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7503B1 - 광경화성 접착제 및 표시 소자 - Google Patents

광경화성 접착제 및 표시 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7503B1
KR101857503B1 KR1020110122677A KR20110122677A KR101857503B1 KR 101857503 B1 KR101857503 B1 KR 101857503B1 KR 1020110122677 A KR1020110122677 A KR 1020110122677A KR 20110122677 A KR20110122677 A KR 20110122677A KR 101857503 B1 KR101857503 B1 KR 1018575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acrylate
meth
photo
photocur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26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8410A (ko
Inventor
김상국
토모히로 에토
에이지 와타나베
Original Assignee
제이엔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엔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이엔씨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200584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84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75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75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4/00Adhesives based o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 adhesives, based on monomer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f groups C09J183/00 - C09J183/16
    • C09J4/06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in combination with a macromolecular compound other than an unsaturated polymer of groups C09J159/00 - C09J187/00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0Compositions of cellulose, modified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 C08L1/08Cellulose deriva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8Macromolecular additiv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Abstract

투명성, 피접착재와의 접착성 및 리페어성이 우수한 접착막을 얻을 수 있는 광경화성 접착제가 제공된다. 특정의 셀룰로오스 유도체(A), 라디칼 중합성 모노머(B), 광중합 개시제(C), 충전제(D), 실란 커플링제(E), 계면 활성제(F)를 함유하는 광경화성 접착제를 글래스나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의 접착면에 도포하고, 광조사를 통한 경화에 의해 피접착재를 접착하는 것으로, 광경화 실시만으로 높은 투명성, 피접착재와 같은 정도의 굴절률, 피접착재와의 접착성 및 리페어성이 우수한 피접착재의 접착을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광경화성 접착제 및 표시 소자{PHOTOCURABLE ADHESIVE AGENT AND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 화면과 상기 표시 화면 상에 배치되는 투광 부재를 접합시키는데 적합한 광경화성 접착제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액정 표시 패널은 차량용이나 휴대 정보 기기용 등으로 다수 사용되고 있으며, 상기 액정 표시 패널을 구성하는 편광판과 입력 소자를 접착하는 접착제는 우수한 접착력, 굴절률 제어나 높은 투명성이 요구된다. 일반적으로, 표시 소자와 입력 소자의 제작 방법에 있어서, 입력 소자를 표시 소자에 내장하는 방법(인셀)과, 입력 소자와 표시 소자를 접착으로 접합시키는 방법(온셀)이 실시되고 있다. 전자는 내장화에 있어서 복잡한 프로세스나 정밀한 공정이 필요하지만, 후자는 입력 소자와 표시 소자를 제작하여 이들을 접합시키는 것뿐이므로 제작 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현재, 입력 소자와 표시 소자 기재를 접착하기 위해서 양면 테이프나 광경화성 접착제가 사용되고 있다. 표시 소자의 외주(外周)에 두께 0.3 내지 1mm의 양면 접착제가 부착된 쿠션을 설치하여 투명 터치 패널을 고정하는 방법이 있다. 또한, 표시 소자에 터치 패널을 광경화성 접착제로 전체 면에 접착하는 방법도 있다. 전체면에 접합을 하는 경우, 표시 소자와 터치 패널 혹은 커버 플레이트 사이의 공기층이 광경화성 접착제를 대신하기 때문에, 공기층과의 경계면에서의 반사가 감소하여 화질이 향상된다.
광경화성 접착제의 굴절률은 터치 패널이나 커버 플레이트의 굴절률과 거의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경화성 접착제로서 액상 접착제를 사용하는 경우, 표시 소자에 약 1mm의 두께로 접착제를 도포하고, 진공 중에서 커버 플레이트와 접합시키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상기 접착제로서 겔상이나 고무상의 것을 사용하여도 좋다. 또한, 같은 액상 접착제를 사용하여, 표시 소자와 터치 패널을 대기 중에서 기포가 혼입하지 않도록 대기 중에서 접합시키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2 참조).
또한, 액상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서 투명 접착 시트로 접합시키는 방법도 있다. 접착면에 기포가 들어가지 않도록 휘발성 용제와 0.2mm의 접착시트를 사용하여 표시 소자와 터치 패널을 라미네이트하여 접합시키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3참조). 또한, 리페어성과 충격 흡수성을 갖는 투명 접착 시트로서, 두께 0.1mm의 실리콘 고무층으로 두께 3mm의 실리콘 겔층을 샌드위치한 3층 구조의 투명 접착 시트를 사용하여 표시 소자와 커버 플레이트를 접합시키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4참조).
지금까지의 광경화성 접착제는, 접착 후, 접합 미스에 대한 리페어(재접착)를 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높은 투명성을 갖는 표시 소자와 입력 소자의 접착성 등에 우수하고, 또한 리페어성을 갖는 광경화성 접착제의 개발이 강하게 요청되고 있다. 추가적으로, 피접착 재료와 같은 정도의 굴절률을 갖는 투명 접착막이 요구되고 있다.
선행 기술 문헌
특허 문헌1: 일본 특허 공개 공보 평07-114010호
특허 문헌2: 일본 특허 공개 공보 평09-274536호
특허 문헌3: 일본 특허 공개 공보 평06-075210호
특허 문헌4: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2004-101636호
본 발명은 투명성, 피접착재와의 접착성 및 리페어성이 우수한 접착막을 수득할 수 있는 광경화성 접착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자 등은, 화학식 (I)로 표시되는, 셀룰로오스 유도체(A), 라디칼 중합성 모노머(B), 광중합 개시제(C), 충전제(D), 실란 커플링제(E), 계면활성제(F)를 함유하는 광경화성 접착제가 경화막의 형성에 있어서 광경화만으로 높은 투명성, 피접착재(예를 들면, 글래스/글래스간 또는 글래스/TAC(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와 같은 정도의 굴절률, 접착성, 리페어성 등을 갖는 막을 형성하는 것을 발견하고, 상기 발견에 근거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이하의 항목을 포함한다.
[1] 화학식 (I)로 표시되는 셀룰로오스 유도체(A), 광중합에 의해 경화하는 광경화성 매체 및 광중합 개시제(C)를 함유하는 광경화성 접착제.
[화학식 1]
Figure 112011092690912-pat00001
상기의 화학식 (I)에 있어서, X는 독립하여 수소 또는 R이고, R은 독립하여 -(CH2CH(CH3)-O)mH, -CH3, -CH2CH3, -COCH3, -CH2CH2OH, -CH2CH2CH3, -CH2CH2OCH2CH3, 또는 -CH2CH(CH3)-OCH3를 나타내고, n은 10 내지 20,000을 나타낸다. 또한 R에 있어서, m은 1 내지 5의 정수를 나타낸다.
[2] 상기 광경화성 매체가 라디칼 중합성 모노머(B)를 포함하는 [1]에 기재된 광경화성 접착제.
[3] 상기 광경화성 매체가, 중량 평균 분자량 1,000 내지 100,000의 공중합체인 충전제(D)를 포함하는 [1] 또는 [2] 에 기재된 광경화성 접착제.
[4] 실란 커플링제(E) 및 계면활성제(F)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광경화성 접착제.
[5] 라디칼 중합성 모노머(B)가 일 분자 중에 하나 이상의 수산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포함하는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광경화성 접착제.
[6] 두 가지의 광학 소자가 광경화성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어 형성되는 표시 소자에 있어서, 상기 광경화성 접착제가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광경화성 접착제인 표시 소자.
[7] 상기 두 가지의 광학 소자는 표시 패널과 입력 소자인 [6] 에 기재된 표시 소자.
본 발명의 광경화성 접착제을 사용하여 투명성, 피접착재와의 접착성 및 리페어성이 우수한 접착막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광조사에 의한 경화에 의해 접착막이 형성되기 때문에 접착 작업이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광경화성 매체의 종류나 조성에 의해, 형성되는 접착막의 굴절률을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아크릴레이트와 메타크릴레이트의 양자를 나타내기 위해 '(메타)아크릴레이트'와 같이 표기할 수 있다.
1. 광경화성 접착제
본 발명의 광경화성 접착제는 셀룰로오스 유도체(A), 광경화성 매체 및 광중합 개시제(C)을 함유하는 광경화성 접착제이다.
1-1. 셀룰로오스유도체(A)
본 발명에 사용되는 셀룰로오스 유도체(A)는 화학식 (I)로 표시될 수 있다. 셀룰로오스 유도체(A)로는, 본 발명에 있어서 광경화성 매체에 용해되는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셀룰로오스 유도체(A)는 1 종류일 수도 2 종류 이상일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11092690912-pat00002
상기의 화학식 (I)에 있어서, X는 독립하여 수소 또는 R이고, R은 독립하여 -(CH2CH(CH3)-O)mH, -CH3, -CH2CH3, -COCH3, -CH2CH2OH, -CH2CH2CH3, -CH2CH2OCH2CH3 또는 -CH2CH(CH3)-OCH3를 나타내며, n은 10 내지 20,000을 나타낸다. 또한 R에 있어서, m은 1 내지 5의 정수를 나타낸다.
셀룰로오스 유도체(A)의 예로서,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에틸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메틸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및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를 들 수 있다. 셀룰로오스 유도체(A)는 히드록시알킬을 갖는 셀룰로오스 유도체인 것이 접착성을 높인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이 중에서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가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광경화성 접착제 전체량에 대하여 셀룰로오스 유도체(A)의 함유량은 접착성 획득의 관점 0.01중량%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05중량%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중량%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셀룰로오스 유도체(A)의 함유량은 광경화성 접착제 취급의 용이성 관점에서 50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0중량%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20중량%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셀룰로오스 유도체(A)에 있어서, R의 도입율은 광경화성 매체로의 용해성 관점에서 13%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5 내지 8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40 내지 8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셀룰로오스 유도체(A)에 있어서 R의 도입율은, 셀룰로오스 중 전체 수산기의 수소 원자수에 대한 셀룰로오스 유도체(A) 중 R의 수의 백분율로 표시된다. 즉, 셀룰로오스 유도체(A)에 있어서, R의 도입율=R의 개수/(R의 개수 + 수산기의 개수)이다. 상기 도입율은, 예를 들면, 1H-NMR이나 원소 분석 등의 통상적인 분석 기기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R은 셀룰로오스 유도체(A)에 있어서 균일하게 도입되어 있어도 좋고, 편중되게 도입되어 있어도 좋다.
셀룰로오스 유도체(A)는 셀룰로오스의 수산기를 에테르화나 에스테르화하는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제조하는 것으로 얻어진다. 또한 셀룰로오스 유도체(A)는 시판품으로서 얻어진다. 셀룰로오스 유도체(A)의 시판품으로서, 예를 들면, 닛폰소다(주)(NIPPON SODA CO., LTD.)의 제품명 HPC-SSL, HPC-SL, HPC-L, HPC-M 및 HPC-H를 사용할 수 있다.
1-2. 광경화성 매체
본 발명에 사용되는 광경화성 매체는 투명한 액체이고, 셀룰로오스 유도체(A), 광중합 개시제(C) 및 필요에 따라서 추가적으로 첨가되는 다른 성분을 용해하는 용해성을 갖는 한편, 광중합에 의해 경화되는 재료이다. 상기 광경화성 매체는 1 종류를 사용할 수 있고, 2 종류 이상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의 광경화성 매체로의 예로서, 라디칼 중합성 모노머(B), 충전제(D), 라디칼 중합성 혹은 광가교성을 갖는 올리고머 및 라디칼 중합성 혹은 광가교성을 갖는 폴리머를 들 수 있다.
라디칼 중합성 모노머(B)는 라디칼 중합성을 갖는 불포화 이중 결합을 갖고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라디칼 중합성 모노머(B)는 1 종류를 사용할 수 있고, 2 종류 이상을 사용할 수도 있다. 라디칼 중합성 모노머(B)의 예로서 아크릴계 모노머, 산무수물기를 갖는 중합성 모노머, 기타 라디칼 중합성 모노머를 들 수 있다. 라디칼 중합성기는 단관능 혹은 다관능이어도 좋다. 예를 들면 아크릴계 모노머로서는 단관능 모노머와 다관능 모노머를 들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단관능 모노머의 예로서,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메타크릴로일모르폴린,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n-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2차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3차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펜틸(메타)아크릴레이트, 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헵틸(메타)아크릴레이트, 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노닐(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메타)아크릴레이트, 1-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3-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1-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3-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1-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5-히드록시펜틸(메타)아크릴레이트, 6-히드록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및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일 분자 중에 1 개 이상의 수산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 예를 들면 히드록시기를 함유하는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가 접착성 획득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히드록시기를 함유하는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의 예로서, 1-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3-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1-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3-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1-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5-히드록시펜틸(메타)아크릴레이트, 6-히드록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및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히드록시기 함유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는 광경화성 접착제에 있어서, 광중합에 의한 접착막에 가소성을 부여하고, 상기 광경화성 접착제의 접착력를 높일 뿐만 아니라, 나아가 광중합 개시제나 셀룰로오스 유도체의 용매로서 유효하게 작용한다. 또한, 상기 히드록시기 함유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중에서도 알킬기의 탄소수가 2 내지 6인 히드록시기 함유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를 적절하게 조합시키는 것이 상기 셀룰로오스 유도체의 용매로서 유효하게 작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아크릴계 다관능 모노머의 예로서, 1,4-부탄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1,3-부탄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1,9-노난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1,10-데칸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2-n-부틸-2-에틸-1,3-프로판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옥시드부가비스페놀A디(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렌옥시드부가비스페놀A디(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렌옥시드부가비스페놀F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메틸올디시클로펜타디엔일디(메타)아크릴레이트, 1,3-부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렌옥시드변성 이소시아누르산 디(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3-(메타)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카보네이트디올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테르디올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카프로락톤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부타디엔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비스페놀F에틸렌옥시드변성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비스페놀A에틸렌옥시드변성 디(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시아누르산 에틸렌옥시드변성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 디(메타)아크릴레이트모노스테아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디(메타)아크릴레이트, 1,4-부탄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1,9-노난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디(메타)아크릴레이트, 2-n-부틸-2-에틸-1,3-프로판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디(메타)아크릴레이트, 변성이소시아누르산에틸렌옥시드변성디(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 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트리톨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 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 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 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렌옥시드변성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옥시드변성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에피클로로히드린변성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세린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렌옥시드변성 글리세린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옥시드변성 글리세린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에피클로로히드린변성 글리세린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디트리메틸올프로판 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디글리세린 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변성 디펜타에리스리톨 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렌옥시드변성 인산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스[(메타)아크릴록시에틸] 이소시아누레이트, 카프로락톤변성트리스[(메타)아크릴록시에틸] 이소시아누레이트, 및 ,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를 들 수 있다.
상기 산무수물기를 갖는 중합성 모노머의 예로서, 무수말레인산, 무수이타콘산 및 무수시트라콘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기타 라디칼 중합성 모노머의 예로서, 스티렌, α-메틸스티렌, 비닐톨루엔, 초산비닐, 초산아릴, 2-알킬프로펜산, 아크릴아미드, N-알킬아크릴아미드, 디알킬아크릴아미드, 메타크릴아미드, N-알킬메타크릴아미드, 디알킬메타크릴아미드, 4-비닐피리딘, 아크릴로니트릴, N-비닐피롤리돈, N-비닐이미다졸, 이소프렌, 디비닐벤젠, 프탈산디아릴, 말레이미드, N-메틸말레이미드, N-에틸말레이미드, N-시클로헥실말레이미드 및 N-페닐말레이미드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광경화성 접착제 전체량에 대하여 라디칼 중합성 모노머(B)의 함유량은 중합에 의한 접착막에의 가소성 부여의 관점에서, 10 내지 9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15 내지 85중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20 내지 85중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광경화성 접착제 전체량에 대하여 상기 아크릴계 단관능 모노머의 함유량은 중합에 의한 접착막에의 가소성 부여의 관점에서, 0.5 내지 85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1 내지 80중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 내지 75중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광경화성 접착제 전체량에 대하여 상기의 히드록시기를 함유하는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의 함유량은, 상기 광중합 개시제나 셀룰로오스 유도체에대한 용매로서의 유효성 관점에서, 2 내지 9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5 내지 85중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0 내지 80중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광경화성 접착제 전체량에 대하여 상기 아크릴계 다관능 모노머의 함유량은 접착막에의 가소성 부여와 접착력 제어의 관점에서, 0.01 내지 8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0.05 내지 60 중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0.1 내지 50 중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산무수물기를 갖는 중합성 모노머의 함유량은 접착막에의 가소성 부여의 관점에서, 본 발명의 광경화성 접착제 전체량에 대하여 0.01 내지 8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0.05 내지 60중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0.1 내지 50중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광경화성 접착제 전체량에 대하여 상기의 기타 라디칼 중합성 모노머의 함유량은 접착막에의 가소성 부여의 관점에서, 0.01 내지 8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1 내지 60중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 내지 50중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충전제(D)는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 내지 100,000인 공중합체이다. 충전제(D)는 상술한 라디칼 중합성을 갖는 모노머(B)의 라디칼 공중합에 의해 얻어진다. 충전제(D)는 1 종류를 사용할 수 있고 2 종류 이상을 사용할 수도 있다. 충전제(D)를 함유하는 것이 굴절률 제어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충전제(D)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폴리에틸렌옥시드를 표준으로 한 GPC분석으로 구할 수 있다. 표준의 상기 폴리에틸렌옥시드로는 분자량이 1,000 내지 510,000의 폴리에틸렌옥시드(예를 들면, 토우소(주)(TOSOH CORPORATION) 제품인 TSK standard)를 사용하고, 컬럼에는 Shodex KD-806M(쇼와 덴코(昭和電工)(주)(SHOWA DENKO K.K.) 제품)를 사용하고, 이동상(移動相)으로서 DMF를 사용하는 조건에서 상기 중량 평균 분자량을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경화성 접착제 전체량에 대하여 충전제(D)의 함유량은 굴절률 제어 및 용해성의 관점에서, 0.001 내지 8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0.005 내지 60중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0.1 내지 50중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라디칼 중합성 혹은 광가교성을 갖는 올리고머 및 라디칼 중합성 혹은 광가교성을 갖는 폴리머는, 예를 들면 다관능의 라디칼 중합성 모노머를 포함하는 라디칼 중합성 모노머의 라디칼 중합에 의해 수득할 수 있다.
상기 광경화성 매체는 상기의 두 종류 이상의 화합물로부터 이루어진 것이, 상기 광경화성 매체의 특성의 조정이나 향상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상기 광경화성 매체가 라디칼 중합성을 갖는 모노머(B)와 충전제(D)를 포함하는 경우 접착막에의 가소성 부여와 굴절률 제어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이 경우, 라디칼 중합성을 갖는 모노머(B) 100중량부에 대하여 충전제(D)의 사용량은 상기의 관점에서, 1 내지 200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내지 150중량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20 내지 100중량부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광경화성 매체는, 본 발명의 광경화성 접착제 전체량에 대하여, 라디칼 중합성을 갖는 모노머(B)와 충전제(D)의 함유량 합계가 상기의 관점에서, 50 내지 99.9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70 내지 99중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80 내지 98중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90 내지 98중량%인 것이 보다 한층 바람직하다.
1-3. 광중합 개시제(C)
광중합 개시제(C)는 자외선 또는 가시광선의 조사에 의해 라디칼을 발생하는 화합물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광중합 개시제(C)는 1 종류를 사용할 수 있고 2 종류 이상을 사용할 수도 있다. 광중합 개시제(C)의 예로서, 벤조페논, 미히라즈케톤(michler's ketone), 4,4'-비스(디에틸아미노)벤조페논, 크산톤, 티오크산톤, 이소프로필크산톤, 2,4-디에틸티오크산톤, 2-에틸안트라퀴논, 아세토페논, 2-히드록시-2-메틸프로피오페논, 2-히드록시-2-메틸-4'-이소프로필프로피오페논,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이소프로필벤조인에테르, 이소부틸벤조인에테르, 2,2-디에톡시아세토페논, 2,2-디메톡시-2-페닐아세토페논, 캄파퀴논, 벤즈안트론,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모르폴리노프로판-1-온, 2-벤질-2-디메틸아미노-1-(4-모르폴리노페닐)-부타논-1, 4-디메틸아미노안식향산에틸, 4-디메틸아미노안식향산이소아밀, 4,4'-디(t-부틸퍼옥시카르보닐)벤조페논, 3,4,4'-트리(t-부틸퍼옥시카르보닐)벤조페논, 3,3',4,4'-테트라(t-부틸퍼옥시카르보닐)벤조페논, 3,3',4,4'-테트라(t-헥실퍼옥시카르보닐)벤조페논, 3,3'-디(메톡시카르보닐)-4,4'-디(t-부틸퍼옥시카르보닐)벤조페논, 3,4'-디(메톡시카르보닐)-4,3'-디(t-부틸퍼옥시카르보닐)벤조페논, 4,4'-디(메톡시카르보닐)-3, 3'-디(t-부틸퍼옥시카르보닐)벤조페논, 1,2-옥탄디온, 1-[4-(페닐티오)페닐]-, 2-(o-벤조일옥심), 2-(4'-메톡시스티릴)-4,6-비스(트리클로로메틸)-s-트리아진, 2-(3',4'-디메톡시스티릴)-4,6-비스(트리클로로메틸)-s-트리아진, 2-(2',4'-디메톡시스티릴)-4,6-비스(트리클로로메틸)-s-트리아진, 2-(2'-메톡시스티릴)-4,6-비스(트리클로로메틸)-s-트리아진, 2-(4'-펜틸옥시스티릴)-4,6-비스(트리클로로메틸)-s-트리아진, 4-[p-N,N-디(에톡시카르보닐메틸)]-2,6-디(트리클로로메틸)-s-트리아진, 1,3-비스(트리클로로메틸)-5-(2'-클로로페닐)-s-트리아진, 1,3-비스(트리클로로메틸)-5-(4'-메톡시페닐)-s-트리아진, 2-(p-디메틸아미노스티릴)벤즈옥사졸, 2-(p-디메틸아미노스티릴)벤즈티아졸, 2-머캅토벤조티아졸, 3,3'-카르보닐비스(7-디에틸아미노쿠마린), 2-(o-클로로페닐)-4,4',5,5'-테트라페닐-1,2'-비이미다졸, 2,2'-비스(2-클로로페닐)-4,4',5,5'-테트라키스(4-에톡시카르보닐페닐)-1,2'-비이미다졸, 2,2'-비스(2,4-디클로로페닐)-4,4',5,5'-테트라페닐-1,2'-비이미다졸, 2,2'-비스(2,4-디브로모페닐)-4,4',5,5'-테트라페닐-1,2'-비이미다졸, 2,2'-비스(2, 4, 6-트리클로로페닐)-4,4',5,5'-테트라페닐-1,2'-비이미다졸, 3-(2-메틸-2-디메틸아미노프로피오닐)카르바졸, 3,6-비스(2-메틸-2-모르폴리노프로피오닐)-9-n-도데실카르바졸,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비스(η5-2,4-시클로펜타디엔-1-일)-비스(2,6-디플루오로-3-(1H-피롤-1-일)-페닐)티타늄,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페닐포스핀옥시드 및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시드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광경화성 접착제 전체량에 대하여 광중합 개시제(C)의 함유량은 자외선 또는 가시광선의 조사에 대한 감도의 관점에서, 0.002 내지 2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0.005 내지 15중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0.01 내지 10중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광경화성 접착제는 본 발명의 효과가 얻을 수 있는 범위에 있어서, 셀룰로오스 유도체(A), 광경화성 매체 및 광중합 개시제(C) 이외의 다른 성분을 더 함유할 수도 있다. 상기 다른 성분의 예로서, 실란 커플링제(E) 및 계면활성제(F)를 들 수 있다.
1-4. 실란 커플링제(E)
본 발명의 광경화성 접착제는 형성되는 접착막과 기판과의 접착성을 더 향상시키기 위해 실란 커플링제(E)를 더 함유할 수도 있다. 상기의 관점에서, 본 발명의 광경화성 접착제 전체량에 대하여 실란 커플링제(E)의 함유량은 0.01 내지 2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0.05 내지 15중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0.1 내지 10중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실란 커플링제(E)는 1 종류 혹은 2 종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실란 커플링제(E)의 예로서, 3-글리시독시프로필디메틸에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및 3-메타글리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을 들 수 있다.
1-5. 계면 활성제(F)
본 발명의 광경화성 접착제는 도포 균일성을 더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계면활성제(F)를 더 함유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본 발명의 광경화성 접착제 전체량에 대하여 계면 활성제(F)의 함유량은, 0.01 내지 1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0.01 내지 8중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0.01 내지 5중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계면 활성제(F)는 1 종류 혹은 2 종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계면 활성제(F)의 예로서, 폴리프로 No.45, 폴리프로 KL-245, 폴리프로 No.75, 폴리프로 No.90, 폴리프로 No.95(이상 모두 상표명, 쿄에이샤(共榮社) 화학(주)(KYOEISHA CHEMICAL CO., LTD) 제품), 디스퍼비크(Disperbyk)161, 디스퍼비크162, 디스퍼비크163, 디스퍼비크164, 디스퍼비크166, 디스퍼비크170, 디스퍼비크180, 디스퍼비크181, 디스퍼비크182, BYK300, BYK306, BYK310, BYK320, BYK330, BYK344, BYK346(이상 모두 상표명, 비크(BYK) 케미 재팬(주) 제품), KP-341, KP-358, KP-368, KF-96-50CS, KF-50-100CS(이상 모두 상표명, 신에츠 화학공업(주)(Shin-Etsu Chemicla Co., Ltd) 제품), 사후론 SC-101, 사후론 KH-40(이상 모두 상표명, AGC 세이미 케미컬(주) 제품), 후타젠트222F, 후타젠트251, FTX-218(이상 모두 상표, (주)네오스 제품), EFTOP EF-351, EFTOP EF-352, EFTOP EF-601, EFTOP EF-801, EFTOP EF-802(이상 모두 상표명, 미츠비시 머티리얼즈(주)(Mitsubishi Materials Corporation) 제품), 메가파크F-171, 메가파크F-177, 메가파크F-475, 메가파크R-30, 메가파크F-556, 메가파크R-30(이상 모두 상표명, DIC(주) 제품), 플루오로알킬벤젠술폰산염, 플루오로알킬카르본산염, 플루오로알킬폴리옥시에틸렌에테르, 플루오로알킬암모늄요오드화물, 플루오로알킬베타인, 플루오로알킬술폰산염, 디글리세린테트라키스(플루오로알킬폴리옥시에틸렌에테르), 플루오로알킬트리메틸암모늄염, 플루오로알킬아미노술폰산염, 폴리옥시에틸렌노닐페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옥틸페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트리데실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세틸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스테아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라우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올리에이트, 폴리옥시에틸렌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아민, 소르비탄라우레이트, 소르비탄팔미테이트, 소르비탄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올리에이트, 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라우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팔미테이트,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올리에이트, 폴리옥시에틸렌나프틸에테르, 알킬벤젠술폰산염 및, 알킬디페닐에테르디술폰산염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광경화성 접착제의 점도는 도장 방법에 따라서 결정할 수 있고, 100 내지 40,000mPa·s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스크린 인쇄 방법을 사용하여 두께 20 내지 50μm의 도포막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생산성이 높게 도장하는 관점에서, 점도는 100 내지 20,000mPa·s인 것이 바람직하다. 광경화성 접착제의 점도는, 예를 들면 셀룰로오스 유도체(A)와 라디칼 중합성 모노머(B)의 함유량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또한 광경화성 접착제의 점도는 E형 점도계(토쿄케이키(주)(TOKYO KEIKI INC.), 제품명: VISCONIC EMD)를 사용하여 25℃에서 측정하여 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경화성 접착제는 적어도 한쪽이 투명인 피접착재를 포함하는 두 가지의 피접착재의 한쪽 또는 양쪽에 본 발명의 광경화성 접착제를 도포하고, 상기 두 가지의 피접착재를 접합시켜, 상기 투명한 피접착재를 매개하여 접착면에 자외선 등의 광중합을 일으키는 광을 조사하는 방법으로, 두 가지의 피접착재의 접착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경화성 접착제는, 예를 들면, 스크린 인쇄 방법으로 하지 피접착재(TAC필름 또는 글래스)에 도포하고, 상판 피접착재(TAC필름 또는 글래스)를 접합시킨 후, 자외선 등을 포함하는 광을 50 내지 3,000mJ/cm2로 조사하여 광경화성 접착제를 경화시킴으로써 상술한 피접착재를 접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광경화성 매체가 다른 성분을 용해시킬 수 있으므로, 용제를 함유하지 않는 광경화성 접착제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광경화성 접착제는, 광의 조사에 의해 피접착재의 접착이 가능하므로 높은 작업 용이성으로 피접착재의 접착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광경화성 접착제에 따르면, 피접착재 상에 형성되는 접착막은 박리 테이프를 사용하여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광경화성 접착제를 사용할 경우, 피접착재의 접합이 실패한 경우에도 접착막을 제거하여 접합을 다시 수행할(리페어)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광경화성 접착제를 이용하여 표시 소자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글래스나 TAC와 같은 정도의 굴절률을 갖는 접착막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경화성 접착제는 상기 표시 소자의 층간 접착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광경화성 접착제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있어서, 액정 표시 소자와 터치 패널 사이에 도포하여 광조사만으로 경화가 가능하며, 또한 높은 접착성, 1.5 정도의 굴절률 및 95%이상의 투과율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다양한 도포 방법, 예를 들면 스핀, 디스펜서, 스크린 인쇄 등에 대응하여 점도 조절이 가능하고, TAC와 접착성이 높거나, 접착 후의 접합 미스에 대하여 피접착재를 박리한 후 접착막을 박리 테이프로 제거가 가능하므로 리페어성도 갖출 수 있다.
본 발명의 표시 소자는, 두 가지의 광학 소자가 본 발명의 광경화성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어 이루어진 표시 소자이다. 본 발명의 표시 소자는 본 발명의 광경화성 접착제에 의해 접착된 광학 소자를 갖는 경우,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광학 소자는 표시 소자를 구성하는 부재로서 특정의 광학 특성의 광을 발생시키는 부재, 광이 통과하는 부재 또는 통과하는 광의 광학 특성을 변경시키는 부재이다. 접착되는 두 가지 광학 소자 중 적어도 하나의 광학 소자는 투명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광학 소자의 예로서, 글래스 기판을 포함하는 광학 소자, TAC 기판 또는 TAC 필름을 포함하는 광학 소자를 들 수 있다. 상기 광학 소자의 예로서, 액정 표시 소자를 구성하는 각 부재를 들 수 있고, 구체적으로, 표시 패널, 입력 소자, 보호 커버 및 칼라 필터를 들 수 있다.
표시 패널은 표시 소자에 있어서 영상을 표시하는 부재이다. 이와 같은 표시 패널의 예로서, 액정 표시 소자,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유기 EL, 무기 EL, 및 FED를 들 수 있다. 상기 입력 소자의 예로서, 터치 패널 등의 투명 입력 소자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표시 소자에 있어서 광학 소자의 접착면은 광학 소자의 표면의 일부(점 또는 선 형상)일 수도 있고, 전체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표시 소자에 있어서, 접착막의 굴절률이 기판의 굴절률과 같은 정도이기 때문에, 상기 광학 소자의 접착면은 표시 패널의 영상 표시 영역의 전체를 포함하는 것이 표시되는 영상 화질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광학 소자에 있어서 접착면의 재질은 투명성이나 기계적 강도 등의 소자로서의 기능의 관점 및 본 발명의 광경화성 접착제에 의한 충분한 접착성의 관점에서, 글래스나 TAC인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52]
표 1 및 표 2에 기재되어 있는 A ~ F의 각 성분을 하기의 표에 기재되어 있는 배합량(중량%)으로 혼합하여 교반하여 광경화성 접착제를 얻었다.
<표 1>
Figure 112011092690912-pat00003

<표 2>
Figure 112011092690912-pat00004
상기의 표 1 및 표 2에 있어서, A ~ F의 각 성분의 표시는 이하의 제품 또는 성분을 나타낸다.
A-1: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Acros Organics, Hydroxypropyl cellulose, Average M.W. 100,000)
A-2: 메틸셀룰로오스(와코우쥰야쿠 공업(주)(Wako Pure Chemical Industries, Ltd.), 메틸셀룰로오스400)
A-3: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와코우쥰야쿠 공업(주),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B-1: 산변성에폭시아크릴레이트(닛폰카야쿠(日本化藥)(주)(NIPPON KAYAKU Co., Ltd.), 제품명:KAYARD ZFR-1491)
B-2: 산변성에폭시아크릴레이트(닛폰카야쿠(日本化藥)(주), 제품명:KAYARD CCR-1285)
B-3: 산변성에폭시아크릴레이트(닛폰카야쿠(日本化藥)(주), 제품명:KAYARD CCR-1287)
B-4: 산변성에폭시아크릴레이트(니혼유피카(주)(JAPAN U-PICA Company. Ltd.), 제품명:네오폴8477-350)
B-5: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토아고세이(東亞合成)(주)(TOAGOSEI CO., LTD.), 제품명:아로닉스M-402)
B-6: 2관능 아크릴레이트(쿄에이샤(共榮社) 화학(주), 제품명:에폭시에스테르80MFA)
B-7: 2관능 아크릴레이트(쿄에이샤(共榮社) 화학(주), 제품명:에폭시에스테르70PA)
B-8: 2관능 아크릴레이트(쿄에이샤(共榮社) 화학(주), 제품명:에폭시에스테르200PA)
B-9: 4-히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닛뽄카세이(주)(Nippon Kasei Chemical Co., Ltd.), 제품명:4-HBA)
B-10: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칸토카가쿠(주)(KANTO CHEMICAL CO., INC.), 제품명:HEMA)
B-11: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칸토카가쿠(주), 제품명:HEA)
C-1: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시드(BASF사, 제품명:DAROCUR TPO)
C-2: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몰포리노프로판-1-온(BASF사, 제품명:IRGACURE 907)
C-3: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BASF사, 제품명:IRGACURE 184)
D-1: 메틸메타크릴레이트(60)+부틸메타크릴레이트(40)공중합체(Mw:10,000)
D-2: 메틸메타크릴레이트(20)+부틸메타크릴레이트(80)공중합체(Mw:10,000)
D-3: 부틸메타크릴레이트(60)+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40)공중합체(Mw:15,000)
D-4: 메틸메타크릴레이트(16.5)+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16.5)+부틸메타크릴레이트(67)공중합체(Mw:15,000)
E-1: 3-메타글리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칫소(주)(CHISSO CORPORATION)), 제품명:사이라스, S710)
F-1: 계면활성제(DIC(주), 제품명:메가파크F-556)
얻어진 광경화성 접착제에 대하여 점도, 광투과율, 굴절률, 접착성 및 리페어성을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를 표 3 및 표 4에 나타낸다.
<표 3>
Figure 112011092690912-pat00005
<표 4>
Figure 112011092690912-pat00006
광경화성 접착제의 점도는, E형 점도계(토쿄케이키(東京計器)(주), 제품명: VISCONIC EMD)를 사용하여 25℃에서 측정하였다. 점도의 단위는 mPa·s이다.
광경화성 접착제의 광투과율 측정은, 4cm×4cm×0.05cm 사이즈의 글래스 상에 50μm 비즈 스페이서를 산포하고, 상기 글래스 상에 광경화성 접착제를 약 0.1mL 적하하고, 상기 광경화성 접착제가 적하된 글래스의 표면에 4cm×4cm×0.05cm 사이즈의 글래스를 접착시켜 압착하고, 자외선을 조사를 통해 노광(전선(全線) 1,000mJ/cm2, 고압 수은등)하여 글래스와 글래스를 접착하여 검체를 제작하고, 상기 검체의 글래스와 글래스의 대향 방향에 있어서 광투과율 측정을 자외가시근 적외분광 광도계(니혼분코우(日本分光)(주) 제품, 제품명:V-670)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광투과율은 350nm 내지 800nm의 파장을 측정했을 때의 400nm에서의 광투과율(T%)이다.
광경화성 접착제의 굴절률은 광경화성 접착제를 글래스상에 스핀 코팅법에의해 도포하고, 얻어진 도막을 질소 분위기 하에서 노광(전선 1,000mJ/cm2, 고압 수은등)하는 것에 의해 광경화성 접착제의 막(막두께는 7 내지 10μm)을 형성하고, 상기 막을 박막 반사형 막두께 측정기(오츠카덴시(大塚電子)(주)(OTSUKA ELECTRONICS CO., LTD) 제품, 제품명:FE-3000)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굴절률은 파장589nm의 광에서의 굴절률이다.
접착성은 이하의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광경화성 접착제의 접착성은, 1cm×4cm 글래스상에 50μm 비즈 스페이서를 산포하고, 글래스 상에 접착제를 약 0.05mL 적하하고, 상기 접착제가 적하된 글래스의 표면에 1cm×4cm 글래스 또는 TAC 필름을 아래의 글래스에 대하여 T자형을 형성하도록 접합 및 압착하고, 자외선을 조사를 통해 노광(전선 1,000mJ/cm2, 고압 수은등)하여 글래스와 글래스 또는 TAC 필름을 T자형으로 접착하고, 얻어진 T자형의 검체에 있어서 서로 접착되어 있는 글래스와 글래스 또는 TAC필름을 손으로 박리시키고, 박리 시의 모양에 의해 평가하였다. 평기 기준은 이하와 같다.
○: 검체를 박리할 때에 저항이 있다.
△: 검체를 박리할 때에 저항 다소 있음.
×: 검체를 박리할 때에 저항 없음.
광경화성 접착제의 리페어성은 글래스와 TAC 필름에 의한 상기 T자형의 검체에 있어서 서로 접착되어 있는 글래스와 TAC필름을 손으로 박리하고, 박리면에 잔존하는 광경화성 접착제를 접착 테이프(스미토모3M(住友3M)(주)(Sumitomo 3M Limited), 전기 절연 테이프 폴리에스테르 필름 테이프 No.56)의 부착 및 박리의 반복 조작에 의해 제거되었을 때의 모양으로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은 이하와 같다.
○: 잔존하는 광경화성 접착제를 1회 내지 수회의 접착 테이프의 부착 및 박리로 제거할 수 있었다.
×: 잔존하는 광경화성 접착제를 접착 테이프의 부착 및 박리로 제거할 수 없다.
실시예 1 ~ 52에서는 셀룰로오스 유도체(A), 라디칼 중합성 모노머(B), 광중합 개시제(C), 충전제(D), 실란 커플링제(E) 및 계면활성제(F)를 다양하게 조합하여 평가한 결과, 점도, 광투과율, 굴절률, 접착성 및 리페어성의 모든 특성에 있어서 표시 소자의 층간 접착제로서의 만족할 수 있는 결과를 얻었다. 특히 TAC 필름과의 접착성은 양호하였다. 실시예 1 ~ 34의 글래스와 TAC필름 사이의 경화물을 손으로 박리하면 글래스에는 남지 않고, TAC로의 부착을 확인하였다. TAC에 남아 있는 경화물을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 테이프로 제거할 수 있었고, 즉 양호한 리페어성이 확인되었다.
특히, 실시예 12 ~ 23, 35 ~ 50에서는, 라디칼 중합성 모노머(B)와 이 라디칼 중합성 모노머(B)를 포함하거나 이와 유사한 모노머의 공중합체인 충전제(D)이며 라디칼 중합성 모노머(B)의 광중합물보다도 경도가 일반적으로 높은 충전제(D)를 병용하는 것으로, 라디칼 중합성 모노머(B)만을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보다 높은 굴절률을 얻었다. 이와 같이, 충전제(D)의 사용에 의해 굴절률이 제어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실시예 12 ~ 23, 35 ~ 50에서는, 이와 같은 충전제(D)를 라디칼 중합성 모노머(B)와 병용하는 것으로, 글래스나 TAC 필름에 대하여 라디칼 중합성 모노머(B)에 의한 충분한 접착성과 동등하거나 그 이상의 접착성도 얻을 수 있었다.
[비교예 1 ~ 28]
 셀룰로오스 유도체(A성분)를 사용하지 않는 것 이외는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표 5에 기재되어 있는 B 내지 F의 각 성분을, 하기 표에 기재되어 있는 배합량(중량%)으로 혼합하여 교반하는 것으로 비교예에 의한 광경화성 접착제를 얻었다. 또한, 얻어진 광경화성 접착제에 대하여도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점도, 광투과율, 굴절률, 접착성 및 리페어성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를 표 5 및 표 6에 나타내었다.
<표 5>
Figure 112011092690912-pat00007
<표 6>
Figure 112011092690912-pat00008
비교예 1 ~ 28에 의하면, 점도, 광투과율, 굴절률, 접착성 및 리페어성의 모든 특성에 있어 표시 소자의 층간 접착제로서 만족하는 결과는 얻을 수 없었다. 또한, 비교예 9 ~ 28에 의하면 실시예의 결과와 마찬가지로, 충전제(D)를 함유시킴으로써 굴절률이 제어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액정 등의 각종 표시 소자는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고, 화질의 향상 뿐만 아니라, 생산성의 향상도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광학 소자의 전체면 접착을 요구하는 표시 소자의 제조에 있어서, 광학 소자의 기판이나 커버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투명한 부재의 굴절률과 거의 동일한 굴절률을 갖는 접착막을 형성할 수 있고, 따라서 굴절률 차이에 의한 화질의 저하가 생기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접착막을 광조사를 포함하는 간단한 조작으로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표시 소자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르면, 형성된 접착막은 광학 소자로부터 박리할 수 있기 때문에, 부착의 실패에 의한 불량품의 폐기를 감소시키고, 표시 소자의 제품 비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표시 소자의 제조에 있어서 품질과 생산성의 양방의 향상에 크게 기여할 것이 기대된다.

Claims (7)

  1. 화학식 (I)로 표시되는 셀룰로오스 유도체(A), 광중합에 의해 경화하는 광경화성 매체 및 광중합 개시제(C)를 함유하는 광경화성 접착제.
    [화학식 1]
    Figure 112017128082362-pat00009

    (화학식 (I)에 있어서, X는 독립하여 수소 또는 R이고, R은 독립하여 -(CH2CH(CH3)-O)mH, -CH3, -CH2CH3, -COCH3, -CH2CH2OH, -CH2CH2CH3, -CH2CH2OCH2CH3 또는 -CH2CH(CH3)-OCH3 이고, n은 10 내지 20,000이고, R에 있어서 m은 1 내지 5의 정수이고, R의 도입율(R의 개수/(R의 개수 + 수산기의 개수))는 13% 이상이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경화성 매체는 라디칼 중합성 모노머(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경화성 접착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경화성 매체는 중량 평균 분자량 1,000 내지 100,000의 공중합체인 충전제(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경화성 접착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실란 커플링제(E) 및 계면활성제(F)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경화성 접착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라디칼 중합성 모노머(B)는 일 분자 중에 1개 이상의 수산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경화성 접착제.
  6. 두 가지의 광학 소자가 광경화성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어 이루어진 표시 소자에 있어서, 상기 광경화성 접착제는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광경화성 접착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소자.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가지의 광학 소자는 표시 패널 및 입력 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소자.
KR1020110122677A 2010-11-29 2011-11-23 광경화성 접착제 및 표시 소자 KR1018575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265613A JP5793855B2 (ja) 2010-11-29 2010-11-29 光硬化性接着剤及び表示素子
JPJP-P-2010-265613 2010-11-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8410A KR20120058410A (ko) 2012-06-07
KR101857503B1 true KR101857503B1 (ko) 2018-05-14

Family

ID=46405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2677A KR101857503B1 (ko) 2010-11-29 2011-11-23 광경화성 접착제 및 표시 소자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793855B2 (ko)
KR (1) KR101857503B1 (ko)
CN (1) CN102559070B (ko)
TW (1) TWI48776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45239B2 (ja) * 2011-02-21 2014-07-09 Jnc株式会社 接着した部材からの光硬化性接着剤の除去方法、及び二部材の接着方法
JP6051662B2 (ja) * 2012-08-03 2016-12-27 日立化成株式会社 回路接続用接着剤組成物、接着シート、接着剤リール及び回路部材の接続構造体
WO2014084069A1 (ja) * 2012-11-29 2014-06-05 学校法人芝浦工業大学 接着剤及び積層体、並びにこれらの製造方法
JP2014203335A (ja) * 2013-04-08 2014-10-27 日本写真印刷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用加飾カバー基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6024586B2 (ja) * 2013-04-30 2016-11-16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偏光機能付きガラスおよびそれを備えた液晶表示装置
JP6111879B2 (ja) * 2013-06-11 2017-04-12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リグノセルロース由来接着剤及びそれを用いた木質複合材料の製造方法
JP6897562B2 (ja) * 2015-02-26 2021-06-30 日本ゼオン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及び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
CN111278937A (zh) * 2017-11-13 2020-06-12 日本化药株式会社 紫外线固化型粘接剂组合物、其固化物和使用了紫外线固化型粘接剂组合物的光学构件的制造方法
JPWO2019208517A1 (ja) * 2018-04-23 2021-05-20 日本化薬株式会社 紫外線硬化型の接着剤組成物、その硬化物及び光学部材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12495A (en) * 1987-10-19 1989-03-14 Eastman Kodak Company Anaerobic adhesive compositions
DE4214507A1 (de) * 1992-05-01 1993-11-04 Minnesota Mining & Mfg Haftklebstoff mit fuellstoff
NZ247942A (en) * 1992-06-29 1994-08-26 Grace W R & Co Composition comprising aqueous-processable polymer binder and a non-migrating surface active agent and its use as a slip film in a photo-curable element; manufacture of printing reliefs
JPH09137089A (ja) * 1995-11-17 1997-05-27 Kansai Paint Co Ltd 近赤外光硬化型パテ組成物
JPH09286930A (ja) * 1996-04-24 1997-11-04 Showa Highpolymer Co Ltd 水中での施工が可能な硬化性組成物
US7226719B2 (en) * 2003-09-08 2007-06-05 General Electric Company Limited play data storage media and coating formulations thereon
JP4199151B2 (ja) * 2004-03-29 2008-12-17 イビデン株式会社 プリント配線板用接着剤および接着剤層
KR100927611B1 (ko) * 2005-01-05 2009-11-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감광성 페이스트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pdp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pdp
JP2008101105A (ja) * 2006-10-19 2008-05-01 Denki Kagaku Kogyo Kk 硬化性組成物
TW200838967A (en) * 2007-02-02 2008-10-01 Jsr Corp Composition for radiation-curable adhesive, composit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composite
KR20090080756A (ko) * 2008-01-22 2009-07-2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감광성 페이스트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플라즈마디스플레이 패널의 격벽 및 이를 포함하는 플라즈마디스플레이 패널
JP5624908B2 (ja) * 2010-08-09 2014-11-12 東京応化工業株式会社 接着剤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221603A (en) 2012-06-01
CN102559070A (zh) 2012-07-11
CN102559070B (zh) 2014-12-10
KR20120058410A (ko) 2012-06-07
JP2012116895A (ja) 2012-06-21
JP5793855B2 (ja) 2015-10-14
TWI487761B (zh) 2015-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7503B1 (ko) 광경화성 접착제 및 표시 소자
JP6197899B2 (ja) 光学用粘着材樹脂組成物、光学用粘着材シート、画像表示装置、光学用粘着材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
KR102144325B1 (ko) 경화된 접착제 시트를 포함하는 라미네이트의 제조 방법
KR101493251B1 (ko) 광학부재의 제조방법 및 그것을 위한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의 사용
US8901192B2 (en) (Meth)acrylic resin composition
CN106414525B (zh) 光固化性树脂组合物
KR101904791B1 (ko)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경화물 및 광학 부재
JP2015147916A (ja) タッチパネル用紫外線硬化型接着剤組成物、それを用いた貼り合せ方法及び物品
JP2010275373A (ja) 光学フィルム又はシート用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組成物及び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粘接着フィルム又はシート
JP2017122213A (ja) 液体でありかつ光学的に透明な接着剤(loca)のための反応性オレフィン化合物およびジイソシアネートからの低モノマー1:1モノ付加物とヒドロキシ末端ポリブタジエンとからのアクリレート末端ウレタンポリブタジエン
JP6063228B2 (ja) 光硬化性樹脂組成物
JP6049055B2 (ja) 紫外線硬化型樹脂組成物、硬化物及び物品
JP5991531B2 (ja) 画像表示装置用粘着シートの製造方法
JP2015217530A (ja) 粘着型高硬度透明フィルム
JP2013184997A (ja) 液状光硬化性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その製造方法
JPWO2015190552A1 (ja) タッチパネル用紫外線硬化型樹脂組成物、それを用いた貼り合せ方法及び物品
JPWO2015190561A1 (ja) タッチパネル用紫外線硬化型樹脂組成物、それを用いた貼り合せ方法及び物品
JP5935337B2 (ja) 液状光硬化性樹脂組成物、光学部材、画像表示用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90015405A (ko) 광 경화성 수지 조성물, 그리고 화상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JPWO2015190571A1 (ja) タッチパネル用紫外線硬化型樹脂組成物、それを用いた貼り合せ方法及び物品
JP5545239B2 (ja) 接着した部材からの光硬化性接着剤の除去方法、及び二部材の接着方法
JP2016222861A (ja) 画像表示装置用両面粘着シート及び物品
JP6124379B2 (ja) 紫外線硬化型樹脂組成物、硬化物及び物品
WO2018038226A1 (ja) 硬化性樹脂組成物、画像表示装置及び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
TW202333950A (zh) 光學積層體及影像顯示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