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5608Y1 - 차량 적재함 거치용 작업대 - Google Patents

차량 적재함 거치용 작업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5608Y1
KR200475608Y1 KR2020130009514U KR20130009514U KR200475608Y1 KR 200475608 Y1 KR200475608 Y1 KR 200475608Y1 KR 2020130009514 U KR2020130009514 U KR 2020130009514U KR 20130009514 U KR20130009514 U KR 20130009514U KR 200475608 Y1 KR200475608 Y1 KR 2004756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frames
present
vehicle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95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병성
Original Assignee
장병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병성 filed Critical 장병성
Priority to KR20201300095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560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56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560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3/00Arrangements of steps or ladders facilitating access to or on the vehicle, e.g. running-boards
    • B60R3/007Removable steps or ladders, e.g. fol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0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고은 적재함의 문틀에 고정할 수 있는 연결고리가 장착되며, 절첩되는 구조를 가져 이동과 보관이 용이하며, 사람이 발판에 올라 물건과 사람의 하중에도 지탱할 수 있는 견고함을 갖춘 차량 적재함 거치용 작업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Description

차량 적재함 거치용 작업대{A working tray for hanging to truck container}
본 고안은 차량 적재함 거치용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화물을 적재하는 트럭 등과 같은 차량의 적재함 도어에 거치하여 사람이 발판에 올라 작업을 행하도록 하는 절첩식의 차량 적재함 거치용 작업대를 제공한다.
종래에는 화물차의 적재함에 화물을 올려놓을 때와 내릴 때 그리고 적재함에 화물을 적재 후 화물을 정리할 경우 사다리를 세워 놓고 작업을 실시하거나 2명이 1조가 되어 한 명은 지상에서 들어 올려주면 적재함 위에 있는 사람이 화물을 쌓거나 정리하면서 실시하였다.
이러한 경우 사다리의 발 디딤판의 폭이 좁아 화물을 안고 올라서거나 내려설 때에 발을 헛딛는 등의 안전사고가 빈번히 발생하였으며, 화물의 부피가 크거나 무거울 경우에는 한번에 적재함까지 올리지 못하였고 중간정도의 높이까지 올렸다가 재차 올려야하는데 이 역시 사다리의 폭이 좁아서 물건을 잠시 얹혀 놓기에 부적합 하는 등의 불편함과 많은 문제점이 지적되었다.
또한, 제품(화물)을 적재함에 보다 용이하게 올려 적재하기 위하여 차량의 후미에 유압장치를 구비하고 유압실린더에 의해 작동하는 승·하강 리프트를 장착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448435호와 같이 승·하강 리프트의 설치비용이 고가이고, 운송전문차량에 설치되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단순업무를 취급하는 소규모상인의 경우에는 비효율적이었으며, 유압장치의 따른 전문지식이 없는 일반인은 승·하강 리프트의 유지 관리에 어려움을 겪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적재함의 문틀에 고정할 수 있는 연결고리가 장착되며, 절첩되는 구조를 가져 이동과 보관이 용이하며, 사람이 발판부재에 올라 물건과 사람의 하중에도 지탱할 수 있는 견고함을 갖춘 차량 적재함 거치용 작업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은 양측 각각의 제1프레임 일단부가 서로 연결되어 일몸체로 구비되고, 상기 각각의 양측 제1프레임 하단부 후면을 수평으로 가로질러 연결되는 차단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양측 제1프레임의 상부 후면에 각각 “┌┐”형 또는 “ㄱ”형의 제1연결고리가 고정되는 받침부재;와,
상기 양측 제1프레임 각각의 하부 내측으로 힌지부에 의해 회동되도록 일단부가 연결되는 양측 각각의 제2프레임이 구비하되, 상기 힌지부에 연결된 각각의 제2프레임 일단부가 더 연장되어 상기 연장된 제2프레임의 일면이 받침부재의 차단프레임이 일면에 면접되어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제2프레임 타단부가 서로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양측 제2프레임 사이를 등간격으로 가로질러 연결되는 다수개의 연결프레임이 구비되는 발판부재;로 구성되는 차량 적재함 거치용 작업대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연결고리 대신에 각각의 양측 제1프레임의 상부 일면에 관통된 연결공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공을 통해 제1프레임 내부로 삽입되는 수직의 고정편과 상기 고정편 일단에 연결되는 수평의 지지편 및 상기 지지편 일단에 연결되어 하향되는 수직의 고리편으로 구성되는 제2연결고리가 연결공을 통해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하는 차량 적재함 거치용 작업대를 제공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차량 적재함 거치용 작업대는, 작업대의 후면에 형성된 연결고리로 인해 차량의 적재함 문틀에 쉽게 고정할 수 있으며, 적재함의 작업거리에 맞게 쉽게 탈거하여 작업위치에 맞도록 고정시킬 수 있으며, 받침부재와 발판부재가 힌지부에 의해 절첩구조를 가져 이동과 보관이 간편하며, 발판부재에 사람과 물건을 함께한 하중에도 지탱할 수 있도록 견고함을 유지할 수 있는 차량 적재함 거치용 작업대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 적재함 거치용 작업대가 펼졌을 때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 적재함 거치용 작업대의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 적재함 거치용 작업대를 접었을 때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 적재함 거치용 작업대에서 제2연결고리를 작업대에 설치하기 전(a)과 후(b)의 구조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 적재함 거치용 작업대를 차량의 적재함 도어에 설치한 구조도.
도 6은 도 5의 본 고안에 따른 차량 적재함 거치용 작업대에서 “A”부위의 확대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차량 적재함 거치용 작업대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본 고안의 목적, 특징 및 장점,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되는 실시예 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 며, 그에 따라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종래기술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작업대를 차량의 적재함에 설치시 적재함의 양측 도어 또는 후문 도어에 설치할 수 있음을 밝힌다.
그리고, 본 고안에서 차량 적재함에 거치할 수 있는 작업대가 차량에 설치하는 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차량 외에 다양한 시설에 사용할 수 있음을 밝힌다.
본 고안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도 1에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측 각각의 제1프레임(110) 일단부가 서로 연결되어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각각의 양측 제1프레임(110) 하단부 후면을 가로질러 연결되는 차단프레임(120)이 구비되고, 상기 양측 제1프레임(110)의 상부 후면에 각각 “┌┐”형 또는 “ㄱ”형의 제1연결고리(130a)가 고정되는 받침부재(100);와,
상기 양측 제1프레임(110) 각각의 하부 내측으로 힌지부(220)에 의해 회동되도록 일단부가 연결되는 양측 각각의 제2프레임(210)이 구비하되, 상기 힌지부(220)에 연결된 각각의 제2프레임(210) 일단부가 더 연장되어 상기 연장된 제2프레임(210)의 일면이 받침부재(100)의 차단프레임(120)이 일면에 면접되어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제2프레임(210) 타단부가 서로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양측 제2프레임(210) 사이를 등간격으로 가로질러 연결되는 다수개의 연결프레임(230)이 구비되는 발판부재(200);로 구성되는 차량 적재함 거치용 작업대(10)를 제공한다.
도 5와 도 6과 같이 상기 작업대(10)의 받침부재(100)는 차량(20)의 적재함(30) 도어(40)에 면접되며, 이때 상기 받침부재(100)의 제1프레임(110) 상부 후면에 각각 고정된 제1연결고리(130a)가 적재함(30) 도어(40)의 문틀(41)에 결속되어 작업대(10)를 지지하게 된다.
상기 제1연결고리(130a)는 도어(40)의 문틀(41)에 안착 또는 결속되도록 “┌┐”형 또는 “ㄱ”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도 1과 같이 상기 제1프레임(110)은 받침부재(100)의 양측에 형성되며, 상기 양측의 제1프레임(110) 일단이 각각 연결되어 일몸체의 제1프레임(110)을 형성하게 되며, 또한 상기 양측의 제1프레임(110)이 일단을 연결하는 별도의 프레임을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발판부재(200)의 제2프레임(210)도 상기 제1프레임(110)의 구조와 동일하게 일몸체로 형성하거나 별도의 프레임을 연결하여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과 같이 상기 양측 제1프레임(110)의 하부 후면을 가로질러 수평으로 구비되는 차단프레임(120)이 형성되어 상기 작업대(10)의 발판부재(200) 제2프레임(210)의 단부 일면이 차단프레임(120)의 하면에 면접되어 상기 발판부재(200)가 하향되지 못하도록 차단하여 작업대(10)의 발판부재(200)를 펼쳤을 때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그리고, 도 1과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받침부재(100)의 양측 제1프레임(110) 각각의 하부 내측으로 힌지부(220)에 의해 회동되도록 일단부가 연결되는 발판부재(200)의 양측 각각의 제2프레임(210)이 구비되며, 상기 발판부재(200)를 접었을 때 받침부재(100)의 제1프레임(110)이 내측으로 발판부재(200)가 형성되도록 제공된다.
그리고, 도 1과 같이 상기 힌지부(220)는 볼트와 너트의 결합으로 발판부재(200)가 회동할 수 있도록 본 고안에서 구비되어 있으나, 이 구조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발판부재(200)가 받침부재(100)의 내측으로 접거나 펴지는 형태의 힌지구조가 모두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그리고, 도 1과 같이 상기 발판부재(200)의 양측 제2프레임(210)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프레임(230)이 등간격으로 다수개 형성하거나 양측 제2프레임(210) 사이를 커버하는 판형의 발판(미도시)을 설치하여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연결고리(130a) 대신에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측 제1프레임(110) 각각의 상부 일면에 관통된 연결공(111)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공(111)을 통해 제1프레임(110) 내부로 삽입되는 수직의 고정편(131)과 상기 고정편(131) 일단에 연결되는 수평의 지지편(132) 및 상기 지지편(132) 일단에 연결되어 하향되는 수직의 고리편(133)으로 구성되는 제2연결고리(130b)가 연결공(111)을 통해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하는 차량 적재함 거치용 작업대(10)를 제공된다.
상기 제2연결고리(130b)는 작업대(10)와 분리되어 작업대(10)를 사용시 작업대(10)에 부착하여 적재함(30)의 도어(40) 문틀(41)에 고정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상기 양측 제1프레임(110)의 각각 상부의 후면 일면에 연결공(111)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공(111)을 통해 제2연결고리(130b)의 고정편(131)을 삽입하여 제1프레임(110) 내측에 내속하게 되며, 이때 고정편(131)의 끝단이 제1프레임(110)의 내부에 상향으로 향하게 설치하며, 제2연결고리(130b)의 지지편(132)이 연결공(111)의 내주단에 면접하며, 상기 제1프레임(110)의 연결공(111) 외측으로 돌출되어 하행된 수직의 고리편(133)을 적재함(30)의 도어(40) 문틀(41)에 고정하여 작업대(10)를 설치하게 된다.
이에, 적재함(30) 도어(40)의 문틀(41) 두께에 따라 제2연결고리(130b)의 지지편(132)을 조절하여 작업대(10)를 고정하도록 제공된다.
또한, 상기 연결공(111)의 외면에 보강편(112)을 부착하여 제2연결고리(130b)에 의한 작업대(10)가 받는 하중으로부터 제1프레임(110)과 연결공(111)을 보강하도록 제공된다.
상기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차량 적재함 거치용 작업대는 다양하게 설계 변경하여 제작할 수 있는 것으로 상시 실시예를 통하여 그 원리를 본 고안의 구성으로 한정하여 제작하되 그 원리를 통한 기구에 있어서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설계변경으로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는 것을 밝힌다.
작업대 : 10, 받침부재 : 100, 제1프레임 : 110, 연결공 : 111, 차단프레임 : 120, 제1연결고리 : 130a, 제2연결고리 : 130b, 고정편 : 131, 지지편 : 132, 고리편 : 133, 발판부재 : 200, 제2프레임 : 210, 힌지부 : 220, 연결프레임 : 230

Claims (3)

  1. 양측 각각의 제1프레임(110) 일단부가 서로 연결되어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각각의 양측 제1프레임(110) 하단부 후면을 가로질러 연결되는 차단프레임(120)이 구비되는 받침부재(100);와,
    상기 각각의 양측 제1프레임(110)의 상부 일면에 관통된 연결공(111)을 통해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상기 연결공(111)을 통해 제1프레임(110) 내부로 삽입되는 수직의 고정편(131)과 상기 고정편(131) 일단에 연결되는 수평의 지지편(132) 및 상기 지지편(132) 일단에 연결되어 하향되는 수직의 고리편(133)으로 구성되는 제2연결고리(130b);와,
    상기 양측 제1프레임(110) 각각의 하부 내측으로 힌지부(220)에 의해 회동되도록 일단부가 연결되는 양측 각각의 제2프레임(210)이 구비하되, 상기 힌지부(220)에 연결된 각각의 제2프레임(210) 일단부가 더 연장되어 상기 연장된 제2프레임(210)의 일면이 받침부재(100)의 차단프레임(120)이 일면에 면접되어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제2프레임(210) 타단부가 서로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양측 제2프레임(210) 사이를 등간격으로 가로질러 연결되는 다수개의 연결프레임(230)이 구비되는 발판부재(2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적재함 거치용 작업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부재(200)를 접었을 때 받침부재(100)의 제1프레임(110)이 내측으로 발판부재(20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적재함 거치용 작업대.
  3. 삭제
KR2020130009514U 2013-11-19 2013-11-19 차량 적재함 거치용 작업대 KR2004756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9514U KR200475608Y1 (ko) 2013-11-19 2013-11-19 차량 적재함 거치용 작업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9514U KR200475608Y1 (ko) 2013-11-19 2013-11-19 차량 적재함 거치용 작업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5608Y1 true KR200475608Y1 (ko) 2014-12-16

Family

ID=53578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9514U KR200475608Y1 (ko) 2013-11-19 2013-11-19 차량 적재함 거치용 작업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5608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1028A (ko) * 2014-12-11 2016-06-21 한국안전(주) 도로 포장공사 중장비의 협착 방지 장치
KR101760130B1 (ko) * 2016-04-18 2017-07-20 (주)양수금속 적재프레임 구조물
CN110979138A (zh) * 2019-05-10 2020-04-10 成都清机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化水果采收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8537B1 (ko) * 2005-12-29 2007-05-15 한국전기공사협회 활선작업용 철탑암 작업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8537B1 (ko) * 2005-12-29 2007-05-15 한국전기공사협회 활선작업용 철탑암 작업대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1028A (ko) * 2014-12-11 2016-06-21 한국안전(주) 도로 포장공사 중장비의 협착 방지 장치
KR101646647B1 (ko) * 2014-12-11 2016-08-08 한국안전(주) 도로 포장공사 중장비의 협착 방지 장치
KR101760130B1 (ko) * 2016-04-18 2017-07-20 (주)양수금속 적재프레임 구조물
CN110979138A (zh) * 2019-05-10 2020-04-10 成都清机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化水果采收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6038B1 (ko) 크레인 겸용 핸드파렛트 트럭
JP2012530016A (ja) 輸送システム
US9260142B2 (en) Shipping container transport system
KR200475608Y1 (ko) 차량 적재함 거치용 작업대
US20120325992A1 (en) Aerial-lift-platform accessory
US20070031231A1 (en) Gas cylinder lift
CN102897448A (zh) 一种用于货箱内的分层装置
EP2061946B1 (en) Ladder with removable step and method of storing the ladder in a compact container
US8882115B1 (en) Manual cart for transportation of electronic equipment within a data center
MX2015003618A (es) Recipiente con tarima.
US20140363261A1 (en) Assembly for loading and unloading semi-trailers on railway wagons
KR200444904Y1 (ko) 사다리차에 구비되는 운반대
CN105197118A (zh) 车载箱体承载平台及定位锁紧装置
US20140363263A1 (en) Split trailer for collapsible portable shelter unit
US20130206620A1 (en) Collapsible Garment Stillage
KR100985654B1 (ko) 컨테이너선의 컨테이너 데몬스트레이션을 위한해치커버상단용 지그
KR20110002451A (ko) 자동차 부품 운반용 파레트
CN203006189U (zh) 一种用于货箱内的分层装置
KR101348106B1 (ko) 독 레벨러와 쉘터가 구비된 조립형 독 하우스
KR101650889B1 (ko) 지게차 적재장치가 구비된 화물차
KR102326551B1 (ko) 줄걸이 겸용 발판
CN205770957U (zh) 用于运输车身的支撑架
CN212557571U (zh) 一种用于物品包装运输的托盘箱
JP7453095B2 (ja) 昇降用ステップ及び荷台ユニット
CN208915690U (zh) 一种树脂仿木板搬运托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