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4904Y1 - 사다리차에 구비되는 운반대 - Google Patents

사다리차에 구비되는 운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4904Y1
KR200444904Y1 KR2020070009046U KR20070009046U KR200444904Y1 KR 200444904 Y1 KR200444904 Y1 KR 200444904Y1 KR 2020070009046 U KR2020070009046 U KR 2020070009046U KR 20070009046 U KR20070009046 U KR 20070009046U KR 200444904 Y1 KR200444904 Y1 KR 2004449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wall
ladder
rear wall
wall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90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5980U (ko
Inventor
주현석
Original Assignee
주현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현석 filed Critical 주현석
Priority to KR20200700090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4904Y1/ko
Publication of KR2008000598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598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49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490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2700/00Lifting apparatus
    • B66F2700/09Other lif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다리가 탑재된 사다리차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사다리차의 사다리 구조물에 장착된 운반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사다리차의 운반대는, 사다리차의 사다리 구조물에 장착되어 상기 사다리 구조물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승강하며, 바닥을 형성하는 밑판; 상기 밑판의 가장 자리에 각각 힌지 결합된 한 쌍의 측벽과 후벽; 상기 측벽과 후벽에 형성되고, 상기 밑판에 대해 세워진 상기 측벽과 후벽을 서로 연결하여 고정하는 고리와 래치; 그리고 상기 후벽의 단부와 접하는 상기 측벽의 단부에 힌지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측벽에 대해 접혀서 상기 후벽의 뒷면에 밀착될 수 있으며, 상하로 승강하면서 상기 고리와 래치를 복개하거나 노출하는 보조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사다리차의 운반대를 제공한다.
사다리차, 사다리 구조물, 운반대, 밑판, 측벽, 후벽, 보조판, 힌지

Description

사다리차에 구비되는 운반대{Carrier for ladder truck}
도 1은 일반적인 사다리차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일반적인 사다리차의 운반대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운반대가 펼쳐진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다리차의 운반대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운반대에서 보조판이 올려진 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 사시도; 그리고
도 6은 도 4의 운반대가 펼쳐진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차체 2: 지지 다리
3: 사다리 구조물 100: 운반대
110: 밑판 120: 앞벽
130: 측벽 140: 후벽
150: 힌지 151: 보스
152: 힌지축 153: 너트
160: 보조판 170: 고리
180: 래치
본 고안은 사다리가 탑재된 사다리차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사다리차의 사다리 구조물에 장착된 운반대에 관한 것이다.
사다리차는 소방서 등에서 화재 진압이나 인명 구조용으로 사용하거나 이사 회사 등에서 짐을 운반기 위한 용도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사다리차는 그 용도는 약간 다를 지라도 그 기본 구조는 서로 대동소이하다고 할 수 있다. 도 1에는 짐 운반용 사다리차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하에서는 이를 참조하여 상기 사다리차에 대해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일반적인 사다리차는 트럭에 사다리를 탑재한 것으로, 사다리차의 차체(1) 상부에는 그 길이와 각도가 조절될 수 있는 사다리 구조물(3)이 탑재되고, 상기 사다리 구조물(3)에는 상기 사다리 구조물(3)을 따라 승강하는 운반대(10)가 장착된 구조를 가진다.
여기서, 상기 운반대(10)는 짐 운반용 사다리차의 경우에는 짐을 효율적으로 운반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며, 소방용 사다리차의 경우에는 화재 진압 및 인명 구조를 위해 사람이 안전하게 탑승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이와 더불어, 상기 사다리차의 차체(1)를 안정적으로 지지함으로써 상기 사다리차의 전복을 방지하도록 상기 사다리차의 차체(1)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 개의 지지 다리(2)가 구비된다.
상기 사다리 구조물(3)은 상기 차체(1)에 대해 회전할 수도 있고, 그 자체가 길이 방향을 따라 늘어나거나 줄어들 수 있으며, 수직방향으로 세워지거나 수평방향으로 뉘어짐으로써 그 각도가 조절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운반대(10)는 상기 사다리 구조물(3)에 탑재되어, 상기 사다리 구조물(3)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승강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운반대(10)와 상기 사다리 구조물(3)을 이용하여 고층에 있는 화물을 지상으로 내리거나, 지상의 화물을 고층으로 올리는 작업 등을 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운반대(10)는 밑면을 이루는 밑판(11)과 상기 밑판(11)의 가장 자리에서 위쪽으로 세워진 앞벽(12)과 측벽(13) 및 후벽(1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앞벽(12)과 상기 측벽(13) 및 상기 후벽(14)은 힌지(15)에 의해 상기 밑판(11)과 결합되므로, 상기 운반대(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십자 형태로 펼쳐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운반 대상물의 크기 및 폭이 큰 경우에는 상기 운반대(10)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펼친 후 그 위에 해당 운반 대상물을 올려 운반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운반대(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펼쳐졌을 때 십자 형태로 이루어지므로 크기 또는 폭이 큰 운반 대상물의 운반 시 그 모서리를 지지하지 못하는 결점이 있다. 이 경우, 상기 운반대(10)가 상기 사다리 구조물(3)을 따라 승강할 때 상기 운반대(10)가 그 위에 올려진 상기 운반 대상물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사다리차의 사다리 구조물에 장착되는 운반대가 펼쳐진 상태에서도 그 위에 올려진 운반 대상물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사다리차에 구비되는 운반대의 구조를 개선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운반대의 측벽과 후벽을 연결하는 래치를 사용자가 손쉽게 열고 닫을 수 있도록 사다리차에 구비되는 운반대의 구조를 개선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형태에서는, 사다리차의 사다리 구조물에 장착되어 상기 사다리 구조물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승강하며, 바닥을 형성하는 밑판; 상기 밑판의 가장 자리에 각각 힌지 결합된 한 쌍의 측벽과 후벽; 상기 측벽과 후벽에 형성되고, 상기 밑판에 대해 세워진 상기 측벽과 후벽을 서로 연결하여 고정하는 고리와 래치; 그리고 상기 후벽의 단부와 접하는 상기 측벽의 단부에 힌지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측벽에 대해 접혀서 상기 후벽의 뒷면에 밀착될 수 있으며, 상하로 승강하면서 상기 고리와 래치를 복개하거나 노출하는 보조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사다리차에 구비되는 운반대를 제공한다.
상기 측벽과 상기 보조판을 연결하는 힌지는, 상기 측벽과 보조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된 보스; 상기 보스에 끼워지는 긴 힌지축; 그리고 상기 힌지축이 소정의 유격을 가지고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보스와 소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되어 상기 힌지축에 고정된 너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보조판은, 상기 측벽에 대해 평평하게 펼쳐지고 상기 측벽과 상기 후벽이 상기 밑판에 대해 평평하게 펼쳐졌을 때, 상기 후벽의 양쪽 단부를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보조판과 상기 측벽 및 상기 후벽은, 상기 보조판이 상기 측벽에 대해 평평하게 펼쳐지고 상기 측벽과 상기 후벽이 상기 밑판에 대해 평평하게 펼쳐졌을 때, 상기 밑판과 함께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을 형성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하 상기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고안의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된다.
본 고안에 따른 제어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1)에 그 길이가 늘어나고 줄어들 수 있도록 구성된 사다리 구조물(3)이 구비된 사다리차에 적용된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다리차의 구조는 상기 사다리 구조물(3)에 장착되는 운반대(100)를 제외하고는 그 구성이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그것과 실질적으로 대동소이하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사다리차의 다른 부분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고 상기 운반대(100)에 대해서만 좀더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운반대(100)는 도 4 내지 도 6에 잘 도시되어 있는데, 이하에서는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참고로,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 시예에 따른 사다리차의 운반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운반대에서 보조판이 올려진 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4의 운반대가 펼쳐진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운반대(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운반대(100)의 바닥을 형성하는 밑판(110)과 상기 밑판(110)에 각각 힌지(150)에 의해 결합되는 한 쌍의 측벽(130) 및 후벽(1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에 더해, 상기 운반대(100)는 상기 밑판(110)에 힌지(150)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후벽(140)과 마주보게 배치되는 앞벽(120)을 더 포함하여 이루질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밑판(110)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운반대(100)의 바닥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밑판(110)은 상기 사다리 구조물(3)에 장착되어 상기 사다리 구조물(3)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승강한다. 이러한 상기 밑판(110)은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 형상을 가진다.
상기 한 쌍의 측벽(130)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밑판(110)의 양쪽 가장 자리에 상기 힌지(150)에 의해 결합된다. 상기 한 쌍의 측벽(130)은 따라서 상기 밑판(110)에 대해 평평하게 뉘어지거나 상기 밑판(110)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세워질 수도 있다.
상기 앞벽(120)은 상기 밑판(110)의 앞쪽 가장 자리에 상기 힌지(150)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후벽(140)은 상기 밑판(110)의 뒤쪽 가장 자리에 상기 힌지(150)에 의해 결합된다. 상기 앞벽(120)은 도 1을 참조하였을 때 상기 사다리 구조물(3)과 인접하여 상기 사다리 구조물(3)을 바라보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후 벽(140)은 상기 사다리 구조물(3)과 멀리 떨어진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앞벽(120)과 상기 후벽(140)은 각각 상기 밑판(110)에 대해 평평하게 뉘어지거나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세워질 수 있다. 상기 앞벽(120)과 상기 후벽(140)이 각각 상기 밑판(110)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세워진 경우, 상기 앞벽(120)과 후벽(14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마주보게 된다.
상기 앞벽(120)과 후벽(140) 및 한 쌍의 측벽(13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에 국한되지만은 않는다. 다른 예로, 상기 앞벽(120)과 후벽(140) 및 한 쌍의 측벽(130)은 비록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격자 형태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물론, 격자 형태의 프레임에 판재가 덧대어진 형태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상기 앞벽(120)과 상기 후벽(140) 및 한 쌍의 측벽(130)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리(170)와 래치(180)에 의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상기 측벽(130)의 단부에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 형상의 고리(170)가 형성되고, 상기 후벽(140)에는 래치(180)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래치(180)를 상기 고리(170)에 걸고 잠그면, 상기 측벽(130)과 후벽(140)이 서로 연결된 상태로 고정되므로, 상기 측벽(130)과 후벽(140)은 상기 밑판(110)에 대해 세워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반대로, 상기 운반대(100)를 펼치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래치(180)를 상기 고리(170)로부터 풀어주어야만 한다.
한편,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다리차의 운반대(100)에서 상기 측 벽(130)에는 보조판(160)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좀더 상세하게는, 상기 보조판(160)은 상기 측벽(130)의 양 단부 중 상기 후벽(140)의 단부와 접하는 단부에 힌지(150)에 의해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보조판(160)은 상기 힌지(150)를 중심으로, 도 4에서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좌우 방향으로 회동할 수도 있고 상하 방향으로 승강할 수도 있다. 참고로, 도 4의 확대도는 상기 보조판(160)이 상승한 상태를 보여주며, 도 5의 확대도는 상기 보조판(160)이 하강한 상태를 보여준다.
상기 보조판(160)이 좌우 방향으로 회동하고, 상하 방향으로 승강할 수 있도도록, 상기 보조판(160)과 상기 측벽(130)을 연결하는 본 고안에 다른 힌지(150)는 특수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도 4 및 도 5는 상기 힌지(150)의 구조를 잘 보여 주고 있는데, 이하에서는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힌지(150)에 대해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힌지(150)는 보스(151), 힌지축(152), 그리고 너트(15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보스(151)는 상기 측벽(130)과 보조판(16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된다. 참고로, 도 4 및 도 5에는 상기 보스(151)가 상기 측벽(130)에 형성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힌지축(152)은 상하 방향으로 긴 볼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보스(151)에 끼워진다. 상기 힌지축(152)의 하단에는 넓적한 헤드가 형성되어, 상기 힌지축(152)이 상기 보스(151)의 위쪽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상기 힌지축(152)의 헤드는 상기 보조판(160)의 단부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힌지 축(152)의 상단에는 상기 너트(153)가 결합되기 위한 나사산이 형성된다.
상기 너트(153)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힌지축(152)의 단부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힌지축(152)이 상기 보스(151)의 아래쪽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너트(153)가 상기 힌지축(152)의 단부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너트(153)와 상기 보스(151) 사이는 소정 거리 이격된다. 따라서, 상기 힌지축(152)은 상기 보스(151)에 끼워진 채로 상기 보스(151)와 상기 너트(153) 사이에 확보된 소정의 유격만큼 승강 운동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힌지축(152)이 상기 보스(151)에 대해 좌우 방향으로 회전 가능함은 물론이다.
위와 같은 구조의 힌지(150)에 의해 상기 측벽(130)에 결합된 상기 보조판(16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벽(130)에 대해 접혀서 상기 후벽(140)의 뒷면에 밀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조판(160)은 비록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고정핀 등에 의해 상기 후벽(140)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앞벽(120)과 측벽(130) 및 후벽(140)이 상기 밑판(110)에 대해 세워진 상태에서, 상기 밑판(110) 위에 운반 대상물을 실어 운반하게 된다. 상기 운반 대상물의 폭이나 크기가 작은 경우, 상기 운반 대상물은 상기 밑판(110) 위에 실릴 수 있으나, 상기 운반 대상물의 폭이나 크기가 큰 경우에는 상기 앞벽(120)과 측벽(130) 및 후벽(140)을 상기 밑판(110)에 대해 평평하게 뉘여 펼쳐주어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고리(170)에 걸린 상기 래치(180)를 풀어주어야 한다. 그런 데, 도 5의 확대도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상기 보조판(160)이 상기 후벽(140)에 대해 상승해 있으면, 상기 보조판(160)이 상기 래치(180)를 복개하여 가리게 되므로, 상기 래치(180)를 손쉽게 풀기 어렵다.
그러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판(160)이 상기 측벽(130)에 대해 하강해 있게 되면, 상기 고리(170)와 상기 래치(180)가 외부로 노출되므로, 사용자는 상기 래치(180)를 손쉽게 풀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보조판(160)은 평상 시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벽(130)에 대해 하강한 상태로 있는 것이 좋다.
상기 운반대(100)를 펼칠 때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판(160)을 상기 측벽(130)에 대해 상승시킨다. 그런 다음, 상기 보조판(160)을 상기 측벽(130)에 대해 평평하게 펼치고, 상기 측벽(130)과 앞벽(120) 및 후벽(140)을 상기 밑판(110)에 대해 평평하게 뉘여 펼친다.
그러면, 상기 보조판(160)은 상기 운반대(100)가 완전히 펼쳐졌을 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벽(140)의 양쪽 단부를 감싸도록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보조판(160)의 길이가 상기 후벽(140)의 높이와 동일하게 형성된 경우, 상기 보조판(160)과 상기 측벽(130) 및 상기 후벽(140)은, 상기 밑판(110)과 함께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을 형성하게 된다.
위와 같은 구조를 가지면, 상기 운반대(100)가 펼쳐졌을 때 펼쳐진 운반대(100)의 모서리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판(160)이 메우게 된다. 따라서, 폭 또는 크기가 큰 운반 대상물이 펼쳐진 운반대(100) 위에 올려진 경우, 상 기 운반대(100)의 각 모서리가 상기 운반 대상물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의해, 작업 시, 즉 상기 운반대(100)가 상기 사다리 구조물(3)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승강하면서 상기 운반 대상물을 나를 때 상기 운반 대상물이 상기 운반대(100)로부터 떨어질 위험이 없다.
위에서 몇몇의 실시예가 예시적으로 설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본 고안이 이의 취지 및 범주에서 벗어남 없이 다른 여러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것이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첨부된 청구항 및 이의 동등 범위 내의 모든 실시예는 본 고안의 범주 내에 포함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운반대가 펼쳐진 상태로 대상물을 운반할 대 상기 운반대에 올려진 운반 대상물을 상기 운반대의 각 모서리가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 중 운반 대상물이 상기 운반대에서 떨어질 염려가 없어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운반 대상물의 낙하에 의한 파손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상기 운반대의 측벽에 결합되는 보조판은 승강 가능하므로, 상기 운반대의 측벽과 후벽을 연결하는 래치와 고리를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쉽고 편리하게 상기 래치를 잠그고 풀 수 있다.

Claims (4)

  1. 사다리차의 사다리 구조물(3)에 장착되어 상기 사다리 구조물(3)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승강하며, 바닥을 형성하는 밑판(110);
    상기 밑판(110)의 가장 자리에 각각 힌지 결합된 한 쌍의 측벽(130)과 후벽(140);
    상기 측벽(130)과 후벽(140)에 형성되고, 상기 밑판(110)에 대해 세워진 상기 측벽(130)과 후벽(140)을 서로 연결하여 고정하는 고리(170)와 래치(180); 그리고
    상기 후벽(140)의 단부와 접하는 상기 측벽(130)의 단부에 힌지(150)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측벽(130)에 대해 접혀서 상기 후벽(140)의 뒷면에 밀착될 수 있으며,
    상기 측벽(130)에 대해 평평하게 펼쳐지고 상기 측벽(130)과 상기 후벽(140)이 상기 밑판(110)에 대해 평평하게 펼쳐졌을 때, 상기 후벽(140)의 양쪽 단부를 감싸도록 보조판(160)이 결합되고,
    상기 보조판(160)과 상기 측벽(130) 및 상기 후벽(140)은, 상기 보조판(160)이 상기 측벽(130)에 대해 평평하게 펼쳐지고 상기 측벽(130)과 상기 후벽(140)이 상기 밑판(110)에 대해 평평하게 펼쳐졌을 때, 상기 밑판(110)과 함께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을 형성하도록 배치된 사다리차에 구비되는 운반대에 있어서,
    상기 측벽(130)과 상기 보조판(160)을 연결하는 힌지(150)는,
    상기 측벽(130)과 보조판(16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된 보스(151);
    상기 보스(151)에 끼워지는 긴 힌지축(152); 그리고
    상기 힌지축(152)이 소정의 유격을 가지고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보스(151)와 소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되어 상기 힌지축(152)에 고정된 너트(15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사다리차에 구비되는 운반대.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2020070009046U 2007-06-01 2007-06-01 사다리차에 구비되는 운반대 KR2004449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9046U KR200444904Y1 (ko) 2007-06-01 2007-06-01 사다리차에 구비되는 운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9046U KR200444904Y1 (ko) 2007-06-01 2007-06-01 사다리차에 구비되는 운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5980U KR20080005980U (ko) 2008-12-04
KR200444904Y1 true KR200444904Y1 (ko) 2009-06-16

Family

ID=41326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9046U KR200444904Y1 (ko) 2007-06-01 2007-06-01 사다리차에 구비되는 운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490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4044A (ko) * 2014-08-22 2016-03-04 주식회사 호룡 사다리차용 운반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5522B1 (ko) * 2014-08-22 2016-07-05 주식회사 호룡 사다리차용 운반카의 프레임구조와 힌지장치
KR102294749B1 (ko) * 2019-10-25 2021-08-27 주식회사 호룡 고가사다리차용 운반카의 적재대
KR102632068B1 (ko) * 2023-08-18 2024-02-01 국방과학연구소 대형중량물 틸팅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4044A (ko) * 2014-08-22 2016-03-04 주식회사 호룡 사다리차용 운반카
KR101635518B1 (ko) 2014-08-22 2016-07-05 주식회사 호룡 사다리차용 운반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5980U (ko) 2008-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16208B1 (en) Truck bed extension
KR200444904Y1 (ko) 사다리차에 구비되는 운반대
US6322125B2 (en) Truck bed extension
CN106956723B (zh) 一种卡车及其货箱
CN103097192A (zh) 与载重车辆的至少一个承载平面相毗邻的可折叠的侧面扩展件
GB2465255A (en) A movable access structure for a load bearing platform
KR101372127B1 (ko) 컨테이너 크레인의 스프레더
KR100970237B1 (ko) 플랫트랙 컨테이너의 엔드월용 그래비티 로킹장치
KR200475608Y1 (ko) 차량 적재함 거치용 작업대
JP7344827B2 (ja) 棚板支持構造
JP2007198000A (ja) トレーラー用昇降梯子
JP2010196314A (ja) トラック荷役作業に用いる昇降兼退避用架台
KR200286124Y1 (ko) 고가 사다리차용 적재물운반함의 구조
JP5747056B2 (ja) 昇降用ステップの固定装置
KR100362348B1 (ko) 화물차용 계단 조립체의 구조
JP2550359Y2 (ja) アウトリガ装置
EP4206039A1 (en) Folding ladder for road vehicles, in particular industrial vehicles and commercial vehicles
KR101635518B1 (ko) 사다리차용 운반카
KR200150659Y1 (ko) 승용차 운반용 소형 카캐리어
JP5534734B2 (ja) 昇降用ステップの固定装置
JP7065248B1 (ja) 昇降兼退避用ユニット、昇降兼退避用ユニットの設置方法
KR102230963B1 (ko) 고소 작업차량의 가변형 탑승함
CA3223068C (en) System for allowing access to a covered cargo platform
KR102628995B1 (ko) 응급차량용 슬라이딩 베드
JP3669654B2 (ja) リフター付き自動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