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4061B1 - 보행자 충돌 검지 센서를 구비한 차량용 범퍼 구조 - Google Patents

보행자 충돌 검지 센서를 구비한 차량용 범퍼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4061B1
KR101854061B1 KR1020167021706A KR20167021706A KR101854061B1 KR 101854061 B1 KR101854061 B1 KR 101854061B1 KR 1020167021706 A KR1020167021706 A KR 1020167021706A KR 20167021706 A KR20167021706 A KR 20167021706A KR 101854061 B1 KR101854061 B1 KR 1018540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width direction
bumper
vehicle width
pressure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17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6713A (ko
Inventor
나오야 히가시마치
Original Assignee
도요타 지도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타 지도샤(주) filed Critical 도요타 지도샤(주)
Publication of KR201601067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67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40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40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4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ombined with, or convertible into, other devices or objects, e.g. bumpers combined with road brushes, bumpers convertible into be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1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04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formed from more than one section in a side-by-side arrang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1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 B60R19/2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containing mainly cellular material, e.g. solid fo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4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ombined with, or convertible into, other devices or objects, e.g. bumpers combined with road brushes, bumpers convertible into beds
    • B60R19/483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ombined with, or convertible into, other devices or objects, e.g. bumpers combined with road brushes, bumpers convertible into beds with obstacle sensors of electric or electronic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1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 B60R2019/186Additional energy absorbing means supported on bumber beams, e.g. cellular structures or material
    • B60R2019/1873Cellular materials

Abstract

프론트 범퍼 (12) 에서는, 범퍼 RF (20) 와는 별체의 지지 부재 (30) 가 범퍼 RF (20) 의 차폭 방향 양단부에 장착되고, 지지 부재 (30) 는 범퍼 RF (20) 의 차폭 방향 양단으로부터 차폭 방향 외측으로 또한 차량 후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 지지 부재 (30) 는, 앱소버 사이드부 (54) 및 압력 튜브 사이드부 (76) 의 차량 후측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범퍼 RF (20) 의 가공상의 제약 등에 의해, 차량 (10) 의 코너부 (10A) 의 차량 후측에 범퍼 RF (20) 를 배치할 수 없는 경우에도, 앱소버 사이드부 (54) 및 압력 튜브 사이드부 (76) 를 지지 부재 (30) 에 의해 차량 후측으로부터 지지할 수 있다. 이로써, 충돌체와의 충돌시에 압력 튜브 (72) 에 대한 반력을 지지 부재 (30) 에 의해 발생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코너부 (10A) 에 있어서 충돌체와의 충돌을 검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보행자 충돌 검지 센서를 구비한 차량용 범퍼 구조{VEHICLE BUMPER STRUCTURE EQUIPPED WITH PEDESTRIAN COLLISION DETECTION SENSOR}
본 발명은 보행자 충돌 검지 센서를 구비한 차량용 범퍼 구조에 관한 것이다.
하기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보행자 충돌 검지 센서를 구비한 차량용 범퍼 구조에서는, 범퍼 레인포스먼트와 앱소버 사이에 압력 튜브가 형성되어 있고, 압력 튜브는 차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이 압력 튜브는, 앱소버에 형성된 홈 내에 장착되어 (끼워 넣어져) 있다. 그리고, 차량과 충돌체의 충돌시에, 앱소버가 압력 튜브를 차량 후측으로 가압하면, 범퍼 레인포스먼트로부터 압력 튜브에 대한 반력이 작용하여, 압력 튜브가 변형된다. 이로써, 압력 센서가 압력 튜브의 압력 변화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여, 차량과의 충돌체가 보행자인지 아닌지를 ECU 가 판별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보행자 충돌 검지 센서를 구비한 차량용 범퍼 구조로서 하기 특허문헌 2 ∼ 특허문헌 4 에 기재된 것이 있다.
국제 공개 제2012/113362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7-069707호 국제 공개 제2011/128971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1-245910호
그런데, 차량의 코너부에 대해 차량 후측에 범퍼 레인포스먼트를 배치하는 경우에는, 차량의 코너부에 대응하여, 범퍼 레인포스먼트의 차폭 방향 양단부를 차량 후측으로 굴곡시킬 필요가 있다.
그러나, 범퍼 레인포스먼트의 굽힘 가공에서는, 소정 각도 이상의 굽힘 가공을 할 수 없다는 가공상의 제약이 있다. 이 때문에, 차량의 코너부에 있어서의 차량 폭 방향에 대한 경사가 큰 차량에서는, 범퍼 레인포스먼트의 차폭 방향 양단부를 굽힐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이로써, 이와 같은 차량에서는, 차량의 코너부에 대해 차량 후측에 범퍼 레인포스먼트를 배치하지 않는 구조가 된다. 따라서, 차량의 충돌체와의 충돌시에 압력 튜브에 대해 반력을 발생시키는 부재가 없기 때문에, 차량의 코너부에 있어서, 차량에 대한 충돌체의 유무를 검지할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사실을 고려하여, 차량의 코너부에 있어서 충돌체와의 충돌을 검지할 수 있는 보행자 충돌 검지 센서를 구비한 차량용 범퍼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 1 양태에 관련된 보행자 충돌 검지 센서를 구비한 차량용 범퍼 구조는, 차폭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여 배치된 범퍼 레인포스먼트와, 차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범퍼 레인포스먼트의 차량 전후 방향 외측에 인접하여 배치된 앱소버와, 상기 범퍼 레인포스먼트와 상기 앱소버 사이에서 차폭 방향으로 연장된 압력 튜브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압력 튜브의 압력 변화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보행자 충돌 검지 센서와, 상기 범퍼 레인포스먼트와는 별체로 구성되고, 평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범퍼 레인포스먼트의 차폭 방향 양단부로부터 차폭 방향 외측으로 또한 차량 전후 방향 내측으로 연장됨과 함께, 상기 앱소버 및 상기 압력 튜브의 차량 전후 방향 내측에 인접하여 배치된 지지 부재를 가지고 있다.
제 1 양태에 관련된 보행자 충돌 검지 센서를 구비한 차량용 범퍼 구조에서는, 범퍼 레인포스먼트가 차폭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 범퍼 레인포스먼트의 차량 전후 방향 외측 (차량 전부 (前部) 에 배치된 범퍼 레인포스먼트에서는 차량 전측, 차량 후부에 배치된 범퍼 레인포스먼트에서는 차량 후측) 에는 앱소버가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고, 앱소버는 차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 범퍼 레인포스먼트와 앱소버 사이에는, 보행자 충돌 검지 센서의 압력 튜브가 차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여기서, 범퍼 레인포스먼트와는 별체로 구성된 지지 부재가, 평면에서 보았을 때 범퍼 레인포스먼트의 차폭 방향 양단부로부터 차폭 방향 외측으로 또한 차량 전후 방향 내측으로 각각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 부재가, 앱소버 및 압력 튜브의 차량 전후 방향 내측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가공상의 제약 등에 의해, 차량의 코너부에 대해 차량 전후 방향 내측에 범퍼 레인포스먼트를 배치할 수 없는 경우에도, 지지 부재에 의해 앱소버 및 압력 튜브를 차량 전후 방향 내측으로부터 지지할 수 있다. 이로써, 차량의 충돌체와의 충돌시에, 압력 튜브에 대한 반력을 지지 부재에 의해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차량의 코너부에 있어서 충돌체와의 충돌을 검지할 수 있다.
제 2 양태에 관련된 보행자 충돌 검지 센서를 구비한 차량용 범퍼 구조는, 제 1 양태에 있어서, 상기 앱소버의 차폭 방향 양단부 및 상기 압력 튜브의 차폭 방향 양단부가, 상기 지지 부재의 선단보다 차폭 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 2 양태에 관련된 보행자 충돌 검지 센서를 구비한 차량용 범퍼 구조에서는, 앱소버 및 압력 튜브의 각각의 차폭 방향 양단부가, 지지 부재의 선단보다 차폭 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차폭 방향에 있어서의 보행자 충돌 검지 센서의 검지 범위를 크게 설정할 수 있다.
제 3 양태에 관련된 보행자 충돌 검지 센서를 구비한 차량용 범퍼 구조는, 제 2 양태에 있어서, 상기 앱소버에는, 상기 압력 튜브를 유지하는 유지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앱소버의 상기 차폭 방향 양단부에는, 상기 지지 부재의 선단에 대해 차량 전후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고 또한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앱소버측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압력 튜브의 상기 차폭 방향 양단부에는, 상기 앱소버측 돌출부를 따라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압력 튜브측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다.
제 3 양태에 관련된 보행자 충돌 검지 센서를 구비한 차량용 범퍼 구조에서는, 앱소버에 유지부가 형성되어 있고, 압력 튜브가 유지부에 의해 유지되어 있다. 이 때문에, 압력 튜브가 앱소버의 길이 방향에 걸쳐 유지되어 있다. 그리고, 앱소버측 돌출부 및 압력 튜브측 돌출부가, 지지 부재의 선단에 대해 차량 전후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어,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때문에, 차량의 측방으로부터 충돌체가 충돌했을 때에는, 차폭 방향 내측에 대한 하중이 앱소버측 돌출부 및 압력 튜브측 돌출부에 입력되고, 앱소버측 돌출부 및 압력 튜브측 돌출부가 차폭 방향 내측으로 변형된다. 이로써, 차량의 측방으로부터 충돌하는 충돌체도 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주로 차량의 측방으로부터 충돌하는 경향이 있는 자전거와의 충돌을 검지할 수 있다.
제 4 양태에 관련된 보행자 충돌 검지 센서를 구비한 차량용 범퍼 구조는, 제 1 양태 ∼ 제 3 양태 중 어느 하나의 양태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범퍼 레인포스먼트의 차폭 방향 양단부에 대해 차량 전후 방향 외측에 배치된 만곡면을 가지고 있고, 상기 만곡면이, 평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범퍼 레인포스먼트의 차량 전후 방향 외측면과 연속적인 면을 형성하도록 차량 전후 방향 외측으로 만곡되어 있다.
제 4 양태에 관련된 보행자 충돌 검지 센서를 구비한 차량용 범퍼 구조에서는, 범퍼 레인포스먼트의 차폭 방향 양단부에 대해 차량 전후 방향 외측에 배치된 만곡면과, 범퍼 레인포스먼트의 차량 전후 방향 외측면에 의해 연속적인 면이 형성된다. 이 때문에, 차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압력 튜브를 만곡면에 의해 차량 전후 방향 내측으로 매끄럽게 굽힐 수 있다. 이로써, 압력 튜브의 굽혀진 부분에 있어서의 압력 변화가 커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차폭 방향에 있어서 압력 튜브의 압력 변화에 대한 편차가 억제되어, 차폭 방향에 있어서의 보행자 충돌 검지 센서의 검지 정밀도를 균등화할 수 있다.
제 5 양태에 관련된 보행자 충돌 검지 센서를 구비한 차량용 범퍼 구조는, 제 1 양태 ∼ 제 4 양태 중 어느 하나의 양태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수지제로 되고, 상기 지지 부재에는, 차량 상하 방향을 판 두께 방향으로 한 리브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제 5 양태에 관련된 보행자 충돌 검지 센서를 구비한 차량용 범퍼 구조에서는, 수지제로 된 지지 부재의 차량 전후 방향 내측에 대한 굽힘 강성을 높게 할 수 있다. 이로써, 충돌체와의 충돌시에 압력 튜브에 대한 반력을 양호하게 발생시킬 수 있다.
제 6 양태에 관련된 보행자 충돌 검지 센서를 구비한 차량용 범퍼 구조는, 제 1 양태 ∼ 제 5 양태 중 어느 하나의 양태에 있어서, 상기 범퍼 레인포스먼트는, 차폭 방향 양측에 개방된 폐단면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 부재는, 차폭 방향 내측으로 돌출된 끼워 맞춤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끼워 맞춤부가 상기 범퍼 레인포스먼트의 폐단면 내에 끼워 넣어짐으로써, 상기 지지 부재가 상기 범퍼 레인포스먼트에 장착된다.
제 6 양태에 관련된 보행자 충돌 검지 센서를 구비한 차량용 범퍼 구조에서는, 지지 부재의 끼워 맞춤부가, 범퍼 레인포스먼트의 폐단면 내에 끼워 넣어짐으로써, 지지 부재가 범퍼 레인포스먼트에 장착된다. 이 때문에, 범퍼 레인포스먼트의 폐단면 내를 활용하여, 지지 부재를 범퍼 레인포스먼트에 장착할 수 있다.
제 7 양태에 관련된 보행자 충돌 검지 센서를 구비한 차량용 범퍼 구조는, 제 6 양태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에는, 상기 끼워 맞춤부와 상기 만곡면 사이의 위치에 있어서, 차폭 방향 내측에 개방된 슬릿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 부재가 상기 범퍼 레인포스먼트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범퍼 레인포스먼트의 전벽 (前壁) 이 상기 슬릿의 내부에 끼워 넣어져 있다.
제 7 양태에 관련된 보행자 충돌 검지 센서를 구비한 차량용 범퍼 구조에서는, 지지 부재가 범퍼 레인포스먼트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지지 부재에 형성된 슬릿의 내부에, 범퍼 레인포스먼트의 전벽이 끼워 넣어져 있다. 이로써, 예를 들어, 범퍼 레인포스먼트의 차폭 방향 양단에 발생하는 버 등에 대해, 압력 튜브를 지지 부재에 의해 보호할 수 있다. 이로써, 압력 튜브에 대한 위해성을 저감시킬 수 있다.
제 8 양태에 관련된 보행자 충돌 검지 센서를 구비한 차량용 범퍼 구조는, 제 1 양태 ∼ 제 7 양태 중 어느 하나의 양태에 있어서, 상기 앱소버 및 상기 압력 튜브가, 상기 범퍼 레인포스먼트의 상부의 차량 전후 방향 외측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제 8 양태에 관련된 보행자 충돌 검지 센서를 구비한 차량용 범퍼 구조에서는, 차량과 보행자의 충돌시에 차량의 후드 위로 쓰러지는 보행자를 양호하게 검지할 수 있다. 즉, 차량과 보행자의 충돌에서는, 보행자가 차량의 후드 위로 쓰러지는 경향에 있고, 이 때, 주로 앱소버의 상부에 충돌 하중이 입력된다. 이로써, 앱소버 및 압력 튜브를, 범퍼 레인포스먼트 상부의 차량 전후 방향 외측에 인접하여 배치함으로써, 차량의 후드 위로 쓰러진 보행자를 양호하게 검지할 수 있다.
제 9 양태에 관련된 보행자 충돌 검지 센서를 구비한 차량용 범퍼 구조는, 제 1 양태 ∼ 제 8 양태 중 어느 하나의 양태에 있어서, 상기 앱소버의 차량 전후 방향 외측에는 범퍼 커버가 형성되고, 상기 보행자 충돌 검지 센서는, 상기 압력 튜브 내의 압력 변화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압력 검출기를 가지고 있고, 상기 압력 검출기가, 상기 범퍼 커버의 차량 전후 방향 내측에 배치된 금속제의 차체측 부재에 고정되어 있다.
제 9 양태에 관련된 보행자 충돌 검지 센서를 구비한 차량용 범퍼 구조에서는, 압력 검출기가 범퍼 커버의 차량 전후 방향 내측에 배치된 금속제의 차체측 부재에 고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압력 검출기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차량의 주행시 이외일 때에 범퍼 커버에 경미한 충격이 가해졌을 때에도, 당해 충격이 압력 검출기에 직접적으로 입력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압력 검출기가 빗물이나 눈 등에 의해 피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상에 의해, 압력 검출기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 10 양태에 관련된 보행자 충돌 검지 센서를 구비한 차량용 범퍼 구조는, 제 1 양태 ∼ 제 9 양태 중 어느 하나의 양태에 있어서, 상기 앱소버에 있어서의 상기 지지 부재와 인접하여 배치된 부분의 두께가, 상기 앱소버에 있어서의 상기 범퍼 레인포스먼트와 인접하여 배치된 부분의 두께에 비해 얇게 설정되어 있다.
제 10 양태에 관련된 보행자 충돌 검지 센서를 구비한 차량용 범퍼 구조에서는, 앱소버의 두께를 얇게 설정함으로써, 앱소버가 압력 튜브를 가압했을 때의 압력 튜브 내의 압력 변화를 쉽게 나타내도록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압력 튜브에 있어서의 지지 부재와 인접하여 배치된 부분의 압력 감도를 높게 할 수 있다.
제 11 양태에 관련된 보행자 충돌 검지 센서를 구비한 차량용 범퍼 구조는, 제 1 양태 ∼ 제 10 양태 중 어느 하나의 양태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앱소버에 있어서의 상기 지지 부재와 인접하여 배치된 부분의 경도가, 상기 앱소버에 있어서의 다른 부분의 경도에 비해 높게 설정되어 있다.
제 11 양태에 관련된 보행자 충돌 검지 센서를 구비한 차량용 범퍼 구조에서는, 앱소버의 경도를 높게 설정함으로써, 앱소버가 압력 튜브를 가압했을 때의 압력 튜브 내의 압력 변화를 쉽게 나타내도록 할 수 있다. 이로써, 제 11 양태에 있어서도, 압력 튜브에 있어서의 지지 부재와 인접하여 배치된 부분의 압력 감도를 높게 할 수 있다.
제 12 양태에 관련된 보행자 충돌 검지 센서를 구비한 차량용 범퍼 구조는, 제 11 양태에 있어서, 상기 앱소버에 있어서 상이한 경도의 경계면이, 평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범퍼 레인포스먼트의 차폭 방향 양단보다 차폭 방향 내측에 배치되고 또한 차량 전후 방향 외측을 향함에 따라 차폭 방향 내측으로 경사져 있다.
제 12 양태에 관련된 보행자 충돌 검지 센서를 구비한 차량용 범퍼 구조에서는, 앱소버에 의해 압력 튜브를 효과적으로 변형시킬 (찌부러트릴) 수 있다. 즉, 앱소버에 있어서의 지지 부재와 인접하여 배치된 부분 (이하, 편의상 「인접부」라고 한다) 의 경도를 조정함으로써, 충돌체와의 충돌시에, 앱소버의 인접부를 이하와 같이 변형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충돌체와의 충돌시에 앱소버의 인접부를 범퍼 레인포스먼트의 차폭 방향 양단을 중심으로 차량 전후 방향 내측으로 회동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 이 경우에는, 앱소버는 경계면을 기점으로 하여 차량 전후 방향 내측으로 굽힘 변형하려고 한다. 그리고, 제 12 양태에서는, 경계면이 범퍼 레인포스먼트의 차폭 방향 양단보다 차폭 방향 내측으로 어긋나 있기 때문에, 앱소버에 있어서 압력 튜브를 변형시키는 부분을 앱소버의 길이 방향으로 크게 할 수 있다. 이로써, 앱소버에 의해 압력 튜브를 효과적으로 변형시킬 (찌부러트릴) 수 있다.
제 13 양태에 관련된 보행자 충돌 검지 센서를 구비한 차량용 범퍼 구조는, 제 11 양태에 있어서, 상기 앱소버에 있어서 상이한 경도의 경계면이, 평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범퍼 레인포스먼트의 차폭 방향 양단과 차량 전후 방향으로 오버랩되어 배치되고 또한 차량 전후 방향 외측을 향함에 따라 차폭 방향 내측으로 경사져 있다.
제 13 양태에 관련된 보행자 충돌 검지 센서를 구비한 차량용 범퍼 구조에서는, 범퍼 레인포스먼트의 차폭 방향 양단에 대해 차량 전후 방향 외측의 위치에 있어서, 앱소버의 경도가 높은 부분과 경도가 낮은 부분이 차량 전후 방향으로 나열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제 12 양태와 동일하게, 앱소버의 인접부의 경도를 조정함으로써, 충돌체와의 충돌시에 앱소버의 인접부를 범퍼 레인포스먼트의 차폭 방향 양단을 중심으로 차량 전후 방향 내측으로 회동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때, 제 13 양태에서는, 경계면에 대해 차량 전후 방향 외측에 배치된 경도가 높은 부분에 의해, 경계면에 대해 차량 전후 방향 내측에 배치된 경도가 낮은 부분을 눌러 찌부러트리도록 작용시킬 수 있다. 이로써, 앱소버에 있어서 압력 튜브를 변형시키는 부분을 앱소버의 길이 방향으로 크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앱소버에 의해 압력 튜브를 효과적으로 변형시킬 (찌부러트릴) 수 있다.
제 14 양태에 관련된 보행자 충돌 검지 센서를 구비한 차량용 범퍼 구조는, 제 3 양태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앱소버측 돌출부의 경도가, 상기 앱소버에 있어서의 다른 부위의 경도에 비해 높게 설정되고, 상기 앱소버에 있어서 상이한 경도의 경계면이, 평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지지 부재의 선단과 차폭 방향으로 오버랩되어 배치되고 또한 차량 전후 방향 외측을 향함에 따라 차폭 방향 외측으로 경사져 있다.
제 14 양태에 관련된 보행자 충돌 검지 센서를 구비한 차량용 범퍼 구조에서는, 지지 부재의 선단에 대해 차폭 방향 외측의 위치에 있어서, 앱소버의 경도가 높은 부분과 경도가 낮은 부분이 차폭 방향으로 나열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예를 들어, 앱소버측 돌출부의 경도를 조정함으로써, 충돌체와의 충돌시에 앱소버측 돌출부를 지지 부재의 선단을 중심으로 차폭 방향 내측으로 회동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때, 앱소버에 있어서, 경계면에 대해 차폭 방향 외측에 배치된 경도가 높은 부분에 의해, 경계면에 대해 차폭 방향 내측에 배치된 경도가 낮은 부분을 눌러 찌부러트리도록 작용시킬 수 있다. 이로써, 앱소버에 있어서 압력 튜브를 변형시키는 부분을 앱소버의 길이 방향으로 크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앱소버에 의해 압력 튜브를 효과적으로 변형시킬 (찌부러트릴) 수 있다.
제 15 양태에 관련된 보행자 충돌 검지 센서를 구비한 차량용 범퍼 구조는, 제 11 양태 ∼ 제 14 양태 중 어느 하나의 양태에 있어서, 상기 앱소버가, 발포 배율이 상이한 발포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제 15 양태에 관련된 보행자 충돌 검지 센서를 구비한 차량용 범퍼 구조에서는, 발포 배율이 상이한 발포재를 사용함으로써, 앱소버에 있어서의 경도가 상이한 부분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 앱소버의 경도가 상이한 부분에 있어서의 발포 배율을 적절히 조정함으로써, 예를 들어, 각종 차량마다 적합한 앱소버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제 1 양태에 관련된 보행자 충돌 검지 센서를 구비한 차량용 범퍼 구조에 의하면, 차량의 코너부에 있어서 충돌체와의 충돌을 검지할 수 있다.
제 2 양태에 관련된 보행자 충돌 검지 센서를 구비한 차량용 범퍼 구조에 의하면, 차폭 방향에 있어서의 보행자 충돌 검지 센서의 검지 범위를 크게 설정할 수 있다.
제 3 양태에 관련된 보행자 충돌 검지 센서를 구비한 차량용 범퍼 구조에 의하면, 주로 차량의 측방으로부터 충돌하는 경향이 있는 자전거와의 충돌을 검지할 수 있다.
제 4 양태에 관련된 보행자 충돌 검지 센서를 구비한 차량용 범퍼 구조에 의하면, 차폭 방향에 있어서의 보행자 충돌 검지 센서의 검지 정밀도를 균등화할 수 있다.
제 5 양태에 관련된 보행자 충돌 검지 센서를 구비한 차량용 범퍼 구조에 의하면, 압력 튜브에 대한 반력을 양호하게 발생시킬 수 있다.
제 6 양태에 관련된 보행자 충돌 검지 센서를 구비한 차량용 범퍼 구조에 의하면, 범퍼 레인포스먼트의 폐단면 내를 활용하여, 지지 부재를 범퍼 레인포스먼트에 장착할 수 있다.
제 7 양태에 관련된 보행자 충돌 검지 센서를 구비한 차량용 범퍼 구조에 의하면, 압력 튜브에 대한 위해성을 저감시킬 수 있다.
제 8 양태에 관련된 보행자 충돌 검지 센서를 구비한 차량용 범퍼 구조에 의하면, 차량의 후드 위로 쓰러진 보행자를 양호하게 검지할 수 있다.
제 9 양태에 관련된 보행자 충돌 검지 센서를 구비한 차량용 범퍼 구조에 의하면, 압력 검출기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 10 양태에 관련된 보행자 충돌 검지 센서를 구비한 차량용 범퍼 구조에 의하면, 압력 튜브에 있어서의 지지 부재와 인접하여 배치된 부분의 압력 감도를 높게 할 수 있다.
제 11 양태에 관련된 보행자 충돌 검지 센서를 구비한 차량용 범퍼 구조에 의하면, 압력 튜브에 있어서의 지지 부재와 인접하여 배치된 부분의 압력 감도를 높게 할 수 있다.
제 12 ∼ 제 14 양태에 관련된 보행자 충돌 검지 센서를 구비한 차량용 범퍼 구조에 의하면, 앱소버에 의해 압력 튜브를 효과적으로 변형시킬 (찌부러트릴) 수 있다.
제 15 양태에 관련된 보행자 충돌 검지 센서를 구비한 차량용 범퍼 구조에 의하면, 앱소버에 있어서의 경도가 상이한 부분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고, 예를 들어, 각종 차량마다 적합한 앱소버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도 1 은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보행자 충돌 검지 센서를 구비한 차량용 범퍼 구조가 적용된 프론트 범퍼의 차량 좌측 부분을 나타내는 평단면도 (도 3 의 1-1 선 단면도) 이다.
도 2 는 도 1 에 나타내는 프론트 범퍼의 전체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 은 도 2 에 나타내는 프론트 범퍼를 차량 좌측에서 본 측단면도 (도 2의 3-3 선 확대 단면도) 이다.
도 4 는 도 1 에 나타내는 프론트 범퍼의 차량 좌측 부분을 분해한 상태를 차량 좌측 대각선 후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 는 도 4 에 나타내는 지지 부재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차량 좌측 대각선 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6 은 도 2 에 나타내는 차량 우측의 압력 센서의 고정 상태를 나타내는 차량 우측 대각선 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7a 는 본 실시형태의 변형예 1 에 있어서의 앱소버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b 는 도 7a 의 상태에서 차량 후측에 대한 하중이 입력되었을 때의 앱소버의 변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7c 는 도 7b 의 상태에 있어서의 압력 튜브의 찌부러짐량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a 는 비교예의 앱소버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b 는 도 8a 의 상태에서 차량 후측에 대한 하중이 입력되었을 때의 앱소버의 변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8c 는 도 8b 의 상태에 있어서의 압력 튜브의 찌부러짐량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a 는 본 실시형태의 변형예 2 에 있어서의 앱소버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b 는 도 9a 의 상태에서 차량 후측에 대한 하중이 입력되었을 때의 앱소버의 변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9c 는 도 9b 의 상태에 있어서의 압력 튜브의 찌부러짐량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도면을 사용하여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보행자 충돌 검지 센서 (70) 를 구비한 차량용 범퍼 구조 (S) 가 적용된 프론트 범퍼 (12) 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도면에 있어서 적절히 나타나는 화살표 FR 은 차량 전측 (차량 전후 방향 외측) 을 나타내고, 화살표 LH 는 차량 좌측 (차폭 방향 일측) 을 나타내며, 화살표 UP 는 차량 상측을 나타내고 있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론트 범퍼 (12) 는 차량 (자동차) (10) 의 전단부에 배치되어, 충돌체의 차량 (10) 에 대한 충돌 (의 유무) 을 검지하도록 되어 있다. 이 프론트 범퍼 (12) 는, 차량 (10) 의 전단을 구성하는 범퍼 커버 (14) 와, 범퍼 골격 부재를 이루는 범퍼 레인포스먼트 (20) (이하, 「범퍼 RF (20)」라고 칭한다) 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 프론트 범퍼 (12) 는, 범퍼 RF (20) 의 차폭 방향 양측에 배치된 좌우 1 쌍의 지지 부재 (30) 와, 범퍼 커버 (14) 와 범퍼 RF (20) 사이에 배치된 앱소버 (50) 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프론트 범퍼 (12) 는, 충돌체의 차량 (10) 에 대한 충돌을 검지하기 위한 보행자 충돌 검지 센서 (70) 를 구비하고 있다. 이하, 상기 각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범퍼 커버 (14) 에 대해)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범퍼 커버 (14) 는 수지제로 되어 있다. 또, 범퍼 커버 (14) 는 차폭 방향으로 연장되고, 도시되지 않은 부분에서 차체에 대해 고정적으로 지지되어 있다. 또한, 범퍼 커버 (14) 의 차폭 방향 양측 부분 (14A) 은, 평면에서 보았을 때 차폭 방향 외측을 향함에 따라 차량 후측으로 경사져, 차량 (10) 의 코너부 (10A) 를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차량 (10) 에서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범퍼 커버 (14) 에 있어서의 차폭 방향 양측 부분 (14A) 의 차폭 방향에 대한 경사 각도 θ 가 비교적 크게 설정되어 있다.
(범퍼 RF (20) 에 대해)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범퍼 RF (20) 는, 중공의 대략 사각형 기둥상으로 형성되고, 차폭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여 범퍼 커버 (14) 의 차량 후측 (즉 차량 전후 방향 내측) 에 배치되어 있다. 이 범퍼 RF (20) 는, 알루미늄계 등의 금속 재료에 의해 구성되고, 압출 성형 등의 수법에 의해 제조되어 있다. 또한, 차폭 방향에 있어서의 범퍼 RF (20) 의 차폭 방향 양단의 위치가 범퍼 커버 (14) 의 차폭 방향 양측 부분 (14A) 의 기단의 위치와 대략 일치하고 있다. 즉, 범퍼 커버 (14) 의 차폭 방향 양측 부분 (14A) (차량 (10) 의 코너부 (10A)) 에 대해 차량 후측에는, 범퍼 RF (20) 가 배치되어 있지 않다.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범퍼 RF (20) 의 내부에는, 판상의 보강 리브 (26) 가 형성되어 있고, 보강 리브 (26) 는, 차량 상하 방향을 판 두께 방향으로 하여 배치되고, 범퍼 RF (20) 의 전벽 (22) 과 후벽 (24) 을 연결하고 있다. 또, 범퍼 RF (20) 의 단면 구조는, 복수 (본 실시형태에서는 3 개) 의 대략 사각형 폐단면이 차량 상하 방향으로 나열된 단면 구조로 되어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범퍼 RF (20) 의 내부에 1 쌍의 보강 리브 (26) 가 차량 상하 방향으로 나열되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범퍼 RF (20) 의 상부에 배치된 폐단면이 상측 폐단면 (28A) 으로 되고, 범퍼 RF (20) 의 상하 방향 중간부에 배치된 폐단면이 중간폐단면 (28B) 으로 되고, 범퍼 RF (20) 의 하부에 배치된 폐단면이 하측 폐단면 (28C) 으로 되어 있다.
도 1 및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범퍼 RF (20) 의 차량 후측에는, 차체측의 골격 부재를 구성하는 좌우 1 쌍의 프론트 사이드 멤버 (90) 가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범퍼 RF (20) 의 차폭 방향 양단 부분이, 크래시 박스 (92) 를 개재하여 프론트 사이드 멤버 (90) 의 전단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범퍼 RF (20) 가 프론트 사이드 멤버 (90) 에 연결된 상태에서는, 범퍼 RF (20) 의 차폭 방향 양단이, 크래시 박스 (92) 및 프론트 사이드 멤버 (90) 에 대해 차폭 방향 외측으로 약간 돌출되어 있다.
(지지 부재 (30) 에 대해)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 부재 (30) 는 수지제로 되어 있다. 또, 지지 부재 (30) 는, 범퍼 RF (20) 의 차폭 방향 양단부에 각각 형성되고, 범퍼 RF (20) 의 차폭 방향 양단부로부터 차폭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즉, 범퍼 커버 (14) 의 차폭 방향 양측 부분 (14A) (차량 (10) 의 코너부 (10A)) 에 대해 차량 후측에 지지 부재 (30) 가 각각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1 쌍의 지지 부재 (30) 는, 좌우 대칭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하의 설명에서는, 차량 좌측에 배치된 지지 부재 (30) 에 대해 설명하고, 차량 우측에 배치된 지지 부재 (30) 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도 4, 및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 부재 (30) 는, 본체부 (32) 와, 상하 1 쌍의 끼워 맞춤 통부 (38) (넓은 의미로는, 「끼워 맞춤부」로서 파악되는 요소이다) 와, 복수 (본 실시형태에서는 4 개 지점) 의 「리브」로서의 보강 리브 (42) 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본체부 (32) 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차량 후측 또한 차폭 방향 내측에 개방된 대략 V 자형 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체부 (32) 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차폭 방향 외측을 향함에 따라 차량 후측으로 경사진 경사벽 (34) 과, 경사벽 (34) 의 전단으로부터 차폭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전벽 (36) 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체부 (32) 의 전벽 (36) 의 차폭 방향 내측 부분이, 범퍼 RF (20) 의 차폭 방향 양단부를 차량 전측으로부터 덮도록 하여 배치되고, 범퍼 RF (20) 의 전면 (20A) 과 대향하고 있다 (도 1 참조). 또, 전벽 (36) 의 전면은 만곡면 (36A) 으로 되어 있고, 만곡면 (36A) 은, 평면에서 보았을 때 차량 전측으로 볼록해지는 대략 원호상으로 만곡 (팽출) 되어 있다. 또한, 만곡면 (36A) 에 있어서의 차폭 방향 외측단은, 경사벽 (34) 의 전면을 구성하는 경사면 (34A) 에 매끄럽게 접속되어 있다. 한편, 만곡면 (36A) 에 있어서의 차폭 방향 내측 단부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범퍼 RF (20) 의 전면 (20A) 에 접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전벽 (36) 의 판 두께가 차폭 방향 내측을 향함에 따라 얇아지도록 설정되어 있고, 만곡면 (36A) 에 있어서의 차폭 방향 내측단과 범퍼 RF (20) 의 전면 (20A) 의 이음매 부분에 단차가 생기지 않도록 만곡면 (36A) 이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범퍼 RF (20) 의 전면 (20A), 지지 부재 (30) 의 만곡면 (36A), 및 지지 부재 (30) 의 경사면 (34A) 에 의해, 연속적인 면이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도 1 참조).
끼워 맞춤 통부 (38) 는, 차폭 방향을 축 방향으로 한 대략 사각형 통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경사벽 (34) 의 전부로부터 차량 폭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1 쌍의 끼워 맞춤 통부 (38) 는, 차량 상하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나열되어 배치되어 있고, 끼워 맞춤 통부 (38) 에 있어서의 선단부 (차폭 방향 내측 부분) 가, 범퍼 RF (20) 의 상측 폐단면 (28A) 내 및 하측 폐단면 (28C) 내에 각각 끼워 넣어져 있다 (도 1 및 도 4 참조). 이로써, 지지 부재 (30) 가, 범퍼 RF (20) 의 차폭 방향 양단부에 장착되고, 범퍼 RF (20) 의 차폭 방향 양단부로부터 차폭 방향 외측으로 또한 차량 후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 지지 부재 (30) 에는, 끼워 맞춤 통부 (38) 의 전벽 (38A) 과 본체부 (32) 의 전벽 (36) 사이에 있어서, 평면에서 보았을 때 차폭 방향 내측에 개방된 슬릿 (40) 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 부재 (30) 가 범퍼 RF (20) 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범퍼 RF (20) 의 전벽 (22) 이 슬릿 (40) 내에 끼워 넣어져 있다.
보강 리브 (42) 는, 차량 상하 방향에 있어서 쌍을 이루고 있고, 1 쌍의 보강 리브 (42) 가 끼워 맞춤 통부 (38) 에 대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보강 리브 (42) 는 대략 삼각형 판상으로 형성되고, 차량 상하 방향을 판 두께 방향으로 하여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보강 리브 (42) 는, 끼워 맞춤 통부 (38) 의 후벽 (38B) 에 있어서의 차폭 방향 외측 부분으로부터 차량 후측으로 돌출됨과 함께, 경사벽 (34) 의 후면에 결합되어 있다. 이로써, 끼워 맞춤 통부 (38) 와 경사벽 (34) 이 보강 리브 (42) 에 의해 연결되고, 지지 부재 (30) 의 본체부 (32) 에 있어서의 차량 후측에 대한 굽힘 강성이 높아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앱소버 (50) 에 대해)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앱소버 (50) 는, 발포 수지재 즉 우레탄 폼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앱소버 (50) 는, 범퍼 커버 (14) 와 범퍼 RF (20) 사이에 형성됨과 함께, 차폭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한 장척상으로 형성되고, 차폭 방향 양측 부분에 있어서 차량 후측으로 굴곡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앱소버 (50) 는, 앱소버 (50) 의 차폭 방향 중간 부분을 구성하는 앱소버 본체부 (52) 와, 앱소버 (50) 의 차폭 방향 양측 부분을 구성하는 앱소버 사이드부 (54) 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앱소버 (50) 는, 길이 방향에서 본 단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앱소버 본체부 (52) 는, 범퍼 RF (20) 의 상부 (상세하게는, 상측 폐단면 (28A) 을 구성하는 부분) 의 차량 전측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범퍼 RF (20) 의 전면 (20A) 에 고정되어 있다. 또,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앱소버 본체부 (52) 의 길이 방향의 길이가, 범퍼 RF (20) 의 길이 방향의 길이와 대략 동일한 길이로 설정되어 있고, 차폭 방향에 있어서 앱소버 본체부 (52) 의 차폭 방향 양단의 위치가 범퍼 RF (20) 의 차폭 방향 양단의 위치와 대략 일치하고 있다.
도 1 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앱소버 사이드부 (54) 는, 범퍼 RF (20) 보다 차폭 방향 외측으로 돌출됨과 함께, 지지 부재 (30) 의 상부를 차량 전측으로부터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앱소버 사이드부 (54) 의 기단측의 부분을 구성하는 경사부 (56) 가, 앱소버 본체부 (52) 의 차폭 방향 양단으로부터 지지 부재 (30) 의 본체부 (32) 를 따라 차폭 방향 외측을 향함에 따라 차량 후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경사부 (56) 는, 본체부 (32) 의 만곡면 (36A) 및 경사면 (34A) 의 차량 전측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또, 앱소버 사이드부 (54) 의 선단측의 부분을 구성하는 선단부 (58) (본 발명에 있어서의 「앱소버의 차폭 방향 양단부」에 대응한다) 가, 지지 부재 (30) 의 선단 (30A) (상세하게는, 본체부 (32) 의 후단) 보다 차폭 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 선단부 (58) 는, 지지 부재 (30) 의 선단 (30A) 의 대략 차폭 방향 외측의 위치에서 차량 후측으로 굴곡되고, 지지 부재 (30) 의 선단 (30A) 보다 차량 후측으로 돌출 (오버행) 되어 있다. 그리고, 이 돌출 (오버행) 된 부분이 앱소버측 돌출부 (60) 로 되어 있고, 앱소버측 돌출부 (60) 는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 선단부 (58) 에 있어서의 굴곡된 부분에는, 모퉁이 (R) (도 1 참조) 가 형성되어 있고, 선단부 (58) 가 매끄럽게 굴곡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앱소버 (50) 의 후면 (50A) 에는, 지지 부재 (30) 의 만곡면 (36A) 과 대향하는 부분에 있어서, 만곡 오목부 (62) 가 형성되어 있고, 만곡 오목부 (62) 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만곡면 (36A) 을 따르도록 대략 원호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앱소버 (50) 에서는, 앱소버 사이드부 (54), 및 앱소버 본체부 (52) 에 있어서의 앱소버 사이드부 (54) 에 인접하는 부분의 경도가, 다른 부분의 경도에 비해 높게 구성되어 있다 (도 1 에서는, 경도가 높게 구성된 부분을 도트의 밀도를 높게 하여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앱소버 (50) 에 있어서의 경도가 높은 부분이 경질부 (64A) 로 되고, 경질부 (64A) 보다 경도가 낮은 부분이 연질부 (64B) 로 되어 있고, 경질부 (64A) 에 있어서의 발포 배율이 연질부 (64B) 의 발포 배율에 비해 낮게 설정되어 있다. 또, 앱소버 (50) 에 있어서의 경질부 (64A) 와 연질부 (64B) 의 경계면 (66) 은, 범퍼 RF (20) 의 차폭 방향 양단에 대해 차폭 방향 내측에 설정됨과 함께, 평면에서 보았을 때 차량 전측을 향함에 따라 차폭 방향 내측으로 경사져 있다.
또한,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앱소버 사이드부 (54) 에 있어서의 두께 치수 (T1) (평면에서 보았을 때 앱소버 사이드부 (54) 가 연장되는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의 치수) 가, 앱소버 본체부 (52) 의 두께 치수 (T2) (평면에서 보았을 때 앱소버 본체부 (52) 가 연장되는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 (즉 차량 전후 방향) 의 치수) 에 비해 작게 설정되어 있다. 요컨대, 앱소버 (50) 에 있어서의 지지 부재 (30) 와 인접하여 배치된 부분의 두께가, 앱소버 (50) 에 있어서의 범퍼 RF (20) 와 인접하여 배치된 부분의 두께에 비해 얇게 설정되어 있다.
또, 도 3 및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앱소버 (50) 의 후면 (50A) 에는, 후술하는 압력 튜브 (72) 를 유지하는 「유지부」로서의 유지 홈부 (68) 가 형성되어 있다. 이 유지 홈부 (68) 는, 측단면에서 보았을 때 차량 후측에 개방된 대략 C 자 형상 (상세하게는, 차량 후측에 일부 개방된 원형상) 으로 형성되고, 앱소버 (50) 의 길이 방향으로 관통되어 있다.
(보행자 충돌 검지 센서 (70) 에 대해)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행자 충돌 검지 센서 (70) 는, 장척상으로 형성된 압력 튜브 (72) 와, 압력 튜브 (72) 의 압력 변화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압력 검출기」로서의 압력 센서 (82) 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압력 튜브 (72) 는, 단면 대략 원환상의 중공 구조체로서 구성되어 있다. 이 압력 튜브 (72) 의 외경 치수는, 앱소버 (50) 의 유지 홈부 (68) 의 내경 치수에 비해 약간 작게 설정되어 있고, 압력 튜브 (72) 의 길이 방향의 길이는, 앱소버 (50) 의 길이 방향의 길이에 비해 길게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압력 튜브 (72) 가 유지 홈부 (68) 내에 장착되어 있다 (끼워 넣어져 있다) (도 3 참조).
이로써, 압력 튜브 (72) 가 앱소버 (50) 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압력 튜브 (72) 에 있어서의 앱소버 본체부 (52) 를 따라 배치된 부분이 압력 튜브 본체부 (74) 로 되어 있고, 압력 튜브 (72) 에 있어서의 앱소버 사이드부 (54) 를 따라 배치된 부분이 압력 튜브 사이드부 (76) (압력 튜브 (72) 의 차폭 방향 양측 부분) 로 되어 있다. 또, 압력 튜브 사이드부 (76) 에 있어서의 지지 부재 (30) 의 선단 (30A) 보다 차폭 방향 외측에 배치된 부분이, 압력 튜브 사이드부 (76) 의 선단부 (78) (본 발명의 「압력 튜브의 차폭 방향 양단부」에 대응) 로 되어 있다.
또한, 압력 튜브 사이드부 (76) 의 선단부 (78) 는, 앱소버 사이드부 (54) 를 따라 차량 후측으로 매끄럽게 굴곡되고, 지지 부재 (30) 의 선단 (30A) 보다 차량 후측으로 돌출 (오버행) 되어 있다. 그리고, 이 돌출 (오버행) 된 부분이, 압력 튜브측 돌출부 (80) 로 되어 있고, 압력 튜브측 돌출부 (80) 는 차량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또한, 압력 튜브 (72) 의 길이 방향의 길이가, 앱소버 (50) 의 길이 방향의 길이에 비해 길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압력 튜브측 돌출부 (80) 는, 앱소버 (50) 의 앱소버측 돌출부 (60) 보다 차량 후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 앱소버 (50) 의 유지 홈부 (68) 내에 압력 튜브 (72) 가 장착된 상태에서는, 앱소버 (50) 의 길이 방향에서 본 단면에서 보았을 때, 압력 튜브 (72) 의 외주면이 앱소버 (50) 의 후면 (50A) 과 접하거나, 또는 약간 간극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도 3 참조). 이로써, 압력 튜브 (72) 가, 범퍼 RF (20) 의 전면 (20A), 지지 부재 (30) 의 만곡면 (36A), 및 지지 부재 (30) 의 경사면 (34A) 의 차량 전측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차량 후측에 대한 하중이 앱소버 (50) 에 작용하여 앱소버 (50) 가 압력 튜브 (72) 를 가압할 때에는, 범퍼 RF (20) 및 지지 부재 (30) 에 의해 압력 튜브 (72) 에 대한 반력이 생기도록 구성되어 있다.
압력 센서 (82) 는, 압력 튜브 (72) 의 차폭 방향 양단에 형성되어 있다.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력 센서 (82) 는, 범퍼 커버 (14) (도 6 에서는 도시 생략) 의 차량 후측에 배치된 「차체측 부재」로서 펜더 브라켓 (86) 에 도시되지 않은 볼트 등의 체결 부재에 의해 체결 고정되어 있다. 이 펜더 브라켓 (86) 은 금속에 의해 구성되고, 차량 (10) 의 전륜 (94) 을 차량 상측으로부터 덮는 펜더 라이너 (96) 에 고정되어 있다.
또,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력 센서 (82) 는, ECU (84) (넓은 의미로는, 「충돌 판정부」로서 파악되는 요소이다) 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압력 튜브 (72) 가 변형됨으로써, 압력 튜브 (72) 내의 압력 변화에 따른 신호가 압력 센서 (82) 로부터 ECU (84) 에 출력되도록 되어 있다.
또, 전술한 ECU (84) 에는, 충돌 속도 센서 (도시 생략) 가 전기적으로 접속 되어 있고, 충돌 속도 센서는, 충돌체와의 충돌 속도에 따른 신호를 ECU (84) 에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ECU (84) 는, 전술한 압력 센서 (82) 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충돌 하중을 산출함과 함께, 충돌 속도 센서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충돌 속도를 산출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ECU (84) 는, 산출된 충돌 하중 및 충돌 속도로부터 충돌체의 유효 질량을 구함과 함께, 유효 질량이 임계값을 초과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프론트 범퍼 (12) 에 대한 충돌체가 보행자인지 보행자 이외 (예를 들어, 로드 사이드 마커나 포스트콘 등의 노상 장애물) 인지를 판정하도록 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프론트 범퍼 (12) 를 구비한 차량 (10) 에서는, 차량 (10) 과 충돌체의 충돌시에 범퍼 커버 (14) 가 차량 후측으로 변형되어 앱소버 (50) 를 가압한다. 이 때문에, 앱소버 (50) 가 차량 전후 방향으로 눌러 찌부러짐 (압축 변형됨) 과 함께, 압력 튜브 (72) 가 변형된다 (찌부러진다). 이로써, 압력 튜브 (72) 내의 압력이 변화한다.
그리고, 압력 튜브 (72) 의 압력 변화에 따른 신호를 압력 센서 (82) 가 ECU (84) 에 출력하고, ECU (84) 가 압력 센서 (82) 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충돌 하중을 산출한다. 한편, ECU (84) 는 충돌 속도 센서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충돌 속도를 산출한다. 그리고, ECU (84) 가, 산출된 충돌 하중 및 충돌 속도로부터 충돌체의 유효 질량을 구함과 함께, 유효 질량이 임계값을 초과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프론트 범퍼 (12) 에 대한 충돌체가 보행자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여기서, 범퍼 RF (20) 의 차폭 방향 양단부에는, 범퍼 RF (20) 와는 별체로 구성된 지지 부재 (30) 가 각각 장착되어 있고, 지지 부재 (30) 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범퍼 RF (20) 의 차폭 방향 양단부로부터 차폭 방향 외측으로 또한 차량 후측으로 각각 연장되어 있다. 또, 지지 부재 (30) 는, 앱소버 (50) 의 앱소버 사이드부 (54) 및 압력 튜브 (72) 의 압력 튜브 사이드부 (76) 의 차량 후측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범퍼 RF (20) 에 있어서의 가공상의 제약 등에 의해, 차량 (10) 의 코너부 (10A) 에 대해 차량 후측에 범퍼 RF (20) 를 배치할 수 없는 경우에도, 지지 부재 (30) 에 의해 앱소버 사이드부 (54) 및 압력 튜브 사이드부 (76) 를 차량 후측으로부터 지지할 수 있다.
이하 이 점에 대해 상세히 서술한다. 차량 (10) 의 코너부 (10A) 에 대해 차량 후측에 범퍼 RF (20) 를 배치하는 경우에는, 범퍼 RF (20) 를 프론트 사이드 멤버 (90) 보다 차폭 방향 외측으로 늘릴 필요가 있다. 그리고, 범퍼 커버 (14) 와 범퍼 RF (20) 사이의 거리 등을 확보하기 위해서, 범퍼 RF (20) 에 있어서 차폭 방향 외측으로 늘린 부분을, 범퍼 커버 (14) 에 있어서의 차폭 방향 양측 부분 (14A) 의 경사 각도 θ 에 대응하여 차량 후측으로 굴곡시킬 필요가 있다.
한편,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범퍼 RF (20) 는 압출 성형 등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범퍼 RF (20) 에 있어서 차폭 방향 외측으로 늘린 부분을 차량 후측으로 굴곡시키는 경우에는, 범퍼 RF (20) 의 압출 성형 후에, 범퍼 RF (20) 를 굽힘 가공한다. 그리고, 범퍼 RF (20) 의 굽힘 가공에서는, 소정 각도 이상의 굽힘 가공을 할 수 없다는 가공상의 제약이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와 같은, 범퍼 커버 (14) 에 있어서의 차폭 방향 양측 부분 (14A) 의 경사 각도 θ 가 비교적 큰 차량 (10) 에서는, 상기 가공상의 제약에 의해 범퍼 RF (20) 를 굴곡시킬 수 없게 된다. 이로써, 차량 (10) 의 코너부 (10A) 에 대해 차량 후측에 범퍼 RF (20) 를 배치할 수 없는 구조가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차량 (10) 에 있어서, 만일 지지 부재 (30) 을 생략한 경우에는, 앱소버 사이드부 (54) 및 압력 튜브 사이드부 (76) 를 차량 후측으로부터 지지할 수 없다. 바꾸어 말하면, 차량 (10) 의 코너부 (10A) 와 충돌체의 충돌시에, 압력 튜브 (72) 에 대한 반력을 발생시킬 수 없다. 이 때문에, 차량 (10) 의 코너부 (10A) 에 있어서 충돌체와의 충돌을 검지할 수 없게 된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범퍼 RF (20) 의 차폭 방향 양측에 지지 부재 (30) 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차량 (10) 의 코너부 (10A) 의 차량 후측에 있어서, 앱소버 사이드부 (54) 및 압력 튜브 사이드부 (76) 를 지지 부재 (30) 에 의해 차량 후측으로부터 지지할 수 있다. 이로써, 차량 (10) 의 코너부 (10A) 와 충돌체의 충돌시에, 지지 부재 (30) 에 의해 압력 튜브 (72) 에 대한 반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차량 (10) 의 코너부 (10A) 에 있어서 충돌체와의 충돌을 검지할 수 있다.
또, 앱소버 (50) 의 선단부 (58) 및 압력 튜브 (72) 의 선단부 (78) 가, 지지 부재 (30) 의 선단 (30A) 보다 차폭 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차폭 방향에 있어서의 보행자 충돌 검지 센서 (70) 의 검지 범위를 크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앱소버측 돌출부 (60) 및 압력 튜브측 돌출부 (80) 가, 지지 부재 (30) 의 선단 (30A) 에 대해 차량 후측으로 돌출되고,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때문에, 차량 (10) 의 측방 (차폭 방향 외측) 으로부터 충돌체가 충돌했을 때에는, 앱소버측 돌출부 (60) 및 압력 튜브측 돌출부 (80) 에 차폭 방향 내측에 대한 하중이 입력되어, 앱소버측 돌출부 (60) 및 압력 튜브측 돌출부 (80) 가 차폭 방향 내측으로 변형된다. 이로써, 차량 (10) 의 측방으로부터 충돌하는 충돌체도 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주로 차량 (10) 의 측방으로부터 충돌하는 경향이 있는 자전거와의 충돌을 검지할 수 있다.
또, 지지 부재 (30) 의 만곡면 (36A) 이, 평면에서 보았을 때 차량 전측으로 볼록해지는 대략 원호상으로 만곡됨과 함께, 범퍼 RF (20) 의 전면 (20A) 과 연속적인 면을 형성하고 있다. 이 때문에, 압력 튜브 (72) 를 만곡면 (36A) 을 따라 만곡시키면서 차폭 방향 외측으로 또한 차량 후측으로 굽힐 수 있다. 즉, 압력 튜브 (72) 를 범퍼 RF (20) 의 차폭 방향 양단에 있어서 매끄럽게 굽혀 지지 부재 (30) 의 본체부 (32) 를 따라 배치할 수 있다. 이로써, 압력 튜브 (72) 의 압력 튜브 본체부 (74) 와 압력 튜브 사이드부 (76) 의 경계 부분에 있어서의 압력 변화가 커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차폭 방향에 있어서 압력 튜브 (72) 의 압력 변화에 대한 편차가 억제되어, 차폭 방향에 있어서의 보행자 충돌 검지 센서 (70) 의 검지 정밀도를 균등화할 수 있다.
또한, 지지 부재 (30) 의 만곡면 (36A) 은, 범퍼 RF (20) 의 차폭 방향 양단부의 차량 전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범퍼 RF (20) 의 차폭 방향 양단을 만곡면 (36A) (지지 부재 (30)) 에 의해 차량 전측으로부터 덮을 수 있다. 이로써, 예를 들어, 범퍼 RF (20) 의 차폭 방향 양단에 발생하는 버 등에 대해, 압력 튜브 (72) 를 지지 부재 (30) 에 의해 보호할 수 있다. 이로써, 압력 튜브 (72) 에 대한 위해성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 지지 부재 (30) 에는, 보강 리브 (42) 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보강 리브 (42) 는 차량 상하 방향을 판 두께 방향으로 하여 끼워 맞춤 통부 (38) 와 경사벽 (34) 을 연결하고 있다. 이 때문에, 지지 부재 (30) 의 차량 후측에 대한 굽힘 강성을 보강 리브 (42) 에 의해 높게 할 수 있다. 이로써, 차량 (10) 과 충돌체의 충돌시에 있어서 압력 튜브 (72) 에 대한 반력을 양호하게 발생시킬 수 있다.
또, 앱소버 (50) 및 압력 튜브 (72) 가, 범퍼 RF (20) 의 상부 (상세하게는, 상측 폐단면 (28A) 을 구성하는 부분) 의 차량 전측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로써, 차량 (10) 의 후드 위로 쓰러지는 보행자를 양호하게 검지할 수 있다. 즉, 차량 (10) 과 보행자의 충돌시에는, 보행자의 다리부가 범퍼 커버 (14) 에 닿기 때문에, 보행자가 차량 (10) 의 후드 위로 쓰러지는 경향이 있다. 이 때, 범퍼 커버 (14) 가 차량 후측 대각선 하방으로 쓰러지도록 변형시켜, 주로 앱소버 (50) 의 상부가 범퍼 커버 (14) 에 의해 가압된다. 이로써, 앱소버 (50) 및 압력 튜브 (72) 를 범퍼 RF (20) 의 상부의 차량 전측에 인접하여 배치함으로써, 차량 (10) 의 후드 위로 쓰러진 보행자를 양호하게 검지할 수 있다.
또한, 압력 센서 (82) 는, 금속제의 펜더 브라켓 (86) 에 체결 고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임시로 압력 센서 (82) 를 범퍼 커버 (14) 에 고정시키는 경우에 비해, 압력 센서 (82) 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압력 센서 (82) 는 금속제의 펜더 브라켓 (86) 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임시로 압력 센서 (82) 를 수지제의 범퍼 커버 (14) 에 고정시키는 경우에 비해, 예를 들어, 압력 센서 (82) 의 장착 강도를 높게 할 수 있고, 압력 센서 (82) 에 입력되는 진동 등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 예를 들어, 차량 (10) 의 주행시 이외일 때 범퍼 커버 (14) 에 경미한 충격이 가해졌을 때에도, 당해 충격이 압력 센서 (82) 에 직접적으로 입력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펜더 브라켓 (86) 은 범퍼 커버 (14) 의 차량 후측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압력 센서 (82) 가 빗물이나 눈 등에 의해 피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상에 의해, 임시로 압력 센서 (82) 를 범퍼 커버 (14) 에 고정시키는 경우에 비해, 압력 센서 (82) 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앱소버 (50) 에서는, 앱소버 사이드부 (54) 의 두께 치수 (T1) 가, 앱소버 본체부 (52) 의 두께 치수 (T2) 에 비해 작게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앱소버 사이드부 (54) 가 압력 튜브 사이드부 (76) 를 가압했을 때의 압력 튜브 (72) 내의 압력 변화를 쉽게 나타내도록 할 수 있다. 이로써, 압력 튜브 (72) 에 있어서의 압력 튜브 사이드부 (76) 의 압력 감도를 높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 (10) 의 코너부 (10A) 에 있어서의 보행자 충돌 검지 센서 (70) 의 압력 감도를 높게 할 수 있다.
또한, 앱소버 (50) 는, 경도가 상이한 경질부 (64A) 와 연질부 (64B) 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앱소버 사이드부 (54) 가 경질부 (64A) 로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경도가 높게 설정된 앱소버 사이드부 (54) 에 의해 압력 튜브 (72) 를 지지 부재 (30) 측으로 양호하게 가압할 수 있다. 그리고, 이 경우에도, 압력 튜브 (72) 내의 압력 변화를 쉽게 나타내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압력 튜브 (72) 에 있어서의 압력 튜브 사이드부 (76) 의 압력 감도를 높게 할 수 있다.
또, 앱소버 (50) 에서는, 경질부 (64A) 의 발포 배율이 연질부 (64B) 의 발포 배율에 비해 작게 설정되어 있다. 이로써, 앱소버 (50) 에 있어서, 경도가 상이한 경질부 (64A) 및 연질부 (64B) 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 경질부 (64A) 및 연질부 (64B) 의 발포 배율을 적절히 조정함으로써, 예를 들어, 각종 차량마다 적합한 앱소버 (50) 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변형예 1)
변형예 1 에서는, 본 실시형태와 비교하여, 앱소버 (50) 의 앱소버 사이드부 (54) (경질부 (64A)) 의 경도가 더욱 높게 설정되어 있다. 예를 들어, 경질부 (64A) 의 발포 배율이 5 배로 설정되어 있다. 이로써, 차량 (10) 의 충돌체와의 충돌시에 앱소버 (50) 에 의해 압력 튜브 (72) 를 효과적으로 변형시킬 (찌부러트릴) 수 있다.
이하, 이 점에 대해 비교예와 비교하여 설명한다. 비교예에서는, 변형예 1 과 비교하여 앱소버 (50) 의 경계면 (66) 이 상이한 위치로 설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8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교예의 경계면 (66) 이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경계면 (66) 의 차폭 방향의 위치가 범퍼 RF (20) 의 차폭 방향 양단의 위치에 대략 일치하고 있다. 그리고, 앱소버 사이드부 (54) 의 경도를 상기와 같이 설정함으로써, 차량 후측에 대한 하중 (F) 이 앱소버 사이드부 (54) 에 입력되었을 때에, 앱소버 사이드부 (54) 및 지지 부재 (30) (도 8a 및 도 8b 에서는 도시 생략) 가 범퍼 RF (20) 의 차폭 방향 양단을 중심 (C) 으로 하여 차량 후측으로 회동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8b 참조). 그리고, 이 때에는, 앱소버 사이드부 (54) 가 경계면 (66) 의 후단을 기점으로 절곡되려고 한다.
이에 대하여, 변형예 1 에서는, 도 7a 및 도 7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량 후측에 대한 하중 (F) 이 앱소버 사이드부 (54) 에 입력되었을 때에는, 상기 와 동일하게, 앱소버 사이드부 (54) 및 지지 부재 (30) (도 7a 및 도 7b 에서는 도시 생략) 가 범퍼 RF (20) 의 차폭 방향 양단을 중심 (C) 으로 하여 차량 후측으로 회동하려고 한다. 여기서, 앱소버 (50) 에 있어서의 경질부 (64A) 와 연질부 (64B) 의 경계면 (66) 이, 평면에서 보았을 때 차폭 방향 내측을 향함에 따라 차량 전측으로 경사짐과 함께, 범퍼 RF (20) 의 차폭 방향 양단보다 차폭 방향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요컨대, 앱소버 사이드부 (54) 의 회동 중심이 되는 중심 (C) 에 대해, 경계면 (66) 이 차폭 방향 내측으로 어긋나 있다. 이 때문에, 앱소버 사이드부 (54) 가 차량 후측으로 회동하려고 할 때에는, 앱소버 (50) 는, 중심 (C) 으로부터 차폭 방향 내측으로 어긋난 경계면 (66) 을 기점으로 절곡되려고 한다. 이로써, 상기 비교예와 비교하여, 앱소버 (50) 에 있어서 압력 튜브 (72) 를 변형시키는 부분을 앱소버 (50) 의 길이 방향으로 확대할 수 있다. 그 결과, 도 7c 와 도 8c 를 비교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비교예와 비교하여 압력 튜브 (72) 의 찌부러짐량이 커진다. 이상에 의해, 앱소버 (50) 에 의해 압력 튜브 (72) 를 효과적으로 변형시킬 (찌부러트릴) 수 있다. 또한, 도 7c 및 도 8c 에서는, 압력 튜브 (72) 가 변형되었을 때의 압력 튜브 (72) 의 차폭 방향 위치에 대한 압력 튜브 (72) 의 찌부러짐량을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변형예 2)
변형예 2 에서는, 상기 변형예 1 에 대해 앱소버 (50) 의 경계면의 위치가 변경되어 있다. 즉, 도 1 및 도 9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형예 2 의 경계면 (66A) 이, 평면에서 보았을 때, 차량 전측을 향함에 따라 차폭 방향 내측으로 경사짐과 함께, 차량 전후 방향에 있어서 범퍼 RF (20) 의 차폭 방향 양단과 오버랩되어 배치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경계면 (66A) 의 후단의 위치가 범퍼 RF (20) 의 차폭 방향 양단에 대해 차폭 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있고, 경계면 (66A) 의 전단의 위치가 범퍼 RF (20) 의 차폭 방향 양단에 대해 차폭 방향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범퍼 RF (20) 의 차폭 방향 양단에 대해 차량 전측의 위치에 있어서, 경질부 (64A) 와 연질부 (64B) 가 차량 전후 방향에 나열되도록 배치된다. 이로써, 변형예 2 에 있어서도 차량 (10) 의 충돌체와의 충돌시에 앱소버 (50) 에 의해 압력 튜브 (72) 를 효과적으로 변형시킬 (찌부러트릴) 수 있다.
요컨대, 도 9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앱소버 사이드부 (54) 에 차량 후측에 대한 하중 (F) 이 입력되었을 때에는, 상기 변형예 1 과 동일하게, 앱소버 (50) 가 지지 부재 (30) (도 9a 및 도 9b 에서는 도시 생략) 와 함께 범퍼 RF (20) 의 차폭 방향 양단을 중심 (C) 으로 하여 차량 후측으로 회동하려고 한다. 이 때, 변형예 2 에서는, 경계면 (66A) 에 대해 차량 전측에 배치된 경질부 (64A) 에 의해, 경계면 (66A) 에 대해 차량 후측에 배치된 연질부 (64B) 를 눌러 찌부러트리도록 작용시킬 수 있다. 이로써, 앱소버 (50) 에 있어서 압력 튜브 (72) 를 변형시키는 부분을 앱소버 (50) 의 길이 방향으로 확대할 수 있다. 그 결과, 도 9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력 튜브 (72) 의 찌부러짐량이 커진다. 따라서, 앱소버 (50) 에 의해 압력 튜브 (72) 를 효과적으로 변형시킬 (찌부러트릴) 수 있다. 또한, 도 9c 에서는, 압력 튜브 (72) 가 변형되었을 때의 압력 튜브 (72) 의 차폭 방향 위치에 대한 압력 튜브 (72) 의 찌부러짐량을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변형예 3)
변형예 3 에서는, 상기 변형예 1 에 대해 앱소버 (50) 의 경계면의 위치가 변경되어 있다. 요컨대,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형예 3 의 경계면 (66B) 이, 평면에서 보았을 때, 차량 전측을 향함에 따라 차폭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고, 차폭 방향에 있어서 지지 부재 (30) 의 선단 (30A) 과 오버랩되어 배치되어 있다. 즉, 변형예 3 에서는, 적어도 앱소버측 돌출부 (60) 가 경질부 (64A) 로서 설정되어 있고, 그 밖의 부분이 연질부 (64B) 로서 설정되어 있다. 또, 지지 부재 (30) 의 선단 (30A) 에 대해 차폭 방향 외측의 위치에서, 경질부 (64A) 와 연질부 (64B) 가 차폭 방향으로 나열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로써, 도시는 생략하지만, 차량 (10) 의 측방으로부터 충돌체가 충돌한 경우에는, 변형예 2 와 동일하게 경계면 (66B) 에 대해 차폭 방향 외측에 배치된 경질부 (64A) 에 의해 연질부 (64B) 를 눌러 찌부러트리도록 작용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변형예 2 와 동일하게, 앱소버 (50) 에 있어서 압력 튜브 (72) 를 변형시키는 부분을 앱소버 (50) 의 길이 방향에서 확대할 수 있다. 이로써, 압력 튜브 (72) 의 찌부러짐량이 커진다. 그 결과, 차량 (10) 의 측방으로부터 충돌체가 충돌했을 때, 앱소버 (50) 에 의해 압력 튜브 (72) 를 효과적으로 변형시킬 (찌부러트릴)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앱소버 사이드부 (54) 의 선단부 (58) 가 지지 부재 (30) 의 선단 (30A) 보다 차폭 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있지만, 앱소버 사이드부 (54) 에 있어서 선단부 (58) 를 생략해도 된다. 요컨대, 앱소버 사이드부 (54) 가 지지 부재 (30) 의 선단 (30A) 보다 차폭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앱소버 사이드부 (54) 의 앱소버측 돌출부 (60) 가 지지 부재 (30) 의 선단 (30A) 보다 차량 후측으로 돌출 (오버행) 되어 있지만, 앱소버 사이드부 (54) 에 있어서 앱소버측 돌출부 (60) 를 생략해도 된다. 요컨대, 앱소버 사이드부 (54) 가 지지 부재 (30) 의 선단 (30A) 보다 차량 후측으로 돌출 (오버행) 되지 않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압력 튜브 (72) 가 앱소버 (50) 의 유지 홈부 (68) 에 유지되어 있지만, 범퍼 RF (20) 및 지지 부재 (30) 에 의해 압력 튜브 (72) 를 유지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요컨대, 범퍼 RF (20) 및 지지 부재 (30) 에 압력 튜브 (72) 를 유지하는 유지 홈부를 형성해도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앱소버 (50) 의 경도가 상이한 경질부 (64A) 및 연질부 (64B) 를 가지고 있고, 앱소버 (50) 가 2 종류의 경도로 구성되어 있지만, 앱소버 (50) 의 경도의 종류를 적절히 변경해도 된다. 예를 들어, 경질부 (64A) 및 연질부 (64B) 의 경도를 동일한 경도로 하여, 앱소버 (50) 를 1 종류의 경도로 구성해도 된다. 또, 앱소버 (50) 를 3 종류 이상의 경도로 구성해도 된다. 예를 들어, 앱소버 본체부 (52), 앱소버 사이드부 (54), 및 앱소버측 돌출부 (60) 의 각각을 상이한 경도로 구성하여, 앱소버 (50) 를 3 종류의 경도로 구성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앱소버 사이드부 (54) 의 전부가, 경질부 (64A)로 구성되어 있지만, 앱소버 사이드부 (54) 의 일부를 경질부 (64A) 로 구성해도 된다. 예를 들어, 도 3 의 화살표 A 로 나타내는 범위와 같이, 앱소버 사이드부 (54) 의 지지 부재 (30) 와 인접하는 부분을 연질부 (64B) 로 구성하여, 앱소버 사이드부 (54) 의 전부만을 경질부 (64A) 로 구성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차량 후측에 대한 하중을 경질부 (64A) 로부터 연질부 (64B) 로 전달하여 압력 튜브 (72) 를 변형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보행자 충돌 검지 센서 (70) 를 구비한 차량용 범퍼 구조 (S) 를 프론트 범퍼 (12) 에 적용한 예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상기 각 구성을 전후 반전시켜, 보행자 충돌 검지 센서 (70) 를 구비한 차량용 범퍼 구조 (S) 를 리어 범퍼에 적용해도 된다.

Claims (15)

  1. 차폭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여 배치된 범퍼 레인포스먼트와,
    차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범퍼 레인포스먼트의 차량 전후 방향 외측에 인접하여 배치된 앱소버와,
    상기 범퍼 레인포스먼트와 상기 앱소버 사이에서 차폭 방향으로 연장된 압력 튜브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압력 튜브의 압력 변화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보행자 충돌 검지 센서와,
    상기 범퍼 레인포스먼트와는 별체로 구성되고, 평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범퍼 레인포스먼트의 차폭 방향 양단부로부터 차폭 방향 외측으로 또한 차량 전후 방향 내측으로 연장됨과 함께, 상기 앱소버 및 상기 압력 튜브의 차량 전후 방향 내측에 인접하여 배치된 지지 부재를 갖고,
    상기 앱소버에는, 상기 압력 튜브를 유지하는 유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보행자 충돌 검지 센서를 구비한 차량용 범퍼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앱소버의 차폭 방향 양단부 및 상기 압력 튜브의 차폭 방향 양단부가, 상기 지지 부재의 선단보다 차폭 방향 외측에 배치된 보행자 충돌 검지 센서를 구비한 차량용 범퍼 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앱소버의 상기 차폭 방향 양단부에는, 상기 지지 부재의 선단에 대해 차량 전후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고 또한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앱소버측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압력 튜브의 상기 차폭 방향 양단부에는, 상기 앱소버측 돌출부를 따라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압력 튜브측 돌출부가 형성된 보행자 충돌 검지 센서를 구비한 차량용 범퍼 구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범퍼 레인포스먼트의 차폭 방향 양단부에 대해 차량 전후 방향 외측에 배치된 만곡면을 가지고 있고,
    상기 만곡면이, 평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범퍼 레인포스먼트의 차량 전후 방향 외측면과 연속적인 면을 형성하도록 차량 전후 방향 외측으로 만곡된 보행자 충돌 검지 센서를 구비한 차량용 범퍼 구조.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수지제로 되고,
    상기 지지 부재에는, 차량 상하 방향을 판 두께 방향으로 한 리브가 일체로 형성된 보행자 충돌 검지 센서를 구비한 차량용 범퍼 구조.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범퍼 레인포스먼트는, 차폭 방향 양측에 개방된 폐단면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 부재는, 차폭 방향 내측으로 돌출된 끼워 맞춤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끼워 맞춤부가 상기 범퍼 레인포스먼트의 폐단면 내에 끼워 넣어짐으로써, 상기 지지 부재가 상기 범퍼 레인포스먼트에 장착되는 보행자 충돌 검지 센서를 구비한 차량용 범퍼 구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에는, 상기 끼워 맞춤부와 상기 만곡면 사이의 위치에 있어서, 차폭 방향 내측에 개방된 슬릿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 부재가 상기 범퍼 레인포스먼트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범퍼 레인포스먼트의 전벽이 상기 슬릿의 내부에 끼워 넣어져 있는 보행자 충돌 검지 센서를 구비한 차량용 범퍼 구조.
  8.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앱소버 및 상기 압력 튜브가, 상기 범퍼 레인포스먼트의 상부의 차량 전후 방향 외측에 인접하여 배치된 보행자 충돌 검지 센서를 구비한 차량용 범퍼 구조.
  9.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앱소버의 차량 전후 방향 외측에는 범퍼 커버가 형성되고,
    상기 보행자 충돌 검지 센서는, 상기 압력 튜브 내의 압력 변화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압력 검출기를 가지고 있고,
    상기 압력 검출기가, 상기 범퍼 커버의 차량 전후 방향 내측에 배치된 금속제의 차체측 부재에 고정된 보행자 충돌 검지 센서를 구비한 차량용 범퍼 구조.
  10.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앱소버에 있어서의 상기 지지 부재와 인접하여 배치된 부분의 두께가, 상기 앱소버에 있어서의 상기 범퍼 레인포스먼트와 인접하여 배치된 부분의 두께에 비해 얇게 설정된 보행자 충돌 검지 센서를 구비한 차량용 범퍼 구조.
  11.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앱소버에 있어서의 상기 지지 부재와 인접하여 배치된 부분의 경도가, 상기 앱소버에 있어서의 다른 부분의 경도에 비해 높게 설정된 보행자 충돌 검지 센서를 구비한 차량용 범퍼 구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앱소버에 있어서 상이한 경도의 경계면이, 평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범퍼 레인포스먼트의 차폭 방향 양단보다 차폭 방향 내측에 배치되고 또한 차량 전후 방향 외측을 향함에 따라 차폭 방향 내측으로 경사진 보행자 충돌 검지 센서를 구비한 차량용 범퍼 구조.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앱소버에 있어서 상이한 경도의 경계면이, 평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범퍼 레인포스먼트의 차폭 방향 양단과 차량 전후 방향으로 오버랩되어 배치되고 또한 차량 전후 방향 외측을 향함에 따라 차폭 방향 내측으로 경사진 보행자 충돌 검지 센서를 구비한 차량용 범퍼 구조.
  14. 제 3 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앱소버측 돌출부의 경도가, 상기 앱소버에 있어서의 다른 부위의 경도에 비해 높게 설정되고,
    상기 앱소버에 있어서 상이한 경도의 경계면이, 평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지지 부재의 선단과 차폭 방향으로 오버랩되어 배치되고 또한 차량 전후 방향 외측을 향함에 따라 차폭 방향 외측으로 경사진 보행자 충돌 검지 센서를 구비한 차량용 범퍼 구조.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앱소버가, 발포 배율이 상이한 발포재에 의해 구성된 보행자 충돌 검지 센서를 구비한 차량용 범퍼 구조.
KR1020167021706A 2014-02-10 2015-01-16 보행자 충돌 검지 센서를 구비한 차량용 범퍼 구조 KR1018540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023596 2014-02-10
JP2014023596A JP6090196B2 (ja) 2014-02-10 2014-02-10 歩行者衝突検知センサを備えた車両用バンパ構造
PCT/JP2015/051135 WO2015118925A1 (ja) 2014-02-10 2015-01-16 歩行者衝突検知センサを備えた車両用バンパ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6713A KR20160106713A (ko) 2016-09-12
KR101854061B1 true KR101854061B1 (ko) 2018-05-02

Family

ID=53777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1706A KR101854061B1 (ko) 2014-02-10 2015-01-16 보행자 충돌 검지 센서를 구비한 차량용 범퍼 구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944242B2 (ko)
EP (1) EP3106354B1 (ko)
JP (1) JP6090196B2 (ko)
KR (1) KR101854061B1 (ko)
CN (1) CN106029450B (ko)
WO (1) WO201511892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07747B2 (ja) * 2014-06-02 2017-04-0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歩行者衝突検知センサを備えた車両前部構造
JP6107784B2 (ja) 2014-10-10 2017-04-0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歩行者衝突検知センサを備えた車両用バンパ構造
DE102015004420A1 (de) 2015-04-02 2016-10-0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 d. Staates Delaware) Frontpartie für ein Kraftfahrzeug
JP6256427B2 (ja) 2015-08-10 2018-01-1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歩行者衝突検知センサを備えた車両用バンパ構造
JP6443686B2 (ja) * 2015-09-03 2018-12-26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衝突検知装置
DE102015117700A1 (de) * 2015-10-16 2017-04-20 Magna International Inc. Querträger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Querträgers
JP6555072B2 (ja) * 2015-10-16 2019-08-07 株式会社デンソー 保護制御装置
US10266139B2 (en) * 2016-11-02 2019-04-23 Newtonoid Technologies, L.L.C. Automotive transport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activity and providing controlled response
DE102016122288A1 (de) * 2016-11-21 2018-05-24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Fahrzeugfrontstruktur
JP6704870B2 (ja) * 2017-03-14 2020-06-03 豊田鉄工株式会社 バンパリインフォースメント
US10099639B1 (en) 2017-05-16 2018-10-1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Energy absorbing device
JP6766776B2 (ja) * 2017-08-21 2020-10-14 トヨタ車体株式会社 車両用バンパー
JP6863209B2 (ja) * 2017-09-29 2021-04-2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センサ用プロテクタ及びこれを備えた車両
WO2019082285A1 (ja) * 2017-10-24 2019-05-0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衝突検知構造
WO2019082288A1 (ja) * 2017-10-24 2019-05-0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衝突検知構造
US10521982B2 (en) * 2018-01-17 2019-12-3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ensing tube diagnostic systems and methods
JP6962853B2 (ja) * 2018-04-09 2021-11-0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リヤバンパ
DE102018206604B4 (de) * 2018-04-27 2022-05-05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Stoßfängeranordnung
US10696253B2 (en) * 2018-07-18 2020-06-30 Public Transportation Safety Int'l Vehicle frontal safety guard
JP7035938B2 (ja) * 2018-09-27 2022-03-1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センサ用プロテクタ
US11292412B2 (en) 2019-02-15 2022-04-0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ealed bladder with pressure sensor
JP6677839B1 (ja) * 2019-03-08 2020-04-08 株式会社神戸製鋼所 自動車のバンパー補強材
US11097785B2 (en) * 2019-07-19 2021-08-24 Volvo Car Corporation Automobile hood for decoupled pedestrian safety and durability
US20240017690A1 (en) * 2020-10-14 2024-01-18 Nissan Motor Co., Ltd. Bumper reinforcement
JP7182655B2 (ja) * 2021-03-09 2022-12-0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センサの取付構造
WO2023022900A1 (en) * 2021-08-18 2023-02-23 Public Transportation Safety Int'l Corp. Vehicle safety guard system with impact detectio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322107A1 (en) * 2006-02-15 2009-12-31 Hiroyuki Takahashi Vehicle bumper structure
WO2011128971A1 (ja) * 2010-04-13 2011-10-2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歩行者衝突検出装置
JP2011245910A (ja) * 2010-05-24 2011-12-08 Toyota Motor Corp 歩行者衝突検知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35779B2 (ja) * 1996-12-18 2001-12-04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無人搬送車のバンパー取付構造
DE19918202A1 (de) * 1999-04-22 2000-10-26 Bayer Ag Sicherheitsstoßfänger
JP2006125999A (ja) * 2004-10-28 2006-05-18 Denso Corp 衝突検出センサ
JP4325600B2 (ja) 2005-09-06 2009-09-0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フロントバンパ構造
JP4726650B2 (ja) * 2006-02-24 2011-07-2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センサモジュール
DE202011105867U1 (de) * 2011-02-22 2011-10-24 Continental Automotive Gmbh Aufprallsensor mit einem elastisch deformierbaren Schlauch und zumindest einem Drucksensor
DE202011110919U1 (de) 2011-02-22 2017-03-27 Continental Automotive Gmbh Aufprallsensor mit einem elastisch deformierbaren Schlauch und zumindest einem Drucksensor
DE202011050636U1 (de) * 2011-07-06 2011-08-25 Carolin Dörfler Hilfsmittel zum Anzeichnen von Faschen
JP5392315B2 (ja) * 2011-07-19 2014-01-22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衝突検知装置
JP5983558B2 (ja) 2013-07-31 2016-08-3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歩行者衝突検出装置を備えた車両用バンパ構造
US8991903B1 (en) * 2013-10-04 2015-03-3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Deflector-catcher for small overlap vehicle impacts
JP5850018B2 (ja) * 2013-10-21 2016-02-0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歩行者衝突検出センサの搭載構造
JP6240486B2 (ja) * 2013-11-26 2017-11-29 株式会社Subaru 車両用衝突検知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322107A1 (en) * 2006-02-15 2009-12-31 Hiroyuki Takahashi Vehicle bumper structure
WO2011128971A1 (ja) * 2010-04-13 2011-10-2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歩行者衝突検出装置
JP2011245910A (ja) * 2010-05-24 2011-12-08 Toyota Motor Corp 歩行者衝突検知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106354A1 (en) 2016-12-21
WO2015118925A1 (ja) 2015-08-13
KR20160106713A (ko) 2016-09-12
US9944242B2 (en) 2018-04-17
JP2015150906A (ja) 2015-08-24
US20160347270A1 (en) 2016-12-01
EP3106354A4 (en) 2017-03-22
CN106029450B (zh) 2018-01-02
CN106029450A (zh) 2016-10-12
JP6090196B2 (ja) 2017-03-08
EP3106354B1 (en) 2018-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4061B1 (ko) 보행자 충돌 검지 센서를 구비한 차량용 범퍼 구조
JP6256427B2 (ja) 歩行者衝突検知センサを備えた車両用バンパ構造
JP6070647B2 (ja) 歩行者衝突検知センサを備えた車両用バンパ構造
JP6146383B2 (ja) 圧力チューブ式歩行者衝突検知センサを備えた車両用バンパ構造
KR101711544B1 (ko) 보행자 충돌 검지 센서를 구비한 차량용 범퍼 구조
JP6149742B2 (ja) 歩行者衝突検知センサを備えた車両用バンパ構造
JP6311685B2 (ja) 車両用センサの取り付け構造
US10029635B2 (en) Vehicle front portion structure equipped with pedestrian collision detecting sensor
JP6418074B2 (ja) 歩行者衝突検知センサを備えた車両用バンパ構造
JP6447019B2 (ja) 歩行者衝突検知センサを備えた車両用バンパ構造
JP6314714B2 (ja) 歩行者衝突検知センサを備えた車両用バンパ構造
JP6032251B2 (ja) 歩行者衝突検知センサを備えた車両用バンパ構造
US20230096952A1 (en) Collision detection apparatus
JP2015217799A (ja) 歩行者衝突検出センサを備えた車両用バンパ構造
JP5994666B2 (ja) 歩行者衝突検出装置を備えた車両用バンパ
US20240109505A1 (en) Contact detection apparatus
JP6485378B2 (ja) 歩行者衝突検知センサを備えた車両前部構造
JP6256358B2 (ja) 歩行者衝突検知センサを備えた車両用バンパ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