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8872B1 - 슬릿 스트립의 권취 장력 부여 장치 - Google Patents

슬릿 스트립의 권취 장력 부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8872B1
KR101878872B1 KR1020167027629A KR20167027629A KR101878872B1 KR 101878872 B1 KR101878872 B1 KR 101878872B1 KR 1020167027629 A KR1020167027629 A KR 1020167027629A KR 20167027629 A KR20167027629 A KR 20167027629A KR 101878872 B1 KR101878872 B1 KR 1018788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cooling roll
cooling
disposed
ro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76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30461A (ko
Inventor
요시토 하시카와
나오토 하시카와
Original Assignee
제이디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디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제이디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304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04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88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88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006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winding-up or winding-off several parallel metal ba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003Regulation of tension or speed; Bra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26Special arrangements with regard to simultaneous or subsequent treatment of th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34Feeding or guiding devic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articular type of apparatus
    • B21C47/345Feeding or guiding devic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articular type of apparatus for monitoring the tension or advance of the material
    • B21C47/3458Endlessly revolving chai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0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 B65H23/04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 B65H23/06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by retarding devices, e.g. acting on web-roll spindle
    • B65H23/10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by retarding devices, e.g. acting on web-roll spindle acting on running we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0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 B65H23/04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 B65H23/06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by retarding devices, e.g. acting on web-roll spindle
    • B65H23/10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by retarding devices, e.g. acting on web-roll spindle acting on running web
    • B65H23/105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by retarding devices, e.g. acting on web-roll spindle acting on running web and controlling web ten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0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 B65H23/04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 B65H23/30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by longitudinally-extending flexible tapes or ba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0/00Advancing webs
    • B65H20/06Advancing webs by friction ba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0/00Advancing webs
    • B65H20/06Advancing webs by friction band
    • B65H20/08Advancing webs by friction band to effect step-by-step advancement of we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ing, Rewinding, Material Storage Devices (AREA)
  • Winding Of Webs (AREA)
  • Registering, Tensioning, Guiding Webs, And Rollers Therefor (AREA)

Abstract

권취 장력 부여 장치(1)는 슬리터 라인에서 통판되는 슬릿 후의 스트립(2)의 상측에 배치되는 상부 구조체(3)와, 상부 벨트(5)를 팽팽하게 설치하는 2개의 냉각 롤(6)과, 냉각 롤(6)끼리의 사이에 배치되는 상부 가압부(7)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하부 구조체(4)는 하부 벨트(8)를 팽팽하게 설치하는 2개의 냉각 롤(9)과, 냉각 롤(9)끼리의 사이에 배치되는 하부 가압부(10)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슬릿 스트립의 권취 장력 부여 장치{SLIT BAND SHEET COILING-TENSION APPLYING DEVICE}
본 발명은 슬릿 스트립의 권취 장력 부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금속 스트립의 슬리터 라인(slitter line)에서 내구성이 뛰어나고 사용성이 향상된 슬릿 스트립의 권취 장력 부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코일형으로 감긴 장편의 금속 소재의 슬리터 라인을 비롯한 이른바 금속 코일 재료의 프로세싱 라인에 있어서, 예를 들면, 슬릿 후 권취 전의 텐션 장치로서 롤 브라이들(bridle)이나 벨트식 텐션 장치 등이 배치된다.
이 텐션 장치가 슬릿 가공된 스트립에 대해서 권취기의 전단에서 권취 장력을 부여하여, 스트립이 권취 코일로 단단하고 확실하게 권취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텐션 장치로서, 분할된 다수의 끝없는 벨트에 의해 금속 스트립의 상하에서 서로 눌러서 벨트 뒷면의 마찰력에 의해 권취 장력을 부여하는 여러 조 벨트식 텐션 방식(특허문헌 1, 특허문헌 2 및 특허문헌 3)의 권취 장력 부여 장치가 존재한다.
이 여러 조 벨트식 텐션 방식의 장치에서는 벨트의 내외가 다른 마찰 계수를 가지는 것으로 되어 있으며, 각 스트립에 균등한 장력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벨트 표면과 스트립은 미끄럼 없이 회전 이동하기 때문에, 스트립의 표면에 마찰 상처가 발생하기 어려운 것으로 되어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도 10(a)에 나타낸 권취 장력 부여 장치(100)가 기재되어 있다. 장치(100)는 한 쌍의 풀리(101)로 벨트(102)를 팽팽하게 설치하고 실린더(103)와 연동한 누름판(104)으로 벨트(102)를 가압한다. 또한, 풀리(101)는 여러 개가 나란히 설치되어 여러 개의 벨트(102)를 팽팽하게 설치하고 있다.
장치(100)는 풀리(101), 벨트(102) 및 누름판(104)을 일체화한 것이 상하로 대향해서 배치되어 있다. 대향하는 벨트(102)의 사이에 슬릿 후의 스트립(106)이 도시하지 않은 권취기까지 반송되며, 상하의 누름판(104)을 매개로 벨트(102)가 스트립(106)을 상하에서 압착한다.
또한, 벨트(102)에서는, 벨트 외측은 마찰 계수가 큰 소재, 벨트 내측은 마찰 계수가 작은 소재로 형성되어 있다. 스트립(106)이 벨트(102)의 외측 표면에 접하면 벨트 외측의 마찰 계수가 크기 때문에, 권취기에서 스트립의 권취를 시작하면 벨트(102)는 미끄러짐 없이 스트립(106)과 함께 이동한다.
풀리(101)는 회전 가능하게 축 지지되고, 벨트(102)는 순환 이동한다. 벨트(102)의 내측 표면과 누름판(104) 사이에서는 벨트 내측 표면의 마찰 계수가 작기 때문에, 미끄럼을 일으켜 동시에 발생하는 마찰력에 의해 스트립(106)에 대해서 반송 방향과는 반대 방향의 권취 장력이 부여되는 것이 된다.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장치도 마찬가지로 다수의 풀리를 이용한 구조로 되어 있다.
특허문헌 3에는 도 10(b)에 나타낸 장력 부여 장치(200)가 기재되어 있다. 장치(200)는 외주면에 벨트(201)를 팽팽하게 설치하는 압력 부여체(202)를 가지고 있다. 압력 부여체(202)는 단면이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 2개의 벨트 반전부(203)와 벨트(201)의 내측 표면을 가압하는 가압부(204)로 구성된다.
압력 부여체(202)의 외주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돌기가 형성되고, 여러 개의 벨트(201)가 나란히 팽팽하게 설치되어 있다. 장치(200)는 압력 부여체(202)가 상하로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대향하는 벨트(201)의 사이로 슬릿 후의 스트립(205)이 권취기까지 반송되면 상하의 가압부(204)를 매개로 벨트(201)가 스트립(205)을 상하에서 압착한다.
또한, 벨트(201)에서는, 특허문헌 1의 장치(100)와 마찬가지로 벨트 외측은 마찰 계수가 큰 소재, 벨트 내측은 마찰 계수가 작은 소재로 형성되어 있다. 스트립(205)과 접촉한 벨트(201)는 순환하여 움직이며, 마찬가지의 원리로 벨트(201)에 대해서 권취 장력이 발생한다.
일본특허 특개소 56-82755호 공보 미국특허 제3735937호 명세서 일본특허 특개 2004-35174호 공보
여기서, 특허문헌 1 내지 3의 장치를 비롯하여 벨트 내측 표면을 가압하여 권취 장력을 발생시키는 텐션 장치에서는 마찰열의 발생이 문제가 된다. 즉, 누름판이나 가압부가 벨트의 내측 표면을 가압하여 이동하기 때문에, 마찰열이 생기고, 마찰열의 대부분은 벨트에 흡수되어 벨트가 고온이 된다.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의 풀리를 이용한 텐션 장치에서는 고온이 된 벨트의 열이 금속 재질의 풀리로 이동하여 100℃ 부근까지 온도가 상승한다. 그 결과, 이종 재료를 적층 접착하여 형성한 벨트의 적층부 및 접합부에서 접착제가 열에 의해 변질하여 벨트의 손상으로 이어져 장시간의 슬리터 라인의 운전에 지장을 초래하게 된다.
풀리를 이용한 텐션 장치에서 200개를 넘는 수의 풀리에 대해서 냉각수 등을 통해 냉각하는 것은 구조적으로 곤란하고, 풀리에 대한 냉각 구조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3의 텐션 장치에서는 압력 부여체의 내부로 순환하는 냉각수를 흘려서 벨트의 열을 냉각하고 있다. 그러나 냉각수는 벨트 반전부나 누름부의 단면 중심 부분을 흐르기 쉬워 벨트가 접하는 외주면 근처의 유수량이 적기 때문에, 냉각 효율이 불충분하다.
또한, 벨트 반전부는 전술한 풀리처럼 순환 이동하는 벨트에 대해서 회전하는 구조로 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이 점에서도 냉각 효율이 좋지 않은 것으로 된다. 그 결과, 특허문헌 3의 텐션 장치에서도 벨트의 마찰열이 충분히 제거되지 못해서 벨트의 사용 수명이 짧아지게 되었다.
또한, 특허문헌 3의 텐션 장치에서는 벨트 반전부와 가압부가 일체화한 구조이며, 벨트의 긴장도를 조절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슬리터 라인에서의 사용에 따라 벨트는 마찰열에 의한 온도 상승과 냉각을 반복한다.
이때, 벨트의 온도 상승과 함께 열팽창으로 벨트의 길이가 길어지고, 압력 부여체와의 사이에 틈이 생기게 된다. 또는, 온도 상승과 냉각의 반복으로 벨트가 수축하여 압력 부여체를 조여서 벨트의 회전 불량을 일으키는 일이 있다. 그 결과, 슬릿 후의 스트립 표면에 슬립 자국을 부착시키는 치명적인 문제도 발생하고 있다.
본 발명은 이상의 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금속 스트립의 슬리터 라인에서 내구성이 뛰어나고 사용성이 향상된 슬릿 스트립의 권취 장력 부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슬릿 스트립의 권취 장력 부여 장치는 원통형으로 내부가 냉각 가능하고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 제1 냉각 롤을 구비하는 제1 장설부와, 마찰 계수가 다른 소재로 형성되고, 마찰 계수가 작은 측이 상기 제1 장설부에 접하고 순환 이동 가능한 링 형상으로 팽팽하게 설치된 제1 벨트와, 상기 제1 벨트의 마찰 계수가 작은 측에 소정의 길이가 접하는 제1 가압부와, 상기 제1 장설부와 대향하여 위치하고, 원통형으로 내부가 냉각 가능하고 또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 제2 냉각 롤을 구비하는 제2 장설부와, 마찰 계수가 다른 소재로 형성되고, 마찰 계수가 작은 측이 상기 제2 장설부에 접하고 순환 이동 가능한 링 형상으로 팽팽하게 설치된 제2 벨트와, 상기 제1 가압부와 대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2 벨트의 마찰 계수가 작은 측에 소정의 길이가 접함과 아울러, 상기 제1 가압부에 근접 가능하게 구성된 제2 가압부를 구비한다.
여기서, 제1 장설부와 마찰 계수가 다른 소재로 형성되고, 마찰 계수가 작은 측이 제1 장설부에 접하고 순환 이동 가능한 링 형상으로 팽팽하게 설치된 제1 벨트와, 및 제2 장설부와 마찰 계수가 다른 소재로 형성되고, 마찰 계수가 작은 측이 제2 장설부에 접하고 순환 이동 가능한 링 형상으로 팽팽하게 설치된 제2 벨트에 의해 벨트를 팽팽하게 설치하고 유지하는 구조로 할 수 있다. 또한, 벨트는 각 장설부의 외주면을 순환 이동하는 것으로 된다.
또한, 제1 벨트의 마찰 계수의 작은 측에 소정의 길이가 접하는 제1 가압부와, 제1 가압부와 대향하여 배치되고, 제2 벨트의 마찰 계수가 작은 측에 소정의 길이가 접하는 제1 가압부에 근접 가능하게 구성된 제2 가압부에 의해 팽팽하게 설치된 각 벨트를 마찰 계수가 작은 측에서 가압하여 반송되는 슬릿 후의 스트립을 끼워 누를 수 있다. 즉, 제1 벨트 및 제1 가압부와, 제2 벨트 및 제2 가압부의 조합으로 그 사이에 스트립의 반송 경로를 마련하고, 제2 가압부를 제1 가압부에 근접시킴으로써, 각 벨트 사이에 스트립을 끼워 누르는 것이 된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소정의 길이라는 것은 후술하는 스트립으로의 권취 장력이 충분히 부여될 수 있는 정도의 접촉 압력이 생기는 길이를 의미한다.
또한, 마찰 계수가 다른 소재로 형성되어 마찰 계수가 작은 측이 제1 장설부에 접하고 순환 이동 가능한 링 형상으로 팽팽하게 설치된 제1 벨트와, 제1 벨트의 마찰 계수가 작은 측에 소정의 길이가 접하는 제1 가압부와, 마찰 계수가 다른 소재로 형성되어 마찰 계수가 작은 측이 제2 장설부에 접하고 순환 이동 가능한 링 형상으로 팽팽하게 설치된 제2 벨트와, 제1 가압부와 대향하여 배치되고 제2 벨트의 마찰 계수가 작은 측에 소정의 길이가 접함과 아울러, 제1 가압부에 근접 가능하게 구성된 제2 가압부에 의해 반송되는 슬릿 후의 스트립에 대해서 권취 장력을 부여할 수 있다. 즉, 제1 벨트 및 제2 벨트의 마찰 계수가 작은 측이 제1 가압부 및 제2 가압부에 의해 가압되고, 각 벨트의 마찰 계수가 큰 측이 제1 가압부 및 제2 가압부에 의해 가압되며, 각 벨트의 마찰 계수가 큰 측의 면에 스트립을 끼워 누른다. 그리고 벨트의 마찰 계수가 큰 측과 스트립이 접하여 벨트가 스트립의 움직임에 따라 순환하여 움직일 수 있고, 벨트의 마찰 계수가 작은 측과 가압부의 사이에 미끄럼 마찰력이 생겨서 스트립에 대한 권취 장력이 된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슬릿 후의 스트립이라는 것은 알려진 슬리터 라인에서 슬릿 가내는 것이다.공되어 넓은 금속판의 상태로부터 여러 조의 스트립으로 가공되어 라인에서 반송되는 금속 소재를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원통형으로 내부가 냉각 가능하고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 제1 냉각 롤과, 원통형으로 내부가 냉각 가능하고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 제2 냉각 롤에 의해 고온으로 되는 벨트를 냉각할 수 있다. 즉, 가압부가 벨트의 마찰 계수가 작은 측을 가압함으로써 생기는 마찰열로 벨트 온도가 상승하지만, 순환 이동하는 벨트의 외측과 각 냉각 롤이 접함으로써 그 열을 효율 좋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 제1 냉각 롤과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 제2 냉각 롤에 의해 고온 벨트를 효율 좋게 냉각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각 냉각 롤이 벨트의 순환 이동에 따라 회전함으로써 냉각 롤 측으로 이동하는 열이 분산되어 롤 측으로 쉽게 흡수되는 것으로 된다.
또한, 제1 장설부에 제1 벨트끼리가 간격을 가지고 병설되고, 제2 장설부에 제2 벨트끼리가 간격을 가지고 병설된 경우에는 여러 개의 벨트의 조합으로 여러 조의 스트립에 권취 장력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1 냉각 롤 및 제2 냉각 롤에서 내부에 냉각수가 순환 가능하게 구성된 경우에는 냉각수에 의해 벨트의 열을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1 냉각 롤 및 제2 냉각 롤은 각 벨트의 순환 이동 방향으로 회전하여 원심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냉각수가 각 냉각 롤의 외측 표면 근처로 쉽게 이동하게 되어 더욱 냉각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제1 냉각 롤 및 제2 냉각 롤에서 외부 표면층의 두께가 3mm 이하로 형성된 경우에는 고온이 되는 각 벨트의 열이 각 냉각 롤의 외측 표면으로부터 냉각 롤의 내부로 쉽게 이동하게 되어 더욱 냉각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제1 냉각 롤 및 제2 냉각 롤이 중심 축 측의 내통과 내통을 거의 둘러싼 외통을 구비하고, 내통 및 외통 사이에 냉각수가 순환 가능하게 구성된 경우에는 냉각수를 외통 근처으로 흘리는 구조로 된다. 즉, 고온이 되는 각 벨트의 열을 냉각 롤에서 더욱 제거하기 쉬운 것으로 된다. 또한, 냉각 롤 내부에 있어서의 물의 순환 효율을 높여서 더욱 냉각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제1 냉각 롤 및 제2 냉각 롤이 슬리터 라인에서 반송되는 슬릿 스트립의 진행 방향 측으로 배치된 경우에는 더욱 냉각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즉, 가압부의 가압을 거친 벨트가 순환 이동하여 곧 각 냉각 롤과 접촉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1 장설부의 양단에 제1 냉각 롤이 배치되고, 제2 장설부의 양단에 제2 냉각 롤이 배치된 경우에는 벨트를 냉각 롤로 팽팽하게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제1 장설부 및 제2 장설부가 냉각 롤로 구성된 것으로 된다. 또한, 벨트가 2개의 냉각 롤에 접촉하는 것으로 되어 더욱 냉각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제1 장설부가, 일단에 제1 냉각 롤이 배치되고, 타단에 길이 방향의 단면이 반원통형인 제1 벨트 반전부를 구비하며, 제2 장설부가, 일단에 제2 냉각 롤이 배치되고, 타단에 길이 방향의 단면이 반원통형인 제2 벨트 반전부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벨트가 냉각 롤과 벨트 반전부에 의해 팽팽하게 설치되는 것이 된다. 즉, 벨트가 냉각 롤과 벨트 반전부에 의해 대략 타원형 상태로 유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1 냉각 롤이 제1 벨트가 긴장하는 방향 또는 이완하는 방향으로 위치가 변경 가능하고, 제2 냉각 롤이 제2 벨트가 긴장하는 방향 또는 이완하는 방향으로 위치가 변경 가능한 경우에는 벨트의 신장 정도에 대응하여 벨트를 팽팽하게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온도 변화에 따른 벨트의 신장이나 수축에 따라 벨트의 긴장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슬릿 스트립의 권취 장력 부여 장치는 금속 스트립의 슬리터 라인에서 내구성이 뛰어나고 사용성이 향상된 것으로 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의 화살표 Z 방향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는 도 3의 화살표 X 방향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6은 도 5의 화살표 Y 방향의 상부 구조체 측에서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8은 도 7의 화살표 Y 방향의 상부 구조체 측에서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 형태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0은 종래의 풀리를 이용한 권취 장력 부여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a) 및 장 원형 형상의 압력 부여체를 이용한 권취 장력 부여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b)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하여 본 발명의 이해를 도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의 화살표 Z 방향의 개략 단면도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이하에 나타내는 내용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어디 까지나 일례이다. 또한, 도 1 내지 도 9에 나타낸 그림은 설명을 위한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에 있어서의 구조의 크기나 축척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제1 실시 형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인 권취 장력 부여 장치(1)는 슬리터 라인에서 통판(通板)되는 슬릿 후의 스트립(2)의 상측에 배치되는 상부 구조체(3)와, 스트립(2)의 하측에 배치되는 하부 구조체(4)를 구비하고 있다.
슬릿 후의 스트립(2)은 넓은 금속판이 알려진 슬리터 라인에서 여러 조의 스트립으로 슬릿 가공된 것이다. 또한, 권취 장력 부여 장치(1)는 도시하지 않지만, 알려진 슬리터 라인에서 스트립 권취기의 앞쪽에 배치되어 스트립(2)에 권취 장력을 부여하는 것이다.
상부 구조체(3)는 상부 벨트(5)를 팽팽하게 설치하는 2개의 냉각 롤(6)과, 냉각 롤(6)끼리의 사이에 배치되는 상부 가압부(7)를 구비고 있다. 또한, 하부 구조체(4)는 하부 벨트(8)를 팽팽하게 설치하는 2개의 냉각 롤(9)과, 냉각 롤(9)끼리의 사이에 배치되는 하부 가압부(10)를 구비하고 있다.
상부 벨트(5)는 냉각 롤(6)에 의해 단면이 타원 형상으로 팽팽하게 설치되어 냉각 롤(6)의 외주면에 순환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냉각 롤(6) 및 상부 가압부(7)는 스트립(2)이 통판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길이 방향을 가지며, 그 외주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여러 개의 상부 벨트(5)가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또한, 하부 벨트(8), 냉각 롤(9) 및 하부 가압부(10)도 마찬가지의 구조로 되어 있다.
냉각 롤(6)의 외주면 위와 상부 벨트(5)끼리의 사이에는 도시하지 않은 돌기가 설치되어 인접하는 상부 벨트(5)끼리의 간격을 규정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냉각 롤(9)에도 마찬가지로 돌기가 설치되어 하부 벨트(8)의 위치를 규정하고 있다.
상부 구조체(3)와 하부 구조체(4)는 상하 한 쌍으로 통판되는 스트립(2)에 작용하는 것이다. 또한, 냉각 롤(6) 및 상부 가압부(7)는 각각의 단부에 설치된 축이 연결용 베어링으로 연결되어 상부 구조체(3)는 일체화한 구조로 되어 있다.
하부 구조체(4)도 마찬가지로 냉각 롤(9) 및 하부 가압부(10)의 축이 연결용 베어링으로 연결되어 일체화한 구조로 되어 있다. 상부 구조체(3)의 연결용 베어링과, 하부 구조체(4)의 연결용 베어링은 장치를 설치하는 바닥에 설치된 스탠드에 접속되어 지지되어 있다.
또한, 상부 구조체(3)는 승강 로드 및 유압 실린더에 접속되어 승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유압 실린더에 의해 상부 구조체(3)와 하부 구조체(4) 사이의 거리가 변하는 것으로 되어 그 사이에서 반송되는 스트립(2)이 끼워 눌리는 것으로 되어 있다.
상부 벨트(5) 및 하부 벨트(8)는 상부 가압부(7) 및 하부 가압부(10)와 연동하여 스트립(2)에 권취 장력을 부여한다. 상부 벨트(5) 및 하부 벨트(8)는 외측 표면(11)에서 스트립(2)과 접함과 아울러, 내측 표면(12)에서 각 가압부 및 각 냉각 롤과 접촉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상부 가압부(7) 및 하부 가압부(10)는 단면이 직사각형 모양 또는 대략 정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되어 스트립(2)이 통판되는 방향을 따라 일정한 길이로 각 벨트의 내측 표면(12)에 접촉한다. 또한, 상부 가압부(7) 및 하부 가압부(10)는 유압 실린더의 승강에 의해 상하 가압부 사이의 거리가 작아지는 방향, 즉, 스트립(2)을 끼워 누르는 방향으로 각 벨트의 내측 표면(12)을 가압한다. 또한, 유압 실린더의 가압력을 조정함으로써 스트립의 권취 장력을 조정할 수 있다.
상부 벨트(5) 및 하부 벨트(8)는 외측과 내측이 이종 소재로 형성되어 외측 소재의 마찰 계수가 내측 소재의 마찰 계수보다도 큰 것으로 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각 벨트의 내측 표면(12)은 폴리 에스테르나 비닐론, 나일론 등의 합성 섬유 직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직물의 섬유 사이 및 뜨개질 눈의 오목부에는 마찰 계수를 줄이기 위한 윤활제가 머금어 침투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각 벨트의 외측 표면(11)은 스트립 표면에 가압 흔적을 부착시키지 않기 위해 적당한 압축 탄성이 있으며, 비교적 얇고 유연한 재료, 예를 들면, 고무 나 합성수지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각 벨트의 내측 표면(12)의 소재는 외측 표면보다도 마찰 계수가 작게 되어 있으면 충분하고, 그 소재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 입수가 용이하고, 유연성이 있는 마찰 계수를 일정한 값으로 맞추기 쉬운 점에서 각 벨트의 내측 표면(12)은 폴리 에스테르나 비닐론, 나일론 등의 합성 섬유의 직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 벨트의 외측 표면(11)은 내측 표면보다 마찰 계수가 크게 되어 있으면 충분하고, 그 소재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 마찰 계수가 크고, 유연성이 있고 내구성도 뛰어난 점에서 각 벨트의 외측 표면(11)은 고무나 합성수지 등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벨트의 외측 표면(11)은 통판되는 스트립(2)의 표면과 접촉하면 표면의 마찰 계수가 크기 때문에 스트립(2)에 접촉한 채 각 벨트가 이동하는 것으로 된다. 그러면 상부 벨트(5) 및 하부 벨트(8)는 냉각 롤에 팽팽하게 설치된 상태에서 순환 이동하는 것으로 된다. 또한, 도 1에서는 스트립(2)의 통판 방향을 화살표 S, 각 벨트의 순환 이동 방향을 화살표 R로 나타내고 있다.
각 벨트의 내측 표면(12)은 순환 이동하면서 각 냉각 롤 및 각 가압부의 외주면과 접촉하는 것으로 된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상부 가압부(7) 및 하부 가압부(10)는 벨트의 내측 표면(12)에 접촉하여 유압 실린더에 의해 상하 가압부 사이의 거리가 작아지게 되는 방향, 즉, 스트립(2)을 끼워 누르는 방향으로 각 벨트의 내측 표면(12)을 가압한다.
상부 벨트(5) 및 하부 벨트(8)의 내측 표면(12)과, 상부 가압부(7) 및 하부 가압부(10)가 접촉하면 내측 표면(12)의 마찰 계수가 작기 때문에 미끄러짐이 생겨 마찰력이 발생한다. 이 마찰력이 스트립(2)에 대해서 통판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작동하고 유압 실린더의 가압력을 조정함으로써 스트립의 두께나 재질에 따라 권취 장력이 된다. 또한, 권취 장력은 벨트와 가압부에 발생하는 마찰력이어서 마찰열이 생긴다. 이 마찰열이 벨트에 흡수되어 벨트 내측 표면의 온도가 상승한다.
또한, 냉각 롤(6) 및 냉각 롤(9)은 각 벨트의 순환 이동에 따라 회전한다. 냉각 롤(6) 및 냉각 롤(9)은 마찰 저항이 작은 볼 베어링인 베어링으로 회전축이 축 지지되어 각 벨트의 순환 이동에 대해서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되어 있다.
냉각 롤(6) 및 냉각 롤(9)은 각 벨트의 순환 이동에 따라 회전하면서 벨트의 내측 표면(12)에 접촉한다. 또한, 냉각 롤(6) 및 냉각 롤(9)은 외층부가 두께 5 ~ 10mm 정도의 열 전도성이 좋은 금속, 예를 들면, 구리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냉각 롤(6) 및 냉각 롤(9)에는 외층부의 내측이 공동으로 되어 있어 그 공동 부분에 냉각수(14)가 흐르게 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고온이 된 상부 벨트(5)의 내측 표면(12)은 냉각 롤(6)의 외층부와 접촉하여 그 열이 외층부로부터 냉각 롤(6) 내부의 냉각수(14)로 이동하여 상부 벨트(5)가 냉각되는 것으로 된다.
고온이 된 하부 벨트(8)도 마찬가지로 냉각 롤(9)의 외층부와 접촉하여 냉각수(14)로 열이 이동하여 상부 벨트(8)가 냉각되는 것으로 된다.
여기서, 반드시 냉각 롤(6) 및 냉각 롤(9)은 외층부가 두께 5 ~ 10mm 정도의 구리로 형성될 필요는 없다. 단, 외층부의 두께를 10mm 보다도 작게하여 냉각 롤의 표면으로부터 내부의 냉각수로의 열의 이동이 빨라지게 되는 점과, 일정한 내구성을 부여할 수 있는 점에서 냉각 롤(6) 및 냉각 롤(9)은 외층부가 두께 5 ~ 10mm 정도의 구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그 소재는 구리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내구성이 있고 열 이동 효율이 우수한 것이면 충분하다. 예를 들면, 알루미늄이나 철강 등으로 형성되어도 좋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냉각 롤(6) 및 냉각 롤(9)의 양단에는 회전축(15)이 설치되고, 회전축(15)은 볼 베어링인 베어링(16) 및 회전 조인트(17)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회전축(15), 베어링(16) 및 회전 조인트(17)의 내측에는 냉각수(14)를 흐르게 하기 위한 배관 구조가 형성되고, 각 냉각 롤의 일단 측으로부터 타단 측을 향해 냉각수(14)가 흐르고 있다. 배관 구조는 흐르는 물용 펌프 등에 연결되어 물이 공급되고 있다. 또한, 도 2의 화살표 W가 냉각수(14)의 흐르는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냉각 롤(6)의 외주면에는 복수의 상부 벨트(5)가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또한, 냉각 롤(9)의 외주면에도 마찬가지로 복수의 하부 벨트(8)가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상부 벨트(5) 및 하부 벨트(8)는 한 쌍씩 상하로 대향하고, 소정의 폭으로 슬릿 가공된 스트립(2)의 표면과 접촉하는 것으로 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상부 구조체(3) 및 하부 구조체(4)에 설치된 각 냉각 롤에 고온이 된 벨트가 접촉하여 효율 좋게 열이 제거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냉각 롤(6) 및 냉각 롤(9)은 상부 벨트(5) 및 하부 벨트(8)의 순환 이동을 방해하지 않고 회전 가능하게 축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냉각 롤 자체에도 열이 남아있기 어려워 더욱 냉각 효율이 높은 것으로 되어 있다.
<제2 실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는 도 3의 화살표 X 방향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인 권취 장력 부여 장치(18)를 기재하고 있다. 권취 장력 부여 장치(18)는 스트립(2)의 상측에 배치되는 상부 구조체(19)와, 스트립(2)의 하측에 배치되는 하부 구조체(2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 3 및 도 4에서는 전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와 공통되는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하고, 이하에서는 제2 실시 형태에서 구조가 다른 부분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부 구조체(19)는 상부 벨트(5)를 팽팽하게 설치하는 2개의 냉각 롤(21)과, 냉각 롤(21)끼리의 사이에 배치되는 상부 가압부(7)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하부 구조체(20)는 하부 벨트(8)를 팽팽하게 설치하는 2개의 냉각 롤(22)과, 냉각 롤(22)끼리의 사이에 배치되는 하부 가압부(10)를 구비하고 있다.
권취 장력 부여 장치(18)는 냉각 롤(21) 및 냉각 롤(22)의 구조가 전술한 냉각 롤(6) 및 냉각 롤(9)과는 다르다.
냉각 롤(21) 및 냉각 롤(22)은 회전축과 일체화한 내통부(23)와, 내통부(23)의 외측에 형성된 외통부(24)로 구성된 이중 통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내통부(23) 및 외통부(24)의 사이에는 공간(25)이 형성되고, 이 공간에 냉각수(26)가 흐르는 것이 된다. 외통부(24)는 벨트의 열을 냉각수에 효율 좋게 전열 이동시키기 위해 두께가 1 ~ 3mm인 철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공간(25)의 단면적은 냉각수(26)의 각 냉각 롤로의 입구 측의 배관 및 각 냉각 롤로부터의 물 출구 측의 배관의 단면적의 2.5배 ~ 5.0배 정도의 단면적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반드시 외통부(24)가 두께가 1 ~ 3mm의 철강으로 형성될 필요는 없다. 단, 비록 외층부의 두께를 더욱 작게 하여 냉각 롤의 표면으로부터 내부의 냉각수로의 열의 이동이 빨라지게 되는 점과, 일정한 내구성을 부여할 수 있는 점에서 외통부(24)가 두께가 1 ~ 3mm의 철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그 소재는 철강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내구성이 있고 열의 이동 효율이 우수한 것이라면 충분하며, 조건을 만족하는 금속 등이 있으면 채용할 수 있다.
또한, 반드시 공간(25)의 단면적이 냉각수(26)의 각 냉각 롤의 입구 측의 배관 및 각 냉각 롤에서의 물의 출구 측의 배관의 단면적의 2.5배 ~ 5.0배의 단면적이 될 필요는 없다. 단, 흐르는 냉각수의 양이 많아지고, 열의 제거 효율이 좋아지는 점과, 냉각수가 흐르는 속도가 지나치게 느려지지 않고 순환 효율이 높아지는 점에서 공간(25)의 단면적이 냉각수(26)의 각 냉각 롤로의 입구 측의 배관 및 각 냉각 롤로부터의 물 출구 측의 배관의 단면적의 2.5배 ~ 5.0배 정도의 단면적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공간(25)의 단면적이 냉각수(26)의 각 냉각 롤로의 입구 측의 배관 및 각 냉각 롤에서 물의 출구 측 배관의 단면적의 2.5배 미만의 단면적이 될 때 냉각수 공간(25) 내에서의 유속이 빠르고 냉각수의 체류 시간이 짧기 때문에 취득 열량이 작아지고, 열 제거 효율이 나빠지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공간(25)의 단면적이 냉각수(26)의 각 냉각 롤로의 입구 측의 배관 및 각 냉각 롤에서 물의 출구 측 배관의 단면적의 5.0배 이상의 단면적이 될 때 냉각수가 흐르는 속도가 느려지게 되어 공간(25) 내에서의 냉각수의 체류시간이 길어지고 그 사이에 냉각수의 온도가 지나치게 상승하기 때문에 열 제거의 효율이 나빠지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냉각 롤(21) 및 냉각 롤(22)에는 회전축(27)이 설치되고, 회전축(27)은 볼 베어링인 베어링(28) 및 회전 조인트(29)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회전축(27), 베어링(28) 및 회전 조인트(29)의 내측에는 냉각수(26)를 흐르게 하기 위한 배관 구조가 형성되어, 각 냉각 롤의 일단 측으로부터 타단 측으로 향해 냉각수(26)가 흐르고 있다. 냉각 롤(21) 및 냉각 롤(22)의 내부에서는 냉각수(26)는 롤의 외통부(24)의 근처을 흐르는 것으로 된다. 슬리터 라인의 운전중에는 스트립에 견인되어 벨트가 회전하고, 냉각 롤을 회전시키기 때문에, 롤 내부의 냉각수는 원심력에 의해 내벽에 가깝게 접하면서 효율적인 열의 이동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 4의 화살표 W가 냉각수(26)의 흐르는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상부 구조체(19) 및 하부 구조체(20)에 설치된 각 냉각 롤에 고온이 된 벨트가 접촉하여 효율 좋게 열이 제거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냉각 롤(21) 및 냉각 롤(22)은 이중 통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각 벨트가 접촉하는 외통부(24)의 외주면 근처에 냉각수(26)가 흘러 더욱 냉각 효율이 높은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냉각수(26)가 흐르는 공간(25)이 작기 때문에 냉각수의 양을 줄이면서도 효율 좋은 열의 제거가 실현될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외통부(24)의 두께가 1 ~ 3mm로 얇아져 있기 때문에, 각 벨트의 내측 표면(12)으로부터의 열이 이동하기 쉽고, 또한 그 내측의 냉각수(26)로의 열전도성이 높은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회전축(27)과 일체화한 내통부(25)를 구비하기 때문에 냉각 롤(21) 및 냉각 롤(22)에 연속 운전에 견딜 수 있는 내구성을 부여하면서 외통부(24)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제3 실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인 권취 장력 부여 장치(30)를 기재하고 있다. 권취 장력 부여 장치(30)는 스트립(2)의 상측에 배치되는 상부 구조체(31)와, 스트립(2)의 하측에 배치되는 하부 구조체(32)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 5에서는 전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와 공통하는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설명을 생략하고, 이하에서는 제3 실시 형태에서 구조가 다른 부분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부 구조체(31)는 상부 벨트(5)를 타원형으로 팽팽하게 설치하는 냉각 롤(33) 및 고정식 반원통(34)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부 구조체(31)는 고정식 반원통(34)에 인접한 상부 가압부(35)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하부 구조체(32)는 하부 벨트(8)를 팽팽하게 설치하는 냉각 롤(36) 및 고정식 반원통(37)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하부 구조체(32)는 고정식 반원통(37)에 인접한 하부 가압부(38)를 구비하고 있다.
상부 벨트(5)는 냉각 롤(33) 및 고정식 반원통(34)의 외주면에 순환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냉각 롤(33), 고정식 반원통(34) 및 상부 가압부(35)는 스트립(2)이 통판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길이 방향을 가지며, 그 외주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의 상부 벨트(5)가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또한, 하부 벨트(8), 냉각 롤(36), 고정식 반원통(37) 및 하부 가압부(38)도 마찬가지의 구조로 되어 있다.
고정식 반원통(34)의 외주면 위와 상부 벨트(5)끼리의 사이에는 도시하지 않은 돌기가 설치되어 인접하는 상부 벨트(5)끼리의 간격을 규정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고정식 반원통(37)도 마찬가지로 돌기가 설치되어 하부 벨트(8)의 위치를 규정하고 있다.
상부 구조체(31)와 하부 구조체(32)는 상하 한 쌍으로 통판되는 스트립(2)에 작용하는 것이다. 또한, 냉각 롤(6), 고정식 반원통(34) 및 상부 가압부(35)는 각각의 단부에 설치된 축이 연결용 베어링으로 연결되어, 상부 구조체(31)는 일체화한 구조로 되어 있다.
하부 구조체(32)도 마찬가지로, 냉각 롤(9), 고정식 반원통(37) 및 하부 가압부(38)의 축이 연결 베어링으로 연결되어, 일체화한 구조로 되어 있다. 상부 구조체(31)의 연결용 베어링과 하부 구조체(32)의 연결용 베어링은 장치를 설치하는 바닥에 설치된 스탠드에 접속되어 지지되어 있다.
또한, 상부 구조체(31)는 승강 로드 및 유압 실린더에 접속되어 승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유압 실린더에 의해 상부 구조체(31)와 하부 구조체(32) 사이의 거리가 변하게 되어 그 사이에서 반송되는 스트립(2)이 끼워 눌려지는 것으로 된다.
냉각 롤(33) 및 냉각 롤(36)의 내부에는 공동이 형성되어 냉각수가 흐르는 것으로 되어 있다.
고정식 반원통(34) 및 고정식 반원통(37)은 반달 모양으로 된 외주면에 각 벨트의 내측 표면에 접하여 벨트를 팽팽하게 설치한다. 또한, 그 내부는 공동으로 형성되어 냉각수(39)가 흐르게 되어 있으며, 외주면에 접하는 벨트를 냉각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상부 가압부(35) 및 하부 가압부(38)는 인접하는 고정식 반원통과 접속하여 배치되며, 상부 구조체(31) 및 하부 구조체(32)에 강도를 가지게 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그 내부는 공동으로 형성되어 냉각수(40)가 흐르게 되어 있으며, 외주면에 접하는 벨트를 냉각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서는 상부 구조체(31) 및 하부 구조체(32)에 설치된 각 냉각 롤에 고온이 된 벨트가 접촉하여 효율 좋게 열이 제거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고정식 반원통(34) 및 고정식 반원통(37)나, 상부 가압부(35) 및 하부 가압부(38)에도 내부에 냉각수가 흘러서 더욱 냉각 효율이 높은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참고로, 도 6은 도 5의 화살표 Y 방향의 상부 구조체 측에서의 개략 단면도를 나타내고, 장치 내부에서의 냉각수의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제4 실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7에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인 권취 장력 부여 장치(41)를 기재하고 있다. 권취 장력 부여 장치(41)는 스트립(2)의 상측에 배치되는 상부 구조체(42)와, 스트립(2)의 하측에 배치되는 하부 구조체(43)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 7은 전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 및 제3 실시 형태와 공통하는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하고, 이하에서는 제4 실시 형태에서 구조가 다른 부분에 대해서 설명을 행한다.
상부 구조체(42)는 상부 벨트(5)를 타원형으로 팽팽하게 설치하는 냉각 롤(44) 및 고정식 반원통(45)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부 구조체(42)는 고정식 반원통(45)에 인접한 상부 가압부(35)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하부 구조체(43)는 하부 벨트(8)를 팽팽하게 설치하는 냉각 롤(46) 및 고정식 반원통(47)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하부 구조체(43)는 고정식 반원통(47)에 인접한 하부 가압부(38)를 구비하고 있다.
권취 장력 부여 장치(41)는 냉각 롤(44) 및 냉각 롤(46)과, 고정식 반원통(45) 및 고정식 반원통(47)의 구조가 전술한 제3 실시 형태와 다르다.
냉각 롤(44) 및 냉각 롤(46)은 회전축과 일체화한 내통부(48)와, 내통부(48)의 외측에 형성된 외통부(49)로 구성된 이중 통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내통부(48) 및 외통부(49)의 사이에는 공간(50)이 형성되고,이 공간에 냉각수(51)가 흐르는 것으로 되어 있다. 외통부(49)는 두께가 1 ~ 3mm의 철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공간(50)의 단면적은 냉각수(51)의 각 냉각 롤로의 입구 측의 배관 및 각 냉각 롤에서 물이 나오는 측의 배관의 단면적의 2.5배 ~ 5.0배의 단면적으로 되어 있다.
고정식 반원통(45) 및 고정식 반원통(47)은 내측 반통부(52)과, 내측 반통부(52)의 외측에 형성된 외측 반통부(53)로 구성된 이중 반통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내측 반통부(52) 및 외측 반통부(53)의 사이에는 공간(54)이 형성되고, 이 공간에 냉각수(55)가 흐르는 것으로 된다. 외측 반통부(53)는 두께가 1 ~ 3mm의 철강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서는 냉각 롤(44) 및 냉각 롤(45)과, 고정식 반원통(45) 및 고정식 반원통(47)에 이중 통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각 벨트가 접촉하는 외주면 근처에 냉각수가 흘러서 더욱 냉각 효율이 높은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냉각수가 흐르는 공간이 작기 때문에 냉각수의 양을 줄이면서 효율 좋은 열 제거가 실현될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외통부(49) 및 외측 반통부(53)의 두께가 1 ~ 3mm로 얇아져 있기 때문에, 각 벨트의 내측 표면(12)에서의 열이 이동하기 쉽고, 또한 그 내측의 냉각수로의 열전도성이 높은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참고로, 도 8에는 도 7의 화살표 Y 방향의 상부 구조체 측으로부터의 개략 단면도를 나타내고, 장치 내부에서의 냉각수의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로서, 도 9에 나타낸 제 5 실시 형태도 채용할 수 있다.
도 9에 나타낸 권취 장력 부여 장치(56)에서는 냉각 롤(57)의 회전축(58)에 베어링(59)이 설치되어 있다. 베어링(59)에는 벨트(60)의 길이 방향과 대략 평행한 방향으로 설치된 위치 조정 로드(61)가 설치되고, 위치 조정 나사(62)에 의해 도 9에서 말하는 좌우 방향으로 베어링(59) 및 냉각 롤(57)의 위치를 변경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위치 조정 나사(62)에 의한 냉각 롤(57)의 위치 변경에 의해 벨트(60)의 긴장 정도를 조정가능하게 된다. 즉, 온도 상승에 따른 벨트(60)의 신장이나 수축에 맞추어 냉각 롤(57)을 움직이게 하고, 벨트(60)를 적당한 긴장 정도에서 팽팽하게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슬릿 스트립의 권취 장력 부여 장치는 금속 스트립의 슬리터 라인에서 내구성이 뛰어나고 사용성이 향상된 것으로 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슬릿 스트립의 권취 장력 부여 장치는 벨트의 냉각 효율이 비약적으로 향상되기 때문에, 금속 스트립의 슬리터 라인에서 장시간의 연속 운전이 가능하게 되며, 사용성이 향상된 것으로 된다.
1 권취 장력 부여 장치 2 스트립
3 상부 구조체 4 하부 구조체
5 상부 벨트 6 냉각 롤
7 상부 가압부 8 하부 벨트
9 냉각 롤 10 하부 가압부
11 외측 표면 12 내측 표면
14 냉각수 15 회전축
16 베어링 17 회전 조인트
18 권취 장력 부여 장치 19 상부 구조체
20 하부 구조체 21 냉각 롤
22 냉각 롤 23 내통부
24 외통부 25 공간
26 냉각수 27 회전축
28 베어링 29 회전 조인트
30 권취 장력 부여 장치 31 상부 구조체
32 하부 구조체 33 냉각 롤
34 고정식 반원통 35 상부 가압부
36 냉각 롤 37 고정식 반원통
38 하부 가압부 39 냉각수
40 냉각수 41 권취 장력 부여 장치
42 상부 구조체 43 하부 구조체
44 냉각 롤 45 고정식 반원통
46 냉각 롤 47 고정식 반원통
48 내통부 49 외통부
50 공간 51 냉각수
52 내측 반통부 53 외측 반통부
54 공간 55 냉각수
56 권취 장력 부여 장치 57 냉각 롤
58 회전축 59 베어링
60 벨트 61 위치 조정 로드
62 위치 조정 나사

Claims (9)

  1. 원통형으로 내부가 냉각 가능하고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 제1 냉각 롤을 구비하는 제1 장설부와,
    마찰 계수가 다른 소재로 형성되어 마찰 계수가 작은 측이 상기 제1 장설부에 접하고 순환 이동 가능한 링 형상으로 팽팽하게 설치된 제1 벨트와,
    상기 제1 벨트의 마찰 계수가 작은 측에 소정의 길이가 접하는 제1 가압부와,
    상기 제1 장설부와 대향하여 위치하고, 원통형으로 내부가 냉각 가능하고 또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 제2 냉각 롤을 구비하는 제2 장설부와,
    마찰 계수가 다른 소재로 형성되고, 마찰 계수가 작은 측이 상기 제2 장설부에 접하고 순환 이동 가능한 링 형상으로 팽팽하게 설치된 제2 벨트와,
    상기 제1 가압부와 대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2 벨트의 마찰 계수가 작은 측에 소정의 길이가 접함과 아울러, 상기 제1 가압부에 근접 가능하게 구성된 제2 가압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냉각 롤 및 상기 제2 냉각 롤은 중심 축 측의 내통과 상기 내통을 감싸는 외통을 구비하고, 상기 내통 및 상기 외통 사이에 공간이 마련되어 냉각수가 순환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공간의 단면적은 냉각수의 각 냉각 롤의 입구 측의 배관 및 각 냉각 롤의 출구 측의 배관의 단면적의 2.5배 ~ 5.0배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릿 스트립의 권취 장력 부여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장설부는 상기 제1 벨트끼리가 간격을 가지고 줄을 맞추어 설치되고,
    상기 제2 장설부는 상기 제2 벨트끼리가 간격을 가지고 줄을 맞추어 설치된 슬릿 스트립의 권취 장력 부여 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냉각 롤 및 상기 제2 냉각 롤은 내부에 냉각수가 순환 가능하게 구성된 슬릿 스트립의 권취 장력 부여 장치.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제1 냉각 롤 및 제2 냉각 롤은 외부 표면층의 두께가 3mm 이하로 형성된 슬릿 스트립의 권취 장력 부여 장치.
  5. 삭제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냉각 롤 및 상기 제2 냉각 롤은 슬리터 라인에서 반송되는 슬릿 스트립의 진행 방향 측으로 배치된 슬릿 스트립의 권취 장력 부여 장치.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장설부는 양단에 상기 제1 냉각 롤이 배치되고,
    상기 제2 장설부는 양단에 상기 제2 냉각 롤이 배치된 슬릿 스트립의 권취 장력 부여 장치.
  8.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제1 장설부는 일단에 상기 제1 냉각 롤이 배치되고, 타단에 길이 방향의 단면이 반원통형인 제1 벨트 반전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 장설부는 일단에 제2 냉각 롤이 배치되고, 타단에 길이 방향의 단면이 반원통형인 제2 벨트 반전부를 구비하는 슬릿 스트립의 권취 장력 부여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 냉각 롤은 상기 제1 벨트가 긴장하는 방향 또는 이완하는 방향으로 위치가 변경 가능하며,
    상기 제2 냉각 롤은 상기 제2 벨트가 긴장하는 방향 또는 이완하는 방향으로 위치가 변경 가능한 슬릿 스트립의 권취 장력 부여 장치.
KR1020167027629A 2015-03-20 2015-03-20 슬릿 스트립의 권취 장력 부여 장치 KR1018788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5/058570 WO2016151701A1 (ja) 2015-03-20 2015-03-20 スリット帯板の巻取り張力付与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0461A KR20160130461A (ko) 2016-11-11
KR101878872B1 true KR101878872B1 (ko) 2018-07-16

Family

ID=56977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7629A KR101878872B1 (ko) 2015-03-20 2015-03-20 슬릿 스트립의 권취 장력 부여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618092B2 (ko)
EP (1) EP3272686B1 (ko)
JP (1) JP6150367B2 (ko)
KR (1) KR101878872B1 (ko)
CN (1) CN107406211B (ko)
ES (1) ES2909115T3 (ko)
WO (1) WO201615170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50368B1 (ja) * 2016-09-15 2017-06-21 Jdc株式会社 スリット帯板の巻取り張力付与装置
CN106829593B (zh) * 2017-01-09 2018-03-30 太原理工大学 一种用于带式输送机的胶带收放装置
KR102090478B1 (ko) * 2018-10-01 2020-03-18 주식회사 포스코 벨트 랩퍼의 벨트 경화 방지 장치
CN109018521A (zh) * 2018-10-22 2018-12-18 龙岩烟草工业有限责任公司 烟包夹持输送装置及卷烟包装设备
CN109675961A (zh) * 2018-12-07 2019-04-26 肇庆宏旺金属实业有限公司 一种具有微调结构的张力站
CN112607504B (zh) * 2020-12-17 2021-08-10 广州众山精密科技有限公司 一种卧式匀速收料的装置
CN114131821A (zh) * 2021-11-17 2022-03-04 常州贝弗勒机械有限公司 热压片材冷却定型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1112U (ko) * 1986-07-07 1988-01-25
JP2510961Y2 (ja) * 1989-08-24 1996-09-18 株式会社ベルマティック ダイレクトドライブロ―ル
KR20040004038A (ko) * 2002-07-02 2004-01-13 가부시기가이샤니혼가이하쓰콘설탄트 스트립 권취장력 부여장치 및 스트립 권취장력 부여장치의엔들리스 벨트 및 스트립 권취장력 부여장치의 엔들리스벨트용 윤활제
KR20120036249A (ko) * 2010-10-07 2012-04-17 가부시기가이샤니혼가이하쓰콘설탄트 다줄 엔드리스 벨트식 스트립 권취장력 부여장치
JP2013086101A (ja) * 2011-10-13 2013-05-13 Jfe Steel Corp リールゴムスリーブ及び鋼板の巻き取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442337A (fr) * 1965-02-04 1966-06-17 Somenor Soc Metallurg Du Nord Dispositif de tension à l'enroulement simultané de bandes multiples de feuillard refendu à partir d'une bande unique en déroulement
US3481523A (en) * 1967-06-13 1969-12-02 Us Industries Inc Strip stock feeding device
US3735937A (en) 1971-02-08 1973-05-29 B Plantard Continuous sheet slitting mills
FR2221008A5 (ko) * 1973-03-05 1974-10-04 Comec Const Meca Creil
JPS5682755A (en) 1980-10-28 1981-07-06 Nippon Kaihatsu Consultant:Kk Tension provider for strip
JPS61104575A (ja) * 1984-10-27 1986-05-22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給電体
US5265817A (en) * 1989-11-08 1993-11-30 Auxmet Braking device for continuous slitted bands
DE4025389C2 (de) * 1990-08-10 1999-01-07 Schloemann Siemag Ag Gekühlte Förder- bzw. Niederhaltevorrichtung für eine Stauchpresse zur Breitenreduktion von Walzgut
JP2654907B2 (ja) * 1993-08-18 1997-09-17 菊地工業株式会社 帯状織物の加工処理装置
JP2651891B2 (ja) * 1993-11-05 1997-09-10 株式会社日本開発コンサルタント 円形型金属性帯板張力付与装置
US5919333A (en) * 1995-11-28 1999-07-06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Braked linear nipper
JP3686886B2 (ja) * 2002-07-02 2005-08-24 株式会社日本開発コンサルタント 帯板巻取り張力付与装置
EP1380359B1 (en) * 2002-07-02 2007-04-18 Japan Development Consultants, Inc. Tensioning apparatus for a strip coiler
SE524588C2 (sv) * 2002-12-23 2004-08-31 Sandvik Ab Förfarande jämte anordning för att kyla band- och trådmaterial
JP3947714B2 (ja) * 2003-01-31 2007-07-25 株式会社日本開発コンサルタント 帯板巻取り張力付与装置
CN201064788Y (zh) * 2007-08-03 2008-05-28 江苏泰富兴澄特殊钢有限公司 外套水冷式辊子
JP4625516B2 (ja) * 2008-10-06 2011-02-02 株式会社日本開発コンサルタント ベルト式帯板巻取り張力付与装置のスリット入りエンドレスベルト
CN201915055U (zh) * 2010-12-16 2011-08-03 徐州工业职业技术学院 脱硫后胶粉冷却装置
CN202238898U (zh) * 2011-09-08 2012-05-30 江苏鑫皇铝业发展有限公司 铸轧机偏导辊冷却水循环装置
US9144966B2 (en) * 2012-10-12 2015-09-29 Goss International Americas, Inc. Combined chiller and spreader roll assembly
US9242284B2 (en) * 2013-03-15 2016-01-26 Norbert Umlauf Method and apparatus for straightening metal bands
JP6165190B2 (ja) * 2014-04-30 2017-07-19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1112U (ko) * 1986-07-07 1988-01-25
JP2510961Y2 (ja) * 1989-08-24 1996-09-18 株式会社ベルマティック ダイレクトドライブロ―ル
KR20040004038A (ko) * 2002-07-02 2004-01-13 가부시기가이샤니혼가이하쓰콘설탄트 스트립 권취장력 부여장치 및 스트립 권취장력 부여장치의엔들리스 벨트 및 스트립 권취장력 부여장치의 엔들리스벨트용 윤활제
KR20120036249A (ko) * 2010-10-07 2012-04-17 가부시기가이샤니혼가이하쓰콘설탄트 다줄 엔드리스 벨트식 스트립 권취장력 부여장치
JP2013086101A (ja) * 2011-10-13 2013-05-13 Jfe Steel Corp リールゴムスリーブ及び鋼板の巻き取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72686B1 (en) 2022-02-02
US10618092B2 (en) 2020-04-14
JP6150367B2 (ja) 2017-06-21
CN107406211A (zh) 2017-11-28
JPWO2016151701A1 (ja) 2017-06-01
WO2016151701A1 (ja) 2016-09-29
EP3272686A1 (en) 2018-01-24
ES2909115T3 (es) 2022-05-05
US20180099321A1 (en) 2018-04-12
KR20160130461A (ko) 2016-11-11
EP3272686A4 (en) 2018-12-19
CN107406211B (zh) 2019-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8872B1 (ko) 슬릿 스트립의 권취 장력 부여 장치
TWI438040B (zh) Multiple endless belt belt tensioning device
FI80098C (fi) Vals foer press av en pappersmaskin el.dyl.
JP4677304B2 (ja) 画像加熱装置
US11534812B2 (en) Device for applying coiling-tension to a slit band sheet
JP2011170051A5 (ko)
US5951824A (en) Compliant hydrodynamic/hydrostatic shoe for papermaking press
US20080292740A1 (en) Sheet/film molding apparatus and sheet/film molding method
TWI611849B (zh) 分條帶板之捲繞張力賦予裝置
TWI659916B (zh) 帶有溝之滾子、及使用該滾子之塑膠膜的製造裝置及製造方法
JP5936217B1 (ja) ダブルベルト式加圧装置
JP2004109878A (ja) 定着装置
JP6880610B2 (ja) 張力分布制御装置及び帯状体搬送装置
US20060266490A1 (en) Shoe press mechanism of paper machine
JP6414975B2 (ja) ダブルベルトプレス
EP0492683B1 (en) Continuous press with low-friction sliding device
JP2011150027A (ja) 画像加熱装置
JP4111265B2 (ja) 放電加工処理装置
SE508678C2 (sv) Pressanordning för en rörlig bana
TW201134742A (en) Strip tension application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