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0369B1 - 여주 혼합 열수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용 약학적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여주 혼합 열수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용 약학적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0369B1
KR101690369B1 KR1020140093021A KR20140093021A KR101690369B1 KR 101690369 B1 KR101690369 B1 KR 101690369B1 KR 1020140093021 A KR1020140093021 A KR 1020140093021A KR 20140093021 A KR20140093021 A KR 20140093021A KR 101690369 B1 KR101690369 B1 KR 1016903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ujube
extract
weight
obesity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30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11846A (ko
Inventor
원향례
김수현
전문희
유수정
Original Assignee
상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상지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상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930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0369B1/ko
Publication of KR201600118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18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03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03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2Cucurbitaceae (Cucumber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0Cornaceae (Dogwood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2Rhamnaceae (Buckthorn family), e.g. buckthorn, chewstick or umbrella-tree
    • A61K36/725Ziziphus, e.g. jujub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9Schisandraceae (Schisandra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6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blood cholesterol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2Promoters of weight control and weight lo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decoction

Abstract

본 발명은 여주, 산수유, 오미자, 및 대추의 열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여주, 산수유, 오미자, 및 대추의 열수 추출물이 체중 감소, 식이효율 감소, 간 및 부고환지방 무게의 감소, 혈청지질 함량 감소, 및 간지질 함량 감소 등의 효과를 나타내므로 상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비만 또는 비만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여주 혼합 열수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용 약학적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Anti-obesity composition containing bitter melon mixture hot water extrac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여주, 산수유, 오미자, 및 대추의 열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 효과를 갖는 약학적 조성물, 건강기능식품, 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비만은 신체 에너지 소비량보다 과잉으로 에너지를 섭취 하였을 때 점차적으로 체지방이 피하조직이나, 장간막에 축적되어 체중이 증가하는 상태로 유전적, 영양적, 환경적 및 사회적 요인 등 다양한 원인들이 관여하는 복합증후군이다. 세계보건기구(WHO) 보고에 의하면 현재 지구상에서 약 10억의 인구가 과체중이며, 3억 인구가 BMI가 30 kg/m2 이상인 비만환자로 분류되고 있다. 비만은 당뇨병, 고혈압, 동맥경화증, 고지혈증, 심혈관 질환, 지방간 등의 성인병과 각종 대사 장애의 원인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을 뿐만 아니라(Manson et al., New England J. Med., 333, pp677-685, 1995; Kopleman P.G., Nature, 404 pp635-643, 2000; Must et al., JAMA, 282, pp1523-1529, 1999), 그 자체로도 비만증으로 야기된 지방 조직에 의해 복부에 압박이 가해져 변비와 소화불량, 위장장애 등을 일으키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세계보건기구(WHO)에서는 비만증을 치료가 필요한 질병이라고 경고한 바 있다. 비만이 질병이라는 인식을 하게 되면서 효과적으로 비만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소재 개발을 필요로 하고 있다.
비만치료 및 개선을 위한 주요 수단으로는 식이요법, 적당한 운동 및 약물투여 등이 있으나 비만치료 약물의 경우 여러 가지 부작용을 나타내고 있다.
미국 식품의약국(FDA)이 장기간 사용을 승인한 대표적인 항비만 약물로는 오를리스타트(orlistat)와 시부트라민(sibutramine)이 있다. ‘제니칼’, ‘리피다운’, ‘올리엣’ 등과 같은 다양한 상품명으로 시판되고 있는 오를리스타트(orlistat)의 경우 비만 치료제 시장을 독점하고 있는 상황이지만 간손상, 지방변, 가스생성, 지용성비타민 흡수저하 등의 위장계 부작용이 보고되고 있다. 또한 ‘리덕틸’, ‘메리디아’ 등의 상품명으로 시판되고 있는 시부트라민(sibutramine)의 경우 교감신경계의 세로토닌과 노르아드레날린 농도를 증가시킴으로서 두통, 구갈, 식욕부진, 불면, 변비 등의 부작용을 나타낸다는 보고가 있다. 이처럼 대표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항비만제 이외에도 그동안 개발된 제품들 중에는 심각한 부작용으로 인해 판매 금지된 것들도 상당수에 이른다.
최근에는 상설된 여러 부작용을 최소화 하기위해 한방 및 천연물이 비만 치료제의 소재로 각광받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한약서에 근거한 자료를 인용 한 것으로 각 소재들의 효능에 대한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증빙자료와 임상학적 결과가 절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오랜 기간 동안 부작용 없이 사용되어 온 민간요법을 토대로 전통생물 자원으로부터 유용성분을 검색하고, 보다 효과적인 항비만 기능성 소재를 개발하여 전통 한방 조성물을 이용한 기능성소재 기술의 경쟁력 향상과 전통 소재의 유용성분에 대한 개별 약효 인증기법 개발이 필요한 시점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74,914호는 여주(Momordica charantia) 발효물이 AMPK(AMP activated protein kinase)를 활성화하고, 그 표적 중 하나인 ACC(Acetyl-CoA carboxylase)억제하여 지방합성 및 지방세포 분화를 억제함으로써 항비만 효과를 가져 비만의 치료 또는 예방에 사용될 수 있다는 점이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144,197호는 파고지(Psoraleae Semen) 추출물, 희첨(Siegesbeckiae Herba) 추출물 및 산수유(Corni Fructus) 추출물은 혈관신생 및 비만 억제 효과를 나타내므로 혈관신생 관련 질환 및 비만 치료제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는 점이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2-0112137호는 오미자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우웨이지수 C는 지방세포의 분화를 억제하고, 지질의 축적을 억제하는 효능이 우수하므로,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는 점이 개시되어 있다.
한편 여주(Momordica charantia)는 박과의 덩굴식물로 영어명으로 비터 멜론(bitter melon) 이라고 불리며, 줄기는 가늘고 길이 1 m까지 자라며 덩굴손으로 다른 물건을 감아서 올라간다. 열매는 박과이며 긴 타원형이고 양끝이 좁으며 혹 같은 돌기가 있고 황적색으로 익으면 불규칙하게 갈라져서 홍색 육질로 싸인 종자가 나온다. 열매가 여지와 비슷하므로 여주라고 불린다. 어린 열매와 홍색 종피(種皮), 종자는 약용으로 사용한다. 최근에는 당뇨병의 치료에도 사용될 수 있음이 보고된 바 있다(Miura T. et al., J. Nutr. Sci. Vitaminol., 47(5), 340-344, 2001; Grover JK. et al., J. Ethnopharmacol., 76(3), 233-238, 2001).
여주의 생리활성 물질로는 식물성 스테롤에 속하는 모몰데신(momordicin), 카란틴(charantin), 공액리놀레산(conjugated linoleic acid)이 알려져 있다. 또한, 여주엔 비타민C가 100 g 중 120 mg함유되어 있으며, 이는 딸기의 80 mg, 양배추의 40 mg, 레몬의 90 mg에 비해 크게 높을 뿐만 아니라, 여주의 비타민C는 수분이 많은 과육에 들어 있기 때문에 가열해도 거의 파괴되지 않는 안정하다.
산수유 (山茱萸, Corni Fructus)는 층층나무과의 낙엽교목인 산수유나무의 열매이다. 타원형의 핵과로서 처음에는 녹색이었다가 8~10월에 붉게 익는다. 종자는 긴 타원형이며, 능선이 있다. 약간의 단맛과 함께 떫고 강한 신맛이 나며, 육질과 씨앗을 분리하여 육질은 술과 차 및 한약의 재료로 사용한다. 과육(果肉)에는 코르닌(cornin), 모로니사이드(Morroniside), 로가닌(Loganin), 타닌(tannin), 사포닌(Saponin) 등의 배당체와 포도 주산, 사과산, 주석산 등의 유기산이 함유되어 있고, 그밖에 비타민 A와 다량의 당도 포함되어 있다. 종자에는 팔미틴산, 올레인산, 리놀산 등이 함유되어 있다. 《동의보감》 《향약집성방》 등에 의하면 강음(强陰), 신정(腎精)과 신기(腎氣)보강, 수렴 등의 효능이 있다고 하며, 두통, 이명, 해수병, 해열, 월경과다 등에 약재로 쓰이며 식은땀, 야뇨증 등의 민간요법에도 사용된다.
오미자 (五味子, Schizandra chinensis Baillon.)는 낙엽 활엽 덩굴나무로 잎은 어긋나고 난형 (卵形) 또는 도란형 (倒卵形)이며 끝은 급히 뾰족하고 톱니가 있으며 뒷면 맥상에 다소 털이 있다. 꽃은 홍백색으로 6~7월에 피며 자웅이주이다. 과실은 식용으로 쓰이고 가지 끝에 이삭모양으로 늘어지며 8~9월에 붉게 익는다. 과실을 오미자 (오매자), 북오미자 (Schizandrae fructus)라 한다. 표고 200~1,600 m 지리산, 전북, 강원도가 주산지이며 충남, 충북을 제외한 전국에 야생하고, 지리적으로 일본, 사할린, 만주, 중국에 분포한다. 과실에는 시잔드롤 (Schizandrol), 시잔드린 (Schizandrin) A, B, C, 안겔로일고미신 (angeloylgomisin) O, P, 에피고미신 (epigomisin), 프레고모이신 (pregomoisin), 데옥시시잔드린 (Deoxyschizandrin) 등을 함유한다. 오미자는 오래 전부터 수렴, 자양, 강장, 진해약, 해주독, 목마름, 수렴고삽, 익기생진, 보신염심 등의 약효를 가져 생약 원료로 한방에서 사용해오던 재료이며, 오미자주의 원료로 사용되어 온 것으로서 체내 섭취에 따른 인체 안정성이 이미 확인되어 있다.
대추(Zizyphus jujuba Mill var.)는 갈매나무과에 속하는 활엽교목이다. 대추는 우리나라 기후풍토에 적합하여 재배가 용이하고 생산물의 저장성이 좋아서 널리 재배된 과수이다. 대추는 단백질, 지방 등의 영양소와 36종의 다양한 무기원소가 함유되어 있으며, 특히 비타민 C, 비타민 B군, 칼슘, 인 등의 영양분이 천연 비타민제라고 할 정도로 많이 함유되어 있다. 또한 비교적 수분이 낮아서 풋대추의 수분 함량은 74%이고, 붉은 대추 생것의 수분함량은 60%이며, 건조대추의 수분함량은 30%이다. 대추의 주성분인 포도당과 과당의 함량은 28%이고, 단백질의 함량은 1.5%이다. 대추의 에탄올 추출액을 간이 손상된 쥐에 투여하여 실험한 결과 손상된 간의 회복 및 보호효과가 좋은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한방에서는 대추를 완화강장제로 사용하고, 잘익은 대추를 증숙 및 건조시켜 달여 먹으면 열을 내리게 하고, 변을 묽게 하여 변비를 없애며, 기침도 멎게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최근에는 인체의 면역력을 높이는 물질(사이클릭 에엠피, Cyclic AMP)을 활성화시키는 성분이 대추에 많이 함유되어 있다는 연구 보고가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천연물 소재를 이용하여 발효 등과 같은 가공과정 없이 물(정제수)을 이용하여 단시간 내에 저비용으로 부작용을 나타내지 않는 비만 치료용 조성물을 개발하고자 연구를 거듭한 결과 본 발명의 성분비 및 제조방법에 따른 여주, 산수유, 오미자, 및 대추의 열수 추출물이 간의 손상과 같은 독성 없이 체중 감소 및 지질개선 효과를 나타낸다는 점을 새로이 규명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74,914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144,197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2-0112137호
Manson et al., New England J. Med., 333, pp677-685, 1995. Kopleman P.G., Nature, 404 pp635-643, 2000. Must et al., JAMA, 282, pp1523-1529, 1999. Miura T. et al., J. Nutr. Sci. Vitaminol., 47(5), 340-344, 2001. Grover JK. et al., J. Ethnopharmacol., 76(3), 233-238, 2001.
본 발명의 목적은 여주, 산수유, 오미자, 및 대추의 열수 추출물이 항비만 활성을 나타낸다는 것을 입증하여 상기 열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약학적 조성물, 건강기능식품, 식품 및 항비만용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특정 성분비의 여주, 산수유, 오미자, 및 대추 열수 추출물이 체중 감소, 식이효율 감소, 지질 개선 등의 활성을 나타낸다는 것을 동물식이 실험을 통해 확인함으로써 상기 열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약학적 조성물, 건강기능식품, 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여주, 산수유, 오미자, 및 대추의 열수 추출물은 간 손상과 같은 독성을 나타내지 않으면서 체중 감소, 식이효율 감소, 간 및 부고환지방 무게의 감소, 혈청지질 함량 감소, 및 간지질 함량 감소 등의 효과를 나타내므로 상기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약학적 조성물, 건강기능식품, 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여주, 산수유, 오미자, 및 대추의 열수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여주, 산수유, 오미자, 및 대추의 열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열수 추출물은 여주 : 산수유 : 오미자 : 대추를 100 : 10 내지 20 : 5 내지 15 : 1 내지 10의 중량비, 보다 구체적으로 100 : 10 내지 15 : 5 내지 10 : 1 내지 5의 중량비, 보다 더 구체적으로 100 : 12 내지 14 : 8 내지 10 : 3 내지 5의 중량비로 배합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배합비에서 가장 우수한 항비만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실험결과를 통해 확인되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항비만용 약학적 조성물은 체중 감소, 식이효율 감소, 혈중지질 함량 감소, 및 간지질 함량 감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활성을 가진다.
상기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상기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일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스 또는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탈크 등과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 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및 좌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 용량 수준은 개체 종류 및 중증도, 연령, 성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 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추출물은 1일 1 내지 10 mg/kg으로, 바람직하게는 3 내지 6 mg/kg으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항비만 효과 또는 지질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다. 그리고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요소를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개체”란 항비만 또는 지질개선 활성을 통해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질환이 이미 발병되었거나, 발병될 수 있는 인간을 포함한 모든 동물을 의미하고 본 발명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개체에게 투여함으로써, 상기 질환을 효과적으로 예방 및 치료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 경로는 목적 조직에 도달할 수 있는 한 어떠한 일반적인 경로를 통하여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목적하는 바에 따라 복강내 투여, 정맥내 투여, 근육내 투여, 피하 투여, 피내 투여, 경구 투여, 비내 투여, 폐내 투여, 직장내 투여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활성 물질이 표적 세포로 이동할 수 있는 임의의 장치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여주, 산수유, 오미자, 및 대추의 열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비만용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열수 추출물은 여주 : 산수유 : 오미자 : 대추를 100 : 10 내지 20 : 5 내지 15 : 1 내지 10의 중량비, 보다 구체적으로 100 : 10 내지 15 : 5 내지 10 : 1 내지 5의 중량비, 보다 더 구체적으로 100 : 12 내지 14 : 8 내지 10 : 3 내지 5의 중량비로 배합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항비만용 건강기능식품은 체중 감소, 식이효율 감소, 혈중지질 함량 감소, 및 간지질 함량 감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활성을 가지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건강기능식품”이란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정제, 캅셀, 분말, 과립, 액상 및 환 등의 형태로 제조 및 가공한 식품을 말한다. 여기서 기능성이라 함은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에 의하여 제조가능하며, 상기 제조 시에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첨가하는 원료 및 성분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일반 약품과는 달리 식품을 원료로 하여 약품의 장기 복용 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 등이 없는 장점이 있고, 휴대성이 뛰어나,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신생혈관형성 억제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한 보조제로 섭취가 가능하다.
유효성분의 혼합양은 사용 목적(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의 제조 시에 본 발명에 따른 여주, 산수유, 오미자, 및 대추의 열수 추출물은 원료 조성물 중 1 ~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3 ~ 8중량%의 양으로 첨가된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식품에는 통상의 식품과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수크로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및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감미제로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g당 일반적으로 약 1 ~ 10 g, 바람직하게는 약 1 ~ 5 g 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은, 여주, 산수유, 오미자, 및 대추의 열수 추출물을 포함하되 적절한 식품보조첨가제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식품보조첨가제”란 식품에 보조적으로 첨가될 수 있는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각 제형의 건강기능식품을 제조하는데 첨가되는 것으로서 당업자가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식품보조첨가제의 예로는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 (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충진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이 포함되지만, 상기 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식품보조첨가제의 종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여주, 산수유, 오미자, 및 대추의 열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비만용 식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열수 추출물은 여주 : 산수유 : 오미자 : 대추를 100 : 10 내지 20 : 5 내지 15 : 1 내지 10의 중량비, 보다 구체적으로 100 : 10 내지 15 : 5 내지 10 : 1 내지 5의 중량비, 보다 더 구체적으로 100 : 12 내지 14 : 8 내지 10 : 3 내지 5의 중량비로 배합되는 것일 수 있다.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항비만용 식품은 체중 감소, 식이효율 감소, 혈중지질 함량 감소, 및 간지질 함량 감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활성을 가지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물질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은 (a) 여주, 산수유, 오미자, 및 대추 열매의 혼합물 중량의 10배 이상의 정제수를 가하여 혼합하는 단계; 및 (b) 상기 혼합용액을 100 내지 125 ℃에서 3시간 이상 열수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항비만용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a) 단계에서 여주 : 산수유 : 오미자 : 대추는 100 : 10 내지 20 : 5 내지 15 : 1 내지 10의 중량비, 보다 구체적으로 100 : 10 내지 15 : 5 내지 10 : 1 내지 5의 중량비, 보다 더 구체적으로 100 : 12 내지 14 : 8 내지 10 : 3 내지 5으로 배합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a) 단계에서 여주, 산수유, 오미자, 및 대추 혼합물은 각 열매의 건조분말 형태일 수 있다.
이하, 하기 실시예, 실험예 및 제조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이로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실시예]
여주열매 80%(고형분 12%), 산수유 열매 10%(고형분 1.5%), 오미자 열매 7%(고형분 1.0%), 대추 열매 3%(고형분 0.4%)에 정제수 60 L를 혼합한 후 초고속진공저온추출기(COSMO-660, Kyungseo machine, Incheon, Korea)로 103 ℃에서 5시간 추출하였다. 추출 후 스파우트 파우치 자동포장 기계(SPS-A430, Sungil system corp, Daegu, Korea)를 사용하여 포장한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험예]
실험예 1. 여주 배합비 실험
- 추출 및 재료 혼합
여주, 산수유, 오미자, 대추 각각에 대하여 물을 중량비로 10배 가한 후 110℃에서 4시간 동안 열수추출한 후 여과지로 여과하여 여주 추출물, 산수유 추출물, 오미자 추출물, 대추 추출물을 각각 수득하였다.
다양한 혼합과 비율로 제조한 혼합 추출물들은 관능검사를 통해 소비자의 기호도를 파악한 다음 기호도가 우수한 아래의 3가지 혼합추출물을 실험에 이용하였다.
제1혼합추출물은 여주 추출물 80 중량%, 산수유 추출물 10 중량%, 증류수 10 중량%를 혼합하여 조성하였고, 제2혼합추출물은 여주 추출물 80 중량%, 산수유 추출물 10 중량%, 오미자 추출물 10 중량%를 혼합하여 조성하였고, 제3혼합추출물은 여주 추출물 중량 80 중량%, 산수유 추출물 10 중량%, 오미자 추출물 7중량%, 대추 추출물 3 중량%를 혼합하여 조성하였다.
각 시료를 미세여과 필터와 여과지(Whatman, No.2)로 감압 여과하여 고형물질을 제거한 다음 50 mL로 농축(N-1200, EYELA, Tokyo, Japan)하고 증류수를 가해 2 mg/mL 농도로 희석하여 사용하였다.
- DPPH 라디칼 소거활성능
시료 1.8 mL에 1.5×10-4 M의 디페닐피크릴히드라질(1,1-diphenyl-2-picryl hydrazyl, DPPH) 1.2 mL를 교반한 후 37 ℃에서 30분간 반응시킨 다음 517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라디칼 소거활성능은 시료 첨가구와 대조구의 흡광도 감소율로 나타내었다. 대조군는 시료 대신 증류수를 이용하였다. 라디칼 소거활성능은 다음과 같은 식에 의해 계산하였다.
라디칼 소거활성능(%) = (1-시료첨가구의 흡광도/대조구의 흡광도)×100
여주 추출물, 산수유 추출물, 오미자 추출물, 대추 추출물의 디페닐피크릴히드라질(1,1-diphenyl-2-picryl hydrazyl, DPPH) 라디칼 소거활성능은 각각 5.5, 67.1, 42.6 그리고 86.3% 수준으로 나타났다. 각 추출물의 여주 추출물이 항산화 효과가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대추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제1혼합추출물의 라디칼 소거활성능은 83.9%였고, 제2혼합추출물의 라디칼소거활성능은 89.6%였다. 그리고 제3혼합추출물의 라디칼 소거활성능은 92.5%였다. 상기의 실험을 통해 3가지의 혼합추출물 중 제 3혼합추출물의 항산화 효과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여주 추출물, 산수유 추추물, 오미자 추출물, 대추 추출물 각 단독에 비해 혼합추출물의 항산화효과가 더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제3혼합추출물은 항산화효과가 가장 낮은 여주 추출물을 80 중량% 함유 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각 단독의 추출물이나 제1 및 제2혼합추출물에 비해 항산화 효과가 가장 높았다(표 1). 이는 4가지 추출물을 혼합하면 시너지 효과에 의해 항산화 활성을 크게 증대시키는 것으로 추정된다.
Figure 112014069149570-pat00001
○ 동물식이 실험을 위한 실험동물 및 식이
실험동물은 12주령의 C57BL/6J 실험쥐를 ㈜바이오링크(충북 음성, 대한민국)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물과 식이는 자유롭게 섭취시키면서 공급하였고, 동물실험실의 사육조건은 온도 20±2 ℃, 상대습도 50±5 ℃, 명암은 12시간 주기로 자동 조명 조절되었다. 본 동물실험은 실험동물윤리위원회(상지대학교)의 승인(승인번호:2013-2)을 받아 수행하였다. 1주일간 일반식이로 적응시킨 뒤 난괴법에 따라 각 처리 군당 8마리씩 3군으로 나누었다. 표 3과 같이 대조군은 50% 우지(beef tallow) 고지방 식이에 생리식염수를, 실험군은 50% 우지(beef tallow) 고지방 식이에 실시예의 여주 혼합 추출물 100 μL 및 250 μL의 용량으로 8주간 매일 같은 시간에 경구투여 하였다. 50% 우지(beef tallow) 고지방식이의 조성은 표 2와 같다.
Figure 112014069149570-pat00002
Figure 112014069149570-pat00003
○ 실험결과의 통계 처리
실험을 통해 얻어진 자료는 SPSS 21.0(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Chicago, IL, USA) PC 패키지(package)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는 평균±표준편차로 나타내었으며 실험군 간의 평균 값 차이는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을 한 후 던컨의 다중검정(Duncan’s multiple range test)에 의해 p<0.05수준에서 각 실험군 평균치 간에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실험예 2. 체중증가량, 식이섭취량 및 식이효율
실험기간 동안 식이 섭취량과 체중은 매주 1회 일정한 시간에(오전 10∼11시) 측정하였다. 최종 체중에서 실험개시 전 체중을 감하여 체중증가량을 측정하였고, 사육기간 중의 체중 증가량을 같은 기간의 식이섭취량으로 나누어 각 실험군들의 식이효율(food efficiency ratio, FER)을 계산하였다.
50% 우지(beef tallow) 고지방식이를 섭취하면서 여주 혼합 추출액을 100 μL와 250 μL의 용량으로 경구 투여하여 8주간 사육한 후 실험쥐의 체중증가량, 식이섭취량 및 식이효율은 표 4에 나타내었다. 실험쥐 최종무게는 각 군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여주 혼합 추출액을 250 μL 경구투여로 인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체중증가량은 HFD군은 9.78±0.33 g, HFD BM100군은 8.68±0.21 g, HFD BM250군은 7.09±0.98 g으로 HFD군에 비하여 HFD BM250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식이섭취량은 군간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식이효율을 비교하였을 때 HFD BM250군은 0.437±0.061으로 HFD군(0.598±0.020)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Figure 112014069149570-pat00004
실험예 3. 간, 비장, 및 부고환지방 무게변화
8주간 사육한 실험동물은 12시간 동안 절식시킨 후 에테르(ether) 마취 하에서 개복하여 간, 비장 및 부고환지방을 적출하여 0.9% 염화나트륨(NaCl)용액으로 혈액 및 기타물질을 제거하고 수분을 제거한 후 각각의 장기 중량을 측정하였다.
50% 우지(beef tallow) 고지방식이를 섭취하면서 여주 혼합 추출액을 8주간 경구투여하여 사육한 후 실험쥐의 간, 비장 및 부고환지방의 무게변화는 표 5에 나타내었다. HFD군의 간 무게는 1.153±0.081 g, HFD BM100군은 1.136±0.064 g, HFD BM250군은 0.978±0.036 g으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부고환지방의 무게도 HFD BM250군은 1.043±0.117 g으로 HFD군(1.383±0.248 g) 및 HFD BM100군(1.344±0.187 g)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비장의 무게는 각 군별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Figure 112014069149570-pat00005
실험예 4. 혈청의 지질 함량
8주간 사육한 실험동물은 12시간 동안 절식시킨 후 에테르(ether) 마취 하에서 개복하여 복부대동맥을 통해 채혈 후 실온에서 30분 방치하였다. 3,000 rpm에서 15분간 원심분리하여 혈청을 얻은 후 분석 전까지 -70 ℃에서 보관하였다.
혈장의 중성지방, 총 콜레스테롤 및 고밀도 지단백(high-density lipoprotein, HDL) 콜레스테롤 농도는 시판되는 키트(kit)(Asan pharmaceutical, Seoul, Korea)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저밀도 지단백(low-density lipoprotein, LDL) 콜레스테롤은 프리데발트(Friedewald)식 {총콜레스테롤-(고밀도 지단백(HDL)-콜레스테롤-중성지방/5)}에 의하여 계산하였다.
50% 우지(beef tallow) 고지방식이를 섭취하면서 여주 혼합 추출액을 8주간 경구 투여하여 사육한 후 실험쥐의 혈청 중 총 콜레스테롤, 중성지질, 고밀도 지단백(HDL) 콜레스테롤 및 저밀도 지단백(LDL) 콜레스테롤의 함량은 표 6과 같다. 총 콜레스테롤 함량은 HFD군이 125.31±20.58 mg/dL를 나타내었으며 여주 혼합 열수 추출액을 250 μL 경구투여함으로써 97.48±4.06 mg/dL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중성지질 함량은 HFD군 104.59±6.57 mg/dL, HFD BM100군 114.42±9.62 mg/dL, HFD BM250군 94.67±14.01 mg/dL로 HFD BM250군에서 HFD BM100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고밀도 지단백(HDL) 콜레스테롤의 함량은 HFD군 109.62±12.58 mg/dL, HFD BM100군 87.90±10.14 mg/dL, HFD BM250군 101.46±4.95 mg/dL로 HFD BM100군이 HFD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저밀도 지단백(LDL) 콜레스테롤의 함량은 HFD BM100군(99.05±3.07 mg/dL)과 HFD BM250군(98.22±4.97 mg/dL)에서 HFD(113.74±4.33 mg/dL)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Figure 112014069149570-pat00006
실험예 5. 간 지질 함량
간 지질 농도는 폴치(Folch)등의 방법에 따라 간조직 마쇄액에 클로로폼(chloroform)과 메탄올(methanol) (2:1) 혼합액을 일정량 가해 반복추출하고 유기용매 부분은 질소가스 존재 하에서 휘발시킨 후 아산제약 키트(kit)로 총 콜레스테롤과 중성지질을 측정하였다.
50% 우지(beef tallow) 고지방식이를 섭취하면서 여주 혼합 추출액을 8주간 경구 투여하여 사육한 후 실험쥐의 간 중 총 콜레스테롤과 중성지질의 함량은 표 7에 나타내었다. HFD BM250군의 총콜레스테롤 함량은 1.12±0.39 mg/g으로 HFD군 2.40±0.84 mg/g과 HFD BM100군 2.55±0.51 mg/g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중성지질 함량은 HFD BM250군의 경우 12.96±2.46 mg/g으로 HFD군(33.11±3.71 mg/g)과 HFD BM100군(34.33±4.23 mg/g)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Figure 112014069149570-pat00007
실험예 6. 혈청의 글루타민산 옥살로초산 트란스아미나제(GOP) 및 글루타민산 피루빈산 트란스아미나제(GPT) 활성
혈청 글루타민산 옥살로초산 트란스아미나제(glutamic oxaloacetic transaminase, GOT)와 글루타민산 피루빈산 트란스아미나제(glutamic pyruvic transaminase, GPT) 활성은 키트(kit)(Asan pharmaceutical, Seoul, Korea)로 측정하였다.
혈청 글루타민산 옥살로초산 트란스아미나제(GOT) 및 글루타민산 피루빈산 트란스아미나제(GPT)는 간세포에 존재하는 효소로서 간 조직이 파괴될 때 혈중으로 다량 유출되어 수치가 높아지는 특징이 있어 유해성 여부를 평가하는 독성의 지표로서 측정된다. 고지방식이를 섭취하면서 일정한 시간에 여주 혼합 열수 추출물을 각각 100 μL 및 250 μL로 8주간 경구투여 한 결과를 표 8에 나타내었다. 글루타민산 옥살로초산 트란스아미나제(GOT) 활성의 경우 HFD군은 46.15±4.16 IU/L, HFD BM250군은 42.96±1.39 IU/L으로 감소하였으나 유의적으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마찬가지로 글루타민산 피루빈산 트란스아미나제(GPT) 활성도 각 군별로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내지 않았다. 따라서 실시예는 독성을 나타내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Figure 112014069149570-pat00008
[제조예]
제조예 1. 산제의 제조
여주 혼합 열수 추출 분말........ 3 g
유당............................ 0.5 mg
상기 성분들을 분말화하여 혼합한 후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한다.
제조예 2. 정제의 제조
여주 혼합 열수 추출 분말............ 100 mg
전분................................ 100 mg
유당................................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1 m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통상의 정제의 제조 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제조예 3. 캡슐의 제조
여주 혼합 열수 추출 분말............ 100 mg
유당................................ 100 mg
전분................................ 100 mg
스테아린산마그네슘.................. 1 m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통상의 캠슐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한다.
제조예 4. 과립제의 제조
여주 혼합 열수 추출 분말............ 10mg
대두 추출물......................... 50mg
포도당.............................. 200mg
전분................................ 600mg
상기 성분들을 혼합한 후 30% 에탄올 100 mL를 첨가하여 60 ℃에서 건조시켜 과립을 형성한 후 포에 충진하여 과립제를 제조한다.
제조예 5. 환제의 제조
여주 혼합 열수 추출 분말........... 1 g
유당............................... 1,500mg
글리세린........................... 1,000mg
전분............................... 980mg
상기 성분들을 혼합한 후 통상의 환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환 당 4 g이 되도록 제조한다.
제조예 6. 액제의 제조
여주 혼합 열수 추출 분말............ 100 mg
구연산.............................. 100 mg
올리고당............................ 1 g
레몬향.............................. 적량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 ml
상기의 성분을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혼합하고 100 ml의 갈색병에 충전하고 멸균시켜서 액제를 제조한다.
제조예 7. 건강 기능 식품의 제조
여주 혼합 열수 추출물 20 ㎎, 비타민 혼합물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 비타민 E 1.0 ㎎, 비타민 B1 0.13 ㎎, 비타민 B2 0.15 ㎎, 비타민 B6 0.5 ㎎, 비타민 B12 0.2 ㎍, 비타민 C 10 ㎎, 비오틴 10 ㎍, 니코틴산아미드 1.7 ㎎, 엽산 50 ㎍, 판토텐산 칼슘 0.5 ㎎, 무기질 혼합물 적량, 황산제 1철 1.75 ㎎, 산화아연 0.82 ㎎, 탄산마그네슘 25.3 ㎎, 제1인산칼륨 15 ㎎, 제2인산칼슘 55 ㎎, 구연산칼륨 90 ㎎, 탄산칼슘 100 ㎎, 염화마그네슘 24.8 ㎎을 혼합하여 통상의 건강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한다.
제조예 8. 건강 음료의 제조
여주 혼합 열수 추출 분말 1,000 ㎎, 구연산 1,000 ㎎, 올리고당 10 g, 매실농축액 10 g, 타우린 1 g, 정제수 적량을 혼합하여 통상의 건강 음료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한다.
제조예 9. 과자의 제조
여주 혼합 열수 추출 분말 4 g, 코코넛오일 62 g, 설탕 30 g, 계란 12 g, 소금 0.5 g, 밀가루 96 g을 혼합하고, 이 혼합물을 이용하여 쿠키, 크래커 및 스낵류를 제조한다.
제조예 10. 양갱의 제조
여주 혼합 열수 추출 분말 5 g, 설탕 30 g, 한천 4 g, 앙금 100 g, 정제수 100 g을 혼합하고, 이 혼합물을 이용하여 양갱을 제조한다.
제조예 11. 유제품의 제조
여주 혼합 열수 추출 농축액 5∼10 중량부를 우유에 첨가하고, 상기 우유를 이용하여 버터 및 아이스크림과 같은 다양한 유제품을 제조한다.

Claims (16)

  1. 여주, 산수유, 오미자, 및 대추를 배합한 후, 혼합물 중량의 2배 이상의 정제수를 가하여 혼합하고 100 내지 125℃에서 3시간 이상 열수 추출하여 획득한 열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상기 여주 : 산수유 : 오미자 : 대추는 100 : 10 내지 15 : 5 내지 10 : 1 내지 5의 중량비로 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비만용 약학적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여주 : 산수유 : 오미자 : 대추는 100 : 12 내지 14 : 8 내지 10 : 3 내지 5의 중량비로 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비만용 약학적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체중 감소, 식이효율 감소, 혈중지질 함량 감소, 및 간지질 함량 감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활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비만용 약학적 조성물.
  5. 여주, 산수유, 오미자, 및 대추를 배합한 후, 혼합물 중량의 2배 이상의 정제수를 가하여 혼합하고 100 내지 125℃에서 3시간 이상 열수 추출하여 획득한 열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상기 여주 : 산수유 : 오미자 : 대추는 100 : 10 내지 15 : 5 내지 10 : 1 내지 5의 중량비로 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비만용 건강기능식품.
  6. 삭제
  7. 제5항에 있어서,
    여주 : 산수유 : 오미자 : 대추는 100 : 12 내지 14 : 8 내지 10 : 3 내지 5의 중량비로 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비만용 건강기능 식품.
  8. 제5항에 있어서,
    체중 감소, 식이효율 감소, 혈중지질 함량 감소, 및 간지질 함량 감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활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비만용 건강기능식품.
  9. 여주, 산수유, 오미자, 및 대추를 배합한 후, 혼합물 중량의 2배 이상의 정제수를 가하여 혼합하고 100 내지 125℃에서 3시간 이상 열수 추출하여 획득한 열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상기 여주 : 산수유 : 오미자 : 대추는 100 : 10 내지 15 : 5 내지 10 : 1 내지 5의 중량비로 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비만용 식품.
  10. 삭제
  11. 제9항에 있어서,
    여주 : 산수유 : 오미자 : 대추는 100 : 12 내지 14 : 8 내지 10 : 3 내지 5의 중량비로 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비만용 식품.
  12. 제9항에 있어서,
    체중 감소, 식이효율 감소, 혈중지질 함량 감소, 및 간지질 함량 감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활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비만용 식품.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KR1020140093021A 2014-07-23 2014-07-23 여주 혼합 열수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용 약학적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903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3021A KR101690369B1 (ko) 2014-07-23 2014-07-23 여주 혼합 열수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용 약학적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3021A KR101690369B1 (ko) 2014-07-23 2014-07-23 여주 혼합 열수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용 약학적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1846A KR20160011846A (ko) 2016-02-02
KR101690369B1 true KR101690369B1 (ko) 2016-12-27

Family

ID=55354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3021A KR101690369B1 (ko) 2014-07-23 2014-07-23 여주 혼합 열수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용 약학적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036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98873A (zh) * 2017-12-27 2018-04-13 北京红螺食品有限公司 一种用于实现茶多酚可控释放的食品级w/o/w型乳浊液的制备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0090B1 (ko) * 2017-11-09 2020-10-26 유의순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남성 항비만용 조성물
KR102607590B1 (ko) * 2021-04-28 2023-11-30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두손애약초 여주 추출물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여주 음료 제조방법 및 그 여주 음료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6362B1 (ko) * 2005-10-18 2007-02-22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청대추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4197B1 (ko) * 2009-03-31 2012-05-11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신생혈관형성 억제제 및 이를 이용한 천연산물 항비만제
WO2012134172A2 (ko) 2011-03-29 2012-10-04 (주)와이디생명과학 오미자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우웨이지수 c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17431B1 (ko) * 2012-07-12 2017-03-17 주식회사 웰파이토 항비만 활성을 갖는 건강식품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6362B1 (ko) * 2005-10-18 2007-02-22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청대추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98873A (zh) * 2017-12-27 2018-04-13 北京红螺食品有限公司 一种用于实现茶多酚可控释放的食品级w/o/w型乳浊液的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1846A (ko) 2016-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84061B2 (en) Body fat-reducing agent
KR101464337B1 (ko) 고욤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US20220226409A1 (en) Composition for stimulating of myogenesis and prevention of muscle damage containing ginseng extract
KR101690369B1 (ko) 여주 혼합 열수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용 약학적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8214191A (ja) 肝中脂質蓄積抑制剤
US20180296615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or functional health food for preventing and treating metabolic diseases, containing water extract of pleurotus eryngii var. ferulae (pf.) as active ingredient
KR101559130B1 (ko) 한약재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13815B1 (ko) 엄나무와 헛개나무를 이용한 건강 증진용 환 및 농축액 제조방법
KR20070101443A (ko) 혼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 해소용조성물
KR102099147B1 (ko) 어수리 지하부 및 사상자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90053108A (ko)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남성 항비만용 조성물
KR101350046B1 (ko) 항비만 효능을 갖는 복합 생약 발효 식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470155B1 (ko) 용쑥 및 서양민들레를 포함하는 체중 또는 체지방 감소용 경구용 조성물
KR101456127B1 (ko) 골성장 촉진을 위한 조성물
KR101154031B1 (ko)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로회복용 조성물
KR20160059152A (ko) 엉겅퀴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 조성물
KR100888068B1 (ko) 비만 억제용 조성물
KR101791802B1 (ko) 뽕나무와 측백나무를 이용한 건강 증진용 환 및 농축액 제조방법
KR20160139953A (ko) 엉겅퀴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 조성물
KR20190053107A (ko)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여성 항비만용 조성물
KR101533910B1 (ko) 여주, 산수유, 오미자 및 대추의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고지혈증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KR101483121B1 (ko) 고지혈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7452874B2 (ja) 経口組成物
JP7452856B2 (ja) 経口組成物
KR101958975B1 (ko) 해조류 복합추출물 및 식물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방간 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