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9514B1 - 모바일 데크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모바일 데크 지지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9514B1
KR100919514B1 KR1020080120618A KR20080120618A KR100919514B1 KR 100919514 B1 KR100919514 B1 KR 100919514B1 KR 1020080120618 A KR1020080120618 A KR 1020080120618A KR 20080120618 A KR20080120618 A KR 20080120618A KR 100919514 B1 KR100919514 B1 KR 1009195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k
stopper
link
hook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06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식
이종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대동이엔지
이종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대동이엔지, 이종만 filed Critical 주식회사대동이엔지
Priority to KR10200801206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95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95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95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18Detachable decks
    • B63B25/20Detachable decks for motor vehicl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7/00Stacking of articles
    • B65G57/30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bottom of the stack
    • B65G57/305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bottom of the stack by means of rotary devices or endless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60Loading or unloading sh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9/00Auxiliary measures taken, or devices used, in connection with loading or unloading
    • B65G69/28Loading ramps; Loading docks
    • B65G69/287Constructional features of deck or surrou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48Decks
    • B63B2003/485Decks movably connected to hull or superstructure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 데크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모바일 데크 지지장치를 개선하여 작업 능률을 향상시키고, 선적과 하역작업의 시간을 대폭적으로 단축할 수 있게 하는 모바일 데크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모바일 데크 지지장치는 각 층에 데크를 선적하고, 하역할 때마다 스톱퍼를 선회동작을 제어하는 와이어를 풀고 묶는 작업을 반복하여야되어 작업 능률이 저조해지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게 되면 리프트장치가 탑재된 차량을 운전하는 작업자가 선적하고자 하는 해당 층의 하부에 리프트차량을 이동시킨 다음 운전석으로부터 하차하여 해당 층의 와이어를 묶거나 푸는 동작을 반복하여야되어 작업 능률이 크게 떨어지게 되고, 선적과 하역작업에 많은 시간과 노동력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회전축(21)을 중심으로 선회되어 데크(3)를 지지하는 스톱퍼(2)에 있어서, 상기 스톱퍼(2)에 승/하강되는 데크(3)와 연동되면서 스톱퍼(2)의 회동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설치시켜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어장치는 기둥(1)에 일측 단부가 힌지축(41)으로 설치되고, 또 다른 단부는 데크(3)의 승/하강로 상에 위치되어 데크(3)와 접촉되면서 회동되는 링크(4)와; 일단이 기둥(1)에 축(51)으로 설치되고, 또 다른 단부가 스톱퍼(2)에 형성되는 걸림롤러(22)와 접촉되면서 스톱퍼(2)의 회동을 제어하는 훅크(5)와; 상기 링크(4)와 훅크(5)를 로드(6)로 연결시켜 링크(4)와 훅크(5)가 연동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데크를 지지장치의 스톱퍼에 선적시키고, 하역시키는 동작시 작업자가 별도로 스톱퍼의 회전을 제어하기 않고도 선적과 하역작업을 할 수가 있어, 작업 능률을 향상시키고, 선적과 하역작업의 시간을 대폭적으로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모바일 데크 지지장치{Mobile deck lifter}
본 발명은 모바일 데크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모바일 데크 지지장치를 개선하여 작업 능률을 향상시키고, 선적과 하역작업의 시간을 대폭적으로 단축할 수 있게 하는 모바일 데크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 운반용 선박(PCC: Pure Car Carrier, PC & TC: Pure Car & Truck Carrier)에 있어서 한정된 공간 내에 보다 많은 수의 차량을 선적시키기 위하여 다수의 층으로 차량을 선적하게 된다.
즉, 4개의 기둥 내측에 차량이 탑재되는 데크를 지지하는 지지장치를 다수의 층으로 형성시켜 각각의 지지장치에 차량이 탑재된 데크를 얹어 선적하게 되는 것이다.
첨부된 도면 도 1 및 도 2 는 종래에 있어서의 모바일 데크 지지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와 스톱퍼를 발췌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종래에 있어서의 모바일 데크 지지장치는 선박의 내부에 설치되는 각 기둥(1)의 내측면에 회전축(21)을 중심으로 선회되는 스톱퍼(2)가 설치되어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스톱퍼(2)는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자중에 의해 각 기둥(1)의 내측으로 펼쳐진 상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종래의 모바일 데크 지지장치는 데크(3)가 리프트장치에 의해 들어 올려지면서 최상층에서부터 데크(3)를 선적하게 되는 것이다.
리프트장치에 의해 상승되는 데크(3)는 하층의 스톱퍼(2)를 통과하면서 스톱퍼가 데크의 측면과 접촉되면서 밀려나다가 데크(3)가 스톱퍼(2)를 통과하면 자중에 의해 회전축(21)을 중심으로 선회되어 데크의 승/하강로 상에 위치되는 구조이다.
이로써, 최하층에 설치되는 스톱퍼(2)의 경우에는 상층의 지지장치 모두에 데크(3)가 선적되는 동안 각각의 데크와 접촉되어 접혔다가 펼쳐지는 동작을 반복하게 되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데크(3)를 하역하는 경우에는 데크(3)의 승/하강로 상에 펼쳐진 스톱퍼 (2)때문에 상층의 데크(3)가 내려올 수 없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각층의 스톱퍼(2)에 와이어(100)를 연결하고, 최하층에 각각의 와이어(100)를 고정할 수 있게 하는 고정수단을 설치시켜 선적되지 않는 층의 스톱퍼(2)가 데크(3)의 승/하강동작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구성하였다.
이로써, 최초 데크(3)를 선적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최상층의 스톱퍼(2)와 연결된 와이어(100)만을 풀어 스톱퍼(2)가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 상태에서 데크(3)를 리프트장치로 들어올린다.
상승되는 데크(3)는 최상층을 제외한 하층의 스톱퍼(2)들이 와이어(100)에 당겨져 접혀진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아무런 방해 없이 최상층의 스톱퍼(2)와 접촉되고 데크(3)가 스톱퍼(2)의 선회구간을 벗어나는 시점까지에 까지 데크(3)가 상승되면 최상층의 스톱퍼(2)가 자중에 의해 펼쳐져 데크(3)를 지지할 수 있는 준비상태가 된다.
이어 리프트장치를 하강시키게 되면 데크(3)가 각 기둥(1)의 내측으로 펼쳐진 각각의 스톱퍼(2) 상에 얹혀지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동작을 반복하여 각층에 데크(3)를 선적하게 되고, 하역시에는 반대의 동작을 반복하여 하역작업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모바일 데크 지지장치는 각 층에 데크(3)를 선적하고, 하역할 때마다 스톱퍼(2)를 선회동작을 제어하는 와이어(100)를 풀고 묶는 작업을 반복하여야되어 작업 능률이 저조한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게 되면 리프트장치가 탑재된 차량을 운전하는 작업자가 선적하고자 하는 해당 층의 하부에 리프트차량을 이동시킨 다음 운전석으로부터 하차하여 해당 층의 와이어(100)를 묶거나 푸는 동작을 반복하여야되어 작업 능률이 크게 떨어지게 되고, 선적과 하역작업에 많은 시간과 노동력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종래 모바일 데크 지지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모바일 데크 지지장치를 개선하여 작업 능률을 향상시키고, 선적과 하역작업의 시간을 대폭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게 하는 모바일 데크 지지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회전축을 중심으로 선회되어 데크를 지지하는 스톱퍼에 있어서, 상기 스톱퍼에 승/하강되는 데크와 연동되면서 스톱퍼의 회동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설치시켜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어장치는 기둥에 일측 단부가 힌지축으로 설치되고, 또 다른 단부는 데크의 승/하강로 상에 위치되어 데크와 접촉되면서 회동되는 링크와; 일단이 기둥에 축으로 설치되고, 또 다른 단부가 스톱퍼에 형성되는 걸림롤러와 접촉되면서 스톱퍼의 회동을 제어하는 훅크와; 상기 링크와 훅크를 로드로 연결시켜 링크와 훅크가 연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에 특징을 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데크를 지지장치의 스톱퍼에 선적시키고, 하역시키는 동작시 작업자가 별도로 스톱퍼의 회전을 제어하기 않고도 선적과 하역작업을 할 수가 있어, 작업 능률을 향상시키고, 선적과 하역작업의 시간을 대폭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 은 종래에 있어서의 모바일 데크 지지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2 는 종래에 있어서의 스톱퍼를 발췌 도시한 측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스톱퍼를 분리 도시한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스톱퍼가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스톱퍼의 제어장치와의 관계를 도시한 측 단면도
도 6(A),(B) 는 본 발명에 따른 정위치 유지장치의 동작을 발췌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지지장치에 데크가 선적되는 과정을 발췌 도시한 측면도
도 8 은 본 발명의 지지장치로부터 데크가 하역되는 과정을 발췌 도시한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스톱퍼를 분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스톱퍼가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스톱퍼의 제어장치와의 관계를 도시한 측 단면도이고,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정위치 유지장치의 동작을 발췌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7 은 본 발명의 지지장치에 데크가 선적되는 과정을 발췌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8 은 본 발명의 지지장치로부터 데크가 하역되는 과정을 발췌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회전축(21)을 중심으로 선회되어 데크(3)를 지지하는 스톱퍼(2)에 있어서, 상기 스톱퍼(2)에 승/하강되는 데크(3)와 연동되면서 스톱퍼(2)의 회동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설치시켜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어장치는 기둥(1)에 일측 단부가 힌지축(41)으로 설치되고, 또 다른 단부는 데크(3)의 승/하강로 상에 위치되어 데크(3)와 접촉되면서 회동되는 링크(4)와; 일단이 기둥(1)에 축(51)으로 설치되고, 또 다른 단부가 스톱퍼(2)에 형성되는 걸림롤러(22)와 접촉되면서 스톱퍼(2)의 회동을 제어하는 훅크(5)와; 상기 링크(4)와 훅크(5)를 로드(6)로 연결시켜 링크(4)와 훅크(5)가 연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링크(4)는 데크(3)의 측면과 접촉될 때보다 유연하게 동작할 수 있도록 링크의 선단에 롤러(42)를 설치시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링크(4)는 임의로 회동되지 않아야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링크(4)가 항상 정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링크(4)에 정위치유지장치(7)를 설치시켜 구성하였다.상기 정 위치유지장치(7)는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그 일 실시 예로 힌지축(41)을 중심으로 선회되는 링크(4)의 상/하면에 탄성체를 설치시켜 구성할 수도 있고, 링크(4)에 쇽업장치를 설치시켜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도면에는 힌지축(41)의 일 측면을 절취시켜 압박면(411)을 형성시키고 상기 압박면(411)에 스프링(71)을 탄력적으로 접촉시켜 링크(4)가 항상 정 위치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첨부된 도면 도 6 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링크(4)에 결합되는 힌지축(41)의 일 측면을 절취시켜 압박면(411)을 형성시키고, 상기 압박면(411)에 일단이 볼트(73)에 의해 지지되는 스프링(71)과, 스프링의 선단에 설치되는 밀대(72)를 탄력적으로 접촉시켜 정위치 유지장치(7)를 구성하였다.이와 같이 구성되는 정위치유지장치(7)는 첨부된 도면 도 6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링크(4)가 승강되는 데크(3)와 접촉되면서 상부로 선회되는 동작 시 압박면(411) 또한 상부로 회동되면서 스프링(71)에 탄력설치 된 밀대(72)를 압축하면서 후퇴시켜 압박면(411)의 왼쪽부분 만이 밀대(72)와 접촉하게 된다.(B-1 참조.)데크(3)의 하강 동작시에는 상기와 반대의 동작으로 압박면(411)의 오른쪽 부분만이 밀대(72)와 접촉하게 되는 것이다.(B-3 참조.)
이어 데크(3)가 링크(4) 선단의 롤러(42)로부터 이격되어 링크(4)에 외력이 작용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압박면(411)이 스프링(71)에 탄력설치된 밀대(72)에 의해 압박됨에 따라 힌지축(41)이 회전되면서 압박면(411) 전체가 밀대(72)선단에 접촉되는 시점에서 회전이 정지되고, 결국 링크(4)는 본래의 위치로 되돌아와 정위치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B-2)
그리고 상기 링크(4)와 훅크(5)를 연결하는 로드(6)는 링크(4)와 훅크(5)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도록 볼트(61)와 너트(62)로 이루어지는 턴버클장치(60)로 구성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 도 7 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량이 탑재되는 데크(3)를 선적하는 경우에는 리프트장치에 의해 상승되는 데크(3)는 하층의 스톱퍼(2)를 통과하면서 스톱퍼(2)가 데크(3)의 측면과 접촉되면서 밀려나게 되고, 계속되는 데크의 상승동작에 의해 링크(4)의 선단에 설치된 롤러(42)가 데크의 상면 모서리와 접촉되면서 올려지게 된다.
이에 링크(4)의 후단에 설치된 로드(6)가 하향으로 이동되면서 훅크(5)의 후단을 누르게 되고, 훅크(5)는 스톱퍼(2)의 걸림롤러(22)로부터 이격된다. 계속되는 데크(3)의 상승동작으로 데크가 스톱퍼(2)의 회동구간을 벗어나게 되면 스톱퍼(2)가 회전축(21)을 중심으로 자중에 의해 선회되어 데크(3)의 승/하강로 상에 위치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리프트장치를 하강시키게 되면 데크(3)가 펼쳐전 스톱퍼(2)에 얹혀지면서 지지되는 것이다.
이어서 하역작업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데크의 하역작업은 최하층부터 시작된다.
하역시키고자 하는 층의 하부로 리프트차량을 이동시킨 다음 리프트장치로 데크(3)를 들어올려 해당 데크(3)의 측면으로부터 링크(4)의 롤러(42)가 벗어나는 시점에까지 데크를 상승시키게 되면 링크(4)는 힌지축(41)의 압박면(411)에 탄력적으로 설치된 스프링(71)의 탄발력에 의해 본래의 정 위치로 회동된다.
이어 리프트장치로 데크(3)를 하강시키게 되면 링크(4)의 선단에 설치된 롤러(42)가 데크(3) 하부의 모서리부분에 눌리어지면서 링크(4)의 선단이 하향으로 회동되고, 링크(4)에 후단에 연결된 로드(6)는 상승동작을 하게 된다.
이에 따라 훅크(5)는 하향으로 회동되면서 걸림롤러(22)와 접촉되면서 스톱퍼(2)가 회전축(21)을 중심으로 선회되어 접혀지게 되고, 하강하는 데크(3)는 스톱퍼(2)의 방해 없이 하강동작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계속되는 데크(3)의 하강동작으로 링크(4) 선단의 롤러(42)가 데크(3)의 측면으로부터 완전하게 벗어나는 순간 정 위치유지장치(7)가 동작되면서 링크(4)는 본래의 위치로 복귀되고, 훅크(5)는 걸림롤러(22)로부터 이격된다.
데크(3)의 계속되는 하강동작으로 스톱퍼(2)가 자중에 의해 회전축(21)을 중심으로 선회되면서 펼쳐지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데크를 지지장치의 스톱퍼에 선적시키고, 하역시키는 동작시 작업자가 별도로 스톱퍼의 회전을 제어하지 않고도 선적과 하역작업을 할 수가 있어, 작업 능률을 향상시키고, 선적과 하역작업의 시간을 대폭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어 많은 수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Claims (4)

  1. 회전축(21)을 중심으로 선회되어 데크(3)를 지지하는 스톱퍼(2)에 있어서, 상기 스톱퍼(2)에 승/하강되는 데크(3)와 연동되면서 스톱퍼(2)의 회동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설치시켜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어장치는 기둥(1)에 일측 단부가 힌지축(41)으로 설치되고, 또 다른 단부는 데크(3)의 승/하강로 상에 위치되어 데크(3)와 접촉되면서 회동되는 링크(4)와; 일단이 기둥(1)에 축(51)으로 설치되고, 또 다른 단부가 스톱퍼(2)에 형성되는 걸림롤러(22)와 접촉되면서 스톱퍼(2)의 회동을 제어하는 훅크(5)와; 상기 링크(4)와 훅크(5)를 로드(6)로 연결시켜 링크(4)와 훅크(5)가 연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데크 지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4)의 선단에 롤러(42)를 설치시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데크 지지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힌지축(41)의 일 측면을 절취시켜 압박면(411)을 형성시키고, 상기 압박면(411)에 스프링(71)을 탄력적으로 접촉시켜 링크(4)가 항상 정 위치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데크 지지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4)와 훅크(5)를 연결하는 로드(6)는 링크(4)와 훅크(5)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도록 볼트(61)와 너트(62)로 이루어지는 턴버클장치(60)를 설치시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데크 지지장치.
KR1020080120618A 2008-12-01 2008-12-01 모바일 데크 지지장치 KR1009195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0618A KR100919514B1 (ko) 2008-12-01 2008-12-01 모바일 데크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0618A KR100919514B1 (ko) 2008-12-01 2008-12-01 모바일 데크 지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9514B1 true KR100919514B1 (ko) 2009-09-28

Family

ID=41356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0618A KR100919514B1 (ko) 2008-12-01 2008-12-01 모바일 데크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9514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9073B1 (ko) * 2010-11-16 2013-04-10 주식회사대동이엔지 모바일 데크 지지장치
WO2016043350A1 (ko) * 2014-09-15 2016-03-24 (주) 대동인터내셔날 모바일 데크 지지장치
KR102006001B1 (ko) * 2018-04-16 2019-07-31 에스엠에스 에스엠이 프라이비트 리미티드 셀 가이드 스토퍼
KR102005897B1 (ko) 2018-02-09 2019-08-01 (주)대동인터내셔날 모바일 데크 지지장치 및 그 지지방법
CN110481701A (zh) * 2019-08-15 2019-11-22 广州文冲船厂有限责任公司 一种舱盖支承部件的安装及调试方法
CN112520318A (zh) * 2020-11-27 2021-03-19 合肥浩普智能装备科技有限公司 一种码垛机器人用分层定位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4528A (ja) * 1982-07-01 1984-01-11 Nissan Motor Co Ltd 積載装置
JPH10338190A (ja) * 1997-06-10 1998-12-22 Shinkurushima Dock:Kk リフタブルカーデッキの保持装置
WO1999036645A1 (fr) * 1998-01-14 1999-07-22 Kabushikikaisya Kotobuki Structure de redressement/pliage de siege de tribune amovible pour spectateurs
JP2000318506A (ja) * 1999-03-08 2000-11-21 Shinmeiwa Auto Engineering Ltd 荷受台昇降装置における荷受台の格納位置決め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4528A (ja) * 1982-07-01 1984-01-11 Nissan Motor Co Ltd 積載装置
JPH10338190A (ja) * 1997-06-10 1998-12-22 Shinkurushima Dock:Kk リフタブルカーデッキの保持装置
WO1999036645A1 (fr) * 1998-01-14 1999-07-22 Kabushikikaisya Kotobuki Structure de redressement/pliage de siege de tribune amovible pour spectateurs
JP2000318506A (ja) * 1999-03-08 2000-11-21 Shinmeiwa Auto Engineering Ltd 荷受台昇降装置における荷受台の格納位置決め装置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9073B1 (ko) * 2010-11-16 2013-04-10 주식회사대동이엔지 모바일 데크 지지장치
WO2016043350A1 (ko) * 2014-09-15 2016-03-24 (주) 대동인터내셔날 모바일 데크 지지장치
KR101840652B1 (ko) * 2014-09-15 2018-03-21 (주)대동인터내셔날 모바일 데크 지지장치
KR102005897B1 (ko) 2018-02-09 2019-08-01 (주)대동인터내셔날 모바일 데크 지지장치 및 그 지지방법
KR102006001B1 (ko) * 2018-04-16 2019-07-31 에스엠에스 에스엠이 프라이비트 리미티드 셀 가이드 스토퍼
CN110481701A (zh) * 2019-08-15 2019-11-22 广州文冲船厂有限责任公司 一种舱盖支承部件的安装及调试方法
CN110481701B (zh) * 2019-08-15 2021-07-16 广州文冲船厂有限责任公司 一种舱盖支承部件的安装及调试方法
CN112520318A (zh) * 2020-11-27 2021-03-19 合肥浩普智能装备科技有限公司 一种码垛机器人用分层定位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9514B1 (ko) 모바일 데크 지지장치
JP4317582B1 (ja) モバイルデッキ支持装置
KR101847831B1 (ko) 차량 운송용 트레일러
CN104724633B (zh) 用于支承车轮的设备
KR101249073B1 (ko) 모바일 데크 지지장치
CN102239103A (zh) 电梯系统及安装方法
JP6586384B2 (ja) エレベーターのコンペンロープ引き上げ装置
CN101811557A (zh) 活动甲板支撑设备
JP4316514B2 (ja) 機械式駐車装置における作業装置とその作業方法
CN107000819B (zh) 移动甲板支撑装置
JP2009001314A (ja) キャスター付パレット
KR101799116B1 (ko) 로로선의 카데크 어셈블리
JP2847513B2 (ja) リフタブルカーデッキの保持装置
JP3157526U (ja) タラップ装置
KR101876121B1 (ko) 폴딩식 시트와 연동되는 차량의 러기지 보드 어셈블리
KR102581697B1 (ko) 카 케리어의 추락방지장치
KR102658381B1 (ko) 승강데크 안전 지지장치
KR102155198B1 (ko) 화물 차량의 화물 덮개 장치
CN116281564B (zh) 一种用于桥梁建设的吊装设备
KR200368352Y1 (ko) 화물차의 화물적재함 덮개장치
WO2012121655A1 (en) A proceeding and arrangement for a hoistable deck for cargo in ships
KR102452380B1 (ko) 서스펜션스프링의 작업 장치
JP3962698B2 (ja) ランプ装置
JPS6127358Y2 (ko)
JP4301839B2 (ja) 車両用床下格納式荷役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