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1802B1 - 뽕나무와 측백나무를 이용한 건강 증진용 환 및 농축액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뽕나무와 측백나무를 이용한 건강 증진용 환 및 농축액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1802B1
KR101791802B1 KR1020160183136A KR20160183136A KR101791802B1 KR 101791802 B1 KR101791802 B1 KR 101791802B1 KR 1020160183136 A KR1020160183136 A KR 1020160183136A KR 20160183136 A KR20160183136 A KR 20160183136A KR 101791802 B1 KR101791802 B1 KR 1017918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e
mulberry
concentrate
mixture
foxt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3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동림
최대통
Original Assignee
최동림
최대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동림, 최대통 filed Critical 최동림
Priority to KR10201601831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1802B1/ko
Priority to PCT/KR2017/000923 priority patent/WO2018124369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18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18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51Concen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20Agglomerating; Granulating; Tabletting
    • A23P10/28Tabletting; Making food bars by compression of a dry powdered mixtur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뽕나무와 측백나무를 세척하여 잘게 썰어서 중량비 1: 1로 혼합하여 얻어진 혼합물 100중량부를 물이 담긴 용기에 넣어 가열기를 이용하여 85~170℃로 1~8시간 가열하여 물의 양이 최초의 양보다 2/3~1/4이 될 때까지 끓인다음 고형물을 걸러내고 농축액만을 제조하는 제 1공정과, 뽕나무잎 또는 측백나무잎, 이들이 혼합된 잎을 분쇄하여 잎분말을 제조하는 제2공정과, 엄나무, 헛개나무, 천마, 엉겅퀴, 산죽나무, 뽕나무, 측백나무, 개똥쑥, 한련초, 대마씨, 정향, 백선, 여로, 비단풀, 어성초, 자소엽, 녹차, 당귀, 조릿대 중 어느 하나의 성분 또는 이들 중 선택된 둘 이상의 성분이 혼합된 것을 설탕과 중량비로 1:1로 섞어 3~6개월 숙성시켜 끈적끈적한 상태의 숙성액을 제조하는 제 3공정과, 상기 제 1공정, 제 2공정, 제 3공정에서 얻어진 농축액과 잎분말 및 숙성액을 중량비 1 : 2 : 0.1~0.3로 혼합하여 환을 제조하는 제 4공정으로 이루어진 뽕나무와 측백나무를 이용한 건강 증진용 환 및 농축액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뽕나무와 측백나무를 이용한 건강 증진용 환 및 농축액 제조방법{A method for manufacturing health-promoting sphere and extract using herbal materials}
본 발명은 뽕나무와 측백나무를 이용한 건강 증진용 환 및 농축액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뽕나무와 측백나무를 혼합하여 추출한 농축액 및 잎분말과, 각종 한방재료를 혼합하여 숙성시킨 숙성액을 혼합하여 건강보조식품으로 제조된 건강증진용 환 및 농축액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품은 영양공급원으로서 가치를 지닐 뿐 아니라 기호성을 충족시킬 수 있는 수단이 될 수도 있고, 특정한 약리 효과를 나타내는 경우에는 치료제의 원료로 사용되기도 한다.
또한, 식품은 건강증진효과를 얻을 수 있는 수단으로서도 유용하여, 만성적인 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는 물론,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은 통상의 사람들까지도 기능성 식품을 건강보조제로서 흔히 섭취하고 있다.
그러나 기능성 식품이 취식이 불편한 형태를 취할 경우에는 꾸준한 섭취를 위하여 많은 인내심을 요하므로, 차나 음료, 환과 같은 취식이 간편한 형태가 바람직한 반면, 이 경우 재료 자체의 맛이 그대로 전달되므로 어떤 재료를 선택하느냐에 따라 기호성이 크게 달라질 수밖에 없다.
이와 같이 기능성 식품에 관한 기술의 예로서, 뽕나무에 관한 기술로는 뽕잎과 검정콩을 분쇄기에 각각 투입하여 일정한 크기로 분쇄하는 분쇄단계(S30);와 상기 분쇄단계(S30)에서 분쇄된 뽕잎분말과 검정콩분말을 미분기에 각각 투입하여 일정 크기 이하로 미세하게 분쇄하는 미분단계(S40);와 상기 미분단계(S40)에서 미분된 뽕잎미분, 검정콩미분, 및 밀가루를 일정비율로 투입하여 혼합하는 혼합단계(S50);와 상기 혼합단계(S50)에서 혼합된 혼합물을 일정크기의 구형(求刑)의 환(丸)으로 성형하는 성형단계(S70); 및 상기 성형단계(S70)에서 성형된 환을 건조시키는 건조단계(S80);를 포함하는 뽕잎을 이용한 건강식품제조방법으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5-0061999호로 제공된 바 있다.
또한, 측백나무에 관한 기술로는 물 100 중량부에 대해 측백열매 50 내지 150 중량부 및 감초 1 내지 10 중량부를 투입하고, 80 내지 100에서 9 내지 35 시간 교반 및 가열하며, 교반 및 가열 중간에 물 10 내지 50 중량부를 3 내지 5회 더 첨가하는 추출액 제조단계; b) 상기 추출액을 여과하여 측백열매 및 감초를 제거하는 여과단계; c) 상기 b) 단계의 여과액에 꿀을 첨가하고 가열 및 농축하는 농축액 제조단계; 및 d) 상기 농축액을 냉각하는 냉각단계;를 포함하는 측백 열매 농축액 제조방법이 등록특허 10-1308146호로 제공된 바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5-0061999호 등록특허 10-1308146호
상기 기술들은 공통적으로 복용이 간편하고 숙취해소나 소염작용 등의 기능성을 지닌 장점이 있으나, 기능성을 강조한 나머지 기호성을 충족시키지 못하여 취식 시에는 인내심을 요하므로 상시 음용하기에는 매우 곤란한 것이다.
한편, 국내 건강기능식품의 원료는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막대한 외화가 소비되고 있으며, 이러한 환경 속에서 과학적으로 증명되고 인체시험을 거친 건강기능식품이 출시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 뽕나무와 측백나무를 혼합하여 생성된 농축액과 잎분말 및 한방재료인 천마, 엉겅퀴, 산죽나무 등을 혼합하여 생성된 숙성액을 서로 혼합하고 뭉쳐서 건강의 유지와 증진을 위한 건강 증진용 환 형태로 복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뽕나무와 측백나무의 천연 농축액을 원료로 사용함으로써, 본래의 영양소를 보존하면서 오히려 본래의 상태로 섭취할 때보다 더욱 높은 효능을 나타내는 천연 농축액을 이용한 기능성 건강증진용 환을 제공하는 데 특징이 있다.
그뿐만 아니라, 뽕나무와 측백나무를 혼합하여 제조된 농축액은 드링크(음료) 및 차, 스프레이(피부나 두피에 분사) 등과 같이 다양한 용도로 사용함에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건강증진용 환은 천연농축액을 원료로 사용함으로써 본래의 영양소를 보존하면서 오히려 본래의 상태로 섭취할 때보다 더욱 높은 효능을 나타내고, 아울러 누구나 쉽게 복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발명의 건강증진용 환은 뽕나무와 측백나무의 유용성분을 그대로 함유하면서 기호성이 우수하고 변질될 우려가 적어 장기간의 보관이 가능한 환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뽕나무와 측백나무를 이용한 건강 증진용 환 및 농축액 제조방법의 실시 예를 하기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건강보조식품으로 복용할 수 있는 환은 뽕나무와 측백나무를 혼합하여 얻어진 농축액; 잎분말; 엄나무, 헛개나무, 천마, 엉겅퀴, 산죽나무, 뽕나무, 측백나무, 개똥쑥, 한련초, 대마씨, 정향, 백선, 여로, 비단풀, 어성초, 자소엽, 녹차, 당귀, 조릿대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중 둘 이상의 성분을 혼합한 것을 동일한 중량비율로 혼합하고 숙성시켜 얻어진 숙성액을 서로 혼합하고 뭉쳐서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건강증진용 환을 제조하는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면,
가) 농축액 제조
농축액을 제조하기 위하여 먼저 뽕나무와 측백나무를 준비하여 세척한다.
뽕나무(Mulberry, Morus spp.)는 한방에서는 그 약리작용을 이용하여 유행성 이하선염, 폐결핵, 만성요퇴통, 타박상, 급성관절염, 악창, 강장, 중풍, 이뇨, 진해 등의 치료약으로 사용되고 있고, 상근백피는 발모촉진제, 오디를 이용한 천연 염색제와 항당뇨제 및 누에를 이용한 대체 의약품 개발(천연강장제 등)등의 소재로서 활용되고 있다. 또한, 허준의 동의보감(東醫寶鑑)에 의하면 인체내부와 혈관속의 노폐물을 없애주는 역할을 하므로 중풍, 비만, 관절염, 부종, 해수 및 천식 등의 질병을 치료, 예방하고, 혈당과 혈압의 강하작용, 소화기능을 촉진시켜 소변을 잘 보게 하며 갈증도 없애 준다고 하였다.
그 외형편(外形篇), 내경편(內景篇) 및 잡병편(雜病篇)에 수록된 효능은 습(염증)을 없애고, 여위게 하니 살찐 사람이 늘 먹으면 좋고, 각기와 소변에 효과가 뛰어나며, 편풍과 일체의 풍을 예방하고, 음식을 소화시키며, 기를 내려 입이 마르는 것을 예방하니 차를 만들어 먹으면 좋고, 자양강장제로서 여러 줄기 질환을 예방하는데 대단히 유익한 식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본초강목(本草綱目)에는 상백피가 맛은 쓰고, 성질은 평(平)하며, 간경(<9> 刊經)에 작용해 풍습(風濕)을 없애고 뼈마디를 부드럽게 하며, 비증(痺症), 진해(鎭咳), 이수(履修), 관절염, 사지마비, 각기(脚氣), 고혈압, 부증(浮症)에 좋다고 기록되어 있는데, 특히, 뽕나무 줄기는 악성 부스럼, 뽕나무 껍질은 아기 입의 백태, 뽕나무 재는 기미와 죽은 깨 등에 효과가 있다고 기재되어 있다. 또한 뽕 어린 눈의 추출물에는 시험관내에서 티프스균에 대해 강한 항균작용이 있으며, 뽕나무 줄기와 다당류, 펙틴, 아데노신, 글루코스, 메조이노시톨 및 호박산 등을 혼합한 용액을 집토끼와 면양에 실험한 결과, 양모 효과가 우수하였고, 뽕줄기 중의 폴리페놀 또는 그 유도체는 항산화와 살균작용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측백나무(Thuja orientalis Linne)는 겉씨식물 구과식물아강 구과목 측백나무과의 상록교목으로 예부터 지혈작용, 거담진해작용, 소염작용, 항바이러스 작용등을 하며, 호흡기질환, 궤양, 탈모, 토사, 출혈 등에 치료제로 사용하였으며, 진정작용이 탁월하여 불면증을 치료하는 데에도 사용되고 있었다. 또한 현대에 들어 자세히 성분을 분석하게 되면서 측백잎(Tunja Orientalis Folium)에는 튜존(thujene), 펜촌(fenchone), 카리오필렌(caryophyllene), 세드롤(cedrol), 아로마덴드린(aromadendrin), 쿼세틴(quercetrin) 등을 함유하고 있으며, 지혈작용, 진해거담작용, 항혈전작용, 항암작용, 뇌세포보호작용, 항균작용이 있다는 것이 알려져 있으며(대한약전외한약(생약)규격집 2002 pp376, 생약학 생약학교재 편찬 위원회 2008 pp511~512), 측백나무의 씨인 백자인(Tunja Orientalis Semen)에는 세드롤(cedrol), 쿠파레놀(cuparenol), 비오톨(biotol), 피누솔리드(pinusolide) 등을 함유하고 있고, 진정작용, 통변작용, 탈모치유작용, 학습능력개선작용, 혈중 지질저하작용이 있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상기와 같은 효능을 가지는 뽕나무와 측백나무를 각각 절단기 및 분쇄기를 이용하여 잘게 썰어서 중량비로 1: 1로 혼합한 혼합물 100중량부를 얻는다.
상기 혼합된 혼합물을 물에 넣고, 가열기로 85~170℃로 1~8시간 물의 양이 최초의 양보다 2/3~1/4이 될 때까지 끓이고, 상기 끓인 물에 혼합된 혼합물(고상: 뽕나무와 측백나무)을 걸러서 액체상태의 농축액을 얻는다.
이때 85~170℃의 온도와 1~8시간은 최초의 물의 양을 2/3~1/4이 될 때까지 졸여 농축액을 만들기 위한 온도범위와 시간범위를 설정한 것으로, 온도가 낮을 수록 시간이 오래걸리고, 온도가 높을수록 시간이 짧게 걸리는 것이어서 온도와 시간을 조절하여 적당한 농축액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소요되는 물의 양은 뽕나무와 측백나무의 합이 2kg일 경우 20리터의 물을 넣게 되는데, 상기 뽕나무와 측백나무의 무게와 물의 양은 비례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농축액은 액상 그대로 드링크 및 차, 스프레이(피부나 두피에 분사)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나) 잎분말 제조
뽕나무의 잎과 측백나무잎을 분쇄기를 이용하여 잎분말을 각각 제조한다.
이때 잎분말은 뽕나무잎만 분쇄기로 분쇄한 엄나무잎분말이거나, 측백나무잎만 분쇄기로 분쇄한 측백나무잎분말이거나, 또는 뽕나무잎분말과 측백나무잎분말을 중량비 1 : 1로 혼합한 혼합분말로 이루어진다.
다) 숙성액의 제조
천연한방 성분을 갖는 엄나무, 헛개나무, 천마, 엉겅퀴, 산죽나무, 뽕나무, 측백나무, 개똥쑥, 한련초, 대마씨, 정향, 백선, 여로, 비단풀, 어성초, 자소엽, 녹차, 당귀, 조릿대 중 어느 하나의 성분을 설탕과 중량비로 1:1로 혼합하여 3~6개월 숙성시켜 조청과 같은 겔상태의 끈적끈적한 숙성액을 제조한다.
또한, 상기 엄나무, 헛개나무, 천마, 엉겅퀴, 산죽나무, 뽕나무, 측백나무, 개똥쑥, 한련초, 대마씨, 정향, 백선, 여로, 비단풀, 어성초, 자소엽, 녹차, 당귀, 조릿대 중 둘 이상의 성분을 각각 동일한 중량비율로 혼합하고, 이를 다시 설탕과 중량비로 1:1로 혼합하여 3~6개월 숙성시켜 역시 끈적끈적한 상태의 숙성액을 제조한다.
상기 천연한방 성분을 갖는 각각의 재료에 대한 효능을 각각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엄나무는 예로부터 해동(海桐)으로도 지칭되어왔으며, 이러한 엄나무의 껍질은 해동피(海桐皮)로 일컬어져왔다. 엄나무의 학명은 카로파낙스 픽툼 나카이(Kaopanax Pictum Nakai)이며, 오갈피나무과에 속(屬)한 낙엽교목(落葉喬木)인 엄나무(음나무)는 가시가 있고 잎은 손바닥 모양으로 5 ~ 9갈래로 얕게 째어졌다. 잎밑이 심장형이고 엽편은 란형(卵形)으로 끝이 뾰족하고 날카로운 거치가 있으며 잎자루가 길다. 꽃은 총상화서(總狀花序)로서 갈라졌으며 정생(頂生)하고 5 내지 6월경에 핀다. 과실은 핵과(核果)이며 구형이고 10월에 잘 익는다.
헛개나무는 갈매나무과의 잎지는 넓은 잎 큰키나무이며, 지구, 백석목, 목밀, 현포리 등으로 쓰인다. 우리 나라에는 중부 이남의 깊은 산속 개울가에 드물게 자라며, 키는 20미터 넘게까지 크고, 지름은 1미터 넘게까지 자란다. 잎은 넓은 달걀모양으로 산뽕나무 잎을 닮았고 6월에 흰 꽃이 피어 10-11월에 열매가 가지 끝에 갈색으로 익는다.
천마는 난초과(Orchidaceae)에 속하는 다년초의 지하 괴경으로서 오래전부터 다양한 약리적 효능으로 인하여 중요한 약재로 사용되어 왔으며, 천마의 임상적 효능들은 본초강목, 동의보감을 비롯한 여러 본초문헌들에 널리 기록되어 있는데 주로 고혈압, 두통, 마비,신경성 질환, 당뇨병 등의 성인병과 스트레스, 피로 등의 증상에 대하여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의 민간에서도 일찍부터 천마를 두통과 현기증, 수족마비, 중풍, 전간(발작, 지랄병)등을 치료하는데 이용하여 왔다. 또한 항산화작용, 항혈전작용, 감마-아미노뷰티릭산(GABA)성 신경전달 조절작용이 있음이 밝혀졌고 항경련 작용기전이 보고되었다.
엉겅퀴는 국화과(Compositae)에 속하는 다년초로 한의학적으로 지상부 또는 지하부를 대계라 하여 약용으로 이용해 왔다. 지상부는 개화기에, 지하부는 가을에 채취하여 경혈, 지혈, 소종의 효능으로 토혈, 혈뇨, 대하, 간염, 고혈압 등의 치료에 사용되어 왔다. 엉겅퀴속 식물에서 다양한 이차대사산물이 보고되어 있는데, 그 가운데 생리활성이 뛰어난 아피제닌(apigenin), 루테올린(luteolin), 마이리세틴(myricetin), 캠페롤(kaempferol), 펙토리나린(pectolinarin), 5,7-디하이드록시-6,4'-디메톡시플라본(5,7-dihydroxy-6,4'-dimethoxyflavone), 히스피둘린-7-네오-헤페리오사이드(hispidulin-7-neo-heperioside)를 포함한 약 78종의 플라보노이드를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최근 연구결과에 따르면 엉겅퀴 추출물은 플라보노이드 계열의 화합물이 풍부하여 항염증, 항암, 항돌연변이, 항진균, 신경보호 및 면역 증진 활성을 가지고 있음이 알려져 있다. 특히 밀크씨슬(Silybum marianum L. Gaertner)에 함유된 실리마린(silymarin)은 플라바노리그난(flavanolignan)으로서, 실제로 C25H22O10의 동일한 분자식을 갖는 실리빈(silybin), 이소실리빈(isosilybin), 실리디아닌(silydianin) 및 실리크리스틴(silychristin)의 4가지 isomer의 혼합물을 일컫는데, 실리마린이 암세포의 증식을 억제 하고, 당뇨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왔으며, 그람 양성 세균에 대한 항미생물 활성도 있으며, 또한 최근에는 방사선 및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간장 보호 작용과 알코올 유도지질 산화의 예방 및 알코올성 간경화 등에 보호 효과가 있다.
산죽나무는 정상세포에는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암세포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일본에서 자라는 산죽에서 추출한 다당류 물질은 간복수암 AH36에 대해 100% 억제 작용이 있다는 것이 확인 되었고, 중국에서 자라는 담죽엽도 항암활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또 생체 면역력을 높어 주는 작용도 있다. 북한에서는 산죽잎에서 항암 활성 물질을 추출하여 암치료에 활용 하고 있다. 산죽에는 항암성분이 많으며 여러가지 질병에 대한 치료효과도 좋다. 맛은 달고 성질은 차다. 열을 내리고 오줌을 잘 누게 하고 폐기를 통하게 하고 피나는 것을 멈춘다. 항암작용, 항궤양작용, 염증 없애기작용, 진정작용, 진통작용, 위산도를 높이는 작용, 동맥경화 예방작용, 혈압낮춤작용, 독풀이 작용, 가장작용, 억균작용 등이 실험결과 밝혀졌다. 열이 나는데, 폐옹, 붓는데, 오줌누기 장애 여러가지 원인으로 피가나는데, 눈병 덴데, 부스럼, 무좀 등에 쓴다. 또한 악성종양, 위 및 십이지장궤양, 만성 위염, 고혈압, 동맥경화증, 당뇨병, 편도염, 감기, 간염, 폐염, 천식, 등에도 쓴다.
개똥쑥(Artemisia annua L.)은 발열감기, 학질, 소아경기, 소화불량, 이질 등의 치료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련초(Eclipta prostrata)는 제주도와 경기도 이남의 지역에 분포하는 한련초 속의 한해살이풀로서, 사포닌, 탄닌, 에클립틴, 비타민 A 및 니코틴 등의 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맛은 달고 성질이 차며, 기타 약재와 동시에 복용하여도 부작용이 없다.
대마씨에는 오메가 3와 오메가 6 지방산 모두를 풍부하게 포함하고 있으며, 이들 필수지방산은 면역기능, 두뇌기능, 외상 치유작용을 정상적으로 유지시키며, 신경조직을 보호하는 작용을 한다.
정향의 성분으로는 주로 정유성분이 15~20%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정유 성분 중에는 유게놀(eugenol)이 70~85%를 차지하고 있다. 그 외 유게놀과 유사한 구조를 갖는 아세틸유게놀(acetyleugenol), 유게놀 살리실산(eugenol salicylate) 및 테르펜화합물 등이 알려져 있다. 또한 정향의 약효로는 건위, 항세균 작용 등이 알려져 있어 예로부터 건위약으로 소화불량 등에 사용되어 왔다 (생약학 개정2판, 2013년, 생약학교재편찬 위원회, 동명사, 635족).
백선의 약리를 보면 뿌리껍질을 달인액은 온자극으로 열을 나게한 토끼에게 열내림작용이 있고, 물우린액은 여러가지 병원성 진균을 억제하는 것으로 보고 되어 있으며, 딕탐닌은 실험동물의 심장을 흥분시키고 토끼의 자궁활 평근을 수축시키는 것으로 보고 되어 있고, 응용례를 보면, 한의에서 사지불안 중풍에 쓰이는 중요한 약재로 알려져 있고, 또한 기생충약으로 쓰이며 간헐열, 두통, 류마티스, 척추신경근염, 뇌막염, 월경장애, 황달 등에 열내림약, 진통약, 거풍약, 진경약, 진정약, 이뇨약으로 쓰고, 또한 습진, 사상균피부형, 태선, 악창, 고름집, 포경, 옴, 두드러기, 대머리, 여러가지 꽃돋이 등에 뿌리우림약을 바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여로(Veratrum nigrum)는 중풍, 전간 등에 따른 담연에 의한 호흡곤란에서 구토를 유발하는데 사용되며, 살충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강압작용 있어서 고혈압증에 효능이 있으며, 심한 두통, 황달, 학질, 과창, 치통, 옴 등을 치료하는데 사용하였다 (중약대사전).
비단풀(Silk fabric, Ceramium)은 전통 대극과에 속하는 한해살이풀로서, 항암작용, 해독작용 및 진정작용의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암, 염증, 천식, 당뇨병, 심장병, 신장질환, 두통 및 정신불안증 등과 같은 증상을 완화시킨다고 알려져 있다.
어성초(Houttuynia cordate)는 삼백초과의 약모밀의 지상부를 말한다. 어성초는 해열 작용이 뛰어나며 폐농양으로 인한 기침, 피고름을 토할때, 폐렴, 급만성 기관지염, 장염, 요로감염증, 종기에 쓰며, 열이 많고 소변을 못 볼때 사용하기도 한다. 어성초의 약리작용으로는 항균작용, 면역증강작용, 항염증작용, 이뇨작용, 및 진해작용이 보고되었다.
자소엽의 주요성분으로는 페릴라 알데히드(perilla aldehyde), 리모넨(d-limonene), α-피넨(α-pinene), 시아닌(cyanin), 스테린(sterin), 멘톨(menthol), 로즈마리 산(rosmarinic acid), 루테올린(luteolin) 등이 알려져 있어(Kim and Hwang, 2006), 육류나 생선에 참가하여 섭취할 경우 식중독을 예방하고 강한 항균력을 가진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Kim et al, 2000).
녹차에는 카테킨, 비타민 B2, 비타민 C 등 인체에 유효한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으며, 우려낸 녹차 한 잔에는 50~60mg의 카테킨이 함유되어 있다. 그리고 항암, 치매예방 등 각종 성인병 예방에 녹차가 탁월한 효과를 보인다는 연구 결과가 잇달아 발표되고 있다.
당귀(Angelica gigas Nakai)는 예로부터 진정, 진통 효능 및 빈혈, 월경통, 냉ㆍ대하증 등의 부인과 질환에 보혈제(補血劑), 활혈제(活血齊)로 사용되어 온 유용한 식용재료이다. 당귀의 유용한 생리활성 성분으로는 코우마린(coumarin)계 물질로 데쿠르시놀(decursinol), 데쿠르신(decursin), 베타-시토스테롤(β-sitosterol) 등이 알려져 있다. 특히 데쿠르신은 암세포에 대해 세포독성을 나타내는데, 95% 에탄올에 의해 60℃에서 4시간 처리시 효과적으로 추출되는 반면, 물로는 잘 추출되지 않는 특징이 있다. 최근 연구를 통해 규명된 당귀의 건강기능성으로는 항산화활성, 아질산 소거능, 고지혈증 및 간기능 개선 효과, 면역 활성 증진, 항스트레스 효과, 항암 효과, 허열성 뇌손상 억제 작용, 빈혈 개선 효과, 난소 기능 향상, 발모 효과, 운동 능력 향상 및 타박으로 인한 어혈의 효과적 제거능 등이 있다.
조릿대는 동의보감, 본초강목, 신농본초경에 따르면 인삼을 훨씬 능가한다고 할 만큼 놀라운 약성을 지닌 약초이며, 대나무 중에서 약성이 제일 강하여 조릿대 한 가지만 써도 당뇨병, 고혈압, 위염, 위궤양, 만성 간염, 암 등의 난치병이 완치된 경우가 적지 않다고 한다. 또한, 조릿대는 열을 내리고 독을 풀며, 가래를 없애고 소변을 잘 나오게 하며, 염증을 치료하고 암세포를 억제하는 등의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특히 조릿대는 알칼리성이 강하므로 산성체질을 알칼리성 체질로 바꾸는 데에도 큰 도움이 되어 잎과 줄기, 뿌리를 잘게 썰어 그늘에서 말렸다가 오래 달여서 먹으면 허약한 체질이 건강한 체질로 바뀌는데 도움이 되고, 심장의 열을 다스리고 위장의 열을 씻어 내어 간장의 열독을 풀어 마음을 편안하게 하고 오줌을 잘 나가게 하여 심화(心火)를 고치는 데 더할 나위 없는 훌륭한 치료약이 된다고 알려져 있다. 조릿대에는 크실로즈, 아리비노즈, 클루코즈, 만노즈, 갈락토즈 같은 다당류와 아스파라긴산, 글루타민산, 셀린, 트레아닌프로린, 알라닌치스테인 등의 아미노산이 다량 함유되어 있고 이 밖에 지방, 칼슘, 규산, 비타민 B1과 K도 풍부하게 들어 있다. 특히 비타민 K가 혈액이나 체액 속에 녹아 들어가 혈액을 맑게 하고 칼슘이온을 늘려 체질을 바꾸는 작용을 한다. 또한, 조릿대는 또한 뇌신경을 진정시키는 작용이 있으므로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요즘 사람들에게는 큰 도움이 된다고 알려져 있다.
라) 환 제조
본 발명은 상기 제조된 농축액과 잎분말 및 겔상태의 숙성액을 각각 중량비로 1 : 2 : 0.1~0.3의 비율로 혼합하여 건강증진용 환을 제조하게 된다.
이때 숙성액은 끈적끈적한 겔상태이므로 잎분말에 접착력을 부여하여 보다 견고한 형태의 환을 제조함에 매우 유용하고, 뽕나무와 측백나무의 부족한 성분을 보충할 수 있는 것이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되는 본 발명을 실시 예를 들어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재료 선별 및 세척의 제 1공정에서는 뽕나무와 측백나무를 세척한 후, 잘게 썰어서 작은 조각으로 만든다.
다음 상기 뽕나무 1kg과 측백나무 1kg을 혼합물 20리터의 물을 넣고 끓인다.
상기 용기에 담긴 혼합물을 가열기를 이용하여 100℃로 4시간 가열하여 물의 양이 최초의 양보다 1/2이 될 때까지 끓인다음, 혼합물을 걸러내면 뽕나무와 측백나무로 부터 유효성분들이 고농도로 추출된 농축액을 얻게 된다.
다음 잎분말을 제조하는 제 2공정에서는 뽕나무잎을 분쇄하여 얻은 뽕나무잎분말이나, 측백나무잎를 분쇄하여 얻은 측백나무잎분말이나, 상기 뽕나무잎분말과 측백나무잎분말을 동일한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잎분말을 제조한다.
다음 숙성액을 제조하는 제 3공정에서는 엄나무, 헛개나무, 천마, 엉겅퀴, 산죽나무, 뽕나무, 측백나무, 개똥쑥, 한련초, 대마씨, 정향, 백선, 여로, 비단풀, 어성초, 자소엽, 녹차, 당귀, 조릿대를 잘게 쪼개거나 분말화하고, 이들 성분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혼합한 것을 설탕과 중량비로 1:1로 섞어 3~6개월 숙성시켜 조청과 같은 상태의 숙성액을 제조한다.
환을 제조하는 제 4공정에서는 상기 제 1공정, 제 2공정, 제 3공정에서 얻어진 농축액과 잎분말과 숙성액을 중량비 1 : 2 : 0.1~0.3로 혼합하여 일반적인 환제조공정에 의해 환을 제조한다. 이때 환의 크기는 먹기에 좋게 2∼4mm의 크기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대량생산을 위해 환제조기를 사용하여 제조할 수도 있다.
이때 숙성액의 첨가량은 0.1~0.3이 바람직한데, 이는 농축액과 잎분말의 상태에 따라 혼합량이 달라지기 때문으로, 0.1이하는 점도가 낮아 환이 잘 뭉쳐지지 않고, 0.3이상은 점도가 너무 무르게 되어 환이 쉬 뭉개지기 때문이다.
상기 제 4공정이후 환을 멸균 건조하여 약재를 완성하고 포장하는 후처리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 사실이다.

Claims (2)

  1. 뽕나무와 측백나무를 세척하여 잘게 썰어서 중량비 1: 1로 혼합하여 얻어진 혼합물 100중량부를 물이 담긴 용기에 넣어 가열기를 이용하여 85~170℃로 1~8시간 가열하여 물의 양이 최초의 양보다 2/3~1/4이 될 때까지 끓인다음 고형물을 걸러내고 농축액만을 제조하는 제 1공정과,
    뽕나무잎 또는 측백나무잎, 이들이 혼합된 잎을 분쇄하여 잎분말을 제조하는 제2공정과,
    엄나무, 헛개나무, 천마, 엉겅퀴, 산죽나무, 뽕나무, 측백나무, 개똥쑥, 한련초, 대마씨, 정향, 백선, 여로, 비단풀, 어성초, 자소엽, 녹차, 당귀, 조릿대 중 어느 하나의 성분 또는 이들 중 선택된 둘 이상의 성분이 혼합된 것을 설탕과 중량비로 1:1로 섞어 3~6개월 숙성시켜 끈적끈적한 상태의 숙성액을 제조하는 제 3공정과,
    상기 제 1공정, 제 2공정, 제 3공정에서 얻어진 농축액과 잎분말 및 숙성액을 중량비 1 : 2 : 0.1~0.3로 혼합하여 환을 제조하는 제 4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뽕나무와 측백나무를 이용한 건강 증진용 환 제조방법.
  2. 삭제
KR1020160183136A 2016-12-29 2016-12-29 뽕나무와 측백나무를 이용한 건강 증진용 환 및 농축액 제조방법 KR1017918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3136A KR101791802B1 (ko) 2016-12-29 2016-12-29 뽕나무와 측백나무를 이용한 건강 증진용 환 및 농축액 제조방법
PCT/KR2017/000923 WO2018124369A1 (ko) 2016-12-29 2017-01-25 뽕나무와 측백나무를 이용한 건강 증진용 환 및 농축액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3136A KR101791802B1 (ko) 2016-12-29 2016-12-29 뽕나무와 측백나무를 이용한 건강 증진용 환 및 농축액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1802B1 true KR101791802B1 (ko) 2017-10-30

Family

ID=60300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3136A KR101791802B1 (ko) 2016-12-29 2016-12-29 뽕나무와 측백나무를 이용한 건강 증진용 환 및 농축액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91802B1 (ko)
WO (1) WO201812436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3149121A1 (en) * 2019-07-29 2021-02-04 Echo Pharmaceuticals B.V. Treatment of inflammatory skin condition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9482B1 (ko) * 2009-10-08 2010-03-24 오동석 주목과 뽕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당뇨 또는 고혈압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6731B1 (ko) * 2001-10-24 2005-03-16 김무영 국소 도포제 및 환약으로 된 발모제의 제조방법
CN1951205B (zh) * 2005-10-19 2012-09-26 有限会社碧山园 绿色的杜仲茶叶和/或桑茶叶的制法及所制干燥茶叶和粉末饮料
KR101111712B1 (ko) * 2009-04-22 2012-02-10 김병구 한약재를 이용한 피부보호제의 제조방법
KR101256721B1 (ko) * 2009-12-28 2013-04-19 재단법인 경북해양바이오산업연구원 뽕나무가지를 이용한 건강음료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9482B1 (ko) * 2009-10-08 2010-03-24 오동석 주목과 뽕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당뇨 또는 고혈압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24369A1 (ko) 2018-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ahomoodally Traditional medicines in Africa: an appraisal of ten potent African medicinal plants
Islam Biochemistry, medicinal and food values of jute (Corchorus capsularis L. and C. olitorius L.) leaf: a review
KR20070111623A (ko)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상동맥성 심장 질환 또는 동맥경화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CN103918830A (zh) 一种暖茶饮料
KR20200004942A (ko) 허브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간기능보호용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음료
CN103749776B (zh) 一种山蜜草凉茶及其制作方法
KR101751211B1 (ko) 남성 성기능 개선용 조성물,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남성 성기능 개선용 기능성 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13815B1 (ko) 엄나무와 헛개나무를 이용한 건강 증진용 환 및 농축액 제조방법
KR20010100562A (ko) 수제용 약차와 약술의 제조방법
KR101961356B1 (ko) 엉겅퀴 엑기스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3749782A (zh) 一种金花火麻养生茶
KR101791802B1 (ko) 뽕나무와 측백나무를 이용한 건강 증진용 환 및 농축액 제조방법
CN103749826A (zh) 一种黄金火麻养生茶
KR20160000695A (ko) Dha 함유 기억력 강화 및 피로회복 증진용 한약재 조성물 수능환 및 그 제조방법
CN108651652A (zh) 菊苣复合代用茶
KR101690369B1 (ko) 여주 혼합 열수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용 약학적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56273B1 (ko) 가시오가피와 진득찰을 이용한 건강 증진용 환 및 농축액 제조방법
CN105994733A (zh) 一种可以调理脾胃的沙棘普洱茶
CN106562159B (zh) 一种金银花植物混合饮料及其生产工艺
Grace et al. Ethno-medicinal assessment of wild edible plants in Ijesa region, Osun State, Nigeria
KR101813816B1 (ko) 개똥쑥과 산죽나무를 이용한 건강 증진용 환 및 농축액 제조방법
KR102136053B1 (ko) 허브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음료
CN105994783A (zh) 一种减肥不反弹的茶饮及其制备方法
KR101466369B1 (ko) 복합 생약 발효액 및 그 제조 방법
Ashok et al. Underutilized leafy vegetables of India and their pharmaceutical value to provoke human immune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