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2380B1 - 서스펜션스프링의 작업 장치 - Google Patents

서스펜션스프링의 작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2380B1
KR102452380B1 KR1020200113313A KR20200113313A KR102452380B1 KR 102452380 B1 KR102452380 B1 KR 102452380B1 KR 1020200113313 A KR1020200113313 A KR 1020200113313A KR 20200113313 A KR20200113313 A KR 20200113313A KR 102452380 B1 KR102452380 B1 KR 1024523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spension spring
moving jig
spring
working device
lowe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33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31427A (ko
Inventor
김국현
박성철
박영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Priority to KR10202001133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2380B1/ko
Publication of KR202200314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14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23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23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4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parts
    • B23P19/048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 F16F1/04Wound springs
    • F16F1/12Attachments or mount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F16F15/06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with metal springs
    • F16F15/067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with metal springs using only wound 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서스펜션 스프링의 양끝단에 지그가 접촉됨에 따라 서스펜션 스프링의 손상이 최소화되고, 서스펜션 스프링의 가압 및 스프링시트의 설치가 용이한 서스펜션스프링의 작업 장치가 소개된다.

Description

서스펜션스프링의 작업 장치 {WORK APPARATUS OF SUSPENSION SPRING}
본 발명은 서스펜션 스프링의 부품 장착시 편의성이 확보되는 서스펜션스프링의 작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스프링에 스프링 시트를 장착시 랙과 피니언으로 이루어진 기구를 사용하였다. 다만, 종래의 스프링 압입 기구를 사용시 스프링의 유효 부분에 직접 지그가 장착됨에 따라 스프링의 압입시 스프링 칩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강한 파지력으로 스프링을 고정시킴에 따라 스프링의 유휴 구간이 파손되는 문제도 있다.
또한, 스프링의 고정도 매우 불편할 뿐만 아니라, 스프링의 불안전한 고정으로 인해 스프링이 튕겨나가 안전 사고의 위험성도 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1999-0032452 A (1999.05.15)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서스펜션 스프링의 고정시 서스펜션 스프링의 손상이 최소화되고, 서스펜션 스프링의 가압 및 스프링 시트의 설치가 용이한 서스펜션스프링의 작업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서스펜션스프링의 작업 장치는 서스펜션 스프링이 고정되는 지지대; 지지대의 상방에서 서스펜션 스프링을 향해 승하강되고, 하부에는 상방으로 함몰되어 슬라이딩공간을 형성하는 설치부가 형성된 이동지그; 및 이동지그의 설치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되게 설치되고, 이동지그의 승하강 여부에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벌어지거나 오므라지는 파지부가 형성되며, 파지부에는 측방으로 관통되어 조립공간을 형성하는 개통부가 형성된 가압지그;를 포함함으로써, 이동지그의 하강시 이동지그와 함께 하방으로 이동된 파지부가 서스펜션 스프링을 가압하여 개통부를 통한 서스펜션 스프링에 스프링 시트의 설치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고, 이동지그의 상승시 파지부가 벌어짐에 따라 서스펜션 스프링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설치부에는 슬라이딩공간의 중앙을 향해 하방으로 연장된 고정부가 형성되고, 파지부는 일단부가 고정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하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고정부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파트로 구성되고, 각 파트는 이동지그의 승하강 여부에 따라 고정부에서 틸팅됨으로써 타단부가 벌어지거나 오므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고정부의 끝단에는 둘레를 따라 연장단부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파지부를 이루는 각 파트의 일단부에는 연장단부의 상측에 걸리도록 고정부를 향해 연장된 걸림단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각 파트의 걸림단부는 고정부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플랙시블하게 변형되는 변형부재를 통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설치부의 내측면과 고정부의 외측면 사이의 거리는 각 파트의 일단부 폭보다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설치부의 내측면에는 상부와 하부에 각각 상부걸림단과 하부걸림단이 돌출되게 형성됨에 따라 상부걸림단과 하부걸림단 사이로 틸팅공간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각 파트의 타단부 폭은 이동지그가 하강되어 파지부가 서스펜션 스프링을 가압시 하부걸림단에 접촉되어 지지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파지부를 이루는 각 파트는 일단부의 폭보다 타단부의 폭이 더 크게 형성되고,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갈수록 폭이 증대됨에 따라 외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파지부를 이루는 각 파트의 일단부에는 이동지그가 하강되어 파지부가 서스펜션 스프링을 가압시 상부걸림단에 접촉되어 지지되는 접촉단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접촉단부의 하단에는 이동지그가 하강된 상태에서 상승시 하부걸림단에 접촉되는 탄성재질의 완충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각 파트의 타단부에는 서스펜션 스프링이 안착되도록 내측으로 돌출된 안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각 파트의 안착부는 이동지그가 하강되어 파지부가 서스펜션 스프링을 가압시 스프링 시트의 폭보다 작되 이동지그의 상승되어 파지부가 벌어진 상태시 스프링 시트의 폭보다 크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서스펜션스프링의 작업 장치는 서스펜션 스프링의 양끝단에 지그가 접촉됨에 따라 서스펜션 스프링의 손상이 최소화되고, 서스펜션 스프링의 가압 및 스프링시트의 설치가 용이하다.
도 1 내지 2는 본 발명에 따른 서스펜션스프링의 작업 장치의 가압 작동을 나타낸 도면.
도 3 내지 4는 본 발명에 따른 서스펜션스프링의 작업 장치의 이탈 작동을 나타낸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서스펜션스프링의 작업 장치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 내지 2는 본 발명에 따른 서스펜션스프링의 작업 장치의 가압 작동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 내지 4는 본 발명에 따른 서스펜션스프링의 작업 장치의 이탈 작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서스펜션스프링의 작업 장치는 도 1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스펜션 스프링(S1)이 고정되는 지지대(100); 지지대(100)의 상방에서 서스펜션 스프링(S1)을 향해 승하강되고, 하부에는 상방으로 함몰되어 슬라이딩공간(R1)을 형성하는 설치부(210)가 형성된 이동지그(200); 및 이동지그(200)의 설치부(210)에서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되게 설치되고, 이동지그(200)의 승하강 여부에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벌어지거나 오므라지는 파지부(310)가 형성되며, 파지부(310)에는 측방으로 관통되어 조립공간(R2)을 형성하는 개통부(320)가 형성된 가압지그(300);를 포함함으로써, 이동지그(200)의 하강시 이동지그(200)와 함께 하방으로 이동된 파지부(310)가 서스펜션 스프링(S1)을 가압하여 개통부(320)를 통한 서스펜션 스프링(S1)에 스프링 시트(S2)의 설치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고, 이동지그(200)의 상승시 파지부(310)가 벌어짐에 따라 서스펜션 스프링(S1)으로부터 이탈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서스펜션 스프링(S1)이 고정되는 지지대(100)와, 서스펜션 스프링(S1)을 가압하거나 서스펜션 스프링(S1)으로부터 이탈되는 이동지그(200) 및 가압지그(300)로 구성된다. 여기서, 지지대(100)는 서스펜션 스프링(S1)의 하부가 장착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서스펜션 스프링(S1)을 고정시키기 위한 별도 지그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지지대(100)에 고정된 서스펜션 스프링(S1)을 가압하기 위한 것으로, 이동지그(200)와 가압지그(300)가 구비된다. 여기서, 이동지그(200)는 지지대(100)의 상방에서 서스펜션 스프링(S1)을 향해 승하강되고, 가압지그(300)는 이동지그(200)의 설치부(210)에 마련되어 이동지그(200)의 승하강 여부에 따라 벌어지거나 오므라지도록 구성된다. 특히, 가압지그(300)에는 측방으로 개통부(320)가 형성됨으로써, 가압지그(300)가 서스펜션 스프링(S1)을 가압한 상태에서, 개통부(320)를 통해 서스펜션 스프링(S1)에 스프링 시트(S2)의 설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도 1 내지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지그(200)의 하강시 이동지그(200)와 함께 가압지그(300)가 하방으로 이동되고, 가압지그(300)의 파지부(310)가 오므라진 상태에서 서스펜션 스프링(S1)을 가압하게 된다. 여기서, 가압지그(300)에는 측방으로 조립공간(R2)을 형성하는 개통부(320)가 형성됨으로써, 개통부(320)를 통해 서스펜션 스프링(S1)에 스프링 시트(S2)의 설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후, 도 3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지그(200)가 상승되면 가압지그(300)의 파지부(310)가 벌어지면서 서스펜션 스프링(S1)으로부터 이탈된다.
상술한 본 발명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설치부(210)에는 슬라이딩공간(R1)의 중앙을 향해 하방으로 연장된 고정부(220)가 형성되고, 파지부(310)는 일단부(300a)가 고정부(220)에 연결되고 타단부(300b)가 서스펜션 스프링(S1)에 접촉되도록 형성되며 고정부(220)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파트로 구성되고, 각 파트는 이동지그(200)의 승하강 여부에 따라 고정부(220)에서 틸팅됨으로써 타단부(300b)가 벌어지거나 오므라질 수 있다.
도면에서는 파지부(310)를 이루는 복수의 파트가 2개로 분할되는 것으로 표현하였으나, 3개 이상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파지부(310)는 설치부(210)에서 연장된 고정부(220)의 둘레를 따라 고정부(220)를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일단부(300a)가 고정부(220)에 연결되고 타단부(300b)가 하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파지부(310)를 이루는 복수의 파트는 이동지그(200)의 승하강시 고정부(220)에 연결된 일단부(300a)를 중심으로 타단부(300b)가 회전될 수 있다. 즉, 파지부(310)를 이루는 복수의 파트는 이동지그(200)의 승하강 여부에 따라 틸팅됨으로써, 복수의 파트가 오므라지거나 벌어지는 동직이 수행될 수 있다.
상세하게, 고정부(220)의 끝단에는 둘레를 따라 연장단부(221)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파지부(310)를 이루는 각 파트의 일단부(300a)에는 연장단부(221)의 상측에 걸리도록 고정부(220)를 향해 연장된 걸림단부(31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고정부(220)의 끝단에는 연장단부(221)가 형성되고, 파지부(310)의 각 파트에는 연장단부(221)에 걸리는 걸림단부(311)가 형성됨으로써, 가압지그(300)가 이동지그(200)의 설치부(210)에서 하방으로 이동시 걸림단부(311)가 연장단부(221)에 걸려 하방으로 이탈되지 않는다. 또한, 파지부(310)의 각 파트는 걸림단부(311)가 연장단부(221)에 걸릴 경우 걸림단부(311)가 연장단부(221)에 걸린 지점을 회전중심점으로 하여 틸팅될 수 있다.
여기서, 설치부(210)의 내측면과 고정부(220)의 외측면 사이의 거리는 각 파트의 일단부(300a) 폭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즉, 파지부(310)의 각 파트는 슬라이딩공간(R1)에서 틸팅되어야 함에 따라, 각 파트가 틸팅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어야 한다. 따라서, 파지부(310)를 이루는 파트는 일단부(300a)의 폭이 설치부(210)의 내측면과 고정부(220)의 외측면 사이의 거리보다 짧게 형성되도록 하여, 각각의 파트가 틸팅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설치부(210)의 내측면에는 상부와 하부에 각각 상부걸림단(211)과 하부걸림단(212)이 돌출되게 형성됨에 따라 상부걸림단(211)과 하부걸림단(212) 사이로 틸팅공간(R3)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부걸림단(211)과 하부걸림단(212)은 파지부(310)를 이루는 각 파트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하기 위해 마련되고, 상부걸림단(211)과 하부걸림단(212) 사이로 틸팅공간(R3)이 형성됨에 따라 각 파트가 틸팅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도록 한다. 즉,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이동지그(200)가 하강하여 가압지그(300)의 파지부(310)가 서스펜션 스프링(S1)을 가압시, 파지부(310)를 이루는 각 파트는 오므라진 상태가 유지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파지부(310)가 서스펜션 스프링(S1)을 가압하는 위치로 이동시, 파지부(310)를 이루는 각 파트가 상부걸림단(211)과 하부걸림단(212)에 접촉되어 지지됨으로써 펼쳐짐 동작이 제한된다. 이로 인해, 파지부(310)는 각각의 파트가 서스펜션 스프링(S1)을 가압하는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한편,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파지부(310)를 이루는 각 파트는 스프링 시트(S2)에 걸려 있음에 따라 상측으로 이동이 제한되고, 이동지그(200)가 상승시 상부걸림단(211)과 하부걸림단(212) 사이의 틸팅공간(R3)으로 파지부(310)의 일단부(300a)가 위치됨에 따라 틸팅이 허용됨으로써, 파지부(310)가 벌어지면서 서스펜션 스프링(S1)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각 파트의 타단부(300b) 폭은 이동지그(200)가 하강되어 파지부(310)가 서스펜션 스프링(S1)을 가압시 하부걸림단(212)에 접촉되어 지지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파지부(310)는 이동지그(200)가 하강되어 서스펜션 스프링(S1)에 접촉된 상태에서 각각의 파트가 하부걸림단(212)에 접촉됨에 따라 펼쳐짐 동작이 제한됨으로써, 각 파트가 오므라진 상태로 서스펜션 스프링(S1)을 가압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파지부(310)를 이루는 각 파트의 일단부(300a)에는 이동지그(200)가 하강되어 파지부(310)가 서스펜션 스프링(S1)을 가압시 상부걸림단(211)에 접촉되어 지지되는 접촉단부(313)가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파지부(310)는 이동지그(200)가 하강되어 서스펜션 스프링(S1)에 접촉된 상태에서, 각 파트에 형성된 접촉단부(313)가 상부걸림단(211)에 접촉됨에 따라 펼쳐짐 동작이 제한됨으로써, 각 파트가 오므라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파지부(310)는 이동지그(200)가 하강되어 서스펜션 스프링(S1)을 가압시 각 파트의 상부와 하부가 각각 설치부(210)의 상부걸림단(211)과 하부걸림단(212)에 접촉되어 지지됨에 따라 오므라진 상태가 유지됨으로써, 파지부(310)가 서스펜션 스프링(S1)을 안정적으로 가압할 수 있다.
한편, 파지부(310)를 이루는 각 파트는 일단부(300a)의 폭보다 타단부(300b)의 폭이 더 크게 형성되고, 일단부(300a)에서 타단부(300b)로 갈수록 폭이 증대됨에 따라 외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각 파트의 외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이동지그(200)의 상승시 각 파트의 외측면이 설치부(210)에 접촉되더라도 슬라이딩되면서 파지부(310)가 상하로 이동되거나 각 파트의 오므라짐 또는 펼처짐 동작이 원활히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접촉단부(313)의 하단에는 이동지그(200)가 하강된 상태에서 상승시 하부걸림단(212)에 접촉되는 탄성재질의 완충부재(314)가 구비됨으로써, 이동지그(200)의 상승시 완충부재(314)가 접촉단부(313)와 하부걸림단(212) 사이에 개재됨에 따라 파지부(310)를 이루는 각 파트의 틸팅 각도가 제한되고, 해당 위치에서 임시 고정될 수 있다.
이렇게, 가압지그(300)의 파지부(310)가 서스펜션 스프링(S1)을 가압 이후 이동지그(200)의 상승시, 파지부(310)를 이루는 각 파트는 상부걸림단(211)과 하부걸림단(212) 사이의 틸팅공간(R3)을 통해 틸팅됨으로써, 파지부(310)가 서스펜션 스프링(S1)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또한, 파지부(310)는 각 파트의 외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됨에 따라 원활한 틸팅 동작이 수행될 수 있고, 완충부재(314)에 의해 가고정 상태가 유지되어 다음 동작에 대한 대기 상태가 될 수 있다.
한편, 각 파트의 타단부(300b)에는 서스펜션 스프링(S1)이 안착되도록 내측으로 돌출된 안착부(315)가 형성되고, 안착부(315)는 상단이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안착부(315)는 하단이 서스펜션 스프링(S1)의 안착시, 서스펜션 스프링(S1)의 상단을 감싸도록 함몰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안착부(315)는 상단이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됨에 따라, 서스펜션 스프링(S1)에 스프링 시트(S2)의 설치 이후 이동지그(200)의 상승시 안착부(315)의 경사진 부분이 스프링 시트(S2)에 접촉되어 각 파트가 자연스럽게 벌어지는 동작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각 파트의 안착부(315)는 이동지그(200)가 하강되어 파지부(310)가 서스펜션 스프링(S1)을 가압시 스프링 시트(S2)의 폭보다 작되 이동지그(200)의 상승되어 파지부(310)가 벌어진 상태시 스프링 시트(S2)의 폭보다 크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이동지그(200)가 하강됨에 따라 파지부(310)를 이루는 각 파트는 오므라진 상태에서 안착부(315)를 통해 서스펜션 스프링(S1)을 안정적으로 가압할 수 있고, 이동지그(200)가 상승됨에 따라 파지부(310)를 이루는 각 파트가 펼쳐질 경우 안착부(315) 사이로 스프링 시트(S2)가 통과되어 파지부(310)가 서스펜션 스프링(S1) 및 스프링 시트(S2)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한편, 각 파트의 걸림단부(311)는 고정부(220)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플랙시블하게 변형되는 변형부재(312)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변형부재(312)는 실리콘 또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각 파트의 걸림단부(311)가 연결되도록 한다. 이러한 변형부재(312)는 각 파트의 걸린단부에서 최상단 일부에 연결될 수 있으며, 각 파트가 변형부재(312)에 의해 연결됨으로써 각 파트의 일단부(300a) 위치가 구속되어 자유 이동됨에 따른 충격 및 소음이 방지된다.
상술한 본 발명에 대한 상세 동작은 하기와 같다.
도 1 내지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100)에 서스펜션 스프링(S1)이 고정된 상태에서 이동지그(200)의 하강에 의해 가압지그(300)가 함께 하강된다.
이때, 가압지그(300)의 파지부(310)는 각 파트의 일단부(300a)가 접촉단부(313)를 통해 설치부(210)의 상부걸림단(211)에 지지되고 타단부(300b)가 설치부(210)의 하부걸림단(212)에 지지됨에 따라 오므라진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이동지그(200)가 하강됨에 따라 파지부(310)를 이루는 각 파트의 안착부(315)가 서스펜션 스프링(S1)의 상부에 접촉되고, 이동지그(200)의 계속적인 하강에 의해 가압지그(300)가 서스펜션 스프링(S1)을 가압하게 된다.
이렇게, 서스펜션 스프링(S1)이 가압된 상태에서, 파지부(310)의 개통부(320)를 통해 서스펜션 스프링(S1)에 스프링 시트(S2)를 설치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서스펜션 스프링(S1)의 가압 해제는 다음과 같다.
도 3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스펜션 스프링(S1)에 스피링 시트가 설치됨에 따라, 이동지그(200)의 상승시 파지부(310)를 이루는 각 파트의 안착부(315)가 스프링시트에 접촉된다. 여기서, 안착부(315)는 상단이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됨에 따라 이동지그(200)의 상승시 안착부(315)의 경사진 부분이 스프링 시트(S2)에 접촉된다. 이로 인해, 파지부(310)를 이루는 각 파트는 안착부(315)의 경사면을 타고 이동되는 스프링 시트(S2)에 의해 이동지그(200)가 상승될수록 자연스럽게 벌어지게 된다. 이때, 각 파트의 접촉단부(313)는 상부걸림단(211)과 하부걸림단(212) 사이의 틸팅공간(R3)에 위치됨에 따라 틸팅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서스펜션 스프링(S1)은 스프링 시트(S2)가 설치되더라도, 파지부(310)의 각 파트가 벌어짐에 따라 스프링 시트(S2)와 접촉되지 않고 이탈이 수행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서스펜션스프링의 작업 장치는 서스펜션 스프링(S1)의 양끝단에 지그가 접촉됨에 따라 서스펜션 스프링(S1)의 손상이 최소화되고, 서스펜션 스프링(S1)의 가압 및 스프링시트의 설치가 용이하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지지대 200:이동지그
210:설치부 211:상부걸림단
212:하부걸림단 220:고정부
221:연장단부 300:가압지그
310:파지부 311:걸림단부
312:변형부재 313:접촉단부
314:완충부재 315:안착부
320:개통부

Claims (12)

  1. 서스펜션 스프링이 고정되는 지지대;
    지지대의 상방에서 서스펜션 스프링을 향해 승하강되고, 하부에는 상방으로 함몰되어 슬라이딩공간을 형성하는 설치부가 형성된 이동지그; 및
    이동지그의 설치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되게 설치되고, 이동지그의 승하강 여부에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벌어지거나 오므라지는 파지부가 형성되며, 파지부에는 측방으로 관통되어 조립공간을 형성하는 개통부가 형성된 가압지그;를 포함함으로써,
    이동지그의 하강시 이동지그와 함께 하방으로 이동된 파지부가 서스펜션 스프링을 가압하여 개통부를 통한 서스펜션 스프링에 스프링 시트의 설치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고, 이동지그의 상승시 파지부가 벌어짐에 따라 서스펜션 스프링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션스프링의 작업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설치부에는 슬라이딩공간의 중앙을 향해 하방으로 연장된 고정부가 형성되고,
    파지부는 일단부가 고정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하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고정부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파트로 구성되고, 각 파트는 이동지그의 승하강 여부에 따라 고정부에서 틸팅됨으로써 타단부가 벌어지거나 오므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션스프링의 작업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고정부의 끝단에는 둘레를 따라 연장단부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파지부를 이루는 각 파트의 일단부에는 연장단부의 상측에 걸리도록 고정부를 향해 연장된 걸림단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션스프링의 작업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각 파트의 걸림단부는 고정부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플랙시블하게 변형되는 변형부재를 통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션스프링의 작업 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설치부의 내측면과 고정부의 외측면 사이의 거리는 각 파트의 일단부 폭보다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션스프링의 작업 장치.
  6. 청구항 2에 있어서,
    설치부의 내측면에는 상부와 하부에 각각 상부걸림단과 하부걸림단이 돌출되게 형성됨에 따라 상부걸림단과 하부걸림단 사이로 틸팅공간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션스프링의 작업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각 파트의 타단부 폭은 이동지그가 하강되어 파지부가 서스펜션 스프링을 가압시 하부걸림단에 접촉되어 지지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션스프링의 작업 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파지부를 이루는 각 파트는 일단부의 폭보다 타단부의 폭이 더 크게 형성되고,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갈수록 폭이 증대됨에 따라 외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션스프링의 작업 장치.
  9. 청구항 6에 있어서,
    파지부를 이루는 각 파트의 일단부에는 이동지그가 하강되어 파지부가 서스펜션 스프링을 가압시 상부걸림단에 접촉되어 지지되는 접촉단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션스프링의 작업 장치.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접촉단부의 하단에는 이동지그가 하강된 상태에서 상승시 하부걸림단에 접촉되는 탄성재질의 완충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션스프링의 작업 장치.
  11. 청구항 2에 있어서,
    각 파트의 타단부에는 서스펜션 스프링이 안착되도록 내측으로 돌출된 안착부가 형성되고, 안착부는 상단이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션스프링의 작업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각 파트의 안착부는 이동지그가 하강되어 파지부가 서스펜션 스프링을 가압시 스프링 시트의 폭보다 작되 이동지그의 상승되어 파지부가 벌어진 상태시 스프링 시트의 폭보다 크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션스프링의 작업 장치.
KR1020200113313A 2020-09-04 2020-09-04 서스펜션스프링의 작업 장치 KR1024523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3313A KR102452380B1 (ko) 2020-09-04 2020-09-04 서스펜션스프링의 작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3313A KR102452380B1 (ko) 2020-09-04 2020-09-04 서스펜션스프링의 작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1427A KR20220031427A (ko) 2022-03-11
KR102452380B1 true KR102452380B1 (ko) 2022-10-07

Family

ID=80814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3313A KR102452380B1 (ko) 2020-09-04 2020-09-04 서스펜션스프링의 작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238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58248A (ja) 1998-11-20 2000-06-13 Honda Motor Co Ltd サスペンションユニットの分解組立装置
JP2004009219A (ja) 2002-06-07 2004-01-15 Daihatsu Motor Co Ltd コイルスプリング組付装置
JP5772746B2 (ja) 2012-07-18 2015-09-0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リテーナおよびバルブスプリング取付方法および取付工具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2452A (ko) 1997-10-18 1999-05-15 정몽규 쇽업소버 스프링 탈착장치
JP7035860B2 (ja) * 2018-07-04 2022-03-1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自動車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58248A (ja) 1998-11-20 2000-06-13 Honda Motor Co Ltd サスペンションユニットの分解組立装置
JP2004009219A (ja) 2002-06-07 2004-01-15 Daihatsu Motor Co Ltd コイルスプリング組付装置
JP5772746B2 (ja) 2012-07-18 2015-09-0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リテーナおよびバルブスプリング取付方法および取付工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1427A (ko) 2022-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95594C (zh) 用于支撑并夹持至少一个可换器具的安全工具
JP3913737B2 (ja) 車両用シートのためのヘッドレスト装置、および当該装置を備えた車両用シート
WO2018072162A1 (zh) 一种操作简单的工件安装定位装置
KR102452380B1 (ko) 서스펜션스프링의 작업 장치
KR100919514B1 (ko) 모바일 데크 지지장치
CN104785640A (zh) 翻边模具的托料顶料机构及翻边模具
JP6586384B2 (ja) エレベーターのコンペンロープ引き上げ装置
KR20200119997A (ko) 운전석 에어백장치
JP2004352219A (ja) 自動車の車体ボディーへのサンルーフポジショニング装置
CN109434001B (zh) 托架铆压装置
JP4765956B2 (ja) 昇降装置
CN111409711A (zh) 备胎支架结构
CN109473383B (zh) 包括与升降的引导部联动的联动部的基板处理装置
JP2546440Y2 (ja) チェーンと昇降フレームのテンション付与連結機構
JP3116694B2 (ja) ワーク把持用ハンド
KR20040016239A (ko) 패널 이송장치
KR100692707B1 (ko) 유압 잭
KR101126421B1 (ko) 탄성부재를 이용한 선체블럭지지용 핀지그
WO2019064513A1 (ja) エレベータ用ピット梯子装置、及びエレベータ用乗場ドア装置
CN220052978U (zh) 一种粘合型外壳压合装置
CN217492192U (zh) 自动取放板拉伸工装治具及线路板生产线
KR200424715Y1 (ko) 삭도용 캐리지
KR101576191B1 (ko) 캐빈 승강장치
KR102095056B1 (ko) 컨베이어 보드의 적재물 고정용 클램핑장치
JP2000053351A (ja) エレベータ乗場開口部の養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