료를 혼합하여 상기 한약재 분말을 준비하는 경우, 상기 4개의 재료는 상기 한약재 분말의 전체 중량 비율에서 각각 15 중량% ~ 30 중량%로 조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당귀, 작약, 숙지황 및 천궁의 4개의 재료가 혼합되어 제조되는 사물탕을 이용하여 상기 한약재 분말을 준비할 수도 있다.
즉, 상기 당귀, 작약, 숙지황 및 천궁을 동일한 중량 비율(예를 들어 5g/8g)로 혼합한 후, 상기 혼합된 4개의 재료를 20배량의 정제수에 넣고 3시간 동안 80℃ ~ 90℃에서 가열하여 열수 추출하여, 상기 사물탕(또는 사물차)을 준비한다.
이후, 상기 열수 추출된 혼합물 추출물을 No.2 여과지를 이용하여 여과한다.
또한, 농축기로 35℃ ~ 40℃ 온도에서 상기 여과된 혼합물 추출물(또는 상기 여과된 사물탕/사물차)에서 정제수를 증발시켜, 상기 정제수가 증발된 분말 형태의 혼합물 추출물(또는 사물탕 추출물/사물차 추출물)을 4℃에 냉장 보관하여 사용하였다.
상기 사물탕은 영기(營氣)와 위기(衛氣)를 조절하며, 기혈(氣血)에 영양을 공급하고, 허약한 것을 낫게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상기 분말 형태의 한약재 분말은 다음의 과정을 통해서 준비될 수도 있다.
즉, 상기 당귀를 12시간 ~ 24시간 동안 물(또는 정제수)에 침지시켜 당귀액을 준비(또는 제조)한다.
여기서, 상기 당귀를 상기 당귀의 중량에 대하여 15배 ~ 25배의 정제수에 침지한다. 이때, 당귀에 포함된 유효 성분들이 잘 우러나도록 당귀는 상기 분쇄기를 통해 분쇄하여, 50 메쉬 ~ 200 메쉬의 분말 형태일 수 있다.
이후, 상기 준비된 당귀액을 열수 추출하여 당귀 추출액을 준비한다.
즉, 상기 준비된 당귀액을 80℃ ~ 100℃의 온도에서 12시간 ~ 36시간 동안 가열하여 열수 추출한다.
또한, 상기 열수 추출한 당귀액은 여과기(미도시)를 통해 여과하여 액상의 상기 당귀 추출액을 준비할 수 있다.
이후, 동결 건조기(미도시)를 통해, 상기 준비된 당귀 추출액에 대해 동결 건조하여 분말 형태의 당귀 추출물(또는 분말 형태의 당귀/당귀 분말/한약재 분말)을 준비(또는 제조)한다.
이때, 상기 당귀 추출액에 대한 동결 건조를 위한 조건은 온도 영하 40℃ ~ 영하 70℃, 압력 5 mmTorr ~ 30 mmTorr 및 동결 건조 시간 10 시간 ~ 30 시간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작약, 숙지황, 천궁 등에 대해서도 각각의 작약 분말, 숙지황 분말, 천궁 분말 등을 준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당귀에 대해서 열수 추출 및 동결 건조 단계를 통해 당귀 추출물을 준비하는 것을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귀에 대해서 초음파 추출법을 통해서 상기 당귀 추출물을 각각 준비할 수도 있다.
즉, 상기 당귀를 8시간 ~ 24시간 동안 35KHz ~ 50KHz(일반적으로 40KHz)의 초음파로 초음파 추출한 후, 사용된 당귀와 불용성 고형분을 상기 여과기를 통해 여과하여 당귀 추출물(또는 분말 형태의 당귀/당귀 분말/한약재 분말)을 준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당귀를 추출할 때, 초음파 추출법을 이용하여 유효 성분의 추출을 극대화하는 동시에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방식으로 작약, 숙지황, 천궁 등에 대해서도 각각의 작약 분말, 숙지황 분말, 천궁 분말 등을 준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준비된 한약재 분말은 0.45㎛ 멤브란스 필터(0.45 membrance filter: PVDF)로 여과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준비된 한약재 분말은 여과기에 의해 50 메쉬 ~ 200 메쉬(일반적으로 100 메쉬)로 여과할 수도 있다(S210).
이후, 카카오를 40℃ ~ 45℃의 물에서 중탕 방식으로 녹인다. 이때, 상기 카카오의 농도는 60% ~ 85%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녹인 카카오는 호모게나이저에 의해 10분 ~ 20분 동안 교반할 수도 있다(S220).
이후, 상기 녹인 카카오에, 상기 준비된 한약재 분말 및 유화제를 넣고 혼합한 후, 교반하여 혼합물을 준비한다(S230).
이후, 상기 준비된 혼합물을 성형기(또는 성형틀)(미도시)에 투입한 후, 성형하여 성형물을 준비한다. 이때, 상기 성형물은 5g ~ 15g 단위로 성형된 상태일 수 있다(S240).
이후, 냉각기(또는 냉장고)(미도시)에 의해, 상기 준비된 성형물을 3℃ ~ 5℃의 온도(일반적으로 4℃)에서 미리 설정된 6시간 ~ 8시간 동안 굳혀(또는 냉각하여) 초콜릿을 제조(또는 준비)한다. 이때, 상기 초콜릿은 전체 중량 비율에서 상기 카카오 88 중량% ~ 94 중량%, 상기 한약재 분말 4 중량% ~ 10 중량% 및 상기 유화제 1 중량% ~ 3 중량%로 조성(또는 구성)할 수 있다(S250).
이후, 절단기(미도시)에 의해 상기 제조된(또는 준비된) 초콜릿을 개별 포장 단위로 절단한다.
또한, 자동 정렬기에 의해, 상기 개별 포장 단위로 절단된 초콜릿을 개별 포장한다.
이때, 상기 성형 단계에서 미리 설정된 개별 포장 단위로 성형된 상태일 경우, 상기 자동 정렬기에 의해, 상기 제조된(또는 준비된/개별 포장 단위로 제조된) 초콜릿을 개별 포장할 수도 있다(S260).
이후, 이후, 금속 검출기에 의해, 상기 개별 포장된 초콜릿에 금속 등의 이물질이 포함된 상태인지 여부를 탐지(또는 검사)한다(S270).
도 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한방 성분을 포함하는 초콜릿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먼저, 당귀, 작약, 숙지황, 천궁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한약재 분말을 준비한다(S310).
이후, 상기 준비된 한약재 분말과 설탕을 포함하는 제 1 혼합물을 90℃ ~ 120℃의 온도에서 10분 ~ 15분 동안 가열하여, 상기 제 1 혼합물을 캐러멜화한다(또는 녹인다)(S320).
이후, 상기 캐러멜화된 제 1 혼합물에 아몬드(예를 들어 통아몬드, 슬라이드 형태의 아몬드 등 포함) 등의 견과류를 넣어 혼합한 제 2 혼합물을 교반한다. 이때, 상기 캐러멜화된 제 1 혼합물에 대한 가열을 중지한 상태에서 상기 견과류를 넣어 상기 제 2 혼합물을 준비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아몬드를 위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아몬드, 호두, 땅콩 등을 포함하는 견과류 또는 이들의 혼합 견과류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 2 혼합물의 온도가 50℃ ~ 70℃로 온도로 내려갈 때까지 상기 제 2 혼합물을 교반한다(또는 식힌다)(S330).
이후, 상기 교반된(또는 식힌) 제 2 혼합물에 버터를 넣어 혼합한 제 3 혼합물을 준비한다. 이때, 상기 제 2 혼합물에 상기 버터를 넣음에 따라, 상기 버터가 녹는다. 여기서, 상기 제 3 혼합물의 온도가 20℃ 이하(예를 들어 18℃ ~ 20℃)가 될 때까지 상기 제 3 혼합물을 식힌다(S340).
이후, 카카오를 40℃ ~ 45℃의 물에서 중탕 방식으로 녹인다. 이때, 상기 카카오의 농도는 50% ~ 70%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녹인 카카오는 호모게나이저에 의해 10분 ~ 20분 동안 교반할 수도 있다(S350).
이후, 상기 녹인 카카오에, 상기 식힌 제 3 혼합물을 넣고 혼합한 후, 교반하여 제 4 혼합물을 준비한다(S360).
이후, 상기 준비된 제 4 혼합물을 성형기(또는 성형틀)(미도시)에 투입한 후, 성형하여 성형물을 준비한다. 이때, 상기 성형물은 5g ~ 15g 단위로 성형된 상태일 수 있다(S370).
이후, 냉각기(또는 냉장고)(미도시)에 의해, 상기 준비된 성형물을 3℃ ~ 5℃의 온도(일반적으로 4℃)에서 미리 설정된 6시간 ~ 8시간 동안 굳혀(또는 냉각하여) 초콜릿을 제조(또는 준비)한다. 이때, 상기 초콜릿은 전체 중량 비율에서 상기 카카오 35 중량% ~ 45 중량%, 상기 견과류 35 중량% ~ 40 중량%, 상기 설탕 12 중량% ~ 20 중량%, 상기 한약재 분말 1 중량% ~ 4 중량% 및 상기 버터 3 중량% ~ 5 중량%로 조성(또는 구성)할 수 있다(S380).
이후, 자동 정렬기에 의해, 상기 개별 포장 단위로 절단된 초콜릿을 개별 포장한다(S390).
이후, 이후, 금속 검출기에 의해, 상기 개별 포장된 초콜릿에 금속 등의 이물질이 포함된 상태인지 여부를 탐지(또는 검사)한다(S400).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약재 분말에 대해서는 DPPH 라디칼(radical) 소거활성 측정, ABTS 라디칼 소거활성 측정, 총 폴리페놀 함량 측정, 총 플라보노이드(total flavonoid) 함량 측정, 세포 생존률 분석, 산화질소 분석 등을 통해 그 안전성을 검증 및 확인하였다.
즉, 상기 당귀, 작약, 숙지황, 천궁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한약재 분말을 20배량의 정제수에 넣고 3시간 동안 80℃ ~ 90℃에서 가열하여 열수 추출하였다.
이후, 각각의 약초 추출물(예를 들어 당귀 추출물, 작약 추출물, 숙지황 추출물, 천궁 추출물, 이들의 혼합물 추출물 등 포함)을 No.2 여과지를 이용하여 여과한 후, 농축기(미도시)로 35℃ ~ 40℃ 온도에서 상기 여과된 각각의 약초 추출물에서 정제수를 증발시킨 후, 상기 정제수가 증발된 각각의 약초 추출물을 3℃ ~ 5℃(일반적으로 4℃)에 냉장 보관하여 사용하였다.
또한, 상기 DPPT 라디칼 소거활성 측정은 상기 약초 추출물의 2,2-diphenyl-1-picrylhydrazyl(DPPH)에 대한 DPPH 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하였다.
즉, 96-웰 플레이트(96-well plate)에 에탄올에 녹인 1.5×10-4 M DPPH 용액 90μL와 시료 10μL를 첨가한 후, 10분간 반응을 시킨 다음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microplate reader)로 517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농도에 따른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을 다음의 [수학식 1]에 따라 계산하였으며, DPPH 용액 대신 에탄올을 첨가한 시료의 흡광도를 블랭크(blank)로 하였으며, 메탄올을 넣은 것을 대조구로 하였다.
Figure 112017007409765-pat00001
다음의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조구로 비타민 C로 알려진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을 사용하였다.
또한, DPPH 측정하여 IC50 확인 결과, 아스코르브산의 경우 7.4ppm에서 항산화 소거능을 나타내었으며, 상기 한약재 분말 시료의 경우, 작약이 112.4ppm으로 가장 작은 농도로 항산화 소거능을 보였다. 그 다음은 각각 당귀와 작약을 함께 추출한 시료가 234.4ppm, 당귀와 작약과 천궁을 함께 추출한 시료가 277.2ppm, 상기 사물탕이 296.6ppm 순으로 항산화 소거능을 확인하였다.
시료 EC50(ppm)
당귀 734.2
작약 112.4
천궁 -
숙지황 -
당귀+작약 234.4
당귀+작약+천궁 277.2
사물탕 296.6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 7.443
또한, 상기 한약재 분말 이외에도, 천마의 경우 175.6 ppm, 도라지 236.4 ppm 등의 항산화 소거능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기 ABTS 라디칼을 이용한 상한화력 측정(또는 ABTS 라디칼 소거활성 측정)은 Re et al.,(1999)의 방법을 변형하여 측정하였다.
즉, 7mM의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diammonium salt와 2.4mM 과황산칼륨(potassium persulfate) 용액을 혼합하여 4시간동안 방치하여 ABTs를 형성시킨 후, 이 용액을 734nm에서 흡광값이 0.7 ~ 0.8이 되도록 몰 흡광계수(ε=3.6×104M-1cm-1)를 이용하여 에탄올로 희석하였다. 이후, 희석된 ABTs 용액 225㎕에 시료 25㎕을 가한 후, Multimicroplate reader-Spectra Max M5를 사용하여 734nm에서 흡광도 값을 측정하였다. 양성 조절(positive control)로는 BHA와 아스코르브신(Ascorbic Acid)을 사용하였고, 흡광도가 50% 감소할 때 나타나는 시료의 라디칼 소거능(IC50)으로 표시하였다.
또한, 각 실험은 다음의 [수학식 2]에 의하여 계산하였다.
Figure 112017007409765-pat00002
이와 같이, ABTS와 과황산칼륨(potassium persulfate)을 암소에서 방치하면 ABTS+가 생성되는데, 추출물의 항산화력에 의해 ABTS+가 소거되어, 라디칼 특유의 색인 청록색이 탈색된다. 이처럼 ABTS+ 탈색 반응은 이미 생성된 프리 라디칼(free radical)의 제거 정도를 흡광도 값으로 나타내어 ABTS+의 소거활성능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ABTS+ 탈색 반응이 1분 안에 종료되므로 단시간에 측정할 수 있고, 소수성과 친수성 모두에 적용 가능하다.
그 결과 다음의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EC50 값을 확인하면, 작약과 사물탕이 각각 526.1 ㎍/mL과 581.6 ㎍/mL으로, 다른 약재들에 비해 우수한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시료 EC50(ppm)
당귀 -
작약 526.1
천궁 1657
숙지황 -
당귀+작약 -
당귀+작약+천궁 3354
사물탕 581.6
BHA 19.44
또한, 상기 한약재 분말 이외에도, 도라지의 경우 153.6 ㎍/mL, 여주 225.1 ㎍/mL 등의 활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총 폴리페놀 함량 측정은 20μL의 추출물을 96-웰 미량정량판(microtiter plate)에 분주한 후, 1 N 폴린-시오칼투(Folin-Ciocalteu) 시약을 넣고 실온에서 3분간 반응시켰다. 이후, 10% 탄산나트륨(sodium carbonate) 용액을 80μL 가하여 1시간 반응시킨 후, 765nm에서 흡광도(Infinite M 200 이용)를 측정하였다.
총 폴리페놀의 함량은 0~200 ㎍/mL의 갈산(gallic acid)을 이용하여 표준곡선을 작성하고, 시료 1g당 갈산의 함량(GAE)으로 나타내었다.
또한, 페놀성 화합물은 식물계에 널리 분포되어 있는 2차 대사산물의 하나로 다양한 구조와 분자량을 가진다. 상기 페놀성 화합물은 페놀성 히드록시(phenolic hydroxyl: OH)기를 가지기 때문에 단백질 및 기타 거대 분자들과 쉽게 결합하며, 항산화, 항암 등의 다양한 생리활성을 가진다.
그 결과 다음의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당귀가 7.32 mg Ga/L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사물탕 6.83 mg Ga/L, 당귀+작약+천궁 6.17 mg Ga/L, 숙지황 6.07 mg Ga/L 순으로 확인하였다.
시료 (1000 ppm) mg Ga/L
당귀 7.32
작약 2.11
천궁 5.00
숙지황 6.07
당귀+작약 5.20
당귀+작약+천궁 6.17
사물탕 6.83
또한, 상기 한약재 분말 이외에도, 구기자의 경우 11.74 mg Ga/L, 감초 8.21 mg Ga/L 등으로 폴리페놀 함량을 확인하였다.
또한,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의 측정은 추출물 100 μL와 에탄올 400 μL를 섞은 후, 500 μL 2% 염화알루미늄(aluminum chloride) 용액을 첨가하여 1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43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0 ~ 250 ㎍/mL의 농도의 케르세틴(quercetin) 용액을 근거로 작성한 표준 곡선을 이용하여 시료 1g 당 케르세틴의 함량(QE)으로 표시하였다.
또한, 플라보노이드는 식물에 의해 합성된 폴리페놀(polyphenol)의 가장 큰 부류이다. 상기 플라보노이드는 화학적 구조 차이에 의해 6개의 주요 하위 그룹으로 나뉜다. 각각의 하위 그룹들인 플라바놀(flavanols), 플라바논(flavanones), 플라본(flavones), 이소플라본(isoflavones), 플라보놀(flavonols), 안토시아니딘(anthocyanidins)은 분포, 생리 활성에 차이가 있다. 시험관 실험에서 플라보노이드는 효과적인 프리 라디칼 소거능으로서 항산화 효과를 가진다.
각 시료 추출물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카테킨 등가물(catechine equivalent)로 환산한 결과는 다음의 [표 4]와 같다.
시료 mg Ca/L
당귀 283.93
작약 225.37
천궁 215.68
숙지황 501.25
당귀+작약 278.56
당귀+작약+천궁 318.37
사물탕 305.37
숙지황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501.25 mg Ca/L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당귀+작약+천궁 318.37 mg Ca/L, 사물탕 305.37 mg Ca/L, 당귀 283.93 mg Ca/L, 당귀+작약 278.56 mg Ca/L, 작약 225.37mg Ca/L, 천궁 215.68 mg Ca/L의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기 한약재 분말 이외에도, 감초 152.56 mg Ca/L, 구기자 140.56 mg Ca/L, 헛개나무 123.93 mg Ca/L 등의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확인하였다.
또한, 세포 생존률 분석을 위해서, RAW 264.7 세포는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penicillin-streptomycin) 100 unit/ml과 10% FBS(fetal bovine serum)이 함유된 둘베코 변형 이글 배지(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 DMEM)를 사용하여 37℃, 5% CO2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하였으며, 2일 간격으로 계대 배양을 실시하였다. 세포 생존율 측정을 위해 RAW 264.7 세포를 2×105 cells/ml로 96 웰 플레이트에 분주하고, 추출물을 농도별(78, 156, 312, 625, 1250, 2500 ㎍/ml)로 처리한 후, 37℃, 5% CO2 인큐베이터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CellTiter 96 aqueous non-radioactive cell proliferation assay reagent를 첨가한 후, 37℃, 5% CO2 인큐베이터에서 4시간 동안 반응시켜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microplate reader)로 4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세포 생존율을 측정하였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든 추출물을 농도별(78, 156, 312, 625, 1250, 2500 ㎍/ml)로 측정하였을 때, 세포 독성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특히나 높은 농도인 2,500 ppm에서도 세포 독성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산화질소(Nitric Oxide: NO) 농도를 Griess 반응법을 기반으로 분석하여 NO 생성 지표로 사용하였다. 세포를 배양하였던 상등액 100 μL이나 아질산나트륨(sodium nitrite) 표준액 (0 ~ 10 μM)을 동일한 용량의 Griess 용액 0.1%(w/v) N-(1-naphythyl) 에틸렌디아민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ethylenediamine dihyd-rochloride)와 5% HCl 용액으로 1%(w/v) 술파닐아미드(sulfanilamide)를 제조한 용액과 1:1로 혼합한 후, 20분간 실온에 방치 후, 마이크로-티트레이션 플레이트 리더(micro-titration plate reader)로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RAW 264.7 세포는 세균 감염에 의한 숙주의 비특이적 면역 반응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세포로서, LPS(Lipopolysaccharide)와 같은 자극물질에 노출되면 세포의 활성이 유도된다. 본 발명에서는 RAW 264.7 대식 세포에 내독소(endotoxin) 물질인 LPS를 처리한 후, NO를 유발시켜 발생한 염증 반응에 대한 당귀, 작약, 천궁, 숙지황, 당귀+작약, 당귀+작약+천궁, 사물탕의 항염증 효과를 각각 확인하였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든 추출물에서 전반적으로 염증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특히 작약, 천궁, 당귀+작약, 당귀+작약+천구의 경우 많은 감소량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기 한방 성분(또는 한약재 분말)을 포함하는 초콜릿(예를 들어 사물탕을 이용하여 준비된 사물차정을 포함하는 초콜릿(또는 사물 초콜릿), 한약재 분말(당귀)을 포함하는 초콜릿(또는 당귀 초콜릿), 한약재 분말과 견과류를 포함하는 초콜릿(또는 아몬드 초콜릿/한방 아몬드 초콜릿) 등 포함)과 일반 초콜릿에 대한 영양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도 6 내지 도 9 및 다음의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열량은 4 종류의 초콜릿 모두 비슷하였지만, 아몬드 초콜릿의 경우 당류가 다른 3 종류의 초콜릿에 비해 60% 정도 낮았으며, 단백질의 경우 4배 정도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아몬드 초콜릿의 경우, 콜레스테롤의 함유량도 다른 3 종류의 초콜릿에 비해 6배 ~ 8배 정도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나트륨 함유량의 경우, 일반 초콜릿이 100g당 48.9g인데 비해, 사물 초콜릿과 아몬드 초콜릿은 각각 9.3g 과 3.5g으로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시험 검사 항목 시험 검사 결과
당귀 초콜릿 사물 초콜릿 아몬드 초콜릿 일반 초콜릿
열량(kcal) 547.43 531.129 576.205 543.139
탄수화물(g/100g) 45.143 40.366 38.709 39.831
당류(g/100g) 44.755 40.161 24.895 39.644
단백질(g/100g) 4.824 4.934 16.360 4.651
지방(g/100g) 38.618 38.881 39.549 40.567
포화지방(g/100g) 29.103 25.010 25.044 26.879
트랜스지방(g/100g) 0.027 0.026 0.803 0.038
콜레스테롤(g/100g) 26.036 18.967 3.956 26.571
나트륨(g/100g) 53.4 9.3 3.5 48.9
또한, 상기 한방 성분(또는 한약재 분말)을 포함하는 초콜릿(예를 들어 사물탕을 이용하여 준비된 사물차정을 포함하는 초콜릿(또는 사물 초콜릿), 한약재 분말(당귀)을 포함하는 초콜릿(또는 당귀 초콜릿), 한약재 분말과 견과류를 포함하는 초콜릿(또는 아몬드 초콜릿/한방 아몬드 초콜릿) 등 포함)과 일반 초콜릿에 대한 세균수 및 타르 색소 검사를 하였다.
그 결과, 도 10 내지 도 13 및 다음의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타르색소는 모든 초콜릿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또한, 땅콩, 아몬드 등의 견과류 가공품의 경우, 총 아플라톡신(B1, B2, G1, G2)이 15.0 ㎍/㎏ 이하의 기준으로 판매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견과류 및 한방 성분(또는 한약재 분말)을 포함하는 초콜릿의 경우, 총 아플라톡신이 검출되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당귀 초콜릿 사물 초콜릿 아몬드 초콜릿 일반 초콜릿
타르 색소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총아플라톡신 불검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카카오를 중탕 방식으로 녹인 후, 상기 녹인 카카오에 사물차정, 한약재 분말, 유화제, 버터 등을 혼합한 후 교반하여 혼합물을 준비하고, 상기 준비된 혼합물을 성형틀에 투입한 후 성형하여 성형물을 준비하고, 상기 준비된 성형물을 냉각하여 초콜릿을 제조하여, 당류, 지방 등의 함량을 줄이며, 여성 질환, 치매 예방, 혈행 개선 등에 효과가 있는 한약재를 초콜릿에 접목하여 한약재에 대한 거부감을 줄일 수 있다.
전술된 내용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카카오를 중탕 방식으로 녹인 후, 상기 녹인 카카오에 사물차정, 한약재 분말, 유화제, 버터 등을 혼합한 후 교반하여 혼합물을 준비하고, 상기 준비된 혼합물을 성형틀에 투입한 후 성형하여 성형물을 준비하고, 상기 준비된 성형물을 냉각하여 초콜릿을 제조함으로써, 당류, 지방 등의 함량을 줄이며, 여성 질환, 치매 예방, 혈행 개선 등에 효과가 있는 한약재를 초콜릿에 접목하여 한약재에 대한 거부감을 줄일 수 있는 것으로, 초콜릿 분야, 한약재 분말 활용 분야, 쿠키류 분야, 간식류 분야 등에서 광범위하게 이용될 수 있다.

Claims (9)

  1. 한방 성분을 포함하는 초콜릿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당귀, 작약, 숙지황 및 천궁의 4개의 재료가 혼합되어 제조되는 사물탕(四物湯)을 이용하여 사물차정을 준비하는 단계;
    50% ~ 70% 농도의 카카오를 40℃ ~ 45℃의 물에서 중탕 방식으로 녹이는 단계;
    상기 준비된 사물차정을 40℃ ~ 45℃의 온도에서 전자레인지로 1분 ~ 2분 동안 데우는 단계;
    상기 녹인 카카오에 상기 데운 사물차정 및 유화제를 넣고 혼합한 후, 교반하여 혼합물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준비된 혼합물을 속이 비어 있는 쉘 초콜릿에 주입하여 성형물을 준비하는 단계; 및
    냉장고에 의해, 상기 준비된 성형물을 3℃ ~ 5℃의 온도에서 미리 설정된 6시간 ~ 8시간 동안 굳혀 초콜릿을 준비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사물차정을 준비하는 단계는,
    유효 성분들이 잘 우러나도록 50 메쉬 ~ 200 메쉬의 분말 형태의 상기 당귀, 작약, 숙지황 및 천궁을 동일한 중량 비율로 혼합한 후, 상기 혼합된 4개의 재료를 20배량의 정제수에 넣고 3시간 동안 80℃ ~ 90℃에서 가열하여 열수 추출하여 상기 사물탕을 준비하는 과정;
    상기 준비된 사물탕을 No.2 여과지를 이용하여 여과하는 과정;
    농축기에 의해, 35℃ ~ 40℃ 온도에서 상기 여과된 사물탕에서 정제수를 증발시켜, 상기 정제수가 증발된 분말 형태의 사물차 추출물을 준비하는 과정; 및
    상기 준비된 사물차 추출물, 꿀, 프락토올리고당, 락토올리고당 및 정제수를 혼합하여 상기 사물차정을 준비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사물차정은,
    상기 사물차정의 전체 중량 비율에서 상기 사물차 추출물 65 중량% ~ 70 중량%, 상기 꿀 4 중량% ~ 5 중량%, 상기 프락토올리고당 6 중량% ~ 8 중량%, 상기 락토올리고당 12 중량% ~ 14 중량% 및 상기 정제수 6 중량% ~ 9 중량%로 조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 성분을 포함하는 초콜릿의 제조 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초콜릿을 준비하는 단계는,
    상기 초콜릿의 전체 중량 비율에서 상기 카카오 60 중량% ~ 65 중량%, 상기 사물차정 24 중량% ~ 28 중량%, 상기 유화제 1 중량% ~ 3 중량% 및 상기 쉘 초콜릿 8 중량% ~ 12 중량%로 조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 성분을 포함하는 초콜릿의 제조 방법.
  4. 한방 성분을 포함하는 초콜릿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당귀, 작약, 숙지황, 천궁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한약재 분말을 준비하는 단계;
    60% ~ 85% 농도의 카카오를 40℃ ~ 45℃의 물에서 중탕 방식으로 녹이는 단계;
    상기 녹인 카카오에 상기 준비된 한약재 분말 및 유화제를 넣고 혼합한 후, 교반하여 혼합물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준비된 혼합물을 성형틀에 투입한 후, 성형하여 성형물을 준비하는 단계; 및
    냉장고에 의해, 상기 준비된 성형물을 3℃ ~ 5℃의 온도에서 미리 설정된 6시간 ~ 8시간 동안 굳혀 초콜릿을 준비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한약재 분말을 준비하는 단계는,
    유효 성분들이 잘 우러나도록 50 메쉬 ~ 200 메쉬의 분말 형태의 당귀, 작약, 숙지황, 천궁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한약재를 12시간 ~ 24시간 동안 정제수에 침지시켜 한약재액을 준비하는 과정;
    상기 준비된 한약재액을 80℃ ~ 100℃의 온도에서 12시간 ~ 36시간 동안 열수 추출하여 한약재 추출액을 준비하는 과정; 및
    동결 건조기에 의해, 상기 준비된 한약재 추출액에 대해 동결 건조하여 상기 분말 형태의 한약재 분말에 대응하는 분말 형태의 한약재 추출물을 준비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 성분을 포함하는 초콜릿의 제조 방법.
  5. 삭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초콜릿을 준비하는 단계는,
    상기 초콜릿의 전체 중량 비율에서 상기 카카오 88 중량% ~ 94 중량%, 상기 한약재 분말 4 중량% ~ 10 중량% 및 상기 유화제 1 중량% ~ 3 중량%로 조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 성분을 포함하는 초콜릿의 제조 방법.
  7. 한방 성분을 포함하는 초콜릿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유효 성분들이 잘 우러나도록 50 메쉬 ~ 200 메쉬의 분말 형태의 당귀, 작약, 숙지황, 천궁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한약재 분말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준비된 한약재 분말과 설탕을 포함하는 제 1 혼합물을 90℃ ~ 120℃의 온도에서 10분 ~ 15분 동안 가열하여, 상기 제 1 혼합물을 캐러멜화하는 단계;
    상기 캐러멜화된 제 1 혼합물에 견과류를 넣어 혼합한 제 2 혼합물을 교반하는 단계;
    상기 교반된 제 2 혼합물에 버터를 넣어 혼합한 제 3 혼합물의 온도가 18℃ ~ 20℃의 온도가 될 때까지 상기 제 3 혼합물을 식히는 단계;
    50% ~ 70% 농도의 카카오를 40℃ ~ 45℃의 물에서 중탕 방식으로 녹이는 단계;
    상기 녹인 카카오에 상기 식힌 제 3 혼합물을 넣고 혼합한 후, 교반하여 제 4 혼합물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준비된 제 4 혼합물을 성형틀에 투입한 후, 성형하여 성형물을 준비하는 단계; 및
    냉장고에 의해, 상기 준비된 성형물을 3℃ ~ 5℃의 온도에서 미리 설정된 6시간 ~ 8시간 동안 굳혀 초콜릿을 준비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초콜릿을 준비하는 단계는,
    상기 초콜릿의 전체 중량 비율에서 상기 카카오 35 중량% ~ 45 중량%, 상기 견과류 35 중량% ~ 40 중량%, 상기 설탕 12 중량% ~ 20 중량%, 상기 한약재 분말 1 중량% ~ 4 중량% 및 상기 버터 3 중량% ~ 5 중량%로 조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 성분을 포함하는 초콜릿의 제조 방법.
  8. 삭제
  9. 제 1 항, 제 3 항, 제 4 항, 제 6 항 및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된 한방 성분을 포함하는 초콜릿.
KR1020170010017A 2017-01-20 2017-01-20 한방 성분을 포함하는 초콜릿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8833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0017A KR101883329B1 (ko) 2017-01-20 2017-01-20 한방 성분을 포함하는 초콜릿 및 그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0017A KR101883329B1 (ko) 2017-01-20 2017-01-20 한방 성분을 포함하는 초콜릿 및 그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3329B1 true KR101883329B1 (ko) 2018-07-30

Family

ID=63048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0017A KR101883329B1 (ko) 2017-01-20 2017-01-20 한방 성분을 포함하는 초콜릿 및 그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332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41581A (ja) * 1998-07-29 2000-02-15 Tsukishima Shokuhin Kogyo Kk 焼成菓子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80069297A (ko) * 2007-01-23 2008-07-28 김우원 한방 초콜렛의 제조방법
JP2010172253A (ja) * 2009-01-29 2010-08-12 Q P Corp 焼成メレンゲ菓子
KR101325191B1 (ko) 2012-02-02 2013-11-07 주식회사 삼광식품 초콜릿과 넛트가 도포된 구형 크런치 초코볼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69276A (ko) * 2013-12-13 2015-06-23 주식회사 밥스누 초고압 복합효소 처리에 의해 추출된 홍삼 농축액을 포함하는 무설탕 초콜릿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41581A (ja) * 1998-07-29 2000-02-15 Tsukishima Shokuhin Kogyo Kk 焼成菓子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80069297A (ko) * 2007-01-23 2008-07-28 김우원 한방 초콜렛의 제조방법
JP2010172253A (ja) * 2009-01-29 2010-08-12 Q P Corp 焼成メレンゲ菓子
KR101325191B1 (ko) 2012-02-02 2013-11-07 주식회사 삼광식품 초콜릿과 넛트가 도포된 구형 크런치 초코볼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69276A (ko) * 2013-12-13 2015-06-23 주식회사 밥스누 초고압 복합효소 처리에 의해 추출된 홍삼 농축액을 포함하는 무설탕 초콜릿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60440B1 (ko) 꿀벌―섭취가능한 조성물, 이를 이용한 꿀 생산 방법 및 이에 의해 생산된 꿀
CN103999910B (zh) 一种雪菊酥性饼干及其生产方法
KR101479381B1 (ko) 당나귀 껍질 추출물 및 당나귀 사골 추출물을 이용한 기능성 젤라틴 전약 제조방법
CN102805184A (zh) 一种玫瑰补血棒棒糖
CN107581338A (zh) 一种水果压片糖果及其制备方法
KR20130104205A (ko) 복분자 미숙과를 포함하는 차 및 이의 제조방법
CN108014150A (zh) 天然药物组合物在制备抗缺氧和抗辐射的药物或食品中的应用
CN103202429B (zh) 一种鸡骨美容挂面及其制备方法
KR101883329B1 (ko) 한방 성분을 포함하는 초콜릿 및 그의 제조 방법
RU2600601C1 (ru) Желейный мармелад
KR101252630B1 (ko) 어린이 및 청소년 성장 발육에 도움을 주는 조성물
KR20210051637A (ko) 식물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증진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3340257B (zh) 具有补肾壮阳祛风除湿作用的茶组方及速溶茶生产方法
CN102885373A (zh) 一种补血益肾的固体饮料及其制备方法
KR101316731B1 (ko) 지방 분해 촉진제 및 이를 함유하는 음식품 및 사료
CN109418763A (zh) 一种茉莉花阿胶及其制备方法
CN112023019A (zh) 一种具有降高尿酸作用的含活性多糖药物及其制备方法
KR101791802B1 (ko) 뽕나무와 측백나무를 이용한 건강 증진용 환 및 농축액 제조방법
KR101508363B1 (ko) 황칠을 함유하는 초콜릿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초콜릿
KR20180133271A (ko) 생약 추출물 및 분말을 이용한 강정제와 그에 따른 제조방법
CN105613756A (zh) 一种低糖型虫草奶片的制备方法
KR20110120116A (ko) 항산화 활성이 증진된 프로폴리스 추출액의 제조 방법
CN106722016A (zh) 一种中老年即食型保健糯米粉及其制备方法
CN104126719A (zh) 一种具有抗辐射功效的巧克力制品的制备方法
CN104824272A (zh) 茅岩莓片及其制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