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6369B1 - 복합 생약 발효액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복합 생약 발효액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6369B1
KR101466369B1 KR1020120046953A KR20120046953A KR101466369B1 KR 101466369 B1 KR101466369 B1 KR 101466369B1 KR 1020120046953 A KR1020120046953 A KR 1020120046953A KR 20120046953 A KR20120046953 A KR 20120046953A KR 101466369 B1 KR101466369 B1 KR 1014663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fermentation broth
ginger
ginseng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69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3658A (ko
Inventor
유정수
Original Assignee
유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정수 filed Critical 유정수
Priority to KR10201200469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6369B1/ko
Publication of KR201301236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36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63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63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61K36/533Leonurus (motherwor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23L2/382Other non-alcoholic beverages fermen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8Panax (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2Artemisia, e.g. wormwood or sagebrus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7Chrysanthemum, e.g. dais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 A61K2236/17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involving drying, e.g. sun-drying or wil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 A61K2236/19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involving fermentation using yeast, bacteria or both; enzymatic treat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익모초, 구절초, 쑥, 인삼, 생강과 같이, 오랫동안 생약으로 사용되어 오던 약재로부터 발효시켜 독성 및 부작용 등의 문제가 거의 없는 복합 생약 발효액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a) 원재료로서 익모초, 구절초, 쑥, 인삼, 생강을 각각 마련하는 단계, (b) 상기 원재료를 각각 세척하고 건조시키는 단계, (c) 상기 원재료와 황백당을 중량 대비 1:1로 배합하여 혼합하여 발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원재료는 익모초 15~30 중량%, 구절초 15~30 중량%, 쑥 15~30 중량%, 인삼 10~15 중량%, 생강 15~20 중량%를 함유하는 구성을 마련한다.
상기와 같은 복합 생약 발효액 및 그 제조 방법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독성 및 부작용 등의 문제가 거의 없으므로 예방을 목적으로 장기간 복용 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복합 생약 발효액 및 그 제조 방법{A FERMENTED FUNCTIONAL MIXED HERBA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복합 생약 발효액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익모초, 구절초, 쑥, 인삼, 생강과 같이, 오랫동안 생약으로 사용되어 오던 약재로부터 발효시켜 독성 및 부작용 등의 문제가 거의 없는 복합 생약 발효액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사회에 있어서 운동부족, 직장에서의 일정한 자세로의 장기간 노동, 냉난방 완비, 스트레스에 의한 자율신경실조 등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수족 냉증이나 저림, 어깨 결림, 부종 등의 증상을 호소하는 사람이 늘어나고 있다. 그러한 증상은 주로 혈액순환 부진이 원인이라고 생각되어지고 있다.
혈행불량 또는 장해 등에 의해 혈액순환이 나빠지면 말초까지 따뜻한 혈액이 충분히 골고루 미치지 않게 되고, 또 혈액으로부터의 산소나 영양의 공급이 막히고 또한 노폐물이나 수분이 축적된다.
또한 항온동물인 인간은 체온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체온 조절 기능이 구비되어 있어 환경온도의 변화(자극)를 감지한 뇌의 시상하부에 있는 체온 조절 중추로부터의 지령에 의해 자율신경계나 내분비계가 조절되어서 체온이 일정하게 유지되고 있지만, 정신적 또는 육체적 스트레스 등에 의해 자율신경의 밸런스가 무너지면 체온 조절기능이 잘 작용하지 않게 되어 냉증에 대해서 몸이 적절하게 대응할 수 없어 교감신경이 우위로 되어 혈관의 수축이나 근육의 긴장이 지속되어 혈행불량이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익모초, 구절초 등을 이용한 생약이 개발되고 있다.
익모초(益母草, Leonurus heterophyllus Sweet.)의 전초(全草)는 익모초(益母草), 꽃은 익모초화(益母草花), 과실은 충울자라 하며 약용한다.
익모초의 성분으로는 레오누린(leonurine), 스타키드린(stachydrine), 레오누리딘(leonuridine), 레오누리닌(leonurinine) 등 많은 알칼로이드(alkaloid), 안식향산(安息香酸), 다량의 염화칼륨, 라우르 산(lauric acid), 리놀렌산(linolenic acid), 올레 산(loeic acid), 스테롤(sterol), 비타민A, 루틴(rutin) 등의 플라보노이드(flavonoid)를 함유한다. 또, 아르기닌(arginine), 4-구아니디노-1-부탄올(4-guanidino-1-butanol), 4-구아니디노부티릭 산( 4-guanidinobutyric acid), 스타키오스(stachyose)도 함유하고, 그 약효는 활혈(活血), 거어(祛瘀), 조경(調經), 소수(消水)의 효능이 있다. 월경불순, 산후출혈, 악조(惡阻), 태루난산(胎漏難産), 포의불하(胞衣不下), 산후혈운(産後血暈-혈분(血分))이 병이 나서 일으키는 혼궐(昏厥)의 증상, 산전산후(産前産後)에 쓰이며 어혈복통(瘀血腹痛), 붕중루하(崩中漏下), 혈뇨(血尿), 사혈(瀉血), 옹종창양(癰腫瘡瘍)을 치료한다(정보섭 및 신민교 저, 도해 향약대사전, pp848-849, 영림사, 1998).
구절초(九折草, Chrysanthemum sibiricum Fischer)는 국화과(compositae)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음력 9월 9일에 꺾어서 약을 만든다 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5월 단오에는 줄기가 5마디가 되고 음력 9월9일에는 9마디가 된다하여 구절초(九節草)라 쓰기도 하며 주로 부인병에 좋다하여 선모초(仙母草)라 부르기도 한다. 구절초는 분류상 넓은잎구절초, 가는 잎구절초, 잡종구절초, 울릉국화, 낙동구절초, 한라구절초 등으로 나뉘는데, 한라구절초와 울릉국화는 지역 특산으로 그지역의 생태적 환경에 적응된 것으로 본다.
구절초는 예로부터 월경장애, 부인 대하증 등의 부인병에 효과가 있고 수족냉증, 위냉 등의 냉증과 위장질환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주로 민간 약으로 줄기와 잎을 가을에 채취하여 고아서 환을 만들거나 달여서 사용하였다(김종호·안덕균, 1989, 대한본초학회지, 4권, 1호).
쑥(Artemisia mongolica, A. asiatica, A. princeps, A. argyi 등)은 국화과(Compositae)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서 여러나라에서 자생하고 있으며, 유효성분으로는 이소쿠마린(isocoumarin), 쿠마린(coumarin), 다이터펜락톤(diterpenlactone), 플라보노이드(flavonoid), 펠란드렌(phellandrene), 큐프롤(cuprol), 카디넨(cardinene) 등이 밝혀져 있다(대한약전외 생약규격집; Plants Med. 60: 437, 1994; J, Nat. Prod. 44(5): 586-7, 1981; HerbaHungarica, Tom. 24 No.2-3, 1985).
우리나라에서는 말린 잎을 애엽이라 하며, 자궁을 온난케 하고 자궁출혈, 임신중의 출혈 등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왔으며, 강장보혈, 부인병, 설사치료제로 쓰여 왔다(동의보감).
인삼은 식물 분류학상 오가피과 인삼속에 속하는 다년생 숙근초로서 지구상에 약 11종이 알려져 있으며, 대표적인 종으로 (1) 고려 인삼( Panax ginseng C.A. Meyer)은 아시아 극동 지역(북위 33~48°: 한국, 북만주, 러시아 일부)에 자생하고 약효가 매우 우수하며, (2) 미국인삼( Panax quinquefolium L.)은 미국, 캐나다에 자생 및 재배하며, (3) 전칠삼( Panax notoginseng F.H. Chen)은 중국 운남성 동남부로부터 광서성 서남부지역에서 야생 또는 재배하며, (4) 죽절 인삼( Panax japonicus C.A. Meyer)은 일본, 중국 서남부, 네팔에 이르기까지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생강(生薑; Zingiberis Rhizoma Crudus)은 생강과(Zingiberaceae)의 여러해살이풀인 생강(Zingiber officinale Rosc.)의 뿌리줄기로(배기환, 한국의 약용식물, 교학사, p.584, 2000), 맵고 따뜻한 성질이 있고 독이 없다고 알려져 있다(한국생약학교수협의회, 본초학, 사단법인 대한약사회, pp.84-86, 1995). 약리효과로는 해열, 진통, 진해, 항염증 및 진토 작용 등이 있어, 방향성 및 신미성 건위제, 발한, 이뇨제로 이용되고 있으며, 주요성분은 정유성분으로 징기베렌(zingiberene), 캄펜(camphene), 비스아볼렌(bisabolene) 등과 매운맛성분으로 진저롤(gingerol), 진저올(gingeol) 등의 화합물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생약학연구회, 현대생약학, 학창사, pp.159-161, 2000).
즉, 상기한 바와 같은 약재를 사용하여, 수족냉증, 저림, 어깨결림 및 부종 등의 혈액순환부진을 개선하기 위해 신약개발이 발전하고 있으나 일시적인 효과를 보일 뿐, 그 증상들은 날로 악화되어 부작용이 가중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의 일 예가 하기 문헌 1 등에 개시되어 있다.
즉, 하기 문헌 1에는 구절초 16~20 중량부; 쑥 12~15 중량부; 당귀 3~6 중량부; 대추 1~5 중량부; 생강 1~5 중량부를 포함하는 원료혼합물에, 정제수 30~100 중량부를 가하여 100~120℃로 8~12시간 추출하여 얻은 음용이 용이한 구절초 액상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문헌 1)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2005-0058561호(2005.06.17 공개)
본 발명자는 종래에 오랫동안 임상에서 사용해오며 독성이 적은 것으로 검증된 생약제인 익모초, 구절초, 쑥, 인삼, 생강의 복합 생약 발효액에 의한 혈액순환부진의 예방 및 개선 효과에 대해 지속적으로 연구한 결과, 본 발명의 익모초, 구절초, 쑥, 인삼, 생강의 복합 생약 발효액이 수족냉증, 저림, 어깨결림 및 부종 등의 혈액순환부진을 개선하는 효과를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익모초, 구절초, 쑥, 인삼, 생강의 복합 생약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액순환부진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익모초, 구절초, 쑥, 인삼, 생강과 같이, 오랫동안 생약으로 사용되어 오던 약재로부터 발효시켜 독성 및 부작용 등의 문제가 거의 없으므로 예방을 목적으로 장기간 복용 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복합 생약 발효액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복합 생약 발효액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복합 생약 발효액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가열, 압착 등의 과정을 거치지 않아 이 과정에서 파괴되는 영양소 손실을 방지하여 제조할 수 있는 복합 생약 발효액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한방 발효액의 제조 방법은 (a) 원재료로서 익모초, 구절초, 쑥, 인삼, 생강을 각각 마련하는 단계, (b) 상기 원재료를 각각 세척하고 건조시키는 단계, (c) 상기 원재료와 황백당을 중량 대비 1:1로 배합하고 혼합하여 발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원재료는 익모초 15~30 중량%, 구절초 15~30 중량%, 쑥 15~30 중량%, 인삼 10~15 중량%, 생강 15~20 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한방 발효액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의 배합은 항아리에서 실행되며, 항아리의 입구는 부직포로 밀봉하고, 12개월 내지 24개월 동안 발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한방 발효액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d) 발효과정 중 발생되는 기포로 인해 상층에 형성된 거품을 1주일에 1회 확인하여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한방 발효액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원재료는 익모초 23 중량%, 구절초 23 중량%, 쑥 23 중량%, 인삼 13 중량%, 생강 18 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한방 발효액은 상술한 바와 같은 한방 발효액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생약 발효액 및 그 제조 방법에 의하면, 독성 및 부작용 등의 문제가 거의 없으므로 예방을 목적으로 장기간 복용 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생약 발효액 및 그 제조 방법에 의하면, 발효라는 과정을 거치면서 효소가 생성되어 영양소가 우리 몸에 흡수되는 것을 돕고 가열, 압착 등의 과정을 거치지 않아 이 과정에서 파괴되는 영양소 손실을 막는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복합 생약 발효액의 제조 과정을 나타낸 공정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 및 첨부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복합 생약은 익모초 : 구절초 : 쑥 : 인삼 : 생강의 배합조성비가 15~30 : 15~30 : 15~30 : 10~15 : 15~20 중량%, 바람직하게는, 23 : 23 : 23 : 13 : 18 중량%로 배합되며, 상기 복합 생약 발효액은 숙성 및 압착기로 압착한 발효액을 포함한다.
먼저, 본 발명의 복합 생약 발효액을 수득하는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복합 생약 발효액의 제조 방법은 (a) 원재료로서 익모초, 구절초, 쑥, 인삼, 생강을 각각 마련하는 단계, (b) 상기 원재료를 각각 세척하고 건조시키는 단계, (c) 상기 원재료와 황백당을 중량 대비 1:1로 배합하여 복합하여 발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원재료는 익모초 15~30 중량%, 구절초 15~30 중량%, 쑥 15~30 중량%, 인삼 10~15 중량%, 생강 15~20 중량% 바람직하게는, 익모초 23 중량%, 구절초 23 중량%, 쑥 23 중량%, 인삼 13 중량%, 생강 18 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복합 생약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액순환부진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발효액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혈액순환부진의 예방 및 개선을 위한 식품 및 음료 등에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조물 또는 그 발효액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보조 식품류 등이 있고, 분말, 과립, 정제, 캡슐 또는 음료인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효액은 혈액순환부진의 예방 및 개선을 목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에 첨가될 수 있다. 이때, 식품 또는 음료 중의 상기 발효액 또는 화합물의 양은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건강식품 조성물은 전체 식품 중량의 0.01 내지 15 중량%로 가할 수 있으며, 건강 음료 조성물은 100 ㎖를 기준으로 0.02 내지 10 g,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 g의 비율로 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한방 발효액의 제조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이다.
실시예 1. 복합 생약 발효액의 제조 과정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생약 발효액을 제조하기 위해, 오랫동안 생약으로 사용되어 오던 익모초, 구절초, 쑥, 인삼, 생강을 각각 마련한다(S10).
즉, 원재료로서 상기 익모초, 구절초, 쑥, 인삼, 생강은 혈액순환부진에 좋은 한약재(식품으로 허용된 한약재)로 선택된 것이다.
다음에, 상기 원재료를 각각 세척하고(S20), 세척시 원재료의 외피에 잔존하는 수분을 건조시킨다(S30). 이러한 건조는 마른 수건으로의 건조, 자연풍에 의한 건조 또는 통상의 건조기를 사용하여도 좋다.
그 후, 상기 원재료와 황백당을 중량 대비 1:1로 배합하여 항아리에 투입하여 배합한다(S40). 이때 상기 원재료 중, 인삼, 생강은 그 성분이 충분히 우려나도록 절개하여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통상의 분쇄기를 사용하여 분쇄하여도 좋다,
상기 단계 S40의 배합에 있어서, 상기 원재료는 익모초 15~30 중량%, 구절초 15~30 중량%, 쑥 15~30 중량%, 인삼 10~15 중량%, 생강 15~20 중량%를 함유하도록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원재료는 익모초 23 중량%, 구절초 23 중량%, 쑥 23 중량%, 인삼 13 중량%, 생강 18 중량%를 함유하도록 배합한다. 또 이러한 배합은 투입되는 양에 따라 교반기를 사용하여 배합되어도 좋다.
상술한 원재료의 배합은 황백당과 발효시키는 과정에서 부패하지 않고 효소 생성이 잘되도록 각 재료의 비율을 조절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배합 단계가 이루어진 후, 항아리의 입구는 부직포로 밀봉하고, 1년 이상, 바람직하게는 12개월 내지 24개월 동안 발효시킨다(S50).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생약 발효액의 제조 방법에서는 발효라는 과정을 거치면서 효소가 생성되어 영양소가 우리 몸에 흡수되는 것을 돕고 가열, 압착 등의 과정을 거치지 않아 이 과정에서 파괴되는 영양소 손실을 막는다.
또한 상기와 같이, 항아리의 입구를 부직포로 밀봉하므로, 발효기간 중 발생하는 가스를 배출하고, 이물질이 투입되는 것을 방지하며, 공기는 순환되게 한다.
또 상기 단계 S50의 발효과정 중 발생하는 기포로 상층에 불필요한 거품이 생길수 있으므로, 1주일에 1회 정도 확인하여 거품을 제거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생약 발효액은 그 발효 숙성 과정에서 가열 또는 압착과 같은 과정을 생략하므로, 원재료가 가진 특유의 향이 보존되며, 황백당을 이용함으로, 원재료가 가진 쓴맛 등은 제거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발효 숙성이 완료되며, 항아리에서 원재료와 발효액을 인출하고, 압착기로 압착 및 여과를 실행하는 것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생약 발효액이 얻어진다.
이와 같이 완성된 복합 생약 발효액은 진한 갈색의 액체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생약 발효액은 1회 복용시 75~150㎎을 물에 희석하여 1일 2회(아침, 저녁) 복용하면, 손발이 찬 사람, 생리 불순인 여성, 저림 및 어깨결림이 있는 사람의 혈액순환을 좋게 하는데 탁월한 효능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건강 음료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발효액 또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 외에 액체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점은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의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의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mL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g이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생약 발효액 및 그 제조 방법은 혈액순환부진 환자에게 적용된다.

Claims (5)

  1. (a) 원재료로서 익모초, 구절초, 쑥, 인삼, 생강을 각각 마련하는 단계,
    (b) 상기 원재료를 각각 세척하고 건조시키는 단계,
    (c) 상기 원재료와 황백당을 중량 대비 1:1로 배합하고 혼합하여 발효시키는 단계,
    (d) 발효과정 중 발생되는 기포로 인해 상층에 형성된 거품을 1주일에 1회 확인하여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원재료는 익모초 23 중량%, 구절초 23 중량%, 쑥 23 중량%, 인삼 13 중량%, 생강 18 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생약 발효액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의 배합은 항아리에서 실행되며, 항아리의 입구는 부직포로 밀봉하고, 12개월 내지 24개월 동안 발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생약 발효액의 제조 방법.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20046953A 2012-05-03 2012-05-03 복합 생약 발효액 및 그 제조 방법 KR1014663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6953A KR101466369B1 (ko) 2012-05-03 2012-05-03 복합 생약 발효액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6953A KR101466369B1 (ko) 2012-05-03 2012-05-03 복합 생약 발효액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3658A KR20130123658A (ko) 2013-11-13
KR101466369B1 true KR101466369B1 (ko) 2014-12-01

Family

ID=49852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6953A KR101466369B1 (ko) 2012-05-03 2012-05-03 복합 생약 발효액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636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22640A (zh) * 2015-06-28 2015-09-23 河南牧业经济学院 一种兽用发酵型药物制剂及其制备方法
KR101984832B1 (ko) * 2016-12-12 2019-05-31 조일푸드(주) 육류가공식품의 풍미와 기능성을 증진시키는 구절초의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4827A (ko) * 2002-06-08 2003-12-18 노환진 인삼 발효음료
KR20050058561A (ko) * 2003-12-12 2005-06-17 (주) 영평식품 음용이 용이한 구절초 액상 조성물
KR100703897B1 (ko) * 2006-09-12 2007-04-09 이병준 약초 성분을 주원료로 한 음료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4827A (ko) * 2002-06-08 2003-12-18 노환진 인삼 발효음료
KR20050058561A (ko) * 2003-12-12 2005-06-17 (주) 영평식품 음용이 용이한 구절초 액상 조성물
KR100703897B1 (ko) * 2006-09-12 2007-04-09 이병준 약초 성분을 주원료로 한 음료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3658A (ko) 2013-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552462B (zh) 一种泡腾制剂及其制备方法和用途
CN103918830B (zh) 一种暖茶饮料
KR20070111623A (ko)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상동맥성 심장 질환 또는 동맥경화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CN106310120A (zh) 一种广普型中药组合物水剂及其制备方法
Nirmala et al. Promising underutilized wild plants of cold desert Ladakh, India for nutritional security and health benefits
CN106359720A (zh) 一种清咽利喉和润肺清火的保健茶及其制备方法
CN103099833A (zh) 有助于缓解运动疲劳和延缓衰老的软胶囊及其制备方法
CN103749776A (zh) 一种山蜜草凉茶及其制作方法
KR20160119999A (ko) 동의보감 원문에 근거한 국산 유기농 공진단 및 이의 제조방법
CN108813501B (zh) 具有清热润肺止咳化痰平喘和调节人体机能的养生蜂蜜膏
KR101466369B1 (ko) 복합 생약 발효액 및 그 제조 방법
KR20160000695A (ko) Dha 함유 기억력 강화 및 피로회복 증진용 한약재 조성물 수능환 및 그 제조방법
CN102349950B (zh) 一种食品、保健品或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CN106923047A (zh) 玫瑰鸡饲料添加剂、玫瑰鸡饲料及其制备方法
CN106509209A (zh) 一种蜂胶保健茶及其制备方法
TW202330006A (zh) 氣虛及/或血虛相關症狀之預防、改善或緩和用之組合物
KR101783549B1 (ko) Dha 함유 피로회복 증진 보조식품용 조성물 수능단(수능원)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75090A (ko) 한방생약 혈압치료제 및 그 제조방법
CN103960415A (zh) 一种减肥保健凉茶及其制备方法
KR102136053B1 (ko) 허브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음료
CN105617268A (zh) 一种治疗鳞屑角化型脚气的药物
KR101756273B1 (ko) 가시오가피와 진득찰을 이용한 건강 증진용 환 및 농축액 제조방법
KR101791802B1 (ko) 뽕나무와 측백나무를 이용한 건강 증진용 환 및 농축액 제조방법
CN104352802A (zh) 治疗慢性痢疾的中药组合物及制备方法
CN103734410A (zh) 一种雷公根生地保健茶饮及其加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