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2068B1 - 대형중량물 틸팅 장치 - Google Patents
대형중량물 틸팅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32068B1 KR102632068B1 KR1020230107986A KR20230107986A KR102632068B1 KR 102632068 B1 KR102632068 B1 KR 102632068B1 KR 1020230107986 A KR1020230107986 A KR 1020230107986A KR 20230107986 A KR20230107986 A KR 20230107986A KR 102632068 B1 KR102632068 B1 KR 10263206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arge heavy
- heavy object
- pin
- pair
- tilting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36544 posture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1449 Ros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8000027418 Wounds and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4674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04—Auxiliary devices for controlling movements of suspended loads, or preventing cable slack
- B66C13/08—Auxiliary devices for controlling movements of suspended loads, or preventing cable slack for depositing loads in desired attitudes or posi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02—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mounting on a work-table, tool-slide, or analogous part
- B23Q3/10—Auxiliary devices, e.g. bolsters, extension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And Safety Of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대형중량물 틸팅 장치는 대형중량물(40)의 자세를 수평, 경사, 수직으로 전환(틸팅)할 수 있도록 대형중량물(40)의 후방측 취급링부(42)를 좌우 폭조정 유닛(20)의 고정 유닛(60)에 틸팅핀(70)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고정시키고, 대형중량물(40)의 전방측 취급링부(44)를 크레인(50) 등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되도록 대형중량물(40)의 자세를 전환시킬 수 있으므로 대형중량물(40)의 자세 전환 시 이탈 등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등 안정성을 높일 수 있으며, 대형중량물(40)의 수평 자세를 전환(변경)시 높이조절 유닛(30)에 설치된 V형태의 높이조절 블록(33)을 공압 또는 유압에 의해 높이 조절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좌우 폭조정 유닛(20)과 높이조절 유닛(30) 폭 내에서 틸팅핀(70)의 길이 조절을 통해 대형중량물(40)의 직경과 대형중량물(40)의 길이에 제한 없이 범용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대형중량물 틸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대형중량물의 자세 전환을 위해 회전(틸팅)시킬 수 있는 대형중량물 틸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대형중량물 자세 전환 시에는 별도의 장비를 제작하거나, 대형중량물 전방을 단순히 크레인을 통해 들어올리는 방식으로 수행했다.
별도의 장비를 제작할 경우는 대형중량물의 다양한 사이즈(직경/길이)에 따라 호환이 되지 않는 경우가 많으며, 크레인을 활용한 자세 전환 시 대형중량물 후방부가 고정이 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대형중량물 후방부가 예상경로를 벗어난 진자운동을 할 수 있어 작업자의 부상 위험을 초래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대형중량물의 사이즈(직경 및 길이)에 관계없이 대형중량물의 자세를 전환할 수 있는 대형중량물 틸팅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형중량물 틸팅 장치는, 상면에 제1 레일이 설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제1 레일에 의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후방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좌우 폭조정 유닛; 상기 제1 레일에 의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전방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대형중량물의 전방측 취급링부가 안착되도록 받쳐주면서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 유닛; 및 상기 좌우 폭조정 유닛의 상면 좌우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대형중량물의 후방측 취급링부와 틸팅핀을 매개로 각각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되는 좌우 한 쌍의 고정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틸팅핀은 상기 대형중량물의 전방측 취급링부가 크레인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 시 상기 대형중량물의 후방측 취급링부를 회전 중심으로 자세 전환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상기 제1 레일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면에서 좌우 일정 간격을 두고 전방과 후방으로 나란히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상기 좌우 폭조정 유닛은, 상기 제1 레일에 안착되어 이동되는 이동판; 상기 이동판의 상면에 제2 레일을 매개로 좌우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좌우 한 쌍의 지지블록; 및 상기 좌우 한 쌍의 지지블록의 일측과 연결되어 상기 좌우 한 쌍의 지지블록들이 서로 대응되게 좁혀지거나 멀어지도록 이송시키는 볼스크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상기 볼스크류는, 일측과 타측에 상기 좌우 한 쌍의 지지블록이 대향되게 연결되는 왼나사와 오른나사가 형성되고, 일측단에 상기 볼스크류를 회전시키는 핸들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상기 높이조절 유닛은, 상기 제1 레일에 안착되어 이동되는 하부지지판; 상기 하부지지판의 상면 좌측과 우측에 대향되게 배치되는 좌우 한 쌍의 측부지지판; 및 상기 하부지지판의 상면에 대해 상기 좌우 한 쌍의 측부지지판 사이에 공압 또는 유압에 의해 높낮이가 조절되는 좌우 한 쌍의 높이조절 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상기 좌우 한 쌍의 높이조절 블록은 상기 대형중량물의 전방측 취급링부를 받쳐주면서 상기 좌우 한 쌍의 높이조절 블록 사이에 위치하도록 V형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상기 좌우 한 쌍의 높이조절 블록은 상기 대형중량물의 전방측 취급링부를 받쳐줄 때 마찰에 의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마찰력이 일정치 이하인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상기 좌우 한 쌍의 높이조절 블록은 상기 대형중량물의 전방측 취급링부를 받쳐줄 때 마찰에 의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마찰력이 일정치 이하인 재질이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상기 고정 유닛은, 상기 좌우 폭조정 유닛의 상면 좌우에 각각 설치되는 고정몸체; 상기 틸팅핀이 출입하도록 상기 고정몸체의 상면 중앙에서 일정 깊이까지 형성되는 핀출입홈; 상기 고정몸체의 상부 일측단에 힌지핀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핀출입홈의 상부 개구를 개폐하는 레버; 및 상기 고정몸체의 상부 타측단에 상기 레버의 열림 또는 닫힘을 통제하는 탈부착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상기 핀출입홈은 상기 틸팅핀이 안착 시 회전 가능하도록 상부 및 측면이 개방된 U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상기 틸팅핀은 상기 대형중량물의 후방측 취급링부 직경에 대해 180도 간격을 두고 외부로 돌출되도록 대향되게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상기 틸팅핀은, 중앙 둘레가 상기 핀출입홈에 삽입 지지되는 핀몸체; 및 상기 핀몸체의 일측단에 형성되어 상기 대형중량물의 후방측 취급링부 직경에 형성된 암나사부에 체결되는 제1 수나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상기 핀몸체의 일측에는 상기 제1 수나사부가 상기 암나사부에 체결 시 공구 사용을 위한 너트면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상기 핀몸체의 타측단에는 제2 수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수나사부에는 상기 핀출입홈에 삽입 지지되는 상기 틸팅핀이 상기 핀출입홈의 측방으로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체결너트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대형중량물 틸팅 장치는 대형중량물 회전 시 후방부를 고정하여 이탈 등의 위험이 없도록 안전성을 높이고, 전방부 V블록에 레일을 설치하여 크레인 조작이 쉬우며, 장비의 폭 내에서 대형중량물의 길이에 제한을 받지 않는다.
또한 틸팅핀의 길이 조절을 통해 대형중량물의 직경에 제한 없이 범용적인 사용이 가능하다.
도 1(a)(b)(c)은 본 발명의 대형중량물 틸팅 장치에 의해 수평, 경사, 수직 자세 전환 예시도.
도 2(a)(b)는 본 발명의 틸팅핀을 이용한 대형중량물 후방부 고정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틸팅핀 설치 상태를 나타낸 예시 사진.
도 4는 본 발명의 대형중량물 후방부 고정수단을 나타낸 예시 사진.
도 5는 본 발명의 대형중량물 후방부 고정 유닛에 틸팅핀의 고정 상태를 나타낸 예시 사진.
도 6은 본 발명의 대형중량물 후방부 좌우 폭조정 유닛을 나타낸 예시 사진.
도 7은 본 발명의 대형중량물 전방부 높이조절 유닛을 나타낸 예시 사진.
도 2(a)(b)는 본 발명의 틸팅핀을 이용한 대형중량물 후방부 고정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틸팅핀 설치 상태를 나타낸 예시 사진.
도 4는 본 발명의 대형중량물 후방부 고정수단을 나타낸 예시 사진.
도 5는 본 발명의 대형중량물 후방부 고정 유닛에 틸팅핀의 고정 상태를 나타낸 예시 사진.
도 6은 본 발명의 대형중량물 후방부 좌우 폭조정 유닛을 나타낸 예시 사진.
도 7은 본 발명의 대형중량물 전방부 높이조절 유닛을 나타낸 예시 사진.
이하,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형중량물 틸팅 장치는, 대형중량물(40)의 후방측 취급링부(42)가 틸팅 가능하게 지지된 후 대형중량물(40)의 전방측 취급링부(44)가 크레인(50)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 시 대형중량물(40)의 후방측 취급링부(42)를 회전 중심으로 자세 전환해 주도록 베이스플레이트(10), 좌우 폭조정 유닛(20), 높이조절 유닛(30), 고정 유닛(60), 틸팅핀(70)을 포함한다.
즉,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는 상면에 제1 레일(12)이 설치되는 것으로서, 제1 레일(12)은 베이스플레이트(10)의 상면에서 좌우 일정 간격을 두고 전방과 후방으로 나란히 설치된다.
상기 좌우 폭조정 유닛(20)은 제1 레일(12)에 의해 베이스플레이트(10)의 후방에서 전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이동판(21), 제2 레일(22), 좌우 한 쌍의 지지블록(23), 볼스크류(24), 핸들(25)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이동판(21)은 베이스플레이트(10)의 제1 레일(12)에 안착되어 이동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좌우 한 쌍의 지지블록(23)은 이동판(21)의 상면에 설치된 제2 레일(22)을 따라 좌우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볼스크류(24)는 일측과 타측에 왼나사와 오른나사가 형성되고, 왼나사와 오른나사에는 좌측 지지블록(23)과 우측 지지블록(23)이 대향되게 각각 연결되어 좌우 한 쌍의 지지블록(23)들이 서로 대응되게 좁혀지거나 멀어지도록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핸들(25)은 볼스크류(24)의 일측단에 설치되어 볼스크류(24)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높이조절 유닛(30)은 제1 레일(12)에 의해 베이스플레이트(10)의 전방에서 전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대형중량물(40)의 전방측 취급링부(44)가 안착되도록 받쳐주면서 높낮이를 조절하는 역할로서, 하부지지판(31), 좌우 한 쌍의 측부지지판(32), 좌우 한 쌍의 높이조절 블록(33)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하부지지판(31)은 제1 레일(12)에 안착되어 전후 이동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좌우 한 쌍의 측부지지판(32)은 하부지지판(31)의 상면 좌측과 우측에 대향되게 배치되도록 전방과 후방 및 상부를 개방된 구조이다.
상기 좌우 한 쌍의 높이조절 블록(33)은 하부지지판(31)의 상면에 대해 좌우 한 쌍의 측부지지판(32) 사이에 설치되어 공압 또는 유압에 의해 높낮이가 조절되면서 대형중량물(40)의 전방측 취급링부(44)를 받쳐주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좌우 한 쌍의 높이조절 블록(33)은 그들 사이에 대형중량물(40)의 전방측 취급링부(44)가 안정적으로 위치하도록 V형태로 배치된다.
상기 좌우 한 쌍의 높이조절 블록(33)은 대형중량물(40)의 전방측 취급링부(44)를 받쳐줄 때 마찰에 의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마찰력이 일정치 이하인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마찰력이 일정치 이하인 재질이 코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좌우 한 쌍의 고정 유닛(60)은 좌우 폭조정 유닛(20)의 상면 좌우에 각각 설치되어 대형중량물(40)의 후방측 취급링부(42)와 틸팅핀(70)을 매개로 각각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되는 역할로사, 고정몸체(61), 핀출입홈(62), 힌지핀(63), 레버(64), 탈부착핀(65)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고정몸체(61)는 좌우 폭조정 유닛(20)의 상면 좌우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 핀출입홈(62)은 틸팅핀(70)이 출입하도록 고정몸체(61)의 상면 중앙에서 일정 깊이까지 형성되는 것으로서, 이는 틸팅핀(70)이 안착 시 회전 가능하도록 상부 및 측면이 개방된 U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레버(64)는 고정몸체(61)의 상부 일측단에 힌지핀(63)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핀출입홈(62)의 상부 개구를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탈부착핀(65)은 고정몸체(61)의 상부 타측단에 레버(64)의 열림 또는 닫힘을 통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틸팅핀(70)은 대형중량물(40)의 후방측 취급링부(42) 직경에 대해 180도 간격을 두고 외부로 돌출되도록 대향되게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서, 일정 길이를 가진 핀몸체(71), 제1 수나사부(72), 제2 수나사부(74), 너트면부(76), 체결너트(78)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핀몸체(71)의 중앙 둘레는 핀출입홈(62)에 삽입 지지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 수나사부(72)는 핀몸체(71)의 일측단에 형성되어 대형중량물(40)의 후방측 취급링부(42) 직경에 형성된 암나사부(42a)에 체결된다.
상기 제2 수나사부(74)는 핀몸체(71)의 타측단에 형성되어 체결너트(78)가 체결 또는 분리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너트면부(76)는 핀몸체(71)의 일측에 제1 수나사부(72)가 대형중량물(40)의 후방측 취급링부(42)에 형성된 암나사부(42a)에 체결 시 공구 사용하여 틸팅핀(70)을 체결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체결너트(78)는 핀출입홈(62)에 삽입 지지되는 틸팅핀(70)이 핀출입홈(62)의 측방으로 이탈을 방지하도록 제2 수나사부(74)에 임시 체결되는 역할을 한다.
이처럼, 본 발명의 대형중량물 틸팅 장치는 도 1과 같이 대형중량물(40)의 자세를 수평, 경사, 수직으로 전환(틸팅)할 수 있도록 대형중량물(40)의 후방측 취급링부(42)를 좌우 폭조정 유닛(20)의 고정 유닛(60)에 틸팅핀(70)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고정시키고, 대형중량물(40)의 전방측 취급링부(44)를 크레인(50) 등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되도록 대형중량물(40)의 자세를 전환시킬 수 있으므로 대형중량물(40)의 자세 전환 시 이탈 등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등 안정성을 높일 수 있으며, 대형중량물(40)의 수평 자세를 전환(변경)시 높이조절 유닛(30)에 설치된 V형태의 높이조절 블록(33)을 공압 또는 유압에 의해 높이 조절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좌우 폭조정 유닛(20)과 높이조절 유닛(30) 폭 내에서 틸팅핀(70)의 길이 조절을 통해 대형중량물(40)의 직경과 대형중량물(40)의 길이에 제한 없이 범용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기술사상 역시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 : 베이스플레이트
12 : 제1 레일
20 : 좌우 폭조정 유닛
21 : 이동판
22 : 제2 레일
23 : 지지블록
24 : 볼스크류
25 : 핸들
30 : 높이조절 유닛
31 : 하부지지판
32 : 측부지지판
33 : 높이조절 블록
40 : 대형중량물
42 : 후방측 취급링부
42a : 암나사부
44 : 전방측 취급링부
50 : 크레인
60 : 고정 유닛
61 : 고정몸체
62 : 핀출입홈
63 : 힌지핀
64 : 레버
65 : 탈부착핀
70 : 틸팅핀
71 : 핀몸체
72 : 제1 수나사부
74 : 제2 수나사부
76 : 너트면부
78 : 체결너트
12 : 제1 레일
20 : 좌우 폭조정 유닛
21 : 이동판
22 : 제2 레일
23 : 지지블록
24 : 볼스크류
25 : 핸들
30 : 높이조절 유닛
31 : 하부지지판
32 : 측부지지판
33 : 높이조절 블록
40 : 대형중량물
42 : 후방측 취급링부
42a : 암나사부
44 : 전방측 취급링부
50 : 크레인
60 : 고정 유닛
61 : 고정몸체
62 : 핀출입홈
63 : 힌지핀
64 : 레버
65 : 탈부착핀
70 : 틸팅핀
71 : 핀몸체
72 : 제1 수나사부
74 : 제2 수나사부
76 : 너트면부
78 : 체결너트
Claims (14)
- 상면에 제1 레일(12)이 설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10);
상기 제1 레일(12)에 의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의 후방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좌우 폭조정 유닛(20);
상기 제1 레일(12)에 의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의 전방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대형중량물(40)의 전방측 취급링부(44)가 안착되도록 받쳐주면서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 유닛(30); 및
상기 좌우 폭조정 유닛(20)의 상면 좌우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대형중량물(40)의 후방측 취급링부(42)와 틸팅핀(70)을 매개로 각각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되는 좌우 한 쌍의 고정 유닛(60)을 포함하되,
상기 좌우 폭조정 유닛(20)은,
상기 제1 레일(12)에 안착되어 이동되는 이동판(21);
상기 이동판(21)의 상면에 제2 레일(22)을 매개로 좌우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좌우 한 쌍의 지지블록(23); 및
상기 좌우 한 쌍의 지지블록(23)의 일측과 연결되어 상기 좌우 한 쌍의 지지블록(23)들이 서로 대응되게 좁혀지거나 멀어지도록 이송시키는 볼스크류(24)를 포함하고,
상기 높이조절 유닛(30)은,
상기 제1 레일(12)에 안착되어 이동되는 하부지지판(31);
상기 하부지지판(31)의 상면 좌측과 우측에 대향되게 배치되는 좌우 한 쌍의 측부지지판(32); 및
상기 하부지지판(31)의 상면에 대해 상기 좌우 한 쌍의 측부지지판(32) 사이에 공압 또는 유압에 의해 높낮이가 조절되는 좌우 한 쌍의 높이조절 블록(33)을 포함하고,
상기 틸팅핀(70)은 상기 대형중량물(40)의 전방측 취급링부(44)가 크레인(50)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 시 상기 대형중량물(40)의 후방측 취급링부(42)를 회전 중심으로 자세전환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중량물 틸팅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레일(12)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의 상면에서 좌우 일정 간격을 두고 전방과 후방으로 나란히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중량물 틸팅 장치.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볼스크류(24)는,
일측과 타측에 상기 좌우 한 쌍의 지지블록(23)이 대향되게 연결되는 왼나사와 오른나사가 형성되고,
일측단에 상기 볼스크류(24)를 회전시키는 핸들(25)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중량물 틸팅 장치.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좌우 한 쌍의 높이조절 블록(33)은 상기 대형중량물(40)의 전방측 취급링부(44)를 받쳐주면서 상기 좌우 한 쌍의 높이조절 블록(33) 사이에 위치하도록 V형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중량물 틸팅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좌우 한 쌍의 높이조절 블록(33)은 상기 대형중량물(40)의 전방측 취급링부(44)를 받쳐줄 때 마찰에 의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마찰력이 일정치 이하인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중량물 틸팅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좌우 한 쌍의 높이조절 블록(33)은 상기 대형중량물(40)의 전방측 취급링부(44)를 받쳐줄 때 마찰에 의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마찰력이 일정치 이하인 재질이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중량물 틸팅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 유닛(60)은,
상기 좌우 폭조정 유닛(20)의 상면 좌우에 각각 설치되는 고정몸체(61);
상기 틸팅핀(70)이 출입하도록 상기 고정몸체(61)의 상면 중앙에서 일정 깊이까지 형성되는 핀출입홈(62);
상기 고정몸체(61)의 상부 일측단에 힌지핀(63)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핀출입홈(62)의 상부 개구를 개폐하는 레버(64); 및
상기 고정몸체(61)의 상부 타측단에 상기 레버(64)의 열림 또는 닫힘을 통제하는 탈부착핀(6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중량물 틸팅 장치.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핀출입홈(62)은 상기 틸팅핀(70)이 안착 시 회전 가능하도록 상부 및 측면이 개방된 U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중량물 틸팅 장치.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틸팅핀(70)은 상기 대형중량물(40)의 후방측 취급링부(42) 직경에 대해 180도 간격을 두고 외부로 돌출되도록 대향되게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중량물 틸팅 장치.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틸팅핀(70)은,
중앙 둘레가 상기 핀출입홈(62)에 삽입 지지되는 핀몸체(71); 및
상기 핀몸체(71)의 일측단에 형성되어 상기 대형중량물(40)의 후방측 취급링부(42) 직경에 형성된 암나사부(42a)에 체결되는 제1 수나사부(7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중량물 틸팅 장치. -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핀몸체(71)의 일측에는 상기 제1 수나사부(72)가 상기 암나사부(42a)에 체결 시 공구 사용을 위한 너트면부(76)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중량물 틸팅 장치. -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핀몸체(71)의 타측단에는 제2 수나사부(74)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수나사부(74)에는 상기 핀출입홈(62)에 삽입 지지되는 상기 틸팅핀(70)이 상기 핀출입홈(62)의 측방으로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체결너트(78)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중량물 틸팅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107986A KR102632068B1 (ko) | 2023-08-18 | 2023-08-18 | 대형중량물 틸팅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107986A KR102632068B1 (ko) | 2023-08-18 | 2023-08-18 | 대형중량물 틸팅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632068B1 true KR102632068B1 (ko) | 2024-02-01 |
Family
ID=89859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107986A KR102632068B1 (ko) | 2023-08-18 | 2023-08-18 | 대형중량물 틸팅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32068B1 (ko)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30538U (ko) * | 1997-12-30 | 1999-07-26 | 양재신 | 캠샤프트의 틸팅방지 구조 |
KR20080005980U (ko) * | 2007-06-01 | 2008-12-04 | 주현석 | 사다리차에 구비되는 운반대 |
JP2010156333A (ja) * | 2008-12-30 | 2010-07-15 | General Electric Co <Ge> | 回転可能な円筒形部品のための自己整列支持アセンブリ |
KR101249008B1 (ko) | 2010-09-13 | 2013-04-02 | (주)리플라테크 | 중량물 방향 변경장치 |
KR200488587Y1 (ko) * | 2017-11-02 | 2019-02-25 |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 가변형 v 블록 |
CN209493231U (zh) * | 2018-12-11 | 2019-10-15 | 哈尔滨电气动力装备有限公司 | 大型电机总装翻身工具 |
KR20220085852A (ko) * | 2020-12-15 | 2022-06-23 | 주식회사 한화 | 동체 회전용 지그부를 구비한 유도탄용 회전 지지대 및 이를 포함하는 유도탄 조립대 |
-
2023
- 2023-08-18 KR KR1020230107986A patent/KR10263206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30538U (ko) * | 1997-12-30 | 1999-07-26 | 양재신 | 캠샤프트의 틸팅방지 구조 |
KR20080005980U (ko) * | 2007-06-01 | 2008-12-04 | 주현석 | 사다리차에 구비되는 운반대 |
JP2010156333A (ja) * | 2008-12-30 | 2010-07-15 | General Electric Co <Ge> | 回転可能な円筒形部品のための自己整列支持アセンブリ |
KR101249008B1 (ko) | 2010-09-13 | 2013-04-02 | (주)리플라테크 | 중량물 방향 변경장치 |
KR200488587Y1 (ko) * | 2017-11-02 | 2019-02-25 |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 가변형 v 블록 |
CN209493231U (zh) * | 2018-12-11 | 2019-10-15 | 哈尔滨电气动力装备有限公司 | 大型电机总装翻身工具 |
KR20220085852A (ko) * | 2020-12-15 | 2022-06-23 | 주식회사 한화 | 동체 회전용 지그부를 구비한 유도탄용 회전 지지대 및 이를 포함하는 유도탄 조립대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A2814957C (en) | Mobile sizing station | |
US9945134B2 (en) | Load-adjustable vertically moving scaffold | |
US4865516A (en) | Rotatable elevating carrier for a palletizer | |
KR102632068B1 (ko) | 대형중량물 틸팅 장치 | |
KR102566148B1 (ko) | 레이저 스크랩 덤핑 캐리어 | |
KR102578137B1 (ko) | 이중 호이스트 크레인 장치 | |
TWI410578B (zh) | 控制與基座附接之底盤之角度的方法及其相關系統 | |
KR101934669B1 (ko) | 아웃트리거를 구비한 회전식 고소작업대 | |
US5469793A (en) | Tiltable load supporting platforms | |
CN105290808B (zh) | 接料装置 | |
KR930007751A (ko) | 워크 반송 장치 및 워크 반송 방법 | |
JP2024028842A (ja) | 荷揚げ装置 | |
KR20170013547A (ko) | 하중 조절형 승강작업대 | |
CN219507496U (zh) | 一种可调平衡式起重机 | |
JP6865151B2 (ja) | 重量物搬送台車 | |
KR102106512B1 (ko) | 안전 가이드를 구비하는 절단 장치 | |
KR200179964Y1 (ko) | 벨트 콘베어설비의 캐리어 임팩트 롤러 스탠드 | |
KR20200128517A (ko) | 반송 장치 | |
KR101255070B1 (ko) | 경동 장치 | |
KR20110009509U (ko) | 지지 성능 및 승강을 위한 연동거리가 개선된 레벨링 어셈블리 | |
JP6331872B2 (ja) | シュート装置及びばら物充填装置 | |
CN114319366A (zh) | 一种建筑施工用保护装置 | |
KR101955609B1 (ko) | 고소작업차의 버켓 레스트 | |
JP6985840B2 (ja) | 搬出装置及び板材加工システム | |
JP7107053B2 (ja) | 昇降装置のガイド機構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