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0985B1 - 반도체 패키지와 반도체 패키지의 제조 방법 및 광학 모듈 - Google Patents

반도체 패키지와 반도체 패키지의 제조 방법 및 광학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0985B1
KR101870985B1 KR1020110086647A KR20110086647A KR101870985B1 KR 101870985 B1 KR101870985 B1 KR 101870985B1 KR 1020110086647 A KR1020110086647 A KR 1020110086647A KR 20110086647 A KR20110086647 A KR 20110086647A KR 101870985 B1 KR101870985 B1 KR 1018709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magnetic shielding
main surface
substrate
support substrate
shielding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66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25409A (ko
Inventor
마사미 스즈끼
마사유끼 나가오
야스유끼 이또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200254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54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09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09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4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 H01L27/144Devices controlled by radiation
    • H01L27/146Imager structures
    • H01L27/14601Structural or functional details thereof
    • H01L27/14618Contain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4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H01L23/481Internal lead connections, e.g. via connections, feedthrough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58Structural electrical arrangements for semiconductor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in combination with batteries
    • H01L23/60Protection against electrostatic charges or discharges, e.g. Faraday shiel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 H01L27/144Devices controlled by radiation
    • H01L27/146Imager structures
    • H01L27/14683Processes or apparatus peculiar to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these devices or parts thereof
    • H01L27/14687Wafer level proces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001Technical content checked by a classifier
    • H01L2924/0002Not covered by any one of groups H01L24/00, H01L24/00 and H01L2224/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olid State Image Pick-Up Elements (AREA)
  • Transforming Light Signals Into Electric Signals (AREA)
  • Studio Devices (AREA)
  • Shielding Devices Or Components To Electric Or Magnetic Fields (AREA)

Abstract

반도체 패키지가, 지지 기판, 지지 기판의 제1 주면에 형성된 기능 소자 및 제1 접합 요소, 기능 소자와 제1 접합 요소를 개재하여 지지 기판에 대해 대향하는 관계로 배치된 실링 기판, 지지 기판의 제2 주면상에 제공된 제2 접합 요소, 지지 기판을 관통하도록 제공되고 제1 접합 요소와 제2 접합 요소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게 구성된 관통 전극, 및 제1 주면 및 제2 주면과 직교하여 연장하는 지지 기판의 측면의 모든 면적에 코팅된 제1 전자기적 실드 막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반도체 패키지와 반도체 패키지의 제조 방법 및 광학 모듈 {SEMICONDUCTOR PACKAGE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A SEMICONDUCTOR PACKAGE AS WELL AS OPTICAL MODULE}
본 발명은 WCSP(Wafer level chip size package : 웨이퍼 레벨 칩 사이즈 패키지) 등과 같은 반도체 패키지 및 반도체 패키지를 이용한 WLCM(Wafer level camera module : 웨이퍼 레벨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근년의 집적화 기술의 향상에 따라, 전자 기기의 소형화 및 경량화, 저전압 동작 및 저소비 전력화, 및 고주파 동작화가 급속하게 진전되었다. 그래서, BGA(ball grid array : 볼 그리드 어레이), LGA(land grid array : 랜드 그리드 어레이) 및 CSP(chip size package : 칩 사이즈 패키지) 등과 같은 에리어 어레이형 패키지(area array type package)의 수요가 확대되고 있다. 최근에는 관통 전극을 이용한 WCSP 등과 같은 선진 기술도 보급되기 시작하고 있다.
WCSP는 실링 수지(sealing resin)나 외부 단자의 형성 처리 공정이 다이싱(dicing) 전의 웨이퍼의 단계에서 행해지는 반도체 패키지다. 설명한 것과 같은 WCSP에서는, 칩이 머더 보드(mother board) 등과 같은 인쇄 기판에 장착될 때, 칩상의 패드와 인쇄 기판상의 패드가 땜납 볼(solder ball)을 거쳐 서로 접합될 수 있다. 이것은 본딩 와이어(bonding wire)나 인터포서(interposer)에 접속할 필요가 없게 한다. WCSP는 예를 들어 수광 소자나 MEMS(MicroElectroMechanical System: 마이크로머신) 소자를 위한 전자 부품 패키지로서 적절하게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위에서 설명한 WCSP와 같은 반도체 패키지에서는 인쇄 기판과의 EMC(ElectroMagnetic Compatibility:전자기적 불간섭)를 확보할 필요가 있고, 다양한 대책이 요구되고 있다.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2009-158853호(이하, 특허 문헌 1이라고 지칭됨)에는 관통 전극(through-electrode)을 이용한 반도체 패키지의 외주에 판금(metal sheet) 등으로 이루어진 전자기적 차단체(electromagnetic shield)를 배치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방법은 예를 들어 칩 사이즈에 따른 인클로저(enclosure)를 형성하도록 판금을 가공하여 인클로저 내부의 적절한 위치에 칩을 넣거나, 칩의 외주에 가공된 판금을 덧붙이는(laminating) 공정을 포함한다. 그러므로, 그 방법은 처리 공정의 수가 많아지거나 비용이 커지는 문제가 있다.
그러므로, 인쇄 기판과의 양호한 EMC를 유지할 수 있고, 간단하고 쉬운 공정으로 저렴하게 제조될 수 있는 반도체 패키지, 반도체 패키지의 제조 방법, 및 반도체 패키지를 포함하는 광학 모듈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 기판, 지지 기판의 제1 주면(principal surface)에 형성된 기능 소자 및 제1 접합 요소, 기능 소자와 제1 접합 요소를 개재하여 지지 기판에 대해 대향하는 관계로 배치된 실링 기판(sealing substrate), 지지 기판의 제2 주면상에 제공된 제2 접합 요소, 지지 기판을 관통하도록 제공되고 제1 접합 요소와 제2 접합 요소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게 구성된 관통 전극, 및 제1 주면 및 제2 주면과 직교하여 연장하는 지지 기판의 측면의 모든 면적에 코팅된 제1 전자기적 실드 막(electromagnetic shield film)을 포함하는, 반도체 패키지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기능 소자와 제1 접합 요소가 제공된 제1 주면을 갖는 지지 기판에 실링 기판을 덧붙이는 공정, 지지 기판의 제1 접합 요소에 대응하는 영역에 관통 전극을 형성하는 공정, 지지 기판의 제2 주면측에서 관통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2 접합 요소를 형성하는 공정, 및 제1 주면 및 제2 주면과 직교하여 연장하는 제1 지지 기판의 측면의 모든 면적에 제1 전자기적 실드 막을 형성하도록 도전 재료(conductive material)를 도포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반도체 패키지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 기판, 지지 기판의 제1 주면(principal surface)에 형성된 기능 소자 및 제1 접합 요소, 수광 소자와 제1 접합 요소를 개재하여 지지 기판에 대해 대향하는 관계로 배치된 실링 기판(sealing substrate), 지지 기판의 제2 주면상에 제공된 제2 접합 요소, 지지 기판을 관통하도록 제공되고 제1 접합 요소와 제2 접합 요소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게 구성된 관통 전극, 실링 기판상에 제공된 렌즈 유니트, 및 제1 주면 및 제2 주면과 직교하여 연장하는 지지 기판의 측면의 모든 면적에 코팅된 제1 전자기적 실드 막(electromagnetic shield film)을 포함하는, 광학 모듈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반도체 패키지, 반도체 패키지의 제조 방법, 및 광학 모듈에서는, 지지 기판의 2개의 상이한 주면상에 형성된 제1 접합 요소와 제2 접합 요소가 관통 전극을 거쳐 서로에 대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외부 접속 단자가 지지 기판의 제1 주면측으로부터 제2 주면측으로 인출되어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반도체 패키지 또는 광학 모듈의 측면의 모든 면적에 도전 재료가 도포되어 제1 전자기적 실드막을 형성한다. 제1 전자기적 실드 막은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반도체 패키지 또는 광학 모듈과 예를 들어 반도체 패키지 또는 광학 모듈이 장착되는 인쇄 기판 사이의 전자기적 간섭을 억제한다.
본 발명의 반도체 패키지, 반도체 패키지의 제조 방법, 및 광학 모듈에 의해, 지지 기판의 상이한 주면들에 형성된 제1 접합 요소와 제2 접합 요소는 관통 전극을 거쳐 서로에 대해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반도체 패키지 또는 광학 모듈의 측면의 모든 면적에 도전 재료를 도포함으로써 제1 전자기적 실드 막이 형성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1 전자기적 실드 막이 형성되므로, 전자기적 실드를 형성하기 위해 판금 등이 가공되는 대안적인 경우에 비해, 공정 수가 감소되고 비용이 감소될 수 있다. 그러므로, 간단하고 쉬운 처리에 의한 저렴한 비용으로 인쇄 기판과의 반도체 패키지 또는 광학 모듈의 양호한 EMC가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의 특징 및 장점은 다음과 같은 설명 및 첨부된 특허 청구의 범위를 첨부된 도면과 관련해서 읽으면 명백해질 것이며, 도면에서, 유사한 부분이나 요소들은 유사한 인용 부호가 부여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WLCM의 전체적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WLCM의 실리콘 기판의 전면 및 후면의 전체적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적 평면도이며,
도 3a 내지 도 3c, 도 4a 내지 도 4d, 도 5a 내지 도 5c, 도 6a 내지 도 6d는 도 1에 도시된 WLCM의 제조 프로세스의 연속적인 공정을 예시하는 개략적 단면도이고,
도 7a 및 도 7b는 도 6d에 예시된 공정 후의 실리콘 기판의 후면의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며,
도 8a 및 도 8b, 그리고 도 9a 및 도 9b는 도 6d에 예시된 공정에 후속하는 연속적인 공정들을 각각이 예시하는 단면도 및 평면도이고,
도 10 및 도 11은 도 9a 및 도 9b에 예시된 공정에 후속하는 연속적인 공정들을 각각이 예시하는 단면도 및 평면도이며,
도 12는 도 11에 예시된 공정에 의해 형성되는 WCSP의 단면도이고,
도 13은 도 11에 예시된 공정에 후속하는 공정을 예시하는 단면도이며,
도 14a 및 도 14b는 도 13에 예시된 공정에 후속하는 공정을 예시하는 개략적 도면이고,
도 15a 내지 도 15d는 실시예에 대한 변형례에 따른 배선 층 형성 공정의 연속적인 공정들을 예시하는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겠다. 주목할 것은 설명이 다음과 같은 순서로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1. 실시예 (측면 및 후면에 전자기적 차광 실드 막이 형성된 카메라 모듈의 예)
2. 변형례 (배선 층 형성 공정의 다른 예)
실시예
카메라 모듈(1)의 전체적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광학 모듈인 카메라 모듈(1)의 단면 구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카메라 모듈(1)은 예를 들어 이미지 센서 장치 등과 같은 광학 기기에 사용되고, 반도체 패키지인 웨이퍼 레벨 패키지(10)상에 통합된 렌즈 유니트(20)를 포함한다. 카메라 모듈(1)은 그 하면측, 즉 웨이퍼 레벨 패키지(10) 측에서 머더 보드 등과 같은 인쇄 기판상에 장착되어 있고, 그 상면측, 즉 렌즈 유니트(20) 측으로부터 빛을 입사시켜 수광하고 있다.
웨이퍼 레벨 패키지(10)는 지지 기판(14)과 실링 기판으로서의 글라스 기판(glass substrate)(11) 사이에 예를 들어 수광 소자(15)가 밀봉되어 있는 WCSP(wafer level chip size package)이다. 지지 기판(14)과 글라스 기판(11)은 그 주연부(peripheral edge portion)에서 접착 층(12)을 거쳐 서로에 대해 덧붙여진 것이다. 지지 기판(14), 글라스 기판(11) 및 접착 층(12)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은 수광 소자(15)을 기밀적(air tight)으로 밀봉하기 위한 캐비티(cavity)(12a)를 형성한다.
지지 기판(14)은 수광 소자(15) 등을 지지하는 기판이고, 예를 들어 실리콘 기판(140a) 상에 형성된 SiO2층(140b)을 포함한다. 지지 기판(14)은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구성된 전면, 즉 제1 주면 및 후면, 즉 제2 주면을 갖는다.
지지 기판(14)의 전면측의 구조
지지 기판(14)의 전면 또는 제1 주면상에는, 캐비티(12a)에 대해 대향하는 관계로 수광 소자(15)가 제공되며, 접착 층(12)에 대해 대향하는 관계로 제1 접합 요소인 복수의 전극 패드(13)가 제공되어 있다. 도 2a는 지지 기판(14)의 전면의 평면 구성의 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도시된 예에서는, 정사각 형상을 갖는 지지 기판(14)의 전면의 중앙 부근의 위치에 수광 소자(15)가 제공되며, 지지 기판(14)의 주위, 즉 지지 기판(14)의 주연(peripheral edge)을 따라 복수의 전극 패드(13)가 배치되어 있다. 주목할 것은, 수광 소자(15)와 전극 패드(13)의 사이의 영역에는 도시되지 않은 주변 회로가 형성되어 있다는 것이다.
전극 패드(13)는 수광 소자(15) 및 주변 회로에 도시되지 않은 배선에 의해 접속되어 있고, 수광 소자(15) 및 주변 회로에 전기 신호를 입력하거나, 수광 소자(15) 및 주변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전기 신호를 추출하기 위한 외부 접속을 위해 이용된다. 전극 패드(13)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Al) 등으로 형성된다.
수광 소자(15)는 예를 들어 CCD(Charge Coupled Device) 및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등과 같은 고체 촬상 소자다. 수광 소자(15)의 수광면에는 도시되지 않은 칼라 필터가 제공되어 있다. 수광 소자(15)에서는 전극 패드(13)를 통해 입력된 전기 신호에 응하여 노광 및 수광 신호의 판독이 행해지며, 판독된 수광 신호가 전극 패드(13)를 통해 외부로 출력된다.
지지 기판(14)의 후면측 또는 인쇄 기판 접합측의 구조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지지 기판(14)의 후면측, 즉 제2 주면측에는, 제2 접합 요소인 복수의 땜납 볼(17)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땜납 볼(17)에 대응하는 개구를 갖는 실링 수지 층(18) 및 전자기적 차광 실드 막 또는 제2 전자기적 실드 막(30a)이 형성되어 있다. 도 2b는 지지 기판(14)의 후면의 평면 구성의 한 예를 도시한다. 도 2b를 참조하면, 도시된 예에서는, 지지 기판(14)의 정사각 형상의 후면에는 복수의 땜납 볼(17)이 소정의 피치(P)로 규칙적으로 배열된다. 땜납 볼(17)의 배열은 장착될 인쇄 기판(도시 안 함) 측의 접합 패드의 위치에 응하여 적절하게 설정된다. 따라서, 전극 패드(13)의 땜납 볼(17)의 배열로 변환되고, 그 것들이 머더 보드 등과 같은 인쇄 기판에 직접 장착될 수 있다. 주목할 것은, 그러한 배열에 따른 땜납 볼(17)이 지지 기판(14)의 후면의 중앙의 부근에 형성되지 않을지라도, 땜납 볼(17)이 지지 기판(14)의 중앙의 부근에 다른 방식으로 배치되거나, 후면의 주연 영역에만 배치될 수도 있다는 것이다.
땜납 볼(17)은 인쇄 기판에 장착되기 위한 외부 접속 단자로서 기능하는 것이고, 예를 들어 Sn-Ag-Cu 등과 같은 무연 고융점 땜납(leadless high-melting point solder) 등으로 형성된다. 땜납 볼(17)은 지지 기판(14)의 후면측에서 전자기적 차광 실드(30a)으로부터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아래에서 설명하는 재배선 층(16)을 거쳐 전극 패드(13)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실링 수지 층(18)은 예를 들어 에폭시계, 폴리이미드계, 실리콘계, 아크릴계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며, 재배선 층(16)을 보호한다. 실링 수지 층(18)은 전자기적 차광 실드(30a)의 직경보다 큰 개구를 갖는다.
전자기적 차광 실드 막(30a)은 예를 들어 카본 블랙 등과 같이 예를 들어 도전성(예를 들어 저항치가 104Ω 이하) 및 차광성을 갖는 재료로 형성된다. 전자기적 차광 실드 막(30a)의 개구의 직경은 재배선 층(16)에 있어서의 아래에서 설명하는 땜납 랜드(solder land)(16c)의 직경보다 작게 설정되고, 전자기적 차광 실드 막(30a)의 두께는 땜납 볼(17)의 두께를 초과하지 않을 정도로 적절하게 설정된다. 주목할 것은, 전자기적 차광 실드 막(30a)이 도전성뿐만 아니라 차광성을 가질지라도, 전자기적 차광 실드 막(30a)이 적어도 도전성을 갖고 있으면, 전자기적 실드로서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는 것이다.
지지 기판(14)은 전극 패드(13)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공되어 제1 관통공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관통 비아(through-via)(14a)를 갖는다. 관통 비아(14a)는 지지 기판(14)의 전면으로부터 후면까지 관통해 있으므로, 전극 패드(13)의 일부가 후면측에 노출된다. 관통 비아(14a)의 내부에 형성된 재배선 층(16)의 일부는 노출된 전극 패드(13)의 전면을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재배선 층(16)은 관통 비아(14a)의 내부로부터 지지 기판(14)의 전면에 있어서의 땜납 볼(17)의 형성 영역까지 연장 또는 인출되어 있다. 관통 비아(14a) 및 재배선 층(16)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관통 전극의 구체적인 예에 상당한다. 주목할 것은, 지지 기판(14)의 후면과 재배선 층(16)의 사이에는 도 1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아래에서 설명하는 절연 막(141) 및 시드 층(seed layer)(142)이 형성되어 있다는 것이다.
재배선 층(16)은 예를 들어 동(Cu),알루미늄,텅스텐(W),티탄(Ti),금(Au),니켈(Ni),은(Ag),몰리브덴(Mo),TiW 등과 같은 금속재료로 이루어진다. 세부사항은 뒤에서 설명하겠지만, 재배선 층(16)은 관통 비아(14a)의 내부를 덮는 패드 접속부(16a)와, 땜납 볼(17)의 형성 영역으로 작용하는 땜납 랜드(solder land)(16c), 및 패드 접속부(16a)와 땜납 랜드(16c)를 상호 접속하는 인출 배선부(16b)를 포함한다.
그러한 구조를 갖는 웨이퍼 레벨 패키지(10)의 글라스 기판(11)에는 접착 층(21)을 개재하여 렌즈 유니트(20)가 덧붙여져 있다. 렌즈 유니트(20)의 상면에는 차광막(20a)이 소정의 패턴으로 형성되어 있다.
렌즈 유니트(20)는 일반적인 고정 초점 렌즈 또는 가변 초점 렌즈를 포함하고, 입사 광선을 수광 소자(15)에 집광시키는 기능을 갖는 것이다. 차광막(20a)은 원하는 방향으로부터의 광선만을 렌즈 유니트(20) 및 수광 소자(15)에 선택적으로 입사시키는 것이고, 예를 들어 크롬으로 구성되어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카메라 모듈(1)의 측면, 즉, 지지 기판(14)의 전면 및 후면에 직교하는 측면의 모든 면적에는 제1 전자기적 실드 막인 전자기적 차광 실드 막(30b)이 코팅되어 있다. 전자기적 차광 실드 막(30b)은 전자기적 차광 실드 막(30a)과 유사하게 예를 들어 도전성 및 차광성을 갖는 재료로 구성되고, 예를 들어 5㎛~30㎛의 두께를 갖는다. 이 전자기적 차광 실드 막(30b)은 이후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측면에 대해 위에서 설명한 재료를 직접 도포함으로써 형성된다. 전자기적 차광 실드 막(30a,30b)은 지지 기판(14)의 후면측에서 서로 접속, 즉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이 양호하다.
카메라 모듈(1)의 제조 방법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카메라 모듈(1)은 예를 들어 아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은 방식으로 제조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14b는 카메라 모듈(1)의 제조 프로세스를 예시한다.
1. 웨이퍼 덧붙이기 공정
우선, 전면에 수광 소자(15), 전극 패드(13) 및 도시되지 않은 주변 회로가 칩마다 형성된 지지 기판(또는 웨이퍼)(14), 및 글라스 기판(11)을 준비한다. 그리고,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기판(14)과 글라스 기판(11)를 접착 층(12)을 거쳐 서로에 대해 덧붙인다. 이 때, 지지 기판(14)의 전면의 수광 소자(15)의 형성 영역이 아닌 다른 영역, 즉, 다이싱 라인(dicing line)(DL)에 따른 영역에 접착 층(12)이 형성되어 수광 소자(15)를 캐비티(12a) 내에 밀봉한다.
그리고, 지지 기판(14)의 후면, 즉, 실리콘 기판(140a))을 깎아서,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리콘 기판(140a)을 얇게 한다. 주목할 것은, 도 3b와 도 3c에는 간편한 도시를 위해 웨이퍼의 일부의 단면 구성만 도시되어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글라스 기판(11)에 의해 밀봉된 지지 기판(14)에 있어서, 관통 비아 형성, 절연 막과 시드 층 형성, 재배선 층 형성, 실링 수지 층 형성 및 땜납 볼 형성을 위한 공정들이 이 순서대로 웨이퍼 레벨, 즉, 다이싱에 의해 잘라내기 전 단계에서 행해진다. 설명한 공정을 도시하는 도 4a 내지 도 10의 단면도는 도 3c에서의 영역S에 해당하는 부분만을 도시한다. 또한, 지지 기판(14)은 그 후면측이 위로 향하고, 그 전면측이 아래로 향하도록 도시되어 있다.
2. 관통 비아 형성 공정
우선,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기판(14)의 후면에 포토레지스트 막(110)을 형성한 후, 전극 패드(13)에 대향하는 포토레지스트 막(110)의 위치들에서 패터닝(patterning)에 의해 개구들이 형성된다. 그리고,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RIE(Reactive Ion Etching : 반응성 이온 에칭)에 의해, 지지 기판(14)의 실리콘 기판(140a)에서 전극 패드(13)에 대향하는 영역만을 선택적으로 제거한다. 그 후,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토레지스트 막(110)을 지지 기판(14)의 후면으로부터 박리한다. 그럼으로써, SiO2층(140b)이 지지 기판(14)의 후면측에 노출된다.
그 후,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출된 SiO2층(140b)이 예를 들어 RIE에 의해 전극 패드(13)의 전면까지 에칭된다. 그럼으로써, 전극 패드(13)에 대향하는 위치에서, 지지 기판(14)의 후면으로부터 전면까지 연장된 관통 비아(14a)가 형성된다. 다시 말해서, 전극 패드(13)가 지지 기판(14)의 후면측에 노출된다.
3. 절연 막 및 시드 층 형성 공정
그리고,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 비아(14a)가 형성된 지지 기판(14)의 후면의 모든 면적에서 예를 들어 SiO2로 된 절연 막(141)이, 예를 들어 CVD(Chemical Vapor Deposition : 화학증착)에 의해 형성된다. 그 후,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포토리소그라피(photolithography)에 의해 절연 막(141)의 관통 비아(14a)의 바닥이 선택적으로 제거되어 전극 패드(13)의 전면을 노출시킨다.
그 후,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 막(141) 및 노출된 전극 패드(13)를 덮도록, 예를 들어 구리로 된 시드 층(142)이 예를 들어 스푸터링(sputtering)에 의해 형성된다.
4. 재배선 층 형성 공정
그 후, 각각의 전극 패드(13)상의 한 위치로부터 관통 비아(14a)를 통해 지지 기판(14)의 후면측의 소정의 영역, 즉 땜납 볼(17)의 형성 영역까지 재배선 층(16)이 연속적으로 형성 또는 뻗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에서 설명한 시드 층(142)상에 포토레지스트 막(111)이 형성되고, 재배선 층(16)의 형성 영역, 즉, 패드 접속부(16a),인출 배선부(16b),및 도 6a 내지 도 6d에는 도시되지 않은 땜납 랜드(16c)에 대응하여 개구를 형성하기 위해 패터닝이 수행된다. 그 후,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드 층(142)상의 포토레지스트 막(111)의 개구 부분에 예를 들어 전기 도금 등에 의해 위에서 설명한 재료 중 어느 것으로 이루어진 재배선 층(16)이 형성된다.
그리고,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토레지스트 막(111)이 박리된 후,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기판(14)의 후면측에 노출된 시드 층(142)이 예를 들어 습식 세정(wet washing)에 의해 제거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지지 기판(14)의 후면측에 재배선 층(16)이 형성된다.
도 7a에는 재배선 층(16) 형성된 지지 기판(14)의 후면측의 구성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주목할 것은, 간편한 도시를 위해,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4개의 칩에 대응하는 영역들만 도시되어 있다는 것이다. 또한, 도 7b는 재배선 층(16)의 확대된 형태를 도시한다. 이 방식으로, 재배선 층 형성 공정에서는 상세하게는 관통 비아(14a), 즉, 전극 패드(13)에 대향하는 위치에 패드 접속부(16a)가 형성되고, 땜납 볼(17)에 대향하는 위치에 땜납 랜드(16c)가 형성된다. 또한, 패드 접속부(16a) 및 땜납 랜드(16c)를 서로 접속하기 위한 인출 배선부(16b)가 형성된다. 땜납 랜드(16c)는 인쇄 기판측의 접합 패드의 배열 등에 응하여 설정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인출 배선부(16b)는 땜납 볼(17)이 전극 패드(13)의 배열과 상이한 배열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게 한다. 그럼으로써, 외부 접속을 위한 단자들이 지지 기판(14)의 전면측의 전극 패드로부터 지지 기판(14)의 후면측의 땜납 볼(17)로 변환되고, 땜납 볼(17)을 이용하여 인쇄 기판에 직접 장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전극 패드(13)와 땜납 볼(17)의 개수에 대응하는 그러한 복수의 재배선 층(16)이 형성되지만, 재배선 층(16)의 일부는 인접하는 칩들 사이에서 서로 접속되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각각의 칩의 코너 부분에서, 재배선 층(16)들이 서로 접속되어 있는 부분, 즉 실드 접속부(shield connection portion)(16d))가 형성된다. 그럼으로써, 아래에서 설명하는 다이싱 공정에서 각각의 칩을 잘라낼 때, 실드 접속부(16d)가 칩의 측면에 노출될 수 있고, 그럼으로써, 실드 접속부(16d)와 후 공정에서 측면에 형성되는 전자기적 차광 실드 막(30b) 사이의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질 수 있다.
5. 실링 수지 층 형성 공정
그리고,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기판(14)의 후면의 모든 면적 위에 실링 수지 층(18)이 도포되어 형성되고, 예를 들어 포토리소그라피에 의해 재배선 층(16)의 땜납 랜드(16c)에 대향하는 영역에 개구(18a)가 형성된다. 개구(18a)의 직경(D2)은 예를 들어 아래에서 설명하는 전자기적 차광 실드 막(30a)에서의 개구(a1)의 직경보다 작게 설정된다.
6. 전자기적 차광 실드 막(30a)(하면)의 형성 공정
그 후, 도 9a와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링 수지 층(18)의 모든 면적에 위에서 설명한 재료 중 어느 것으로 이루어진 전자기적 차광 실드 막(30a)을 형성하고, 포토리소그라피에 의해 땜납 랜드(16c) 및 실링 수지 층(18)의 개구(18a)에 대응하는 영역에 개구(31a)가 형성된다. 그 때, 개구(31a)의 직경(D3)은 실링 수지 층(18)에서의 개구(18a)의 직경(D2)보다 수십㎛ 정도 크게 설정하여 땜납 볼(17)이 거기에 접촉하지 않게 한다. 그러나, 개구(31a)의 직경(D3)은 재배선 층(16)의 땜납 랜드(16c)의 직경(D1)보다 작게 설정되는 것이 양호하다. 개구(31a1)의 직경(D3)이 땜납 랜드(16c)의 직경(D1)보다 크면, 땜납 볼(17)의 주변 영역으로부터 인쇄 기판측으로의 빛의 누출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7. 땜납 볼 형성 공정
그리고, 재배선 층(16)의 땜납 랜드(16c)에서 실링 수지 층(18)의 개구(18a) 및 전자기적 차광 실드 막(30a)의 개구(30a1)를 통해 노출되는 영역에 땜납 볼(17)이 형성된다.
8. 다이싱 공정
그리고, 웨이퍼 레벨에서 땜납 볼(17)이 지지 기판(14)에 형성된 후,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이싱에 의해, 다이싱 라인(DL)을 따라 각각의 칩을 잘라낸다. 그럼으로써, 재배선 층 형성 공정에서 인접하는 칩들 사이의 접속을 위해 형성된 실드 접속부(16d)가 각각의 칩의 측면에 노출된다. 구체적으로는, 실드 접속부(16d)가 각각의 칩의 코너 부분(A)에 노출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방식으로, 웨이퍼 레벨 패키지(10)가 형성된다.
9. 렌즈 유니트 접합 공정
그 후,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칩, 즉 각각의 웨이퍼 레벨 패키지(10)마다 렌즈 유니트(20)가 접착 층(21)을 거쳐 글라스 기판(11)에 덧붙여진다. 설명의 편의상, 렌즈 유니트(20)가 덧붙여지는 웨이퍼 레벨 패키지(10)는 이하 접합체라고 지칭된다.
10. 전자기적 차광 실드 막(30b)(측면)의 형성 공정
마지막으로, 예를 들어 카본 블랙 등과 같은 위에서 설명한 재료로 이루어진 전자기적 차광 실드 막(30b)이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형성된 접합체의 측면의 모든 면적에 예를 들어 도포 장치를 이용하여 분사 또는 도포함으로써 형성된다. 그 때, 접합체는 예를 들어 도 1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분사용 노즐(130)이 서로 직교하는 다른 방향을 따라 제공된 도포 장치 내에 배치된다. 그 후,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본 블랙(130a)이 노즐(130)으로부터 접합체의 4개의 측면 전체에 분사된다. 주목할 것은, 도 14a와 도 14b에서는 좌측에서 본 도면이 접합체의 상면을 도시하고, 우측에서 본 도면이 접합체를 측면으로부터 도시한다는 것이다. 그럼으로써, 접합체의 측면의 전체가 카본 블랙(130a)으로 된 전자기적 차광 실드 막(30b)으로 코팅된다. 여기에서, 측면에 노출된 실드 접속부(16d)가 전자기적 차광 실드 막(30b)으로 덮여 그 것들이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그럼으로써, 도 1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1)이 완성된다.
인쇄 기판에의 장착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제작된 카메라 모듈(1)을 장착하기 위해, 카메라 모듈(1)과 인쇄 기판이 웨이퍼 레벨 패키지(10)측을 아래로 향하고 땜납 볼(17)과 인쇄 기판상의 접합 패드가 서로에 대해 위치를 맞춘 채로 접합된다. 그리고, 전자기적 차광 실드 막(30a,30b)은 예를 들어 인쇄 기판의 접지 단자에 접속됨으로써 전자기적 차광 실드 막(30a,30b)이 접지 전위로 유지될 수 있게 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지지 기판(14)의 전면측에 형성된 전극 패드(13)와 후면측에 형성된 땜납 볼(17)이 관통 비아(14a) 및 재배선 층(16)을 거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지지 기판(14)의 전면측으로부터 후면측으로 외부 접속 단자가 인출된다. 다시 말해서, 외부 접속 단자가 전극 패드(13)로부터 땜납 볼(17)로 변환된다. 또한, 전자기적 차광 실드 막(30b)은 카메라 모듈(1), 즉, 웨이퍼 레벨 패키지(10))의 측면의 모든 면적을 도포함으로써 형성된다. 전자기적 차광 실드 막(30b)에 의해, 예를 들어 장착되는 인쇄 기판이나 세트 내의 기타의 부품 등에 의한 전자기적 간섭의 발생이 억제된다. 다시 말해서, 전자기적 실드를 형성하기 위해 판금 등을 가공하는 대안적인 경우에 비해, 공정 수를 줄이고, 비용을 줄일 수 있다. 그러므로, 저비용 및 간단하고 쉬운 프로세스로 인쇄 기판과의 EMC를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전자기적 차광 실드 막(30b)이 도전성뿐만 아니라 차광성을 가짐으로써, 모듈의 측면으로부터 광선이 밀려드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의 측면은 흔히 지지 기판(14), 글라스 기판(11), 렌즈 유니트(20) 및 접착 층(21) 등과 같이 투명 재료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측면에 형성되는 전자기적 차광 실드 막(30b)이 차광성을 갖는 것이 양호하다. 또한, 도포에 의한 형성이 가능하고, 도전성 및 차광성을 갖는 재료로서는 카본 블랙이 적절하다.
또한, 전자기적 차광 실드 막(30a)이 지지 기판(14)의 후면측에 제공되므로, 인쇄 기판과의 전자기적 간섭이 더 효과적으로 억제된다. 구체적으로는 지지 기판(14)의 후면측에서는 패드 접속부(16a)와 땜납 랜드(16c)를 상호 접속하는 인출 배선부(16b)가 재배선 층(16)로서 형성되고, 때때로 인출 배선부(16b)와 인쇄 기판상의 배선 사이에 전기적 크로스토크(electric crosstalk)가 발생하며, 특히, 고속 신호 전송의 정확한 차동 전송에 실패하게 된다. 또한, 웨이퍼 레벨 패키지(10)에서는 땜납 볼이 칩 사이즈 내의 제한적인 영역 내에 배치되므로, 재배선 층(16)의 인출 배선부(16b)의 배선 루트가 제한된다. 그러므로, 크로스토크를 억제하기 위해, 인쇄 기판상의 배선위치가 조정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것은 층 수의 증가, 특히 핀 수의 증가가 있는 경우에는 소형화 추세를 유지하기 위해 비용 증가를 촉진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전자기적 차광 실드(30a)가 지지 기판(14)의 후면측에도 제공되므로,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크로스토크의 발생이 억제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전자기적 차광 실드 막(30a)이 도전성에 더해 차광성을 가지므로, 지지 기판(14)을 통한 인쇄 기판측으로 광선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 변형례 >
도15a 내지 도15d는 재배선 층(16)과 전자기적 차광 실드 막(30b) 사이의 통신을 설정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의 프로세스를 도시한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재배선 층(16)과 전자기적 차광 실드 막(30b) 사이의 통신을 설정하기 위해, 재배선 층(16)의 일부가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칩 사이에서 서로에게 접속되도록 형성되고, 다이싱에 의해 칩의 측면에 노출된다. 대조적으로, 본 변형례에서는 재배선 층(16)과 전자기적 차광 실드 막(30b) 사이의 통신을 설정하기 위해, 관통 비아 형성 공정에서 각각의 칩의 지지 기판(14)의 코너 부분에도 관통 비아가 형성되고, 일부의 재배선 층 부분은 재배선 층 형성 공정에서 관통 비아의 내부까지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1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기판(14)의 후면에 관통 비아 또는 제2 관통공(14b)이 관통 비아 형성 공정에서의 관통 비아(14a)와 동시에 형성된다. 그러나, 관통 비아(14b)는 그 각각의 코너 부분에서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4개의 칩의 중앙, 즉, 다이싱 라인의 교차점에 배치된다. 그리고, 재배선 층 형성 공정에서,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각각의 칩의 코너 부분에서 관통 비아(14b)의 내부까지 일부의 재배선 층(16)이 연속하여 형성된다. 재배선 층(16)의 그 부분은 실드 접속부(16d1)라고 지칭된다. 그 후, 실링 수지 층의 형성 및 전자기적 차광 실드 막(30a)의 형성이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에서와 유사한 방식으로 행해진다. 그 후, 도 1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이싱 라인(DL)을 따라 다이싱이 행해진다. 그럼으로써, 도 1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드 접속부(16d1)가 각각의 칩의 4개의 코너에 노출된다. 그 후, 전자기적 차광 실드 막(30b)이 카메라 모듈의 측면에 도포됨으로써 형성되어 실드 접속부(16d1)를 전자기적 차광 실드 막(30b)에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재배선 층(16)과 전자기적 차광 실드 막(30b) 사이의 통신이 본 변형례에서처럼 관통 비아(14b)을 이용하여 설정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변형례가 위에서 설명될지라도, 본 발명은 실시예 또는 변형례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특히, 카메라 모듈(1) 또는 광학 모듈의 구성, 그 제조 방법에 관한 절차 등은,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 및 병형례에 의한 것과 유사한 효과가 성취될 수 있는 한, 자유롭게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 및 변형례에서는 도전성 및 차광성을 갖는 전자기적 차광 실드 막(30a,30b)이 각각이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전자기적 실드 막으로서 설명될지라도, 그것들이 적어도 도전성을 갖고 있으면, 본 발명의 효과가 얻어질 수 있다. 또한, 전자기적 차광 실드 막(30a,30b)의 사이로부터 적어도 카메라 모듈(1)의 측면측에 전자기적 차광 실드 막(30a)을 제공하는 것만 필요하고, 카메라 모듈(1)의 하면측, 즉, 지지 기판(14)의 후면측의 전자기적 차광 실드 막(30a)은 반드시 형성될 필요는 없다.
또한,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 및 변형례에서는, 카메라 모듈(1)의 제조 방법으로서, 웨이퍼의 형태인 실링체로부터 잘라낸 각각의 칩 또는 웨이퍼 레벨 패키지(10))에 렌즈 유니트가 덧붙여진 후, 칩의 측면의 모든 면적에 전자기적 차광 실드 막(30b)이 형성된다. 그러나 렌즈 유니트가 제공되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전자기적 차광 실드 막이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각각의 칩의 잘라내기를 행한 후, 칩의 측면의 모든 면적에 전자기적 차광 실드 막이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위에서는 수광 소자를 본 발명의 기능 소자의 예로 들면서 실시예 및 변형례를 설명할지라도, 기능 소자는 수광 소자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MEMS소자 등일 수도 있을 것이다. MEMS소자의 반도체 패키지가 인쇄 기판에 장착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의 전자기적 실드 막이 이용되면, 인쇄 기판과의 전자기적 간섭의 발생이 억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2010년 9월 7일에 일본 특허청에 제출된 일본 우선권 특허 출원 2010-200067호에서 개시되고 그 전체 내용이 여기에 참고로 통합되는 것에 관련된 요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들이 특정한 용어를 이용하여 설명되었지만, 그러한 설명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다음과 같은 특허 청구의 범위의 정신 및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변화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Claims (18)

  1. 반도체 패키지로서,
    지지 기판과,
    상기 지지 기판의 제1 주면에 형성된 기능 소자 및 제1 접합 요소와,
    상기 기능 소자 및 상기 제1 접합 요소를 개재하여 상기 지지 기판에 대향 배치된 실링 기판과,
    상기 지지 기판의 제2 주면측에 설치된 제2 접합 요소와,
    상기 지지 기판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상기 제1 접합 요소 및 상기 제2 접합 요소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관통 전극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 기판의 각 주면과 직교하는 측면 전체가 제1 전자기적 실드 막으로 도포되고,
    상기 관통 전극은,
    상기 지지 기판의 상기 제1 접합 요소에 대향하여 설치된 관통공과,
    상기 관통공에서 상기 제1 접합 요소에 접속됨과 함께, 상기 관통공의 내부로부터 상기 제2 주면 상의 상기 제2 접합 요소의 형성 영역까지 연장된 배선 층을 갖고,
    상기 배선 층의 일부가 상기 측면에 노출되고, 상기 제1 전자기적 실드 막에 접속되어 있는, 반도체 패키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자기적 실드 막은 차광성을 갖는, 반도체 패키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자기적 실드 막은 카본 블랙으로 이루어진, 반도체 패키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기판의 상기 제2 주면측에, 상기 제2 접합 요소에 대응하여 개구를 갖는 제2 전자기적 실드 막이 설치되어 있는, 반도체 패키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자기적 실드 막은 차광성을 갖는, 반도체 패키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소자는 수광 소자인, 반도체 패키지.
  7. 반도체 패키지의 제조 방법으로서,
    기능 소자 및 제1 접합 요소를 제1 주면에 갖는 지지 기판에 실링 기판을 덧붙이는 공정과,
    상기 지지 기판의 상기 제1 접합 요소에 대응하는 영역에 관통 전극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지지 기판의 제2 주면측에, 상기 관통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2 접합 요소를 형성하는 공정과, 및
    상기 지지 기판의 각 주면과 직교하는 측면 전체에, 도전 재료를 도포함으로써 제1 전자기적 실드 막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관통 전극을 형성하는 공정에서는,
    상기 지지 기판의 상기 제1 접합 요소에 대향하여 제1 관통공을 형성한 후,
    배선 층을, 상기 제1 관통공에서, 상기 제1 접합 요소에 접속시킴과 함께, 상기 제1 관통공의 내부로부터 상기 제2 주면 상의 상기 제2 접합 요소의 형성 영역까지 연속적으로 형성하고,
    상기 제1 전자기적 실드 막을 형성하기 전에, 상기 배선 층의 일부를 상기 측면에 노출시키는,
    반도체 패키지의 제조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자기적 실드 막을 형성하는 공정에서, 상기 도전 재료로서 차광성을 갖는 재료를 이용하는, 반도체 패키지의 제조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 재료로서 카본 블랙을 이용하는, 반도체 패키지의 제조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기판의 제2 주면측에, 상기 제2 접합 요소에 대응하여 개구를 갖는 제2 전자기적 실드 막을 형성하는, 반도체 패키지의 제조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자기적 실드 막으로서 차광성을 갖는 재료를 이용하는, 반도체 패키지의 제조 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기판은 각각이 상기 기능 소자를 포함하는 복수의 칩으로 형성된 웨이퍼이고,
    상기 관통 전극을 형성하는 공정 및 상기 제2 접합 요소를 형성하는 공정을 웨이퍼 레벨에서 행하고,
    상기 제2 접합 요소를 형성한 후, 다이싱 공정을 거쳐 상기 제1 전자기적 실드 막을 형성하는, 반도체 패키지의 제조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 전극을 형성하는 공정에서, 상기 배선 층의 일부를 인접하는 칩 사이에서 연결하여 형성하여 다이싱함으로써, 상기 칩의 측면에 상기 배선 층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반도체 패키지의 제조 방법.
  14. 제13항에서,
    상기 관통 전극을 형성하는 공정에 있어서,
    상기 지지 기판의 다이싱 라인에 대응하는 영역에 제2 관통공을 형성한 후,
    상기 배선 층의 일부를, 상기 제1 관통공으로부터 상기 제2 관통공의 내부까지 연속적으로 형성하는, 반도체 패키지의 제조 방법.
  15. 광학 모듈로서,
    지지 기판과,
    상기 지지 기판의 제1 주면에 형성된 수광 소자 및 제1 접합 요소와,
    상기 수광 소자와 상기 제1 접합 요소를 개재하여 상기 지지 기판에 대향 배치된 실링 기판과,
    상기 지지 기판의 제2 주면측에 설치된 제2 접합 요소와,
    상기 지지 기판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상기 제1 접합 요소 및 상기 제2 접합 요소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관통 전극과,
    상기 실링 기판상에 설치된 렌즈 유니트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 기판의 각 주면과 직교하는 측면 전체가 제1 전자기적 실드 막으로 도포되고,
    상기 관통 전극은,
    상기 지지 기판의 상기 제1 접합 요소에 대향하여 설치된 관통공과,
    상기 관통공에서 상기 제1 접합 요소에 접속됨과 함께, 상기 관통공의 내부로부터 상기 제2 주면 상의 상기 제2 접합 요소의 형성 영역까지 연장된 배선 층을 갖고,
    상기 배선 층의 일부가 상기 측면에 노출되고, 상기 제1 전자기적 실드 막과 접속되어 있는,
    광학 모듈.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KR1020110086647A 2010-09-07 2011-08-29 반도체 패키지와 반도체 패키지의 제조 방법 및 광학 모듈 KR1018709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200067A JP5682185B2 (ja) 2010-09-07 2010-09-07 半導体パッケージおよび半導体パッケージの製造方法ならびに光学モジュール
JPJP-P-2010-200067 2010-09-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5409A KR20120025409A (ko) 2012-03-15
KR101870985B1 true KR101870985B1 (ko) 2018-06-25

Family

ID=45770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6647A KR101870985B1 (ko) 2010-09-07 2011-08-29 반도체 패키지와 반도체 패키지의 제조 방법 및 광학 모듈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513756B2 (ko)
JP (1) JP5682185B2 (ko)
KR (1) KR101870985B1 (ko)
CN (1) CN102403325B (ko)
TW (1) TWI55230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38995A (ja) * 2009-03-31 2010-10-21 Sanyo Electric Co Ltd 半導体モジュールおよびこれを搭載したカメラモジュール
EP2858111B1 (en) * 2012-05-30 2019-06-26 Olympus Corporation Imaging device manufacturing method and semiconductor device manufacturing method
US8759930B2 (en) * 2012-09-10 2014-06-24 Optiz, Inc. Low profile image sensor package
CN104347644B (zh) * 2013-07-25 2018-06-19 意法半导体研发(深圳)有限公司 具有透镜组件的图像检测器及相关方法
CN103916577B (zh) * 2014-03-24 2018-06-15 南昌欧菲光电技术有限公司 静电导电元件及具有该静电导电元件的摄像模组
CN103996687A (zh) * 2014-06-12 2014-08-20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四十四研究所 局部减薄背照式图像传感器结构及其封装工艺
JP6051399B2 (ja) * 2014-07-17 2016-12-27 関根 弘一 固体撮像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9666730B2 (en) 2014-08-18 2017-05-30 Optiz, Inc. Wire bond sensor package
US9634053B2 (en) * 2014-12-09 2017-04-25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Image sensor chip sidewall interconnection
JP6191728B2 (ja) 2015-08-10 2017-09-0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イメージセンサモジュール
US20170123525A1 (en) * 2015-10-29 2017-05-04 Synaptics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reliable electrical connections
WO2017077792A1 (ja) 2015-11-05 2017-05-11 ソニー株式会社 半導体装置、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及び、電子機器
EP3474327A4 (en) 2016-06-20 2019-06-19 Sony Corporation SEMICONDUCTOR CHIP HOUSING
CN106449546B (zh) * 2016-09-26 2019-12-20 苏州晶方半导体科技股份有限公司 影像传感芯片封装结构及其封装方法
US20180090524A1 (en) * 2016-09-26 2018-03-29 China Water Level CSP Co., Ltd. Image sensor package and method of packaging the same
CN108496177A (zh) * 2017-06-07 2018-09-04 深圳市汇顶科技股份有限公司 芯片封装结构、方法和终端设备
CN109936680B (zh) * 2017-12-15 2021-05-04 宁波舜宇光电信息有限公司 具有扩展布线层的系统化封装摄像模组及其感光组件、电子设备和制备方法
JP2019134111A (ja) 2018-02-01 2019-08-08 ソニーセミコンダクタ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半導体装置
CN109862245B (zh) * 2019-02-21 2021-04-30 信利光电股份有限公司 一种防pcb漏光的摄像模组
TWI697990B (zh) * 2019-04-30 2020-07-01 勝麗國際股份有限公司 感測器封裝結構及其感測模組
CN220189644U (zh) * 2020-09-25 2023-12-15 株式会社村田制作所 电子部件模块
WO2024058037A1 (ja) * 2022-09-13 2024-03-21 株式会社村田製作所 赤外線センサモジュール
CN115842528B (zh) * 2023-02-15 2023-05-12 深圳新声半导体有限公司 一种封装方法及结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58863A (ja) * 2007-12-27 2009-07-16 Toshiba Corp 半導体パッケージ及びカメラモジュール
JP2010011230A (ja) 2008-06-27 2010-01-14 I Square Research Co Ltd カメラモジュール
US20100032781A1 (en) * 2008-08-08 2010-02-11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amera modu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26187A (ja) * 2000-07-07 2002-01-25 Sony Corp 半導体パッケージ及び半導体パッケージの製造方法
EP1773924A1 (en) * 2004-06-18 2007-04-18 E.I.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Electrically conductive polyetherester composition comprising carbon black and product made therefrom
US7679167B2 (en) * 2007-01-08 2010-03-16 Visera Technologies Company, Limited Electronic assembly for image sensor device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JP2008300800A (ja) * 2007-06-04 2008-12-11 Nippon Steel Corp 表面処理金属板及び電子機器用筐体
JP2009158853A (ja) 2007-12-27 2009-07-16 Toshiba Corp 半導体装置
JP5259197B2 (ja) * 2008-01-09 2013-08-07 ソニー株式会社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4762264B2 (ja) * 2008-04-01 2011-08-31 岩手東芝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カメラモジュールおよびカメラ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JP4966931B2 (ja) * 2008-08-26 2012-07-04 シャープ株式会社 電子素子ウエハモジュー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電子素子モジュー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電子情報機器
JP2010186870A (ja) * 2009-02-12 2010-08-26 Toshiba Corp 半導体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58863A (ja) * 2007-12-27 2009-07-16 Toshiba Corp 半導体パッケージ及びカメラモジュール
JP2010011230A (ja) 2008-06-27 2010-01-14 I Square Research Co Ltd カメラモジュール
US20100032781A1 (en) * 2008-08-08 2010-02-11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amera modu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056292A1 (en) 2012-03-08
JP2012059832A (ja) 2012-03-22
CN102403325B (zh) 2016-04-20
US8513756B2 (en) 2013-08-20
TW201220463A (en) 2012-05-16
TWI552300B (zh) 2016-10-01
CN102403325A (zh) 2012-04-04
KR20120025409A (ko) 2012-03-15
JP5682185B2 (ja) 2015-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0985B1 (ko) 반도체 패키지와 반도체 패키지의 제조 방법 및 광학 모듈
US9373653B2 (en) Stepped package for image sensor
US9373660B2 (en) Method of forming a low profile image sensor package with an image sensor substrate, a support substrate and a printed circuit board
JP5754239B2 (ja) 半導体装置
TWI430423B (zh) A semiconductor device, a camera module, and a semiconductor device
JP5078725B2 (ja) 半導体装置
KR101420934B1 (ko) Cmos 이미지 센서를 위한 와이어 본드 인터포저 패키지 및 그 제조 방법
KR100712159B1 (ko)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9455358B2 (en) Image pickup module and image pickup unit
KR100790996B1 (ko) 이미지 센서 패키지,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이미지 센서 모듈
US20080251872A1 (en) Image sensor packag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image sensor module including the image sensor package
KR20080074773A (ko) 다이 수용 개구를 가진 이미지 센서 패키지 및 그 제조방법
JP2006210888A (ja) 半導体パッケージ及びその製造方法
US11282879B2 (en) Image sensor packaging method, image sensor packaging structure, and lens module
WO2020003796A1 (ja) 固体撮像装置、電子機器、および固体撮像装置の製造方法
JP5045952B2 (ja) 光デバイス、光モジュール及び電子機器
JP2006173463A (ja) センサーモジュール
JP4292383B2 (ja) 光デバイスの製造方法
JP2018535549A (ja) 画像検知チップ実装構造および実装方法
KR100634419B1 (ko) 이미지 센서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