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7432B1 - 차량용 부품 고정 유니트 - Google Patents

차량용 부품 고정 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7432B1
KR101707432B1 KR1020150168898A KR20150168898A KR101707432B1 KR 101707432 B1 KR101707432 B1 KR 101707432B1 KR 1020150168898 A KR1020150168898 A KR 1020150168898A KR 20150168898 A KR20150168898 A KR 20150168898A KR 101707432 B1 KR101707432 B1 KR 1017074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aging
unit body
pressing member
hole
flow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8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연이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to KR10201501688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74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74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74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13/0206Arrangements of fasteners and clips specially adapted for attaching inner vehicle liners or mould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68Fixation or mounting means specific for door compon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20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6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 F16B5/0607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 F16B5/0621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in parallel relationship
    • F16B5/0657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in parallel relationship at least one of the plates providing a raised structure, e.g. of the doghouse type, for connection with the clamps or clips of the other pl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6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 F16B5/0607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 F16B5/0621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in parallel relationship
    • F16B5/0664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in parallel relationship at least one of the sheets or plates having integrally formed or integrally connected snap-in-fe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ertion Pins And Riv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부품 고정 유니트를 제공한다. 상기 차량용 부품 고정 유니트는 유동홀이 형성되며, 탄성을 갖는 유니트 몸체부와; 상기 유니트 몸체부의 둘레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걸림부; 및 상기 유동홀에서 활주 가능하게 배치되며, 활주됨에 따라 상기 유동홀의 내주를 가압 또는 가압 해제하여 상기 걸림부를 확장 또는 축소되도록 형상을 변형하는 걸림 작동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부품 고정 유니트{AUTOMOBILE PARTS FIXING UNIT}
본 발명은 차량용 부품 고정 유니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재사용, 조립상 및 설치 후 유동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는 차량용 부품 고정 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자동차에는 가니시와 같은 부품들을 차체에 고정하기 위한 스크류 부재, 클립 등의 하드웨어가 사용된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의 두 부품 간의 체결 방식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내지 도 3을 참조 하여, 스크류 볼트(21)를 사용하여 제 1,2부품(10,20)을 결합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제 1부품(10)에는 일측으로 절개되는 홀(11)이 형성되고, 제 1부품(10)에 결합되는 제 2부품(20)은, 스크류 볼트(21)를 구비한다.
도 2 및 도 3을 침조 하면, 제 2부품(20)은, 제 1부품(10)에 형성되는 홀(11)로 유입됨으로써, 가결합 상태를 이룬다.
이어, 제 2부품(20)에 구비되는 스크류 볼트(21)를 조립 공구를 사용하여, 회전시켜 상기 제 1부품(10)에 스크류 결합되어 고정되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스크류 부재(21)는 별도의 조립 공구가 필요하고, 발청 등의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도금 등의 표면처리가 필수적으로 수행된다.
또한, 스크류 부재(21)의 경우, 체결되는 두 부품의 가조립 상태의 홀(11)에 하드웨어를 위치시킨 후 조립 공구를 사용하여, 압착 또는 회전하여 서로 체결한다.
반대로, 탈거 하는 경우, 상기의 순서의 역순으로 조립 공구를 이용하여 홀에서 빼낸다.
이에 따라, 종래의 부품간 체결에 사용되는 하드웨어로 사용되는 스크류 부재, 클립 등은,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설치 또는 해제하는 경우, 특히 탈거 후 재장착 시 하드웨어 또는 스크류 나사산 파손, 보스 터짐과 같은 제품 손상이 발생되어 체결력이 저하되거나 제품 전체를 교환해야하는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스크류 부재의 결합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경우, 유동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더하여, 종래에는 대부분의 하드웨어가 금속 재질로 사용 환경에 따라 발청 등의 문제가 추가적으로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가니쉬 조립체(특허출원 제10-2012-0000413호)
본 발명의 목적은, 재사용, 조립상 및 설치 후 유동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는 차량용 부품 고정 유니트를 제공함에 있다.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차량용 부품 고정 유니트를 제공한다.
상기 차량용 부품 고정 유니트는 유동홀이 형성되며, 탄성을 갖는 유니트 몸체부와; 상기 유니트 몸체부의 둘레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걸림부; 및 상기 유동홀에서 활주 가능하게 배치되며, 활주됨에 따라 상기 유동홀의 내주를 가압 또는 가압 해제하여 상기 걸림부를 확장 또는 축소되도록 형상을 변형하는 걸림 작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유동홀은, 사각 형상의 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걸림부는, 상기 유니트 몸체부의 후단에서 서로 마주 보도록 한 쌍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 쌍의 상기 걸림부 각각은, 상기 유니트 몸체부의 후단에서, 후방을 향해 연장되는 걸림 몸체와, 상기 걸림 몸체의 단부에서 외측으로 절곡되어, 대상물의 설치홀을 관통하여, 상기 대상물의 1측면에서 상기 설치홀의 인근영역에 걸치는 걸림턱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걸림 작동부는, 상기 유동홀에서 활주 가능하도록 상기 유동홀에 끼워져 배치되는 가압 부재와, 상기 가압 부재의 일단에 형성되며, 상기 유동홀의 인근 영역에 걸치는 누름 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걸림 작동부는, 상기 유니트 몸체부의 탄성 보다 낮은 탄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압 부재는, 상기 유동홀의 형상과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압 부재의 외측 둘레는, 상기 유동홀의 내측 둘레에 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니트 몸체부에는, 상기 유동홀을 연장하도록 전방으로 돌출되며, 대칭을 이루도록 외측으로 절곡되는 걸림단을 갖는 한 쌍의 외측 걸림 부재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누름 부재는, 상기 한 쌍의 외측 걸림 부재의 사이 공간에서 활주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누름 부재의 양측부는, 상기 한 쌍의 외측 걸림 부재의 사이 공간으로부터 양측방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니트 몸체부는 보조 걸림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조 걸림부는, 상기 걸림부의 전방에 위치되도록 상기 유니트 몸체부의 둘레에서 돌출 형성되며, 상기 대상물의 제 2측면에서 상기 설치홀의 인근 영역에 걸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는, 플라스틱 재질로 변경하여 종래의 금속 대비 친환경/발청 방지/중량/원가 절감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는, 조립 공구가 불필요하여 조립성이 좋아지며 공구 구매/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는, 제품 및 하드웨어 파손을 최소화하여 반영구적인 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의 두 부품 간의 체결 방식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차량용 부품 고정 유니트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차량용 부품 고정 유니트가 설치 대상물에 결합되기 이전의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차량용 부품 고정 유니트가 설치 대상물에 가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차량용 부품 고정 유니트가 설치 대상물에 가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차량용 부품 고정 유니트가 설치 대상물에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선 A-A를 따르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차량용 부품 고정 유니트를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차량용 부품 고정 유니트가 설치 대상물에 결합되기 이전의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차량용 부품 고정 유니트가 설치 대상물에 가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 하면, 본 발명의 차량용 부품 고정 유니트는 크게, 유니트 몸체부(100)와, 걸림부(200)와, 보조 걸림부(300)와, 걸림 작동부(400) 및 한 쌍의 외측 걸림 부재(500)로 구성된다.
상기 유니트 몸체부(100)는 유동홀(110)이 형성되며 탄성을 갖는다.
여기서, 상기 유동홀(110)은, 사각 형상의 홀로 형성되는 것 좋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걸림부(200)는 상기 유니트 몸체부(100)의 후단에서 서로 마주 보도록 한 쌍으로 형성된다.
상기 한 쌍의 걸림부(200) 각각은 상기 유니트 몸체부(100)의 후단에서, 후방을 향해 연장되는 걸림 몸체와, 상기 걸림 몸체의 단부에서 외측으로 절곡되어, 대상물의 설치홀을 관통하여, 상기 대상물의 1측면에서 상기 설치홀의 인근영역에 걸치는 걸림턱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걸림 작동부(400)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걸림 작동부(400)는 상기 유동홀(110)에서 활주 가능하도록 상기 유동홀(110)에 끼워져 배치되는 가압 부재(410)와, 상기 가압 부재(410)의 일단에 형성되며, 상기 유동홀(110)의 인근 영역에 걸치는 누름 부재(42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가압 부재(410)는 상기 유동홀(110)의 형상과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가압 부재(410)의 외측 둘레는, 상기 유동홀(110)의 내측 둘레에 밀착된다.
특히, 걸림 작동부(400)는, 상기 유니트 몸체부(100)의 탄성 보다 낮은 탄성을 갖는 것이 좋다.
즉, 유니트 몸체부(100)는 확장되어 벌어지거나, 축소되어 오므려 질 수 있는 탄성을 갖고, 걸림 작동부(400)는 유동홀(110)에 삽입되면서 걸림 몸체를 외측으로 가압하여 밀어내도록 하여야 함으로, 유니트 몸체부(100)의 탄성 보다 낮은 탄성을 갖는 것이 좋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는 유니트 몸체부(100)에는 상기 유동홀(110)을 연장하도록 전방으로 돌출되며, 대칭을 이루도록 외측으로 절곡되는 걸림단(510)을 갖는 한 쌍의 외측 걸림 부재(500)가 형성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는 누름 부재(420)는 상기 한 쌍의 외측 걸림 부재(500)의 사이 공간에서 활주 가능하게 배치된다.
이러한 경우, 상기 누름 부재(420)의 양측부는 상기 한 쌍의 외측 걸림 부재(500)의 사이 공간으로부터 양측방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작업자가 손으로 쉽게 잡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유니트 몸체부(100)는 보조 걸림부(300)를 갖는다.
여기서, 보조 걸림부(300)는 상기 걸림부(200)의 전방에 위치되도록 상기 유니트 몸체부(100)의 둘레에서 돌출 형성되며, 상기 대상물(50)의 제 2측면에서 상기 설치홀(51)의 인근 영역에 걸친다.
도 7은 도 6의 차량용 부품 고정 유니트가 설치 대상물에 가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차량용 부품 고정 유니트가 설치 대상물에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선 A-A를 따르는 단면도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차량용 부품 고정 유니트(1)가 준비되면, 도 6 및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걸림부(200)는 설치 대상물(50)의 설치홀(51)을 관통하도록 배치된다.
이때, 한 쌍의 걸림부(200)는 오무라들어 축소된 상태를 이루어 설치홀(51)에 걸리지 않은 상태를 이룬다.
그리고, 작동 걸림부(400)의 누름 부재(420)는 유동홀(110)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를 이룬다.
이어, 도 8 및 도 9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누름 부재(420)를 유동홀(110) 측으로 외력을 통해 누른다.
이에 따라, 유동홀(110)에 끼워진 가압 부재(410)는 한 쌍의 걸림부 사이로 활주되면서 한 쌍의 걸림부(200)를 외측으로 가압한다. 이어, 한 쌍의 걸림부(200)는 외측으로 벌어진다.
따라서, 각 걸림부(200)의 단부에 형성되는 걸림턱은, 설치 대상물(50)의 제 1측면에서 설치홀(51)의 인근 영역에 걸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보조 걸림부(300) 역시 걸림부(200)의 전방에 위치되도록 상기 유니트 몸체부(100)의 둘레에서 돌출 형성되는 상태에서, 상기 대상물(50)의 제 2측면에서 상기 설치홀(51)의 인근 영역에 걸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르는 부품 고정 유니트(1)는 설치 대상물(50)의 설치홀(51)에 끼워지는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역으로, 해체하는 경우, 걸림 작동부(400)의 누름 부재(420)를 외측으로 빼내면, 한 쌍의 걸림부(200)는 다시 축소된 상태를 이루어 설치홀(51)에서 제거될 수 있는 상태를 이룬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에서는 체결 부품에 요구되는 강성 및 형상에 따라 하드웨어의 재질, 크기, 후크 형상을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다.
상기의 구성 및 작용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는 플라스틱 재질로 변경하여 종래의 금속 대비 친환경/발청 방지/중량/원가 절감의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형상 구현이 자유로운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는조립 공구가 불필요하여 조립성이 좋아지며 공구 구매/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는 제품 및 하드웨어 파손을 최소화하여 반영구적인 사용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차량용 부품 고정 유니트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유니트 몸체부
110 : 유동홀
200 : 걸림부
300 : 보조 걸림부
400 : 걸림 작동부
410 : 가압 부재
420 : 누름 부재
500 : 외측 걸림 부재

Claims (10)

  1. 유동홀이 형성되며, 탄성을 갖는 유니트 몸체부;
    상기 유니트 몸체부의 둘레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걸림부; 및
    상기 유동홀에서 활주 가능하게 배치되며, 활주됨에 따라 상기 유동홀의 내주를 가압 또는 가압 해제하여 상기 걸림부를 확장 또는 축소되도록 형상을 변형하는 걸림 작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유니트 몸체부의 후단에서 서로 마주 보도록 한 쌍으로 형성되되,
    한 쌍의 상기 걸림부 각각은,
    상기 유니트 몸체부의 후단에서, 후방을 향해 연장되는 걸림 몸체와,
    상기 걸림 몸체의 단부에서 외측으로 절곡되어, 대상물의 설치홀을 관통하여, 상기 대상물의 1측면에서 상기 설치홀의 인근영역에 걸치는 걸림턱을 구비하고,
    상기 걸림 작동부는,
    상기 유동홀에서 활주 가능하도록 상기 유동홀에 끼워져 배치되는 가압 부재와,
    상기 가압 부재의 일단에 형성되며, 상기 유동홀의 인근 영역에 걸치는 누름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유니트 몸체부에는,
    상기 유동홀을 연장하도록 전방으로 돌출되며, 대칭을 이루도록 외측으로 절곡되는 걸림단을 갖는 한 쌍의 외측 걸림 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누름 부재는,
    상기 한 쌍의 외측 걸림 부재의 사이 공간에서 활주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부품 고정 유니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홀은,
    사각 형상의 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부품 고정 유니트.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작동부는,
    상기 유니트 몸체부의 탄성 보다 낮은 탄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부품 고정 유니트.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부재는,
    상기 유동홀의 형상과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가압 부재의 외측 둘레는, 상기 유동홀의 내측 둘레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부품 고정 유니트.
  7. 삭제
  8. 삭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 부재의 양측부는,
    상기 한 쌍의 외측 걸림 부재의 사이 공간으로부터 양측방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부품 고정 유니트.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니트 몸체부는 보조 걸림부를 구비하되,
    상기 보조 걸림부는,
    상기 걸림부의 전방에 위치되도록 상기 유니트 몸체부의 둘레에서 돌출 형성되며, 상기 대상물의 제 2측면에서 상기 설치홀의 인근 영역에 걸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부품 고정 유니트.
KR1020150168898A 2015-11-30 2015-11-30 차량용 부품 고정 유니트 KR1017074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8898A KR101707432B1 (ko) 2015-11-30 2015-11-30 차량용 부품 고정 유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8898A KR101707432B1 (ko) 2015-11-30 2015-11-30 차량용 부품 고정 유니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7432B1 true KR101707432B1 (ko) 2017-02-17

Family

ID=58265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8898A KR101707432B1 (ko) 2015-11-30 2015-11-30 차량용 부품 고정 유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74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5374B1 (ko) * 2017-11-09 2019-05-20 주식회사 서연이화 커넥터 클립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29481A (ja) * 1999-12-10 2003-10-07 ルノー 自動車の車室内用の回動可能に取り付けられた取手とその取り付け方法
JP2006161890A (ja) * 2004-12-03 2006-06-22 Nifco Inc 留め具及びエアバッグ取付構造
KR20120000413A (ko) 2010-06-25 2012-01-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
KR101228210B1 (ko) * 2009-09-14 2013-01-30 (주)엘지하우시스 듀얼커넥터클립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29481A (ja) * 1999-12-10 2003-10-07 ルノー 自動車の車室内用の回動可能に取り付けられた取手とその取り付け方法
JP2006161890A (ja) * 2004-12-03 2006-06-22 Nifco Inc 留め具及びエアバッグ取付構造
KR101228210B1 (ko) * 2009-09-14 2013-01-30 (주)엘지하우시스 듀얼커넥터클립
KR20120000413A (ko) 2010-06-25 2012-01-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가변 밸브 리프트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5374B1 (ko) * 2017-11-09 2019-05-20 주식회사 서연이화 커넥터 클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24173B2 (en) Spacer clip
US8033003B2 (en) Fastening assembly and disposable sleeve for same
EP2184499A2 (en) Clip for attaching a cover or other component
US20200189491A1 (en) Vehicle with locator device configured to maintain outer body panel alignment, and corresponding method
KR101707432B1 (ko) 차량용 부품 고정 유니트
EP1479924A1 (en) Blind rivet fastener and workpiece assembly using same
KR101806438B1 (ko) 차량 내장재용 고정클립
US8845257B2 (en) Fastener
KR200472150Y1 (ko) 자동차의 에어벤트 노브
JP2010144830A (ja) 固定具
JP5898941B2 (ja) 自動車外装品用装飾モールの取り付け構造
KR20180040382A (ko) 차량용 테더클립
KR100953996B1 (ko) 자동차 내장용 부품 고정클립
JP2008164061A (ja) 部材取付け構造
JP2009196577A (ja) スペアタイヤカバーの取付構造
JP2009073425A (ja) 車両用外装部品
KR101658519B1 (ko) 자동차용 보조 손잡이 장착용 고정구
KR20030038359A (ko) 2부재의 결합용 파스너
JP2015147449A (ja) バンパ取付構造
KR200486026Y1 (ko) 차량용 보조핸들
JP2005231786A (ja) パネル連結構造及びパネル連結用固着装置
KR20180046672A (ko) 범퍼 조립용 플라스틱 클립
JP6090219B2 (ja) 車両前部構造
KR101131269B1 (ko) 자동차의 내장재 결합 구조
JP2022107315A (ja) クリ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