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4935B1 - 편보호 편광 필름, 점착제층이 부착된 편광 필름, 화상 표시 장치 및 그 연속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편보호 편광 필름, 점착제층이 부착된 편광 필름, 화상 표시 장치 및 그 연속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4935B1
KR101844935B1 KR1020177008777A KR20177008777A KR101844935B1 KR 101844935 B1 KR101844935 B1 KR 101844935B1 KR 1020177008777 A KR1020177008777 A KR 1020177008777A KR 20177008777 A KR20177008777 A KR 20177008777A KR 101844935 B1 KR101844935 B1 KR 1018449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arizing film
pressure
film
sensitive adhesive
polariz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8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3656A (ko
Inventor
토모노리 우에노
사토시 미타
유스케 모테기
징판 쉬
아츠시 키시
미노루 미야타케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claimed from PCT/JP2015/077576 external-priority patent/WO2016052536A1/ja
Publication of KR201700636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36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49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49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02B5/3041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 G02B5/30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including organic materials, e.g. polymeric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acetate or vinyl alcohol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4Punching, slitting or perforating
    • B32B2038/045Sli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08Heat stabi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2Polarizing, birefringent, filt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51/00Optical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a sequence of laminating steps, e.g. by adding new layers at consecutive laminating 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1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ll layers existing as coherent layers before laminating
    • B32B37/18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ll layers existing as coherent layers before laminating involving the assembly of discrete sheets or panels only
    • B32B37/18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ll layers existing as coherent layers before laminating involving the assembly of discrete sheets or panels only one or more of the layers being plas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10Removing layers, or parts of layers, mechanically or chemically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02B5/3041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편광자의 편면에만 투명 보호 필름을 갖는 편보호 편광 필름으로서, 상기 편광자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함유하고, 두께가 10㎛ 이하이며, 또한, 단체 투과율(T) 및 편광도(P)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광학 특성이 하기 식 P>-(100.929T-42.4-1)×100(단, T<42.3) 또는 P≥99.9(단, T≥42.3)의 조건을 만족하도록 구성된 것이며, 또한, 상기 편광자의 다른 편면에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함유하는 형성재로부터 형성된 두께 0.2㎛ 이상의 투명 수지층을 갖는다. 상기 편보호 편광 필름은, 편광자가 소정의 광학 특성을 갖고, 또한 두께가 10㎛ 이하이어도 관통 크랙 및 나노 슬릿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Description

편보호 편광 필름, 점착제층이 부착된 편광 필름, 화상 표시 장치 및 그 연속 제조 방법{POLARIZING FILM PROTECTED ON ONE SIDE, POLARIZING FILM WITH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MAGE DISPLAY DEVICE, AND CONTINUOUS PRODUCTION PROCESS THEREFOR}
본 발명은 편광자의 편면에만 투명 보호 필름이 형성된 편보호 편광 필름 및 해당 편보호 편광 필름과 점착제층을 갖는 점착제층이 부착된 편광 필름에 관한 것이다. 상기 편보호 편광 필름 및 점착제층이 부착된 편광 필름은 단독으로 또는 이를 적층한 광학 필름으로 액정 표시 장치(LCD), 유기 EL 표시 장치 등의 화상 표시 장치를 형성할 수 있다.
액정 표시 장치에는 그 화상 형성 방식으로 액정 패널 표면을 형성하는 유리 기판의 양측에 편광 필름을 배치하는 것이 필요 불가결이다. 편광 필름은 일반적으로는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과 요오드 등의 이색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편광자의 편면 또는 양면에 투명 보호 필름을 폴리비닐알코올계 접착제 등으로 접합한 것이 이용되고 있다.
상기 편광 필름을 액정 셀 등에 접착할 때에는 통상적으로 점착제가 사용된다. 또한, 편광 필름을 즉각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것, 편광 필름을 고착시키기 위해 건조 공정을 필요로하지 않는 것 등의 장점을 갖고 있기 때문에, 점착제는 편광 필름의 편면에 미리 점착제층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즉, 편광 필름의 접착에는 점착제층이 부착된 편광 필름이 일반적으로 이용된다.
또한, 편광 필름이나 점착제층이 부착된 편광 필름은 열 충격(예컨대:-30℃와 80℃의 온도 조건을 반복하는 열 충격 시험이나 100℃의 고온 하에서의 시험)의 열악한 환경 하에서는 편광자의 수축 응력의 변화에 따라 편광자의 흡수축 방향의 전체에 크랙(관통 크랙)이 쉽게 생긴다는 문제가 있다. 즉, 점착제층이 부착된 편광 필름은 상기 열악한 환경 하에서의 열 충격에 의한 내구성이 충분하지 않았다. 특히 박형화의 관점에서 편광자의 편면에만 투명 보호 필름을 형성한 편보호 편광 필름을 이용한 점착제층이 부착된 편광 필름에서는 상기 열 충격에 의한 내구성이 불충분했다. 또한, 상기 열 충격에 의해 발생하는 관통 크랙은 편광 필름의 크기가 커진 경우에 쉽게 발생했다.
상기 관통 크랙의 발생 억제를 위해 예컨대, 편보호 편광 필름에 인장 탄성률 100MPa 이상의 보호층을 형성하고, 또한 당해 보호층에 점착제층을 형성한 점착제층이 부착된 편광 필름이 제안되어 있다(특허 문헌 1). 또한, 두께 25㎛ 이하의 편광자의 편면에 경화형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로 이루어진 보호층을 가지며, 편광자의 다른 한쪽의 편면에 투명 보호 필름을 가지며, 상기 보호층의 외측에 점착제층을 갖는 점착제층이 부착된 편광 필름이 제안되어 있다(특허 문헌 2). 상기 특허 문헌 1,2에 기재된 점착제층이 부착된 편광 필름은 관통 크랙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는 점에서는 효과적이다. 또한 관통 크랙의 발생을 억제함과 동시에, 박층화, 경량화의 관점에서 편광자의 적어도 편면에 수용성의 피막 형성성 조성물(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진 보호층을 형성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특허 문헌3). 또한, 박형화는 편광자에 대해서도 이루어지고 있으며, 예를 들면, 단체 투과율, 편광도의 광학 특성을 제어한 높은 배향성을 나타내는 박형 편광자가 제안되어 있다(특허 문헌 4).
특허 문헌 1:일본 공개 특허 공보 제2010-009027호 특허 문헌 2:일본 공개 특허 공보 제2013-160775호 특허 문헌 3:일본 공개 특허 공보 제2005-043858호 특허 문헌 4:일본 특허 제4751481호 명세서
특허 문헌 1,2에서는 편광자의 편면에만 투명 보호 필름을 갖는 편보호 편광 필름을 이용함으로써 박형화를 도모함과 동시에 다른 한편에서는 보호층을 형성함으로써 편보호 편광 필름을 이용하면서 발생하는 편광자의 흡수축 방향으로의 관통 크랙의 발생을 억제하고 있다. 또한, 특허 문헌 3에서는 편광자에 보호층을 형성함으로써, 편광자의 흡수축 방향으로의 관통 크랙의 발생을 억제하고 있다.
한편, 박형화는 편광자에서도 실행되고 있다. 편광 필름 또는 점착제층이 부착된 편광 필름에 이용되는 편광자를 얇게 한 경우(예컨대, 두께 10㎛ 이하로 한 경우)에는 편광자의 수축 응력의 변화가 작아진다. 따라서 박형화는 편광자에 의하면 상기 관통 크랙의 발생이 억제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관통 크랙의 발생이 억제된 편보호 편광 필름 또는 이를 이용한 점착제층이 부착된 편광 필름에 있어서, 특허 문헌 4에서와 같이, 광학 특성을 제어하고, 또한 편광자를 얇게 한 경우(예컨대, 두께 10㎛ 이하로 한 경우)에는 편보호 편광 필름 또는 이를 이용한 점착제층이 부착된 편광 필름에 기계 충격이 부하(負荷)되었을 때(편광자측에 볼록 꺾임에 의한 부하가 걸릴 경우를 포함)에 편광자의 흡수축 방향으로 부분적으로 극히 얇은 슬릿(이하, 나노 슬릿이라고 함)이 발생한다는 것을 알았다. 상기 나노 슬릿은 편광 필름의 크기에 관계없이 발생한다는 것 또한 알았다. 또한, 상기 나노 슬릿은 편광자의 양면에 투명 보호 필름을 갖는 양보호 편광 필름을 이용한 경우에는 생기지 않는 것도 알았다. 또한, 편광자에 관통 크랙이 발생한 경우에는, 관통 크랙 주변의 응력이 해방되기 때문에 관통 크랙은 인접하여 발생하지는 않지만, 나노 슬릿이 단독으로 발생하는 것 외에 인접하여 발생하는 것을 알았다. 또한 관통 크랙은 크랙이 발생한 편광자의 흡수축 방향으로 신장하는 진행성을 갖고 있지만, 나노 슬릿은 상기 진행성이 없는 것 또한 알았다. 이와 같이, 상기 나노 슬릿은 관통 크랙의 발생이 억제된 편보호 편광 필름에 있어서, 편광자를 얇고 또한 광학 특성을 소정의 범위로 제어한 경우에 발생하는 새로운 과제이며, 종래에 알려진 상기 관통 크랙과는 상이한 현상에 의해 생기는 과제 임을 알았다.
또한, 상기 나노 슬릿은 극히 얇기 때문에 통상의 환경 하에서는 검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가령 편광자에 나노 슬릿이 발생했다 하더라도 편보호 편광 필름 및 이를 이용한 점착제층이 부착된 편광 필름의 빛 샘에 의한 결함을 확인하는 것이 일견한 바로는 곤란하다. 즉, 통상적으로 편보호 편광 필름은 긴 필름 형상으로 제작되고 자동 광학 검사에서 결함 검사를 받는데, 이 결함 검사에서 나노 슬릿을 결함으로 검출하는 것은 곤란하다. 상기 나노 슬릿에 의한 결함은 편보호 편광 필름 또는 점착제층이 부착된 편광 필름이 화상 표시 패널의 유리 기판 등에 첩합(貼合)된 후에 가열 환경하에 놓여질 경우에, 나노 슬릿이 폭 방향으로 확장됨으로써 검출 가능(예컨대, 상기 빛 샘의 유무)하게 되는 것도 알았다.
따라서, 편광자의 두께가 10㎛ 이하의 편보호 편광 필름 또는 이를 이용한 점착제층이 부착된 편광 필름에서는 관통 크랙뿐만 아니라 나노 슬릿에 의한 결함도 제어하는 것이 요망된다.
본 발명은 편광자의 편면에만 투명 보호 필름을 갖는 편보호 편광 필름으로서, 상기 편광자가 소정의 광학 특성을 가지며 또한 두께가 10㎛ 이하이어도 관통 크랙 및 나노 슬릿에 의한 결함을 제어할 수 있는 편보호 편광 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편보호 편광 필름과 점착제층을 갖는 점착제층이 부착된 편광 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편보호 편광 필름 또는 상기 점착제층이 부착된 편광 필름을 갖는 화상 표시 장치, 또한 그 연속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원 발명자들은, 예의 검토한 결과, 하기의 편보호 편광 필름, 점착제층이 부착된 편광 필름 등에 의해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편광자의 편면에만 투명 보호 필름을 갖는 편보호 편광 필름으로서,
상기 편광자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함유하고, 두께가 10㎛ 이하이며, 또한, 단체(單體) 투과율(T) 및 편광도(P)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광학 특성이
하기 식
 P>-(100.929T-42.4-1)×100(단, T<42.3), 또는
P≥99.9(단, T≥42.3)의 조건을 만족하도록 구성된 것이며,
상기 편광자의 다른 편면에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함유하는 형성재의 형성물로서 두께 0.2㎛ 이상의 투명 수지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보호 편광 필름에 관한 것이다.
상기 편보호 편광 필름에 있어서, 상기 투명 수지층이 결정 융해 열량 30mj/mg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편보호 편광 필름에 있어서, 상기 투명 수지층은 두께가 3㎛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편보호 편광 필름에 있어서,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는 비누화도가 99.0% 이상, 평균 중합도가 100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편보호 편광 필름에 있어서, 상기 형성재는 경화성 성분을 함유하지 않은 것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는 폴리비닐알코올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편보호 편광 필름에 있어서, 상기 편광자는 편광자 전량에 대하여 붕산을 25중량% 이하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편보호 편광 필름 및 점착제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점착제층 부착 편광 필름에 관한 것이다.
상기 편보호 편광 필름에 있어서, 상기 편광자는 편광자 전량에 대하여 붕산을 25중량% 이하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편보호 편광 필름 및 점착제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제층이 부착된 편광 필름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점착제층이 부착된 편광 필름은 상기 편보호 편광 필름의 투명 수지층에 상기 점착제층이 형성되어 있는 태양으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점착제층이 부착된 편광 필름은 상기 편보호 편광 필름의 투명 보호 필름에 상기 점착제층이 형성되어 있는 태양으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점착제층이 부착된 편광 필름의 점착제층에는 세퍼레이터를 형성할 수 있다. 세퍼레이터가 형성된 점착제층이 부착된 편광 필름은 권회체(券回體)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편보호 편광 필름 또는 상기 점착제층이 부착된 편광 필름을 갖는 화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점착제층이 부착된 편광 필름의 롤로부터 조출(繰出)되어져, 상기 세퍼레이터에 의해 반송된 상기 점착제층이 부착된 편광 필름을 상기 점착제층을 개재하여 화상 표시 패널의 표면에 연속적으로 첩합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의 연속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편보호 편광 필름 및 점착제층이 부착된 편광 필름은 두께 10㎛ 이하의 편광자를 이용하고 있으며, 박형화되어 있다. 또한, 상기 두께 10㎛ 이하의 박형의 편광판은 편광자의 두께가 큰 경우에 비해, 열 충격에 의해 편광자에 가해지는 수축 응력의 변화가 작으므로 관통 크랙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소정의 광학 특성을 가진 박형의 편광자는 편광자에 나노 슬릿이 쉽게 발생한다. 나노 슬릿은 편보호 편광 필름의 제조 공정, 편보호 편광 필름에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점착제층이 부착된 편광 필름의 제조 공정, 점착제층이 부착된 편광 필름을 제조한 후의 각종 공정에 있어서, 상기 편보호 편광 필름 또는 이를 이용한 점착제층이 부착된 편광 필름에 대하여 기계 충격이 부하되었을 때 발생하는 것으로 생각되어져, 열 충격에 의해 발생하는 관통 크랙과는 상이한 메커니즘에 의해 발생된다고 간주된다. 또한, 상기 나노 슬릿에 의한 결함은 편보호 편광 필름 또는 점착제층이 부착된 편광 필름이 화상 표시 패널의 유리 기판 등에 첩합된 후에 가열 환경 하에 놓인 경우에 나노 슬릿이 폭 방향으로 확장함으로써 검출 가능(예컨대, 상기 빛 샘의 유무)하게 된다.
본 발명의 편보호 편광 필름 및 점착제층이 부착된 편광 필름에서는 편광자의 다른 편면(투명 보호 필름이 없는 면)에 두께가 0.2㎛ 이상의 투명 수지층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나노 슬릿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편보호 편광 필름 및 이를 이용한 점착제층이 부착된 편광 필름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함유하는 형성재로 형성된 두께 0.2㎛ 이상의 투명 수지층을 갖는 것으로서, 박형화를 만족하면서 또한 편광자에 발생하는 관통 크랙 및 나노 슬릿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나노 슬릿은 극세이기 때문에 일반적인 환경 하에서는 검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가령 편광자에 나노 슬릿이 발생했다 하더라도 편보호 편광 필름 및 이를 이용한 점착제층이 부착된 편광 필름의 빛 샘에 의한 결함을 확인하는 것은 일견한 바로는 곤란하다. 상기 나노 슬릿에 의한 결함은 편보호 편광 필름 또는 점착제층이 부착된 편광 필름이 가열 환경 하에 놓인 경우, 나노 슬릿이 폭 방향으로 퍼짐으로써 검출 가능(예를 들어, 상기 빛 샘의 유무)하게 되는 것도 알았다. 상기 투명 수지층에 의하면, 가령 투명 수지층을 형성하기 전의 편보호 편광 필름 상태의 편광자에 상기 나노 슬릿이 발생한 경우에도 이러한 나노 슬릿의 폭 방향으로의 확산에 의한 결함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투명 수지층은 편보호 편광 필름의 일부를 구성하기 때문에 고온 고습의 환경 하에서나 온수 환경 하에서도 편광 필름의 편광도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한 상기 투명 수지층은, 수용성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형성재로 형성된 층이지만, 해당 투명 수지층의 결정 융해 열량 30mj/mg 이상으로 제어함으로써 관통 크랙 및 나노 슬릿에 의한 결함 발생을 억제함과 동시에, 고온 고습 환경 하에서의 내습열성이나 온수 환경 하에서의 내수성을 만족할 수 있다.
상기 투명 수지층을 결정 융해 열량 30mj/mg 이상으로 제어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로서 비누화도가 99.0%이상, 평균 중합도가 1000 이상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편보호 편광 필름의 개략 단면도의 일례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점착제층이 부착된 편광 필름의 개략 단면도의 일례이다.
도 3은 편광자에 발생하는 나노 슬릿과 관통 크랙을 대비하는 개념도의 일례이다.
도 4는 나노 슬릿의 발생 여부와 나노 슬릿이 발생한 경우에 투명 수지층의 유무에 의해 가열에 의한 나노 슬릿의 확장이 상이함을 도시하는 편보호 편광 필름의 단면도의 사진의 일례이다.
도 5는 실시예 및 비교예의 나노 슬릿에 관한 평가 항목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6은 실시예 및 비교예의 나노 슬릿에 관한 평가 항목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7은 실시예 및 비교예의 평가에 관한 나노 슬릿에 의해 발생하는 크랙을 도시하는 사진의 일례이다.
도 8은 실시예 및 비교예의 평가에 관한 관통 크랙의 진행을 나타내는 사진의 일례이다.
도 9는 화상 표시 장치의 연속 제조 시스템의 개략 단면도의 일례이다.
이하에 본 발명의 편보호 편광 필름(11) 및 점착제층이 부착된 편광 필름(12)을, 도 1, 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편보호 편광 필름(10)(투명 수지층(3)이 없는 경우)는 예컨대,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편광자(1)의 편면에만 투명 보호 필름(2)을 갖는다. 도시하지는 않지만, 편광자(1)와 투명 보호 필름(2)은 접착제층, 점착제층, 언더코트층(undercoat layer)(프라이머층) 등의 개재층을 개재하여 적층되어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편보호 편광 필름(10)은 투명 보호 필름(2)에 역(易)접착층을 형성하거나 활성화 처리를 하거나 하여 당해 역접착층과 접착제층을 적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편보호 편광 필름(11)(투명 수지층(3) 부착)은,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편보호 편광 필름(10)에 있어서, 상기 편광자(1)의 다른 편면(투명 보호 필름(2)을 갖지 않는 면)에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함유하는 형성재로 형성된 투명 수지층(3)이 (직접)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점착제층이 부착된 편광 필름(12)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편보호 편광 필름(투명 수지층 포함)(11)과 점착제층(4)을 갖는다. 점착제층(4)은 도 2(A)에서는 투명 수지층(3) 측에, 도 2(B)에서는 투명 보호 필름(2) 측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점착제층이 부착된 편광 필름(12)의 점착제층(4)에는 세퍼레이터(5)를 형성할 수 있으며, 그 반대측에는 표면 보호 필름(6)을 형성할 수 있다. 도 2의 점착제층이 부착된 편광 필름(12)에서는 세퍼레이터(5) 및 표면 보호 필름(6)이 모두 형성되어 있는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적어도 세퍼레이터(5)를 갖는 점착제층이 부착된 편광 필름(12)(또한, 표면 보호 필름(6)을 갖는)은 권회체로 이용할 수 있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예컨대, 권회체로부터 조출되어 세퍼레이터(5)에 의해 반송된 점착제층이 부착된 편광 필름(12)을 점착제층(4)을 개재하여 화상 표시 패널의 표면에 첩합시키는 방식(이하,“롤 투 패널 방식”이라고 한다. 대표적으로, 일본 특허 제4406043호 명세서)으로의 적용에 유리하다. 점착제층이 부착된 편광 필름으로는 첩합 후의 표시 패널의 휨 억제, 나노 슬릿의 발생 억제 등의 관점에서 도 2(A)에 기재된 태양이 바람직하다. 표면 보호 필름(6)은 편보호 편광 필름(10), 편보호 편광 필름(투명 수지층 포함)(11)에 형성할 수 있다.
도 3은 편광자에 발생하는 나노 슬릿(a)과 관통 크랙(b)을 대비하는 개념도이다. 도 3(A)에는 편광자(1)에 발생하는 나노 슬릿(a)이, 도 3(B)에는 편광자(1)에 발생하는 관통 크랙(b)이 도시되어 있다. 나노 슬릿(a)은 기계 충격에 의해 발생하고, 편광자(1)의 흡수축 방향으로 부분적으로 발생하는 나노 슬릿(a)은, 발생한 당초에는 확인할 수 없지만, 열 환경(예컨대, 80℃나 60℃, 90%RH) 하에 있어서 폭 방향으로의 확장에 의해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나노 슬릿(a)은 편광자의 흡수축 방향으로 신장하는 진행성은 없다고 생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나노 슬릿(a)은 편광 필름의 크기에 관계없이 발생하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나노 슬릿(a)은 단독으로 발생하는 것 외에 인접하여 발생할 수도 있다. 한편, 관통 크랙(b)은 열충격(예컨대, 히트 쇼크 시험)에 의해 발생한다. 관통 크랙은 크랙이 발생한 편광자의 흡수축 방향으로 신장하는 진행성을 가지고 있다. 관통 크랙(b)이 발생한 경우에는 주변의 응력이 해방되기 때문에 관통 크랙은 인접하여 발생하지 않는다.
도 4는 편광자에 발생하는 나노 슬릿(a)의 발생과 확장, 복구에 관한 편보호 편광 필름(10) 또는 투명 수지층이 부착된 편보호 편광 필름(11)의 단면도의 사진의 일례이다. 도 4(A)는 편광자(1)의 편면에만 접착제층(2a)를 개재하여 투명 보호 필름(2)을 갖는 편보호 편광 필름(10)이며, 나노 슬릿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의 일례이다. 도 4(B)는 편보호 편광 필름(10)에 나노 슬릿(a)이 발생하여 있는 경우의 일례이다. 도 4(A), (B)는 모두 가열 전이다. 또한, 도 4(C)는 나노 슬릿(a)이 발생한 편보호 편광 필름(10)을 가열한 후의 단면도의 사진의 일례이다. 도 4(C)에서는 가열에 의해 편광자(1)의 나노 슬릿(a)이 확장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도 4(D)는 나노 슬릿(a)이 발생한 편보호 편광 필름(10)에 투명 수지층(3)(두께 1㎛)을 형성한 투명 수지층이 부착된 편보호 편광 필름(11)의 단면도의 사진의 일례이다. 도 4(D)에서는 편광자(1)에 발생한 나노 슬릿(a)은 투명 수지층(3)에 의해 복구(a′)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4(E)는 투명 수지층(3)(두께 1㎛)을 형성한 투명 수지층이 부착된 편보호 편광 필름(11)을 가열한 후의 단면도의 사진의 일례이다. 도 4(E)에서는 가열 후에 복구(a′)된 나노 슬릿의 확장이 없음을 알 수 있다. 도 4(F)는 나노 슬릿(a)이 발생한 편보호 편광 필름(10)에 투명 수지층(3′)(두께 0.1㎛)을 형성한 투명 수지층이 부착된 편보호 편광 필름(11′)의 단면도의 사진의 일례이다. 도 4(F)에서는 투명 수지층(3′)을 형성하고 있지만 두께가 얇기 때문에 가열에 의해 편광자(1)의 나노 슬릿(a)이 확장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4는 샘플의 흡수축 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크로스 세션 폴리셔나 마이크로톰으로 단면 절삭하고 주사형 전자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편광자>
본 발명에서는 두께 10㎛ 이하의 편광자를 이용한다. 편광자의 두께는 박형화 및 관통 크랙의 발생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8㎛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이는 7㎛ 이하, 6㎛ 이하인 것이 보다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편광자의 두께는 2㎛ 이상, 더욱이는 3㎛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평면 편광자는 두께 변형이 적고, 시인성이 뛰어나며, 또한 치수 변화가 적기 때문에 열 충격에 대한 내구성이 우수하다.
편광자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이용한 것이 사용된다. 편광자로는 예컨대,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 부분 포멀화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계 부분 비누화 필름 등의 친수성 고분자 필름에 요오드나 이색성 염료의 이색성 물질을 흡착시켜 일축 연신한 것, 폴리비닐알코올의 탈수 처리물이나 폴리 염화 비닐의 탈염산처리물 등 폴리엔계 배향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에서도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과 요오드 등의 이색성 물질로 이루어진 편광자가 적합하다.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요오드로 염색하고 일축 연신한 편광자는 예컨대, 폴리비닐알코올을 요오드의 수용액에 침지함으로써 염색하고 원 길이의 3∼7배로 연신하여 제조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붕산이나 황산 아연, 염화 아연 등을 포함하여도 되고, 요오드화 칼륨 등의 수용액에 침지할 수도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염색 전에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물에 침지하여 수세(水洗)하여도 된다.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수세함으로써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 표면의 오염이나 블로킹 방지제를 세척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팽윤시킴으로써 염색의 얼룩 등의 불균일을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 연신은 요오드로 염색한 후에 실시해도 되고, 염색하면서 연신해도 되며, 또한 연신한 후에 요오드로 염색하여도 된다. 붕산이나 요오드화 칼륨 등의 수용액이나 수욕(水浴) 중에도 연신할 수 있다.
편광자는 붕산을 함유하고 있는 것이 연신 안정성이나 광학 내구성 면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편광자에 포함되는 붕산 함유량은 관통 크랙 및 나노 슬릿의 발생 억제, 확장 억제의 관점에서 편광자 전량에 대하여 25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0중량%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며, 더욱이는 18중량% 이하, 16중량% 이하인 것이 보다 더욱 바람직하다. 편광자에 포함되는 붕산 함유량이 2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편광자의 두께를 10㎛ 이하로 제어한 경우에도 편광자의 수축 응력이 높아져 관통 크랙이 쉽게 발생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편광자의 연신 안정성이나 광학 내구성의 관점에서 편광자 전량에 대한 붕산 함유량은 10중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2중량%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박형의 편광자로는 대표적으로는
일본 특허 제4751486호 명세서,
일본 특허 제4751481호 명세서,
일본 특허 제4815544호 명세서,
일본 특허 제5048120호 명세서,
일본 국제 공개 제2014/077599호 팜플렛,
일본 국제 공개 제2014/077636호 팜플렛,
등에 기재되어 있는 평면 편광자 또는 이들에 기재된 제조 방법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평면 편광자를 들 수 있다.
상기 편광자는 단체 투과율(T) 및 편광도(P)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광학 특성이
다음 식
P>-(100.929T-42.4-1)×100(단, T<42.3) 또는
P≥99.9(단, T≥42.3)의 조건을 만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조건을 만족하도록 구성된 편광자는, 일의적으로는, 대형 표시 소자를 이용한 액정 텔레비전용 디스플레이로서 요구되는 성능을 가진다. 구체적으로는 콘트라스트비 1000:1 이상이고 최대 휘도 500cd/㎡ 이상이다. 다른 용도로는 예컨대, 유기 EL 표시 장치의 시인측에 첩합된다.
한편, 상기 조건을 만족하도록 구성된 편광자는, 구성하는 고분자(예컨대, 폴리비닐알코올계 분자)가 높은 배향성을 나타내므로, 두께 10㎛ 이하인 것과 더불어 편광자의 흡수축 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의 인장 파단 응력이 현저히 작아진다. 그 결과 예컨대, 편광 필름의 제조 과정에서 해당 인장 파단 응력을 초과하는 기계적 충격에 노출되었을 때에 나노 슬릿이 편광자의 흡수축 방향으로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해당 편광자를 채용한 편보호 편광 필름(또는 그것을 이용한 점착제층이 부착된 편광 필름)에 특히 적합하다.
상기 박형 편광자로는 적층체의 상태에서 연신하는 공정과 염색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제조법 중에서도 고배율로 연신되어 편광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점에서 일본 특허 제4751486호 명세서, 일본 특허 제4751481호 명세서, 일본 특허 제4815544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붕산 수용액 중에서 연신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제조법으로 얻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일본 특허 제4751481호 명세서, 일본 특허 제4815544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붕산 수용액 중에서 연신하기 전에 보조적으로 공중 연신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제조법에 의해 얻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박형 편광자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이하, PVA계 수지라고도 한다)층과 연신용 수지 기재를 적층체의 상태로 연신하는 공정과 염색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제조법에 의해 얻을 수 있다. 이 제조법에 의하면 PVA계 수지층이 얇아도 연신용 수지 기재에 지지되어 있는 것에 의해 연신에 의한 파단 등의 트러블 없이 연신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투명 보호 필름>
상기 투명 보호 필름을 구성하는 재료로는 투명성, 기계적 강도, 열 안정성, 수분 차단성, 등방성 등이 우수한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나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폴리머, 디아세틸셀룰로오스나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계 폴리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계 폴리머, 폴리스틸렌이나 아크릴로니트릴·스틸렌 공중합체(AS 수지) 등의 스틸렌계 폴리머, 폴리카보네이트계 폴리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시클로계 내지는 노보넨 구조를 갖는 폴리올레핀,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와 같은 폴리올레핀계 폴리머, 염화비닐계 폴리머, 나일론이나 방향족 폴리아미드 등의 아미드계 폴리머, 이미드계 폴리머, 설폰계 폴리머, 폴리에테르 설폰계 폴리머, 폴리에텔에텔케톤계 폴리머, 폴리페닐렌설파이드계 폴리머, 비닐알코올계 폴리머, 염화비닐리덴계 폴리머, 비닐부티랄계 폴리머, 아릴레이트계 폴리머, 폴리옥시메틸렌계 폴리머, 에폭시계 폴리머 또는 상기 폴리머의 혼합물 등도 상기 투명 보호 필름을 형성하는 폴리머의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투명 보호 필름 중에는 임의의 적절한 첨가제가 1개 이상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첨가제로는 예컨대, 자외선 흡수제, 산화 방지제, 윤활제, 가소제, 이형제, 착색 방지제, 난연제, 핵제, 대전(帶電) 방지제, 안료, 착색제 등을 들 수 있다. 투명 보호 필름 중의 상기 열가소성 수지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50∼10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50∼99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60∼98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70∼97중량%이다. 투명 보호 필름 중의 상기 열가소성 수지의 함유량이 50중량% 이하의 경우, 열가소성 수지가 본래 갖는 고투명성 등이 충분히 발현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상기 투명 보호 필름으로는 위상차 필름, 휘도 향상 필름, 확산 필름 등도 이용할 수 있다. 위상차 필름으로는 정면 위상차가 40nm 이상 및/또는 두께 방향 위상차가 80nm 이상의 위상차를 갖는 것을 들 수 있다. 정면 위상차는 통상적으로 40∼200nm의 범위로, 두께 방향 위상차는 통상적으로 80∼300nm의 범위로 제어된다. 투명 보호 필름으로서 위상차 필름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당해 위상차 필름이 편광자 보호 필름으로도 기능하기 때문에 박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위상차 필름으로는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일축 또는 이축 연신 처리하여 이루어지는 복굴절성 필름을 들 수 있다. 상기 연신의 온도, 연신 배율 등은 위상차 값, 필름의 재료, 두께에 따라 적절히 설정된다.
투명 보호 필름의 두께는 적절히 결정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는 강도나 취급성 등의 작업성, 박층성(薄層性) 등으로부터 1∼500㎛ 정도이다. 특히 1∼300㎛가 바람직하고, 5∼200㎛가 보다 바람직하며, 더욱이는 5∼150㎛, 특히 20∼100㎛의 박형의 경우에 특히 적합하다.
상기 투명 보호 필름의 편광자를 접착시키지 않는 면(특히, 도 1의 태양)에 하드 코팅층, 반사 방지층, 스티킹 방지층, 확산층 내지 안티글레어층 등의 기능층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드 코팅층, 반사 방지층, 스티킹 방지층, 확산층이나 안티글레어층 등의 기능층은 투명 보호 필름 그 자체에 형성할 수 있으며, 별도 투명 보호 필름과는 별체의 것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개재층>
 상기 투명 보호 필름과 편광자는 접착제층, 점착제층, 언더코트층(프라이머층) 등의 개재층을 개재하여 적층된다. 이 때, 개재층에 의해 양자를 공기 간극 없이 적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제층은 접착제에 의해 형성된다. 접착제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여러 가지의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접착제층은 광학적으로 투명하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접착제로는 수계(水系), 용제계, 핫멜트계,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등의 각종 형태인 것을 이용할 수 있지만, 수계 접착제 또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가 가장 적합하다.
수계 접착제로는 이소시아네이트계 접착제, 폴리비닐알코올계 접착제, 젤라틴계 접착제, 비닐계 라텍스계, 수계 폴리에스테르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수계 접착제는 통상적으로 수용액으로 이루어지는 접착제로 이용되며, 통상적으로 0.5∼60중량%의 고형분을 함유하여 이루어진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는 전자선, 자외선(래디컬 경화형, 양이온 경화형) 등의 활성 에너지선에 의해 경화가 진행하는 접착제이며 예컨대, 전자선 경화형, 자외선 경화형의 태양에서 이용할 수 있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는 예컨대, 광 래디컬 경화형 접착제를 이용할 수 있다. 광 래디칼 경화형의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를 자외선 경화형으로 이용하는 경우에는 당해 접착제는 래디컬 중합성 화합물 및 광중합 개시제를 함유한다.
접착제의 도공 방식은 접착제의 점도나 목적으로 하는 두께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도공 방식의 예로는 예컨대, 리버스 코터, 그라비어 코터(다이렉트 리버스나 오프셋), 바 리버스 코터, 롤 코터, 다이 코터, 바 코터, 로드 코터 등을 들 수 있다. 그 밖의 도공에는 디핑(dipping) 방식 등의 방식을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제의 도공은 수계 접착제 등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최종적으로 형성된 접착제층의 두께가 30∼300nm가 되도록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착제층의 두께는 더욱 바람직하게는 60∼250nm이다. 한편,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접착제층의 두께는 0.1∼200㎛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5∼50㎛, 더욱 바람직하게는 0.5∼10㎛이다.
또한, 편광자와 투명 보호 필름의 적층에 있어서, 투명 보호 필름과 접착제층 사이에는 역접착층을 형성할 수 있다. 역접착층은 예컨대, 폴리에스테르 골격, 폴리에테르 골격, 폴리카보네이트 골격, 폴리우레탄 골격, 실리콘계, 폴리아미드 골격, 폴리이미드 골격, 폴리비닐알코올 골격 등을 갖는 각종 수지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폴리머 수지는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역접착층의 형성에는 다른 첨가제를 첨가해도 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점착 부여제, 자외선 흡수제, 산화 방지제, 내열 안정제 등의 안정제 등을 사용해도 된다.
역접착층은 통상적으로 투명 보호 필름에 미리 형성해 두고, 당해 투명 보호 필름의 역접착층측과 편광자를 접착제층에 의해 적층한다. 역접착층의 형성은 역접착층의 형성재를 투명 보호 필름 상에, 공지의 기술에 의해 도공, 건조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역접착층의 형성재는 건조 후의 두께, 도공의 원활성 등을 고려하여 적당한 농도로 희석한 용액으로서, 통상적으로 조정된다. 역접착층은, 건조 후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01∼5㎛, 더욱 바람직하게는 0.02∼2㎛,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1㎛이다. 또한, 역접착층은 복수층 형성할 수 있지만, 이 경우에도 역접착층의 총 두께는 상기 범위가 되도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제층은 점착제로 형성된다. 점착제로는 각종의 점착제를 이용할 수 있고 예컨대, 고무계 점착제, 아크릴계 점착제, 실리콘계 점착제, 우레탄계 점착제, 비닐알킬에테르계 점착제, 폴리비닐피롤리돈계 점착제, 폴리아크릴아미드계 점착제, 셀룰로오스계 점착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점착제의 종류에 따라, 점착성의 베이스폴리머가 선택된다. 상기 점착제 중에서도 광학적 투명성이 우수하고 적절한 습윤성과 응집성과 접착성을 나타내고, 내후성 및 내열성 등이 우수한 점에서 아크릴계 점착제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언더코트층(프라이머층)은 편광자와 보호 필름과의 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형성된다. 프라이머층을 구성하는 재료로는, 기재 필름과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층과의 양쪽에 어느 정도 강한 밀착력을 발휘하는 재료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투명성, 열 안정성, 연신성 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등이 이용된다. 열가소성 수지로는 예컨대, 아크릴계 수지,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투명 수지층>
투명 수지층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함유하는 형성재로 형성된다. 투명 수지층을 형성하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인 이상, 편광자가 함유하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와 동일하여도 상이하여도 된다. 
투명 수지층은 상기 형성재를, 예를 들어, 편광자에 도포함으로써 형성할 수있다. 투명 수지층은 편광자의 편면에만 투명 보호 필름을 갖는 편보호 편광 필름에 있어서, 편광자의 다른 편면(투명 보호 필름이 없는 면)에 형성된다. 상기 편보호 편광 필름이 화상 표시 패널에 첩합된 후, 취급시에 편광자가 화상 표시 패널 측에 볼록하게 꺾이도록 기계적 충격이 부여되는 경우가 있다. 이 때, 편광자의 볼록한 측의 선단에 응력이 집중하여 편광자가 깨져 나노 슬릿이 된다. 상기 투명 수지층이 폴리비닐알코올 수지로 이루어지는 형성재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편광자의 볼록측에 투명 수지층이 형성된다. 상기 투명 수지층은 붕산 함유량이 낮은 폴리비닐알코올로 이루어지는 층이기 때문에 응력이나 꺾어짐에 대하여 손상이 발생하기 어렵다. 비록 응력이 편광자의 볼록한 부분에 집중하더라도 상기 투명 수지층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투명 수지층이 응력을 완화하기 때문에 편광자의 나노 슬릿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투명 수지층으로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이용하면, 투명 수지층의 형성 과정에서 편광자가 함유하는 붕산이 일부 투명 수지층에 배어나와 편광자 중의 붕산 함량이 감소하므로 편광자 자체도 나노 슬릿이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투명 수지층의 두께는 0.2㎛ 이상이면 상기한 바와 같이, 화상 표시 패널 등에 첩합된 후의 처리에 의한 나노 슬릿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상기 투명 수지층의 두께는 0.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0.7㎛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투명 수지층이 지나치게 두꺼워지면 광학 신뢰성과 내수성이 저하되기 때문에 투명 수지층의 두께는 3㎛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이는 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투명 수지층은 가열 환경하에 놓인 경우에 있어서의 나노 슬릿의 폭 방향으로의 확산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편광자에 발생하는 나노 슬릿은 기계 충격에 의해 발생하고 열 환경 하에서 나노 슬릿은 폭 방향으로 퍼지려고 하지만,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함유하는 형성재로 형성되는 투명 수지층은 열 환경 하에서도 투명 수지층의 기계적 유지 능력을 유지하여 나노 슬릿의 폭 방향으로의 확산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투명 수지층은 결정 융해 열량 30mj/mg 이상으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명 수지층은 수용성의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형성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지만 투명 수지층의 결정 융해 열량을 30mj/mg 이상으로 제어함으로써, 투명 수지층의 내습열성이나 내수성을 만족할 수 있다. 상기 투명 수지층의 결정 융해 열량은 실시예의 기재에 근거하여 측정되는 값이다. 상기 투명 수지층의 결정 융해 열량은 40mj/mg 이상, 더욱이는 50mj/mg 이상이 바람직하다. 투명 수지층의 결정 융해 열량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의 종류,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의 비누화도, 중합도, 더욱이는 형성재에 사용할 수 있는 경화성 성분(가교제 등의 사용 비율, 배합의 유무) 등에 의해 조정할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로는, 예컨대, 폴리비닐알코올을 들 수 있다. 폴리비닐알코올은 폴리비닐아세테이트를 비누화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또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로는 아세트산 비닐과 공중합성을 갖는 단량체와의 공중합체의 비누화물을 들 수 있다. 상기 공중합성을 갖는 단량체가 에틸렌일 경우,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공중합성을 갖는 단량체로는 (무수)말레산, 푸마르산, 크로톤산, 이타콘산, (메트)아크릴산 등의 불포화 카복실산 및 그 에스테르류; 에틸렌, 프로필렌 등의 α-올레핀, (메트)아릴설폰산(소다), 설폰산소다(모노알킬말레이트), 디설폰산소다알킬말레이트, N-메틸올아크릴아미드, 아크릴아미드알킬설폰산알칼리염, N-비닐피롤리돈, N-비닐피롤리돈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는 일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병용할 수 있다. 상기 투명 수지층의 결정 융해 열량을 30mj/mg 이상으로 제어하여 내습열성과 내수성을 만족시키는 관점에서, 폴리비닐아세테이트를 비누화하여 얻어진 폴리비닐알코올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의 비누화도는 예컨대, 88% 이상의 것을 사용할 수 있지만, 95% 이상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투명 수지층의 결정 융해 열량을 30mj/mg 이상으로 제어하여 내습열성이나 내수성을 만족시키는 관점에서는 비누화도는 99% 이상이 더 바람직하고, 99.7%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비누화도는 비누화에 의해 비닐알코올 단위로 변환될 수 있는 단위 중에서 실제로 비닐알코올 단위로 비누화되어 있는 단위의 비율을 나타낸 것이며, 잔기는 비닐에스테르 단위이다. 비누화도는 JIS K 6726-1994에 준하여 구할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의 평균 중합도는, 예컨대 500 이상의 것을 사용할 수 있지만, 상기 투명 수지층의 결정 융해 열량을 30mj/mg 이상으로 제어하여 내습열성이나 내수성을 만족시키는 관점에서는 평균 중합도는 1000 이상이 바람직하고, 1500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며, 2000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의 평균 중합도는 JIS-K6726에 준하여 측정된다.
또한,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로는 상기 폴리비닐알코올 또는 그 공중합체의 측쇄에 친수성의 관능기를 갖는 변성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친수성의 관능기로는, 예컨대 아세토아세틸기, 카르보닐기 등을 들 수 있다. 그 밖에도,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아세탈화, 우레탄화, 에테르화, 그래프트화, 인산에스테르화 등으로 한 변성 폴리비닐알코올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투명 수지층은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형성재로 형성되지만, 상기 형성재에는 경화성 성분(가교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투명 수지층 또는 형성재(고형분) 중의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의 비율은 80중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이는 90중량% 이상, 더욱이는 95중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단, 상기 형성재에는 투명 수지층의 결정 융해 열량을 30mj/mg 이상으로 제어하기 쉬운 관점으로부터 경화성 성분(가교제)을 함유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교제로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와 반응성을 갖는 관능기를 적어도 2개 갖는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에틸렌디아민, 트리에틸렌디아민, 헥사메틸렌디아민 등의 알킬렌기와 아미노기를 2개 갖는 알킬렌디아민류;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수소화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어덕트, 트리페닐메탄트리이소시아네이트, 메틸렌비스(4-페닐메탄트리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및 이들의 케토옥심블록물 또는 페놀블록물 등의 이소시아네이트류; 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글리세린디 또는 트리글리시딜에테르, 1,6-헥산디올디글리시딜에테르,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글리시딜에테르, 디글리시딜아닐린, 디글리시딜아민 등의 에폭시 류;포름알데히드, 아세트알데히드, 프로피온알데히드, 부틸알데히드 등의 모노알데히드류;글리옥살, 말론디알데히드, 숙신디알데히드, 글루타르디알데히드, 말레인디 알데히드, 프탈산디알데히드 등의 디알데히드류; 메틸올요소, 메틸올멜라민, 알킬화메틸올요소, 알킬화메틸올화멜라민, 아세토구아나민, 벤조구아나민과 포름알데히드와의 축합물 등의 아미노-포름알데히드수지;아디프산 디하이드라자이드, 옥살산 디하이드라자이드, 말론산 디하이드라자이드, 숙신산 디하이드라자이드, 글루타르산 디하이드라자이드, 이소프탈산 디하이드라자이드, 세바스산 디하이드라자이드, 말레인산 디하이드라자이드, 푸마르산 디하이드라자이드, 이타콘산 디하이드라자이드 등의 디카르복실산 디하이드라자이드; 에틸렌-1,2-디히드라진, 프로필렌-1,3-디히드라진, 부틸렌-1,4-디히드라진 등의 수용성 디히드라진을 들 수 있다. 이 중에서도 아미노-포름알데히드 수지나 수용성 디히드라진이 바람직하다. 아미노-포름알데히드 수지로서는 메틸올기를 갖는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메틸올기를 갖는 화합물인 메틸올 멜라민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경화성 성분(가교제)은 내수성 향상의 관점으로부터 이용할 수 있지만, 그 비율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20중량부 이하, 10중량부 이하, 5중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형성재는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용매에 용해시킨 용액으로 조정된다. 용매로는 예컨대, 물, 디메틸술폭시드,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아세트아미드N-메틸피롤리돈, 각종 글리콜류, 알코올류, 에틸렌디아민, 디에틸렌트리아민 등의 아민류를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이 중에서도 용제로서 물을 이용한 수용액으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형성재(예컨대, 수용액)에 있어서의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의 농도는 특별한 제한은 없지만, 도공성이나 방치 안정성 등을 고려하면 0.1~15중량%, 바람직하게는 0.5~10중량%이다.
또한, 상기 형성재(예컨대, 수용액)로는, 첨가제로서는 예컨대, 가소제,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가소제로는, 예컨대, 에틸렌글리콜이나 글리세린 등의 다가 알코올을 들 수 있다. 계면 활성제로는, 예컨대, 비이온 계면 활성제를 들 수 있다. 또한, 실란커플링제, 티타늄커플링제 등의 커플링제, 각종 점착 부여제, 자외선 흡수제, 산화 방지제, 내열 안정제, 내가수분해 안정제 등의 안정제 등을 배합 할 수도 있다.
상기 투명 수지층은 상기 형성재를 편광자의 다른 편면(투명 보호 필름을 갖지 않은 면)에 도포하여 건조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형성재의 도포는 건조 후의 두께가 0.2㎛ 이상이 되도록 실행한다. 도포 조작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임의의 적절한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예컨대, 롤 코팅법, 스핀 코팅법, 와이어바 코팅법, 딥 코팅법, 다이 코팅법, 커튼 코팅법, 스프레이 코팅법, 나이프 코팅법(콤마 코팅법 등) 등 각종 수단을 채용할 수 있다.
<점착제층>
점착제층의 형성에는 적당한 접착제를 이용할 수 있으며, 그 종류에 특별한 제한은 없다. 점착제로는 고무계 점착제, 아크릴계 점착제, 실리콘계 점착제, 우레탄계 접착제, 비닐알킬에테르계 점착제, 폴리비닐알코올계 접착제, 폴리비닐피롤리돈 접착제, 폴리아크릴아미드계 점착제, 셀룰로오스계 점착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점착제 중에서도 광학적 투명성이 우수하고 적당한 습윤성과 응집성과 접착성의 점착 특성을 나타내며, 내후성이나 내열성 등이 우수한 것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이러한 특징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아크릴계 점착제가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방법으로는 예컨대, 상기 점착제를 박리 처리한 세퍼레이터 등에 도포하고, 중합 용제 등을 건조 제거하여 점착제층을 형성한 후, 도 2(A)의 태양에서는 편광자(또는 도 2(B)의 태양에서는 투명 보호 필름)에 전사하는 방법, 또는 도 2(A)의 태양에서는 편광자(또는 도 2(B)의 태양에서는 투명 보호 필름)에 상기 점착제를 도포하고, 중합 용제 등을 건조 제거하여 점착제층을 편광자에 형성하는 방법 등으로 제작된다. 또한, 점착제의 도포 시에는 적절하게 중합용제 이외의 1종 이상의 용제를 새롭게 첨가해도 된다.
박리 처리한 세퍼레이터로는 실리콘 박리 라이너가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이러한 라이너 상에 본 발명의 점착제를 도포, 건조시켜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공정에서 점착제를 건조시키는 방법으로는 목적에 따라 적절하게 적절한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도포막을 과열 건조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가열 건조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40℃∼200℃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0℃∼180℃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70℃∼170℃이다. 가열 온도를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우수한 점착 특성을 갖는 점착제를 얻을 수 있다.
건조 시간은 적절하게 적절한 시간을 채용할 수 있다. 상기 건조 시간은 바람직하게는 5초∼20분, 더욱 바람직하게는 5초∼10분, 특히 바람직하게는 10초∼5분이다.
점착제층의 형성 방법으로는 각종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컨대, 롤 코팅, 키스 롤 코팅, 그라비어 코팅, 리버스 코팅, 롤 브러싱, 스프레이 코팅, 딥 롤 코팅, 바 코팅, 나이프 코팅, 에어 나이프 코팅, 커튼 코팅, 립 코팅, 다이 코터 등에 의한 압출 코팅법 등의 방법을 들 수 있다.
점착제층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컨대, 1∼100㎛정도이다. 바람직하게는 2∼50㎛, 보다 바람직하게는 2∼40㎛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5∼35㎛이다.
상기 점착제층이 노출될 경우에는 실용화될 때까지 박리 처리한 시트(세퍼레이터)로 점착제층을 보호할 수 있다.
세퍼레이터의 구성 재료로는 예컨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스테르필름 등의 플라스틱 필름, 종이, 직물, 부직포 등의 다공질 재료, 네트, 발포 시트, 금속박 및 이들의 라미네이트체 등의 적절한 박엽(薄葉)체 등을 들 수 있지만, 표면 평활성이 우수한 점에서 플라스틱 필름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이 플라스틱 필름으로는, 상기 점착제층을 보호할 수 있는 필름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폴리에틸렌 필름, 폴리프로필렌 필름, 폴리부텐 필름, 폴리부타디엔 필름, 폴리메틸펜텐 필름, 폴리염화비닐 필름, 염화비닐공중합체 필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폴리우레탄 필름,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세퍼레이터의 두께는 통상 5∼200㎛, 바람직하게는 5∼100㎛정도이다. 상기 세퍼레이터는 필요에 따라 실리콘계, 불소계, 장쇄 알킬계 또는 지방산 아미드계의 이형제, 실리카분 등에 의한 이형 및 오염 방지 처리나 도포형, 니딩(kneading)형, 증착형 등의 대전 방지 처리도 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세퍼레이터의 표면에 실리콘 처리, 장쇄 알킬 처리, 불소 처리 등의 박리 처리를 적절히 실시하는 것으로 상기 점착제층의 박리성을 더 높일 수 있다.
<표면 보호 필름>
편보호 편광 필름, 점착제층이 부착된 편광 필름에는 표면 보호 필름을 형성 할 수 있다. 표면 보호 필름은 통상적으로 기재 필름 및 점착제층을 갖고 그 점착제층을 개재하여 편광판을 보호한다.
표면 보호 필름의 기재 필름으로는 검사성이나 관리성 등의 관점으로부터 등방성(等方性)을 갖는 또는 등방성에 가까운 필름 재료가 선택된다. 그 필름 재료로서는 예컨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셀룰로오스계 수지, 아세테이트계 수지, 폴리에테르설폰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폴리올레핀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와 같은 투명한 폴리머를 들 수 있다. 이 중에서도 폴리에스테르계 수지가 바람직하다. 기재 필름은 1종 또는 2종 이상의 필름 재료의 라미네이트체로서 이용할 수도 있고, 또한 상기 필름의 연신물을 이용할 수도 있다. 기재 필름의 두께는 일반적으로는 500㎛ 이하, 바람직하게는 10∼200㎛이다.
표면 보호 필름의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점착제로는 (메트)아크릴계 폴리머, 실리콘계 폴리머,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폴리아미드, 폴리에테르, 불소계나 고무계 등의 폴리머를 베이스 폴리머로 하는 점착제를 적절하게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투명성, 내후성, 내열성 등의 관점에서 아크릴계 폴리머를 베이스 폴리머로 하는 아크릴계 점착제가 바람직하다. 점착제층의 두께(건조 막 두께)는 필요시 되는 점착력에 따라 결정된다. 통상적으로 1∼100㎛ 정도, 바람직하게는 5∼50㎛이다.
또한, 표면 보호 필름에는 기재 필름에서의 점착제층을 형성한 면의 반대면에 실리콘 처리, 장쇄 알킬 처리, 불소 처리 등의 저접착성 재료로 박리 처리층을 형성할 수 있다.
<다른 광학층>
본 발명의 편보호 편광 필름, 점착제층이 부착된 편광 필름은 실용에 있어서 다른 광학층과 적층한 광학 필름으로 이용할 수 있다. 그 광학층에 대해서는 특별한 한정은 없지만 예컨대, 반사판이나 반투과판, 위상차판(1/2이나 1/4 등의 파장 판을 포함), 시각 보상 필름 등의 액정 표시 장치 등의 형성에 이용될 수 있는 광학층을 1층 또는 2층 이상 이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편보호 편광 필름에 반사판 또는 반투과 반사판이 더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반사형 편광 필름 또는 반 투과형 편광 필름, 편광 필름에 위상차판이 더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타원 편광 필름 또는 원 편광 필름, 편광 필름에 시각 보상 필름이 더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광 시야각 편광 필름 또는 편광 필름에 휘도 향상 필름이 더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편광 필름이 바람직하다.
편보호 편광 필름, 점착제층이 부착된 편광 필름에 상기 광학층을 적층한 광학 필름은 액정 표시 장치 등의 제조 과정에서 순차 별개로 적층하는 방식으로도 형성할 수 있지만, 미리 적층하여 광학 필름으로 한 것은 품질의 안정성이나 조립 작업 등이 우수하여 액정 표시 장치 등의 제조 공정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적층에는 점착제층 등의 적당한 접착 수단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점착제층이 부착된 편광 필름 및 기타 광학 필름의 접착에 있어서, 그 광학 축은 목적으로 하는 위상차 특성 등에 따라 적절한 배치 각도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편보호 편광 필름, 점착제층이 부착된 편광 필름 또는 광학 필름은 액정 표시 장치, 유기 EL 표시 장치 등의 각종 화상 표시 장치의 형성 등에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액정 표시 장치의 형성은 종래에 준하여 실시할 수 있다. 즉 액정 표시 장치는 일반적으로 액정 셀과 점착제층이 부착된 편광 필름 또는 광학 필름 및 필요에 따른 조명 시스템 등의 구성 부품을 적절히 조립하여 구동 회로를 끼워넣음으로서 형성되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본 발명에 의한 편보호 편광 필름, 점착제층이 부착된 편광 필름 또는 광학 필름을 이용하는 점을 제외하고는 특별한 한정은 없고 종래에 준하여 실시할 수 있다. 액정 셀에 대해서도 예컨대, IPS형, VA형 등의 임의의 종류의 것을 이용할 수 있는데, 특히 IPS 타입에 적합하다.
액정 셀의 편측 또는 양측에 편보호 편광 필름, 점착제층이 부착된 편광 필름 또는 광학 필름을 배치한 액정 표시 장치나 조명 시스템에 백라이트 또는 반사판을 이용한 것 등의 적절한 액정 표시 장치를 형성할 수 있다. 그 경우, 본 발명에 의한 점착제층이 부착된 편광 필름 또는 광학 필름은 액정 셀의 편측 또는 양측에 형성할 수 있다. 양측에 편보호 편광 필름, 점착제층이 부착된 편광 필름 또는 광학 필름을 형성하는 경우, 그들은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또한, 액정 표시 장치의 형성에 있어서는 예컨대, 확장판, 안티글레어층, 반사 방지막, 보호판, 프리즘 어레이, 렌즈 어레이시트, 광 확장판, 백라이트 등의 적절한 부품을 적절한 위치에 1층 또는 2층 이상 배치할 수 있다.
<화상 표시 장치의 연속 제조 방법>
상기의 화상 표시 장치는 본 발명의 점착제층이 부착된 편광 필름의 권회체(롤)로부터 조출되어, 상기 세퍼레이터에 의해 반송된 상기 점착제층이 부착된 편광 필름을 상기 점착제층을 개재하여 화상 표시 패널의 표면에 연속적으로 첩합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연속 제조 방법(롤 투 패널 방식)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점착제층이 부착된 편광 필름은 매우 얇은 필름이므로 시트 형상으로 절단(매엽 절단)한 후에 화상 표시 패널에 1장씩 첩합시키는 방식(“시트 투 패널 방식”이라고도 한다)에 따르면, 시트의 반송이나 표시 패널으로의 첩합 시의 핸들링이 어렵고, 그러한 과정에서 점착제층이 부착된 편광 필름(시트)이 큰 기계적 충격(예컨대, 흡착에 의한 휨 등)을 받을 위험이 높아진다. 이러한 위험을 줄이기 위해 예컨대, 기재 필름의 두께가 50㎛ 이상 두께의 표면 보호 필름을 이용하는 등의 대책이 별도로 필요하다. 한편, 롤 투 패널 방식에 의하면, 점착제층이 부착된 편광 필름이 시트 형상으로 절단(매엽 절단)되지 않고, 연속 형상의 세퍼레이터에 의해 롤에서 화상 표시 패널까지 안정적으로 반송되어 그대로 화상 표시 패널에 첩합되기 때문에 두꺼운 표면 보호 필름을 이용하지 않고 상기 위험을 대폭으로 저감할 수 있다. 그 결과, 투명 수지층 형성 전의 나노 슬릿의 발생에 의한 결함뿐만 아니라, 투명 수지층 형성 후에 있어서의 나노 슬릿의 발생에 의한 결함도 효과적으로 억제된 화상 표시 장치를 고속 연속 생산할 수 있다.
도 9는 롤 투 패널 방식을 채용한 액정 표시 장치의 연속 생산 시스템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액정 표시 장치의 연속 생산 시스템(100)은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액정 표시 패널(P)을 반송하는 일련의 반송부(X), 제1편광 필름 공급부(101a), 제1첩합부(201a), 제2편광 필름 공급부(101b) 및 제2첩합부(201b)를 포함한다.
또한, 제1점착제층이 부착된 편광 필름의 권회체(제1롤)(20a) 및 제2점착제층이 부착된 편광 필름의 권회체(제2롤)(20b)로는 길이 방향으로 흡수축을 갖고 또한 도 2(A)에 도시된 태양의 것을 이용한다.
(반송부)
반송부(X)는 액정 표시 패널(P)을 반송한다. 반송부(X)는 복수의 반송 롤러 및 흡착 플레이트 등을 가지고 구성된다. 반송부(X)는 제1첩합부(201a)와 제2첩합부(201b)와의 사이에 액정 표시 패널(P)의 반송 방향에 대하여 액정 표시 패널(P)의 장변과 단변과의 배치 관계를 교체하는 배치교체부(예컨대, 액정 표시 패널(P)을 90°수평회전 시키는)(300)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액정 표시 패널(P)에 대하여 제1점착제층이 부착된 편광 필름(21a) 및 제2점착제층이 부착된 편광 필름(21b)을 직교 니콜의 관계에서 첩합시킬 수 있다.
(제1편광 필름 공급부)
제1편광 필름 공급부(101a)는 제1롤(20a)로부터 조출되어 세퍼레이터(5a)에 의해 반송된 제1점착제층이 부착된 편광 필름(표면 보호 필름 포함)(21a)을 제1첩합부(201a)에 연속적으로 공급한다. 제1편광 필름 공급부(101a)는 제1조출부(151a), 제1절단부(152a), 제1박리부(153a), 제1권취부(154a) 및 복수의 반송 롤러부, 댄서롤 등의 어큐뮬레이트부 등을 갖는다.
제1조출부(151a)는 제1롤(20a)이 형성되는 조출축을 가지며, 제1롤(20a)에서 세퍼레이터(5a)가 형성된 띠 형상의 점착제층이 부착된 편광 필름(21a)을 조출한다.
제1절단부(152a)는 카터, 레이저 장비 등의 절단 수단 및 흡착 수단을 갖는다. 제1절단부(152a)는 세퍼레이터(5a)를 남기면서 띠 형상의 제1점착제층이 부착된 편광 필름(21a)을 소정의 길이로 폭 방향으로 절단한다. 다만, 제1롤(20a)로서 복수의 절입선이 소정의 길이로 폭 방향으로 형성된 띠 형상의 점착제층이 부착된 편광 필름(21a)이 세퍼레이터(5a) 상에 적층된 것(절단 표시가 들어간 광학 필름 롤)을 이용한 경우, 제1절단부(152a)는 불필요하게 된다(후술하는 제2절단부(152b)에 대해서도 동일).
제1박리부(153a)는 세퍼레이터(5a)를 내측으로 폴딩함으로써 세퍼레이터(5a)에서 제1점착제층이 부착된 편광 필름(21a)을 박리한다. 제1박리부(153a)로는 쐐기형 부재, 롤러 등을 들 수 있다.
제1권취부(154a)는 제1점착제층이 부착된 편광 필름(21a)이 박리된 세퍼레이터(5a)를 권취한다. 제1권취부(154a)는 세퍼레이터(5a)를 권취하기 위한 롤이 형성되는 권취축을 갖는다.
(제1첩합부)
제1첩합부(201a)는 반송부(X)에 의해 반송된 액정 표시 패널(P)에 제1박리부(153a)에 의해 박리된 제1점착제층이 부착된 편광 필름(21a)을 제1점착제층이 부착된 편광 필름(21a)의 점착제층을 개재하여 연속적으로 첩합시킨다(제1첩합 공정). 제1첩합부(81)는 한 쌍의 첩합 롤러를 갖고 구성되고 첩합 롤러의 적어도 한쪽이 구동 롤러로 구성된다.
(제2편광 필름 공급부)
제2편광 필름 공급부(101b)는 제2롤(20b)에서 조출되고 세퍼레이터(5b)에 의해 반송된 제2점착제층이 부착된 편광 필름(표면 보호 필름 포함)(21b)을 제2접착부(201b)에 연속적으로 공급한다. 제2편광 필름 공급부(101b)는 제2조출부(151b), 제2절단부(152b), 제2박리부(153b), 제2권취부(154b) 및 복수의 반송 롤러부, 댄서롤 등의 어큐뮬레이트부 등을 갖는다. 또한, 제2조출부(151b), 제2절단부(152b), 제2박리부(153b), 제2권취부(154b)는 각각 제1조출부(151a), 제1절단부(152a), 제1박리부(153a), 제1권취부(154a) 와 동일한 구성 및 기능을 갖는다.
(제2첩합부)
제2첩합부(201b)는 반송부(X)에 의해 반송된 액정 표시 패널(P)에 제2박리부(153b)에 의해 박리된 제2점착제층이 부착된 편광 필름(21b)을 제2점착제층이 부착된 편광 필름(21b)의 점착제층을 개재하여 연속적으로 첩합시킨다(제2첩합공정). 제2첩합부(201b)는 한 쌍의 첩합 롤러를 갖고 구성되고 첩합 롤러의 적어도 한쪽이 구동 롤러로 구성된다.
[실시예]
이하에 본 발명을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각 예시 중의 부 및 %는 모두 중량 기준이다. 이하에 특별한 규정이 없는 실온 방치 조건은 모두 23℃ 65%RH이다.
<편보호 편광 필름A>
(편광자A0제작)
흡수율0.75%, Tg75℃의 비정질의 이소프탈산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IPA 공중합 PET) 필름(두께:100㎛) 기판의 편면에 코로나 처리를 실시하고 이 코로나 처리면에, 폴리비닐알코올(중합도 4200, 비누화도 99.2몰%) 및 아세토아세틸변성PVA(중합도1200, 아세토아세틸변성도 4.6%, 비누화도 99.0몰% 이상, 니혼 고세이 카가쿠 코교사(Nippon Synthetic Chemical Industry Co., Ltd.) 제조, 상품명“고세화이머Z200”)를 9:1의 비율로 포함하는 수용액을 25℃에서 도포 및 건조하여 두께 11㎛의 PVA계 수지층을 형성하여 적층체를 제조하였다.
얻어진 적층체를 120℃의 오븐 내에서 원주 속도가 상이한 롤 간에서 세로 방향(길이 방향)으로 2.0배로 자유단 일축 연신하였다(공중 보조 연신 처리).
이어서, 적층체를 액체 온도 30℃의 불용화욕(물100중량부에 대하여 붕산을 4중량부 배합하여 얻어진 붕산 수용액)에 30초간 침지시켰다(불용화 처리).
이어서 액체 온도 30℃의 염색욕에 편광판이 소정의 투과율이 되도록 요오드 농도, 침지 시간을 조정하면서 침지시켰다. 본 실시예에서는 물100중량부에 대하여, 요오드를 0.2중량부를 배합하여 요오드화 칼륨을 1.0중량부 함유하여 얻어진 요오드 수용액에 60초간 침지시켰다(염색 처리).
이어서 액체 온도 30℃의 가교욕(물100중량부에 대하여, 요오드화 칼륨을 3중량부를 배합하여 붕산을 3중량부를 배합하여 얻어진 붕산 수용액)에 30초간 침지시켰다(가교 처리).
그 후, 적층체를 액체 온도 70℃의 붕산 수용액(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붕산을 4중량부 배합하고, 요오드화 칼륨을 5중량부를 배합하여 얻어진 수용액)에 침지시키면서 원주 속도이 상이한 롤 사이에서 세로 방향(길이 방향)으로 총 연신 배율이 5.5배가 되도록 일축 연신을 실시하였다(수중 연신 처리).
그 후 적층체를 액체 온도 30℃의 세척욕(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요오드화 칼륨을 4중량부를 배합하여 얻은 수용액)에 침지시켰다(세정 처리).
이상으로부터, 두께 5㎛의 편광자를 포함하는 광학 필름 적층체를 얻었다.
(편광자 A0∼A8의 제작)
상기 편광자 A0의 제작에 있어서 제조 조건을 표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바꾼 것을 제외하고는 편광자 A0의 제작과 동일한 방법으로 편광판 A1∼A8을 제작하였다. 편광자 A1∼A8의 두께, 광학 특성(단체 투과율, 편광도), 붕산 농도를 표 1에 나타낸다.
Figure 112017031330800-pct00001
(투명 보호 필름 제작)
투명 보호 필름:두께 40㎛의 락톤환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 수지 필름의 역접착 처리면에 코로나 처리를 실행하고 사용하였다.
(투명 보호 필름에 적용하는 접착제의 제조)
N-히드록시에틸아크릴아미드(HEAA) 40중량부와 아크릴로일모르폴린(ACMO) 60중량부 및 광개시제“IRGACURE819”(BASF사 제품) 3중량부를 혼합하여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를 제조하였다.
(편보호 편광 필름A의 제작)
상기 광학 필름 적층체의 편광자 A0∼A8의 표면에 상기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를 경화 후의 접착제층의 두께가 0.5㎛가 되도록 도포하면서 상기 투명 보호 필름을 첩합 한 후에, 활성 에너지선으로서 자외선을 조사하여 접착제를 경화시켰다. 자외선 조사는 갈륨 봉입 메탈할라이드 램프, 조사 장치:Fusion UV Systems, Inc 사의 제품 Light HAMMER 10, 밸브:V밸브, 피크 조도:1600mW/c㎡, 적산 조사량 1000/mJ/c㎡(파장 380∼440nm)를 이용하여 자외선의 조도는 Solatell사의 Sola-Check 시스템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이어서 비정성 PET 기재를 박리하고 박형 편광자를 이용한 편보호 편광 필름A0∼A8을 제작하였다. 얻어진 편보호 편광 필름A0∼A8의 광학 특성(단체 투과율, 편광도)을 표 2에 나타낸다.
<편보호 편광 필름 B>
(편광자 B(두께 23㎛의 편광자)의 제작)
평균 중합도 2400, 비누화도 99.9몰%의 두께75㎛의 폴리비닐알콜 필름을 30℃의 온수 중에 60초간 침지하여 팽윤시켰다. 이어서, 요오드/요오드화 칼륨(중량비=0.5/8)의 농도 0.3%의 수용액에 침지하고 3.5배까지 연신시키면서 필름을 염색했다. 그 후, 65℃ 붕산에스테르 수용액 중에서 총 연신 배율이 6배가 되도록 연신을 실시했다. 연신 후 40℃ 오븐에서 3분간 건조하고, PVA계 편광자(두께 23㎛)를 얻었다.
(편보호 편광 필름 B의 제작)
상기 PVA계 편광자의 편면에 편보호 편광 필름 A와 동일하게 하여 상기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를 개재하여 상기 투명 보호 필름을 첩합했다. 얻어진 편보호 편광 필름B의 광학 특성은 투과율 42.8%, 편광도 99.99%였다.
<편보호 편광 필름 C>
(편광자 C의 제작)
흡수율 0.75%, Tg75℃의 비정질의 이소프탈산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IPA공중합PET) 필름(두께:130㎛) 기재의 편면에 코로나 처리를 실시하고, 이 코로나 처리 면에 폴리비닐알코올(중합도 4200, 비누화도 99.2몰%) 및 아세토아세틸 변성 PVA(중합도 1200, 아세토아세틸 변성도 4.6%, 비누화도 99.0몰% 이상, 니혼 고세이 카가쿠 쿄고사(Nippon Synthetic Chemical Industry Co., Ltd.) 제조, 상품명“고세화이머 Z200”)를 9:1의 비율로 함유하는 수용액을 25℃에서 도포 및 건조하여 두께 11㎛의 PVA계 수지층을 형성하여 적층체를 제조하였다.
얻어진 적층체를 동시 이축 연신기를 이용하여 110℃에서 제1방향(MD)으로 30% 수축시키는 동시에 제2방향(TD)으로 5.0배로 공중 연신하였다(연신 처리).
이어서, 적층체를 25℃의 요오드 수용액(요오드 농도:0.2중량%, 요오드화 칼륨 농도:1.4중량%)에 40초간 침지시켰다(염색 처리).
염색 후의 적층체를 60℃의 붕산 수용액(붕산 농도:5중량%, 요오드화 칼륨 농도:5중량%)에 80초간 침지시켰다(가교 처리).
가교 처리 후 적층체를 25℃의 요오드화 칼륨 수용액(요오드화 칼륨 농도:5중량%)에 20초간 침지시켰다(세정 처리).
이상으로부터, 두께 3㎛의 편광자를 포함하는 광학 필름 적층체를 얻었다.
(편보호 편광 필름의 제작)
적층체의 편광자 측에 비닐 알코올계 접착제를 개재하여 보호 필름(두께:40㎛ 후지 필름사 제조, 상품명,“Z-TAC ZRD40SL”)을 첩합했다. 이어서, 비정성 PET 기재를 박리하고 박형 편광자를 이용한 편보호 편광 필름 C를 제작하였다. 얻어진 편보호 편광 필름C의 광학 특성은 투과율 38.4%, 편광도 99.99%였다.
<편보호 편광 필름D의 제작>
(편광자 D(두께 12㎛의 편광자)의 제작)
평균 중합도 2400, 비누화도 99.9몰%의 두께 30㎛의 폴리비닐알콜 필름을 30℃의 온수 중에 60초간 침지하여 팽윤시켰다. 이어서, 요오드/요오드화 칼륨(중량비=0.5/8)의 농도 0.3%의 수용액에 침지하고 3.5배까지 연신시키면서 필름을 염색했다. 그 후, 65℃ 붕산에스테르 수용액 중에서 총 연신 배율이 6배가 되도록 연신을 실시했다. 연신 후, 40℃ 오븐에서 3분간 건조하고, PVA계 편광자를 얻었다. 얻어진 편광자의 두께는 12㎛였다.
(편보호 편광 필름D의 제작)
상기 PVA계 편광자의 편면에 편보호 편광 필름A와 동일하게 하여 상기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를 개재하여 상기 투명 보호 필름을 첩합했다. 얻어진 편보호 편광 필름D의 광학 특성은 투과율 42.8%, 편광도 99.99%였다.
<투명 수지층의 형성재>
(폴리비닐알코올계 형성재A)
중합도 2500, 비누화도 99.0몰%의 폴리비닐알코올 수지(니혼 사쿠비 포벌사(JAPAN VAM & POVAL Co., Ltd.) 제조, 상품명:JC-25)를 순수(純水)에 용해하여 고형분 농도 4중량%의 수용액을 제조하였다.
(폴리비닐알코올계 형성재B)
중합도 2500, 비누화도 99.7몰%의 폴리비닐알코올 수지(니혼 사쿠비 포벌사 제조, 상품명:JC-25H)를 순수에 용해하여 고형분 농도 4중량%의 수용액을 제조하였다.
(폴리비닐알코올계 형성재C)
중합도 1700, 비누화도 99.0몰%의 폴리비닐알코올 수지(니혼 사쿠비 포벌사 제조, 상품명:JC-17)를 순수에 용해하여 고형분 농도 4중량%의 수용액을 제조하였다.
(폴리비닐알코올계 형성재D)
중합도 1000, 비누화도 99.0몰%의 폴리비닐알코올 수지(니혼 사쿠비 포벌사 제조, 상품명:JC-10)를 순수에 용해하여 고형분 농도 4중량%의 수용액을 제조하였다.
(폴리비닐알코올계 형성재E)
중합도 500, 비누화도 99.0몰%의 폴리비닐알코올 수지(니혼 사쿠비 포벌사 제조, 상품명:JC-05)를 순수에 용해하여 고형분 농도 4중량%의 수용액을 제조하였다.
(폴리비닐알코올계 형성재F)
중합도 2500, 비누화도 98.0몰%의 폴리비닐알코올 수지(니혼 사쿠비 포벌사 제조, 상품명:JF-2500)를 순수에 용해하여 고형분 농도 4중량%의 수용액을 제조하였다.
(폴리비닐알코올계 형성재G)
중합도 2500, 비누화도 96.0몰%의 폴리비닐알코올 수지(니혼 사쿠비 포벌사 제조, 상품명:JM-2500)를 순수에 용해하여 고형분 농도 4중량%의 수용액을 제조하였다.
(폴리비닐알코올계 형성재H)
아세토아세틸기 변성 PVA(중합도 1200, 아세토아세틸 변성도 4.6%, 비누화도 99.0몰%, 니혼 고세이 카가쿠 코교사(Nippon Synthetic Chemical Industry Co.) 제조, 상품명“고세 화이머 Z200”)를 순수에 용해하여 고형분 농도 4중량%의 수용액을 제조하였다.
(폴리비닐알코올계 형성재I)
아세토아세틸기 변성 PVA(중합도 1200, 아세토아세틸 변성도 4.6%, 비누화도 99.0몰%, 니혼 고세이 카가쿠 코교사 제조, 상품명“고세 화이머 Z200”) 100부와 메틸올멜라민(DIC사 제조, 상품명 “워터졸:S-695”) 5부를 순수에 용해하여 고형분 농도 4중량%의 수용액을 제조하였다.
(폴리비닐알코올계 형성재J)
아세토아세틸기 변성 PVA(중합도 1200, 아세토아세틸 변성도 4.6%, 비누화도 99.0몰%, 니혼 고세이 카가쿠 코교사 제조, 상품명 “고세 화이머 Z200”)) 100부와 메틸올멜라민(DIC사 제조, 상품명 “워터졸:S-695”) 20부를 순수에 용해하여 고형분 농도 4중량%의 수용액을 제조하였다.
(폴리비닐알코올계 형성재K)
카르보닐기 변성 폴리비닐알코올 수지(니혼 사쿠비 포벌사 제조, 상품명 “DC-17”)를 순수에 용해하여 고형분 농도 4중량%의 수용액을 제조하였다 .
(폴리비닐알코올계 형성재L)
카르보닐기 변성 폴리비닐알코올 수지(니혼 사쿠비 포벌사 제조, 상품명 “DC-17”) 100부와 디히드라진(아디픽산 디하이드라자이드) 10부를 순수에 용해 하여 고형분 농도 4중량%의 수용액을 제조하였다.
(폴리비닐알코올계 형성재M)
중합도 2000, 비누화도 99.4몰%의 폴리비닐알코올 수지(니혼 고세이 카가쿠 코교사 제조, 상품명 “NH-20”)를 순수에 용해하여 고형분 농도 4중량%의 수용액을 제조하였다.
(폴리비닐알코올계 형성재N)
중합도 1700, 비누화도 97.0몰%의 폴리비닐알코올 수지(니혼 고세이 카가쿠 코교사 제조, 상품명 “AH-17”)를 순수에 용해하여 고형분 농도 4중량%의 수용액을 제조하였다.
(폴리비닐알코올계 형성재O)
중합도 1700, 비누화도 99.0몰%의 폴리비닐알코올 수지(쿠라레사(Kuraray's trade) 제조, 상품명“PVA117”)를 순수에 용해하여 고형분 농도 4중량%의 수용액을 제조하였다.
(폴리비닐알코올계 형성재P)
중합도 4000, 비누화도 99.0몰%의 폴리비닐알코올 수지(니혼 사쿠비 포벌사 제조, 상품명:JC-40)를 순수에 용해하여 고형분 농도 4중량%의 수용액을 제조하였다.
(폴리비닐알코올계 형성재Q)
중합도 1700, 비누화도 96.0몰%의 폴리비닐알코올 수지(니혼 사쿠비 포벌사 제조, 상품명:JM-17)를 순수에 용해하여 고형분 농도 4중량%의 수용액을 제조하였다.
(폴리비닐알코올계 형성재R)
중합도 1400, 비누화도 88.0몰%의 폴리비닐알코올 수지(니혼 고세이 카가쿠 코교사, 상품명 “GM-14”)를 순수에 용해하여 고형분 농도 4중량%의 수용액을 제조하였다.
(폴리비닐알코올계 형성재S)  
중합도 1300, 비누화도 93.0몰%의 폴리비닐알코올 수지(쿠라레사 제조, 상품명 “PVA613”)를 순수에 용해하여 고형분 농도 4중량%의 수용액을 제조하였다.
(폴리비닐알코올계 형성재T)
중합도 1700, 비누화도 94.5몰%의 폴리비닐알코올 수지(쿠라레사 제조, 상품명 “PVA617”)를 순수에 용해하여 고형분 농도 4중량%의 수용액을 제조하였다.
(폴리비닐알코올계 형성재U)
중합도 3300, 비누화도 94.0몰%의 폴리비닐알코올 수지(니혼 사쿠비 포벌사제조, 상품명:JM-33)를 순수에 용해하여 고형분 농도 4중량%의 수용액을 제조하였다.
(폴리비닐알코올계 형성재V)
중합도 500, 비누화도 94.5몰%의 폴리비닐알코올 수지(니혼 사쿠비 포벌사 제조, 상품명:JT-05)를 순수에 용해하여 고형분 농도 4중량%의 수용액을 제조하였다.
<점착제층의 형성>
냉각관, 질소 도입관, 온도계 및 교반 장치를 구비한 반응 용기에 아크릴산 부틸 100부, 아크릴산 3부, 아크릴산2-히드록시에틸 0.1부 및 2,2’-아조비스이소 부틸로니트릴 0.3부를 에틸아세테이트와 함께 추가하여 용액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이 용액에 질소 가스를 주입하면서 교반하여 55℃에서 8시간 반응시켜서 중량 평균 분자량 220만의 아크릴계 폴리머를 함유하는 용액을 얻었다. 또한 이 아크릴계 폴리머를 함유하는 용액에 에틸아세테이트를 첨가하여 고형분 농도를 30%로 조정한 아크릴계 폴리머 용액을 얻었다.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 용액의 고형분 100부에 대해 가교제 0.5부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화합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가교제(니혼 폴리우레탄(주) 제조, 상품명“콜로네이트L”)와 실란커플링제로서 0.075부의 γ-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신에츠 카가쿠 코교(주) 제조, 상품명“KMB-403”)을 이 순서대로 배합하여 점착제 용액을 조제하였다. 상기 점착제 용액을 박리 처리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두께 38㎛)으로 이루어진 이형(離型)시트(세퍼레이터)의 표면에 건조 후의 두께가 25㎛가 되도록 도포하고 건조하여 점착제층을 형성했다.
실시예 1
<투명 수지층이 부착된 편보호 편광 필름을 제작>
상기 편보호 편광 필름A의 편광자의 면(투명 보호 필름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편광자면)에 25℃로 조정한 상기 형성재A를 와이어 바 코터로 건조 후의 두께가 1㎛가 되도록 도공한 후, 60℃에서 1분간 열풍 건조하여 투명 수지층이 부착된 편보호 편광 필름을 제조하였다.
<점착제층이 부착된 편광 필름의 제작>
이어서 편보호 편광 필름에 형성한 투명 수지층에 상기 이형 시트(세퍼레이터)의 박리 처리 면에 형성한 점착제층을 첩합시켜 점착제층이 부착된 편광 필름을 제작했다.
실시예 2∼33 및 비교예 1∼7
실시예 1에서 편보호 편광 필름의 종류, 투명 수지층의 두께, 형성재로서 이용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의 종류, 가교제의 배합(가교제의 배합부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100부에 대한 값이다)의 유무를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꾼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편보호 편광 필름, 투명 수지층이 부착된 편보호 편광 필름 및 점착제층이 부착된 편광 필름을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점착제층이 부착된 편광 필름에 대해 하기 평가를 실시했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편광자의 단체 투과율(T) 및 편광도(P)>
얻어진 편보호 편광 필름의 단체 투과율(T) 및 편광도(P)를 적분구(球)가 있는 분광 투과율 측정기(무라카미 시키사이 기쥬츠 겐큐쇼(Murakami Color Research Laboratory) Dot-3c)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편광도(P)는 2장의 동일한 편광 필름을 양자의 투과축이 평행이 되도록 중합시킨 경우의 투과율(평행 투과율:Tp) 및 양자의 투과축이 직교하도록 중합시킨 경우의 투과율(직교 투과율:Tc)을 이하의 식에 적용함으로써 구할 수 있다. 편광도(P)(%)={(Tp-Tc)/(Tp+Tc)}1/2×100
각 투과율은 그랜 텔러(Gran Teller) 프리즘 편광자를 통하여 얻어진 완전 편광을 100%로 하여, JIS Z8701의 2도 시야(C광원)에 의해 시감도 보정한 Y값으로 나타낸 것이다.
<편광자 중의 붕산 함유량의 측정>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편광자 대해 푸리에 변환 적외선 분광 광도계(FTIR)(Perkin Elmer사의 제품, 상품명“SPECTRUM2000”)를 이용하여 편광을 측정광으로 하는 전반사 감쇠 분광(ATR) 측정에 의해 붕산 피크(665cm-1)의 강도 및 참조 피크(2941cm-1)의 강도를 측정했다. 얻어진 붕산 피크 강도 및 참조 피크 강도에서 붕산량 지수를 하기 식으로 산출하고, 또한 산출한 붕산량 지수로 하기 식에 의해 붕산 함유량(중량%)을 결정했다.
(붕산량 지수)=(붕산 피크 665cm-1의 강도)/(참조 피크 2941cm-1의 강도)
(붕산 함유량(중량%))=(붕산량 지수)×5.54+4.1
<투명 수지층의 결정 융해 열량의 측정>
DSC 장치 (세이코 인스트루먼트사 제조, “EXSTAR DSC6000”)를 이용하여 승온 속도 10℃/min에서 결정 융해 열량(mj/mg)을 측정했다.
측정 샘플은 원료 그 자체의 분체이어도 되고, PVA 수용액(고형분 4%)을 PET 필름에 드라이 막 두께가 수 ㎛가 되도록 도공하여 건조시켜 얻어지는 PVA 필름이어도 된다. 측정 샘플은 23℃ 50% RH환경 하에서 24시간 에이징하고 얻어진 샘플 3mg을 DSC 샘플 팬에 투입하여 DSC를 측정했다. 측정 조건은 다음과 같다.
1st Run
·-30℃에서 3분간 홀딩한 후 10℃/min에서 300℃까지 승온
·300℃에서 -30℃까지 30℃/min로 강온
2nd Run
·-30℃에서 3분간 홀딩한 후 10℃/min에서 300℃까지 승온
·300℃에서 -30℃까지 30℃/min로 강온
측정에 의해 얻어진 데이터 2nd Run의 승온 과정에서 190℃에서 230℃까지로 관측되는 흡열 피크를 결정의 융해 열량으로 하고 그 면적에서 결정 융해 열량(mj/mg)을 산출했다.
<투명 수지층의 형성재의 가용 시간>
형성재(수용액)의 점도(cps)를 레오 미터 RS1(Haake사 제조), 동축 원통형으로 형식 222-1267을 이용하여 23℃의 액체 온도 및 기온으로 측정했다.
형성재(수용액)을 조제한 직후의 점도 X 및 조제 후 6시간이 경과했을 때의 점도 Y를 측정했다. 상기 점도 X를 기준으로 점도 Y가 2배 이하인 경우를 “○”, 2배를 초과하는 경우를 “×”라고 평가했다.
<나노 슬릿의 발생 억제:기타 피크 시험>
얻어진 점착제층이 부착된 편광 필름을 50mm×150mm의 크기(흡수 축 방향이 50mm)로 재단한 것을 시료(11)로 하였다. 샘플(11)은 투명 보호 필름(2) 측에, 하기 방법으로 제작한 표면 보호 필름(6)을 첩합하여 사용하였다.
(시험용의 표면 보호 필름)
190℃에서의 멜트플로레이트(melt flow rate)가 2.0g/10min인 밀도 0.924g/㎤의 저밀도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지는 기재 성형 재료를 공압출용 인플레이션 성형기에 공급했다.
동시에 230℃에서의 멜트플로레이트가 10.0g/10min인 밀도 0.86g/㎤의 프로필렌-부텐 공중합체(질량비로 프로필렌:부텐=85:15, 아탁틱 구조)로 이루어지는 점착 성형 재료를 다이스 온도가 220℃인 인플레이션 성형기에 공급하고 공압출 성형을 실시했다.
이에 따라 두께 33㎛의 기재층과 두께 5㎛의 점착제층으로 이루어지는 표면 보호 필름을 제조했다.
다음으로 도 5(A)의 개념도, 도 5(B)의 단면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해당 샘플에서 이형 시트(세퍼레이터)를 박리하고 노출된 점착제층(4)을 개재하여 유리판(20) 상에 접착했다. 이어서 샘플(11)(표면 보호 필름(6) 측)의 중앙부에 대해 기타 피크(HISTORY사 제조, 모델 번호“HP2H(HARD)”)에 의해 하중 200g을 걸고, 샘플(11)에서의 편광자(1)의 흡수축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100mm의 거리에 50왕복의 하중 부하를 반복했다. 상기 하중 부하는 1개소에서 실시했다.
이어서, 샘플(11)을 80℃의 환경 하에서 1시간 방치 한 후, 하기의 기준에 따라 샘플(11)의 빛 샘 크랙의 유무를 확인했다.
A : 발생하지 않음.
B : 1 ~ 100 개.
C : 101 개 이상.
<나노 슬릿의 확장 억제 : 로큰롤 시험>
시험에 있어서는,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편보호 편광 필름을 제조한 후, 다음 방법으로 투명 수지층을 형성하기 전에 편보호 편광 필름(10)의 편광자(1)에 스크래치를 냈다. 그 후에 투명 수지층이 부착된 편보호 편광 필름(11)을 제작했다.
그리고 해당 투명 수지층이 부착된 편보호 편광 필름(11)을 80℃의 환경 하에 1시간 방치 한 후, 하기의 기준에 따라 샘플(11)의 빛 샘의 크랙의 유무를 확인했다.
A : 발생하지 않음.
B : 1 ~ 100 개.
C : 101 ~ 200.
D : 201 개 이상.
 《스크래치 넣는 방법》
얻어진 편보호 편광 필름(10)을 50mm×150mm(흡수축 방향이 50mm)의 사이즈로 재단했다. 샘플(10)은 투명 보호 필름(2) 측에 상기 시험용 표면 보호 필름(6)을 첩합하여 사용하였다.
도 6(A)의 개념도, 도 6(B)의 단면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리판(20) 상에 폭 25mm×높이 5mm의 2개의 유리 지지대(21)를 그 내측의 간격이 15mm가 되도록 평행하게 형성했다. 해당 2개의 유리 지지대의 길이 방향과 상기 절단된 샘플(10)에서의 편광자(1)의 흡수축에 직교하는 방향이 평행이 되도록 하고, 2개의 유리 지지대에 샘플(11)의 양측이 균등하게 놓이도록 샘플(10)을 배치했다. 샘플(10)은 표면 보호 필름(6)을 상측에 배치했다.
이어서 샘플(10)(표면 보호 필름(6) 측)의 중앙부에 대해 기타 피크(HISTORY사 제조, 모델 번호“HP2H(HARD)”)에 의해 하중 100g을 걸고, 샘플(11)에서의 편광자(1)의 흡수축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100mm의 거리에 10왕복의 하중 부하를 반복하여 편광자(1)의 표면에 스크래치를 냈다. 상기 하중 부하는 1개소에서 실시했다. 나노 슬릿이 발생했는지의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했다.
비교예 2, 4의 편광자의 두께가 10㎛를 초과하는 것은 편광자 내부의 수축 응력이 크기 때문에, 로큰롤 시험의 나노 슬릿 발생 시에 필름이 파단했다. 따라서 평가할 수 없었다.
도 7은 편보호 편광 필름(10) 또는 투명 수지층이 부착된 편보호 편광 필름(11)의 기타 피크 시험, 로큰롤 시험에서의 빛 샘의 크랙(나노 슬릿(a))의 확인의 하기 지표가 되는 것이며, 편광 필름 표면의 현미경 사진의 일례이다. 도 7(A)에서는 나노 슬릿(a)에 의한 빛 샘의 크랙은 확인되지 않았다. 도 7(A)와 같은 상태는 비교예의 기타 피크 시험의 가열 전, 실시예의 로큰롤 시험의 가열 전, 실시예의 로큰롤 시험의 가열 후(확장 억제 효과가 있기 때문에 나노 슬릿의 빛 샘이 없다)가 해당된다. 한편, 도 7(B)는 가열에 의해 나노 슬릿(a)에 의한 빛 샘의 크랙이 편광자의 흡수축 방향으로 3개 발생하는 경우이다. 도 7(B)와 같은 상태는 비교예의 기타 피크 시험의 가열 후, 비교예의 로큰롤 시험의 가열 후가 해당한다. 도 7은 나노 슬릿이 발생하는 샘플을 미분 간섭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샘플을 촬영할 때에 나노 슬릿이 발생하는 샘플의 하측(투명 광원 측)에 나노 슬릿이 발생하지 않는 샘플을 직교 니콜이 되도록 세팅하여 투과 광으로 관찰하였다.
<관통 크랙 확인:히트 쇼크 시험>
얻어진 점착제층이 부착된 편광 필름을 50mm×150mm(흡수축 방향이 50mm)와 150mm×50mm(흡수축 방향이 150mm)로 재단하고, 0.5mm 두께의 무알칼리 유리의 양면에 직교 니콜의 방향으로 첩합하여 샘플을 작성했다. 해당 샘플을 -40∼85℃의 히트 쇼크를 각 30분간×100회의 환경 하에 투입한 후에 취출하여 점착제층이 부착된 편광 필름에 관통 크랙(개수)이 발생했는지의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했다. 이 시험을 5회 실시했다. 평가는 하기에 따라 실시했다.
○:관통 크랙 없음.
×:관통 크랙 있음.
도 8은 편보호 편광 필름(10) 또는 투명 수지층이 부착된 편보호 편광 필름(11)의 관통 크랙(b)의 확인의 지표가 되는 것이며, 편광 필름 표면의 현미경 사진의 일례이다. 도 8은 관통 크랙이 발생한 샘플을 미분 간섭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내습열성 : 편광도의 변화율(광학 신뢰성 시험)>
얻어진 편보호 편광 필름을 25mm×50mm의 크기(흡수축 방향이 50mm)로 재단했다. 해당 편보호 편광 필름(샘플)을 85℃/85%RH의 항온 항습기에 150시간 투입했다. 투입 전과 투입 후의 편보호 편광 필름의 편광도를 적분구가 있는 분광 투과율 측정기(무라카미 색채 기술 연구소의 Dot-3c)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편광도의 변화율(%)=(1-(투입 후 편광도/투입 전 편광도))를 구했다.
또한, 편광도(P)는 2장의 동일한 편광 필름을 양자의 투과축이 평행이 되도록 겹친 경우의 투과율(평행 투과율:Tp) 및 양자의 투과축이 직교하도록 겹친 경우의 투과율(직교 투과율:Tc)을 이하의 식에 적용함으로써 구할 수 있다. 편광도P(%)={(Tp-Tc)/(Tp+Tc)}1/2×100
각 투과율은 그랜 텔러(Gran Teller) 프리즘 편광자를 통하여 얻어진 완전 편광을 100%로 하여, JIS Z8701의 2도 시야(C광원)에 의해 시감도 보정한 Y값으로 나타낸 것이다.
평가는 하기에 따라 실시했다.
◎ : 편광도의 변화율이 0.50% 미만.
○ : 편광도의 변화율이 0.50% 이상 1.00% 미만.
△ : 편광도의 변화율이 1.00% 이상 2.00% 미만.
× : 편광도의 변화율이 2.00% 이상 5.00% 미만.
×× : 편광도의 변화율이 5.00% 이상.
<내수성:온수 시험>
얻어진 편보호 편광 필름을 25mm×50mm의 크기(흡수축 방향이 50mm)로 재단했다. 해당 편보호 편광 필름(샘플)을 해당 편보호 편광 필름을 60℃의 순수에 6 시간 침지한 후에 순수 중으로부터 취출한 마른 헝겊으로 닦아 낸 후, 편광 필름을 촬상하여 화상을 이치화함으로써 탈색하지 않은 편광 필름의 면적을 측정했다. 다음 식으로 표현 잔존 면적율이 70 % 이상이면, 내수성이 양호하다고 판단 할 수 있다.
잔존 면적율 (%) = 투입 후 면적/투입 전 면적
Figure 112017031330800-pct00002
또한, 비교예 6, 7에서와 같이, 단체 투과율(T) 및 편광도(P)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광학 특성이 하기 식 P>-(100.929T-42.4-1)×100(단, T<42.3) 또는 P≥99.9(단, T≥42.3)의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에는 본원의 과제(관통 크랙 및 나노 슬릿의 발생)은 발생하지 않았다.
실시예 34
편보호 편광 필름으로 긴 형상인 것을 이용한 것, 폴리비닐알코올계 형성재를 마이크로그라비어코터를 이용하여 도공한 것, 상기 이형 시트(세퍼레이터) 및 하기의 표면 보호 필름으로 긴 형상인 것을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1과 동일하다. 이에 따라 투명 수지층 측에 세퍼레이터 및 투명 보호 필름 측에 표면 보호 필름이 적층된 투명 수지층이 부착된 편보호 편광 필름(도 2(A)에 기재된 형태)의 롤을 제작하였다. 또한, 투명 수지층이 부착된 편보호 편광 필름의 권회체는 투명 수지층이 부착된 편보호 편광 필름의 연속 반송에 의해 절단을 진행시키는 슬릿 가공에 의해 32인치 무알칼리 유리의 단변과 장변에 각각 대응하는 폭인 것을 세트로 준비했다.
(롤 투 패널용 표면 보호 필름)
대전 방지 처리층이 있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상품명:다이아 포일 T100G38, 미츠비시 쥬시(Mitsubishi Plastics Inc.)사 제품, 두께 38㎛)의 대전 방지 처리면과는 반대의 면에 아크릴 점착제를 두께가 15㎛가 되도록 도포 형성하고, 표면 보호 필름을 얻었다.
다음으로, 도 9에 도시하는 롤 투 패널 방식의 연속 제조 시스템을 사용하여 투명 수지층이 부착된 편보호 편광 필름의 권회체의 세트로부터 연속적으로 공급된 투명 수지층이 부착된 편보호 편광 필름을 0.5mm 두께의 32인치 무알칼리 유리 100매의 양면에 직교 니콜의 관계가 되도록 연속적으로 첩합했다.
실시예 35∼37
각각 실시예 2, 3, 4와 동일한 제조 방법으로 투명 수지층이 부착된 편보호 편광 필름을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4와 동일하다.
<나노 슬릿의 발생 확인:가열 시험>
투명 수지층이 부착된 편보호 편광 필름이 양면으로 첩합된 무알칼리 유리 100장을 80℃의 오븐에 24시간 투입하고 그 후, 육안으로 나노 슬릿의 발생 유무를 확인했다. 실시예 34∼37 어디에서도 나노 슬릿에 의한 결함(빛 샘)의 발생은 보이지 않았다.
1:편광자   
2:투명 보호 필름
3:투명 수지층(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가 주성분)
4:점착제층
5, 5a, 5b:세퍼레이터
6, 6a, 6b:표면 보호 필름
10:편보호 편광 필름
11:편보호 편광 필름(투명 수지층 부착)
12:점착제층이 부착된 편광 필름
20a, 20b:점착제층이 부착된 편광 필름의 권회체(롤)
21a, 21b:점착제층이 부착된 편광 필름(표면 보호 필름 포함)
100:화상 표시 장치의 연속 제조 시스템
101a, 101b:편광 필름 공급부
151a, 151b:조출부
152a, 152b:절단부
153a, 153b:박리부
154a, 154b:권취부
201a, 201b:첩합부
300:배치 교체부
P:화상 표시 패널
X:화상 표시 패널 반송부

Claims (15)

  1. 편광자의 편면에만 투명 보호 필름을 갖는 편보호 편광 필름에 있어서,
    상기 편광자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함유하고, 두께가 10㎛ 이하이며, 또한, 단체 투과율(T) 및 편광도(P)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광학 특성이 하기 식
    P>-(100.929T-42.4-1)×100 (단, T<42.3) 또는
    P≥99.9 (단, T≥42.3)의 조건을 만족하도록 구성된 것이며,
    또한, 상기 편광자의 다른 편면에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함유하는 형성재의 형성물로서, 두께가 0.2㎛ 이상의 연신되지 않은 투명 수지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보호 편광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수지층이 결정 융해 열량 30mJ/mg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보호 편광 필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수지층은 두께가 3㎛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보호 편광 필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수지층을 형성하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는 비누화도가 99.0% 이상, 평균 중합도가 100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보호 편광 필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형성재는 경화성 성분을 함유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보호 편광 필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는 폴리비닐알코올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보호 편광 필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자는 편광자 전량에 대하여 붕산을 25중량% 이하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보호 편광 필름.
  8. 제1항 내지 제7항 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편광자의 편면에만 투명 보호 필름을 갖는 편보호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편광자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함유하고, 두께가 10㎛ 이하이며, 또한, 단체 투과율(T) 및 편광도(P)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광학 특성이 하기 식
    P>-(100.929T-42.4-1)×100(단, T<42.3) 또는
    P≥99.9(단, T≥42.3)의 조건을 만족하도록 구성된 것이며,
    또한, 상기 편광자의 다른 편면에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함유하는 형성재의 형성물로서, 두께가 0.2㎛ 이상인 투명 수지층을 갖는 것이고,
    상기 편광자의 다른 편면에,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함유하는 형성재를 도포하는 것에 의해, 상기 투명 수지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보호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9. 제1항에 기재된 편보호 편광 필름, 및 점착제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제층이 부착된 편광 필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편보호 편광 필름의 투명 수지층에, 상기 점착제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제층이 부착된 편광 필름.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편보호 편광 필름의 투명 보호 필름에 상기 점착제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제층이 부착된 편광 필름.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에 세퍼레이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제층이 부착된 편광 필름.
  13. 제12항에 있어서,
    권회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제층이 부착된 편광 필름.
  14.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편보호 편광 필름 또는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점착제층이 부착된 편광 필름을 갖는 화상 표시 장치.
  15. 제13항에 기재된 상기 점착제층이 부착된 편광 필름의 권회체로부터 조출되고, 상기 세퍼레이터에 의해 반송된 상기 점착제층이 부착된 편광 필름을 상기 점착제층을 개재하여 화상 표시 패널의 표면에 연속적으로 첩합되는 공정을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의 연속 제조 방법.
KR1020177008777A 2014-09-30 2015-09-29 편보호 편광 필름, 점착제층이 부착된 편광 필름, 화상 표시 장치 및 그 연속 제조 방법 KR1018449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202623 2014-09-30
JPJP-P-2014-202623 2014-09-30
JP2015189278A JP6077620B2 (ja) 2014-09-30 2015-09-28 片保護偏光フィルム、粘着剤層付偏光フィルム、画像表示装置およびその連続製造方法
JPJP-P-2015-189278 2015-09-28
PCT/JP2015/077576 WO2016052536A1 (ja) 2014-09-30 2015-09-29 片保護偏光フィルム、粘着剤層付偏光フィルム、画像表示装置およびその連続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3656A KR20170063656A (ko) 2017-06-08
KR101844935B1 true KR101844935B1 (ko) 2018-04-03

Family

ID=55866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8777A KR101844935B1 (ko) 2014-09-30 2015-09-29 편보호 편광 필름, 점착제층이 부착된 편광 필름, 화상 표시 장치 및 그 연속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061066B2 (ko)
JP (1) JP6077620B2 (ko)
KR (1) KR101844935B1 (ko)
CN (1) CN107076909B (ko)
SG (1) SG11201706375PA (ko)
TW (1) TWI60527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76908B (zh) * 2014-09-30 2020-09-29 日东电工株式会社 单侧保护偏振膜、带粘合剂层的偏振膜、图像显示装置及其连续制造方法
JP2018017996A (ja) * 2016-07-29 2018-02-01 日東電工株式会社 位相差層付偏光板および有機el表示装置
KR102510654B1 (ko) 2016-11-30 2023-03-15 니폰 제온 가부시키가이샤 편광판, 및 편광판의 제조 방법
CN110462473B (zh) * 2017-03-29 2021-12-21 日东电工株式会社 带粘合剂层的单侧保护偏振膜、图像显示装置及其连续制造方法
CN110361804B (zh) * 2018-04-09 2022-11-04 日东电工株式会社 偏振片的制造方法
KR20210025006A (ko) * 2018-06-28 2021-03-08 니폰 제온 가부시키가이샤 편광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KR102582641B1 (ko) 2018-11-30 2023-09-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526293B1 (ko) * 2019-01-25 2023-04-26 주식회사 엘지화학 표면 보호 필름 및 이를 이용한 유기 발광 전자 장치 제조 방법
KR20200121400A (ko) 2019-04-15 2020-10-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 장치
JP7126479B2 (ja) * 2019-07-23 2022-08-26 日東電工株式会社 位相差層付偏光板および有機el表示装置
CN115304967B (zh) * 2022-07-22 2023-08-15 大连奥首科技有限公司 一种晶圆切割保护液、制备方法、用途及切割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27450A (ja) 2010-03-31 2011-11-10 Sumitomo Chemical Co Ltd 偏光性積層フィルムの製造方法、および偏光板の製造方法
JP2013068804A (ja) * 2011-09-22 2013-04-18 Sumitomo Chemical Co Ltd 延伸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04478A (ja) * 1995-10-09 1997-04-22 Nippon Synthetic Chem Ind Co Ltd:The 吸水用シートおよび吸水用袋
JP3847130B2 (ja) 2001-10-11 2006-11-15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光散乱フイルム、光散乱フイルムの製造方法、偏光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04061565A (ja) 2002-07-24 2004-02-26 Nitto Denko Corp 偏光子、偏光板、それを用いた光学部材及び表示装置
JP2004223993A (ja) * 2003-01-27 2004-08-12 Mitsubishi Paper Mills Ltd インクジェット用記録材料
JP4525069B2 (ja) 2003-03-31 2010-08-18 住友化学株式会社 偏光板及びその製造方法
TW200428040A (en) 2003-03-31 2004-12-16 Sumitomo Chemical Co Polarizer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polarizer
CN100394223C (zh) 2003-04-21 2008-06-11 日东电工株式会社 偏振镜及其制造方法、偏振片、光学薄膜和图像显示装置
JP4044485B2 (ja) 2003-05-02 2008-02-06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を用いた偏光板
US7820080B2 (en) 2003-09-29 2010-10-26 Nitto Denko Corporation Method for producing polarizing film, polarizing film, and image display using the polarizing film
WO2006075736A1 (ja) 2005-01-17 2006-07-20 Nitto Denko Corporation 偏光板、その製造方法、光学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WO2007010788A1 (ja) 2005-07-19 2007-01-25 Nitto Denko Corporation 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WO2007032304A1 (ja) 2005-09-14 2007-03-22 Nitto Denko Corporation 光学補償層付偏光板、光学補償層付偏光板を用いた液晶パネル、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4905799B2 (ja) 2006-05-23 2012-03-2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偏光板用保護フィルム、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US7781506B2 (en) * 2007-01-26 2010-08-24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oly(vinyl alcohol) composition comprising a polyol
JP2009069375A (ja) 2007-09-12 2009-04-02 Sumitomo Chemical Co Ltd 偏光板の製造方法
JP4603572B2 (ja) 2007-11-14 2010-12-22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板用接着剤、偏光板、その製造方法、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09169333A (ja) 2008-01-21 2009-07-30 Nippon Zeon Co Ltd 偏光板
KR101653416B1 (ko) 2008-02-04 2016-09-01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편광판, 광학 부재 및 액정 표시 장치
JP5324316B2 (ja) 2008-05-27 2013-10-23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型偏光板、画像表示装置およびそれらの製造方法
US9334406B2 (en) 2009-02-25 2016-05-10 Lg Chem, Ltd. Composition for primer coating, optical film comprising the same, and polarizing plate comprising the same
JP6296674B2 (ja) * 2009-06-18 2018-03-20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用粘着シート
KR101293786B1 (ko) * 2009-12-31 2013-08-06 제일모직주식회사 편광자,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JP4868266B2 (ja) 2010-03-31 2012-02-01 住友化学株式会社 積層フィルムの製造方法および偏光板の製造方法
JP5546933B2 (ja) 2010-04-07 2014-07-09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型偏光板及び画像表示装置
JP2011221278A (ja) * 2010-04-09 2011-11-04 Sumitomo Chemical Co Ltd 偏光性積層フィルム、偏光板、およびそれらの製造方法
JP5474869B2 (ja) 2010-09-03 2014-04-16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膜を有する積層体ストリップロールの製造方法
JP5701679B2 (ja) 2010-09-03 2015-04-15 日東電工株式会社 矩形形状のパネルに偏光膜を有する光学フィルムを順次的に貼り付ける方法及び装置
JP5361941B2 (ja) 2010-09-03 2013-12-04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膜を有する積層体ストリップロールの製造方法
JP5511730B2 (ja) 2010-09-03 2014-06-04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的パネル組立体の連続的製造方法及び装置
JP4691205B1 (ja) 2010-09-03 2011-06-01 日東電工株式会社 薄型高機能偏光膜を含む光学フィルム積層体の製造方法
JP5502023B2 (ja) 2010-09-03 2014-05-28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膜を有する光学フィルム積層体ロールの製造方法
JP5478553B2 (ja) 2010-09-03 2014-04-23 日東電工株式会社 連続ウェブ状光学フィルム積層体ロ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442667B1 (ko) 2011-02-10 2014-09-19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판,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상표시장치
JP5930636B2 (ja) * 2011-09-27 2016-06-08 住友化学株式会社 偏光板
JP2013160775A (ja) 2012-02-01 2013-08-19 Sumitomo Chemical Co Ltd 偏光板及び光学部材
JP2013254186A (ja) 2012-05-08 2013-12-19 Fujifilm Corp 光学フィルム、偏光板、画像表示装置、及び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2013254072A (ja) * 2012-06-06 2013-12-19 Nitto Denko Corp 偏光板、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14036750A (ja) * 2012-08-16 2014-02-27 Makita Corp クリーナ
JP2014059547A (ja) 2012-08-23 2014-04-03 Fujifilm Corp 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JP6297772B2 (ja) 2012-09-03 2018-03-20 日東電工株式会社 積層体
JP6116880B2 (ja) 2012-12-07 2017-04-19 住友化学株式会社 偏光性積層フィルムおよび偏光板の製造方法
JP5602823B2 (ja) 2012-12-07 2014-10-08 住友化学株式会社 偏光性積層フィルムおよび偏光板の製造方法、偏光性積層フィルム
JP6066707B2 (ja) 2012-12-13 2017-01-25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2014125045A (ja) * 2012-12-26 2014-07-07 Mitsubishi Heavy Ind Ltd 自動車の空気調和機の配管構造
JP2014232126A (ja) 2013-03-19 2014-12-11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板の製造方法
JP5495458B1 (ja) 2013-09-11 2014-05-21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積層体の製造方法
JP6249820B2 (ja) * 2014-02-27 2017-12-20 住友化学株式会社 偏光板の製造方法及び偏光板
JPWO2015194523A1 (ja) * 2014-06-18 2017-05-25 住友化学株式会社 偏光子、粘着剤付き偏光板及び画像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27450A (ja) 2010-03-31 2011-11-10 Sumitomo Chemical Co Ltd 偏光性積層フィルムの製造方法、および偏光板の製造方法
JP2013068804A (ja) * 2011-09-22 2013-04-18 Sumitomo Chemical Co Ltd 延伸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6071372A (ja) 2016-05-09
JP6077620B2 (ja) 2017-02-08
CN107076909A (zh) 2017-08-18
TWI605277B (zh) 2017-11-11
SG11201706375PA (en) 2017-09-28
CN107076909B (zh) 2019-09-17
KR20170063656A (ko) 2017-06-08
US10061066B2 (en) 2018-08-28
US20170299790A1 (en) 2017-10-19
TW201621361A (zh) 2016-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4935B1 (ko) 편보호 편광 필름, 점착제층이 부착된 편광 필름, 화상 표시 장치 및 그 연속 제조 방법
KR102104084B1 (ko) 편광자, 편보호 편광 필름, 점착제층 부착 편광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 및 그 연속 제조 방법
KR102551734B1 (ko) 편광 필름, 점착제층 부착 편광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 및 그 연속 제조 방법
KR101855959B1 (ko) 편광 필름, 점착제층이 부착된 편광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
TWI801333B (zh) 附黏著劑層之單面保護偏光薄膜、影像顯示裝置及其連續製造方法
KR102338615B1 (ko) 광학 필름, 박리 방법 및 광학 표시 패널의 제조 방법
CN108780184B (zh) 单侧保护偏振膜、带有粘合剂层的偏振膜、图像显示装置及其连续制造方法
KR102159366B1 (ko) 투명 수지층 부착 편보호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점착제층 부착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및 화상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WO2016052536A1 (ja) 片保護偏光フィルム、粘着剤層付偏光フィルム、画像表示装置およびその連続製造方法
JP2020201508A (ja) 片保護偏光フィルム、粘着剤層付偏光フィルム、画像表示装置およびその連続製造方法
KR102289729B1 (ko) 표면 보호 필름 부착 편광 필름 및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