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5602B1 - 연료 전지를 구비하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연료 전지를 구비하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5602B1
KR101845602B1 KR1020160046222A KR20160046222A KR101845602B1 KR 101845602 B1 KR101845602 B1 KR 101845602B1 KR 1020160046222 A KR1020160046222 A KR 1020160046222A KR 20160046222 A KR20160046222 A KR 20160046222A KR 101845602 B1 KR101845602 B1 KR 1018456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lead
input
closed state
open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62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25890A (ko
Inventor
미츠히로 나다
Original Assignee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258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58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56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56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60L11/1881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992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implementation of mathematical or computational algorithms, e.g. feedback control loops, fuzzy logic, neural networks or artificial intellige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3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fuel ce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15/05Inlet covers
    • B60L11/1883
    • B60L11/189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7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fuel cells
    • B60L50/71Arrangement of fuel cells within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7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fuel cells
    • B60L50/72Constructional details of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4Superstructure sub-units with access or drainage openings having movable or removable closures; Sealing mea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28Locks for glove compartments, console boxes, fuel inlet cover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05F1/1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 E05F1/12Mechanisms in the shape of hinges or pivots, operated by springs
    • E05F1/1207Mechanisms in the shape of hinges or pivots, operated by springs with a coil spring parallel with the pivot axi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23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during start-up or shut-down; Depolarisation or activation, e.g. purging; Means for short-circuiting defective fuel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23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during start-up or shut-down; Depolarisation or activation, e.g. purging; Means for short-circuiting defective fuel cells
    • H01M8/04225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during start-up or shut-down; Depolarisation or activation, e.g. purging; Means for short-circuiting defective fuel cells during start-u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3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applied during specific periods
    • H01M8/04302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applied during specific periods applied during start-u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694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variables to be control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15/05Inlet covers
    • B60K2015/0515Arrangements for closing or opening of inlet cover
    • B60K2015/0538Arrangements for closing or opening of inlet cover with open or close mechanism automatically actu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15/05Inlet covers
    • B60K2015/0546Arrangements for checking the position of the inlet co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15/05Inlet covers
    • B60K2015/0561Locking means for the inlet cover
    • B60K2015/0576Locking means for the inlet cover with actuator fixed to the vehicle body
    • B60L2230/2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50Charging stations characterised by energy-storage or power-generation means
    • B60L53/54Fuel ce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20Energy converters
    • B60Y2400/202Fuel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6/00Structural combinations of different types of electrochemical generators
    • H01M16/003Structural combinations of different types of electrochemical generators of fuel cells with other electrochemical devices, e.g. capacitors, electrolysers
    • H01M16/006Structural combinations of different types of electrochemical generators of fuel cells with other electrochemical devices, e.g. capacitors, electrolysers of fuel cells with rechargeable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50/00Fuel cell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Specific features of fuel cell system
    • H01M2250/20Fuel cell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40Application of hydrogen technology to transportation, e.g. using fuel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Fuzzy System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차량은 연료 전지와, 리셉터클과, 리드와, 고정 핀을 구비하고, 차량이 이전에 가동을 종료한 시점부터 기동 지시의 입력을 수용한 시점까지의 사이에 있어서의 개방 상태의 검지를 기억하고; 기동 지시의 입력을 수용한 시점에 있어서 기억부가 개방 상태의 검지를 기억하고 있는 경우, 기동 지시의 입력을 수용한 시점부터 차량이 가동하고 있는 사이에, 고정 위치에 있는 고정 핀을 해제 위치로 일시적으로 이동시킨 후에 다시 고정 핀을 고정 위치로 이동시키는 재시행 동작을 행한다.

Description

연료 전지를 구비하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FUEL CELL-EQUIPPED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본원은 2015년 4월 22일에 출원된 출원 번호 2015-87246호의 일본 특허 출원에 기초하는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개시의 전부가 참조에 의해 본원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연료 전지를 구비하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JP2011-156896A에는 연료 전지를 구비하는 차량(연료 전지 차량)으로서, 연료의 충전을 외부로부터 수용하는 리셉터클(충전구)과, 그 리셉터클을 덮는 개폐 가능한 리드(덮개)를 구비하는 차량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JP2004-148980A에는 그와 같은 리드를 폐쇄 상태로 고정하는 로크 기구가 개시되어 있다.
JP2011-156896A, JP2004-148980A의 연료 전지 차량에서는 리드의 위치 어긋남, 로크 기구에 의해 리드를 고정하는 타이밍의 어긋남 및 사용자에 의한 변칙적인 조작 등에 따라서는, 리셉터클을 덮는 리드가 폐쇄 상태로 고정되지 않고 연료 전지 차량이 주행할 우려가 있었다. 리드가 폐쇄 상태로 고정되지 않고 연료 전지 차량이 주행했을 경우, 연료 전지 차량의 주행 중에 개방 상태가 된 리드가 장해물에 부딪힘으로써, 리드가 손상될 우려가 있다. 그로 인해, 리셉터클을 덮는 리드가 연료 전지 차량의 주행 중에 개방 상태가 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는 기술이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의 적어도 일부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이하의 형태로서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1)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차량을 제공한다. 이 차량은 전기 화학 반응에 의해 발전하는 연료 전지와; 상기 연료 전지에 사용되는 연료의 충전을 상기 차량의 외부로부터 수용하는 리셉터클과; 개방 상태로부터 폐쇄 상태로 자동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상기 폐쇄 상태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을 덮는 리드와; 상기 폐쇄 상태에 있는 상기 리드에 끼워 맞춤으로써 상기 리드를 상기 폐쇄 상태로 고정하는 고정 위치와, 상기 리드와의 끼워 맞춤을 해제하는 해제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 고정 핀과; 상기 리드의 개폐 상태를 검지하는 검지부와; 상기 개방 상태로부터 상기 폐쇄 상태로의 변화를 상기 검지부가 검지한 경우, 상기 고정 핀을 상기 해제 위치로부터 상기 고정 위치로 이동시키는 제어를 행하는 고정 제어부와; 상기 검지부가 상기 폐쇄 상태를 검지하고 있는 경우, 상기 차량을 기동하는 기동 지시의 입력을 수용하는 기동 입력부와; 상기 차량이 이전에 가동을 종료한 시점부터 상기 기동 지시의 입력을 수용한 시점까지의 사이에 있어서의 상기 검지부에 의한 상기 개방 상태의 검지를 기억하는 기억부와; 상기 기동 지시의 입력을 수용한 시점에 있어서 상기 기억부가 상기 개방 상태의 검지를 기억하고 있는 경우, 상기 기동 지시의 입력을 수용한 시점부터 상기 차량이 가동하고 있는 사이에, 상기 고정 위치에 있는 상기 고정 핀을 상기 해제 위치로 일시적으로 이동시킨 후에 다시 상기 고정 핀을 상기 고정 위치로 이동시키는 재시행 동작을 행하는 재시행 제어부를 구비한다.
이 형태에 의하면, 리드가 폐쇄 상태로 고정되어 있지 않을 가능성이 있는 경우에, 고정 핀에 의한 리드의 고정을 다시 실행할 수 있다. 따라서, 리셉터클을 덮는 리드가 차량의 주행 중에 개방 상태가 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2) 상기 형태의 차량에 있어서, 상기 재시행 제어부는 상기 기동 지시의 입력을 수용한 시점에 있어서 상기 기억부가 상기 개방 상태의 검지를 기억하고 있는 경우, 상기 기동 지시의 입력을 수용한 시점부터 상기 차량이 기동하기 전에, 상기 재시행 동작을 행해도 된다.
이 형태에 의하면, 차량의 탑승자가 비교적 위화감을 느끼기 어려운 타이밍에서, 고정 핀에 의한 리드의 고정을 다시 실행할 수 있다.
(3) 상기 형태의 차량에 있어서, 상기 재시행 제어부는 상기 기동 지시의 입력을 수용한 시점에 있어서 상기 기억부가 상기 개방 상태의 검지를 기억하고 있는 경우, 상기 차량이 기동 할 때에 상기 재시행 동작을 행해도 된다.
이 형태에 의하면, 차량의 탑승자가 비교적으로 위화감을 느끼기 어려운 타이밍에서, 고정 핀에 의한 리드의 고정을 다시 실행할 수 있다.
(4) 상기 형태의 차량에 있어서, 상기 재시행 제어부는 상기 기동 지시의 입력을 수용한 시점에 있어서 상기 기억부가 상기 개방 상태의 검지를 기억하고 있는 경우, 상기 차량의 주행 속도가 설정값에 도달할 때에 상기 재시행 동작을 행해도 된다.
이 형태에 의하면, 차량의 탑승자가 비교적 위화감을 느끼기 어려운 타이밍에서, 고정 핀에 의한 리드의 고정을 다시 실행할 수 있다.
(5) 상기 형태의 차량에 있어서, 상기 재시행 동작을 행한 후, 상기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개방 상태의 검지를 소거하는 기억 소거부를 더 구비해도 된다.
이 형태에 의하면, 고정 핀을 이동시키는 횟수가 과도하게 증가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6) 상기 형태의 차량에 있어서, 상기 재시행 제어부는 상기 기동 지시의 입력을 수용한 시점에 있어서 상기 기억부가 상기 개방 상태의 검지를 기억하고 있는 경우, 상기 기동 지시의 입력을 수용한 시점부터 상기 차량이 가동되고 있는 사이에, 상기 재시행 동작을 복수회 행하고; 상기 기억 소거부는 상기 차량의 주행 속도가 설정값에 도달할 때에 상기 재시행 동작을 행한 후, 상기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개방 상태의 검지를 소거해도 된다.
이 형태에 의하면, 고정 핀을 이동시키는 횟수가 과도하게 증가하는 것을 억제하면서, 리셉터클을 덮는 리드가 차량(10)의 주행 중에 개방 상태가 되는 것을 한층 더 방지할 수 있다.
(7) 상기 형태의 차량에 있어서, 상기 리드는 스프링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개방 상태로부터 상기 폐쇄 상태로 자동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형태에 의하면, 개방 상태로부터 폐쇄 상태로의 자동적인 리드의 이동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8) 상기 형태의 차량에 있어서, 상기 차량이 가동을 종료하고 있는 경우, 상기 고정 핀에 의한 상기 리드의 고정을 해제하는 해제 지시의 입력을 수용하는 해제 입력부와; 상기 해제 지시의 입력을 수용한 경우, 상기 고정 핀을 상기 고정 위치로부터 상기 해제 위치로 이동시키는 제어를 행하는 해제 제어부를 더 구비해도 된다.
이 형태에 의하면, 차량이 가동을 종료하고 있는 경우에, 고정 핀에 의한 리드의 고정을 해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연료 전지를 구비하는 차량 이외의 다양한 형태로 실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본원 발명은 연료 전지를 구비하는 차량을 제어하는 제어 방법 및 제어 장치 등의 형태로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차량의 구성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 2는 리드 주변의 상세 구성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 3은 리드 주변의 상세 구성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 4는 리드 주변의 상세 구성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 5는 리드 주변의 상세 구성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 6은 제어부의 상세 구성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 7은 제어부가 실행하는 재시행 제어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1은 차량(10)의 구성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차량(10)은 연료 전지(30)를 구비하는 연료 전지 차량이다. 차량(10)은 연료 전지(30)에 의해 생성되는 전력을 사용하여 주행한다.
차량(10)의 연료 전지(30)는 전기 화학 반응에 의해 발전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연료 전지(30)에 사용되는 연료는 수소(H2)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연료 전지(30)는 연료 탱크(35)로부터 공급되는 수소와, 대기로부터 도입한 공기 중의 산소의 전기 화학 반응에 의해, 연료인 수소의 화학 에너지로부터 전력을 취출한다.
차량(10)은 연료 전지(30) 외에, 차륜(21, 23)과, 이차 전지(40)와, 전력 조정부(50)와, 전동기(60)와, 시동 스위치(72)와, 차속 센서(76)와, 해제 스위치(78)와, 제어부(80)를 구비한다. 차량(10)의 외각(100)에는 오목부(210)와, 힌지 기구(230)와, 리드(260)와, 리셉터클(310)이 설치되어 있다.
차량(10)의 이차 전지(40)는 잉여 전력을 축적하는 배터리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차 전지(40)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이다.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이차 전지(40)는 납 축전지여도 되고, 니켈 수소 충전지여도 된다.
차량(10)의 전력 조정부(50)는 연료 전지(30)로부터 전동기(60)로의 전력의 공급, 연료 전지(30)로부터 이차 전지(40)로의 전력의 공급 및 이차 전지(40)와 전동기(60) 사이의 전력 교환을 조정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력 조정부(50)는 컨버터 및 인버터를 포함한다.
차량(10)의 전동기(60)는 전력 조정부(50)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회전 동력으로 변환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동기(60)는 차량(10)의 전륜인 2개의 차륜(21)을 구동한다.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전동기(60)는 차량(10)의 후륜인 2개의 차륜(23)을 구동해도 되고, 4개의 차륜(21, 23)을 구동해도 된다.
차량(10)의 시동 스위치(72)는 차량(10)의 조작자에 의한 조작으로서, 차량(10)을 기동하는 조작을 수용하는 유저 인터페이스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시동 스위치(72)는 조작자의 손가락에 의한 가압에 따라 전기 신호를 제어부(80)에 출력한다.
차량(10)의 차속 센서(76)는 차량(10)의 주행 속도를 검지하는 센서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차속 센서(76)는 차륜(21)의 회전 속도에 기초하여, 차량(10)의 주행 속도를 검지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차속 센서(76)는 차량(10)의 주행 속도를 나타내는 전기 신호를 제어부(80)에 출력한다.
차량(10)의 해제 스위치(78)는 차량(10)의 조작자에 의한 조작으로서, 폐쇄 상태에 있는 리드(260)의 고정을 해제하는 조작을 수용하는 유저 인터페이스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해제 스위치(78)는 조작자의 손가락에 의한 가압에 따라 전기 신호를 제어부(80)에 출력한다.
차량(10)의 제어부(80)는 차량(10)에 있어서의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어부(80)의 기능은 CPU(Central Processing Unit)가 컴퓨터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동작함으로써 실현된다.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제어부(80)의 기능의 적어도 일부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가 그 회로 구성에 기초하여 동작함으로써 실현되어도 된다. 제어부(80)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차량(10)의 오목부(210)는 외각(100)의 외표면보다 내측으로 오목한 부위이다. 오목부(210)에는 리셉터클(310)이 설치되어 있다. 리셉터클(310)은 연료 전지(30)에 사용되는 연료(수소)의 충전을 차량(10)의 외부로부터 수용하는 충전구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리셉터클(310)은 수소 공급 시설(수소 스테이션)에 설치된 충전 노즐(도시되지 않음)과 접속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차량(10)의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연료(수소)는 리셉터클(310)을 통해 연료 탱크(35)에 충전된다.
차량(10)의 리드(260)는 개방 상태로부터 폐쇄 상태로 자동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폐쇄 상태에 있어서 리셉터클(310)을 덮는 덮개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리드(260)는 오목부(210)에 끼워 맞추는 형상을 이루고, 폐쇄 상태에 있어서 차량(10)의 외각의 일부로서 기능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리드(260)는 힌지 기구(230)를 통해 외각(100)에 설치되어 있다. 힌지 기구(230)는 리드(260)를 개폐 가능하게 외각(100)과 리드(260)를 연결한다.
도 2, 도 3, 도 4 및 도 5는 리드(260) 주변의 상세 구성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리드(260)는 스프링(235)의 가압력에 의해 개방 상태(도 4를 참조)로부터 폐쇄 상태(도 3을 참조)로 자동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스프링(235)은 힌지 기구(230)에 설치된 토션 스프링(비틀림 스프링)이다.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리드(260)는 리드(260)의 자중에 의해, 개방 상태로부터 폐쇄 상태로 자동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힌지 기구(230)는 리드(260)의 개폐 상태를 나타내는 전기 신호를 제어부(80)에 출력하는 스위치로서 기능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힌지 기구(230)는 그 구조상, 리드(260)가 완전히 폐쇄 상태가 되어 있지 않은 상태(도 5를 참조)라도, 리드(260)의 폐쇄 상태를 나타내는 전기 신호를 제어부(80)에 출력하는 사양이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차량(10)은 리드(260) 주변의 구성으로서, 커티시 스위치(240)를 구비한다. 커티시 스위치(240)는 스프링이 내장된 스위치이고, 수축 상태와 신장 상태의 각 상태에서 각각 유지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수축 상태에 있는 커티시 스위치(240)를 가압했을 경우, 커티시 스위치(240)는 신장 상태가 되고, 그대로 신장 상태를 유지한다(도 4를 참조). 신장 상태에 있는 커티시 스위치(240)를 가압했을 경우, 커티시 스위치(240)는 수축 상태가 되고, 그대로 수축 상태를 유지한다(도 3 및 도 5를 참조). 본 실시 형태에서는, 커티시 스위치(240)는 수축 상태와 신장 상태의 각 상태를 나타내는 전기 신호를 제어부(80)에 출력한다.
차량(10)은 리드(260) 주변의 구성으로서, 로크 기구(250)를 구비한다. 로크 기구(250)는 리드(260)를 폐쇄 상태로 고정하는 기구이다. 로크 기구(250)는 봉 형상의 고정 핀(225)을 구비한다. 고정 핀(225)은 폐쇄 상태에 있는 리드(260)에 끼워 맞춤으로써 리드(260)를 폐쇄 상태로 고정하는 고정 위치(도 2를 참조)와, 리드(260)와의 끼워 맞춤을 해제하는 해제 위치(도 3을 참조)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로크 기구(250)는 랙 앤드 피니언을 모터로 구동함으로써, 고정 핀(225)을 고정 위치와 해제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킨다.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로크 기구(250)는 솔레노이드 액추에이터를 구동함으로써, 고정 핀(225)을 고정 위치와 해제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켜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리드(260)의 내측에는 관통 구멍(264)을 갖는 돌출부(262)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고정 핀(225)은 리드(260)가 폐쇄 상태에 있는 경우에, 관통 구멍(264)에 삽입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도 2에서는, 리드(260)는 폐쇄 상태이고, 고정 핀(225)은 고정 위치에 있다. 이에 의해, 리드(260)는 폐쇄 상태로 고정된다. 도 2에서는, 커티시 스위치(240)는 수축 상태에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리드(260)가 도 2의 위치에 있는 경우, 힌지 기구(230)는 리드(260)의 폐쇄 상태를 나타내는 전기 신호를 제어부(80)에 출력한다.
도 3에서는, 리드(260)는 폐쇄 상태이고, 고정 핀(225)은 해제 위치에 있다. 이에 의해, 조작자는 리드(260)를 개방 상태(도 4를 참조)로 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커티시 스위치(240)는 수축 상태에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리드(260)가 도 3의 위치에 있는 경우, 힌지 기구(230)는 리드(260)의 폐쇄 상태를 나타내는 전기 신호를 제어부(80)에 출력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조작자는 리드(260)를 내측으로 일단 압입하고, 수축 상태에 있는 커티시 스위치(240)를 신장 상태로 함으로써, 리드(260)를 개방 상태로 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리드(260)는 개방 상태이고, 고정 핀(225)은 해제 위치에 있다. 도 4에서는, 커티시 스위치(240)는 신장 상태에 있다. 조작자는 리드(260)를 더욱 개방함으로써, 리셉터클(310)을 통한 연료의 충전을 실시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커티시 스위치(240)는 신장 상태에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리드(260)가 도 4의 위치에 있는 경우, 힌지 기구(230)는 리드(260)의 개방 상태를 나타내는 전기 신호를 제어부(80)에 출력한다.
도 5에서는, 리드(260)는 개방 상태이고, 고정 핀(225)은 고정 위치에 있고, 리드(260)의 돌출부(262)가 고정 핀(225)에 닿은 상태에 있다. 도 5에서는, 커티시 스위치(240)는 수축 상태에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리드(260)가 도 5의 위치에 있는 경우, 리드(260)가 개방 상태이면서, 힌지 기구(230)는 리드(260)의 폐쇄 상태를 나타내는 전기 신호를 제어부(80)에 출력해 버린다.
도 6은 제어부(80)의 상세 구성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제어부(80)는 검지부(810)와, 고정 제어부(820)와, 기동 입력부(830)와, 기억부(840)와, 재시행 제어부(850)를 구비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어부(80)는 기억 소거부(860)와, 해제 입력부(870)와, 해제 제어부(880)를 더 구비한다.
제어부(80)의 검지부(810)는 리드(260)의 개폐 상태를 검지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검지부(810)는 힌지 기구(230) 및 커티시 스위치(240)로부터 출력되는 전기 신호에 기초하여 리드(260)의 개폐 상태를 검지한다.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힌지 기구(230) 및 커티시 스위치(240)의 한쪽으로부터 출력되는 전기 신호에 기초하여 리드(260)의 개폐 상태를 검지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힌지 기구(230) 및 커티시 스위치(240)의 양쪽으로부터 출력되는 전기 신호가 리드(260)의 폐쇄 상태를 나타내는 경우, 검지부(810)는 리드(260)가 폐쇄 상태라고 판단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힌지 기구(230) 및 커티시 스위치(240) 중 적어도 한쪽으로부터 출력되는 전기 신호가 리드(260)의 개방 상태를 나타내는 경우, 검지부(810)는 리드가 개방 상태라고 판단한다.
제어부(80)의 고정 제어부(820)는 리드(260)의 개방 상태로부터 폐쇄 상태로의 변화를 검지부(810)가 검지한 경우, 고정 핀(225)을 해제 위치로부터 고정 위치로 이동시키는 제어를 행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고정 제어부(820)는 로크 기구(250)에 제어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고정 핀(225)을 해제 위치로부터 고정 위치로 이동시킨다. 고정 제어부(820)의 작용에 의해, 리드(260)는 도 4의 상태로부터 도 3의 상태로 변화되었을 경우, 도 2의 상태가 된다.
제어부(80)의 기동 입력부(830)는 검지부(810)가 리드(260)의 폐쇄 상태를 검지하고 있는 경우, 차량(10)을 기동하는 기동 지시의 입력을 수용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기동 입력부(830)는 시동 스위치(72)로부터의 전기 신호에 기초하여 기동 지시의 입력을 수용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차량(10)을 기동한다」라 함은, 차량(10)의 주행에 필요한 기기에 전원을 투입하여, 운전자에 의한 차량(10)의 운전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의미한다.
제어부(80)의 기억부(840)는 차량(10)이 이전에 가동을 종료한 시점부터, 기동 입력부(830)에 의해 기동 지시의 입력을 수용한 시점까지의 사이에 있어서의 검지부(810)에 의한 리드(260)의 개방 상태의 검지를 기억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차량(10)의 가동을 종료한다」라 함은, 차량(10)의 주행에 필요한 기기의 전원을 차단하고, 차량(10)을 다음회의 기동까지 대기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제어부(80)의 재시행 제어부(850)는 기동 입력부(830)에 의해 기동 지시의 입력을 수용한 시점에 있어서 기억부(840)가 리드(260)의 개방 상태의 검지를 기억하고 있는 경우, 기동 입력부(830)에 의해 기동 지시의 입력을 수용한 시점부터 차량(10)이 가동하고 있는 사이에, 고정 위치에 있는 고정 핀(225)을 해제 위치로 일시적으로 이동시킨 후에 다시 고정 핀(225)을 고정 위치로 이동시키는 재시행 동작을 행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재시행 제어부(850)는 로크 기구(250)에 제어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고정 핀(225)의 재시행 동작을 행한다. 재시행 제어부(850)의 작용에 의해, 리드(260)는 도 5의 상태였더라도, 도 3의 상태를 거쳐서, 도 2의 상태가 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차량(10)이 가동하고 있는 사이」라 함은, 차량(10)의 주행에 필요한 기기에 전원이 공급되고 있고, 운전자에 의한 차량(10)의 운전을 가능하게 하는 상태로 유지되고 있는 기간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차량(10)이 가동하고 있는 사이」는, 차량(10)이 주행 중인 상태를 포함하는 것 외에, 차량(10)의 주행에 필요한 기기에 전원이 공급되어 있으면서, 차량(10)이 주행하고 있지 않은 상태(정지 중)를 포함한다.
제어부(80)의 기억 소거부(860)는 재시행 제어부(850)에 의해 재시행 동작을 행한 후, 기억부(840)에 기억되어 있는 리드(260)의 개방 상태의 검지를 소거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기억 소거부(860)는 차량(10)의 주행 속도가 설정값에 도달할 때에 재시행 제어부(850)에 의해 재시행 동작을 행한 후, 기억부(840)에 기억되어 있는 리드(260)의 개방 상태의 검지를 소거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기억 소거부(860)는 차속 센서(76)로부터 출력되는 전기 신호에 기초하여, 차량(10)의 주행 속도를 판단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기억 소거부(860)는 차량(10)의 주행 속도가 시속 3㎞(킬로미터)에 도달할 때에 재시행 제어부(850)에 의해 재시행 동작을 행한 후, 기억부(840)에 기억되어 있는 리드(260)의 개방 상태의 검지를 소거한다.
제어부(80)의 해제 입력부(870)는 차량(10)이 가동을 종료하고 있는 경우, 고정 핀(225)에 의한 리드(260)의 고정을 해제하는 해제 지시의 입력을 수용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기억 소거부(860)는 해제 스위치(78)로부터의 전기 신호에 기초하여 해제 지시의 입력을 수용한다.
제어부(80)의 해제 제어부(880)는 해제 입력부(870)에 의해 해제 지시의 입력을 수용한 경우, 고정 핀(225)을 고정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로 이동시키는 제어를 행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해제 제어부(880)는 로크 기구(250)에 제어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고정 핀(225)을 고정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로 이동시킨다. 해제 제어부(880)의 작용에 의해, 리드(260)는 도 2의 상태로부터 도 3의 상태가 된다.
도 7은 제어부(80)가 실행하는 재시행 제어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제어부(80)는 기동 입력부(830)에 의해 기동 지시의 입력을 수용한 경우, 도 7의 재시행 제어 처리를 개시한다.
도 7의 재시행 제어 처리를 개시한 후, 제어부(80)는 기동 입력부(830)에 의해 기동 지시의 입력을 수용한 시점에 있어서, 기억부(840)가 리드(260)의 개방 상태의 검지를 기억하고 있는지 여부, 즉 기억부(840)에 개방 상태의 이력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10). 기억부(840)에 개방 상태의 이력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스텝 S110 「아니오」), 제어부(80)는 도 7의 재시행 제어 처리를 종료한다.
기억부(840)에 개방 상태의 이력이 존재하는 경우(스텝 S110 「예」), 제어부(80)는 고정 위치에 있는 고정 핀(225)을 해제 위치로 일시적으로 이동시킨 후에 다시 고정 핀(225)을 고정 위치로 이동시키는 재시행 동작을 행한다(스텝 S120).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어부(80)는 로크 기구(250)에 제어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고정 핀(225)의 재시행 동작을 행한다.
재시행 동작을 행한 후(스텝 S120), 제어부(80)는 차량(10)을 기동할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30).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어부(80)는 차량(10)의 각 부의 상태가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 차량(10)을 기동한다. 차량(10)을 기동하지 않는 경우(스텝 S130 「아니오」), 제어부(80)는 도 7의 재시행 제어 처리를 종료한다.
차량(10)을 기동하는 경우(스텝 S130 「예」), 제어부(80)는 고정 위치에 있는 고정 핀(225)을 해제 위치로 일시적으로 이동시킨 후에 다시 고정 핀(225)을 고정 위치로 이동시키는 재시행 동작을 행한다(스텝 S140).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어부(80)는 로크 기구(250)에 제어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고정 핀(225)의 재시행 동작을 행한다.
재시행 동작을 행한 후(스텝 S140), 제어부(80)는 차량(10)의 주행 속도가 설정값에 도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50).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설정값은 시속 3㎞이다.
차량(10)의 주행 속도가 설정값에 도달한 경우(스텝 S150 「예」), 제어부(80)는 고정 위치에 있는 고정 핀(225)을 해제 위치로 일시적으로 이동시킨 후에 다시 고정 핀(225)을 고정 위치로 이동시키는 재시행 동작을 행한다(스텝 S160).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어부(80)는 로크 기구(250)에 제어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고정 핀(225)의 재시행 동작을 행한다.
재시행 동작을 행한 후(스텝 S160), 제어부(80)는 기억부(840)에 존재하는 개방 상태의 이력을 소거한다(스텝 S170). 그 후, 제어부(80)는 도 7의 재시행 제어 처리를 종료한다.
차량(10)의 주행 속도가 설정값에 도달하기 전에(스텝 S150 「아니오」), 차량(10)의 가동을 정지한 경우(스텝 S150 「아니오」), 개방 상태의 이력은 계속해서 기억부(840)에 유지되고, 다음회 이후의 재시행 제어 처리에 있어서 참조된다.
이상 설명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기동 지시의 입력을 수용한 시점에 있어서 기억부(840)가 개방 상태의 검지를 기억하고 있는 경우(스텝 S110 「예」), 기동 지시의 입력을 수용한 시점부터 차량(10)이 가동하고 있는 사이에, 고정 위치에 있는 고정 핀(225)을 해제 위치로 일시적으로 이동시킨 후에 다시 고정 핀(225)을 고정 위치로 이동시키는 재시행 동작을 행한다(스텝 S120, S140, S160). 그로 인해, 리드(260)가 폐쇄 상태로 고정되어 있지 않을 가능성이 있는 경우에(예를 들어, 도 5를 참조), 고정 핀(225)에 의한 리드(260)의 고정을 다시 실행할 수 있다. 따라서, 리셉터클(310)을 덮는 리드(260)가 차량(10)의 주행 중에 개방 상태가 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고정 핀(225)을 이동시키는 횟수가 과도하게 증가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기동 지시의 입력을 수용한 시점에 있어서 기억부(840)가 개방 상태의 검지를 기억하고 있는 경우(스텝 S110 「예」), 기동 지시의 입력을 수용한 시점부터 차량(10)이 기동하기 전에 재시행 동작을 행하기 때문에(스텝 S120), 차량(10)의 탑승자가 비교적으로 위화감을 기억하기 어려운 타이밍에서, 고정 핀(225)에 의한 리드(260)의 고정을 다시 실행할 수 있다.
또한, 기동 지시의 입력을 수용한 시점에 있어서 기억부(840)가 개방 상태의 검지를 기억하고 있는 경우(스텝 S110 「예」), 차량(10)이 기동할 때에 재시행 동작을 행하기 때문에(스텝 S140), 차량(10)의 탑승자가 비교적으로 위화감을 기억하기 어려운 타이밍에서, 고정 핀(225)에 의한 리드(260)의 고정을 다시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차량(10)의 운전자가 리드(260)를 개방 상태로 유지하는 것에 기인하는 리드(260)의 고정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기동 지시의 입력을 수용한 시점에 있어서 기억부(840)가 개방 상태의 검지를 기억하고 있는 경우(스텝 S110 「예」), 차량(10)의 주행 속도가 설정값에 도달할 때에 재시행 동작을 행하기 때문에(스텝 S160), 차량(10)의 탑승자가 비교적으로 위화감을 기억하기 어려운 타이밍에서, 고정 핀(225)에 의한 리드(260)의 고정을 다시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인간이나 지상의 고정물이 리드(260)를 개방 상태로 유지하는 것에 기인하는 리드(260)의 고정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재시행 동작을 행한 후(스텝 S160), 기억부(840)에 기억되어 있는 개방 상태의 검지를 소거하기 위해, 고정 핀(225)을 이동시키는 횟수가 과도하게 증가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차량(10)의 주행 속도가 설정값에 도달할 때에 재시행 동작을 행한 후(스텝 S160), 기억부(840)에 기억되어 있는 개방 상태의 검지를 소거하기 위해, 고정 핀(225)을 이동시키는 횟수가 과도하게 증가하는 것을 억제하면서, 리셉터클(310)을 덮는 리드(260)가 차량(10)의 주행 중에 개방 상태가 되는 것을 한층 더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 실시예 및 변형예로 한정되지 않고, 그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다양한 구성으로 실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 형태, 실시예 및 변형예에 있어서의 기술적 특징 중, 발명의 내용의 란에 기재한 각 형태에 있어서의 기술적 특징에 대응하는 것은, 상술한 과제의 일부 또는 전부를 해결하기 위해, 혹은 상술한 효과의 일부 또는 전부를 달성하기 위해, 적절히 교체 및 조합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명세서 중에 필수의 것으로서 설명되어 있지 않은 기술적 특징에 대해서는, 적절히 삭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어부(80)는 상술한 실시 형태와 같이 3회의 재시행 동작(스텝 S120, S140, S160)을 행할 필요는 없고, 기동 지시 후의 재시행 동작(스텝 S120)과, 차량 기동 후의 재시행 동작(스텝 S140)과, 주행 속도 도달 후의 재시행 동작(스텝 S160) 중 적어도 하나의 재시행 동작을 행하면 된다.
기억부(840)에 있어서의 개방 상태의 이력을 소거하는 타이밍은 주행 속도 도달 후에 재시행 동작(스텝 S160)을 행한 후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재시행 동작을 행한 후여도 된다.
리드(260)를 고정하는 부재는 봉 형상의 고정 핀(225)으로 한정되지 않고, 리드(260)에 걸림 결합함으로써 리드(260)를 고정 가능한 부재(예를 들어, 갈고리, 나사, 판 등)이면 된다.

Claims (16)

  1. 차량이며,
    전기 화학 반응에 의해 발전하는 연료 전지와,
    상기 연료 전지에 사용되는 연료의 충전을 상기 차량의 외부로부터 수용하는 리셉터클과,
    개방 상태로부터 폐쇄 상태로 자동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상기 폐쇄 상태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을 덮는 리드와,
    상기 폐쇄 상태에 있는 상기 리드에 끼워 맞춤으로써 상기 리드를 상기 폐쇄 상태로 고정하는 고정 위치와, 상기 리드와의 끼워 맞춤을 해제하는 해제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 고정 핀과,
    상기 리드의 개폐 상태를 검지하는 검지부와,
    상기 개방 상태로부터 상기 폐쇄 상태로의 변화를 상기 검지부가 검지한 경우, 상기 고정 핀을 상기 해제 위치로부터 상기 고정 위치로 이동시키는 제어를 행하는 고정 제어부와,
    상기 검지부가 상기 폐쇄 상태를 검지하고 있는 경우, 상기 차량을 기동하는 기동 지시의 입력을 수용하는 기동 입력부와,
    상기 차량이 이전에 가동을 종료한 시점부터 상기 기동 지시의 입력을 수용한 시점까지의 사이에 있어서의 상기 검지부에 의한 상기 개방 상태의 검지를 기억하는 기억부와,
    상기 기동 지시의 입력을 수용한 시점에 있어서 상기 기억부가 상기 개방 상태의 검지를 기억하고 있는 경우, 상기 기동 지시의 입력을 수용한 시점부터 상기 차량이 가동하고 있는 사이에, 상기 고정 위치에 있는 상기 고정 핀을 상기 해제 위치로 일시적으로 이동시킨 후에 다시 상기 고정 핀을 상기 고정 위치로 이동시키는 재시행 동작을 행하는 재시행 제어부를 구비하는, 차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시행 제어부는 상기 기동 지시의 입력을 수용한 시점부터 상기 차량이 기동하기 전에, 상기 재시행 동작을 행하는, 차량.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시행 제어부는 상기 차량이 기동할 때에 상기 재시행 동작을 행하는, 차량.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시행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주행 속도가 설정값에 도달할 때에 상기 재시행 동작을 행하는, 차량.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재시행 동작을 행한 후, 상기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개방 상태의 검지를 소거하는 기억 소거부를 더 구비하는, 차량.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재시행 제어부는 상기 기동 지시의 입력을 수용한 시점부터 상기 차량이 가동하고 있는 사이에, 상기 재시행 동작을 복수의 다른 타이밍에서 행하고,
    상기 차량은, 상기 차량의 주행 속도가 설정값에 도달할 때에 상기 재시행 동작을 행한 후, 상기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개방 상태의 검지를 소거하는 기억소거부를 더 구비하는, 차량.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는 스프링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개방 상태로부터 상기 폐쇄 상태로 자동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차량.
  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이 가동을 종료하고 있는 경우, 상기 고정 핀에 의한 상기 리드의 고정을 해제하는 해제 지시의 입력을 수용하는 해제 입력부와,
    상기 해제 지시의 입력을 수용한 경우, 상기 고정 핀을 상기 고정 위치로부터 상기 해제 위치로 이동시키는 제어를 행하는 해제 제어부를 더 구비하는, 차량.
  9. 전기 화학 반응에 의해 발전하는 연료 전지와,
    상기 연료 전지에 사용되는 연료의 충전을 차량의 외부로부터 수용하는 리셉터클과,
    개방 상태로부터 폐쇄 상태로 자동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폐쇄 상태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을 덮는 리드와,
    상기 폐쇄 상태에 있는 상기 리드에 끼워 맞춤으로써 상기 리드를 상기 폐쇄 상태로 고정하는 고정 위치와, 상기 리드와의 끼워 맞춤을 해제하는 해제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 고정 핀을 구비하는 차량을 제어하는 제어 방법이며,
    상기 리드의 개폐 상태를 검지하고,
    상기 개방 상태로부터 상기 폐쇄 상태로의 변화를 검지한 경우, 상기 고정 핀을 상기 해제 위치로부터 상기 고정 위치로 이동시키는 제어를 행하고,
    상기 폐쇄 상태를 검지하고 있는 경우, 상기 차량을 기동하는 기동 지시의 입력을 접수하고,
    상기 차량이 이전에 가동을 종료한 시점부터 상기 기동 지시의 입력을 수용한 시점까지의 사이에 있어서의 상기 개방 상태의 검지를 기억하고,
    상기 기동 지시의 입력을 수용한 시점에 있어서 상기 개방 상태의 검지를 기억하고 있는 경우, 상기 기동 지시의 입력을 수용한 시점부터 상기 차량이 가동하고 있는 사이에, 상기 고정 위치에 있는 상기 고정 핀을 상기 해제 위치로 일시적으로 이동시킨 후에 다시 상기 고정 핀을 상기 고정 위치로 이동시키는 재시행 동작을 행하는, 제어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재시행 동작은 상기 기동 지시의 입력을 수용한 시점부터 상기 차량이 기동하기 전에 행해지는, 제어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재시행 동작은 상기 차량이 기동할 때에 행해지는, 제어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재시행 동작은 상기 차량의 주행 속도가 설정값에 도달할 때에 행해지는, 제어 방법.
  13. 제9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또한, 상기 재시행 동작을 행한 후, 상기 기억되어 있는 상기 개방 상태의 검지를 소거하는, 제어 방법.
  14. 제9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재시행 동작은 상기 기동 지시의 입력을 수용한 시점부터 상기 차량이 가동하고 있는 사이에 복수의 다른 타이밍에서 행해지고,
    상기 차량의 주행 속도가 설정값에 도달할 때에 상기 재시행 동작을 행한 후, 상기 기억되어 있는 상기 개방 상태의 검지를 소거하는, 제어 방법.
  15. 제9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는 스프링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개방 상태로부터 상기 폐쇄 상태로 자동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제어 방법.
  16. 제9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또한, 상기 차량이 가동을 종료하고 있는 경우, 상기 고정 핀에 의한 상기 리드의 고정을 해제하는 해제 지시의 입력을 접수하고,
    상기 해제 지시의 입력을 수용한 경우, 상기 고정 핀을 상기 고정 위치로부터 상기 해제 위치로 이동시키는, 제어 방법.
KR1020160046222A 2015-04-22 2016-04-15 연료 전지를 구비하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KR1018456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087246 2015-04-22
JP2015087246A JP6202039B2 (ja) 2015-04-22 2015-04-22 燃料電池を備える車両およびその制御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5890A KR20160125890A (ko) 2016-11-01
KR101845602B1 true KR101845602B1 (ko) 2018-04-04

Family

ID=57110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6222A KR101845602B1 (ko) 2015-04-22 2016-04-15 연료 전지를 구비하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895998B2 (ko)
JP (1) JP6202039B2 (ko)
KR (1) KR101845602B1 (ko)
CN (1) CN106064566B (ko)
DE (1) DE102016102586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35392B2 (en) * 2016-12-02 2018-07-3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elf-closing electric socket cover
DE102016224983A1 (de) * 2016-12-14 2018-06-14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Verhindern einer Freigabe einer Abdeckung einer Medienzufuhreinrichtung eines Kraftfahrzeugs
US10442290B2 (en) * 2017-07-21 2019-10-1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harge port covering assembly and covering method
JP6787273B2 (ja) * 2017-08-01 2020-11-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側部構造
CN108749931A (zh) * 2018-05-31 2018-11-06 安徽江淮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充电口盖的开闭结构
EP3760465B1 (en) * 2019-06-07 2022-02-16 Asahi Denso Co., Ltd. Fuel tank cap locking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48980A (ja) 2002-10-30 2004-05-27 Honda Motor Co Ltd 気体燃料充填システム
JP2011156896A (ja) 2010-01-29 2011-08-18 Toyota Motor Corp 車両
US20150048644A1 (en) 2013-08-15 2015-02-19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Access system for vehicle energy storage device with magnetic sensor to detect access door position
US20160152209A1 (en) 2013-07-12 2016-06-02 Kabushiki Kaisha Tokai Rika Denki Seisakusho Lid lock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59220U (ko) * 1985-03-27 1986-10-02
DE19860401A1 (de) 1998-12-28 2000-06-29 Bosch Gmbh Robert Verschluß für einen Tank, insbesondere Kraftstofftank eines Kraftfahrzeuges
DE10023382A1 (de) * 2000-05-12 2001-11-15 Bayerische Motoren Werke Ag Tankklappen-Betätigungsvorrichtung
JP2002313388A (ja) * 2001-04-10 2002-10-25 Honda Motor Co Ltd 燃料電池の制御方法と燃料電池電気車両
JP2008186620A (ja) * 2007-01-26 2008-08-14 Toyota Motor Corp 燃料電池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JP5125460B2 (ja) * 2007-12-05 2013-01-2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
EP2082914B1 (en) * 2008-01-22 2010-04-07 Fiat Group Automobiles S.p.A. Fuel filling lid for a motor-vehicle, with a shape memory actuator device for unlocking the lid and a flexible connecting member associated with the actuator device
JP5882133B2 (ja) * 2012-05-16 2016-03-09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燃料電池型産業車両
JP2015087246A (ja) 2013-10-30 2015-05-07 株式会社日本自動車部品総合研究所 光計測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48980A (ja) 2002-10-30 2004-05-27 Honda Motor Co Ltd 気体燃料充填システム
JP2011156896A (ja) 2010-01-29 2011-08-18 Toyota Motor Corp 車両
US20160152209A1 (en) 2013-07-12 2016-06-02 Kabushiki Kaisha Tokai Rika Denki Seisakusho Lid lock device
US20150048644A1 (en) 2013-08-15 2015-02-19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Access system for vehicle energy storage device with magnetic sensor to detect access door posi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311341A1 (en) 2016-10-27
DE102016102586A1 (de) 2016-10-27
KR20160125890A (ko) 2016-11-01
JP2016203783A (ja) 2016-12-08
CN106064566B (zh) 2018-05-04
DE102016102586B4 (de) 2018-08-30
JP6202039B2 (ja) 2017-09-27
US9895998B2 (en) 2018-02-20
CN106064566A (zh) 2016-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5602B1 (ko) 연료 전지를 구비하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JP6234127B2 (ja) 蓄電装置
CN111516519B (zh) 配备有蓄电装置的车辆
US20140230499A1 (en) Lock control device, lock control method, and lock control system
JP6436201B2 (ja) 蓄電装置
JP6053722B2 (ja) 燃料電池車両
CN108602479B (zh) 电池装置、车辆、自动车辆
CN106103170B (zh) 车辆以及控制车辆的方法
US10343538B2 (en) Controlling charge levels of vehicle batteries based on battery charge states and vehicle operating modes
JPWO2014102892A1 (ja) 車両の電源システムおよびそれを備える車両ならびに車両の電源システムの制御方法
JP6812898B2 (ja) 車両の充電システム
JP2014003737A (ja) 充電制御装置
JP2023090777A (ja) 車両
JP2018048531A (ja) 車両用開閉体制御装置
JP7103326B2 (ja) 車両
US20170010331A1 (en) Control system for battery
US9278621B2 (en) Vehicular control system and its operating method
JP6530334B2 (ja) 車両用充電制御装置
KR101248209B1 (ko) 차량용 배터리 충전 장치
JP2020141483A (ja) 車両
JP2018138400A (ja) 電池パック及びそのリレースイッチ制御方法
WO2023127065A1 (ja) 充電制御装置および充電制御方法
JP2009240008A (ja) 車両用充電状態情報提供装置
KR20110018180A (ko) 차량용 전기전자제품에서의 전원 제어 방법
KR101801300B1 (ko) 도어락의 비상 전원 공급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