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9381B1 - 당나귀 껍질 추출물 및 당나귀 사골 추출물을 이용한 기능성 젤라틴 전약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당나귀 껍질 추출물 및 당나귀 사골 추출물을 이용한 기능성 젤라틴 전약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9381B1
KR101479381B1 KR20120125982A KR20120125982A KR101479381B1 KR 101479381 B1 KR101479381 B1 KR 101479381B1 KR 20120125982 A KR20120125982 A KR 20120125982A KR 20120125982 A KR20120125982 A KR 20120125982A KR 101479381 B1 KR101479381 B1 KR 1014793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nkey
extract
weight
gelatin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201259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59479A (ko
Inventor
장애라
김동욱
박재인
신종서
Original Assignee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201201259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9381B1/ko
Publication of KR201400594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94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93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93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3/0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3/2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from offal, e.g. rinds, skins, marrow, tripes, feet, ears or snou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2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 A23L29/275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of animal origin, e.g. chitin
    • A23L29/281Proteins, e.g. gelatin or collage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4Heat, thermal treat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Zo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당나귀의 껍질과 사골 추출물의 항산화 기능성을 구명하고 이를 이용한 전약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본 발명은 당나귀 껍질 및 당나귀 사골로부터 젤라틴 추출물을 각각 수득하는 단계; 수득한 추출물을 혼합하고 대추고, 젤라틴, 계피가루, 생강가루 및 후추가루를 첨가하여 1시간~2시간 동안 50~60℃에서 가열하는 단계; 및 성형틀에 부어 4℃에서 굳히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능성 전약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된 전약은 항산화 활성이 우수하고 신경세포 보호활성이 있으며 세포 독성을 유발시키지 않으며, 관능미 또한 우수하여 건강 기능성이 향상된 전약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건강을 중시여기는 현대 소비자의 요구를 충분히 충족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당나귀 껍질 추출물 및 당나귀 사골 추출물을 이용한 기능성 젤라틴 전약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functional gelatin jeonyak using donkey skin extract and donkey bone extract}
본 발명은 당나귀의 껍질과 사골 추출물의 항산화 기능성을 구명하고 이를 이용한 전약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항산화 기능성 당나귀 껍질과 사골을 추출한 후 이에 대추고, 계피가루, 후추가루, 꿀, 매실청, 딸기잼을 첨가한 전약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당나귀는 기재목 말과 말속의 포유류로서 나귀라는 말이 표준말이나 당나라에서 전해왔다고 하여 당나귀로 부르기 시작한 것으로 전해진다. 나귀는 전 세계적으로 널리 퍼져있고 주로 아프리카, 중앙아메리카, 아시아에 분포하고 있으며 백나귀, 회색나귀, 동북나귀, 발해나귀, 아프리카 야생나귀, 아시아 야생나귀가 있다. 주로 어린이와 여성의 운송수단으로 이용되어 왔으며 질 낮은 사료급여에도 잘 견디고 악조건의 기후에서도 생존율이 높아 사육이 어렵지 않다(Aganga et al., 1994). 또한 구제역과도 상관이 없어 질병에 강하다. 나귀는 인간의 가장 오래된 가축의 하나이고 다양한 문화발달에 기여해왔음에도 불구하고 과학적인 연구가 많이 되어있지 않은 가축이기도 하다(Aganga et al., 2003).
우리나라의 경우 조선시대 나귀는 위(衛) 혹은 장이(長耳)라고 불렸다. 노새와 함께 조선시대 사대부들이 중요하게 여긴 탈것이었고 천한 사람들은 타지 못하게 되어있었다. 그러나 중국은 우리와는 달리 나귀와 노새를 천하게 여겨 가난한 서생이나 하층민이 타고 물건을 나르거나 수레를 끄는데 썼고 그 고기를 먹기도 하였다(Lee, 2009). 중국에서 당나귀 고기는 ‘하늘엔 용고기, 땅엔 당나귀 고기 (天上龍肉, 地下驢肉) 이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말고기 보다 육질이 연하고 풍미가 좋아 값이 비싼 고기로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2004년 7월 축산물가공처리법 시행령이 개정되면서 기타식용을 목적으로 하는 동물에 사슴, 토끼, 거위, 메추리, 꿩에 이어 7번째로 추가되면서 식당이나 가정에 요리에 이용이 가능해져 말고기를 선호하는 일본에 수출기대를 모았으나 소비자들에게 생소하고 값이 비싸 소비가 중단되고 있는 상태이다. 동의보감에 의하면 당나귀의 부위별로 효능을 설명하고 있으나 과학적인 분석 자료는 미흡한 실정으로 이에 대한 검증자료의 확립이 필요하다.
최근 웰빙을 추구하는 식생활 패턴의 변화, 영양상태의 개선 및 의학의 발달과 더불어 개인의 평균 수명이 점차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현대인들은 노화를 포함한 각종 성인병에 노출되어 있으며 이의 발생 원인으로 활성산소가 주목 받고 있다. 활성산소는 강한 산화력이 있어 세포막 분해, 단백질 분해, 지방산화, DNA 합성 억제, 광합성 억제, 엽록체의 파괴 등 생체 내에서 심각한 생리적 장애를 유발한다(Linn, 1986).
활성산소는 세포생체분자들을 공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활성산소의 생산이 과잉되면서 산화적 스트레스를 유발시켜 세포의 기능과 세포막의 통합성을 붕괴시키기 때문에 결국 세포사멸을 초래한다는 것이 증명되었다(Fiers et al., 1999). 따라서 생체 내 항산화 방어시스템을 증가시키거나 ROS를 조절할 수 있는 합성 또는 천연항산화제 개발연구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노화 및 각종 질병을 예방하고 치료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었던 butylated hydroxyl anisole(BHA), butylated hydroxyl toluene(BHT) 등의 합성 항산화제들이 지니는 안전성 문제를 극복하고자 생체 내 항산화 방어체계를 증가시키거나 활성산소를 조절할 수 있는 합성 또는 천연항산화제에 대한 탐색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Valko et al., 2007). 당나귀 젖은 비타민C 함유량이 젖소로부터 짜낸 우유에 비해 60배나 많을 뿐 아니라 비타민A·D 및 E, 칼슘, 아인산(亞燐酸) 등도 풍부하다고 알려져 있으나 당나귀 껍질과 사골의 항산화 기능에 대한 연구는 없다.
조선의 19세기 생활백과사전에서는 전약을 쫄깃하고 달콤하고 재료의 풍미가 느껴지는 정과의 한 종류로 분류하고 있다. 산가요록(山家料祿)에 기록된 전약의 원형에 해당하는‘우무전과’제조법을 보면 아교대신 일종의 해초(우뭇가사리)를 끓여낸 젤라틴을 사용하였으며 꿀과 후추를 첨가하여 굳힌 후 복용하였다. 그러나 16세기 이후에는 더욱 쫀득한 상태를 즐기기 위하여 우뭇가사리 대신에 소가죽을 넣고 아교를 추가하고 이 냄새를 제거하는 동시에 건강을 돕는 이국적 향료를 더하였다. 16세기에는 주로 대추를 중심으로 정향과 후추 그리고 계피 등 향신료가 많이 들어간 대추고의 형태였다. 이후 18세기 후반에 이르면 대추와 후추, 정향 등은 덜 들어가고 계피성분과 젤라틴 성분이 강하되어 쫄깃한 계피 향의 맛으로 변모하며 19세기 후반에 이르러 계피 성분은 감소하고 꿀 등 단맛이 강해지고 젤라틴도 더 많이 들어간 더욱 쫄깃하고 단맛의 형대로 변화한다.
이처럼 보양의 약물로 출발한 조선왕실의 전약은 맵고도 이국적인 고가의 향신료를 통해 자신 의 차별성을 강조하였다가 점차 쫄깃하고 단맛의 정과류로 변신하면서 조선후기 민간으로 퍼져나갔다. 그리고 결과적으로 더욱 단맛이 강한 엿 이나 이국적인 외국의 사탕에 밀려 추억의 음식이 되었다(Kim, 2005). 그러나, 최근 웰빙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이 중대되면서 전약의 가치가 증대되고 있으며 새로운 전약 소재의 선발 및 제품제조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09-0050085호 한국공개특허 제1997-0001361호
이에 본 발명자들은 광우병 및 구제역등으로 소비가 기피되고 있는 소껍질과 돼지껍질을 대체하기 위해 당나귀의 껍질과 당나귀 사골의 추출물을 이용하여 항산화 기능성이 부여되고 현대인의 기호를 만족시킬 수 있는 기능성 전약의 제조기술을 규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당나귀 껍질 및 당나귀 사골로부터 젤라틴 추출물을 이용한 기능성 전약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된 당나귀 껍질 및 당나귀 사골 유래의 젤라틴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전약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당나귀 껍질 및 당나귀 사골로부터 젤라틴 추출물을 각각 수득하는 단계; 수득한 추출물을 혼합하고 대추고, 젤라틴, 계피가루, 생강가루 및 후추가루를 첨가하여 1시간~2시간 동안 50~60℃에서 가열하는 단계; 및 성형틀에 부어 4℃에서 굳히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능성 전약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된 당나귀 껍질 및 당나귀 사골 유래의 젤라틴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전약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항산화 물질이 함유되어 영양학적으로 우수한 전약을 제조함으로써 한방 약리학적으로 보양보혈의 기능을 갖춘 약선(藥膳)으로 단순한 후식이 아닌 건강식품으로 널리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 하였다.
또한 항산화 기능성이 있는 당나귀 껍질과 사골 추출물을 이용한 전약은 여러 가지 향신료를 사용해 원료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이취를 제거하고, 기호도가 개선된 제품을 생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항산화 활성이 있는 당나귀 껍질과 사골 추출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전약은 건강지향적인 전통식품으로서의 활용 가능성이 있고, 꿀과 매실청, 딸기쨈을 첨가함으로서 현대의 식생활에 적합한 형태의 전통음식으로 개발 및 보급 될 수 있다.
또한, 당나귀의 껍질과 사골은 그 용도가 많지 않아 버려지고 있는 부위이기 때문에 이를 이용한 식품소재의 개발로 인해 환경보호에도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당나귀 껍질과 사골추출물의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2는 본 당나귀 껍질과 사골추출물의 ABTS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당나귀 껍질과 사골추출물의 ORAC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껍질과 사골추출물의 인간 신경모세포종 독성시험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당나귀 껍질과 사골추출물의 H2O2에 의한 인간 신경모세포종 세포 생존율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항산화 활성이 있는 당나귀 껍질과 사골 추출물을 이용한 전약의 제조공정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항산화 활성이 우수하고 신경세포 보호 활성을 갖는 기능성 전약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당나귀 껍질 유래 추출물과 당나귀 사골 유래 추출물을 사용하여 기능성 전약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당나귀 껍질 및 당나귀 사골로부터 젤라틴 추출물을 각각 수득하는 단계; 수득한 추출물을 혼합하고 대추고, 젤라틴, 계피가루, 생강가루 및 후추가루를 첨가하여 1시간~2시간 동안 50~60℃에서 가열하는 단계; 및 성형틀에 부어 4℃에서 굳히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능성 전약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당나귀 껍질로부터 젤라틴 추출물의 수득은, 당나귀 껍질의 잔털을 제거하고 세척하는 단계; 당나귀 껍질 중량 대비 2배의 물을 넣고 10~15분간 95~105℃ 온도에서 끓인 후, 국물을 제거하고 찬물로 세척하여 지방을 제거하는 단계; 밀가루와 굵은소금을 뿌려 1~5회 세척하는 단계; 당나귀 껍질 중량 대비 4배의 물을 넣고 1~3회 95~105℃ 온도에서 열수 추출하는 단계; 및 열수 추출한 추출물을 여과하는 과정을 통해 수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밀가루와 굵은소금은 2: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첨가함으로써 당나귀 껍질의 잡냄새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여과된 추출물은 브릭스(Brix) 15의 당도를 갖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당나귀 사골로부터 젤라틴 추출물의 수득은, 당나귀 사골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세척하는 단계; 당나귀 사골을 찬물에 12~16시간 침수시켜 핏물을 제거하는 단계; 당나귀 사골 중량 대비 2배의 물을 넣고 10~20분간 95~105℃ 온도에서 끓인 후, 국물을 제거하고 찬물로 세척하는 단계; 당나귀 사골 중량 대비 3배의 물을 다시 첨가하고 1~3회 95~105℃ 온도에서 열수 추출하는 단계; 및 열수 추출한 추출물을 여과하는 과정을 통해 수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여과된 추출물(당나귀 사골로부터 수득한 젤라틴 추출물)은 브릭스(Brix) 6의 당도를 갖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상기 대추고는, 마른대추를 물에 세척하는 단계; 세척한 대추 중량 대비 4배의 물을 첨가하고 95~105℃에서 3시간 가열하는 단계; 및 대추씨와 껍질을 제거 한 후, 체에 통과시켜 대추고를 수득하고, 수득한 대추고를 1시간 동안 50~60℃의 약불에서 가열하는 단계를 통해 제조할 수 있다.
약불에서 가열하는 단계를 통해 제조된 대추고는 브릭스(Brix) 34.5의 당도를 갖는 것일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전약 제조과정에는 당나귀 껍질 및 당나귀 사골로부터 수득한 젤라틴 추출물에 꿀, 매실청 또는 딸기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기능성 전약 100 중량%를 기준으로, 당나귀 껍질 유래 젤라틴 추출물 30중량%, 당나귀 사골 유래 젤라틴 추출물 30중량%, 대추고 15중량%, 젤라틴 9중량%, 계피가루 0.1중량%, 생강가루 0.07중량% 및 후추가루 0.04중량%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꿀, 매실청 또는 딸기쨈은 기능성 전약 100 중량%를 기준으로 15.79중량%로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능성 전약 제조방법 뿐만 아니라 상기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된 당나귀 껍질 및 당나귀 사골 유래의 젤라틴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전약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기능성 전약 제조에 사용된 주요성분인 당나귀 껍질 유래 젤라틴 추출물 및 당나귀 사골 유래의 젤라틴 추출물은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가지며, 신경세포 보호 활성을 가지는 특징이 있으며, 나아가 세포 독성을 유발시키지 않아 안정성을 확보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기능성 전약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전약은 우수한 관능미와 함께 유용한 기능성 생리활성이 부여되어 있어 건강기능성식품으로 활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당나귀 껍질과 사골의 추출물을 이용한 전약 제조방법
본 발명자들은 항산화 기능성이 향상된 전약의 제조를 위해 주요 성분으로 당나귀껍질과 사골로부터 젤라틴 추출물을 수득하여 사용하였으며, 이들 젤라틴 추출물의 수득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당나귀껍질로부터 젤라틴 추출물의 수득을 위해, 당나귀 껍질의 잔털과 이물질을 제거한 후 당나귀 껍질의 특유한 잡냄새를 제거하기 위해 밀가루와 굵은 소금을 2:1(중량비)로 혼합하여 5회 세척하였다. 이후 당나귀 껍질 1kg을 1X2cm 조각으로 잘게 자르고, 당나귀 껍질 무게의 2배의 물(2L)을 넣고 100℃ 끓는 물에서 10분간 끓인 후 국물을 제거하고 껍질을 찬물에 한번 씻어 주었다. 다시 물 4L를 넣고 100℃ 끓는 물에서 1차 추출 3시간, 2차 추출 3시간, 3차 추출 3시간을 순차적으로 끓인 후 거즈를 이용하여 여과시킴으로써 당나귀 껍질의 젤라틴 추출물을 수득하였으며, 당나귀 껍질 1차 추출물, 2차 추출물, 3차 추출물을 모두 혼합하여 Brix 15가 되도록 보정하여 사용하였다.
또한, 당나귀 사골로부터 젤라틴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해, 당나귀 사골을 찬물로 3회 세척하여 이물질을 제거하고, 당나귀 사골 2kg을 찬물에 16시간 동안 4℃에서 침수시켜 핏물을 제거하였다. 이후 당나귀 사골무게의 2배의 물(4L)을 넣고 15 분간 끓인 후 국물을 제거한 후, 찬물로 씻어 이물질을 다시 제거해 주었다. 이후 다시 물 6L를 넣은 후 100℃ 끓는 물에서 1차 추출 7시간, 2차 추출 7시간, 3차 추출 7시간을 끓인 다음, 거즈로 여과시켜 당나귀 사골로부터 젤라틴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이때 당나귀 사골 1차 추출물, 2차 추출물, 3차 추출물을 모두 혼합하여 Brix 6가 되도록 보정하여 사용하였다.
또한, 상기 과정으로 추출하여 수득한 당나귀껍질 유래 젤라틴 추출물과 당나귀 사골 유래 젤라틴 추출물은 상기와 같은 열수 추출과정을 통해 일정 고형분의 형태인 젤라틴 용액으로 수득하였다.
이후, 당나귀껍질 유래 젤라틴 추출물과 당나귀 사골 유래 젤라틴 추출물은 1:1의 중량비 혼합하고, 여기에 대추고, 젤라틴, 계피가루, 생강가루, 후추가루 및 꿀, 딸기쨈 또는 매실청을 각각 첨가한 후, 약불에서 1시간 끓이고 성형틀에 부어 4℃ 냉장고에서 하룻밤 방치하여 굳혀서 전약을 제조하였다. 또한, 이때 상기 대추고는 마른대추 500g을 흐르는 물에 5회 정도 세척한 다음, 물 2L를 넣고 100℃에서 3시간 가열 후 대추씨와 껍질을 제거한 대추를 체에 통과시켜 대추고만 수득하고 이것을 다시 1시간 동안 약불에서 가열한 후, Brix 34.5가 되도록 보정한 대추고를 사용하였다.
이상 본 발명의 전약(제조예 1~3)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한 재료의 성분 및 배합비는 하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전약의 제조 배합비
성분 제조예 1 제조예 2 제조예 3
당나귀 사골 30.00 30.00
당나귀 껍질 30.00 30.00
대추고 15.00 15.00 15.00
젤라틴 9.00 9.00 9.00
15.79 - -
매실청 - 15.79 -
딸기쨈 - - 15.79
계피가루 0.10 0.10 0.10
생강가루 0.07 0.07 0.07
후추가루 0.04 0.04 0.04
합(중량%) 100.00 100.00 100.00
< 실시예 2>
본 발명에서 제조한 전약의 Brix pH 측정
상기의 실시예 1을 통해 제조된 당나귀 껍질과 사골 추출물을 이용한 전약의 당도 측정은 당도계(Master refractmeter, ATAGO, Japan)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굳기 전의 상태일 때 당도를 3회 반복 측정한 후 평균값으로 나타내었다. 전약의 pH는 시료 5 g에 20 mL의 증류수를 가하여 균질기(homogenizer)로 균질화한 후 3,000 rpm에서 15분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취하고 pH meter(Orion 230A, MA, USA)로 측정하였다.
각각의 전약(제조예 1~3)에 대한 Brix를 측정한 결과, 꿀을 첨가한 전약의 당도는 49.10 Brix, 매실청을 첨가한 전약의 당도는 45.00 Brix, 딸기쨈을 첨가한 전약의 당도는 44.70 Brix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꿀을 첨가한 전약의 당도가 49.10 Brix로 가장 높았으며, 매실청과 딸기쨈을 첨가한 전약에 비하여 당도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pH 측정 결과, 꿀을 첨가하여 만든 전약이 5.47로 가장 높았으며, 매실청을 첨가하여 만든 전약이 4.92로 가장 낮은 pH를 나타냈다(표2 참조)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된 전약의 브릭스와 pH 측정결과
제조예 1 제조예 2 제조예 3
Brix 49.10±0.115a 45.00±0.163b 44.70±0.245c
pH 5.47±0.005a 4.91±0.013c 5.27±0.005b
< 실시예 3>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된 전약의 색도 측정
본 발명의 당나귀 껍질과 사골 추출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전약의 색도는 색차계(Colormeter CR-300, Minolta Co.Japan)를 사용하여 L*(Lightness, 명도), a*(Redness, 적색도), b*(Yellowness, 황색도)의 색채 값을 3회 반복 측정하여 평균값으로 나타내었다.
이때, 표준색은 L* 값이 +97.83, a* 값이 -0.43, b*값이 +1.98인 백색 표준판을 사용하였다.
상기의 색도를 측정한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으며, 그 결과 명도를 나타내는 L*값과 적색도를 나타내는 a*값 그리고 황색도를 나타내는 b*값 모두 매실청과 딸기쨈을 첨가하여 제조한 전약이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으로 제조한 전약의 색도 측정결과
제조예 1 제조예 2 제조예 3
L* 21.54±1.055b 22.57±0.464a 22.35±0.503ab
a* 1.76±0.277b 3.26±0.150a 3.22±0.085a
b* 5.38±0.206b 7.46±0.289a 7.38±0.124a
< 실시예 4>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전약의 물성 확인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된 전약의 물성을 확인하기 위해, 물성 측정기 TA-XT Plus Texture Analyzer (Stable Micro Systems, Surrey, England)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분석 조건은 75 mm diameter probe, 30 kg load cell, pre-test speed는 1.0 mm/s, post-test speed는 3.0 mm/s, test speed 는 3.0 mm/s, 그리고 5 g trigger force를 이용하였으며, Deformation level은 75%로 고정하였다.
또한, 전약의 크기를 2 x 2 x 2cm로 균일하게 자른 후 중앙에 평행하게 놓고 경도 (hardness), 부착성(adhesiveness), 탄력성(springiness), 응집성(cohesiveness), 검성(gumminess), 씹음성(chewiness)을 측정하였다.
전약의 물성을 측정한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으며, 그 결과 경도와 점성은 꿀을 첨가한 전약이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부착성과 탄력성, 응집성, 씹음성에서는 딸기쨈을 첨가한 전약이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약의 색도측정 결과
제조예 1 제조예 2 제조예 3
Hardness 1345.63±18.974a 1290.19±15.095b 1220.66±26.146c
Adhesiveness -62.79±12.994c -28.10±13.790b -1.31±1.177a
Springiness 0.98±0.006b 1.00±0.033b 2.56±0.123a
Cohesiveness 0.94±0.006b 0.94±0.005b 0.97±0.013a
Gumminess 1283.42±19.614a 1208.50±11.242b 1164.28±55.548b
Chewiness 1302.54±95.478b 1237.13±138.338b 3022.62±201.670a
< 실시예 5>
본 발명에 따른 전약의 관능 검사
본 발명의 전약의 관능특성 평가를 위해, 잘 훈련된 관능검사요원 12명을 선발하여 각 시험구별로 9점 척도법으로 실시하였다. 전약은 동일한 두께로(1cm× 1cm × 1cm) 잘라 제시하였으며, 각 검사 요인별로 1점은 매우 나쁘거나 낮음, 9점은 매우 좋거나 강함으로 표시하도록 하였고, 관능 항목은 색, 외관, 향, 뒷맛, 맛, 조직감, 종합적기호도를 평가하였다.
상기의 전약의 관능특성 평가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으며, 꿀을 첨가하여 제조한 전약과 매실청을 첨가하여 제조한 전약, 딸기쨈을 첨가하여 제조한 전약 모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대체적으로 높은 관능점수를 보였다.
본 발명에 따른 전약의 관능평가
제조예 1 제조예 2 제조예 3
Color 6.67± 1.231 6.17± 1.642 6.67± 1.231
Appearance 6.75± 1.545 6.17± 1.337 6.33± 1.231
Flavor 6.25± 1.545 5.83± 1.528 6.33± 1.497
After taste 6.50± 1.679 5.92± 1.975 5.67± 1.231
Taste 6.75± 0.965 5.67± 1.923 5.58± 1.165
Texture 7.42± 0.996 6.75± 0.754 6.67± 0.985
Overall palatability 6.71± 0.916 6.21± 1.157 6.17± 0.835
< 실험예 1>
당나귀 껍질과 사골 유래 추출물의 DPPH 자유라디칼 소거활성 분석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전약의 주요 성분인 당나귀 껍질과 사골 유래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기 위해 DPPH 자유라디칼 소거 활성 정도를 측정하였다. 이를 위해 당나귀 껍질과 사골 유래 추출물을 1:1의 부피비로 혼합한 혼합추출물을 농도별로 DPPH 용액과 혼합하여 암실에서 30분간 반응시킨 뒤, UV/VIS 스펙트로포토미터기를 이용하여 517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은 아래의 식에 따라 계산하였으며, 양성 대조군으로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vitamin C (1mg/ml)를 사용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활성능(%) = 1-(O.D(Sample)-O.D(Ref))/O.D(Con)*100
* Control = DW 1㎖ + 0.2mM DPPH solution(in methanol) 1㎖
* Reference = DW 1㎖ + MeOH 1㎖
그 결과,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추출물의 농도가 40mg/ml일 때 95.43%의 높은 소거 활성을 보였으며, 이러한 결과는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한 vitamin C 1mg/ml과 통계적으로 거의 동일한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도1 참조).
< 실험예 2>
당나귀 껍질과 사골 유래 추출물의 ABTS 자유라디칼 소거활성 측정
본 발명의 당나귀 껍질과 사골 추출물의 ABTS 활성 측정을 위해, 7mM ABTS 용액과 2.45mM Potassium persulphate 용액을 혼합하고 ABTS+라디칼을 만들기 위해 실온에서 12시간 동안 암소 반응시켰다. 라디칼이 생성된 용액을 735nm에서 흡광도 값이 0.700± 0.02가 되도록 희석하였다. 이후 당나귀 껍질과 사골 유래 추출물을 1:1의 부피비로 혼합한 혼합추출물을 농도별로 ABTS+용액과 혼합하여 30℃암실에서 30분간 반응시킨 뒤, UV/VIS 스펙트로포토미터기를 이용하여 73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ABTS 라디칼 소거활성능은 아래의 식에 따라 계산하였으며 양성대조군으로 vitamin C(1mg/ml)를 사용하였다.
ABTS 라디칼 소거활성능(%) = ((O.D(Con)-O.D(Sample))/O.D(Con))*100
* Control = 0.700±0.02
분석 결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당나귀 껍질과 사골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적은 농도인 20mg/ml에서도 88.73%의 높은 ABTS 소거 활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 실험예 3>
당나귀 껍질과 사골추출물의 ORAC (활성산소 흡수능력) 분석
본 발명의 전약의 주요 유효성분인 당나귀 껍질 추출물과 당나귀 사골 추출물이 활성산소를 흡수하는 활성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ORAC 활성을 ORAC 활성 분석 키트(CELL BIOLABS, INC. US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96 웰 마이크로타이터 플레이트에 25㎕의 항산화 표준물질과 시료(당나귀 껍질 추출물과 당나귀 사골 추출물의 혼합물)를 넣고, 150㎕ 1X fluorescein 워킹용액을 첨가한 후, 혼합하고 37℃에서 30분 동안 반응시켰다. 이후 25㎕의 자유라디칼 개시제 용액을 첨가하고 완전히 혼합한 다음, fluorescent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기(microplate reader)를 사용하여 37℃에서 480nm의 흥분파장(excitation wavelength) 및 520nm의 방출파장(emission wavelength)에서 60분 동안 1분 간격으로 측정하였다. 또한 결과는 trolox equivalent/ml sample로 나타내었다.
분석 결과,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ORAC value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따라서 추출물의 농도가 10mg/ml일 때 132.53 uMoleTE/ml의 ORAC 측정값이 나타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본 발명자들은 당나귀 껍질 추출물과 당나귀 사골 추출물을 주요성분으로 포함하는 본 발명의 전약이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가질 것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실험예 4>
당나귀 껍질과 사골 유래 추출물의 신경세포 보호 활성분석
나아가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전약 제조의 주요성분인 당나귀 껍질 유래 추출물과 사골유래 추출물이 신경세포 보호 활성을 갖는지 확인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신경세포 보호 활성은 신경세포에 작용하는 독성 테스트로서 MTT 분석법을 통해 세포 생존율을 측정하였으며, 신경세포로는 SK-N-SH human neuroblastoma을 사용하였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세포를 세포배양한 후 MTT(methylthiazo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시약을 4시간 동안 처리한 후 배지를 제거하고 생성된 포르마잔 크리스탈을 DMSO에 녹여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결과의 표현은 대조군에 대한 백분율로 값을 나타내었다.
분석 결과,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당나귀 껍질 추출물과 사골 추출물의 혼합 추출물을 처리한 군의 경우, 처리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신경 세포활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추출물 500μg/ml의 농도에서 신경세포 생존율은 121.16%로 나타남에 따라 본 발명의 상기 추출물은 신경세포에 세포독성을 초래하지 않고 오히려 사람의 신경모세포종(human neuroblastoma)의 활성을 촉진시키는 활성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실험예 5>
당나귀 껍질과 사골 유래 추출물이 H 2 O 2 에 의한 신경세포의 세포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 측정
당나귀 껍질과 사골 추출물의 신경세포보호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H2O2에 의해 자극된 SK-N-SH 세포에 대한 세포 보호효과를 MTT 환원분석법으로 분석하였다 (Heo et al.,2001). 시료로 사용한 추출물은 당나귀 껍질 유래 추출물과 사골유래 추출물을 1:1의 부피비로 혼합한 추출물을 농도별로 세포에 24시간 동안 전처리하여 배양한 후, 800 μM H2O2를 24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이후, 세포에 MTT stock solution 을 처리하여 4시간 배양한 후, 배지를 제거하고 DMSO에 녹여 540nm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양성대조군으로 vitamin C(500 μM)를 사용하였고, 세포 생존율은 대조군에 대한 % 농도로 나타냈었다.
분석 결과,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H2O2만을 처리한 처리군은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45.02%의 낮은 생존율을 나타내었고, vitamin C를 처리한 군에서는 90.01%의 생존율을 보임에 따라 H2O2로부터 세포를 보호하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고, 본 발명의 추출물을 처리한 군의 경우 농도의존적으로 H2O2로부터 신경세포를 보호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추출물을 500 μg/ml를 처리한 군의 경우 66.08%의 세포생존율을 보였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본 발명자들은 당나귀 껍질 유래 추출물과 당나귀 사골유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본 발명의 전약이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신경세포를 보호하는 활성을 함께 가질 수 있어, 기능성 전약으로 충분히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참고로 상기 본 발명에서 수행한 모든 실험 결과는 SAS program (ver. 9.2 Statistics Analytical System)의 General Linear Model(GLM)방법을 이용하여 분산 분석하였다. 처리군의 평균값 간의 비교를 위해 Duncan's multiple range test를 이용하여 5% 수준에서 유의성 검정을 실시하였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 및 실험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3)

  1. 당나귀 껍질 및 당나귀 사골로부터 젤라틴 추출물을 각각 수득하는 단계;
    수득한 추출물을 혼합하고 대추고, 젤라틴, 계피가루, 생강가루 및 후추가루를 첨가하여 1시간~2시간 동안 50~60℃에서 가열하되,
    상기 당나귀 껍질 젤라틴 추출물과 당나귀 사골 젤라틴 추출물을 1:1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단계 및
    성형틀에 부어 4℃에서 굳히는 단계를 포함하는, 신경세포보호용 전약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당나귀 껍질로부터 젤라틴 추출물의 수득은,
    당나귀 껍질의 잔털을 제거하고 세척하는 단계;
    당나귀 껍질 중량 대비 2배의 물을 넣고 10~15분간 95~105℃ 온도에서 끓인 후, 국물을 제거하고 찬물로 세척하여 지방을 제거하는 단계;
    밀가루와 굵은소금을 뿌려 1~5회 세척하는 단계;
    당나귀 껍질 중량 대비 4배의 물을 넣고 1~3회 95~105℃ 온도에서 열수 추출하는 단계; 및
    열수 추출한 추출물을 여과하는 과정을 통해 수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경세포보호용 전약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밀가루와 굵은소금은 2: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첨가함으로써 당나귀 껍질의 잡냄새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경세포보호용 전약 제조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여과된 추출물은 브릭스(Brix) 15의 당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경세포보호용 전약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당나귀 사골로부터 젤라틴 추출물의 수득은,
    당나귀 사골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세척하는 단계;
    당나귀 사골을 찬물에 12~16시간 침수시켜 핏물을 제거하는 단계;
    당나귀 사골 중량 대비 2배의 물을 넣고 10~20분간 95~105℃ 온도에서 끓인 후, 국물을 제거하고 찬물로 세척하는 단계;
    당나귀 사골 중량 대비 3배의 물을 다시 첨가하고 1~3회 95~105℃ 온도에서 열수 추출하는 단계; 및
    열수 추출한 추출물을 여과하는 과정을 통해 수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경세포보호용 전약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여과된 추출물은 브릭스(Brix) 6의 당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경세포보호용 전약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추고는,
    마른대추를 물에 세척하는 단계;
    세척한 대추 중량 대비 4배의 물을 첨가하고 95~105℃에서 3시간 가열하는 단계; 및
    대추씨와 껍질을 제거 한 후, 체에 통과시켜 대추고를 수득하고, 수득한 대추고를 1시간 동안 50~60℃의 약불에서 가열하는 단계를 통해 제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경세포보호용 전약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약불에서 가열하는 단계를 통해 제조된 대추고는 브릭스(Brix) 34.5의 당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경세포보호용 전약 제조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당나귀 껍질 및 당나귀 사골로부터 수득한 젤라틴 추출물에 꿀, 매실청 또는 딸기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경세포보호용 전약 제조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약 100 중량%를 기준으로, 당나귀 껍질 유래 젤라틴 추출물 30중량%, 당나귀 사골 유래 젤라틴 추출물 30중량%, 대추고 15중량%, 젤라틴 9중량%, 계피가루 0.1중량%, 생강가루 0.07중량% 및 후추가루 0.04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경세포보호용 전약 제조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꿀, 매실청 또는 딸기쨈은 전약 100 중량%를 기준으로 15.79중량%로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경세포보호용 전약 제조방법.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당나귀 껍질 및 당나귀 사골 유래의 젤라틴 추출물을 포함하는 신경세포보호용 전약.
  13. 삭제
KR20120125982A 2012-11-08 2012-11-08 당나귀 껍질 추출물 및 당나귀 사골 추출물을 이용한 기능성 젤라틴 전약 제조방법 KR1014793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25982A KR101479381B1 (ko) 2012-11-08 2012-11-08 당나귀 껍질 추출물 및 당나귀 사골 추출물을 이용한 기능성 젤라틴 전약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25982A KR101479381B1 (ko) 2012-11-08 2012-11-08 당나귀 껍질 추출물 및 당나귀 사골 추출물을 이용한 기능성 젤라틴 전약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9479A KR20140059479A (ko) 2014-05-16
KR101479381B1 true KR101479381B1 (ko) 2015-01-06

Family

ID=50889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0125982A KR101479381B1 (ko) 2012-11-08 2012-11-08 당나귀 껍질 추출물 및 당나귀 사골 추출물을 이용한 기능성 젤라틴 전약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938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4765A (ko) * 2020-12-29 2022-07-06 황지연 홍삼정 전약 제조방법
KR20220137243A (ko) 2021-04-02 2022-10-12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아교 블록의 제조 방법
KR20220152636A (ko) 2021-05-10 2022-11-17 이학성 당나귀 추출물을 함유하는 여성 갱년기 증상의 개선용 조성물
KR20230170342A (ko) 2022-06-10 2023-12-19 농업회사법인 나귀야놀자 유한회사 당나귀 부산물 및 유산균을 이용한 반려동물용 식품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32146A (zh) * 2014-10-25 2015-03-25 靳维荣 一种驴骨胶制备方法
KR101525876B1 (ko) * 2015-02-11 2015-06-03 소망화장품주식회사 당나귀 껍질로부터 아교를 제조하는 방법 및 그 아교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43156B1 (ko) * 2016-08-05 2019-04-17 조연우 당나귀 환 및 중탕 제조방법
CN107156303A (zh) * 2017-04-24 2017-09-15 邢万善 一种药食两用中药粉末
CN114027456B (zh) * 2021-11-01 2023-06-27 郑州工程技术学院 一种利用驴皮和鲜动物骨头制备补钙产品的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0811A (ko) * 2002-05-21 2005-01-28 콜테크 오스트레일리아 리미티드 콜라겐과 그 생산방법
KR100841206B1 (ko) 2007-03-08 2008-06-24 남세준 돈피를 이용한 콜라겐 식품 제조 방법
KR20100131278A (ko) * 2009-06-05 2010-12-15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닭발을 이용한 전약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0811A (ko) * 2002-05-21 2005-01-28 콜테크 오스트레일리아 리미티드 콜라겐과 그 생산방법
KR100841206B1 (ko) 2007-03-08 2008-06-24 남세준 돈피를 이용한 콜라겐 식품 제조 방법
KR20100131278A (ko) * 2009-06-05 2010-12-15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닭발을 이용한 전약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4765A (ko) * 2020-12-29 2022-07-06 황지연 홍삼정 전약 제조방법
KR102548396B1 (ko) 2020-12-29 2023-06-27 황지연 홍삼정 전약 제조방법
KR20220137243A (ko) 2021-04-02 2022-10-12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아교 블록의 제조 방법
KR20220152636A (ko) 2021-05-10 2022-11-17 이학성 당나귀 추출물을 함유하는 여성 갱년기 증상의 개선용 조성물
KR20230170342A (ko) 2022-06-10 2023-12-19 농업회사법인 나귀야놀자 유한회사 당나귀 부산물 및 유산균을 이용한 반려동물용 식품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9479A (ko) 2014-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9381B1 (ko) 당나귀 껍질 추출물 및 당나귀 사골 추출물을 이용한 기능성 젤라틴 전약 제조방법
Bhatt et al. Nutraceutical potential of selected wild edible fruits of the Indian Himalayan region
Dubey et al. A review on: Diabetes and okra (Abelmoschus esculentus)
Pigni et al. Chemical profile and bioaccessibility of polyphenols from wheat pasta supplemented with partially-deoiled chia flour
Rzepecka-Stojko et al. The effect of storage of bee pollen extracts on polyphenol content.
Okatan et al. Som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black mulberry (Morus nigra L.) in Bitlis.
Chigurupati Antidiabetic and antioxidant potential of Durio zibethinus Murr. leaves ethanolic extract
Živković et al. Extraction and analysis of condensed tannins in Castanea sativa Mill.
Safdar et al. Extraction of polyphenols from different herbs for the development of functional date bars
KR101616811B1 (ko) 짚신나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 및 당뇨합병증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Jridi et al. Vine (Vitis vinifera L.) leaves as a functional ingredient in pistachio calisson formulations
Barroso et al. In vitro antioxidant properties of golden grass (Syngonanthus nitens) by electron paramagnetic resonance
KR100966838B1 (ko) 무화과를 이용한 음료 및 그 제조방법
ES2445492B1 (es) Composiciones antioxidantes de un producto obtenido del fruto de camu camu
Kaplan et al. An optimization study for the production of Origanum onites tincture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Effect of solid/liquid ratio, ethanol concentration and storage period
Yavorska et al. Preliminary comparative phytochemical screening and antioxidant activity of varieties Vaccinium corymbosum L.(Ericaceae) shoot’extracts
CN114532466B (zh) 红肉苹果和樱桃李组合物及其在降血糖方面的应用
Kapepula et al. Traditional foods as putative sources of antioxidants with health benefits in Konzo
KR20130107540A (ko) 다시마를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항당뇨용 건강기능식품용 조성물 및 기능성 음료 조성물
KR100726364B1 (ko) 항산화 효과가 있는 짚신나물 사탕 제조 방법
KR20170039329A (ko) 녹용 추출물 및 금은화 추출물을 함유하는 건강식품 조성물
Anupama et al. Phytochemical analysis and nutraceutical studies on aril of Blighia sapida KD Koenig
KR100775964B1 (ko) 항산화 효과가 있는 삼백초 사탕 제조 방법
JP2015077112A (ja) 風味が改善された飲食品組成物および風味改善方法
KR101532749B1 (ko) 항산화 및 항알레르기성 육가공품 첨가제 및 육가공품 그리고 육가공품 첨가제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