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7584B1 - 찹쌀피만두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찹쌀피만두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7584B1
KR101867584B1 KR1020160142282A KR20160142282A KR101867584B1 KR 101867584 B1 KR101867584 B1 KR 101867584B1 KR 1020160142282 A KR1020160142282 A KR 1020160142282A KR 20160142282 A KR20160142282 A KR 20160142282A KR 101867584 B1 KR101867584 B1 KR 1018675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utinous rice
dumpling
dumplings
minutes
knea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22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6732A (ko
Inventor
채희원
Original Assignee
채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채희원 filed Critical 채희원
Priority to KR10201601422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7584B1/ko
Publication of KR201800467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67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75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75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20/00Coating of foodstuffs; Coatings therefor; Making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 A23P20/10Coating with edible coatings, e.g. with oils or fa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36Freezing; Subsequent thawing; Cool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죽하여 얇게 형성하는 만두피를 대신하여 찹쌀을 피로 이용하는 찹쌀피만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찹쌀피만두의 제조방법은, 만두소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만두소를 일정 모양으로 빚어 냉장숙성을 하는 단계; 및 빚어진 상기 만두소에 불린 찹쌀을 입히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찹쌀피만두 및 그 제조방법에 따르면, 피를 만드는 공정 등이 생략되어 보다 간단히 만두를 제조할 수 있어 생산비용 및 시간을 절감할 수 있고, 수요자들에게 새로운 식감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찹쌀피만두 및 그 제조방법{MANDU HAVING GLUTINOUS RICE SKIN AND MAK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찹쌀피만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반죽하여 얇게 형성하는 만두피를 대신하여 찹쌀을 피로 이용하는 찹쌀피만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만두는 밀가루나 메밀가루 반죽으로 만든 만두피에 고기, 두부, 김치, 당면, 각종 야채 등을 주재료로 하는 소를 넣고, 여러 가지 모양으로 빚어서 찌거나 튀긴 음식을 말한다. 이러한 만두는 소에 부가되는 재료, 만두의 모양, 조리방법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나눌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익히는 방법에 따라 찐만두, 군만두, 물만두, 만둣국 등으로 나뉘고, 모양에 따라 귀만두, 둥근만두, 왕만두, 미만두 등으로 나뉘며, 부가되는 재료에 따라 김치만두, 호박만두, 해물만두, 새우만두 등으로 나뉜다. 이러한 만두는 값이 싸고 이용이 편리한 간편식품 중 하나로, 바쁜 현대인들이 많이 선호하고 있는 음식 중 하나이다.
그러나, 만두의 제조에 있어서, 만두소를 감싸는 만두피의 제조 및 만두 외형 형성은 까다로운 일 중 하나이다. 구체적으로 만두피를 만들기 위해 밀가루를 반죽하여 얇게 펴는 공정이 필요하고, 이 만두피를 적당히 잘라 만두소를 넣고 이를 감싸는 공정이 부가적으로 필요하다.
이러한 공정을 갖추기 위해서는 별도의 노동력, 또는 기계 장치가 필요하고 이는 생산비의 증가로 이어지게 된다.
한국등록특허 제10-0852632호, 제10-0512922호 등의 문헌들은 만두피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방법, 시스템 등을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반죽하여 얇게 형성하는 만두피를 대신하여 찹쌀을 피로 이용하는 찹쌀피만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찹쌀피만두의 제조방법은, 만두소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만두소를 일정 모양으로 빚어 냉장숙성을 하는 단계; 및 빚어진 상기 만두소에 불린 찹쌀을 입히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찹쌀은 3시간 동안 불린 후 물기를 제거하여 준비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만두소를 제조하는 단계는, 만두소의 재료들을 모두 넣은 후, 2분 동안 상기 만두소의 재료들을 상부 방향으로 일정하게 반죽하는 동작, 2분 동안 상기 만두소의 재료들을 하부 방향으로 일정하게 반죽하는 동작, 3분 동안 상기 만두소의 재료들을 좌 및 우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일정하게 반죽하는 동작, 3분 동안 상기 만두소의 재료들을 좌 및 우 중 다른 하나의 방향으로 일정하게 반죽하는 동작 및 5분 동안 상기 만두소의 재료들을 원형으로 휘저어 주는 동작을 순차적으로 진행함으로써 행하여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찹쌀이 입혀진 찹쌀피만두를 찌는 단계; 및 쪄진 찹쌀피만두를 급속냉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찹쌀피만두를 찌는 단계는, 각각의 찹쌀피만두가 분리되어 담기는 복수의 단위 셀이 형성되고, 수분이 통과될 수 없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용기를 사용하여, 상기 단위 셀에 찹쌀피만두를 하나씩 넣고 찜으로써 행하여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찹쌀피만두를 찌는 단계는, 상기 찹쌀피만두를 대추, 구기자 또는 녹차로 달인 물을 사용하여 찜으로써 행하여진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찹쌀피만두는 상술한 찹쌀피만두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다.
본 발명의 찹쌀피만두 및 그 제조방법에 따르면, 피를 만드는 공정 등이 생략되어 보다 간단히 만두를 제조할 수 있어 생산비용 및 시간을 절감할 수 있고, 수요자들에게 새로운 식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찹쌀피만두 제조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는 찹쌀피만두를 찌는 단계에서 사용되는 용기의 사진이다.
도 3은 상술한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찹쌀피만두의 실물사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도면부호를 사용함에 있어, 도면이 상이한 경우라도 동일한 구성을 도시하고 있는 경우에는 가급적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찹쌀피만두 제조방법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찹쌀피만두 제조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2는 찹쌀피만두를 찌는 단계에서 사용되는 용기의 사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찹쌀피만두 제조방법은, 만두소를 제조하는 단계 (S10), 만두소를 일정 모양으로 빚어 냉장숙성을 하는 단계 (S20), 빚어진 만두소에 불린 찹쌀을 입히는 단계 (S30), 찹쌀피만두를 찌는 단계 (S40) 및 쪄진 찹쌀피만두를 급속냉동시키는 단계 (S50)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만두소를 제조한다 (S10).
만두소는 일반적인 재료들을 사용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후술할 찹쌀피를 입히기에 적합한 만두소의 구성은, 다진 돼지고기 100g, 새송이 버섯 60g, 파 17g, 양파 17g, 생강 5g, 후추 0.5g, 복합 조미식품 3g, 식용유 8g, 소금 0.8g, 굴농축액 1g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함량 구성은 돼지고기 100g을 기준으로 제시한 것으로서, 더 많은 생산량을 위해서는 비율을 유지하면서 각 함량을 증가시키면 된다.
상술한 만두피 재료들을 하나의 용기에 넣고 기설정된 방향과 순서로 약 15분간 저어준다. 구체적으로, 약 2분 동안 상기 만두소의 재료들을 상부 방향으로 일정하게 반죽하는 동작, 약 2분 동안 상기 만두소의 재료들을 하부 방향으로 일정하게 반죽하는 동작, 약 3분 동안 상기 만두소의 재료들을 좌 및 우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일정하게 반죽하는 동작, 약 3분 동안 상기 만두소의 재료들을 좌 및 우 중 다른 하나의 방향으로 일정하게 반죽하는 동작 및 약 5분 동안 상기 만두소의 재료들을 원형으로 휘저어 주는 동작을 순차적으로 진행함으로써 행하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만두소를 일정 모양으로 빚어 냉장숙성을 한다 (S20).
만두소는 원하는 모양으로 빚으면 되는데, 예를 들어 구형, 육각형 등의 모양으로 압력을 주어 뭉쳐지도록 빚는다. 크기도 다양하게 설정될 수도 있다.
이후 빚어진 만두소를 냉장숙성을 한다. 냉장숙성은 1시간 정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빚어져서 냉장숙성된 만두소에 불린 찹쌀을 입힌다 (S30).
찹쌀은 약 3시간 동안 불린 후 물기를 제거하여 준비된다. 찹쌀로는 국내산 찹쌀 혹은 흑미 찹쌀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찹쌀은 돼지고기 100g의 함량에 대하여 60g 정도 입혀진다.
여기서, 찹쌀은 대추 또는 구기자로 우려낸 물을 이용하여 불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찹쌀에 색을 입히거나 특정 향을 입힐 수 있다.
이후, 찹쌀이 입혀진 찹쌀피만두를 찐다 (S40).
찹쌀피만두는 찜기에 20분 정도 찜으로써 익혀진다. 찹쌀피만두는 만두소의 수분의 유출을 방지하는 피가 없기 때문에, 별도의 용기를 사용하여 찌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를 참조하면, 찹쌀피만두를 찌는데 사용되는 용기 (10) 는, 각각의 찹쌀피만두가 분리되어 담기는 복수의 단위 셀 (11) 이 형성되고, 수분이 통과될 수 없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즉, 용기 (10) 는 플라스틱 재질, 유리 재질 등과 같은 불투과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찹쌀피만두는 위의 각 단위 셀 (11) 에 하나씩 담겨져서 용기 (10) 채 쪄지게 된다. 찜의 과정에서, 찹쌀피만두는 다량의 즙을 배출하게 되고, 이는 각 단위 셀 (11) 에 고이게 되어, 즙이 손실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찹쌀피만두를 찔 때, 대추, 구기자 또는 녹차 등을 달인 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추, 구기자 또는 녹차를 달인 물을 사용하면, 그 향이 찹쌀에 스며들어 만두에 풍미를 더하게 되고, 색도 빨간색 혹은 녹색으로 입혀지게 되어 시각적 효과도 줄 수 있다. 대추, 구기자나 녹차 외에 다른 색이나 향을 가진 재료를 달인 물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이후, 쪄진 찹쌀피만두를 급속냉동시킨다 (S50).
급속냉동도 위의 용기에 담긴 채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고여져 있던 즙은 다시 만두에 스며들게 되어, 추후 해동시킨 후에도 만두 내에 유지될 수 있다.
급속냉동을 통해 맛이 유지되어, 추후에 만두를 다시 해동시켜 먹을 때 본래의 맛을 재생시킬 수 있다.
도 3은 상술한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찹쌀피만두의 실물사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피의 역할을 하게 되는 찹쌀에 의해 만두소는 외부로 거의 노출이 되지 않는다. 이러한 찹쌀피만두는 기존의 밀가루 반죽에 의한 피로 만들어진 만두와는 완전히 상이한 외관을 가지고, 상술한 바대로 찹쌀에 색을 입히거나 향을 입히는 등의 효과를 부가할 수 있기 때문에, 기존의 만두 보다 우수한 상품성을 가진다.
또한, 이렇게 제조된 찹쌀피만두는 만두피의 제조공정을 생략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생산 기간을 단축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생산비용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용기
11……단위 셀

Claims (7)

  1. 만두소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만두소를 일정 모양으로 빚어 냉장숙성을 하는 단계;
    빚어진 상기 만두소에 불린 찹쌀을 입히는 단계;
    찹쌀이 입혀진 찹쌀피만두를 찌는 단계; 및
    쪄진 찹쌀피만두를 급속냉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찹쌀피만두를 찌는 단계는,
    상기 찹쌀피만두를 대추, 구기자 또는 녹차로 달인 물을 사용하여 찜으로써 행하여지는, 찹쌀피만두 제조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찹쌀은 3시간 동안 불린 후 물기를 제거하여 준비되는, 찹쌀피만두 제조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만두소를 제조하는 단계는,
    만두소의 재료들을 모두 넣은 후, 2분 동안 상기 만두소의 재료들을 상부로 반죽하는 동작, 2분 동안 상기 만두소의 재료들을 하부로 반죽하는 동작, 3분 동안 상기 만두소의 재료들을 좌 및 우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반죽하는 동작, 3분 동안 상기 만두소의 재료들을 좌 및 우 중 다른 하나의 방향으로 반죽하는 동작 및 5분 동안 상기 만두소의 재료들을 원형으로 휘저어 주는 동작을 순차적으로 진행함으로써 행하여지는, 찹쌀피만두 제조방법.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찹쌀피만두를 찌는 단계는,
    각각의 찹쌀피만두가 분리되어 담기는 복수의 단위 셀이 형성되고, 수분이 통과될 수 없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용기를 사용하여, 상기 단위 셀에 찹쌀피만두를 하나씩 넣고 찜으로써 행하여지는, 찹쌀피만두 제조방법.
  6. 삭제
  7. 제1 항의 찹쌀피만두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찹쌀피만두.
KR1020160142282A 2016-10-28 2016-10-28 찹쌀피만두 및 그 제조방법 KR1018675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2282A KR101867584B1 (ko) 2016-10-28 2016-10-28 찹쌀피만두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2282A KR101867584B1 (ko) 2016-10-28 2016-10-28 찹쌀피만두 및 그 제조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5622A Division KR20180066013A (ko) 2018-06-07 2018-06-07 찹쌀피만두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6732A KR20180046732A (ko) 2018-05-09
KR101867584B1 true KR101867584B1 (ko) 2018-06-14

Family

ID=62200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2282A KR101867584B1 (ko) 2016-10-28 2016-10-28 찹쌀피만두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758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6294U (ja) * 1991-11-27 1993-06-22 猿山 照橘 蒸し饅頭
KR101521395B1 (ko) * 2014-12-05 2015-05-18 주형동 다양한 색상표현이 가능한 산나물 만두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3782B1 (ko) * 2003-01-16 2005-07-27 조희주 꼬투리 김밥의 제조방법
KR20080068795A (ko) * 2008-06-24 2008-07-24 정진욱 쥐눈이 콩 여두청국장분말만두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6294U (ja) * 1991-11-27 1993-06-22 猿山 照橘 蒸し饅頭
KR101521395B1 (ko) * 2014-12-05 2015-05-18 주형동 다양한 색상표현이 가능한 산나물 만두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6732A (ko) 2018-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813136B (zh) 一种虾饺及其制备方法
KR101712778B1 (ko) 돈까스 요리의 제조방법
CN103271385A (zh) 鱼挞及其加工方法
KR20130061799A (ko) 풍미 증진을 위한 소불고기 소스 및 이를 이용한 소불고기의 조리 방법
KR20180119807A (ko) 치즈김치삼겹살꼬치구이
KR101867584B1 (ko) 찹쌀피만두 및 그 제조방법
KR101839981B1 (ko) 저나트륨 연어식해 제조방법
KR101652426B1 (ko) 게 풍미 고로케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게 풍미 고로케
KR20120107766A (ko) 꽃게 김치의 제조방법
KR101804452B1 (ko) 가정 대체식품을 제조하는 방법
CN109363095A (zh) 一种豉油鸡腌制调味料及制作方法和利用该腌料的腌制品及其制备方法
CN112425749B (zh) 一种香脆型剁辣椒食品的制备工艺
CN104664438B (zh) 一种烤鸭风味鸭肉火腿及其制备方法
KR20180066013A (ko) 찹쌀피만두 및 그 제조방법
KR102134517B1 (ko) 청양고추와 젓갈을 이용한 무채김치의 제조방법
KR101485435B1 (ko) 밥동그랑땡 조성물 및 밥동그랑땡의 제조 방법
CN102232509A (zh) 酱面的制作方法
JP2010142184A (ja) 冷凍味付麺食品の製造方法および冷凍味付麺食品
KR20170049166A (ko) 고로케 제조 방법
KR101347332B1 (ko) 더덕 물김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095940A (ko) 즉석 냉동 잡채 및 그 제조방법
KR101943587B1 (ko) 파발효액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파발효액을 이용한 발효양념장
KR100854912B1 (ko) 전복 고추장 장아찌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60301A (ko) 양배추 김치 제조방법
Hatta et al. Traditional Egg and Egg Produc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