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6526B1 - 차량용 테더클립 - Google Patents

차량용 테더클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6526B1
KR101856526B1 KR1020160132183A KR20160132183A KR101856526B1 KR 101856526 B1 KR101856526 B1 KR 101856526B1 KR 1020160132183 A KR1020160132183 A KR 1020160132183A KR 20160132183 A KR20160132183 A KR 20160132183A KR 101856526 B1 KR101856526 B1 KR 1018565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ing portion
hole
pillar
base portion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21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0382A (ko
Inventor
이형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연이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to KR10201601321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6526B1/ko
Priority to DE102017112144.7A priority patent/DE102017112144B4/de
Priority to CN201710433102.6A priority patent/CN107933449B/zh
Priority to US15/648,805 priority patent/US10427621B2/en
Publication of KR201800403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03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65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65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13/0206Arrangements of fasteners and clips specially adapted for attaching inner vehicle liners or mould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 B60R21/216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comprising tether means for limitation of cover motion during deploy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2Curtain-type airbags deploying mainly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their top ed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60R21/2338Teth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4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internal, i.e. with spreading a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20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20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22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of resilient material, e.g. rubbery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3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vehicle roof frames or pill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rtion Pins And Rivets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테더클립에 관한 것으로, 후크(13)에 암나사홀(14)이 형성되어 수나사부재(30) 체결을 통해 필라패널의 장착홀과 걸림턱(13a)의 결합상태를 용이하게 해제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정비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테더클립 분해시 이를 손상시킬 필요가 없게 되어 재사용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차량용 테더클립{TETHER CLIP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테더클립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커튼에어백 전개시 프론트필라트림이 프론트필라에서 완전 분리되어 실내로 날아가는 것을 잡아주는 차량용 테더클립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는 운전석과 조수석 전방에 설치되는 기존의 에어백에 더하여 차량의 측면 충돌에 대응할 수 있도록 커튼에어백의 적용이 증가하고 있다.
커튼에어백은 도어글래스 상부의 루프 내측에 설치되어 도어글래스를 가려주는 방식으로 전개됨으로써 탑승자를 측면 충돌 충격과 도어글래스의 깨진 파편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그런데 커튼에어백의 전방 일부는 프론트필라의 내부까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커튼에어백이 정상적으로 전개되기 위해서는 프론트필라패널(이하 필라패널이라 칭함)로부터 프론트필라트림(이하 필라트림이라 칭함)이 분리되어야만 한다.
또한, 커튼에어백의 전개력에 의해 필라트림이 튀어 나가면서 탑승자에게 충격을 가하여 2차 상해를 발생시키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필라트림이 필라패널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지는 않도록 해 주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평소에는 필라트림이 필라패널에 완전히 장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커튼에어백 전개시에는 필라트림이 필라패널로부터 적절한 거리까지 분리되나 연결 상태는 유지할 수 있도록 해 주는 테더클립이 사용되고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테더클립은,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결합되는 베이스부(3)와 슬라이딩부(4)로 이루어진다.
베이스부(3)는 필라패널(2)에 형성된 장착홀로 삽입되어 측면에 형성된 후크(3a)가 걸림으로써 필라패널(2)에 고정된다.
슬라이딩부(4)는 하부 테두리에 형성된 결합홈(4b)을 이용하여 필라트림(1)의 내측면에 형성된 결합브라켓(1a)에 결합된다. 결합브라켓(1a)의 결합단부(1b)가 상기 결합홈(4b)에 삽입되어 걸려짐으로써 슬라이딩부재(4)와 필라트림(1)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결합 상태에서 베이스부재(3)가 슬라이딩부재(4)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베이스부재(3)의 걸림돌기(3b)가 슬라이딩부재(4)의 걸림홈(4a)에 삽입되어 걸려짐으로써 베이스부재(3)와 슬라이딩부재(4)의 결합이 이루어지고, 이에 필라패널(2)에 필라트림(1)이 장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런데 충돌 사고가 발생하여 커튼에어백이 전개될 때는 전개력에 의해 걸림돌기(3b)가 걸림홈(4a)으로부터 이탈되고, 이후 슬라이딩부(4)는 베이스부(3)의 가이드플레이트를 따라 이동하다가 그 가이드플레이트의 단부에 형성된 걸림단(3c)에 걸려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작동에 의해 커튼에어백 전개시 필라트림(1)은 필라패널(2)로부터 분리되어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필라트림(1)이 커튼에어백의 전개에 방해를 주지 않으며 탑승자쪽으로 날아가지 않게 되어 필라트림(1) 비산에 의한 2차 상해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필요에 따라 필라패널(2)로부터 필라트림(1)을 분리하고자 할 때 베이스부(3)를 필라패널(2)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후크(3a)의 해제 조작을 편리하게 해 주는 해제조작편(3d)이 후크(3a)의 단부에 돌출 형성되어 있었다.
그러나 서로 이격된(베이스부(3)와 슬라이딩부(4)가 일차 분리되어 슬라이딩부(4)가 베이스부(3)의 걸림단(3c)에 걸려 있는 상태) 필라트림(1)과 필라패널(2) 사이의 간격이 좁아서 베이스부(3) 양측에 형성된 해제조작편(3d)을 손으로 눌러 조작하기가 매우 어렵기 때문에 정비성이 좋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작업자들은 펜치와 같은 공구로 베이스부(3)를 파손시켜 필라패널(2)로부터 제거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는 바, 베이스부(3)의 재사용이 불가하게 되어 부품 소비량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커튼에어백 전개시 슬라이딩부(4)의 이동을 안내하는 베이스부(3)의 가이드플레이트에서 걸림단(3c)을 포함하는 테두리 부분을 제외한 내측 부분은 아무런 기능을 하지 않는 불필요한 부분이었다.
상기와 같이 종래의 테더클립은 해제조작편(3d)과 가이드플레이트의 내측 부분과 같은 불필요한 부분이 존재하므로 제조시 재료 소비량이 증가하여 부품 제조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0-0042526호 한국공개특허 제2013-0068534호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정비성이 우수하고, 소비량이 감소되며, 제조시 재료 사용량이 감소되므로 제조 비용이 절감될 수 있도록 된 차량용 테더클립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필라패널의 장착홀에 삽입되어 걸려지는 걸림턱이 형성된 한 쌍의 후크를 구비한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와 결합되고 필라트림의 결합브라켓에 장착되는 슬라이딩부 및 상기 한 쌍의 후크에 관통 형성된 암나사홀을 포함한다.
상기 암나사홀에 나사 체결되어 한 쌍의 후크를 서로 오므려서 후크의 걸림턱과 필라패널의 장착홀의 결합 상태를 해제시키는 수나사부재를 더 포함한다.
상기 암나사홀의 내주면에는 원주 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나사부가 형성되고, 그 복수의 나사부에 나사산이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부에 슬라이딩부의 내부 관통홀을 관통하는 가이드가 형성되고, 그 가이드의 하단에 걸림단이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딩부의 내부 관통홀에 상기 걸림단에 걸려지는 걸림턱이 돌출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는 양측 직선부와, 양측 직선부의 단부를 연결하는 상기 걸림단을 제외한 내부 전체 부분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딩부의 상기 후크 대응면에는 암나사홀쪽으로의 공구 진입과, 상기 수나사부재의 헤드와 슬라이딩부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개구부가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는 슬라이딩부의 상단으로 개방되어 있어서 베이스부와 슬라이딩부의 결합시 수나사부재의 헤드와 슬라이딩부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딩부의 외부 테두리를 따라 필라트림의 결합브라켓과의 결합을 위한 결합홈이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딩부에 필라패널의 장착홀 주변부를 탄성적으로 눌러주는 탄성지지편이 형성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베이스부의 후크에 암나사홀이 형성되고 그 암나사홀에 나사부재가 구비됨으로써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나사부재를 조여 후크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필라패널에서 베이스부를 쉽게 분리할 수 있게 되어 정비성이 향상된다.
또한 필라패널에서 베이스부 분리시 베이스부를 파손시킬 필요가 없게 되어 재사용이 가능하므로 부품 소비량이 감소된다.
또한 베이스부에 후크의 해제조작편이 형성되지 않고 가이드의 내측부에 관통홀이 형성되어 베이스부에 불필요한 부분이 존재하지 않게 되므로 재료 사용량이 감소되어 부품 제조 비용이 절감된다.
도 1은 필라트림과 종래 기술에 따른 테더클립의 분해사시도.
도 2는 종래 테더클립에 의한 필라패널과 필라트림의 결합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테더클립의 조립 상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테더클립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테더클립의 일 구성인 베이스부의 정면도.
도 6은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7은 도 4의 B-B선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테더클립의 사용 상태 사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테더클립은 상호 결합되는 베이스부(10)와 슬라이딩부(20)로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부(10)는 필라패널에 장착되고, 상기 슬라이딩부(20)는 필라트림에 장착된다.
상기 베이스부(10)는 필라패널의 장착홀에 삽입 장착되는 바디(11)와, 그 바디(11)의 일측면에 길게 돌출 형성되어 슬라이딩부(20)의 내측으로 관통 삽입되는 가이드(12)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12)는 바디(11)에 연결된 U형상의 부분으로서 양측 직선부와, 양측 직선부의 단부를 연결하는 걸림단(12a)을 포함한다. 걸림단(12a)은 걸림면이 상기 바디(11)쪽을 향하는 평면으로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12)의 내측 부분에는 관통홀(12b)이 형성된다. 관통홀(12b)은 가이드(12)에서 양측 직선부와 그 단부를 연결하는 걸림단(12a)을 제외한 모든 부분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상기 바디(11)의 서로 마주보는 두 면에는 상단이 바디(11)에 연결되어 탄성적으로 누름 조작할 수 있는 후크(13)가 형성된다.
양측 후크(13)의 중간 상부에는 걸림면이 가이드(12)쪽 방향을 향하는 걸림턱(13a)이 바디(11)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따라서, 바디(11)가 필라패널에 형성된 장착홀로 삽입되었을 때 상기 걸림턱(13a)이 장착홀의 주변부에 걸려짐으로써 장착홀로부터 바디(11)가 빠지지 않게 되어 베이스부(10)가 필라패널에 고정된다.
양측 후크(13)의 하부에는 암나사홀(14)이 관통 형성된다. 양측 후크(13)의 암나사홀(14)은 서로의 중심선이 일치한다. 즉, 양측 암나사홀(14)은 동일 선상에 형성된다.
양측 암나사홀(14)의 내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부(14a)가 형성된다. 나사부(14a)는 암나사홀(14)의 원주면 전체에 형성되지 않고 원주 방향으로 동일한 간격을 두고 이격된 3개소에 형성된다. 각 나사부(14a)는 원주 방향으로 동일한 길이로 형성된다.
상기 바디(11)에서 후크(13)가 형성되지 않은 나머지 두 대응면에는 하단부에 걸림돌기(11a)가 돌출 형성된다. 이 걸림돌기(11a)는 이후 설명할 슬라이딩부(20)의 걸림홈(25)에 삽입되어 걸려진다.
슬라이딩부(20)는 대략 직사각형 통 형상의 바디(21)를 가지며, 바디(21)의 하부 둘레를 따라 결합홈(22)이 형성된다. 이 결합홈(22)에 필라트림에 형성된 결합브라켓의 결합단부가 삽입됨으로써 슬라이딩부(20)가 필라트림에서 빠지지 않도록 장착된다.(결합브라켓 및 결합단부는 종래 기술 설명과 도 1을 참조할 것)
상기 슬라이딩부(20)의 바디(21) 상단 양측에는 탄성지지편(23)이 경사진 상태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탄성지지편(23)은 테더클립 설치 상태에서 필라패널을 밀착 지지함으로써 테더클립이 유동없이 안정된 고정상태를 유지하도록 해준다. 즉, 필라패널의 외측면에 베이스부(10)의 후크(13) 걸림턱(13a)이 걸려진 상태에서 필라패널의 내측면에 슬라이딩부(20)의 탄성지지편(23)이 탄성적으로 밀착 지지됨으로써 필라패널에 고정된 테더클립의 유동이 방지된다.
조립 상태에서 베이스부(10)의 양측 후크(13)와 각각 마주보는 슬라이딩부(20)의 양측 바디(21) 면에는 후크(13)를 테더클립의 외측으로 노출시키는 개구부(24)가 형성된다. 개구부(24)는 바디(21)의 상단으로부터 하방으로 U자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슬라이딩부(20)의 바디(21)에서 베이스부(10)의 양측 걸림돌기(11a)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가로 방향으로 길이가 긴 형상의 걸림홈(25)이 형성된다. 베이스부(10)와 슬라이딩부(20)는 베이스부(10)의 가이드(12)가 슬라이딩부(20)의 내부로 관통 삽입되어 상기 걸림홈(25)에 걸림돌기(11a)가 삽입되어 걸려짐으로써 상호 결합된다.(도 7 참조)
또한, 슬라이딩부(20)의 내부 관통홀(베이스부(10)의 가이드(12)가 삽입되는 홀) 양측면에는 관통홀의 내측 중앙을 향해 한 쌍의 걸림턱(26)이 돌출 형성된다.(도 6 참조) 이 걸림턱(26)의 걸림면은 상기 가이드(12)의 걸림단(12a)쪽을 향하여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부(13)의 후크(13)에 형성된 암나사홀(14)에는 수나사부재(30)가 나사 체결될 수 있다. 수나사부재(30)는 테더클립 사용 상태에서 항상 암나사홀(14)에 미리 체결되어 있어서 나중에 필라패널로부터 베이스부(10)를 분리할 때 사용될 수도 있다(사용 준비 상태). 또는 베이스부(10)를 분리할 때만 작업자가 공구(40)와 함께 수나사부재(30)를 따로 준비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상기와 같은 테더클립에 의해 필라패널에 필라트림이 장착된 사용 상태에서 충돌 사고가 발생하여 에어백이 전개되면, 그 전개 팽창력에 의해 필라트림이 장착 위치에서 차량 실내로 튀어나가면서 걸림돌기(11a)가 걸림홈(25)으로부터 이탈되어 슬라이딩부(20)가 가이드(12)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때 슬라이딩부(20)는 내부의 걸림턱(26)이 베이스부(10)의 가이드(12) 걸림단(12a)에 걸려지는 위치까지 이동된다. 슬라이딩부(20)가 이동할때는 슬라이딩부(20)의 내부 관통홀에 형성된 걸림턱(26)이 가이드(12)의 길이 방향을 따른 양측 직선부에 의해 안내됨으로써 슬라이딩부(20)는 안정적인 직선 경로를 따라 이동된다.
상기 가이드(12)의 길이는 커튼에어백의 전개에 지장이 없을 정도로 필라패널과 필라트림 사이의 간격을 확보할 수 있도록 고려하여 설정된 것이어서 커튼에어백은 필라패널과 필라트림 사이의 틈을 통해 실내 하방으로 전개되어 펼쳐진다.
따라서 커튼에어백이 정상적으로 작동하여 측면 충격에 대해 탑승자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턱(26)이 걸림단(12a)에 걸려져서 슬라이딩부(20)가 베이스(10)부로부터 완전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필라트림이 필라패널로부터 완전 분리되어 실내 공간으로 날아 들어오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필라트림에 의한 탑승자의 2차 상해가 방지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테더클립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필라패널로부터 분리된다. 베이스부(10)의 후크(13)에는 내주면에 나사부(14a)가 형성된 암나사홀(14)이 형성되어 있다.
작업자는 도 8과 같이, 상기 암나사홀(14)에 수나사부재(30)를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40)를 이용하여 체결하고 더욱 조여준다. 이때 수나사부재(30)는 암나사홀(14)에 미리 체결되어 있는 것일 수도 있고, 작업자가 분리 작업에 임하여 별도로 준비한 것일 수도 있다.
공구(40)는 슬라이딩부(20)에 형성된 개구부(24)를 통해 진입하여 수나사부재(30)를 조여줄 수 있다.
또한, 상기 개구부(24)는 수나사부재(30)가 암나사홀(14)에 미리 체결되어 있는 경우에 수나사부재(30)의 헤드와 슬라이딩부(20)이 간섭을 회피하여 베이스부(10)와 슬라이딩부(20)가 정상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후크(13)의 걸림턱(13a)이 필라패널의 장착홀 주변부 외측면에 걸려 있는 상태에서 상기 수나사부재(30)를 더욱 조이면 조일수록 양측 수나사부재(30)와 나사부(14a)의 나사 작용에 의해 양측 후크(13)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도 6에 표시된 화살표 방향으로서 베이스부(10)의 내측 중앙을 향하는 방향)으로 변형된다.
따라서, 후크(13)에 형성된 걸림턱(13a)도 베이스부(10)의 내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필라패널의 장착홀 주변부에 더 이상 걸려 있지 못하게 되며, 이에 베이스부(10)가 필라패널에서 분리된다.
베이스부(10)가 필라패널에서 분리되면 필라트림이 필라패널에서 완전히 분리되는 것이므로 이후 필라트림에서 슬라이딩부(20)를 분리하여 필라트림과 테더클립을 분리하는 작업 및 필라트림과 테더클립의 교환 작업 등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암나사홀(14)에는 나사산이 내주면 전체에 형성되지 않고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부분적으로 형성된 나사부(14a)에 형성된다. 따라서, 수나사부재(30)와 접촉하는 암나사홀(14)의 나사선 면적이 감소하여 마찰 저항이 감소되므로 수나사부재(30)를 보다 작은 힘으로 쉽게 체결할 수 있게 된다. 이는 베이스부(10) 분리 작업 즉, 필라트림 분리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실시하는데 도움이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후크(13)에 형성된 암나사홀(14)에 수나사부재(30)를 조여줌으로써 양쪽 후크(13)를 용이하게 해제하여 필라패널로부터 테더클립을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사고에 의한 커튼에어백 전개 후, 필라트림의 완전 분리, 제거, 에어백 재설치, 필라트림의 교환 장착 등 여러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므로 정비성이 향상된다.
또한, 필라패널에서 베이스부를 분리할 때 베이스부를 파손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베이스부를 재사용할 수 있게 됨으로써 부품 소비량이 감소된다.
한편, 상기 베이스부(10)의 가이드(12)는 필요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양측 직선부와 그 하단의 걸림단(12a)을 제외하고는 내측 부분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관통홀(12b))
또한, 종래에 후크(13)의 해제 조작을 위해 형성되던 해제조작편을 형성할 필요가 없게 된다.
상기와 같이 테더클립에서 불필요한 부분을 형성하지 않게 됨으로써 테더클립 제조시 사용되는 재료의 양이 감소되어 제조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베이스부 11 : 바디
11a : 걸림돌기 12 : 가이드
12a : 걸림단 12b : 관통홀
13 : 후크 13a : 걸림턱
14 : 암나사홀 14a : 나사부
20 : 슬라이딩부 21 : 바디
22 : 결합홈 23 : 탄성지지편
24 : 개구부 25 : 걸림홈
30 : 수나사부재 40 : 공구

Claims (9)

  1. 필라패널의 장착홀에 삽입되어 걸려지는 걸림턱이 형성된 한 쌍의 후크를 구비한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와 결합되고 필라트림의 결합브라켓에 장착되는 슬라이딩부; 및
    상기 한 쌍의 후크에 관통 형성된 암나사홀;을 포함하고,
    상기 암나사홀에 나사 체결되어 한 쌍의 후크를 서로 오므려서 후크의 걸림턱과 필라패널의 장착홀의 결합 상태를 해제시키는 수나사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암나사홀의 내주면에는 원주 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나사부가 형성되고, 그 복수의 나사부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나사부와 수나사부재의 나사 체결시 마찰력이 감소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테더클립.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에 슬라이딩부의 내부 관통홀을 관통하는 가이드가 형성되고, 그 가이드의 하단에 걸림단이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딩부의 내부 관통홀에 상기 걸림단에 걸려지는 걸림턱이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테더클립.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양측 직선부와, 양측 직선부의 단부를 연결하는 상기 걸림단을 제외한 내부 전체 부분이 관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테더클립.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의 상기 후크 대응면에는 암나사홀쪽으로의 공구 진입과, 상기 수나사부재의 헤드와 슬라이딩부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개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테더클립.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슬라이딩부의 상단으로 개방되어 있어서 베이스부와 슬라이딩부의 결합시 수나사부재의 헤드와 슬라이딩부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테더클립.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의 외부 테두리를 따라 필라트림의 결합브라켓과의 결합을 위한 결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테더클립.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에 필라패널의 장착홀 주변부를 탄성적으로 눌러주는 탄성지지편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테더클립.
KR1020160132183A 2016-10-12 2016-10-12 차량용 테더클립 KR1018565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2183A KR101856526B1 (ko) 2016-10-12 2016-10-12 차량용 테더클립
DE102017112144.7A DE102017112144B4 (de) 2016-10-12 2017-06-01 Halteklammer für Fahrzeuge
CN201710433102.6A CN107933449B (zh) 2016-10-12 2017-06-09 车辆用绳夹
US15/648,805 US10427621B2 (en) 2016-10-12 2017-07-13 Vehicle tether clip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2183A KR101856526B1 (ko) 2016-10-12 2016-10-12 차량용 테더클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0382A KR20180040382A (ko) 2018-04-20
KR101856526B1 true KR101856526B1 (ko) 2018-05-11

Family

ID=61695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2183A KR101856526B1 (ko) 2016-10-12 2016-10-12 차량용 테더클립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427621B2 (ko)
KR (1) KR101856526B1 (ko)
CN (1) CN107933449B (ko)
DE (1) DE102017112144B4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6578A (ko) 2018-10-25 2020-05-07 주식회사 서연이화 테더 클립
KR20240056029A (ko) 2022-10-21 2024-04-30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테더클립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754207B1 (en) * 2019-06-17 2022-08-03 Illinois Tool Works Inc. Fastening clip
CN115991153A (zh) * 2021-10-19 2023-04-21 伊利诺斯工具制品有限公司 系带夹组件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53188A (ja) * 2011-01-24 2012-08-16 Honda Motor Co Ltd 固定用クリップ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3369U (ko) * 1996-12-31 1998-10-07 박병재 자동차의 루프 랙 설치구조
EP1426238B1 (en) 1999-06-02 2005-04-13 Toyoda Gosei Co., Ltd. Head protecting airbag device
US20050071959A1 (en) 2003-08-26 2005-04-07 Minnich David Allan Tether clip
JP2006088985A (ja) 2004-09-27 2006-04-06 Toyoda Gosei Co Ltd 頭部保護エアバッグ装置
JP2006118679A (ja) 2004-10-25 2006-05-11 Piolax Inc クリップ
KR20100042526A (ko) 2008-10-16 2010-04-2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커튼 에어백 장치
KR101338745B1 (ko) 2011-12-15 2013-12-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테더 클립
JP5776592B2 (ja) * 2012-03-05 2015-09-0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クリップおよびそれを用いたピラーガーニッシュまたはカーテンエアバッグ取付装置
JP5888346B2 (ja) * 2014-01-20 2016-03-2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クリップおよびピラーガーニッシュ取付構造
FR3020098B1 (fr) * 2014-04-22 2017-05-05 A Raymond Et Cie Dispositif de fixation par cramponnage
KR101628517B1 (ko) * 2014-11-05 2016-06-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필라트림 체결용 클립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53188A (ja) * 2011-01-24 2012-08-16 Honda Motor Co Ltd 固定用クリップ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6578A (ko) 2018-10-25 2020-05-07 주식회사 서연이화 테더 클립
KR20240056029A (ko) 2022-10-21 2024-04-30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테더클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0382A (ko) 2018-04-20
CN107933449A (zh) 2018-04-20
US10427621B2 (en) 2019-10-01
DE102017112144A1 (de) 2018-04-12
CN107933449B (zh) 2020-11-27
DE102017112144B4 (de) 2024-02-29
US20180099623A1 (en) 2018-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6526B1 (ko) 차량용 테더클립
JP5414052B2 (ja) エアバッグ用クリップ
EP2614995B1 (en) Garnish mounting device
US9539976B2 (en) Head protecting airbag device
JP2006007932A (ja) カーテンシールドエアバッグのガーニッシュ用クリップ
KR20180084071A (ko) 클립
JP5227200B2 (ja) エアバッグ用クリップの取付構造
KR20140092592A (ko) 패스너 조립구조
KR101628517B1 (ko) 필라트림 체결용 클립
KR101751688B1 (ko) 커튼 에어백 전개시 프론트 필러와 테더 클립 간의 이탈 방지 구조
KR101595316B1 (ko) 차량용 필라트림 고정클립
JP2013224057A (ja) ピラートリムの取付構造
JP2008012976A (ja) エアバッグ装置
KR20140045637A (ko) 필라트림 고정클립
JP4638835B2 (ja) クリップ
KR20210043913A (ko) 운전석 에어백 장치
JP5267903B2 (ja) 車両のピラートリム取付構造
KR101888134B1 (ko) 캡핑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시트 벨트 어셈블리
JP2019077403A (ja) ピラートリム着脱構造
KR101707432B1 (ko) 차량용 부품 고정 유니트
WO2019039476A1 (ja) エアバッグ装置
JP2015174516A (ja) アシストグリップ
WO2014077128A1 (ja) 車体のフロントピラー部組み付け構造
KR20200046578A (ko) 테더 클립
KR20180013626A (ko) 테더클립 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