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4856A - 커튼 에어백의 유지 부재 및 커튼 에어백 장치 - Google Patents

커튼 에어백의 유지 부재 및 커튼 에어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4856A
KR20170124856A KR1020160054814A KR20160054814A KR20170124856A KR 20170124856 A KR20170124856 A KR 20170124856A KR 1020160054814 A KR1020160054814 A KR 1020160054814A KR 20160054814 A KR20160054814 A KR 20160054814A KR 20170124856 A KR20170124856 A KR 201701248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tain airbag
horizontal portion
holding member
vehicle
vertical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48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인수
허욱
Original Assignee
아시모리코리아(주)
아시모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시모리코리아(주), 아시모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시모리코리아(주)
Priority to KR10201600548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24856A/ko
Publication of KR201701248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48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2Curtain-type airbags deploying mainly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their top ed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13/0237Side or rear panels
    • B60R13/025Pillars; Roof r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3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vehicle roof frames or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7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way they are fold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커튼 에어백의 유지 부재에 의해, 커튼 에어백이 팽창 전개하는 것을 필러 가니쉬에 저해되지 않도록 보조하여, 커튼 에어백을 원활하게 전개시킨다. 유지 부재(30)는 수직벽(40) 및 수평부(50)로 이루어지는 대략 L자 형상의 단면 형상으로 형성된다. 절첩된 커튼 에어백(20)은 수평부(50)에 탑재된다. 수평부(50)는 커튼 에어백(20)의 긴쪽 방향 R을 따르는 복수의 홈(52)을 갖고, 커튼 에어백(20)의 외주를 따라 절곡된다. 수직벽(40)의 단부(41)와 수평부(50)의 단부(51)는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필러 가니쉬의 위쪽의 차량의 부착면에 부착된다. 수평부(50)의 단부(51)는 커튼 에어백(20)의 팽창시에 파단하는 취약부(57)를 갖는다.

Description

커튼 에어백의 유지 부재 및 커튼 에어백 장치{HOLDING MEMBER OF CURTAIN AIRBAG AND CURTAIN AIR BAG DEVICE}
본 발명은 절첩(접어 포갬)된 커튼 에어백을 차량의 루프 사이드 레일에 유지하는 커튼 에어백의 유지 부재 및 커튼 에어백과 유지 부재를 구비한 커튼 에어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커튼 에어백은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는 루프 사이드 레일을 따라 절첩된 상태로 수납되고, 유지 부재에 의해 루프 사이드 레일에 유지된다. 차량의 긴급 시(측면 충돌시 등)에, 커튼 에어백은 인플레이터의 발생하는 가스에 의해 차량의 측벽을 따라 아래쪽으로 팽창 전개하여, 차량의 승무원을 보호한다. 그때, 차량의 필러 가니쉬의 위치에서는 커튼 에어백이 필러 가니쉬의 상단에 강하게 접촉할 우려가 있으며, 필러 가니쉬와 차량의 보디의 사이의 간극에 커튼 에어백이 들어갈 우려도 있다. 따라서, 커튼 에어백을 정확하게 전개시키기 위해서는 커튼 에어백을 필러 가니쉬에 저해되는 일 없이 전개시킬 필요가 있다.
그래서, 종래, 전개 부재를 에어백 하우징(커튼 에어백)의 전개력에 의해, B 필러 가니쉬를 덮도록 전개시켜, 에어백 하우징의 전개 방향을 전개 부재에 의해 규제하는 에어백 장치가 알려져있다(특허문헌 1 참조).
그런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종래의 에어백 장치에서는 전개 부재가 일단부만이 지지된 상태(타단부가 지지되지 않은 상태)에서 에어백 하우징을 둘러싸고, 에어백 하우징을 루프 사이드 레일에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전개 부재의 강성을 높게 할 필요가 있다. 이것에 수반해서, 에어백 하우징에 의해 전개 부재를 변형시키기 어렵고, 에어백 하우징의 전개가 지연될 우려가 있다. 그 때문에, 에어백 하우징 내에서 가스의 흐름이 저해되어, 에어백 하우징의 전개 방향이 안정하지 않을 우려도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2000-33845호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를 감안해서 이루어진 발명으로서, 그 목적은 절첩된 커튼 에어백을 차량의 루프 사이드 레일에 유지하는 유지 부재에 의해, 커튼 에어백이 팽창 전개하는 것을 필러 가니쉬에 저해되지 않도록 보조하여, 커튼 에어백을 원활하게 전개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는 루프 사이드 레일을 따라 절첩된 상태에서 수납되는 커튼 에어백을 상기 루프 사이드 레일에 유지하고, 인플레이터의 가스에 의해 상기 커튼 에어백이 차량의 측벽을 따라 아래쪽으로 팽창 전개하는 것을 차량의 필러 가니쉬에 저해되지 않도록 보조하는 커튼 에어백의 유지 부재에 관한 것이다. 유지 부재는 차량의 부착면에 인접하는 수직벽 및 절첩된 상기 커튼 에어백이 탑재되는 수평부로 이루어지는 대략 L자 형상의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필러 가니쉬의 상단보다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길다. 상기 수평부는 절첩된 상기 커튼 에어백의 긴쪽 방향을 따르는 복수의 홈을 가지며, 절첩된 상기 커튼 에어백의 외주를 따라 절곡(접어 구부러짐)된다. 상기 수직벽의 단부와 상기 수평부의 단부는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필러 가니쉬의 위쪽의 상기 부착면에 부착된다. 상기 수평부의 단부는 상기 커튼 에어백의 팽창시에 파단되는 취약부를 갖는다.
또, 본 발명은 커튼 에어백과 커튼 에어백의 유지 부재를 구비한 커튼 에어백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절첩된 커튼 에어백을 차량의 루프 사이드 레일에 유지하는 유지 부재에 의해, 커튼 에어백이 팽창 전개하는 것을 필러 가니쉬에 저해되지 않도록 보조하여, 커튼 에어백을 원활하게 전개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의 커튼 에어백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차량 내에서 팽창 전개한 커튼 에어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실시형태의 유지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실시형태의 유지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절첩된 커튼 에어백에 유지 부재를 장착하는 수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절첩된 커튼 에어백에 유지 부재를 장착하는 수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절첩된 커튼 에어백에 유지 부재를 장착하는 수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차량에 탑재된 커튼 에어백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9는 유지 부재의 위치에서 팽창 전개하는 커튼 에어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유지 부재의 위치에서 팽창 전개하는 커튼 에어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유지 부재의 위치에서 팽창 전개하는 커튼 에어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유지 부재의 수평부에 형성되는 홈의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유지 부재의 수평부에 형성되는 홈의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유지 부재의 수평부에 형성되는 홈의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커튼 에어백의 유지 부재와 커튼 에어백 장치의 1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커튼 에어백 장치는 차량에 탑재되는 승무원 보호 장치이며, 커튼 에어백에 의해 차량의 승무원을 보호한다. 커튼 에어백은 절첩된 상태에서, 본 실시형태의 커튼 에어백의 유지 부재에 의해 차량에 유지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의 커튼 에어백 장치(1)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커튼 에어백 장치(1)를 차량(10)의 측벽(11)과 함께 나타내고 있다. 도 1에서는 차량(10)을 투시하여, 차량(10)에 탑재된 커튼 에어백 장치(1)를 점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또, 차량(10)의 내측에서 본 측벽(11)을 실선으로 나타내고, 차량(10)의 시트에 앉은 승무원(2)을 이점 쇄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1의 화살표 S는 차량(10)의 전후 방향(차량 전후 방향)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10)의 측벽(11)은 차 실내에서, 승무원(2)에 대해 차량(10)의 폭 방향(차량 폭 방향)의 측방에 위치한다. 차량(10)은 복수의 필러(12∼14)(A 필러(12), B 필러(13), C 필러(14)), 루프 사이드 레일(15), 창(16C, 16D)을 갖는 도어(16A, 16B)(전면 도어(16A), 후면 도어(16B))를 구비하고 있다. 복수의 필러(12∼14)는 각각 필러 가니쉬(12A∼14A)를 가지며, 차량(10)의 전면에서 후면을 향해 차례로 배치되어 있다.
A 필러(12)는 프런트 필러이고, 필러 가니쉬(12A)는 A 필러(12)를 덮는 A 필러 가니쉬(프런트 필러 가니쉬)이다. B 필러(13)는 센터 필러이며, 필러 가니쉬(13A)는 B 필러(13)를 덮는 B 필러 가니쉬(센터 필러 가니쉬)이다. C 필러(14)는 리어 필러이며, 필러 가니쉬(14A)는 C 필러(14)를 덮는 C 필러 가니쉬(리어 필러 가니쉬)이다. 필러 가니쉬(12A∼14A)는 차량(10)의 내장 부재이며, 필러 트림이라고도 한다.
A 필러(12)는 측벽(11)의 차량 전후 방향 S의 전방부에 위치하고, B 필러(13)는 측벽(11)의 차량 전후 방향 S의 중간부에 위치한다. 루프 사이드 레일(15)은 차량 전후 방향 S로 연장하고, 측벽(11)의 위 가장자리부를 따라 배치된다. 헤드 라이닝(15A)이 차량(10)의 루프와 루프 사이드 레일(15)을 덮는다. 헤드 라이닝(15A)의 측단이 루프 사이드 레일(15)을 따라 배치되어, 필러 가니쉬(12A∼14A)의 상단에 연결된다. 루프 사이드 레일(15)의 일부는 커튼 에어백 장치(1)가 부착되는 차량(10)의 부착면(17)이다. 부착면(17)은 차량 전후 방향 S로 연장하고, 헤드 라이닝(15A)에 의해 덮인다.
커튼 에어백 장치(1)는 측벽(11)의 위 가장자리부를 따라 배치되어, 차량(10)에 부착된다. 그 상태에서, 커튼 에어백 장치(1)는 헤드 라이닝(15A)과 A 필러(12)의 필러 가니쉬(12A)에 덮인다. 또, 커튼 에어백 장치(1)는 팽창 전개 가능한 커튼 에어백(20), 원통 형상의 인플레이터(3), 커튼 에어백(20)의 유지 부재(30)를 구비하고 있다. 커튼 에어백(20)은 복수의 직사각형형상의 부착편(21)과 원통 형상의 가스 공급부(22)를 구비하며, 가늘고 긴 형상으로 절첩된다. 복수의 부착편(21)과 가스 공급부(22)는 커튼 에어백(20)의 위 가장자리에 마련되고, 차량(10)의 위쪽으로 돌출한다.
커튼 에어백(20)은 절첩된 상태에서, 루프 사이드 레일(15)과 A 필러(12)를 따라 배치되어, 차량(10)에 수납된다. 커튼 에어백(20)의 복수의 부착편(21)은 차량(10)에 부착되는 부착부이며, 부착 부재(여기서는 볼트(4))에 의해, 루프 사이드 레일(15)(부착면(17))과 A 필러(12)에 부착된다. 절첩된 커튼 에어백(20)은 복수의 부착편(21)에 의해, 루프 사이드 레일(15)과 A 필러(12)에 유지되어, 차량 전후 방향 S를 따라 배치된다. 그 상태에서, 커튼 에어백(20)은 헤드 라이닝(15A)과 필러 가니쉬(12A)에 덮인다.
인플레이터(3)는 실린더 타입의 가스 발생 장치이며, 커튼 에어백(20)의 가스 공급부(22) 내에 배치된 상태에서, 가스 공급부(22)에 고정된다. 또, 인플레이터(3)는 부착 부재에 의해 루프 사이드 레일(15)에 부착되어, 헤드 라이닝(15A)에 덮인다. 커튼 에어백 장치(1)의 작동시에, 인플레이터(3)는 가스 공급부(22) 내에서 가스를 발생하여, 커튼 에어백(20) 내에 가스를 공급한다.
유지 부재(30)는 절첩된 커튼 에어백(20)의 외주(외면)를 따라 배치되어, 커튼 에어백(20)에 장착된다. 또, 유지 부재(30)는 원통 형상을 이루고, 커튼 에어백(20)의 일부를 둘러싼다. 절첩된 커튼 에어백(20)은 유지 부재(30)의 내측에 배치된다.
유지 부재(30)는 B 필러(13)의 필러 가니쉬(13A)에 대해 차량(10)의 위쪽에 배치된다. 또, 유지 부재(30)는 1 이상의 볼트(4)에 의해, 커튼 에어백(20)의 부착편(21)과 함께 루프 사이드 레일(15)에 부착되어, 절첩된 커튼 에어백(20)을 루프 사이드 레일(15)에 유지한다. 여기서는 유지 부재(30)가 2개의 볼트(4)에 의해, 2개의 부착편(21)과 함께, 루프 사이드 레일(15)에 마련된 차량(10)의 부착면(17)에 부착된다.
유지 부재(30)는 필러 가니쉬(13A)의 상단(13B)보다 차량 전후 방향 S로 길고, 필러 가니쉬(13A)의 상단(13B)을 따라 배치된다. 유지 부재(30)의 일단(전단)은 필러 가니쉬(13A)의 상단(13B)보다 차량(10)의 전방 측에 위치하고, 유지 부재(30)의 타단(후단)은 필러 가니쉬(13A)의 상단(13B)보다 차량(10)의 후방 측에 위치한다. 필러 가니쉬(13A)의 상단(13B)은 유지 부재(30)의 아래쪽에서, 유지 부재(30)의 양단의 사이의 영역에 위치한다.
도 2는 차량(10) 내에서 팽창 전개한 커튼 에어백(2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서는 헤드 라이닝(15A)과 A 필러(12)의 필러 가니쉬(12A)를 생략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의 긴급 시(측면 충돌시 등)에는 차량(10)의 지시 장치로부터 수신한 작동 신호에 의거하여, 인플레이터(3)가 작동한다. 인플레이터(3)는 가스를 발생하여, 커튼 에어백(20) 내에 가스를 공급한다. 가스에 의해, 커튼 에어백(20)은 절첩 형상을 해소하면서, 커튼형상으로 팽창 전개한다. 그때, 팽창하는 커튼 에어백(20)에 의해, 헤드 라이닝(15A)과 필러 가니쉬(12A)가 밀어 열려, 커튼 에어백(20)이 차 내부를 향해 전개된다.
차량(10) 내에서, 커튼 에어백(20)은 가스에 의해, 아래쪽으로 팽창 전개하여, 측벽(11)을 덮는다. 또, 커튼 에어백(20)은 측벽(11)과 승무원(2)의 사이의 공간에서, 측벽(11)을 따라 팽창 전개한다. 승무원(2)은 커튼 에어백(20)에 의해 받아내어져 보호된다. 커튼 에어백(20)의 팽창 전개시에, 유지 부재(30)의 일부가 B 필러(13)의 필러 가니쉬(13A)를 향해 이동하여, 유지 부재(30)가 필러 가니쉬(13A)의 상단(13B)의 전체를 덮는다. 유지 부재(30)에 의해, 커튼 에어백(20)이 필러 가니쉬(13A)의 상단(13B)에 접촉하지 않고, 커튼 에어백(20)의 전개가 보조된다. 팽창 전개시에, 커튼 에어백(20)은 필러 가니쉬(13A)에 의해 저해되지 않고, 차실을 향해 전개되며, 측벽(11) 및 필러 가니쉬(13A)를 따라 팽창 전개한다.
도 3, 도 4는 본 실시형태의 유지 부재(30)의 사시도 이며, 절첩된 커튼 에어백(20)의 일부를 둘러싸기 전의 유지 부재(30)를 나타내고 있다. 또, 도 3, 도 4는 유지 부재(30)에 의해 유지되는 커튼 에어백(20)의 일부를 점선으로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3은 커튼 에어백(20) 측에서 본 유지 부재(30)를 나타내며, 도 4는 도 3에 나타내는 유지 부재(30)의 이면 측을 나타내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유지 부재(30)는 판형상의 수직벽(40)과 수직벽(40)에 연속하는 판형상의 수평부(50)를 갖는다. 합성수지를 사출 성형함으로써, 유지 부재(30)가 일체 성형된다. 또, 유지 부재(30)는 수직벽(40) 및 수평부(50)로 이루어지는 대략 L자 형상의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유지 부재(30)의 단면 형상은 절첩된 커튼 에어백(20)의 긴쪽 방향 R에 직교하는 단면의 형상이다. 커튼 에어백(20)은 절첩된 상태에서, 수평부(50)에 탑재된다. 수직벽(40)과 수평부(50)는 커튼 에어백(20)의 긴쪽 방향 R을 따라 배치된다.
유지 부재(30)의 수직벽(40)은 절첩된 커튼 에어백(20)의 차량 폭 방향의 외측에 배치되는 벽부이며, 유지 부재(30)가 차량(10)의 부착면(17)에 부착된 상태에서 부착면(17)에 인접한다. 커튼 에어백(20)은 수직벽(40)의 차량 폭 방향의 내측에 배치되고, 수직벽(40)은 커튼 에어백(20)의 측면에 접촉한다.
유지 부재(30)의 수평부(50)는 수직벽(40)에서 수평 방향을 향해 돌출되며, 커튼 에어백(20)의 아래쪽에 배치된다. 유지 부재(30)는 수직벽(40)과 수평부(50)로 이루어지며, 수직벽(40)과 수평부(50)의 사이에서 1회 굴곡하는 굴곡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수직벽(40)의 단부(41)(상단부)는 유지 부재(30)의 일단부이며, 수평부(50)의 단부(51)(돌출 단부)는 유지 부재(30)의 타단부이다.
유지 부재(30)는 수직벽(40)과 수평부(50)의 사이의 각부(31)(굴곡부)에 형성된 복수의 볼록부(32)를 갖는다. 또, 수직벽(40)은 커튼 에어백(20)의 반대측의 면에 형성되며 복수의 볼록부(42)를 갖는다. 복수의 볼록부(32)는 유지 부재(30)의 각부(31)를 보강하는 보강부이며, 복수의 볼록부(42)는 수직벽(40)을 보강하는 보강부이다. 볼록부(32, 42)의 보강에 의해, 각부(31)와 수직벽(40)의 강성은 수평부(50)의 강성보다 높다. 그 때문에, 커튼 에어백(20)의 팽창 전개시에는 각부(31)와 수직벽(40)의 변형이 억제되어, 수평부(50)가 수직벽(40)에 지지된 상태에서 변형된다. 따라서, 수직벽(40)은 수평부(50)를 지지하는 지지부이기도 하다.
유지 부재(30)의 수평부(50)는 절곡 가능한 돌출부이며, 수직벽(40) 및 절첩된 커튼 에어백(20)으로부터 돌출된 형상(돌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수평부(50)는 절곡 변형에 의해, 돌출 형상으로부터, 커튼 에어백(20)의 외주를 따르는 형상으로 변형된다. 또, 수평부(50)는 병렬된 복수의 홈(52)을 가지며, 복수의 홈(52)의 위치에서 플렉시블하게 절곡된다. 복수의 홈(52)은 수평부(50)의 커튼 에어백(20)과는 반대측의 면에 형성되며, 절첩된 커튼 에어백(20)의 긴쪽 방향 R을 따라 연장한다.
절첩된 커튼 에어백(20)은 수평부(50)의 탑재면(53)에 탑재된다. 복수의 홈(52)은 커튼 에어백(20)(탑재면(53))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수평부(50)의 반대면(54)에 직선형상으로 형성된다. 수평부(50)의 복수의 홈(52)의 부분은 수평부(50)의 홈(52) 이외의 부분보다 얇고, 변형되기 쉽다. 그 때문에, 유지 부재(30)를 커튼 에어백(20)에 장착할 때에, 수평부(50)는 복수의 홈(52)의 위치에서, 커튼 에어백(20)을 향해 절곡되어(도 3의 화살표 Y1 참조), 커튼 에어백(20)의 외주를 따라 변형된다.
수평부(50)의 절곡에 의해, 수평부(50)의 단부(51)는 수직벽(40)의 단부(41)에 중첩된다. 수직벽(40)의 단부(41)와 수평부(50)의 단부(51)는 절첩된 커튼 에어백(20)의 위쪽에서, 서로 중첩되어 연결된다. 또, 수직벽(40)의 단부(41)와 수평부(50)의 단부(51)는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필러 가니쉬(13A)의 위쪽의 부착면(17)에 부착된다. 유지 부재(30)는 연결된 단부(41,51)에 의해, 차량(10)의 부착면(17)에 부착된다.
수직벽(40)의 단부(41)와 수평부(50)의 단부(51)는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차량(10)의 부착면(17)에 부착되는 부착부(43, 55)를 갖는다. 2개의 부착부(43)가 수직벽(40)의 단부(41)에 마련되어, 절첩된 커튼 에어백(20)의 긴쪽 방향 R에 떨어진 위치에 형성된다. 또, 2개의 부착부(55)가 수평부(50)의 단부(51)에 마련되어, 절첩된 커튼 에어백(20)의 긴쪽 방향 R에 떨어진 위치에 형성된다. 수평부(50)의 절곡에 의해, 수평부(50)의 2개의 부착부(55)가 각각 수직벽(40)의 부착부(43)에 중첩된다.
수직벽(40)의 부착부(43)는 직사각형 형상의 돌출 부재이며, 걸어 맞춤부(44)와 부착 구멍(45)을 갖는다. 또, 수직벽(40)은 부착부(43)에 장착되는 장착부(46)와 장착부(46)를 부착부(43)에 접속하는 절곡 가능한 접속부(47)를 갖는다. 걸어 맞춤부(44)는 복수의 걸어 맞춤 돌기(44A)를 가지며, 걸어 맞춤 돌기(44A)에 의해, 수평부(50)의 부착부(55) 및 장착부(46)와 걸어 맞춰진다. 복수의 걸어 맞춤 돌기(44A)는 탄성 변형 가능한 후크이며, 원형형상의 부착 구멍(45)의 주위에 형성되어 있다. 장착부(46)는 직사각형 형상의 탭이며, 끼움 구멍(46A), 오목부(46B) 및 볼록부(46C)를 갖는다. 끼움 구멍(46A)과 볼록부(46C)는 오목부(46B)에 위치한다.
수평부(50)의 부착부(55)는 걸어 맞춤 구멍(56)을 가지며, 루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부착부(43, 55)의 연결시에는 수평부(50)의 부착부(55)를 수직벽(40)의 부착부(43)까지 이동시켜(도 3의 화살표 Y1 참조), 걸어 맞춤부(44)의 걸어 맞춤 돌기(44A)를 걸어 맞춤 구멍(56) 내에 배치한다. 또, 수평부(50)의 부착부(55)를 걸어 맞춤 돌기(44A)에 걸어, 걸어 맞춤 돌기(44A)에 부착부(55)를 걸어 맞춘다. 이것에 의해, 수평부(50)의 단부(51)를 부착부(43)의 걸어 맞춤부(44) 및 수직벽(40)의 단부(41)에 걸어 맞춘다. 다음에, 접속부(47)를 절곡하여, 장착부(46)를 부착부(43)에 꽉 누른다(도 3의 화살표 Y2 참조).
걸어 맞춤부(44)의 복수의 걸어 맞춤 돌기(44A)는 장착부(46)의 끼움 구멍(46A)에 삽입되어, 끼움 구멍(46A)에 끼운다. 동시에, 복수의 걸어 맞춤 돌기(44A)가 끼움 구멍(46A)의 가장자리부에 걸려, 장착부(46)가 복수의 걸어 맞춤 돌기(44A)에 걸어 맞춰진다. 이것에 의해, 장착부(46)는 부착부(43)의 걸어 맞춤부(44)에 걸어 맞춰져, 부착부(43)에 장착된다. 끼움 구멍(46A)과 부착 구멍(45)은 대향하고 있으며, 부착 구멍(45)은 장착부(46)에 의해 막히지 않는다. 볼트(4)(도 1 참조)는 부착 구멍(45)에 삽입되어, 부착 구멍(45) 내에 배치된다. 부착 구멍(45) 내의 볼트(4)에 의해, 단부(41,51)(부착부(43,55))가 차량(10)의 부착면(17)에 부착된다.
수평부(50)의 부착부(55)는 장착부(46)의 오목부(46B) 내에 수용되고, 장착부(46)의 볼록부(46C)는 부착부(55)의 걸어 맞춤 구멍(56) 내에 배치된다. 수평부(50)의 부착부(55)는 부착부(43)와 장착부(46)의 사이에 배치되어, 수직벽(40)의 부착부(43)에 연결된다. 이것에 의해, 수직벽(40)의 단부(41)와 수평부(50)의 단부(51)가 서로 중첩해서 연결된다. 단부(41,51)를 볼트(4)에 의해 부착면(17)에 부착했을 때에는 부착부(43)에 접촉하는 볼록부(46C)에 의해, 오목부(46B) 내의 부착부(55)가 찌부러지는 것이 방지된다.
도 5∼도 7은 절첩된 커튼 에어백(20)에 유지 부재(30)를 장착하는 수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의 (a)∼도 7의 (a)는 커튼 에어백(20)의 일부와 유지 부재(30)를 도 3의 화살표 Y3 방향에서 보아 나타내고, 유지 부재(30)의 커튼 에어백(20)에 숨은 부분을 점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5의 (b)∼도 7의 (b)는 도 5의 (a)∼도 7의 (a)의 Z-Z선으로 절단한 커튼 에어백(20)과 유지 부재(30)의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벽(40)의 2개의 부착부(43)의 위치를 커튼 에어백(20)의 2개의 부착편(21)의 위치에 맞추어, 유지 부재(30)를 커튼 에어백(20)을 따라 배치한다(도 5 참조).
커튼 에어백(20)은 차량(10)에의 부착편(21)에 형성된 원형형상의 관통구멍(23)을 갖는다. 걸어 맞춤부(44)의 걸어 맞춤 돌기(44A)를 부착편(21)의 관통구멍(23)에 삽입하여, 관통구멍(23) 내에 배치한다. 부착편(21)을 걸어 맞춤 돌기(44A)에 걸어, 걸어 맞춤 돌기(44A)에 걸어 맞춘다. 이것에 의해, 커튼 에어백(20)의 부착편(21)이 부착부(43)의 걸어 맞춤부(44) 및 수직벽(40)의 단부(41)에 걸어 맞춰지고, 수직벽(40)의 단부(41)에 배치된다. 또, 유지 부재(30)의 수직벽(40)을 절첩된 커튼 에어백(20)의 외주를 따라 배치하고, 커튼 에어백(20)을 유지 부재(30)의 수평부(50)에 탑재한다.
다음에, 유지 부재(30)의 수평부(50)를 복수의 홈(52)의 위치에서 절곡하여, 절첩된 커튼 에어백(20)의 외주를 따라 배치한다(도 6 참조). 그때, 복수의 홈(52)의 열림이 커지고, 수평부(50)가 커튼 에어백(20)의 외주를 따라 절곡된다. 또, 유지 부재(30)가 원통 형상으로 변형되어, 유지 부재(30)의 수직벽(40)과 수평부(50)가 커튼 에어백(20)의 일부를 둘러싼다. 수평부(50)의 절곡에 의해, 유지 부재(30)는 커튼 에어백(20)의 외주를 따르는 컴팩트한 형상으로 된다.
계속해서, 수평부(50)의 단부(51)(부착부(55))를 수직벽(40)의 단부(41)(부착부(43)의 걸어 맞춤부(44))에 걸어 맞춘다. 커튼 에어백(20)의 부착편(21)은 수평부(50)의 단부(51)(부착부(55))와 수직벽(40)의 단부(41)(부착부(43))의 사이에 배치된다. 그 상태에서, 수직벽(40)의 장착부(46)를 부착부(43)에 장착한다(도 7 참조). 이것에 의해, 수평부(50)의 단부(51)가 수직벽(40)의 단부(41)에 유지되고, 수직벽(40)의 단부(41)와 수평부(50)의 단부(51)가 연결된다. 또, 커튼 에어백(20)의 부착편(21)이 수직벽(40)의 단부(41)와 수평부(50)의 단부(51)에 부착된다.
유지 부재(30)는 절첩된 커튼 에어백(20)의 일부에 장착된다. 계속해서, 인플레이터(3)를 커튼 에어백(20)의 가스 공급부(22)에 고정시켜, 커튼 에어백 장치(1)를 제조한다(도 1 참조). 그 후, 볼트(4) 등에 의해, 커튼 에어백 장치(1)가 차량(10)에 부착되어, 커튼 에어백 장치(1)가 차량(10)에 탑재된다.
도 8은 차량(10)에 탑재된 커튼 에어백 장치(1)의 단면도이며, 도 1의 X-X선으로 절단한 차량(10)과 커튼 에어백 장치(1)를 나타내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10)은 용접에 의해 부착면(17)에 고정된 너트(18)를 갖는다. 볼트(4)가 수직벽(40)의 부착 구멍(45)에 삽입된 상태에서, 너트(18)에 부착된다. 볼트(4)와 너트(18)에 의해, 수직벽(40)의 단부(41)와 수평부(50)의 단부(51)는 서로의 사이에 커튼 에어백(20)의 부착편(21)을 배치한 상태에서, 부착편(21)과 함께, 필러 가니쉬(13A)의 위쪽에 위치하는 차량(10)의 부착면(17)에 부착된다.
차량(10)에서, 유지 부재(30)는 B 필러(13)의 필러 가니쉬(13A)의 위쪽에 배치되어, 절첩된 커튼 에어백(20)을 루프 사이드 레일(15)에 유지한다. 유지 부재(30)의 수평부(50)는 절첩된 커튼 에어백(20)의 차량 폭 방향의 내측에 배치되고, 커튼 에어백(20)의 측면에 접촉한다. 절첩된 커튼 에어백(20)은 수평부(50)의 차량 폭 방향의 외측에 배치되는 동시에, 수평부(50)와 수직벽(40)의 사이에 배치된다.
유지 부재(30)와 절첩된 커튼 에어백(20)은 루프 사이드 레일(15)과 헤드 라이닝(15A)의 사이의 공간에 수납되어, 헤드 라이닝(15A)에 덮인다. 유지 부재(30)의 아래쪽에서, 헤드 라이닝(15A)의 측단(15B)이 필러 가니쉬(13A)의 상단(13B)에 접촉하여, 필러 가니쉬(13A)의 상단(13B)에 연결된다. 유지 부재(30)는 헤드 라이닝(15A)에 접촉되지 않고, 유지 부재(30)와 헤드 라이닝(15A)의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된다.
인플레이터(3)가 가스를 발생할 때에는(도 1 참조), 가스가 인플레이터(3)로부터 커튼 에어백(20)의 전단과 후단을 향해 공급되어, 커튼 에어백(20)이 점차 팽창한다. 그때, 가스는 인플레이터(3)에서 유지 부재(30)의 위치까지 도달하고, 커튼 에어백(20)의 유지 부재(30)에 유지된 부분에도 공급된다. 가스에 의해, 커튼 에어백(20)은 유지 부재(30)의 내측에서 팽창한다.
도 9∼도 11은 유지 부재(30)의 위치에서 팽창 전개하는 커튼 에어백(20)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커튼 에어백(20)의 팽창이 개시하면, 커튼 에어백(20)으로부터 유지 부재(30)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유지 부재(30)의 수평부(50)가 소정 위치에서 파단한다.
수평부(50)의 단부(51)는 팽창하는 커튼 에어백(20)으로부터 가해지는 힘에 의해 파단 가능한 취약부(57)를 갖는다. 취약부(57)는 수평부(50)의 다른 부분보다 취약한 부분이며, 단부(51)의 일부(파단 가능부)이다. 예를 들면, 수평부(50)의 단부(51)에 약화 부분(절결, 박육부, 단부 등)을 형성함으로써, 수평부(50)의 단부(51)에 취약부(57)가 형성된다. 혹은 수평부(50)의 단부(51) 내에서, 힘의 집중부가 취약부(57)가 되어 파단된다. 여기서는 커튼 에어백(20)의 팽창에 의해, 수평부(50)의 부착부(55)가 파단한다. 예를 들면, 부착부(55)는 2개소의 근원에서 파단하여, 수평부(50)의 다른 부분으로부터 분리된다. 그 때문에, 부착부(55)의 일부가 단부(51)의 취약부(57)이다.
커튼 에어백(20)의 팽창시에, 취약부(57)가 파단되어, 절곡된 수평부(50)가 수직벽(40)의 단부(41)로부터 해방된다(도 9 참조). 커튼 에어백(20)의 팽창에 수반하여, 유지 부재(30)의 수평부(50)는 절곡을 해소하면서, 취약부(57)에서 파단된 부분을 선단으로 하여, 헤드 라이닝(15A)을 향해 이동한다. 그때, 복수의 홈(52)에 의해, 수평부(50)는 절곡을 해소하는 방향(복수의 홈(52)의 열림이 원래의 열림(도 3∼도 5에 나타내는 열림)으로 돌아가는 방향)으로 용이하게 변형된다.
여기서는 수평부(50)는 복수의 홈(52)의 부분에서 절곡되었을 때에 탄성 변형한다. 취약부(57)가 파단하면, 수평부(50)의 탄성 변형이 탄성력에 의해 복원하여, 수평부(50)의 절곡의 일부 또는 전부가 해소된다. 이와 같이, 수평부(50)는 탄성력에 의한 복원을 이용해서 절곡의 일부 또는 전부를 스스로 해소 가능하고, 절곡의 해소에 의해, 절곡 전의 원래의 형상(도 3∼도 5에 나타내는 형상)을 향해 스스로 변형된다. 취약부(57)의 파단(단부(41)로부터의 해방)에 수반해서, 수평부(50)는 원래의 형상을 향해 용이하게 변형된다.
이에 반해, 수평부(50)가 복수의 홈(52)의 부분에서 절곡되었을 때에 소성 변형하는 경우에도, 수평부(50)는 홈(52)의 부분에서 용이하게 변형한다. 그 때문에, 팽창 전개하는 커튼 에어백(20)에 눌림으로써, 수평부(50)는 절곡을 해소하여, 원래의 형상을 향해 용이하게 변형된다. 따라서, 수평부(50)의 변형 양태에 관계없이, 커튼 에어백(20)의 팽창 전개의 초기에, 복수의 홈(52)에 의해, 수평부(50)의 절곡이 용이하게 해소된다. 또, 수평부(50)가 헤드 라이닝(15A)을 향해 정확하게 이동하여, 커튼 에어백(20)이 원활하고 또한 정확하게 전개한다.
유지 부재(30)의 수평부(50)는 차량 폭 방향의 내측을 향해 이동하여, 헤드 라이닝(15A)에 접촉한다. 팽창하는 커튼 에어백(20)에 의해, 수평부(50)가 헤드 라이닝(15A)에 꽉 눌려, 헤드 라이닝(15A)이 차량 폭 방향의 내측에 눌린다. 이것에 의해, 헤드 라이닝(15A)의 측단(15B)이 필러 가니쉬(13A)의 상단(13B)으로부터 어긋나, 헤드 라이닝(15A)과 필러 가니쉬(13A)의 사이에 개구(5)가 형성된다(도 10 참조). 커튼 에어백(20)은 개구(5)를 통과하고, 차실을 향해 전개한다.
커튼 에어백(20)의 팽창 전개가 진행하면, 유지 부재(30)의 수평부(50)는 커튼 에어백(20)에 의해 눌려 변형되면서, 개구(5)로부터 차 내부로 밀어내어지고, 필러 가니쉬(13A)를 향해 이동한다. 그때, 복수의 홈(52)의 열림이 원래의 열림으로 돌아오고, 또한 홈(52)의 열림이 원래의 열림보다 작아지도록, 수평부(50)가 반대면(54) 측을 향해 변형된다. 수평부(50)의 복수의 홈(52)의 부분은 변형되기 쉽기 때문에, 수평부(50)가 팽창 전개하는 커튼 에어백(20)에 의해 용이하게 변형되어, 커튼 에어백(20)의 전개가 원활하고 또한 정확하게 진행된다.
수평부(50)는 필러 가니쉬(13A)의 상단(13B)의 전체를 덮고, 커튼 에어백(20)과 필러 가니쉬(13A)의 상단(13B)의 사이에 배치된다. 수평부(50)에 의해, 커튼 에어백(20)이 필러 가니쉬(13A)의 상단(13B)에 접촉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 수평부(50)에 의해, 필러 가니쉬(13A)와 차량(10)의 보디의 사이의 간극에 커튼 에어백(20)이 들어가는 것이 방지된다.
유지 부재(30)의 수평부(50)가 팽창 전개하는 커튼 에어백(20)에 의해 눌려 변형됨에 따라, 복수의 홈(52)의 열림이 점차 작아진다. 홈(52)이 닫힐 때까지, 수평부(50)는 홈(52)의 부분에서, 반대면(54) 측을 향해 용이하게 절곡되고, 팽창 전개하는 커튼 에어백(20)의 형상에 대응해서 원활하게 변형된다. 홈(52)이 닫힌 후에는 수평부(50)가 홈(52) 이외의 부분에서도 변형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수평부(50)가 변형되기 어려워진다. 그 결과, 수평부(50)의 변형이 홈(52)이 닫히기 전과 비교하여 억제된다. 수평부(50)는 예를 들면, 절곡 변형 또는 만곡 변형에 의해, 반대면(54) 측을 향해 변형된다.
여기서는 수평부(50)의 복수의 홈(52) 중, 필러 가니쉬(13A)의 상단(13B) 근방의 홈(52)이 닫혔을 때에, 수평부(50)와 필러 가니쉬(13A)의 상단(13B)의 사이에 간극(6)이 형성된다(도 10 참조). 그 결과, 홈(52)이 닫힌 상태에서, 수평부(50)는 팽창 전개하는 커튼 에어백(20)에 의해 눌려, 간극(6)의 분만큼 변형된다. 수평부(50)가 필러 가니쉬(13A)의 상단(13B)에 접촉할 때에는(도 11 참조), 수평부(50)가 변형되기 어렵기 때문에, 수평부(50)와 필러 가니쉬(13A)의 상단(13B)이 강하게 충돌하는 것이 억제된다. 또, 수평부(50)가 필러 가니쉬(13A)에 접촉할 때에, 필러 가니쉬(13A)의 충격이 완화되고, 수평부(50)와 필러 가니쉬(13A)의 변형이 억제된다.
유지 부재(30)의 수평부(50)에 의해, 커튼 에어백(20)이 필러 가니쉬(13A)의 상단(13B)에 접촉하는 것이 방지되고, 필러 가니쉬(13A)의 상단(13B)의 변형이 억제된다. 또, 수평부(50)는 커튼 에어백(20)의 전개 방향인 아래쪽을 향해 이동한다. 그 때문에, 커튼 에어백(20)이 수평부(50)에 걸리는 것이 방지되어, 커튼 에어백(20)이 원활하게 전개한다. 수평부(50)는 커튼 에어백(20)의 전개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이기도 하다. 커튼 에어백(20)이 가스에 의해 차량(10)의 측벽(11)을 따라 아래쪽으로 팽창 전개할 때에, 차량(10)의 필러 가니쉬(13A)의 위치에서, 커튼 에어백(20)은 수평부(50)에 의해 가이드된다.
차량(10)의 부착면(17)에 부착된 상태에서, 유지 부재(30)는 커튼 에어백(20)의 전개가 필러 가니쉬(13A)에 저해되지 않도록, 커튼 에어백(20)의 전개를 보조한다. 유지 부재(30)에 의해, 커튼 에어백(20)이 차량(10)의 측벽(11)을 따라 아래쪽으로 팽창 전개하는 것을, 필러 가니쉬(13A)에 저해되지 않도록 보조한다.
측면 충돌시에는 차량(10)의 측벽(11)이 충돌 차량에 의해서 차량 폭 방향의 내측으로 이동하여, B 필러(13)가 차량 폭 방향의 내측으로 변형된다. 동시에, 필러 가니쉬(13A)의 상단(13B)이 차량 폭 방향의 내측으로 이동한다. 이 경우에도, 수평부(50)의 복수의 홈(52)의 부분이 필러 가니쉬(13A)의 상단(13B)의 위치에 따라 절곡된다. 수평부(50)는 절곡 변형에 의해, 필러 가니쉬(13A)의 이동에 대응해서 용이하게 변형되어, 커튼 에어백(20)의 전개를 보조한다. 그 때문에, 커튼 에어백(20)이 원활하게 전개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수평부(50)의 복수의 홈(52) 중, 필러 가니쉬(13A)의 상단(13B) 근방의 홈(52)이 닫혔을 때에, 수평부(50)와 필러 가니쉬(13A)의 상단(13B)의 사이에 간극(6)이 형성된다(도 10 참조). 이 간극(6)은 예를 들면, 측면 충돌시에 필러 가니쉬(13A)의 상단(13B)이 차량 폭 방향의 내측으로 이동하는 양에 의거하여 설정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필러 가니쉬(13A)의 상단(13B)이 차량 폭 방향의 내측으로 이동했을 때에, 필러 가니쉬(13A)의 상단(13B)과 수평부(50)가 강하게 충돌하는 것이 억제된다. 또, 커튼 에어백(20)의 팽창 전개가 유지 부재(30)에 의해 보조되어, 커튼 에어백(20)이 원활하게 전개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유지 부재(30)에 의해, 커튼 에어백(20)이 팽창 전개하는 것을 필러 가니쉬(13A)에 저해되지 않도록 보조하여, 커튼 에어백(20)을 원활하게 전개시킬 수 있다. 또, 커튼 에어백(20)을 측벽(11)을 따라 정확하게 팽창 전개시킬 수 있다. 유지 부재(30)의 수평부(50)가 원래의 형상을 향해 스스로 변형 가능하기 때문에, 커튼 에어백(20)의 전개 거동에의 영향을 작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커튼 에어백(20)의 유지 부재(30)에 의해 덮여 있는 부분과 유지 부재(30)에 의해 덮여 있지 않은 부분의 전개 거동의 차를 작게 하여, 커튼 에어백(20)을 더욱 균일하게 전개시킬 수 있다.
필러 가니쉬(13A)의 상단(13B)이 차량 폭 방향의 내측으로 이동했을 때에는 유지 부재(30)의 수평부(50)가 필러 가니쉬(13A)의 상단(13B)의 이동에 대응해서 변형된다. 그 때문에, 커튼 에어백(20)의 팽창 전개 중에, 수평부(50)에 의해, 커튼 에어백(20)의 전개가 필러 가니쉬(13A)에 저해되지 않도록 보조할 수 있다.
유지 부재(30)를 합성 수지에 의해 형성함으로써, 수평부(50)를 용이하게 변형시킬 수 있다. 단, 유지 부재(30)를 합성 수지 이외의 재료에 의해 형성하도록 해도 좋다. 또, 유지 부재(30)는 일체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반해, 수직벽(40)과 수평부(50)를 별개로 형성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수평부(50)가 수직벽(40)에 고정되어, 유지 부재(30)가 형성된다.
수직벽(40)의 단부(41)와 수평부(50)의 단부(51)를 미리 연결한 상태에서, 차량(10)의 부착면(17)에 부착할 수 있다. 동시에, 커튼 에어백(20)의 부착편(21)을 단부(41,51)와 함께 부착면(17)에 부착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유지 부재(30)와 커튼 에어백(20)을 부착면(17)에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다. 유지 부재(30)의 2개소를 부착면(17)에 부착함으로써, 유지 부재(30)가 회전하지 않고, 유지 부재(30)가 안정된다. 수평부(50)의 취약부(57)를 장착부(46)의 오목부(46B)내에 배치할 때에는 볼트(4)의 체결에 의해 취약부(57)가 찌부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복수의 홈(52)은 절첩된 커튼 에어백(20)의 긴쪽 방향 R을 따라, 유지 부재(30)의 수평부(50)에 형성되어 있다. 수평부(50)는 복수의 홈(52)에 의해, 커튼 에어백(20)의 외주를 따라 절곡하는 방향과, 절곡을 해소하는 방향으로 절곡하기 쉽고, 그 밖의 방향으로는 절곡하기 어렵다. 그 때문에, 수평부(50)를 절첩된 커튼 에어백(20)의 외주를 따라 용이하게 절곡할 수 있다. 또, 수평부(50)가 절곡이 용이하게 해소되기 때문에, 유지 부재(30)에 의해, 커튼 에어백(20)의 전개를 확실하게 보조할 수 있는 동시에, 커튼 에어백(20)을 원활하게 전개시킬 수 있다. 유지 부재(30)의 수평부(50)에 요구되는 강성을 확보하여, 유지 부재(30)에 의해, 절첩된 커튼 에어백(20)을 루프 사이드 레일(15)에 확실하게 유지할 수도 있다.
수평부(50)의 복수의 홈(52)에 의해, 커튼 에어백(20)의 팽창 전개시에 수평부(50)의 형상(변형 형상)을 조정할 수 있다. 수평부(50)의 변형 형상에 대응하여, 복수의 홈(52)의 각 간격이 설정된다. 예를 들면, 복수의 홈(52)을 등간격으로 형성해도 좋고, 복수의 홈(52)을 서로 다른 간격으로 형성해도 좋다. 또, 수평부(50)의 변형 형상에 대응하여, 홈(52)의 깊이가 설정된다. 예를 들면, 복수의 홈(52)을 동일한 깊이로 형성해도 좋고, 복수의 홈(52)을 서로 다른 깊이로 형성해도 좋다. 1개의 홈(52) 내에서 깊이를 변화시켜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홈(52)의 단부를 다른 부분보다 깊게 형성하거나, 혹은 홈(52)의 단부를 다른 부분보다 얕게 형성한다. 수평부(50)의 변형 형상에 대응하여, 홈(52)의 폭 또는 단면 형상을 변경해도 좋다.
도 12∼도 14는 유지 부재(30)의 수평부(50)에 형성되는 홈(52)의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홈(52)의 긴쪽 방향에 직교하는 수평부(50)의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12의 (a)∼도 14의 (a)는 절곡되어 있지 않은 수평부(50)를 나타내고, 도 12의 (b)∼도 14의 (b)는 수평부(50)의 변형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유지 부재(30)의 수평부(50)는 홈(52)의 위치에서 절곡되고, 홈(52)이 닫힌 상태에서, 소정의 변형 형상으로 변형된다.
수평부(50)가 동일한 두께일 때에는(도 12, 도 13 참조), 홈(52)의 깊이를 변경함으로써, 홈(52)의 위치의 수평부(50)의 두께가 변경된다. 이것에 수반해서, 수평부(50)의 절곡 용이가 변화한다. 홈(52)을 깊게 할수록, 수평부(50)가 절곡되기 쉬워진다. 그 때문에, 깊은 홈(52)을 갖는 수평부(50)(도 13 참조)는 얕은 홈(52)을 갖는 수평부(50)(도 12 참조)보다 용이하게 절곡된다. 홈(52)을 V자형상의 단면 형상으로 형성했을 때에는(도 14 참조), 홈(52)은 저부에서 개구를 향해 점차 넓어진다. 그 결과, 홈(52)이 닫힐 때까지 수평부(50)가 더욱 크게 절곡되고, 수평부(50)의 절곡 각도가 커진다.
또한, 여기서 유지 부재(30)는 B 필러(13)의 필러 가니쉬(13A)에 있어서, 커튼 에어백(20)의 전개를 보조한다. 이에 대해, B 필러(13) 이외의 필러의 필러 가니쉬에서, 유지 부재(30)에 의해 커튼 에어백(20)의 전개를 보조해도 좋다. 또, 1개의 필러 가니쉬에서, 유지 부재(30)에 의해 커튼 에어백(20)의 전개를 보조해도 좋고, 복수의 필러 가니쉬에서, 유지 부재(30)에 의해 커튼 에어백(20)의 전개를 보조해도 좋다.
1; 커튼 에어백 장치 2; 승무원
3; 인플레이터 4; 볼트
5; 개구 6; 간극
10; 차량 11; 측벽
12; A 필러 13; B 필러
14; C 필러 15; 루프 사이드 레일
17; 부착면 18; 너트
20; 커튼 에어백 21; 부착편
22; 가스 공급부 23; 관통구멍
30; 유지 부재 31; 각부
32; 볼록부 40; 수직벽
41; 단부 42; 볼록부
43; 부착부 44; 걸어 맞춤부
45; 부착구멍 46; 장착부
47; 접속부 50; 수평부
51; 단부 52; 홈
53; 탑재면 54; 반대면
55; 부착부 56; 걸어 맞춤 구멍
57; 취약부

Claims (4)

  1.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는 루프 사이드 레일을 따라 절첩된 상태에서 수납되는 커튼 에어백을 상기 루프 사이드 레일에 유지하고, 인플레이터의 가스에 의해 상기 커튼 에어백이 차량의 측벽을 따라 아래쪽으로 팽창 전개하는 것을 차량의 필러 가니쉬에 저해되지 않도록 보조하는 커튼 에어백의 유지 부재로서,
    차량의 부착면에 인접하는 수직벽 및 절첩된 상기 커튼 에어백이 탑재되는 수평부로 이루어지는 L자 형상의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필러 가니쉬의 상단보다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길고,
    상기 수평부는 절첩된 상기 커튼 에어백의 긴쪽 방향을 따르는 복수의 홈을 갖고, 절첩된 상기 커튼 에어백의 외주를 따라 절곡되고,
    상기 수직벽의 단부와 상기 수평부의 단부는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필러 가니쉬의 위쪽의 상기 부착면에 부착되고,
    상기 수평부의 단부는 상기 커튼 에어백의 팽창시에 파단되는 취약부를 갖는 커튼 에어백의 유지 부재.
  2. 제1항에서,
    상기 복수의 홈은 상기 수평부의 상기 커튼 에어백과는 반대 측의 면에 형성된 커튼 에어백의 유지 부재.
  3.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수직벽의 단부와 상기 수평부의 단부는 서로의 사이에 상기 커튼 에어백의 차량에의 부착편을 둔 상태에서, 상기 부착편과 함께 상기 부착면에 부착되는 커튼 에어백의 유지 부재.
  4. 커튼 에어백과 청구항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커튼 에어백의 유지 부재를 구비한 커튼 에어백 장치.
KR1020160054814A 2016-05-03 2016-05-03 커튼 에어백의 유지 부재 및 커튼 에어백 장치 KR201701248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4814A KR20170124856A (ko) 2016-05-03 2016-05-03 커튼 에어백의 유지 부재 및 커튼 에어백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4814A KR20170124856A (ko) 2016-05-03 2016-05-03 커튼 에어백의 유지 부재 및 커튼 에어백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4856A true KR20170124856A (ko) 2017-11-13

Family

ID=60386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4814A KR20170124856A (ko) 2016-05-03 2016-05-03 커튼 에어백의 유지 부재 및 커튼 에어백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2485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6054A (ko) * 2020-12-30 2022-07-07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6054A (ko) * 2020-12-30 2022-07-07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11825B2 (ja) 頭部保護エアバッグ装置を搭載した車両におけるピラーガーニッシュ取付構造
EP2394868B1 (en) Airbag device for protecting head in car
WO2010026970A1 (ja) 車両用ニーエアバッグ装置
EP1842741A2 (en) Guide plate for side air bag
US20140159351A1 (en) Mounting structures for front pillar trims
JP2019131002A (ja) フロントピラー構造
JP2007261475A (ja) 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を備えた車両の後部構造
US20080111354A1 (en) Apparatus for guiding deployment of curtain airbag for vehicle
JP5576307B2 (ja) 固定用クリップ
KR20170124856A (ko) 커튼 에어백의 유지 부재 및 커튼 에어백 장치
KR100970696B1 (ko) 에어백 모듈의 결합 구조
EP3480067B1 (en) Holding member of curtain airbag strap, curtain airbag device
JP6468530B2 (ja) 自動車用カーテンエアバッグの展開構造
JP6652884B2 (ja) カーテンエアバッグの保持部材及び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
JPWO2011162122A1 (ja) エアバッグ装置
JP2007269058A (ja) 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を備えた車両の後部構造
JP6567893B2 (ja) 内装部材取付構造
JP7028673B2 (ja) カーテンエアバッグの展開ガイド部材
KR101001461B1 (ko) 조수석 에어백
JP2008149930A (ja) 車両用脚部保護エアバッグ装置
JP5295878B2 (ja) エアバッグ装置
JP6752119B2 (ja) エアバッグ装置
JP4179335B2 (ja) 車両の乗員保護装置
JP5319414B2 (ja) エアバッグのカバー体及びエアバッグ装置
KR101086539B1 (ko) 차량의 헤드라이닝 에어백모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