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3913A - 운전석 에어백 장치 - Google Patents

운전석 에어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3913A
KR20210043913A KR1020190126826A KR20190126826A KR20210043913A KR 20210043913 A KR20210043913 A KR 20210043913A KR 1020190126826 A KR1020190126826 A KR 1020190126826A KR 20190126826 A KR20190126826 A KR 20190126826A KR 20210043913 A KR20210043913 A KR 202100439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driver
seat airbag
airbag device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68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병만
김도형
고석훈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268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43913A/ko
Publication of KR202100439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39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3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steering wheels or steering columns
    • B60R21/203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steering wheels or steering columns using modules containing inflator, bag and cover attachable to the steering wheel as a complete sub-unit
    • B60R21/2037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steering wheels or steering columns using modules containing inflator, bag and cover attachable to the steering wheel as a complete sub-unit the module or a major component thereof being yieldably mounted, e.g. for actuating the horn switch or for protecting the driver in a non-deployment situ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00Shrinkage connections, e.g. assembled with the parts at different temperature; Force fits; Non-releasable friction-grip fastenings
    • F16B4/004Press fits, force fits, interference fits, i.e. fits without heat or chemical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전석 에어백 장치에 관한 것으로, 다수의 관통홀이 전후로 관통 형성되는 혼 플레이트와, 혼 플레이트의 후면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측의 걸림 단부가 걸림 위치와 회피 위치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설치되는 클립부 및, 혼 플레이트의 전면에 결합되며, 후면의 결합부가 관통홀을 통해 삽입되어 걸림 단부에 걸림 위치되는 마운팅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결합부는 관통홀에 관통 결합되는 돌출바와, 돌출바의 일측으로 돌출되어 걸림 단부의 후단에 걸림 위치되는 후크 및, 후크의 전면에 오목하게 형성되며, 후크의 전방으로 전개력 작용시 걸림 단부의 일측을 돌출바 방향으로 경사지게 삽입시키는 유도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운전석 에어백 장치{DRIVER SEAT AIRBAG}
본 발명은 운전석 에어백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운전석 에어백이 전개될 때 발생하는 힘에 의해 마운팅 플레이트의 결합부와 혼 플레이트에 설치된 클립부의 체결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운전석 에어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에어백 시스템(air bag system)은 차량 충돌시 순간적으로 에어백을 부풀게 하여 충격으로 인한 부상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이 중, 운전석에 설치된 운전석 에어백은 차량 충돌시 운전석과 스티어링휠 사이에 순간적으로 에어백을 부풀게 하여 충격으로 인한 부상을 저감시키는 장치로서, 스티어링 휠에 배치되며, 차량 사고시 에어백 내부에 있는 인플레이터에 의해 발생된 가스로 에어백이 전개되어 운전석을 보호한다.
이러한 운전석 에어백은, 스티어링 휠의 결합부(휠 아마추어라고도 함)에 고정된 마운팅 플레이트에 패키징되고, 마운팅 플레이트의 상측에는 커버가 결합된다.
마운팅 플레이트에는, 결합을 위한 후크부가 형성되고, 스티어링 휠의 결합부에는 후크부를 구속할 수 있는 클립부(와이어부라고도 함)가 설치된다.
그리고, 운전석 에어백의 커버에는 혼 가이드가 설치되고, 혼 가이드의 내부에는 흔 스프링이 설치되며, 혼 스프링의 내부에는 혼 로드가 설치된다.
또한, 마운팅 플레이트에는 혼 로드에 대향되도록 혼 컨텍트가 설치되는데, 혼 로드는 양극 전선이 연결됨에 따라 양극 전극부로 기능하며, 혼 컨텍트는 휠 아마추어에 접지되어 음극 전극부로 기능을 한다.
예를 들어, 운전석이 커버를 누르는 경우, 커버가 약간 하강됨에 따라 혼 로드가 혼 컨텍트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혼 로드가 혼 컨텍트에 접속됨에 따라 혼이 작동된다.
그런데, 종래의 운전석 에어백은 차량 충돌 발생에 의해 에어백이 전개되는 경우, 에어백의 전개력에 의해 후크부가 변형되어 클립부의 구속으로부터 해제될 수 있다. 따라서, 에어백 전개시 후크부와 클립부가 서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구조가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운전석 에어백의 전개력 발생시 후크의 지지력 편차에 의해 결합부의 걸림 단부가 돌출바의 일측으로 긴밀하게 밀착되므로, 결합부와 클립부의 체결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마운팅 플레이트와 혼 플레이트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운전석 에어백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마운팅 플레이트와 혼 플레이트의 전면을 향해 밀어 넣는 방식으로 결합시킴으로써, 원터치 방식의 결합 구조를 이용해 조립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운전석 에어백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운전석 에어백 장치는, 다수의 관통홀이 전후로 관통 형성되는 혼 플레이트와, 상기 혼 플레이트의 후면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측의 걸림 단부가 걸림 위치와 회피 위치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설치되는 클립부 및, 상기 혼 플레이트의 전면에 결합되며, 후면의 결합부가 상기 관통홀을 통해 삽입되어 상기 걸림 단부에 걸림 위치되는 마운팅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부는, 상기 관통홀에 관통 결합되는 돌출바와, 상기 돌출바의 일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걸림 단부의 후단에 걸림 위치되는 후크 및, 상기 후크의 전면에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기 후크의 전방으로 전개력 작용시 상기 걸림 단부의 일측을 상기 돌출바 방향으로 경사지게 삽입시키는 유도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걸림 단부는 상기 후크의 돌출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길이를 갖고, 길이 방향의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폭 방향으로 비틀림 변형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크의 전면은 상기 걸림 단부의 후단과 동일한 평면으로 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 단부는 상기 후크의 전방으로 전개력 작용시 일측 후단이 상기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유도홈에 삽입되고, 전단이 상기 돌출바의 일측에 경사지게 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도홈은 상기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돌출바 방향에 편향되게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도홈의 일측은 상기 회전 중심과 동일 선상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혼 플레이트의 후면에는 상기 걸림 단부의 길이 방향에 홀더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더에는 상기 걸림 단부가 삽입되며, 상기 걸림 단부가 걸림 위치 및 회피 위치로 이동 가능하도록 가이드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크의 후면에는 상기 돌출바를 상기 관통홀을 통해 관통 결합시 상기 걸림 단부를 걸림 해지 위치로 슬라이드 이동시키기 위한 경사면이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걸림 단부는 상기 경사면을 따라 걸림 해지 위치로 이동된 후, 걸림 위치로 회동되어 상기 후크의 전면에 걸림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통홀의 일측에는 지지판이 더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판은 상기 결합부를 상기 관통홀을 통해 관통 결합 완료시 상기 후크와 반대되는 상기 돌출바의 일측을 고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운전석 에어백의 전개력 발생시 후크의 지지력 편차에 의해 결합부의 걸림 단부가 돌출바의 일측으로 긴밀하게 밀착되므로, 결합부와 클립부의 체결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마운팅 플레이트와 혼 플레이트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마운팅 플레이트와 혼 플레이트의 전면을 향해 밀어 넣는 방식으로 결합시킴으로써, 원터치 방식의 결합 구조를 이용해 조립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운전석 에어백 장치에서 휠 결합부에 혼 플레이트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운전석 에어백 장치에서 혼 플레이트와 마운팅 플레이트가 결합된 상태를 후방에서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운전석 에어백 장치에서 혼 플레이트와 클립부를 후방에서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운전석 에어백 장치에서 혼 플레이트와 마운팅 플레이트를 결합하는 과정에서 결합부가 관통홀을 통해 삽입됨과 동시에, 경사면이 걸림 단부를 걸림 해지 위치로 회동시키는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운전석 에어백 장치에서 혼 플레이트와 마운팅 플레이트를 결합 완료시 걸림 단부가 걸림 위치로 회동되고, 후크의 전면에 걸림 단부가 걸림 위치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운전석 에어백 장치에서 전방으로 전개력 작용시 걸림 단부가 유도홈 방향으로 경사지게 회동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운전석 에어백 장치에서 걸림 단부가 회전중심을 예시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운전석 에어백 장치에 따른 혼 플레이트와 마운팅 플레이트를 결합 완료 후, 돌출바의 일측에 지지대를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운전석 에어백 장치에서 휠 결합부에 혼 플레이트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운전석 에어백 장치에서 혼 플레이트와 마운팅 플레이트가 결합된 상태를 후방에서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운전석 에어백 장치에서 혼 플레이트와 클립부를 후방에서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운전석 에어백 장치에서 혼 플레이트와 마운팅 플레이트를 결합하는 과정에서 결합부가 관통홀을 통해 삽입됨과 동시에, 경사면이 걸림 단부를 걸림 해지 위치로 회동시키는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운전석 에어백 장치에서 혼 플레이트와 마운팅 플레이트를 결합 완료시 걸림 단부가 걸림 위치로 회동되고, 후크의 전면에 걸림 단부가 걸림 위치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운전석 에어백 장치에서 전방으로 전개력 작용시 걸림 단부가 유도홈 방향으로 경사지게 회동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운전석 에어백 장치에서 걸림 단부가 회전중심을 예시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운전석 에어백 장치에 따른 혼 플레이트와 마운팅 플레이트를 결합 완료 후, 돌출바의 일측에 지지대를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운전석 에어백 장치는 혼 플레이트(100)와, 클립부(200) 및, 마운팅 플레이트(300)를 포함한다.
먼저, 혼 플레이트(100)는 도 1에서처럼 차량의 휠 결합부(10) 전면에 안착된 상태로 결합되는 것으로, 혼 플레이트(100)는 대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혼 플레이트(100)에는 후술 될 결합부(310)를 삽입시키기 위한 다수의 관통홀(110)이 전후로 관통 형성된다.
관통홀(110)은, 혼 플레이트부(100)의 양측에 대응되게 형성시킬 수 있으며, 관통홀(110)은 후술 될 결합부가 전후로 통과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여기서, 관통홀(110)은 사각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혼 플레이트(100)에는 체결볼트(120)를 결합시키기 위한 다수의 고정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체결볼트(120)는, 고정 영역과 휠 결합부(10)를 통해 전후로 관통 결합될 수 있으며, 나사결합 방식을 이용한 볼트 구조를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체결볼트(120)는 결합 위치 변경을 통해 혼 플레이트(100)의 결합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는데, 결합 위치 변경을 통해 휠 결합부(10)의 전면에 위치된 혼 플레이트(100)의 설치 위치를 가변할 수 있다.
또한, 체결볼트(120)의 후단은 혼 플레이트(100)의 후방으로 돌출되고, 체결볼트(120)의 후단에는 코일 형태의 스프링(S)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스프링(130)은 양단이 혼 플레이트(100)의 고정 영역과 휠 결합부(10)의 전면을 각각 지지하여 상호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압축 탄성력을 작용시킬 수 있다.
아울러, 혼 플레이트(100)의 후면에는 휠 결합부(10)의 혼 접속부(미도시)에 대응되게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하도록 다수(4개 등)의 접속단(140)이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혼 플레이트(100)의 전면에 후술 될 마운팅 플레이트(200)가 결합되는 경우, 혼 플레이트(100)가 전방의 가압력에 의해 휠 결합부(10)로 하강한다.
이때, 접속단(140)이 휠 결합부(10)의 혼 접속부(미도시)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혼 플레이트(100)에 설치될 혼 장치(미도시)가 작동할 수 있게 된다.
반면, 혼 플레이트(100)의 전방 가압력이 해지되는 경우, 혼 플레이트(100)가 후방의 스프링(130)의 압축 탄성력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된다.
이때, 접속단(140)이 혼 플레이트(100)와 함께 전방으로 이동되어 혼 접속부(미도시)로부터 이격되므로, 혼 장치(미도시)의 작동이 중지된다.
또한, 혼 플레이트(100)의 후면에는 후술 될 걸림 단부()를 제한 영역 내에서 가이드하기 위한 다수의 홀더(150)가 돌출될 수 있다.
홀더(150)는, 관통홀(110)의 일측에 위치될 수 있으나, 홀더(150)의 위치는 다양하게 설정이 가능하고, 홀더(150)에는 후술 될 걸림 단부(210)가 걸림 위치 및 회피 위치 사이 간격 내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가이드홀(151)이 형성된다.
가이드홀(151)은, 걸림 단부(210)가 걸림 위치 및 회피 위치로 길이를 가질 수 있으며, 폭 방향이 걸림 단부의 폭 방향을 동일한 폭으로 슬라이드 지지할 수 있다.
클립부(200)는, 혼 플레이트(100)의 후면에 일측의 고정단(210)이 고정되고, 타측의 걸림 단부(210)가 걸림 위치 및 회피 위치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클립부(200)는 비틀림 스프링 형태를 가질 수 있는데, 클립부(200)의 고정단(210)이 혼 플레이트(100)의 후면에 걸림 위치되고, 타측의 걸림 단부(210)가 걸림 위치 및 회피 위치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위치된다.
걸림 단부(210)는, 일정 길이로 연장되며, 홀더(150)의 가이드홀(151)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걸림 위치 및 회피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위치된다.
이 상태에서는, 걸림 단부(210)가 탄성력에 의해 가이드홀(151)의 길이 방향측 걸림 위치에 걸림 위치되며, 외력에 의해 가이드홀(151)의 회피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걸림 단부(210)의 끝단은 사각 블록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걸림 단부(210)의 끝단에 별도의 커버부재(221)를 사각 블록 형상으로 결합시킬 수도 있다.
또한, 걸림 단부는 후크의 돌출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길이를 갖고, 길이 방향의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폭 방향으로 비틀림 변형 가능하다.
커버부재(221)를 적용하는 경우, 커버부재(221)가 가이드홀(151)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걸림 단부(210)와 함께 걸림 위치 및 회피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걸림 단부(210)는, 후술 될 후크(310)의 돌출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길이를 갖고, 길이 방향의 회전 중심(C)을 기준으로 폭 방향으로 비틀림 변형 가능하다.
마운팅 플레이트(300)는, 혼 플레이트(100)의 전면에 결합되는 것으로, 마운팅 플레이트(300)에는 운전석 에어백(미도시)이 설치되며, 운전석 에어백은 다양한 형태로 접철되어 마운팅 플레이트(300)의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마운팅 플레이트(300)의 후면에는 전술한 관통홀(110)을 통해 삽입시켜 클립부(200)의 걸림 단부(220)에 걸림 위치시키기 위한 다수의 결합부(310)가 구비된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결합부(310)는 도 2와 4 내지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출바(311)와, 후크(312) 및, 유도홈(313)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관통홀(110)과 결합부(310)는 혼 플레이트(100)의 좌우 방향에 각각 대응되게 설치될 수 있으며, 전술한 관통홀(110)과 결합부(310)의 위치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돌출바(311)는, 마운팅 플레이트(300)의 후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것으로, 마운팅 플레이트(300)를 혼 플레이트(100)의 전면에 결합시 관통홀(110)을 통해 관통 결합된다.
여기서, 돌출바(311)는 혼 플레이트(100)의 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며, 돌출바(311)의 관통홀(110)을 통해 관통 결합된다.
후크(312)는, 돌출바(311)의 일측으로 돌출되어 그 전면이 걸림 단부(220)의 후단에 걸림 위치되는 것으로, 후크(312)는 돌출바(311)의 연장된 끝단으로부터 측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여기서, 후크(312)의 후면에는 경사면(312a)이 형성될 수 있는데, 경사면(312a)은 돌출바(311)를 관통홀(110)을 통해 관통 결합시키는 경우, 걸림 단부(220)를 걸림 해지 위치로 슬라이드 이동시킨다.
즉, 마운팅 플레이트(300)를 혼 플레이트(100)의 전면에 결합시키는 경우, 도 4에서처럼 걸림 단부(220)가 경사면(312a)을 따라 걸림 해지 위치로 이동된 후, 도 5에서처럼 걸림 위치로 이동되어 후크(312)의 전면에 걸림 위치될 수 있다.
이때, 후크(312)의 전면은 걸림 단부(220)의 후단과 동일한 평면으로 밀착될 수 있으며, 후크(312)는 전면이 걸림 단부(220)의 후단에 걸림 위치되므로, 마운팅 플레이트(300)를 혼 플레이트(100)의 전면에 걸리 위치된다.
이와 같은 결합부(310)는, 혼 플레이트(100)의 좌우 방향에 대응되게 구비되는 경우, 후크(312)가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 경우, 걸림 단부(220)는 수직하게 길이를 가질 수 있으며, 걸림 단부(220)의 길이 방향측 끝단이 홀더(150)의 가이드홀(151)에 상하로 관통 결합될 수 있다.
이때, 걸림 단부(220)의 길이 방향측 끝단이 자체 탄성력에 의해 하단을 기준으로 회동되어 가이드홀(151)의 걸림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즉, 마운팅 플레이트(300)를 혼 플레이트(100)의 전면에 결합시키는 경우, 후크(312)의 미는 힘에 의해 걸림 단부(220)가 걸림 해지 위치로 이동된 후, 걸림 위치로 복귀되어 후크(312)의 전면에 걸림 위치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는, 걸림 단부(220)가 후크(312)의 돌출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교차되면서 후단이 걸림 위치되며, 걸림 단부(220)가 자체 탄성력에 의해 걸림 위치에 위치되므로, 걸림 단부(220)와 후크(312)가 분리되지 않는다.
유도홈(313)은, 후크(312)의 전면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부분으로, 유도홈(313)의 형상과 위치 및 크기 등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시킬 수 있다.
유도홈(313)의 전방에는, 걸림 단부(220)의 일측 후단 부위가 위치되는데, 후크(312)의 전방으로 전개력이 작용하는 경우, 걸림 단부(220)의 일측이 지지력 차이에 의해 유도홈(313)에 삽입된다.
그리고, 유도홈(313)은 걸림 단부(220)의 후단과 접촉되는 부위에 형성될 수 있고, 유도홈(313)과 대응되는 걸림 단부(220)의 후단에는 비접촉면이 형성된다.
이때, 유도홈(313)은 걸림 단부(220)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회전 중심(C)을 기준으로 돌출바(311) 방향에 편향되게 위치될 수 있으며, 유도홈(313)의 일측은 걸림 단부(220)의 회전 중심(C)과 동일 선상에 위치될 수 있다.
즉, 걸림 단부(220)는 후크(312)의 전방으로 전개력이 작용하는 경우, 일측 후단이 걸림 단부(220)의 비접촉면이 회전 중심(C)을 기준으로 유도홈(313)에 삽입되고, 삽입 단부(220)의 전단이 돌출바(311)의 일측에 경사지게 밀착된다.
따라서, 마운팅 플레이트(300)를 밀어 넣는 방식(원터치)으로 결합시킬 수 있어, 마운팅 플레이트(300)와 혼 플레이트(100)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조립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한편, 관통홀(110)의 일측에는 지지판(400)이 후방으로 일정 길이를 갖도록 더 결합될 수 있으며, 지지판(400)은 플라스틱 등의 소재를 이용해 제작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지지판(400)은, 결합부(310)를 관통홀(110)을 통해 관통 결합시키는 경우, 후크(312)와 반대되는 돌출바(311)의 일측을 고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즉, 지지판(400)이 후크(312)와 반대되는 돌출바(311)의 일측면을 고정적으로 지지하므로, 운전석 에어백의 전개력이 후크의 전방으로 작용하는 경우, 후크(312)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 4 내지 6을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운전석 에어백 장치의 결합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마운팅 플레이트(300)를 혼 플레이트(100)의 전면에 결합시키는 경우, 도 4에서처럼 후크(312)와 돌출바(311)가 관통홀(110)의 전방을 통해 후방으로 관통 결합된다.
이 과정에서, 후크(312)의 경사면(312a)에 안내되면서 밀착되는 걸림 단부(220)가 탄성 변형되면서 가이드홀(151)을 따라 걸림 해지 방향으로 회동된다.
이후, 도 5에서처럼 걸림 단부(220)가 자체 탄성력에 의해 가이드홀(151)을 따라 걸림 방향으로 복귀되며, 이때 걸림 단부(220)의 후단이 후크(312)의 전면에 걸림 위치된다.
이 상태에서는, 후크(312)의 전면에 걸림 단부(220)가 걸림 위치되므로, 마운팅 플레이트(300)가 혼 플레이트(100)의 전면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는다.
한편, 차량 충돌에 의해 마운팅 플레이트(300)에 설치된 에어백이 전방으로 전개되는 경우, 에어백의 전개력이 돌출바(311)와 후크(312)의 전방으로 작용된다.
이때, 후크(312)의 전면이 걸림 단부(220)의 후단을 전방으로 지지하게 되며, 후크(312)에 의해 지지된 걸림 단부(220)는 유도홈(313)에 의해 지지력 편차가 발생한다.
즉, 걸림 단부(220)의 일측이 후크(312)의 전면에 형성된 유도홈(313)에 삽입되면서 회전중심(C)을 기준으로 경사지게 기울어지고, 걸림 단부(220)의 전단이 돌출바(311)의 일측에 밀착된다.
이 상태에서는, 걸림 단부(220)가 에어백의 전개력에 의해 돌출바(311)와 긴밀하게 밀착되므로, 걸림 단부(220)와 결합부(310)의 결합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반면, 에어백의 전개력이 해지되는 경우는 후크(312)의 지지력이 해지되며, 걸림 단부(220)가 자체 탄성력에 의해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면서 후크(312)의 전면에 수평하게 밀착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운전석 에어백의 전개력 발생시 후크(312)의 지지력 편차에 의해 결합부(310)의 걸림 단부(220)가 돌출바(311)의 일측으로 긴밀하게 밀착되므로, 결합부(310)와 클립부(200)의 체결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마운팅 플레이트(300)와 혼 플레이트(10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마운팅 플레이트(300)와 혼 플레이트(100)의 전면을 향해 밀어 넣는 방식으로 결합시킴으로써, 원터치 방식의 결합 구조를 이용해 조립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운전석 에어백 장치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휠 11: 휠 결합부
20: 혼 100: 혼 플레이트
110: 관통홀 120: 체결볼트
130: 스프링 140: 접속단
150: 홀더 151: 가이드홀
200: 클립부 210: 고정단
220: 걸림 단부 300: 마운팅 플레이트
310: 결합부 311: 돌출바
312: 후크 312a: 경사면
313: 유도홈 400: 지지대
C: 회전중심

Claims (10)

  1. 다수의 관통홀이 전후로 관통 형성되는 혼 플레이트;
    상기 혼 플레이트의 후면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측의 걸림 단부가 걸림 위치와 회피 위치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설치되는 클립부; 및
    상기 혼 플레이트의 전면에 결합되며, 후면의 결합부가 상기 관통홀을 통해 삽입되어 상기 걸림 단부에 걸림 위치되는 마운팅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부는, 상기 관통홀에 관통 결합되는 돌출바와, 상기 돌출바의 일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걸림 단부의 후단에 걸림 위치되는 후크 및, 상기 후크의 전면에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기 후크의 전방으로 전개력 작용시 상기 걸림 단부의 일측을 상기 돌출바 방향으로 경사지게 삽입시키는 유도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석 에어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단부는,
    상기 후크의 돌출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길이를 갖고, 길이 방향의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폭 방향으로 비틀림 변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석 에어백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의 전면은,
    상기 걸림 단부의 후단과 동일한 평면으로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석 에어백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단부는,
    상기 후크의 전방으로 전개력 작용시 일측 후단이 상기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유도홈에 삽입되고, 전단이 상기 돌출바의 일측에 경사지게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석 에어백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홈은,
    상기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돌출바 방향에 편향되게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석 에어백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홈의 일측은,
    상기 회전 중심과 동일 선상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석 에어백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혼 플레이트의 후면에는,
    상기 걸림 단부의 길이 방향에 홀더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석 에어백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에는,
    상기 걸림 단부의 길이 방향이 삽입되며, 상기 걸림 단부가 걸림 위치 및 회피 위치 사이 간격 내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가이드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석 에어백 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의 후면에는,
    상기 돌출바를 상기 관통홀을 통해 관통 결합시 상기 걸림 단부를 걸림 해지 위치로 슬라이드 이동시키기 위한 경사면이 더 형성되며,
    상기 걸림 단부는,
    상기 경사면을 따라 걸림 해지 위치로 이동된 후, 걸림 위치로 회동되어 상기 후크의 전면에 걸림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석 에어백 장치.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의 일측에는,
    지지판이 더 결합되며,
    상기 지지판은,
    상기 결합부를 상기 관통홀을 통해 관통 결합 완료시 상기 후크와 반대되는 상기 돌출바의 일측을 고정적으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석 에어백 장치.
KR1020190126826A 2019-10-14 2019-10-14 운전석 에어백 장치 KR202100439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6826A KR20210043913A (ko) 2019-10-14 2019-10-14 운전석 에어백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6826A KR20210043913A (ko) 2019-10-14 2019-10-14 운전석 에어백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3913A true KR20210043913A (ko) 2021-04-22

Family

ID=75731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6826A KR20210043913A (ko) 2019-10-14 2019-10-14 운전석 에어백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4391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1554A (ko) * 2021-08-27 2023-03-0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스티어링 휠과 에어백 모듈의 결합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1554A (ko) * 2021-08-27 2023-03-0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스티어링 휠과 에어백 모듈의 결합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08309B2 (en) Driver's airbag module assembly structure
US7823908B2 (en) Airbag module assembly to control gap adjacent airbag cover
US7125037B2 (en) Inflatable cushion retention system
US7232151B2 (en) Airbag device
JP5066188B2 (ja) エアバッグカバー保持方法
KR20070062211A (ko) 커튼에어백의 간섭을 방지하는 필러 램프 구조
US11034319B2 (en) Air bag module
US7097199B2 (en) Airbag cover emblem attachment apparatus and method
US2008010003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irbag module cover attachment
EP0953482B1 (en) Airbag device for driver
KR20210043913A (ko) 운전석 에어백 장치
US6364343B1 (en) Grab handle bracket/airbag igniter retainer
KR20130066407A (ko) 차량용 사이드에어백의 설치장치
US20010054809A1 (en) Airbag module with horn switch
CN210793086U (zh) 膝部气囊安装构造
KR20090062657A (ko) 에어백 인플레이터의 스퀴브커넥터 연결구조
US8702124B2 (en) Side airbag deployment arrangement
JP3895896B2 (ja) エアバッグモジュール
JPH1130214A (ja) クリップ
JP6158870B2 (ja) エアバッグ装置
KR20230015719A (ko) 테더 클립, 이를 포함하는 필러 구조 및 그 조립 방법
KR20170124856A (ko) 커튼 에어백의 유지 부재 및 커튼 에어백 장치
US11390233B2 (en) Driver seat airbag apparatus
KR20240058360A (ko) 운전석 에어백의 체결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운전석 에어백 장치
KR100559894B1 (ko) 차량용 커튼 에어백의 전개 충격 흡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