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0652B1 - 모바일 데크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모바일 데크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0652B1
KR101840652B1 KR1020177004815A KR20177004815A KR101840652B1 KR 101840652 B1 KR101840652 B1 KR 101840652B1 KR 1020177004815 A KR1020177004815 A KR 1020177004815A KR 20177004815 A KR20177004815 A KR 20177004815A KR 101840652 B1 KR101840652 B1 KR 1018406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mobile deck
fixing member
deck
mob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48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1759A (ko
Inventor
이종만
김상식
Original Assignee
(주)대동인터내셔날
주식회사대동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동인터내셔날, 주식회사대동이엔지 filed Critical (주)대동인터내셔날
Publication of KR201700417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17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06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06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18Detachable de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18Detachable decks
    • B63B25/20Detachable decks for motor vehicl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 B63B25/0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for wheeled cargo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 Auxiliary Methods And Devices For Loading And Unload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 데크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등 적재물이 적재되는 모바일 데크를 상승시키는 동작만으로 층층이 프레임에 설치된 스토퍼에 자동으로 안착되도록 함과 동시에 모바일 데크를 하강시키는 작업을 수행할 때 또한 작업자가 별도의 조작 없이 모바일 데크를 들어올리는 작동만으로 모바일 데크가 스토퍼로부터 이탈되면서 하강작업이 이루어지게 되어 모바일 데크에 차량 등 적재물을 선적 및 하역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모바일 데크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모바일 데크 지지장치에 있어서, 각 모서리부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스토퍼부와, 상기 스토퍼부의 상부로 이격되게 프레임에 설치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설치되는 작동부와, 상기 작동부와 스토퍼부를 서로 연결시키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모바일 데크 지지장치{Mobile deck lifter}
본 발명은 모바일 데크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등 적재물이 적재되는 모바일 데크를 상승시키는 동작만으로 층층이 프레임에 설치된 스토퍼에 자동으로 안착되도록 함과 동시에 모바일 데크를 하강시키는 작업을 수행할 때 또한 작업자가 별도의 조작 없이 모바일 데크를 들어올리는 작동만으로 모바일 데크가 스토퍼로부터 이탈되면서 하강작업이 이루어지게 되어 모바일 데크에 차량 등 적재물을 선적 및 하역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모바일 데크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바일 데크는 차량 운반용 선박(PCC : Pure Car Carrier, PC & Truck Carrier)에 있어서, 한정된 공간 내에 보다 많은 양의 차량을 선적하기 위하여 다수의 층으로 차량을 선적하는 장치이다.
즉, 모바일 데크는 4개의 기둥에 차량이 탑재되어 승, 하강하는 모바일 데크의 하부 각 모서리를 지지하는 지지장치를 다수의 층으로 형성하여 각각의 지지장치에 차량이 탑재된 모바일 데크가 안착 되도록 하여 선적하는 것으로, 다량의 차량을 탑재할 수 있도록 한 장치이다.
이와 같이 종래의 모바일 데크 지지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의 내부에 설치되는 각 기둥(1)의 내측면에 회전축(21)을 중심으로 회동되도록 스토퍼(2)가 층층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스토퍼를 회동시킬 수 있도록 각각의 스토퍼에는 와이어(10)가 연결되고, 스토퍼(2)에 연결된 반대 방향의 와이어(10)는 각각의 와이어(10)를 선택적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고정수단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모바일 데크 지지장치는 모바일 데크(3)를 최상층부터 선적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모바일 데크(3)를 상측으로 상승시키게 되면 하측에 설치된 스토퍼(2)와 접촉하여 하측에 구비된 스토퍼(2)를 접으면서 상측으로 이동하여 최상측에 위치한 스토퍼(2)에 안착시켜 선적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하여 각층에 구비된 스토퍼(2)에 모바일 데크(3)를 안착시켜 각 층에 구비된 스토퍼(2)에 순차적으로 모바일 데크(3)를 선적할 수 있게 된다.
반대로, 모바일 데크(3)를 하역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일 하층에 위치한 모바일 데크(3)로부터 하역작업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때에는 스토퍼(2)에 안착된 모바일 데크(3)를 상부로 약간 들어올려 스토퍼(2)가 회전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한 다음 와이어(10)를 당기게 되면 스토퍼(2)는 회전축(21)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접히게 되고, 이 상태에서 모바일 데크(3)를 하강시켜는 하역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렇게, 하단에 구비된 모바일 데크(3)를 하역한 후에는 하단의 스토퍼(2)는 접힌 상태에서 다음 층 스토퍼(2)를 하측의 스토퍼(2)를 접는 동일한 방법으로 접은 후 모바일 데크(3)를 하강시키는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스토퍼를 접은 후 모바일 데크를 하강시키는 작업을 수행하는 방식으로 스토퍼에 안착된 모바일 데크를 순차적으로 하강시키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모바일 데크 지지장치는 각 층에 모바일 데크를 지지되게 하고, 데크를 하강시킬 때마다 스토퍼를 선회동작을 제어하는 와이어를 이용하여 스토퍼를 작동시켜야 함으로써, 작업 능률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리프트장치가 탑재된 차량을 운전하는 작업자가 선적하고자 하는 해당 층의 하부에 리프트차량을 이동시킨 다음 운전석으로부터 하차하여 해당 층의 와이어를 묶거나 푸는 동작을 반복하여야 하기 때문에 작업 능률이 크게 떨어지게 되고, 선적 및 하역작업에 많은 시간과 노동력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249073호 "모바일 데크 지지장치"를 제시한 바 있다.
그러나, 특허등록 제10-1249073호는 구조가 복잡하고, 많은 부품이 필요로 함으로써, 제작 단가가 상승하게 되고, 유지보수작업을 수행하는데 많은 시간이 요구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모바일 데크를 상승시키게 되면 스토퍼가 자동으로 접힘과 동시에 스토퍼의 자중에 의해 원상복귀되어 모바일 데크가 안전하게 안착되어 모바일 데크에 적재물의 선적작업이 완료되고, 하역작업 또한 자동으로 스토퍼가 접혀 모바일 데크를 하강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모바일 데크에 적재되는 적재물의 선적 및 하역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모바일 데크의 승, 하강 동작에 의해 자동으로 스토퍼가 접히거나 펼쳐짐으로써, 모바일 데크에 적재되는 적재물의 선재 및 하역작업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선적 및 하역작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작동부의 동작에 의해 스토퍼가 동작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부는 와이어를 이용하여 스토퍼가 작동하도록 함으로써, 스토퍼의 반복적인 동작에 의해 모바일 데크 지지장치의 부품들이 쉽게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가이드부의 와이어를 동작시키는 로울러에는 "V"자 형상으로 형성된 홈을 형성함으로써, 와이어를 동작시킬 때 로울러로부터 와이어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모바일 데크 지지장치에 있어서, 각 모서리부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스토퍼부와, 상기 스토퍼부의 상부로 이격되게 프레임에 설치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설치되는 작동부와, 상기 작동부와 스토퍼부를 서로 연결시키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스토퍼부는 프레임에 결합 고정되는 제1고정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제1고정부재의 정면으로 돌출된 제1고정구가 형성되며, 상기 제1고정구에 결합 고정되는 스토퍼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스토퍼의 상부로 돌출된 제1결속구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는 프레임에 결합 고정되는 제2고정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제2고정부재의 정면으로 돌출되되, 서로 이격되게 수평 방향으로 배열된 제2,3고정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3고정구의 끝단 하부에는 제2결속구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작동부는 고정부의 제2고정구에 결합 고정되는 하우징이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연장되어 끝단부에 제1로울러가 마련된 연장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의 정면에 결합 고정되되, 끝단부에 제2로울러가 마련된 레버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로울러와 제2로울러는 고정부의 제3고정구 방향으로 돌출되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제1로울러에는 안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는 일측 끝단부가 스토퍼부의 스토퍼에 형성된 제1결속구에 결합 고정되고, 타측 끝단부는 고정부의 제3고정구에 형성된 제2결속구에 결합 고정되는 와이어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와이어는 "<"자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모바일 데크를 상승시키게 되면 스토퍼가 자동으로 접힘과 동시에 스토퍼의 자중에 의해 원상복귀되어 모바일 데크가 안전하게 안착되어 모바일 데크에 적재물의 선적작업이 완료되고, 하역작업 또한 자동으로 스토퍼가 접혀 모바일 데크를 하강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모바일 데크에 적재되는 적재물의 선적 및 하역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모바일 데크의 승, 하강 동작에 의해 자동으로 스토퍼가 접히거나 펼쳐짐으로써, 모바일 데크에 적재되는 적재물의 선적 및 하역작업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선적 및 하역작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작동부의 동작에 의해 스토퍼가 동작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부는 와이어를 이용하여 스토퍼가 작동하도록 함으로써, 스토퍼의 반복적인 동작에 의해 모바일 데크 지지장치의 부품들이 쉽게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가이드부의 와이어를 동작시키는 로울러에는 "V"자 형상으로 형성된 홈을 형성함으로써, 와이어를 동작시킬 때 로울러로부터 와이어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모바일 데크 지지장치를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데크 지지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데크 지지장치를 보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데크 지지장치를 보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데크 지지장치를 보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스토퍼부를 보인 도면.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고정부를 보인 도면.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작동부를 보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연결부를 보인 도면.
도 10a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데크 지지장치의 작용관계를 보인 것으로, 모바일 데크가 스토퍼에 안착되는 단계를 보인 도면.
도 10b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데크 지지장치의 작용관계를 보인 것으로, 모바일 데크가 스토퍼에 안착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10c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데크 지지장치의 작용관계를 보인 것으로, 모바일 데크가 하강되는 단계를 보인 도면.
도 10d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데크 지지장치의 작용관계를 보인 것으로, 모바일 데크가 하강된 상태를 보인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데크 지지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데크 지지장치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데크 지지장치를 보인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데크 지지장치를 보인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데크 지지장치를 보인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스토퍼부를 보인 도면이고,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고정부를 보인 도면이고,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작동부를 보인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연결부를 보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데크 지지장치(100)는 선박의 내부에 설치되는 프레임(110)과, 상기 프레임(110)에 설치되는 스토퍼부(210)와, 상기 스토퍼부(210)의 상부로 이격되게 프레임(110)에 설치되는 고정부(310)와, 상기 고정부(310)에 설치되는 작동부(410)와, 상기 작동부(410)와 스토퍼부(210)를 서로 연결시켜 작동부(310)의 동작에 의해 스토퍼부(210)가 동작하도록 하는 연결부(51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110)은 선박의 내부 각 모서리부에 수직 방향으로 다수개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부(210)는 프레임(110)에 볼트 등 고정수단에 의해 결합 고정되되, 정면으로 돌출되게 제1고정구(214)가 형성된 제1고정부재(212)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제1고정부재(212)에 형성된 제1고정구(214)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핀 등에 의해 결합 고정되는 스토퍼(220)가 구비된다.
나아가, 상기 스토퍼(220)의 상단부에는 상부로 돌출되게 제1결속구(222)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스토퍼(220)는 모바일 데크가 상부로 상승하면서 접촉하게 되면 제1고정구(214)에 고정된 위치를 중심으로 상부로 회동하여 수직 상태가 되고, 모바일 데크로부터 스토퍼(220)가 벗어나게 되면 스토퍼(220)는 자중에 의해 원상복귀하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부(310)는 프레임(110)에 볼트 등 고정수단에 의해 결합 고정되되, 스토퍼부(210)의 제1고정부재(212) 상부에 위치되어 소정의 간격을 두고 결합 고정되는 제2고정부재(312)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제2고정부재(312)의 정면으로 돌출되게 제2고정구(314)가 형성되고, 제2고정구(314)에 이웃하는 제3고정구(316)가 형성되되, 제2,3고정구는 소정의 간격이 유지되게 형성되며, 제3고정구(316)는 제2고정구(314)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3고정구(316)의 끝단부에는 하부로 돌출되게 제2결속구(318)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2고정부재(312)는 제1고정부재(212)의 상부로 소정의 간격이 이격된 상태로 프레임(110)에 결합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작동부(410)는 고정부(310)의 제2고정구(314)에 볼트와 너트 등 고정수단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 고정되는 하우징(412)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하우징(412)은 일측부에 제2고정구(314)가 끼워지도록 절개된 체결홈(414)이 형성되어 이 하우징(412)의 체결홈(414)에 제2고정구(314)가 끼워진 상태에서 볼트 등 고정수단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 고정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412)은 제2고정구(314)에 결합 고정된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상, 하부로 회동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412)의 하부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재(416)가 구비되고, 이 연장부재(416)의 하부 끝단부에는 제1로울러(418)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연장부재(416)는 하우징(412)과 일체로 형성하되, 하우징(412)과 연장부재(416)를 별도로 제작한 후 볼트 등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결합 고정시킬 수도 있다.
나아가, 상기 제1로울러(418)는 제3고정구(316)가 형성된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되고, 외주면에는 "V"자 형상으로 형성된 안착홈(418a)이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하우징(412)의 일측부, 즉 수평 방향으로 돌출되게 일측부가 볼트 등 고정수단에 의해 견고하게 결합 고정되는 레버(420)가 구비되고, 이 레버(420)의 끝단부에는 고정부(310)의 제3고정구(316)가 형성된 방향으로 돌출되게 제2로울러(422)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레버(420)와 연장부재(416)는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모바일 데크가 상부로 상승하면서 제2로울러(422)와 접촉하여 상부로 밀어주게 되면 제2고정구(314)에 결합 고정된 위치를 중심으로 하우징(412)과 연장부재(416) 및 레버(420)가 상부로 회동을 하게 되고, 제2로울러로(422)부터 모바일 데크가 벗어나게 되면 자중에 의해 하우징(412)과 연장부재(416) 및 레버(420)는 하부로 회전하여 원상복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연결부(510)는 "<"자 형상으로 형성되되, 일측 끝단부는 스토퍼(220)에 형성된 제1결속구(222)에 볼트 등 고정수단에 의해 회동되게 결합 고정되고, 타측 끝단부는 고정부(310)의 제3고정구(316)에 형성된 제2결속구(318)에 회동되게 볼트 등 고정수단에 의해 결합 고정되는 와이어(512)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와이어(512)는 작동부(410)의 연장부재(416)에 구비된 제1로울러(418)의 안착홈(418a)에 밀착되게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작동부(410)의 하우징(412)과 연장부재(416) 및 레버(420)가 하부로 회동할 때 와이어(512)를 후부로 밀어주게 되어 스토퍼(220)가 상부로 회동되어 수직 상태가 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데크 지지장치에 대한 작용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0a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데크 지지장치의 작용관계를 보인 것으로, 모바일 데크가 스토퍼에 안착되는 단계를 보인 도면이고, 도 10b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데크 지지장치의 작용관계를 보인 것으로, 모바일 데크가 스포터에 안착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10c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데크 지지장치의 작용관계를 보인 것으로, 모바일 데크가 하강되는 단계를 보인 도면이고, 도 10d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데크 지지장치의 작용관계를 보인 것으로, 모바일 데크가 하강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데크 지지장치(100)는 먼저, 차량이 탑재된 모바일 데크(102)를 선적하는 경우에는 리프트장치(미도시)를 이용하여 모바일 데크(102)를 상승시키게 되면 상승하는 모바일 데크(102)는 스토퍼(220)와 접촉하여 스토퍼(220)를 상부로 회전, 즉 스토퍼(220)는 모바일 데크(102)와 접촉하면서 상승하는 힘에 의해 제1고정구(214)를 중심으로 스토퍼(220)가 상부로 회전하여 수직상태가 되게 된다.
이렇게, 상기 스토퍼(220)를 상부로 회전시킨 상태로 모바일 데크(102)를 계속해서 상부로 상승시켜 스토퍼(220)로부터 벗어나게 되면 스토퍼(220)는 자중에 의해 하부로 회전하여 원상복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220)를 통과한 모바일 데크(102)는 계속해서 상부로 상승하게 되고, 이때 모바일 데크(102)는 레버(420)에 구비된 제2로울러(422)와 접촉하게 되어 레버(420)가 결합 고정된 하우징(412)이 제2고정구(314)에 결속된 위치를 중심으로 연장부재(416)와 레버(420)와 함께 상부로 회동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스토퍼부(210)의 상부에 구비된 작동부(410)에 접촉하여 하우징(412)과 연장부재(416) 및 레버(420)가 회전된 상태에서 모바일 데크(102)를 하강시키게 되면 모바일 데크(102)는 스토퍼(220)의 상부에 안착되게 된다.
즉, 도 10a와 같이 모바일 데크(102)를 상부로 상승시키게 되면 스토퍼(220)와 접촉하면서 스토퍼(220)를 회전시키고, 모바일 데크(102)가 스토퍼(220)를 벗어남과 동시에 스토퍼(220)는 원상복귀되고, 모바일 데크(102)는 제2로울러(422)와 접촉하여 작동부(410)의 하우징(412)과 연장부재(416) 및 레버(420)를 상부로 회동시킨 상태가 되며, 이 상태에서 모바일 데크(102)를 하강시키게 되면 스토퍼(220)의 상부에 모바일 데크(102)가 안착된 상태가 된다.
즉, 도 10b와 같이 모바일 데크(102)가 스토퍼(220)의 상부에 안착되되, 작동부(410)의 레버(420)에 구비되 제2로울러(422)가 모바일 데크(102)의 측부에 접촉되어 하우징(412)과 이 하우징(412)에 구비된 연장부재(416)가 상부로 회전한 상태로 모바일 데크(102)가 스토퍼(220)의 상부에 안착된 상태를 유지되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반복적인 모바일 데크(102)의 동작에 의해 상층부터 순차적으로 스토퍼(220)에 모바일 데크(102)가 적재물의 적재상태가 되도록 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반대로, 상기 모바일 데크 지지장치(100)에 선적된 모바일 데크(102)를 하강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모바일 데크(102)를 상부에 구비된 스토퍼(220)부터 순차적으로 안착시킬 때와 반대로 하층부터 하강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즉, 도 10c와 같이 모바일 데크 지지장치(100)의 스토퍼(220)에 안착된 모바일 데크(102)를 리프트장치를 이용하여 스토퍼(220)에 안착된 모바일 데크(102)를 제1로울러(422)로부터 이탈될 때까지 상부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렇게, 상기 스토퍼(220)의 상부로부터 이격되게 이동시키게 되면 제2로울러(422)가 모바일 데크(102)로부터 이탈되면서 작동부(410)는 자중에 의해 하부로 회전하면서 원상복귀되어 제1로울러(418)가 와이어(512)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모바일 데크(102)를 하부로 이동시키게 되면 모바일 데크(102)의 하부에 제2로울러(422)가 접촉됨과 동시에 가압력이 발생하게 되어 작동부(410)를 하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모바일 데크(102)가 하강하게 된다.
이렇게, 상기 모바일 데크(102)의 하강에 의해 작동부(410)가 하부로 회전할 때 제1로울러(418)와 접촉된 와이어(512)를 후부로 밀어주게 됨과 동시에 와이어(512)의 가압력에 의해 스토퍼(220)가 상부 방향으로 수직 상태가 되게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스토퍼(220)가 상부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도 10d와 같이 모바일 데크(102)의 하강시 스토퍼(220)에 방해를 받지 않고 용이하게 하부로 이동 가능하여 하강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방법으로 하여 다층으로 구비된 스토퍼(220)에 안착되어 상부에 적재물이 적재된 모바일 데크(102)를 하층부터 순차적으로 하강시켜 하역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모바일 데크 지지장치(100)에 모바일 데크(102)를 스토퍼(220)에 안착 또는 하강시킬 때 모바일 데크(102)의 상승 또는 하강 동작에 의해 자동으로 스토퍼(220)가 접히거나 펼쳐지도록 구성되어 있어 별도의 조작 없이 간편하고 용이하게 모바일 데크(102)를 수토퍼(220)에 안착시키거나 스토퍼(220)로부터 이탈되어 하강하도록 하여 모바일 데크(102)에 적재물의 적재하거나 하역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데크 지지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본 발명은 모바일 데크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등 적재물이 적재되는 모바일 데크를 상승시키는 동작만으로 층층이 프레임에 설치된 스토퍼에 자동으로 안착되도록 함과 동시에 모바일 데크를 하강시키는 작업을 수행할 때 또한 작업자가 별도의 조작 없이 모바일 데크를 들어올리는 작동만으로 모바일 데크가 스토퍼로부터 이탈되면서 하강작업이 이루어지게 되어 모바일 데크에 차량 등 적재물을 선적 및 하역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모바일 데크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Claims (10)

  1. 모바일 데크 지지장치에 있어서,
    선박의 내부 각 모서리부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결합 고정되는 제1고정부재와, 상기 제1고정부재의 정면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1고정구와, 상기 제1고정구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부에 제1결속구가 돌출 형성된 스토퍼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스토퍼부와,
    상기 스토퍼부의 상부로 이격되도록 하여 프레임에 결합 고정되는 제2고정부재와, 상기 제2고정부재의 정면으로 돌출되도록 하여 서로 이격되게 수평 방향으로 배열된 제2,3고정구 및 상기 제3고정구의 끝단 하부에 돌출 형성되는 제2결속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설치되는 작동부 및
    일측 단부가 제1결속구에 결합 고정되고, 타측 단부는 제2결속구에 결합 고정되어 상기 작동부와 스토퍼부를 서로 연결시키는 와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작동부는 일측부에 제2고정구가 삽입되는 체결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2고정구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하부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재와, 상기 연장부재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제1로울러와, 상기 하우징의 일측부에 수평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결합 고정되는 레버 및 상기 레버의 단부에 구비되는 제2로울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3고정구는 제2고정구에 비해 길게 형성되며,
    상기 제1로울러에는 와이어가 안착되는 "V"자 형상의 안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데크 지지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로울러와 제2로울러는 고정부의 제3고정구 방향으로 돌출되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데크 지지장치.
  8. 삭제
  9. 삭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자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데크 지지장치.
KR1020177004815A 2014-09-15 2014-09-15 모바일 데크 지지장치 KR1018406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4/008551 WO2016043350A1 (ko) 2014-09-15 2014-09-15 모바일 데크 지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1759A KR20170041759A (ko) 2017-04-17
KR101840652B1 true KR101840652B1 (ko) 2018-03-21

Family

ID=55533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4815A KR101840652B1 (ko) 2014-09-15 2014-09-15 모바일 데크 지지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423101B2 (ko)
KR (1) KR101840652B1 (ko)
CN (1) CN107000819B (ko)
WO (1) WO201604335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8381B1 (ko) * 2023-11-20 2024-04-18 대륜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승강데크 안전 지지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80577A (ja) * 1999-12-24 2001-07-03 Shin Kurushima Dockyard Co Ltd リフタブルデッキの支持構造
KR100919514B1 (ko) * 2008-12-01 2009-09-28 주식회사대동이엔지 모바일 데크 지지장치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0194U (ko) * 1985-07-03 1987-01-22
US7104214B2 (en) * 2003-10-03 2006-09-12 Hydralift Amclyde, Inc. Fairlead with integrated chain stopper
KR20090075406A (ko) * 2008-01-04 2009-07-0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자동차 운반선용 카데크의 자동 스토퍼장치
JP4317582B1 (ja) * 2008-12-26 2009-08-19 デドンイエンジ株式会社 モバイルデッキ支持装置
CN101811557A (zh) * 2009-02-20 2010-08-25 株式会社大同工程 活动甲板支撑设备
SE535189C2 (sv) * 2010-09-13 2012-05-15 Tts Marine Ab Anordning vid hissbart lastdäck för fartyg
KR101249073B1 (ko) * 2010-11-16 2013-04-10 주식회사대동이엔지 모바일 데크 지지장치
JP2013010480A (ja) * 2011-06-30 2013-01-17 Mitsubishi Heavy Ind Ltd リフタブルデッキ支持金具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80577A (ja) * 1999-12-24 2001-07-03 Shin Kurushima Dockyard Co Ltd リフタブルデッキの支持構造
KR100919514B1 (ko) * 2008-12-01 2009-09-28 주식회사대동이엔지 모바일 데크 지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000819B (zh) 2020-04-03
JP2017530059A (ja) 2017-10-12
CN107000819A (zh) 2017-08-01
KR20170041759A (ko) 2017-04-17
WO2016043350A1 (ko) 2016-03-24
JP6423101B2 (ja) 2018-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709690C2 (ru) Подъемный узел (варианты), пользовательское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и способ снятия настила с подъемного узла
KR100919514B1 (ko) 모바일 데크 지지장치
KR101840652B1 (ko) 모바일 데크 지지장치
KR101569874B1 (ko) 접이식지게차 및 지게차적재대가 구비된 화물차
KR101249073B1 (ko) 모바일 데크 지지장치
KR101360241B1 (ko) 화물차량의 적재함 게이트 개폐장치
JP3193459U (ja) テールゲートリフタ装置
KR200444904Y1 (ko) 사다리차에 구비되는 운반대
JP2009001314A (ja) キャスター付パレット
JP4429225B2 (ja) トラックおよび鉄道輸送兼用コンテナーならびに該コンテナー用のトラック車両
KR102628995B1 (ko) 응급차량용 슬라이딩 베드
JP4995850B2 (ja) 昇降床の支持構造
KR200447179Y1 (ko) 압연 롤 스탠드용 리프터의 상부 프레임 구조체
JP2008081063A (ja) 折り畳み自在な搬送用台車
KR100554148B1 (ko) 사다리차
JP3206335U (ja) スロープ
KR101057685B1 (ko) 소폭 및 광폭 화물 적재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물 적재방법
KR101847819B1 (ko) 개선된 차량 적재 데크 승강구조를 구비한 차량 운송 트레일러
JP2003314073A (ja) 地下式駐車装置
JP6164955B2 (ja) 荷受台および荷受台昇降装置
JPH031392Y2 (ko)
JP3179441U (ja) 車両用リフト
JP2022137897A (ja) 作業機械
JP6108992B2 (ja) 荷受台および荷受台昇降装置、並びに荷受台の組立方法
JP2004107028A (ja) 荷役車両および荷役車両における荷役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